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087B1 - 낙엽을 이용한 퇴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낙엽을 이용한 퇴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087B1
KR100974087B1 KR1020090073949A KR20090073949A KR100974087B1 KR 100974087 B1 KR100974087 B1 KR 100974087B1 KR 1020090073949 A KR1020090073949 A KR 1020090073949A KR 20090073949 A KR20090073949 A KR 20090073949A KR 100974087 B1 KR100974087 B1 KR 100974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t
parts
powder mixture
l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현
Original Assignee
조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현 filed Critical 조동현
Priority to KR1020090073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0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0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엽을 이용한 퇴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계분 또는 돈분과 분쇄된 낙엽을 일정비율로 혼합 조성한 퇴비를 제조함으로써 토양의 개량 효과와 함께 지력의 향상 효과가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낙엽을 이용한 퇴비는 계분 또는 돈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분쇄된 낙엽 35∼45 중량부의 비율로 분엽 혼합물을 혼합 조성한 다음, 상기 분엽 혼합물을 60∼80℃의 온도조건하에서 15∼25일간 발효 제조되어진다. 또한, 방법적인 특징으로는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방법적인 특징은 (a) 계분 또는 돈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분쇄된 낙엽 35∼45 중량부의 비율로 분엽 혼합물을 혼합 조성하는 단계; 및 (b) 단계(a)의 과정에서 조성된 분엽 혼합물을 60∼80℃의 온도조건하에서 15∼25일간 발효시켜 퇴비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퇴비, 계분, 돈분, 낙엽, 효소, 황토

Description

낙엽을 이용한 퇴비 및 이의 제조방법{Manure and method using fallen leaves}
본 발명은 낙엽을 이용한 퇴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분 또는 돈분과 낙엽을 일정비율로 혼합 조성한 다음 일정온도 조건하에서 일정기간 동안 발효시킴으로써 종래의 기술에 의한 퇴비에 비해 월등한 토양 개량 효과가 있도록 한 낙엽을 이용한 퇴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학비료는 무기질로서 작물의 영양에 속효성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과잉 흡수되는 문제가 있음은 물론, 대사과정에서 완전 분해되지 않고 식물조직에 축적되어 사람이 섭취하였을 때 여러 가지 유해한 증상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화학비료의 사용에 따른 피해로는 토양의 산성화와 토양의 단립화 및 화학비료의 유실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수질의 부영양화현상(富營養化現狀)을 초래하게 되고, 또한 자연 생태계의 단절현상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반면, 유기질비료라고 하는 퇴비는 완효성 또는 지효성으로 한 번 시비하면 작물의 전 생육기간을 통해서 서서히 분해되고 무기화되면서 영양물이 흡수되므로 식물체에 축적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즉, 유기질비료로써의 퇴비는 식물에 서서히 흡수되면서 비료 효과가 적거나 지나침이 없어 작물의 생육에 과불급의 현상이 없는 것이 퇴비의 우수한 특징이라 할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완숙된 퇴비를 이용하면 위생적으로 안전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작물의 맛이나 작물 색깔의 개량 및 당도와 비타민 함유량 등 품질향상과 수확량이 많아진다. 아울러, 퇴비는 연작농업과 화학비료의 연속시비에 의한 지력이 쇠퇴된 토양을 회복시키는데 가장 좋은 수단이라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최근에 우리 나라를 비롯하여 세계적으로 유기농법이 더욱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유기농법이란 화학비료, 농약, 성장촉진제 및 사료첨가제 등에 의존하지 않고 윤작 농산부산물, 석회비료, 콩과식물, 녹비 및 기타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해 짓는 농사법을 말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유기농업을 실천하고 있는 농가 및 유기농업 단체들은 유기농업의 목표는 환경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농산물의 품질도 저하시킬 수 있는 기술들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농업환경을 보존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는데에 있다고 표방한다.
전술한 유기농업은 화학비료를 쓰지 않고도 목표하는 작물수량을 올릴 수 있을만큼 지력이 충분히 높아졌을 때, 그리고 농약을 사용하지 않아도 병해충 발생이 견딜만한 수준에 머무를 만큼 환경이 개선되었을 때 비로소 화학비료와 농약의 사 용을 중단하는 단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적절한 양의 유기질비료만으로도 작물수량을 바람직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기 위해서는 토양의 기본지력을 높여야 한다. 토양의 기본지력을 높이는 데에는 양질의 유기물을 사용하여 토양 중 유기물 함량을 어느 정도까지는 높이는 것이 비교적 실천 가능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유기질비료는 대부분 가축분뇨를 원료로 하여 만든 것이기 때문에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면 토양 중의 염분 함량이 지나치게 높아질 수 있어 부작용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유기물비료는 그 사용량을 지나치게 많이 시용하면 토양과 유기질비료가 고루 섞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더하여 대부분의 유기질비료는 비료성분의 농도 즉, 질소, 인산 및 가리 성분의 농도가 낮아 같은 양의 화학비료를 사용할 때보다 훨씬 많은 양을 시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는 화학비료를 사용할 때보다 훨씬 많은 양의 퇴비를 운반하고 보관하여야 하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즉, 유기질비료만으로 농사를 지을 경우 화학비료로 농사를 지을 때에 비해 매우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 출된 것으로, 계분 또는 돈분과 분쇄된 낙엽을 일정비율로 혼합 조성한 다음 발효시켜 퇴비를 제조함으로써 토양의 개량 효과와 함께 지력의 향상 효과가 있도록 하는 낙엽을 이용한 퇴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계분 또는 돈분과 분쇄된 낙엽을 일정비율로 혼합 조성한 퇴비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낙엽의 활용을 통한 주민소득의 증대와 함께 청소효과도 기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계분 또는 돈분과 분쇄된 낙엽을 일정비율로 혼합 조성한 퇴비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양에 시용하였을 경우 기존의 토양과 고루 섞일 수 있도록 하여 기존 토양에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낙엽을 이용한 퇴비는 계분 또는 돈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분쇄된 낙엽 35∼45 중량부의 비율로 분엽 혼합물을 혼합 조성한 다음, 상기 분엽 혼합물을 60∼80℃의 온도조건하에서 15∼25일간 발효 제조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에서 분엽 혼합물의 수분함량이 50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분엽 혼합물에 상기 계분 또는 돈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생물 1∼2 중량부가 더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구성에서 분엽 혼합물에는 계분 또는 돈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20 중량부의 황토 분말이 더 혼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구성에서 분엽 혼합물의 발효시 1일 1∼2회에 걸쳐 1∼3 시간동안 교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방법적인 특징은 (a) 계분 또는 돈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분쇄된 낙엽 35∼45 중량부의 비율로 분엽 혼합물을 혼합 조성하는 단계; 및 (b) 단계(a)의 과정에서 조성된 분엽 혼합물을 60∼80℃의 온도조건하에서 15∼25일간 발효시켜 퇴비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단계(a)의 과정에서 조성된 분엽 혼합물의 수분함량이 50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분엽 혼합물에 상기 계분 또는 돈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생물 1∼2 중량부가 더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단계(a)의 과정에서 분엽 혼합물에는 계분 또는 돈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20 중량부의 황토 분말이 더 혼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단계(b)의 과정에서 분엽 혼합물의 발효시 1일 1∼2회에 걸쳐 1∼3 시간동안 교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계분 또는 돈분과 분쇄된 낙엽을 일정비율로 혼합 조성하여 제죄된 퇴비는 토양의 개량 효과와 함께 지력의 향상 효과가 발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효과로는 계분 또는 돈분과 분쇄된 낙엽을 일정비율로 혼합 조성한 퇴비를 제조함으로써 낙엽의 활용을 통한 주민소득의 증대와 함께 청소효과도 기대할 수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계분 또는 돈분과 분쇄된 낙엽을 일정비율로 혼합 조성한 퇴비를 제조함으로써 토양에 시용하였을 경우 기존의 토양과 고루 섞 일 수 있도록 하여 기존 토양에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발현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낙엽을 이용한 퇴비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계분이나 돈분과 같은 낙엽을 이용한 퇴비는 계분 또는 돈분과 낙엽이 일정비율로 혼합 조성된 분엽 혼합물을 일정온도 조건하에서 발효시킴으로써 제조되어진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낙엽을 이용한 퇴비는 먼저, 계분 또는 돈분과 분쇄된 낙엽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분엽 혼합물을 조성한다. 이때, 계분 또는 돈분과 분쇄된 낙엽의 혼합비율은 계분 또는 돈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분쇄된 낙엽 35∼4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 조성되어진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계분 또는 돈분과 분쇄된 낙엽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분엽 혼합물을 조성한 다음에는 일정온도 조건하에서 분엽 혼합물을 발효시켜 퇴비로 제조하게 된다. 이때, 분엽 혼합물의 발효조건은 60∼80℃의 온도조건하에서 15∼25일간 발효 제조되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낙엽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과정에서 계분 또는 돈분과 혼합되는 낙엽은 분쇄된 상태로 혼합한다. 이때, 낙엽을 분쇄하지 않게 되면 낙엽 표면의 각질에 의해 수분의 침투가 어려워져 분엽 혼합물의 발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낙엽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과정에서 낙엽은 반드시 분쇄기를 통해 분쇄하여 분쇄된 낙엽에 수분의 침투가 이루어짐으로써 발효과정에서 분엽 혼합물의 발효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낙엽을 이용하여 제조된 퇴비의 구성에서 낙엽은 산과 들의 나무로부터 대량으로 수거할 수가 있음은 물론, 도심의 가로수로부터도 수거할 수가 있다. 다만, 도심의 가로수로부터 발생된 낙엽에는 토양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차량의 분진이나 매연 등이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도심의 가로수로부터 발생된 낙엽은 세척한 다음 건조시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낙엽을 이용한 퇴비를 구성하는 계분 또는 돈분은 수거시 분뇨(糞尿)가 혼합된 상태로 분(糞)에는 수분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별도의 수분을 조절할 필요는 없다. 또한, 수거된 계분 또는 돈분의 pH는 대체적으로 6.5∼8이기 때문에 수거된 계분 또는 돈분의 pH를 별도로 조절할 필요는 없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낙엽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과정에서는 분엽 혼합물을 발효시키기 위해 별도의 효소를 투여할 필요가 없다. 즉, 수거된 계분 또는 돈분과 분쇄된 낙엽에 포함된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발효가 이루어지므로 분엽 혼합물을 발효시키기 위한 별도의 효소는 본 발명에서는 필요치 않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낙엽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과정에서 계분 또는 돈분과 분쇄된 낙엽의 혼합물인 분엽 혼합물의 수분 함유량이 분엽 혼합물 전체 중량의 50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분엽 혼합물의 발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효소(미생물)를 일정량 혼합할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되는 효소로는 퇴비 발효용으로 판매되고 있는 균주제 품 중에서도 고온 발효에 적합한 친열성의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친열성 미생물의 사용을 계분 또는 돈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 사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효소는 분엽 혼합물에 혼합시 효소를 너무 소량 첨가하게 되면 유기물이 제대로 분해되지 못하고, 너무 과량 첨가하면 퇴비 내의 질소성분이 지나치게 많이 소모되어 질소 부족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효소는 계분 또는 돈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 중량부의 범위내에서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낙엽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과정에서 분말상의 황토를 일정비율 첨가할 수 있다. 이때, 황토의 첨가비율은 계분 또는 돈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20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황토는 규소, 철, 마그네슘, 칼륨을 비롯한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미량원소인 게르마늄이 함유되어 있어 원적외선을 방출함은 물론 탈취작용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황토는 분엽 혼합물에 첨가시 규소, 철, 마그네슘, 칼륨을 비롯한 다양한 성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악취를 저감시키고 토양의 통기성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은 황토는 너무 소량 혼합하게 되면 규산성분이 부족하고 악취제거 효과가 떨어지며, 너무 과량 혼합하게 되면 영양분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황토의 첨가비율은 계분 또는 돈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20 중량부의 범위내에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낙엽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과정에서 발효온도는 60∼80℃의 온도로 15∼25일간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온도는 온풍을 분엽 혼합물에 공급하여 발효온도를 유지할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엽 혼합물을 60∼80℃의 온도로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발효기간이 너무 짧으면 발효가 불완전하고, 기간이 너무 길면 양분 부족으로 미생물이 오히려 비활성화될 수 있기 때문에 15∼25일간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물론, 발효온도가 너무 높으면 효소까지 비활성화되어 발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온도가 너무 낮으면 발효기간이 길어질 수 있으므로 분엽 혼합물의 발효온도는 60∼80℃의 온도로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낙엽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과정에서 분엽 혼합물의 발효온도를 60∼80℃의 온도로 유지시킴으로써 재료에 포함되어 있는 해충알과 씨앗을 조기부화 및 조기발아로 제거하고 병원성 세균을 사멸시킬 수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낙엽을 이용한 퇴비를 60∼80℃의 온도조건하에서 15∼25일간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1일 1∼2회에 걸쳐 1∼3 시간동안 교반시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발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낙엽을 이용한 퇴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 계분 또는 돈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분쇄된 낙엽 35∼45 중량부의 비율로 분엽 혼합물을 혼합 조성하는 과정, (b) 혼합 조성된 분엽 혼합물을 60∼80℃의 온도조건하에서 15∼25일간 발효시켜 퇴비를 제조하는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낙엽을 이용한 퇴비를 제조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계분 또는 돈분과 분쇄된 낙엽을 일정비율로 혼합 조성한 다음 발효시켜 퇴비를 제조함으로서 토양의 개량 효과와 함께 지력의 향상 효과가 있도록 할 수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낙엽을 분쇄하여 계분 또는 돈분과 혼합함으로써 발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낙엽을 활용한 퇴비의 제조기술을 제공하는 효과가 발휘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Claims (8)

  1. 계분 또는 돈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분쇄된 낙엽 35∼45 중량부와 황토 분말 5∼20 중량부의 비율로 분엽 혼합물을 혼합 조성한 다음, 상기 분엽 혼합물을 60∼80℃의 온도조건하에서 15∼25일간 발효 제조된 낙엽을 이용한 퇴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엽 혼합물의 수분함량이 50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분엽 혼합물에 상기 계분 또는 돈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생물 1∼2 중량부가 더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엽을 이용한 퇴비.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엽 혼합물의 발효시 1일 1∼2회에 걸쳐 1∼3 시간동안 교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엽을 이용한 퇴비.
  5. (a) 계분 또는 돈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분쇄된 낙엽 35∼45 중량부와 황토 분말 5∼20 중량부의 비율로 분엽 혼합물을 혼합 조성하는 단계; 및
    (b) 단계(a)의 과정에서 조성된 분엽 혼합물을 60∼80℃의 온도조건하에서 15∼25일간 발효시켜 퇴비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낙엽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과정에서 조성된 분엽 혼합물의 수분함량이 50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분엽 혼합물에 상기 계분 또는 돈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생물 1∼2 중량부가 더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엽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의 과정에서 상기 분엽 혼합물의 발효시 1일 1∼2회에 걸쳐 1∼3 시간동안 교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엽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KR1020090073949A 2009-08-11 2009-08-11 낙엽을 이용한 퇴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74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949A KR100974087B1 (ko) 2009-08-11 2009-08-11 낙엽을 이용한 퇴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949A KR100974087B1 (ko) 2009-08-11 2009-08-11 낙엽을 이용한 퇴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4087B1 true KR100974087B1 (ko) 2010-08-09

Family

ID=42759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949A KR100974087B1 (ko) 2009-08-11 2009-08-11 낙엽을 이용한 퇴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08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517B1 (ko) 2010-09-30 2013-01-22 한규흠 싹틔운 보리와 민물이끼를 이용한 천연비료 및 그 제조방법
CN103724123A (zh) * 2013-12-20 2014-04-16 当涂县科辉商贸有限公司 一种植物制造肥料及其制备方法
CN103755452A (zh) * 2013-12-20 2014-04-30 当涂县科辉商贸有限公司 一种多种营养元素长效肥料及其制备方法
RU2710071C1 (ru) * 2019-03-12 2019-12-24 Владимир Степанович Григорьев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мпоста из растительных отходов
KR20210072480A (ko) * 2019-12-09 2021-06-17 박옥자 토착 미생물을 활용한 비료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780A (ko) * 1986-08-20 1988-05-11 최정삼 퇴비의 제조방법
KR20010085010A (ko) * 2001-07-16 2001-09-07 문일환 퇴비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17621A (ko) * 2000-08-31 2002-03-07 정호권 가축분뇨등의 신속한 무취화 및 퇴비화 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557879B1 (ko) * 2005-04-12 2006-03-10 전부남 완전 발효 퇴비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780A (ko) * 1986-08-20 1988-05-11 최정삼 퇴비의 제조방법
KR20020017621A (ko) * 2000-08-31 2002-03-07 정호권 가축분뇨등의 신속한 무취화 및 퇴비화 방법 및 그 조성물
KR20010085010A (ko) * 2001-07-16 2001-09-07 문일환 퇴비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0557879B1 (ko) * 2005-04-12 2006-03-10 전부남 완전 발효 퇴비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517B1 (ko) 2010-09-30 2013-01-22 한규흠 싹틔운 보리와 민물이끼를 이용한 천연비료 및 그 제조방법
CN103724123A (zh) * 2013-12-20 2014-04-16 当涂县科辉商贸有限公司 一种植物制造肥料及其制备方法
CN103755452A (zh) * 2013-12-20 2014-04-30 当涂县科辉商贸有限公司 一种多种营养元素长效肥料及其制备方法
RU2710071C1 (ru) * 2019-03-12 2019-12-24 Владимир Степанович Григорьев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мпоста из растительных отходов
KR20210072480A (ko) * 2019-12-09 2021-06-17 박옥자 토착 미생물을 활용한 비료 제조방법
KR102430672B1 (ko) 2019-12-09 2022-08-08 박옥자 토착 미생물을 활용한 비료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12494B (zh) 有机物料腐熟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3242105B (zh) 多抗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04177139B (zh) 一种微生物发酵的鸡粪有机肥
CN101602623B (zh) 一种微生物有机肥和复混肥及其制作方法
CN102653479B (zh) 一种以菌糠为原料制造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04072310B (zh) 一种多功能生态酸性土壤调理剂
CN102718594B (zh) 一种动物粪便类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02633539B (zh) 一种高效生物有机肥及制作工艺
CN103588583B (zh) 一种茶树专用生物有机肥及其制备及应用方法
CN103833464A (zh) 一种营养促长、抗病抗虫、抗旱保水的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05622291A (zh) 一种含茶粕生物有机无机复合肥及其应用
CN103449886A (zh) 一种水稻复合微生物肥料
CN103664352A (zh) 一种基于动植物废弃物的微生物有机复合肥及其制备方法
CN101857492A (zh) 生物酶肥料
CN105585351A (zh) 一种有机肥的生产方法
CN108101605A (zh) 一种二次粉碎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02887752A (zh) 动物粪便为主料的有机肥的制造方法
CN106800485A (zh) 蓝莓种植用有机肥的制备方法
CN102060580A (zh) 用复合生物菌制备腐殖酸生物有机肥料
CN103613419A (zh) 一种利用菌剂发酵菌渣和猪粪混合堆肥生产有机肥的方法
CN101885626B (zh) 菇废料禽畜粪复合肥及其生产方法
CN102633543B (zh) 一种生物有机肥的生产工艺
CN104262054A (zh) 一种能预防葵花病害的微生物有机肥及其制作方法
CN103833460A (zh) 一种富必需氨基酸的微生物有机复合肥及其制备方法
CN102674933A (zh) 一种生物有机复混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