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2554A - 약제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2554A
KR20010032554A KR1020007005799A KR20007005799A KR20010032554A KR 20010032554 A KR20010032554 A KR 20010032554A KR 1020007005799 A KR1020007005799 A KR 1020007005799A KR 20007005799 A KR20007005799 A KR 20007005799A KR 20010032554 A KR20010032554 A KR 20010032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ablet
cases
capacity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하시히데유끼
오오따도시히꼬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10032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255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 수납부에의 정제 케이스의 수납 효율을 개선하고, 또한 정제 케이스에의 약제의 보충 작업성을 개선한 약제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약제 공급 장치는, 약제의 수납 용량이 다른 복수 종류의 정제 케이스와, 복수 종류의 정제 케이스 중 어느 한 종류의 정제 케이스를 복수개 수납 가능한 정제 케이스 수납부가 복수 종류 존재하고, 복수 종류의 정제 케이스 수납부는 대략 동일한 크기인 동시에, 이들 복수 종류의 정제 케이스 수납부를 적어도 두 개 이상 조합하여 형성했다.

Description

약제 공급 장치 {DRUG FEEDER}
종래부터 병원이나 조제 약국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고 소57-5282호 공보(B65B1/30)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약제 공급 장치(공보에서는 정제 포장기라 칭함)를 이용하여 의사에 의해 처방된 약제를 환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처방전에 기재된 수량의 약제(정제, 캡슐제 등)를 정제 케이스 내의 배출 드럼(상기 공보에서는 정렬반이라 칭함)으로부터 한 개씩 배출하고, 그 후는 호퍼에 의해 모아서 포장하는 것이었다.
또한, 최근에는 병원이나 조제 약국에 있어서도 공간 효율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으며, 약제 공급 장치의 설치 공간을 확대하지 않고 대용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시급한 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공보에서는 보충 가대를 추가 설치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수용량의 증가에는 한도가 있으므로, 정제 케이스를 수용하는 케이스 수납부에 정제 케이스를 효율좋게 수납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정제 케이스의 수납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정제 케이스를 수용하는 케이스 수납부를 상하에 걸쳐서 설치하고, 또한 전후로 복수 구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방측에 위치하는 케이스 수납부는 안쪽에 위치하는 케이스 수납부로의 정제 케이스의 출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안쪽 케이스 수납부의 정제 케이스에 약제를 보충할 때 등에, 하나 하나씩 전방측 케이스 수납부를 이동시켜야 한다. 그로 인해, 안쪽 케이스 수납부로의 약제 보충이 빈번하게 행해지는 상황에서는 작업성이 매우 번잡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케이스 수납부로의 정제 케이스의 수납 효율을 개선하고, 또한 정제 케이스로의 약제의 보충 작업성을 개선한 약제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병원 등에 있어서, 정제 케이스(tablet case)에 수납된 약제를 처방전에 의해 지정된 수량만큼 용기(병, 봉지) 등에 공급하는 약제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한 쪽 도어 유닛을 개방한 상태의 본 발명의 약제 공급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다른 쪽 도어 유닛을 개방한 상태의 약제 공급 장치의 일부 투시 측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약제 공급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4는 선반 부분의 약제 공급 장치의 확대 종단 측면도이고, 도5는 정제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6은 정제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7은 대용량의 정제 케이스만을 수납한 도어측 케이스 수납부의 정면도이고, 도8은 소용량의 정제 케이스만을 수납한 본체측 케이스 수납부의 정면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약제 공급 장치의 각 케이스 수납부에의 대용량의 정제 케이스와 소용량의 정제 케이스의 수납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0은 도9의 각 수납 형태에 있어서의 정제 케이스의 수와 대소 비율 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11은 약제 종류의 수와 실제 업무를 커버할 수 있는 비율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2는 약제 종류의 수와 정제 케이스의 용량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3은 본 발명의 약제 공급 장치의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고, 도14는 제어 장치의 다른 하나의 정제 케이스 인식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15는 약제 막힘시의 제어 장치에 의한 모터의 역회전·정회전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고, 도16은 종래의 약제 막힘시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본 발명의 약제 공급 장치는, 약제의 수납 용량이 다른 복수 종류의 정제 케이스와, 복수 종류의 정제 케이스 중 어느 한 종류의 정제 케이스를 복수개 수납 가능한 정제 케이스 수납부가 복수 종류 존재하고, 복수 종류의 정제 케이스 수납부는 대략 동일한 크기인 동시에, 이들 복수 종류의 정제 케이스 수납부를 적어도 두 개 이상 조합하여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 공급 장치는, 각각 약제를 수납하는 동시에 대용량과 소용량의 적어도 2종류인 정제 케이스와, 이 정제 케이스를 복수 수납하는 내측 케이스 수납부와, 이 내측 케이스 수납부의 전방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정제 케이스를 복수 수납하는 전방측 케이스 수납부를 구비하고, 이 전방측 케이스 수납부에는 대용량의 정제 케이스만을 복수 수납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약제 공급 장치는, 상기에 있어서 내측 케이스 수납부에는 소용량의 정제 케이스 또는 대용량의 정제 케이스 중 어느 한 종류의 정제 케이스만을 복수 수납한 것이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1은 한 쪽 도어 유닛(2)을 개방한 상태의 본 발명의 약제 공급 장치(1)의 사시도, 도2는 다른 쪽 도어 유닛(2)을 개방한 상태의 약제 공급 장치(1)의 일부 투시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약제 공급 장치(1)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4는 선반(26) 부분의 약제 공급 장치(1)의 확대 종단 측면도, 도5는 정제 케이스(3)의 사시도, 도6은 대용량(L)의 정제 케이스(3)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약제 공급 장치(1)는 병원이나 조제 약국 등에 설치되는 것이며,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본체(7)와, 이 본체(7)의 상면(7A) 후방부에 세워 설치된 본체측 케이스 수납부(8)와, 이 본체측 케이스 수납부(8)의 전방면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좌우 여닫이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 도어 유닛(2, 2)과, 상기 본체(7)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상황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증설 유닛(9)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7) 내 상부에는 상방으로 넓게 개방하는 호퍼(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호퍼(11)의 하단부에는 셔터(12)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호퍼(11) 하방의 본체(7) 내에는 포장기(13)가 설치되어 있으며, 호퍼(11)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비스듬하게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롤 형상의 포장지로 포장하여 취출구(14)로부터 송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측 케이스 수납부(8)는 전방면으로 개구하고 있으며, 적어도 좌우 측면은 유리 혹은 수지 등의 투명벽(16)으로 폐색되어 있다. 또한, 본체측 케이스 수납부(8)의 배면부에는 간막이 판(21)과 배면판(20) 사이에 본체측 슈트(22)가 전체폭에 걸쳐서 상하로 구획되어 있다.
이 본체측 슈트(22)의 양측 하부에는 본체측 케이스 수납부(8)의 좌우 단부로부터 상기 호퍼(11)의 상부 모서리 양측을 향해 좁아지도록 경사진 바닥면(23, 23)(도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 바닥면(23, 23) 사이는 호퍼(11) 상방에 대응하여 개구하고, 이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의 본체(7)의 상면(7A)에는 셔터(24)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간막이 판(21)에는 선반(26)이 복수단 가설되어 있으며, 선반(26)에는 후술하는 정제 케이스가 부착된다. 각 선반(26)의 안쪽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면에 개구(18)를 갖는 통로(30)가 좌우에 걸쳐서 소정의 간격을 갖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통로(30)는 안쪽으로 낮게 경사져 상기 본체측 슈트(22)에 연통하는 동시에, 각 개구(18)의 안쪽에 대응한 위치의 간막이 판(21)에는 커넥터(1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정제 케이스로서는 비교적 사용 빈도가 높은 약제를 수납하는 대용량(L)의 정제 케이스(3)와, 비교적 사용 빈도가 낮은 약제를 수납하는 소용량(S)의 정제 케이스(4)가 준비되어 있으며, 정제 케이스(3)의 용량은 실시예에서는 500 cc, 정제 케이스(4)의 용량은 250 cc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정제 케이스(3)와 정제 케이스(4)의 구조는 후술하는 수납 용기(51)의 상하 치수가 다를(정제 케이스(4)가 작음) 뿐이므로, 이하는 정제 케이스(3)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제 케이스(3)는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한 경질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수납 용기(51)와 구동 테이블(5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 용기(51)는 상면에 개구하고 있으며, 이 개구로부터 약제를 보충한다. 또한, 수납 용기(51) 내의 하부에는 안쪽으로 편위한 위치에 배출 드럼(53)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배출 드럼(53)의 상면은 중앙이 융기한 원뿔면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그 측면에는 복수개의 도시하지 않은 상하 방향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 내에 약제가 들어가 배출 드럼(53)의 회전에 수반하여 1개씩 배출된다. 또한, 배출 드럼(53)의 바닥면 중앙에는 후술하는 구동축(57)이 결합하는 결합 구멍(56)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면 부호 54는 이 홈을 상하로 구획하여 약제를 한 개씩 배출하기 위한 브러시이다. 또한, 수납 용기(51)의 전방측 측면(51A)은 이 배출 드럼(53)을 향해 안쪽이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수납 용기(51)의 안쪽의 측면(51B)은 상기 통로(30)를 따르도록 하측이 안쪽이 되도록 약간 경사져 있다. 또한, 이 측면(51B)의 하부에는 반사형 적외선 자동 센서로 이루어지는 잔여량 센서(58)가 부착되어 있다. 또, 이 잔여량 센서(58)는 정제 케이스(3)와 정제 케이스(4)용으로 2종류 구성된 카세트에 부착되며, 이 카세트를 수납 용기(5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배출 드럼(53)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구동 테이블(52) 상에는 전방측에 위치한 모터(61)와, 이 모터(61)의 회전을 감속하는 감속 기어 박스(62)와, 안쪽에 위치한 상기 구동축(57)과, 상기 감속 기어 박스(62)와 구동축(57) 사이에 개재하는 전달용 기어(전달 기구)(63)와, 기판(64)과, 자동 센서로 이루어지는 약제 검출 센서(66) 등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기판(64)에는 후술하는 표시기(LED)(67)나 메모리(68) 등이 부착되어 있으며, 구동 테이블(52)의 가장 전방측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 테이블(52)의 안쪽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배출구(69)가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출구(69)의 주위에 상기 약제 검출 센서(66)가 부착되어 배출구(69)를 통과하는 약제를 검출한다. 또한, 구동 테이블(52)의 안쪽 측면에는 커넥터(71)가 형성되어 모터(61)나 기판(64)에 결선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 용기(51)는 이러한 구동 테이블(52)에 상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 양자의 결합은 나사, 혹은 착탈 가능한 끼워 맞춤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 때, 상기 구동축(57)은 상기 배출 드럼(53)의 결합 구멍(56) 내로 진입하여 결합하는 동시에, 배출구(69)는 배출 드럼(53)의 상기 홈 하부측에 대응한다. 또한, 잔여량 센서(58)는 커넥터(71)나 기판(64)과 결선되는 동시에, 모터(61)는 수납 용기(51)의 측면(51A)의 하측에 위치한다. 이로써, 경사진 측면(51A) 하방의 무효 공간을 이용하여 모터(61)가 배치되게 되며, 수납 용기(51)의 용적을 확보하면서 정제 케이스(3)의 전체 치수의 축소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정제 케이스(3)측에 모터(61) 등이 설치됨으로써, 본체측 케이스 수납부(8)의 선반(26)을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케이스 수납부측의 구조의 간소화와 정제 케이스(3)(혹은 4)의 수납수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납 용기(51)와 구동 테이블(52)은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서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구동 테이블(52)이 고장났을 때 등의 보수성이 개선되는 동시에, 교환시의 비용의 삭감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제 케이스(3, 4)는 상기 선반(26) 상에 병렬 설치된다. 이 경우,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제 케이스(3)(혹은 4)의 기판(64)을 전방측으로 하고, 배출구(69)를 안쪽으로 한 상태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측으로부터 선반(26) 상에 삽입하고, 커넥터(71)를 본체(7)측의 커넥터(17)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접속한다. 이로써, 구동 테이블(52)은 본체(7)측의 전기 회로와 결선된다.
또한, 배출구(69)는 통로(30)의 개구(18) 상에 대응하고, 이에 의해 배출 드럼(53)으로부터 1개씩 배출된 약제는 배출구(69)를 지나서 개구(18)로부터 통로(30)에 들어가고, 그곳을 통과하여 본체측 슈트(22)로 낙하하게 된다. 또한, 배출 드럼(53)이 수납 용기(51) 하측의 안쪽에 편위하고 있음으로써, 도4와 같이 정제 케이스(3)가 부착된 상태에서 배출구(69)가 본체측 슈트(22)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측 슈트(22)와 배출구(69) 사이의 통로(30)를 짧게 할 수 있게 되어, 이로써도 무효 용적의 축소에 따른 용적 효율의 개선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약제 배출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 유닛(2, 2) 내에는 도어측 케이스 수납부(3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도어측 케이스 수납부(33, 33)는 전방면에 개구하고 있으며, 그 전방면 개구는 투명 도어(34)로 개폐 가능하게 폐색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측면은 강판 등으로 은폐되어 있다. 이 좌우 측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선반(26)이 상하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가설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어측 케이스 수납부(33, 33)의 배면부에는 전방측 간막이 판(36)과 배면판(35) 사이에 도어측 슈트(37)가 각 도어 유닛(2, 2)의 전체폭에 걸쳐서 상하로 구획되어 있다. 각 도어측 슈트(37, 37)의 하부에는 각 도어측 케이스 수납부(33, 33)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기 호퍼(11)의 상부 모서리 양측을 각각 향해 좁아지도록 경사진 바닥면(38, 3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도어 유닛(2, 2)이 본체측 케이스 수납부(8)의 전방면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양 바닥면(38, 38) 사이는 상면(7A)의 관통 구멍을 거쳐서 호퍼(11) 상방에 대응하여 개구하고, 이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면(7A)에는 셔터(39)가 부착되어 있다.
각 도어측 케이스 수납부(33, 33)의 간막이 판(36)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개구(18), 통로(30), 커넥터(17))가 설치되고, 선반(26)에도 같은 방식으로 정제 케이스(3)(혹은 4)가 복수 부착된다. 또, 이 도어측 케이스 수납부(33)의 통로(30)는 도어측 슈트(37)에 연통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도어 유닛(2, 2)이 폐쇄된 상태에서, 그 전방측에 위치하는 본체(7)의 상면(7A)에는 추가 약제를 임의로 공급하기 위한 추가 약제 공급기(4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공급기(46)로부터는 통로(47)가 호퍼(11)로 연장되어 있다. 또, 도면 부호 45는 이 공급기(46)의 커버이다. 또한, 도면 부호 50은 도어 유닛(2, 2)이 개방되었을 때, 상면(7A)의 상기 관통 구멍(도어측 슈트(37)와 호퍼(11)를 연통함)을 폐쇄하는 커버이다.
한편, 상기 증설 유닛(9)은 예를 들어 병원 등의 규모 확대에 맞춰 본체(2)의 배면에 부착되고, 정제 케이스(3, 4)를 증설하기 위한 유닛이며, 그 상부에는 증설측 케이스 수납부(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증설측 케이스 수납부(41)의 좌우 측면도 유리 혹은 수지 등의 투명벽으로 폐색되고, 이 증설측 케이스 수납부(41) 내에도 같은 선반(26)이 가설되어 있다.
또한, 증설측 케이스 수납부(41)의 전방부에는 전방판(55)과 간막이 판(60) 사이에 증설측 슈트(42)가 전체폭에 걸쳐서 상하로 구획되어 있다. 이 증설측 슈트(42)의 양측 하부에도 증설측 케이스 수납부(41)의 좌우 단부로부터 상기 호퍼(11)의 상부 모서리 양측을 향해 좁아지도록 경사진 바닥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 바닥면 사이의 개구는 해당 증설 유닛(9)이 본체(2)에 부착된 상태에서, 호퍼(11) 상단 후방부에 위치하는 본체(2)의 후방면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대응하고, 이로써 증설측 슈트(42)는 호퍼(11)에 연통하는 동시에, 상기 개구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셔터(43)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증설측 케이스 수납부(41)의 간막이 판(60)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개구(18), 통로(30), 커넥터(17))가 설치되고, 선반(26)에도 같은 방식으로 정제 케이스(3)(혹은 4)가 복수 부착된다. 또, 이 증설측 케이스 수납부(41)의 통로(30)는 증설측 슈트(42)에 연통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증설 유닛(9)은 본체(2)에 부착된 상태에서 본체측에 전기적으로 결선된다.
또, 증설 유닛(9)은 힌지(72)에 의해 본체(7)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고, 또한 각 전방판(55), 배면판(20, 35)이 개폐 가능하게 되어 보수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리고, 호퍼(11)나 포장기(13)는 본체(7)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3).
여기서, 상기 각 케이스 수납부(8, 33, 33, 41)에 대소 중 어떠한 정제 케이스(3, 4)를 수납할 것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도7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검증한다. 또, 도11은 약제의 종류(정제 케이스의 수에 대략 상당)에서 어느 정도의 업무를 커버할 수 있는지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이 도면으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약제를 150종 수납할 수 있으면 약제 공급 업무의 80 %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12는 약제의 종류와 정제 케이스의 용량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으며, 250 cc이면 대부분의 약제에 대응할 수 있고, 또한 500 cc이면 이것을 2개 사용함으로써 1000 cc 필요한 약제에도 대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정제 케이스(3)의 용량을 실시예에서는 500 cc, 정제 케이스(4)의 용량을 250 cc로 설정하고 있다.
다음에, 도9와 도10은 정제 케이스(3, 4)를 각 케이스 수납부(8, 33, 33, 41)에 수납한 경우의 총용량을 도시하고 있다. 또, 본체측 케이스 수납부(8)와 증설측 케이스 수납부(41)는 대략 동일한 크기이고, 도어측 케이스 수납부(33)는 두 개 합하여 이들 케이스 수납부(8, 41)와 대략 동일한 크기가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어측 케이스 수납부(33)는 두 개로 하나의 케이스 수납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측 케이스 수납부(33)에는 정제 케이스(3)는 70개(가로로 최대 10개, 세로로 최대 8개 ; 도7), 정제 케이스(4)는 90개(가로로 최대 10개, 세로로 최대 10개 ; 도8 참조) 거의 간극없이 수납할 수 있으며, 본체측 케이스 수납부(8)와 증설측 케이스 수납부(41)에는 각각 정제 케이스(3)를 140개(70×2), 정제 케이스(4)를 180개(90×2) 거의 간극없이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도8은 본체측 케이스 수납부(8)의 좌측 절반을 도시하고 있으며, 1개의 도어측 케이스 수납부(33)에 상당한다.
각 도면의 (1)은 모든 케이스 수납부(8, 33, 33, 41) 내에 소용량(S)의 정제 케이스(4) 만을 수납한 경우를 나타내고, (2)는 도어측 케이스 수납부(33, 33) 내에 대용량(L)의 정제 케이스(3) 만을 수납하고, 본체측 케이스 수납부(8)와 증설측 케이스 수납부(41) 내에는 소용량(S)의 정제 케이스(4) 만을 수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3)은 도어측 케이스 수납부(33, 33)와 증설측 케이스 수납부(41) 내에 대용량(L)의 정제 케이스(3) 만을 수납하고, 본체측 케이스 수납부(8) 내에는 소용량(S)의 정제 케이스(4) 만을 수납한 경우를 나타내고, (4)는 모든 케이스 수납부(8, 33, 33, 41) 내에 대용량(L)의 정제 케이스(3) 만을 수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1)의 경우는 540개(증설 유닛(9)이 없는 경우는 360개)의 정제 케이스(4)를 수납할 수 있고, (2)의 경우에는 500개(증설 유닛(9)이 없는 경우는 320개)의 정제 케이스(3, 4)를 수납할 수 있다. 또한, (3)의 경우는 460개(증설 유닛(9)이 없는 경우는 320개)의 정제 케이스(3, 4)를 수납할 수 있고, (4)의 경우에는 420개(증설 유닛(9)이 없는 경우는 280개)의 정제 케이스(3)를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대량으로 사용되는 약제는 대용량의 정제 케이스(3)에 수납하게 되지만, 이를 본체측 케이스 수납부(8)나 증설측 케이스 수납부(41)에 수납하면, 약제의 보충시에 빈번하게 도어 유닛(2, 2)을 개방하거나, 혹은 증설 유닛(9)을 개방해야 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진다. 또한, 하나의 케이스 수납부 내에 대용량의 정제 케이스(3)와 소용량의 정제 케이스(4)를 혼재시키면, 선반(26)의 간격을 반드시 대용량의 정제 케이스(3)에 맞출 필요가 있으므로, 소용량의 정제 케이스(4)의 상측에 간극이 생겨 버려 용적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하나의 케이스 수납부에는 정제 케이스(3) 또는 정제 케이스(4) 중 어느 하나만을 수납하는 것이 용적 효율상 바람직하다.
이들을 고려하면, 취급하는 약재의 종류가 많은 소위 종합 병원에서는 (2)의 형태(도어측 케이스 수납부(33, 33)에 대용량의 정제 케이스(3) 만을 수납하고, 본체측 케이스 수납부(8)와 증설측 케이스 수납부(41)에는 소용량의 정제 케이스(4) 만을 수납함)가 바람직하고, 취급하는 약제 종류가 적은 단과 병원에서는 (4)의 형태(모든 케이스 수납부(8, 33, 33, 41)에 대용량의 정제 케이스(3) 만을 수납함)가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다음에, 도13은 약제 공급 장치(1)의 전기 회로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 포장기나 셔터는 이 경우 생략되어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76은 본체(7)에 설치된 제어 장치이며, 범용의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어 장치(76)에는 각 정제 케이스(3, 4)의 모터(31)가 제어 회로(77)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도면 부호 78은 제어 회로(77)를 거쳐서 모터(31)로의 통전 전류를 검출하는 과전류 검출 회로이며, 그 출력은 제어 장치(76)에 입력되어 있다.
정제 케이스(3, 4)의 약제 검출 센서(66)는 검출 회로(79)를 거쳐서 제어 장치(76)에 입력되어 있다. 또한, 도면 부호 81은 약제 검출 센서(66)의 오염을 검출하는 회로이다. 정제 케이스(3, 4)의 잔여량 센서(58)도 검출 회로(82)를 거쳐서 제어 장치(76)에 입력되고, 상기 표시기(67)는 표시 회로(83)를 거쳐서 제어 장치(7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검출 회로(82)도 표시 회로(83)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불휘발성 R0M으로 이루어지는 정제 케이스(3, 4)의 상기 메모리(68)도 제어 장치(76)에 접속된다. 이 메모리(68)에는 해당 정제 케이스(3, 4)의 식별 데이터, 수납 용기(51)에 수납한 약제의 종류에 관한 약품 코드, 대응 약품 호수 등의 ID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76)는 RS-232C 케이블 등으로 외부의 퍼스널 컴퓨터(84)에 접속되고, 이 퍼스널 컴퓨터(84)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다.
이상의 구성으로 본 발명의 약제 공급 장치(1)의 사용법 및 동작을 설명한다. 또, 전원 투입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각 셔터(12, 24, 39, 43)는 폐쇄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체측 케이스 수납부(8)나 각 도어 유닛(2, 2)의 도어측 케이스 수납부(33, 33), 증설 유닛(9)을 부착한 경우에는 증설측 케이스 수납부(41)에는 각각 소정의 약제가 수납된 상기 정제 케이스(3, 4)를 전술한 바와 같이 부착한다.
다음에, 약제 공급 장치(1)의 전원을 투입하면, 제어 장치(76)는 우선 수납된 정제 케이스(3, 4)의 메모리 내의 ID 정보를 스캔하고, 각 정제 케이스(3, 4) 및 그에 수납된 약제의 종류 등을 식별하여 파악함으로써 데이터 베이스를 구성한다. 이 데이터 베이스는 퍼스널 컴퓨터(84)에도 출력되고, 퍼스널 컴퓨터(84)에서도 데이터 베이스를 작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제 케이스(3, 4)의 메모리(68)에 해당 정제 케이스(3, 4)에 관한 ID 정보를 기록해 두고, 이를 제어 장치(76)가 식별하여 파악하도록 했으므로, 케이스 수납부의 어떠한 위치에 정제 케이스(3, 4)를 수납해도 이후 틀림없이 약제의 공급 제어를 실현할 수 있게 되어, 소위 플러그인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상관없이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제 케이스(3, 4)를 수납하는 케이스 수납부 내의 위치(도14에 #1 내지 #8··으로 도시함)를 미리 결정해 두고, 메모리(68)에는 해당 정제 케이스(3, 4)가 수납되어야 할 케이스 수납부 내의 위치(도14에 #1 내지 #8으로 도시함)에 관한 어드레스 데이터(약품 코드, 대응 약품 호수를 포함함)를 기록해 두는 동시에, 제어 장치(76)에는 각 위치 #1 내지 #8··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설정해도 좋다.
이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76)가 스캔했을 때, 각 정제 케이스(3, 4)의 어드레스 데이터와 실제로 수납된 위치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표시 회로(83)에 의해 해당 정제 케이스(3, 4)의 표시기(67)에 경보 표시(알람)를 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잘못된 약제 공급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초기 설정 동작이 종료한 후, 조제 동작을 개시한다. 즉, 작업자가 의사의 처방전에 의거하여 상기 퍼스널 컴퓨터(84)로부터 처방 데이터를 입력하면, 약제 공급 장치(1)의 제어 장치(76)는 해당 처방 데이터에 의거하여 지정된 약제가 수납된 정제 케이스(3)(혹은 4)의 모터(61)를 제어 회로(77)에 의해 정회전시키고, 배출 드럼(53)을 회전(정회전)시켜 홈 내의 약제를 1개씩 통로(30)에 배출한다.
이 때, 제어 장치(76)는 검출 회로(79)를 거쳐서 약제 검출 센서(66)로부터 약제 검출 신호를 입력하고, 배출된 약제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소정량이 배출된 단계에서 모터(61)를 정지한다. 배출된 약제는 각 슈트(22, 37, 42) 내로 들어가 최하부의 셔터(24, 39, 43) 상에 모인다.
그리고, 제어 장치(76)는 셔터(24, 39, 43)를 개방하여 약제를 호퍼(11) 내로 낙하시켜 셔터(12) 상에 모은다. 이 셔터(12)는 포장 봉지 내부에 삽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제어 장치(76)는 그 후 이 셔터(12)를 개방하여 약제를 포장지 내에 투입하고, 포장기(13)로 포장한 후, 취출구(14)로부터 외부로 송출하는 것이다. 이 때, 포장해야 할 약제가 각 케이스 수납부(8, 33, 33, 41)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 케이스 수납부(8, 33, 33, 41)의 정제 케이스(3, 4)로부터 동시에 배출을 행하고, 동시에 혹은 약제가 배출된 정제 케이스의 수납부의 셔터를 개방하여 포장한다. 이로써, 포장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조제 동작 중, 약제가 배출구(69)와 배출 드럼(53) 사이에 끼여 막힌 경우, 모터(61)는 로크 상태가 되므로 과대한 로크 전류가 흐른다. 제어 장치(76)는 과전류 검출 회로(78)에 의해 모터(61)로의 통전 전류로부터 이러한 로크 상태를 검지한다. 그리고, 도15의 타이밍 차트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로크 상태가 발생한 시점에서 제어 회로(77)에 의해 모터(61)를 짧은 기간에 역회전시키고, 배출 드럼(53)을 역회전시킨다. 다음에, 마찬가지로 짧은 기간에 모터(61)를 정회전시키고, 배출 드럼(53)을 정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역회전·정회전 동작을 수회 반복함으로써, 막힌 약제가 낙하하여 (로크 해제) 약제 검출 센서(66)가 약제 검출 신호를 발생(온)하면, 제어 장치(76)는 다시 모터(61)를 통상의 제어(정회전)로 복귀시킨다. 그런데, 종래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로크 상태의 발생으로부터 5초후에 조제 동작을 정지하여 알람을 발생시켰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짧게 역회전·정회전시킴으로써 약제의 막힘을 자동적으로 해소하여 곧 이어서 조제 동작을 계속(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역회전·정회전을 소정 횟수 반복해도 약제 검출 센서(66)로부터 약제 검출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76)는 조제 동작을 정지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기(67)로 경보 표시(알람)를 행한다.
여기서, 이러한 조제 동작에 의해서 정제 케이스(3, 4)의 수납 용기(1) 내의 약제가 감소하여 그 잔여량이 잔여량 센서(58)가 부착된 위치보다도 저하되면, 잔여량 센서(58)의 출력이 H(약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L)가 된다. 잔여량 센서(58)의 출력이 H가 되면, 검출 회로(82)로부터 해당 정보가 제어 장치(76)로 전송되는 동시에 표시 회로(83)에도 전송되고, 표시 회로(83)는 표시기(67)에 잔여량 감소를 뜻하는 경고 표시를 행한다.
또한, 이 표시는 제어 장치(76)가 표시 회로(83)에 지시하여 행하게 해도 좋다. 이로써, 사용자는 약제가 없어지기 전에 잔여량의 감소를 파악하여 다른 약제 공급을 행하면서 보충할 수 있게 되므로, 없어지고 나서 조제 운전을 정지하고 보충을 행하는 경우에 비해 운전 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여기서, 제어 장치(76)는 예를 들어 배출 드럼(53)의 동작중에만 이 잔여량 센서(58)에 의한 잔여량 검출(발광)을 행한다. 이로써, 항상 발광시키는 경우에 비해 잔여량 센서(58)가 발하는 적외선에 의한 약제에의 악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의 수납 용량이 다른 복수 종류의 정제 케이스와, 복수 종류의 정제 케이스 중 어느 한 종류의 정제 케이스를 복수개 수납 가능한 정제 케이스 수납부가 복수 종류 존재하고, 복수 종류의 정제 케이스 수납부는 대략 동일한 크기인 동시에, 이들 복수 종류의 정제 케이스 수납부를 적어도 두 개 이상 조합하여 형성했으므로, 약제의 사용 상황에 따라서 수납 용량이 다른 복수 종류의 정제 케이스를 구분하여 사용하고, 또한 각 케이스 수납부에 효율좋게 각 정제 케이스를 수납하여 용적 효율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 약제를 수납하는 동시에 대용량과 소용량의 적어도 2종류인 정제 케이스와, 이 정제 케이스를 복수 수납하는 내측 케이스 수납부와, 이 내측 케이스 수납부의 전방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정제 케이스를 복수 수납하는 전방측 케이스 수납부를 구비한 약제 공급 장치에 있어서, 전방측 케이스 수납부에 대용량의 정제 케이스만을 복수 수납하도록 했으므로, 사용량이 많은 약제를 수납하는 대용량의 정제 케이스가 보충 작업이 용이한 전방측 케이스 수납부에 수납되게 되어, 약제의 보충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부가하여 내측 케이스 수납부에는 소용량의 정제 케이스 또는 대용량의 정제 케이스 중 어느 한 종류의 정제 케이스만을 복수 수납했으므로, 치수가 다른 대용량의 정제 케이스와 소용량의 정제 케이스를 혼재시키는 경우에 비해 케이스 수납부 내에 발생하는 무효 용적을 적게 하며, 결과적으로 약제 수납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Claims (3)

  1. 약제의 수납 용량이 다른 복수 종류의 정제 케이스와, 상기 복수 종류의 정제 케이스 중 어느 한 종류의 정제 케이스를 복수개 수납 가능한 케이스 수납부가 복수 종류 존재하고, 상기 복수 종류의 케이스 수납부는 대략 동일한 크기인 동시에, 이들 복수 종류의 케이스 수납부를 적어도 두 개 이상 조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공급 장치.
  2. 각각 약제를 수납하는 동시에 대용량과 소용량의 적어도 2종류인 정제 케이스와, 이 정제 케이스를 복수 수납하는 내측 케이스 수납부와, 이 내측 케이스수납부의 전방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정제 케이스를 복수 수납하는 전방측 케이스 수납부를 구비하고, 이 전방측 케이스 수납부에는 상기 대용량의 정제 케이스만을 복수 수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케이스 수납부에는 상기 소용량의 정제 케이스 또는 대용량의 정제 케이스 중 어느 한 종류의 정제 케이스만을 복수 수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공급 장치.
KR1020007005799A 1998-09-29 1999-09-21 약제 공급 장치 KR200100325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75606A JP2000103401A (ja) 1998-09-29 1998-09-29 薬剤供給装置
JP98-275606 1998-09-29
PCT/JP1999/005136 WO2000018647A1 (en) 1998-09-29 1999-09-21 Drug fee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2554A true KR20010032554A (ko) 2001-04-25

Family

ID=17557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5799A KR20010032554A (ko) 1998-09-29 1999-09-21 약제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49999B1 (ko)
JP (1) JP2000103401A (ko)
KR (1) KR20010032554A (ko)
TW (1) TW424064B (ko)
WO (1) WO20000186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611B1 (ko) * 2007-11-02 2010-09-0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포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179B1 (ko) * 2002-02-20 2010-12-24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약제 공급 장치
JP2005160607A (ja) * 2003-12-01 2005-06-23 Sanyo Electric Co Ltd 薬剤供給装置
US20100219728A1 (en) * 2009-02-27 2010-09-02 Richard Wolpow Quick dispense system
US20070145868A1 (en) * 2005-12-28 2007-06-28 Lori Greiner Swivel organizer
US20080129163A1 (en) * 2006-12-05 2008-06-05 Lori Greiner Tri-fold mirror organizer
US20080143222A1 (en) * 2006-12-13 2008-06-19 Lori Greiner Tri-fold mirror swivel organizer
EP2298271B1 (en) * 2008-09-30 2012-08-22 Sanyo Electric Co., Ltd. Tablet supply apparatus
JP2010082052A (ja) * 2008-09-30 2010-04-15 Sanyo Electric Co Ltd 薬剤供給装置
US8831770B2 (en) * 2009-04-01 2014-09-09 Carefusion 303, Inc. Vertical medication storage system
KR101307735B1 (ko) * 2009-06-03 201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3142351A1 (en) 2012-03-20 2013-09-26 Intermetro Industries Corporation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having drawer assembly with discrete compartments
US9081887B2 (en) 2013-03-15 2015-07-14 Intermetro Industries Corporation Medication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having linear drawer assembly including discrete storage modules
WO2014143810A1 (en) 2013-03-15 2014-09-18 Intermetro Industries Corporation Medication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US11026507B1 (en) 2019-12-04 2021-06-08 Robern, Inc. Cabinet
WO2023205396A1 (en) * 2022-04-21 2023-10-26 Paul Boardman Mobile lifestyle storage systems and associated component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32963A (fr) * 1903-06-11 1903-11-12 Louis Emile Alexandre Casadesu Système de bibliothèque
US1227799A (en) * 1915-09-20 1917-05-29 Arthur D Kaub Cabinet.
JPS575282Y2 (ko) * 1978-09-09 1982-02-01
JPS575282A (en) 1980-06-13 1982-01-12 Hitachi Netsu Kigu Kk Controller for room heater
US4480744A (en) * 1982-12-07 1984-11-06 Blackmon Laura M Multi-sectioned storage case
US4502742A (en) * 1983-01-05 1985-03-05 Neff Paul J Storage unit
JPH0441048Y2 (ko) * 1985-06-19 1992-09-28
JPS62566A (ja) 1985-06-27 1987-01-06 Pentel Kk 蛍光水性イン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611B1 (ko) * 2007-11-02 2010-09-0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포장 장치
US7950202B2 (en) 2007-11-02 2011-05-31 Yuyama Mfg. Co., Ltd. Medicine packing device
US8209942B2 (en) 2007-11-02 2012-07-03 Yuyama Mfg. Co., Ltd. Medicine pack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49999B1 (en) 2002-02-26
JP2000103401A (ja) 2000-04-11
TW424064B (en) 2001-03-01
WO2000018647A1 (en)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890B1 (ko) 약제 공급 장치
KR20010032553A (ko) 약제 공급 장치
KR20010032552A (ko) 약제 공급 장치
KR20010032554A (ko) 약제 공급 장치
KR20010032393A (ko) 약제 공급 장치
KR100744882B1 (ko) 고형 제제 충전 장치
US5852911A (en) Tablet dispenser
EP1053738B1 (en) Solid preparation filling Apparatus
JP3547924B2 (ja) 固形製剤充填装置
EP1604631A1 (en) Tablet automatic packaging machine
US5607085A (en) Tamper proof vending mahcine with interchangeable product compartments
JP2001129058A (ja) 固形製剤充填装置
JP2001129059A (ja) 固形製剤充填装置
JP2000103402A (ja) 薬剤供給装置
JP2000219201A (ja) 薬剤供給装置
JP2000103403A (ja) 薬剤供給装置
JP2001276182A (ja) 固形製剤充填装置
JP2001129060A (ja) 固形製剤充填装置
JPH11278401A (ja) 錠剤供給装置
CN215689890U (zh) 计数药盒及储药模组
JPH11278402A (ja) 錠剤供給装置
JP2004290236A (ja) 薬剤供給装置及びタブレットケース
JP2004290237A (ja) 薬剤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薬剤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