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3487A - 붕소 화합물 - Google Patents

붕소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3487A
KR20010033487A KR1020007006988A KR20007006988A KR20010033487A KR 20010033487 A KR20010033487 A KR 20010033487A KR 1020007006988 A KR1020007006988 A KR 1020007006988A KR 20007006988 A KR20007006988 A KR 20007006988A KR 20010033487 A KR20010033487 A KR 20010033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onally substituted
alkyl
formula
diboron
dioxaboro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쿠치오시배스쳔마리오
로도푸로스매리
웨이골드헬무트
Original Assignee
월커 존 허버트
커먼웰쓰 사이언티픽 앤드 인더스트리얼 리서치 오가니제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PP1100A external-priority patent/AUPP110097A0/en
Priority claimed from AUPP2026A external-priority patent/AUPP202698A0/en
Application filed by 월커 존 허버트, 커먼웰쓰 사이언티픽 앤드 인더스트리얼 리서치 오가니제이션 filed Critical 월커 존 허버트
Publication of KR20010033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348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 C07F5/02Boro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 C07F5/02Boron compounds
    • C07F5/022Boron compounds without C-boron linka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2붕소 유도체, 하기 화학식 II의 2붕소 유도체 또는 하기 화학식 III의 2붕소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상기 화학식에서, R1, R2, R3및 R4는 각각은 임의로 치환된 알킬, 임의로 치환된 알케닐, 임의로 치환된 아릴,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및 화학식 -(R5Q)mR6[여기서, Q는 O, S, NR7, 임의로 치환된 아릴렌 및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렌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1∼3의 정수이고, R5또는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C1-C3알킬렌이고, R6은 C1-C3알킬 또는 수소이며, R7은 수소 또는 C1-C12알킬임]의 기로 구성된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각각의 X는 독립적으로 O, S(O)n및 NR7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이때 n은 0∼3이고, R7은 수소 또는 C1-C12알킬이거나 또는 -NR1R7, -NR2R7, -NR3R7및 -NR4R7중 하나 이상은 임의로 치환된 5 또는 6원의 헤테로시클릴기를 나타내며, A, A1및 A2는 서로 상이하거나 또는 상이하지 않을 수 있는 2가 기이다.

Description

붕소 화합물{BORONIC COMPOUNDS}
분자간 및 분자내 유기 화합물 사이의 유기 결합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합성 유기 화학자에게는 매우 중요한 방법 중의 하나이다. 이와 같은 많은 반응이 알려져 있으나, 이들 각각은 특수한 반응 조건, 용매, 촉매, 고리 활성화기 등을 필요로 한다. 몇몇의 공지된 유형의 커플링 반응의 예로는 Grignard 반응, Heck 반응 및 Suzuki 반응 등이 있다. 참조 문헌[N. Migaura 및 A. Suzuki, Chem. Rev. 1995, 95, 2457-2483].
치환된 바이아릴 화합물 및 트리아릴 화합물은 약학 산업 및 농화학 산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대다수의 화합물들은 약학적 활성을 지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기타의 화합물도 유용한 제초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유기 화합물과의 결합에 의해 생성된 중합체도 중합체 산업에서 중요하게 사용된다.
적합한 Grinard 제제의 반응에 의해서 방향족 고리를 공유 결합시키는 통상의 방법에는 엄격한 조건이 수반되며, 이러한 방법은 활성 수소 함유 치환체를 지닌 방향족 고리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활성 수소 원자를 지니는 치환체는 바람직하지 않은 생성물을 생성하게 되는 불필요한 부반응을 수반하게 된다. 이러한 치환체는 반응 이전에 보호되어야만 한다. Suzuki 반응에 필요한 붕산 유도체는 통상적으로 반응성이 매우 큰 유기 금속 중간체를 통해서 합성되고 있다.
반응 조건의 엄중도에 있어서, 결합 반응 동안 존재할 수도 있는 치환체의 범위는 상당히 제한되어 있으며, 이러한 반응 매질(용매)의 범위도 고가이거나, 제거가 어렵거나 및/또는 독성을 지는 것 등의 요인으로 인해서 국한된다.
공지의 커플링 반응과 관련된 난점으로는 생성물의 작용기를 조절하는 것이 제한되어 있어서, 분리하기가 어려운 착체 혼합물을 생성하게 된다.
특정의 공지된 2붕소 유도체는 비교적 불안정한 화합물인데, 이는 수용액 중에서 쉽게 분해되거나 또는 공기 중에 노출시에 쉽게 분해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그리고, 이러한 화합물의 제조의 난해성으로 인해서, 화학 반응에서의 이와 같은 용도로는 비교적 개발되지 않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2붕소 유도체가 매우 안정할 수 있으며, 유기 붕산 유도체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으며, 특정의 반응 조건에 맞추도록 또는 적합한 치환체를 선택하므로써 특정한 생성물을 제공하도록 2붕산 유도체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은 붕소 화합물, 특히 신규한 2붕소 유도체 및 이로부터 생성된 유기 붕산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유도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2붕소 유도체 및 유기 붕산 유도체는 유기 화합물을 유기 결합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유용한 중간체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서는 화학식 I의 2붕소 유도체가 제공된다.
상기 화학식에서, R1, R2, R3및 R4는 각각은 임의로 치환된 알킬, 임의로 치환된 알케닐, 임의로 치환된 아릴,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및 화학식 -(R5Q)mR6[여기서, Q는 O, S, NR7, 임의로 치환된 아릴렌 및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렌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1∼3의 정수이고, R5또는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C1-C3알킬렌이고, R6은 C1-C3알킬 또는 수소이며, R7은 수소 또는 C1-C12알킬임]의 기로 구성된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각각의 X는 O, S(O)n및 NR7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이때 n은 0∼3이고, R7은 수소 또는 C1-C12알킬이거나 또는 -NR1R7, -NR2R7, -NR3R7및 -NR4R7중 하나 이상은 임의로 치환된 5 또는 6원의 헤테로시클릴기를 나타내나,
단, 각각의 X가 O이고, R1∼R4가 동일할 경우, R1∼R4는 치환되지 않은 직쇄 알킬, 페닐 또는 나프틸, 이소프로필 또는, 알킬로 치환된 페닐이 아니며, 각각의 X가 N(C1-C6알킬)인 경우, R1∼R4는 C1-C4알킬이 아니며, -NR1R7, -NR2R7, -NR3R7및 -NR4R7은 치환되지 않은 피페리딜 또는 치환되지 않은 피롤리디닐이 아니고, 각각의 X가 NH일 경우, R1∼R4는 C1-C6알킬 또는 치환되지 않은 페닐이 아니며, 각각의 -XR1이 -OCH3이고, -XR2는 N(CH3)2이며, -XR4는 -N(CH3)2인 경우, -XR3은 OCH3가 아니다.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에서는, 하기 화학식 II의 2붕소 유도체가 제공된다.
상기 화학식에서, X는 O, S(O)n및 NR7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이때 n은 0∼2이고, R7은 수소 또는 C1-C12알킬이며, A1및 A2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는 2가기이나, 단, 각각의 X가 O일 경우, A1및 A2는 치환되지 않은 C1-C3알킬렌, 1,1,2,2-테트라메틸에틸렌, 2,2,-디메틸프로필렌, 1,2-디알콕시카르보닐에틸렌, 1,2-디페닐에틸렌, 1-페닐에틸렌, 치환되지 않은 페닐렌 또는, C1-C4알킬로 단일 치환되거나 또는 이중 치환된 페닐렌이 아니며, 각각의 X가 S 또는 NMe일 경우, A1및 A2모두는 에틸렌이 아니다.
A1및 A2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렌, 임의로 치환된 알케닐렌, 임의로 치환된 알키닐렌, 임의로 치환된 아릴렌, 임의로 치환된 알킬아릴렌,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렌,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케닐렌 또는 화학식 -(R5Q)mR6[여기서, Q는 O, S, NR7, 임의로 치환된 아릴렌 및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렌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1∼3의 정수이고, R5및 R6는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C1-C3알킬렌이고, R7은 수소 또는 C1-C12알킬임]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가 기인 A1및 A2는 융합 5원 또는 6원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고리이다.
본 발명의 제3의 특징에서는, 하기 화학식 III의 2붕소 유도체가 제공된다.
상기 화학식에서, R1및 R2는 각각 임의로 치환된 알킬, 임의로 치환된 알케닐, 임의로 치환된 알키닐, 임의로 치환된 아릴,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화학식 -(R5Q)mR6[여기서, Q는 O, S, NR7, 임의로 치환된 아릴렌 및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렌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1∼3의 정수이고, R5또는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C1-C3알킬렌이고, R6은 수소 또는 C1-C3알킬이며, R7은 수소 또는 C1-C12알킬임]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X는 O, S(O)n및 NR7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이때 n은 0∼3이고, R7은 수소 또는 C1-C12알킬이며, -NR1R7및 -NR2R7중 하나 또는 둘다는 임의로 치환된 5원 또는 6원의 헤테로시클릴기이고,
A는 2가 기이나,
단, R1및 R2가 Me이고, 각각의 X가 NMe일 경우, A는 치환되지 않은 에틸렌이 아니다.
A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렌, 임의로 치환된 알케닐렌, 임의로 치환된 아릴렌,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렌,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케닐렌 또는 화학식 -(R5Q)mR6[여기서, Q는 O, S, NR7, 임의로 치환된 아릴렌 및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렌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1∼3의 정수이고, R5및 R6는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C1-C3알킬렌이고, R7은 수소 또는 C1-C12알킬임]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가 기인 A는 융합 지방족 또는 방향족 고리 또는 고리계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2붕소 유도체, 하기 화학식 II의 2붕소 유도체 또는 하기 화학식 III의 2붕소 유도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이들 유도체는 1 이상의 키랄 중심을 포함하며, 한 형태의 거울상 이성체가 과량으로 존재한다.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상기 화학식에서, R1, R2, R3및 R4는 각각은 임의로 치환된 알킬, 임의로 치환된 알케닐, 임의로 치환된 아릴,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및 화학식 -(R5Q)mR6[여기서, Q는 O, S, NR7, 임의로 치환된 아릴렌 및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렌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1∼3의 정수이고, R5또는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C1-C3알킬렌이고, R6은 C1-C3알킬 또는 수소이며, R7은 수소 또는 C1-C12알킬임]의 기로 구성된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각각의 X는 독립적으로 O, S(O)n및 NR7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이때 n은 0∼3이고, R7은 수소 또는 C1-C12알킬이거나 또는 -NR1R7, -NR2R7, -NR3R7및 -NR4R7중 하나 이상은 임의로 치환된 5 또는 6원의 헤테로시클릴기를 나타내며,
A, A1및 A2는 서로 상이하거나 또는 상이하지 않을 수 있는 2가 기이다.
거울상 이성체가 과량으로 존재한다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으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의 정의에서, 용어 "알킬"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알케닐옥시알킬", "알킬티오", "알킬아미노" 및 "디알킬아미노"와 같은 조합형태로 사용되어 있는데, 이는 직쇄형 알킬 또는 분지쇄형 알킬, 바람직하게는 C1-C20알킬을 나타낸다. 이러한 직쇄형 알킬 또는 분지쇄형 알킬의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부틸, 아밀, 이소아밀, sec-아밀, 1,2-디메틸프로필, 1,1-디메틸프로필, 헥실, 4-메틸펜틸, 1-메틸펜틸, 2-메틸펜틸, 3-메틸펜틸, 1,1,-디메틸부틸, 2,2-디메틸부틸, 3,3-디메틸부틸, 1,2-디메틸부틸, 1,3-디메틸부틸, 1,2,2-트리메틸프로필, 1,1,2-트리메틸프로필, 헵틸, 5-메톡시헥실, 1-메틸헥실, 2,2-디메틸펜틸, 3,3-디메틸펜틸, 4,4-디메틸펜틸, 1,2-디메틸펜틸, 1,3-디메틸펜틸, 1,4-디메틸펜틸, 1,2,3-트리메틸부틸, 1,1,2-트리메틸부틸, 1,1,3-트리메틸부틸, 옥틸, 6-메틸헵틸, 1-메틸헵틸, 1,1,3,3-테트라메틸부틸, 노닐, 1-메틸옥틸, 2-메틸옥틸, 3-메틸옥틸, 4-메틸옥틸, 5-메틸옥틸, 6-메틸옥틸, 7-메틸옥틸, 1-에틸헵틸, 2-에틸헵틸, 3-에틸헵틸, 4-에틸헵틸, 5-에틸헵틸, 1-프로필헥실, 2-프로필헥실, 3-프로필헥실, 데실, 1-메틸노닐, 2-메틸노닐, 3-메틸노닐, 4-메틸노닐, 5-메틸노닐, 6-메틸노닐, 7-메틸노닐, 8-메틸노닐, 1-에틸옥틸, 2-에틸옥틸, 3-에틸옥틸, 4-에틸옥틸, 5-에틸옥틸, 6-에틸옥틸, 1-프로필헵틸, 2-프로필헵틸, 3-프로필헵틸, 4-프로필헵틸, 운데실, 1-메틸데실, 2-메틸데실, 3-메틸데실, 4-메틸데실, 5-메틸데실, 6-메틸데실, 7-메틸데실, 8-메틸데실, 9-메틸데실, 1-에틸노닐, 2-에틸노닐, 3-에틸노닐, 4-에틸노닐, 5-에틸노닐, 6-에틸노닐, 7-에틸노닐, 1-프로필옥틸, 2-프로필옥틸, 3-프로필옥틸, 4-프로필옥틸, 5-프로필옥틸, 1-부틸헵틸, 2-부틸헵틸, 3-부틸헵틸, 1-펜틸헥실, 도데실, 1-메틸운데실, 2-메틸운데실, 3-메틸운데실, 4-메틸운데실, 5-메틸운데실, 6-메틸운데실, 7-메틸운데실, 8-메틸운데실, 9-메틸운데실, 10-메틸운데실, 1-에틸데실, 2-에틸데실, 3-에틸데실, 4-에틸데실, 5-에틸데실, 6-에틸데실, 7-에틸데실, 8-에틸데실, 1-프로필노닐, 2-프로필노닐, 3-프로필노닐, 4-프로필노닐, 5-프로필노닐, 6-프로필노닐, 1-부틸옥틸, 2-부틸옥틸, 3-부틸옥틸, 4-부틸옥틸, 1-펩틸헵틸, 2-펩틸헵틸 등이 있다.
용어 "알킬렌"이라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은 2가의 알킬기를 의미한다.
용어 "시클로알킬"은 시클릭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3-C20시클로알킬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클로알킬의 예로는 모노시클릭 알킬기 또는 폴리시클릭 알킬기, 예컨대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시클로노닐, 시클로데실 등이 있다.
용어 "시클로알킬렌"이라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은 2가의 시클로알킬기를 의미한다
용어 "알케닐"이라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은 에틸렌형 단일불포화, 이중불포화 또는 다중불포화 알킬 또는 기를 포함하는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알켄으로 형성된 기로서, 바람직하게는 C2-C20알케닐을 의미한다. 알케닐의 예로는 비닐, 알릴, 1-메틸비닐, 부테닐, 이소부테닐, 3-메틸-2-부테닐, 1-펜테닐, 1-헥세닐, 3-헥세닐, 1-헵테닐, 3-헵테닐, 1-옥테닐, 1-노네닐, 2-노네닐, 3-노네닐, 1-데세닐, 3-데세닐, 1,3-부타디에닐, 1,4-펜타디에닐, 1,3-헥사디에닐, 1,4-헥사디에닐 등이 있다.
용어 "알케닐렌'이라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은 2 가의 알케닐기를 의미한다.
용어 "시클로알케닐"이라는 것은 고리형 알켄기, 바람직하게는 C5-C20시클로알케닐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클로알케닐의 예로는 시클로펜테닐, 메틸 시클로펜테닐, 시클로헥세닐, 시클로옥테닐, 1,3-시클로펜타디에닐, 1,3-시클로헥사디에닐, 1,4-시클로헥사디에닐, 1,3-시클로헵타디에닐, 1,3,5-시클로헵타트리에닐 및 1,3,5,7-시클로옥타테트라에닐 등이 있다.
용어 "시클로알케닐렌"이라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은 2가의 시클로알케닐기를 의미한다.
용어 "아릴"이라는 것은 본 명세서에서 임의의 방향족 고리 또는 고리계, 바람직하게는 C3-C20의 고리로서 가장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고리 또는 고리계는 N, S 및 O로부터 선택된 이종원자 1 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방향족 고리는 카르보시클릭, 헤테로시클릭 또는 유사 방향족의 고리가 될 수 있으며, 모노시클릭 고리계 또는 폴리시클릭 고리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적합한 고리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벤젠, 비페닐, 터페닐, 쿼터페닐, 나프탈렌,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1-벤질나프탈렌, 안트라센, 디히드로안트라센, 벤즈안트라센, 디벤즈안트라센, 페난트라센, 페릴렌, 피리딘, 4-페닐피리딘, 3-페닐피리딘, 티오펜, 벤조티오펜, 나프토티오펜, 티안트렌, 푸란, 피렌, 이소벤조푸람, 크로멘, 크산텐, 페노크신티인, 피롤, 이미다졸, 피라졸, 피라진, 피리미딘, 피리다진, 인돌, 인돌리진, 이소인돌, 퓨린, 퀴놀린, 이소퀴놀린, 프탈라진, 퀴녹살린, 퀴나졸린, 프테리딘, 카르바졸, 카르볼린, 페난트리딘, 아크리딘, 펜안트롤린, 페나진, 이소티아졸, 이소옥사졸, 페녹사진 등이 있으며, 이들 각각은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용어 "유사방향족"이라는 것은 엄격하게는 방향족이 아닌 고리계를 의미하나, 이는 π 전자의 비편재화에 의해 안정화되며, 방향족 고리와 유사한 방식으로 행동하는 고리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유사 방향족 고리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푸란, 티오펜, 피롤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지방족 고리 또는 고리계"라는 것은 비방향족 카르보시클릭 또는 헤테로시클릭 고리 또는 고리계, 바람직하게는 C3-C20의 고리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리 또는 고리계는 1 종 이상의 이중 결합 또는 삼중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적절한 지방족 고리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시클로부탄, 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헥센, 스피로-[4,5-데칸] 및 수소화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방향족 고리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아릴렌"이라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은 2가의 "아릴" 부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올레핀계" 화합물이라는 것은 방향족 또는 유사 방향족계의 일부가 아닌, 1 종 이상의 탄소-탄소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기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올레핀계 화합물은 임의로 치환된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 알켄; 분자, 단량체 및 거대분자, 예컨대 중합체 및 덴트리머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는 1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포함한다. 올레핀계 화합물의 적절한 비제한적인 예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트-1-엔, 부트-2-엔, 펜트-1-엔, 펜트-2-엔, 시클로펜텐, 1-메틸펜트-2-엔, 헥스-1-엔, 헥스-2-엔, 헥스-3-엔, 시클로헥센, 헵트-1-엔, 헵트-2-엔, 헵트-3-엔, 옥트-1-엔, 옥트-2-엔, 시클로옥텐, 논-1-엔, 논-4-엔, 데크-1-엔, 데크-3-엔, 부타-1,3-디엔, 펩타-1,4-디엔, 시클로펜타-1,4-디엔, 헥스-1,4-디엔, 시클로헥사-1,3-디엔, 시클로헥사-1,4-디엔, 시클로헵타-1,3-디엔, 시클로헵타-1,3,5-트리엔 및 시클로옥타-1,3,5,7-테트라엔 등이 있으며, 이들 각각은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 알켄은 C2-C2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임의로 치환된다"라는 의미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할로,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할로아릴, 히드록시, 알콕시, 알케닐옥시, 아릴옥시, 아릴옥시알킬, 벤질옥시, 할로알콕시, 할로알케닐옥시, 할로아릴옥시, 이소시아노, 시아노, 포르밀, 카르복실, 니트로, 니트로알킬, 니트로알케닐, 니트로알키닐, 니트로아릴, 니트로헤테로시클릴, 아미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알케닐아미노, 알키닐아미노, 아릴아미노, 디아릴아미노, 벤질아미노, 이미노, 알킬이미노, 알케닐이미노, 알키닐이미노, 아릴이미노, 벤질이미노, 디벤질아미노, 아실, 알케닐아실, 알키닐아실, 아릴아실, 아실아미노, 디아실아미노, 아실옥시, 알킬설포닐옥시, 아릴설페닐옥시,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옥시, 헤테로시클아미노, 할로헤테로시클릴, 알킬설페닐, 아릴설페닐, 카르보알콕시, 카르보아릴옥시 머캅토, 알킬티오, 벤질티오, 아실티오, 설폰아미도, 설파닐, 설포 및 인 함유 기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기로 더 치환될 수 있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을 수 있는 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2가 기 A, A1및 A2와 관련하여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융합된 지방족 또는 방향족 고리"라는 것은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X 부분을 결합시키는 결합 1 종 이상이 지방족 또는 방향족 고리계의 일부라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2가 기"라는 것은 다른 화학 부분과 결합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원자가가 2가인 임의의 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2가 기의 적합한 예로는 알킬렌, 알케닐렌, 시클로알킬렌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아실"이라는 것은 카르바모일, 지방족 아실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아실기는 헤테로시클릴 아실, 바람직하게는 C1-C20아실기를 의미한다. 아실의 예로는 카르바모일;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알카노일, 예컨대 포르밀, 아세틸, 프로파노일, 부타노일, 2-메틸프로파노일, 펜타노일, 2,2-디메틸프로파노일, 헥사노일, 헵타노일, 옥타노일, 노나노일, 데카노일, 운데카노일, 도데카노일, 트리데카노일, 테트라데카노일, 펜타데카노일, 헥사데카노일, 헵타데카노일, 옥타데카노일, 노나데카노일 및 이코사노일; 알콕시카르보닐, 예컨대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t-부톡시카르보닐, t-펜틸옥시카르보닐 및 헵틸옥시카르보닐; 시클로알킬카르보닐, 예컨대 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 시클로부틸카르보닐, 시클로펜틸카르보닐 및 시클로헥실카르보닐; 알킬설포닐, 예컨대 메틸설포닐 및 에틸설포닐; 알콕시설포닐, 예컨대 메톡시설포닐 및 에톡시설포닐; 아로일, 예컨대 벤조일, 톨루오일 및 나프토일; 아랄카노일, 예컨대 페닐알카노일(예, 페닐아세틸, 페닐프로파노일, 페닐부타노일, 페닐이소부티릴, 페닐펜타노일 및 페닐헥사노일 등), 나프틸알카노일(예, 나프틸아세틸, 나프틸프로파노일 및 나프틸부타노일); 아랄케노일, 예컨대 페닐알케노일(예, 페닐프로페노일, 페닐부테노일, 페닐메타크릴로일, 페닐펜테노일 및 페닐헥세노일 및 나프틸알케노일(예, 나프틸프로페노일, 나프틸부테노일 및 나프틸펜테노일); 아랄콕시카르보닐, 예컨대 페닐알콕시카르보닐(예, 벤질옥시카르보닐); 아릴옥시카르보닐, 예컨대 페녹시카르보닐 및 나프틸옥시카르보닐; 아릴옥시알카노일, 예컨대 페녹시아세틸 및 페녹시프로피오닐; 아릴카르바모일, 예컨대 페닐카르바모일; 아릴티오카르바모일, 예컨대 페닐티오카르바모일, 아릴글리옥실로일, 예컨대 페닐글리옥실로일 및 나프틸글리옥실로일; 아릴설포닐, 예컨대 페닐설포닐 및 나프틸설포닐; 헤테로시클릭카르보닐; 헤테로시클릭알카노일, 예컨대 티에닐아세틸, 티에닐프로파노일, 티에닐부타노일, 티에닐펜타노일, 티에닐헥사노일, 티아졸릴아세틸, 티아디아졸릴아세틸 및 테트라졸릴아세틸; 헤테로시클릭알케노일, 예컨대 헤테로시클릭프로페노일, 헤테로시클릭부테노일, 헤테로시클릭펜테노일 및 헤테로시클릭헥세노일; 및 헤테로시클릭 글리옥실로일, 예컨대 티아졸릴글리옥실로일 및 티에닐글리옥실로일 등이 있다.
2붕소 유도체는 참고문헌[R.J. Brotherton, A.L. McCloskey, L.L. Peterson 및 Steinberg, J. Amer. Chem. Soc. 82, 6242 (1960); R.J. Brotherton, A.L. McCloskey, J.L. Boone 및 H.M. Manasevit, J. Amer. Chem. Soc. 82, 6245 (1960)]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므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BCl3와 NHMe2와의 반응으로 얻은 B(NMe2)3는 화학량론적 함량의 BBr3와의 반응에 의해 BrB(NMe2)2로 전환된다. 환류 톨루엔 중에서의 나트륨 금속을 사용한 환원 반응으로 2붕소 화합물 [B(NMe2)2]2을 생성하였으며, 그후, 증류에 의한 정제후, 화학량론적 함량(4 당량)의 HCl의 존재하에 알콜(예, 피나콜 또는 네오펜탄디올)과 반응하여 목적하는 에스테르 생성물을 얻을 수 있다.
수많은 알콜을 사용하면, 무수 무기산(4 당량)을 반응에 첨가하지 않을 경우, 이러한 반응은 만족스럽지 않게 되어 반응은 속도가 느리게 되고, 아민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테트라히드로2붕소의 에스테르는 2붕산(테트라히드록시2붕소)과 알콜(디올 및 폴리올 포함)과의 반응에 의해 거의 정량적 수율로 합성되며, 이러한 반응은 산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특정의 디올과 테트라히드록시2붕소와의 반응은 단순 모노알콜, 예컨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의 존재하에 수행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데, 이러한 모노알콜은 최종 반응 생성물에는 혼입되지 않는다. 모노알콜의 존재하에서의 이러한 반응으로 인해서, 이들 모노알콜의 테트라히드록시2붕소 에스테르는 디올을 사용한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을 쉽게 수행할 수 있어서 붕소 원자상에 고리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은 테트라히드록시2붕소의 에스테르의 생성에 대한 추가의 방법을 나타낸다. 이러한 반응은 다양한 용매 또는 이의 혼합물 중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2붕산이 디올 또는 폴리올과 반응하여 2붕소 유도체를 형성할 수 있는 조건 및 시간하에서 2붕산을 적절한 모노알콜, 디올 또는 폴리올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2붕산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문헌에 공지된 종래의 절차와는 달리,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한 방법은 그 자체로서 테트라히드록시2붕소 에스테르를 산 민감성 알콜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합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염기성 작용기를 지닌 알콜을 사용하여 테트라히드록시2붕소 에스테르를 합성하는 것은 종래의 공지된 문헌상의 방법으로는 어려운 것이었는데, 이는 얻은 생성물이 이의 염기성 작용기상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 양성자화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에 의한 방법은 이러한 고유한 문제점을 갖지 않는다.
종래의 기법에서는, 순수한 생성물을 얻기 위해서 부산물, 아민의 산염을 반드시 제거하여야만 하였었다. 본 발명 방법의 주요 잇점 중의 하나는 얻은 생성물이 충분히 순수하여서 일반적으로 추가의 정제 단계 없이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의한 2붕소 유도체는 유기 붕산 유도체의 제조에 유용하며, 적절한 치환체 및 반응물을 선택하므로써 유기 커플링 반응에 유용한 유기 붕산 유도체를 형성하기 위해 2붕소 유도체를 사용할 수가 있다.
유기 붕산 유도체는 일반적으로 VIII족 금속 촉매의 존재하에 본 발명의 2붕소 유도체 및 유기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다. 이와 같은 반응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유기 화합물이 붕소 반응 부위를 지녀야만 한다.
붕소 반응 부위는 유기 화합물 상에서의 할로겐 또는 할로겐 유사 치환체, 탄소-탄소 이중 결합 또는 삼중 결합 또는 알릴 부위에 위치하는 이탈기 등이 될 수 있다.
할로겐 또는 할로겐 유사 치환체 및 알릴 이탈기의 경우, 2붕소 유도체는 치환 반응에서 유기 붕산 유도체를 형성하는 기로 치환된다. 백금 및 유사 촉매의 존재하에 이중 및 삼중의 탄소-탄소 결합과의 반응의 경우, 2붕소 화합물은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통한 첨가 반응을 수행하여 이웃하는 탄소 원자상에서 붕소 에스테르가 위치하는 생성물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용어 "할로겐 유사 치환체" 및 "유사 할로겐화물"이라는 것은 유기 화합물 상에 존재할 경우, VIII족 금속 촉매 및 염기의 존재하에 2붕소 유도체와 반응하여 유기 붕산 유도체를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치환체를 의미한다. 할로겐 치환체의 예로는 I 및 Br이 바람직하다. 또한, Cl이 일반적으로 2붕소 화합물에 의한 치환 반응에 대해서 반응도가 다소 작기는 하지만, Cl을 사용할 수도 있다. 클로로 치환된 유기 화합물의 반응도는 VIII족 금속 촉매에 대한 적절한 리간드를 선택하므로써 증가될 수 있다. 할로겐 유사 치환체의 예로는 트리플레이트 및 메실레이트, 디아조늄염, 포스페이트 및 참고 문헌[J. Tsuji, Innovations in Organic Synthesis, 존 윌리 앤 썬즈, 1995, ISBN 0-471-95483-7)의 "팔라듐 제제 및 촉매"에 기재된 것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이탈기"라는 것은 붕산 잔기로 치환될 수 있는 화학기를 의미한다. 이탈기의 적절한 예는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으며, 그 예로는 할로겐 및 할로겐 유사 치환체 등이 있다.
2붕산 에스테르의 제조를 수행하는 온도는 원하는 반응 속도, 소정의 용매중에서의 반응물의 반응도 및 용해도, 용매의 비점 등에 따라 달라진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100℃∼200℃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있어서, 공정은 0℃∼80℃, 바람직하게는 15℃∼40℃에서 수행한다.
키랄 2붕산 유도체는 키랄성이 보존되는 조건하에서 키랄 출발 물질 또는 중간체로부터 생성될 수 있거나 또는 이는 분리 단계를 필요로 하는 라세메이트를 통해 생성될 수도 있다. 거울상 이성체의 분리는 효소 분해 반응, 키랄 크로마토그래피를 비롯한 통상의 크로마토그래피 기법을 사용하거나 또는 분해 제제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들 각각의 키랄 형태도 또한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한다.
한 이성체의 거울상 이성체가 과량으로 존재할 경우, 키랄 중심을 함유하는 2붕소 유도체는 키랄 화합물의 거울상 이성체의 제조에서 매우 유용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1 종 이상의 키랄 중심을 포함하는 2붕소 화합물 및 거울상 이성체가 과량으로 존재하는 하나의 거울상 이성체를 붕소 반응 부위를 갖는 유기 화합물과 반응시켜 키랄성이 보존되는 유기 붕산 에스테르 유도체를 생성할 수 있다. 키랄 유기 붕산 유도체는 다른 유기 화합물과 반응하여 새로운 키랄 중심을 생성할 수가 있으며, 이의 화학량론은 키랄 유기 붕산 유도체의 화학량론에 의해 유발된다. 키랄 유기 붕산 유도체와 반응하게 되는 유기 화합물의 적절한 예로는 알데히드, 비대칭 케톤 등이 있으며, 이러한 카르보닐에서의 반응으로 새로운 키랄 중심이 생성된다. 또한, 방향족 고리를 결합시키는 결합 주위에서의 회전을 제한시키므로써 나선 구조가 유지되는(이를 회전장애 이성질 현상이라고 칭함) 키랄 바이아릴 화합물을 생성하는 방향족 붕산 유도체의 중간체를 통해 입체적으로 장애를 갖는 방향족 고리를 커플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적합한 2붕소 반응물을 키랄 디올과 반응시켜 2붕소 유도체를 생성하며, 여기서, 키랄 디올의 예로는 피난디올, 디이소프로필 타르트레이트 및 당, 예컨대 만노스 또는 갈락토스 및, 붕소와 커플링되도록 적절하게 배향된 기타의 히드록시기 또는 cis-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유사당 등이 있다. 이러한 키랄 2붕소 유도체는 키랄 유기 붕산 유도체를 생성하는 붕소 반응성 부위를 지니는 적절한 유기 화합물과 반응을 할 수 있다. 이들은 유기 화합물과의 입체특이성 방식으로 반응하여 새로운 키랄 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붕소 원자와 추가의 배위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R1∼R4, A, A1또는 A2치환체를 선택하므로써 붕소-붕소 결합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는 붕소 원자상에 전자 밀도를 공급할 수 있는 전자가 풍부한 치환체 또는 원자 등이 있다. 전자가 풍부한 원자의 예로는 산소, 질소 및 황 등이 있다.
붕산의 공지의 피나콜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유기 붕산을 생성하는 경우의 난점으로는 피나콜 에스테르를 분해하여 해당 유기 붕산을 생성하는 것이 어려운 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타의 에스테르는 피나콜 에스테르보다는 더 쉽게 가수분해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X 부분에 대한 탄소 α상에 방향족 고리를 함유하는 에스테르는 해당 붕산으로 쉽게 분해되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벤질 에스테르 유도체가 특히 이러한 목적에 유용하다.
또한, 추후의 반응이 수행될 특정의 용매 중에서의 2붕소 유도체의 용해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치환체를 선택할 수도 있다. 2붕소 화합물의 수용해도는 극성기, 예컨대 히드록시기를 R1∼R4, A, A1또는 A2치환체에 도입하므로써 증가될 수 있다. 유사하게, 소정의 유기 용매 중에서 2붕소 화합물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치환체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신규한 2붕산 유도체로부터 생성된 많은 붕산 에스테르 유도체는 신규하며, 본 발명의 추가의 특성을 이룬다.
이러한 유기 붕산 유도체는 전술한 바와 같은 커플링된 생성물을 생성하는 1 이상의 붕소 반응성 부위를 갖는 유기 화합물과 반응할 수 있다. 이러한 커플링 반응은 일반적으로 VIII족 금속 촉매 및 적절한 염기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법 및 화합물은 추가의 반응 또는 배열에 참여할 수 있는 반응성 중간체의 생성에 대해 유용하다. 이러한 반응성 중간체는 유기 붕산 유도체 또는 커플링된 생성물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기 붕산 유도체는 참고 문헌[Miyaura 및 Suzuki, Chem. Rev. 1995, 95 2457-2483]에 기재된 유기붕소 화합물의 팔라듐 촉매화된 반응 중 하나 이상에 참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2붕소 유도체가 유용하게 사용되는 반응의 기타의 유형의 예로는 동시계류중인 출원 PCT/AU98/00245 및 PCT/AU98/00476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몇몇 예를 예시하는 이하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후술하는 실시예가 전술한 본 발명의 개요로 오인되어서는 아니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일반적인 절차
일반적인 절차 A
디올 2 당량을 질소 하의 무수 디에틸 에테르 중의 테트라키스(디메틸아미노)2붕소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자기 바아를 사용하여 교반하고, 이를 얼음조에서 냉각시킨 후, 1 시간에 걸쳐서 염화수소의 무수 에테레알 용액(4 당량)을 첨가한다. 실온에서 밤새 반응 혼합물을 교반한 후, 이를 여과하고, 고형물을 수집하여 고온의 벤젠으로 2회 추출하여 디메틸아민 염산염을 제거하였다. 에테르 여과액 및 벤젠 추출액을 진공하에서 무수 상태로 만들었다. 생성된 생성물을 합하고, 이를 벤젠/석유 주정(60℃∼80℃)으로부터 재결정화시킨 후, 이를 고진공하에서 건조시켰다.
일반적인 절차 B
디올 2 당량을 벤젠 중의 2붕산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Dean-Stark 장치를 사용하여 24 시간 동안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벤젠 용액을 형성된 물로부터 분리하고, 이를 건조시킨 후, 진공하에 무수 상태로 만들어서 2붕산 에스테르를 얻었다. 에탄올 또는 메탄올과 같은 모노알콜을 첨가하여 이 절차를 도울 수도 있다.
일반적인 절차 C
디올 2 당량을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2붕산에 첨가하였다. 무수 황산나트륨과 같은 탈수제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액을 여과한 후, 여과액을 진공하에서 무수 상태로 만들어서 2붕산 에스테를 얻었다. 메탄올 및 에탄올과 같은 모노알콜을 첨가하여 이 절차를 도울 수도 있다. 만족스러운 수율을 얻기 위해서 탈수제를 반드시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실시예 1
(4R,4'R,5R,5'R)-테트라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2R,3R)-(-)-2,3-부탄디올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
1H-NMR(CDCl3, 200 ㎒): δ1.22(6H, 다중선, CHCH3) 및 4.00(2H, 다중선, CHCH3).
실시예 2
1,1,2,2-테트라키스(2-메톡시에틸옥시)디보란
2-메톡시에탄올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
1H-NMR(CDCl3, 200 ㎒): δ3.36(3H, 단일선, CH3), 3.42-3.51(2H, 다중선, BOCH2) 및 3.62-3.71(2H, 다중선, CH2O).
실시예 3
비스((1S,2S,3R,5S)-(+)-피난디올라토)2붕소(B-B)
(1S,2S,3R,5S)-(+)-피난디올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 수율 98%.1H-NMR(CDCl3, 200 ㎒); δ0.77(단일선, 3H; C3CH3), 1.01-1.13(이중선, 2H; C3CH), 1.20(3H, 단일선; C3CH3), 1.87-1.91(2H, 다중선; C2CH2), 1.92-2.31(3H, 다중선; CH2CO 및 CHCO) 및 4.15-4.26(1H, 다중선; C2CHO).
실시예 4
(4R,4'R)-디페닐-2,2'-비-1,3,2-디옥사보롤란
(R)-(-)-1-페닐-1,2-에탄디올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 수율 88%.1H-NMR(CDCl3,200 ㎒): δ3.90-4.01(1H, 삼중선; CH2C), 4.42-4.57(1H, 삼중선; CH2C) 및 7.10-7.31(5H, 다중선; ArH).13C-NMR(CDCl3, 200 ㎒); δ72.73(1H; CH2), 78.78(1C; CPh) 125.71(2C; m-C), 128.17(1C, p-C), 128.70(2C; o-C) 및 140.65(1C; C-O).
실시예 5
4,4'-비-[(4-메톡시페녹시)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3-(4-메톡시페녹시)-1,2-프로판디올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 수율 70%.13C-NMR(D6-DMSO, 200 ㎒): δ55.27, 66.50, 70.00, 70.74, 74.80, 114.51, 115.45, 152.30 및 153.60.
실시예 6
2,2'-비-(3aR,7aS)헥사히드로-1,3,2-벤조디옥사보롤
cis-1,2-시클로헥산디올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 수율 65%.1H-NMR(CDCl3, 200 ㎒): δ1.20-2.00(다중선, 8H; CH2) 및 4.30(다중선, 2H, CH).
실시예 7
테트라이소프로필 (4R,4'R,5R,5'R)-2,2'-비-1,3,2-디옥사보롤란-4,4',5,5'-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디이소프로필 L-타르트레이트를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 수율 정량적1H-NMR(CDCl3, 200 ㎒): δ1.10-1.30(다중선, 28H; CHCH3및 CH3) 및 4.30(단일선, 4H; OCH)
실시예 8
(3aR,3'aR,6aS,6'aS)-디-(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2,2'-비-1,3,2-디옥사보롤란
cis-1,2-시클로펜탄디올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 수율 78%.1H-NMR(CDCl3, 200 ㎒): δ1.40-1.61(다중선, 4H; OCHCH2), 1.75-2.00(다중선, 2H; CH2CH2CH2) 및 4.80(다중선, 2H; OCH).
실시예 9
(3R,6S,3'R,6'S)-디-(테트라히드로푸로-[3,4-d]-2,2'-비-1,3,2-디옥사보롤란
1,4-안히드로에리트리톨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 수율 78%.1H-NMR(CDCl3, 200 ㎒): δ3.40-3.50(다중선, 2H; OCHH), 4.00-4.14(다중선, 2H; CHH) 및 4.90(다중선, 2H; OCH).
실시예 10
4,4'-비스(메톡시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3-메톡시-1,2-프로판디올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 수율 96%.1H-NMR(CDCl3, 200 ㎒): δ3.23(단일선, 6H; OCH3), 3.30-3.40(다중선, 4H; CH3OCHH), 3.80-3.95(다중선, 2H; CH3OCHH), 4.10-4.20(삼중선, 2H; CH2OB) 및 4.40-4.50(다중선, 2H; OCH)
실시예 11
2,2'-비-1,3,2-디옥사보레판
1,4-부탄디올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1H-NMR(D6-DMSO, 200 ㎒): δ1.36-1.42(다중선, 4H; CH2CH2CH2) 및 3.36(다중선,4 H; CH2O).
실시예 12
5,5'-디히드록시메틸-5,5'-디메틸-2,2'-비-1,3,2-디옥사보리난
1,1,1-트리스(히드록시메틸)에탄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C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 수율 90%.1H-NMR(d6-DMSO, 200 ㎒): δ0.79(단일선, 6H; 2xCH3), 3.21-3.75(다중선, 12H; 6xCH2O) 및 4.76(삼중선, 2H; 2xO H). C10H20B2O6의 F.W. 이론치=257.89, 실측치 m/z 259(M+1).
실시예 13
비스((1R,2R,3S,5R)-(-)-피난디올라토)2붕소(B-B)
1R,2R,3S,5R-(-)-피난디올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 수율 77%.1H-NMR(CDCl3, 200 ㎒): δ0.84(단일선, 6H; 2xC3CH3), 1.08-1.14(이중선, 2H; 2xC3CH), 1.28(단일선, 6H; 2xC3CH3), 1.39(단일선, 6H; 2xCH3CO), 1.87-1.97(단일선, 4H; 2xC2CH2), 2.04-2.37(다중선, 6H; 2xCH2CO 및 2xCHCO) 및 4.24-4.29(다중선, 2H; 2xC2CHO). C20H32B2O4의 F.W. 이론치=358.09 실측치 m/z 359(M+1).
실시예 14
2,2'-비-4H-1,3,2-벤조디옥사보리닌
2-히드록시벤질 알콜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C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 수율 77%.1H-NMR(CDCl3, 200 ㎒): δ5.12(단일선, 4H; 2xArCH2), 6.91-7.26(다중선, 8H; 2xArH). C14H12B2O4의 F.W. 이론치=265.87, 실측치 m/z 267(M+1).
실시예 15
4,4'-비-(펜옥시메틸)-2,2'-1,3,2-디옥사보롤란
3-펜옥시-1,2-프로판디올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 수율 71%.1H-NMR(CDCl3, 200 ㎒): δ3.96-4.41(다중선, 8H; 4xCH2O), 4.74-4.86(다중선, 2H; 2xOCH) 및 6.86-7.34(다중선, 10H; 2xOArH). C18H20B2O6의 F.W. 이론치=353.97, 실측치 m/z 355(M+1).
실시예 16
4,4,4',4',6,6'-헥사메틸-2,2'-비-1,3,2-디옥사보리난
2-메틸-2,4-펜탄디올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 수율 71%.1H-NMR(CDCl3, 200 ㎒): δ1.18-1.32(다중선, 18H; 6xCH3), 1.44-1.56(다중선, 2H; 2xHCHC), 1.69-1.78(다중선, 2H; 2xHCHC) 및 4.07-4.22(다중선, 2H; 2xOCH). C12H24B2O4의 F.W. 이론치=253.94, 실측치 m/z 255(M+1).
실시예 17
5,5,5',5'-테트라에틸-2,2'-비-1,3,2-디옥사보리난
2,2-디에틸-1,3-프로판디올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 수율 79%.1H-NMR(CDCl3, 200 ㎒): δ0.75-0.82(삼중선, 12H; 4xCH3), 1.25-1.37(사중선, 8H; 4xCH2CH3) 및 3.69(단일선, 8H; 4xCH2O). C14H28B2O4의 F.W. 이론치=282.00, 실측치 m/z 283(M+1).
실시예 18
4,4',5,5'-테트라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2,3-부탄디올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1H-NMR(CDCl3, 200 ㎒): δ1.10-1.28(다중선, 12H; 4xCH3) 및 4.42-4.52(다중선, 4H; 4xCH).
실시예 19
4,4'-디메틸-2,2'-비-1,3,2-디옥사보리난
1,3-부탄디올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 수율 94%.1H-NMR(CDCl3, 200 ㎒):δ1.21-1.25(이중선, 6H; 2xCH3), 1.56-1.94(다중선, 4H; 2xCH2CH2CH) 및 3.81-4.14(다중선, 6H; 2xOCH2및 2xOCH). C8H16B2O4의 F.W. 이론치=197.83, 실측치 m/z 199(M+1).
실시예 20
5,5'-디메틸-2,2'-비-1,3,2-디옥사보리난
2-메틸-1,3-프로판디올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 수율 96%.1H-NMR(CDCl3, 200 ㎒): δ0.80-0.84(이중선, 6H; 2xCH3), 1.97-2.17(다중선, 2H; 2xCHCH3), 3.43-3.57(삼중선, 4H; 4x HCHCCH3) 및 3.87-3.95(다중선, 4H; 4xHCHCCH3). C8H16B2O4의 F.W. 이론치=197.83, 실측치 m/z 199(M+1).
실시예 21
비-(디나프토[2,1-d:1,2-f])-2,2'-비-1,3,2-디옥사보레핀
1,1'-비스-2-나프톨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1H-NMR(CDCl3, 200 ㎒):δ6.90-6.95(다중선, 2H; ArH), 7.12-7.34(다중선, 6H; ArH) 및 7.83-7.99(다중선, 2H; ArH).
실시예 22
6,6'-디에틸-2,2'-비-1,3,6,2-디옥사자보로칸
초기 반응 단계에 황산나트륨을 첨가하며, 환류하에 혼합물을 가열하는 것을 제외하고, N-에틸디에탄올아민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C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1H-NMR(200 ㎒; CDCl3):δ1.15-1.23(삼중선, 6H; 2xCH3), 2.88-2.91(다중선, 12H; 6xCH2N) 및 3.83-3.85(다중선, 8H; 4xOCH2).
실시예 23
6,6'-디메틸-2,2'-비-1,3,6,2-디옥사자보로칸
N-메틸디에탄올아민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B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1H-NMR(200 ㎒;CDCl3):δ2.51(삼중선,6H;CH3), 2.79-3.35(다중선,8H;4xCH2N) 및 3.76-3.94(다중선,8H;4xCH2O).
실시예 24
5,5,5',5'-테트라페닐-2,2'-비-1,3,2-디옥사보리난
2,2-디페닐-1,3-프로판디올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1H-NMR(CDCl3, 200 ㎒):δ4.48(단일선, 8H; CH2O), 및 7.13-7.31(다중선, 20H; ArH).
실시예 25
4,4,4',4',7,7,7',7'-옥타메틸-2,2'-비-1,3,2-디옥사보레판
2,5-디메틸-2,5-헥산디올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1H-NMR(CDCl3, 200 ㎒):δ1.27(단일선, 24H; CH3), 및 1.77(단일선, 8H; CH2).
실시예 26
1,1,2,2-테트라키스(네오펜틸옥시)디보란
네오펜틸알콜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1H-NMR(CDCl3, 200 ㎒):δ0.93(단일선, 36H; CH3), 및 3.62(단일선, 8H; CH2). C20H44B2O4의 F.W. 이론치=370.19, 실측치(GCMS) m/z 371(M+1).
실시예 27
(4S,4'S,5S,5'S)-테트라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2S,3S)-(+)-2,3-부탄디올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1H-NMR(CDCl3, 200 ㎒):δ1.30(단일선, 6H; CH3), 1.33(단일선, 6H; CH3) 및 3.99(다중선, 4H; CH). C8H16B2O4의 F.W. 이론치=197.83, 실측치(GCMS) m/z 199(M+1).
실시예 28
테트라부틸 (4R,4'R,5R,5'R)-2,2'-비-1,3,2-디옥사보롤란-4,4',5,5'-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디부틸 L-타르트레이트를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 수율 93%.1H-NMR(CDCl3, 200 ㎒): δ0.89-0.98(다중선, 12H; CH3), 1.27-1.47(다중선, 8H; CH2CH3), 1.58-1.72(다중선, 8H; CH2CH2CH2), 4.15-4.25(다중선, 8H; CH2O) 및 4.92(단일선, 4H; CHCO2). 목적 화합물을 GCMS로 검출하였다.
실시예 29
(4R,4'R,5R,5R')-N4,N4,N4',N4',N5,N5,N5',N5'-옥타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4,4',5,5'-테트라카르복스아미드
N,N,N',N'-테트라메틸 L-타르타르아미드를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 수율 74%.1H-NMR(CDCl3,200 ㎒):δ2.90(단일선, 12H; NCH3), 3.14(단일선, 12H; NCH3) 및 5.54(단일선, 4H; C HC=O).
실시예 30
4,4,4',4'-테트라메틸-2,2'-비-1,3,2-디옥사보리난
디올 2-메틸-2,4-디히드록시부탄(1.04 g, 1 mmol)을 무수 THF 25 ㎖ 중의 2붕산(0.45 g, 0.5 mmol)과 실온에서 반응시켰다(절차 C에서 탈수제를 사용하지 않음). 2붕산을 재빨리 용해시켜 무색의 맑은 용액을 얻었다.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한 반응 용액의 소분액에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 결과, 면적비가 2:98인 피이크 2개만이 나타났다. 이러한 피이크는 디올의 체류 시간에 해당하는 것이다. 감압하에서의 반응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면, 백색의 고형물인 에스테르 생성물을 얻는다. H-NMR(CDCl3):δ1.30(s, 12H), 1.78(t,J=5.8 ㎐, 4H), 3.98(t, J=5.8 ㎐, 4H).
실시예 31
4,4,4',4',6,6,6',6'-옥타메틸-2,2'-비-1,3,2-디옥사보리난
디올 2,4-디메틸-2,4-디히드록시펜탄(1.32 g, 1 mmol)을 무수 THF 25 ㎖ 중의 2붕산(0.45 g, 0.5 mmol)과 실온에서 반응시켰다(절차 C에서 탈수제를 사용하지 않음). 2붕산을 용해시켜 무색의 맑은 용액을 얻었다.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한 반응 용액의 소분액에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 결과, 면적비가 4:95인 피이크 2개만이 나타났다. 이러한 피이크는 디올의 체류 시간에 해당하는 것이다. 감압하에서의 반응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면, 백색의 고형물인 에스테르 생성물을 얻는다. H-NMR(D6-DMSO):δ1.25(s, 24H), 1.77(s=4H).
실시예 32
3,3'-비-1,5-디히드로-2,4,3-벤조디옥사보레핀
디올 1,2-벤젠디메탄올(1.38 g, 1 mmol)을 무수 THF 25 ㎖ 중의 2붕산(0.45 g, 0.5 mmol)과 실온에서 반응시켰다(절차 C에서 탈수제를 사용하지 않음). 대부분의 2붕산이 용해된 후, 반응물을 50℃∼55℃에서 수시간 동안 가온시킨 후, 이를 여과시켜 무색의 맑은 용액을 얻었다. 화합물로부터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여 백색의 부드러운 화합물을 얻었다.1H NMR(CDCl3)에 의해 δ4.74, 4.89, 5.01에서 br 피이크 3 개가 나타났으며, 5.10(총 8H)에서 날카로운 피이크 하나, 7.22 및 7.28(총 8H)에서 다중선 2개가 나타났다. CDCl3용액의 냉각에 의해 br 피이크가 날카로워지며, 이는 목적 화합물의 이성체에 의한 것이다.
실온에서 에스테르가 형성되는 것은 THF 중에서보다 에탄올 중에서 상당히 빠르게 수행되며, 모든 2붕산(0.45 g, 0.5 mmol)은 용매(25 ㎖)를 첨가한 후, 수분 이내에 디올 1,2-벤젠디메탄올(1.38 g, 1 mmol)과 반응하여 무색의 맑은 용액을 얻었다. 이를 실온에서 교반한 후,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수시간 동안 10-7∼10-6㎜Hg에서 약 40℃의 온도에서 물질에 펌프 처리한 후 에탄올을 포함하지 않는(1H NMR) 백색의 딱딱한 고형물을 얻었다. H-NMR(CDCl3):δ4.73(s), 5.09(s) (강도 비율 1:4.3, 총 8H) 7.23 및 7.32(총 8H). δ 4.73 및 7.31에서의 피이크는 약하며, 이는 리간도가 2 개의 붕소 원자와 가교되는 생성물의 이성체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실시예 33
4,4,4',4',5,5'-헥사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2-메틸-2,3-부탄디올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1H-NMR(CDCl3, 200 ㎒): δ0.75-1.18(다중선, CH3및 CH), C10H20B2O4의 F.W. 이론치=225.89, 실측치(GCMS) m/z 226(M+1).
실시예 34
4,4,4',4'-테트라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2-메틸프로판-1,2-디올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절차 A를 수행하여 2붕산 에스테르를 생성하였다.1H-NMR(CDCl3, 200 ㎒):δ1.22(단일선, 12H;CH3), 및 3.73(단일선, 4H;CH2). C8H16B2O4의 F.W. 이론치=197.83, 실측치(GCMS) m/z 198(M+1).
IUPAC 명명
화합물 화합물명
실시예 1 (4R,4'R,5R,5'R)-테트라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실시예 2 1,1,2,2-테트라키스(2-메톡시에틸옥시)디보란
실시예 3 비스((1S,2S,3R,5S)-(+)-피난디올라토)2붕소(B-B)
실시예 4 (4R,4'R)-디페닐-2,2'-비-1,3,2-디옥사보롤란
실시예 5 4,4'-비-[(4-메톡시페녹시)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실시예 6 2,2'-비-(3aR,7aS)헥사히드로-1,3,2-벤조디옥사보롤
실시예 7 테트라이소프로필 (4R,4'R,5R,5'R)-2,2'-비-1,3,2-디옥사보롤란-4,4',5,5'-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실시예 8 (3aR,3'aR,6aS,6'aS)-디-(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2,2'-비-1,3,2-디옥사보롤란
실시예 9 (3R,6S,3'R,6'S)-디-(테트라히드로푸로-[3,4-d]-2,2'-비-1,3,2-디옥사보롤란
실시예 10 4,4'-비스(메톡시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실시예 11 2,2'-비-1,3,2-디옥사보레판
실시예 12 5,5'-디히드록시메틸-5,5'-디메틸-2,2'-비-1,3,2-디옥사보리난
실시예 13 비스((1R,2R,3S,5R)-(-)-피난디올라토)2붕소(B-B)
실시예 14 2,2'-비-4H-1,3,2-벤조디옥사보리닌
실시예 15 4,4'-비-(펜옥시메틸)-2,2'-1,3,2-디옥사보롤란
실시예 16 4,4,4',4',6,6'-헥사메틸-2,2'-비-1,3,2-디옥사보리난
실시예 17 5,5,5',5'-테트라에틸-2,2'-비-1,3,2-디옥사보리난
실시예 18 4,4',5,5'-테트라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실시예 19 4,4'-디메틸-2,2'-비-1,3,2-디옥사보리난
실시예 20 5,5'-디메틸-2,2'-비-1,3,2-디옥사보리난
실시예 21 비-(디나프토[2,1-d:1,2-f])-2,2'-비-1,3,2-디옥사보레핀
실시예 22 6,6'-디에틸-2,2'-비-1,3,6,2-디옥사자보로칸
실시예 23 6,6'-디메틸-2,2'-비-1,3,6,2-디옥사자보로칸
실시예 24 5,5,5',5'-테트라페닐-2,2'-비-1,3,2-디옥사보리난
실시예 25 4,4,4',4',7,7,7',7'-옥타메틸-2,2'-비-1,3,2-디옥사보레판
실시예 26 1,1,2,2-테트라키스(네오펜틸옥시)디보란
실시예 27 (4S,4'S,5S,5'S)-테트라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실시예 28 테트라부틸 (4R,4'R,5R,5'R)-2,2'-비-1,3,2-디옥사보롤란-4,4',5,5'-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실시예 29 (4R,4'R,5R,5R')-N4,N4,N4',N4',N5,N5,N5',N5'-옥타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4,4',5,5'-테트라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30 4,4,4',4'-테트라메틸-2,2'-비-1,3,2-디옥사보리난
실시예 31 4,4,4',4',6,6,6',6'-옥타메틸-2,2'-비-1,3,2-디옥사보리난
실시예 32 3,3'-비-1,5-디히드로-2,4,3-벤조디옥사보레핀
실시예 33 4,4,4',4',5,5'-헥사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실시예 34 4,4,4',4'-테트라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의 범위를 통해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한, 용어 "포함하다" 또는 이의 변형어도 명시된 임의의 기타의 정수 또는 정수군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명시된 정수 또는 정수군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이 구체적으로 기재된 것 이외의 변형예 및 수정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숙지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변형예 및 수정예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명시되거나 언급된 모든 단계, 조성 및 화합물 각각 또는 총체적으로 포함하며, 이들 단계 또는 특징의 2 이상의 임의의 모든 조합도 포함한다.

Claims (23)

  1. 화학식 I의 2붕소 유도체.
    화학식 I
    상기 화학식에서, R1, R2, R3및 R4는 각각은 임의로 치환된 알킬, 임의로 치환된 알케닐, 임의로 치환된 아릴,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및 화학식 -(R5Q)mR6[여기서, Q는 O, S, NR7, 임의로 치환된 아릴렌 및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렌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1∼3의 정수이고, R5또는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C1-C3알킬렌이고, R6은 C1-C3알킬 또는 수소이며, R7은 수소 또는 C1-C12알킬임]의 기로 구성된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각각의 X는 O, S(O)n및 NR7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이때 n은 0∼3이고, R7은 수소 또는 C1-C12알킬이거나 또는 -NR1R7, -NR2R7, -NR3R7및 -NR4R7중 하나 이상은 임의로 치환된 5 또는 6원의 헤테로시클릴기를 나타내나,
    단, 각각의 X가 O이고, R1∼R4가 동일할 경우, R1∼R4는 치환되지 않은 직쇄 알킬, 페닐 또는 나프틸, 이소프로필 또는, 알킬로 치환된 페닐이 아니며, 각각의 X가 N(C1-C6알킬)인 경우, R1∼R4는 C1-C4알킬이 아니며, -NR1R7, -NR2R7, -NR3R7및 -NR4R7은 치환되지 않은 피페리딜 또는 치환되지 않은 피롤리디닐이 아니고, 각각의 X가 NH일 경우, R1∼R4는 C1-C6알킬 또는 치환되지 않은 페닐이 아니며, 각각의 -XR1이 -OCH3이고, -XR2는 N(CH3)2이며, -XR4는 -N(CH3)2인 경우, -XR3은 OCH3가 아니다.
  2. 하기 화학식 II의 2붕소 유도체.
    화학식 II
    상기 화학식에서, X는 O, S(O)n및 NR7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이때 n은 0∼2이고, R7은 수소 또는 C1-C12알킬이며, A1및 A2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는 2가기이나, 단, 각각의 X가 O일 경우, A1및 A2는 치환되지 않은 C1-C3알킬렌, 1,1,2,2-테트라메틸에틸렌, 2,2,-디메틸프로필렌, 1,2-디알콕시카르보닐에틸렌, 1,2-디페닐에틸렌, 1-페닐에틸렌, 치환되지 않은 페닐렌 또는, C1-C4알킬로 단일 치환되거나 또는 이중 치환된 페닐렌이 아니며, 각각의 X가 S 또는 NMe일 경우, A1및 A2모두는 에틸렌이 아니다.
  3. 하기 화학식 III의 2붕소 유도체.
    화학식 III
    상기 화학식에서, R1및 R2는 각각 임의로 치환된 알킬, 임의로 치환된 알케닐, 임의로 치환된 알키닐, 임의로 치환된 아릴,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화학식 -(R5Q)mR6[여기서, Q는 O, S, NR7, 임의로 치환된 아릴렌 및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렌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1∼3의 정수이고, R5또는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C1-C3알킬렌이고, R6은 수소 또는 C1-C3알킬이며, R7은 수소 또는 C1-C12알킬임]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X는 O, S(O)n및 NR7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이때 n은 0∼3이고, R7은 수소 또는 C1-C12알킬이며, -NR1R7및 -NR2R7중 하나 또는 둘다는 임의로 치환된 5원 또는 6원의 헤테로시클릴기이고,
    A는 2가 기이나,
    단, R1및 R2가 Me이고, 각각의 X가 NMe일 경우, A는 치환되지 않은 에틸렌이 아니다.
  4. 1 이상의 키랄 중심을 포함하며, 한 형태의 거울상 이성체가 과량으로 존재하는 하기 화학식 I의 2붕소 유도체, 하기 화학식 II의 2붕소 유도체 또는 하기 화학식 III의 2붕소 유도체.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상기 화학식에서, R1, R2, R3및 R4는 각각은 임의로 치환된 알킬, 임의로 치환된 알케닐, 임의로 치환된 아릴,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및 화학식 -(R5Q)mR6[여기서, Q는 O, S, NR7, 임의로 치환된 아릴렌 및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렌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1∼3의 정수이고, R5또는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C1-C3알킬렌이고, R6은 C1-C3알킬 또는 수소이며, R7은 수소 또는 C1-C12알킬임]의 기로 구성된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각각의 X는 독립적으로 O, S(O)n및 NR7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이때 n은 0∼3이고, R7은 수소 또는 C1-C12알킬이거나 또는 -NR1R7, -NR2R7, -NR3R7및 -NR4R7중 하나 이상은 임의로 치환된 5 또는 6원의 헤테로시클릴기를 나타내며,
    A, A1및 A2는 서로 상이하거나 또는 상이하지 않을 수 있는 2가 기이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X는 O인 것인 2붕소 유도체.
  6. 제2항에 있어서, A1및 A2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렌, 임의로 치환된 알케닐렌, 임의로 치환된 알키닐렌, 임의로 치환된 아릴렌, 임의로 치환된 알킬아릴렌,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렌,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케닐렌 또는 화학식 -(R5Q)mR6[여기서, Q는 O, S, NR7, 임의로 치환된 아릴렌 및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렌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1∼3의 정수이고, R5및 R6는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C1-C3알킬렌이고, R7은 수소 또는 C1-C12알킬임]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인 2붕소 유도체.
  7. 제3항에 있어서, A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렌, 임의로 치환된 알케닐렌, 임의로 치환된 아릴렌,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렌,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케닐렌 또는 화학식 -(R5Q)mR6-[여기서, Q는 O, S, NR7, 임의로 치환된 아릴렌 및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렌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1∼3의 정수이고, R5및 R6는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C1-C3알킬렌이고, R7은 수소 또는 C1-C12알킬임]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것인 2붕소 유도체.
  8. 제4항에 있어서, A, A1및 A2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렌, 임의로 치환된 알케닐렌, 임의로 치환된 알키닐렌, 임의로 치환된 아릴렌, 임의로 치환된 알킬아릴렌,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렌,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케닐렌 또는 화학식 -(R5Q)mR6[여기서, Q는 O, S, NR7, 임의로 치환된 아릴렌 및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렌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1∼3의 정수이고, R5및 R6는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C1-C3알킬렌이고, R7은 수소 또는 C1-C12알킬임]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인 2붕소 유도체.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A, A1및 A2중 1 이상은 융합 지방족 또는 방향족 고리 또는 고리계를 포함하는 것인 2붕소 유도체,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R1∼R4, A, A1및 A2중 1 이상은 붕소 원자 중의 하나와 추가로 배위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인 2붕소 유도체.
  11. 제10항에 있어서, R1∼R4, A, A1및 A2중 1 이상은 붕소 원자에 전자 밀도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가 풍부한 치환체 또는 원자를 포함하는 것인 2붕소 유도체.
  12. 제4항에 있어서, 거울상 이성체가 과량으로 존재한다는 것은 80%보다 많이 존재하는 것인 2붕소 유도체.
  13. 제12항에 있어서, 거울상 이성체가 과량으로 존재한다는 것은 90%보다 많이 존재하는 것인 2붕소 유도체.
  14. 2붕산과 모노알콜, 디올 또는 폴리올을 반응시켜 2붕산 에스테르를 형성하도록 하는 조건 및 시간하에서 2붕산을 적절한 모노알콜, 디올 또는 폴리올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2붕산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반응은 모노알콜을 포함하는 용매 중에서 수행하는 것인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모노알콜은 저급 알칸올인 것인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모노알콜 4 당량 이상을 사용하며, 형성된 유도체를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2차 알콜과 반응시키는 것인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저급 알칸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인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 수행하는 것인 방법.
  20. 적절한 2붕소 반응물을 키랄 알콜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X가 O인 제4항의 2붕소 유도체의 제조 방법.
  21. 키랄 붕산 에스테르 유도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조건 및 시간하에서 제4항의 2붕소 유도체를, 붕소 반응성 부위를 갖는 유기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키랄 유기 붕산 에스테르 유도체의 제조 방법.
  22. 제2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키랄 유기 붕산 에스테르를 알데히드 또는 비대칭 케톤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랄 화합물의 제조 방법.
  23. 테트라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1,1,2,2-테트라키스(2-메톡시에틸옥시)디보란;
    비스(피난디올라토)2붕소(B-B);
    디페닐-2,2'-비-1,3,2-디옥사보롤란;
    4,4'-비-[(4-메톡시페녹시)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2,2'-비-헥사히드로-1,3,2-벤조디옥사보롤;
    테트라이소프로필-2,2'-비-1,3,2-디옥사보롤란-4,4',5,5'-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디-(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2,2'-비-1,3,2-디옥사보롤란;
    디-(테트라히드로푸로[3,4-d]-2,2'-비-1,3,2-디옥사보롤란;
    4,4'-비(메톡시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2,2'-비-1,3,2-디옥사보레판;
    5,5'-디히드록시메틸-5,5'-디메틸-2,2'-비-1,3,2-디옥사보리난;
    비스(피난디올라토)2붕소(B-B);
    2,2'-비-4H-1,3,2-벤조디옥사보리닌;
    4,4'-비-(펜옥시메틸)-2,2'-1,3,2-디옥사보롤란;
    4,4,4',4',6,6'-헥사메틸-2,2'-비-1,3,2-디옥사보리난;
    5,5,5',5'-테트라에틸-2,2'-비-1,3,2-디옥사보리난;
    4,4',5,5'-테트라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4,4'-디메틸-2,2'-비-1,3,2-디옥사보리난;
    5,5'-디메틸-2,2'-비-1,3,2-디옥사보리난;
    비-(디나프토[2,1-d:1,2-f])-2,2'-비-1,3,2-디옥사보레핀;
    6,6'-디에틸-2,2'-비-1,3,6,2-디옥사자보로칸;
    6,6'-디메틸-2,2'-비-1,3,6,2-디옥사자보로칸;
    5,5,5',5'-테트라페닐-2,2'-비-1,3,2-디옥사보리난;
    4,4,4',4',7,7,7',7'-옥타메틸-2,2'-비-1,3,2-디옥사보레판;
    1,1,2,2-테트라키스(네오펜틸옥시)디보란;
    테트라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테트라부틸-2,2'-비-1,3,2-디옥사보롤란-4,4',5,5'-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N4,N4,N4',N4',N5,N5,N5',N5'-옥타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4,4',5,5'-테트라카르복스아미드;
    4,4,4',4'-테트라메틸-2,2'-비-1,3,2-디옥사보리난;
    4,4,4',4',6,6,6',6'-옥타메틸-2,2'-비-1,3,2-디옥사보리난;
    3,3'-비-1,5-디히드로-2,4,3-벤조디옥사보레핀;
    4,4,4',4',5,5'-헥사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4,4,4',4'-테트라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으로부터 선택된 것의 모든 이성체 형태의 2붕소 유도체.
KR1020007006988A 1997-12-23 1998-12-23 붕소 화합물 KR200100334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P1100 1997-12-23
AUPP1100A AUPP110097A0 (en) 1997-12-23 1997-12-23 Boronic compounds
AUPP2026 1998-02-26
AUPP2026A AUPP202698A0 (en) 1998-02-26 1998-02-26 Boronic compounds
PCT/AU1998/001072 WO1999033845A1 (en) 1997-12-23 1998-12-23 Boronic compoun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487A true KR20010033487A (ko) 2001-04-25

Family

ID=25645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988A KR20010033487A (ko) 1997-12-23 1998-12-23 붕소 화합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346639B1 (ko)
EP (1) EP1056751A4 (ko)
JP (1) JP2001527082A (ko)
KR (1) KR20010033487A (ko)
CN (1) CN1284080A (ko)
CA (1) CA2315629A1 (ko)
NZ (1) NZ505751A (ko)
WO (1) WO19990338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P649498A0 (en) 1998-10-14 1998-11-05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Organoboron derivatives and coupling thereof
US6794529B2 (en) 2000-07-07 2004-09-21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Substituted diboron compounds
AU2002336532C1 (en) 2001-09-14 2008-10-16 Amgen, Inc Linked biaryl compounds
CN102718787A (zh) * 2011-12-29 2012-10-10 大连联化医药技术有限公司 一种制备联硼酸酯的方法
WO2013133203A1 (ja) * 2012-03-05 2013-09-12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ジホウ素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ホウ素化反応用試薬
CN103601746A (zh) * 2013-11-26 2014-02-26 大连联化化学有限公司 一种合成手性双蒎烷二醇二硼酸酯的方法
CN105859519B (zh) * 2016-04-19 2018-08-24 上海格物致知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手性邻二醇的合成方法及其产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5582A (en) * 1957-09-13 1960-12-20 Standard Oil Co Method of preparing a gasoline additive containing a boron compound and tetraethyl lead fluid
US3062823A (en) * 1959-04-27 1962-11-06 United States Borax Chem Method for making organoboron compounds
DE1231714B (de) * 1960-08-17 1967-01-05 United States Borax Chem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is-2-(1, 3, 2-dioxaborolan), Bis-2-(1, 3, 2-dioxaborinan) oder Bis-2-(1, 3, 2-dioxabenzoborol)
US3009941A (en) * 1960-08-17 1961-11-21 United States Borax Chem Method for preparing organoboron compounds
US3089895A (en) * 1962-07-23 1963-05-14 United States Borax Chem Method of producing tetraalkoxydiborons
US3269960A (en) 1964-12-14 1966-08-30 United States Borax Chem Curing a polyepoxide resin with an organodiboron comp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33845A1 (en) 1999-07-08
CA2315629A1 (en) 1999-07-08
US20020052522A1 (en) 2002-05-02
CN1284080A (zh) 2001-02-14
JP2001527082A (ja) 2001-12-25
EP1056751A1 (en) 2000-12-06
EP1056751A4 (en) 2003-01-22
US6346639B1 (en) 2002-02-12
US6515160B2 (en) 2003-02-04
NZ505751A (en) 200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3004B2 (en) Process for preparing organic boronic acid derivatives using diboronic acid
DE69925746T2 (de) Organobor-verbindungen und ein verfahren zur kupplung organischer verbindungen
US6559310B2 (en) Aryl borates
DE69916308T2 (de) Hydroboronationsverfahren
KR20010013963A (ko) 알켄 보레이트 및 유기 화합물의 공유 결합 커플링 방법
KR20010033487A (ko) 붕소 화합물
AU747441B2 (en) Boronic compounds
US6794529B2 (en) Substituted diboron compounds
MXPA00006309A (en) Boroniccompounds
AU742549B2 (en) Process for preparing organic boronic acid derivatives using diboronic acid
KR20020085882A (ko) 치환된 이붕소 화합물
AU759642B2 (en) Hydroboronation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