KR200157045Y1 - 조명등의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조명등의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045Y1
KR200157045Y1 KR2019970006865U KR19970006865U KR200157045Y1 KR 200157045 Y1 KR200157045 Y1 KR 200157045Y1 KR 2019970006865 U KR2019970006865 U KR 2019970006865U KR 19970006865 U KR19970006865 U KR 19970006865U KR 200157045 Y1 KR200157045 Y1 KR 2001570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piece
angle
guide groove
resi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6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2521U (ko
Inventor
유태우
Original Assignee
유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태우 filed Critical 유태우
Priority to KR2019970006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045Y1/ko
Publication of KR199800625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5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0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045Y1/ko

Links

Landscapes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대장치를 조명하거나, 특정부위를 조명하는 서치라이트 등을 포함한 조명등에 있어서, 이 조명등의 조명각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이 조정된 각도가 견고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조명등에 설치되는 전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조명등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틀체(1)에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조명등(2)을 설치하고 이의 일단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연결구(4)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2)의 후방에 틀체(1)와 연결되는 조절편(5)을 설치하고 이 조절편(5)의 하부에는 가이드홈(6)을 형성하며 이 가이드홈(6)의 내측 양면에는 다수의 요철부(7)를 형성하고 이 가이드홈(6)에는 조명등(2)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는 조절구(8)를 설치하며 상기 조절구(8)에는 양방으로 돌출되는 탄력편(9)을 설치하되, 이 돌출되는 탄력편(9)은 상기 가이드홈(6)의 요철부(7)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조명등(2)의 내부에 3개의 탄력걸림편(10)과, 경사부(12)를 가진 고정편(11)이 형성된 캡(4)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등의 각도 조절장치
일반적으로 인물이나 사물 등을 보다 강조하면서 표출할 때 또는, 무대장치등을 조명할 경우 강렬한 스포트 라이트를 위하여 서치라이트나 환경조성용 조명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 물체나 인물의 부각을 위하여 다양한 각도로 조명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용되는 종래의 조명등은 일정한 각도의 기울기로 고정된 틀체에 설치하여 상기 사물을 조명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이는 조명등이 일정한 각도로 고정된 상태에서 일률적으로 조명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사물에 따른 조명각도를 조절할 수 없는 폐단이 있었고 이에 따라 조명의 효율을 높일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또, 상기의 점을 고려하여 각도조정이 가능한 조명등이 일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조명등이 설치되는 본체에 각도조정편을 설치하고 이 각도조정편에는 조절공을 설치하며 이에 조절볼트를 설치하여 상기 조명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는바, 이는 상기 조명등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조절볼트를 풀었다가 각도 조절후 다시 조여야 하는 동작을 해야 하므로써 이 각도조절 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폐단이 있었고 또, 상기 조절볼트의 마모시에는 상기 각도조절 상태가 불량하게 되어 조명등의 각도조절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점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기 각도조절이 필요한 조명등에 임의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이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조명효율이 우수한 상태로의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면서 조절된 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전구의 교체를 위한 구성을 간단하게 구성하여 상기 전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이를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배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틀체 2 : 조명등
3 : 전원연결구 4 : 캡
5 : 조절편 6 : 가이드홈
7 : 요철부 8 : 조절구
9 : 탄력편 10 : 탄력걸림편
11: 고정편 12 : 경사부
틀체(1)에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조명등(2)을 설치하고 이의 일단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연결구(3)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2)의 후방에 틀체(1)와 연결되는 조절편(5)을 설치하고 이 조절편(5)의 하부에는 가이드홈(6)을 형성하며 이 가이드홈(6)의 내측 양면에는 다수의 요철부(7)를 형성하고 이 가이드홈(6)에는 조명등(2)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는 조절구(8)를 설치한다.
상기 조절구(8)에는 양방으로 돌출되는 탄력편(9)을 설치하되, 이 돌출되는 탄력편(9)은 상기 가이드홈(6)의 요철구(7)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조명등(2)의 내부에는 적어도 3개의 탄력걸림편(10)을 형성하며 조명등(2)의 전방캡(4)에는 경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탄력걸림편(10)에 탄력적으로 걸리면서 고정되는 고정편(11)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틀체(1)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명등(2)의 내부에 대략 120°의 위상각을 갖는 탄력걸림편(10)을 설치하고, 이 탄력걸림편(10)이 설치된 조명등(2)의 내부 소켓에 전구를 끼운다음, 상기 조명등(2)의 전방에 캡(4)을 회전시키면서 결합하게 되면, 상기 캡(4)에 설치된 고정편(11)의 경사부(12)가 상기 탄력걸림편(10)과 탄력적으로 마찰되면서 결합되고 상기 캡(4)의 계속적인 회전으로 상기 고정편(11)이 탄력걸림편(1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와같이 전구의 설치후 전구의 파손이나 수명에 의하여 전구를 교체하고져할 때는 상기 캡(4)을 상기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조명등(2)에서 분리시킨 다음, 상기 전구를 교체하고 분리되었던 캡(4)을 상기한 방법으로 다시 결합시키도록 하므로써 상기 전구의 설치 및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상기 조명등(2)이 설치된 틀체(1)의 후방 전원연결구(3)에 전원 공급을 위한 전선을 연결하고 상기 틀체(1)를 적정한 장소나 고정장소에 견고하게 고정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틀체(1)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물의 조명을 위하여 조명등(2)의 각도를 조절하고져 할 때는 상기 조명등(2)을 가볍게 잡고 이를 상하로 이동시켜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상기 조명등(2)을 잡고 상향 또는 하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조명등(2)의 후방에 설치된 조절구(8)가 조절편(5)의 가이드홈(6)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상기 조절구(8)에 돌출 설치된 탄력편(9)이 가이드홈(6)의 내측 양면에 형성된 요철부(7)에 탄발력을 가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조명등(2)의 적정한 조명각으로 조절된다.
상기와 같이 조명등(2)의 각도조절이 이루어질 때 상기 이동시키던 조절구(8)를 놓게 되면, 이의 탄력편(9)이 탄발력을 발휘하여 상기 조절편(5)의 가이드홈(6)에 형성시킨 요철부(7)의 요부에 걸리게 되면서 각도조절 상태가 완료되며 상기 탄력편(9)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기 조절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조명등(2)의 조명각 조절은 상향 또는 하향으로 조절할 때에도 상기 조절편(5)과 조절구(8)의 상호 작용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간단한 구조의 조절편(5)과 조절구(8)에 각각의 각도 조절을 위한 요철부(7)와 탄력편(9)을 구비하고 이들로써 상기 조명등(2)의 조명각도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각도의 조절후 조절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 주므로써 상기 조절상태가 변동될 염려가 없게되고 또, 상기 조명등(2)에 설치되는 캡(4)의 결합구조를 개선하므로써 전구의 설치 및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점 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본 고안은 무대장치를 조명하거나, 특정부위를 조명하는 서치라이트 등을 포함한 조명등에 있어서, 이 조명등의 조명각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이 조정된 각도가 견고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조명등에 설치되는 전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조명등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Claims (2)

  1. 틀체(1)에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조명등(2)을 설치하고 이의 일단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연결구(4)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2)의 후방에 틀체(1)와 연결되는 조절편(5)을 설치하고 이 조절편(5)의 하부에는 가이드홈(6)을 형성하며 이 가이드홈(6)의 내측 양면에는 다수의 요철부(7)를 형성하고 이 가이드홈(6)에는 조명등(2)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는 조절구(8)를 설치하며 상기 조절구(8)에는 양방으로 돌출되는 탄력편(9)을 설치하되, 이 돌출되는 탄력편(9)은 상기 가이드홈(6)의 요철부(7)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조명등(2)에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의 각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조명등(2)의 내부에 3개의 탄력걸림편(10)을 설치하고 이에 대응되는 캡(4)에는 경사부(12)를 가진 고정편(11)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의 각도 조절장치.
KR2019970006865U 1997-04-03 1997-04-03 조명등의 각도 조절장치 KR2001570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865U KR200157045Y1 (ko) 1997-04-03 1997-04-03 조명등의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865U KR200157045Y1 (ko) 1997-04-03 1997-04-03 조명등의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521U KR19980062521U (ko) 1998-11-16
KR200157045Y1 true KR200157045Y1 (ko) 1999-09-15

Family

ID=19498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6865U KR200157045Y1 (ko) 1997-04-03 1997-04-03 조명등의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0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521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4607A1 (en) Retrofit canopy luminaire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KR101726369B1 (ko) 용이한 설치 및 고정이 가능한 엘이디 경관 조명장치
US7160001B2 (en) Focus assembly for a track light
EP0732540A3 (de) Einbauleuchte mit Haltemitteln zu ihrer Halterung in einem Einbaukörper
CA2257038A1 (en) Luminaire assembly
KR101114910B1 (ko) 조명등 기구
KR102023123B1 (ko) 등기구용 원터치 체결장치
KR200157045Y1 (ko) 조명등의 각도 조절장치
US7682046B2 (en) Light fixture with lamp adjustment assembly
KR200182469Y1 (ko) 경사 및 회전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KR20230013519A (ko) 직선형 마그네틱 엘이디 조명등
KR20130004277U (ko) 스포트라이트 조명등
CN219841471U (zh) 一种具有扩展功能的投光灯
JP2003187632A (ja) 複数種のランプに対し反射効率の調整可能なダウンライト用器具及びその取り付け工事方法
KR200316325Y1 (ko) 매입형 조명기구
KR101007622B1 (ko) 신호등용 램프 지지구
CN213237206U (zh) 一种方便安装的智能防眩光筒灯
KR101347389B1 (ko) 광 반도체 조명장치
CN212777028U (zh) 一种高利用率的家庭两用型照明轨道灯
CN216345632U (zh) 一种可360度旋转的led灯
KR200335781Y1 (ko) 씽크대용 조명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
KR200326774Y1 (ko) 조명기기
KR950008074Y1 (ko) 장식등
KR200298582Y1 (ko) 램프와 안정기가 착탈가능한 등기구
KR101384234B1 (ko) 광 반도체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