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0377A - Builder's hoist - Google Patents

Builder's hoi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0377A
KR20010040377A KR1020007007989A KR20007007989A KR20010040377A KR 20010040377 A KR20010040377 A KR 20010040377A KR 1020007007989 A KR1020007007989 A KR 1020007007989A KR 20007007989 A KR20007007989 A KR 20007007989A KR 20010040377 A KR20010040377 A KR 20010040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
cab
side wall
platform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9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슈타인벡클라우스
타운센트에두아르트
뢰베하르트무트
콜크만프랑크
Original Assignee
헤르만 슈타인벡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바우마쉬넨파브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르만 슈타인벡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바우마쉬넨파브릭 filed Critical 헤르만 슈타인벡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바우마쉬넨파브릭
Publication of KR20010040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377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The invention relates to a builder's hoist, comprising a hoist platform, a hoist mast and a hoist cab which travels up and down said hoist mast. The aim of the invention is to provide a hoist of this type which is suitable for transporting people and loads as simply as possible. To this end, the hoist cab (13) consists of at least one cab base module (1) which has a carrying platform (2) and at least one side part, preferably a side wall (3), said side part being fixed to the carrying platform (2). In addition to the at least one fixed side wall (3), replaceable side wall sections (4, 5; 6, 7) and a roof covering (8) which is detachably arranged on the top face of the at least one fixed side wall (3) are provided.

Description

건축용 호이스트 {BUILDER'S HOIST}Construction Hoist {BUILDER'S HOIST}

건축용 호이스트는 여러가지 실시예로 공지되어 있다. 여러가지 상이한 프레임 구성의 건축용 호이스트는 사람 또는 화물(재료)을 운송하기 위해 이용되며, 적재물(사람 또는 재료)에 따라 호이스트 운전실의 구성에 상이한 요구 사항들이 제기된다. 따라서 재료를 운송하기에도 적합한 승객용 호이시트에는 통상적으로, 주행 동안 호이스트 운전실내에 있는 사람이 운전실 밖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그리고 프레임 등으로부터 떨어지는 물건에 맞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해서 도어 및 지붕으로 폐쇄된 호이스트 운전실이 설치된다. 순전히 화물용 호이스트에서는 상기와 같은 안전 측면이 별로 중요하지 않다. 화물용 호이스트는 통상적으로 부하용 램프를 갖춘 단 하나의 바구니 형태의 운전실을 포함하며, 물론 상기 방식의 화물용 호이스트는 사람을 운송할 목적으로 사용되어서는 안된다.Construction hoists are known in various embodiments. Construction hoists of various different frame configurations are used to transport people or cargo (materials), and different requirements are placed on the construction of the hoist cab depending on the load (persons or materials). Thus, passenger hoist seats, which are also suitable for transporting materials, typically include hoist cabs closed by doors and roofs to protect people in the hoist cab from falling out of the cab during driving and to prevent objects from falling off the frame or the like. Is installed. In a purely hoisted cargo hoist such safety aspects are not very important. Freight hoists typically include only one cab in the form of a cab with load ramps, of course the hoist for cargoes of this type should not be used to transport people.

DE-U 18 24 142호에는, 사람을 운송하는 호이스트로서 적합하게 둘레에 보호 격자가 설치된 건축용 호이스트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호이스트는 360° 만큼 회전 가능한 2개의 플랫폼을 포함한다. 상기 방식의 호이스트는 비록 화물용 호이스트로서도 사용될 수는 있지만, 다만 이 용도만을 위해서는 지나치게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DE-U 73 38 852호에는, 사람을 운송하기 위한 호이스트로서는 적합하지 않은, 순전히 화물용의 호이스트가 공지되어 있다. DE-U 84 12 972호에는, 호이스트 운전실 주위를 보호하는 벽이 선회 가능한 램프로 형성된, 건축용 호이스트를 위한 호이스트 운전실이 공지되어 있다.DE-U 18 24 142 is known for construction hoists with protective gratings arranged around the periphery as suitable hoists for transporting people. The hoist comprises two platforms rotatable by 360 °. The hoist of this type may be used as a cargo hoist, but too expensive for this purpose alone. In DE-U 73 38 852 a purely freight hoist is known which is not suitable as a hoist for transporting people. In DE-U 84 12 972, a hoist cab for a construction hoist is known, in which a wall protecting the surroundings of the hoist cab is formed of a rotatable lamp.

공지된 승객용 호이스트 및 화물용 호이스트의 이와 같은 병존은 결과적으로 2가지 상이한 타입의 건축용 호이스트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의미하며, 따라서 이러한 사실은, 특히 2종류의 호이스트가 동시에 필요치 않고 오히려 단 하나의 호이스트만이 필요한 경우에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가격도 비싸다.This coexistence of known passenger hoists and cargo hoists means that as a result two different types of building hoists must be provided, which in turn means that in particular two types of hoists are not needed at the same time and rather only one If only a hoist is needed, it is expensive and expensive.

본 발명은 호이스트 플랫폼(flatform), 호이스트 마스트(mast) 및 그 호이스트 마스트를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호이스트 운전실을 갖춘 건축용 호이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hoist having a hoist platform, a hoist mast and a hoist cab that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hoist ma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호이스트의 호이스트 운전실의 운전실 베이스 모듈의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b base module of a hoist cab of a building ho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램프로 형성된 측벽부의 사시도이며,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de wall portion formed of a lamp,

도 3은 망원경 형태의 도어로 형성된 측벽부의 사시도이고,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de wall portion formed of a telescopic door,

도 4는 지붕 커버의 사시도이며,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of cover,

도 5는 재료를 수송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호이스트의 사시도이고,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 hois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transporting material,

도 6은 사람을 운송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호이스트의 사시도이며,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 ho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ransporting a person,

도 7은 크기가 더 큰 호이스트 운전실을 갖춘, 마찬가지로 사람을 운송하기 위한 건축용 호이스트의 사시도이고,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struction hoist, likewise for carrying people, with a larger hoist cab;

도 8은 도 5 및 도 6에 따른 건축용 호이스트를 위한 호이스트 플랫폼의 사시도이며,8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ist platform for a building hoist according to FIGS. 5 and 6,

도 9는 도 7에 따른 건축용 호이스트를 위한, 크기가 더 큰 호이스트 플랫폼의 사시도이고,9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rger hoist platform for the construction hoist according to FIG. 7,

도 10은 사람을 운송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추가 건축용 호이스트의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rther construction hois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transporting a person.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뿐만 아니라 화물을 가급적 간단히 운송하기에 적합한 호이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ist suitable for transporting cargo as well as humans as simply as possibl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호이스트 운전실이 지지용 플랫폼 및 상기 플랫폼에 견고하게 조립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 바람직하게는 측벽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전실 베이스 모듈로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측벽 외에 대치 가능한 측벽부 및 적어도 하나의 고정 측벽의 상부면에 해체 가능하게 배치된 지붕 커버가 제공됨으로써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at the hoist cab consists of at least one cab base module comprising a support platform and at least one side part, preferably a side wall, which is rigidly assembled to the platform, in addition to at least one fixed side wall. It is achieved by providing a replaceable side wall portion and a roof cover removably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t least one fixed side wall.

따라서, 호이스트 운전실이 실제로 적어도 하나의 운전실 베이스 모듈로 구성된 모듈 구성 방식의 건축용 호이스트가 사용되며, 대치 가능한 측벽부를 교체하거나 완전히 제거하고 그리고 지붕 커버를 조립하거나 제거함으로써, 상기 운전실 베이스 모듈은 사용 목적에 따라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 승객용 운전실로부터 화물용 캐리어로 그리고 그 반대로 전환 설치될 수 있다.Thus, a hoist cab is actually a modular construction hoist consisting of at least one cab base module, and by replacing or completely removing replaceable sidewalls and assembling or removing the roof cover, the cab base module is suitable for use. It can thus be installed in the simplest way from a passenger cab to a cargo carrier and vice versa.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호이스트 모드를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해 호이스트 제어 회로와 접속될 수 있는 플러그가 지붕 커버에 설치된다. 지붕 커버가 설치된 경우에는 또한 동시에 상기 지붕 커버에 제공된 플러그가 호이스트 제어 회로와 접속되며, 상기 회로는 플러그가 사용된 경우에 호이스트가 승객 모드에 있다는 사실을 상기 제어 장치가 인식하도록 설계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경우에는 제어 장치가 자동으로 승객 모드로 변경되고, 지붕 커버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재료 수송 모드로 변경된다. 상기 모드에서는 바람직하게 블라인드 플러그가 사용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a plug is provided in the roof cover that can be connected with the hoist control circuit to automatically recognize the hoist mode. At the same time, when the roof cover is installed, the plug provided on the roof cover is also connected with the hoist control circuit, and the circuit is designed to recognize that the hoist is in the passenger mode when the plug is used. The control device is thu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passenger mode in this case and to the material transport mode if the roof cover is not installed. In this mode, blind plugs are preferably used.

순전히 화물용 기능을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대치 가능한 측벽부를 내부 및 외부로 선회 가능한 램프로 형성하는 것이 제안된다.For a purely cargo function, it is preferably proposed to form a replaceable sidewall portion as a ramp which can be turned inside and outside.

사람을 운송하기 위해서는, 대치 가능한 측벽부가 도어로서, 바람직하게는 망원경 형태의 도어로서 형성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대치 가능한 측벽부가 간단한 방식으로 조립 및 해체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프레임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이 간단히 운전실 베이스 모듈의 고정 측벽에 걸리거나 다른 방식으로 고정 측벽에 고정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적은 조립 비용으로도 전환 설치가 가능해진다.In order to transport a person, it is proposed that the replaceable side wall portion is formed as a door, preferably as a telescopic door. In this case, the replaceable side wall portion is formed so that it can be assembled and dismantled in a simple manner, preferably disposed in the frame, and the frame can simply be caught on the fixed side wall of the cab base module or otherwise fixed to the fixed side wall. As a result, switching installation is possible even at a low assembly cost.

더 큰 운송 부피를 갖는 호이스트 운전실이 필요한 경우에는, 호이스트 운전실이 서로 인접하여 고정된 적어도 2개의 운전실 베이스 모듈로 구성됨으로써 간단히 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개방된 2개의 각 단부에 대치 가능한 측벽부가 배치된다. 명백한 것은, 소정 크기의 운전실 베이스 모듈을 제공하는 것만이 요구된다는 것이며, 그로부터 필요에 따라 2개 또는 다수의 운전실 베이스 모듈의 조합에 의해서 상응하게 더 큰 운전실이 제작될 수 있다.If a hoist cab with a larger transport volume is required, this can be achieved simply by the hoist cab consisting of at least two cab base modules fixed adjacent to each other, in which case the sidewalls replaceable at each of the two open ends Is placed. Obviously, it is only necessary to provide a cab base module of a predetermined size, from which a correspondingly larger cab can be manufactured by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cab base modules as required.

상응하게 2개의 운전실 베이스 모듈로 구성된 호이스트 운전실을 승객용 운전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나란히 배치된 2개의 지붕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 제안된다. 그 경우에는 또한 다른 치수의 지붕 커버를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종래의 2개의 지붕 커버를 사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When a hoist cab corresponding to two cab base modules is used as the passenger cab, it is preferably proposed to provide two roof covers arranged side by side. In that case also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roof covers of different dimensions, rather it is sufficient to use two conventional roof covers.

특히 바람직한 것은, 호이스트 플랫폼을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해체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추가 프레임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2개의 베이스 모듈로 구성된 크기가 더 큰 운전실을 갖춘 호이스트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플랫폼의 크기가 간단한 방식으로 추가 프레임의 도움에 의해서 확대될 수 있다.Particularly preferred is to configure the hoist platform with one base frame and an additional frame which can be releasably fixed to the side of the frame. If a hoist with a larger cab consisting of two base modules is used, the size of the platform can be enlarged with the help of an additional frame in a simple manner.

호이스트 운전실의 상이한 크기 및 형상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상기 베이스 모듈 및 베이스 부품들(램프, 도어, 지붕 커버)로부터 모듈 방식으로 또한 추가의 조합 가능성들이 가능하다는 점이 확실하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추가로 설명할 필요가 없다.Further description is made here, since it is clear that further combination possibilities are possible in a modular manner from the base module and base parts (lamps, doors, roof covers) in order to reach the different sizes and shapes of the hoist cab. There is no need to do it.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또한, 호이스트 플랫폼 위에 있는 공간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호이스트 운전실의 구동 제어 장치와 접속된 장치를 호이스트 플랫폼 옆에 배치하는 것이 제안된다. 상기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광 배리어(light barrier),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외선 배리어로 형성된다. 상기 장치로 인해 호이스트 플랫폼의 주변 보호 장치가 없어도 되는데, 그 이유는 호이스트 플랫폼 상부에 있는 공간에 사람 혹은 사물의 존재 여부가 상기 장치에 의해서 모니터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하강 주행시 호이스트 운전실이 구동 제어 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제동되는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는다.In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it is also proposed to arrange a device connected with the drive control device of the hoist cab next to the hoist platform for monitoring the space above the hoist platform. The device is preferably formed with a light barrier, particularly preferably an infrared barrier. The device eliminates the need for peripheral protection of the hoist platform, since the presence of a person or object in the space above the hoist platform can be monitored by the device. This is not the case when the hoist cab is automatically braked by the drive control device during the downhill driving.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도면들은 각각 사시도로 도시되었다.The invention is explain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igures are each shown in perspective view.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호이스트는 실제로, 호이스트 운전실이 사용 목적에 따라 모듈 방식으로 특히 스탠더드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호이스트 운전실의 중요 부품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즉, 호이스트 운전실은 기본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운전실 베이스 모듈(1)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지지용 플랫폼(2) 및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지지용 플랫폼에 견고하게 조립된 2개의 측벽(3)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운전실 베이스 모듈(1)은 2개 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2개 측면은 운전실의 사용 목적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폐쇄될 수 있다.The construction hois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in fact characterized in that the hoist cab can be constructed in a modular fashion, in particular with standard part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Important parts of the hoist cab are shown in FIG. 1. That is, the hoist cab basically comprises at least one cab base module 1, which module is arranged to face the support platform 2 and at least one, preferably one another, and is rigidly assembled to the support platform. Consisting of two side walls 3. Thus, the cab base module 1 has two sides open, which can be closed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cab.

건축용 호이스트가 적재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이용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호이스트 운전실이 화물 캐리어로서 형성될 수 있고, 이 목적을 위해 운전실 베이스 모듈(1)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고정 측벽 사이에는 측벽부가 대치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부는 각각 프레임 부재(5)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측벽부(4, 5)는 간단한 방식으로 운전실 베이스 모듈(1)에 해체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확실하게 상이한 상기 고정 방식들은 전문가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포지티브 또는 넌-포지티브 결합 방식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프레임(5)은 거는(hanging) 방식으로 측벽(3)내에 고정되며, 자기 결합 방식, 나사 결합 방식 및 그 외의 방식들도 가능하다.If a building hoist is to be used for transporting load cargo, the hoist cab can be formed as a cargo carrier, and for this purpose the side walls can be replaced between the fixed side walls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of the cab base module 1. The side wall portions are arranged in the frame member 5, respectively. The side wall portions 4 and 5 thus formed can be removably fixed to the cab base module 1 in a simple manner, and the differently secured manners can b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expert, and in this specification, positive or non Positive bonding is possible. For example, the frame 5 is fixed in the side wall 3 in a hanging manner, and magnetic coupling, screwing and the like are also possible.

호이스트 운전실이 사람을 수송하기에 적합해야 하는 경우에는 운전실 베이스 모듈(1)에 다른 측벽부, 즉 바람직하게는 양측면에 망원경 형태의 슬라이드 도어(6)(도 3)가 하나씩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도 마찬가지로 프레임 부재(7)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측벽부(6, 7)는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이용되는 측벽부(4, 5)와 동일한 방식으로 운전실 베이스 모듈(1)에 해체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If the hoist cab is to be suitable for transporting people, a telescopic slide door 6 (FIG. 3) is provided on the cab base module 1, preferably on two side walls, preferably on both sides. Similarly, it is arranged in the frame member 7. The side wall portions 6 and 7 thus formed may be removably fixed to the cab base module 1 in the same manner as the side wall portions 4 and 5 used for transporting cargo.

호이스트 운전실을 사람을 수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에는 또한, 도 4에 도시된 지붕 커버를 호이스트 운전실에 설치하는 것이 제안된다. 상기 지붕 커버(8)는 프레임(9) 및 일종의 주름 지붕(10)을 포함한다. 지붕 커버(8)는 프레임(9)과 함께 간단한 방식으로 운전실 베이스 모듈(1)에 마찬가지로 해체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다만 고정 측벽(3)과의 결합에 의해서만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측벽의 수직 버팀대(3a) 내부에는 프레임(9)의 단부(9a)가 간단히 삽입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hoist cab is used for transporting people, it is also proposed to install the roof cover shown in FIG. 4 in the hoist cab. The roof cover 8 comprises a frame 9 and a kind of corrugated roof 10. The roof cover 8 can likewise be detachably fixed to the cab base module 1 with the frame 9 in a simple manner, preferably only by engagement with a fixed side wall 3, The end 9a of the frame 9 can simply be inserted into the vertical brace 3a of the side wall.

호이스트 모드를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해 지붕 커버(8)에는 호이스트 제어 회로와 접속가능한 플러그가 제공되며, 상기 플러그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건축용 호이스트가 사람을 수송하는 호이스트로 사용되고 그에 적합하게 지붕 커버(8)가 설치되면, 지붕 커버의 플러그가 예를 들어 박스 내부의 캐리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플러그가 호이스트 제어 회로와 접속된다. 상기 호이스트 제어 회로는, 호이스트가 사람을 수송하기 위한 호이스트로서 작동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호이스트 제어 장치가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에서 독자적으로 인식한 다음에 제어 장치를 자동적으로 승객용 모드로 변경하도록 설계된다. 호이스트가 적재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호이스트로서 사용되는 경우, 즉 지붕 커버없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관련 박스내에 블라인드 플러그가 삽입되고, 제어 장치는 자동적으로 재료 모드 또는 화물 모드로 변경된다.In order to automatically recognize the hoist mode, the roof cover 8 is provided with a plug connectable with the hoist control circuit, which is not shown in the figure. If a building hoist is used as a hoist for transporting people and the roof cover 8 is suitably installed therein, the plug of the roof cover is inserted into a carriage inside the box, for example, so that the plug is connected with the hoist control circuit. The hoist control circuit is designed to automatically change the control device to the passenger mode after the hoist control device independently recognizes that the hoist should be operated as a hoist for transporting people. If the hoist is used as a hoist for transporting load cargo, that is to say without a roof cover, a blind plug is inserted into the relevant box and the control devic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material mode or cargo mode.

재료를 운송하기 위한 건축용 호이스트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건축용 호이스트는 또한 통상적으로 호이스트 플랫폼(11) 및 호이스트 마스트(12)를 포함하며, 상기 호이스트 마스트를 따라 호이스트 운전실(13)이 적절한 방식으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호이스트 운전실(13)에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전동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운전실은 전동 장치에 의해서 호이스트 마스트(12)의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톱니 래크(toothed rack)를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도 5에 따른 실시예에서 호이스트 운전실(13)은 지지용 플랫폼(2), 고정된 측벽(3) 및 2개의 램프(4)(ramp)를 갖춘 운전실 베이스 모듈로 구성된다.A construction hoist for transporting materials is shown in FIG. 5. The building hoist typically also includes a hoist platform 11 and a hoist mast 12, along which the hoist cab 13 can move up and down in an appropriate manner. Accordingly, the hoist cab 13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t least one transmission, which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toothed rack, not shown in detail, of the hoist mast 12 by the transmission. .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5, the hoist cab 13 consists of a cab base module with a support platform 2, a fixed side wall 3 and two ramps 4.

도 6 은 사람을 수송하기 위한 건축용 호이스트를 보여준다. 도면에서 호이스트 운전실(13)은 2개의 측벽 사이에 각각 도 3 에 도시된 망원경식 형태의 슬라이딩 도어(6)를 가지며, 상기 도어는 프레임(7)과 함께 고정 측벽(3)에 해체 가능하게 고정된다. 호이스트 운전실(13)의 상부면에 있는 지붕 커버(8)는 폐쇄된다.6 shows a construction hoist for transporting people. In the drawing, the hoist cab 13 has a sliding door 6 in the form of a telescope, respectively, shown in FIG. 3 between two side walls, the door being removably fixed to the fixed side wall 3 together with the frame 7. do. The roof cover 8 on the top surface of the hoist cab 13 is closed.

도 7은 도 6에 따른 건축용 호이스트의 약간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 호이스트 운전실(13)은 2배의 크기로 형성되며, 이와 같은 형성은, 호이스트 운전실(13)이 나란히 배치되어 서로 고정된 2개의 운전실 베이스 모듈(1)로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개방된 측면은 각각 재차 도어(6)에 의해서 폐쇄된다.7 shows a slightly modified embodiment of the building hoist according to FIG. 6. In this embodiment, the hoist cab 13 is formed twice as large, and this formation is achieved in a simple manner by the hoist cab 13 being composed of two cab base modules 1 arranged side by side and fixed to each other. do. The two open sides in this embodiment are each closed by the door 6 again.

도 8에는, 단 하나의 운전실 베이스 모듈(1)로만 구성된 운전실을 갖춘 건축용 호이스트를 위한 호이스트 마스트(12) 및 호이스트 플랫폼(11)을 보여준다. 도면에서 호이스트 플랫폼(11)은 베이스 프레임(14)으로 구성된다.8 shows a hoist mast 12 and a hoist platform 11 for a building hoist with a cab consisting of only one cab base module 1. In the figure, the hoist platform 11 consists of a base frame 14.

도 9는, 2개의 운전실 베이스 모듈(1)로 구성된 운전실을 갖춘 건축용 호이스트를 위한 호이스트 플랫폼(11)을 확대하여 보여준다. 호이스트 플랫폼(11)은 또한 베이스 프레임(14) 외에 양측면에 추가 프레임(15)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 프레임은 베이스 프레임(14)에 해체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9 shows an enlarged view of a hoist platform 11 for a building hoist with a cab consisting of two cab base modules 1. The hoist platform 11 also includes additional frames 15 on both sides in addition to the base frame 14, which are removably fixed to the base frame 14.

도 10에는, 사람을 수송하기 위한 호이스트, 특히 소위 "시티-레일"로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호이스트의 추가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따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호이스트 운전실(13)은 마스트(12)에 접하는 단 하나의 고정 측벽(3)을 포함하며, 해체 가능한 다른 측벽은 프레임 부재(7)내에 배치된 망원경 형태의 도어(6)로 형성된다.In figure 10 there is shown a further variant of the building hoist according to the invention, which is used as a hoist for transporting people, in particular a so-called "city-rail". Unlike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6, the hoist cab 13 comprises only one fixed side wall 3 in contact with the mast 12, and the other removable side wall is a telescopic door arranged in the frame member 7. (6) is formed.

물론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기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른 형성예들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2배 크기의 호이스트 운전실(13)을 갖춘 화물용 호이스트가 실현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호이스트 운전실(13)이 (도 6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운전실 베이스 모듈(1)로 간단히 구성되며, 운전실의 양측면에 있는 개방 측면은 램프(4)에 의해 폐쇄된다. 그밖에 고정 측벽(3)은 또한 기둥 형태의 측면부로만 형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Other form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basic idea. For example, if a hoist for cargo with a double hoist cab 13 is to be realized, the two cab base modules 1 with the hoist cab 13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same way as in FIG. 6) are arranged. It is simply configured and the open side on both sides of the cab is closed by the lamp 4. In addition, the fixed side wall 3 may also be formed only by the columnar side portions.

Claims (8)

호이스트 플랫폼, 호이스트 마스트 및 상기 호이스트 마스트를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호이스트 운전실을 갖춘 건축용 호이스트에 있어서,A construction hoist having a hoist cab, a hoist mast and a hoist cab that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hoist mast, 상기 호이스트 운전실(13)은, 지지용 플랫폼(2) 및 상기 플랫폼에 견고하게 조립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 바람직하게는 측벽(3)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전실 베이스 모듈(1)로 구성되며,The hoist cab 13 consists of a support platform 2 and at least one cab base module 1 comprising at least one side part, preferably a side wall 3, which is rigidly assembled to the platform,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고정 측벽(3) 외에, 대치 가능한 측벽부(4, 5; 6, 7)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고정 측벽(3)의 상부면에 해체 가능하게 배치된 지붕 커버(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호이스트.In addition to the at least one fixed sidewall 3, replaceable sidewall portions 4, 5; 6, 7 and a roof cover 8 removably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t least one fixed sidewall 3 are provided. Construction hoist,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호이스트 모드를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해, 호이스트 제어 회로와 접속 가능한 플러그가 상기 지붕 커버(8)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호이스트.Building hoist, characterized in that a plug connectable with a hoist control circuit is provided on the roof cover (8) to automatically recognize a hoist mod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대치 가능한 측벽부가 내부 및 외부로 선회 가능한 램프(4, 5)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호이스트.The building hois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placeable side wall portion is formed of a lamp (4, 5) which can be turned inside and outsid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대치 가능한 측벽부가 도어(6, 7), 바람직하게는 망원경 형태의 도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호이스트.The replaceable side wall part is a building hois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door (6, 7), preferably a door in the form of a telescope.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호이스트 운전실(13)이 적어도 2개의 운전실 베이스 모듈(1)로 구성되고, 상기 모듈들은 서로 인접하여 고정되며,The hoist cab 13 consists of at least two cab base modules 1, the modules being fixed adjacent to each other, 2개의 개방된 단부에는 각각 대치 가능한 측벽부(4, 5; 6, 7)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호이스트.Building hoist, characterized in that two open ends are arranged with replaceable side wall parts (4, 5; 6, 7), respectively.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나란히 배치된 2개의 지붕 커버(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호이스트.Building hoist, characterized in that two roof covers 8 are provided arranged side by side.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상기 호이스트 플랫폼(11)이 베이스 프레임(14) 및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해체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추가 프레임(1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호이스트.Building hoist, characterized in that the hoist platform (11) consists of a base frame (14) and an additional frame (15) removably fixed to the side of the frame.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호이스트 플랫폼(11) 위에 있는 공간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호이스트 운전실(13)의 구동 제어 장치와 접속된 장치가 상기 호이스트 플랫폼(11) 옆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호이스트.Construction hoist, characterized in that a device connected with the drive control device of the hoist cab (13) is arranged next to the hoist platform (11) for monitoring the space above the hoist platform (11).
KR1020007007989A 1998-02-07 1999-01-27 Builder's hoist KR2001004037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802092U DE29802092U1 (en) 1998-02-07 1998-02-07 Construction elevator
DE29802092.0 1998-02-07
PCT/EP1999/000536 WO1999040016A1 (en) 1998-02-07 1999-01-27 Builder's hoi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377A true KR20010040377A (en) 2001-05-15

Family

ID=8052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989A KR20010040377A (en) 1998-02-07 1999-01-27 Builder's hoist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053203B1 (en)
JP (1) JP2002502790A (en)
KR (1) KR20010040377A (en)
AT (1) ATE225309T1 (en)
AU (1) AU2830499A (en)
DE (2) DE29802092U1 (en)
WO (1) WO199904001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63038B4 (en) * 1999-12-24 2005-01-27 Hermann Steinweg Gmbh & Co Kg Baumaschinenfabrik Bauaufzug
DE10058021C2 (en) * 2000-11-23 2002-10-24 Boecker Albert Gmbh & Co Kg Elevator with a platform that can be moved on a mast
EP2489622A1 (en) * 2011-02-16 2012-08-22 Scanclimber Oy Building hoist
JP5730357B2 (en) * 2013-07-30 2015-06-1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car
DE202014001106U1 (en) * 2014-02-06 2014-02-20 Geda-Dechentreiter Gmbh & Co. Kg Car for a lift
DE102015122682B4 (en) 2015-12-23 2018-11-29 Böcker Maschinenwerke GmbH Bauaufzug
EP3693317B1 (en) 2019-02-08 2022-11-30 KONE Corporation Elevator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338852U (en) * 1974-05-02 Linden Alimak Ab Freight elevator
DE1824142U (en) * 1960-07-14 1960-12-29 Aloys Zeppenfeld Fa QUICK ASSEMBLY ELEVATOR WITH TWO PLATFORMS THAT CAN BE 360 ° ROTATED.
DE8412972U1 (en) * 1984-04-27 1984-07-19 Ebbs & Radinger-Maschinenhandels- Und Erzeugungsgesellschaft Mbh, Wien LIFT FOR A CONSTRUCTION LIFT
DE8528810U1 (en) * 1985-10-10 1985-11-21 Albert Böcker GmbH & Co KG, 4712 Werne Freight platform for inclined elevators
SE9402025L (en) * 1994-02-21 1995-08-22 Alimak Ab Security and surveillance arrangements in a work platform system
DE4447424C2 (en) * 1994-02-22 1996-05-15 Zeppenfeld Aloys Gmbh Safety device for a construction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53203B1 (en) 2002-10-02
WO1999040016A1 (en) 1999-08-12
AU2830499A (en) 1999-08-23
EP1053203A1 (en) 2000-11-22
ATE225309T1 (en) 2002-10-15
JP2002502790A (en) 2002-01-29
DE59902922D1 (en) 2002-11-07
DE29802092U1 (en) 199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8789A (en) Overhead security door
EP2357147B1 (en) Loading wharf
EP3350374B1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to an area
JP2012517394A (en) Loading bay
KR20010040377A (en) Builder's hoist
GB9203576D0 (en) Lift trucks and extensible mast structures therefor
RU2353566C2 (en) Elevator with electric hardware built-in its roof
DE9417255U1 (en) Trucks with a lifting / lowering roof
IT201900006919A1 (en) LIFTING PLATFORM AND LIFTING SYSTEM INCLUDING THE LIFTING PLATFORM
ITMI20091887A1 (en) LIFTING SYSTEM WITH FACILITATED AND RELATIVE MAINTENANCE LIFT CABIN
KR20010040374A (en) Safety device for a builder's hoist
KR200261439Y1 (en) a control seat cover crane and tongs equipment of a crane and tongs car
JP2000016725A (en) Structure for elevator car
US20020117077A1 (en) Stor-temp containers
JP2563804B2 (en) Crane drive operation tower
GB9817279D0 (en) A hand actuated control device for the operating condition or situation of a displacing mast lift truck
SU713818A1 (en) Arrangement for loading cargo for loading cargo through window openings
EP1565624A1 (en) Access covers
KR950027479U (en) Heavy lifting lifter for cargo truck
TW375189U (en) Driving structure with the function of beads and rope for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screen
KR950016764U (en) Fire truck tarpaulin lifting device
DE29723075U1 (en) Car parking garage with swiveling lifting platform and gravitational parking boxes
DE9317548U1 (en) Small rail truck with telescopic lifting platform
KR970058337U (en) Hoist car access door safety device
JPH04133987A (en) Lighting device for elevator cage r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