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1203A - 습윤응답성섬유, 그의 제조방법, 부직포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습윤응답성섬유, 그의 제조방법, 부직포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1203A
KR20010041203A KR1020007009281A KR20007009281A KR20010041203A KR 20010041203 A KR20010041203 A KR 20010041203A KR 1020007009281 A KR1020007009281 A KR 1020007009281A KR 20007009281 A KR20007009281 A KR 20007009281A KR 20010041203 A KR20010041203 A KR 20010041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nonwoven fabric
group
anionic
cati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3420B1 (ko
Inventor
오무라이사오
이노우에오사무
코제키토모키
Original Assignee
나까다 요이치
피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오 후루에
토호 레이온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3154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343361B2/ja
Application filed by 나까다 요이치, 피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오 후루에, 토호 레이온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까다 요이치
Publication of KR20010041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1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4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2Compostable, hydrosoluble or hydrodegradable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2/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Manufacture thereof
    • D01F2/0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Manufacture thereof from viscose
    • D01F2/08Composition of the spinning solution or the bath
    • D01F2/10Addition to the spinning solution or spinning bath of substances which exert their effect equally well in eith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D04H1/4258Regenerated cellulos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25Composite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5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96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stated to have specific attributes [e.g., heat or fire resistance, chemical or solvent resistance, high absorption for aqueous compositions, water solubility, heat shrinkability,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습윤응답성 섬유는 필요에 의해 기재 수지, 음이온성기를 지닌 수지 및 양이온성기를 지닌 수지 등으로 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모노필라멘트를 지님을 특징으로하고, 이 섬유는 필요에 의해 기재 수지, 음이온성기를 지닌 수지 및 양이온성기를 지닌 수지 등으로 된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련시킨후, 방사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부직포는 양이온성 수지와 음이온성 수지, 필요시 재생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로부터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부직포는 체액 흡수체, 습윤 티슈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부직포는 수처리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습윤응답성섬유, 그의 제조방법, 부직포 및 그의 용도{Wet-responsive fiber,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nonwoven fabrics and used thereof}
종래로부터 간호용품, 유아용품, 생리용품, 기저귀, 청결포(cleaning cloths)등(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위생용품」이라고 기재한다)에는 포(布)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들어 포를 대체하는 종이, 부직포가 사용되는 것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종이, 부직포 등으로 된 상기 위생용품은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하고 대단히 편리하기 때문에 앞으로 점차적으로 이의 수요 증대가 예상된다.
이러한 위생용품에는 예를 들면 오줌 등의 수분을 양호하게 흡수하는 것이 필요하고, 따라서 이 위생용품으로서 사용하는 종이, 부직포류는 수분을 함유하고도 종이, 부직포류의 형태가 유지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 이 위생용품은 내수성(water resistance)을 갖는 종이, 부직포류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이 위생용품은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이것을 사용한 후에 수세 토일렛 (toilet)에 흘려 처리할 수 없고, 일반 쓰레기로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한번 사용된 위생용품은 오물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후에는 가능하면 빨리 처리하는 것이 요청된다. 이 사용후의 위생용품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수세 토일렛에 흘려 처리하는 것은 대단히 바람직한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한 것처럼 위생용품은 사용하는 단계에는 내수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된 후의 위생용품도 당연히 우수한 내수성을 지니고 있고, 이 우수한 내수성을 지닌 위생용품을 수세 토일렛에 흘려 처리할 수는 없다. 이처럼 위생용품에 있어서 사용시에 필요로 하는 내수성과 사용후에 요구되는 섬유의 분해성(말하자면 물분해성)과 같은 상반하는 특성이 필요하고, 이와 같은 두가지 특성을 지닌 위생용품의 제조는 대단히 어려운 것이다.
일본 특개평4(1992)-216889호 공보에는 깨끗한 물 및 체액에 대해서는 용해성을 갖지 않고 오염된 물에 대해서는 용해가 되는 물분해성의 부직포 및 바인더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조성의 바인더가 개시되어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과 그의 무수물, 가교성 단량체와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평균 분자량 5,000∼10,000의 공중합체로서 카르복실기를 1가의 알칼리로 중화시킨 바인더이다.
여기에서 가교성 불포화 단량체는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마이드 또는 그의 에테르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바인더는 카르복실기가 1가의 알칼리에서 중화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 1가 알칼리 성분은 섬유가 물을 함유할 때 해리되고, 이 해리된 1가 알칼리 성분은 피부에 대한 자극성을 지니는 것이다. 한편, 오염된 물에 대한 분해를 가능케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중합체의 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형성된 가교구조의 양 및 구조가 매우 중요한 요소이고, 이 수지의 용해성을 제어하기 위한 가교구조의 형성은 대단히 어려운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습윤시에 있어서 충분한 인장강도(tensil strength)를 유지하고, 물 흐름(stream of water)으로 분해되어 용해 분산하는 성질을 지닌 습윤응답성 부직포의 형성에 사용되는 습윤응답성 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와 같은 습윤응답성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습윤시에 있어서 충분한 인장강도를 유지하고 물 흐름 중에서 분해되어 용해 분산하는 성질을 지닌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와 같은 성질을 지닌 부직포를 사용하여 흡수층을 지닌 체액 흡수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성질을 지닌 부직포를 사용하는 습윤 티슈(wet tissue)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습윤응답성 섬유는 음이온성기를 지닌 수지와 양이온성기를 지닌 수지로 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모노필라멘트를 지님을 특징으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수지는 상기 음이온성기를 지닌 수지 1∼80 중량%, 상기 양이온성기를 지닌 수지 1∼8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습윤응답성 섬유는 이온성을 지니지 않는 기재 수지와 음이온성기를 지닌 수지, 양이온성기를 지닌 수지 등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모노필라멘트를 지님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습윤응답성 섬유에 있어서 상기 기재 수지가 20∼95 중량%, 상기 음이온성기를 지닌 수지가 1∼79 중량%, 상기 양이온성기를 지닌 수지가 1∼79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재 수지는 비스코스 레이온, 폴리노직 레이온(polynosic rayon), 쿠프라(cupra) 또는 사포닌화된 아세테이트(saponified acetate)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이온성기를 지닌 수지는 폴리아크릴산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스타치, 알긴산, 크산탄 검(xanthane gum) 또는 폴리메타크릴산염 등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양이온성기를 지닌 수지는 카시온화 셀룰로오스(cationized cellulose), 카시온화 스타치, 카시온화 시아모포시스 검(cationized cyamoposis gum), 카시온화 덱스트린 또는 폴리(디메틸메틸렌피페리디니움 클로라이드)가 바람직하다.
상기의 섬유를 사용한 본 발명의 습윤응답성 섬유의 제조 방법은 음이온성기를 지닌 수지와 양이온성기를 지닌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련시킨후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습윤응답성 섬유의 제조 방법은 기재 수지와 음이온성기를 지닌 수지, 양이온성기를 지닌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련시킨후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발명에 의하면 음이온성기를 지닌 수지와 양이온성기를 지닌 수지, 필요에 의해 기재 수지의 혼합물을 용융 혼련시킨 수지 조성물을 형성하고, 이 조성물을 방사시켜 습윤응답성 섬유를 수득하고, 수득된 섬유는 모노필라멘트 중에 음이온성기와 양이온성기를 지닌다.
따라서 모노필라멘트 중의 기재 수지의 유무와 관계없이 종래에 있어서 부직포 형성에 사용되어진 것처럼 물을 함유할 때 1가 알칼리 성분이 해리하는 특수한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고도 부직포 형성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부직포는 양이온성 수지와 음이온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로부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부직포는 재생 셀룰로오스와 양이온성 수지 및 음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로부터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재생 셀룰로오스, 양이온성 수지와 음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 및 물비분해성 단섬유(a water-indecomposable short fiber)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부직포가 재생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섬유로부터 구성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재생 셀룰로오스는 20∼98 중량%, 상기 양이온성 수지가 1∼79 중량%, 상기 음이온성 수지가 1∼79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부직포가 재생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섬유로부터 구성된 경우에 있어서, 이 재생 셀룰로오스는 비스코스 레이온, 폴리노직 레이온(polynosic rayon), 쿠프라(cupra) 또는 사포닌화된 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온성 수지는 카시온화 셀룰로오스, 카시온화 스타치, 카시온화 시아모포시스 검(cationized cyamoposis gum), 카시온화 덱스트린 또는 폴리(디메틸메틸렌피페리디니움 클로라이드)가 바람직하다.
상기 음이온성 수지는 폴리아크릴산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스타치, 알긴산, 크산탄 검(xanthane gum) 또는 폴리메타크릴산염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양이온성 수지 및 음이온성 수지는 수용성 고분자이고 더욱이 수용성 고분자와 재생 셀룰로오스로부터 형성된 수지 조성물로부터 섬유가 형성되고, 이 섬유를 사용하여 부직포가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에 있어서 부직포 형성에 사용된 바와 같은 물을 포함하는 경우에 1가의 알칼리 성분이 해리하는 특수한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고도 부직포에 물 용해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부직포는 습윤시 충분한 인장강도를 유지하고 또한 물 흐름 중에 노출하는 것과 같은 다량의 수분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분해되어 용해 분산된다.
한편, 본 발명의 체액 흡수체는 (a) 양이온성 수지와 음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로부터 구성된 부직포, (b) 재생 셀룰로오스와 양이온성 수지 및 음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로부터 구성된 부직포, 및 (c) 재생 셀룰로오스와 양이온성 수지 및 음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 및 물비분해성 단섬유로부터 구성된 부직포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 이상의 부직포로 된 흡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상기 부직포를 사용하여 체액 흡수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 부직포가 습윤시에도 충분한 인장강도를 유지하고 또한 물 흐름 등으로 분해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체액 흡수체는 사용후 용이하게 폐기 처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체액 흡수체를 종종 위생용품에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습윤 티슈(wet tissue)는 (a) 양이온성 수지와 음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로부터 구성된 부직포, (b) 재생 셀룰로오스와 양이온성 수지 및 음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로부터 구성된 부직포, 및 (c) 재생 셀룰로오스와 양이온성 수지 및 음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 및 물비분해성 단섬유로부터 구성된 부직포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 이상의 부직포와 본 부직포에 함침되어 있는 액제(liquid agent)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습윤 티슈는 액제가 함침된 습윤시에도 충분한 인장강도를 지니고 또한 다량의 물을 접촉하는 것에 의해 분해하는 것으로 이 습윤 티슈는 사용후 용이하게 폐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습윤시에 있어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고, 과잉의 물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교반 등의 외부 스트레스를 부여하는 것에 의해 분해되어 수용성 매체에 분산되는 것이 가능한 부직포(nonwoven fabrics)를 제조하기 위한 습윤응답성 섬유(wet-responsive fiber), 그 습윤응답성 섬유의 제조 방법, 그 섬유를 사용하여 형성된 부직포 및 이 부직포를 이용한 체액 흡수체(body fluid absorbers)와 같은 그 부직포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포장 습윤 티슈의 구체예를 표시한 설명도로서 개부(蓋部) (a), 포장 습윤 티슈 (b) 및 용기 본체 (c)를 나타낸다.
도 2는 습윤 티슈의 접어 놓은 방법을 구체적으로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절취선을 지닌 습윤 티슈를 표시한 설명도이다.
도 4는 키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키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키트의 또다른 구체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저항격벽의 또다른 구체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포장 습윤 티슈의 개봉부위의 또다른 구체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난 저항격벽의 상세 평면도이다.
도 10은 저항격벽의 종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습윤응답성 섬유, 그 습윤응답성 섬유의 제조방법, 그 섬유를 사용하여 형성된 부직포, 체액 흡수체, 습윤 티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습윤응답성 섬유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습윤응답성 섬유는 (A) 음이온성기를 지닌 수지와 양이온성기를 지닌 수지 등으로 된 수용성 고분자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모노필라멘트를 지니는 섬유, 또는 (B) 이 수용성 고분자(즉 음이온성기를 지닌 수지와 양이온성기를 지닌 수지 등으로 된 수용성 고분자)와 기재 수지와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모노필라멘트를 지니는 섬유인 것이다. 여기서 「수용성 고분자」는 물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분해하는 성질을 지닌 물질을 말한다.
전자(A) 및 후자(B)의 섬유는 양자 모두 이와 같은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모노필라멘트를 지닌 것으로, 물과 접촉할 때 성질을 변화시키는 「습윤응답성」을 지닌다.
여기서 습윤시에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고, 과잉의 물을 함유하고 용해 분산하는 성질을 지니기 위해서는 전자(A)의 섬유는 상기 음이온성기를 지닌 수지를 1∼80 중량%, 상기 양이온성기를 지닌 수지를 1∼80 중량%의 양을 함유한다.
한편, 후자(B)의 섬유는 각 성분의 합계를 100 중량%로 할 때, 상기 기재 수지를 20∼95 중량%, 바람직하게는 30∼8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80 중량%, 특히 더욱 바람직하게는 70∼80 중량%의 양을 함유하는 것이고, 음이온성 수지를 1∼79 중량%, 바람직하게는 5∼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0 중량%, 특히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0 중량%를 함유하고, 양이온성 수지를 1∼79 중량%, 바람직하게는 5∼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0 중량%, 특히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습윤응답성 섬유는 본 발명의 목적 효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한 성분 이외에 제3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의 성분의 함유량은 80 중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이다.
이와 같이 각 성분이 상기한 범위의 양으로 함유하는 섬유는 섬유의 습윤응답성이 양호하다. 즉 습윤시에 인장강도를 유지하는 것과 물에 녹는 성질이 발현하는 것의 발란스가 양호한 것이다.
상기 섬유는 예를 들면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전자(A)의 습윤응답성 섬유는 1 중량% 정도의 폴리아크릴산을 함유하는 50% 알코올 용액(예; 에탄올 용액)과 1 중량% 정도의 카시온화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50% 알코올 용액(예; 에탄올 용액)을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 용액을 방사공으로부터 압출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한편, 후자(B)의 습윤응답성 섬유는 펄프를 수산화 나트륨 용액에 침적시켜 알칼리 셀룰로오스로 변화시키고 숙성시킨후 이황화탄소를 가하여 황화(sulfidizing)시키고 얻어진 셀룰로오스 크산탄산 나트륨을 용해시켜 방사 원액을 제조하고, 이 방사 원액에 카시온화 셀룰로오스 수용액 및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여 혼합시키고 이 혼합액을 방사공으로부터 응고액 중에 압출시켜 방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습윤응답성 섬유의 길이는 통상 2mm 이상, 바람직하게는 20∼10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0∼80mm이다.
여기서 전자(A) 및 (B)의 습윤응답성 섬유를 구성하는 상기 음이온성기를 지닌 수지의 예로서는, 폴리아크릴산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스타치, 폴리알긴산, 크산탄 검, 폴리메타크릴산염 등을 열거할 수 있다. 그 중에도 폴리아크릴산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스타치가 위생성, 안전성, 물분해성 등의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이온성기를 지닌 수지의 예로서는, 카시온화 셀룰로오스, 카시온화 스타치, 카시온화 시아모포시스 검(cationized cyamoposis gum), 카시온화 덱스트린, 폴리(디메틸메틸렌피페리디니움 클로라이드) 등을 열거할 수 있다. 그 중에도 카시온화 셀룰로오스, 카시온화 스타치가 위생성, 안전성, 물분해성 등의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후자(B)의 습윤응답성 섬유를 구성하는 이온을 지니지 않는 기재 수지의 예로서는, 비스코스 레이온, 폴리노직 레이온, 쿠프라(cupra) 또는 사포닌화된 아세테이트 등을 열거 할 수 있다. 그 중에도 비스코스 레이온, 폴리노직 레이온, 쿠프라(cupra)가 위생성, 안전성, 물분해성 등의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전자(A) 및 (B)의 습윤응답성 섬유에 함유하는 것이 가능한 제3성분의 예로서는, 펄프, 코튼(cotton), 마(ramie), 폴리에스테르 섬유등을 열거할 수 있다.
상기 습윤응답성 섬유는 물분해성을 지닌 부직포를 형성하는 것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섬유를 부직포에 가공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물분해성을 발현시키기 위해 섬유에 교락(交絡)을 형성시키거나 접착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이 방법의 예로서는, 습식법, 습식 스펀 레이싱(spun lacing), 건식 스펀 레이싱, 니들 펀칭(needle punching), 케미칼 본딩 및 서멀 본딩(thermal bonding)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부직포는 습윤시에 있어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고 과잉의 물을 함유한 경우에 물분해성을 나타낸다. 더욱이 종래에 사용된 물 함유시에 1가 알칼리 성분을 해리시키는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고 부직포를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직접 피부에 밀착시켜도 피부 자극을 유발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이 부직포는 생리용품 등의 위생용품의 흡수층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
이 부직포에 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충분한 물분해성을 지닌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분해성」은 이 정도의 수분을 포함하는 경우에 분해되어 물에 분산하는 성질을 말한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양이온성 수지와 음이온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이 수지 조성물은 보통 기재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에 있어서 기재 수지의 예로는, 상기 예시한 비스코스 레이온, 폴리노직 레이온, 쿠프라(cupra), 사포닌화된 아세테이트 외에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마이드, 셀룰로오스 및 재생 셀룰로오스 등을 들수 있다. 이 수지는 단독 또는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기재 수지는 섬유를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 100 중량% 중에 통상은 1∼99 중량%, 바람직하게는 10∼95 중량%의 양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는 기재 수지로서 재생 셀룰로오스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최적의 부직포는 재생 셀룰로오스, 양이온성 수지 및 음이온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로부터 구성된 것이다. 이하 바람직한 부직포에 있어서 상술한다.
본 발명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기재 수지로서 재생 셀룰로오스와 후술하는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진다. 여기서 「수용성 고분자」는 물에 접촉할 때 팽윤되어 용해하는 성질을 지닌 물질을 말한다.
이와 같은 수용성 고분자와 재생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섬유를 사용한 부직포를 형성함으로서 이 부직포에 종래에 사용되었던 특수한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고도 물 속에서 교반하는 등 자극을 받을 경우에 물분해성이 발현하는 「자극응답 물분해성(습윤응답 물분해성)」을 지니는 것이다.
이 자극응답 물분해성을 지닌 부직포는 이 부직포를 형성하는 섬유의 형성 수지 성분의 합계를 100 중량%로 할 경우, 상기 재생 셀룰로오스가 통상은 20∼98 중량%, 바람직하게는 20∼9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85 중량%, 특히 더욱바람직하게는 50∼80 중량%, 최고로 바람직하게는 70∼80 중량%의 양을 함유하고 또한 상기 수용성 고분자를 통상은 2∼80 중량%, 바람직하게는 5∼8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70 중량%, 특히 더욱 바람직하게는 20∼50 중량%, 최고로 바람직하게는 20∼30 중량%의 양을 함유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수용성 고분자에 있어서는 양이온성 수지는 통상은 1∼79 중량%, 바람직하게는 2∼6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중량%를 함유하고, 또한 음이온성 수지가 1∼79 중량%, 바람직하게는 2∼6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3∼48 중량%를 함유하고 있다.
재생 셀룰로오스 및 수용성 고분자(즉 양이온성 수지 및 음이온성 수지)가 상기 범위에 있는 경우 부직포의 자극응답성이 양호하다. 또한 인장강도를 유지하는 것과 물분해성을 발현하는 것과의 발란스가 양호하다.
한편, 상기 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수용성 고분자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섬유간에 발생하는 스티킹(sticking)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고, 종래와 동일한 섬유, 부직포 제조 설비를 사용할 수 있는 점에서 공업적으로 유용한 것이다. 더욱 수율이 향상되고 제조 코스트상에도 메리트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이 섬유를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 효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기재 수지 (바람직하게는 재생 셀룰로오스) 및 수용성 고분자 이외의 제3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고, 이 함유량은 8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부직포를 제조하는 것은 예를 들면 위에서 기술한 방법으로 섬유를 제조하고, 이 섬유를 사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한다.
즉 펄프를 수산화 나트륨 용액에 침적시켜 알칼리 셀룰로오스로 변화시키고 숙성시킨후 이황화탄소를 가하여 황화시키고 얻어진 셀룰로오스 크산탄산 나트륨을 용해시켜 방사 원액을 제조하고, 이 방사 원액에 카시온화 셀룰로오스 수용액 및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여 혼합시키고 이 혼합액을 방사공으로부터 응고액중에 압출시켜 방사한다.
이와 같은 섬유의 길이는 통상 2mm 이상, 바람직하게는 20∼10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0∼80mm이다.
상기 섬유를 사용하여 물분해성을 유지하는 교락(交絡)을 형성시키거나 접착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의 부직포를 제조한다. 그 방법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습식법, 습식 스펀 레이싱(spun lacing), 건식 스펀 레이싱, 니들 펀칭(needle punching), 케미칼 본딩 및 서멀 본딩(thermal bonding) 등의 어느것도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앞에서 기술한 것처럼 화학적 바인더를 사용하는 것은 위생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부직포의 가공 방법은 스펀 레이싱 및 니들 펀칭 방법이다.
여기서 상기 재생 셀룰로오스로서는 비스코스 레이온, 폴리노직 레이온, 쿠프라(cupra) 또는 사포닌화된 아세테이트 등을 열거 할 수 있다. 그 중에도 비스코스 레이온, 폴리노직 레이온, 쿠프라(cupra)가 위생성, 안전성, 물분해성 등의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이 재생 셀룰로오스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양이온성기를 지닌 수지의 예로서는, 카시온화 셀룰로오스, 카시온화 스타치, 카시온화 시아모포시스 검(cationized cyamoposis gum), 카시온화 덱스트린, 폴리(디메틸메틸렌피페리디니움 클로라이드) 등을 열거할 수 있다. 그 중에도 카시온화 셀룰로오스, 카시온화 스타치가 위생성, 안전성, 물분해성 등의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이 양이온성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음이온성 수지의 예로서는, 폴리아크릴산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스타치, 폴리알긴산, 크산탄 검, 폴리메타크릴산염 등을 열거할 수 있다. 그 중에도 폴리아크릴산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스타치가 위생성, 안전성, 물분해성 등의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이 음이온성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부직포의 제조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제3성분의 예로는, 펄프, 레이온, 폴리프로필렌 열융착섬유, 코튼(cotton), 마(ramie),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를 형성하는 물분해성 섬유는 웹(web)을 형성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재생 셀룰로오스와 양이온성 수지 및 음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섬유(물분해성 섬유나 습윤응답성 섬유)를 제조하고, 이 섬유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고, 더욱이 이 물분해성 섬유에 물비분해성 단섬유를 가하여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부직포는 재생 셀룰로오스, 양이온성 수지와 음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 및 물비분해성 단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물비분해성 단섬유는 그 자체로는 물에 용해되지 않고 안정하게 분산되지 않는 수지 단섬유이고, 이러한 단섬유의 예로는 펄프 섬유,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예를 들면 비스코스 레이온, 폴리노직 레이온, 쿠프라, 사포닌화 아세테이트), 폴리아마이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크릴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등의 합성 섬유, 천연 섬유 및 재생 섬유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상기한 물비분해성 단섬유 중에도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재생 셀룰로오스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부직포의 사용으로 그 촉감이 현저히 개선되고, 또한 흡수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사용하는 물비분해성 단섬유는 본 발명의 부직포에 함유한 물분해성을 손상하지 않기 위해 복잡한 교락 형성을 위한 적당한 길이를 지닌 것이다. 이처럼 물비분해성 단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80mm 미만, 바람직하게는 40mm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0mm 미만이다. 이와 같이 물비분해성 단섬유를 물분해성 섬유에 혼합시켜 부직포를 제조한 부직포에 있어서, 이 부직포가 양호한 물분해성을 유지하기 위해 물비분해성 단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가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물비분해성 단섬유의 평균 섬유길이 하한치는 부직포를 부직포 제조시 물비분해성 단섬유가 유출되지 않는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고, 부직포의 제조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통상의 하한치는 0.1mm 바람직하게는 0.5mm 정도이다. 이와 같은 물비분해성 섬유는 물분해성 섬유와 같이 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부직포에 있어서 물분해성 섬유와 물비분해성 섬유는 통상은 1 : 99 ∼ 99 : 1의 범위의 양이고, 바람직하게는 30 : 70 ∼ 70 : 30 범위의 양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즉 물분해성 섬유와 물비분해성 섬유를 상기의 양으로 혼합시켜 상술한 습식법, 습식 스펀 레이싱, 건식 스펀 레이싱, 니들 펀칭, 케미칼 본딩 및 서멀 본딩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건식 스펀 레이싱 또는 니들 펀칭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직포는, 물비분해성 섬유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물분해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얻어진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무게는 통상은 20∼60g/m2의 범위이고, 또한 두께는 통상은 0.1∼0.6mm의 범위 안에 있다. 또한 이 부직포는 습윤시에 있어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고, 과잉의 물속에서 교반시에는 물분해성을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의 부직포는 과량의 물과 접촉에 따라 물분해성을 나타내는 바, 특히 알칼리성 수용액 중에서 대단히 우수한 물분해성을 나타낸다. 더욱이 종래에 사용된 물 함유시에 1가 알칼리 성분을 해리시키는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는 부직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직접 피부에 밀착시켜도 피부에 어떠한 피부 자극을 유발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이 부직포는 종이 기저귀, 요수취 패드, 생리용품 등의 위생용품의 흡수층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체액 흡수체는 상기 부직포를 흡수층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a) 양이온성 수지와 음이온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로부터 구성된 부직포 (b) 재생 셀룰로오스와 양이온성 수지 및 음이온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로부터 구성된 부직포, 및 (c) 재생 셀룰로오스와 양이온성 수지 및 음이온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와 물비분해성 단섬유로부터 구성된 부직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최소 1종 이상의 부직포로부터 된 흡수층을 지니고 있다.
이 체액 흡수체는 상기한 것처럼 통상 다량의 물을 접촉하는 것에 의해 붕괴하는 본 발명의 부직포 흡수층을 지니고 있다. 이 체액 흡수체에는 흡수된 수분이 누출되지 않도록 맨 바깥층에 수분 비투과층(백 쉬트)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흡수된 수분의 역루를 방지하기 위해서 표면층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흡수층 내에는 고분자 흡수제와 같은 높은 물 흡수성 재료를 본 발명의 부직포가 물분해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체액 흡수체는 사용후 물분해성을 지닌 흡수층을 형성하는 부직포를 물비분해성인 백 쉬트로부터 분리시키고, 이 분리된 흡수층을 물에 흘려 붕괴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체액 흡수체는 상기 부직포를 사용하여 상기 흡수층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 부직포를 형성하는 경우에 알칼리 성분을 함유하는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고, 물 함유시에 1가 알칼리 성분을 해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시에 상기 흡수층이 피부에 직접 접촉되어도 알칼리 성분에 의한 피부의 자극은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흡수층을 구성하는 부직포가 상술한 자극응답 물분해성을 지니기 때문에, 흡수층은 배설물, 분비물 등의 흡수시에는 어느 정도 인장강도를 유지하지만, 물 흐름에 노출되어 자극시키면 분해되어 섬유의 상태로 분산한다. 이런 이유로 체액 흡수체를 사용한 직후에 흡수층을 분리시켜 이 흡수층을 수세 토일렛 등으로 직접 방류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후에 체액 흡수체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습윤 티슈는 (a) 양이온성 수지와 음이온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로부터 구성된 부직포 (b) 재생 셀룰로오스와 양이온성 수지 및 음이온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로부터 구성된 부직포, 및 (c) 재생 셀룰로오스와 양이온성 수지 및 음이온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와 물비분해성 단섬유로부터 구성된 부직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최소 1종 이상의 부직포와 당 부직포에 함침되어 있는 액제로 되어있다.
즉 상기 부직포는 소량의 물과 접촉시에는 부직포로서의 형태가 손상되지 않고 다량의 물과 접촉에 의해 용이하게 붕괴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부직포에 대하여 통상 1∼5배(중량)의 액제를 함침시킨것에 의한 습윤 티슈인 것이다. 여기에 사용되는 액제로서는 물, 물·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더욱이 이 액제에는 방부제 (예: 안식향산 나트륨 등의 방향족 방부제 등), 보습제(예: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알코올 등), 계면활성제, 향료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습윤 티슈는 물 불투과성의 포장재에 봉입하여 공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습윤 티슈는 자기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용기와 포장백에 봉입하여 액제를 함침한 부직포 등을 고정 설치한 형태인 습윤 티슈 공급 키트가 바람직하다.
이 고정 설치한 형태의 습윤 티슈 공급 키트에 있어서는 더욱 상세히 기재하는 바, 이 고정 설치한 형태의 습윤 티슈 공급 키트는 (ⅰ) 용기는 습윤 티슈의 포장백을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을 지닌 수용부(收容部), 당 수용부속의 포장백을 대체할 경우 열고 닫을 수 있는 개부(蓋部), 습윤 티슈를 한 장씩 용기 외부에 꺼낼 수 있는 개폐가능한 개구부(開口部), 및 상기 수용부와 개구부 간에 설치된 습윤 티슈를 꺼내는 것을 저항하는 취출구(取出口)를 설치한 저항격벽(抵抗隔璧)을 지니고, (ⅱ) 포장 습윤 티슈는 들어있는 습윤 티슈를 각각 서로 겹치게 하고 차곡차곡 쌓아 습윤 티슈를 꺼낼 수 있는 취출구(取出口)를 지닌다.
한편, 이 키트는 상기 (ⅱ)의 포장 습윤 티슈를 대체하여 수납된 습윤 티슈의 각각이 절취선을 지녀 배열되고 습윤 티슈를 연속적으로 취출할 수 있는 취출구를 지닌 포장 습윤 티슈로 대체할 수 있다.
이 습윤 티슈 공급 키트는 습윤 티슈 포장백의 취출구를 점착시킨 실링부재를 박리시켜 제거하는 것에 의해 문을 열게하고 이렇에 용기에 수용한다. 습윤 티슈는 밀폐된 용기의 개구부로부터 그의 접히지 않은 형태로 순차적으로 한 개씩 필요에 따라 연속적으로 꺼내 쓸 수 있다.
도 1은 이 키트의 구체적인 예를 표시한 설명도이다. 도 1 (a)는 본 발명의 습윤 티슈를 이용하는 키트 용기의 개부, (b)는 포장 습윤 티슈, (c)는 용기 본체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습윤 티슈를 이용하는 키트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부를 밀폐시킨 용기(1)과 상기 부직포에 액제를 함침시킨 물 불투과성 포장백에 봉입시킨 포장 습윤 티슈(2) 등으로 되어있다.
(ⅰ) 용기
이 키트를 형성하는 용기(1)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를 이루고, 용기 자체적으로 자기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료로 되어있다. 이와 같은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로서 비교적 단단하고 약간의 유연성을 지닌 성형용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용기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상기 합성 수지외에 금속판 또는 종이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용기는 자신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연한 쉬트 등의 재료를 내부 또는 외부에 보강시켜 형상을 유지시킬 수도 있다.
이 용기(1)은 용기 본체(30) 및 이 용기 본체에 밀접하게 접착된 개부(10)로 되어있고, 용기 본체(30)는 상단부에 상기 개부(10)를 얹어 놓을 수 있는 수부(受部)(31)로 형성되어 있으며, 포장 습윤 티슈(2)를 넣을 수 있는 수용부(33)를 지닌다.
상기 개부(10)는 이 중앙에 습윤 티슈를 꺼낼 수 있는 직사각형의 개구부(11)를 지닌다. 이 개구부에는 한쪽 방향으로 돌릴 수 있는 개폐대(12)가 부착되어있다. 이 개폐대(12)는 개구부(11)로부터 액체 또는 기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긴밀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개부(10)의 내측 개구부(1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U자형 돌기(13)를 지닌 취출구(17)를 형성시킨 저항격벽(14)이 설치되고, 이에 의해 꺼내지는 습윤 티슈가 한 매씩 유지된다. 저항격벽(14)과 개부(10) 상면의 개구부(11) 사이에는 공간(15)이 형성되고 저항격벽(14)에 보지된 습윤 티슈의 선단부가 체류한다. 또한 저항격벽은 습윤 티슈를 꺼내는데 대하여 저항하는 것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구체예로는 U자형 돌기(13)의 탄성에 기하여 저항되고 한 매의 습윤 티슈에 겹쳐서 꺼내지지 않도록 습윤 티슈를 유지시킨다.
(ⅱ) 포장 습윤 티슈
포장 습윤 티슈(2)에 충질된 부직포는 상기 부직포에 액제를 함침시킨 것이다. 이 부직포는 상술한 것처럼 소량의 수분에 의해 붕괴되지는 않으나 한편, 다량의 수분과 접촉시 바람직하게는 교반, 물 흐름 등의 외부 응력의 부여에 따라 붕괴하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특성은 종래의 건조 상태에서 사용한 티슈 페이퍼, 포켓 티슈와는 다른 특성을 지니는 것이다. 즉 종래의 건조 상태에서 사용된 티슈 페이퍼는 습윤시에 그 인장강도가 현저히 낮아지고 또한 액제와 접촉하면 수시간내에 붕괴하여 각각 낱장으로 분리하여 꺼내는 것이 어려웠던 것이다.
포장백(22)에 봉입된 습윤 티슈는 부직포의 각각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한다. 한 매의 티슈 페이퍼를 저항격벽을 통해 용기(1)의 개구부(11)로부터 꺼낼 때 그 다음 장이 저항격벽에 의해 보지되어 그 다음에 사용하도록 준비된다. 이와 같이 연속적으로 습윤 티슈를 꺼낼 때에는 드라이 타입 티슈 페이퍼와는 달리 한 매와 두 번째 매가 겹치는 티슈의 면적은 티슈 면적의 1/2 이하, 바람직하게는 1/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이다. 바람직하게 겹치는 구체예로서는 도 2에 표시한 것과 같은 겹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한편, 겹쳐지는 각각의 면간에 마찰력을 각종의 수단에 의해 조정하여 최소화하고, 드라이 티슈의 경우와 같이 겹치는 부분의 면적을 1/2 정도로 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부직포에 크레핑 가공, 엠보싱 가공 등을 행하여 요철을 설치하고 습윤 티슈간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더욱이 습윤 티슈의 수분율을 낮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도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는, 도 3 (a) 및 (b)에 나타난 것처럼 포장백에 봉입한 습윤 티슈(21)의 각각에 절취선을 넣을 수 있다. 이 습윤 티슈에는 한 매분의 티슈 페이퍼를 저항격벽을 통해 용기(1)의 개구부(11)로부터 꺼내고 계속되는 부분은 저항격벽에 보지된 절취선(27)에 의해 찢어지고 그 다음 경우에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절취선에 의해 연속적으로 습윤 티슈를 꺼내기 위해서는 한 매씩 꺼낼 때 도 3 (b)에 나타난 것처럼 절취선(27)의 잘린 부분(28)(cut portion)이 잘리지 않은 부분(29)(uncut portion)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습윤 티슈에 사용되는 재료로는 비교적 인장강도가 크기 때문에 각 장을 자르기 위한 필요한 힘을 조정하여야 한다. 예를들면 컷트 부분(28)의 길이에 대해 언컷트 부분(29)의 길이는 1/5 이하,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정도이다.
습윤 티슈의 포장백(22)은 습윤 티슈를 함침한 액체을 투과하지 않고, 또한 잡균의 침입을 방지하는 플라스틱 필름, 아미네이트 필름과 같은 유연한 포장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백(22)의 상면에는 사용하기에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절취선, 하프 컷트(half cut) 등의 편리한 방법에 의해 절개선(23)을 입힌 취출구(24)가 설치되어 있으며, 다른 면(裏面)에 점착제(감압 접착제)(25)를 도포시킨 실링부재(26)가 이 취출구(24)를 덮고 밀착 고정시킨다. 또한 실링부재(26)에 도포된 점착제는 습윤 티슈 공급 키트 고정 설치형이며, 용기에 수용된 때에는 박리 제거시키기 때문에 이, 점착제는 재부착성(1회 박리후 다시 접착하는 것이 가능한 접착제의 성질)을 지니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사용시 이 실링부재(26)를 벗겨내고, 닫힌 루프의 절개선에 들어있는 취출구(24)의 부분 필름 단편이 실링부재(26)에 점착되어 제거되고 포장백의 출구가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포장백을 상기 수용본체(30)에 넣고 개부(10)를 닫은 후 한 매의 습윤 티슈(21)를 저항격벽(14)의 취출구(17)를 통해 사용한다.
또한 저항격벽의 구체적인 형태로서는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으나, 도 7, 도 10(a) ∼ (d)에 나타난 형태로서도 예시할 수 있는바, 재질, 재료두께, 형태 등의 선택에 의해 적정한 유연성과 강성을 지닌 저항돌기가 인출된 형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저항격벽은 도 7 및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취출구의 최대 길이(A)가 그것을 통과하는 습윤 티슈의 종이폭의 15∼99% 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대 길이가 이보다 짧은 경우에는 습윤 티슈를 꺼낼 수 없다. 또한 최대 길이가 이 상한보다 길 경우에는 습윤 티슈를 충분하게 보지할 수 없으며, 용기의 설계도 부적절하여 이물 혼입의 가능성이 높다.
한편, 취출구의 최소폭(B)은 1mm∼1cm가 바람직하고, 최소폭이 이보다 좁은 경우 습윤 티슈를 꺼내기가 불편하다. 한편, 최소폭이 이보다 넓은 경우 습윤 티슈를 보지하기가 곤란하다.
더욱이 저항격벽의 취출구의 최대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의 팽창부(18)의 폭은 상기 취출구(17)의 최대폭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취출구의 중앙부근에 팽창부(18)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습윤 티슈보다도 폭이 좁은 취출구(17)(폭 A)에 의해 습윤 티슈를 꺼내는 것이 가능하여 적당한 홀딩힘을 지니고 부드럽게 습윤 티슈를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키트 용기의 또다른 구체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구체예에서는 개부(10)는 용기본체(30)에 대해 회전하여 개폐 가능하게 붙어 있다. 한편, 저항격벽(14)은 중개(16)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중개(16)을 본체 내측에 설치한 중개수부(32)에 밀접히 붙어 있다. 더욱이 키트 용기에 있어서 포장백의 대체를 위해서 개부는 도 1,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은 용기의 윗부분 대신 아래부분, 옆부분에 설치할 수 있다.
도 8은 습윤 티슈의 포장백의 취출구의 또다른 구체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구체예에서는 횡장「H」자형의 절개선(23)을 형성시킨 취출구를 설계한다. 이 형상의 취출구는 절개된 쉬트의 단편보다 개구 면적이 적기 때문에 공기중의 균에 의한 2차 감염이나 액체 성분의 휘산이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형 습윤 티슈 공급 키트는 습윤 티슈의 보충, 대체 등이 극히 용이하고 위생적이다. 한편, 고정형이기 때문에 습윤 티슈를 한 매씩 사용할 수 있다. 펴지지 않은 상태로 필요한 매수의 티슈를 신속하게 꺼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직포는 습윤 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부직포는 포장백의 액제와 함께 포장되어 있는 형태로 물분해되는 것은 아니고, 한 매씩 용기로부터 꺼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량의 물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물분해하고 이 습윤 티슈의 사용후에는 수세 토일렛 등에 흘려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부직포를 이용한 습윤 티슈의 예로는 유아용 및 간호용 청신용품, 특히 유아용 엉덩이 클리너 및 토일렛 청소용품 등의 위생용품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습윤응답성 섬유에 의하면 습윤시 인장강도를 유지하는 것과 물분해성이 발현하는 것의 발란스가 양호한 습윤응답성 섬유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이 섬유의 사용을 통하여 습윤시에 충분한 인장강도를 유지하고 과잉의 물을 함유하는 때에는 분해되에 물에 대해 용해 분산하는 부직포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부직포에 의해서 종래에 있어서 부직포를 형성하는 때에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고도, 습윤시에 충분한 정도의 인장강도를 유지하고 더욱이 물 흐름 중에 노출하여 다량의 물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분해, 용해 분산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체액 흡수체에 있어서 흡수층을 구성하는 부직포를 형성하는 때에, 물을 함유시 1가 알칼리 성분을 해리하는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시 상기 흡수층을 직접 피부에 접촉하여도 피부에 아무런 자극을 주지 않는다.
한편, 상기 부직포가 자극응답 물분해성을 지니기 때문에 흡수층은 배설물, 분비물 등의 체액 흡수시에 어느정도 인장강도가 유지되고 물 흐름 등의 자극을 주었을 때 분해되어 섬유상태로 분산한다. 이런 까닭에 체액 흡수체를 사용한 후에 흡수층을 처리하기 위해 이 흡수층을 수성 토일렛 등에 직접 방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후에 체액 흡수체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습윤 티슈는 상기 부직포와 액제로 되어 있고, 액제가 함침된 상태로 포장백 속에 넣어 있기 때문에 꺼내기 위해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고 있고 포장 습윤 티슈를 용기에 넣어 한 매씩 꺼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렇게 사용한 후에 다량의 물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이 습윤 티슈는 물분해하므로 수세 토일렛 등에 흘려 처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기인하여 본 발명의 관한 부직포 및 이를 사용한 체액 흡수체의 바람직한 상태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비스코스 레이온 70 중량%,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15 중량%, 카시온화 셀룰로오스 15 중량%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섬유를 제조한다.
이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셀룰로오스 9.0 중량%, 알칼리 농도 5.7 중량%의 비스코스 70 중량부에 폴리아크릴산 나트륨과 카시온화 셀룰로오스의 혼합용액(폴리아크릴산 나트륨 4.5 중량%) 30 중량부를 가하여 교반시켜 충분히 혼합하고 분산시킨다. 그 후 통상의 방사 공정으로 3.0 데니어, 38mm 컷트 길이로된 섬유는 방사 공정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의 용출이 거의 검출되지 않는다. 이 섬유를 정련기에 통과시켜 탈황, 수세, 표백, 수세시킨 유제 부여후 건조시킨다.
얻어진 섬유에 있어서 측정된 건조시 및 습윤시(pH 변동)의 성질(강도 및 신도)를 표 1에 나타낸다.
건조시 강도(g/d) 습윤시 강도pH6(g/d) 습윤시 강도pH9(g/d) 습윤시 강도pH10(g/d)
2.12 1.02 0.88 0.80
건조시 신도(%) 습윤시 신도pH6(%) 습윤시 신도pH9(%) 습윤시 신도pH10(%)
14.5 29.6 28.0 21.5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섬유를 시험용 카드기로 웹을 형성시킬 때에 웹을 7 m/분의 속도로 이동시키면서 50 kg/cm2제트류로 교락 처리시킨다. 교락 처리된 웹을 건조시키고 목부(目付)가 40 g/cm2, 두께 0.35mm인 부직포를 제조한다.
이 부직포로부터 폭 50mm의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 시험편을 증류수(pH 약 5.5)에 10분간 침적시킨후 척(chuck) 간격이 100mm이고, 인장속도 300 mm/분으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신하여 최대 하중을 측정하고 이것을 각 방향의 인장강도로 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폭 50mm의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 시험편을 0.01 몰의 인산수소나트륨 용액 (pH 약 9.0)에 침적시킨후 같은 조건으로 최대 하중을 측정하여 종 및 횡방향의 인장강도를 얻는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한편, 용량 200 ml의 비이커에 증류수 (pH 약 5.5) 100 ml를 넣고, 그 중에 2 cm ×2 cm로 절출시킨 부직포를 넣은 후 마그네틱 교반기로 일정 회전 속도로 교반시킨다. 비이커 내부에 있어서 부직포의 분해 상태 및 분산 상태를 관찰하고 물분해성을 관찰한다.
이와는 별도로 용량 200 ml의 비이커에 0.01 몰 인산수소나트륨 용액(pH 약 9.0) 100 ml를 넣고 상기와 동일하게 절출시킨 2 cm ×2 cm의 시험편을 넣은 후 마그네틱 교반기로 일정 회전 속도로 2분간 교반시킨다. 비이커 내부에 있어서 부직포의 분해 상태 및 분산 상태를 관찰하고 물분해성을 관찰한다. 30초후에 물분해성을 나타낸다.
건조시인장강도(kgf/50mm) 증류수 침지후 인장강도(kgf/50mm) 알칼리수 침지후인장강도(kgf/50mm)
실시예 2 종방향 3.19 2.78 2.48
횡방향 1.07 0.84 0.61
(실시예 3)
비스코스 레이온 70 중량%,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15 중량%, 카시온화 셀룰로오스 15 중량%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섬유를 제조한다.
이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셀룰로오스 9.0 중량%, 알칼리 농도 5.7 중량%의 비스코스 70 중량부에 폴리아크릴산 나트륨과 카시온화 셀룰로오스의 혼합용액(폴리아크릴산 나트륨 4.5 중량%, 카신온화 셀룰로오스 4.5 중량%, 수산화 나트륨 0.5 중량%) 30 중량부를 가하여 교반시켜 충분히 혼합하고 분산시킨다. 그 후 통상의 방사 공정으로 3.0 데니어, 38mm 컷트 길이로된 섬유는 방사 공정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의 용출이 거의 검출되지 않는다. 이 섬유를 정련기에 통과시켜 탈황, 수세, 표백, 수세시킨 유제 부여후 건조시킨다.
이 섬유를 시험용 카드기로 웹을 형성시킬때에 웹을 6 m/분의 속도로 이동시키면서 25 kg/cm2고압물제트류로 교락 처리시킨다. 교락 처리된 웹을 건조시키고 목부(目付)가 25 g/cm2, 두께 0.26mm인 부직포를 제조한다.
이 부직포로부터 폭 50mm의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 시험편을 증류수(pH 약 5.5)에 10분간 침적시킨후 척(chuck) 간격이 100mm이고, 인장속도 300 mm/분으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신하여 최대 하중을 측정하고 이것을 각 방향의 인장강도로 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폭 50mm의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 시험편을 0.01 몰의 인산수소나트륨 용액(pH 약 9.0)에 침적시킨후 같은 조건으로 최대 하중을 측정하여 종 및 횡방향의 인장강도를 얻는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한편, 용량 200 ml의 비이커에 증류수(pH 약 5.5) 100 ml를 넣고, 그 중에 2 cm ×2 cm로 절출시킨 부직포를 넣은 후 마그네틱 교반기로 일정 회전 속도로 교반시킨다. 비이커 내부에 있어서 부직포의 분해 상태 및 분산 상태를 관찰하고 물분해성을 관찰한다.
이와는 별도로 용량 200 ml의 비이커에 0.01 몰 인산수소나트륨 용액(pH 약 9.0) 100 ml를 넣고 상기와 동일하게 절출시킨 2 cm ×2 cm의 시험편을 넣은 후 마그네틱 교반기로 일정 회전 속도로 교반시킨다. 비이커 내부에 있어서 부직포의 분해 상태 및 분산 상태를 관찰하고 물분해성을 관찰한다. 30초후에 물분해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 있어서 조성을 레이온 50 중량%,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25 중량%, 카시온화 셀룰로오스 25 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고 물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따라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증류수 중에서 2분후에 알칼리수 중에서 30초후에 물분해성을 나타내었다.
건조시인장강도(kgf/50mm) 증류수 침지후 인장강도(kgf/50mm) 알칼리수 침지후인장강도(kgf/50mm)
실시예 3 종방향 0.22 - -
횡방향 0.05 - -
실시예 4 종방향 4.65 1.16 0.38
횡방향 1.06 0.13 -
(실시예 5)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섬유 30 중량부와 펄프 70 중량부 (평균 섬유 길이: 10mm)를 혼합시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얻어지 부직포에 있어서 실시예 3과 동일하게 물분해성을 측정하였다. 이 부직포의 증류수 중에서 물분해 시간은 30초였다. 이 부직포의 건조시 인장강도, 증류수 침적후 인장강도를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건조시인장강도(kgf/50mm) 증류수 침지후 인장강도(kgf/50mm)
실시예 6 종방향 2.40 0.90
횡방향 1.10 0.67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된 부직포의 한쪽 방향에 물 불투과성 백 쉬트층을 형성시켜 체액 흡수체를 제조하였다. 이 체액 흡수체에는 양호한 흡수성을 지니고, 또한 흡수후 백 쉬트를 박리시키는 것에 의해 수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된 부직포 70매, 84g을 각각의 낱장을 서로 접고 겹치게하고, 알루미늄 증착층을 지닌 플라스틱성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형성된 물 불투과성 포장백에 넣었다. 이 포장백 내에는 물 97 중량부, 안식향산 나트륨 0.6 중량부 등으로된 액제 218g을 넣고 수용대의 해방로를 히트 실링하여 포장 습윤 티슈를 제조하였다.
이 포장 습윤 티슈의 포장백의 윗면에는 넣어진 습윤 티슈를 꺼내기 위해 절취선을 형성시키고 이 절취선면 위에 아크릴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실링부재가 접착된다.
이 포장 습윤 티슈를 90일간 방치한후 실링부재를 박리 제거시겨 경질 플라스틱용기에 넣은 후 이 용기에서 습윤 티슈를 개구부로부터 한 매씩 꺼내어 찢어지지 않고 전체의 부직포를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렇게 꺼내진 부직포는 실시예 5에서 나타낸 동일 정도의 물분해성을 지닌다.

Claims (23)

  1. 음이온성기를 지닌 수지와 양이온성기를 지닌 수지로 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모노필라멘트를 지님을 특징으로하는 습윤응답성 섬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상기 음이온성기를 지닌 수지 1∼80 중량%, 상기 양이온성기를 지닌 수지 1∼80 중량%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응답성 섬유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기를 지닌 수지는 폴리아크릴산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스타치, 알긴산, 크산탄 검 및 폴리메타크릴산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응답성 섬유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기를 지닌 수지는 카시온화 셀룰로오스, 카시온화 스타치, 카시온화 시아모포시스 검, 카시온화 덱스트린 및 폴리(디메틸메틸렌피페리디니움 클로라이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응답성 섬유
  5. 이온성을 지니지 않는 기재 수지와 음이온성기를 지닌 수지, 양이온성기를 지닌 수지 등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모노필라멘트를 지님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응답성 섬유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수지 20∼95 중량%, 상기 음이온성기를 지닌 수지 1∼79 중량%, 상기 양이온성기를 지닌 수지 1∼79 중량% 등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응답성 섬유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수지는 비스코스 레이온, 폴리노직 레이온, 쿠프라 및 사포닌화된 아세테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응답성 섬유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기를 지닌 수지는 폴리아크릴산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스타치, 알긴산, 크산탄 검 및 폴리메타크릴산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응답성 섬유
  9.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기를 지닌 수지는 카시온화 셀룰로오스, 카시온화 스타치, 카시온화 시아모포시스 검, 카시온화 덱스트린 및 폴리(디메틸메틸렌피페리디니움 클로라이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응답성 섬유
  10. 음이온성기를 지닌 수지와 양이온성기를 지닌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련시킨후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응답성 섬유의 제조 방법
  11. 기재 수지와 음이온성기를 지닌 수지, 양이온성기를 지닌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련시킨후 방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응답성 섬유의 제조 방법
  12. 양이온성 수지와 음이온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로부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재생 셀룰로오스와 양이온성 수지 및 음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로부터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조성물 중에 상기 재생 셀룰로오스는 20∼98 중량%, 상기 양이온성 수지가 1∼79 중량%, 상기 음이온성 수지가 1∼79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재생 셀룰로오스, 양이온성 수지와 음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 및 물비분해성 단섬유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 중에 재생 셀룰로오스는 20∼98 중량%, 상기 양이온성 수지가 1∼79 중량%, 상기 음이온성 수지가 1∼79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물 비분해성 단섬유는 평균 섬유 길이 80mm 미만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18. 제 13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셀룰로오스는 비스코스 레이온, 폴리노직 레이온, 쿠프라 및 사포닌화된 아세테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19. 제 12항, 제 13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기를 지닌 수지는 카시온화 셀룰로오스, 카시온화 스타치, 카시온화 시아모포시스 검, 카시온화 덱스트린 및 폴리(디메틸메틸렌피페리디니움 클로라이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20. 제 12항, 제 13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기를 지닌 수지는 폴리아크릴산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스타치, 알긴산, 크산탄 검 및 폴리메타크릴산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21. 제 12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물분해성을 지님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22. (a) 양이온성 수지와 음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로부터 구성된 부직포, (b) 재생 셀룰로오스와 양이온성 수지 및 음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로부터 구성된 부직포, 및 (c) 재생 셀룰로오스와 양이온성 수지 및 음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 및 물 비분해성 단섬유로부터 구성된 부직포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부직포로 된 흡수층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체
  23. (a) 양이온성 수지와 음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로부터 구성된 부직포, (b) 재생 셀룰로오스와 양이온성 수지 및 음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로부터 구성된 부직포, 및 (c) 재생 셀룰로오스와 양이온성 수지 및 음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 및 물 비분해성 단섬유로부터 구성된 부직포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부직포와 당 부직포에 함침되어 있는 액제 등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 티슈
KR1020007009281A 1998-12-28 1999-12-27 습윤응답성섬유, 그의 제조방법, 부직포 및 그의 용도 KR100623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74438 1998-12-28
JP37443798 1998-12-28
JP?10-374437 1998-12-28
JP37443898 1998-12-28
JP?11-323154 1999-11-12
JP32315499A JP4343361B2 (ja) 1998-12-28 1999-11-12 不織布およびその用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1203A true KR20010041203A (ko) 2001-05-15
KR100623420B1 KR100623420B1 (ko) 2006-09-12

Family

ID=27339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281A KR100623420B1 (ko) 1998-12-28 1999-12-27 습윤응답성섬유, 그의 제조방법, 부직포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40000382A1 (ko)
EP (1) EP1065302B1 (ko)
KR (1) KR100623420B1 (ko)
CN (1) CN1161503C (ko)
AT (1) ATE348205T1 (ko)
AU (1) AU1802300A (ko)
CA (1) CA2322190C (ko)
IL (1) IL137931A0 (ko)
TW (1) TW517103B (ko)
WO (1) WO20000393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3414B1 (en) 2000-05-04 2004-03-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US6579570B1 (en) 2000-05-04 2003-06-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US6423804B1 (en) 1998-12-31 2002-07-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on-sensitive hard water dispersible polymers and applications therefor
US6683143B1 (en) 2000-05-04 2004-01-27 Kimberly Clark Worldwide, Inc.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US6537663B1 (en) 2000-05-04 2003-03-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on-sensitive hard water dispersible polymers and applications therefor
US6444214B1 (en) 2000-05-04 2002-09-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US6548592B1 (en) 2000-05-04 2003-04-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US6599848B1 (en) 2000-05-04 2003-07-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US6835678B2 (en) 2000-05-04 2004-12-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on sensitive, water-dispersible fabric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US6653406B1 (en) 2000-05-04 2003-11-25 Kimberly Clark Worldwide, Inc.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US6429261B1 (en) 2000-05-04 2002-08-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US7279452B2 (en) 2000-06-12 2007-10-09 Commun-I-Tec, Ltd. Sanitizing applicator having a positively charged fabric cover
US6586529B2 (en) 2001-02-01 2003-07-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US6828014B2 (en) 2001-03-22 2004-12-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ater-dispersible, cationic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US6667290B2 (en) 2001-09-19 2003-12-23 Jeffrey S. Svendsen Substrate treated with a binder comprising positive or neutral ions
EP1448827B1 (en) * 2001-11-30 2007-09-05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Crosslinkable cationic emulsion binders and their use as a binder for nonwovens
US20100044271A1 (en) * 2008-08-22 2010-02-25 Mcmillan Patricia D Eating utensil contaminant shield
EP2280099A1 (de) * 2009-07-31 2011-02-02 Kelheim Fibres GmbH Regenerierte Cellulosestapelfaser
RU2519994C2 (ru) * 2009-10-16 2014-06-20 Ска Хайджин Продактс Аб Влажная салфетка или тонкий гигиенический материал, которые можно спускать в канализацию
JP5946487B2 (ja) * 2013-04-01 2016-07-06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品並びにそれを用いた毛髪処理方法及び頭皮の清拭方法
JP2017510994A (ja) * 2013-12-19 2017-04-13 フラウンホーファー−ゲゼルシャフト・ツール・フェルデルング・デル・アンゲヴァンテン・フォルシュング・アインゲトラーゲネル・フェライン 機能性有機層を含む透明ナノワイヤー電極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9678A (en) * 1973-12-07 1975-06-17 Personal Products Co Cellulose graft copolymer containing non-ionic and ionic polymer moieties as absorbent media in absorbent dressings
DE3128871A1 (de) * 1981-07-22 1983-02-10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indefasern aus polymerisatdispersionen
US4902792A (en) * 1985-04-19 1990-02-20 Kanebo Ltd. Fine cellulose particles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S4818598A (en) * 1985-06-28 1989-04-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s
KR920002912B1 (ko) * 1990-03-27 1992-04-10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생분해성 및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520321B2 (ja) * 1990-06-19 1996-07-31 大和紡績株式会社 イオン交換機能を持ったセルロ―ス系組成物
EP0824105A3 (de) * 1996-08-12 1998-04-22 Lenzing Aktiengesellschaft Celulosepartik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65302A4 (en) 2004-11-24
US20040000382A1 (en) 2004-01-01
CA2322190A1 (en) 2000-07-06
IL137931A0 (en) 2001-10-31
CN1292045A (zh) 2001-04-18
EP1065302B1 (en) 2006-12-13
KR100623420B1 (ko) 2006-09-12
CN1161503C (zh) 2004-08-11
WO2000039373A1 (fr) 2000-07-06
CA2322190C (en) 2008-09-16
AU1802300A (en) 2000-07-31
TW517103B (en) 2003-01-11
ATE348205T1 (de) 2007-01-15
EP1065302A1 (en) 2001-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420B1 (ko) 습윤응답성섬유, 그의 제조방법, 부직포 및 그의 용도
CN108135760B (zh) 可生物降解的吸收性物品
US8268424B1 (en) Highly absorbent composite compositions, absorbent sheets provided with the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716474B2 (ja) 改良された複合吸収性構造物およびこのような構造物を含む吸収性物品
JP4124938B2 (ja) 水崩壊性高吸水性複合体及び吸収体物品
JPH10511748A (ja) 分散性組成物および分散性物品ならびにこのような組成物および物品の処分方法
US6248444B1 (en) Water-retentive cellulose fib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water-retentive sheet comprising cellulose fiber of high water retentivity
MX2007007332A (es) Nucleo y envoltura absorbente capaz de estirarse.
MXPA05006144A (es) Tratamiento hidrofilico durable para sustrato polimerico biodegradable.
CN114829143A (zh) 水溶性无纺复合材料结构
MXPA04006480A (es) Articulo absorbente desechable.
JP4190688B2 (ja) 水崩壊処理性を有する体液吸収体
JP4343361B2 (ja) 不織布およびその用途
JP3097980B2 (ja) 生分解性不織布用材料
JP4405014B2 (ja) 積層不織布およびその用途
JP4219534B2 (ja) 体液吸収体
JP4359799B2 (ja) 不織布、その製法およびその用途
JPH0987955A (ja) 消臭性長繊維不織布の製造方法
MXPA99005436A (en) Highly absorbent composite compositions, absorbent sheets provided with the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MXPA01008661A (en) Layer materials treated with surfactant-modified hydrophobic odor control agents
MXPA01008662A (en) Water-absorbent materials treated with surfactant-modified cyclodextr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