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2980A - 부유설비 - Google Patents

부유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2980A
KR20010032980A KR1020007006329A KR20007006329A KR20010032980A KR 20010032980 A KR20010032980 A KR 20010032980A KR 1020007006329 A KR1020007006329 A KR 1020007006329A KR 20007006329 A KR20007006329 A KR 20007006329A KR 20010032980 A KR20010032980 A KR 20010032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ool
compartment
partition
floating
dr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5369B1 (ko
Inventor
스베인 디브달
퍼 인게 렘멘
Original Assignee
오르멘 브레드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NO975828A external-priority patent/NO975828D0/no
Application filed by 오르멘 브레드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오르멘 브레드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10032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2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3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002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00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01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specially adapted for obtaining from underwater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2003/147Moon-pools, e.g. for offshore drill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제 1 문풀(1)을 구비하는 부유설비는, 이 제 1 문풀(1)에 문풀(1)을 제 1부분과 제 2부분으로 분할하는 격벽(4)이 배치된다. 격벽(4)은 제 1부분의 격실(16)에 제 1벽을 형성하고, 격실 또한 문풀(1)의 벽과 뱃바닥(7)에 의해 구획된다. 격벽(4)은 제 1부분과 제 2부분 사이가 연통하도록 개방되어지고, 격실(16)은 격벽(4)이 폐쇄될 때 실제로 수밀(水密)이 된다.

Description

부유설비 {FLOATING INSTALLATION}
전형적으로, 이와 같은 부유설비는 시추생산선인 바, 대륙붕에는 매우 일반적인 것이 되고 있다. 이들은 부유식 플랫폼에 대해 큰 이점을 제시하는 바, 이 선박은 훨씬 더 다루기 쉽게 되며, 훨씬 더 많이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작은 구역에서 시험 시추 및 생산용으로 이용하는 데에 매우 적합하다.
그러나, 시추생산선은 플랫폼 보다 더 회전하기 쉽고 더 흔들리기 쉽고, 플랫폼 보다 더 높은 무게중심을 가지고 더 작은 갑판공간을 차지한다.
본 발명은 하기 청구항 1의 전문에 따른 부유설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드라이도크가 폐쇄되었을 때 위에서 내려본 드라이도크내의 본 발명에 따른 시추생산선과 승강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드라이도크가 부분적으로 개방되었을 때 위에서 내려본 본 발명에 따른 시추생산선의 평면도,
도 3은 드라이도크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위에서 내려본 본 발명에 따른 시추생산선의 평면도,
도 4는 드라이도크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위에서 내려본 본 발명에 따른 시추생산선의 평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가 드라이도크 외부의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드라이도크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위에서 내려본 본 발명에 따른 시추생산선의 평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가 드라이도크로 후퇴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 내지 도 5의 A-A선에서 본 단면도로서 도 1의 상태에 해당하는 도면,
도 7은 도 1 내지 도 5의 A-A선에서 본 단면도로서 도 2 또는 도 3의 상태에 해당하는 도면,
도 8은 도 1 내지 도 5의 A-A선에서 본 단면도로서 도 4의 상태에 해당하는 도면,
도 9는 도 1 내지 도 5의 A-A선에서 본 단면도로서 도 4의 상태에 해당하며 승강장치의 로드에 연결된 파이프스트링을 구비한 도면,
도 10은 도 1 내지 도 5의 A-A선에서 본 단면도로서 도 5의 상태에 해당하는 도면,
도 11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추생산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작업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1은 케이스의 결합과 시추장치의 조작을 동시에 도시한 도면;
도 12는 시추장치에 의한 시추작업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케이스의 결합과 파열방지기(BOP)의 하강을 동시에 도시한 도면;
도 14는 유원의 크리스마스트리의 하강과 파열방지기의 수송을 동시에 도시한 도면;
도 15는 유원의 크리스마스트리의 설치를 도시하는 한편, 파열방지기를 갖춘 완료스트링이 준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완료스트링의 설치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제 2유정이 시추됨과 동시에 제 1유정으로부터는 시험 생산이 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또 다른 유정이 시추되는 한편 제 1 문풀의 측부에 있는 문풀들을 거쳐 2개의 유정으로부터 생산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게중심이 아주 낮고 현재의 갑판공간을 더 우수하게 활용하는 시추생산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추생산선에 지금껏 가능했던 것 보다 더 많은 라이저(riser)들을 연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유정들(wells)에서 동시에 시추 및 생산하고 시추작업이 정지되거나 이와 비슷한 일의 발생 없이 장비를 준비하는 것처럼 동시에 몇 개의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유정탑(derrick) 가까이의 공간을 없애는 것이다. 더구나, 오늘날 이 선박의 형태와 같이 보통 이상의 공간은 더 큰 문풀(moonpool)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랙을 시추바닥과 동일한 높이, 바람직하게는 선박의 갑판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된 것은 청구항 1에 설명된 특징으로 성취된다.
이제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위에서 내려본 시추생산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시추선은 거대한 중앙의 문풀(1)을 구비한다. 승강장치(2)는 문풀(1)내에 설치되고 예컨대 파열방지기일 수도 있는 로드(3)를 지지하게 되어 있다. 문풀(1)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2개의 회전문(5,6)으로 이루어진 수밀격벽(4;watertight bulkhead)이 설치된다. 격벽(4)은 격실(16;compartment)을 폐쇄하는 바, 도 6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격실(16)은 뱃바닥(7)에 의해 바닥부에서 폐쇄된다. 회전문(5,6)이 폐쇄될 때, 이 회전문은 뱃바닥(7)에 꼭 맞게 되고 격실(16)은 수밀로 되어 있다. 펌프장치(도시되지 않음)는 격실(16)에서 물을 뿜어내도록 배치되어 실제적으로 격실이 드라이도크로서의 작용을 하게 된다.
도 6은 도 1의 A-A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또한, 문풀(1)과 격벽(4)이 이 도면에 도시될 수 있는데, 승강장치(9)가 그 내부에 위치된 유정탑(8)은 문풀(1)의 위에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파이프랙(15)은 선박의 갑판(11) 상에 위치된다.
승강장치(2)는 도 6의 측부에 도시되어 있다. 승강장치는 플랫폼(10)을 구비하는 바, 그 위에 로드(3)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플랫폼은 수직으로 상승 및 하강될 수 있어 선박의 갑판(11)과 드라이도크의 격실(16) 사이에 로드를 이송하게 된다. 승강장치(2)는 드라이도크의 벽에 고정되는 레일(12)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다.
드라이도크의 뱃바닥(7)은 선박의 바닥부(13)에 밀접하게 위치됨으로써 드라이도크가 실제로 가능한 한 그 깊이가 깊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드라이도크가 대개 수위(14)의 높이 아래에 있음을 의미한다.
드라이도크의 기능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과 도 6에서 격벽(4)은 회전문(5,6)이 폐쇄위치로 회전될 때 닫힌다. 격실(16)은 도시되지 않은 펌프장치에 의해 배수된다. 격실(16)의 물이 배수될 때, 로드(3)는 승강장치의 플랫폼(10) 상에 갖추어지는 바,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는 파열방지기로 되어 있다. 이제 격실(16)이 건조되기 때문에 파열방지기의 준비는 더 쉽게 되는데, 이는 (a) 로드가 건조될 때 갑판에서 로드로 향하는 아래쪽으로의 시계(view)가 상당히 향상되기 때문이고, (b) 준비되는 동안에 물이 로드(3)의 손상된 부분을 쉽게 관통하는 어떠한 위험성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며, (c) 요구사항이 발생하면 모두가 드라이도크에 들어가서 로드(3) 위에서 작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로드(3)가 갖춰지게 될 때, 회전문(5,6)은 개방된다. 이 회전문이 개방되기 전에 그리고 이 회전문(5,6)을 더 쉽게 개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격실이 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채워져야 한다. 도 2에서 회전문(5,6)은 부분적으로 개방되고, 도 3과 도 7에서는 문풀(1)의 벽에 대해 오른쪽으로 회전된다. 한편, 유정탑(8)내의 승강장치(9)는 예컨대 파열방지기와 같은 로드(3)를 수용하도록 갖추어져 있다.
도 4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제 승강장치(2)는 레일(12)을 따라 격실(16) 외부와 유정탑(8) 아래의 위치로 이동된다. 이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승강장치(2)의 플랫폼(10)은 승강장치(2)가 예정된 위치에 도달할 때 유정탑(8) 아래의 중심이 되는 표시부(도시되지 않음)를 갖출 수 있다. 이 위치는 예컨대 끝부분의 멈춤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바, 바람직하게는 승강장치는 이 위치에서 로드가 유정탑(8)내의 승강장치(9)로 이송하는 동안 이동하지 못하게 잠금될 수 있다.
도 5와 도 9에서, 로드(3)는 예컨대 파이프(17)를 통해 유정탑(8)의 승강장치(9)에 연결된다. 도 9에서, 로드(3)는 승강장치(2)에 의해 더욱 고정되는 한편 도 5에서 승강장치(2)는 격실(16)로 후퇴이동되어, 로드가 유정탑(8)내의 승강장치(9)로부터 자유롭게 매달려 있게 된다. 그리고, 회전문(5,6)은 폐쇄될 수 있고 격실(16)은 배수가 됨으로써 새로운 로드가 갖추어지게 된다. 도 10에서, 로드(3)는 해저설비의 원래의 위치로 하강되는 과정에 있다.
로드가 해저에서 정지되게 될 때, 이 로드는 드라이도크로 이송될 수 있다. 이 작업은 유정탑(8)내의 승강장치(9)를 이용하여 로드(3)를 도 9의 로드(3)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끌어올리게 된다. 그리고, 승강장치(2)는 격실(16) 밖의 도 9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로드는 유정탑(8)의 승강장치(9)로부터 분리되고, 승강장치(2)는 로드를 격실(16)로 이동시킨다. 예컨대, 보수는 격실(16)내의 로드 상에서 수행될 수 있는 것과 같이 회전문(5,6)이 폐쇄되고 격실(16)이 배수된 후에, 로드는 선박의 갑판 위에서 정지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도크는 예컨대 ROV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진수하거나 들어올리는 데에 있어 승강장치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뱃바닥(7)은 예컨대 선박에서 뽑아냄으로써 제거될 수 있는데, 전체 문풀은 장비의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거대한 크기의 장비가 문풀을 통과하여 지나게 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도 11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추생산선의 실제 사용예를 나타낸다. 도 11에는 유정 상부에서 케이스(31)의 결합이 거의 완료되고 이와 동시에 시추비트(33)를 갖춘 시추스트링(32)이 세워져 있다. 케이스(31)의 결합은 보조 승강장치(34)에 의해 처리되는 한편, 시추스트링(32)의 강화는 유정탑(8)내의 승강장치(9)로부터 처리된다. 이것은 주로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제 1 문풀(1)의 크기와 그 근접한 곳에 아무것도 없는 공간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도 12에는 케이스(31)의 결합이 완료되고 시추스트링(32)을 갖춘 시추작업이 개시되어 있다. 동시에 파열방지기(37)가 승강장치(10) 상의 드라이도크(16)내에 갖추어져 있다. 이 때, 격벽(4)은 폐쇄되고 격실(16)은 배수된다.
도 13에는 다른 케이스가 결합되어 있는데, 작업은 유정탑의 승강장치로부터 처리되는 한편 제 2보조 승강장치(36)는 파열방지기(3)를 하강시키는 과정에 있게 되며, 이 파열방지기는 수밀격벽(4) 뒤의 승강장치(2)에 미리 갖추어지게 된다.
도 14는 그 위에 파열방지기(3)가 배치되는 시추준비가 된 유정(38)을 나타낸다. 유원의 크리스마스트리(39)는 보조 승강장치(34)에 의해 아래로 하강되는 한편, 파열방지기(3)는 유정탑(8)의 승강장치(9)에 의해 끌어올려지게 된다.
도 15에는 유원의 크리스마스트리(39)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파열방지기(3)가 제 2보조 승강장치(36)와 나란히 매달려 있다. 완료스트링의 생산 준비는 유정탑(8)의 승강장치(9)에서 시작된다.
도 16에서, 파열방지기(3)는 유원의 크리스마스트리(39) 위의 위치로 끌어올려져 있고 완료스트링(40)은 유정(38) 아래로 작동된다.
도 17에서, 생산스트링(41)은 보조 승강장치(34)에 의해 유정 아래로 작동되는 한편, 새로운 유정(42)의 시추는 시추스트링(43)을 이용하여 개시된다. 시추스트링(43)은 유정탑(8)의 승강장치(9)에 매달려 있다.
시험 생산이 완료된 후에, 생산스트링(41)은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문풀(1)과 나란히 위치된 더 작은 문풀로 이송되어, 유정에서의 정상적인 생산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 도면에는 제 2스트링(46)도 도시되어 있는 바, 이것은 제 1 문풀(1)의 반대면에서 이에 대응하는 문풀에 연결된다. 동시에 제 3유정(47)은 제 1 문풀(1)을 통과하여 작동하는 시추스트링(48)을 이용하여 시추된다.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이전보다 훨씬 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시추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당업계의 숙련자에게 명백한 변경예 및 더 나은 수정예가 하기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범주내에서 가능하다. 예컨대, 드라이도크는 제 1 문풀에서 다른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고, 몇 개의 드라이도크도 동일한 문풀에 배치될 수 있다.

Claims (8)

  1. 제 1 문풀(1)을 구비하는 부유설비에 있어서, 상기 제 1 문풀(1)에는 이 문풀(1)을 제 1부분과 제 2부분으로 분할하는 격벽(4)이 배치되고, 이 격벽(4)은 제 1부분의 격실(16)에 제 1벽을 형성하며, 이 격실 또한 문풀(1)의 벽과 뱃바닥(7)에 의해 구획되는 한편, 상기 격벽(4)은 제 1부분과 제 2부분 사이가 연통하도록 개방되어있고, 상기 격실(16)은 격벽(4)이 폐쇄될 때 실제로 수밀(水密)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설비.
  2. 재 1항에 있어서, 승강장치(2)는 격실(16)내의 제 1위치와 문풀(1)의 제 2부분에 있는 제 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설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2)는 격실(16)과 제 2부분 사이에서 작동하는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설비.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2)는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하중지지부(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설비.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정탑(8)은 상기 문풀(1)의 제 2부분 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설비.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16)은 부유설비의 주요 갑판의 아래와 반드시 수로의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설비.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4)은 문풀(1)의 벽에 대해 회전하도록 배치된 2개의 회전문(5,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설비.
  8.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2)가 유정탑(8) 아래의 예정된 위치에 있게 될 때, 상기 승강장치(2)는 유정탑(8) 아래에 있는 승강장치(8)의 중심위치를 가리키는 지시부를 구비하되, 상기 위치에서 승강장치(2)가 알맞게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설비.
KR10-2000-7006329A 1997-12-11 1998-12-10 부유설비 KR100535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19975828 1997-12-11
NO975828A NO975828D0 (no) 1997-12-11 1997-12-11 Bore- og produksjonsskip
NO980987A NO980987D0 (no) 1997-12-11 1998-03-06 Bore- og produksjonsskip
NO19980987 1998-03-06
PCT/NO1998/000374 WO1999029566A1 (en) 1997-12-11 1998-12-10 Floating instal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2980A true KR20010032980A (ko) 2001-04-25
KR100535369B1 KR100535369B1 (ko) 2005-12-09

Family

ID=266488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329A KR100535369B1 (ko) 1997-12-11 1998-12-10 부유설비
KR1020007006330A KR20010032981A (ko) 1997-12-11 1998-12-10 부유식 생산설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330A KR20010032981A (ko) 1997-12-11 1998-12-10 부유식 생산설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2) KR100535369B1 (ko)
AU (2) AU1789299A (ko)
GB (2) GB2347387B (ko)
NO (1) NO980987D0 (ko)
WO (2) WO199903235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3395A2 (ko) * 2011-06-14 2012-12-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Bop 조립체의 수중 보관을 위한 슬롯을 갖는 시추시스템
KR20140002696U (ko) * 2012-10-30 2014-05-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반잠수식 시추선
KR101458618B1 (ko) * 2011-07-20 2014-11-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설비 보관용 하부갑판을 갖는 시추선
KR101468532B1 (ko) * 2011-07-14 2014-12-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Bop 작업 영역의 개폐가 가능한 시추선
US9027492B2 (en) 2012-07-20 2015-05-12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Drillship having vortex suppresion block with recessed flow stabilizing section in moon poo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93143B1 (de) 2008-02-19 2011-04-27 Wärtsilä Ship Design Germany GmbH Arbeitsschiff
SG10201602165RA (en) * 2011-10-05 2016-04-28 Seahorse Equip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rilling multiple subsea wells from an offshore platform at a single site
KR101290804B1 (ko) * 2011-11-09 2013-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반잠수식 시추선
KR101444120B1 (ko) * 2012-09-20 2014-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카운터 웨이트 모듈이 구비된 해양 구조물
NL2009676C2 (en) * 2012-10-22 2014-04-23 Itrec Bv Semi-submersible arctic waters drilling vessel and method.
KR101468533B1 (ko) * 2013-05-15 2014-12-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작업지원선의 문풀 리세스 도어
NO339679B1 (no) * 2013-08-30 2017-01-23 Gva Consultants Ab Beskyttet moonpool
US9731796B2 (en) 2013-12-31 2017-08-15 Helix Energy Group Solutions, Inc. Well intervention semisubmersible vessel
WO2017050336A1 (en) * 2015-09-25 2017-03-30 Maersk Drilling A/S Offshore drilling vesse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9736A (en) * 1971-07-29 1973-06-19 Gen Dynamics Corp Mooring system for drilling hull in arctic waters
NL7509546A (nl) * 1975-08-11 1977-02-15 Ihc Holland Nv Schip of dergelijke drijvende installatie met voorzieningen voor het samenstellen en in het water neerlaten van apparatuur.
GB2110602A (en) * 1981-09-12 1983-06-22 Vo Offshore Limited Semi-submersible drilling vessel
SE457208B (sv) * 1984-08-08 1988-12-05 Goetaverken Arendal Ab Anordning vid fjaerrutloesbara anslutningar foer stigarledningar
GB2185446B (en) * 1986-01-17 1989-10-25 Shell Int Research Semi-submersible vessel
NO313794B1 (no) * 1997-01-07 2002-12-02 Lund Mohr & Gi Ver Enger Marin Anordning ved bore- og produksjonsskip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3395A2 (ko) * 2011-06-14 2012-12-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Bop 조립체의 수중 보관을 위한 슬롯을 갖는 시추시스템
WO2012173395A3 (ko) * 2011-06-14 2013-03-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Bop 조립체의 수중 보관을 위한 슬롯을 갖는 시추시스템
US9399891B2 (en) 2011-06-14 2016-07-26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Drilling system having slot for underwater storage of BOP assembly
KR101468532B1 (ko) * 2011-07-14 2014-12-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Bop 작업 영역의 개폐가 가능한 시추선
KR101458618B1 (ko) * 2011-07-20 2014-11-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설비 보관용 하부갑판을 갖는 시추선
US9027492B2 (en) 2012-07-20 2015-05-12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Drillship having vortex suppresion block with recessed flow stabilizing section in moon pool
KR20140002696U (ko) * 2012-10-30 2014-05-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반잠수식 시추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013258D0 (en) 2000-07-19
WO1999032352A1 (en) 1999-07-01
GB2346844A (en) 2000-08-23
AU1789399A (en) 1999-06-28
GB2347387B (en) 2001-12-19
KR100535369B1 (ko) 2005-12-09
AU1789299A (en) 1999-07-12
WO1999029566A1 (en) 1999-06-17
GB2347387A (en) 2000-09-06
GB0013252D0 (en) 2000-07-19
NO980987D0 (no) 1998-03-06
KR20010032981A (ko) 2001-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1675B1 (en) Floating installation
US3572041A (en) Spar-type floating production facility
US2808229A (en) Off-shore drilling
US9458680B2 (en) Drilling rig
KR20010032980A (ko) 부유설비
JP3447061B2 (ja) 管状掘削装置用格納シャフトを有する半水没型移動式掘削船
US3189093A (en) Well drilling platform
GB2035426A (en) Apparatus for protecting subsea structures
US20090151955A1 (en) Big assembly with movable rig floor units
US3256937A (en) Underwater well completion method
US3851770A (en) Pivoted well drilling mast and separate tower
US4685833A (en) Offshore structure for deepsea production
US5127767A (en) Method and a device for mounting the piles associated with the installation of a pile-founded offshore platform
WO2011065836A1 (en) Device for a towel for well operations and use of same
WO2018199751A1 (en) Handling, testing, storing an in-riser landing string assembly onboard a floating vessel
WO2014108541A2 (en) Drilling rig
US3221817A (en) Marine conductor pipe assembly
NO319096B1 (no) Flytende oljeproduksjonssystem
US3340928A (en) Submarine drilling method
JP4088743B2 (ja) チューブのハンドリングアッセンブリ及びその関連方法
US10086917B2 (en) Drilling vessel and method for operating a drilling vessel adapted to run large diameter casing strings
KR20160022533A (ko) 데릭 구조물의 승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
US3143220A (en) Apparatus for handling pipe
WO2000049266A1 (en) Offshore drill deck structure
RU2081289C1 (ru) Подводная буровая установка и опорн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не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