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945Y1 - 개별 램프 콘트롤 터치스위치 - Google Patents

개별 램프 콘트롤 터치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945Y1
KR200236945Y1 KR2020000032319U KR20000032319U KR200236945Y1 KR 200236945 Y1 KR200236945 Y1 KR 200236945Y1 KR 2020000032319 U KR2020000032319 U KR 2020000032319U KR 20000032319 U KR20000032319 U KR 20000032319U KR 200236945 Y1 KR200236945 Y1 KR 2002369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switch
lamps
decode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3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일권
Original Assignee
진일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일권 filed Critical 진일권
Priority to KR20200000323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9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9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945Y1/ko

Link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램프(형광등,전구 등)를 점등과 소등(ON/OFF)하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터치스위치(6)를 조작하여 전체 램프중에서 1개나 일부 또는 전체 램프를 개별적으로 점등과 소등하게 하여서 조광을 조절하도록 한 것이다. 외부로 부터의 AC 전원이 정류부(3)와 정전압부(4)를 거쳐 DC전원으로 변환되도록 하여 스위치부(5)와 디코드(DECODE)부(7)에 공급하고, 그리고 스위치 조작용 전도성 터치판(6)에 손이나 신체의 일부를 접촉하여 터치스위치를 동작할 경우 스위치부(5)에서 이것을 감지하여 스위칭 출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스위칭 출력신호는 디코드부(7)에 입력되게 되는데, 이 스위칭 출력신호가 디코드부(7)에 입력될 때마다 매번 디코더부(7)의 각각 다른 출력단(8)을 통하여 디코드부(7)의 출력이 개별적으로 나오게된다. 이 디코드부(7)의 출력은 OPTO COUPLER(9)를 동작하게 하여서 트라이악(10)의 게이트를 트리거하여 트라이악(10)을 동작시켜고 AC 전원을 도통하게 하므로써 트라이악(10)과 연결된 램프(2)가 점등 또는 소등이 되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하므로써, 본 고안의 장치는 터치스위치를 조작할 때마다 각각의 램프(2)를 개별적으로 점등과 소등을 할수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각 출력단(8)에 램프수량을 다르게 연결하거나 밝기가 다른 램프를 연결하여 사용하므로써 각각 다른 조광상태를 얻을수 있다.

Description

개별 램프 콘트롤 터치스위치 {TOUCH SWITCH CONTROLLING EACH LAMP}
본 고안은 램프를 점등과 소등(ON/OFF)하는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스위치(1)는 단지 전류를 공급하는 선로를 연결 또는 단선하므로써 램프(2)를 점등 또는 소등하기 때문에 하나의 스위치로는 한 선로에 연결된 램프들을 동시에 점등 또는 소등하는 것만이 가능하였다. 이로 인하여 여러 램프가 동시에 설치되어 있는 샹드리아등이나 복합등의 경우, 종래의 스위치로는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전체 램프를 동시에 점등 또는 소등할 수밖에 없었고, 여러 램프 중에서 각각의 램프나 일부 램프를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하여 조광 상태를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이에따라 본 고안은 하나의 터치스위치(6)를 사용하여서, 손이나 신체의 일부를 전도성의 스위치용 터치판(6)에 접촉하여 터치스위치를 동작하면 스위치부(5)에서는 이것을 감지하여 스위칭 출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출력신호가 디코드부(7)에 입력되면 디코드부(7)에서는 각각 다른 출력단자(8)를 통하여 출력이 나오는데, 각 출력단자(8)와 연결된 OPTO COUPLER(9)와 트라이악(10)을 통하여 각각의 램프(2)가 따로따로 점등 또는 소등하며, 이때 각 출력단자(8) 별로 램프수량을 다르게 연결하거나 밝기가 다른 램프를 연결하여 사용하므로써 하나의 터치스위치를 조작하여 조광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외부로 부터의 AC 전원이 정류부(3)와 정전압부(4)을 거쳐 DC전원으로 변환되도록 하여 스위치부(5)와 디코드(DECODE)부(7)에 전원을 공급하고, 전도성의 스위치용 터치판(6)에 손이나 신체의 일부를 접촉하여 터치스위치를 동작시키면 스위치부(5)에서는 스위치용 터치판(6) 의 동작신호를 감지하여 스위치(ON/0FF) 출력신호를 디코드부(7)에 내보내고, 스위치부(5)로 부터 나온 출력 신호가 디코드부(7)에 입력될 때마다 디코더부(7)는 각각 다른 출력단자(8)를 통하여 출력을 발생시킨다. 이 출력을 디코드부(7)의 각 출력단자(8)와 연결된 OPTO COUPLER(9)를 통하여 트라이악(10)의 게이트를 트리거하여 트라이악(10)을 동작시켜서 AC 전원을 도통하게 하므로써 트라이악(10)과 연결된 램프가 점등 또는 소등하게 되는데, 이때 각 트라이악(10)의 T1에 연결된 램프수량을 다르게 연결하거나 밝기가 다른(출력이 다른) 램프를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서 하나의 터치스위치를 사용하여 조광상태를 변경할수 있다.
도1은 종래 방식 스위치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3은 본 고안의 터치스위치를 사용한 스위치부를 나타낸 회로도
도4는 본 고안의 누름 스위치를 사용한 스위치부를 나타낸 회로도도5는 본 고안의 디코드부를 나타낸 회로도도6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도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도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도9는 본 고안의 터치 스위치를 사용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도 10은 본 고안의 누름 스위치를 사용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종래 방식의 스위치 2. 램프
6. 스위치용 터치판 11. 본 고안 스위치의 장치부
12. 누름스위치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도2)에 의거 상세히 기술하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AC전원이 정류부(3) 및 정전압부(4)를 경유하여 스위치부(5)와 디코드부(디코드 I.C)(7)의 동작에 필요한 DC전원으로 변환되도록하여스위치부(5)와 디코드부(디코드 I.C)(7)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스위치용 전도성 터치판(TOUCH PLATE)(6)에 손가락 등의 인체의 일부분을 접촉하여 스위치를 동작하면, 스위치부(5)에서는 스위치용 터치판(6)의 동작신호를 감지하여 스위치(ON/0FF) 출력신호를 디코드부(7)로 보내는데, 스위치부(5)로부터 나온 출력신호가 매번 디코드부(7)의 디코드 I.C에 입력될 때마다 디코더 I.C는 각각 다른 출력단(8)을 통하여 출력을 발생시킨다. 이 디코드부(디코드 I.C)의 출력이 디코드 I.C의 각 출력단과 연결된 OPTO COUPLER(9)를 동작하게 하여서 트라이악(10)의 게이트로 트리거(TRIGGER)신호를 보내어서 트라이악(10)의 T1,T2가 도통하게 되고, 이 트라이악의 T1,T2와 연결된 AC선로를 통하여 AC 전원이 공급되어 AC선로와 연결된 램프를 점등 또는 소등(ON/0FF)하게 한다. 이때 도6에 도시한 것과같이 각 출력단(8)에 연결된 램프 수량을 다르게 연결하거나 도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밝기가 다른 램프를 연결하여 사용하므로써 하나의 터치스위치를 조작하여 조광 상태를 변경할 수있다.
또, 필요시 도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도성 터치판(6) 대신에 누름 스위치(PUSH SWITCH)(12)를 사용하여 스위치부(5)를 동작시키므로써 터치스위치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램프를 개별적으로 콘트롤하여 조광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도6 은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하여 단지 2개의 램프를 연결한 회로도이며 실제 적용시에는 필요시 디코더 I.C의 출력단의 수량 만큼 연결되는 램프 수량을 증가할 수 있다.도6 의 동작 순서는 스위치용 전도성 터치판에 첫번째(1회) 터치를 하여 첫번째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디코드 I.C의 출력1로 부터 나온 신호가 OPTO COUPLER 1을 구동시켜 TRIAC 1의 GATE에 신호를 인가하여 TRIAC 1의 T1과 T2가 도통하게 되어서 램프1을 점등시킨다. 그리고 두번째(2회) 터치를 하여 두번째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디코드 I.C의 출력2로 부터 나온 신호가 OPTO COUPLER 2를 구동시켜 TRIAC 2의 GATE에 신호를 인가하여 TRIAC 2의 T1과 T2가 도통하게 되는데, 이때 TRIAC 2의 T1에는 램프2와 램프3이 병렬로 동시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램프2와 램프3이 동시에 점등하게 되어 첫번째 터치(스위치)를 하여 램프1만 점등되어 있는 경우보다 더 밝은 조광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디코드 I.C의 출력단 수만큼 조광 상태를 변경할 수가 있다.도7의 경우는 TRIAC 1에 출력이 낮은 램프(LAMP1, 예를 들면 30WATT LAMP)을 연결하고, TRIAC 2에 출력이 높은 램프(LAMP2, 예를들면 60WATT LAMP)를 연결하면 터치 플레이트에 첫 번째 터치를 할 경우에는 LAMP1(30 WATT LAMP)이 점등 되고, 두 번째 터치를 할 경우에는 LAMP2(60 WATT LAMP)가 점등되어 터치 스위치의 터치판에 터치를 1회, 2회 할 경우에 조광 상태도 약(30WATT), 강(60 WATT)으로 변하게 된다.예시한 도5 와 도6과 같이 회로 결선을 하여 터치 스위치의 터치판에 터치를 하여 스위칭 동작을 실시하면 전체 동작 상태는 터치판에 터치를 1회, 2회, 3회 할 경우에 점등(약), 점등(강), 소등의 순으로 점등 상태가 반복하여 변경하게된다.그리고 램프1이나 램프2를 색램프를 사용하면, 터치판에 터치를 할 때마다 각각 다른 색깔의 램프가 점등되어 조광 분위기를 바꿀수 있다.본 고안의 개별 콘트롤 (터치)스위치와 디코드부의 회로 구성은 도3,도5과와 같다.그리고 본 고안의 콘트롤 장치는 도9 와 같이 샹드리아등이나 복합등 또는 기타 기구물 내부에 본 고안의 콘트롤 장치 몸체를 장착하여 AC 전원 선로와 부하(램프)를 연결하고 스위치 조작을 수행하는 전도성 터치판이 연결된 선로만 외부로 인출하여 구조물(건물)벽면(기존의 벽 스위치 장착 위치)이나 기타 적절한 위치에 터치판을 부착하여서 스위치로써 사용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개별 램프 콘트롤 터치스위치 장치는 단지 전원 선로를 개,폐하여 그 선로에 연결된 일단의 램프를 동시에 점등 또는 소등(ON/OFF)하는 종래의 스위치 방식에서 탈피하여, 하나의 터치스위치를 사용하여서 각각의 램프를 개별적으로 콘트롤 할수 있으므로,여러개의 램프들로 구성된 복합등이나 샹드리아등 경우에 하나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복합등이나 샹드리아등에 장착된 램프들을 일부 또는 전부를 개별적으로 점등하므로써 조광 조절이 가능하다. 더구나 최근의 조명장치들은 절전을 위하여 백열전구 대신에 형광등 또는 전구식 형광 램프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형광등의 경우는 형광등의 동작 특성상 기술적으로 조광 조절(DIMMING)이 힘들고, DIMMING 안정기를 사용할 경우에 조광이 가능하다고는 하나 조광 할수 있는 범위가 제한적이고 DIMMING 안정기의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일반 가정에서는 DIMMING 안정기를 널리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전구식 형광램프는 제품 출하시에 이미 램프 자체에 조광 조절 기능이 없는 일반 안정기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 조광 조절을 하기가 힘들다. 그러나 본 고안의 장치를 사용하여 복합등이나 샹드리아등에 장착된 여러 램프중에서 각각의 램프나 일부의 램프를 선별, 동작하게 하므로써 형광등, 전구식 형광램프나 기타의 램프 종류에 관계없이 조광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는 주위 환경을 고려하여 본인이 필요로 하는 조광 상태를 선택하여 사용할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기 에너지의 낭비를 막을수 있다.그리고 전체 램프중 일부 램프를 색 램프로 사용할 경우에 취침시에는 색 램프만 점등하게 하여 조광은 물론 무드등의 효과도 함께 얻을수 있다.

Claims (2)

  1. 샹드리아등 이나 복합등 또는 기타 기구물 몸통 내부에 본 고안의 콘트롤 장치 몸체가 안착되어 AC 전원 선로와 부하(램프)가 연결되고, 스위치 조작 기능을 수행하는 선로만 샹드리아등 이나 복합등 또는 기타 기구물 몸통 외부로 인출되고 그 선로 끝 부분에 스위치 조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도성 터치판(터치 플레이트)이 연결되어 있어서 터치판에 손가락이나 인체의 일부분을 접촉하여 스위치를 조작할 경우에, 연결된 전체 램프중에서 일부 램프들 또는 각 램프를 따로 따로 점등 또는 소등 시키는 스위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샹드리아등 이나 복합등 또는 기타 기구물 몸통 내부에 장치 몸체가 안착되어 AC 전원 선로와 부하(램프)가 연결되고, 스위치 조작 기능을 수행하는 선로만 샹드리아등 이나 복합등 또는 기타 기구물 몸통 외부로 인출되고 그 선로 끝 부분에 스위치 조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누름 스위치가 연결되어 있어서 누름 수위치를 조작할 경우에, 연결된 전체 램프중에서 일부 램프들 또는 각 램프를 따로 따로 점등 또는 소등 시키는 스위치 장치.
KR2020000032319U 2000-11-18 2000-11-18 개별 램프 콘트롤 터치스위치 KR2002369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319U KR200236945Y1 (ko) 2000-11-18 2000-11-18 개별 램프 콘트롤 터치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319U KR200236945Y1 (ko) 2000-11-18 2000-11-18 개별 램프 콘트롤 터치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945Y1 true KR200236945Y1 (ko) 2001-09-26

Family

ID=7309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319U KR200236945Y1 (ko) 2000-11-18 2000-11-18 개별 램프 콘트롤 터치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9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5958B2 (en) 2006-12-20 2010-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act switch module executing toggling flow and power switching module including the tact switch mod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5958B2 (en) 2006-12-20 2010-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act switch module executing toggling flow and power switching module including the tact switch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351402A (ja) 蛍光灯型led照明装置
JP2008541403A (ja) 調光スイッチ用の状態表示回路
JP2010092776A (ja) Led駆動回路、led照明灯具、led照明機器、及びled照明システム
US20120268027A1 (en) Energy saving led having dimming function and mood-lighting control function
TWI292807B (en) High-intensity discharge lamp ballast with live relamping feature
KR101861047B1 (ko) 릴레이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
JPH04286899A (ja) ガス放電ランプの明るさを制御する電子切換装置
JP2012146622A (ja) 光源装置
KR200236945Y1 (ko) 개별 램프 콘트롤 터치스위치
KR101901597B1 (ko) 대기전력저감 및 잔광차단 기능이 구비된 조명등기구용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등기구
JPH06283277A (ja) 可変色照明器具
WO2016111475A1 (ko) 기능성 전등 스위치의 정전압 누설전류 유기장치
US20080211422A1 (en) Halogen Lamp
CN201797630U (zh) 灯源切换控制电路
KR200379220Y1 (ko) 조명등 절전 장치
KR101242457B1 (ko) 에너지절약형 조명제어장치
TW200949145A (en) Light-emitting apparatus and dimming method
TWM527513U (zh) 可同步控制之串接燈具
TWI583248B (zh) Can be synchronized control of the series lights
KR200191759Y1 (ko) 형광등의 디밍 및 선택적점등제어장치
JPH05109489A (ja) 照明装置
KR200175718Y1 (ko) 조명등 구동회로
TWM400177U (en) A light source switching control circuit
KR20000073763A (ko) 광고용 형광등 점멸 시스템
CN117915507A (zh) 两段式调光的led电源供应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