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2848A -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2848A
KR20010032848A KR1020007006175A KR20007006175A KR20010032848A KR 20010032848 A KR20010032848 A KR 20010032848A KR 1020007006175 A KR1020007006175 A KR 1020007006175A KR 20007006175 A KR20007006175 A KR 20007006175A KR 20010032848 A KR20010032848 A KR 20010032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type information
data stream
device type
audio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9568B1 (ko
Inventor
마사유키 고즈카
마사타카 미나미
미츠히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2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2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5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88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watermark, i.e. a barely perceptible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data which can nevertheless be recognised by an algorithm
    • G11B20/0089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watermark, i.e. a barely perceptible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data which can nevertheless be recognised by an algorithm embedded in audio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88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watermark, i.e. a barely perceptible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data which can nevertheless be recognised by an algorith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압축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101)을 구비하고, 이 판정 결과에 따른 값을 갖는 압축 식별 플래그 Fco를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부가하여,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스트림 기록부(100b)에 기입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스트림 기록부로부터 판독한 후에, 상기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으로의 전자 워터마크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고,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스트림 기록부로의 기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상기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재생에 의해 얻어지는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의 음질 열화를 억제한다.

Description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DATA RECORDING/REPRODUCING DEVICE}
최근,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가 개발되어, 게임용이나 교육용의 유상(有償)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가 판매되고 있다. 그런데, 이 소프트웨어에 대한 저작권 보호는 불완전하여, 부정하게 복사된 소프트웨어가 수없이 많이 나돌고 있는 것이 현 상태이다.
또한, 최근 인터넷의 보급에 의해, PC(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홈페이지상으로부터 원하는 음악 데이터 등을 다운로드에 의해 입수하고, 그 대금의 지불을 신용 카드 등의 결제 수단에 의해 행하는, 소위 EC(Electronic Commerce:전자상거래)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EC에 의한 네트워크 유통의 보급은 사용자가 레코점에 갈 필요가 없어지는 것을 의미하여, EC에 의한 네트워크 유통은 현재 CD 판매를 중심으로 하는 음악의 유통 형태를 크게 바꿔 버릴 가능성을 갖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다운로드에 의해 입수한 음악 데이터는 이것을 다른 CD-R(Compact Disc Recordable:추기형(追記型) CD) 등의 가반형(可搬型)의 기록 매체에 기록함으로써, 나중에 몇번이라도 청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 때문에, 일단 정규로 PC 내에 음악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으면, 그 음악 데이터가 인터넷을 거쳐서 취득된 것이든, 시판하는 음악 CD로부터 취득된 것이든, 그 음악 데이터는 CD-R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복사할 수 있게 되어 버린다. 환언하면, PC에 저장된 음악 데이터의 저작권을 효율적으로 보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네트워크 유통에 있어서, 일단 다운로드하여 입수한 음악 데이터를 복사하여 다른 사용자에 양도하는 것과 같은, 소위 위법 복사를 방지하는 것은 저작권 보호상,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된다.
이하, PC를 이용한 음악 데이터의 다운로드 및 그 재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음악 데이터의 다운로드 및 그 재생을 행하는 PC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 여기서, PC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운로드되어 온 음악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하는 것으로, 이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라고 한다.
이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00)는 상기 음악 데이터로서, 압축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stream)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1002)와, 네트워크(10a)를 거쳐서 다운로드 되어 온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를 상기 기록 매체(1002)에 기입하는 스트림 기입 수단(1001)과, 상기 기록 매체(1002)로부터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를 판독하는 스트림 판독 수단(100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00)는 해당 스트림 판독 수단(1003)으로부터 출력된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를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하여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u를 출력하는 역부호화 수단(1004)과, 해당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u에 DA 변환 처리를 실시하여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u를 스피커(20)에 출력하는 DA 변환 수단(1005)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00)에서는 다운로드에 의해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가 네트워크(10a)를 거쳐서 입력되면, 해당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는 스트림 기입 수단(1001)에 의해 일단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1002)에 기입된다.
그리고, 음성 데이터의 재생시에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00)에서는 스트림 판독 수단(1003)에 의해, 해당 기록 매체(1003)로부터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가 판독된다. 또한 이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는 역부호화 수단(1004)에서 역부호화 처리에 의해 신장되어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u가 복원된다.
이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u는 또한 DA 변환기(1005)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u로 변환되어 스피커(20)에 출력된다.
이와 같이 PC에 의해 실현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00)에서는 네트워크(10a)를 거쳐서 다운로드되어 온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를 기록 매체(1002)에 기록함으로서, 네트워크상에서 유통하는 음악 데이터를 간단히 부정 복사할 수 있다.
또한, 한편으로는 CD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의 녹음이 가능한 기록 재생 장치로서, MD(Mini Disc) 플레이어 등이 보급되어 있다.
도 12는 상기 MD 플레이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MD 플레이어(1100)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1103)와, CD로부터 판독된 비압축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를 부호화에 의해 압축하고,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를 출력하는 부호화 수단(1101)과, 해당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를 상기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서 상기 기록 매체(1103)에 기입하는 스트림 기입 수단(110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MD 플레이어(1100)는 상기 기록 매체(1103)로부터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를 판독하는 스트림 판독 수단(1104)과, 판독된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를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하여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u를 출력하는 역부호화 수단(1105)과,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u에 DA 변환 처리를 실시하여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u를 스피커(20)에 출력하는 DA 변환 수단(1106)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MD 플레이어(1100)에서는 CD(10b)로부터 얻어진 디지털 음성 데이터(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가 입력되면, 해당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는 부호화 수단(1101)에서, 부호화에 의해 압축되고,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가 출력된다. 이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는 기입 수단(1102)에 의해 일단 기록 매체인 MD(1103)에 기입된다.
그리고, 음성 데이터의 재생시에는, 이 MD 플레이어(1100)에서는 스트림 판독 수단(1104)에 의해, 해당 기록 매체(1102)로부터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가 판독되고, 해당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는 역부호화 수단(1105)에서,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되어, 비압축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u가 출력된다.
이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u는 또한 DA 변환기(1005)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u로 변환되어 스피커(20)에 출력된다.
이러한 MD 플레이어에서는 CD 등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MD에 디지털 녹음함으로써, CD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를 간단히 부정 복사할 수 있다.
또한, 최근 기술 동향으로서, MD 플레이어와 같은 기록 재생 장치로서, 인터넷상의 홈페이지로부터의 음악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가능한 것도 요구되고 있어, 이러한 요구에 대응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중이다.
도 13은 음악 데이터를 홈페이지로부터 또는 CD로부터 취득하여 재생 가능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200)는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1204)와,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압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1201)을 갖고 있다. 또, 통상적으로는 네트워크(10a)를 거쳐서 다운로드되어 온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압축된 것이고, 한편, CD(10b)로부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압축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200)는 해당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1201)으로부터 출력되는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를 부호화에 의해 압축하여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출력하는 부호화 수단(1202)과, 해당 부호화 수단(1202)으로부터 출력되는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 및 상기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1201)으로부터 출력되는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를 상기 기록 매체(1204)에 기입하는 스트림 기입 수단(120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200)는 해당 기록 매체(1204)로부터 상기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를 판독하는 스트림 판독 수단(1205)과, 판독된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를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하여 비압축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u를 출력하는 역부호화 수단(1206)과,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u에 DA 변환 처리를 실시하여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u를 스피커(20)에 출력하는 DA 변환 수단(1207)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200)에서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입력되면,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1201)에서, 이것이 압축된 것인지 여부의 판정이 실행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서, 스트림 기입 수단(1203) 혹은 부호화 수단(1202) 중 어느 한쪽에 출력된다. 예컨대, 네트워크(10a)를 거쳐서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가 입력된 경우, 이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는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1201)에 의해 스트림 기입 수단(1203)에 출력된다. 한편, CD(10b)로부터 얻어진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가 입력된 경우, 이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는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1201)에 의해 부호화 수단(1202)에 출력된다.
그리고,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는 스트림 기입 수단(1203)에 의해 기록 매체인 MD(1204)에 일단 기입된다.
또한, 음성 데이터의 재생시에는, 이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200)에서는 스트림 판독 수단(1205)에 의해, 해당 기록 매체(1204)로부터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가 판독된다. 이 해당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는 역부호화 수단(1206)에서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되고, 해당 역부호화 수단(1206)으로부터는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DSau가 출력된다.
이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는 또한 DA 변환기(1207)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u로 변환되어 스피커(20)에 출력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200)에서는 점점 더 저작권 보호의 대상으로 되는 음악 데이터의 위법 복제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이러한 음악 데이터에 대한 위법 복사가 점점 더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그런데, 위법 복사에 대한 방어 대책 중 한 방법으로서, 저작권 보호의 대상으로 되는 음악 데이터에 전자 워터마크(water mark)를 삽입하는 방법이 있다.
이 전자 워터마크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는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는 것이다. 또한,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DA 변환하여 얻어지는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는 아날로그 데이터 그대로,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더라도, 전자 워터마크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하, 일반적인 전자 워터마크의 삽입 및 추출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디지털 음성 데이터에 대한 전자 워터마크 삽입 처리의 전체 개요에 대하여 서술한다.
도 14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에 대한 전자 워터마크 삽이 및 추출 처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음성 데이터 파일 ODau로서 기록되어 있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에, 서명 데이터(전자 워터마크) Dwmi를 삽입하는 처리 Pad가 실행되고, 서명 데이터가 삽입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는 서명 데이터 삽입 완료 음성 데이터 파일 SDau로서 기록된다.
음성 데이터 파일 ODau로서 기록되어 있는 디지탈 음성 데이터와, 서명 데이터 삽입 완료 음성 데이터 파일 SDau로서 기록되어 있는 디지탈 음성 데이터에 근거하여, 디지탈 음성 데이터에 삽입된 서명 데이터 Dwmx를 추출하는 처리 Pex가 실행된다.
도 15는 이 전자 워터마크 삽입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최초의 처리로서, 디지털 음성 데이터의 블럭화가 행해진다(단계 S1). 이 처리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후 처리에 적당한, 일정수의 샘플링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그룹(블럭)으로 분할하는 처리이다.
다음으로, 각 블럭에 대하여 푸리에 변환 처리가 실시된다(단계 S2). 또, 푸리에 변환을 위한 연산 처리의 상세한 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 후, 전자 워터마크의 삽입 처리로서, 이하의 데이터 변환이 실행된다.
여기서, 전자 워터마크는 복수 비트의 디지털 데이터(서명 데이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해당 서명 데이터의 각 비트는 각 블럭에 대응하고 있다.
우선, 서명 데이터의 블록열(서명 데이터의 비트열)을 구성하는 각 비트의 값이 0인지 1인지를 확인하는 처리가 행해진다(단계 S3). 대응하는 비트의 값이 0인 블럭에 대해서는 전자 워터마크의 삽입이 실행되지 않는다. 대응하는 비트의 값이 1인 블럭에 대해서는 전자 워터마크의 삽입 처리로서, 이 블럭에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의 푸리에 변환 계수의 허부(虛部)와 실부(實部)를 교체하고, 실부에 -1을 곱하는 처리가 행해진다(단계 S4). 이 처리는 블럭마다 실행된다.
그리고, 블럭마다 푸리에 역변환 처리가 실시된다(단계 S5). 이에 따라, 각 블럭의 음성 데이터가 복원된다. 또, 푸리에 역변환 처리의 상세한 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서, 인간이 음성을 청취하는 것만으로는 감지할 수 없는 전자 워터마크가 음성 데이터에 삽입된다. 이하, 상기 전자 워터마크 기술에 있어서의 각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푸리에 변환 및 푸리에 역변환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전자 워터마크(매립 정보)의 삽입에 있어서 사용되는 푸리에 변환은 이산(離散) 푸리에 변환으로 불리는 것으로,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이산 일차원 실수값 함수 f(n)(n∈Z, 0≤n〈N)이 주여졌을 때, f(n)의 이산 푸리에 변환에 의해 얻어지는 함수는 수학식(1)에 의해 주어지는 이산 일차원 복소수 함수 F(k)(k∈Z, 0≤k〈N)에 의해 정의된다.
여기서, Z는 정수 전체의 집합을 나타낸다. 또한 수학식(1)은 수학식(2) 및 수학식(3)에 의해 주어지는 조건을 만족한다.
또한, 이하에 이산 역푸리에 변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산 일차원 실수값 함수 f(n)(n∈Z, 0≤n〈N)이 주어지고, 이산 일차원 복소수값 함수 F(k)(k∈Z, 0≤k〈N)가 f(n)의 이산 푸리에 변환에 의해 얻어지는 함수이면, 이하의 수학식(4)이 성립한다.
여기서, Z는 정수 전체의 집합을 나타낸다. 또한 수학식(4)은 수학식(5) 및 수학식(6)에 의해 주어지는 조건을 만족한다.
다음으로, 음성 데이터에 대한 구체적인 전자 워터마크의 매립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의 블럭화에 관하여 설명한다.
블럭화란, 전자 워터마크의 삽입 대상으로 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삽입 대상 음성 데이터)의 샘플값 Sound(i)를 2의 몇 승수(2n)개의 샘플로 이루어지는 블럭의 모임으로서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는, 삽입 대상 음성 데이터의 블록화에 의해 얻어지는 전체 블럭의 수를 (t+1)개로 하며, 최초의 블럭을 블럭 Bo로 하고, k(임의의 값)번째의 블럭을 블럭 Bk로 하며, 최후의 블럭을 블럭 Bt로 하고 있다. 또한, k 번째의 블럭 Bk의 샘플값을 Bk(j)로 하고 있다.
그리고, 삽입 대상 음성 데이터의 샘플값 Sound(i)와, 블럭내의 각 샘플의 값 Bk(j)와의 관계는 이하의 수학식(7)에 의해 나타난다.
단, Z는 정수 전체의 집합을 나타내며, k, j는 k, j∈Z를 만족하고, i는 i=2nk+j(0≤j〈2n)를 만족한다.
또, 말할 필요도 없지만, 여기서 이용하고 있는 변수 n, k는 상기 일반적인 이산 일차 푸리에 변환을 정의하는 식(수학식(1)) 및 이산 일차 역푸리에 변환을 정의하는 식(수학식(4))에 있어서의 변수 n, k와는 별도의 변수를 의미하고 있다.
다음으로, 전자 워터마크의 삽입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k 번째의 블럭 Bk의 음성 데이터(샘플값) Bk(j)를 이산 푸리에 변환하여 얻어지는 데이터를 Fk(m)로 한다. 여기서, k는 상기 블럭 B0∼Bt중 임의의 블럭 Bk을 나타내는 변수이고, k∈Z, k∈[0, t(전체 블럭수)]를 만족한다.
또한, 삽입 데이터 비트열을 일차원의 이산 정수값 함수 U(d)에 의해 정의하고, 상기 데이터 Fk(m)(m∈Z, m∈[1, 2n])에, 상기 함수 U(d)에 의해 정의되는 삽입 데이터 비트열의 각 비트의 값에 따라 정보를 매립하는 처리를 실시하여 얻어지는 데이터를 Fk(m)로 한다.
단, 여기서는 d, dn은 조건(d, dn∈Z)을 만족한다. 그리고, dn이 dn〈2n-1을 만족할 경우에는 U(d)는 U(d)=1 또는 0으로 된다. d가 d∈[1, dn]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U(d)는 U(d)=0으로 된다.
그러면, F'k(m)는 이하의 수학식(8)∼수학식(15)에 의해 나타난다. 단, m은 m∈Z, m∈[1, 2n-1]을 만족한다.
여기서, 상기 수학식(8)∼수학식(11)은 2n개의 데이터(샘플값) Bk(j)을 이산 푸리에 변환하여 얻어지는 2n개의 데이터(주파수 성분) Fk(m) 중 저주파 성분에 대하여 적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학식(12)∼수학식(15)는 2n개의 데이터 (샘플값) Bk(j)를 이산 푸리에 변환하여 얻어지는 2n개의 데이터(주파수 성분) Fk(m) 중 고주파 성분에 대하여 적용되는 것이다.
또한, 수학식(9), 수학식(11), 수학식(13), 수학식(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명 데이터 비트열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비트의 값이 0인 블럭에 대해서는 전자 워터마크의 삽입은 실행되지 않는다. 한편, 수학식(8), 수학식(10), 수학식(12), 수학식(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서명 데이터 비트열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비트의 값이 1인 블럭에 대해서는 전자 워터마크의 삽입 처리로서, 이 블럭에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샘플값)Bk(j)의 푸리에 변환에 의해 얻어지는 데이터 Fk(m)의 허부와 실부를 교체하고, 실부에 -1을 곱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전자 워터마크의 삽입 처리는 매립 대상 음성 데이터가 이에 대한 정보의 매립으로부터 듣는 사람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도록, 저주파수측의 푸리에 변환 데이터와 이에 대응하는 고주파수측의 푸리에 변환 데이터를 대등하게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는, 전자 워터마크의 삽입 처리가 실시된 제 m 번째의 푸리에 변환 데이터 F'k(m)는 전자 워터마크의 삽입 처리가 실시된 제(2n-m+1)번째의 푸리에 변환 데이터 F'k(2n-m+1)에 대응시키고 있다.
다음으로, 전자 워터마크의 추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전자 워터마크의 추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전자 워터마크의 매립 처리가 실시되고 있는 음성 데이터의 블럭화(단계 S11a) 및 각 블럭의 음성 데이터의 푸리에 변환(단계 S12a)을 실행한다. 또한, 전자 워터마크의 매립 처리가 실시되고 있지 않은 음성 데이터의 블럭화(단계 S11b) 및 각 블럭의 음성 데이터의 푸리에 변환(단계 S12b)을 실행한다.
그리고, 푸리에 변환 결과로 얻어진 데이터를 전자 워터마크의 매립 처리가 실시되고 있는 음성 데이터의 블럭과, 전자 워터마크의 매립 처리가 실시되고 있는 음성 데이터의 블럭간에, 대응하는 블럭마다 비교한다(단계 S13).
비교 결과, 양 블럭간에 데이터가 일치하고 있으면, 전자 워터마크의 매립 처리가 실시되고 있는 블럭에는 전자 워터마크가 매립되지 않아, 서명 데이터 비트는 0이라고 판정된다(단계 S14).
양 블럭간에 데이터가 틀리면, 전자 워터마크의 매립 처리가 실시되고 있는 블럭에는 전자 워터마크가 매립되어, 서명 데이터 비트는 1이라고 판정된다(단계 S15).
이 처리를 각 블럭에 대하여 반복하는 것에 의해, 서명 데이터를 구성하는 비트열(매립 정보)이 추출된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전자 워터마크의 삽입, 추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각 블럭에 대한 전자 워터마크의 삽입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삽입 처리의 설명에서는 서명 데이터 삽입의 대상으로 되는, 1 블럭내의 음성 데이터(샘플값)를 Sound(n)로 하고, 해당 1 블럭내의 음성 데이터 Sound(n)의 푸리에 변환에 의해 얻어지는 데이터에 삽입되는 서명 데이터 비트열을 syomei[u]로 한다. 또한, 삽입 대상으로 되는 음성 데이터 Sound(n)를 이산 푸리에 변환하여 얻어지는 데이터를 F[Sound](p)로 하고, 이 데이터 F[Sound](p)에 서명 데이터 비트열을 매립하는 처리를 실시하여 얻어지는 데이터를 F'[Sound](p)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데이터 Sound(n)는 정수 공간상에서 정의된 함수로서, 정수값을 그 값으로서 갖는 함수이다. 또, n은 n=0,1,... N으로 하고 있다.
또한, 서명 데이터 비트열 syomei[u]도 정수 공간상에서 정의된 함수(수학식 16 참조)로서, 0,1만을 그 값으로서 갖는 함수이다. 또, u는, u=0, 1로 하고 있다.
또한, 음성 데이터 Sound(n)를 푸리에 변환하면, 대응하는 푸리에 변환 데이터 F[Sound](p) 수학식(17)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F[Sound](p)는 정수 공간상에서 정의되는 함수로, 복소수를 그 값으로서 갖는 함수이다. 또, p는 p=0,1, ... N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복소수인 푸리에 변환 데이터 F[Sound](p)의 실수 부분을 Re{F[Sound](p)}로 하고, 그 허수 부분을 Im{F[Sound](p)}로 하면, F'[Sound](p)는 서명 데이터 비트열 syomei[u]의 값에 따라서, 상기 수학식(8)∼수학식(15)을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1블럭에 대응하는 푸리에 변환 데이터 F[Sound](p)에 삽입되는 서명 데이터 비트열이 syomei[0]=1이라고 하면, 푸리에 변환 데이터 F[Sound](p)의 1 비트째의 값 F[Sound](1)와 N 비트째의 값 F[Sound](N)에 대하여, 상기 수학식(8), 수학식(10), 수학식(12), 수학식(14)를 이용하여 정보 매립 처리가 실행된다.
하기의 수학식(18)∼수학식(21)은 이 전자 워터마크 매립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푸리에 변환 데이터 F'[Sound](1), F'[Sound](N)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도, Re, Im은 각각 {}안의 복소수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나타낸다.
한편, 1 블럭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 Sound(n)에 삽입되는 서명 데이터 비트열이 syomei[1]=0이라고 하면, 푸리에 변환 데이터 F[Sound](p)의 2 비트째의 값 F[Sound](2)와, (N-1) 비트째의 값 F[Sound](N-1)에 대하여, 상기 수학식(9), 수학식(11), 수학식(13), 수학식(15)을 이용하여, 전자 워터마크 매립 처리가 행해진다.
하기의 수학식(22)∼수학식(25)은 이 전자 워터마크 매립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푸리에 변환 데이터 F'[Sound](2), F'[Sound](N-1)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1 블럭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 Sound(n)에 대응하는 푸리에 변환 데이터 F[Sound](p)에 상기 수학식(8)∼수학식(15)을 이용하여 전자 워터마크 매립 처리를 실시하여 얻어지는 데이터 F'[Sound](p)를 이산 푸리에 역변환함으로써, 수학식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워터마크 매립 음성 데이터 Sound'(n)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워터마크의 추출 처리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이 추출 처리에서는 Sound(n)와 Sound'(n)를 각각 푸리에 변환하고, 각각의 푸리에 변환 데이터를 비교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이하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자의 값이 상위하면 서명 비트 데이터를 1로 하고, 양자의 값이 동일하면 서명 데이터 비트를 0으로 하여, 서명 데이터 비트열이 출력된다.
이하에 그 알고리즘을 간단하게 나타낸다.
{}안의 n은 1부터 순서대로 N까지 움직인다.
그런데, 현 상황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전자 워터마크를 검출하지 않는 구성인 기존의 MD 플레이어 등의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음성 데이터 스트림과 마찬가지로 기록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금후, MD 플레이어 등의 기록 재생 장치로서는 복사 금지된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기록하지 않고, 복사 금지된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음성 데이터 스트림만을 기록하는 구성의 기록 재생 장치밖에 만들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래에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부정 복사를 전자 워터마크의 매립에 의해 제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전자 워터마크는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삽입되는 것이기 때문에, 홈페이지로부터는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CD로부터는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입력되는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200)에서는 상기 전자 워터마크의 삽입 처리를 단순하게 적용하는 것이 곤란했다.
그 결과, 음악 데이터를 홈페이지로부터 또는 CD로부터 취득하여 재생 가능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전자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음악 데이터에 대한 위법 복사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음악 데이터가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과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중 어느 형태로 공급되더라도, 이것을 기록 재생할 수 있고, 게다가, 음악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 보호를 이들 음성 데이터 스트림으로의 전자 워터마크의 삽입에 의해 양호하게 보호하여, 음악 데이터에 대한 위법 복제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관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는 디지탈 음성 데이터로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하고 또한 재생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로서,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억하는 스트림 기억부와,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해당 스트림 기억부에 기입하는 스트림 기입부와,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판독하는 스트림 판독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트림 기입부는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디지탈 음성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변환 처리가 실시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과,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상기 판정 결과에 따른 값을 갖는 변환 식별 플래그를 부가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스트림 기억부에 기입하는 스트림 기입 수단을 갖고, 상기 스트림 판독부는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 상기 변환 식별 플래그가 부가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판독하는 스트림 판독 수단과, 해당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전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전자 워터마크 삽입의 대상으로 되는,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는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부가되어 있는 변환 식별 플래그의 값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변환 처리에 대한 역변환 처리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2 항)은 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판독부가 상기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에 의해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DA 변환 수단을 갖고, 해당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3 항)은 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터에 대한 변환 처리는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에 의해 압축하는 압축 처리이고, 상기 데이터 변환 처리에 대한 역변환 처리는 압축된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하는 신장 처리이며, 상기 스트림 기입 수단은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상기 판정 결과에 따른 값을 갖는 변환 식별 플래그로서,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디지탈 음성 데이터에 대한 압축 처리가 실시된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압축 식별 플래그를 부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4 항)은 청구의 범위 제 3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판독부가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압축 식별 플래그에 근거하여, 해당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상기 압축 처리가 실시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과, 해당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에 의해 압축 처리가 실시되고 있다고 판정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하는 역부호화 수단을 갖고, 해당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에 의해 압축 처리가 실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및 역부호화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장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전자 워터마크 수단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5 항)은 청구의 범위 제 4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판독부가 상기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에 의해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DA 변환 수단을 갖고, 해당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6 항)은 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터에 대한 변환 처리가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에 의해 압축하는 압축 처리 및, 디지탈 음성 데이터 혹은 압축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스크램블하는 스크램블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데이터 변환 처리에 대한 역변환 처리가 압축된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하는 신장 처리 및, 스크램블된 디지탈 음성 데이터 혹은 스크램블된 압축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역스크램블하는 역스크램블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스트림 기입 수단이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상기 판정 결과에 따른 값을 갖는 변환 식별 플래그로서,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디지탈 음성 데이터에 대한 압축 처리가 실시된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압축 식별 플래그와,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 혹은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디지탈 음성 데이터에 대한 스크램블 처리가 실시된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스크램블 식별 플래그를 부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7 항)은 청구의 범위 제 6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기록부가 상기 스크램블 처리가 실시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키를 상기 스트림 기억부에 기입하는 스크램블 키 기록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스트림 판독부가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 상기 스크램블 처리가 실시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키를 판독하는 스크램블 키 판독 수단과,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스크램블 식별 플래그에 근거하여, 해당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상기 스크램블 처리가 실시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1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과, 해당 제 1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에 의해 스크램블 처리가 실시되고 있다고 판정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대응하는 스크램블 키를 이용하여 역스크램블 처리를 실시하는 역스크램블 수단과, 해당 제 1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에 의해 스크램블 처리가 실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및 역스크램블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크램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상기 압축 처리가 실시된 것인지 여부를 이들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압축 식별 플래그에 근거하여 판정하는 제 2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과, 해당 제 2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에 의해 압축 처리가 실시되고 있다고 판정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하는 역부호화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 1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에 의해 스크램블 처리가 실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및 역스크램블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크램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제 2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에 공급하고, 또한 해당 제 2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에 의해 압축 처리가 실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및 역부호화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장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전자 워터마크 수단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8 항)은 청구의 범위 제 7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판독부가 상기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에 의해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DA 변환 수단을 갖고, 해당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9 항)은 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판독부가 1개의 스트림 재생 기기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해당 스트림 재생 기기는 그 타입을 나타내는 기기 타입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을 갖고 있으며, 상기 스트림 기억부가 상기 스트림 기록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하는 스트림 기억 수단과, 상기 스트림 기억 수단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해야 하는 스트림 재생 기기를 나타내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이 유지하고 있는 기기 타입 정보를 취득하는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기기 타입 정보를, 상기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를 대상으로 하여 검색하고, 상기 취득된 기기 타입 정보에 해당하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가 존재할 때에만,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하는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10 항)은 청구의 범위 제 4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판독부가 1개의 스트림 재생 기기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해당 스트림 재생 기기는 그 타입을 나타내는 기기 타입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을 갖고 있으며, 상기 스트림 기억부가 상기 스트림 기입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하는 스트림 기억 수단과, 상기 스트림 기억 수단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해야 하는 스트림 재생 기기를 나타내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이 유지하고 있는 기기 타입 정보를 취득하는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기기 타입 정보를, 상기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를 대상으로 하여 검색하고, 상기 취득된 기기 타입 정보에 해당하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가 존재할 때에만, 상기 스트림 기억 수단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하는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11 항)은 청구의 범위 제 7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판독부가 1개의 스트림 재생 기기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해당 스트림 재생 기기가 그 타입을 나타내는 기기 타입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을 갖고 있으며, 상기 스트림 기억부가 상기 스트림 기입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하는 스트림 기억 수단과, 상기 스트림 기입부로부터의 스크램블 키를 기록하는 스크램블 키 기억 수단과, 상기 스트림 기억 수단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해야 하는 스트림 재생 기기를 나타내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이 유지하고 있는 기기 타입 정보를 취득하는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기기 타입 정보를, 상기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를 대상으로 하여 검색하고, 상기 취득된 기기 타입 정보에 해당하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가 존재할 때에만, 상기 스트림 기억 수단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하는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12 항)은 청구의 범위 제 7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판독부가 1개의 스트림 재생 기기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해당 스트림 재생 기기가 그 타입을 나타내는 기기 타입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을 갖고 있으며, 상기 스트림 기억부가 상기 스트림 기입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하는 스트림 기억 수단과, 상기 스트림 기입부로부터의 스크램블 키를 기록하는 스크램블 키 기억 수단과, 상기 스트림 기억 수단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해야 하는 스트림 재생 기기를 나타내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이 유지하고 있는 기기 타입 정보를 취득하는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기기 타입 정보를, 상기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를 대상으로 하여 검색하고, 상기 취득된 기기 타입 정보에 해당하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가 존재할 때에만, 상기 스크램블 키 기억 수단으로부터의 스크램블 키의 판독을 허가하는 스크램블 키 판독 허가 판정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13 항)은 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기억부가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억하는 RAM과, 해당 RAM에 대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CPU를 탑재한 IC 카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14 항)은 청구의 범위 제 9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기억부가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억하는 RAM과, 해당 RAM에 대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CPU를 탑재한 IC 카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림 기억 수단 및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이 상기 RAM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 및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이 CPU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15 항)은 청구의 범위 제 11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기억부가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억하는 RAM과, 해당 RAM에 대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CPU를 탑재한 IC 카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림 기억 수단, 스크램블 키 기억 수단 및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이 상기 RAM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 및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이 CPU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16 항)은 청구의 범위 제 12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기억부가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억하는 RAM과, 해당 RAM에 대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CPU를 탑재한 IC 카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림 기억 수단, 스크램블 키 기억 수단 및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이 상기 RAM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 및 스크램블 키 판독 허가 판정 수단이 CPU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관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하면,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억하는 스트림 기억부와,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해당 스트림 기억부에 기입하는 스트림 기입부와,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판독하는 스트림 판독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트림 기입부는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디지탈 음성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변환 처리가 실시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을 가지며,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상기 판정 결과에 따른 값을 갖는 변환 식별 플래그를 부가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스트림 기억부에 기입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스트림 기억부로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시가 아니라, 해당 스트림 기억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시에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으로 전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데이터 변환 처리가 실시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스트림 기억부에 기록할 때에,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전자 워터마크를 삽입할 경우에 필요하게 되는, 상기 데이터 변환 처리에 대한 역변환 처리 및 그 후의 데이터 변환 처리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재생되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음질 열화를 방지 할 수 있으며, 또한, 기록시의 시간 단축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2 항)에 의하면, 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에 의해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DA 변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트림 판독부로부터 해당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했기 때문에,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의 전자 워터마크에 의한 보호가 가능해지고, 게다가 재생되는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음질 열화의 방지 및 기록시의 시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3 항)에 의하면, 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변환 처리를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에 의해 압축하는 압축 처리로 하고, 상기 데이터 변환 처리에 대한 역변환 처리를 압축된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하는 신장 처리로 하며, 상기 변환 식별 플래그로서,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압축 처리가 실시된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압축 식별 플래그를 이용하도록 했기 때문에, 부호화에 의해 압축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스트림 기억부에 기록할 때에,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전자 워터마크를 삽입할 경우에 필요하게 되는, 역부호화 처리 및 그 후의 압축 처리의 공정을 생략하는 수 있어, 재생되는 음성 스트림의 음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기록시의 시간 단축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4 항)에 의하면, 청구의 범위 제 3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압축 식별 플래그에 근거하여, 해당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상기 압축 처리가 실시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스트림 판독부에서는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중 압축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만을 선택적으로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할 수 있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5 항)에 의하면, 청구의 범위 제 4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에 의해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DA 변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트림 판독부로부터 해당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했기 때문에,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의 전자 워터마크에 의한 보호가 가능해지고, 게다가 재생되는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음질 열화의 방지, 및 기록시의 시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6 항)에 의하면, 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터에 대한 변환 처리는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에 의해 압축하는 압축 처리 및, 디지탈 음성 데이터 혹은 압축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스크램블하는 스크램블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 데이터 변환 처리에 대한 역변환 처리는 압축된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하는 신장 처리 및, 스크램블된 디지탈 음성 데이터 혹은 스크램블된 압축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역스크램블하는 역스크램블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며, 상기 압축 식별 플래그로서,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디지탈 음성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변환 처리가 실시된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압축 식별 플래그와,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 혹은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디지탈 음성 데이터에 대한 스크램블 처리가 실시된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스크램블 식별 플래그를 이용하도록 했기 때문에, 부호화에 의해 압축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스트림 기억부에 기록할 때에,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전자 워터마크를 삽입할 경우에 필요하게 되는, 역스크램블 처리, 역부호화 처리 및 그 후의 압축 처리의 공정을 생략하는 수 있어, 재생되는 음성 스트림의 음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기록시의 시간 단축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7 항)에 의하면, 청구의 범위 제 6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상기 스크램블 처리가 실시된 것인지 여부를 그 스크램블 식별 플래그에 근거하여 판정하는 제 1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과, 해당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압축 처리가 실시된 것인지 여부를 그 압축 식별 플래그에 근거하여 판정하는 제 2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을 구비했기 때문에, 스트림 판독부에서는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중, 스크램블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만을 선택적으로 역스크램블하고, 또한,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중, 압축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만을 선택적으로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할 수 있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8 항)에 의하면, 청구의 범위 제 7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에 의해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DA 변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트림 판독부로부터 해당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했기 때문에,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의 전자 워터마크에 의한 보호가 가능해지고, 게다가 재생되는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음질 열화의 방지, 및 기록시의 시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9 항)에 의하면, 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판독부를 구성하는 스트림 재생 기기의 타입을 나타내는 기기 타입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해야 하는 스트림 재생 기기를 나타내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기 타입 정보가 허가 기기 타입 정보와 일치했을 때만,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하도록 했기 때문에,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을 갖지 않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서, 스트림 기록부에 기억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판독되어 버려,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되지 않아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재생이나 복제가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10 항)에 의하면, 청구의 범위 제 4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판독부를 구성하는 스트림 재생 기기의 타입을 나타내는 기기 타입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해야 하는 스트림 재생 기기를 나타내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기 타입 정보가 허가 기기 타입 정보와 일치했을 때만,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하도록 했기 때문에,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을 갖지 않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서, 스트림 기록부에 기억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판독되어 버려,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되지 않아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재생이나 복제가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11 항)에 의하면, 청구의 범위 제 7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판독부를 구성하는 스트림 재생 기기의 타입을 나타내는 기기 타입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해야 하는 스트림 재생 기기를 나타내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기 타입 정보가 허가 기기 타입 정보와 일치했을 때만,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하도록 했기 때문에,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을 갖지 않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서, 스트림 기록부에 기억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판독되어 버려,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되지 않아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재생이나 복제가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12 항)에 의하면, 청구의 범위 제 7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판독부를 구성하는 스트림 재생 기기의 타입을 나타내는 기기 타입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과,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해야 하는 스트림 재생 기기를 나타내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기 타입 정보가 허가 기기 타입 정보와 일치했을 때에만,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키의 판독을 허가하도록 했기 때문에,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을 갖지 않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서, 스트림 기록부에 저장되어 있는 스크램블 키가 판독되는 일이 없게 된다. 이 때문에, 가령 스트림 기억부로부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판독되더라도,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역스크램블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되지 않아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재생이나 복제가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13 항)에 의하면, 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기억부를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억하는 RAM과, 해당 RAM에 대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CPU를 탑재한 IC 카드에 의해 구성했기 때문에, 스트림 기억부를 가반(可搬) 가능한 콤팩트(compact)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14 항)에 의하면, 청구의 범위 제 9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기억부를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억하는 RAM과, 해당 RAM에 대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CPU를 탑재한 IC 카드에 의해 구성했기 때문에,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 제어 등을 CPU에 의해 간단히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15 항)에 의하면, 청구의 범위 제 11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기억부를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억하는 RAM과, 해당 RAM에 대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CPU를 탑재한 IC 카드에 의해 구성했기 때문에,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의 스크램블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 제어 등을 CPU에 의해 간단히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청구의 범위 제 16항)에 의하면, 청구의 범위 제 12 항에 기재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기억부를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억하는 RAM과, 해당 RAM에 대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CPU를 탑재한 IC 카드에 의해 구성했기 때문에,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의 스크램블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스크램블 키에 대한 판독 제어 등을 CPU에 의해 간단히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트워크상에서 유통하는 음악 데이터나 패키지 형식으로 공급되는 음악 데이터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2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외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구조(도 2(a)), 플래그 부착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구조(도 2(b)) 및 전자 워터마크 삽입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구조(도 2(c))를 나타내고,
도 3은 상기 실시예 1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5는 상기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플래그 부착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7은 상기 실시예 3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판독 가능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의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를 설명하는 위한 블럭도,
도 10은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트림 기록부를 구성하는 착탈(脫取) 가능한 기록 매체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음악 데이터의 다운로드 및 그 재생을 실행하는 종래의 PC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12는 CD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디지탈 음성 데이터의 녹음이 가능한 기록 재생 장치(MD 플레이어)를 설명하는 위한 블럭도,
도 13은 음악 데이터를 홈페이지로부터 또는 CD로부터 취득하여 재생 가능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14는 전자 워터마크의 삽입 및 추출 처리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전자 워터마크 삽입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전자 워터마크 삽입 처리에 있어서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블럭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7은 전자 워터마크의 추출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대상으로 되는,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과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전자 워터마크의 삽입이 가능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건 발명자는 음악 데이터로서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및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입력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종래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전자 워터마크의 삽입 방법을 단순히 적용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과제를 열심히 연구한 결과, 이러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로서, 음악 데이터가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과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중 어느 형태로 공급되더라도, 이들 음성 데이터 스트림으로의 전자 워터마크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개발했다.
도 18은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과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전자 워터마크의 삽입이 가능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400)는 음악 데이터를 네트워크(10b)상의 홈페이지로부터 또는, CD(10a)로부터 취득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음악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1406)와, 입력된 음악 데이터 스트림이 압축된 것(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인지, 압축되어 있지 않은 것(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인지 판정하는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1401)을 갖고 있다.
또한, 이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400)는 해당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1401)으로부터 출력되는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를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하여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u를 출력하는 역부호화 수단(1402)과, 상기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1401)으로부터의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 및 역부호화 수단(1402)으로부터의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u에 대하여, 전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1403)을 갖고 있다.
또한, 이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400)는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w를 부호화에 의해 압축하여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w를 출력하는 부호화 수단(1404)과, 해당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w를 상기 기록 매체(1406)에 기입하는 스트림 기입 수단(1203)을 갖고 있다.
또한, 이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400)는 해당 기록 매체(1406)로부터 상기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w를 판독하는 스트림 판독 수단(1407)과, 판독된 압축 음성 데이터스트림 ESauw를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하여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uw를 출력하는 역부호화 수단(1408)과,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uw에 DA 변환 처리를 실시하여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uw를 스피커(20)에 출력하는 DA 변환 수단(1409)을 더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400)에서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입력되면, 도 12에 도시하는 종래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200)와 마찬가지로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1401)에 의해, 이것이 압축된 것인지 여부의 판정이 실행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서,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1403) 혹은 역부호화 수단(1402) 중 어느 한쪽에 출력된다. 예컨대, 네트워크(10a)를 거쳐서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가 입력된 경우, 이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는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1401)에 의해 역부호화 수단(1402)에 출력된다. 해당 역부호화 수단(1402)에서는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는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되고,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u가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1403)에 출력된다.
한편, CD(10b)로부터 얻어진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가 입력된 경우, 이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는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1401)에 의해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1403)에 출력된다.
그리고,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1403)에서는 상기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다. 이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w는 부호화 수단에서 부호화에 의해 압축되어,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w가 출력된다. 또한, 해당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w는 스트림 기록 수단(1405)에 의해 기록 매체(1406)에 일단 기입된다.
또한, 음성 데이터의 재생시에는, 이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400)에서는 스트림 판독 수단(1407)에 의해, 해당 기록 매체(1406)로부터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w가 판독된다. 이 해당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w는 역부호화 수단(1408)에서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되고, 해당 역부호화 수단(1408)으로부터는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uw가 출력된다.
이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uw는 또한 DA 변환기(1409)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uw로 변환되어 스피커(20)에 출력된다.
그런데 상기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400)에서는 음악 데이터를 기록 매체로 기입할 때에, 압축 음악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역부호화,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부호화 등의 처리가 행해지기 때문에, 기록시에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새로운 과제가 발견되었다. 또한, 음성 데이터 스트림(디지탈 음성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처리 및 역부호화 처리는 일반적으로 비가역의 부호화 처리 및 이것에 대응하는 역부호화 처리이기 때문에, 이들 처리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악 데이터의 음질의 열화가 발생한다고 하는 과제도 있다.
따라서, 본건 발명자들은 더 연구를 진행시켜, 이러한 과제를 해결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를 발명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음악 데이터의 기록 시간이 짧고, 게다가 재생된 음악 데이터의 음질 열화를 작게 억제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0)는 음악 데이터의 녹음, 재생을 하는 장치 본체(110a)와, 해당 장치 본체(110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음악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110b)로 구성되어 있다. 이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0)에는 음악 데이터로서,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 및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가 공급되게 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기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는 네트워크(10a)로부터 다운로드에 의해 공급된다. 상기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는 CD 등의 가반형의 기록 매체로부터 공급된다. 또한, 상기 장치 본체(110a)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u는 스피커(20)에 출력되어, 음성으로 변환되게 되어 있다.
상기 기록 매체(110b)는 상기 장치 본체(110a)에 형성된 슬롯(110a1)에 삽입 가능한 IC 카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 IC 카드는 음악 데이터를 저장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110b1)과, 해당 RAM(110b1)로의 데이터의 기입을 제어하는 CPU(110b2)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0)에서는, 네트워크(10a)로부터의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 혹은 CD 등으로부터의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가 입력되면, 해당 장치 본체(110a)에서 기록 매체인 IC 카드에 기록된다. 한편, 재생시에는 해당 기록 매체(110b)로부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u로 변환되고,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u가 스피커(20)에 출력된다. 그리고,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u가 스피커(20)에 의해 음성으로 변환된다.
도 2(a)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상기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 및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는 동일한 데이터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 2(a)에서는 이들을 음성 데이터 스트림 S로서 나타낸다.
이 음성 데이터 스트림 S는 스트림의 속성 정보가 저장된 스트림 헤더 Sh와, 음성 데이터 그 자체(디지탈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스트림 데이터 영역 Sd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트림 헤더 Sh 내에는 스트림의 속성 정보로서, 이 스트림 S에 대한 압축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압축 방식 정보) Ico, 샘플링 주파수를 나타내는 정보(샘플링 주파수 정보) Isa, 디지털 데이터를 나타내는 비트수를 나타내는 정보(비트수 정보) Ibi, 이 스트림 S에 대하여 스크램블 처리가 실시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스크램블 처리 정보) Isc가 유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압축 방식 정보 Ico의 값 「0」은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 S가 선형 펄스 부호 변조 방식(LPCM:Linear Pulse Code Modulation)에 의해 얻어진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인 것을 나타낸다. 이 정보 Ico의 값 「1」, 「2」, 「3」은 각각,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 S가 AC3방식, dts(Digital Theater System)방식, AAC (Advanced Audio Coding)방식에 의해 압축된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인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AC3 방식은 주로 5.1ch, 2ch 등의 영화용 음성을 대상으로 한 음성 부호화 방식으로, DVD-VIDEO 등에 사용되고 있다. dts 방식도 주로 5.1ch, 2ch 등의 영화용 음성을 대상으로 한 음성 부호화 방식으로, 영화관, DVD-VIDEO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ACC 방식은 주로, 저 비트 레이트(rate)에서의 음성 데이터의 전송을 대상으로 한 음성 부호화 방식이다.
상기 샘플링 주파수 정보 Isa의 값 「0」, 「1」, 「2」는 각각,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터의 샘플링 주파수가 48㎑, 96㎑, 192㎑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비트수 정보 Ibi의 값 「0」, 「1」, 「2」는 각각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터가 16bits, 20bits, 24bits의 디지털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스크램블 처리 정보 Isc의 값 「0」은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스크램블 처리가 실시되고 있지 않은 것을, 상기 정보 Isc의 값 「1」은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스크램블 처리가 실시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스트림 데이터 영역 Sd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주지가 아니므로 여기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이하, 상기 실시예 1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실시예 1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0)는 도 2(a)에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를 갖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 S로서, 네트워크상으로부터의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 혹은 CD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의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를 받아들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0)는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 Sau를 기억하는 스트림 기억부(100b)와,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해당 스트림 기억부(1 00b)에 기입하는 스트림 기입부(100a)와, 해당 스트림 기억부(100b)로부터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판독하는 스트림 판독부(100c)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스트림 기입부(100a) 및 스트림 판독부(100c)는 도 1에 도시하는 장치 본체(110a)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림 기억부(100b)는 도 1에 도시하는 장치 본체(110a)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림 기억부(100b)는 도 1에 도시하는 기록 매체(110b)에 상당하는 것으로, 반도체 기억 장치(RAM)를 탑재한 상기 IC 카드(11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트림 기입부(100a)는 장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 S가 압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속성 판정 정보 Iaj1을 출력하는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101)과, 해당 속성 판정 정보 Iaj1에 근거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 S의 헤더 Sh에, 소정값으로 설정된 압축 식별 플래그 Fco를 부가하고, 해당 압축 식별 플래그 Fco가 부가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1(도 2(b) 참조)을 스트림 기억부(100b)에 기입하는 플래그 부착 스트림 기입 수단(10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플레그 부착 스트림 기입 수단(102)은 속성 판정 정보 Iaj1이 입력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비압축의 스트림인 것을 나타내고 있을 때, 상기 압축 식별 플래그 Fco의 값을 「0」으로 설정하고, 한편 속성 판정 정보 Iaj1이 입력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압축스트림인 것을 나타내고 있을 때, 상기 압축 식별 플래그 Fco의 값을 「1」로 설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그 스트림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탈 음성 데이터가 압축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또한,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그 스트림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탈 음성 데이터가 압축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스트림 판독부(100c)는 상기 스트림 기록부(100b)로부터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1을 판독하는 스트림 판독 수단(104)과,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1에 포함되고 있는 압축 식별 플래그 Fco의 값에 근거하여,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1이 비압축의 스트림인지, 압축 스트림인지를 판정하고, 이들의 스트림을 따로따로 출력하는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105)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림 판독부(100c)는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105)으로부터 출력되는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하여, 신장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f1을 출력하는 역부호화 수단(106)과, 상기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105)으로부터 출력되는 비압축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1의 스트림 데이터 영역 Sd에, 혹은 역부호화 수단(106)으로부터 출력되는 신장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f1의 스트림 데이터 영역 Sd에 전자 워터마크 Dwm을 삽입하고, 전자 워터마크 삽입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w1(도 2(c))을 출력하는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107)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림 판독부(100c)는 전자 워터마크 삽입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w1에 DA 변환 처리를 실시하고,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w를 스피커(20)에 출력하는 DA 변환 수단(108)을 갖고 있어, 이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w는 스피커(20)에 의해 음성으로 변환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107)에 의해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삽입되는 전자 워터마크 Dwm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서 삽입되는, 복사 금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이 전자 워터마크는 비압축의 디지탈 음성 데이터(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삽입되는 것으로,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는 것이다.
통상, 전자 워터마크는 전자 워터마크를 포함하는 디지탈 음성 데이터(음성 데이터 스트림)와, 전자 워터마크를 포함하지 않는 디지탈 음성 데이터(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비교에 의해 검출 가능한 것이다. 또한, 전자 워터마크는 전자 워터마크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전자 워터마크를 포함하는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DA 변환한 것)와, 전자 워터마크를 포함하지 않는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전자 워터마크를 포함하지 않는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DA 변환한 것)의 비교에 의해서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단, 본 실시예 1에서는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w를 DA 변환하여 얻어지는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w는 이 데이터의 해석에 의해, 혹은 이것을 AD 변환하여 얻어지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해석에 의해, 전자 워터마크의 검출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트림 기록부(100b)를 구성하는 IC 카드(기록 매체)에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입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 1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0)에 외부로부터 음성 데이터 스트림 S가 입력되면,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101)에서는 입력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가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인지, 비압축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인지의 판정이 실행되어,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속성 판정 정보 Iaj1이 출력된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101)에 있어서의 판정은 입력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의 스트림 헤더 Sh에 있어서의 압축 방식 정보 Ico의 값에 근거하여 실행된다. 예컨대, 압축 방식 정보 Ico의 값이「0」일 때,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101)으로부터는 속성 판정 정보 Iaj1로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가 압축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출력된다. 한편, 압축 방식 정보 Ico의 값이 「1」, 「2」, 혹은 「3」일 때,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101)으로부터는 속성 판정 정보 Iaj1로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가 압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출력된다.
또, 통상, 네트워크(10a)로부터 다운로드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는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이고, CD 등의 가반형의 기록 매체(10b)로부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는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인 경우가 많다.
그러면, 플래그 부착 스트림 기입 수단(102)에서는 상기 속성 판정 정보 Iaj1에 근거하여, 외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 S의 스트림 헤더 Sh에 압축 식별 플래그 Fco가 부가되고, 해당 기입 수단(102)에 의해, 플래그 부착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1(도 2(b) 참조)이 스트림 기억부(100b)에 기입된다. 예컨대,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101)에 의해, 네트워크(10a)로부터 다운로드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압축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플래그 부착 스트림 기입 수단(102)에서는 압축 식별 플래그 Fco의 값이 「1」로 설정된다. 한편,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101)에 의해, CD로부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압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플래그 부착 스트림 기입 수단(102)에서는 압축 식별 플래그 Fco의 값이 「0」으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스트림 기록부(100b)로부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판독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음성 데이터의 재생시에는 우선, 스트림 판독 수단(104)으로부터 스트림의 판독 요구가 스트림 기록부(100b)에 대하여 실행되고, 그 후, 스트림 판독 수단(104)에 의해, 상기 스트림 기록부(100b)로부터 플래그 부착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1이 판독된다. 그러면,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105)에서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1의 스트림 헤더 Sh에 있어서의 압축 식별 플래그 Fco의 값에 근거하여,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1이 압축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이 실행된다.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압축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1은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105)으로부터 역부호화 수단(106)에 출력된다. 한편,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압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비압축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1은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105)으로부터 전자 워터마크 수단(107)에 출력된다.
상기 역부호화 수단(106)에서는 압축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1이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되고, 신장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f1이 역부호화 수단(106)으로부터 상기 전자 워터마크 수단(107)에 출력된다.
그리고 전자 워터마크 수단(107)에서는 압축되어 있지 않은 음성 데이터 스트림 즉,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105)으로부터의 비압축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1, 혹은 역부호화 수단(106)으로부터의 신장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f1에 전자 워터마크 Dwm이 삽입된다.
상기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w1(도 2(c) 참조)은 DA 변환 수단(108)에 의해서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w로 변환되어, 스피커(20)에 출력된다. 스피커(20)에서는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w가 인간에게 청취 가능한 음성으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1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0)에서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압축된 것이지 여부를 판정하는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101)을 구비하고, 이 판정 결과에 따른 값을 갖는 압축 식별 플래그 Fco를 발생하게 하며,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해당 압축 식별 플래그 Fco를 부가하여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스트림 기록부(100b)에 기입하도록 했기 때문에, 스트림 기록부(100b)로부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역부호화에 의한 신장 처리를 실시하는지 여부를, 이에 포함되는 압축 식별 플래그 Fco에 근거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서는 스트림 기록부로부터 판독한 후에 신장 처리를 실시하고, 이 신장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비압축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전자 워터마크를 삽입할 수 있다.
환언하면, 외부로부터의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이것에 압축 식별 플래그를 부가하는 간단한 처리를 행한 후에, 이것을 즉시 스트림 기록부에 기입할 수 있어,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스트림 기록부로의 기록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재생에 의해 얻어지는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의 음질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스트림 기억부에 기입하기 전에 전자 워터마크의 삽입을 행할 경우, 해당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역부호화에 의해 비압축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신장 처리, 비압축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전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전자 워터마크 삽입 처리, 및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 비압축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부호화에 의해 압축하는 압축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 신장 처리 및 압축 처리는 비가역의 부호화에 대응한 처리이기 때문에, 이들 2개의 처리에 의해 음질의 열화가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스트림 기억부로부터 판독한 후에 전자 워터마크를 삽입할 경우에 필요하게 되는 처리는 상기 신장 처리 및 전자 워터마크 삽입 처리만으로 되어, 압축 처리에 의한 음질의 열화를 회피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전자 워터마크로서, 이것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는 복사 금지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이용하여, 전자 워터마크가 포함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의 복사가 제한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는데, 전자 워터마크에 의한 저작권 보호의 방법은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다.
예컨대, 전자 워터마크로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과거에 복사된 회수(세대수)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삽입하고, 미리 정해진 세대수를 초과하면, 복사를 금지한다고 하는 세대 관리라고 불리는 방법이나, 전자 워터마크로서, 음성 스트림의 저작권자의 성명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삽입해 놓고, 무단 복제가 행해진 경우에, 전자 워터마크에 근거하여 저작권자의 성명을 음성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하여, 저작권자를 명확히 한다고 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 2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실시예 1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와 마찬가지로, 이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는 음악 데이터의 녹음, 재생을 하는 장치 본체와, 해당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음악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2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200)에는 음악 데이터로서,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 혹은 스크램블 처리된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가 공급되게 되어 있다. 또한, 스크램블 처리된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가 공급될 경우에는 스크램블 처리를 해제하기 위한 스크램블 키 Ksc도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200)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200)에는 네트워크(10a)로부터는 다운로드에 의해, 스크램블 처리된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 및 대응하는 스크램블 키, 혹은 스크램블 처리되어 있지 않은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가 공급되고, CD 등의 가반형의 기록 매체로부터는 스크램블 처리되어 있지 않은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각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도 2(a)에 도시하는 데이터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한다.
상술하면, 이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2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억하는 스트림 기억부(200b)와,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해당 스트림 기억부(200b)에 기입하는 스트림 기입부(200a)와, 해당 스트림 기억부(200b)로부터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판독하는 스트림 판독부(200c)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스트림 기입부(200a) 및 스트림 판독부(200c)는 상기 장치 본체(도 1참조)에 탑재되고, 상기 스트림 기억부(200b)는 상기 기록 매체에 상당하는 것으로, 실시예 1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반도체 기억 장치(RAM)를 탑재한 상기 IC 카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트림 기입부(200a)는 장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 S가 압축되어 있는지 여부, 및 음성 데이터 스트림 S가 스크램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속성 판정 정보 Iaj2를 출력하는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201)과, 장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스크램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역스크램블하는 위한 스크램블 키 Ksc를 스트림 기억부(200b)에 기입하는 스크램블 키 기입 수단(203)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림 기입부(200a)는 해당 속성 판정 정보 Iaj2에 근거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 S의 스트림 헤더 Sh에, 소정값으로 설정된 압축 식별 플래그 Fco 및 소정값으로 설정된 스크램블 식별 플래그 Fsc를 부가하고, 해당 양 플래그 Fco 및 Fsc이 부가된 플래그 부착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도 5 참조)를 스트림 기억부(200b)에 기입하는 플래그 부착 스트림 기입 수단(202)을 갖고 있다.
여기서, 이 플래그 부착 스트림 기입 수단(202)은 아래와 같이, 압축 식별 플래그 Fco의 값 및 스크램블 식별 플래그 Fsc의 값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속성 판정 정보 Iaj2가 입력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비압축의 스트림인 것을 나타내고 있을 때, 상기 압축 식별 플래그 Fco의 값이 「0」으로 설정된다. 속성 판정 정보 Iaj2가 입력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압축 스트림인 것을 나타내고 있을 때, 상기 압축 식별 플래그 Fco의 값이 「1」로 설정된다. 속성 판정 정보 Iaj2가 입력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스크램블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을 때, 상기 스크램블 식별 플래그 Fsc의 값이 「0」으로 설정된다. 속성 판정 정보 Iaj2가 입력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스크램블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을 때, 상기 스크램블 식별 플래그 Fsc의 값이 「1」로 설정된다.
또한,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그 스트림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탈 음성 데이터가 압축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그 스트림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탈 음성 데이터가 압축된 것이다. 비(非) 스크램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그 스트림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탈 음성 데이터가 스크램블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스크램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그 스트림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탈 음성 데이터가 스크램블된 것이다.
상기 스트림 판독부(200c)는 상기 스트림 기록부(200b)로부터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를 판독하는 스트림 판독 수단(206)과,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에 포함되고 있는 압축 식별 플래그 Fco의 값에 근거하여,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이 비압축의 스트림인지, 압축 스트림인지를 판정하고, 이들의 스트림을 별도로 출력하는 제 1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207)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림 판독부(200c)는 상기 스트림 기록부(200b)로부터 스크램블 키 Ksc를 판독하는 스크램블 키 판독 수단(205)과, 제 1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207)으로부터 출력되는 스크램블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상기 스크램블 키 Ksc를 이용하여 역스크램블 처리를 실시하고, 디스크램블 음성 데이터 스트림 DSaf2를 출력하는 역스크램블 수단(208)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림 판독부(200c)는 제 1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207)으로부터 출력된 비 스크램블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 혹은 역스크램블 수단(208)으로부터 출력된 디스크램블 음성 데이터 스트림 DSaf2를 받아들이고, 이들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압축 식별 플래그 Fco의 값에 근거하여,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 DSaf2가 비압축의 스트림인지, 압축 스트림인지를 판정하여, 이들의 스트림을 따로따로 출력하는 제 2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209)과, 해당 판정 수단(209)으로부터 출력되는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DSaf2를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하여, 신장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f2를 출력하는 역부호화 수단(210)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림 판독부(200c)는 상기 제 2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209)으로부터 출력되는 비압축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 DSaf2의 데이터 영역 Sd에, 혹은 역부호화 수단(21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장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f2의 데이터 영역 Sd에, 전자 워터마크 Dwm을 삽입하고, 전자 워터마크 삽입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w2(도 2(c))를 출력하는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211)과, 전자 워터마크 삽입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w2에 DA 변환 처리를 실시하고,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w를 스피커(20)에 출력하는 DA 변환 수단(212)을 갖고 있어, 이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w는 스피커(20)에 의해 음성으로 변환되게 되어 있다.
또, 대부분의 경우, 상기 스트림 기입부(200a)는 스트림 기록부(200b)로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 및 스크램블 키의 기입을 행하는 하나의 기기로서 구성되고, 상기 스트림 판독부(200c)는 스트림 기록부(200b)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 및 스크램블 키의 판독을 하는 별도의 하나의 기기로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210)에 의해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삽입되는 전자 워터마크 Dwm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것과 마찬가지로, 복사 금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기록 매체(200b)에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입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 2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200)에 외부로부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입력되면,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201)에서는 입력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압축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 및 입력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스크램블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이 행해지고, 이들 판정 결과에 따른 속성 판정 정보 Iaj2가 출력된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201)에 있어서의 판정은 입력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스트림 헤더 Sh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 방식 정보 Ico 및 스크램블 처리 정보 Isc의 값에 근거하여 실행된다. 예컨대, 압축 방식 정보 Ico의 값이 「0」일 때, 음성 데이터 스트림 S가 압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고, 압축 방식 정보 Ico의 값이 「1」, 「2」, 혹은 「3」일 때, 음성 데이터 스트림 S가 압축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다. 또한, 스크램블 처리 정보 Isc의 값이 「0」일 때, 음성 데이터 스트림 S는 스크램블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고, 스크램블 처리 정보 Isc의 값이 「1」일 때,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스크램블되어 있다고 판정된다.
또, 통상, 네트워크(10a)로부터 다운로드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스크램블된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 혹은 스크램블되어 있지 않은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고, CD 등의 가반형의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스크램블되어 있지 않은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인 경우가 많다.
그러면, 플래그 부착 스트림 기입 수단(202)에서는 상기 속성 판정 정보 Iaj2에 근거하여, 외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스트림 헤더 Sh에 압축 식별 플래그 Fco 및 스크램블 식별 플래그 Fsc가 부가되고, 해당 기입 수단(202)에 의해, 플래그 부착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도 5참조)가 스트림 기억부(200b)에 기입된다.
예컨대, 입력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스크램블 처리 및 압축 처리가 실시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압축 식별 플래그 Fco 및 스크램블 식별 플래그 FSC 모두 그 값이 「1」로 설정된다. 또한, 입력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압축 처리만이 실시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압축 식별 플래그 Fco의 값이 「1」로 설정되고, 스크램블 식별 플래그 Fsc의 값이 「0」으로 설정된다. 또한, 입력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스크램블 처리만이 실시된 것이라고 판정된 경우, 압축 식별 플래그 Fco의 값이 「0」으로 설정되고, 스크램블 식별 플래그 Fsc의 값이 「1」로 설정된다. 또한, 입력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스크램블 처리 및 압축 처리가 모두 실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압축 식별 플래그 Fco 및 스크램블 식별 플래그 Fsc 모두 그 값이「0」으로 설정된다.
또한, 입력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스크램블된 것일 때에는 이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크램블하기 위한 스크램블 키 Ksc가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200)에 입력되기 때문에, 이 스크램블 키 Ksc가 기입 수단(203)에 의해 스트림 기억부(200b)에 기입된다.
다음으로, 스트림 기록부(200b)로부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판독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음성 데이터의 재생시에는 우선, 스트림 판독 수단(206)으로부터 스트림의 판독 요구가 스트림 기록부(200b)에 대하여 실행되고, 그 후, 스트림 판독 수단(206)에 의해, 상기 스트림 기록부(200b)로부터 플래그 부착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가 판독된다. 그러면, 제 1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207)에서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의 스트림 헤더 Sh에 있어서의 스크램블 식별 플래그 Fsc의 값에 근거하여,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가 스크램블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이 실행된다.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가 스크램블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는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207)으로부터 역스크램블 수단(208)에 출력된다. 또한, 이 경우, 스트림 기억부(200b)로부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키 Ksc가 판독되어, 역스크램블 수단(208)에 출력된다. 그러면, 역스크램블 수단(208)에서는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에 대하여, 대응하는 스크램블 키 Ksc를 이용하여 역스크램블 처리가 실시되고, 디스크램블 음성 데이터 스트림 DSaf2가 제 2 스크램블 판정 수단(209)에 출력된다.
한편, 상기 제 1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207)에 의해,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스크램블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는 스크림 플래그 판정 수단(207)으로부터 제 2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209)에 출력된다.
그러면, 제 2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209)에서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의 스트림 헤더 Sh에 있어서의 압축 식별 플래그 Fco의 값에 근거하여,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 혹은 디스크램블 음성 데이터 스트림 DSaf2가 압축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이 행해진다.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압축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 혹은 DSaf2는 제 2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209)으로부터 역부호화 수단(210)에 출력된다. 해당 역부호화 수단(210)에서는 압축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 혹은 DSaf2가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되고, 신장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f가 역부호화 수단(210)으로부터 상기 전자 워터마크 수단(211)에 출력된다.
한편, 제 2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209)에 의해,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 혹은 DSaf2가 압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 혹은 DSaf2는 제 2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209)으로부터 전자 워터마크 수단(211)에 출력된다.
그리고 전자 워터마크 수단(211)에서는 압축되어 있지 않은 음성 데이터 스트림 즉, 제 2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209)으로부터의 비압축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 DSaf2, 혹은 역부호화 수단(210)으로부터의 신장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f에 전자 워터마크 Dwm이 삽입된다.
상기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w2는 DA 변환 수단(212)에 의해서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w로 변환되어, 스피커(20)에 출력된다. 해당 스피커(20)에서는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w가 인간에게 청취 가능한 음성으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2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200)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압축된 것인지 여부의 판정 및 외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스크램블된 것인지 여부의 판정을 하는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201)을 구비하고, 해당 판정 결과에 따라 스크램블 식별 플래그 Fsc 및 압축 식별 플래그 Fco를 발생시키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이것에 해당 양 플러그 Fsc 및 Fco를 부가하여 스트림 기록부(200b)에 기입하도록 했기 때문에, 스트림 기록부(200b)로부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역부호화 처리 및 역스크램블 처리 중 양쪽 혹은 한쪽을 실시할지 또는 이들 처리를 실시하지 않을지를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포함되는 식별 플래그 Fsc 및 Fco에 근거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혹은 스크램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스트림 기억부로부터 판독한 후에, 신장 혹은 디스크램블하여, 스크램블되어 있지 않은 비압축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전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재생된 음성 데이터의 음질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혹은 스크램블된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이것에 압축 식별 플래그 Fco 및 스크램블 식별 플래그 Fsc를 부가하는 간단한 처리 후에, 이것을 즉시 스트림 기록부에 기입할 수 있어,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스트림 기록부로의 기록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 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전자 워터마크로서, 이것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는 복사 금지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이용하여, 전자 워터마크가 포함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의 복사가 제한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는데, 전자 워터마크에 의한 저작권 보호의 방법은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실시예 1에 나타낸 전자 워터마크에 의한 저작권 보호의 방법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 3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300)는 도 1에 도시하는 실시예 1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억하는 스트림 기억부(300b)와,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해당 스트림 기억부(300b)에 기입하는 스트림 기입부(300a)와, 해당 스트림 기억부(300b)로부터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판독하는 스트림 판독부(300c)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스트림 기입부(300a) 및 스트림 판독부(300c)는 상기 장치 본체(도 1참조)에 탑재되어 있다. 상기 스트림 기억부(300b)는 상기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록 매체에 상당한 것으로, 반도체 기억 장치(RAM)를 탑재한 IC 카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스트림 기억부(300b)는 상기한 바와 같은 IC 카드형 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메모리 스테이틱형 장치에 의해 구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 혹은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이다. 예컨대, 상기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는 네트워크(10a)로부터 다운로드에 의해 공급된다. 상기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는 CD 등의 가반형의 기록 매체로부터 공급된다.
이하, 상기 각부의 구성에 대하여 상술한다.
상기 스트림 기입부(300a)는 실시예 1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0)에 있어서의,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101) 및 스트림 기입 수단(102)을 갖는 스트림 기입부(100a)와 완전히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림 판독부(300c)는 상기 실시예 1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0)에 있어서의 스트림 판독부(100c)의 구성에 덧붙여, 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300)의 기기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기기 타입 정보) Ity를 유지하는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315)을 갖고 있다. 이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315)에는 사전에,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으로서, 소정값, 예컨대, 「1」혹은「0」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림 기억부(300b)는 상기 스트림 기입 수단(102)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억하는 스트림 기억 수단(311)과, 해당 스트림 기억 수단(311)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하는 기기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을 기억하고 있는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312)을 갖고 있다.
도 7은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312)에 기억되어 있는 기억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기억 수단(312)에 기억되어 있는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 「0」은 해당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가 재생시에 전자 워터마크(Water Mark)를 삽입하는 기능을 갖는 플레이어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기억 수단(312)에 기억되어 있는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 「1」은 해당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가 재생시에 전자 워터마크(Water Mark)를 삽입하는 기능을 갖는 리코더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림 기억부(300b)는 상기 스트림 판독부(300c)로부터의 판독 요구에 따라서, 스트림 판독부(300c)의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315)으로부터 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300)의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을 판독하는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314)과, 판독 허가 타입 정보 기억 수단(312)에 기억되어 있는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 중에서, 상기 판독된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에 해당하는 것을 검색하고, 이 검색 결과에 따라서, 스트림 기억 수단(311)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313)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313)은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315)으로부터 판독된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이 판독 허가 타입 정보 기억 수단(312)에 기억되어 있는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한 경우에는 스트림 판독 수단(104)에 의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한다. 한편,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315)으로부터 판독된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이 판독 허가 타입 정보 기억 수단(312)에 기억되어 있는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 중 어느 것과도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트림 판독 수단(104)에 의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금지한다.
예컨대,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315)이 유지하고 있는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이「1」(재생시 Water Mark 삽입 기능이 부착된 리코더의 의미)인 경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312)내에는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 「1」이 기록되어 때문에, 판독이 허가된다. 이 경우에는 스트림 판독 수단(104)은 스트림 기억 수단(311)으로부터 음성 스트림을 판독할 수 있다.
한편,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315)에, 도 7에 나타나 있지 않은 값, 예컨대「2」가 유지되어 있었던 경우, 혹은 스트림 판독부(300c)가 기기 타입 유지 수단(315)을 갖고 있지 않아,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314)에 의해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을 얻을 수 없던 경우에는 판독이 금지된다. 이 경우에는 스트림 판독 수단(104)은 스트림 기억 수단(311)으로부터 음성 스트림을 판독할 수 없다.
또, 본 실시예 3에서는 상기 스트림 기억부(300b)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IC 카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스트림 기억 수단(311) 및 판독 허가타입 정보 기억 수단(312)은 상기 IC 카드에 탑재되어 있는 RAM에 의해 실현되고 있다. 상기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313) 및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314)은 상기 IC 카드에 탑재되어 있는 CPU에 의해 실현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상기 스트림 기입부(300a)는 스트림 기록부(300b)로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기입을 행하는 하나의 기기로서 구성되고, 상기 스트림 판독부(300c)는 스트림 기록부(300b)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하는 별도의 하나의 기기로서 구성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트림 기록부(300b)를 구성하는 IC 카드(기록 매체)에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입하는 동작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이하 간단히 설명한다.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101)에서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가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인지, 비압축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인지의 판정이 실행되어,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속성 판정 정보 Iaj1이 출력된다. 그리고, 플래그 부착 스트림 기입 수단(102)에서는 상기 속성 판정 정보 Iaj1에 근거하여, 외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 S의 스트림 헤더 Sh에 압축 식별 플래그 Fco가 부가되고, 해당 기입 수단(102)에 의해, 플래그 부착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1(도 2(b) 참조)이 스트림 기억부(300b)에 기입된다. 여기서는, 플래그 부착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1은 스트림 기억부(300b)에 있어서의 스트림 기억 수단(311)에 기입된다.
다음으로, 스트림 기록부(300b)로부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판독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트림 판독 수단(104)으로부터 스트림의 판독 요구가 스트림 기록부(300b)에 대하여 실행된다. 그러면,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314)에 의해, 스트림 판독부(300c)의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315)에 유지되어 있는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이 판독되고, 이것이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313)에 출력된다.
다음으로, 이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313)에서는 판독된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이 판독 허가 타입 정보 기억 수단(312)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가 검색에 의해 조사된다. 이 검색 결과, 판독된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이 상기 기억 수단(312)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허가 판정 수단(313)에서는 스트림 판독 수단(104)에 의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한다고 하는 판정이 이루어진다. 판독된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이 상기 기억 수단(312)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허가 판정 수단(313)에서는 스트림 판독 수단(104)에 의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금지한다고 하는 판정이 이루어진다.
환언하면, 스트림 기억 수단(311)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313)에 의해, 판독 허가라는 판정이 이루어졌을 때에만, 스트림 판독 수단(104)에 의해 판독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스트림 판독 수단(104)에 의해 스트림 기억 수단(311)으로부터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1이 판독된다.
예컨대,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315)이 유지하고 있는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이「1」(재생시 WaterMark 삽입 기능이 부착된 리코더의 의미)인 경우, 이 값은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312)내에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으로서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값 중 하나와 일치한다. 이 때문에,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313)에서는 검색에 의해,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314)에 의해서 판독된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과 동일한 값이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312)으로부터 검출된다. 이 때, 허가 판정 수단(313)에서는 판독 허가라는 판정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 스트림 판독 수단(104)에 의한 스트림 기억 수단(311)에 있어서의 음성 스트림의 판독이 가능해진다.
한편,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312)내에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으로서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값 이외의 값, 예컨대「2」가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315)에 유지되어 있는 경우,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313)에서는 판독 금지라는 판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스트림 판독부(300c)가 기기 타입 유지 수단(315)을 갖고 있지 않아,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314)이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으로서 어떠한 값도 얻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313)에서는 판독 금지라는 판정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 스트림 판독 수단(104)에 의한 스트림 기억 수단(311)에 있어서의 음성 스트림의 판독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313)에 의해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 허가 혹은 판독 금지의 판정을 행하는 것은,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재생시에 전자 워터마크 삽입을 하지 않는 재생 장치에 의해서, 스트림 기록부(300c)로부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판독되어 버려, 저작권 보호를 위한 전자 워터마크 삽입이 행해지지 않아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재생이나 복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상기 스트림 판독 수단(104)에 의해 스트림 기억부(300b)로부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되어,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에 변환된다.
간단히 설명하면,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105)에서는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1에 포함되는 압축 식별 플래그 Fco의 값에 근거하여, 해당 음성 스트림 Saf1이 압축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이 행해진다. 이 판정의 결과, 음성 스트림이 압축되어 있는 경우에만,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1은 역부호화 수단(106)에서,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되고, 신장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f1이 전자 워터마크 수단(107)에 출력된다.
그리고,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107)에서는 비압축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 즉, 역부호화 수단(106)으로부터의 신장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f1, 혹은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105)에 의해 압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스트림 기억부(300b)로부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그 저작권이 보호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w1은 DA 변환 수단(108)에 의해서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w로 변환되고, 또한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w는 스피커(20)에 의해서, 인간에게 청취 가능한 음성으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3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300)에서는 실시예 1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에 덧붙여, 스트림 판독부(300c)를 구성하는, 본 장치의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을 유지하는 수단(315)을 구비하고, 스트림 기억부(300b)를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하는 기기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 Ity를 기억한 수단(312)을 가지며, 본 장치의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이 상기 수단(312)에 기록되어 있는지를 검색에 의해 조사하여, 이 검색 결과에 따라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 혹은 금지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실시예 1의 효과 이외에,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재생시에 전자 워터마크 삽입을 하지 않는 재생 장치에 의해서, 스트림 기록부(300c)로부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판독되어 버려, 저작권 보호를 위한 전자 워터마크 삽입이 행해지지 않아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재생이나 복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4)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 4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400)는 도 4에 나타내는 실시예 2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200)와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억하는 스트림 기억부(400b)와,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해당 스트림 기억부(400b)에 기입하는 스트림 기입부(400a)와, 해당 스트림 기억부(400b)로부터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판독하는 스트림 판독부(400c)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스트림 기입부(400a) 및 스트림 판독부(400c)는 상기 장치 본체(도 1 참조)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림 기억부(400b)는 상기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록 매체에 상당한 것으로, 반도체 기억 장치(RAM)를 탑재한 IC 카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스트림 기억부(400b)는 상기한 바와 같은 IC 카드형의 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메모리 스틱형 장치에 의해 구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u, 혹은 스크램블 처리된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크램블 처리된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가 공급될 경우에는 스크램블 처리를 해제하기 위한 스크램블 키 Ksc도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400)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400)에는 네트워크(10a)로부터는 다운로드에 의해, 스크램블 처리된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 및 대응하는 스크램블 키, 혹은 스크램블 처리되어 있지 않은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ESau가 공급되고, CD 등의 가반형의 기록 매체로부터는 스크램블 처리되어 있지 않은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공급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각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도 2(a)에 도시하는 데이터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한다.
이하, 상기 각 부분의 구성에 대하여 상술한다.
상기 스트림 기입부(400a)는 실시예 2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200)에 있어서의,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201), 플래그 부착 스트림 기입 수단(202) 및 스크램블 키 기입 수단(203)을 갖는 스트림 기입부(200a)와 완전히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림 판독부(400c)는 상기 실시예 2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200)에 있어서의 스트림 판독부(200c)의 구성에 덧붙여, 이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기기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을 유지하는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416)을 갖고 있다. 이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416)에는 사전에,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으로서, 소정값, 예컨대, 「1」혹은 「0」이 저장되어 있다. 또,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 「1」 및 「0」은 각각 실시예 3에 있어서의 것과 완전히 동일한 내용을 의미하고 있다. 즉,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 「0」은 해당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가 재생시에 전자 워터마크(water Mark)를 삽입하는 기능을 갖는 플레이어인 것을 의미하고,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 「1」은 해당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가 재생시에 전자 워터마크(Water Mark)를 삽입하는 기능을 갖는 리코더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림 기억부(400b)는 상기 플래그 부착 스트림 기입 수단(202)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를 기억하는 스트림 기억 수단(413)과, 상기 스크램블 키 기입 수단(203)으로부터의 스크램블 키 Ksc를 기억하는 스크램블 키 기억 수단(412)과, 해당 스트림 기억 수단(413)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의 판독을 허가해야 하는 기기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을 기억하고 있는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411)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림 기억부(400b)는 상기 스트림 판독부(400c)로부터의 판독 요구에 따라서, 스트림 판독부(400c)의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416)으로부터, 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400)의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을 판독하는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414)과, 판독 허가 타입 정보 기억 수단(411)에 기억되어 있는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 중에서, 상기 판독된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에 해당하는 것을 검색하고,이 검색 결과에 따라서, 스트림 기억 수단(413)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415)을 갖고 있다.
여기서, 상기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415)에서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할지 여부의 판정은 상기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313)과 완전히 동일하게 실행된다.
예컨대,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416)이 유지하고 있는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이「1」(재생시 WaterMark 삽입 기능이 부착된 리코더의 의미)인 경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411)내에는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 「1」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판독이 허가된다. 한편,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416)에 도 7에 나타나 있지 않은 값, 예컨대「2」가 유지되어 있던 경우, 혹은 스트림 판독부(400c)가 기기 타입 유지 수단(416)을 갖고 있지 않아,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414)에 의해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을 얻을 수 없던 경우에는 판독이 금지된다.
또, 이 실시예 4에서는 상기 스트림 기억부(400b)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IC 카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스트림 기억 수단(413), 스크램블 키 기억 수단(412) 및 판독 허가 타입 정보 기억 수단(411)은 상기 IC 카드에 탑재되어 있는 RAM에 의해 실현되고 있다. 상기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415) 및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414)은 상기 IC 카드에 탑재되어 있는 CPU에 의해 실현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상기 스트림 기입부(400a)는 스트림 기록부(400b)로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기입을 행하는 하나의 기기로서 구성되고, 상기 스트림 판독부(400c)는 스트림 기록부(400b)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하는 별도의 하나의 기기로서 구성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트림 기록부(400b)를 구성하는 IC 카드(기록 매체)에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입하는 동작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것과 마찬가지로, 이하 간단히 설명한다.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201)에서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Sau, ESau)가 압축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 및,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스크램블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이 실행되어,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속성 판정 정보 Iaj2가 출력된다. 예컨대, 입력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압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압축 식별 플래그 Fco의 값으로서「1」이 설정된다. 한편, 입력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압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압축 식별 플래그 Fco의 값으로서 「0」이 설정된다. 또한, 입력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스크램블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크램블 식별 플래그 Fsc 값으로서「1」이 설정된다. 한편, 입력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스크램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크램블 식별 플래그 Fsc의 값으로서「0」이 설정된다.
그리고, 플래그 부착 스트림 기입 수단(202)에서는 상기 속성 판정 정보 Iaj2에 근거하여, 외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 S의 스트림 헤더 Sh에 압축 식별 플래그 Fco 및 스크램블 식별 플래그 Fsc가 부가되고, 해당 기입 수단(202)에 의해, 플래그 부착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도 5 참조)가 스트림 기억부(400b)에 기입된다. 여기서는, 플래그 부착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는 스트림 기억부(400b)에 있어서의 스트림 기억 수단(413)에 기입된다.
또한, 입력 음성 데이터 스트림 S가 스크램블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기입과 동시에, 스크램블 키 기입 수단(203)에 의해, 이 스크램블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키가 스크램블 키 기억 수단(412)에 기록된다.
다음으로, 스트림 기록부(400b)로부터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를 판독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트림 판독 수단(206)으로부터 스트림의 판독 요구가 스트림 기록부(400b)에 대하여 실행된다. 그러면,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414)에 의해, 스트림 판독부(400c)의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416)에 유지되어 있는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이 판독되어,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415)에 출력된다.
다음으로,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415)에서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 허가 판정이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313)과 완전히 동일하게 실행된다. 즉, 이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415)에서는 판독된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이 판독 허가 타입 정보 기억 수단(411)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가 검색에 의해 조사된다. 이 검색의 결과, 판독된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허가 판정 수단(415)에서는 스트림 판독 수단(206)에 의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한다고 하는 판정이 이루어진다. 판독된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허가 판정 수단(415)에서는 스트림 판독 수단(206)에 의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금지한다고 하는 판정이 이루어진다.
환언하면, 스트림 기억 수단(413)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415)에서, 판독 허가라는 판정이 이루어졌을 때에만 스트림 판독 수단(206)에 의해 판독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스트림 판독 수단(206)에 의해 스트림 기억 수단(413)으로부터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가 판독된다.
또한, 스트림 기억 수단(413)으로부터 판독되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가 스크램블된 것일 때에는 스크램블 키 판독 수단(412)에 의해, 스크램블 키 기억 수단(412)으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키 Ksc가 판독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림 판독 수단(206)에 의해 스트림 기억부(400b)로부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되어,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로 변환된다.
간단히 설명하면, 제 1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207)에서는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에 포함되는 스크램블 식별 플래그 Fsc의 값에 근거하여,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스크램블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이 행해진다. 이 판정 결과,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스크램블되어 있는 경우에만, 역스크램블 수단(208)에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스크램블 키 판독 수단(205)에 의해 판독된 스크램블 키 Ksc를 이용하여, 역스크램블된다.
다음으로, 제 2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209)에서는 역스크램블 수단(208)으로부터의 디스크램블 음성 데이터 스트림 DSaf2, 혹은 제 1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207)으로부터의 스크램블되어 있지 않은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가 압축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이 이들 음성 데이터 스트림 DSaf2 혹은 Saf 2에 포함되는 압축 식별 플래그 Fco의 값에 근거하여 실행된다.
이 판정의 결과, 음성 데이터 스트림 DSaf2 혹은 Saf2가 압축되어 있는 경우에만,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역부호화 수단(210)에서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되고, 신장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f2가 전자 워터마크 수단(211)에 출력된다.
그리고,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211)에서는 비압축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 즉, 역부호화 수단(210)으로부터의 신장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f2, 혹은 제 2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209)에 의해 압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DSaf2, Saf2에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스트림 기억부(400b)로부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그 저작권이 보호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w2는 DA 변환 수단(212)에 의해서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w로 변환되고, 또한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w는 스피커(20)에 의해서, 인간에게 청취 가능한 음성으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4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400)에서는 실시예 2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에 덧붙여, 스트림 판독부(400c)를 구성하는, 본 장치의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을 유지하는 수단(416)을 구비하고, 스트림 기억부(400b)를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하는 기기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한 수단(411)을 가지며, 본 장치의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이 해당 수단(411)에 기록되어 있는지를 검색에 의해 조사하고, 이 검색 결과에 따라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 혹은 금지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실시예 2의 효과 이외에, 음성 스트림의 재생시에 전자 워터마크 삽입을 하지 않는 재생 장치에 의해서, 스트림 기록부(400c)로부터 음성 스트림이 판독되어 버려, 저작권 보호를 위한 전자 워터마크 삽입이 행해지지 않아 음성 스트림의 재생이나 복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5)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의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 5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500)는 도 8에 나타내는 실시예 4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400)와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억하는 스트림 기억부(500b)와,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해당 스트림 기억부(500b)에 기입하는 스트림 기입부(500a)와, 해당 스트림 기억부(500b)로부터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판독하는 스트림 판독부(500c)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 5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500)에서는 스트림 기입부(500a) 및 스트림 판독부(500c)가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스트림 기입부(400a) 및 스트림 판독부(400c)와 완전히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림 기억부(500b)는 상기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스트림 기억부(400b)의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415) 대신에, 스크램블 키 판독 허가 판정 수단(515)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스트림 기억부(500b)는 상기 플래그 부착 스트림 기입 수단(202)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를 기억하는 스트림 기억 수단(413)과, 상기 스크램블 키 기입 수단(203)으로부터의 스크램블 키 Ksc를 기억하는 스크램블 키 기억 수단(412)과, 해당 스트림 기억 수단(413)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의 판독을 허가해야 하는 기기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을 기억하고 있는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411)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림 기억부(500b)는 상기 스트림 판독부(500c)로부터의 판독 요구에 따라서, 스트림 판독부(500c)의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416)으로부터, 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500)의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을 판독하는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414)과, 판독 허가 타입 정보 기억 수단(411)에 기억되어 있는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 중에서, 상기 판독된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에 해당하는 것을 검색하고, 이 검색 결과에 따라서, 스크램블 키 기억 수단(412)으로부터의 스크램블 키 Ksc의 판독을 허가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스크램블 키 판독 허가 판정 수단(515)을 갖고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램블 키 판독 허가 판정 수단(515)에서는 스크램블 키 Ksc의 판독을 허가할지 여부의 판정은 상기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415)과 완전히 동일하게 실행된다.
예컨대,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416)이 유지하고 있는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이「1」(재생시 WaterMark 삽입 기능 부착 리코더의 의미)인 경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411)내에는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 「1」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램블 키의 판독이 허가된다. 한편,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416)에, 도 7에 나타나 있지 않은 값, 예컨대 「2」가 유지되고 있던 경우, 혹은 스트림 판독부(500c)가 기기 타입 유지 수단(416)을 갖고 있지 않아서,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414)에 의해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을 얻을 수 없었던 경우에는, 스크램블 키의 판독이 금지된다.
또, 본 실시예 5에서는, 상기 스트림 기억부(500b)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IC 카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스트림 기억 수단(413), 스크램블 키 기억 수단(412) 및 판독 허가 타입 정보 기억 수단(411)은 상기 IC 카드에 탑재되어 있는 RAM에 의해 실현되고 있다. 상기 스크램블 키 판독 허가 판정 수단(515) 및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414)은 상기 IC 카드에 탑재되어 있는 CPU에 의해 실현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상기 스트림 기입부(500a)는 스트림 기록부(500b)로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기입을 하는 1개의 기기로서 구성되고, 상기 스트림 판독부(500c)는 스트림 기록부(500b)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하는 별도의 1개의 기기로서 구성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트림 기록부(500b)를 구성하는 IC 카드(기록 매체)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입하는 동작은 실시예 4와 완전히 동일하다.
즉,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201)에서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가 압축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 및,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스크램블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이 실행되어,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속성 판정 정보 Iaj2가 출력된다.
그리고, 플래그 부착 스트림 기입 수단(202)에서는 상기 속성 판정 정보 Iaj2에 근거하여, 외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 S의 스트림 헤더 Sh에 압축 식별 플래그 Fco 및 스크램블 식별 플래그 Fsc가 부가되고, 해당 기입 수단(202)에 의해, 플래그 부착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도 5 참조)가 스트림 기억부(500b)에 기입된다. 여기서는, 플래그 부착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는 스트림 기억부(500b)에 있어서의 스트림 기억 수단(413)에 기입된다.
또한, 입력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스크램블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입함과 동시에, 스크램블 키 기입 수단(203)에 의해, 스크램블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키가 스크램블 키 기억 수단(412)에 기록된다.
다음으로, 스트림 기록부(500b)로부터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를 판독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트림 판독 수단(206)으로부터 스트림의 판독 요구가 스트림 기록부(500b)에 대하여 실행된다. 그러면,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414)에 의해, 스트림 판독부(500c)의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416)에 유지되어 있는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이 판독되고, 스크램블 키 판독 허가 판정 수단(515)에 출력된다.
다음으로, 스크램블 키 판독 허가 판정 수단(515)에서는 스크램블 키의 판독 허가 판정이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415)에 의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 허가 판정과 완전히 동일하게 실행된다. 즉, 이 스크램블 키 판독 허가 판정 수단(515)에서는 판독된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이 판독 허가 타입 정보 기억 수단(411)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가 검색에 의해 조사된다. 이 검색 결과, 판독된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허가 판정 수단(515)에서는 스크램블 키 판독 수단(205)에 의한 스크램블 키의 판독을 허가하는 판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검색 결과, 판독된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허가 판정 수단(515)에서는 스크램블 키 판독 수단(205)에 의한 스크램블 키의 판독을 금지하는 판정이 이루어진다.
환언하면, 스크램블 키 기억 수단(412)에 저장되어 있는 스크램블 키는 스크램블 키 판독 허가 판정 수단(515)에서 판독 허가라고 하는 판정이 이루어졌을 때에만, 스크램블 키 판독 수단(205)에 의해 판독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스크램블 키 판독 수단(205)에 의해 스크램블 키 기억 수단(412)으로부터 스크램블 키 Ksc가 판독된다.
또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는 스트림 판독 수단(206)에 의해, 스트림 기억 수단(413)으로부터 제 1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207)에 판독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림 판독 수단(206)에 의해 스트림 기억부(500b)로부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되어,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로 변환된다.
간단히 설명하면, 제 1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207)에서는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f2에 포함되는 스크램블 식별 플래그 Fsc의 값에 근거하여,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스크램블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이 행해진다. 이 판정 결과,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스크램블되어 있는 경우에만, 역스크램블 수단(208)에서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스크램블 키 판독 수단(205)에 의해 판독된 스크램블 키 Ksc를 이용하여, 역스크램블된다.
다음으로, 제 2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209)에서는 역스크램블 수단(208)으로부터의 디스크램블 음성 스트림 DSaf2 혹은 제 1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207)으로부터 스크램블되어 있지 않은 음성 스트림 Saf2가 압축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이 이들 음성 데이터 스트림 DSaf2 혹은 Saf2에 포함되는 압축 식별 플래그 Fco의 값에 근거하여 실행된다.
이 판정의 결과, 음성 데이터 스트림 DSaf2 혹은 Saf2가 압축되어 있는 경우에만, 해당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역부호화 수단(210)에서,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되어, 신장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f2가 전자 워터마크 수단(211)에 출력된다.
그리고,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211)에서는 비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 즉, 역부호화 수단(210)으로부터의 신장 음성 데이터 스트림 RSaf2, 혹은 제 2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209)에 의해 압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DSaf2, Saf2에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스트림 기억부(500b)로부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그 저작권이 보호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Saw2는 DA 변환 수단(212)에 의해서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w로 변환되고, 또한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Aaw는 스피커(20)에 의해서, 인간에게 청취 가능한 음성으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5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500)에서는 실시예 2의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에 덧붙여, 스트림 판독부(500c)를 구성한다. 본 장치의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을 유지하는 수단(416)을 구비하고, 스트림 기억부(500b)를 스크램블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키의 판독을 허가하는 기기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한 수단(411)을 가지며, 본 장치의 기기 타입 정보 Ity의 값이 판독 허가 타입 정보 기억 수단(411)에 기록되어 있는지를 검색에 의해 조사하여, 이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스크램블 키의 판독을 허가 혹은 금지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실시예 2의 효과 이외에, 음성 스트림의 재생시에 전자 워터마크 삽입을 하지 않는 재생 장치에 의해서, 스트림 기록부(500c)로부터 판독된 스크램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해독되어 버려, 저작권 보호를 위한 전자 워터마크 삽입이 실행되지 않아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재생이나 복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환언하면,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을 갖지 않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서, 데이터 기록부에 저장되어 있는 스크램블 키가 판독되는 일이 없게 된다. 그 결과, 가령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판독되더라도 데이터 음성 스트림의 역스크램블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되지 않아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재생이나 복제가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로서, 그 본체에 착탈 가능한 기록 매체(스트림 기록부)가 주로 반도체 기억 장치를 이용한 IC 카드에 의해 실현되어 있는 것을 나타냈는데,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기록 매체(스트림 기록부)는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다.
예컨대, 상기 기록 매체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데이터의 재기록이 가능한 디스크 장치이더라도 무방하다. 이 디스크 장치(600)는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재기록 가능한 디스크(602)(예컨대 DVD AUDIO RAM)와, 이를 수용하는 캐디(caddy)(601)와, 해당 캐디(602)의 내부에 배치된 콘트롤 유닛(600a)을 구비하고 있다. 이 콘트롤 유닛(600a)은 장치 본체측의 액세스 단자에 접속되는 유닛측 액세스 단자(606)와, 장치 본체와 디스크(602) 사이에서의 데이터 액세스를 제어하는 CPU(604)와, CPU(604)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603)와, 해당 CPU(904)와 유닛측 액세스 단자(906) 사이에 마련된 액세스용 I/F(605)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상에서 유통하는 음악 데이터나 패키지 형식으로 공급되는 음악 데이터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특히, 장래, MD 플레이어 등의 정규 기록 재생 장치가 전부 복사 금지된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은 기록하지 않고, 복사 금지된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음성 데이터 스트림만을 기록하는 구성으로 된 상황에서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부정 복사를 전자 워터마크의 매립에 의해 제한할 수 있어, 본 발명은 장래에 극히 유용하게 될 것이다.

Claims (16)

  1. 디지탈 음성 데이터로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하고 또한 재생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억하는 스트림 기억부와,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스트림 기억부에 기입하는 스트림 기입부와,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판독하는 스트림 판독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림 기입부는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디지탈 음성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변환 처리가 실시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스트림 속성 판정 수단과,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상기 판정 결과에 따른 값을 갖는 변환 식별 플래그를 부가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스트림 기억부에 기입하는 스트림 기입 수단을 가지며,
    상기 스트림 판독부는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 상기 변환 식별 플래그가 부가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판독하는 스트림 판독 수단과, 상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전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을 갖고, 상기 전자 워터마크 삽입의 대상으로 되는,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는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부가되어 있는 변환 식별 플래그의 값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변환 처리에 대한 역변환 처리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판독부는 상기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에 의해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DA 변환 수단을 갖고, 상기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터에 대한 변환 처리는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에 의해 압축하는 압축 처리이고
    상기 데이터 변환 처리에 대한 역변환 처리는 압축된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하는 신장 처리이며,
    상기 스트림 기입 수단은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상기 판정 결과에 따른 값을 갖는 변환 식별 플래그로서,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디지털 음성 데이터에 대한 압축 처리가 실시된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압축 식별 플래그를 부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판독부는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압축 식별 플래그에 근거하여, 상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상기 압축 처리가 실시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과, 상기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에 의해 압축 처리가 실시되고 있다고 판정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하는 역부호화 수단을 갖고,
    상기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에 의해 압축 처리가 실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및 역부호화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장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전자 워터마크 수단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판독부는 상기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에 의해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DA 변환 수단을 갖고, 상기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터에 대한 변환 처리는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에 의해 압축하는 압축 처리 및, 디지탈 음성 데이터 혹은 압축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스크램블하는 스크램블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데이터 변환 처리에 대한 역변환 처리는 압축된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하는 신장 처리 및, 스크램블된 디지탈 음성 데이터 혹은 스크램블된 압축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역스크램블하는 역스크램블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스트림 기입 수단은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상기 판정 결과에 따른 값을 갖는 변환 식별 플래그로서,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디지탈 음성 데이터에 대한 압축 처리가 실시된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압축 식별 플래그와, 상기 음성 데이터 스트림 혹은 압축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디지탈 음성 데이터에 대한 스크램블 처리가 실시된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스크램블 식별 플래그를 부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기입부는
    상기 스크램블 처리가 실시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키를 상기 스크램블 기억부에 기입하는 스크램블 키 기입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스트림 판독부는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 상기 스크램블 처리가 실시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키를 판독하는 스크램블 키 판독 수단과,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스크램블 식별 플래그에 근거하여, 상기 판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상기 스크램블 처리가 실시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1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과,
    상기 제 1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에 의해 스크램블 처리가 실시되고 있다고 판정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대응하는 스크램블 키를 이용하여 역스크램블 처리를 실시하는 역스크램블 수단과,
    상기 제 1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에 의해 스크램블 처리가 실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및 역스크램블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크램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이 상기 압축 처리가 실시된 것인지 여부를 이들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압축 식별 플래그에 근거하여 판정하는 제 2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과,
    상기 제 2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에 의해 압축 처리가 실시되고 있다고 판정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역부호화에 의해 신장하는 역부호화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 1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에 의해 스크램블 처리가 실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및 역스크램블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크램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제 2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에 공급하고, 또한 상기 제 2 스트림 플래그 판정 수단에 의해 압축 처리가 실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 및 역부호화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장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전자 워터마크 수단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판독부는 상기 전자 워터마크 삽입 수단에 의해 전자 워터마크가 삽입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DA 변환 수단을 갖고, 상기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판독부는 1개의 스트림 재생 기기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스트림 재생 기기는 그 타입을 나타내는 기기 타입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을 갖고 있으며,
    상기 스트림 기억부는
    상기 스트림 기입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하는 스트림 기억 수단과,
    상기 스트림 기억 수단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해야 하는 스트림 재생 기기를 나타내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이 유지하고 있는 기기 타입 정보를 취득하는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기기 타입 정보를, 상기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를 대상으로 하여 검색하고, 상기 취득된 기기 타입 정보에 해당하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가 존재할 때에만, 상기 스트림 기억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하는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판독부는 1개의 스트림 재생 기기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스트림 재생 기기는 그 타입을 나타내는 기기 타입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을 갖고 있으며,
    상기 스트림 기억부는
    상기 스트림 기입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하는 스트림 기억 수단과,
    상기 스트림 기억 수단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해야 하는 스트림 재생 기기를 나타내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이 유지하고 있는 기기 타입 정보를 취득하는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기기 타입 정보를, 상기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를 대상으로 하여 검색하고, 상기 취득된 기기 타입 정보에 해당하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가 존재할 때에만, 상기 스트림 기억 수단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하는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판독부는 1개의 스트림 재생 기기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스트림 재생 기기는 그 타입을 나타내는 기기 타입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을 갖고 있으며,
    상기 스트림 기억부는
    상기 스트림 기입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하는 스트림 기억 수단과,
    상기 스트림 기입부로부터의 스크램블 키를 기록하는 스크램블 키 기억 수단과,
    상기 스트림 기억 수단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해야 하는 스트림 재생 기기를 나타내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이 유지하고 있는 기기 타입 정보를 취득하는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기기 타입 정보를, 상기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를 대상으로 하여 검색하고, 상기 취득된 기기 타입 정보에 해당하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가 존재할 때에만, 상기 스트림 기억 수단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하는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판독부는 1개의 스트림 재생 기기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스트림 재생 기기는 그 타입을 나타내는 기기 타입 정보를 유지하는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을 갖고 있으며,
    상기 스트림 기억부는
    상기 스트림 기입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하는 스트림 기억 수단과,
    상기 스트림 기입부로부터의 스크램블 키를 기록하는 스크램블 키 기억 수단과,
    상기 스트림 기억 수단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판독을 허가해야 하는 스트림 재생 기기를 나타내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기기 타입 정보 유지 수단이 유지하고 있는 기기 타입 정보를 취득하는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기기 타입 정보를, 상기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를 대상으로 하여 검색하고, 상기 취득된 기기 타입 정보에 해당하는 허가 기기 타입 정보가 존재할 때에만, 상기 스크램블 키 기억 수단으로부터의 스크램블 키의 판독을 허가하는 스크램블 키 판독 허가 판정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기억부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억하는 RAM과, 상기 RAM에 대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CPU를 탑재한 IC 카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기억부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억하는 RAM과, 상기 RAM에 대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CPU를 탑재한 IC 카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림 기억 수단 및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은 상기 RAM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 및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은 CPU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기억부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억하는 RAM과, 상기 RAM에 대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CPU를 탑재한 IC 카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림 기억 수단, 스크램블 키 기억 수단 및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은 상기 RAM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 및 스트림 판독 허가 판정 수단은 CPU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기억부는 음성 데이터 스트림을 기억하는 RAM과, 상기 RAM에 대한 음성 데이터 스트림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CPU를 탑재한 IC 카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림 기억 수단, 스크램블 키 기억 수단 및 판독 허가 기기 타입 정보 기억 수단은 상기 RAM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기 타입 정보 취득 수단 및 스크램블 키 판독 허가 판정 수단은 CPU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KR1020007006175A 1998-10-08 1999-10-08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KR100349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708598 1998-10-08
JP98-287085 1998-10-08
PCT/JP1999/005566 WO2000021088A1 (fr) 1998-10-08 1999-10-08 Dispositif d'enregistrement/lecture de donne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2848A true KR20010032848A (ko) 2001-04-25
KR100349568B1 KR100349568B1 (ko) 2002-08-24

Family

ID=17712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175A KR100349568B1 (ko) 1998-10-08 1999-10-08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993133B1 (ko)
EP (1) EP1047066B1 (ko)
KR (1) KR100349568B1 (ko)
CN (1) CN1125460C (ko)
AU (1) AU768185B2 (ko)
BR (1) BR9907044A (ko)
CA (1) CA2312483A1 (ko)
DE (1) DE69904141T2 (ko)
ID (1) ID27068A (ko)
MX (1) MXPA00005542A (ko)
MY (1) MY123020A (ko)
RU (1) RU2237934C2 (ko)
WO (1) WO20000210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4831A (ja) * 2000-08-31 2002-03-15 Sony Corp データ出力方法および装置、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装置、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装置、データ記録再生方法および装置
JP2002093047A (ja) * 2000-09-20 2002-03-29 Sony Corp 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方法、データ出力装置および方法、データ表示方法、コンテンツデータ並びに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3678164B2 (ja) * 2001-04-13 2005-08-03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転送方法
US7328345B2 (en) * 2002-01-29 2008-02-05 Widevine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end to end securing of content for video on demand
US20040252615A1 (en) * 2003-06-13 2004-12-16 Darknoise Technologies Ltd. Digital content protection
JP3670649B2 (ja) * 2003-02-14 2005-07-13 株式会社東芝 ウォーターマーク処理装置およびウォーターマーク処理方法
DE102005000796A1 (de) 2005-01-05 2006-07-13 Giesecke & Devrient Gmbh Tragbarer Datenträger mit Wasserzeichen-Funktionalität
JP4716357B2 (ja) * 2005-03-29 2011-07-06 Kddi株式会社 圧縮データスクランブル配信装置、その再生装置および配信・再生装置
DK2082527T3 (en) 2006-10-18 2015-07-20 Destiny Software Productions Inc Methods for watermarking media data
EP2083418A1 (en) * 2008-01-24 2009-07-29 Deutsche Thomson OHG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 using the sampling frequency for decoding watermark information embedded in a received signal sampled with an original sampling frequency at encoder side
US8868464B2 (en) 2008-02-07 2014-10-21 Google Inc. Preventing unauthorized modification or skipping of viewing of advertisements within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1242B2 (ja) * 1990-08-24 2001-03-05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
US5379345A (en) * 1993-01-29 1995-01-03 Radio Audit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cessing of encoded data in conjunction with an audio broadcast
US5561688A (en) * 1993-12-29 1996-10-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al-time digital audio compression/decompression system
US5646997A (en) * 1994-12-14 1997-07-08 Barton; James M. Method and apparatus for embedd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in digital data
US6061793A (en) * 1996-08-30 2000-05-09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ethod and apparatus for embedding data, including watermarks, in human perceptible sounds
US5848155A (en) * 1996-09-04 1998-12-08 Nec Research Institute, Inc. Spread spectrum watermark for embedded signalling
JP3707165B2 (ja) 1996-11-01 2005-10-19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伝送方法、映像処理方法、映像伝送装置および映像処理装置
ATE224124T1 (de) * 1997-01-27 2002-09-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inhaltsinformation und darauf bezogener zusatzinformation
JPH1132200A (ja) 1997-07-09 1999-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透かしデータ挿入方法及び透かしデータ検出方法
JP4064506B2 (ja) 1997-09-17 2008-03-1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電子透かし重畳方法及び検出方法並びに装置
JP2982768B2 (ja) 1997-11-07 1999-11-29 日本電気株式会社 不正複写防止方法および装置
JP4313873B2 (ja) * 1998-01-30 2009-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データ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88566A (zh) 2001-03-21
BR9907044A (pt) 2000-10-17
DE69904141D1 (de) 2003-01-09
CA2312483A1 (en) 2000-04-13
ID27068A (id) 2001-02-22
EP1047066B1 (en) 2002-11-27
EP1047066A4 (en) 2000-12-20
KR100349568B1 (ko) 2002-08-24
US6993133B1 (en) 2006-01-31
MY123020A (en) 2006-05-31
DE69904141T2 (de) 2003-09-11
AU6005799A (en) 2000-04-26
RU2237934C2 (ru) 2004-10-10
CN1125460C (zh) 2003-10-22
EP1047066A1 (en) 2000-10-25
AU768185B2 (en) 2003-12-04
MXPA00005542A (es) 2002-04-24
WO2000021088A1 (fr) 200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6767B2 (ja) 記録信号のコピー防止システム
JP2002057997A (ja) コンテンツデータ、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方法及び装置、データ再生方法及び装置、データ送信方法及び装置、データ受信方法及び装置
KR100679879B1 (ko) 보안 식별자들을 이용하여 완전한 데이터 세트의 존재를 증명함으로써 불법 재생으로부터의 콘텐트 보호
KR100746018B1 (ko)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위한 신호 프로세싱 방법들, 디바이스들, 및 응용들
KR100349568B1 (ko)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US6810388B1 (en) Digital contents copying inhibition apparatus, digital contents copying inhibition method, and computer products
US200200760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disruptions into merged digital recordings
US7194617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event the unauthorized copying of digital information
US20030090698A1 (en) Processing copy protection signals
JP4131359B2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
US7213004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ttacking a screening algorithm based on partitioning of content
KR100753969B1 (ko) 완전한 데이터 세트의 존재의 입증에 의한 불법재생으로부터의 콘텐트의 보호
US6973573B1 (en) Detection of a digital data fingerprint
US20030088773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illicit copying of digital content
US20060126465A1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for data
EP10931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processing
US20020143502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ttacking a screening algorithm us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JP2003308096A (ja) データ変換方法およびデータ変換装置、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復元方法およびデータ復元装置、データフォーマット、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4212768A (ja) 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記録装置
JP2004252050A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データ作成者認証装置、再生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2004139646A (ja) 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出力装置及び配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