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2409A - 음성 무선호출 프로토콜 - Google Patents

음성 무선호출 프로토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2409A
KR20010032409A KR1020007005649A KR20007005649A KR20010032409A KR 20010032409 A KR20010032409 A KR 20010032409A KR 1020007005649 A KR1020007005649 A KR 1020007005649A KR 20007005649 A KR20007005649 A KR 20007005649A KR 20010032409 A KR20010032409 A KR 20010032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essage
receiver
address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5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시. 브라이언
로날드 에스. 레프버
로버트 시. 하프
하워드 에이치. 스토버
로렌스 제이. 카
Original Assignee
추후보정
클레리티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인터내셔널,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보정, 클레리티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인터내셔널, 엘티디. filed Critical 추후보정
Publication of KR20010032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240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5Selective call encoders for paging networks, e.g. paging centre devices
    • H04W88/187Selective call encoders for paging networks, e.g. paging centre devices using digital or pulse address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3Selective call receivers with message or information receiving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무선호출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무선호출기(400),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가리키는 표시신호(610) 및 수신기로 향하는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선택적 호출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표시신호(722) 및 미리 결정된 시간격에 대한 지연을 먼저 송신한다. 이어서, 첫 번째 표시신호 및 수신기(920)에 대한 메시지 신호의 적어도 한 일부분을 처음 송신(706)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제 메시지의 송신에 앞서 표시신호 시간 다이버시티를 제공한다. 본 방법은 수신기에 대응하는 주소(202, 204) 뿐만 아니라, 수신기를 지시하는 호출신호(예를 들어, 단일 비트)(100)를 사용한다.

Description

음성 무선호출 프로토콜{VOICE PAGING PROTOCOL}
수년 전부터 무선호출은 오늘날 통신산업분야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 중의 하나가 되었다. 어떤 산업자료에 따르면, 현재 서비스중인 무선호출기가 5500만개에 이르며, 2000년까지 거의 7000만개에 이르는 무선호출기가 서비스 제공업자에게 수십 억 달러에 이르는 수입을 가져다 줄 것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무선호출은 하나의 엔터티(entity)가 무선수신기(예를 들어, 무선호출기)를 가진 또 다른 엔터티에 메시지를 보내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무선호출기의 무선 특성은 미리 정해진 서비스 구역 내에서 사용자(carrier)가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액세스 가능하도록 한다. 초창기의 무선호출기는 사용자가 특정번호로 호출에 응답하거나, 음성메일을 무선호출기 서비스 제공자가 검색하도록 요구하는 비핑(beeping) 기능만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무선호출기의 기능(소비자 요구에 의한)이 문자 메시지를 통신할 수 있을 정도로 확장되었다. 문자 메시지 무선호출기는 제한된 길이의 문자메시지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영숫자(alphanumeric) 문자를 수신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영숫자 무선호출기는 사용자가 메시지에 대하여 응답하도록 요구하기보다는, 각 사용자에게 중요한 정보를 즉시 제공할 수 있다.
영숫자 무선호출기의 등장으로, 무선호출기의 기능은 단순한 호출(alerting)에 국한되지 않게 되었다. 오히려, 무선호출기는 주식시세 또는 이메일(e-mail)의 수신을 포함해서 새로운 단방향(unidirectional)의 통신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영숫자 무선호출기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급격히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음성 무선호출기(voice pager)로 알려진 훨씬 복잡한 무선호출기가 영숫자 무선호출기에 대한 요구를 곧 대체할 것이다.
음성 무선호출기는 응답기와 유사한 녹음 재생기의 실제 음성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음성 무선호출기의 이점은 사용자가 다수 메시지를 저장하고, 다시 듣고, 호출자(caller)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음성 무선호출기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과 그것들의 통신 프로토콜은 어느 정도 제한되어 왔다.
그 예로서, 인포텔레콤(InfoTelecom)은 디지털 음성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모비닥(MobiDARC)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모비닥 프로토콜은 상대적으로 느린 송신율, 6.8 Kbps를 지원한다. 인터리브되지 않은(non-interleaved) 코드를 이용하여 9.7 Kbps 송신율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인터리빙의 부재는 도처에 산재한 페이딩효과에 의하여 메시지와 음성의 품질을 급격히 감소시킨다. 물론, 어떤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송신율의 감소와 더불어 증가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프로토콜 내에서 주소와 메시지 정보는 대개 매우 밀접하게 위치하고, 반복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짧은 주소부를 유실한 무선호출기는 메시지도 함께 유실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메시지 송신에 필요한 대역은 낭비되고, 중요한 메시지는 수신되지 않으며, 시스템은 메시지를 더 빈번히 재송신하여야만 한다. 또한, 무선호출 서비스 가입자는 그러한 재송신에 대하여 관대할 것 같지 않다.
음성 무선호출기의 출현과 더불어 유실된 메시지는 사소한 불편 이상의 것이 되었다. 음성메시지는 수초에 걸쳐, 수천 비트나 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유실된 음성 메시지를 재송신하는데 필요한 시스템 자원의 양은 매우 커진다. 또한, 그러한 긴 메시지와 더불어 메시지가 재송신되는 동안의 시간은 종종 매우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유실된 메시지는 메시지가 수신되기까지 상당한 지연을 초래할 수 있다. 음성 무선호출은 시장에서 중요하게 자리잡았음에도 불구하고, 음성 무선호출을 지원하는 앞서의 프로토콜들은 간단한 영숫자 무선호출기의 프로토콜에 비해 향상된 메시지 수신을 제공하지 못해 왔다. 사용자의 불만족, 대역의 낭비, 메시지의 전달실패 등을 초래하였다.
보다 중요한 점은 무선호출기 배터리의 수명에 관한 것이다. 보다 긴 배터리 수명이 마케팅 관점에서 물론 바람직할뿐만 아니라, 무선호출기의 기계적인 내구성에도 기여한다. 모든 무선호출기들은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서 수신회로를 활성화시켜야만 한다. 메시지 수신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무선호출기에 사용되는 특별한 기법은 배터리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과거에는 음성 무선호출기 프로토콜이 메시지수신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시간동안 무선호출기가 액티브(active) 상태를 유지하도록 요구하였다.
복잡한 무선호출 기능을 지원하는 향상된 음성 무선호출 프로토콜에 대한 요구가 오랫동안 산업계에 존재하여 왔다.
본 발명은 통신 프로토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치 음성(rich voice) 무선호출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는데 적합한 프로토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alert 패킷 포맷의 실시예의 하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포인터 패킷 포맷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하우스키핑 패킷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프로토콜 프레임의 구조의 예를 기술한 도면.
도 5는 스트림헤더 포맷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현재의 무선호출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메시지 내에서 수신기가 수행할 질문(query)과 그 결과로서의 동작을 결정할 수신기 결정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프로토콜에 따라 송신의 하이레벨 흐름도를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의 하이레벨 흐름도를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음성페이지 프로토콜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송신기와 수신기 하드웨어의 하이레벨 블록도를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호출신호
600 : 파일 포맷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 무선호출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이버시티 송수신 기법이 통합된 음성 무선호출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일 프레임 내에 다이버시티 송신기법을 결합시킨 음성 무선호출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프레임 내에 다이버시티 송신기법을 결합시킨 음성 무선호출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호출기에 대한 전력소비를 감소시키는 음성 무선호출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무선호출기로 수신되는 메시지의 앞선 호출신호를 제공하는 음성 무선호출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프레임을 통해 긴 음성메시지가 송신되도록 하는 음성 무선호출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룹 메시지송신 기능을 제공하는 음성 페이지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것이다. 로우밍(roaming) 무선호출기를 지원하는 음성 페이지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본 음성 페이지 프로토콜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선택된 호출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신기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선택적 호출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가리키는 표시(indicator)신호와 수신기로 향하는 데이터 신호를 포함한다. 표시신호는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무선호출기,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무선호출기에 대응하는 주소, 또는 호출과 주소정보의 조합 모두에 할당된 호출신호가 될 수 있다.
본 방법은 표시신호와 미리 결정된 신호간격에 대한 지연을 처음 송신한다. 이어서, 첫 번째 표시신호의 적어도 일부분과 수신기에 대한 메시지 신호를 첫 번째로 송신한다. 그리하여, 실제 메시지 송신 전에 표시신호 시간의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기 위해서 표시신호의 일부분이 반복된다.
본 방법은 표시신호의 일부분과 메시지 신호를 다음 프레임에서 반복하는 동안, 프레임을 정기적으로 송신하거나 표시신호(예를 들어 제1 프레임)를 송신한다. 하나의 예로서, 호출신호와 주소 표시신호 전체가 다음 프레임에서 반복 될 수 있다. 또한, 다중 프레임에 걸쳐 3번 또는 그 이상의 주소 반복을 제공하기 위하여, 주소에 대응하는 표시신호의 일부분이 다음 프레임에서 다시 반복된다.
본 발명은 수신기의 전력소비를 감소시키는 정보송신방법을 제공한다. 본 정보송신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가리키는 표시신호와 수신기로 향하는 메시지 신호를 포함한 선택적 호출 메시지를 사용한다. 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가리키는 호출신호를 설정하고 송신함으로써 진행된다. 또한, 수신기에 대응하는 주소가 설정되고 송신되어, 수신기로 향하는 메시지 신호가 송신된다. 호출신호는 예를 들어 단일의 호출신호비트가 될 수 있다.
본 방법은 추가의 호출신호, 주소신호, 메시지신호를 동시에 설정하고 송신함으로써 추가메시지를 추가된 수신기로 송신할 수 있다. 수신기 그룹(공통주소를 공유하는 무선호출기의 집합)도 역시 지원될 수 있다. 그룹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서, 본 방법은 예를 들어 수신기 그룹내의 수신기들을 가리키는 몇 개의 추가 호출신호비트를 추가적으로 설정하고 송신한다. 수신기 그룹내의 각 수신기로 향하는 단일 그룹메시지 신호 역시 송신된다.
수신기 그룹으로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해서, 다른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주소가 없는 수신기 그룹에 대하여 본 방법은 그룹내의 수신기에 해당하는 개개의 호출신호비트를 설정, 송신하고, 그룹내의 각 수신기에 대한 각각의 주소를 설정, 송신하고, 이어서 그룹내의 각 수신기로 향하는 메시지 신호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기술은 몇 가지 단계로 진행된다. 첫 번째로, 본 출원은 프로토콜 이해에 유용한 일반적인 기본정보를 제시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은 프로토콜의 구조적 측면을 살펴본다. 이후에, 본 출원은 프로토콜의 몇 가지 운영특성을 제시한다.
본 프로토콜은 수많은 개개의 부분들(pieces)로부터 만들어진다. 최상의 레벨에서, 본 프로토콜은 반복되는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고, 각 프레임은 앞서의 프레임과 같은 포맷을 따른다. 각 프레임은 교대로 정보 패킷들로부터 구성된다. 예로서, 프레임은 2922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킷은 미리 결정된 심볼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예로서, 각 패킷은 128개의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심볼은 반송파 주파수의 변조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변조는 예를 들어 4 또는 8 레벨(각각 QPSK와 8-PSK)에서 위상편이변조(Phase Shift Keying)가 될 수 있다. 상기의 예는 제시되지는 않지만, 프로토콜이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한 하나의 특정예를 제공한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논의되는바와 같이, 패킷들은 심볼들을 호출신호 패킷, 포인터 패킷(Pointer packets), 하우스키핑 패킷(Housekeeping packets)을 포함하는 패킷형태로 그룹 짓는다. 또한,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 패킷을 사용하여 별개의 음성데이터 구역 내에서 일반적으로 송신된다.
본 프로토콜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하나의 환경으로 표준 FM 라디오 방송 환경이 있다. 일반적으로, FM 라디오는 87.5에서 108 MHz의 주파수범위에서 여러 개의 200 KHz 간격의 채널들을 제공한다. FM 신호의 기저대역(baseband)은 100 KHz의 대역폭을 사용하며, 이중 약 53 KHz가 스테레오 오디오 정보에 사용되고, 나머지 47KHz가 약 67 KHz와 92KHz에 중심이 놓인 보조적 통신업무허가(SCA; Subsidiary Communications Authorization) 채널들로 분할된다. 보조적 통신업무허가 채널의 각각은 아래에서 논의될 프로토콜에 따라서 정보를 운반하기에 적합하다.
FM 방송시설이 기존의, 전세계에 널려 있는 정보의 운송체계를 제공하는 반면에, 본 프로토콜은 다른 유용한 주파수 대역 또는 통신 시설에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다음의 프로토콜이 무선호출 시스템과 관련지어 특별히 기술되는 반면에, 그 프로토콜은 특별한 사용에 국한되지 않는다.
구조적 측면(Structural Aspects)
앞서 살펴본 대로, 프레임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패킷들은 호출 패킷, 포인터 패킷, 하우스키핑 패킷을 포함한다.
호출신호 패킷(Alert Packets)
도 1은 호출신호 패킷 포맷(100)을 나타낸다. 포맷(100)은 파일럿 마크(pilot mark)(102), 패킷열 번호(104), 시스템 식별자(106)를 포함한다. 또한, 포맷(100)은 호출신호비트필드(108), 주기적 덧붙임 검사(CRC; Cyclic Redundancy Check)필드(110), 플러쉬필드(112)를 포함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파일럿 마크(102)는 2진 위상편이변조(BPSK)의 변조된 반송파의 4가지 심볼로부터 형성된다. 파일럿 마크(102)내의 심볼열은 시간과 패킷동기를 위해 무선호출기에서 사용되는 미리 정해진 페이지변화의 열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송신국과 수신 무선호출기는 파일럿 마크(102)가 송신되도록(수신동안 동기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신 무선호출기와 관련하여 일관된 동기를 제공하도록 파일럿 마크는 128 심볼마다 삽입된다. 그리하여, 포인터 패킷 포맷(100)(아래에서 논의될 다른 포맷과 함께)내의 파일럿 마크는 기술적으로 포인터 패킷을 통합한 부분이 아니고, 단순히 128 심볼마다 반복되어 나타나는 것일 뿐이다.
패킷열 번호(104)는 파일럿 마크(102)와 같이 변조된 반송파의 4개 심볼로부터 형성된다. 그러나, 패킷열 번호(104)는 QPSK 변조가 되어, 결과적으로 패킷열 번호(104)에 존재하는 8비트의 정보가 된다. QPSK 변조로의 전환은 파일럿 마크(보다 가까이 위치한 8PSK의 8개의 심볼들보다 노이즈를 보다 잘 견딜 수 있는 4개의 심볼을 제공함으로써)에 관하여 앞서 기술한 동기과정에 도움이 된다.
패킷열 번호(104)는 패킷의 위치와 타입을 지시한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호출신호, 포인터, 하우스키핑 패킷은 프레임 내에서 패킷짧은 메시지구역(short message section)(202)을 형성한다. 각 패킷은 패킷열 번호필드를 써서 0부터 201까지 차례로 번호가 매겨진다. 그리하여, 예를 들어 처음의 80개 호출신호 패킷들은 0-79까지의 번호가, 연이은 10개의 포인터 패킷은 80-89의 번호가 매겨진다. 짧은 메시지 구역의 포맷은 고정된 것으로 보기 때문에, 수신기 무선호출기는 패킷열 번호를 사용하여 현재 수신되고, 프레임 내에 위치하는 패킷의 형태를 결정한다.
도 1에 의하면, 시스템 식별자(106)는 8-PSK 변조 반송파의 6개의 심볼로부터 형성된다. 시스템 식별자(106)는 가공되지 않은 18 비트의 데이터를 운반한다. 시스템 식별자(아래에서 논의될 호출신호비트필드(108), CRC 필드(110), 플러쉬필드(112)처럼)는 2/3 비율로 길쌈 부호화된다. 그리하여, 길쌈 부호기(encoder)에 의한 가공되지 않은 데이터출력의 모든 3비트에 대하여 2비트는 부호화되지 않은 정보를 표시한다. 시스템 식별자(106)는 시스템 식별자(예를 들어, 4096개의 시스템 식별자)를 표시하는 12비트를 포함한다.
FM 송신시설과 함께 사용될 때, 예를 들어 본 프로토콜은 특정 FM국을 지시하기 위해 시스템 식별자를 사용한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각 국은 다른 시스템 식별자를 사용하고 각 무선호출기는 특정국에 할당된다. 시스템 식별자는 무선호출기 주소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단일 시스템 식별자는 몇 개의 FM국 중에서 공유될 수 있다. 특히, 간섭이 심한 지역(예를 들어, 대도시)에서는 무선호출기에 적어도 하나의 대체 FM국을 제공하기 위해, 몇 개의 FM국이 동일한 시스템 식별자를 공유하고, 다른 주파수들에서 복사된 프레임 세트를 송신한다.
도 1에서 보는바와 같이, 호출신호비트필드(108)는 8-PSK 변조 반송파의 103개의 심볼에 걸쳐 있다. 2/3의 비율로 부호화된 후에, 호출신호비트 필드(108)는 206비트의 정보를 제공한다.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지원되는 각각의 무선호출기는 무선호출기에 호출신호비트필드 내의 적어도 1비트를 할당한다. 특정 호출신호비트가 설정되면, 메시지는 현재 또는 다음 프레임에 이어지는 음성데이터 구역 중의 하나에 놓이게 되어, 메시지가 송신될 수신기에 표시신호가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호출신호비트는 고유비트(unique bits) 또는 공유비트 중의 하나로 사용된다. 고유비트는 단지 하나의 무선호출기만을 식별한다. 공유비트는 하나 이상의 무선호출기를 지시하고, 예를 들어 로우머(roamer)와 시스템 확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호출신호비트의 사용은 아래에 보다 상세히 기술된다.
다음으로, CRC필드(110)는 8-PSK 변조 반송파의 8개의 심볼로부터 형성된다. 2/3비율의 부호화 후에, CRC필드는 CRC 정보의 16비트를 나타낸다. CRC필드(110)내의 CRC는 시스템 식별자(106), 호출신호비트필드(108), CRC필드(110) 그 자체로써 계산된다. 마지막으로, 플러쉬필드(112)는 8-PSK 변조 반송파의 3개의 심볼로부터 형성되고, 2/3 비율로 부호화된다. 그리하여, 플러쉬필드(112)는 길쌈 복호기(convolutional decoder)를 다음의 패킷을 준비하는 기지 상태(known state)로 재설정하는데 사용되는 6비트를 제공한다.
포인터 패킷(Pointer Packets)
도 2는 포인터 패킷 포맷(200), 짧은주소 포인터(202), 긴주소 포인터(204)의 예를 나타낸다. 포인터 패킷 포맷(200)은 파일럿 마크(206), 패킷열번호(208), 시스템 식별자(210)를 포함한다. 또한, 로우밍플래그(212), 메시지포인터 필드(214), CRC필드(216), 플러쉬필드(218)도 포함된다.
파일럿마크(206), 패킷열번호(208), 시스템 식별자(210), CRC필드(216), 플러쉬필드(218)는 호출신호 패킷포맷(100)내의 동일한 필드에 관하여 앞서 기술된 대로 형성되고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CRC필드(216)는 시스템 식별자(210), 로우밍플래그(212), 메시지포인터 필드(214), CRC필드(216)에 대하여 CRC를 계산한다.
로우밍플래그(212)는 메시지포인터 필드(214)내의 포인터의 타입을 지시하는 단일 비트이다. 예로서, 로우밍플래그(212)가 0일 때에는 짧은주소 포인터(202)가 메시지포인터 필드(214)내에 존재함을 지시한다. 로우밍플래그(212)가 1일 때에는 긴주소 포인터(204)가 메시지포인터 필드(214)내에 존재함을 지시한다.
메시지포인터 필드(214)는, 메시지가 언제 무선호출기로 보내지는 지와 음성데이터영역에서 메시지를 어디서 찾을 것인지를 무선호출기가 결정하도록 하는 주소정보를 가진 포인터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그리하여, 포인터는 표시신호를 메시지가 송신될 수신기에 전달한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메시지포인터필드는 205비트의 실제(2/3비율의 부호화전에) 포인터정보를 포함한다.
포인터에 관한 특정예에서, 짧은주소 포인터(202)는 첫 번째 보류비트(reserved bit)(220), 두 번째 보류비트(222), 스트림 식별자(224), 보류필드(226), 짧은주소(228)를 포함한다. 보류비트(220, 222)와 보류필드(226)는 본 프로토콜의 향후 확장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지 아니한다.
본 프로토콜의 실시예의 하나로서, 스트림 식별자(224)는 3비트이고, 8개의 고유 스트림 중의 하나를 결정한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메시지는 송신을 위해서 8개의 스트림들 중의 하나에 할당된다. 수신의 초기단계로서, 무선호출기는 스트림 식별자(224)를 해석하여 적절한 스트림으로부터 메시지를 불러 낸다.
짧은주소(228)는 특정 무선호출기(예를 들어, 지정 서비스지역 내의 무선호출기에 할당된 ″홈″주소)에 할당된 주소를 포함한다. 예로서, 짧은주소(228)는 16비트의 길이를 가지며, 65,536개의 무선호출기 또는 그룹 중의 하나를 식별한다. 대부분의 경우, 무선호출기는 그것에 할당된 하나의 고유주소에 대하여 응답한다. 선택적으로, 짧은주소(228)는 그룹 주소(이것에 의해 미리 결정된 무선호출기의 그룹이 선택됨)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로컬(local) 판매팀에 대한 한 세트의 무선호출기내에 있는 각각의 무선호출기에 대하여 그룹 주소가 할당된다. 그리하여, 판매팀이 정보를 공유할 필요가 있는 경우, 메시지를 판매팀의 그룹주소로 보낼 수 있다. 단일 메시지는 판매그룹내의 모든 무선호출기를 갱신할 수 있다.
그룹주소의 또 다른 이용으로, 모든 무선호출기에 대하여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보류방송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디지털 프로그래밍 데이터를 서브세트(subset)의 무선호출기들에게 보내기 위해서 프로그래밍 주소가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프로토콜 소프트웨어를 갱신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그룹주소는 메시지포인터 필드(214)내에 존재하는 개개의 무선호출기에 대한 포인터의 끝에 위치한다.
포인터의 또다른 예는 긴주소 포인터(204)이다. 짧은주소 포인터와 같이 긴주소 포인터는 첫 번째 보류비트(reserved bit)(230), 두 번째 보류비트(232), 스트림 식별자(234), 보류필드(236), 긴주소(238)를 포함한다. 보류비트(230, 232), 보류필드(236) 및 스트림 식별자(234)는 앞서의 짧은주소 포인터(202)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긴주소 포인터(204)에서는 긴주소(238)가 짧은주소(228)에 의해 제공되는 추가정보를 대개 포함한다. 그리하여, 예를 들어 긴주소(238)는 16비트 홈주소와 연결된 12비트 스트림 식별자를 이용하여 로우밍 무선호출기를 지원할 수 있다. 로우밍 사용자로 송신되는 메시지는, 홈시스템 식별자와 홈주소에 따라서 무선호출기를 선택하기 위해 로우밍 플래그(212)의 설정과 추가주소정보(예를 들어, 긴주소(238))의 제공을 대개 포함한다. 그리하여, 특정 시스템 지역 내에 있는 무선호출기로서 동일한 호출신호비트(와 동일한 홈주소)를 사용하는 로우밍 무선호출기는 완전한(completer) 긴주소(238)를 검사함으로써 메시지 목적지를 구별한다.
하우스키핑 패킷(Housekeeping Packets)
도 3은 2개의 하우스키핑 패킷(300)의 예를 나타낸다. 첫 번째 하우스키핑 패킷(302)과 두 번째 하우스키핑 패킷(304)이 예시되어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스키핑 정보는 두 패킷(256심볼)을 통하여 배포된다. 파일럿 마크(306, 308), CRC필드 및 플러쉬비트(312)가 하우스키핑 패킷구조(300)에 일반적으로 포함된다. 패킷열번호 필드(314, 316)와 시스템 식별자(318, 320)가 포함되기도 한다. 파일럿 마크(306,308)는 앞서 살펴본 대로, 128심볼마다 송신되는 정보 스트림에 삽입된다. 시스템 식별자 필드(318, 320)와 플러쉬 비트(312)는 포인터 패킷 및 호출신호 패킷과 관련되어 앞서 기술된 것과 같이 동작한다.
CRC필드(310)는 2개의 패킷열번호 필드(314, 316)를 제외한 2개의 하우스키핑 패킷(300)내의 모든 비트들에 대하여 계산된다. 파일럿 마크(306, 308)는 비트형태로 정보를 전달하는데 사용되지 않고, 하우스키핑 패킷(300)에서의 CRC 계산으로부터 제외된다.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본 프로토콜의 실시예에서 두 개의 하우스키핑 패킷은 프레임 내의 패킷(202)구역의 끝에 위치한다. 그리하여, 패킷열번호(314, 316)가 숫자 200, 201을 표시할 수 있다.(예를 들어, 패킷열번호가 0-201의 범위일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스키핑 패킷(300)은 256개의 심볼에 퍼져 있다. 19개의 심볼들은 파일럿 마크(306, 308), CRC필드(310) 및 플러쉬 비트(312)에 사용된다. 20개의 심볼들은 패킷열번호 필드(314, 316)와 시스템 식별자 필드(318, 320)에 사용된다. 나머지 217 심볼들(2/3비율로 8-PSK 부호화된 434비트들)은 실제 하우스키핑 정보에 사용된다. 하우스키핑 정보는 수신 무선호출기에 일반적으로 유용한 정보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예를 들어 하우스키핑 정보는 32비트의 시스템 송신기 시간정보, 16비트의 시스템 송신기 날짜정보 및 16비트의 현재 시스템 주파수 정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는 시스템 채널목록(예를 들어 8개의 16비트 채널 식별자로 포맷된), 동일 또는 다른 형태로 포맷된 로우밍 채널목록 및 8비트 프로토콜 시스템 개정을 포함한다. 앞서 제시된 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사용되는 비트의 수는 구현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관심있는 것들은 시스템 채널 목록, 로우밍 채널 목록 및 현재 시스템 주파수이다. 목록내의 주파수(현재 시스템 주파수뿐만 아니라)를 디지털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무선호출기는 정확한 주파수에 따라 직접 정확하고 신속하게 동조되도록 디지털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시스템 채널 목록은 메시지가 송신될 가능한 여분의 주파수를 무선호출기에 통지하는데 사용된다. 그리하여, 여러 소스들로부터의 상당한 간섭을 가진 대도시 지역에서는 무선호출기는 최선의 수신을 위하여 시스템 채널 목록 내에서 확인된 채널간을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로우밍 채널 목록은 로우밍을 지원하는 로컬 라디오 채널의 표시를 무선호출기에 제공한다.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도 4는 앞서 기술된 패킷형태가 프레임(400)을 형성하기 위해 음성데이터 영역과 결합되는 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프레임(402)을 확장된 프레임(404)에 나와 있는 구성 요소들로 분해한 것이다. 확장된 프레임(404)은 짧은 메시지 구역(406)과 음성데이터 구역(408)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프레임(402)은 짧은 메시지 구역(406)을 형성하는 202개와 음성데이터 구역(408)을 형성하는 2720개의 모두 2922개의 패킷을 포함한다.
짧은 메시지 구역(406)은 대개 호출신호, 포인터 및 하우스키핑 정보(실제 메시지 데이터에 반하는)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구역을 지시한다. 확장된 짧은 메시지 구역(410)은 호출신호 패킷, 포인터 패킷 및 하우스키핑 패킷을 포함한 짧은 메시지 구역(406)의 바람직한 배열을 예시한다. 특히, 확장된 짧은 메시지 구역(410)은 호출신호 N구역(412)이 포인터 N구역(414)과 호출신호 N+1구역(416)에 선행함을 지시한다. 또한, 포인터 N+1구역(418), 복제포인터 N구역(420) 및 하우스키핑 구역(422)이 호출신호 N+1구역(416)에 이어진다. 복제포인터 N구역(420)은 포인터 N구역(414)의 복제를 제공하기 때문에 그렇게 이름이 붙여졌다.
호출신호 N구역(422)은 80개의 호출신호 패킷(100)으로부터 형성되며, 호출신호 패킷은 음성데이터 구역(408)내에서 메시지와 함께 무선호출기에 대응하는 호출신호비트를 포함한다. 포인터 N구역(414)은 10개의 포인터 패킷(200)으로부터 형성되며, 포인터 패킷은 음성데이터 구역(408)내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호출기에 관한 주소정보를 제공한다. 하우스키핑 구역(422)은 하우스키핑 패킷(300)으로부터 형성된다.
복제포인터 N구역(420)은 포인터 N구역(414)의 내용을 되풀이하여 포인터의 송신동안 시간 다이버시티를 제공한다. 또한, 호출신호 N+1구역(416)과 포인터 N+1구역(418)은 다음 프레임(프레임 424)에서 송신되는 메시지에 대한 앞선(advance) 호출과 포인터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포인터 N+1구역(418)은 10개 패킷의 포인터정보와 10개 패킷의 데이터정보를 포함하여 대개 20패킷의 길이를 가진다. 포인터 N+1구역(418)은 다중 프레임을 통해 짧은 부분의 데이터 또는 긴 부분의 데이터를 보내는데 유용한 주소와 데이터의 결합 메시지를 제공한다.
짧은 메시지 구역(404)의 바람직한 포맷은 그것이 호출수신을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무선호출기에 제공한다. 메시지가 송신되는 프레임에 앞선 프레임 내의 호출신호 N+1구역(416)에 의해 제공되는 앞선 호출신호정보를 무선호출기가 놓치더라도, 무선호출기는 여전히 메시지 프레임 내의 호출신호 N구역에 의해 제공되는 호출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유사하게, 무선호출기가 모든 호출신호를 놓치더라도, 여전히 앞선 포인터 N+1구역(416)에 의해 제공되는 앞선 포인터정보, 포인터 N구역에 의해 제공되는 메시지 포인터 정보 및 메시지 프레임 내의 복제포인터 N구역을 무선호출기는 주소를 찾기 위해 검사할 수 있다.
무선호출기가 포인터 정보로부터 주소를 알아낸다면, 이어서 적절한 스트림의 수신을 준비한다. 무선호출기가 호출신호비트를 알아낸다면, 특정주소(예를 들어, 로우머의 주소에 반하는)가 실제로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포인터들을 체크한다. 그리하여, 본 프로토콜에 의해 제공되는 다중 시간다이버시티는 전력소비를 감소시키면서 모든 메시지를 정확히 수신할 수 있는 무선호출기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음성데이터 구역(Voice Data Section)
음성데이터 구역(408)은 보다 큰 데이터 구조의 부분들인 패킷으로부터 형성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음성데이터 구역(408)은 8개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나누어지며, 스트림 각각은 340개의 패킷을 포함한다. 각 스트림은 길쌈 부호화되고, 전체 길이(다중프레임을 포함하고, 프레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단일 무선호출기로 예정되어 있는)에 대하여 인터리브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각 스트림으로부터의 4개의 인접 패킷집합(피켓(pickets))은 임의적으로 음성데이터 구역을 통하여 배포된다. 달리 말하면, 무선호출기와 시스템 송신기의 양자는 패킷의 위치를 식별하는 동일한 의사임의열(pseudo-random sequence)을 발생시킨다. 이것은, 예를 들어 난수발생기(random number generation)를 이용하거나 또는 미리발생된 검색표(lookup table)로부터 패킷의 위치를 읽어냄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각 스트림이 재조합, 디인터리브(deinterleave)되어 완전한 스트림을 복호하기 전에, 무선호출기는 음성데이터 영역 가운데에서 배포된 스트림에 대한 각각의 패킷의 위치를 불러온다. 일단 완전한 스트림이 복호가 되면, 무선호출기는 스트림으로부터 특정메시지를 추출한다.
도 5는 본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스트림헤더(500)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스트림헤더(500)는 스트림 식별자(502)와 메시지 카운트(504)를 포함한다. 스트림 식별자(예를 들어, 8비트로 된)는 스트림의 수를 식별하고, 메시지 카운트(504)는 스트림 내에 존재하는 메시지의 수를 식별한다. 각각의 메시지는 길쌈 부호화기를 기지의 상태로 재설정하기 위해서, 다중비트 플러쉬로써 종결된다.
스트림 내의 각 메시지에 대하여, 스트림 헤더(500)는 긴주소(506)(28비트), 시간필드(508)(12비트), 데이터타입 필드(510)(8비트), 확장데이터타입 필드(512)(16비트), 개시위치 필드(514)(16비트), 길이 필드(516)(16비트) 및 프래그먼트(fragment) 필드(518)(8비트)를 포함하는 메시지 헤더를 제공한다. 각각의 메시지에 대하여 CRC영역(520)(16비트)이 제공된다. 모든 메시지헤더에 걸쳐 있는 CRC영역(522)(16비트)과 플러쉬 필드(524)(6비트)는 모든 메시지헤더의 마지막에 위치한다.
포인터 패킷에서 상기한대로, 긴주소(506)는 특정 무선호출기 또는 무선호출기 그룹을 식별한다. 시간필드(508)는 서비스제공자에서 무선호출기에 대하여 현재의 메시지가 남겨진 시간을 제공하며, 데이터타입 필드(510, 512)는 음성데이터 구역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의 타입을 무선호출기에 알린다. 예로서, 데이터타입 필드(510, 512)는 디지털화된 음성데이터, 디지털 프로그래밍 데이터, 광고, 비상호출정보, 날씨정보, 주식데이터 또는 시스템 송신기가 무선호출기에 보내려고 하는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오류발생방지와 정정능력의 향상을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와 스트림헤더는 1/3비율(예를 들어, 길쌈 부호화기로 입력비트스트림을 비트더블링(bit doubling)함으로써)로 길쌈 부호화된다.
개시위치 필드(514)와 길이필드(516)는 개시위치와 긴주소(506)에 의해 식별되는 무선호출기 스트림 내에 있는 메시지의 길이를 바람직하게는 워드단위(16비트)로 제공한다. 개시위치 필드(514)(시스템 식별자)는 메시지신호가 음성데이터 구역의 어디에 존재하는지를 수신기가 결정하도록 하는 메시지위치정보의 2가지 예이다. 수신기가 피켓 또는 음성데이터 구역에 임의로 흩어져 있는 스트림의 세그먼트들을 역시 수집할 필요가 있음을 주목한다.
프래그먼트(fragment) 필드(518)는 무선호출기의 메시지가 펼쳐 있는 프레임의 수를 표시한다. 예로서, 8비트 프래그먼트 필드(518)는 메시지 송신에 사용되는 프레임의 전체개수를 표시하기 위해서 4비트를 사용하고, 메시지의 현재 프레임(프래그먼트) 번호를 표시하기 위해 다른 4비트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게 스트림헤더(500)는 앞서 기술한 패킷형태에 예시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CRC 필드와 플러쉬 필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패킷내의 각각의 데이터는 동일 패킷에 대하여 인터리브된다. 호출신호 패킷, 포인터 패킷, 하우스키핑 패킷 및 스트림헤더가 앞서 기술한 특정한 구현방법에 한정되지 않음을 주목한다. 오히려, 각 패킷 또는 헤더내의 개개 필드의 각각은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맞추어진다. 앞서 인용된 예 2는 FM 음성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특히 잘 동작하며, 관련 패러미터의 요약이 표 1에 나와 있다.
운용 특성(Operational Characteristics)
앞서의 프로토콜 구조는 다양한 기능들을 지원한다. 아래의 논의는 기본적인 무선호출, 그룹 무선호출 및 로우밍에 관해서 시작된다. 프로토콜은 이러한 기능에 국한되지 않을뿐더러,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특정한 환경에도 제한 받지 않는다.
논의에 앞서, 특정 메시지에 대한 수신기로서의 무선호출기를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소에 무선호출기가 할당됨을 주목한다. 주소는 예를 들어, 홈주소, 그룹주소 또는 로우머 주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에 할당될 때 무선호출기에 호출신호비트가 할당된다. FM 음성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각 FM주파수내의 각 SCA 밴드에는 시스템 식별자가 할당되고, 앞서의 프로토콜 구조를 수반한다. 그러한 시스템에서 호출신호비트는 무선호출기와 특정 FM주파수의 특정 SCA 밴드를 연관시킨다. 앞서의 시스템 채널 목록에 관하여, 무선호출기는 잡음환경하에서 견실한 수신을 제공하기 위해 수많은 다른 SCA 밴드들 및 FM 주파수들 내의 동일한 호출신호비트와 연관된다.
기본적인 무선호출(Basic Paging)
기본적인 무선호출 동작에서, 시스템 구조는 무선호출기에 전달을 목적으로 남겨진 음성메시지를 수신, 디지털화, 압축 및 저장한다. 예로서, 음성데이터는 선형예측부호화(LPC; Linear Predictive Coding), 잔류여기선형예측(RLEP; Residual Excited Linear Predictive Coding), 벡터합여기선형부호화(VSLEP; Vector Sum Excited Linear Predictive Coding) 등과 함께 압축될 수 있다. 디지털형태의 데이터는 전달을 위하여 압축 및 저장된다.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시스템 송신기는 저장된 메시지를 불러내어 적절한 무선호출기로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시스템 송신기는 여러 메시지를 저장하고, 빈 공간(예를 들어, 어떠한 메시지에 맞지 않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프레임 내에서 메시지를 묶는다. 시스템 송신기는 무선호출기에 대응하는 적절한 호출신호비트를 설정하고, 포인터에 무선호출기 주소를 삽입하고, 메시지를 스트림에 할당하고, 스트림헤더 필드를 채워 넣고, 메시지 스트림과 관련하여 앞서 게시된 적절한 부호화 및 인터리빙과 함께 메시지를 송신한다. 호출신호비트(일반적으로 호출신호부분)와 주소(일반적으로 주소부분)는 메시지가 프레임 내에 놓여져 있다는 표시신호로서 각각 또는 상호결합하여 간주된다.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기술되는바와 같이, 본 프로토콜은 보편적인 무선호출신호를 보내는데 사용된다. 본 프로토콜은 시스템에 의해 지원되는 전체 무선호출기(즉, 모든 등록된, 활성화된 무선호출기)에 메시지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지원한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시스템 송신기는 시스템에 의해 지원되는 전체의 무선호출기보다 적은 수의 서브세트(subset)의 무선호출기에 메시지신호를 송신한다. 무선호출기의 서브세트는 단일 무선호출기 또는 몇 개의 개별적 무선호출기 및 무선호출기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의 본 논의는 메시지가 다음 프레임(424)내에서 무선호출기에 대하여 송신된다는 가정하에서 진행된다. 바람직하게, 시스템 송신기는 호출신호 N+1필드(416)내에서 무선호출기에 할당된 호출신호비트를 설정하고, 포인터 N+1필드(418)에 무선호출기의 주소와 메시지정보를 부가함으로써 무선호출기에 앞선 경보(advance warning)를 부여한다. 그리하여, 무선호출기가 프레임(402)내의 호출신호비트 또는 주소를 인식하면, 다음 프레임(424)내의 호출신호비트 또는 주소검색을 위하여 전력소비를 할 필요가 없다. 반면에, 무선호출기가 호출신호비트 또는 주소가 프레임(402)(예를 들어, 손상된 데이터의 수신에 기인하여)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할 수 없다면 무선호출기는 다음 프레임(404)(호출신호 N필드와 2개의 포인터 N필드를 검사함으로써)내에서 앞서의 동작을 할 수 있는 추가기회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더 이상의 무선호출기 주소가 뒤따르지 않음을 표시하기 위해 포인터 필드 내에서 널주소(null address)가 정의되고 사용된다. 그리하여, 널주소를 해석하는 무선호출기는 검사중인 현재의 포인터 필드 내에 남아 있는 부분에 대한 수신회로를 무력화시킴으로써 전력을 비축할 수 있다.
무선호출기가 호출신호 또는 주소를 인식하면, 포인터 필드 내에서 제공되는 긴 또는 짧은주소로부터 스트림 식별자 및 메시지번호(도 2)를 회복한다. 무선호출기는 스트림을 포함하는 모든 피켓들을 수집함으로써 음성데이터 구역내의 적절한 스트림을 조합한다. 이어서, 무선호출기는 메시지 스트림을 디인터리브하고 복호한다. 다음에, 무선호출기는 메시지의 시작과 메시지의 길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스트림헤더를 검사한다. 메시지를 복원하고 나면, 무선호출기는 포인터내의 메시지번호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메시지의 내부목록을 갱신한다.
현재 또는 다음 프레임의 메시지를 수신한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무선호출기는 호출신호비트 또는 주소를 찾아보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무선호출기는 단일의 호출신호 패킷을 수신하고 호출신호 패킷내의 단일 비트를 검사하기 위하여, 수신회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상당한 양의 전력을 비축할 수 있다. 무선호출기의 호출신호비트가 설정되지 않으면, 무선호출기는 전체음성데이터 구역(408)에 대한 수신회로를 불활성화시키거나 또는 포인터 N+1 또는 포인터 N필드 내의 주소검사를 수행한다. 그리하여, 예를 들어 무선호출기가 간섭에 의하여 호출신호비트를 복호할 수 없다면, 무선호출기는 주소를 검색하는 동안 포인터 필드의 복호를 여전히 시도할 수 있다.
무선호출기가 미리 결정된 호출신호비트의 위치와 송신된 호출신호비트(선택기준의 예)를 대응시킬 때, 포인터 N+1필드(418)(무선호출기가 호출신호비트가 호출신호 N+1구역(416)내에서 설정된 것을 인식한다면) 뿐만 아니라, 포인터 N필드(414)와 선택의 포인터 N필드(422)(무선호출기가 호출신호비트가 호출신호 N구역(412)내에서 설정된 것을 인식한다면)를 검사하기 위하여 무선호출기는 활성화 수신으로부터 계속한다. 포인터의 시간다이버시트와 호출신호정보(표시신호)에 의하여, 무선호출기는 시스템 송신기가 현재 프레임(예를 들어, 프레임(402)) 또는 다음 프레임(예를 들어, 프레임(424))내의 메시지를 무선호출기로 송신하는지를 결정하는 여러 번의 기회를 가진다. 무선호출기가 포인터 구역내의 주소를 찾아내자마자, 현재 포인터 구역 또는 다음 포인터 구역의 나머지를 찾는 것을 중단한다. 무선호출기는 호출신호비트에 대한 호출신호 N구역(412), 주소에 대한 포인터 N구역(414) 또는 주소에 대한 복제포인터 N구역(420)의 내용을 검사한다. 호출신호비트 또는 주소의 발견은 현재의 프레임이 무선호출기에 대한 메시지를 포함하고 있음을 지시한다. 또한, 무선호출기는 호출신호비트에 대한 호출신호 N+1필드(416) 또는 주소에 대한 포인터 N+1필드를 검사함으로써, 시스템 송신기가 다음 프레임 내의 메시지를 무선호출기로 송신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는 2번의 기회를 가진다. 호출신호비트 또는 주소의 발견은 다음 프레임이 무선호기에 대한 메시지를 포함하고 있음을 지시한다(따라서, 무선호출기가 다음 프레임 내에서 짧은 메시지 구역을 전혀 검색할 필요가 없다).
무선호출기가 호출신호비트 또는 포인터내의 주소(CRC검사에 의하여 결정되는바와 같이)를 복호한다면, 무선호출기는 선택기준에 적합한지 또는 아닌지를 결정하게 된다. 그러한 경우에, 무선호출기는 반복표시신호(반복표시신호는 무선호출기가 이미 복호한 정보를 포함한다)의 수신을 금지한다. 그러나, 일부 비트가 정정할 수 없는 오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CRC검사가 가리킨다면, 무선호출기는 어떠한 반복표시신호의 수신도 메시지수신을 인식하는 기회를 가지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호출신호비트내의 정정불가능한 오류가 반복호출신호비트를 검사함으로써 극복되고, 호출신호비트의 완전한 손실은 필요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포인터 구역을 검사함으로써 극복된다.
무선호출기가 스트림 식별자를 포함한 포인터정보를 회복한 이상, 무선호출기는 수신회로를 무력화시킨다(즉, 무선호출기가 포인터를 발견한 후 다른 포인터 구역을 검사할 필요가 없다). 앞서 기술한 대로, 음성데이터 구역(408)의 스트림은 임의방법으로 인터리브되기 때문에, 음성데이터 구역(408)내의 특정 스트림 송신에 대한 시간동안만 무선호출기는 수신회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적절한 스트림 수신을 속행한다.
그룹 무선호출(Group Paging)
그룹 무선호출은 다수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고, 그 중 3가지가 여기에서 언급된다. 상대적으로 작은 또는 임시의 수신기 그룹에 대하여, 시스템 송신기는 메시지가 보내질 각각의 무선호출기를 커버하기 위해 호출신호 패킷내의 개개 호출신호비트와 포인터 패킷내의 주소를 설정한다. 따라서, 각 무선호출기는 호출신호비트와 개개의 주소를 인식하고, 적절한 프레임의 음성데이터 구역으로부터 동일한 메시지를 읽어온다. 선택적으로, 시스템 송신기는 호출신호와 주소를 설정하지만, 각 무선호출기로부터 메시지의 개별 사본(copy)을 송신할 수 있다.
그룹 무선호출의 제2 구현방법이 보다 크고 상대적으로 지속되는 그룹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2 구현은 그룹내의 무선호출기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주소를 할당한다. 그리하여, 판매팀에 대한 한 세트의 무선호출기들 중의 각각의 무선호출기는 개별 메시지에 대한 고유의 주소와 전체 판매팀으로 송신되는 그룹메시지에 대한 그룹주소를 포함한다. 판매팀으로 그룹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안, 시스템 송신기는 판매팀내의 각 무선호출기에 대응하는 다중호출신호비트를 설정하지만, 포인터 필드 내에서 단일 그룹주소만을 제공한다. 따라서, 각 무선호출기는 메시지가 도착되고 있고, 메시지는 무선호출기에 할당된 판매그룹주소에 해당함을 알게 된다.
그룹무선호출의 추가예는 범용(universal) 무선호출이다. 범용 무선호출에서는, 시스템 송신기는 포인터 필드 내에 미리 결정된 범용주소를 설정하고, 선택적으로 호출신호 패킷내에 호출신호비트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설정한다. 대개, 범용 주소는 모든 무선호출기에서 인식된다. 범용주소는 시스템 송신기가 비상호출정보, 프로그래밍정보(예를 들어, 시스템 프로토콜 소프트웨어 갱신) 등을 모든 무선호출기에 방송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작은 그룹주소는 포인터 패킷의 처음에 위치하는 반면에, 큰 그룹 또는 범용주소는 끝에 위치한다. 무선호출기는 긴 주소목록 없이도 큰 그룹에 대한 메시지로서 동일 프레임 내의 개별 메시지를 수신한다.
본 프로토콜에 의한 그룹 무선호출의 한가지 이점은 음성데이터 송신이 정보를 상당한 수의 무선호출기로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프로토콜은 그룹무선호출의 구조하에서 작은 그룹, 큰 그룹 및 범용주소 기능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그룹은 어떤 기준에 따라서 정의된다. 예로서, 구독서비스(subscription service)(예를 들어, 주식시세, 날씨정보, 뉴스서비스 등)가 그룹 주소에 할당될 수 있다. 무선호출기가 구독서비스를 받을 때, 시스템 송신기는 무선호출기가 응답할 새로운 그룹주소를 무선호출기로 송신하고, 그 주소는 구독서비스정보를 송신하는데 이용된다. 마찬가지로, 시스템 송신기는 구독서비스 주소를 응답주소목록으로부터 소거하도록 하는 명령을 무선호출기로 송신한다. 구독정보는 통상의 무선호출메시지 데이터와 동일한 형태로 송신된다.
로우밍(Roaming)
본 프로토콜은 긴주소 포인터(204)를 이용하여 무선호출기가 메시지 손실없이 로움(roam)할 수 있도록 한다. 로우밍 가입자를 지원하기 위해, 가입자는 예를 들어 홈지역(home area)으로부터 로우밍지역으로 메시지의 송신(forwarding)을 설정한다. 예로서, 로우밍지역 내에 있을 때 무선호출기는 가용채널을 찾아내기 위하여 시스템 채널목록과 로우밍 채널목록에서 발견되는 것들을 포함하여 채널목록가용주파수를 검사한다. 이어서, 무선호출기는 선호하는 채널(신호세기 또는 다른 기준에 기초하여)을 사용자에 보여준다. 가입자는 홈지역 내에 있는 시스템 급송센터(dispatch center)를 호출하여, 선호채널과 로우밍지역 시스템 식별자를 알린다.
로우밍 무선호출기는 시스템 급송센터에 대한 사전통보 없이 홈지역으로 되돌아올 수도 있다. 그리하여, 급송센터는 시스템 부하를 고려하여, 홈지역 또는 로우밍지역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무선호출신호를 송신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그러나, 대개 사용자는 홈지역으로 귀환한 후에 시스템 급송센터에 있는 로우밍을 취소한다. 로우밍 사용자로 메시지를 송신할 때, 시스템 송신기는 긴주소 포인터(204)를 사용한다. 포인터 패킷포맷(200)내의 로우밍 플래그(212)는 긴주소 포인터가 이어진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하여 설정된다. 긴주소 포인터(204)는 정확한 메시지 목적지를 결정하기 위해 무선호출기에서 사용되는 확장주소정보를 제공한다. 그리하여, 긴주소 필드(238)는 무선호출기의 주소에 덧붙여 로우밍 무선호출기에 대한 다중비트 홈시스템 식별자를 제공한다. 로우밍 무선호출기는 완전한 긴주소 식별자와 주소를 사용하여 호출기를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로우밍 무선호출기에 대한 호출신호비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무선호출기 주소가 호출신호 패킷포맷(100)내의 보류 로우밍 호출신호비트의 1비트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무선호출기 주소에 대하여 제공되는 모듈러 기능은 주소를 미리 결정된 로우밍 호출신호비트의 집합에 대응시킨다. 이러한 기법은 공유 호출신호비트에 관련지어 아래에서 기술된다. 따라서, 본 프로토콜은 기존의 홈 무선호출기간의 충돌 없이 로우밍 무선호출기에 대한 메시지 수신을 제공한다.
공유 호출신호(Shared Alerts)
도 4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짧은 메시지 구역(406)은 각 프레임(80 패킷, 각각은 202개의 호출신호를 가짐)에 대하여 16,160개의 호출신호비트를 제공한다. 이것들 중 약 12000개는 예를 들어 홈 무선호출기를 위하여, 다른 4000개는 로우밍 무선호출기(모듈로 4000기능이 로우밍 무선호출기가 어느 호출신호비트를 사용하는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하는)를 위하여 보류된다. 주어진 시스템이 12000개 이상의 무선호출기를 필요로 한다면, 호출신호비트는 무선호출기 중에서 공유된다. 달리 말하면, 2개 또는 그 이상의 무선호출기가 동일한 호출신호비트를 사용할 수 있다.
특정 무선호출기는 짧은 주소포인터(202)와 긴주소 포인터(206)내의 주소필드를 검사함으로써 메시지가 그 무선호출기로 향하는지를 결정한다. 따라서, 비록 호출신호비트가 공유되더라도, 각 무선호출기는 주소에 의하여 메시지 목적지를 구별할 수 있다. 모듈로 기능이 2개의 로우머(roamer)를 동일한 호출신호비트로 대응시킴을 주목한다. 2개의 로우머는 긴주소 포인터(206)내의 주소정보와 비교하여, 응답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주소를 사용하여 예정된 수신측을 구별한다. 그리하여, 2개의 무선호출기가 동일한 호출신호비트와 주소를 공유하는 경우, 무선호출기가 홈 시스템의 송신기 또는 등록되어 있는 시스템의 송신기에 의해 송신되는 메시지들만을 수신하는 것을 허용한다.
송신 및 수신 절차(Transmission and Reception Flow)
도 6은 본 프로토콜에 따라서 통신을 수신함으로써 수행되는 질문과 동작에 관한 수신기의 결정구조(600)를 보여준다. 도 6에 관한 논의는 도 4에 나와 있는 프레임 포맷에 의해 뒷받침된다. 따라서, 메시지가 N+1 프레임(424)내에서 무선호출기로 송신된다고 가정하면, 도 6의 ″조기 호출신호(early alert)″는 호출신호 N+1구역(416)에 대응하고, 도 6의 ″조기 포인터(early pointer)″는N+1구역 포인터(418)(특히, 처음 10개(보류되지 않은)의 패킷)들에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도 6의 ″현재 호출신호(current alert)″는 프레임 N+1(424)내의 호출신호 N구역(424)(예를 들어, 실제 메시지를 포함하는 현재의 프레임)에 대응하고, ″현재 포인터(current pointer)″는 프레임 N+1(424)내의 포인터 N구역(424)에 대응하고, ″마지막 기회 포인터(last chance pointer)″는 프레임 N+1(424)내의 복제 포인터 N구역(424)에 대응한다. ″데이터 스트림″은 프레임 N+1(424)내의 음성데이터 구역(408)을 가리킨다.
도 6에 보듯이, 각 ″프로세스(PROCESS)″결정에 대하여 3가지의 가능한 결과로서 ″참(true)″ 결과(왼쪽 분기로의 이행을 일으키는), ″거짓(false)″결과(가운데 분기로의 이행을 일으키는) 및 ″불확정(indeterminate)″결과(오른쪽 분기로의 이행을 일으키는)가 있다. ″생략(skip)″ 지점에서, 프로세싱은 다음 프로세스 또는 생략지점까지 단일 화살표를 따라 진행된다. 초기과제로 수신기는 대개 수신한 데이터에 대하여 CRC 검사를 수행한다. CRC검사가 정정불가능한 오류를 표시하는 경우, 무선호출기는 도 6에 나와 있는 불확정(불명확)의 분기들 아래에서 일반적으로 진행된다. 또달리, 무선호출기는 어떤 조건이 부합(″참″ 결과) 또는 부합되지 않는지(″거짓″결과)를 정확히 결정한다.
호출신호비트가 조기 호출신호 구역 내에서 설정되는지를 무선호출기가 결정하는 프로세스(PROCESS) 지점(602)에서 무선호출기는 시작된다. 호출신호비트가 설정되는 것으로 무선호출기가 결정을 내린다면, 프로세싱은 ″참″ 분기(604)(도 6에서 ″호출신호″로 이름 붙여진) 아래로 진행된다. 호출신호비트가 설정되지 않는 것으로 무선호출기가 결정을 내린다면, 프로세싱은 ″거짓″ 분기(606)(″호출신호 없음″으로 이름 붙여진) 아래로 진행되는 반면에, 불확정의 경우 프로세싱은 ″불확정″ 분기(608)(″불확정″으로 이름 붙여진) 아래로 진행된다.
거짓 분기(606)와 함께 시작하면, 무선호출기는 프레임 N+1(424)내에서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무선호출기는 도 6에 나와 있는 대로 조기 포인터, 현재의 호출신호, 현재의 포인터, 마지막 포인터의 검사를 생략한다. 그리하여, 무선호출기는 프레임 N+1(424)의 음성데이터 구역의 프로세싱(″생략″)을 수행하지 아니한다.
모든 프레임은 다음에 이어지는 프레임의 조기 호출신호와 포인터를 포함함을 주의하여야 한다. 반복표시(610)는 도 4의 프레임 포맷에 따라서 다음의 조기 호출신호와 포인터가 일어나는 시간상의 시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도6의 모든 현재의 포인터 결정지점 후에, 완전히 새로운 분기구조가 조기 포인터의 검사와 함께 시작된다.
참 분기(604)로 시작되는 경우, 무선호출기는 조기 포인터(예를 들어, 무선호출기 그 자체 또는 무선호출기 그룹에 대응하는 짧은 주소 또는 긴 주소)내에서 메시지가 존재하는지를 프로세스(process) 지점(612)에서 결정한다. 부합되는 메시지가 존재하면, 프레임 N+1(424)의 음성데이터 구역(408)내의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해 무선호출기는 참 분기(614)(″포인터″라고 이름 붙여진)를 통과하여, 현재의 호출신호, 현재의 포인터, 마지막 기회 포인터의 검사(예를 들어, 무선호출기가 전력을 소비할 필요없음)를 생략하면서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정확한 주소가 조기 포인터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무선호출기가 인식하면, 무선호출기는 예를 들어 호출신호가 공유되고 있으며, 메시지가 다른 무선호출기로 향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거짓 분기(616)(″포인터 없음″이라고 이름 붙여진) 아래로, 아무런 스트림 프로세싱도 일어나지 아니한다(단, 메시지 주소가 있는 무선호출기의 경우를 제외하고).
불확정 분기(618)에서는, 이어지는 메시지를 결정할 수 있는 여러 번의 기회를 무선호출기에 주기 위해서, 본 프로토콜은 다양한 표시신호를 제공함을 주목한다. 따라서, 무선호출기는 현재의 호출신호(무선호출기가 결정지점(602)에서 결정된 대로, 이미 호출신호정보를 회복하였기 때문에)를 생략한다. 그러나, 무선호출기는 수신기가 프레임 N+1(424)내의 현재의 포인터 구역을 회복 및 검사하도록 하고, 포인터의 참 또는 거짓합당여부에서 기술한대로, 나머지 마지막 기회 포인터만을 생략하고 프로세스(PROCESS)지점(620)으로부터 진행한다.
정정불가능한 오류가 현재 포인터의 복호에 존재하는 것으로 무선호출기가 판단한 경우, 무선호출기는 불확정 분기(622)로 진행한다. 본 프로토콜은 무선호출기가 복제 포인터 구역(복제 포인터 N구역(420)과 관련되어 앞서 논의된)내의 포인터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프레임 N+1(424)내에 또다른 기회를 제공한다. 무선호출기가 포인터를 성공적으로 찾아내면 스트림을 처리하고, 찾지 못하면 무선호출기는 아무런 스트림의 프로세싱도 하지 않는다. 프레임이 보다 많은 복제지시신호를 포함하고, 그들 각각은 무선호출기에 의해 검사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불확정 분기(608)와 관련하여, 수신기를 이네이블링 시키고 프로세스 지점(624)에서 현재의 호출신호를 검사함으로써 무선호출기는 진행된다. 도 6은 현재의 호출신호가 다음에 검사됨을 보여주고, 무선호출기가 주소를 부합시키는 도중에 조기 포인터를 먼저 검사함을 주목한다. 결정 지점(624)에서 무선호출기가 호출신호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하면, 무선호출기는 현재 포인트 및 마지막 기회 포인터를 생략하고 아무런 스트림 프로세싱도 수행하지 아니한다.
반면에, 무선호출기가 호출신호와 부합되면 참 분기(626)아래로 진행한다. 참 분기(626) 이하에서는, 무선호출기는 결정 지점(620)과 관련하여 앞서 기술된 동일한 고려사항으로써 프로세스 지점(628)을 평가한다. 나머지 다른 방안들이 불확정 분기(630)에 예시되어 있다.
불확정 분기(630) 아래에서는, 무선호출기는 현재 포인터 구역을 생략하고, 프로세스 지점(632)에서 마지막 기회 포인터의 검사를 진행한다. 도 6은 마지막 기회 포인터가 다음에 검사됨을 보여주고, 무선호출기는 주소를 부합시키는 과정에서 현재 포인터를 달리 검사함을 주목한다. 무선호출기가 마지막 기회 포인터와 함께 진행한다고 가정하면, 무선호출기는 결정 지점(632)에 이르게 된다.
결정 지점(632)에서 무선호출기가 마지막 기회 포인터내의 포인터 하나와 성공적으로 부합되면, 무선호출기는 적당한 데이터 스트림(포인터에 지시된 대로) 처리를 진행한다. 부합하지 아니하면, 무선호출기는 아무런 스트림 프로세싱도 수행하지 아니하고, 그것은 마지막 기회 포인터에서 부합되는 것을 찾지 못했거나 또는 마지막 기회 포인터를 복호할 수 없는 두 가지 이유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도 7은 제1 프레임(702) 및 제1 프레임(704)을 통한 정보의 송신을 요약한 하이 레벨(high level)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다. 흐름도(700)는 현재의 표시단계(706), 앞선 지시 단계(708) 및 복제포인터 단계(710)를 포함한다. 하우스키핑 단계(712) 및 메시지 준비 단계(714) 역시 포함된다. 메시지를 갖고 있는 스트림은 단계(716)에서 인터리브되어, 단계(718)에서 송신된다.
단계(706-718)의 각각은 제1 프레임(예를 들어, 프레임 N(402)) 동안 수행된다. 단계(720-732)는 다음 프레임(예를 들어, 프레임 N(424))에서 수행된다. 현재 표시단계(706)에서, 시스템 송신기는 대개 호출신호(예를 들어, 호출신호 N(412)) 및 포인터(예를 들어, 포인터 N(414)) 또는 현재 프레임(예를 들어, 프레임 N(402))내의 양자를 포함하는 표시신호를 준비하여 송신한다. 그룹메시지에 관하여 앞서 기술한대로, 추가 호출신호 및 포인터는 그룹 수신기로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대로 설정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추가 호출신호 또는 포인터는 특정 수신기 그룹내의 모든 수신기에 대하여 설정된다.
앞선 지시 단계(708)에서, 호출신호(예를 들어, 호출신호 N+1(416)) 또는 다음 프레임에 정보를 가진 포인터(예를 들어, 포인터 N+1(418))를 포함하는 표시신호가 준비되어 송신된다. 앞선 포인터는 음성데이터 섹션(408)내의 음성메시지로부터 분리하여 주소 및 데이터 메시지의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여분의 패킷 데이터를 포함한다.
단계(710)에서는, 시스템은 단계(712)(예를 들어, 하우스키핑 구역(422))에서 하우스키핑에 앞서는 복제 포인터(예를 들어, 복제 포인터 N구역(420))를 준비하여 송신한다. 단계(714)에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시지(예를 들어, 음성메시지 또는 디지털 데이터)가 스트림 내에 위치한다. 앞서, 논의된 대로 의사임의 인터리빙(pseudorandom interleaving)은 각 스트림에 대하여 단계(716)에서 결정되고, 스트림은 단계(718)에서 송신된다.
다음 프레임의 송신(단계 720-732)동안, 앞서의 단계는 일반적으로 되풀이된다. 그러나, 현재 표시 단계(720)는, 단계(708)에서 준비되어 적어도 앞선 표시신호(호출신호 및 포인터를 포함하는)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복 표시신호(호출신호 및 포인터를 포함하는)를 일반적으로 제공한다. 인터리빙 신호(예를 들어, 단계 708-718에서 송신되는)들은 미리 결정된 지연간격(delay interval)의 지연을 제공하고 프로토콜에 시간 다이버시티를 준다. 인터리빙 신호와 미리 결정된 지연간격은 표시 단계(706, 720) 및 복제 포인터 단계(710, 724)에서 각각 일어난다. 앞선 표시신호 단계(722)는 다음 프레임(예를 들어, N+2)내의 정보내용에 관한 앞선 호출신호 및 포인터를 제공한다. 제1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복제 포인터, 하우스키핑 및 메시지는 단계(724-732)에서 역시 송신된다.
도 8은 앞서 기술된 프로토콜의 수신을 요약하는 하이레벨 흐름도 및 도 6을 보다 자세히 예시한 것이다. 흐름도(800)는 선택기준 단계(802), 표시자 수신 단계(804) 및 조건단계(806)를 포함한다. 수신가능화 단계(808) 및 수신불능화 단계(810)도 예시되어 있다. 수신불능화 단계(810)아래에서는, 추출메시지 단계(812), 디인터리브 스트림 단계(814) 및 추출메시지 단계(816)도 나와 있다.
단계(802)에서는, 수신기에 대한 선택기준이 확정된다. 예로서, 선택기준은 개별적 또는 그룹수신기에 대한 특정 호출신호비트 또는 주소(포인터)의 존재여부가 된다. 따라서, 수신 단계(804)에서 수신기는 선택기준에 근거하여 부합(match), 부합하지 않음(no-match) 또는 불확정(indeterminate) 조건(단계 806)을 확정할 표시신호 또는 반복표시신호(예를 들어, 호출신호 패킷 또는 포인터 패킷)를 수신한다. 수신기가 표시신호를 정확히 수신할 수 없다면(예를 들어, CRC가 정정불가능한 오류를 지시할 때) 불확정조건은 확정되고 프로세싱은 단계(808)에서 계속된다.
수신가능 단계(808)에서, 수신기는 반복표시신호가 존재하면 그것의 수신을 허용한다. 따라서, 호출신호 N+1구역(416)의 수신이 불확정이면, 수신기는 다음 프레임 내에 있는 다음 호출신호 N구역의 수신을 허용한다. 마찬가지로, 포인터 N+1구역(418)의 수신이 불확정이면, 수신기는 포인터 N구역(414) 또는 다음 프레임 내의 복제 포인터 N구역(420)의 수신을 허용한다. 일반적으로, 부합 또는 부합하지 않음 조건의 하나가 확정된다는 것은 현재 또는 다음 프레임 내에서 수신기에 대한 메시지가 존재 또는 부재임을 지시한다.
부합 또는 부합하지 않음 조건 아래에서, 프로세싱은 단계(810)에서 계속되고, 반복표시신호의 수신이 불허된다. 또한, 부합하지 않음 조건 아래에서, 프로세싱은 수신기가 다음 표시신호 수신을 준비하는 단계(804)에서 계속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수신기가 호출신호 N+1구역(416)과 관련하여 부합하지 않음 조건을 결정하면, 다음 프레임 내의 호출신호 N구역의 수신을 불허하나, 그 프레임 내의 호출신호 N+1구역의 수신을 허용한다.
부합조건이 확정되면, 수신기는 포인터 패킷(200) 및 스트림헤더(500)를 이용하여 메시지위치(단계 812)를 추출한다. 이어서, 수신기는 스트림을 수신하고(단계 814), 앞서 기술한 특정 메시지를 추출(단계 816)하기 위해서 스트림을 디인터리브한다.
추가 고려사항(Additional Consideration)
본 프로토콜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서비스를 설계할 때의 여러 고려사항과 독립하여 운영된다. 예를 들면, 시스템 송신기는 무선호출기에 한번, 여러 번 또는 시스템 부하에 따라 가변적으로 메시지 송신을 할 수 있다. 무선호출기가 동일한 메시지의 여러 사본을 수신하는 경우, 무선호출기는 수신된 메시지에 시간 다이버시티 조합기술을 적용한다. 따라서, 무선호출기는 단일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 동일한 메시지에 대한 2개 사본의 심볼을 합성한다. 효과적으로, 동일 메시지의 2개 사본을 이용하여 2/3 비율의 길쌈 부호화가 1/3비율의 길쌈 부호화 보다 더 견실한 것으로 다루어진다. 수신기가 무선호출기에서 추가적으로 지원된다면, 시스템 송신기가 동일한 메시지를 동시에 2개의 주파수상에서 송신하는 주파수 다이버시티 역시 가능하다.
본 프로토콜에 대하여 제공되는 수신기의 범위는 매우 광범위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가 무선호출기에 광고를 송신할 수 있다. 광고와 관련하여 사전에 정의된 음성 메시지가 최번시(peak hours)가 아닌 동안에 송신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그 지역의 음식점 광고가 오전 11시 30분에 방송될 수 있다.
비상호출 서비스 역시 제공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병원 또는 경찰서가 무선호출기 서비스 계획의 일부로서 비상호출통지를 선택할 수 있다. 비상시에, 시스템 송신기는 비상호출메시지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병원 또는 경찰서 무선호출기로 송신하도록 통상의 메시지보다 우선한다.
도 9는 본 음성 무선호출 프로토콜의 구현에 사용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의 집합을 예시한 것이다. 도 9는 시스템 송신기(900) 및 수신기(902)(예를 들어, 음성 무선호출기)를 나타내고 있다. 시스템 송신기(900)는 안테나(904), 신호 송신기(906), 제어기(908), 클록 발생기(910) 및 메모리(912)를 포함한다. 제어기(908)는 범용의 입출력기(I/O)(913), 표시신호 발생기(914) 및 메시지 신호 발생기(916)를 포함한다. 수신기(902)는 안테나(918), 신호수신기(920), 클록발생기(922), 제어기(924) 및 메모리(926)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제어기(924)는 선택비교기(927), 수신제어기(928), 메시지 추출기(930) 및 범용 입출력기(932)를 포함한다.
신호 송신기(906)는 예를 들어 증폭기, 필터 및 변조기를 포함한다. 제어기(908)는 클록 발생기(910)와 동기하여 동작하고, 표시신호(예를 들어, 호출신호 및 주소) 발생기(914) 및 표시신호 및 메시지신호를 발생(예를 들어, 선택, 포맷 및 복호)시키는 메시지신호 발생기(916)를 구현하는 로직을 포함한 단일 ASIC으로 구현된다. 클록 발생기(910)는 전체 시스템 제어, 신호타이밍 및 프레임 타이밍에 관한 클록신호를 발생시킨다. 메모리(912)는 예를 들어 적절한 SRAM, DRAM, 하드디스크 저장장치, 플래쉬(flash) 메모리 등을 사용하여 개개 및 그룹 주소, 호출신호, 디지털화된 음성메시지를 저장한다.
수신기(902)와 관련하여, 신호수신기(920)는 예를 들어 필터, 수신기(920)가 디지털 처리를 위하여 수신신호를 제어기(924)에 넘겨줄 수 있도록 하는 복조기를 포함한다. 클록 발생기(922)는 전체시스템 제어 및 프레임 수신 타이밍을 위한 클록신호를 발생시키고, 메모리(926)는 호출신호비트 및 주소할당을 포함하는 선택기준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제어기(924)는 선택비교기(927), 수신제어기(928) 및 메시지 추출기(930) 구현 로직을 포함하는 ASIC형태로 구현된다.
선택비교기(927)는 수신기(902)의 메시지 수신여부를 결정하는 선택기준에 대하여 수신표시신호를 비교한다. 응답으로, 수신제어기(928)는 반복표시신호 및 메시지의 수신을 허용 또는 불허한다. 메시지 추출기(930)는 표시정보(예를 들어, 주소정보)의 검사 및 스트림으로부터의 메시지추출에 의해 수신신호로부터 메시지를 추출한다.
특별한 요소, 구현예 및 본 발명의 응용이 지금까지 예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앞서의 기술된 내용을 참조하여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이 지금까지의 내용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다음에 부가되는 청구항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그러한 변경과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이버시티 송수신 기법이 통합된 음성 무선호출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이는 단일 또는 다중 프레임 내에 다이버시티 송신기법을 결합시킨 음성 페이지 프로토콜으로서, 무선호출기에 대한 전력소비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토콜은 그룹 메시지송신 기능을 제공하여, 특정 그룹에 대하여 동일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음성 무선호출 프로토콜은 선택된 호출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신기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선택적 호출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가리키는 표시(indicator)신호와 수신기로 향하는 데이터 신호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추가의 호출신호, 주소신호, 메시지신호를 동시에 설정하고 송신함으로써 추가메시지를 추가된 수신기로 송신할 수 있다.

Claims (64)

  1.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가리키는 표시신호 및 상기 수신기로 향하는 메시지 신호를 포함하는 선택적 호출 메시지를 사용하여, 수신기에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i)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가리키는 첫 번째 표시신호를 첫 번째로 송신하는 단계와,
    (ii) 미리 결정된 간격에 대하여 지연시키는 단계와,
    (iii) 상기 첫 번째 표시신호의 적어도 일부분을 두 번째로 송신하고, 상기 수신기에 대한 메시지 신호를 첫 번째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주기적으로 프레임들을 송신하고,
    송신단계 (i)이 제1 프레임 내에서 행해지고, 송신단계 (iii)이 상기 제1 프레임에 이어서 제2 프레임 내에서 행해지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송신단계 (iii)이 상기 제1 프레임 후에, 바로 제2 프레임 내에서 행해지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송신단계 (iii)은 상기 제1 표시신호의 전체를 송신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송신단계 (i) 및 (iii)은 상기 제1 표시신호 내에서 상기 수신기를 가리키는 주소의 일부분을 송신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송신단계 (iii)은 상기 제2 프레임 내에서 상기 수신기를 가리키는 상기 주소의 일부분을 두 번째로 송신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송신단계 (i) 및 (iii)은 상기 제1 표시신호 내에서 상기 수신기를 가리키는 호출신호의 일부분을 추가적으로 송신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송신단계 (i)은 메시지 프레임 내에서 일어나고, 송신단계 (iii)은 상기 메시지 프레임 내에서 일어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송신단계 (i) 및 (iii)은 상기 제1 표시신호 내에서 수신기를 가리키는 주소의 일부분을 송신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송신단계 (i)은 상기 제1 표시신호 내에서 상기 수신기를 가리키는 호출신호의 일부분을 송신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현재의 프레임 내에서 상기 주소의 일부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현재의 프레임 내에서 상기 호출신호의 일부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조합된 주소 및 데이터 메시지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의 프레임 내에서 상기 조합된 주소 및 데이터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신호로부터 분리하여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송신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다이버시티 표시신호들을 포함하는 송신된 신호 내에서 운반되고, 상기 방법은
    수신기내에서 선택기준을 확정하는 단계와,
    제1 프레임의 정보내에서 제1 표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부합 및 부합하지 않음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선택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표시신호를 근거로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부합 또는 부합하지 않음 조건이 확정될 때, 이어서 송신되는 반복 표시신호의 수신을 불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단계는
    부합, 부합하지 않음 및 불확정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불확정 조건이 확정될 때, 상기 이어서 송신되는 반복 표시신호의 적어도 일부분의 수신을 허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표시신호 내에서 주소의 일부분을 수신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의 일부분을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표시신호 내에서 메시지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위치에 대응하는 프레임 정보의 일부분에 대한 수신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호출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와 관련된 주소의 일부분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의 반복 주소 일부분 동안 상기 수신기를 디세이블(disable) 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의 일부분을 수신하는 단계는 메시지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위치에 대응하는 프레임 정보의 일부분에 대한 수신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메시지를 수신기로 송신하는 메시지 프로토콜 신호 구조에 있어서,
    수신기를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표시신호와,
    상기 표시신호 내에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분을 반복하는 제2 표시신호와,
    상기 제1 표시신호 및 상기 제2 표시신호 가운데에서의 개입신호(intervening signal) - 상기 개입신호는 상기 제1 표시신호 및 상기 제2 표시신호 가운데 시간 다이버시티를 제공함 -
    를 포함하는 메시지 프로토콜 신호 구조.
  24. 제23항에 있어서,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신호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표시신호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위치하는
    메시지 프로토콜 신호 구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 후에, 바로 이어지는 메시지 프로토콜 신호 구조.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신호는 상기 제1 표시신호 내의 상기 정보 모두를 포함하는 메시지 프로토콜 신호 구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표시신호들의 각각은 상기 수신기를 가리키는 주소를 포함하는 메시지 프로토콜 신호 구조.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신호는 상기 제1 표시신호의 적어도 일부분을 반복하는 적어도 2개의 복제구역들을 포함하는 메시지 프로토콜 신호 구조.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표시신호들의 각각은 상기 수신기를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의 호출신호를 포함하는 메시지 프로토콜 신호 구조.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에 대한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현재의 프레임 및 다음의 메시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신호는 상기 메시지 프레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표시신호는 상기 메시지 프레임에 위치하는
    메시지 프로토콜 신호 구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표시신호들의 각각은 상기 수신기를 가리키는 주소를 포함하는 메시지 프로토콜 신호 구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신호는 상기 수신기를 가리키는 호출신호를 포함하는 메시지 프로토콜 신호 구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프레임은 상기 수신기를 가리키는 상기 주소를 포함하는 제3 표시신호를 포함하는 메시지 프로토콜 신호 구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표시신호는 상기 수신기를 가리키는 상기 호출신호를 포함하는 메시지 프로토콜 신호 구조.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표시신호는 조합된 주소 및 데이터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프로토콜 신호 구조.
  36. 전체의 수신기들 중 서브세트(subset)의 수신기들을 가리키는 호출신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세트내의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에 대응하는 주소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주소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세트내의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로 향하는 메시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가리키는 표시신호 및 상기 수신기로 향하는 메시지 신호를 포함하는 선택적 호출 메시지를 사용하여, 수신기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호출신호를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호출신호비트를 설정하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호출신호를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제2 수신기를 가리키는 제2 호출신호비트를 추가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호출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2 호출신호비트를 추가적으로 송신하고,
    주소를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2 수신기에 대응하는 제2 주소를 추가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주소를 송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2 주소를 추가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2 수신기로 향하는 제2 메시지를 추가적으로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수신기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호출신호를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수신기 그룹을 가리키는 복수의 추가 호출신호비트들을 추가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호출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복수의 추가 호출신호비트들을 추가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수신기 그룹으로 향하는 그룹 메시지 신호를 추가적으로 송신하는
    수신기 그룹으로 그룹 메시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40. 제37항에 있어서,
    호출신호를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수신기를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호출신호비트를 추가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호출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호출신호비트를 추가적으로 송신하는
    그룹 주소를 공유하는 복수의 수신기들로 메시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41. 제37항에 있어서,
    주소를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수신기를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주소를 추가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주소를 송신하는 상기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주소를 추가적으로 송신하는
    호출신호비트를 공유하는 복수의 수신기들로 메시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42. 제36항에 있어서,
    주소를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수신기를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주소를 추가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주소를 송신하는 상기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주소를 추가적으로 송신하는
    호출신호를 공유하는 복수의 수신기들로 메시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43. 제37항에 있어서,
    호출신호를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수신기를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호출신호비트를 추가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호출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호출신호비트를 추가적으로 송신하고,
    주소를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수신기를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주소를 추가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주소를 송신하는 상기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주소를 추가적으로 송신하는
    복수의 수신기들로 메시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44. 선택적 호출 수신기내에서, 송신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호출신호 정보 및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된 신호 내에서 운반되고, 상기 방법은
    미리 결정된 수신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호출신호 정보를 송신된 신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신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기에 대한 메시지 신호의 존재를 결정하고, 상기 메시지 신호가 부재시에 상기 송신된 신호의 수신을 금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시지 수신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메시지 신호가 존재할 때
    상기 송신된 신호내에서 제공되는 메시지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 위치에 따라서 송신된 상기 신호내에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6. 제44항에 있어서, 메시지 신호의 상기 존재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호출신호 정보가 정정되지 않은 오류를 포함하고 있을 때 상기 메시지 신호의 존재를 불확정한 것으로 결정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송신된 신호내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주소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기에 대한 메시지 신호의 존재를 결정하고, 상기 메시지 신호가 부재시에 상기 송신된 신호의 수신을 금지시키는
    메시지 수신방법.
  47. 제44항에 있어서, 메시지 신호의 상기 존재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호출신호 정보가 정정되지 않은 오류를 포함하고 있을 때 상기 메시지 신호의 존재를 불확정한 것으로 결정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송신된 신호내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주소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기에 대한 메시지 신호의 존재를 결정하고, 상기 메시지 신호가 존재시에 (i) 상기 송신된 신호내에서 제공되는 메시지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및 (ii) 상기 메시지 위치에 따라 상기 송신된 신호내의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에 따라서 상기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된 신호내에서 제공되는 메시지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 위치에 따라 상기 송신된 신호내의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방법.
  48. 전체의 수신기들 중 서브세트의 수신기들을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의 호출신호를 포함하는 제1 호출신호 구역과,
    상기 서브세트내의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주소를 포함하는 제1 주소 구역과,
    상기 수신기로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 구역
    을 포함하는, 수신기로 정보를 송신하는 프레임 구조.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신호는 호출신호비트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출신호 구역은 적어도 2개의 호출신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주소구역은 적어도 2개의 주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주소구역은 적어도 2개의 메시지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수신기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출신호 구역은 수신기 그룹내의 수신기들을 가리키는 적어도 2개의 호출신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시지 구역은 상기 수신기 그룹에 대한 그룹 메시지 신호를 포함하는,
    수신기 그룹으로 그룹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
  52.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출신호 구역은 수신기 그룹내의 서로 다른 수신기들을 가리키는 적어도 2개의 호출신호들을 포함하는,
    그룹 주소를 공유하는 복수의 수신기들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
  53.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소 구역은 수신기 그룹내의 서로 다른 수신기들을 가리키는 적어도 2개의 주소들을 포함하는,
    호출신호를 공유하는 복수의 수신기들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
  54.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소 구역은 수신기 그룹내의 서로 다른 수신기들을 가리키는 적어도 2개의 주소들을 포함하는,
    호출신호를 공유하는 복수의 수신기들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
  55.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출신호 구역은 수신기 그룹내의 서로 다른 수신기들을 가리키는 적어도 2개의 호출신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주소 구역은 상기 수신기들을 가리키는 적어도 2개의 주소들을 포함하는,
    개개의 호출신호들 및 주소들을 사용하여, 복수의 수신기들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
  56. 제48항에 있어서,
    현재의 프레임 및 메시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 - 상기 제1 호출신호 구역 및 상기 제1 주소 구역이 상기 현재의 프레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메시지 구역이 상기 메시지 프레임에 위치함 -.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프레임은
    상기 제1 호출신호 구역을 복제하는 상기 제1 호출신호 구역과,
    상기 제1 주소 구역의 일부분을 복제하는 제2 주소 구역
    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프레임 내에 위치한 상기 제2 주소 구역을 복제하는 복제된 제2 주소 구역
    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
  59. 제48항에 있어서,
    현재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 - 상기 제1 호출신호 구역, 상기 제1 주소 구역 및 상기 제1 메시지 구역이 상기 현재의 프레임 내에 위치함 -.
  6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프레임 내에 위치한 상기 제1 주소 구역을 복제하는 복제된 주소 구역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
  61.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가리키는 표시신호 및 상기 수신기로 향하는 메시지 신호를 포함하는 선택적 호출 메시지를 사용하여, 수신기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음성 무선호출 송신기에 있어서,
    표시신호를 발생시키는 표시신호 발생기와,
    메시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메시지 신호 발생기와,
    타이밍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클록 발생기와,
    상기 타이밍 신호들에 맞추어 동기되는 송신기 - 상기 송신기는 상기 표시신호를 첫 번째로 송신하고, 적어도 상기 표시신호의 일부분을 지연 및 두 번째로 송신하고, 상기 메시지 신호를 첫 번째로 송신함 -
    를 포함하는 음성 무선호출 송신기.
  62. 송신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음성 무선호출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다이버시티 표시신호들을 포함하는 송신된 신호내에서 운반되고, 상기 수신기는
    선택기준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표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에 대한 상기 선택기준을 비교하고, 부합/부합하지 않음 조건의 하나를 확정하는 선택비교기와,
    부합/부합하지 않음 조건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기에 의해서 반복표시신호들의 상기 수신을 불허하는 수신 제어기
    를 포함하는 음성 무선호출 수신기.
  63.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가리키는 표시신호 및 상기 수신기로 향하는 메시지 신호를 포함하는 선택적 호출 메시지를 사용하여, 수신기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음성 무선호출 송신기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전체의 수신기들 중 서브세트의 수신기들을 가리키는 호출신호를 발생시키는 호출신호 발생기와,
    상기 서브세트내의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에 대응하는 주소 신호를 발생시키는 주소 신호 발생기와,
    메시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메시지 신호 발생기와,
    타이밍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클록 발생기와,
    상기 타이밍 신호들에 맞추어 동기되는 송신기 - 상기 송신기는 상기 호출신호, 상기 주소 신호 및 상기 메시지 신호를 송신함 -
    를 포함하는 음성 무선호출 송신기.
  64. 송신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선택적 무선호출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호출신호 정보 및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된 신호내에서 운반되고,
    선택기준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호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호출신호에 대한 상기 선택기준을 비교하고, 메시지 신호의 존재/부재를 확정하는 선택비교기와,
    상기 메시지가 부재일 때, 상기 수신기에 의해서 반복표시신호들의 상기 수신을 불허하는 수신 제어기
    를 포함하는 선택적 무선호출 수신기.
KR1020007005649A 1997-11-25 1998-11-23 음성 무선호출 프로토콜 KR200100324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680297P 1997-11-25 1997-11-25
US60/066,802 1997-11-25
US10555898P 1998-10-26 1998-10-26
US60/105,558 1998-10-26
US18810598A 1998-11-09 1998-11-09
US9/188,105 1998-11-09
PCT/US1998/024858 WO1999027508A1 (en) 1997-11-25 1998-11-23 Voice paging protoc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2409A true KR20010032409A (ko) 2001-04-16

Family

ID=27371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5649A KR20010032409A (ko) 1997-11-25 1998-11-23 음성 무선호출 프로토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1034519A1 (ko)
JP (1) JP2001524767A (ko)
KR (1) KR20010032409A (ko)
CN (1) CN1280696A (ko)
AR (1) AR014037A1 (ko)
AU (1) AU1595399A (ko)
CA (1) CA2310728A1 (ko)
IL (1) IL135971A0 (ko)
PE (1) PE20000046A1 (ko)
TW (1) TW418575B (ko)
UY (1) UY25269A1 (ko)
WO (1) WO19990275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75099B1 (en) 1999-07-28 2012-04-18 Panasonic Corporation Apparatus for the transmission of data and method for digital radio communication
JP4752164B2 (ja) * 2001-09-28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5099A (en) * 1988-12-01 1991-02-19 Motorola, Inc. Power conserv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ortion of a predetermined signal
US5414419A (en) * 1989-12-04 1995-05-09 Motorola, Inc. Battery saving method for selective call receiv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18575B (en) 2001-01-11
UY25269A1 (es) 1999-07-19
IL135971A0 (en) 2001-05-20
CA2310728A1 (en) 1999-06-03
CN1280696A (zh) 2001-01-17
AR014037A1 (es) 2001-01-31
PE20000046A1 (es) 2000-02-09
JP2001524767A (ja) 2001-12-04
WO1999027508A1 (en) 1999-06-03
AU1595399A (en) 1999-06-15
EP1034519A1 (en) 2000-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8936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ding of broadcast messages
CN1096766C (zh) 组织和恢复无线通信系统中通信的信息的方法和设备
US54758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messages to portable communication unit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RU221277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искового вызова беспроводного терминала в беспроводной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истеме
US6097772A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peech transmissions in the presence of control signaling
JP4047455B2 (ja) メッセ−ジを解読および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893689B (zh) 用于在无线电信系统中寻呼无线终端的方法和装置
JP4354035B2 (ja) 待ち受けモード時の消費電力を低減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1509330A (ja) セルラ移動端末の電力低減動作の方法及びシステム
EP0698974B1 (en) Time diversity communication system
EP0179898A4 (en) TWO DIRECTION SYSTEM OF PERSONAL MESSAGES WITH EXTENDED COVERAGE.
EP0865707B1 (en) Improved message processing in two-way data devices
JP2001504646A (ja) 時間選択性フェージングが存在するときにサイド情報を発生する方法
EP0963651B1 (en) Apparatus for storing voice messages in a wireless telephone system
MXPA94006152A (es) Metodo de direccionamiento para mantener la alimentacion en receptores de informacion distribuida.
WO1994014287A1 (en) Vestigial identification for co-channel interference in cellular communications
US5691709A (en) Communication transceiver providing unscheduled acknowledge back responses and method therefor
KR20010032409A (ko) 음성 무선호출 프로토콜
US5349588A (en) Error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ommunications
AU727966B2 (en) Terminal for digital mobile radio, and a method for evaluating data received in such a terminal
US6301235B1 (en) Terminal for digital mobile radio and method for evaluating data received in such a terminal
KR100318906B1 (ko) 호출메시지재전송을위한무선호출시스템과무선호출수신기및그방법
JPS63290027A (ja) 無線呼出用受信機
Michalas et al. Paging System Design Issues and Overview of Common Pàging
JPH0897785A (ja) 放送または通信の方法もしくはそれに用いられ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