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5064A - 유기질 식물 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질 식물 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5064A
KR20010035064A KR1020000075389A KR20000075389A KR20010035064A KR 20010035064 A KR20010035064 A KR 20010035064A KR 1020000075389 A KR1020000075389 A KR 1020000075389A KR 20000075389 A KR20000075389 A KR 20000075389A KR 20010035064 A KR20010035064 A KR 20010035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parts
weight
waste
calc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5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5528B1 (ko
Inventor
에다가와세츠지
우에하라세이키치
유규재
Original Assignee
유규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규재 filed Critical 유규재
Priority to KR1020000075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5528B1/ko
Publication of KR20010035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064A/ko
Priority to US10/006,209 priority patent/US679370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5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5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materials of biological orig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식물질 및 음식 쓰레기와 같은 유기질 폐기물등을 이용하여 유기질 식물영양제를 제조하는 것으로서, 우선 유기질 폐기물에서 토양과 식물에 유해한 염분을 제거하고, 이어서 생석회 및/또는 도로마이트 및/또는 가용성 규산분을 첨가, 혼합해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질 식물 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고급 식물용 영양제로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 유기질 식물 영양제에 키토산이나 트레할로스을 추가로 첨가함으로서, 식물체내에의 칼슘의 흡수성을 높임과 동시에, 동결, 건조에의 내성을 강화함은 물론, 특히 산성비등으로 인한 고급 식물의 피해를 예방, 치료할 수 있으며, 식물의 육성, 증수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키는 기능성 유기질 식물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유기질 식물 영양제 제조공정중 발생하는 수증기와 배기를 이용해 산성폐수 중화제를 부산물로 제조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환경오염원 물질로 농산물과 식물에 유용한 유기질 식물 영양제와 산성폐수 중화제를 제조·공급함으서 오늘날 심각하게 대두되는 환경보전 및 개선에 크게 기여 할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유기질 식물 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ORGANIC NUTRITIONAL AGENT FOR PLANTS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류와 동물이 건강하게 계속 생존하기 위해서는 안전하고 맛과 영양이 풍부한 고품질의 먹거리인 농산물과 건강한 식물의 생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농산물의 생산과 식물의 생장은 오염되지 않는 토양과 환경에서만 가능하다. 산업화에 의해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한 화석연료에서 배출되는 SOx와 NOx는 대기중 OH기에 의해 황산(H2SO4)과 질산염(HNO3)으로 산화되어 산성비와 산성안개로 되어 지상으로 강하되며 이들이 토양과 호소 및 하천을 산성화 시키고 농작물과 식물의 생체에서 칼슘을 용탈시켜 생장을 억제하고 체질과 저항력을 약화시키고 심한 경우 식물이 고사되기도 한다.
또한, 농경지는 다량 수확위주의 경작과 계속적인 화학비료의 사용으로 질소, 인산, 칼리 성분은 과다하게 집적되어 토양성분은 불균형화 되고 산성비에 의한 산성화와 농약에 의한 오염으로 지력등 토양기능과 물리적 성능이 저하되어 농산물의 생산성 감소와 영양분의 불균형내지 결핍 및 안정성에까지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위와 같은 환경피해 외에 인류의 일상 생활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중 음식물 쓰레기, 인분뇨, 축분뇨, 농수산 폐기물, 도축 폐기물, 산업폐기물등의 유기질 폐기물은 대부분 매립 또는 소각처리되고 있으나, 침출수, 지하오염, 다이옥신등의 2차 적인 오염물질발생과 지역주의에 의한 문제점들이 제기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산성 강하물에 의한 토양의 산성화 및 식물의 피해, 토양 성분의 불균형과 농약의 문제점, 농산물의 영양분 불실과 안전성 문제, 유기질 생활폐기물의 처리문제등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해결하면서 유기질 폐기물을 이용하여 토양과 식물에 유해한 염분을 제거하고 토양내 함량이 부족한 반면 식물생장의 필수성분인 치환성 석회, 치환성 고토, 유효 규산, 유기물질, 미량 원소의 함량을 단일 또는 복합적으로 강화하고 양이온 치환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제조하는 것이며, 또한, 동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이용하여 식물의 체내 흡수성을 향상시켜 산성비에 의한 칼슘등의 용탈에 대응할 수 있는 고급 기능성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분말 또는 입상으로 제조하고, 제조 공정중 발생하는 수증기와 배기를 이용해 산성폐수 중화제를 부산물로 제조하는 것이다.
각종 식물이 잘 성장하기 위한 토양의 조건중 중요한 것은 pH, 토양유기물, 치환성 석회, 치환성 고토, 유효규산, 치환성 가리, 토양 유효인산, 양이온 치환용량등이다. 양산 방식의 경작과 연작 및 계속적인 화학비료와 농약살포 및 화석연료에서 배출되는 SOX와 NOX가 대기중에서 산화되어 강하되는 산성비와 산성 안개등에 의해 토양은 pH 5.5∼5.6으로 산성화 되었고 유기물과 석회, 고토, 규산 성분은 적정함량에 비해 현저히 부족한 반면 질산, 인산, 가리성분은 과다하게 집적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함량 균형이 없어진 토양에서는 농산물이나 식물이 균형된 영양분을 섭취할 수 없고 정상적인 생장이 안된다. 더욱이, 산성비에 의해 체내의 칼슘성분이 용탈되어 심한 경우 고사되기도 한다. 따라서, 안전하고 영양이 균형있게 풍부한 농산물을 생산하고, 식물이 잘 자랄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토양을 개량하고 산성비의 피해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식물에 영양을 공급하고, 토양을 개량하는 물질에는 각종의 비료 또는 식물 영양제가 있으며, 비료에는 화학비료이외에도 분뇨나 두엄등의 동식물질 비료 및 산성토양의 중화나 석회분의 공급, 토양의 보비력의 증대, 유기질의 분해촉진, 토양단림의 형성등 폭넓은 토양 개량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석회질 비료등이 있다. 석회는 칼슘을 함유하는 물질로 농업에서 이것이 갖는 의의는 매우 크다. 첫째, 식물생육에 없으면 안되는 필수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둘째, 토양의 물리 화학적인 성질을 개량 조정하며 식물과 미생물이 생육하는 좋은 조건을 만들어 준다. 이 밖에도 석회는 특수목적을 달성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쓰인다. 자연토양에는 꽤 많은 양의 석회분이 함유되어 있으나, 산성비등에 의해 용탈되어 산성화된 토양은 석회부족으로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이 나빠져서 작물의 생산력이 낮아지고 각종 해독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지게 된다. 특히, 공업화된 북미, 유럽, 아시아 지역은 산성비에 의해 산성토양이 널리 분포되어 있는데다가 공기와 물등을 통하여 각종 공해물질이 토양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많아서 석회의 필요성은 더욱 크다.
한편, 식물영양제는 식물에 부족한 특정 영양분을 보충할 수 있고, 또한, 특수한 기능을 발휘하도록 제조된 것으로서, 식물에 필요한 각종 원소의 흡수를 촉진하거나 또는 특정의 병해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토양의 주요 성분중 석회질이 결핍될 때 유래하는 생리장애로서는, 토마도, 피만(piment), 가지, 사과, 배등의 과실의 엉덩이썩음증; 오이의 낙하산 엽,구채, 양배추의 심섞는증; 셀러리(celery), 쑥갓등의 심마른증; 및 시금치, 연두빛 채소등의 심채위축증등이 소위 석회결핍증으로서 발현하는 것이 판명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결핍증은 토양중에 석회가 결핍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토양중에 가급태(공급가능한 형태의) 석회가 충분히 있더라도 토양이 건조하거나 토양의 염류농도가 높기 때문에 흡수가 방해되는 경우, 또한 암모니아 형태로 존재하는 질소와 칼리 비료가 과잉으로 존재하여 석회의 흡수가 억제되는 상태에서 왕성하게 생육하고 있는 부분, 즉 세포 분열이 맹열한 조직에 급격히 석회결핍증의 발현을 보는 일도 많다. 또한 고갈,서리 시들음에 의한 감수, 감익도 종종 볼 수 있다. 특히, 주목할 것은, 석회결핍증은 현재 문제시되고 있는 환경오염에 따른 산성비와도 관련이 있는데, 수목에 미치는 산성비의 영향은 토양을 산성화시켜 토양 비옥도를 저하시키고 토양으로부터 칼륨, 알루미늄, 칼슘등의 이온을 용탈시켜서 농작물의 성장을 억제함과 동시에 pH3이하의 산성비를 식물이 직접 맞는 경우에는 칼슘등의 영양분이 식물체로부터 유실되게 되어 칼슘결핍증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야채, 과실의 재배에 있어서, 산성 토양을 중화하는 칼슘성분을 보급하고, 유기질 분해촉진, 토양의 보비력의 증대등을 위해서 석회질 비료가 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유기질 폐기물에 생석회를 혼합해서 칼슘성분이 강화된 유기질 비료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밭농사는 장기간의 경험으로 습득된 윤작체제로 작물이 생산되고 있지만, 충분한 비재관리가 행해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때때로 생육이 열악해 지거나, 수획량이 떨어지거나, 품질이 열악해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경제의 성장에 수반해서, 농업의 기계화가 진행하고, 노동력이 도시로 집중해서 농촌의 노동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농업도 성력화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더욱이, 농업의 생산품목도 야채를 비롯하여 수익성이 높은 농작물의 재배가 전업화하고, 윤작체계도 붕괴되면서 특정 종류의 작물연작이 일반화되고 있지만, 연작장해가 증대되면서 농가로서는 이를 해결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연작장해의 원인은, 토양중의 푸자리움 균등의 토양 병원균에 의한 토양병해에 의한 것이 많다고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이를 방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한편, 음식물에서 나온 음식찌꺼기, 인분뇨, 가축의 분뇨, 가축 및 어패류의 유기질 폐기물의 비료화에 있어서는, 유기질비료로서 유용한 활용법이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되고 있지만 충분하지 않고, 야외퇴적이나 야외투기도 되고 있어 악취나 하천의 부영양화등의 환경악화를 진행시켜 문제로 되고 있는 실정이며, 나아가 음식물 쓰레기를 유기질 비료로서 사용할 때에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염분으로 인해서, 토양과 식물의 생장에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P-1, P-2, P-3, P-4 및 P-5로 표시한 것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물 영양제를 나타내며, 구체적으로는 각각 P-1은 고토분강화 유기질 식물영양제를, P-2는 칼슘강화 유기질식물영양제를, P-3은 규산강화 유기질 식물영양제를, P-4는 기능성 유기질 식물영양제를, P-5는 산성 폐수 pH조절용 액상 중화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칼슘강화 및/또는 고토분강화 및/또는 규산강화 유기질 식물영양제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성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도이며, 도 1에 나타난 공정에 계속되는 것이다.
도 3a은 도 1의 부재번호 제 16으로 표시된 제 1차 반응조의 정면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좌측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우측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부재번호 제 17로 표시된 제 2차 반응조의 정면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측면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위에서 언급한 토양의 성질을 개량하고, 석회 결핍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즉, 토양에 유기질 성분이 절대 부족하고, 석회질과 규산분 성분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기질 폐기물과 석회질 성분을 포함하는 식물 영양제를 공급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 유기폐기물과 생석회를 단순 혼합한 비료는 유기질 폐기물에 존재하는 염분을 제거할 수 없었기 때문에, 비료로서의 가치가 적었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기질 폐기물에 존재하는 염분을 제거한 후에, 석회질 또는 규산분 성분을 보강함으로서, 종래의 기술과는 차별화되는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토분 성분이 강화된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제공하기 위해서, 염분이 제거된 유기질 폐기물에 도로마이트를 첨가함에 의해 토양개량효과와 더불어 식물에 필수 영양소인 마그네슘 성분을 보강함으로서, 더욱 효과적인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논농토용으로 규산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제공하기 위하여는 염분이 제거된 유기질 폐기물에 규회석 분말 또는 제련 부산물 광재등의 가용성 규산분을 첨가해 벼 생장에 필수 영양소인 가용성 규산 성분을 보강하는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제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대기오염이나 산성비의 영향으로 쇠약해진 수목이 그 식물본래의 생체방어기구에 의해 병충해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고, 산성비에 의해 식물생체로부터 용탈된 칼슘 및 마그네슘성분을 보충하는 역할을 함으로서, 산성비에 의한 식물의 피해를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유기질 식물영양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등의 유기질 폐기물의 염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한 후에, 생석회를 첨가, 혼합하는 종래 유기질 폐기물을 원료로 하던 비료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또한, 종래의 유기질 폐기물을 원료로 했던 비료는, 단지 유기질 쓰레기에 생석회를 섞는 것에 그침으로서, 그 활용도가 높지 않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여기에 키토산을 첨가함에 의해서 고급 식물의 병해를 막음과 동시에, 특히 산성비에 대해서 저항성을 갖도록 하는 식물영양제로 활용하는 길을 모색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하나의 공정에서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동식물질 폐기물 또는 음식물 쓰레기등의 유기질 폐기물에 우선 염분제거 첨가제를 혼합하여, 유기질 폐기물에 존재하는 염분을 제거한 후, 이어서 여기에 생석회를 혼합, 첨가함으로써 생성된 칼슘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발명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동식물질 폐기물 또는 음식물 쓰레기등의 유기질 폐기물에 우선 염분제거 첨가제를 혼합하여 유기질 폐기물에 존재하는 염분을 제거한 후, 이어서 여기에 도로마이트를 혼합, 첨가함으로써 생성된 고토분 강화 유기질 식물영양제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발명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동식물질 폐기물 또는 음식물 쓰레기등의 유기질 폐기물에 우선 염분제거 첨가제를 혼합하여 유기질 폐기물에 존재하는 염분을 제거한 후, 이어서 여기에 생석회와 규회석 분말이나 제련 부산물인 광재등의 가용성 규산분을 첨가, 혼합함으로서, 답용(畓用) 규산질 강화 유기질 식물영양제를 제공하는 것을 제 3발명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명, 제 2발명 및/또는 제 3발명의 유기질 식물 영양제에 키토산 및/또는 트레할로스를 추가로 첨가하여 분말상 및/또는 입상의 기능성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제공하는 것을 제 4발명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발명 내지 제 3발명의 공정중 염분이 제거된 유기질 폐기물과 생석회 및 경소 도로마이트가 소화반응 및 숙성시에 발생하는 수증기와 배기가스를 응축한 응축수는 액상으로 산성폐수 중화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을 제 5발명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 1 내지 제 5발명의 제조공정을 제 6발명으로 하며, 이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제 1 내지 제 5발명의 유기질 식물영양제와 산성폐수 중화제를 하나의 공정에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발명, 제 2발명 및 제 3발명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제 1 내지 3발명은 동식물질 또는 음식물 쓰레기등의 유기질 폐기물에 염분을 제거할 수 있는 첨가제로서, 폐석고(황산칼슘), 탄산칼슘, 및 염화칼슘등을 혼합함으로서 유기질 폐기물에 존재하는 염분을 중성염으로 만들어 제거한 후, 염분이 제거된 유기질 폐기물에 칼슘성분의 공급원인 생석회 및/또는 마그네슘 성분의 공급원인 도로마이트를 괴상 또는 분말상 또는 규산분 성분의 공급원인 규회석 분말이나 제련공정의 부산물인 광재를 투입하여 혼합한 후, 이를 교반하고 숙성시켜서 생성되는 유기질 식물 영양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를 구성하는 각종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유기질 폐기물
1) 퇴비, (쇠)두엄
농산 수확물의 찌꺼기, 잡초, 야생초목등을 쌓고, 조강한 유기물을 붕괴분해한 것이 퇴비이고, 가축의 분뇨를 짚이나, 깔은 초와 함께 쌓아두고, 부패분해한 것이 (쇠)두엄이다.
2)녹비
자연그대로 비료로서 이용되는 식물질 비료로 야생초를 주로한 천연비료와 녹비용작물을 재배하여 만드는 재배녹비가 있다.
3)분뇨
사람 및 가축의 분뇨
4)어비
건어 및 착유의 찌꺼기
5)유박
식물유의 찌꺼기
6)목회류
식물의 회분
7)골분
동물골분
8)음식물 쓰레기
가정 또는 식당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음식물 쓰레기이며, 아무런 가공이 되지 않은 것이다.
2. 석회질
본 발명에서는 CaO를 이용하지만 이외에 Ca(OH)2, CaCO3, 과산화 Ca, 염기성 CaCO3, 과망간산 Ca, 크롬산 Ca, 규화Ca, 규산 Ca, 베타규산 Ca,등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3. 도로마이트
천연에서 나는 MgO함유량 20%이상의 도로마이트의 분쇄, 소성품이다.
4. 규산질
천연상태의 규회석 분말 또는 제철소 등에서 금속제련시 부산물로 산출되는 광재 덩어리를 분쇄하여 만든 회색 또는 흑갈색의 광재로서 분말 또는 모래상의 입상 부산물이다.
5. 제염제
폐석고, 탄산칼슘, 염화칼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기질 폐기물에 생석회를 투입하여 칼슘성분이 강화된 비료를 제조하는 방법은 종래에도 알려져 있었지만, 종래 방법에서는 유기질 폐기물에 존재하는 염분을 제거하지 못했기 때문에, 비료로서의 효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제 1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산업계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이 가능한 첨가제를 사용해서 유기질 폐기물에 존재하는 염분을 제거하고자 한 것으로, 효과적인 식물 영양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음식물쓰레기와 도축폐기물중에는 염분이 높은 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 통상적이며, 이것은 토양의 물리 화학성을 매우 해롭게 하고 있다. 원래, 토양이 건전하려면 칼슘 함량이 높아야 하며, 염분은 아주 미량이거나 전연 함유하지 않아고 무방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첨가제를 사용해서 염분을 제거하려는 것이고, 첨가제에는 폐석고(CaSO4), 탄산칼슘(CaCO3) 및 염화칼슘(CaCl2)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이 염분을 제거하는 기전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염분을 제거하는 데는 물이 필요하며, 보통 음식 쓰레기등에는 수분이 존재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폐석고를 음식 쓰레기에 첨가, 혼합하면 다음과 같이 폐석고가 해리하여 생긴 칼슘이온이 토양 콜로이드에 흡착되며,
황산근이 용액에 남는다. 이 황산근은 칼슘에 의해서 치환 침출된 소오다에 결합하여 중성염(Na2SO4)이 되는데, 이 염은 물에 잘 녹기 때문에 빗물등에 의해서 씻겨 내려갈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음식쓰레기에 존재하는 염분은 거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서도 제거가 가능하다. 또한, 제염목적으로는 탄산칼슘도 유효하다. 탄산칼슘은 해리하여 Ca2+를 만드는데 칼슘이온은 토양에 흡착되고, Na+를 치환, 침출하여 소오다의 탄산염을 만들어 물에 씻겨 내려가게 한다. 이때, 물, 신선 유기질이 풍부하여 탄산(H2CO3)이 만들어 질 수 있으면 그 효과는 더욱 현저하다.
아래와 같이 수용성의 Ca(HCO3)2로 변하여, Ca2+를 많이 만들어서
Ca(HCO3)2
콜로이드로부터 Na+를 치환 침출하고, 침출된 Na+는 중탄산염이 되어 물에 씻겨가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칼슘성분만이 보강된 종래의 비료와는 명확히 구별되는, 마그네슘성분을 보강하기 위해서, 염분이 제거된 유기질 폐기물에 도로마이트를 선택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칼슘성분만이 아니라 마그네슘성분이 강화된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마그네슘을 본 발명의 유기질 식물 영양제의 성분으로 한 것은, 식물의 엽록소 구성원소이며 신진 대사를 왕성하게 하고 식물 체내에서 단백질이나 지방의 합성 및 인산의 이동등의 생리작용등을 돕고 초기 수확을 늘리기 위한 필수 성분일 뿐 아니라, 식물이 산성비에 저항성을 갖게 하고, 나아가 산성비로 손상을 입은 식물을 치료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산성비는 토양으로부터 칼륨, 알루미늄, 칼슘등의 이온을 용탈시킴은 물론, 식물으로부터 칼슘 및 마그네슘이온을 용탈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칼슘 이온은 식물체의 광합성, 세포증식, 효소활성 및 DNA의 합성등에 불가결한 필수원소라고 이해되고 있으며, 따라서, 산성비에 의해서 칼슘이온이 식물체로부터 용탈되는 경우에 식물의 대사이상이 발생하며, 결국 식물의 쇠약이 일어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기질 폐기물에 칼슘성분의 공급원으로서의 생석회 및/또는 마그네슘 성분의 공급원으로서의 도로마이트를 첨가, 혼합하여 칼슘 및/또는 마그네슘성분이 강화된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논(畓)에서의 벼농사에 필수성분인 가용성 규산성분을 보강하기 위해서 염분이 제거된 유기질 폐기물에 규회석 분말이나 제련 부산물 광재를 선택적으로 투입, 혼합하여 규산분이 강화된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제공할 수 있다.
마그네슘 이온은 식물체 본래의 생체방어기구인 테르펜류를 생산하는 데 관여하는 효소인 FPP Synthetase가 작용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미량원소이다. 따라서 마그네슘 이온이 결핍되면 식물체는 병해충에 대한 스스로의 저항성을 잃게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병해충에 의한 식물의 피해를 농약등으로 방지하려는 종래의 발상을 뛰어넘어, 식물자체의 방어기능을 활성화 하여 이를 막으려고 시도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 마그네슘 원소가 포함되어 있는 고토분 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유기질 폐기물에 염분제거 첨가제를 유기질 폐기물 100중량부당 약 0.1 내지 약 5중량부 투입한 후, 생석회 및/또는 도로마이트를 처리물 고형량 100부당 200-400부 투입교반하여, 분괴상의 칼슘 강화 및/또는 고토분 강화 유기질 식물영양제를 얻는다. 이 경우, 다른 유효한 화학질 및 석회질 또는 도로마이트 이외의 식물영양제를 첨가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제 3발명은 규산 성분이 강화된 유기질 식물 영양제에 관한 것인데, 한국의 논 토양의 경우 전체의 90%가 벼농사에 필수적인 규산 함량이 부족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규산성분을 강화한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밭토양의 경우에는 고토 성분이 필요하지만, 논토양에는 고토 성분이 필요없기 때문에 본 제 3발명에서는 도로마이트를 첨가하는 대신 가용성 규산분을 첨가, 혼합한 것이다. 즉, 인분뇨, 가축분뇨, 음식 쓰레기등을 혼합한 유기질 폐기물에 염분제거 첨가제를 유기질 폐기물 100중량부당 약 0.1 내지 5 중량부 투입하고, 여기에 유기질 폐기물 100중량부당 약 100 내지 300중량부의 생석회 및 100 내지 300중량부의 규회석 분말을 첨가혼합하여 답용 규산질 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칼슘강화, 고토분강화 및/또는 규산질 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는 하나의 공정에서 이를 제조할 수 있는데, 이하 그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즉, 동식물질 또는 음식 쓰레기등의 유기질 폐기물을 투입호퍼(1)에 투입한 후, 유기질 폐기물 반송 콘베이어(3)에 의해서 반송되는 중에 수작업으로 음식 쓰레기등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한편, 유기질 폐기물중에 존재하는 염분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첨가제투입장치(1-1, 2-1, 3-1)를 설치하는데, 첨가제투입버켓 엘리베이타(1-1)에 의해서 첨가제를 첨가제 호퍼(2-1)로 반송하고, 첨가제 정량 스크류컨베이어(3-1)에 의해서 유기질 폐기물 반송 컨베이어(이물선별공급컨베이어)(3)로 반송된 유기질 폐기물과 첨가제를 혼합한 후, 유기질 분쇄기(4)에 의해서 유기질 폐기물과 첨가제를 충분히 분쇄하고, 결과된 분쇄물을 펌프에 의해서 유기질 폐기물 저장조(6)에 저장한다. 이 저장조(6)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염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의 칼슘 및 마그네슘 또는 규산 공급원인 생석회 및 도로마이트 및 규회석 분말은 별개의 투입호퍼(8)로 투입하고, 각각의 사이로(11, 13)에 저장되며, 각각의 피더(12, 14)로 필요량을 방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염분이 제거된 유기질 폐기물 저장조(6)에서 일정량의 유기질 폐기물이 밸브를 통해서 방출되고, 이와 동시에 생석회 및/또는 도로마이트 및/또는 규산질 저장조에서 생석회 및/또는 도로마이트 및/또는 규회질 성분이 선택적으로 일정량 방출되어 엘레베이타(15)에 의해서 반송되며, 1차 반응조(16)에서 유기질 폐기물과 혼합되게 된다. 1차 반응조에서는 유기질 폐기물과 생석회 및 경소 도로마이트가 반응하는데, 이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는 그 속에 함유된 수분이 생석회 및 경소 도로마이트와 작용하여 가수 분해를 일으키므로, 고열의 반응열을 받아 소화되며, 결국 케이크 처럼 수분이 적은 상태가 되게 된다. 한편, 1차 반응조의 결과물은 이어서 2차 반응조(17)로 들어가게 되고, 2차 반응조에서는 1차 반응이 끝난 유기질 폐기물과 생석회등의 혼합물이 숙성되게 된다. 2차 반응조에서의 혼합, 숙성공정이 끝나면, 유기질 폐기물을 원료로 하는 유기질 식물 영양제가 생성되며, 이것을 제품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첨가제, 예컨대, 제올라이트나 또는 황토흙 또는 시비할 토양에 과잉으로 존재하는 인산이나 질산성분을 중화하기 위한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1에서 도면부재번호 20으로 표시된 제1첨가제 호퍼 및 도면부재번호 23으로 표시된 제 2첨가제 호퍼에 이러한 상기 첨가제등을 저장하였다가, 상기 유기질 식물영양제와 혼합기(18)에 의해서 혼합함으로서, 제품으로서 가치가 있는 유기질 식물영양제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혼합된 혼합물을 숙성장 벨트 컨베이어(26, 27)를 사용해서반송한다. 숙성이 끝난 유기질 식물 영양제는 제 1, 2 및 3발명인 칼슘강화 및/또는 마그네슘강화 및/또는 규산질 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로 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 4발명인 기능성 유기질 식물 영양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산성비등으로부터 흡수된 식물체내의 유화물은 K+〈Na+〈Mg2+〈Ca2+서열순의 친화력에 의해 각종 금속이온을 용탈시킨다. 배연 탈황제로 Ca이 사용되듯이 유산기에 의해 가장 많이 용탈되는 금속이온은 Ca2+이다. 칼슘이온용탈에 대처하고 칼슘결핍을 신속히 보충 치유하기 위해서는 식물의 칼슘 이온 흡수성을 향상시켜 가용태의 칼슘을 신속히 최대한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제 4발명인 기능성 유기질 식물 영양제는 상기 제 1, 2 및 3발명에 칼슘 흡수성 향상 부여제로서 게, 새우등의 갑각류에 있는 다당류의 키토산 및/또는 트레할로스등의 성분이 추가로 첨가된 것으로서, 그 성상은 분말상이거나 또는 사용의 편리를 위하여 과립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4발명의 기능성 유기질 식물 영양제는 고급식물에의 사용을 주된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골프장의 잔디, 정원, 소나무 및 원예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산성비에 의해서 피해를 입은 식물에 적용할 경우, 식물의 피해를 치료할 수 있는 효능이 있는 것이다. 키토산은, 종래로부터 푸자리움균등 식물병해균의 증식억제, 병원성 진균의 생육억제 작용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고, 토양개량을 이루는 방법으로서 사용되어지고 있다. 키토산을 식물에 투여하면 식물의 뿌리로부터 발생하는 유기산에 의해 용해하고, 식물의 생육에 기여하게 되지만, 자연의 상태에서는 용해속도가 매우 늦어 장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식물의 생육에 맞지 않고, 식물의 조기생육에는 부적당하다. 키친, 키토산은 식물체내로의 Ca2+이온의 흡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식물중의 Ca2+의 수용성 단백질인 카르모듈린의 Ca2+와의 결합을 유도하고, 이 결합한 카르모듈린, α-아밀라제, ATPase,등의 불활성 효소를 Ca2+존재하에 활성화시켜 식물체내로의 Ca2+이온의 흡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고, 또 트레할레스는 동결이나 건조성에 내구성이 있고, 일조시의 고갈이나 역으로 한냉기의 서리 맞아 마름등에 현저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키친의 구조식은 다음의 화학식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β-폴리-N-아세틸-글루코사민(Ac는 아세틸기)에 가까운(근사한) 것으로 되어 있다.
키토산은 다음의 화학식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1,4)-2-아민-2-디옥시-β-D-글루칸으로 대표되는 D-글루코사민을 기본단위로한 유도체이다.
2)트레할로스
트레할로스의 구조식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키토산은 수용성이 아니며 물에 용해되지 않지만, 유기산에는 용해된다. 수용성 유기산 100부에 대해서 키토산 건조분말 10 내지 20부를 교반조에 넣고 공기를 주입하면서 완만한 속도로 교반해서 키토산을 유기산에 용해시켜 수용성으로 만들어 사용한다. 키토산을 용해하는 유기산으로는 초산, 유산, 구연산, 낙산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4발명인 기능성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2 및 3발명인 유기질 식물영양제를 1-3일간 방치후, 혼합기 또는 벨트 컨베이어 상에서 키토산류를 상기 유기질 식물영양제 100부에 대해서 0.01-1.0부 및 트레할로스를 상기 유기질 식물영양제 100부에 대하여 0.001-30부 첨가후, 혼합기에 도입하여 혼합한 후 분말상태, 또는 과립화하고 건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능성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얻는다.
이하, 제 4발명인 기능성 식물 영양제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상기 제 1발명, 제 2발명 및 제 3발명에서 생성된 칼슘 및/또는 마그네슘 및/또는 규산 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제조하는 공정에 이어서, 제 4발명인 기능성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상기 숙성이 끝난 제 1발명, 제 2발명 및 제 3발명인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숙성장 호퍼(28) 및 숙성장 이송 벨트 컨베이어(32)에 의해서 햄머밀(33)에 투입하고 충분히 분쇄한다. 결과된 분쇄물은 엘리베이터(34)를 통해서 제품탱크(35)에 투입한다. 한편, 이와는 별도로 첨가제 탱크(41-1)에 키토산 및/또는 트레할로스등을 넣고, 결합제 탱크(41)에는 결합제를 넣는다. 제품탱크에 들어있는 식물 영양제와 첨가제 탱크(41-1)에 들어있는 키토산 및/또는 트레할로스와 결합제 탱크(41)에 들어있는 점토, 당류등 적당한 결합제를 혼합기(43)에 투입하여 혼합한다. 이 혼합물을 포장장치(37, 39)를 이용해서 포장하면 기능성 유기질 식물 영양제가 된다. 한편, 상기 기능성 유기질 식물 영양제의 최종 제품을 과립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혼합기(43)에서 바로 포장장치(37, 39)로 이동하지 않고, 혼합기 호퍼(44)를 통해서 조립기(45)로반송된다. 조립기에서 여러가지의 입도로 조립된 기능성 식물 영양제는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서 건조기로 반송되고, 건조기(47)에 의해서 건조된 후, 조립제품 사이로(53)에 저장되었다가, 포장장치(54, 56)에 의해서 포장되어 과립상 기능성 유기질 식물 영양제의 최종제품으로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해서, 본 발명의 제 4발명인 기능성 유기질 식물 영양제가 제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 5발명인 액상 산성 폐수 중화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조공정중 염분이 제거된 유기질 폐기물과 생석회 및/또는 도로마이트 및 규회석 분말이나 제철소의 제련광재를 혼합하고, 반응시키고, 숙성하는 제 1차 반응조 및 제 2차 반응조의 내부에는 유기질과 생석회 및 경소 도로마이트의 발열반응열로 인해서 고온 및 고압상태가 된다. 또한, 생석회와 도로마이트로 인해서 상기 반응조의 내부는 강 알카리성을 띄고 있다. 이와 같은, 고온 및 고압상태의 반응조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와 배기를 냉각기(29)에서 냉각하면 응축수가 발생하는 데, 이것은 강 알카리성을 띈 액체이고, 따라서, 산성 폐수 중화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냉각기에 pH를 조절할 수 있는 pH 조정조(31)을 설치해서 배출되는 액체의 pH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pH를 갖는 산성 폐수 중화제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것은 본 발명의 공정중에 발생하는 폐수를 재활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하에 기술한다. 이하에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태양의 예시를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며, 결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1] 고토분 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
인분뇨, 가축분뇨 및 음식물 쓰레기를 고형분 비율로 1:1:1로 혼합한 유기질 폐기물 100kg에 폐석고 3Kg를 가하여 교반조에서 탈염처리하고, 괴상 경소 도로마이트를 300Kg를 가하고, 리본블렌더로 1시간 혼합 교반했다. 추가로, 상기 혼합품에 미량원소를 첨가원인 황토42kg을 파돌 연속식 혼합기로 혼합하고, 48시간방치한 후, 분쇄기로 분쇄하고, 식물의 생육에 유용한 미량원소를 함유하는 고토분 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고형량으로 559Kg을 조정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처리되기 전의 유기물 폐기물의 물성과 본 실시예 1에 의해 처리된 후의 식물영양제의 물성을 표 제 1에 보였다.
[실시예2]규산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
인분뇨, 가축분뇨, 음식 쓰레기를 고형분비율로 1:1:1로 혼합한 유기질 폐기물 100Kg에 폐석고 3Kg을 추가해서 교반조에서 탈염처리한 후 괴상의 생석회 200Kg과 규회석 분말 또는 제련용재 250Kg을 리본블렌더에서 1시간 혼합교반했다. 추가로, 상기 혼합품에 미량원소를 첨가원인 황토 50Kg을 파돌 연속식 혼합기에서 혼합하고, 48시간방치한 후, 분쇄기에서 분쇄하고, 식물에 유용한 미량원소를 함유하는 규산 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고형량으로 664Kg을 조정했다.(여기서 생석회를 혼합한 이유는 칼슘성분을 보강하여 유기질 폐기물을 발열반응열에 의해 소화시키고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처리되기 전의 유기물 폐기물의 물성과 본 실시예 2에 의해 처리된 후의 식물영양제의 물성을 표 제 1에 보였다.
[실시예3] Ca 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
인분뇨, 가축분뇨, 음식 쓰레기를 고형분비율로 1:1:1로 혼합한 유기질 폐기물 100Kg에 폐석고 3Kg을 추가해서 교반조에서 탈염처리한 후 괴상의 생석회 300Kg을 리본블렌더에서 1시간 혼합교반했다. 추가로, 상기 혼합품에 미량원소를 첨가원인 황토 74Kg을 파돌 연속식 혼합기에서 혼합하고, 48시간방치한 후, 분쇄기에서 분쇄하고, 식물에 유용한 미량원소를 함유하고 칼슘을 부여하는 칼슘 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고형량으로 570Kg을 조정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처리되기 전의 유기물 폐기물의 물성과 본 실시예 2에 의해 처리된 후의 식물영양제의 물성을 표 제 1에 보였다.
제품 수분(%) 유기물(%) 염분(%) pH 알칼리도 가용성 Ca 가용성규산
* *
실시예1 85 25 25 17.9 1.0 0.01 4.5 12.9 1.2 54 0.7 13.4 - -
실시예2 85 35 33 15.1 0.8 0.01 4.7 12.9 0.8 35 0.8 25.5 1 25
실시예3 85 32 25 17.5 0.7 0.01 4.6 12.9 1.0 40 0.7 37.5 - -
*전: 처리전*후: 처리후
[실시예4] 기능성 유기질 식물 영양제 1
인분뇨, 가축분뇨, 음식 쓰레기를 고형분비율로 1:1:1로 혼합한 유기질 폐기물 100Kg에 폐석고 3Kg을 추가해서 교반조에서 탈염처리한 후 괴상의 생석회 300Kg을 리본블렌더에서 1시간 혼합교반했다. 추가로, 상기 혼합품에 미량원소를 첨가원인 황토 74Kg을 파돌 연속식 혼합기에서 혼합하고, 48시간방치한 후, 분쇄기에서 분쇄하고, 식물에 유용한 미량원소를 함유하고 칼슘을 부여하는 칼슘 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고형량으로 570Kg을 조정했다. 이어서 상기 칼슘 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에 믹서로 교반하면서 유산 3kg에 키토산을 300g 용해시킨 것과 트레할로스 300g을 첨가하여 분쇄하고, 이어서 조립기에서 조립하여, 기능성 유기질 식물 영양제 554Kg을 얻었다.
[실시예 5] 기능성 유기질 식물 영양제 2
인분뇨, 가축분뇨 및 음식물 쓰레기를 고형분 비율로 1:1:1로 혼합한 유기질 폐기물 100kg에 폐석고 3Kg를 가하여 교반조에서 탈염처리하고, 도로마이트를 300Kg를 가하고, 리본블렌더로 1시간 혼합 교반했다. 추가로, 상기 혼합품에 미량원소를 첨가원인 황토42kg을 파돌 연속식 혼합기로 혼합하고, 48시간방치한 후, 분쇄기로 분쇄하고, 식물의 생육에 유용한 미량원소를 함유하는 고토분 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고형량으로 559Kg을 조정했다. 이어서, 상기 고토분 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에 믹서로 교반하면서, 유산 3kg에 키토산 분말 800g을 용해시킨 것을 첨가해서 분쇄하고, 이어서 조립기에서 조립하여 기능성 유기질 식물 영양제 572Kg을 얻었다.
[실시예 6] 기능성 유기질 식물 영양제3
인분뇨, 가축분뇨, 음식 쓰레기를 고형분비율로 1:1:1로 혼합한 유기질 폐기물 100Kg에 폐석고 3Kg을 추가해서 교반조에서 탈염처리한 후 괴상의 생석회 200Kg과 규회석 분말 250Kg을 리본블렌더에서 1시간 혼합교반했다. 추가로, 상기 혼합품에 미량원소를 첨가원인 황토 50Kg을 파돌 연속식 혼합기에서 혼합하고, 48시간방치한 후, 분쇄기에서 분쇄하고, 식물에 유용한 미량원소를 함유하는 규산 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고형량으로 664Kg을 조정했다. 이어서 상기 규산 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에 키토산 건조분말 500g을 유산 2kg에 용해시킨 것을 첨가해서 분쇄하고, 이어서 조립기에서 조립하여 기능성 유기질 식물 영양제 650Kg을 얻었다.
[비교예 1]
음식찌꺼기와 도축폐기물중량비 1:1의 혼합물을 고형분환산으로 3Kg을 나이프에지라이너형 분쇄기로 미세하게 분쇄하고, 회분식 교반조에 취해서 넣고, 탄산 칼슘분말 2Kg을 첨가혼합해서, 산화 칼슘의 괴상물 10Kg과 배치식 리본 블렌더로 혼합해서 48시간 숙성한 후, 건조 분쇄해서 분말상 식물 영양제 18.2 Kg을 얻었다.
[비교예 2]
음식찌꺼기, 가축분뇨, 도축폐기물을 중량비 1:1:1의 혼합물을 고형분 환산으로 3Kg을 나이프에지라이너형 분쇄기로 미세하게 분쇄하고, 회분식 교반조에 취해서 넣고, 탄산칼슘 분말 2Kg을 첨가혼합하고, 도로마이트 소성품의 괴상물 10Kg과 혼합해서 혼합물을 만들고, 48시간 숙성후, 건조분쇄해서 분말상 식물영양제 18.4Kg을 얻었다.
[비교예 3]
음식찌꺼기와 도축폐기물 중량비 1:1의 혼합물을 고형분 환산으로 3Kg 을 나이프에지라이너형 분쇄기로 미세하게 분쇄하고, 산화 칼슘의 분말 10Kg과 배치식 리본 블렌더로 혼합해서 48시간 숙성한 후, 건조분쇄해서 분말상의 식물영양제 16.2Kg을 얻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유기질 식물 영양제인 실시예 4 내지 6과 비교예 1내지 3의 식물 영양제를 사용해서 하기 재배조건에 의해 양상치의 생육실험을 행하고, 생육량, Ca함유량을 측정했다. 결과는 표 2와 같다.
[재배조건]
일반 농업지에서 1시료마다 2m2의 면적을 확보하고, 파종 7일전, 각재배지들 시비는 화성비료 N/P/K=4/6/2를 100g/m2을 시비하고, 실시예 4-6에서 조정한 식물영양제 및 비교예 1-3에서 조정한 식물영양제를 각각 100g/m2를 산포하고 충분히 혼합해서 실험에 제공했다. 생육실험시기는 5-6월이며, 발아 10일후, 우량주 20주를 선택해서 솎아내고, 생육일수 60일로 수확했다.
사용한 식물영양제 또는 식물 칼슘부여제 60일 생육후의 양상치
건조중량(g/10주) Ca함유량(mg/100g)
실시예 4 690 984
실시예 5 700 988
실시예 6 710 998
비교예 1 560 925
비교예 2 550 918
비교예 3 470 910
유기질 폐기물에 존재하는 염분을 제거한 후, 생석회 및/또는 도로마이트 및/또는 규회석 분말이나 제련광재를 첨가한 본 발병의 칼슘 강화 및/또는 고토분 강화 및/또는 규산분 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는 산성 토양의 개량효과가 뛰어나며, 특히, 본 발명의 기능성 유기질 식물 영양제는 키토산 및 트레할로스을 추가로 첨가함으로서, 대기오염이나 산성비의 영향으로 쇠약한 수목이 식물본래의 생체방어기능에 의해 병충해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고, 또한, 칼슘성분을 식물체내로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어, 산성비에 의해 칼슘 및 마그네슘성분이 식물체로부터 용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유기질 식물 영양제는 골프장의 잔디, 정원 및 소나무등의 고급식물에 사용함으로서, 이러한 식물이 산성비에 의해서 쇠약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질 식물 영양제의 제조중 발생하는 알카리성의 응축수는 액상 산성 폐수 중화제로 사용할 수 있어서, 재활용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a)유기질 폐기물 100중량부당 염분제거첨가제 0.1 중량부 내지 5중량부를 첨가하여 유기질 폐기물에 존재하는 염분을 제거하는 단계;
    (b) 상기(a)단계의 생성물에 유기질 폐기물 100중량부당 100내지 500중량부의 생석회를 투입,교반하는 단계; 및
    (c) 상기(b)단계의 생성물을 1-3일간 방치하여 숙성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 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
  2. (a)유기질 폐기물 100중량부당 염분제거첨가제 0.1 중량부 내지 5중량부를 첨가하여 유기질 폐기물에 존재하는 염분을 제거하는 단계;
    (b) 상기(a)단계의 생성물에 유기질 폐기물 100중량부당 100중량부 내지 500중량부의 도로마이트를 투입,교반하는 단계; 및
    (c) 상기(b)단계의 생성물을 1-3일간 방치하여 숙성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토분 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
  3. (a)유기질 폐기물 100중량부당 염분제거첨가제 0.1 중량부 내지 5중량부를 첨가하여 유기질 폐기물에 존재하는 염분을 제거하는 단계;
    (b) 상기(a)단계의 생성물에 유기질 폐기물 100중량부당 100내지 300중량부의 규회석 분말 또는 규산질 제련 부산물 광재와 100내지 300중량부의 생석회를 투입,교반하는 단계; 및
    (c) 상기(b)단계의 생성물을 1-3일간 방치하여 숙성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산분 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
  4. (a)유기질 폐기물 100중량부당 염분제거첨가제 0.1 중량부 내지 5중량부를 첨가하여 유기질 폐기물에 존재하는 염분을 제거하는 단계;
    (b) 상기(a)단계의 생성물에 유기질 폐기물 100중량부당 100내지 300중량부의 생석회 및/또는 100내지 300중량부의 도로마이트 및/또는 100 내지 300중량부의 규회석 분말이나 규산질 제련 부산물 광재를 투입,교반하는 단계;
    (c) 상기(b)단계의 생성물을 1-3일간 방치하여 칼슘강화 및/또는 고토분 강화 및/또는 규산분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유기질 식물영양제 100중량부당 키토산 0.05 내지 1.0부 및/또는 트레할로스의 0.001중량부 내지 30중량부를 첨가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유기질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염분제거첨가제가 폐석고(CaSO4), 탄산칼슘(CaCO3) 또는 염화칼슘(CaCl2)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1항의 방법에 따라서 제조된 칼슘 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
  7. 제 2항의 방법에 따라서 제조된 고토분 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
  8. 제 3항의 방법에 따라서 제조된 규산분 강화 유기질 식물 영양제.
  9. 제 4항의 방법에 따라서 제조된 기능성 유기질 식물 영양제.
KR1020000075389A 2000-12-12 2000-12-12 음식물 쓰레기등의 유기질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질 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335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389A KR100335528B1 (ko) 2000-12-12 2000-12-12 음식물 쓰레기등의 유기질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질 비료 및 그 제조방법
US10/006,209 US6793704B2 (en) 2000-12-12 2001-12-10 Weak alkaline organic fertilizer from organic waste including food was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389A KR100335528B1 (ko) 2000-12-12 2000-12-12 음식물 쓰레기등의 유기질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질 비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064A true KR20010035064A (ko) 2001-05-07
KR100335528B1 KR100335528B1 (ko) 2002-05-09

Family

ID=19702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389A KR100335528B1 (ko) 2000-12-12 2000-12-12 음식물 쓰레기등의 유기질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질 비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793704B2 (ko)
KR (1) KR10033552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594A (ko) * 2001-12-27 2002-05-07 허태현 폐유기물을 주재로 한 토지개량제의 제조방법
KR20020071283A (ko) * 2001-03-06 2002-09-12 배원길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
KR100387340B1 (en) * 2001-12-04 2003-06-11 Kyu Jae You Weak alkaline organic fertilizer using organic waste such as food garbages and preparation thereof
KR20030046063A (ko) * 2001-12-04 2003-06-12 이성문 음식물 찌꺼기와 식물성 찌꺼기를 이용하여 칼슘석회석과(Caco3) 마그네슘(MGO) 장석운모 바이오와재오라이트석 가루를 60매시로 배합하여 숙성시킨칼슘석회질 유기질 비료 제조방법.
KR20030066269A (ko) * 2002-02-05 2003-08-09 정종수 황토와 유기물에 의한 유기액제 비료제조방법
KR20040025807A (ko) * 2002-09-17 2004-03-26 유용숙 석회처리 비료의 제조방법
KR100432418B1 (ko) * 2001-08-29 2004-05-22 정경자 폐 패각 분쇄물을 이용한 복합 과립 비료의 제조방법
KR100654420B1 (ko) * 2005-03-28 2006-12-0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폐석고가 함유된 석회질 개토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5266A1 (en) * 2003-04-25 2004-12-30 Michael Augustus Champ Use of magnesium hydroxide and calcium compounds with and without a carrier medium to treat animal waste: to reduce air emissions (including ammonia volatilization) from, retain nutrients from, and manage phosphorous solubility of decaying animal litter, manure, and animal excretions and waste in CAFOs and animal enclousures; to reduce farm nutrient runoff; to extract and bind waste nutrients for fertilizer use; and to reduce air emission of waste-based fertilizers and animal bedding
EP1580182A1 (en) * 2004-02-02 2005-09-28 Masaru Yamamoto Soil activator and production method for the same
US20050166653A1 (en) * 2004-02-02 2005-08-04 Masaru Yamamoto Soil activator and production method for the same
US7685737B2 (en) 2004-07-19 2010-03-30 Earthrenew, Inc. Process and system for drying and heat treating materials
US7024796B2 (en) 2004-07-19 2006-04-11 Earthrenew,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fertilizer products from manure and sewage
US7694523B2 (en) 2004-07-19 2010-04-13 Earthrenew, Inc. Control system for gas turbine in material treatment unit
US7024800B2 (en) 2004-07-19 2006-04-11 Earthrenew, Inc. Process and system for drying and heat treating materials
US7610692B2 (en) 2006-01-18 2009-11-03 Earthrenew, Inc. Systems for prevention of HAP emissions and for efficient drying/dehydration processes
US8007558B2 (en) * 2006-06-13 2011-08-30 Maxeco Organo-Mineral (Canada) Inc. Organo-mineral soil amendment
KR100796391B1 (ko) * 2007-03-30 2008-01-22 조재영 음식물류 폐기물을 이용한 토양개량제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제조된 토양개량제
WO2009020868A2 (en) 2007-08-04 2009-02-12 Rezzorb,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fertilizer use in agricultural operations
ITMI20081116A1 (it) * 2008-06-19 2009-12-20 Technelep Srl Processo per la produzione di gesso di defecazione per uso agricolo e formulazioni che lo contengono
ITMI20081115A1 (it) * 2008-06-19 2009-12-20 Technelep Srl Impianto flessibile per la produzione di gesso si defecazione per uso agricolo e di formulazioni che lo contengono
US20110179841A1 (en) * 2010-01-27 2011-07-28 James Cheng-Shyong Lu High-rate composting process and equipment
US9108889B2 (en) 2010-09-10 2015-08-18 Harsco Corporation Agricultural blend and process of forming an agricultural blend
US20130333428A1 (en) 2010-09-10 2013-12-19 Harsco Corporation Agricultural binder system, agricultural blend, and process of forming an agricultural blend
US8734560B2 (en) 2010-09-10 2014-05-27 Harsco Corporation Agricultural blend and process of forming an agricultural blend
US9394209B2 (en) * 2014-12-05 2016-07-19 NutriChem Marketing, Inc. Alternative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granulated nutrients
SG11201804079WA (en) 2015-11-16 2018-06-28 Gcp Applied Tech Inc Postponed onset of quicklime hydration
RU2623045C1 (ru) * 2016-04-12 2017-06-21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Газпром"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рганоминерального удобрения для рекультивации разрушенных земель
CN107790484B (zh) * 2017-11-13 2024-03-26 深圳市三盛环保科技有限公司 厨余果蔬垃圾混合处理一体机及混合处理方法
IT201800006150A1 (it) * 2018-06-11 2019-12-11 Impianto per il trattamento dei fanghi di linea dei depuratori di acque reflue
WO2020173906A1 (en) * 2019-02-26 2020-09-03 Crh Nederland B.V. A composite
CN111848276A (zh) * 2020-07-23 2020-10-30 佛山市顺德区同泰塑料实业有限公司 一种采用厨余垃圾制造肥料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7920A (en) * 1973-01-31 1975-04-15 George Carlberg Method of reclaiming wastes and products therefrom
US4180459A (en) * 1977-12-16 1979-12-25 Industrial Filter & Pump Mfg. Co. Process of making agricultural product from organic sewage sludge
NL8501262A (nl) * 1985-05-03 1986-12-01 Intron B V Werkwijze om afvalmateriaal om te vormen tot een waterbestendig produkt.
US4997572A (en) * 1990-06-29 1991-03-05 Willow Technology, Inc. High rate method for alkaline stabilization, beneficiating and pelletizing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sludges
US5196043A (en) * 1991-01-25 1993-03-23 Willow Technology, Inc. Delayed, exothermic, alkaline sterilization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sludges
NL9200845A (nl) 1992-05-13 1993-12-01 Epenhuysen Chem Fab Meststofoplossing,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deze meststofoplossing en gebruik daarvan.
US5385673A (en) * 1992-09-08 1995-01-31 Hazen And Sawyer, P.C. Method of treating wastewater biosolids
US6273927B1 (en) * 2000-05-18 2001-08-14 Dae Youn Yang Manufacturing method of fertilizer made from organic waste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283A (ko) * 2001-03-06 2002-09-12 배원길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
KR100432418B1 (ko) * 2001-08-29 2004-05-22 정경자 폐 패각 분쇄물을 이용한 복합 과립 비료의 제조방법
KR100387340B1 (en) * 2001-12-04 2003-06-11 Kyu Jae You Weak alkaline organic fertilizer using organic waste such as food garbages and preparation thereof
KR20030046063A (ko) * 2001-12-04 2003-06-12 이성문 음식물 찌꺼기와 식물성 찌꺼기를 이용하여 칼슘석회석과(Caco3) 마그네슘(MGO) 장석운모 바이오와재오라이트석 가루를 60매시로 배합하여 숙성시킨칼슘석회질 유기질 비료 제조방법.
KR20020033594A (ko) * 2001-12-27 2002-05-07 허태현 폐유기물을 주재로 한 토지개량제의 제조방법
KR20030066269A (ko) * 2002-02-05 2003-08-09 정종수 황토와 유기물에 의한 유기액제 비료제조방법
KR20040025807A (ko) * 2002-09-17 2004-03-26 유용숙 석회처리 비료의 제조방법
KR100654420B1 (ko) * 2005-03-28 2006-12-0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폐석고가 함유된 석회질 개토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26898A1 (en) 2003-07-10
KR100335528B1 (ko) 2002-05-09
US6793704B2 (en) 2004-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5528B1 (ko) 음식물 쓰레기등의 유기질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질 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708387B1 (ko) 미생물공정을 이용한 비료 가용화에 의한 발효비료 및 그의제조방법
CN101429066B (zh) 利用造纸污泥制备有机肥的方法
CN102079668B (zh) 一种高效有机肥及制备方法
CN106242892A (zh) 一种盐碱地改良剂及其制备方法
CN103360151A (zh) 一种含有腐殖酸螯合物的生物有机复合肥
AU2006207886A1 (en) Fertiliser
WO2014025275A2 (en) Fertilizer with controlled components release, fertilizer with controlled components release production method and method of fertilizer application
CN103524199B (zh) 一种用于绿色食品生产的复混肥料
CN104261909A (zh) 一种生物有机肥的制备方法
KR100401247B1 (ko) 무발효 퇴비, 유기질 비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72905B1 (ko) 도시농업용 용토
CN1116193A (zh) 稀土磁化全养分复混肥及其制备方法
CN100387553C (zh) 利用赤霉菌培养基废渣生产颗粒商品有机肥技术
CN103483086A (zh) 一种环保型多功能生态有机肥及其生产方法
KR100974087B1 (ko) 낙엽을 이용한 퇴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353081A (zh) 盆栽花卉肥料的制备方法
KR100864218B1 (ko) 팽창질석을 이용한 토양개량제의 제조방법
RU2165401C1 (ru) Комплексное органоминеральное удобрение
RU2334730C2 (ru) Органическое удобрение "термофил"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KR100220210B1 (ko) Fly ash를 수분 조절제로 이용한 수도작용 완효성 비료 및 그 제조방법
JPH01142128A (ja) 法面緑化工事における植生基盤形成方法
CN106831071A (zh) 一种含双酸螯合物和稀土的生物有机肥
KR100240297B1 (ko) 환경 오염물질을 이용한 칼슘 영양 비료 및 그의 제조방법
El-Mantawy et al. Response of maize to combinations of organic and mineral nitrogen fertilization on growth, productivity and soil properties under calcareous and alluvial so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116

Effective date: 200407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902

Effective date: 2005100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