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9988A - 녹발생증가가 적은 Ca 함유강 - Google Patents

녹발생증가가 적은 Ca 함유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9988A
KR20010039988A KR1020000058150A KR20000058150A KR20010039988A KR 20010039988 A KR20010039988 A KR 20010039988A KR 1020000058150 A KR1020000058150 A KR 1020000058150A KR 20000058150 A KR20000058150 A KR 20000058150A KR 20010039988 A KR20010039988 A KR 20010039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oxide
concentration
inclusions
equilibr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0249B1 (ko
Inventor
나베시마세이지
기시모토야스오
다케우치슈지
Original Assignee
에모토 간지
가와사키 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769195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3998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모토 간지, 가와사키 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모토 간지
Publication of KR20010039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2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64Dephosphorising; Desulfur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Ca함유강 중에 포함되는 CaO를 함유하는 산화물계 개재물 중 직경이 2㎛ 이상의 산화물계 개재물의 80% 이상에 대해서, 그 평형S용해량(%S)inc.이 0.03wt% 이하가 되도록 개재물 조성 및 강중의 S농도를 제어하므로서 Ca함유강에 있어서, 종래에 문제가 된 개재물에 기인한 녹발생의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Description

녹발생증가가 적은 Ca 함유강{RUST RESISTANT CALCIUM STEEL}
본발명은 녹발생증가가 적은 Ca함유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산화물계 개재물의 저융점화에 의한 클러스터(cluster)상의 거대 개재물의 생성이나 연속주조에서의 노즐막힘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산화물 개재물의 열간압연시에 있어서의 변형성을 저하시키기위해 용강중에 Ca(Ca 합금)를 첨가한 경우에 염려되는 강 중의 CaO를 함유한 산화물계 개재물에 기인한 제품표면에 있어서의 녹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Ca함유강이란 Ca를 5ppm 이상 함유하는 강을 말한다.
저탄소강이나 극저탄소강 등의 보통강 및 각종 스테인레스강, 특히 그들의 박강판에 있어서는 제품표면이 미려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들 강은 Al이나 Ti, Si 등에 의한 탈산에 의해 저탄소강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Al탈산이나 Ti탈산 후의 강중에는 통상 10∼80ppm정도의 산소량에 상당하는 Al2O3나 Ti산화물을 주로하는 산화물계 개재물이 불가피적으로 잔류한다.
이와같은 Al2O3나 Ti산화물을 주로하는 산화물계 개재물은 연속주조에 있어서, 턴디쉬(tundish)로부터 금형으로의 주탕처리에 사용되는 임머존노즐 (immersion nozzle)의 내벽에 부착퇴적하여 노즐의 폐색을 일으켜서 안정주조를 저해할 뿐만 아니라 막힘물의 박리 혼입에 의해 주편, 제품에 있어서의 개재물성 결함이 된다.
또 노즐의 막힘에 의해서 주형내의 용강유동에 편류를 초래하고, 주형내 탕면에 파우더가 말려들게 되는 원인이 된다.
다시또 Al2O3나 Ti산화물은 클러스터상으로 되어서 박강판의 표면부에 잔류하여 제품판에 줄무늬상 결함을 발생시켜서 표면의 미려함을 손상하는 원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Al2O3Ti산화물에 기인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알루미늄 탈산처리된 용강에 Ca를 첨가해서 CaO와 Al2O3로 된 산화물 조성으로하는 방법이 알려져있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1-276756호공보, 특개소 58-154447호공보, 특개평 6-49523호공보 등).
이 방법은 Ca의 첨가에 의해 Al2O3와 Ca를 반응시켜 CaO·Al2O3, 12CaO·7Al2O3, 3CaO·Al2O3등을 주성분으로한 저융점의 산화물을 형성시키므로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려고 하는 것이다.
한편 내HIC강이나 버링(burring)성이 요구되는 박판용강에서는 강중의 MnS가 내HIC특성이나 버링성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Ca를 첨가해서 MnS의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56-9317호공보).
그러나 용강중에 Ca를 첨가하면 이 Ca가 강중의 S와 반응해서 CaS를 형성하든가 이 CaS가 녹발생의 원인이 된다.
이점 일본국 특개평 6-559호 공보에서는 그러한 녹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강중에 잔류하는 Ca량을 5ppm 이상 10ppm 미만으로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으나 예를들어 Ca량을 10ppm 미만으로 해도 강중에 잔류하는 산화물조성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특히 개재물 중의 Ca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강중에 잔류하는 CaO함유 산화물의 주위에 CaS가 생성되고, 그것이 기점이 되어 녹이 생성된다.
그 결과 제품의 녹발생까지의 시간이 짧아져서 녹의 발생량이 증가하고, 제품의 표면성상의 열화를 부득이하게 한다.
본발명은 상술한바와 같이 노즐막힘의 방지, Al2O3나 Ti산화물의 무해화 및 황화물의 제어등을 목적으로해서 Ca를 첨가한 강에 있어서, 종래에 문제가 되어있든 개재물에 기인한 녹발생을 유리하게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비교예의 강괴 중의 개재물의 EPMA 측정결과를 도시하고;
도 2는 주조온도에서의 산화물의 평형S용해량(%S)inc.와 항온항습조 시험기(온도 :60℃, 습도 :95%)를 사용한 녹발생시험에서의 산화물주위의 녹발생확률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은 박강판중의 평균산화물 조성으로부터 구한 주조온도에서의 산화물의 평형S용해량(% S)inc.와 옥내폭로 녹발생시험(2주간, 평균기온 :18℃, 평균습도 : 62%)에서 박강판에 발생한 녹의 개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는 평형S용해량(%S)inc.과 산화물중의 CaO농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발명자등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강중에 잔류하는 CaO함유산화물계 개재물이 모두 그 주위에 CaS를 생성하고, 녹발생의 기점이 되는 것이 아니고, 그 조성에 의해서는 산화물중의 S의 용해도가 저하하여 온도저하시, 응고시에 있어서도 개재물 주위에서의 CaS의 생성이 적고, 녹발생의 기점이 되기 어려운 산화물도 존재한다고 하는 것을 새롭게 발견하였다.
본발명은 상기한 발견에 입각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Ca함유강중에 포함되는 CaO를 함유하는 산화물계 개재물중 직경이 2㎛ 이상의 산화물계 개재물의 80% 이상에 대해서, 그 평형S용해량(%S)inc.이 0.03wt% 이하가 되도록 개재물 조성 및 강중의 S농도를 제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발생증가가 적은 Ca함유강이다.
이 발명에 있어서, 평형S용해량(%S)inc. 으로서는 상기한 산화물계 개재물의 조성으로부터 계산되는 광학적 염기도, 주조온도, 및 강의 성분을 매개변수로 해서 하기식 (1)에 의해 계산되는 값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og(%S)inc.=(21920-54640Λ)/T+43.6Λ-23.9-log[aO]+log[wt%S] …(1)
여기서
T : 연속주조시의 주조온도(K)
[wt%S] : 강중의 S농도
[aO] : 연속주조시의 주조온도에서의 용강의 산소활량
·Al탈산시
log aO=(-64000/T+20.57-2log[wt%Al]-0.086[wt%Al]-0.102[wt%Si])/3
·Ti탈산시
log aO=(-60709/T+20.97-2log[wt%Ti]-0.084[wt%Ti])/3
단 Al, Ti 함유시는 aO가 적은쪽을 선택
Λ :산화물계 개재물의 광학적 염기도
Λ=1.0X(CaO)+0.605X(Al2O3)+0.61X(TiO2)+0.78X(MgO)+0.48X(SiO2)+
0.55X(Cr2O3)+0.59X(MnO) …(2)
X(MmOn) : 산화물의 양이온 등량
X(MmOn)=n×N(MmOn)/∑(n×N(MmOn)) …(3)
N(MmOn) :산화물의 몰분율
n :산화물중의 산소의 가수
다음에 본 발명을 완성시키는데 이른 실험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Ar분위기의 고주파용해로에서 극저 탄소강( C:0.0015∼0.0025wt%, Mn:0.15∼ 0.22wt%, P:0.008∼0.015wt%, S:0.002∼0.020wt%)를 Si탈산후 (Si:0.01∼2.0wt%), Al탈산 또는 Ti탈산, 또는 Al-Ti탈산한 후 Ca첨가(Fe-Ca, CaSi, Ca: 0.0005∼ 0.0040wt%)를 실시해서 산화물조성을 Al2O3, Ti산화물, Al2O3-Ti산화물, 또는 SiO2를 함유하는 산화물로부터 다시또 CaO를 함유하는 산화물로 제어했다.
이때 Al, Ti, Si 및 Ca의 농도를 변경하므로서 강중의 산화물 조성을 변경했다.
이 용강을 주조하여 강괴중에 있어서의 크기가 2㎛이상인 개재물에 대해서 그 조성 및 형태를 EPMA 및 SEM-EDX 로 조사했다.
또 이 강괴를 압연한 박강판으로부터 시험편을 채취하여 이 시험편을 항온항습조 시험기(온도 :60℃, 습도 :95%)에서 24시간의 폭로시험을 행했다.
그리고 폭로시험을 행한 시험편중의 개재물에 대해서도, 그 조성 및 형태를 EPMA, SEM-EDX로 조사하여 녹발생과 산화물조성의 관계를 구했다.
도 1에 강괴중의 개재물의 EPMA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동도면에 나타내는바와같이 저융점의 CaO농도가 높은 CaO-Al2O3개재물 (47wt%CaO-51wt%Al2O3-2wt%Ti2O3)에서는 개재물의 내부 및 주위에 CaS가 석출된 것에 대해 CaO농도가 낮은 CaO-Ti2O3-Al2O3개재물(23wt%CaO-28wt%Al2O3-47wt%Ti2O3)에서는 개재물의 내부 및 주위에 CaS가 거의 석출되지 않았다.
또 산화물중에 CaS가 석출되어 있는 강괴의 박강판에서는 녹발생량이 많고, 더구나 산화물을 기점으로 해서 녹이 생성되고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다른 강괴의 개재물 조성에 대해서도, 수많은 조사를 행하여 산화물조성과 CaS의 석출상태 및 녹발생상황 으로부터 검토를 거듭한 결과, CaO농도가 높은 즉 산화물의 광학적 염기도가 높을수록 산화물의 주위에 CaS가 석출하고, 녹발생의 기점이 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다시또 검토를 반복한 결과, CaS의 생성량, 녹발생량은 산화물의 황화물 용량이 크고, 더구나 주조온도에서의 용강의 산소활량이 적을수록 증가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여기서 최종적인 지표로서 산화물의 광학적 염기도와 Al 또는 Ti농도로부터 구해지는 주조시의 산소활량을 사용하여 D.J.Sosinsky등(D.J. Sosinsky and I,D. Sommerville, Met. Trans. B., 1986,Vol 17B, pp. 331-337)이 하기식 (1)에 의해 구한 주조온도에서의 산화물의 평형S용해량(%S)inc.을 지표로 해서 조사한 바, 그 값이 크게 될수록 산화물의 주위에 다량의 CaS가 생성되고, 그 결과 녹발생량이 증가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식중의 산화물의 광학적 염기도 Λ의값은 산화물의 조성으로부터 다음식 (2)로부터 J.A.Duffy등(J.A. Duffy and M.D.Ingram, J.Inor. Nuclear Chem., 1975,Vol. 37, pp.1203-1206)에 의한 각 산화물의 계수를 사용해서 구했다.
log(%S)inc.=(21920-54640Λ)/T+43.6Λ-23.9-log[aO]+log[wt%S]…(1)
여기서
T : 연속주조시의 주조온도(K)
[wt%S] : 강중의 S농도
[aO] : 연속주조시의 주조온도에서의 용강의 산소활량
·Al탈산시
log aO=(-64000/T+20.57-2log[wt%Al]-0.086[wt%Al]-0.102[wt%Si])/3
·Ti탈산시
log aO=(-60709/T+20.97-2log[wt%Ti]-0.084[wt%Ti])/3
단 Al, Ti 함유시는 aO가 적은 쪽을 선택
Λ :산화물계 개재물의 광학적 염기도
Λ=1.0X(CaO)+0.605X(Al2O3)+0.61X(TiO2)+0.78X(MgO)+0.48X(SiO2)+
0.55X(Cr2O3)+0.59X(MnO) …(2)
X(MmOn) : 산화물의 양이온 등량
X(MmOn)=n×N(MmOn)/∑(n×N(MmOn)) …(3)
N(MmOn) :산화물의 몰분율
n :산화물중의 산소의 가수
또한 개재물중의 Ti 산화물의 존재형태로서는 전술한 EPMA 측정결과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Ti2O3가 주성분이지만 (2)식에 의해 Λ를 계산하는 경우에는 이것을 TiO2로 환산해서 X(TiO2)를 산출해도 상관없다.
다음에 도 2에 (1), (2)식으로부터 구한 주조온도에서의 산화물의 평형S용해량(%S)inc.과 항온항습조 시험기(온도:60℃, 습도:95%)를 사용한 녹발생시험에서의 산화물 주위의 녹발생확률의 관계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같은 도면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산화물의 평형S용해량(%S)inc.이 크게됨에따라서 산화물 주위의 녹발생확률은 증가하고, 0.03wt%를 초과하면 급격히 녹발생확률이 증가한다.
녹발생시험전의 평형S용해량(%S)inc.이 0.03wt%를 초과하는 개재물의 주위에는 CaS가 발생하는 비율이 대단히 높다.
이것은 개재물의 주위에 생성된 CaS는 가수분해성 개재물로서 「철과 강 제57년 제13호 P.3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CaS + 2H2O → Ca(OH)2+ Ca(HS)2
Ca(HS)2+ 2H2O → Ca(OH)2+ 2H2S
라는 가수분해가 일어나고, 또 H2S의 해리에 의해 강의 부식이 촉진되었기 때문이다.
다음에 도 3에 시험편 박강판중의 평균 산화물조성으로부터 구한 주조온도에서의 산화물의 평형S용해량(%S)inc.과 옥내폭로 녹발생시험(2주간, 평균기온 :18℃, 평균습도 :62%)에서의 박강판의 점녹개수 개수의 관계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같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화물의 평형S용해량(%S)inc.이 크게됨에 따라서 강판에서의 점녹개수가 증가하고, 0.03wt%를 초과하면 점녹개수가 급격히 증가한다.
이와같이 강의 녹발생량은 개재물 주위에 있어서의 CaS의 발생에 크게 의존하고 있고, 한편 이 CaS의 생성에 대해서는 산화물계 개재물의 조성, 주조시의 온도, 및 용강산소활량으로부터 구해지는 주조온도에서의 산화물의 평형S용해량에 의해 평가할 수가 있고, 그 값이 0.03wt%를 초과하면 CaS의 생성량이 증가하고, 그 결과 현저하게 녹발생이 증가하는 것이 수많은 실험에 의해 해명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강중에 Ca(Ca합금)을 첨가한 Ca함유강이면 모두에 적합하고, 특히 고탄소강, 저탄소강 및 극저탄소강 등의 보통강 및 페라이트계, 마텐자이트계, 및 오스테나이트계의 스테인레스강 등에서 CaO를 포함하는 2㎛ 이상의 산화물계 개재물을 함유하는 강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가 있다.
여기서 Ca함유강이란 Ca농도가 0.0005wt%이상의 강을 가리킨다.
이와같은 Ca함유강에 있어서, Al탈산강에서는 CaO-Al2O3를 주성분으로 하는 산화물이, Ti탈산강에서는 CaO-Ti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산화물이, Al-Ti탈산강에서는 CaO-Al2O3-Ti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산화물이 각각 강중에 존재한다.
또 저Al 저Ti강에 있어서, Si탈산강에는 SiO2가, 고Mn강에는 MnO가, 스테인레스등의 고Cr강에는 Cr2O3가, Mg함유강에는 MgO가 각각 산화물 중에 함유되지만, 본 발명은 어느 산화물을 함유하는 복합산화물에 있어서도 적용가능하다.
또 기타의 불가피적 산화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5wt%)적용가능하다.
또 본발명에 있어서, 산화물계 개재물 중에서도 입자직경이 2㎛ 이상의 입자만을 대상으로한 이유는 입자직경이 2㎛미만의 미세입자의 경우 녹발생의 기점이 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여기서 입자직경이란 압연방향과 폭방향의 직경을 평균한 것을 말한다.
또한 입자직경이 2㎛ 이상인 산화물계 개재물에 대해서 그 모두를 상기한 것과 같은 조성범위로 할 필요는 없고, 적어도 80%이상의 산화물입자가 적정범위에 있으면 된다.
본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산화물계 개재물에 대해서 앞서의 (1)식으로 계산한 산화물의 평형S용해량(%S)inc.을 0.03wt% 이하로 되도록 개재물 조성 및 강중 S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지만 산화물의 조성은 탈산제의 선택, 첨가량의 변경 등에 의해 제어가능하다.
도 4는 평형S용해량(%S)inc.과 산화물중의 CaO농도의 관계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형S용해량(%S)inc.과 산화물중의 CaO농도의 관계는 강중 S농도나 탈산 수단의 차이에 의해 다소 변화하지만 어쨌거나 평형S용해량(%S)inc.이 0.03wt% 이하로 되도록 산화물중의 CaO농도를 제어하므로서 제품표면에 있어서의 녹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클러스터상의 거대개재물의 생성이나 연속주조에서의 노즐막힘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산화물계 개재물의 저융점화가 필요하며, 대략 산화물의 융점을 1650℃ 이하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클러스터상의 거대개재물의 생성방지, 연속주조에서의 노즐막힘의 발생방지 및 제품의 녹발생억제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산화물조성 및 강중 S농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연속주조시의 주조온도는 강의 응고온도에 추가해서 10∼80℃정도의 범위가 일반적이다.
실시예 1
전로출강후 300ton의 용강을 RH 진공탈가스장치에서 탈탄처리하여, 성분을 C:0.0020wt%, Mn:0.20wt%, P:0.015wt%, S:0.010wt%로 함과 동시에 온도를 1600℃로 조정했다.
이 용강중에 Al를 0.5kg/톤으로 첨가하여 용강중의 용존산소농도를 150ppm까지 저하시켰다. 이어서 이 용강에 70wt%Ti-Fe합금을 1.2kg/톤으로 첨가하여 탈산했다. 그후 용강중에 30wt%Ca-60wt%Si 합금와이어를 0.3kg/톤으로 첨가하여 성분조정을 행했다.
처리후의 Ti농도는 0.050wt%, Al농도는 0.002wt%, Ca농도는 15ppm이었다.
다음에 2스트랜드 슬래브 연속주조장치에서 주조를 행했다.
이때의 턴디쉬 내의 용강성분은 Ti농도는 0.050wt%, Al농도는 0.002wt%, Ca농도는 15ppm, S농도는 0.010wt%이며, 주조온도는 1560℃이었다.
Ar가스 분사없이 5회충전(charge) 연속주조후의 임머존노즐 내에는 부착물은 거의 없었다.
이 220mm 두께의 슬래브를 3.5mm까지 열간압연하고 이어서 0.8mm까지 냉간압연한후, 780℃에서 45초간의 소둔을 행했다.
이 제품코일의 성분은 Ti농도:0.040wt%, Al농도:0.001wt%, Ca농도:15ppm, S농도:0.010wt%이며, EPMA로 측정한 코일 중의 30개의 평균 산화물조성은 (CaO):20wt%, (Al2O3):20wt%, (TiO2):60wt% 이었다.
이것으로부터 주조온도에서의 [aO]=0.00076,산화물계 개재물의 광학적 염기도 Λ=0.634, [wt%S]=0.010wt% 가 되고, 앞서의 (1)식에 의해 구한 산화물의 평형S용해량(%S)inc.의 계산치는 0.0084wt%였다.
이 코일을 옥내폭로 녹발생시험(2주간, 평균기온:20℃, 평균습도:65%)을 실시하여 발생한 점녹개수를 측정한 바 20개/100cm2로서 Ca 무첨가의 Al탈산강과 동일한 수준이었다.
비교예 1
전로출강후 300ton의 용강을 RH 진공탈가스장치에서 탈탄처리하여, 성분을 C:0.020wt%, Mn:0.20wt%, P:0.015wt%, S:0.010wt% 로 함과 동시에 온도를 1600℃로 조정했다.
이 용강에 Al를 1.5kg/톤 첨가한 뒤 75wt%Ti-25wt%Fe 합금을 0.6kg/톤 첨가하여 탈산했다. 그후 용강에 30wt%Ca-60wt%Si 와이어를 0.4kg/톤 첨가했다.
처리후의 Ti농도는 0.050wt%, Al농도는 0.035wt%, Ca농도는 20ppm 이었다.
다음에 2스트랜드 슬래브 연속주조장치에서 주조를 행했다. 이때의 턴디쉬내의 개재물을 조사한 결과, 2wt%Ti2O3-52wt%CaO-46wt%Al2O3의 구상개재물이었다.
또 이때의 턴디쉬 내의 용강성분은 Ti농도는 0.050wt%, Al농도는 0.030wt%, Ca농도는 25ppm, S농도는 0.010wt%이며 주조온도는 1560℃이었다.
Ar가스 분사없이 5회충전 연속주조후의 임머존노즐 내에는 부착물은 거의 없었다.
이 슬래브를 3.5mm까지 열간압연하고 0.8mm 까지 냉간압연한 후, 780℃ 에서 45초간의 소둔을 행했다.
이 제품코일의 성분은 Ti농도:0.040wt%, Al농도:0.030wt%, Ca농도:20ppm, S농도:0.010wt%이며, EPMA로 측정한 코일중 30개의 평균 산화물조성은 (CaO):50wt%, (Al2O3):48wt%, (TiO2):2wt% 이었다.
이것으로부터 주조온도에서의 [aO]=0.00076, 산화물계 개재물의 광학적 염기도Λ=0.6667, [wt%S]=0.010wt% 가 되고, 앞서의 (1)식에 의해 구한 산화물의 평형S용해량(%S)inc.계산치는 0.106wt% 이었다.
이 코일을 옥내폭로 녹발생시험(2주간, 평균기온:20℃, 평균습도:65%)을 실시하여 발생한 점녹개수를 측정한 바 252/100cm2로서 Ca무첨가의 Al탈산강이나 실시예 1에 비하면 녹발생 개수의 현저한 증가를 초래했다.
상기와 같이 본발명에 의하면 Ca함유강에 있어서, 종래에 문제가 된 개재물에 기인한 녹발생의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Claims (4)

  1. Ca함유강 중에 포함되는 CaO를 함유하는 산화물계 개재물에 있어서, 이것의 평형S용해량(%S)inc.이 0.03wt% 이하가 되도록 개재물 조성 및 강중의 S농도를 제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발생증가가 적은 Ca함유강.
  2. 제 1항에 있어서,
    직경 2㎛ 이상의 산화물계 개재물의 80% 이상에 대해서 그의 평형S용해량(%S)inc.이 0.03wt%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발생증가가 적은 Ca함유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계 개재물의 조성으로부터 계산되는 광학적 염기도, 주조온도, 및 강의 성분을 매개변수로 하여 하기 식(1)에 의해 계산되는 값을 평형S용해량(%S)inc.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발생증가가 적은 Ca함유강.
    log(%S)inc.=(21920-54640Λ)/T+43.6Λ-23.9-log[aO]+log[wt%S] …(1)
    여기서
    T : 연속주조시의 주조온도(K)
    [wt%S] : 강중의 S농도
    [aO] : 연속주조시의 주조온도에서의 용강의 산소활량
    ·Al탈산시
    log aO=(-64000/T+20.57-2log[wt%Al]-0.086[wt%Al]-0.102[wt%Si])/3
    ·Ti탈산시
    log aO=(-60709/T+20.97-2log[wt%Ti]-0.084[wt%Ti])/3
    단 Al, Ti 함유시는 aO가 적은쪽을 선택
    Λ :산화물계 개재물의 광학적 염기도
    Λ=1.0X(CaO)+0.605X(Al2O3)+0.61X(TiO2)+0.78X(MgO)+0.48X(SiO2)
    +0.55X(Cr2O3)+0.59X(MnO) …(2)
    X(MmOn) : 산화물의 양이온 등량
    X(MmOn)=n×N(MmOn)/∑(n×N(MmOn)) …(3)
    N(MmOn) :산화물의 몰분율
    n :산화물중의 산소의 가수
  4. Ca함유강의 정련공정에 있어서, Ca함유강 중에 포함되는 CaO를 함유하는 산화물계 개재물에 있어서, 그 평형S용해량(%S)inc.이 0.03wt% 이하가 되도록 개재물 조성 및 강중의 S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함유강의 용제방법.
KR1020000058150A 1999-10-06 2000-10-04 녹발생증가가 적은 Ca 함유강 KR100700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547199A JP2001107178A (ja) 1999-10-06 1999-10-06 発錆増加の少ないCa含有鋼
JP11-285471 1999-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988A true KR20010039988A (ko) 2001-05-15
KR100700249B1 KR100700249B1 (ko) 2007-03-26

Family

ID=17691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150A KR100700249B1 (ko) 1999-10-06 2000-10-04 녹발생증가가 적은 Ca 함유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41123B1 (ko)
EP (1) EP1091005B1 (ko)
JP (1) JP2001107178A (ko)
KR (1) KR100700249B1 (ko)
CA (1) CA2322146C (ko)
DE (1) DE60035751T2 (ko)
TW (1) TW4605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8550B2 (en) 2002-02-15 2004-10-26 Nucor Corporation Model-based system for determining process parameters for the ladle refinement of steel
EA008841B1 (ru) * 2004-03-23 2007-08-31 Синтокоги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пресс-формы и используемая в нем металлическая пресс-форма
WO2013058131A1 (ja) * 2011-10-20 2013-04-25 新日鐵住金株式会社 軸受鋼とその製造方法
JP2016065319A (ja) * 2015-11-30 2016-04-2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鋼板の表面性状の評価方法および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KR101899691B1 (ko) * 2016-12-23 2018-10-31 주식회사 포스코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4447A (ja) 1982-03-10 1983-09-13 Sumitomo Metal Ind Ltd 浸漬ノズルの閉塞防止方法
JPS5935619A (ja) * 1982-08-18 1984-02-27 Sumitomo Metal Ind Ltd 溶接部靭性のすぐれた高張力鋼材の製造方法
JP2559692B2 (ja) 1985-05-31 1996-12-04 川崎製鉄株式会社 極低炭素冷延鋼板のフクレ欠陥防止方法
JP2928382B2 (ja) * 1990-11-28 1999-08-03 川崎製鉄株式会社 極低炭素アルミキルド鋼の連続鋳造方法
JPH06559A (ja) 1992-06-18 1994-01-11 Omron Corp プレス装置
JPH0649523A (ja) 1992-07-31 1994-02-22 Kawasaki Steel Corp 冷延用アルミキルド鋼の溶製方法
CA2123470C (en) * 1993-05-19 2001-07-03 Yoshihiro Yazawa Ferritic stainless steel exhibiting excellent atmospheric corrosion resistance and crevice corrosion resistance
JP2999671B2 (ja) * 1994-06-14 2000-01-17 川崎製鉄株式会社 Ca添加鋼の溶製方法
JP3430672B2 (ja) * 1994-10-18 2003-07-2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極低炭アルミキルド鋼の溶製方法
JP3626278B2 (ja) * 1996-03-25 2005-03-0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クラスターのないAlキルド鋼の製造方法
TW408184B (en) * 1997-09-29 2000-10-11 Kawasaki Steel Co Manufacturing method for producing Titanium killed steel with smooth surface tex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07178A (ja) 2001-04-17
EP1091005A2 (en) 2001-04-11
DE60035751D1 (de) 2007-09-13
CA2322146A1 (en) 2001-04-06
DE60035751T2 (de) 2007-12-06
EP1091005B1 (en) 2007-08-01
CA2322146C (en) 2008-12-30
KR100700249B1 (ko) 2007-03-26
US6841123B1 (en) 2005-01-11
TW460590B (en) 2001-10-21
EP1091005A3 (en) 200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9192B1 (ko) 표면성상이양호한티탄킬드강재및그의제조방법
WO1997036010A1 (fr) Procede de production d'acier calme a l'aluminium exempt d'agglomerats
CN114672728B (zh) 一种含稀土耐蚀钢及控制稀土含量和存在形态的方法
KR100233690B1 (ko) 극저탄소 냉간압연강판 제조 방법
KR100700249B1 (ko) 녹발생증가가 적은 Ca 함유강
JP3896650B2 (ja) 含Ti極低炭素鋼の製造方法
JP4780084B2 (ja) 表面性状の良好なチタンキルド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149867B2 (en) Low-carbon steel slab producing method
JP4510787B2 (ja) 磁気特性に優れたFe−Ni系パーマロイ合金の製造方法
CN109023021B (zh) 一种通过调控Al元素提高强韧性的钢板及其制造方法
JP3726562B2 (ja) 耐水素誘起割れ性に優れた鋼の溶製法
JP4107801B2 (ja) 磁気特性に優れたFe−Ni系パーマロイ合金の製造方法
JPS5817248B2 (ja) 低鉄損無方向性電磁鋼板
JP3928264B2 (ja) 含クロム鋼の溶製方法
JP7413600B1 (ja) Fe-Ni系合金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055252B2 (ja) 含クロム鋼の溶製方法
JPS6234801B2 (ko)
CN113699313B (zh) 一种含钛不锈钢的冶炼工艺
JPH0464767B2 (ko)
CN114752842B (zh) 一种降低薄板坯连铸产线开浇炉次中间包水口析出物的方法
JP3021736B2 (ja) 電磁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15652209B (zh) 650MPa级耐硫酸露点腐蚀用稀土钢及其制造方法
JP3653990B2 (ja) 超深絞り成形後の耐二次加工脆性が極めて良好な熱延鋼板
RU2068002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тали для автолиста
CN111471827A (zh) 控制冶炼硅钢中钛含量≤15ppm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