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352Y1 -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결합되는 조명기기의 벽 스위치 - Google Patents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결합되는 조명기기의 벽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352Y1
KR200280352Y1 KR2020020010143U KR20020010143U KR200280352Y1 KR 200280352 Y1 KR200280352 Y1 KR 200280352Y1 KR 2020020010143 U KR2020020010143 U KR 2020020010143U KR 20020010143 U KR20020010143 U KR 20020010143U KR 200280352 Y1 KR200280352 Y1 KR 2002803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wall
outlet
coupled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아
Original Assignee
이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아 filed Critical 이진아
Priority to KR2020020010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3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3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352Y1/ko

Link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에 설치된 조명기기의 점소등을 벽에 설치된 벽 스위치 이외에도 원격에서 유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결합되는 조명기기의 벽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조명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조명기기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가 구비된 벽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벽 스위치(30)에는 전원스위치(32)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플러그(41)가 결합될 수 있는 콘센트(31)가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31)에 결합되는 플러그(41)와 전선(43)을 통하여 연결된 원격스위치(42)에 의하여 조명기기(20)의 점소등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결합되는 조명기기의 벽 스위치 { A Wall Light Switch having A Plug Receptacle }
본 고안은 조명기기의 점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벽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실내에 설치된 조명기기의 점소등을 벽에 설치된 벽 스위치 이외에도 원격에서 유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결합되는 조명기기의 벽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 설치된 조명기기의 점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로 벽에 설치되어 수동으로 조작되는 텀블러 스위치(Tumbler Switch)가 많이 이용된다. 이 텀블러 스위치는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조명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개폐시킴으로써 조명기기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 텀블러 스위치를 통하여 조명기기를 점소등시키기 위하여는 사용자가 반드시 스위치가 설치된 벽까지 이동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사용자가 잠자리에 들기전 점등된 조명기기를 소등시키기 위하여 벽까지 이동하여 스위치를 직접 조작하여만 하므로 그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가증되었으며, 이에 따라 조명기기의 소등후 바로 잠을 청하기에도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조명기기의 점소등을 원격에서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무선 스위치나 예약된 시간에 조명기기가 점소등 될 수 있도록 하는 타이머 스위치가 개발되었다. 상기 무선 스위치는 사용자가 이동하지 않고도 조명기기의 점소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만, 이 무선 스위치는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파손되면 수리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무선 스위치를 분실하거나 어디에 놓았는지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실생활에 적용하는데는 적지 않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상기 타이머 스위치 또한 예약된 시간에 조명기기가 점소등 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만, 이 역시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파손되면 수리하기 어려우며 사용자들의 취침시간이 일정하지 않은 관계로 실생활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조명기기 스위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이동하지 않고도 조명기기의 점소등을 원격에서 유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설치가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여 실생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결합되는 조명기기의 벽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조명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조명기기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가 구비된 벽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벽 스위치에는 전원스위치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플러그가 결합될 수 있는 콘센트가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와 전선을 통하여 연결된 원격스위치에 의하여 조명기기의 점소등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벽 스위치의 콘센트는 전원스위치에 양단과 병렬 연결되어, 상기 콘센트와 결합되어 연결된 원격스위치나 벽 스위치의 전원스위치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치를 통하여 조명기기의 점소등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벽 스위치의 콘센트는 전원스위치의 일단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콘센트에 플러그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는 콘센트의 양단이 회선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플러그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콘센트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단이 회선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 스위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 스위치와 유선형 원격 스위치의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벽 스위치에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분리된 경우의 회로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벽 스위치에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결합된 경우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결합되는 벽 스위치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벽 스위치에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분리된 경우의 회로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벽 스위치에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결합된 경우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공급장치 20 : 조명기기
30 : 벽 스위치 31 : 콘센트
32 : 전원스위치 40 : 유선형 원격 스위치
41 : 플러그 42 : 원격스위치
43 : 전선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 스위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 스위치와 유선형 원격 스위치의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 스위치(30)는 전원공급장치(10)로부터 조명기기(20)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조명기기(20)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스위치로, 이 벽 스위치(30)는 유선형 원격 스위치(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벽 스위치(30)에는 전원공급장치(10)로부터 조명기기(20)에 공급되는 전원을 개폐시키는 통상의 전원스위치(32)가 구비되고, 유선형 원격 스위치(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콘센트(3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벽 스위치(30)와 결합되는 유선형 원격 스위치(40)의 일단에는 벽 스위치(30)의 콘센트(3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4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플러그(41)와 전선(43)을 통하여 연결되는 원격스위치(42)가 구비되어 있다. 이 원격스위치(42)는 벽 스위치(30)의 콘센트(31)에 결합된 플러그(41)를 통하여 전선(43)에 흐르는 전원을 개폐시키는 스위치로서, 통상의 텀블러 스위치나 토글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선형 원격 스위치(40)의 전선(43)의 길이는 유선형 원격 스위치(40)의 플러그(41)를 벽 스위치(30)의 콘센트(31)에 결합한 후 사용자가 취침자리에 누워 원격스위치(42)를 조작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 스위치(30)에 구비된 콘센트(31)는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통상의 콘센트와는 달리 조명기기(20)에 공급되는 전원을 개폐시키기 위한 유선용 원격 스위치(40)의 플러그(41)가 결합되는 콘센트이기 때문에, 이 벽 스위치(30)의 콘센트(31) 외형은 통상의 콘센트와 구분될 수 있도록 특정 모양, 예를 들면 콘센트(31)의 테두리를 타원형이나 마름모 등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벽 스위치에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분리된 경우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벽 스위치에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결합된 경우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 스위치(30)는 유선형 원격 스위치(40)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 일반적인 벽 스위치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즉, 벽 스위치(30)의 전원스위치(32)를 턴온(Turn-On)시키면 조명기기(20)에 전원이 공급되어 점등되고, 전원스위치(32)를 턴오프(Turn-Off)시키면 조명기기(20)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소등되게 된다. 따라서, 벽 스위치(30)의 콘센트(31)에 유선형 원격 스위치(40)의 플러그(41)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는 통상의 벽 스위치와 동일하게 사용된다.
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 스위치(30)에 유선형 원격 스위치(40)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벽 스위치(30)의 전원스위치(32)와 유선형 원격 스위치(40)의 원격스위치(42)가 회로적으로 병렬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즉, 벽 스위치(30)의 콘센트(31)에 유선형 원격 스위치(40)의 플러그(41)가 결합되면 전원스위치(32)나 원격스위치(42) 중 어느 하나라도 턴온되는 경우 조명기기(20)에는 전원이 공급되어 점등되게 된다.
따라서, 벽 스위치(30)의 콘센트(31)에 유선형 원격 스위치(40)의 플러그(41)를 결합한 후, 벽 스위치(30)의 전원스위치(32)를 턴오프시키게 되면 유선형 원격 스위치(40)의 원격스위치(42) 조작만으로 조명기기(20)의 점소등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결합되는 벽 스위치의 설치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천장 등에 설치된 조명기기(20)의 점소등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조작하기 편리한 위치의 벽면에 본 고안에 따른 벽 스위치(30)를 설치한다. 본 고안에 따른 벽 스위치(30)는 구성이 간단하고 종래의 벽 스위치와 구조상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이미 벽에 종래의 벽 스위치가 설치되 있다면 이를 간단히 제거하고 본 고안의 벽 스위치(30)로 변경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벽 스위치(30)가 설치되면 평소에는 벽 스위치(30)의 콘센트(31)에 유선형 원격 스위치(40)를 결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벽 스위치(30)의 전원스위치(32)를 조작하여 통상의 벽 스위치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명기기(20)의 점소등을 제어한다.
반면, 사용자가 취침에 들어가기 위하여 점등된 조명기기(20)를 원격에서 소등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벽 스위치(30)에 구비된 콘센트(31)에 원격스위치(42)가 턴온된 유선형 원격 스위치(40)의 플러그(41)를 결합하고 벽 스위치(30)의 전원스위치(32)를 턴오프시킨 후, 원격스위치(42)를 소지하여 자리에누워 잠이 들기전 턴온된 원격스위치(42)를 턴오프시킴으로 조명기기(20)를 소등시키게 된다.
반대로, 아침에 잠에서 깨어 원격스위치(42)를 턴온시키면 소등된 조명기기(20)가 점등되게 되며, 조명기기(20)의 점등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벽 스위치(30)의 전원스위치(32)를 턴온시킨 후 콘센트(31)에서 유선형 원격 스위치(40)의 플러그(41)를 분리시키면 벽 스위치(30)는 통상의 벽 스위치로 계속하여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유선형 원격 스위치(40)가 구비되는 벽 스위치(30)는 상기의 기능 이외에도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벽 스위치(30)의 전원스위치(32)가 파손되어 즉각적인 수리가 불가능한 경우 벽 스위치(30)의 콘센트(31)에 유선형 원격 스위치(40)의 플러그(41)를 결합하시고 원격스위치(42)를 조작하여 조명기기(20)의 점소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도 3a와 도 3b 및 도 4에서는 벽 스위치(30)의 콘센트(31) 단자가 전원스위치(32)의 양단과 병렬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다른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도 5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벽 스위치에 유선형 원격 스위치의 분리된 경우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벽 스위치에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결합된 경우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 스위치(30)의 콘센트(31) 양단자는 전원스위치(32)의 일단에 직렬 연결되며, 콘센트(31) 양단자간에는 유선형 원격 스위치(40)의 플러그(41)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 회선(31a)에 의해 상호 연결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벽 스위치(30)는 콘센트(31)에 유선형 원격 스위치(40)의 플러그(41)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는 통상의 벽 스위치와 동일하게 사용된다.
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 스위치(30)의 콘센트(31)에 유선형 원격 스위치(40)의 플러그(41)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콘센트(31) 양단자를 회로적으로 연결하던 회선(31a)이 플러그(41) 단자에 밀려 콘센트(31) 양단자가 회로적으로 상호 분리되게 되며, 이에 따라 벽 스위치(30)의 전원스위치(32)와 유선형 원격 스위치(40)의 원격스위치(42)는 상호 직렬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벽 스위치(30)의 콘센트(31)에 유선형 원격 스위치(40)의 플러그(41)가 결합되면 전원스위치(32)와 원격스위치(42)가 모두 턴온되는 경우에만 조명기기(20)에 전원이 공급되어 점등되게 된다.
상기 벽 스위치(30)의 콘센트(31)에 있어서 양단자를 플러그(41) 분리시 회로적으로 연결시키고 플러그(41) 결합시 분리시키는 회선(31a)은 전도성 있는 물체로 구성되어 콘센트(31)의 양단자 중 일측 단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벽 스위치는 조명기기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통상의 전원스위치 이외에도 유선용 원격 스위치가 결합되는 콘센트가 구비되어이 벽 스위치의 콘센트에 결합되는 유선용 원격 스위치를 통하여 조명기기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여 실생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그 구성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여 종래의 벽 스위치를 대신하여 설치 및 변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벽 스위치의 전원스위치 파손시 유선용 원격 스위치를 통한 즉각적인 조명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조명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조명기기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가 구비된 벽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벽 스위치(30)에는 전원스위치(32)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플러그(41)가 결합될 수 있는 콘센트(31)가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31)에 결합되는 플러그(41)와 전선(43)을 통하여 연결된 원격스위치(42)에 의하여 조명기기(20)의 점소등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결합되는 벽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 스위치(30)의 콘센트(31)는 전원스위치(32)에 양단과 병렬 연결되어, 상기 콘센트(31)와 결합되어 연결된 원격스위치(42)나 벽 스위치(30)의 전원스위치(32)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치를 통하여 조명기기(20)의 점소등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결합되는 벽 스위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 스위치(30)의 콘센트(31)는 전원스위치(32)의 일단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콘센트(31)에 플러그(41)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는 콘센트(31)의 양단이 회선(31a)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플러그(41)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콘센트(31)의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단이 회선(31a)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결합되는 벽 스위치.
KR2020020010143U 2002-04-04 2002-04-04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결합되는 조명기기의 벽 스위치 KR2002803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143U KR200280352Y1 (ko) 2002-04-04 2002-04-04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결합되는 조명기기의 벽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143U KR200280352Y1 (ko) 2002-04-04 2002-04-04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결합되는 조명기기의 벽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352Y1 true KR200280352Y1 (ko) 2002-06-29

Family

ID=73120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143U KR200280352Y1 (ko) 2002-04-04 2002-04-04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결합되는 조명기기의 벽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3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854B1 (ko) 2012-12-04 2014-02-25 심용남 실내 조명기기용 제어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854B1 (ko) 2012-12-04 2014-02-25 심용남 실내 조명기기용 제어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1159B2 (en) Lighting device with multiple power sources and multiple modes of operation
US4591765A (en) Lamp control
JP2002110376A (ja) 照明器具
WO2009011562A2 (en) Emergency light adapter
KR200280352Y1 (ko) 유선형 원격 스위치가 결합되는 조명기기의 벽 스위치
JP4356940B2 (ja) 電子安定器付き照明器具に用いる調光センサ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2005517266A (ja) 防犯機能を有する照明灯用の電子式スイッチ器及び照明灯用の電子式スイッチ器の防犯機能遂行方法
JP5374408B2 (ja) 照明装置
KR101113688B1 (ko) 조도 조절 가능 엘이디 조명 시스템
KR200371685Y1 (ko) 램프 겸용 스위치
JP3114819U (ja) 電子安定器付き照明器具に用いる調光センサ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S6230800Y2 (ko)
US20020136002A1 (en) Wall mounted light fixture with independent main light and night light
KR200170394Y1 (ko) 타이머와 연결된 전등의 매립형 배전 스위치
US20120081028A1 (en) Integrated Light Fixture and Night Light
KR200226743Y1 (ko) 리모콘 on-off 스위치형 형광등
JP2564676Y2 (ja) 照明灯のスイッチ作動具
JPH1116682A (ja) ワイヤレススイッチ
KR100627737B1 (ko) 수면시간 조도 조절 센서등
JPH11111468A (ja) 負荷制御端末器、照明装置および照明制御システム
KR200236945Y1 (ko) 개별 램프 콘트롤 터치스위치
KR200297611Y1 (ko) 조명제어 장치가 내장된 개별난방온도조절기.
KR200176540Y1 (ko) 실내등 원격 조정장치
KR0123340Y1 (ko) 등기구
CN2443476Y (zh) 一种照明开关指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