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3373A - 연료 공급 모듈 - Google Patents

연료 공급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3373A
KR20010033373A KR1020007006840A KR20007006840A KR20010033373A KR 20010033373 A KR20010033373 A KR 20010033373A KR 1020007006840 A KR1020007006840 A KR 1020007006840A KR 20007006840 A KR20007006840 A KR 20007006840A KR 20010033373 A KR20010033373 A KR 20010033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upply module
pump
fuel supply
modul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랑크쿠어트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10033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337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50Filters arranged in or on 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F02M37/106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the pump being installed in a sub-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44Filte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105Fuel tanks with supplementary interior tanks inside the fuel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바닥부(11)를 구비한 저장 용기(10)와, 펌프 요소(28)를 구비하여 저장 용기(10) 내에 배치된 연료 펌프(20)를 포함하며, 연료 펌프(20)의 펌프 요소(28)는 저장 용기(10)의 바닥부(11)에서 펌프 요소(28)로 연료가 횡으로 유동되도록 배치된, 연료를 엔진으로 공급하기 위한 특히 자동차에 사용되는 연료 공급 모듈.

Description

연료 공급 모듈 {FUEL SUPPLY MODULE}
자동차에서 연료를 연료 탱크로부터 엔진으로 공급하기 위해 연료 탱크 내에 설치된 연료 펌프가 사용된다. 연료 펌프는 통상 연료 탱크의 바닥에 배치되고, 이른바 저장 용기에 의해 둘러싸이고, 연료 수위는 저장 용기를 통해 연료 펌프 주위에서 소정의 레벨로 유지된다. 이를 통해, 커브 또는 등판 운행 중에 연료 탱크가 이미 부분적으로 비워져도 연료가 엔진에 공급되는 것이 보장된다. 저장 용기는 연료 펌프와 함께 연료 공급 모듈을 형성한다. 연료 탱크로부터의 연료를 저장 용기에 충전시키기 위해 엔진으로부터 복귀되는 연료에 의해 작동되는 흡입 이젝터 펌프가 자주 사용된다. 복귀되는 연료는 저장 용기로 직접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저장 용기는 통상 두 개의 연료 필터를 갖고, 그 중 제1 필터는 연료 펌프의 상류 흡입측에 위치되나, 제2 미세 필터는 연료 펌프의 하류에 위치된다.
청구항 제1항의 주 개념에 따른 연료 공급 모듈은 예를 들어 독일 특허 196 19 99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런 구조에서 저장 용기 내에서의 연료 펌프의 설치 높이는 한편으로는 펌프의 측정을 통해, 다른 한편으로는 상류에 설치된 거친 필터 및 거친 필터를 통해 연료가 흡입되는 흡입 도관에 의해 결정된다. 흡입 도관이 거친 필터와 함께 저장 용기의 바닥 상에 배치되어 연료는 기본적으로 하부로부터 수직으로 유동된다.
그러나, 이런 배치에 의해 이하의 문제가 발생된다. 저장 용기 내의 연료 수위가 거친 필터 보다 낮으면 연료 공급 펌프는 엔진에 더 이상 연료를 공급하지 않는다. 연료 공급 펌프가 작동되기 전에 우선 저장 용기 내에 연료의 최소 수위가 제공되야 하기 때문에 연료 탱크 또는 저장 용기의 초기 충전시에 이런 양호하지 못한 잔여량 흡입 작동과 유사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연료를 특히 자동차 엔진으로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2는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 펌프 하부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모듈의 개략도이다.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공급 모듈은 저장 용기 내에서 요구되는 최저 수위가 매우 낮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를 통해 연료 잔여량 흡입의 우수한 작동 및 탱크의 초기 충전시에 적절한 작용이 달성된다. 또한 흡입 도관이 생략될 수 있기 때문에 연료 펌프의 구성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연료가 펌프 요소에 횡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저장 용기 내의 연료 펌프의 구성 높이는 낮아지게 되어 전체 연료 공급 모듈은 적은 부피를 갖게된다. 이런 소형의 부피는 자동차에서 통상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연료 공급 모듈 내에 배치된 연료 탱크의 수용력을 위해서만 아니라 모듈의 안정성을 위해서도 유익하다.
다른 청구항의 특징들을 통해 청구항 제1항의 연료 공급 모듈은 유익하게 구성되고 개선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연료 펌프는 저장 용기 내의 적은 연료 잔여량까지 흡입하도록 저장 용기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 측면 유입 개구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의 유입 개구는 저장 용기의 바닥부에, 양호하게는 직접 배치된다.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유입 개구는 자체 하부측에서 연료 펌프의 하우징의 일부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연료 공급 모듈은 연료가 유입되기 전에 필터링을 위해 저장 용기 내에 배치된 필터를 가진다. 필터는 연료 펌프를 둘러싸는 케이지형 필터로 유익하게 구성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케이지형 필터는 저장 용기 내에서 연료 펌프를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상부 영역에서 연료 펌프를 지지하기 위한 추가의 장치는 본 실시예에서는 필요하지 않다.
도1에 도시된 연료 공급 모듈은 탱크(1) 내에 배치된 저장 용기(10)를 포함한다. 저장 용기(10)의 바닥부(11) 상에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펌프(20)가 위치된다. 도1의 우측 하부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연료는 (도시되지 않은) 흡입 펌프를 통해 탱크(1)로부터 저장 용기(10)로 공급된다. 연료 펌프(20)는 펌프 임펠러(28) 형태의 펌프 요소를 가동시키는 전기 모터(29)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런 구성에 부가적으로 다이어프램(diaphragm) 또는 다른 펌프 장치를 구비한 연료 공급을 위한 펌프 구조도 또한 가능하다.
구동 모터(29) 또는 펌프 임펠러(28)는 외측에서 연료 펌프(20)의 하우징(26)에 의해 둘러싸인다. 하우징(26)은 우측에 펌프 임펠러(28)를 위한 측면 유입 개구(21)를 가지고, 이를 통해 연료가 작동 중에 횡으로 펌프 임펠러(28)에 공급된다. 유입 개구(21)는 저장 용기(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도1에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유입 개구(21)는 자체 하부 측면에서 하우징(26)의 일부에 의해 제한된다. 이런 구성에 의해 저장 용기(10) 내에서 연료 수위가 낮을 때에도 연료는 흡입된다. 별도의 흡입 도관은 필요하지 않다.
도2에 확대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유입 개구(21)는 저장 용기(10)의 바닥에 밀착 배치된다. 이를 통해 연료 공급 모듈의 잔여량 흡입 작동은 더욱 최적화된다.
도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펌프 임펠러(28)는 또한 저장 용기(10)의 바닥부(11)의 만입부 내에 배치된다. 이로써, 펌프 임펠러(28) 주변의 연료의 적은 잔여량은 유입 개구(21) 앞에 수집된다.
도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라 펌프 임펠러(28)는 저장 용기(10)의 바닥부(11)의 리세스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도3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효과가 달성되며, 추가로 연료 공급 모듈의 구성 높이는 또한 더 감소되고 재료는 절약된다.
도1에서 연료 펌프(20)의 하부 영역 주위에 (거친) 필터(30)가 양호하게 배치된다. 필터(30)는 연료의 이물질 또는 침전물이 연료 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필터(30)는 케이지형 필터로 구성된다. 연료 펌프(20) 주위의 환형 구조에 의해 큰 필터면이 가능하여 수명이 증가되고, 교체는 자동차의 평균 수명 중에 필요하지 않다. 이는 연료 펌프(20)의 하부에 작은 거친 필터가 위치되어 막힌 필터를 교체할 때 필요한 연료 펌프의 해체에 의해 많은 비용 상승을 유발시키는 공지된 연료 공급 모듈에 반해 기본적인 장점이다.
도1 및 도4에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케이지형 필터(30)는 상부 영역에서 연료 펌프(20)의 지지를 위해 사용된다. 케이지형 필터(30)는 고정되기 위해 다수의 보강 요소(31)를 포함한다. 케이지형 필터(30)는 고정되기 위해 저장 용기(10)의 바닥부(11)의 상응되는 수용 요소(32) 내에 삽입된다. 이런 연결은 래칭, 접착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연료 펌프(20)와 저장 용기(10)의 외벽 사이에 지지를 위한 지지체(22)가 위치된다. 이런 지지체(22)는 연료 펌프로부터 발생되어 저장 용기 및 자동차의 연료 탱크로 전달되는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양호하게는 탄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30)는 지지체(22)에의 상부 엣지에 고정된다.
저장 용기(10)의 바닥부(11)에 연료 펌프(20)를 고정하기 위해 비스듬히 상향으로 좁아지는 다수의 리브가 제공된다(도1 참조). 이를 통해, 연료 펌프(20)의 진동에서 기인하는 기계적 부하를 양호하게 안정시킬 수 있도록 연료 펌프(20)의 현가는 확실해진다. 또한, 유입 개구(21) 영역 내에서 절결되며, 저장 용기(10)의 바닥부(11) 상에서 둘러싸는 (도시되지 않은) 환형 링에 의해 연료 펌프(20)는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리브 또는 링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 방법은 나사, 래칭, 리벳, 접착등의 공지된 기술들을 생각할 수 있다.
도3에 따른 실시예에서 연료 펌프의 저장 용기, 고정 리브 또는 고정 링과 지지체를 위한 재료로써 비용과 무게를 절약하기 위해 플라스틱이 양호하게 사용된다.

Claims (12)

  1. 연료를 엔진으로 공급하기 위한 특히 자동차에 사용되는 연료 공급 모듈에 있어서,
    바닥부(11)를 구비한 저장 용기(10)와, 펌프 요소(28)를 구비하여 저장 용기(10) 내에 배치된 연료 펌프(20)를 포함하며,
    연료 펌프(20)의 펌프 요소(28)는 저장 용기(10)의 바닥부(11)에서 펌프 요소(28)로 연료가 횡으로 유동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연료 펌프는 펌프 요소를 위한, 저장 용기(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 측면 유입 개구(21)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26)의 유입 개구(21)는 저장 용기(12)의 바닥부(11)에 직접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유입 개구(21)는 자체 하부에서 연료 펌프(20) 하우징(26)의 일부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모듈.
  5.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펌프 요소(28)는 저장 용기(10)의 바닥부(11)의 만입부 또는 리세스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모듈.
  6.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료가 유입되기 전에 연료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30)가 저장 용기(10)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필터(30)는 연료 펌프(20)를 둘러싸는 케이지형 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케이지형 필터(30)는 저장 용기(10) 내에서 연료 펌프(2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모듈.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케이지형 필터(30)는 저장 용기(10)의 바닥부(11) 상에 직접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모듈.
  10.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료 펌프(12)는 리브(12)에 의해 저장 용기(10)의 바닥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모듈.
  11.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료 펌프(20)는 저장 용기(10)의 바닥부(11)에서 유입 개구(21)에의 만입부를 갖는 환형 링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모듈.
  12. 특히, 자동차에 사용되는 연료 탱크에 있어서,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1항에 따른 연료 공급 모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KR1020007006840A 1998-10-21 1999-10-15 연료 공급 모듈 KR200100333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48571A DE19848571A1 (de) 1998-10-21 1998-10-21 Kraftstoff-Fördermodul
DE19848571.9 1998-10-21
PCT/DE1999/003316 WO2000023705A1 (de) 1998-10-21 1999-10-15 Kraftstoff-fördermodu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373A true KR20010033373A (ko) 2001-04-25

Family

ID=7885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840A KR20010033373A (ko) 1998-10-21 1999-10-15 연료 공급 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93258B1 (ko)
EP (1) EP1045972B1 (ko)
JP (1) JP2002527677A (ko)
KR (1) KR20010033373A (ko)
BR (1) BR9906880A (ko)
DE (2) DE19848571A1 (ko)
WO (1) WO20000237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1318B1 (en) 1999-03-29 2001-05-15 Walbro Corporation In-take fuel pump reservoir
DE10118050B4 (de) * 2001-04-11 2004-11-18 Siemens Ag Feinfilter für eine Kraftstofffördereinheit
US7306715B2 (en) * 2002-08-05 2007-12-11 Denso Corporation Pump module
JP4280601B2 (ja) * 2003-10-24 2009-06-17 株式会社ニフコ フューエルフィルタ装置
JP4267545B2 (ja) * 2004-09-03 2009-05-27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ポンプユニット
DE102005000730B4 (de) * 2005-01-04 2015-10-2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Kraftstoffvorratsbehälter
DE102006032101A1 (de) * 2006-07-11 2008-01-24 Siemens Ag Fördereinheit zum Fördern von Kraftstoff
JP2008075528A (ja) * 2006-09-21 2008-04-03 Keihin Corp 二輪車における燃料供給装置の取付け構造
DE102008040479A1 (de) * 2007-07-23 2009-02-05 Denso Corp., Kariya-shi Kraftstoffzufuhrvorrichtung
DE102008005522A1 (de) * 2008-01-23 2009-07-30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Halterung eines Förderaggregates
DE102009060870A1 (de) 2008-12-30 2010-07-01 Volkswagen Ag System zur Kraftstoffversorgung einer Zusatzheizung, Absaugtopf-Kraftstofffördereinrichtung sowie Fahrzeug
KR101048656B1 (ko) 2009-11-02 2011-07-12 (주)모토닉 외장형 연료펌프
JP6468122B2 (ja) * 2015-08-17 2019-02-13 株式会社Soken 燃料供給装置
DE102021211311A1 (de) 2021-10-07 2023-04-13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Inline-Fördereinrichtung zum Fördern eines Kraftstoff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490715A0 (es) 1980-04-18 1981-02-16 Campos Herruzo Juan Sistema control de direccion de helicoptero coaxial, paso colectivo a la vez que tambien variable simultaneamente con signo contrario
JPS58160545A (ja) * 1982-03-19 1983-09-24 Automob Antipollut & Saf Res Center モ−タ式燃料ポンプ
JPS60147565A (ja) * 1984-01-11 1985-08-03 Nissan Motor Co Ltd インタンクポンプタイプの燃料タンク
JPS61175262A (ja) 1985-01-29 1986-08-06 Mitsubishi Electric Corp 燃料給送ポンプ
JPH02222705A (ja) * 1989-02-22 1990-09-05 Mitsubishi Electric Corp 燃料濾過器
DE19521509A1 (de) * 1995-06-13 1996-12-19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m Fördern von Kraftstoff aus einem Vorratstank zu einer Brennkraftmaschine
DE19526142A1 (de) 1995-07-18 1997-01-23 Pierburg Ag Brennstoffördereinrichtung
US5769061A (en) * 1996-04-01 1998-06-23 Denso Corporation Fuel supply system having a suction filter in a sub-tank
DE19619992A1 (de) * 1996-05-17 1997-11-20 Bosch Gmbh Robert Kraftstoff-Fördermodul mit integriertem Kraftstoff-Feinfilter
US5718208A (en) * 1996-09-16 1998-02-17 Ford Motor Company Fuel vapor management system
US5680847A (en) * 1996-11-07 1997-10-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sender for motor vehicle
DE19753860C1 (de) * 1997-12-04 1999-06-02 Bosch Gmbh Robert Kraftstoff-Förderaggregat mit verbesserter Förderpumpe
US5960775A (en) * 1997-12-08 1999-10-05 Walbro Corporation Filtered fuel pump module
DE19813204A1 (de) * 1998-03-25 1999-09-30 Bosch Gmbh Robert Flansch eines Kraftstoff-Fördermoduls und Kraftstoff-Fördermodu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45972B1 (de) 2005-04-20
US6293258B1 (en) 2001-09-25
BR9906880A (pt) 2000-10-17
DE19848571A1 (de) 2000-05-04
EP1045972A1 (de) 2000-10-25
JP2002527677A (ja) 2002-08-27
DE59911936D1 (de) 2005-05-25
WO2000023705A1 (de) 200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3373A (ko) 연료 공급 모듈
US6520163B2 (en) In-tank fuel supply apparatus
US7472693B2 (en) Fuel feed apparatus having fuel pump and filter
US5762047A (en) Fuel supplying apparatus
US6260543B1 (en) Fuel delivery module with integrated filter
US5718208A (en) Fuel vapor management system
CN100406292C (zh) 用于机动车的燃油箱
US8915233B2 (en) Fuel supply equipment
US6029633A (en) Passive fuel delivery module and suspension mechanism
US5875816A (en) Fuel feeding module with integrated fuel fine filter
US20070044773A1 (en) Fuel feed apparatus having sub-tank
JPH1061519A (ja) 燃料微孔フィルタを有する燃料圧送モジュール
US6863814B2 (en) In-tank type fuel feed apparatus
JP3956867B2 (ja) 燃料供給装置
US7159574B2 (en) Fuel feed apparatus having opening in sub-tank
US5219422A (en) Washer pump provided with means for determining when the level of washer fluid is low
EP1028018B1 (en) Vehicle fuel rerservoir pot
EP1160445A2 (en) "Fuel supplying apparatus"
WO2008105722A1 (en) Fuel tank arrangement for a vehicle
US20040173188A1 (en) Device for supplying fuel from a tank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357873A (ja) 乗物用燃料供給装置
JP2010059826A (ja) 満タン制御弁
JP3789160B2 (ja) 燃料タンクのサブタンク構造
JP4144528B2 (ja) 燃料供給装置
GB2356177A (en) A motor vehicle fuel tank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