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9962A - 커넥터 단자 금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단자 금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9962A
KR20010039962A KR1020000057645A KR20000057645A KR20010039962A KR 20010039962 A KR20010039962 A KR 20010039962A KR 1020000057645 A KR1020000057645 A KR 1020000057645A KR 20000057645 A KR20000057645 A KR 20000057645A KR 20010039962 A KR20010039962 A KR 20010039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arms
terminal
electric wir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7612B1 (ko
Inventor
노로유타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9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6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deformable terminals, e.g. crimp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4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strain relief being achieved by molding parts around cable 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의 높이가 줄어들고, 전선의 파단 위험이 감소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선(Fc)들은 단자 금구(40)들의 아암부(42)의 선단에 위치하는 접속 부재(46)들 사이의 파지 압력에 의해 접속된다. 단자 금구(40)들이 커넥터 하우징(10)과 부착 상태에 있을 경우에, 한 쌍의 아암 부재(42)는 플랫 케이블(F)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다. 그 결과, 커넥터 하우징(10)의 높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선(Fc)들을 단자 금구(40)들과 연결시켜야 할 경우에는 단지 이들 전선(Fc)을 접속 부재(46)들 사이에 파지될 때까지 배포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접속이 발생되면, 전선(Fc)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들 전선(Fc)의 파손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커넥터 단자 금구 및 그 제조 방법{A CONNECTOR TERMINAL FITTING AND A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flat cable)용 커넥터,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이용되는 단자 금구(金具) 및 그러한 단자 금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허 공개 평11-26103호 공보에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서는, 하우징 내에 플랫 케이블의 단말(端末)을 수평으로 향하여 수용하고, 그 플랫 케이블의 전선을 전선 지지 부재의 상하 양면을 따라서 벤트 오버(bent-over)형(되접어 꺽은 형상)으로 배포하고, 그 전선의 벤트 오버형 배포 부분에 대하여, 단자 금구에 설치한 상하 한쌍의 아암부가 상하에서 탄성적으로 그 부분을 파지하도록 끼워 맞춘다. 이로써 전선과 단자 금구는 소정의 접촉압(접촉력)으로 접속된다.
종래의 커넥터는 전선 지지 부재를 파지하는 한쌍의 아암 부재가 하우징의 높이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하우징 내에 정렬되어 있었기 때문에, 하우징이 불필요하게 두꺼워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선을 전선 지지 부재를 따라서 되접고, 아암 부재들이 그 되접은 전선을 길이 방향을 따라서 마찰되도록 되어 있었다. 그 결과, 전선에는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전선이 가는 경우에는 파단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하우징의 높이를 낮추고 또 전선의 파단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하우징의 일부 절결 평면도.
도 3은 하우징의 정면도.
도 4는 커넥터를 이에 대응하는 커넥터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커넥터를 이에 대응하는 커넥터와 끼워 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하우징의 단면도.
도 7은 단자 금구의 사시도.
도 8은 단자 금구의 평면도.
도 9는 단자 금구의 제조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a는 전선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접속 부재의 부분 확대 평면도. 도 10b는 전선이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의 접속 부재의 부분 확대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F : 플랫 케이블
Fc : 전선
10 : 커넥터 하우징
40 : 단자 금구
41 : 아암부
42S : 아암부의 내측면
46 : 접속 부재
46A : 굽힘 최외측부의 모서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용의 길다란 단자 금구가 제공되는데, 이는 한쪽 단말(端末)에는 대응하는 단자 금구에 접속하기 위한 탭을 그리고 다른 쪽 단말에는 단자 금구의 신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아암의 단말들은, 사이에 전선을 탄성적으로 파지하도록 적용되는 와이어 접속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아암들의 자유 단부들을 상기 연신 방향과 대체로 직교하도록 하고 상기 아암들이 그 루트(root: 기단)로부터 선단까지 점차적으로 상호 접근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한 배열에 의해 단자들이 설치되어지는 커넥터의 높이는 특히 낮아지게 된다. 그러한 복수개의 단자는 횡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배열된 전선을 구비한 플랫(flat) 전기 케이블에 접속될 수 있다. 와이어들은 직각으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와이어의 삽입 공정 중에 와이어에는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며, 따라서 파손될 위험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종류의 단자 금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신장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아암부를 갖는 블랭크를 성형하고, 제1 아암을 영구적으로 변형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아암을 제2 아암을 향해 탄성 한계를 벗어나게 구부리며, 탄성 한계 내에서 상기 제1 아암을 상기 제2 아암으로부터 이격되게 구부림과 동시에 탄성 한계를 벗어나 상기 제1 아암을 향해 상기 제2 아암을 구부림으로써 상기 아암들의 선단들은 해방시 접촉하게 된다.
이 방법에 의해 아암들이 동시에 굽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아암들의 단말든은 상호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의 특징들은 첨부 도면에 단지 예시적으로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 후술하는 내용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랫(flat) 케이블용 커넥터(C)는 이에 대응하는 커넥터(A)에 끼워 맞춰지며, 플랫 케이블(F)에 접속되는 커넥터 하우징(10), 복수의 단자 금구(40: terminal fitting) 및 실드셸(30: shielding shell)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하 방향은 도 1, 도 3 내지 도 7을 기준으로 하고, 좌우 방향에 대해서는 도 3을 기준으로 하며, 전후 방향에 관해서는 도 2의 좌측을 전으로 한다.
커넥터 하우징(10)
커넥터 하우징(10)은 플라스틱(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높이가 낮으며, 상면에서 보아 거의 사각형을 이루는 동시에, 그 상면의 거의 전영역에 걸쳐 얕게 움푹 패인 형상을 하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10)의 전단벽부(11)에는 상측 및 전후 양방향으로 개방되는 복수 개의 오목한 홈(12)이 좌우로 일정 피치로 병렬하여 형성된다. 각 오목홈(12)의 하단부에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안내홈(13; 도 3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또, 커넥터 하우징(1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거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제1 중간벽부(14)에는 복수 개의 전선 수납홈(15)이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전선 수납홈(15)은 오목홈(12)과 상응하고, 상측 및 전후 양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각 전선 수납홈(15)의 상단부(상단 연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부상(浮上) 규제부(16)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부상 규제부(16)의 돌출 연부(edge)에는 전선(Fc)을 가이드하기 위한 유도 경사면(1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중간벽부(14)보다도 조금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중간벽부(18)에는 복수 개의 전선 지지홈(19)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 개의 전선 유지홈(19)은 좌우 방향으로 병렬되는 동시에 각 전선 수납홈(15)와 대응하고, 상측 및 전후 양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단벽부(20)에도 전선 수납홈(15) 및 전선 유지홈(19)과 대응하는 케이블 유지홈(21)이 상측 및 전후 양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단벽부(11)와 제1 중간벽부(14)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커넥터 하우징(10)의 좌우 양 내벽면에는 상측으로 개방된 전측 위치 결정 오목부(22)가 형성되고, 제2 중간벽부(18)와 후단벽부(20)의 사이에는 상측으로 개방된 후측 위치 결정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10)의 내부 저면에 있어서의 전단벽부(11)와 제1 중간벽부(14)와의 사이에는 각 오목홈(12)과 전선 수납홈(15)와의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단자 끼워맞춤(수납용) 오목부(24)가 병렬되어 형성되어 있다.
실드 셸(30)
실드 셸(30)은 금속판재를 굽힘 가공하여 이루어지고, 하부 셸(31)과 상부 셸(32)로 구성된다. 하부 셸(31)은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하여, 그 하면 전체, 좌우 양측면 전체 및 상면 중 좌우측 연부만 따르게 연장시킴으로써, 하부 셸(31)의 상하 좌우 방향의 이동{즉, 유동(遊動)}을 규제하는 상태로 된다. 하부 셸(31)의 후단 연부에는 복수 개의 되접힘 부재(33)가 형성되고, 각 되접힘 부재(33)가 케이블 유지홈(21)에 끼워 맞춰지면서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단 연부에 걸림(맞물림)으로써, 하부 셸(31)의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한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또한, 이 하부 셸(31)은 플랫 케이블(F)의 도전체(Fg)와의 접속 수단으로서의 기능도 겸비하고 있다. 또한, 하부 셸(31)의 측벽 속으로 커트(cut)된 걸림편(34)을 커넥터 하우징(10)의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25)에 걸어맞춤으로써, 하부 셸(31)의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한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하부 셸(31)을 커넥터 하우징(10)에 조립한 상태에서는, 커넥터 하우징(10)의 상면의 오목부는 전체에 걸쳐 개방된 상태이며, 여기에 상부 셸(32)이 덮히도록 조립된다. 상부 셸(32)은 전체적으로 평판형을 이루며, 그 좌우 양측 연부에서는, 전후 2개씩의 부착편(35)이 아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들 부착편(35)을 커넥터 하우징(10)의 상면에서 장착 구멍(26)에 끼워 넣어 걸림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거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그 결과, 상부 셸(32)이 커넥터 하우징(10) 및 하부 셸(31)에 대하여 조립(부착) 상태가 된다. 그리고, 조립 상태에서는 상부 셸(32)의 하단 연부에서 하측으로 잘려 나가 돌출하는 좌우 한쌍의 부착(탄성 접촉) 부재(36)가, 플랫 케이블(F)의 도전체(Fg)의 상면에 탄성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부 셸(32)에는 제1 중간벽부(14)의 각 전선 수납홈(15)을 파지하여 전후 양측에 위치하도록, 전후로 쌍을 이루는 복수 개의 전선 압압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선 압압부(37)는 상부 셸(32)을 부분적으로 하측으로 잘라내고 압압함으써 상부 셸(32)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전선 압압부(37)는 플랫 케이블(F)을 커넥터 하우징(10)에 부착하며, 상부 셸(32)을 커넥터 하우징(10)에 부착(조립)한 상태에서는, 전선 압압부(37)가 플랫 케이블(F)의 절연층(Fd)에 대하여 위에서부터 압압함으로써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단자 금구(40)
단자 금구(40)는 소정 형상으로 펀칭한 금속판재를 굽힘 가공한 것이다. 각각의 단자 금구(40)는 기단부(41)와, 기단부(41)의 후단 연부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하는 좌우 한쌍의 아암부(42)를 구비하고 있다. 기단부는 전후 방향으로 좁아지고, 그 전단에는 폭 좁은 연결부(43)가 형성되어 연결된다. 그 연결부(43)의 전단에는 기단부(41)와 동일한 폭의 탭(44)이 형성되어 연결된다. 탭(44)은 연결부(43)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기단부(41)와 평행하게 그리고 기단부(41)보다도 상측에 위치되어 있다. 이 탭(44)은 대응하는(상대측의) 단자 금구(T)에 접속된다. 또한, 기단부(41)의 일측 연부에는 삼각 형상을 이루는 걸림(정지)용 돌기(45)가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아암부(42)는 기단부(41)에 연결되어 기단부와 단일면을 형성하게 되며, 아암부의 연장단(후단)에 이르기까지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폭을 갖는다. 이러한 아암부(42)의 연장단에는 상측{아암부(42)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굽힘 가공된 접속 부재(4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암부(42)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42S)은 접속 부재(46)의 내측면(46S)과 연결되어 단일면(상측에서 보아 일직선상을 이루는 상태)을 형성한다. 그리고, 양 아암부(42)의 내측면(42S)끼리의 간격은 양 아암부의 기단에 있어서 가장 넓고, 연장단으로 향하여 점차로 좁아지고 있다. 접속 부재(46)의 내측면(46S)에 있어서는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굽힘부 최외측의 두 모서리(46A)(상측에서 보아 가장 후단의 모서리)끼리가 접촉되어 있다. 또한, 접속 부재(46)를 굽힘 가공할 때에는 굽힘부 최내측 부분의 벽들이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부(46B)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접속 부재(46)끼리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아암부(42)끼리가 가장 가까이 접근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이 돌출부(46B)끼리가 서로 간섭하는 일은 없도록, 아암부(42)의 길이 및 기단을 따라 내측면(42S)끼리의 간격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접속 부재(46)의 상단면에는 전선(Fc)을 접속 부재(46)들의 사이에 유도시키기 위한 가이드 경사면(46C)이 형성되어 있다.
플랫 케이블 (F)
플랫 케이블(F)은 복수 개의 케이블(Fa)을 구비하며, 이들 케이블의 단말을 사각형의 유지체(Fb)에 의해서 소정 위치에 유지한다. 케이블(Fa)은 전선(Fc)에 의해 구성되고, 전선의 외주는 절연층(Fd)으로 덮힌다. 그 절연층(Fd)의 외주는 실드층(Fe)으로 덮히고, 또한 실드층(Fe)은 외부 피복(Ff)에 의해 덮힌 구조로 되어 있다. 각 층들은 단말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각 케이블(Fa)의 외부 피복(Ff)과 실드층(Fe)이 제거되고나서 절연층(Fd)의 일부가 제거되어 전선(Fc)이 노출되어진다. 유지체(Fb)는 이 전선(Fc)의 노출 부분보다도 더 단말측(전측 방향)에 위치하는 절연층(Fd)을 포위하여 고착하고 있다. 또한, 실드층(Fe)의 노출 부분에는 각 케이블(Fa)의 실드층(Fe) 사이를 단락시키도록 횡으로 긴 판형을 이루는 도전체(Fg)가 고착되어 있다.
커넥터(C)의 부착과 플랫 케이블(F)의 접속 공정
커넥터(C)의 부착시에는 우선,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하여 단자 금구(40)와 하부 셸(31)을 부착한다. 단자 금구(40)의 부착은 단자 금구(40)를{접속 부재(46)를 앞으로 향한 자세에서} 커넥터 하우징(10)의 전방으로부터 오목홈(12) 및 안내홈(13)을 따라서 압입함으로써 행한다. 다음에, 접속 부재(46)가 전선 수납홈(15)에 삽입되는 동시에, 탭(44)의 후단부가 전단벽부(11)에 접촉하게 된다. 이 때에, 단자 금구(40)가 정규의 부착 상태가 되어, 걸림용 돌기(45)가 안내홈(13)에 끼워짐으로써 이 상태는 단자 금구(40)가 제거될 수 없도록 유지된다. 또한, 단자 금구(40)의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한 상측으로의 이동은, 안내홈(13)과 부상 규제부(16)에 의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접속 부재(46)들 사이의 공간이 전선 수납홈(15)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이어서, 플랫 케이블(F)을 위로부터 커넥터 하우징(10) 속으로 설치한다. 이 때, 유지체(Fb)는 전단벽부(11)와 제1중간벽부(14)와의 사이에 끼워 맞춰지고, 도전체(Fg)는 제2 중간벽부(18)와 후단벽부(20)의 사이에 끼워 맞춰진다. 유지체(Fb)와 도전체(Fg)를 각각, 전측 위치 결정 오목부(22)와 후측 위치 결정 오목부(23)에 끼워 맞춤으로써 플랫 케이블(F)은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하여 전후와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전선(Fc)의 노출 부분은 제1 중간벽부(14)와 제2 중간벽부(18)와의 사이에 있어서 전선 수납홈(15) 내에 끼워져 들어가며, 단자 금구(40)의 접속 부재(46)들의 사이에 파지되고, 아암부(42)의 탄력에 의해 전선(Fc)과 단자 금구(40)가 소정의 접촉압으로 유지되는 접속 상태가 된다. 또한, 케이블(Fa)에 있어서의 도전체(Fg)보다도 후방의 부분은 케이블 유지홈(21)에 끼워 맞춤으로써, 좌우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도전체(Fg)의 하면이 하부 셸(31)의 되접음부(33)에 접촉함으로써, 각 케이블(Fa)의 실드층(Fe)이 도전체(Fg)를 통해 하부 셸(31)에 도통된다(하부 셸과 회로를 형성한다).
이 후, 상부 셸(32)을 커넥터 하우징(10)에 부착(조립)한다. 이러한 부착은 위에서부터 부착편(35)을 부착 구멍(26)에 삽입하면서 커넥터 하우징(10)의 상면에 덮히도록 실행된다. 상부 셸(32)을 부착하면, 탄성 부착 부재(36)가 플랫 케이블(F)의 도전체(Fg)의 상면에 탄성 접촉함으로써 상부 셸(32)과 실드층(Fe)이 도통 상태에 달하게 된다. 또한, 단자 금구(40)의 접속 부재(46)에 접속된 전선(Fc)은 그 전후단의 바로 근처 위치에 있어서 상부 셸(32)의 전후 쌍들을 형성하는 전선 압압부(37)에 의해서 위에서부터 압압됨으로써, 상기 전선(Fc)은 상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전선(Fc)과 단자 금구(40)는 안정된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이상으로부터, 커넥터(C)의 부착 및 플랫 케이블(F)의 접속 과정이 완료한다.
단자 금구(40)의 제조 공정
단자 금구(40)의 제조에 있어서는 우선, 금속판재를 소정 형상, 즉 쌍으로 된 아암부(42)가 서로 평행한 상태{아암부(42)의 내측면(42S)들 사이의 간격이 기단에서부터 연장단에 걸쳐 일정한 치수를 유지한 형태}로 되게 펀칭한다. 이 금속판재에 대하여, 아암부(42)의 연장단을 굽힘 가공함으로써 접속 부재(46)를 형성한다(도 9를 참조). 이어서, 한쌍의 아암부(42) 중 한쪽(제 1)의 아암부(42)를 다른 쪽(제 2)의 아암부(4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좌우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구부리면서, 다른 쪽의 아암부(42)를 한쪽의 아암부(42)에 접근하는 방향(한편의 아암부(42)를 쫓아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구부린다. 이 때, 제1, 제2 아암부(42)는 이들이 접촉하게 되는 지점(즉, 좌우에 관하여 중간 위치에서)을 지나 이동한다. 즉, 아암부(42)들의 스프링백을 예측하여 그에 필요한 것보다 더 큰 크기로 아암부(42)들을 탄력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탄력적으로 이동가능한 아암부(42) 및 접속 부재(46)를 정규의 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 이 후, 다른 쪽의 아암부(42)도 유사한 방식으로 스프링백을 예측하여 필요한 것보다 더 큰 정도로 탄성적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쌍방의 접속 부재(46)끼리가 확실하게 접촉 상태가 된다. 또한, 전선(Fc)을 접속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접속 부재(46)끼리의 접속력(압력)은 탄성 이동의 양을 변경함으로써 신뢰성 있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자 금구(40)를 커넥터 하우징(10)에 부착한 상태에서는, 한쌍의 아암부(42)가 플랫 케이블(F)의 폭 방향으로{전선(Fc)의 배포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배치된다. 양 아암부(42)의 연장단의 접속 부재(46)가 아암부(42)보다도 상측의, 전선(Fc)의 배치 영역으로 연장된다. 이들 전선(Fc)은 접속 부재(46)들 사이의 접속 상태에서 파지 압력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10) 내부의 플랫 케이블(F)은 상하 방향(폭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가 작아질 수 있게 되고, 그 높이도 낮아지게 된다. 또한, 전선(Fc)을 단자 금구(40)에 접속할 때는, 전선(Fc)을 접속 부재(46)들의 사이에 파지될 때까지 단지 그 배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끼우면 되기 때문에, 전선(Fc)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고, 이에 의해서 전선(Fc)의 파단을 피할 수 있다.
접속 부재(46)에 있어서의 전선(Fc)의 접촉압을 적합해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전선(Fc)이 비접속 상태로 있을 경우에 접속 부재(46)끼리를 접촉시키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아암부(42)를 전선 배포 경로 외에 배치하는 동시에 접속 부재(46)를 전선 배포 경로 내에 배치하는 수단으로서는 아암부(42)에 대하여 접속 부재(46)를 굽히는 구조가 가장 간단하고 바람직하다. 그런데, 접속 부재(46)를 굽히면, 그 굽힘부 최내측 부분의 벽들이 아암부(42)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그 돌출부(46B)끼리 서로 간섭하기 때문에, 양 아암부(42) 및 접속 부재(46)의 내측면(42S, 46S)을 기단에서부터 연장단까지 한결같이 밀착시킬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 부재(46)가 아암부(42)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굽힌 형태가 된다. 양 아암부(42)의 내측면(42S)끼리는 서로 대향되어 기단측에서부터 연장단측을 향하여 점차로 접근하게 된다. 전선(Fc)들이 비접촉 상태에 있을 때, 아암부(42)의 내측면은 접속 부재(46)의 굽힘부 최외측 모서리(46A)를 통하여 서로 접촉하는 구성으로 했다. 따라서, 굽힘 가공에 의한 결과로서, 돌출부(46B)끼리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접속 부재(46)의 굽힘부 최외측의 모서리(46A)에 있어서 접촉시키는 것을 실현했다.
폭이 좁으며 길게 연장되는 아암부(42)를 거위의 목(goose-neck) 형태로 탄성적으로 변형(굴곡)시킨 경우, 스프링백으로 인하여 아암부(42)의 연장단의 위치는 변형시킨 위치보다도 조금 되돌아가기 때문에, 아암부(42)의 쌍을 동시에 변형시킨 경우에는, 접속 부재(46)끼리를 접촉시키는 상태로 할 수는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아암부(42)들 중 제2의 아암부를 탄력적으로 변형시킬 때에 제1의 아암부(42)를 후퇴(분리)하는 방향으로 구부리도록 했기 때문에, 아암부들의 탄성 변형의 변형량을 스프링백을 예측하여 좀 더 많게 설정함으로써, 접속 부재(46)끼리를 확실하게 접촉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앞서 기술한 내용과 도면에 의해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다음과 같은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며, 또한, 후술하는 것 이외에도 본 발명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를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실드(shield) 타입의 커넥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실드 타입 이외의 커넥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아암부의 연장단을 굽혀 접속 부재를 형성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선단이 L자형을 이루도록 아암부를 절삭하여, 이 L자형 선단부를 접속 부재로서 기능시키더라도 좋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아암부들의 비스듬한 연장단에서 접속 부재들만 접촉하도록 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아암부들에 있어서의 긴 영역에 걸쳐 접촉시키도록 하더라도 좋다.
(4) 상기 실시예에서는 접속 부재를 윗쪽으로 굽힘 가공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 부재를 내측으로 굽힘 가공하더라도 물론 좋다.
(5) 상기 실시예에서는 아암부의 판 두께 방향이 상하 방향이 되도록 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아암부의 판 두께 방향이 좌우 방향이 되도록 하여도 좋다.
(6)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자 금구가 대응하는(상대측) 커넥터의 단자 금구에 접속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단자 금구가 플랫 케이블을 구성하는 다른 전선과 접속되는 조인트 단자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자들이 설치되어지는 커넥터의 높이는 특히 낮아지게 된다. 그러한 복수개의 단자는 횡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배열된 전선을 구비한 플랫(flat) 전기 케이블에 접속될 수 있다. 와이어들은 직각으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와이어의 삽입 공정 중에 와이어에는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며, 따라서 파손될 위험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전기 커넥터용의 가늘고 긴 단자 금구(40:fitting)로서,
    일단부에는 상응하는(상대측) 단자 금구에 접속하기 위한 탭(44)을 그리고 타단부에는 단자 금구의 신장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아암(42)을 구비하며, 상기 아암의 단부들은 그 사이에 전선(Fc)을 탄력적으로 파지(grip)하도록 된 와이어 접속 부재(46)를 포함하는 것인 단자 금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42)들의 자유 단부들은 대체로 상기 신장 방향과 직각이며, 상기 아암(42)들은 그 루트(root)로부터 선단까지 점차로 서로 접근하게 되는 것인 단자 금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42)들은 선단(46A)에서만 서로 탄력적으로 힘을 받는 것인 단자 금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42)들은 단지 그 선단(46A)에서만 선접촉하게 되는 것인 단자 금구.
  5. 선행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금구(40)는 상기 탭(44)과 아암(42)들 사이에 비교적 폭이 좁은 웨이스트(43; waist)를 갖는 것인 단자 금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탭(44)과 아암(42)들은 상호 평행한 면들에서 연장되며, 상기 면들 사이의 전이부(transition)가 상기 웨이스트(43)에 있는 것인 단자 금구.
  7. 선행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측부에 일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용 돌기(45)를 구비하며, 상기 돌기(45)는 램프면 그리고 대체로 직교하는 걸림면을 갖는 것인 단자 금구.
  8. 선행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복수 개의 단자 금구(40)를 갖는 전기 커넥터(C)로서,
    상기 단자 금구들은 횡방향으로 정렬되어, 복수 개의 정렬된 전선(Fa)을 갖는 플랫(flat) 케이블(F)을 수납하도록 적용되며, 상기 각 전선(Fa)은 각각의 와이어 접속 부재(46) 쌍 사이에서 파지가능하게 되는 것인 전기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가늘고 긴 단자 금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신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아암과 제2 아암을 갖는 블랭크(blank)를 성형하고,
    상기 제1 아암을 영구적으로 변형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아암을 탄성 한계를 지나 상기 제2 아암을 향해 굽힘 가공하고,
    탄성 한계 이내에서 상기 제1 아암을 상기 제2 아암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구부림과 동시에, 탄성 한계를 벗어나게 상기 제2 아암을 상기 제1 아암을 향해 구부림으로써, 해방시에 상기 아암들의 선단끼리 접촉하게 되는 것인 단자 금구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들의 선단들은 상기 아암들을 서로를 향해 구부리기 전에 대체로 직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구부리게 되는 것인 단자 금구의 제조 방법.
KR1020000057645A 1999-10-01 2000-09-30 커넥터 단자 피팅 및 그 제조 방법 KR1007476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81839 1999-10-01
JP28183999A JP2001102118A (ja) 1999-10-01 1999-10-01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端子金具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端子金具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962A true KR20010039962A (ko) 2001-05-15
KR100747612B1 KR100747612B1 (ko) 2007-08-09

Family

ID=17644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645A KR100747612B1 (ko) 1999-10-01 2000-09-30 커넥터 단자 피팅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75488B1 (ko)
EP (1) EP1089383B1 (ko)
JP (1) JP2001102118A (ko)
KR (1) KR100747612B1 (ko)
DE (1) DE60037089T2 (ko)
TW (1) TW50886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750B1 (ko) * 2005-02-02 2011-02-07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수형 단자 피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30390C2 (de) * 1993-09-08 1995-10-26 Erni Elektroapp Einteilige, zweischenklige Kontaktfeder
DE10124610A1 (de) * 2001-05-21 2002-11-28 Stocko Contact Gmbh & Co Kg Steckverbinder, insbesondere zum Kontaktieren einer unterschiedlich ausgebildete Kontaktstellen aufweisenden elektrischen Leitung, und Anordnung aus Steckverbinder und elektrischen Leitung
JP2004342414A (ja) * 2003-05-14 2004-12-0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7134920B1 (en) * 2005-11-28 2006-11-14 Ted Ju Electrical module chip connector
JP4338209B2 (ja) * 2007-05-28 2009-10-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と相手側コネクタ
US10826205B2 (en) * 2018-04-12 2020-11-03 Panduit Corp. Double wiping blade contact
US11476623B2 (en) * 2020-11-05 2022-10-18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Staggered contac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37493B (en) * 1978-12-08 1982-09-15 Ferranti Ltd Insulation displacing contact for electrical connector
NL8601094A (nl) * 1986-04-29 1987-11-16 Philips Nv Elektrisch kontaktorgaan en werkwijze voor de vervaardiging daarvan.
KR890003064A (ko) * 1987-07-21 1989-04-12 마사이치 사토오 전선용 접속단자 및 이에 대한 전선의 접속방법
US4781615A (en) * 1987-08-31 1988-11-01 Amp Incorporated Cable terminating cover retention system
EP0356025B1 (en) * 1988-08-26 1994-04-27 The Whitaker Corporation Daisy chain connector and method
CA2015898C (en) * 1989-05-31 1996-04-23 Wayne Samuel Davis High density ribbon cable connector
GB9026529D0 (en) * 1990-12-06 1991-01-23 Amp Holland An electrical wire connector and an electrical terminal therefor
JP2872493B2 (ja) * 1992-07-17 1999-03-1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鎖錠端子金具
US5364288A (en) * 1992-07-24 1994-11-15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FR2726694B1 (fr) * 1994-11-07 1996-12-06 Itt Composants Instr Connecteur electrique pour une carte a memoire electronique comportant des moyens de raccordement electrique du type a deplacement d'isolant
US6264500B1 (en) 1997-03-06 2001-07-24 I-Pex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cable guide slot
KR19990009250U (ko) * 1997-08-19 1999-03-15 김연혁 컨넥터의 단자
US6254440B1 (en) * 1998-12-07 2001-07-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Terminal having contact portion with reduced thickness
US6224432B1 (en) * 1999-12-29 2001-05-01 Berg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tact with orthogonal contact arms and offset contact area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750B1 (ko) * 2005-02-02 2011-02-07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수형 단자 피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89383A3 (en) 2002-04-17
JP2001102118A (ja) 2001-04-13
DE60037089D1 (de) 2007-12-27
EP1089383B1 (en) 2007-11-14
EP1089383A2 (en) 2001-04-04
TW508869B (en) 2002-11-01
DE60037089T2 (de) 2008-09-11
US6375488B1 (en) 2002-04-23
KR100747612B1 (ko)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5654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電線保護具
EP1429418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l wire release member
JP2007149477A (ja) フローティングタイプコネクタ
US7553203B2 (en) Connecting terminal
JP7372999B2 (ja)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KR100532003B1 (ko) 로크 부분을 구비한 차폐 외피를 가지는 커넥터
US11695228B2 (en) Connector
KR20010093071A (ko) 전기콘택트
EP3540862B1 (en) Connector
US4959030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two flat cables to a circuit board
US10587057B2 (en)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KR20010039962A (ko) 커넥터 단자 금구 및 그 제조 방법
JPH07272784A (ja) リセプタクルコンタクト
US20080188129A1 (en) Connector in which defectiv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shell components is suppressed
CN109802263B (zh) 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CN114930652A (zh) 屏蔽连接器
JP7381348B2 (ja) 端子挿入装置
US11799224B2 (en) Connector
US11888261B2 (en) Board-to-cable connector
JP7202535B2 (ja) コネクタ
JP7480077B2 (ja) 雌端子
JP7393223B2 (ja) 雌型接続器具、及び接続装置
CN218731885U (zh) 端子、电连接器、线束和车辆
EP3561959B1 (en) Connector
JP2012028084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