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2097A - 안테나수단과 그 제조방법 및 휴대용 무선통신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수단과 그 제조방법 및 휴대용 무선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2097A
KR20010042097A KR1020007010455A KR20007010455A KR20010042097A KR 20010042097 A KR20010042097 A KR 20010042097A KR 1020007010455 A KR1020007010455 A KR 1020007010455A KR 20007010455 A KR20007010455 A KR 20007010455A KR 20010042097 A KR20010042097 A KR 20010042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radiating element
base
antenna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0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6684B1 (ko
Inventor
헨릭그랜비스트
스테판모렌
토마스베넷
Original Assignee
펄 위 제이케
알곤 에이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E9801155A external-priority patent/SE511900E/sv
Application filed by 펄 위 제이케, 알곤 에이비이 filed Critical 펄 위 제이케
Publication of KR20010042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6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떻게 가볍고 값싼 안테나와 신뢰할 수 있고 단순한 제작 및 조립과정을 달성하느냐의 문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제1수단(602,707)을 방사소자(604,702)에 직접 접촉하도록 배열하고,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힘에 의해서 직접 공급멤버(610,713)를 접촉시켜서, 이들 수단을 매개로 방사소자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도전 연결을 달성하는 것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점은, 접촉클립 리테이너를 위한 자리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베이스에서 재료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과 연관된 다른 장점은 가요성의 접촉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과 연관된 다른 장점은, 베이스의 한 단부만이 부분을 삽입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조립공정이 단순해진다는 것이고, 또 다른 장점은 방사소자와 회로 사이의 접촉을 위해 소수의 부품만이 사용된다는 것이다.

Description

안테나수단과 그 제조방법 및 휴대용 무선통신장치{ANTENNA MEANS, A METHOD FOR ITS MANUFACTURING AND A HAND-HELD RADIO COMMUNICATION DEVICE}
일반적인 안테나, 특히 휴대용 무선장치는 소형화 및 경량화를 향한 급속한 발전을 격고 있다. 보다 작고 가벼운 장치에 대한 이동 무선사업자의 요구는 이러한 장치용의 안테나에 대한 요구조건을 또한 증가시킨다.
또한, 현재의 휴대용 무선장치의 시장규모와 기대되는 시장규모의 증가는 이러한 장치의 모든 구성요소에 대한 제조공정에 대해 높은 요구조건을 제시하도록 한다. 심지어 상대적으로 작은 기술적 개선도, 대량생산에 기인하여 큰 비용절감효과로 귀결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제공공정에서 개선점을 발견하고, 이를 실행하여 경쟁에 유리한 장점을 달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휴대용 무선장치용의 안테나의 제조에 대한 현재 기술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재되는데, 복잡한 접촉클립과 2개의 주요 구성요소, 즉 방사소자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연결을 조작하는 접촉클립 리테이너와 연관된 문제점을 갖는다. 안테나의 비교적 무거운 부분인 접촉클립 리테이너는 베이스 내에 자리를 필요로 하는데 이 자리는 차례로 적정량의 플라스틱을 필요로 한다.
접촉클립 리테이너는 접촉클립을 방자소자에 고정시켜서 방사소자와 접촉클립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접촉클립 리테이너는 상부로부터 베이스의 공동 내로 삽입되는 반면, 접촉클립은 베이스의 바닥으로부터 삽입된다. 2개의 다른 방향으로부터 부품이 베이스 내로 삽입되는 것은, 베이스가 회전되는 단계가 수행되어야 하는 복잡한 제작공정으로 귀결된다.
출원인에 의해 현재 제작되고 있는 종래 기술의 장치(예컨대, 제WO9/47141호를 보자)에 있어서는, 방사소자로서 민더가 사용되는데, 민더의 작은 부분이 입구내로 그리고 베이스의 측면에서 아래로 접혀서, 접촉클립 리테이너가 상부로부터 삽입될 때, 민더의 접힌 부분에 대해 힘을 가하도록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힌 부분은 아래쪽의 "잘못된" 방향으로 접히는데, 이는 민더의 작은 접힘부를 가능하게 하는 방사 패턴의 플라스틱 캐리어 내의 슬릿이 상기 접힌 부분과 방사소자 사이의 전기 연결을 절단하도록 하므로, 인쇄회로기판과 방사소자 사이의 전기접촉을 불가능하게 한다. 발생되는 다른 문제는, 접촉클립 리테이너가 베이스 내로 삽입될 때, 방사소자의 접힌부분이 손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접촉클립이 바닥으로부터 삽입되고, 재 위치로 힘이 가해져서 접촉클립 리테이너와 상호작용하는 접촉클립의 상부에서 2개의 레그를 매개로 접촉클립 리테이너와 전기 접촉을 만든다. 접촉클립상의 레그(leg)와 연관된 다수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레그가 접촉클립상에서 꺼내지므로, 클립은 허리에서 굽어지는 경향이 있게 된다. 레그는 서로 걸리므로, 조립장치를 방해하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마멸되고 파손되기 쉬운 고정밀도의 수단에 의한 접촉클립의 제작은 복잡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이고 값이 싼 안테나를 달성하는 것에 의해 경량이고 값이 싼 휴대용 무선통신장치를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테나장치의 조립을 위해서 보다 신뢰성 있고 단순한 조립공정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능한 소량의 부품으로 주요 방사소자나 소자들과 회로 사이의 접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조립에 보다 적합한 보다 신뢰성 있는 접촉클립을 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제1수단을 방사소자에 직접 접촉하도록 배열하고, 상기 수단과 상기 방사소자 사이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힘에 의해서, 그리고 직접, 예컨대 인쇄회로기판 상의 공급멤버에 접촉시켜서, 이들 수단을 매개로 방사소자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도전성 연결을 달성하는 것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량의 안테나수단, 휴대용 무선장치를 위한 안테나의 효과적인 제조공정 및, 무선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안테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접촉클립의 측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촉클립의 평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방사소자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갖춘 무선통신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을 따른 안테나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접촉클립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접촉클립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에 따른 안테나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연장된 위치에 잇는 신축 가능한 휩(whip)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나타낸 도면,
도 18a는 도 18의 A-A선을 따른 안테나의 단면도,
도 18b는 도 18의 B-B선을 따른 안테나의 단면도,
도 19는 수축된 위치에 있는 신축 가능한 휩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 안테나는 방사소자와 베이스 및 접촉클립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공동을 구비하며, 이 동은 공동으로의 적어도 제1입구에서 축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공동으로의 적어도 제2입구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방사소자는 상기 제2입구를 매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공동 내로, 그리고 상기 공동 내의 벽상의 제1접촉영역상으로 접힌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공동 내의 일측면으로부터 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수단을 더 구비하는데, 상기 접촉클립은 상기 지지영역과 상기 지지수단과 상기 제1접촉영역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영역 및 상기 제1접촉영역 사이에 스프링력을 야기시켜 상기 접촉클립과 상기 방사소자 사이의 전기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안테나에서 하나의 부품이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장점은, 접촉클립 리테이너가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다른 장점은, 접촉클립 리테이너의 자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베이스내의 재료 량이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다른 장점은 가요성 접촉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과 연관된 다른 장점은 베이스의 하나의 단부만이 부품의 삽입을 위해 사용되므로,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킨다는 것이다.
방사소자로서 민더가 사용되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장점은, 민더가 베이스의 공동 내로 접힐 때, 슬릿이 접힌 부분과 방사소자 사이의 접촉을 파괴하는 위험을 최소화시키도록 접힌다는 것이다.
또 다른 장점은 방사소자와 회로 사이의 접촉을 위해서 최소한의 부품이 사용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다른 장점은 접촉클립상에 레그가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상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도 주어진 본 발명의 단지 특정한 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 안테나의 단면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101은 베이스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02는 접촉멤버를 나타낸다. 접촉멤버(102)는 자리(103)의 도움으로 베이스의 공동 내에 고정된다.
접촉멤버(102)는 고체 금속이므로, 비교적 무겁다. 또한, 확실한 고정을 위해서 베이스 내에는 자리(103)가 요구되는데, 이 자리(103)에는 추가의 플라스틱이 요구된다.
방사소자, 이 경우에 있어서는 구불구불한 민더(meander)가 참조부호 104로 나타내진다. 민더(106)의 작은 부분은 하부로 안쪽으로 졉혀져서, 접촉영역(105)에서 접촉멤버(102)와 접촉한다. 접촉멤버(102)가 베이스(101)의 공동(107)의 상부 안쪽으로 삽입되어 아래로 힘이 가해질 때, 접촉멤버(102)와 민더(106)의 겹친 부분 사이의 결합이 달성된다.
접촉멤버(102)가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여 겹친 부분(106)과 접촉될 때, 브릇력(brut force)이 겹친 부분(106)상의 전기 도전부를 손상시킨다.
접촉클립(108)이 공동의 바닥(109)으로부터 삽입된다. 베이스의 두 다른 단부내의 공동 내로 부품을 삽입하는 것이 필수적이므로, 베이스가 회전될 필요가 있는 곳에서는 보다 복잡한 조립공정이 요구된다.
접촉클립(108)의 2개의 레그(110,111)는 접촉멤버(102)와 협동하여, 접촉클립(108)을 고정하고 접촉클립(108)과 접촉멤버(102) 사이의 결합을 달성시킨다. 다량의 접촉클립(108)이 단일의 콘테이너 내에 유지되는 제조공정동안, 다른 접촉클립(108)의 2개의 레그(110,111)는 서로 쉽게 걸린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접촉클립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접촉클립이 서로 걸어질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생각할 수 있다.
도 4에는 민더(401)인 종래 기술에 따른 방사소자가 도시된다. 참조부호 402로 접힘이 가능한 부분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403 및 404로 2개의 슬릿을 나타낸다. 제3슬릿을 참조부호 405로 나타낸다. 민더(401)는 도 1의 베이스에 적용되고, 접철부(402)는 안으로 그리고 공동 내에서 아래로 접혀진다. 이 접힘이 충분히 정확하게 수행되지 않으면, 접철부(402)는 슬릿(403,404)의 연장부를 통해 크기가 증가된다. 이것이 일어나면, 슬릿(403)은 접철부(402)의 도전부를 방사부(406)에 연결하는 도전선을 완전하게 절단해야 한다. 접철부(402)가 가능한 민더(401)의 바닥에 인접할 필요가 있으므로, 비교적 짧은 손상으로 선을 절단할 수도 있다. 이 또한 문제점이다.
용어 민더는 본 명세서에서는 구불구불한 형상의 도전성소자를 갖는 얇은 유전성 캐리어로 정의된다. 도전성소자가 민더형상 이외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민더가 슬릿을 갖는 다는 기재될 때는, 캐리어가 슬릿을 갖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전화장치를 나타낸다. 안테나는 통신장치상에 나사 체결되거나 눌러 끼워질 수 있으며, 도 5에서는 캡이 참조부호 501로 나타난다. 캡(501)은 안테나 부분을 보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601은 베이스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602는 일반적으로 기다란 실린더 형상을 갖는 접촉 스플 형태의 접촉수단을 나타낸다. 접촉 스플(602)은 자리(603)의 도움을 받는 위치에 고정된다. 방사소자(604)는 접촉영역(606)을 향해 베이스(601)의 공동 내로 접혀지는 접철부(605)를 구비한다. 상기 접촉 스플이 제1입구(611)로부터 위로부터 아래로 힘을 가해 공동 내로 삽입될 때, 도전성 접촉이 상기 접촉 스플(602)과 상기 접철부(605) 사이에서 달성된다. 접촉 스플(602)의 주위 벽으로부터의 힘은, 접촉 스플(602)이 접철부(605)를 향하도록 하는데, 접촉 스플(602)과 접철부(605)상의 도전영역 사이에 도전성 접촉이 제공된다. 안테나(607)는 휴대용 통신장치 상에 나사 체결되고, 접촉 스플은 인쇄회로기판(609)상의 공급멤버(610)에 결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공동은, 하나 이상의 단부가 개방될 수 있는 공간을 나타내는 넓은 개념의 용어이다. 특별한 형상을 가질 필요가 없고, 벽이 모든 측면을 덮을 필요가 없으며, 심지어 반구형상으로 공동을 만들 수도 있다. 도 6에서, 접촉 스플이 재 위치를 차지한 후 베이스가 충진제로 충진되더라도, 접촉 스플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은, 접촉 스플이 끼워졌더라도, 베이스의 공동으로 정의된다.
도 14에 있어서, 접촉 스플(1401)은 바닥의 제1입구(1408)로부터 위로 힘이 가해져서 베이스(1402)의 공동 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민더(1404)의 접철부(1403)가 접촉영역(1405)를 향해 위로 접혀진다. 접촉 스플(1401)은 접철부(1403)에 대향해서 힘이 가해지는데, 회로(1407)상에서 민더(1404)와 공급멤버(1406) 사이의 전기 결합을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수단을 나타낸다. 베이스는 참조부호 701로 나타내고, 방사소자는 얇은 유전체 캐리어상의 민더 형상 도전 영역의 형태로, 소위 민더로 불리며 참조부호 702로 나타내는데,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접착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베이스(701)에 적용된다. 방사방향 내의 제1입구는 참조부호 703으로 나타낸다. 민더(702)의 한 부분은 입구(703)을 통해서 제1접촉영역(705)을 향해 베이스의 공동 안으로 그리고 위로 접혀진다. 참조부호 706으로 나타내는 지지수단이 베이스(701) 내의 공동의 일측으로부터 중요 방사방향으로 연장된다. 접촉클립 형태의 접촉수단을 참조부호 707로 나타낸다. 접촉클립이 베이스(701)의 바닥의 지지수단(706) 아래의 제2입구(708)를 통해서 베이스(701)의 공동 내로 삽입된다. 접촉클립(707)이 눌려져서 재 위치를 잡고, 지지수단(706)과 제1접촉영역(705) 및 지지영역(709) 사이에서 스프링력을 매개로 고정된다. 접촉클립(707)은 민더(702)의 접철부(704)에 연결되고, 제3접촉 영역(711)을 매개로 인쇄회로기판(710)의 공급멤버(713)에 연결되어, 방사소자(702)와 인쇄회로기판(710) 사이의 전기회로를 가능하게 한다.
접촉클립(707)과 민더(702)의 접철부(704) 사이의 연결이 접촉 영역(705)에서 베이스(701)의 공동의 측면을 향해 힘을 발휘하는 접촉클립(7070의 스프링력을 매개로 달성된다.
베이스(701)는 휴대용 무선통신장치(712)상에 스냅-클릭(snap-click)으로 재 위치를 잡는다. 또한, 통상적으로 방사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캡이 구비되지만, 확실한 도시를 위해서 도 7에는 나타내지 않았다.
도 8은 도 7과 동일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에 대응하는 도 8의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냈다.
도 9 및 도 10은 도 7 및 도 8과 연관하여 개시된 실시예에서의 접촉클립의 확대도이다. 도 7에 대응하는 도 9 및 도 10의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냈다. 도 9 및 도 10에는 접촉 영역(705,709,711)이 매우 작은 영역일 필요가 없고,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클립(707)의 보다 긴 부분으로 될 수 있다는 것이 확실하게 나타난다. 접촉 영역(705)은 2가지 목적, 즉 접촉클립을 고정시키고, 접촉클립(707)을 방사소자(702)에 연결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지므로, 이는 매우 중요하다. 도 9에서 제1보스형상 돌기는 참조부호 901로 나타내고, 제2보스형상 돌기는 참조부호 902로 나타낸다. 이들 돌기는 접촉클립과 방사소자(702) 및 인쇄회로기판(710) 사이의 보다 확실한 결합을 달성하는데 사용된다. 도 10의 돌기는 도 9와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에는 오목부(903)에 의해 수반되는 접촉영역(705)과 함께, 접촉클립의 형태가 보다 확실하게 보여진다. 지지영역(709)은 상기 제1접촉 영역(705)과 동일 평면인 지지영역(709)내에서 끝난다. 지지영역은 오목한 기다란 부분(904)으로 계속되고, 제3접촉 영역(711)에서 끝난다.
도 11은 민더 형상의 방사소자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101은 방사패턴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1102는 제1슬릿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1103은 제2슬릿을 나타낸다. 이 도면에는, 민더의 부분을 위로 접는 것의 이득이 확실하게 나타난다. 접기가 완전하게 수행되지 않고, 슬릿이 민더를 찢으면, 방사패턴이 슬릿에 인접하지 않으므로, 실질적인 손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201은 방사패턴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1202 및 1203은 제1 및 제2슬릿을 나타낸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슬릿(1202,1203) 내의 틈이 소정의 손상을 야기하지 않는 것이 확실하다.
또한, 도 17은 하나의 슬릿이 민더의 부분을 접을 수 있게 하는 민더 안테나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다. 베이스는 참조부호 1301로 나타내는데, 이 실시예에서 방사소자는 나선 방사기이며 참조부호 1302로 나타낸다. 나선 방사기(1302)의 부분은 입구(1303)로 접혀져서 베이스(1301)의 공동내에서 접촉영역(1304)를 향한다. 접촉클립(1305)이 공동 내로 삽입되고, 도 7과 연관하여 기재된 실시예와 유사한 방법으로 도전성 접촉이 접촉 영역(1304)에서 접촉클립(1305)과 나선 방사기(1302) 사이에 수립된다.
도 15는 베이스(1502)의 공동 안쪽에 위치된 나선형 안테나수단(1501)을 나타낸다. 접촉클립(1503)에 힘이 가해져서 지지수단(1504) 아래에 유지된다. 나선안테나(1501)의 부분(1506)이 부분적으로 접촉영역(1505)을 덮고, 스프링력을 매개로 접촉클립(1503)이 상기 접촉 영역(1505)을 향해 힘을 가해서 상기 나선 안테나(1501)과 상기 접촉클립(1504) 사이가 전기 접촉되도록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민더 안테나(1601)가 베이스(1602)의 내벽에 고착되어, 적어도 상기 민더(1601)의 부분(1605)이 접촉영역(1503)을 덮도록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여기서는 어떻게 신축가능한 방사 휩(1808)이 신규의 개념을 포함하는지가 기재된다. 접촉클립(1801)이 베이스 외벽(1802)과 횡단 지지수단(1803) 사이의 베이스 내에 삽입된다. 접촉클립은 돌기 및 자신의 스프링 작용을 사용하여 탑재된다. 원통형으로 구성된 방사소자(1804)가 베이스(1802)에 탑재되고, 제1접촉 영역에서 베이스(102) 내로 접히는 탭(1805)을 갖는다. 접촉클립은 자신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상기 접촉 영역내의 상기 탭에 대해서 힘을 가하여, 방사소자(1804)와 접촉클립(1804) 사이의 도전 접촉을 제공한다. 이는 기본적으로 상기와 동일하다.
접촉클립(1801)은 만곡된 부분(1806)을 갖는데, 이는 상기 신축 가능한 방사 휩(1808)이 위치된 중앙의 축으로 연장된 구멍(1807) 내로 어느 정도 연장된다. 휩(1808)은 한 단부에 상기 방사 휩(1808)의 중심 부분 보다 큰 반경을 갖는 스톱퍼(1809)를 구비한다. 상기 구멍(1807)의 좁은 부분은 스톱퍼(1809)가 통과되는 것을 방지하여 최대 연장을 달성하게 한다. 이 연장된 위치일 때, 접촉클립(1801)이 스톱퍼(1809)에 대해 힘을 가해서 접촉클립(1809)과 방사 휩(1808) 사이의 전기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스톱퍼(1809)는 도전성의 금속 스톱퍼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접촉클립(1801)과 휩(1808) 사이의 도전성 결합이 달성되고, 유전체의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접촉클립과 방사 휩이 도전적 및/또는 유도적으로 결합된다.
도 18a는 A-A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18b는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수축상태에 있는 신축 가능한 휩을 나타낸다.
본 발명이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접촉클립이 사용될 수 있어, 공급멤버로부터 방사소자로의 전송선을 형성할 수 있다. 소정의 조합에 있어서, 민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방사소자가 사용될 수 있는데, 베이스의 내/외측 모두가 민더이거나, 베이스의 내측은 민더이고 외측은 나선이거나, 베이스의 내측은 나선이고 외측은 민더이거나, 베이스의 내외측 모두가 나선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로드와 같은 2개 이상의 방사소자를 가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활동 모드에서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연장될 수 있게 된다. 안테나 로드는, 물론 제2방사소자의 부분으로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접촉 스플장치와 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민더소자의 캐리어상에 매칭회로를 포함하는 다른 변형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변형의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어야 한다.

Claims (36)

  1.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장치로서, 이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제1방사소자(604,702,1100,1200)과 베이스(601,701)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공동과 적어도 상기 공동으로의 제1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가,
    상기 방사소자와 공급멤버(610,713) 사이의 결합을 야기하기 위해 배열된 접촉수단(602,707)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방사소자의 적어도 한 부분(605,704,1506,1605)이 제1접촉영역(606,705) 내에 구비되도록 방사소자가 배열되며,
    상기 접촉수단이 배열되어 접촉력을 상기 제1접촉영역으로 발휘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힘이 상기 소자 부분과 상기 접촉수단 사이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공급멤버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접촉수단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가 연장된 위치와 수축된 위치 사이에서 미끄럼 가능한 제1의 신축 가능한 방사 휩을 더 포함하고,
    연장된 위치에서 상기 접촉수단이 상기 방사 휩에 대해 접촉력을 발휘하도록 배열되어, 연장된 방사 휩과 상기 공급멤버 사이에 결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단이 상기 베이스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소자가 상기 베이스의 공동내에 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으로의 상기 적어도 제1입구(703,1303)가 방사방향이고,
    상기 방사소자가 상기 베이스의 외측에 주로 배열되며,
    상기 방사소자가 상기 제1입구를 매개로 상기 공동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혀서 상기 제1접촉영역을 향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단이 접촉스플(602)이고,
    이 접촉스플이 상기 베이스의 한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상기 공동내로 삽입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접촉 스플의 측면이 가압력을 매개로 상기 주위의 벽으로부터 상기 제1접촉영역에 대해 힘을 가해서 상기 접촉스플과 상기 부분을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단이 접촉클립(707)이고,
    상기 베이스가 상기 공동내의 한 측면으로부터 주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수단(706,1504)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촉클립이 상기 지지영역(709)과 상기 지지수단 및 상기 제1접촉영역 사이에 유지되어 상기 접촉클립과 상기 제1접촉영역 사이에서 접촉력을 야기시켜 상기 접촉클립과 상기 방사소자 사이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단과 상기 부분 사이의 상기 결합이 도전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단과 상기 부분 사이의 상기 결합이 용량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장치.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단과 상기 부분 사이의 상기 결합이 유도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소자가 민더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사소자를 수용하기 위해 배열된 얇은 유전성 캐리어가 적어도 제1슬릿(1701)을 구비하여 상기 캐리어의 부분이 상기 제1입구를 향해서 그리고 상기 공동내에서 상기 제1접촉영역 상으로 접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접착되어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소자가 나선 방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장치.
  15. 베이스가 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공동과 상기 공동에 대한 적어도 제1입구를 구비하는 방사소자와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사소자가 상기 베이스에 고착되어 상기 방사소자의 적어도 부분이 상기 제1접촉영역을 덮고,
    접촉수단이 상기 제1입구를 매개로 상기 공동 내로 삽입되며,
    상기 접촉수단이 힘을 가해 상기 방사소자의 상기 부분과 접촉시켜, 상기 접촉수단과 상기 방사소자 및 공급멤버 사이의 전기접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와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소자가 주로 상기 베이스의 공동 내에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와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가 주로 방사방향 내에 제2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방사소자가 주로 상기 베이스의 외측상에 고착되며,
    상기 방사소자의 부분이 상기 제2입구 내로 그리고 상기 제1접촉영역상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와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단이 접촉 스플이고,
    주위 벽으로부터의 가압력을 매개로 상기 접촉 스플이 상기 제1접촉영역에 대해 힘을 가해서 상기 접촉스플과 상기 부분 사이에 결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와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19.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단이 접촉클립이고,
    이 접촉클립은 상기 공동내의 한 측면으로부터 주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재 하에서 주로 방사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상기 접촉클립과, 상기 지지영역, 상기 지지수단 및, 상기 제1접촉영역 사이의 스프링력 하에서 재 위치에 유지되어, 상기 접촉클립과 상기 방사소자 사이에 전기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와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소자가 민더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와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21. 제15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소자를 수용하기 위해 배열된 얇은 유전성 캐리어가 적어도 제1슬릿을 구비하여 상기 캐리어의 부분이 상기 제2입구 내로, 그리고 상기 공동내에서 상기 제1입구로부터 진행하여 상기 제2입구를 향하는 축방향으로 상기 제1접촉영역 상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와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민더가 제2 및 제3슬릿을 구비하여 상기 민더의 부분이 상기 제2입구 내로, 그리고 상기 공동 내에서 상기 제2입구로터 진행하여 상기 제1입구를 향하는 축방향으로 상기 제1접촉영역상으로 접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와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23.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소자가 나선 방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와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24. 베이스가 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공동과, 이 공동으로의 적어도 제1입구를 구비되는 방사소자(604,702,1100,1200)와 베이스(601,701)를 구비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접촉수단(602,707)이 상기 방사소자와 공급멤버(610,713) 사이의 결합을 야기하기 위해 배열되고,
    상기 방사소자의 적어도 부분(605,704,1506,1605)이 상기 베이스의 내벽상에서 제1접촉영역(606,705)을 덮으며,
    상기 접촉수단이 상기 접촉영역에 대해 힘을 발휘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힘이 상기 소자 부분과 상기 접촉수단 사이의 접촉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접촉수단이 상기 공급멤버와의 결합이 가능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와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통신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장치가 제1의 신축 가능한 휩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방사 휩이 그 연장된 위치일 때 상기 접촉수단이 상기 방사 휩에 대해 접촉력을 발휘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힘이 상기 연장된 방사 휩과 상기 공급멤버 사이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와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통신장치.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단이 상기 베이스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와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통신장치.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소자가 상기 베이스의 공동 내에 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와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통신장치.
  28. 제24항 내지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으로의 상기 적어도 제1입구(703,1303)가 방사방향 내에 있고,
    상기 방사소자가 상기 베이스의 외측에 주로 배열되고,
    상기 방사소자가 상기 제1입구를 매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공동 내로, 그리고 상기 제1접촉영역상으로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와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통신장치.
  29. 제24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단이 접촉스플(602)이고,
    상기 접촉스플이 상기 베이스의 하나의 단부로부터 상기 공동 내로 축방향으로 삽입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접촉 스플의 측면이 상기 접촉스플과 상기 부분 사이에서 접촉을 제공하는 주위 벽으로부터의 가압력을 매개로 상기 제1접촉영역에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와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통신장치.
  30. 제24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단이 접촉클립(707)이고,
    상기 베이스가 상기 공동 내의 한 측면으로부터 주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수단(706,1504)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접촉클립이 상기 지지영역(709)과 상기 지지수단 및 상기 제1접촉영역 사이에서 유지되어 상기 접촉클립과 상기 제1접촉영역 사이에서 접촉력을 야기시켜 상기 접촉클립과 상기 방사소자 사이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와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통신장치.
  31. 제24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단과 상기 부분 사이의 상기 결합이 도전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와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통신장치.
  32. 제24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단과 상기 부분 사이의 상기 결합이 용량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와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통신장치.
  33. 제24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단과 상기 부분 사이의 상기 결합이 유도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와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통신장치.
  34. 제24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소자가 민더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와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통신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민더가 적어도 제1슬릿(1701)을 구비하여 상기 민더의 부분이 상기 제1입구 내로, 그리고 상기 공동 내에서 상기 제1접촉영역상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와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통신장치.
  36. 제24항 내지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소자가 나선 방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소자와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 방사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통신장치.
KR1020007010455A 1998-04-01 1999-03-24 안테나수단과 그 제조방법 및 휴대용 무선통신장치 KR1005966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801155A SE511900E (sv) 1998-04-01 1998-04-01 Antennanordning, en metod för dess framställning och en handhållen radiokommunikationsanordning
SE9801155-4 1998-04-01
SE9900412A SE9900412D0 (sv) 1998-04-01 1999-02-08 Antenna means, a method for its manufacturing and a hand-held radio communication device
SE9900412-9 1999-0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097A true KR20010042097A (ko) 2001-05-25
KR100596684B1 KR100596684B1 (ko) 2006-07-20

Family

ID=26663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0455A KR100596684B1 (ko) 1998-04-01 1999-03-24 안테나수단과 그 제조방법 및 휴대용 무선통신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166697A (ko)
EP (1) EP1080514B1 (ko)
JP (1) JP2002510885A (ko)
KR (1) KR100596684B1 (ko)
CN (1) CN1203572C (ko)
AU (1) AU4175399A (ko)
BR (1) BR9909317A (ko)
DE (1) DE69932721T2 (ko)
IL (1) IL138602A0 (ko)
SE (1) SE9900412D0 (ko)
WO (1) WO19990509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779B1 (ko) * 2003-09-29 2008-07-02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3368B1 (fr) * 1999-05-03 2001-07-13 Cit Alcatel Telephone muni d'une antenne connectee
SE0001098D0 (sv) * 1999-11-01 2000-03-28 Allgon Ab Antenna device, a method for its manufacture and a contact clip for such antenna device
JP2001177322A (ja) * 1999-12-16 2001-06-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装置
SE516485C2 (sv) * 2000-02-18 2002-01-22 Allgon Ab En kontaktanordning innefattande ett första strålande element i ett stycke därav, en antennanordning innefattande en sådan kontaktanordning, och en handhållen radiokommunikationsanordning innefattande nämnda antennanordning.
SE517850C2 (sv) * 2000-04-03 2002-07-23 Allgon Ab Antennanordning och bärbar radiokommunikationsanordning innefattande en sådan antennannordning
US6353414B1 (en) * 2000-06-27 2002-03-05 3Com Corporation Antenna for a portable information device
SE0002892L (sv) * 2000-08-11 2002-02-12 Allgon Ab En antennanordning och en metod för att tillverka en antennanordning
WO2002031912A1 (en) * 2000-10-13 2002-04-18 Avantego Ab Internal antenna arrangement
US6781550B1 (en) * 2000-11-06 2004-08-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ntenna device and portable device
SE518819C2 (sv) * 2000-12-12 2002-11-26 Moteco Ab Antenn till en radiokommunikationsapparat
JP2002290259A (ja) * 2001-03-28 2002-10-04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
US6448934B1 (en) * 2001-06-15 2002-09-10 Hewlett-Packard Company Multi band antenna
AU2002218598A1 (en) * 2001-11-27 2003-06-10 Allgon Ab An antenna assembly, a method of assembling and mounting an antenna assembly and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7037144B2 (en) * 2002-06-11 2006-05-02 Harada Industry Co., Ltd. Connection terminal unit for antenna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nnection terminal unit for antenna
KR100619857B1 (ko) * 2004-05-20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JP4323440B2 (ja) * 2005-02-10 2009-09-0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CN102386474A (zh) * 2010-08-30 2012-03-21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天线模块及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9365B2 (ja) * 1992-09-28 1998-10-08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携帯無線機
GB2296603B (en) * 1994-12-23 1999-02-17 Nokia Mobile Phones Ltd Retractable top load antenna
DE19547191C2 (de) * 1995-12-16 2000-04-27 Eckhard Mutterer Antenne für Handfunk-Sprechgerät
SE509638C2 (sv) * 1996-06-15 1999-02-15 Allgon Ab Meanderantennanordn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779B1 (ko) * 2003-09-29 2008-07-02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510885A (ja) 2002-04-09
DE69932721T2 (de) 2006-11-30
DE69932721D1 (de) 2006-09-21
US6166697A (en) 2000-12-26
SE9900412D0 (sv) 1999-02-08
EP1080514B1 (en) 2006-08-09
CN1295725A (zh) 2001-05-16
WO1999050927A1 (en) 1999-10-07
BR9909317A (pt) 2000-11-21
KR100596684B1 (ko) 2006-07-20
EP1080514A1 (en) 2001-03-07
AU4175399A (en) 1999-10-18
CN1203572C (zh) 2005-05-25
IL138602A0 (en) 200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6684B1 (ko) 안테나수단과 그 제조방법 및 휴대용 무선통신장치
FI106895B (fi) Dielektrisen levyn ja heliksiantennin yhdistetty rakenne
US20030117325A1 (en) Dual band spiral-shaped antenna
SE511900E (sv) Antennanordning, en metod för dess framställning och en handhållen radiokommunikationsanordning
RU2225057C2 (ru) Ант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излучающие элементы с емкостной связью, и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радиосвязи для такой антенной системы
US6448934B1 (en) Multi band antenna
KR100221741B1 (ko) 나선형 1차 방사기 및 그것을 구비한 컨버터
EP1069647B1 (en) Antenna having a helical antenna element extending along a cylindrical flexible substrate
US6798388B2 (en) Stubby, multi-band, antenna having a large-diameter high frequency radiating/receiving element surrounding a small-diameter low frequency radiating/receiving element
JP4469530B2 (ja) フレキシブルなアンテナ放射器
EP1267439B1 (en) Multiple frequency bands antenna using two concentric interleaved antennas, the external one being a meander line antenna
JPH08288722A (ja) 多重アーム・アンテナ素子を収容するレドームおよびその方法
JP2004056559A (ja) デュアルバンドアンテナ
US6232930B1 (en) Dual band antenna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220784Y1 (ko) 이중 코일을 이용한 광대역 헬리컬 안테나
US20020190917A1 (en) Helical antenna
US20030088968A1 (en) Helical antenna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1998048474A1 (en) An antenna device
CN210468088U (zh) 辐射器支座、辐射器和基站天线
JP4629879B2 (ja) ホイップアンテナ及びその製造方法
JP4199389B2 (ja) 携帯無線機用アンテナ
WO2000011750A1 (en) Helical antenna assembly and tool for assembling same
JP3030860B2 (ja) 平面アンテナ
JPH1056311A (ja) アンテナ
KR200228973Y1 (ko) 용량성 결합 헬리컬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