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1027A - 무선통신장치 및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장치 및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1027A
KR20010041027A KR1020007009059A KR20007009059A KR20010041027A KR 20010041027 A KR20010041027 A KR 20010041027A KR 1020007009059 A KR1020007009059 A KR 1020007009059A KR 20007009059 A KR20007009059 A KR 20007009059A KR 20010041027 A KR20010041027 A KR 20010041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ircuit
preamble
station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0009B1 (ko
Inventor
마노히로시
Original Assignee
루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루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41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1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0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0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ynchronising information used
    • H04J3/0605Special codes used as synchronising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통신장치(10)는, 송신하고자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버퍼(14)와, 데이터송신회로(30) 및 수신회로(40)를 보유하는 송수신회로(12)를 구비하고 있다. 송신회로(30)는, 데이터송신에 있어서, 프리앰블을 작성하여, 이것을 QPSK변조기(42)에 출력하고, 또한, 프리앰블의 출력 후에, 256비트의 데이터열을 버퍼(14)로부터 판독하여, 이들을 순차 QPSK변조기(42)에 출력하는 입력프로세서 (41)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송신회로(30)는, 프리앰블 및 데이터열로 이루어지는 조를 반복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수신회로(40)는, 수신한 신호 중,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부분을 이용하여 동기포착을 실현하는 DMF(86)를 보유하고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장치 및 통신방법{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MMUNICATION METHOD}
최근, 이동체통신 등의 무선통신의 분야에 있어서, 변조된 후의 신호의 대역폭이 협대역변조에 의한 것에 비해서 현저하게 넓게 이루어져 있는 스펙트럼 확산 (SS:Spread Spectrum)을 이용한 통신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것은, 상기 스펙트럼 확산을 이용한 통신방식은, (1)방해에 강하고, (2)간섭에 강하며, (3)비화성이나 은닉성이 있는 등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한다. 스펙트럼 확산통신에 의한 확산신호의 발생방식에는, 직접 확산(DS:Direct Sequence)이나 주파수호핑 (Frequency Hopping)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직접확산으로는, 확산부호계열 (PN(Pseudo-random Noise)계열)이라는 유사랜덤부호를 이용하여 송신신호의 스펙트럼이 확산된다.
확산부호를 이용한 스펙트럼 확산통신방식에 있어서는, 송신하고자하는 데이터가, 우선, 일차변조되고, 다음으로, 확산변조(이차변조)되어서, 변조된 신호가, 안테나로부터 발신된다. 그러한 한편,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역확산, 복조의 순서를 거쳐서, 데이터가 복원된다. 상기 일차변조에는, PSK(Phase Shift Keying), DPSK(Differentially encoded PSK)이나 QPSK(Quadrature PSK)가 이용되고, 상기 일차변조가 이루어진 디지털신호에 PN부호계열이 얹어져서, 확산변조된 신호가 얻어진다. 그러한 한편, 수신측에서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도, PN부호계열이 얹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펙트럼 확산통신방식에 있어서는, 변조 후의 신호의 대역폭이 협대역변조에 의한 것에 비해서 현저하게 넓고, 수신측의 전위에서의 신호의 S/N비는 극히 극히 낮기 때문에, 그 검파, 복호는 용이하지 않다. 또한, 송신측에서의 PN계열발생타이밍과 수신측에서의 PN부호계열의 발생타이밍이 다르다. 따라서, 상기 방식을 이용한 수신회로는, 특별한 회로를 설치하여, 동기포착 및 동기추종이라는 두개의 처리를 실행하여, 적절하게 신호를 수신하여, 그 신호가 의미하는 것을 정확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송신하고자하는 데이터열의 선두부분(헤드)에, 동시포착용 특별한 신호(프리앰블)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수신회로는, DMF(Digital Matched Filter)를 이용하여, 동기포착을 실현하고, 그러한 한편, DMF의 출력을 확산비율보다 높은 주파수로 샘플링하여, 정합필터의 피크의 간격을 봐서, 다음 의 샘플시간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동기추종을 실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수신회로는, 동기포착을 위한 전용회로(예컨대, DMF)나 동기추적을 위한 전용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전용회로는 각각 복잡한 구성이고, 또한, 이들을 위한 통신장치의 회로규모가 크게 이루어진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어떤 데이터열의 수신 중에, 전파강도가 열화하였을 때에, 동기추종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다음에 송신된 데이터열의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두번째 동기포착을 하기까지, 적절하게 신호를 받아들일 수 없게 된다.
또한, 복수의 이용자가 동일 주파수대를 공용하는 형태는, 다원접속 (multiple access)이라 불리워지고 있지만, 이 다원접속으로서, 이용자마다 다른 주파수(무선채널)를 이용하는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동일 주파수를 공용하지만, 이용자마다 다른 시간대가 할당되어 있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확산부호계열을 이용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이 알려져 있다.
이들 중, TDMA에 있어서는, 어떤 타임슬롯이 무선통신장치에 할당되기 때문에, 무선통신장치는, 할당된 타임슬롯마다, 필요한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측의 무선통신장치는, 상기 할당된 타임슬롯에 있어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TDMA에 있어서는, 시간정보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무선시스템에서는, 상기 시간정보를 관리하기 위하여, 무선통신장치(자국) 외에, 기지국을 설치하고, 기지국으로부터 각 무선통신장치에 시간정보를 송신하고, 이것에 의해 각 무선통신장치의 송수신타이밍을 조정하고 있다. 혹은, 각 무선통신장치가, 서로 정확하게 시각을 맞춘 시계를 구비하여, 이 시계를 이용하여, 할당된 자기의 타임슬롯으로, 소정의 신호의 송수신을 실현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전자에 있어서는, 각 무선통신장치(자국)와의 통신이 가능한 기지국을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있고, 또한, 자국의 증설 등이 곤란하며, 시스템의 구성이 한정된다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전체에서의 무선통신장치(자국)에 시간정보를 전달할 수 없는 경우에는, 복수의 기지국을 설치하지 않으면, 통신시스템을 적절하게 운용할 수 없다. 그러한 한편, 최근, 전송로를 타고 운반되는 신호의 속도는, 대단히 고속이며(예컨대, 2 내지 5Mbps), 후자에 있어서, 무선통신장치(자국) 간에 시계를 마추는 것은 사실상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적절한 동기를 실현가능한 무선통신장치, 구성하는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한 기지국을 설치하는 것없이, 무선통신장치(자국)만으로 적절하게 정보의 주고받음이 가능한 TDMA를 이용한 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회로구성이며, 또한, 고속으로 데이터의 주고받기가 가능한 무선통신장치 및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데이터전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송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관한 송신회로의 입력프로세서에서 주로서 실행되는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는 플로오챠트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관한 송신회로에서의 각종 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챠트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관한 수신회로에서의 각종 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송신회로의 입력프로세서에서 주로서 실행되는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는 플로오챠트이다.
도 7은, 제 2실시예에 관한 송신회로에서의 각종 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챠트이다.
도 8은, 제 3실시예에 관한 수신회로에서의 각종 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챠트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관한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고, 도 9(b)는 각 무선국(무선통신장치)의 타임슬롯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타이밍챠트이다.
도 10은, 제 3실시예에 관한 각 무선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1은, 제 3실시예에 관한 무선통신시스템의 송신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오챠트이다.
도 12는, 제 4실시예에 관한 무선시스템 중의 무선국에서 실행되는 송신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오챠트이다.
도 13은, 제 5실시예에 관한 무선통신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국 및 무선국이 사용하는 슬롯의 번호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4는, 제 5실시예에 관한 무선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5는, 제 5실시예에 관한 일차맵 및 이차맵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6은, 제 5실시예에 관한 무선시스템 중의 무선국에서 실행되는 송신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오챠트이다.
도 17은, 제 6실시예에 관한 무선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8은, 제 6실시예에 관한 무선통신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국 및 무선국이 사용하는 슬롯의 번호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9는, 제 6실시예에 관한 무선국에서 실행되는 송신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오챠트이다.
도 20은, 제 7실시예에 관한 코드레스 전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선통신장치 및 회선의 각각에 있어서의 정보의 속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송신하고자하는 데이터를 일차변조 및 확산하는 것에 의해 변조된 신호를 작성하여 송신하는 송신회로와, 수신한 신호를 역확산 및 복조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를 얻는 수신회로를 구비한 스펙트럼 확산을 이용한 무선통신장치로서, 송신하고자하는 데이터를, 각각이 소정의 길이의 복수의 데이터열에 분할하는 데이터열작성회로와, 상기 데이터열을 받아들여서, 소정의 프리앰블 및 데이터열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의 조를 작성하는 데이터작성회로를 구비하고, 송신회로가, 프리앰블 및 데이터열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의 조를 반복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수신회로가, 수신한 신호 중,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부분을 이용하여 동기포착을 실현하는 동기포착회로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신하고자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버퍼와 데이터송신에 있어서, 프리앰블을 작성하여, 이것을 일차변조회로에 출력하고, 또한, 프리앰블의 출력 후에, 소정 길이의 데이터열을 버퍼로부터 판독하여, 이들을 일차변조회로에 출력하는 입력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송신회로가, 상기 입력프로세서로부터 공급된 프리앰블 및 데이터열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의 조를 반복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수신회로가, 수신한 신호 중,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부분을 이용하여 동기포착을 실현하는 동기포착회로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회로에 의해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부분 및 데이터열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의 조가 반복하여 송신되고, 수신회로가, 반복하여 보내지는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부분을 이용하여 동기포착을 실현하고 있다. 따라서,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동기포착을 하기 때문에, 동기추적(기호추적 등)을 실행할 필요가 없고, 적절하게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것을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데이터열의 길이가, 송신회로에서 이용되는 클럭의 주파수와, 송신목적지의 수신회로에서 동기를 위해 이용되는 것으로 예상되는 클럭의 주파수의 오차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데이터열의 길이는, Tsyn/(2ㆍdt)(dt=|1/Ftx-1/Frx|, Tsyn=1/Ftx, Ftx:송신회로에서 이용되는 클럭의 주파수, Frx:수신회로에서 예상되는 클럭의 주파수)를 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수신측에 있어서, 적어도, 송신측과 수신측의 클럭의 오차에 의해, 데이터를 틀리게 해석하기 전에, 동기포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송신회로 및 수신회로에 각각 대응하는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 내지 , 이들 회로의 작동에 각각 대응하는 송신방법 및 수신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중인 타국이 사용하고 있는 타임슬롯의 번호를 취득하는 제 1의 타임슬롯번호 취득회로와, 상기 타임슬롯의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와, 취득한 타임슬롯의 번호 및 그 시간에 기초하며, 자기의 타임슬롯의 개시시각을 산출하는 개시시각 산출회로를 구비하고, 산출된 개시시각에, 자기의 타임슬롯의 번호 및 송신하고자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타국의 타임슬롯의 번호 및 그 시간(예컨대, 개시시각)으로부터, 자기의 타임슬롯의 개시시간을 역산한다. 따라서, 시간관리를 위한 기지국을 설치하거나, 무선국 간에 시각맞춤을 할 필요가 없고, 적절하게 , 자기의 타임슬롯에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자기의 타임슬롯은, 미리 할당되어도 좋고, 빈 슬롯을 보는 것에 의해, 동적으로 할당되어도 좋다. 후자에 있어서는, 무선통신장치가, 취득한 타임슬롯의 번호에 기초하며, 빈 슬롯의 번호를 찾아내는 빈 슬롯검출회로를 구비하고, 찾아낸 빈 슬롯의 어느 하나를 자기의 타임슬롯으로서 확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추가로 통신 중인 타국의 타임슬롯의 번호의 리스트인 일차 맵과, 상기 타국에서 취득되었던, 또 다른 타국인 이차국이 사용하고 있는 타임슬롯의 번호의 리스트인 이차맵을 구비하고, 빈 슬롯검출회로가, 일차맵 및 이차맵 중의 리스트에 기초하며, 빈 슬롯의 번호를 찾아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자기자신이 직접 통신할 수 없는 타국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타임슬롯의 번호를 알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타국과 동일한 타임슬롯을 사용하는 것에 기인하는 충돌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충돌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하여, 무선통신장치가, 추가로 이차국에서 취득된, 또 다른 국인 삼차국이 사용하고 있는 타임슬롯의 번호의 리스트인 삼차맵을 구비하고, 빈 슬롯검출회로가, 일차맵, 이차맵 및 삼차맵 중의 리스트에 기초하며, 빈 슬릿의 번호를 찾아내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목적은, 상기 구성의 무선통신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TDMA를 이용한 무선통신장치로 이루어지는 디지털코드레스 전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을 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무선통신장치의 하드웨어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제 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통신장치(10)는, 안테나 (ANT)로부터의 신호를 받아들이고, 또한, 상기 안테나(ANT)를 통해서, 신호를 송신하는 송수신회로(12)와, 송수신회로(12)에 주는 데이터 혹은 송수신회로(12)에서 수신되고,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버퍼(14)와, 무선통신장치(10)전체를 제어하는 CPU(16)와, 외부장치(예컨대, 퍼스널컴퓨터)와의 데이터의 주고받기를 담당하는 외부인터페이스(I/F)(18)와, CPU(16)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이나 연산 중의 작업영역 혹은 데이터기억영역으로서 이용되는 RAM(Random Access Memory)으로 이루어지는 메모리 (20)와, 스위치나 키이로 구성되는 입력장치(22)와, LED 혹은 액정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24)와, 입력장치(22) 및 표시장치(24)와, CPU(16) 등과의 데이터 주고받기를 담당하는 내부장치(I/F)(26)를 구비하고 있다. 버퍼(14), CPU(16), 메모리(20) 및 내부장치(I/F)(26)는, 데이터버스(28)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버퍼(14)는, CPU(16)의 지시에 따라서, 외부장치(I/F)(18)를 통해서, 외부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주어진 송신용 데이터나, 메모리(20)에 기억된 송신용 데이터를 받아들여서, 이것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버퍼(14)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송신용 데이터(TXIN)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송수신회로(12)에 출력된다. 또한, 버퍼(14)는, 송수신회로(12)로부터 출력된 수신데이터(RXOUT)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CPU(16)는, 메모리(20)의 ROM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입력장치(22)나 표시장치(24)의 제어나, 외부I/F(18)의 제어 등을 실행한다. 또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에는, 내장된 타이머(21)를 참조하여, 소정의 타이밍으로, 송수신회로(12)에 제어신호를 주거나, 혹은 후술하는 역확산 등의 타이밍을 담당한다.
제 2도는, 본 실시예에 관한 송수신장치(12)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로다이어그램이다. 제 2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수신장치(12)는, 크게 나누어서 송신회로(30)와, 수신회로(40)로 구성된다.
송신회로(30)는, 버퍼로부터 송신데이터(TXIN)를 받아들여서, 이것에 필요한 프리앰블을 부가하는 입력프로세서(41)와, 입력프로세서(41)의 출력에 일차변조 (QPSK)를 가하여, 기저대의 동상성분(I신호)(TXI)와 직교성분(Q신호)(TXQ)을 얻는 QPSK변조기(Differential Encoder)(42)와, I신호 및 Q신호를, 각각 확산(이차변조)하는 확산회로(44-1), (44-2)와, 제 1의 확산부호계열(PN1) 및 제 2의 확산부호계열(PN2)을, 각각 출력하는 제 1의 부호계열발생기(46-1), 제 2의 부호계열발생기 (46-2)와, 어느 하나의 부호계열발생기를 선택하는 스위치(48)와, 저역필터 (LPF)(50-1), (50-2)와, 중간주파수신호(IF신호)를 얻기 위하여 소정의 주파수의 신호를 발생하는 국소발진기(52)와, 국소발진기(52)로부터의 반송파의 위상을 π/2 어긋나게 하는 이상기(54)와, 승산기(56-1), (56-2)와, 이차변조된 I신호 및 Q신호를 가산하여 IF신호를 얻는 가산기(58)와, 증폭기(60)와, 소정의 주파수의 신호를 발생하는 주파수 신디사이저(62)와, IF신호와, 주파수 신디사이저(62)로부터의 반송파를 가산하는 승산기(64)와, 대역필터(BPF)(66)와, RF맵(68)를 구비하고 있다.
수신회로(40)는, RF맵(72)과, 승산기(74)와, BPF(76)와, 국소발진기(78)와, 이상기(80)와, 국소발진기(78)로부터의 반송파와 BPK(76)의 출력을 승산하여, 기저대의 이상성분(I신호) 및 직교성분(Q신호)을 각각 얻는 승산기(82-1), (82-2)와, 아날로그/디지털(A/D)변환기(84-1), (84-2)와, 디지털정합필터(DMF)(86-1) (86-2)와, DMF(86-1), (86-2)에서 역확산을 실행하기 위한 제 1의 부호열계(PN1) 및 제 2의 부호열계(PN2)를 각각 발생하는 제 3의 부호열계발생기(88-1), 제 4부호열계발생기(88-2)와, 어느 한 부호열계발생기를 선택하는 스위치(90)와, DMF(86-1), (86-2)에서 얻어진 역확산된 I신호 및 Q신호를 받아서, 이들을 복조하는 복조기 (Differential Encoder)(9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송신회로(30)와 수신회로(40)의 절환은, 스위치(70)에 의해 실현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선장치의 송수신장치(12) 중, 송신회로(30)의 작동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제 3도는, 이 송신회로(30)의 입력프로세서(41) 등의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는 플로오챠트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프로세서 (41)는, 버퍼(14)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출력하는 외에, 소정의 길이(시간길이)의 프리앰블을 작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우선, CPU(16)는, 메모리(20)에 기억되고, 혹은 외부장치로부터 외부I/F를 통해서 주어진 송신용 데이터를 버퍼(14)에 전송하여, 그 후에, 송수신회로의 입력프로세서(41)에 송신을 개시하도록 지시를 준다. 제 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프로세서(41)는, 송신의 개시를 CPU(16)로부터 지시되면, 초기화의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301). 이 처리에 있어서, 스위치(48)가, 제 1의 부호계열발생기(46-1)와, 확산회로(44-1), (44-2)를 접속하도록 설정된다. 다음으로, 프리앰블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를 QPSK변조기(42)에 출력한다(스텝 302).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입력프로세서(41)는, 63칩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길이가 "1" 혹은 "0"인 신호를 출력한다. 확산회로(44-1), (44-2)에 있어서, 소정의 칩길이(예컨대, 63칩)의 확산부호를 얻은(스텝 303) 후에, 입력프로세서(41)는, 스위치(48)를 절환하여, 제 2의 부호계열발생기(46-2)와 확산회로(44-1), (44-2)를 접속하도록 설정한다(스텝 304).
다음으로, 버퍼(14)로부터 1비트만큼의 송신용 데이터(TXIN)를 판독하여, 이것을 소정의 타이밍으로 QPSK변조기(42)에 출력한다(스텝 305). 확산회로(44-1), (44-2)에 있어서, 소저의 칩길이(예컨대 11칩)의 확산부호가 얻어지면(스텝 306), 소정의 길이의 송신용 데이터(TXIN)의 판독이 종료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307). 이 데니터열의 길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술한다. 이 스텝 307에 있어서 노(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305로 되돌아가고, 그러한 한편, 예스(YES)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308로 나아간다. 스텝 309에 있어서는 송신용 데이터(TXIN)을 모두 판독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판독한 경우(스텝 309에서 예스(YES))에는, 처리를 종료하며, 그러한 한편, 아직 나머지가 존재하는 경우(스텝 309에서 노(NO))에는, 입력프로세서(41)는, 스위치(48)를 절환하여, 제 1의 부호계열발생기 (46-1)와 확산회로(44-1), (44-2)를 접속하도록 설정하여(스텝 309), 스텝 302의 처리로 되돌아온다.
즉, 이와 같이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 4도의 타이밍챠트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의 데이터열마다 프리앰블이 삽입된 신호를 작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4도(a)는, 입력프로세서(41)에 의해 판독된 송신데이터 (TXIN), 제 4도(b)는, 입력프로세서(41)로부터의 출력, 제 4도(c)는, I신호 및 Q신호에 주어지는 확산부호열계의 종별을 나타내고 있다. 제 4도(a)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256비트(QPSK변조 후에는 128기호)의 송신용 데이터(TXIN)에 의해, 소정의 길이의 데이터열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제 4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열과 데이터열과의 사이에, 프리앰블(PRE)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제 3도에서 나타내는 처리에 기초하여, 입력프로세서(41)로부터 출력된 프리앰블(PRE) 및 데이터열(송신용 데이터)(TXIN)은, QPSK변조기(42)에서 일차변조되고, 기저대의 I신호 및 Q신호가 얻어진다. 이들 I신호 및 Q신호는, 부호열계(PN1) 혹은 부호열계(PN2)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확산되고, 확산된 I신호 및 Q신호는, 각각, LPF(50-1), (50-2)를 통과하여, 그 대역이 제한된다. 다음으로, I신호 및 Q신호는, 승산기(56-1), (56-2)에 각각 주어지고, 국소발진기(52)로부터의 반송파와 승산된다. 또한, 승산기(56-2)에는, 이상기(54)에 의해 그 위상이 π/2(90°)정도 어긋난 것이 반송파로서 주어진다. 승산기(56-1), (56-2)의 출력은, 가산기(58)에 의해 가산되고, 이것에 의해, 중간주파수신호(TXIF)가 얻어진다. 중간주파수신호 (TXIF)는, 증폭기(60)를 거쳐서, 승산기(64)에 주어지고, 승산기(64)에 있어서, 주파수 신디사이저(62)로부터 출력된 반송파와 승산된다. 게다가, 승산기(64)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BPF(66) 및 RF맵(68) 및 스위치(70)를 통해서, 안테나(ANT)로부터 송신신호로서 출력된다.
이것에 대해서, 안테나(ANT)에 의해 수신된 수신신호는, 스위치(70)를 통해서, 수신회로(40)의 RF앰프(27)에 주어진다. RF앰프(27)의 출력신호는, 승산기(74)에 있어서, 주파수 신디사이저(62)로부터의 반송파와 승산된 후에, BPF(76)에 있어서 대역 여파된다. BPF(76)로부터 출력된 중간주파수신호(RXIF)는, 두개가 분기되고, 각각, 승산기(82-1), (82-2)에 주어진다. 승산기(82-1)에는, 국소발진기(78)로부터의 반송파가 공급되고, 그러한 한편, 승산기(82-2)에는, 이상기(80)에 의해 그 위상이 π/2만큼 어긋난 것이 반송파로서 공급된다. 따라서, 이들 승산기(82-1), (82-2)에 있어서는 직교검파가 이루어지고, 중간주파수의 I신호(RXIFI) 및 Q신호(RXIFQ)가 출력된다. 이들 I신호 및 Q신호는, 각각 A/D변환기(84-1), (84-2)에 있어서 디지털변환되고, 디지털화된 2조의 데이터가, 각각 DMF(86-1), (86-2)에 주어진다.
DMF(86-1), (86-2)에 있어서는, 동기포착이 이루어지고, 또한, 필요한 타이밍으로 부호열계(PN1) 혹은 (PN2) 중 어느 한쪽에 의해 역확산이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송신신호는, 프리앰블 및 소정의 길이의 데이터열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의 조가, 각각 부호열계(PN1) 및 (PN2)에 의해 확산된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CPU(20)(제 1도)에 의해서, 우선, 데이터의 도달 시에는, 제 1의 부호열계(PN1)를 발생하는 제 3의 부호열계발생기(88-1)와, 각 DMF(86-1), (86-2)가 접속되도록 스위치(90)가 설정된다. 따라서, DMF(86-1), (86-2)에 있어서는, 각각,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소정의 칩수(예컨대, 63칩)의 수신신호와 제 1의 부호열계(PN1)와의 상관치를 얻어서, 동기포착을 실현한다.
동기포착이 이루어진 후에, 소정의 길이의 데이터열(요컨대, 데이터본체)에 대응하는 확산된 데이터가 DMF(86-1), (86-2)에 주어질 때에, CPU(20)는, 제 2의 부호계열(PN2)을 발생하는 제 4의 부호계열발생기(88-2)와, 각 DMF(86-1), (86-2)가 접속되도록 스위치(90)를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열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역확산이 실현되고, 역확산된 데이터(RXI 및 RXQ)가, DMF(86-1), (86-2)로부터 각각 출력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리앰블 및 소정의 길이의 데이터열로 이루어지는 데이터가 반복되고 있기 때문에, CPU(20)는, 프리앰블이 도달하는 경우에, 제 1의 부호계열(PN1)을 발생하는 부호계열발생기(88-1)와, 각 DMF(86-1), (86-2)가 접속되도록 스위치(90)를 설정하고, 이것에 의해, DMF(88-1), (88-2)에 있어서 동기포착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처리를 반복하므로써, 제 5도의 타이밍챠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기포착 및 역확산된 데이터의 취득이 실현된다 여기서, 제 5도(a)는, DMF에 공급되는 데이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제 5도(b)는, DMF에 출력되는 확산부호계열의 종별을 나타내고, 제 5도(c)는, 동기포착의 타이밍을 나타내고, 제 5도(d)는, 역확산된 데이터가 얻어지는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제 5도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부분을 이용하여 동기포착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통상, 동기포착 후에 이루어지는 동기추적(Symbol Tracking)이 생략되어 있다. 이것은, 송신된 데이터가, 프리앰블 및 데이터열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의 조를 반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때문에,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부분이 도달하는 경우에 동기포착을 하면, 동기추적을 할 필요가 없기때문이다.
이 점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을 한다. 송신측의 무선통신장치가, 어떤 주파수(Ftx)의 클럭에서 송신을 하고, 그러한 한편, 수신측(송신목적지)의 무선통신장치가, 어떤 주파수(Frx)의 클럭에서 수신을 하고 있다라고 생각된다. 이때, 클럭의 주파수(Ftx)와 (Frx)가 같지 않은 경우에는, 송신ㆍ수신 간의 동기가 당초 확립하고 있었다고해도, 데이터의 전송마다, 데이터의 샘플점에 어긋남이 생긴다. 이 어긋남은, dY=|1/Ftx-1/Frx|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하는 데이터의 비율을 Tsyn(=1/Ftx)로 하면, 연속하여 전송하는 데이터량N(비트)가, Tsyn/(2ㆍdT)를 넘지 않으면, 데이터전송에 잘못됨이 생기지 않게 된다. 예컨대, Ftx=900/899ㆍ Frx로 하면, dT=(1/899)ㆍ(1/Ftx)로 되고, 그 결과, Tsyn/(2ㆍdT)=449.5로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전송하는 데이터의 길이가 449비트이하이면, 동기추적을 하지 않음과 아울러, 데이터전송에 잘못됨이 생기지 않는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상, DMF의 전단에 설치된 발진기 및 발진기의 신호와 입력신호를 승산하는 승산기를 이용하여 실현된다, 소위 반송파 추적도 생략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 5도(d)에 나타내는 역확산된 데이터는, 복조기에 부여된다. 복조기에 있어서는, (기저대의 I신호 및 Q신호에 대응한다)데이터를 복조하여, 수신데이터(RXOUT)를 얻어서, 이것을 버퍼(14)(제 1도)의 소정의 영역에 기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의 수신이 실현된다. CPU(20)는, 버퍼(14)로부터, 수신데이터를 판독하여, 필요에 따라서, 메모리(20)의 소정의 영역에 기억하고, 표시장치(24)의 화면 상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혹은, 외부I/F(18)를 통해서, 외부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송신회로가, 송신신호를, 프리앰블 및 소정의 길이의 데이터열로 이루어지는 조의 반복의 형식으로 송신하고, 수신회로가,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부분을 이용하여 동기포착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부분은, 주기적으로 도달하므로써, 주기적으로 동기포착이 실행된다. 이 때문에, 데이터본체(데이터열에 대응하는 부분)의 수신중에 동기추적을 하는 것없이, 적절하게 신호를 수신하여 이것을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부분이 주기적으로 도달하고, 이것에 의해 주기적으로 동기포착이 실행되기 때문에, 수신 중에 전파의 수신상황이 변화하였을 경우(예컨대, 전파강도가 열화한 경우)에도, 다음번에 도달하는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동기포착을 실행하므로써, 신호의 수신의 중단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무선통신장치에 대해 설명을 한다. 이 실시예에 관한 무선통신장치의 하드구성 및 송수신장치의 구성은, 제 1도 및 제 2도에 나타내는 바와 마찬가지이다. 제 6도의 플로오챠트에, 제 2의 실시예에 관한 송신회로(30)의 입력프로세서 등의 처리의 개략을 나타낸다. 제 6도에서 이해할 수 있듯이, 이 처리는, 제 3도에 나타내는 처리와, 스텝 610이 가해지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며, 스텝 601 내지 609는, 제 3의 스텝 301 내지 309에 대응한다. 이 처리에 있어서는, 스텝 609(스위치 48의 절환) 후에, 소정의 시간만큼 대기하여 간격을 작성하여 스텝 610, 스텝 302로 되돌아온다. 이것에 의해, 제 7도(b)이 타이밍챠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프로세서(41)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에 있어서, 프리앰블 및 소정의 길이의 데이터열로 이루어지는 조와, 다른 조와의 사이에, 소정시간의 간격(GAP)이 설치된다. 따라서, 수신회로(40)에 있어서도, 처리순서자체는 제 1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이지만, 동기포착의 타이밍이, 제 1실시예의 것과 다르다(제 8도 참조). 여기서, 제 8도(a)는, DMF에 공급되는 데이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며, 제 8도(b)는, DMF에 출력되는 확산부호열계의 종별을 나타내고, 제 8도(c)는 동기포착의 타이밍을 나타내고, 제 8도(d)는, 역확산된 데이터가 얻어지는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제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아들인 데이터는,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부분 및 데이터열(다시 말하면 데이터본체)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조를 반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이들 조의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GAP)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부분이 도달할 경우에 동기포착을 실현할 수 있다(제 8도(c) 참조).
또한,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관한 무선통신장치를, FDMA, TDMA, 혹은 CDMA를 이용한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사용하고, 복수의 무선통신장치가, 동일한 주파수대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TDMA를 이용한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을 이용한 예(제 3실시예)에 대해, 이하에 설명을 한다.
제 9도(a)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관한 무선통신시스쳄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제 9도(b)는, 각 무선국(무선통신장치)의 타임슬롯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타이밍챠트이다. 제 9도(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n개의 무선국(무선통신장치)(100-1), (100-2), …(100-n)이, 네트워크 (NW)에서 접속되고, 이들에 의해 무선통신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 제 1의 실시예 및 제 2의 실시예에서 예시한 무선통신장치에, 후술하는 TDMA를 위한 구성을 부가하는 것에 의해, 각 무선국으로서, 이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모리(20)에 후술하는 TDMA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또한, CPU(20)가,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처리를 실행하면 좋다. 또한, 제 3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무선국 (100-1) 내지 (100-n)에, 자기자신의 슬롯번호가, 서로 중복하지 않도록 주어져 있다라고 생각된다. 즉, 제 9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국1(100-1)에는, 제 1의 타임슬롯(Ts1), 무선국2(100-2)에는, Ts1에 연달아 제 2의 타임슬롯 (Ts2) 등이 할당되어 있다. 여기서, 무선국의 수n은, 최대슬롯수(Nmax)보다 같거나 혹은 적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국(100-1) 내지 (100-n)의 각각은, 서로 통신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10도는, 제 3의실시예에 관한 각 무선국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제 10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무선국(100)은, 안테나(ANT), 제어부(102), 변조부(104), 송신부(106), 수신부(108), 복조부(110) 및 동기검출부 (1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102)에는, 타이머(11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구성부분 중, 제어부(102)는, 주로서, 제 1도 및 제 2도에 나타내는 무선통신장치(10)의 CPU(10) 및 입력프로세서(41)에 대략 대응하고, 변조부(104)는, QPSK변조기(42), 확산회로(44), 부호계열발생기(46) 등에 대략 대응하고, 송신부(106)는, 제 2도의 국소발진기(52), 이상기(54), 승산기(56-1), (56-2)로부터 RF맵(68)에 이르기까지의 각종 회로요소에 대략 대응한다. 또한, 수신부(108)는, 제 2도의 RF맵(72)에서 승산기에 도달하기까지의 각종의 회로요소에 대략 대응하고, 복조부(110)는, A/D변환기(84)에서 복조기(92)에 도달하는 각종 회로요소에 대략 대응한다. 게다가, 동기검출부(112)는, 그 기능이, 주로서, DMF(86) 및 CPU(20)에 의해 실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선통신시스템의 어느 무선국(예컨대, 100-1)에 있어서의 통신처리에 대해 설명을 한다. 제 11도는, 제 3의 실시예에 관한 무선통신시스템 중 무선국에서 실행되는 송신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오챠트이다. 제 11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무선국은, Tc=TsㆍNmax의 기간만큼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1101). 이것에 의해, 어떤 일주기(Tc)의 사이에, 어떤 무선국이 통신 중인가 아닌가를 알 수 있다. 무선국의 제어부(102)가, 다른 무선국이 모두 통신 중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1102에 있어서 노(NO))에는, 제어부(102)는, 자기자신에 할당된 슬롯번호가 부가된 송신데이터를 작성하여(스텝 1103), 다음에서, 임의의 타이밍을, 자기의 슬롯의 개시시각으로서, 할당된 슬롯(Ts) 중에, 스텝 1103에서 작성한 송신데이터를 송신한다(스텝 1104). 즉, 슬롯(Ts)마다, 슬롯번호가 부가된 송신데이터가, 상대목적지인 무선국에 송신된다. 이것에 대하여, 제어부(102)가, 다른 무선국의 어느 하나가 통신 중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스텝1102에 있어서 예스(Yes))에는, 제어부(102)는, 수신회로(108) 및 동기검출회로(112)를 통해서 주어진 정보 및 타이머(114)의 시각에 기초하여, 어느 한 타국의 송신개시시각(Trs)을 산출함과 아울러, 상기 타국의 슬롯번호를 판단한다(스텝 1105). 다음에서, 제어부(102)는, 이하의 식에 기초하여, 자기의 슬롯의 개시시각(Tts)을 산출한다(스텝 1106).
자기의 슬롯번호:Nt, 수신한 슬롯번호:Nr, 수신슬롯의 개시시각:Trs로 하면,
Nt>Nr의 경우에는, Tts=(Nr-Nt)ㆍTs+Trs ㆍㆍㆍㆍㆍ (1-1)
Nt<Nr의 경우에는, Tts={(Nmax-Nr)+Nt}ㆍTs+Trs ㆍㆍ (1-2)
이와 같이 하여, 타국의 슬롯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자기의 슬롯의 개시시각을 결정한 후에, 자기자신에 할당된 슬롯번호가 부가된 송신데이터를 작성하여(스텝 1107), 스텝 1105에서 산출한 자기의 슬롯개시시각(Tts)에, 스텝 1103에서 작성한 송신데이터를 송신한다(스텝 1108). 이것에 의해, 슬롯(Ts)마다, 슬롯번호가 부가된 송신데이터가, 상대목적지인 무선국에 송신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어느 무선국이 송신을 하고자하는 경우에, 이 무선국이, 일단, 1주기(TsㆍNmax)만큼의 신호를 수신하여, 다른 무선국이 통신 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통신 중이 아닌 경우에는, 임의의 시각을, 자기의 슬롯의 개시시각으로하여, 통신을 실현한다. 그러한 한편, 타국이 통신 중인 경우에는, 다른 무선국의 슬롯의 개시시각이나 슬롯번호에 기초하여, 자기의 슬롯의 개시시각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시간정보를 발신하는 기지국을 설치하는 것없이, 혹은, 각 무선국 간에 시계를 맞추는 것없이, 적절하게 TDMA를 이용한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관하여 설명을 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무선국의 수(n)는, 최대슬롯수(Nmax)보다도 많게 되어 있고, 또한, 각 무선국에는, 미리 타임슬롯이 할당되어 있지 않다. 상기한 점을 제외하고, 통신시스템의 구성이나 각 무선국의 구성은, 제 3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제 12도는, 제 4실시예에 관한 무선시스템 중의 무선국에서 실행되는 송신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오챠트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3실시예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무선국은, 우선, TsㆍNmax의 기간만큼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1201). 무선국의 제어부(102)가, 다른 무선국이 모두 통신 중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1202에 있어서 노(No))에는, 제어부(102)는, 자기의 슬롯번호Nt=1로 결정하고(스텝 1203), 결정된 슬롯번호가 부가된 송신데이터을 작성하여(슬롯 1204), 다음으로, 임의의 타이밍을, 자기의 슬롯의 개시시각으로서, 슬롯(Ts) 중에, 스텝 1204에서 작성한 송신데이터를 송신한다(스텝 1205). 즉, 슬롯(Ts)마다, 슬롯번호가 부가된 송신데이터가, 상대목적지인 무선국에 송신된다.
이것에 대하여, 제어부(102)가, 다른 무선국의 어느 하나가 통신 중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스텝 1202에 있어서 예스(Yes))에는, 제어부(102)는, 통신 중인 전체에서의 타국의 송신개시시각 및 그 슬롯번호를 판단한다(스텝 1206). 다음으로, 스텝(1206)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빈 슬롯의 유무를 검출하고(스텝 1207), 빈 슬롯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스텝 1208에서 노(No))에는, 스텝 1206으로 되돌아온다. 그러한 한편, 빈 슬롯이 존재하는 경우(스텝 1208에서 예스(Yes))에는, 상기 빈 슬롯의 번호(Ntx)를, 자기의 슬롯번호(Nt)로 결정한다(스텝 1209). 다음에서, 통신 중인 임의의 타국의 송신개시시각(Trs) 및 그 슬롯번호(Nr)에 기초하여, 자기의 슬롯번호(Ntx)의 송신개시시각을 산출한다(스텝 1210). 이것에는, 상기 (1-1)식 혹은 (1-2)식을 이용할 수 있다.
타국의 슬롯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자기의 슬롯이 개시시각을 결정한 후에, 스텝 1209에서 결정된 슬롯번호가 부가된 송신데이터를 작성하여(스텝 1211), 스텝 1210에서 산출한 자기의 슬롯개시시각(Tts)에, 스텝 1211에서 작성한 송신데이터를 송신한다(스텝 1212). 이것에 의해, 슬롯(Ts)마다, 슬롯번호가 부가된 송신데이터가, 상대목적지인 무선국에 송신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국에 자기의 슬롯번호를 미리 할당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서 동적으로 슬롯번호가 할당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무선국의 수가 최대슬롯수(Nmax)보다 많은 경우이어도, 적절하게 TDMA를 이용한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 4실시예에서는, 무선국의 수가 최대 슬롯수(Nmax)보다 많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무선국의 수가, 최대 슬롯수(Nmax)이하이어도 좋다. 게다가, 이와 같은 경우에, 무선국이, 1슬롯만을 취득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슬롯을 취득하여(즉, 복수의 슬롯번호가 할당되어서), 이들 슬롯에서 통신을 하여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예컨대, 서로 통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무선국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어느 무선국이, 특정의 건물 등의 가운데에 있고, 특정한 무선국으로밖에 통신을 할 수 없는 경우이다.
또한, 제 13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국(1)은, 무선국(1)과의 통신할 수 있지만, 무선국(3), (4)와의 통신은 할 수 없고, 무선국(3), (4)도, 무선국(1)과의 통신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무선국(3) 및 (4)가 서로 통신을 하고 있는 경우에, 무선국(1)은, 이것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제 4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무선국(1)이, 무선국(3), (4)의 사용하고 있는 타임슬롯을 이용하는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 무선국(2)에 있어서, 무선국(1)의 송신시각과, 무선국(3), (4)의 송신시각이 중복하고, 충돌이 생긴다. 따라서, 제 5실시예에서는, 이것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 14도는, 제 5실시예에 관한 무선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제 14도에 있어서, 제 10도에서 나타내는 무선국의 구성부분과 동일한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 5실시예에 관한 무선국(200)에는, 제 10도에서 나타내는 것의 구성부분에 더하여, 일차맵(122) 및 이차맵(124)을 보유하는 맵메모리(12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일차맵(122)은, 무선국이 직접 수신가능한 다른 무선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슬롯번호의 리스트이고, 이차맵(124)은, 상기 다른 무선국의 일차맵의 총계리스트이다.
제 15도는, 일차맵 및 이차맵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제 15도(a)에 있어서, 구부러진선(예컨대, 200-1, 200-2)은, 무선국을 나타내고, 그 안의 숫자는, 현재, 무선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슬롯의 번호이고, 무선국 간에 설치된 구부러진선(예컨대, AA, AB)은, 구부러진선의 양측의 무선국이, 서로 통신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여기서, 무선국(X)(원 내에 X가 부여되어 있다)는, 새로이, 사용가능한 슬롯을 찾아내어서, 충돌없이 적절하게 TDMA를 이용하여 TDMA를 이용하여 통신하고자 하고 있다. 제 15도(a)에 있어서, 예컨대, 무선국(200-2)의 일차맵은, 슬롯번호{5,6}로 구성되고, 무선국(200-3)의 일차맵은, 슬롯번호{3,4,6}로 구성되는 것이 이해가능하다.
제 16도는, 제 5실시예에 관한 무선시스템 중의 무선국에서 실행되는 송신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오챠트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 관한 무선국은, 자기의 타임슬롯에 있어서, 슬롯번호나 데이터본체 외, 자기의 일차맵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다.
제 3실시예나 제 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무선국(200)은, 우선, 1주기만큼 즉 TsㆍNmax의 기간만큼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1601). 무선국의 제어부(102)가, 직접 통신이 가능한 다른 무선국이 모두 통신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스텝 1602에 있어서 노(No))에는, 제어부(102)는, 자기의 슬롯번호(Nt=1)로 결정하고(스텝 1603), 자기의 일차맵(이 경우에는, 「비어있음」) 및 슬롯번호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부가한 송신데이터를 작성하여(스텝 1604), 슬롯(Ts) 중에, 스텝(1604)에서 작성한 송신데이터를 송신한다(스텝 1605).
이것에 대해서, 제어부(102)가, 직접통신가능한 다른 무선국의 어느 하나가 통신 중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스텝 1602에 있어서 예스(Yes))에는, 제어부(102)는, 통신 중인 전체에서의 타국의 송신개시시각을 산출함과 아울러, 수신한 신호에서, 그 슬롯번호 및 일차맵을 취득한다(스텝 1606). 다음으로, 취득한 슬롯번호에 기초하여, 자기의 일차맵 작성함과 아울러, 취득한 일차맵에 기초하여, 자기의 이차맵을 작성한다(스텝 1607).
다음으로, 제어부(102)는, 작성한 일차맵 및 이차맵의 총계리스트를 작성하고, 자기자신의 타에 영향을 주는 슬롯번호를 얻어서, 그 이외의 번호를 빈 슬롯으로서 취득한다(스텝 1608).
예컨대, 제 15도(a)의 무선국(X)은, 스텝 1606에 있어서, 슬롯번호(3), (4) 및 (6)이 얻어지기 때문에, 무선국(X)자신의 일차맵{3, 4, 6}이 작성된다. 또한, 슬롯번호(6)의 무선국(200-1)의 일차맵{3}이며, 슬롯번호(3)의 무선국(200-2)의 일차맵은{5, 6}이고, 게다가, 슬롯번호(4)의 무선국(200-4)의 일차맵은 {5, 6}이기 때문에, 무선국(X)자신의 이차맵은, 취득한 일차맵의 요소의 총계(OR), 즉, {3} + {5, 6} + {5, 6} = {3, 5, 6}으로 된다.
여기서, 미리 각 무선국에 의해 알려져 있는 최대슬롯수(Nmax)=6이면, 상기 무선국(X)자신의 일차맵{3, 4, 6} 및 이차맵{3, 5, 6}으로 고려하여, 무선국(X)의 제어부(102)는, 자기자신이 타에 영향을 주는 슬롯번호가, {3, 4, 6} + {3, 5, 6} = {3, 4, 5, 6}이고, 그 결과, 사용가능한 슬롯번호는, 1 혹은 2인 것을 알았다. 이와같이 하여, 타에 영향을 주는 슬롯번호 이외의 번호를 빈 슬롯으로 할 수 있다.
혹은, 제 15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국(200-4)에서는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즉, 무선국(X)은, 무선국(200-4)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 무선국(X)자신의 일차맵{3, 6}으로 된다. 또한, 슬롯번호(6)의 무선국(200-1)의 일차맵은 {3}이고, 슬롯번호(3)의 무선국(200-2)의 일차맵은 {5, 6}이기 때문에, 무선국(X)자신의 이차맵은 {3, 5, 6}로 된다. 이 때문에, 자기자신이 타에 영향을 주는 슬롯번호는, {3, 6} + {3, 5, 6} = {3, 5, 6}이고, 그 결과, 사용가능한 슬롯번호는, 1, 2 혹은 4인 것을 알았다.
빈 슬롯이 없는 경우(스텝 1609에서 노(No))에는, 스텝1606으로 되돌아오고, 어느 무선국의 통신이 종료하기까지 스텝 1606 내지 1609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것에 대해서, 빈 슬롯이 있는 경우(스텝 1609에서 예스(Yes))에는, 어느 빈 슬롯번호 (Ntx)를 자기의 슬롯번호(Nt)로 결정한다(스텝 1610). 다음으로, 결정된 슬롯번호의 송신개시시각을 산출하지만, 이것은, 제 11도의 스텝 1106이나 제 12도이 스텝1210에서 이용한 것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타국의 슬롯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자기의 슬롯의 개시시각을 결정한 후에, 스텝 1610에서 결정된 슬롯번호 및 1607에서 작성한 일차맵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부가된 송신데이터를 작성하여(스텝 1612), 스텝1611에서 산출한 자기의 슬롯개시시각(Tts)에, 스텝 1612에서 작성한 송신데이터를 송신한다(스텝 1613). 이것에 의해, 슬롯(Ts)마다, 슬롯번호 및 일차맵이 부가된 송신데이터가, 상대목적지인 무선국에 송신된다. 또한, 제 15도(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새로이 무선국 (Y)이, 새로이 통신을 이루고자하는 경우에, 무선(Y)의 일차맵은, {4, 5}이고, 또한, 이차맵은 {1, 3, 4, 5}으로 된다. 따라서, 사용가능한 슬롯번호는, 2 또는 6으로 된다. 여기서, 무선국(Y)이 슬롯번호(6)를 사용하여, 대응하는 타임슬롯에서 송신을 실행하면,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두개의 무선국(200-1) 및 무선국(Y)이, 동시에 전파를 송출하는 것으로 된다. 그러나, 이 시스템 중에서, 상기 두개의 무선국의 쌍방에서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국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충돌은 생기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자기가 직접 통신가능한 타국에서 통신가능한 타국(「이차국」으로 일컫는다)에 있어서 사용되는 슬롯번호를, 이차맵을 작성하는 것에 의해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자신이 충돌 등 타에 영향을 주는 타임슬롯을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대해 설명을 한다. 상기 제 5실시예에서는, 자기가 직접 통신가능한 타국 및 그 이차국의 상황을 고려하여, 충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있지만, 예컨대, 제 15도(d)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국(200-1) 및 무선국(200-5)의 쌍방과 통신가능한 새로운 무선국(Z)이, 새로이 타임슬롯을 확보하고자 하면, 무선국(Z)은, 두개의 무선국으로부터 동일한 타임슬롯의 전파를 받아버리기 때문에, 충돌이 생긴다. 이 때문에, 무선국(Z)에서는, 올바른 타임슬롯번호를 아는 것이 불가능하고, 무선통시시스템자체가 적절하게 기능하지 않게 된다. 상기 문제점은, 일차맵, 이차맵에 더해져서, 이차국에서 통신가능한 타국(「삼차국」으로 일컫는다)에 있어서 사용되는 슬롯번호를 파악하기 위한 삼차맵을 작성하는 것에 의해 해결된다. 제 17도는, 제 6실시예에 관한 무선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제 17도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무선국(300)에는, 제 14도에서 나타내는 제 5실시예에 관한 무선국(200)의 맵메모리(120) 중에, 다시, 삼차맵(126)이 부가되고 있다. 이 삼차맵(126)은, 다른 무선국의 이차맵의 총계리스트이다.
제 19도는, 제 6실시예에 관한 무선국에서 실행되는 송신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오챠트이다. 이 플로오챠트는, 무선국이, 자기의 타임슬롯에 있어서, 슬롯번호, 데이터본체 및 자기의 일차맵에 더해서 이차맵을 송신하는 점, 및 무선국에 있어서 삼차맵이 작성되는 점을 제외하고, 제 16도에서 나타내는 플로오챠트와 마찬가지이다.
제 19도에 있어서, 스텝 1901, 1902는, 제 16도의 스텝1601, 1602에 대응한다. 스텝 1902에 있어서 노(No)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어부(102)는, 자기의 슬롯번호(Nt)=1로 결정하고(스텝 1903), 자기의 일차맵 및 이차맵(이 경우에는, 모두「비어있음」) 및 슬롯번호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부가한 송신데이터를 작성하여(스텝 1904), 슬롯(Ts) 중에, 작성된 송신데이터를 송신한다(스텝 1905). 이것에 대하여, 스텝 1902에 있어서 예스(Yes)라고 판단된 경우에, 제어부(102)는, 통신 중인 전체에서의 타국의 송신개시시각을 산출함과 아울러, 수신한 신호로부터, 그 슬롯번호, 일차맵 및 이차맵을 취득한다(스텝 1906). 다음으로, 취득한 슬롯번호에 기초하고, 자기의 일차맵을 작성함과 아울러, 취득한 일차맵 및 이차맵에 기초하여, 자기의 이차맵 및 삼차맵을 작성한다(스텝 1907). 다음으로, 제어부(102)는, 작성한 일차맵 내지 삼차맵의 내용의 총계를 가지고서, 빈 슬롯을 찾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제 18도(a)의 무선국(W)에 관하여, 무선국(W)자신의 일차맵{4, 5}이 얻어진다. 또한, 슬롯번호(5)의 무선국(300-3)의 일차맵은 {3, 4}, 이차맵은 {1, 5, 6}이고, 또한, 슬롯번호(4)의 무선국(300-4)의 일차맵은 {1, 5}, 이차맵은 {3, 4, 6}이다. 따라서,
무선국(W)의 이차맵= {3, 4} + {1, 5} = {1, 3, 4, 5}
무선국(W)의 삼차맵= {1, 5, 6} + {3, 4, 6} = {1, 3, 5, 6}
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하지 말아야할 슬롯번호는, {1, 3, 4, 5} + {1, 3, 5, 6} = {1, 3, 4, 5, 6}로 된다. 최대 슬롯수(Nmax)=6이다라고 하면, 사용가능한 슬롯번호는, 2만인 것을 알았다.
빈 슬롯의 검출(스텝 1908) 후의 처리(스텝 1909 내지 1913)는, 제 16도의 스텝(1609) 내지 (1613)에 대략 대응한다. 또한, 스텝 1912에 있어서는, 슬롯번호, 일차맵에 더해서 이차맵이 부가되는 송신데이터가 작성되고, 그 후에, 작성된 데이터가 송신된다.
이와 같이 삼차맵을 작성하므로써, 이차국뿐만 아니라 삼차국에서 사용되는 슬롯번호를 파악하므로써, 제 18도(b)와 같이, 새로운 무선국(Z)이 새로이 타임슬롯을 확보하도록 하는 경우에도, 무선통신시스템은 적절하게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제 1실시예 혹은 제 2실시예에서 사용되는, DS방식에서 프리앰블 및 데이터본체로 이루어지는 조를 반복하여 송신하는 방법과, 제 3실시예에서 이용한 TDMA통신방식을 이용한 코드레스 전화장치에 대해 설명을 한다.
제 20도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관한 코드레스 전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코드레스 전화장치(400)에서는, 두개의 외선(외선1, 외선2)으로 접속가능하고, 신국(402)과, 복수, 예컨대, 두개의 자국(404-1), (404-2)로 구성된다. 신국(402)은, 터미널어댑터(TA)를 포함하는 디지털전화장치(410)와, 무선통신장치(412)를 구비하고 있다.
디지털전화장치(410)는, 소위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등의 복수의 디지털의 외선을 통해서 다른 전화장치와의 접속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디지털전화장치(410)의 구성은 주지되어 있기에 설명은 생략한다. 신국(402)의 무선통신장치(412) 및 자국(404-1), (404-2)의 구성은, 제 10도에서 나타내는 무선통신장치의 것과 거의 마찬가지이다. 예컨대, 신국(402) 및 두개의 자국(404-1), (404-2)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타임슬롯의 수는, 적어도 3개이면 좋다. 또한, 예컨대, 신국(402)의 슬롯번호를 1, 자국(404-1)의 슬롯번호를 2, 자국(404-2)의 슬롯번호를 3으로 미리 정하여 두면 좋다. 또한, 무선통신장치(412) 및 자국(404-1), (404-2)은, 각각, 제 11도에 나타내는 플로오챠트에 대략 기초하여 작동한다. 즉, 타국이 통신 중이 아니면, 임의의 타이밍으로 테이터를 송신하고(스텝 1103, 1104 참조), 그러한 한편, 타국이 통신 중이 아니면, 상기 타국의 개시시각이나 슬롯번호에 기초하여, 자기의 슬롯의 개시시각을 산출하여, 소정의 타이밍으로 데이터를 송신한다(스텝 1105 내지 1108 참조).
이 실시예에 의하면, 단일한 주파수(제 14도의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F1 참조)에서 신국과 복수의 자국과의 사이의 통신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국에 단일한 무선통신장치를 설치하면 좋다. 종래의 다회선코드레스 전화를 실현하는 경우에는, FDMA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각 회선을 확보하고 있다. 즉, 각 자국에 주파수를 할당하고 있기 때문에, 자국의 수만큼 무선통신장치를 설치하고 또한, 무선통신장치의 각각과 안테나와의 사이를 보존하는 안테나공유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안테나공유장치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무선통신장치의 수도 삭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미리 타임슬롯의 수를 충분히 크게 가지고 있으면, 간단하게 자기(子機)를 증설할 수 있다.
최후에, 상기 실시예의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회선사용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포함되는 무선통신장치의 정보처리능력이 이미 알고 있는 경우에는, 송신원의 무선통신장치가, 직전에 전송한 정보량과 송신목적지의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의 처리속도에 기초하여, 송신목적지에서의 처리시간을 예측하여, 송신원에 있어서, 다음의 전송의 개시시각을 조정한다.
일반적으로, 제 21도에 있어서, 전송원의 무선통신장치(500-1)에 있어서의 정보생성속도(Vi)가, 송신목적지의 무선통신장치(500-2)에 있어서의 정보처리속도 (Vo)보다 적어도 작지 않고, 또한, 회선의 전송속도(Vp)가, 송신원의 무선통신장치 (500-1)에 있어서의 정보생성속도(Vi)보다 고속인 경우에는, 송신목적지의 무선통신장치(500-2)에 FIFO 등의 버퍼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정보생성속도(Vi) 및 전송속도(Vp)가, 정보처리속도(Vo)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고속이기 때문에, 처리속도버퍼의 용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장치 사이에서 소위 흐름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정보의 전송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열의 길이와 전송목적지의 무선통신장치의 처리속도에 기초하여, 전송목적지에서의 처리종료시각을 예측하여, 처리종료시각에 맞추어서, 다음의 데이터열을 송출한다. 이것에 의해, 흐름제어를 위한 제어정보의 전송을 회피할 수 있고, 또한, 전송로의 자기의 점유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전체로서 회선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실시예 내지 제 7실시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흐름제어를 위한 제어정보의 전송을 회피하고, 또한, 전송로의 자기의 점유율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각종의 변경이 가능하고, 이들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컨대, 상기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 및 장치는, SS방식을 채용한 전체에서의 무선통신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있어서는, 일차변조로서 QPSK변조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8-PSK, DPSK, PSK, FSK 등 다른 변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차변조(확산)를 위한 PN부호계열은, M계열나 Gold부호계열 등 이미 알고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또한, 제 3실시예 내지 제 6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실시예 혹은 제 2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을 이용한 TDMA방식의 무선통신장치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 1실시예나 제 2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 혹은 장치를, FDMA 등 다른 방식의 것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한편, 제 3실시예 내지 제 6실시예에 기재된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제 1실시예 혹은 제 2실시예에서 설명한 수법을 반듯이 이용할 필요는 없다. 즉, 종래의 무선통신장치와 마찬가지로, 신호가 작성되고, 또한, 수신회로가, 반송파 추적이나 기호 추적을 행하여 두어도 좋다.
게다가, 제 5실시예에서는, 무선통신장치가, 일차맵 및 이차맵을 사용하여, 자기가 사용하는 타임슬롯을 확보하고, 또한, 제 6실시예에서는, 무선통신장치가, 이들에 더해져서 삼차맵을 사용하여, 자기가 사용하는 타임슬롯을 확보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사차이상의 맵을 작성하여도 좋은 것은 분명하다.
또한, 제 7실시예에 있어서는, 무선통신장치 및 자국에, 미리 자기가 사용하는 타임슬롯의 슬롯번호가 할당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제 4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장치 혹은 자국이, 사용가능한 타임슬롯을 확보하여도 좋다. 또한, 제 5실시예나 제 6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장치가, 일차맵이나 이차맵을 이용하여, 사용가능한 타임슬롯을 확보하여도 좋다.
게다가, 상기 제 4실시예 내지 제 6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신 중인 타국이 사용하는 타임슬롯의 개시시각을 산출하고 있지만, 개시시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료시각이어도 좋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방법에는 반드시 물리적 수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각 수단의 기능이,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된다. 게다가, 한개의 수단의 기능이, 두개이상의 물리적 수단에 의해 실현되어도, 혹은, 두개이상의 수단의 기능이, 한개의 물리적수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무선모뎀, 무선LAN(Local Area Network) 등 무선통신시스템 외, 휴대전화나 모바일단말 등으로 이루어지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디지털코드레스 전화나 인터폰 등에 응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송신하고자하는 데이터를 일차변조 및 확산하는 것에 의해 변조된 신호를 작성하여 송신하는 송신회로와, 수신한 신호를 역확산 및 복조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를 얻는 수신회로를 구비한 스펙트럼 확산을 이용한 무선통신장치로서,
    송신하고자하는 데이터를, 각각이 소정의 길이의 복수의 데이터열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작성회로와,
    상기 데이터열을 받아들여서, 소정의 프리앰블 및 상기 데이터열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의 조를 작성하는 데이터작성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회로가, 상기 프리앰블 및 상기 데이터열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의 조를 반복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수신회로가, 수신한 신호 중, 상기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부분을 이용하여 동기포착을 실현하는 동기포착회로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2. 송신하고자하는 데이터를 일차변조하는 일차변조회로 및 데이터를 확산하는 확산회로를 보유하고, 변조된 신호를 작성하여 송신하는 송신회로와, 수신한 신호를 역확산하여 복조하는 것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복원하는 수신회로를 구비한 스펙트럼 확산을 이용한 무선통신장치로서,
    송신하고자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버퍼와,
    데이터송신에 있어서, 프리앰블을 작성하여, 이것을 일차변조회로에 출력하고, 또한, 프리앰블의 출력 후에, 소정의 길이의 데이터열을 버퍼로부터 판독하여, 이들을 일차변조회로에 출력하는 입력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회로가, 상기 입력프로세서로부터 공급된 상기 프리앰블 및 상기 데이터열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의 조를 반복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수신회로가, 수신한 신호 중, 상기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부분을 이용하여 동기포착을 실현하는 동기포착회로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열의 길이가, 송신회로에서 이용되는 클럭의 주파수와, 송신목적지의 수신회로에서 동기를 위해 이용되는 것으로 예상되는 클럭의 주파수의 오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열의 길이가, Tsyn/(2ㆍdT)
    (dT=|1/Ftx-1/frx |, Tsyn=1/Ftx, Ftx:송신회로에서 이용되는 클럭의 주파수, Frx:수신회로 예상되는 클럭의 주파수)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5. 송신하고자하는 데이터를 일차변조하는 일차변조회로 및 데이터를 확산하는 확산회로를 보유하고, 변조된 신호를 작성하여 송신하는 스펙트럼 확산을 이용한 송신장치로서,
    프리앰블을 작성하여, 이것을 일차변조회로에 출력하고, 또한, 프리앰블의 출력 후에, 소정의 길이의 데이터열을, 송신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버퍼로부터 판독하여, 이들을 일차변조회로에 출력하는 입력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프로세서로부터 공급된 상기 프리앰블 및 상기 데이터열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의 조를 반복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6. 프리앰블 및 데이터열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의 조를 일차변조 및 확산하는 것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신호를 역확산 및 복조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를 얻는 스펙트럼 확산을 이용한 수신장치로서,
    수신한 신호 중, 상기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부분을 이용하여 동기포착을 실현하는 동기포착회로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7. 송신하고자하는 데이터를 일차변조하는 일차변조회로 및 데이터를 확산하는 확산회로를 보유하고, 변조된 신호를 작성하여 송신하는 스펙트럼 확산을 이용한 송신방법으로서,
    데이터송신에 있어서, 프리앰블을 작성하여, 이것을 일차변조회로에 출력하는 스텝과,
    프리앰블의 출력 후에, 소정의 길이의 데이터열을, 송신하고자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버퍼로부터 판독하여, 이들을 일차변조회로에 출력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프로세서로부터 공급된 상기 프리앰블 및 상기 데이터열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의 조가 반복하여 송신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8. 프리앰블 및 소정의 길이의 데이터열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의 조를 일차변조 및 확산하는 것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신호를 역확산 및 복조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를 얻는 스펙트럼 확산을 이용한 수신방법으로서,
    수신한 신호 중, 상기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부분을 이용하여 동기포착을 실현하는 스텝과,
    상기 데이터열에 대응하는 부분을 역확산 및 복조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를 복원하는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방법.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고, 또한, TDMA를 이용하여 소정의 타임슬롯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하는 무선통신장치로서,
    통신 중인 타국이 사용하고 있는 타임슬롯의 번호를 취득하는 타임슬롯번호 취득회로와,
    상기 타임슬롯의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와,
    취득한 타임슬롯의 번호 및 그 시간에 기초하여, 자기의 타임슬롯의 개시시각을 산출하는 개시시각 산출회로를 구비하고, 산출된 개시시각에, 자기의 타임슬롯의 번호 및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의 타임슬롯이, 미리 할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추가로, 취득한 타임슬롯의 번호에 기초하여, 빈 슬롯의 번호를 찾아내는 빈 슬롯검출회로를 구비하고, 찾아낸 빈 슬롯 중 어느 하나를 자기의 타임슬롯으로서 확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추가로, 통신 중인 타국의 타임슬롯의 번호의 리스트인 일차맵과, 상기 타국에서 취득된, 또 다른 국인 이차국이 사용하고 있는 타임슬롯의 번호의 리스트인 이차맵을 구비하고, 빈 슬롯검출회로가, 일차맵 및 이차맵 중의 리스트에 기초하여, 빈 슬롯의 번호를 찾아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추가로, 이차국에서 취득된, 또 다른 국인 삼차국이 사용하고 있는 타임슬롯의 번호의 리스트인 삼차맵을 구비하고, 빈 슬롯검출회로가, 일차맵, 이차맵 및 삼차맵 중의 리스트에 기초하여, 빈 슬롯의 번호를 찾아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하여,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무선통신장치 간의 송수신을 하는, TDMA를 이용한 통신방법으로서,
    일주기만큼의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과,
    타국이 통신 중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스텝과,
    타국이 통신 중인 경우에, 상기 타국이 사용하고 있는 타임슬롯의 번호 및 상기 타임슬롯의 시간을 취득하는 스텝과,
    취득한 타임슬롯의 번호 및 그 시간에 기초하여, 자기의 타임슬롯의 개시시각을 산출하는 스텝과,
    산출한 개시시각에, 자기의 타임슬롯의 번호 및 송신하고자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5. 제 9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선통신장치를 구비한 친기와, 각각이 제 9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선통신장치를 구비한 복수의 자기(子機)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코드레스 전화장치.
KR10-2000-7009059A 1998-02-17 1998-02-17 무선통신장치 및 통신방법 KR100390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8/000631 WO1999041867A1 (fr) 1998-02-17 1998-02-17 Equipement et procede de radio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1027A true KR20010041027A (ko) 2001-05-15
KR100390009B1 KR100390009B1 (ko) 2003-07-02

Family

ID=14207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059A KR100390009B1 (ko) 1998-02-17 1998-02-17 무선통신장치 및 통신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78586B1 (ko)
EP (1) EP1065819A4 (ko)
JP (1) JP3301618B2 (ko)
KR (1) KR100390009B1 (ko)
CN (1) CN1180554C (ko)
CA (1) CA2268975A1 (ko)
HK (1) HK1035619A1 (ko)
WO (1) WO19990418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59954C (zh) * 2003-05-20 2008-01-02 周锡卫 无线传输扩展编、解码方法
US20050002471A1 (en) * 2003-07-01 2005-01-06 Tramm Fred C. Systems and methods for low loss monolithic extremely high frequency quadra-phase shift key modulation
CN1571415A (zh) * 2003-07-17 2005-01-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封装数据流的方法
JP4779437B2 (ja) * 2004-05-31 2011-09-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4779438B2 (ja) * 2004-05-31 2011-09-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7620328B2 (en) * 2005-01-31 2009-11-17 Telcordia Technologies, Inc. Multi-wavelength optical CDMA with differential encoding and bipolar differential detection
EP3029846A3 (en) 2005-05-13 2016-08-17 Dspace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in a digital signal
US8576811B2 (en) * 2006-02-06 2013-11-05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abl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nodes of a multi-hop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12160826A1 (ja) * 2011-05-25 2012-11-29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伝送システム、無線伝送方法、無線通信装置
JP5895236B2 (ja) * 2011-10-12 2016-03-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光信号送信装置
US9960940B2 (en) * 2016-03-29 2018-05-01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shaping and adaptive rounding for O-QPSK and MSK transmission in polar coordinates
US11856542B2 (en) * 2021-08-05 2023-12-26 National Yang Ming Chiao Tung University System, tag and method of performing location tracking with ultra wideband (UWB)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5436A (en) * 1989-07-20 1992-04-14 Clarion Co., Ltd. Spread spectrum receiver
US5093841A (en) * 1990-01-30 1992-03-03 Nynex Corporation Clock acquisition in a spread spectrum system
JPH0793610B2 (ja) * 1993-06-14 1995-10-09 日本電気株式会社 タイムスロット割当て重複防止回路
EP0745290A4 (en) * 1994-02-17 1999-07-14 Micrilor Inc HIGH-SPE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JPH0884132A (ja) * 1994-09-09 1996-03-26 Canon Inc 符号分割多重通信装置
JPH08228171A (ja) * 1995-02-20 1996-09-03 Canon Inc 同期通信システム
JPH08237169A (ja) * 1995-02-24 1996-09-13 Hitachi Ltd プリアンブル同期方式
JPH09307951A (ja) * 1996-03-15 1997-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ペクトル拡散通信装置
JPH09298490A (ja) * 1996-04-30 1997-11-18 Yozan:Kk スペクトル拡散通信方式
JP3262219B2 (ja) * 1998-05-27 2002-03-04 エヌイーシー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同期引き込み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86846A (zh) 2001-03-07
HK1035619A1 (en) 2001-11-30
JP3301618B2 (ja) 2002-07-15
US6778586B1 (en) 2004-08-17
EP1065819A1 (en) 2001-01-03
CA2268975A1 (en) 1999-08-17
WO1999041867A1 (fr) 1999-08-19
CN1180554C (zh) 2004-12-15
EP1065819A4 (en) 2004-07-21
KR100390009B1 (ko)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6704A (en) SAWC phase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JP4112632B2 (ja) 固定分割率および可変拡散コード長を利用する多重率直接シーケンスアーキテクチュア
JP2526510B2 (ja) 無線デ―タ通信装置
KR100666165B1 (ko) 무선통신방법 및 무선통신 시스템
KR20010013556A (ko) 동기화장치, 동기화방법 및 동기화장치를 구비한통신시스템
KR100390009B1 (ko) 무선통신장치 및 통신방법
JPH0336830A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用受信装置
JPH0799487A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H09327072A (ja) Cdma通信方法及びスペクトル拡散通信システム
AU2001294864A1 (en) Hybrid spread-spectrum technique for expanding channel capacity
US6674790B1 (en) System and method employing concatenated spreading sequences to provide data modulated spread signals having increased data rates with extended multi-path delay spread
JPH0447726A (ja) スペクトル拡散通信方式
JPH07183829A (ja) 無線データ通信装置
KR100641067B1 (ko) 제 2 트랜시버와 통신하기 위한 트랜시버 및 방법과, 무선 전화 시스템
JPH10507323A (ja) Cpmスペクトル拡散通信の送信及び受信
AU20202279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dulating with Zadoff-Chu sequences
JP2004534418A (ja) 遠隔測定、トラッキング、および遠隔制御リンクを備えた衛星
JPH0964884A (ja) 通信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送信機、受信機
EP1610471A1 (en) Transmitter apparatus, receiver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method and program
EP0957591B1 (en) CDMA receiver with a reduced number of required high speed adders
JP2000101481A (ja) 周波数ホッピング方法および周波数ホッピング通信装置
JP2556141B2 (ja) スペクトル拡散通信方式
JP4032584B2 (ja) スペクトル拡散復調装置
JP4051818B2 (ja) Cdma伝送方式を用いた無線機
EP10875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radio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