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2212A - 관장, 주수 또는 결장세척 관주용 착탈식 위생 화장실용품 - Google Patents

관장, 주수 또는 결장세척 관주용 착탈식 위생 화장실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2212A
KR20010032212A KR1020007005408A KR20007005408A KR20010032212A KR 20010032212 A KR20010032212 A KR 20010032212A KR 1020007005408 A KR1020007005408 A KR 1020007005408A KR 20007005408 A KR20007005408 A KR 20007005408A KR 20010032212 A KR20010032212 A KR 20010032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irrigation
toilet
substrat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5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9110B1 (ko
Inventor
문인이
Original Assignee
문인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인이 filed Critical 문인이
Publication of KR20010032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2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1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25Devices on which the patient can sit, e.g. mounted on a toilet bowl ; Devices containing liquid pumped by the patient's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45Containers therefor, e.g. with heating means or with storage means for cann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66Stands, holders or storage means for irrig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42Alimentary tract
    • A61M2210/1064Large intes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04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rrigation fluid, e.g. conductivity or turbidity
    • A61M3/0208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rrigation fluid, e.g. conductivity or turbidity befor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04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rrigation fluid, e.g. conductivity or turbidity
    • A61M3/022Volume; Flow r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좌(便坐, toilet seat)와 변기통(toilet bowl) 사이에 설치되고 유체 라인에 연결될 수 있는 화장실용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실용품은 상기 변좌의 무게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하나의 관상 관주기(灌注器, irrigation assembly)와 하나의 기판을 구비한다. 기판은 상면과 저면, 후단부와 선단부를 갖는데, 설치 시에는 상기 후단부가 변기통의 뒷부분으로 향하게 되고 상기 선단부가 변기통의 앞부분으로 향하게 된다. 기판은 유체 라인과 관주기를 수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포트(port)들을 갖는다. 이 포트들은 상기 선단부에 위치한다. 관주기는 하나의 관주팁(irrigation tip)과,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서 관주팁이 체강(體腔)내에 과도하게 삽입되지 않게 제한하는 수단 역할을 하는 하나의 제한구(制限具)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관장, 주수 또는 결장세척 관주용 착탈식 위생 화장실용품{HYGIENIC, REMOVABLE TOILET ATTACHMENT FOR ENEMA, DOUCHE OR COLONIC IRRIGATION}
결장세척(結腸洗滌) 관주법(灌注法)은 결장(結腸)의 내벽면에 가끔 형성되는 플래스터 상태의 노폐물 피막(plaster-like fecal coating)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관장법(灌腸法)은 그러한 피막을 용해시키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다. 그리고, 그러한 피막을 너무 급속히 제거하게 되면 결장의 내면에 ″찰과상(raw)″을 입히고 통증을 유발시킬 수가 있다. 결장내의 노폐물 피막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그 피막에 물을 완전히 침투, 포화시켜야 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제거 작업을 점진적으로 편안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점진적인 제거 작업은, 일회에 수 온스씩, 수 갤런의 물을 직장(直腸)을 통해서 주입하는 연속 결장세척 관주법(灌注法)에 의해 달성할 수가 있다. 물을 매번 주입한 후에는 물이 배출되는데, 이와 같이 배출된 물을 안전하게 버릴 수 있을 때까지 배출수를 담아 두는 장치가 필요하거나, 배출수를 처리 용기내로 안내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장치는, 특히 가정용 결장세척 장비의 경우 관주시에 사람이 기댄 위치로 눕는 판을 종종 포함하기 때문에, 가정에서 사용하기에는 비싸고, 부피가 크며 다루기가 불편하다. 더구나, 다량의 물이 사용되기 때문에 가정에서 다른 세정 작업과 동시에 결장세척 관주를 수행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관주용 관이 직장내에 부적합하게 삽입될 경우, 관주가 비효과적이거나 유해하게 될 수도 있다. 관주 장치의 직장내 삽입관의 삽입 깊이는 2.5 ~ 3인치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직장내 삽입관의 방향이 잘못 되거나 윤활 상태가 적절하지 못하면, 결장의 천공(穿孔), 패혈증(敗血症), 직장 항문의 손상 등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관장법(灌腸法)의 경우도, 사용하는 물의 양이 훨씬 적기는 하지만, 마찬가지로 직장을 통하여 결장내로 물을 주입한다. 관장법은 사람이 모로 누운 상태에서 적합하게 수행되고 앉은 상태에서 물을 배출하기 때문에, 청결성 및 편리성의 면에서 대체로 어중된 방법이다. 따라서, 이 방법 또한 청결성, 편리성 및 안전성 면에서 문제가 있다. 마찬가지로, 주수법(注水法)도 체강(體腔)내로 주입하는 물이 소량이기는 하지만, 역시 안전성, 편리성 및 청결성 면에서 유사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가정에서 체강(體腔)을 관주함에 있어서 안전하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관주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관장(灌腸, enema), 주수(注水, douche) 또는 결장세척(結腸洗滌, colonic) 관주(灌注, irrigation)용 화장실용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신속,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며 위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화장실용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화장실용품의 적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장실용품을 설치한 변기의 개략도.
도 2a는 변기통 상부에 설치된 화장실용품의 개략도.
도 2b는 화장실용품의 기판과 관주기의 일부 확대도.
도 3은 화장실용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a ~ 4f는 본 발명에 의한 관주기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장실용품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변기통 12 변좌
18 유체 공급원 20 유체 라인, 유체 커넥터
24 관주기 28 기판, 지지체
29 하향 돌출부 36 요구부, 요홈
38 관주팁 56 제한구
58 구멍, 방출구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변좌(便坐, toilet seat)와 변기통(toilet bowl) 사이에 설치되고 유체 라인에 연결될 수 있는 화장실용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화장실용품은 하나의 관상 관주기(灌注器, irrigation assembly)와 하나의 기판을 구비하고 있다. 기판은 상면과 저면, 후단부와 선단부를 갖는다. 설치 시에는 후단부가 변기통의 뒷부분으로 향하게 되고 선단부가 변기통의 앞부분으로 향하게 된다. 기판은 유체 라인과 관주기를 수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포트(port)들을 갖는다. 이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기판의 선단부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화장실용품은 변기에 쉽게 부착할 수가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별도 보관을 위해서 변기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가 있다. 관주기와 유체 라인은 기판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 및/또는 체액이나 배설물과 접촉되는 부품들을 쉽게 세척 및 교체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안전 구조를 가진 화장실용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화장실용품은, 하나의 관주팁(irrigation tip)과 이 관주팁이 사용자의 체강(體腔)내로 소정 거리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가진 관주기(灌注器, irrigation assembly)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단은 관주기의 관주팁으로부터 미리 조절된 거리에 위치된다. 이 수단은 예를 들면, 이중 L자형, 측면 U자형, 측면 S자형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가 있다. 이 수단은 직장(直腸)이나 질(膣)내로 쉽게 또는 부주의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이러한 다양한 실시예의 안전 구조는 또, 관주기에 유연성을 부여함으로써, 경직된 관을 사용할 때보다 사용자의 움직임을 더욱 원활하게 하고 향상된 안락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변좌와 변기통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기판에 부착되는 L자형 관을 구비한 화장실용품이 제공된다. 이 L자형 관은 유체 라인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화장실용품은 또, 하나의 관주팁과 일반적으로 U자형으로 된 부분을 갖는 하나의 관상 관주기(灌注器, irrigation assembly)와, 전술한 바와 같이 관주팁이 사용자의 체강(體腔)내에 너무 깊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L자형 관은 유체 라인에 연결되는 제1 단부와, 관주기의 연결단을 끼우는 제2 단부를 갖는다. 기판은 상면과 저면, 후단부와 선단부를 갖는다. 설치 시에는 기판의 후단부가 변기통의 뒷부분으로 향하게 되고 선단부가 변기통의 앞부분으로 향하게 된다. 기판은 L자형 관의 일부를 끼우도록 선단부 부근에 위치한 구멍과, 그 관을 고정하도록 기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브라켓들을 갖는다. 관주기는 상기 구멍을 통해 돌출하는 상기 관 부분에 연결된다. L자형 관은 기판으로부터 쉽게 분리되고 기판에 쉽게 부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화장실용품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체강(體腔)을 관주하기 위한 화장실용품을 적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유체 커넥터를 지지하도록 변기통과 변좌 사이에 지지체를 위치시키고, 유체 공급원을 유체 커넥터의 일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 유체 공급원으로부터의 유체가 관주팁으로 흐를 수 있도록 관주기를 유체 커넥터에 연결하고, 적어도 일부분에서의 유체 흐름 방향이 90˚이상 변하는 관주팁을 제공한다. 관주팁의 상기 일부분은 관주팁이 사용자의 체강(體腔)내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관주팁의 말단부로부터 약 3인치 이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화장실용품으로 적합한 관주기가 제공된다. 관주기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진 관상 본체를 구비한다. 제1 단부는 개구되어 있으며, 관주기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화장실용품의 기판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관주기는 또, 관주팁과, 이 팁의 삽입을 제한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관주팁은 관상 본체의 제2 단부에 위치하고, 제한 수단은 사용자의 신체 내로 미리 조절된 최대 거리만큼만 관주팁의 삽입이 제한되도록 관주팁으로부터 미리 조절된 위치의 관상 본체에 배치된다. 관주기는 여러 사람들이 동일 기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부분적으로 체강(體腔)내로 삽입되는 관주기만을 바꿀 수 있도록 기판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특징 및 기타 특징을, 이하 화장실용품의 적합한 실시예들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면의 실시예들은 설명을 목적으로 도시된 것들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었다.
도 1은 관장(灌腸), 주수(注水) 또는 결장세척(結腸洗滌)용 화장실용품을 설치한 통상의 변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 변기는 변기통(10)과, 사용후에 이 변기통(10)을 플러싱(flushing)하도록 변기통(1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조(14)를 갖는다. 변좌(12)가 통상의 힌지(hinge)식으로 변기통(10)에 부착된다. 화장실용품은 변좌(12)와 변기통(10)의 상변(30) 사이에 위치되며, 기판(28, 도 1에서는 일부만 도시되어 있음)과, 관상의 관주기(24) 및 유체 라인(20)을 구비하고 있다.
유체 라인(20)은 유체 공급원(18)과 관주기(24) 사이에 유체 통로를 제공하는데, 관주기는 사용 시에 직장(直腸)이나 질(膣)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관주기는 이하 직장 관주기라고도 칭함). 유체 공급원(18)은 중력에 의해 유체 압력이 정해지도록 높은 곳에 위치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일반 가정의 욕실에서는 유체 공급원(18)을 급수조(14) 위에 올려놓기만 하면 위치를 간단히 높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추가의 받침대(16) 위에 올려놓을 수도 있다. 받침대(16)의 높이는 유체 라인(20)을 통한 유체 압력을 중력에 따라 조절하도록 변화시킬 수 있다. 유체 공급원(18)은 또, 후크(hook)에 의해 벽이나 천장에 걸 수 있는 백(bag) 형태로 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후크와 백의 위치에 따라서 유체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한 백은 예를 들면, 캠핑이나 기타 옥외활동 시에 물을 담아서 사용하는 것과 같다. U자형 관(26)에 의해서 유체 라인(20)이 유체 공급원(18)에 연결된다. 클램프(22)가 유체 라인(20)상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 클램프(22)는 폐쇄 또는 유체 정지 위치로 탄성적으로 압박되는 것이 적합하다.
유체는 물이거나 예를 들면 치료 성분을 포함하는 수용액일 수도 있다. 유체는 유체 공급원(18)내에서 가열될 수도 있으며, 실온(室溫)이나 체온(體溫) 상태로 유체 공급원(18)내에 채워질 수도 있다.
유체 라인(20)은 단일 피스(one-piece)의 라인으로 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피스를 상호 연결하여 구성한 하나의 라인으로 될 수도 있다. 유체 라인(20)은 예를 들면 통상의 호스와 같이 유연한 재질로 되는 것이 적합하다. 유체 라인(20)이 2개 이상의 피스로 될 경우에는, 각 피스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유연성이 각기 다른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유체 공급원(18)의 대용품으로 수도꼭지 등에 유체 라인(20)을 연결시킬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누수가 되지 않는 단단한 연결을 위해서 적절한 커넥터가 유체 라인(20)에 부착된다. 유체 라인(20)을 수도꼭지에 연결할 때에는 안전을 위해서 압력 조절기가 필요하다.
도 2a는 변기통 상부에 설치된 화장실용품의 개략도로서, 변기통의 상변(30)에 설치된 화장실용품을 잘 보여주도록 변좌(12)를 변기통(10)의 후부에 있는 급수조(14) 쪽으로 들어올린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에서는 또한, 직장 관주기(24)도 잘 보여지고 있는데, 이는 이하 도 2b 및 도 4a ~ 4f를 참조하여 상술된다.
화장실용품의 기판(28)은, 그 것을 변좌(12)와 변기통(10)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그리고 변기통(10) 내로 연장하며 변기통(10)의 곡면에 안착되는 형태로 된 하향 돌출부(29, 도 2b 및 도 3 참조)에 의해서 변기에 고정된다. 추가의 고정 수단이 필요 없으므로, 기판(28) 및 그 하향 돌출부(29)가 변기에 대한 온전한 고정 수단이 된다. 화장실용품은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위생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세척할 때에 쉽게 분리할 수 있다. 기판(28)의 형상은 변기통(10)의 후부에서 변기통 상변(30)의 외형에 맞도록 되고 변좌(12)의 저면으로부터 크게 돌출하지 않게 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기판(28)은 편평하고 만곡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변기통(10)의 개구부는 기판(28)을 설치했을 때 최소한의 공간만 잠식된다. 기판(28)은 설치했을 때에 급수조(14) 쪽으로 면하는 후단부와 변기통(10) 쪽으로 면하는 선단부를 갖는다.
기판(28)의 두께는, 변기통(10)의 상변(30) 내로 연장하는 하향 돌출부(29)를 제외하면, 변좌(12)를 내렸을 때에 변기통 상변(30)과 변좌(12) 사이의 간격과 대략 동일하다. 이 간격은 변좌(12)에 통상 부착되는 스페이서(40)들의 높이에 의해서 정해진다. 기판의 두께가 이 간격과 대략 동일하거나 극소하게 클 경우에는, 변좌(12)에 앉는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서 기판(28)이 변기통 상변(30)과 변좌(12) 사이에 협지되어 적소에 지지될 것이다.
기판(28)은 직장 관주기(24)를 실질적으로 수직한 상태로 지지하고 직장 관주기(24)와 유체 라인(20) 사이에 확실한 연결 상태를 제공한다. 유체 라인(20)과 직장 관주기(24)는 기판(28)의 하향 돌출부가 있는 선단부에 부착되는 것이 적합하다. 다른 예(도시되지 않았음)로서는, 유체 라인(20)이 기판(28)의 후단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향 돌출부(29)는 변기통 상변(30)과 변좌(12) 사이에 고정되어야 하는 기판(28)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껍게 될 수 있다. 유체 라인(20)도 그 것을 통한 유체 흐름을 제한할 정도로 크게 압착되는 일없이 변기통 상변(30)과 변좌(12) 사이에 위치된다.
도 2b는 유체 라인(20)과 직장 관주기(24)를 기판(28)에 부착하는 일 예를 보여주는 기판(28)과 직장 관주기(24)의 일부 확대도이다. 기판(28)에는, 2개의 단부 또는 포트(port)(46, 48)를 가진 하나의 요구부(channel) 또는 홈이, 변좌(12) 쪽으로 면한 기판(28)의 상면에 수평하게 형성된다. 요구부(36)는 상면에 수평하게 연장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기판(28)상의 요구부(36)는 그 상면이 개방되고 환상(環狀)의 단면을 가진 U자형 요홈 형태로 된다. 요구부의 양 단부(46, 48)는 기판(28)의 하향 돌출부(29) 내에서 기판의 선단부 쪽으로 향한다. 요구부(36)에는 가요성 튜브(32)가 끼워지는데, 이 가요성 튜브는 예를 들면, 그 자체 또는 기판(28)을 세척하거나 교체하여야 할 경우, 기판(28)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압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적합하다. 튜브(32)의 고정을 보강하기 위해서, 요구부의 단부(46, 48)에는, 튜브(32)를 약간 압착하되 튜브(32) 내의 유체 흐름은 부당하게 억제하지 않으면서 튜브(32)를 적소에 지지하도록, 요구부(36)의 직경을 좁혀서 형성한 돌기(42, 44)가 구비된다. 유체 라인(20)의 일단부가 튜브(32)의 일단부(34a) 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데, 이들 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누수가 되지 않는 연결 상태를 제공하도록 충분한 탄성을 갖는다. 유체 라인(20)과 직장 관주기의 일단부(54)를 튜브(32)의 양 단부(34, 34a)에 끼움으로써, 이들 양 단부(34, 34a)와 그에 인접한 돌기(42, 44)와의 사이가 더욱 긴착되어 기판(28)에 튜브(32)를 지지하는 것이 더욱 강화된다.
관상의 직장 관주기(24)는 (직장) 관주팁(38), U자형 부분(52) 및 연결부(50)를 구비하는데, 이 연결부는 직장 관주팁(38)과 U자형 부분(52)의 일단을 연결한다. U자형 부분(52)의 타단은, 연결부(50)에 직각으로 직장 관주기(24)의 단부(54)와 이어진다. 단부(54)는 튜브(32)의 일단부(34) 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데, 적어도 단부(34) 또는 단부(54)는 누수가 되지 않는 연결 상태를 제공하도록 충분한 탄성을 갖는다.
직장 관주팁(38)은 다수개의 구멍(58)을 갖는데, 이를 통해서 물과 같은 유체가 방출된다. 이들 구멍(58)은 약3/32인치의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연결부(50)의 끝 부분, 즉 직장 관주팁(38)을 형성하는 끝 부분 상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직장 관주팁(38)은 연결부(5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직장 관주기(24)의 다른 예에 있어서는, 관주팁(38)이 주수(注水, douche)용 및 질내 삽입용으로 특히 적합하게 확대된 구근(球根)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유체 라인(20)을 기판(28)에 연결하는 다른 예로서는, 유체 라인(20)의 일단부를 요구부(36)내로 바로 삽입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요구부(36)와 유체 라인(20)은 전술한 압착식으로 유체 라인(20을 고정하기에 적합한 직경들을 갖는다. 또한, 유체 라인(20)의 내경과 직장 관주기(24)의 외경은 상호 착탈 가능하되 누수되지 않는 연결 상태를 제공하도록 크기와 형상이 정해진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변기의 측면에서 본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실용품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사용 시에, 직장 관주팁(38)을 구비한 직장 관주기(24)가 인체 내로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장실용품은 변좌(12)와 변기통(10) 사이에 위치되며,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서 그 위치와 형상이 고정된다. 클램프(22)가, 유체 공급원(18)으로부터 직장 관주팁(38)으로의 유체 흐름을 수동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유체 라인(20)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된다.
직장 관주팁(38)이 직장 내로 부적절하게 삽입되면, 관주가 비효과적이거나 유해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직장 관주팁(38)은 약2.5 ~ 3인치 이상 직장 내로 들어가면 안 된다. 관주팁의 방향이 잘못 되거나 윤활 상태가 적절하지 못하면, 결장의 천공(穿孔), 패혈증(敗血症), 항문 또는 직장의 손상 등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관주팁(38)을 다른 체강(體腔)들 내로 삽입하는 데는 더 많은 변수가 있으며, 현행 건강 및 안전 요건에 의해 삽입 깊이가 정해진다.
직장 관주팁(38)이 사용자의 신체 내로 너무 깊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삽입 제한구(56)가 안전 수단으로서 직장 관주기(24)에 추가된다. 도 4a ~ 4f는 그러한 제한구(56)를 가진 직장 관주기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각각의 제한구(56)는 직장 관주팁(38)이 사용자의 신체 내로 너무 깊게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돌출 구조물 또는 억제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 구조물들은 도 4a ~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신체가 이들 구조물에 닿게 되면, 직장 관주팁(38)의 인체 내로의 삽입이 정지된다. 대부분의 경우, 제한구(56)는 연결부(50)의 모양에 의해서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 돌출 구조물 또는 억제 구조물은 관주팁(38)의 체강(體腔)내 삽입을 제한하도록, 즉 삽입 깊이가 제한구(56)에 의해 제한되도록, 관주팁(38)에 대해 상관관계를 가지고 위치되는 것이 적합하다. 어떤 경우에는, 삽입 깊이를 변화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전술한 깊이들은 결장 세척(結腸洗滌)용으로 적합하지만, 관주 장치의 특정용도 및 관계된 사람에 따라서는 더 짧거나 더 긴 치수가 적합할 수도 있다.
직장 관주기(24)의 U자형 부분(52)은 (도 2b), 다소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관주팁(38)이 직장이나 기타 체강(體腔) 내로 삽입되는 강도를 완화시킨다. 유연한 재질의 튜브로 만든 직장 관주기(24)는 그 유연성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더욱 원활하게 하고 그 결과, (예를 들면, 단단한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든) 딱딱한 튜브보다 더욱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실시예의 제한구(56)들은 제조와 동시에 또는 제조 후에, 예를 들면 연결부(50)를 소망하는 형태로 열간 성형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관상의 연결부(50)는 1/4인치의 외경과 0.170인치의 내경을 가진 폴리에틸렌 튜브로 되는 것이 유리하다. 연결부(50)는 안락함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작고, 원활한 유체 흐름을 얻기에는 충분히 큰 직경을 갖는 것이 적합하다.
제한구(56)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차단 수단이며, 도시된 실시예 외에도 연결부(50)에 부착된 와이어(wire) 형태로 될 수도 있다. 제한구(56)는 관주팁(38)이 부주의로 또는 우발적으로 체강(體腔) 내로 너무 깊게 삽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하는 것이다. 직장 관주팁(38)이 직장이나 질 내로 너무 깊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적합한 여러 가지 형상이나 구조가 있을 수 있다. U자형 부분(52)(제2b도), 제한구(56) 및 직장 관주팁(38)은 단일 튜브로 만들어 일체로 직장 관주기(24)를 형성하게 하는 것이 적합하다.
도 4a는 1/16인치 두께의 플라스틱 판으로 만든 제한구(56a)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 판은 직장 관주팁(38)으로부터 약3인치의 거리를 두고 직장 관주기(24)에 부착된다. 이 판은 직장 관주기(24)의 연결부(50)에 접착시키거나 몰드(mold)로 성형시킬 수 있다. 이 판은 연결부(50)가 체강(體腔) 내로 쉽게 또는 우발적으로 과도 삽입되는 것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위치에서 연결부(50)로부터 직각으로 돌설됨으로써, 관주팁의 체강내 삽입을 제한한다.
도 4b는 관주팁(38)을 연결부(50)의 본체로부터 측면으로 편의(offset)시켜서 형성한 이중 L자 형상으로 된 제한구(56b)를 도시한 것이다.
도 4c는 C자 또는 옆으로 누운 U자 형상을 가진 제한구(56c)를 도시한 것으로, 이 제한구(56c)는 그 것이 체강 내로 용이하게 또는 우발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거리만큼 측면으로 연장한다.
도 4d는 연결부(50)를 환상으로 만곡시켜서 형성한 루프(loop) 형상의 제한구(56d)를 도시한 것이다. 이 루프는 그 것이 체강 내로 용이하게 또는 부주의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다.
도 4e는 직장 관주팁(38)으로부터 약3인치의 거리에 링(ring)을 부착하여서 된 제한구(56e)를 도시한 것이다. 이 링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두께가 3/16인치, 직경이 1/2인치이다. 이 링의 평면은 연결부(50)의 축선에 대해 평행하다. 이 링은 그 것이 체강 내로 용이하게 또는 우발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다.
도 4f는 옆으로 누운 S자 형상을 가진 제한구(56f)를 도시한 것이다. 이 S자 형상은 그 것이 체강 내로 용이하게 또는 부주의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된다.
전술한 모든 예에 있어서, 제한구(56a ~ 56f)들은 그 것들이 직장 또는 질 내로 용이하게 또는 부주의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위치에서 관주팁(38)의 종축선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한다, 실용상, 제한구(56)는 그 자체를 지나서 과도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한구(56)는, 결장세척 관주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관주팁(38)이 약2.5 ~ 3인치 삽입되도록 관주팁(38) 상에 배치된다. 제한구(56)는 변기의 전후 방향 어느 곳으로든지 연장하거나 향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제한구(56)가 변기의 후단부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도시되지 않았음)에서는, 관주기(24)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한 쌍의 제한구(56)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b, 4c, 4d 및 4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주팁(38) 쪽으로의 유체 흐름이 적어도 한 번은 적어도 90˚까지 방향을 바꾸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제한구(56a ~ 56f)들은 또한 관주팁(38)이 부드럽고 탄력있게 신체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제한구(56b ~ 56d 및 56f)들은 연결부(50)의 강성을 완화시켜 이러한 유연성 및 탄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도록 한다. 그 결과, 신체와 접촉하는 힘을 감소시켜 상해의 가능성을 경감시키고 관주팁(38)의 장시간 접촉으로부터 발생하는 조직 손상의 고통을 완화시킨다.
이제, 도 5를 보면, 본 발명에 의한 화장실용품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는, 불사용 시에 편평한 기판(60) 상에 설치되어 하나 이상의 탄성 브라켓(62, 64, 66)에 의해서 적소에 지지되어 있는 L자형 연결 베이스 튜브(70)를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 시에는, 기판(60)이 변기통 상에 배치되어, 변기통의 뒷부분에서 변기통과 변좌 사이에 지지된다. 베이스 튜브(70)는 브라켓(62, 64, 66)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베이스 튜브(70)의 짧은 단부는 그 것이 안정되고 정확한 방향으로 지지되도록 기판(60)의 구멍(68)을 통하여 끼워진다. L자형 베이스 튜브(70)의 긴 단부는 브라켓(62, 64, 66)에 의해 적소에 지지될 수 있는데, 브라켓들은 일반적으로 C자형으로 되고 그 일부가 베이스 튜브(70) 상으로 연장한다. 관상 직장 관주기(24)의 연결단(72)이 베이스 튜브(70)의 일단부에 끼워지는데, 적어도 베이스 튜브(70)의 단부나 관주기의 연결단(72) 중 하나는 누수가 되지 않는 연결 상태를 제공하도록 충분한 탄성을 갖는다. 직장 관주기(24)의 연결단(72) 반대편 단부에 있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 시에 직장이나 질 내로 삽입되는 직장 관주팁(38)이다. 도시된 직장 관주기(24)는 C자 형상(도 4c 참조)의 제한구(56c)를 가지고 있으나, 전술한 여러 가지 형태의 제한구(56)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직장 관주팁을 구비한 화장실용품의 전술한 실시예들은 관장(灌腸), 주수(注水) 또는 결장세척(結腸洗滌) 관주(灌注)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직장 관주팁(38)과 항문을 적절히 윤활시킨 다음에, 직장 관주기(24)를 잡고 그의 몸을 변좌(12) 상에 앉힘으로써 직장 관주팁(38)을 직장 내로 서서히 그리고 부드럽게 삽입시킬 수가 있다. 직장 관주팁(38)은 제한구(도 4a ~ 4f 참조) 이상, 통상 약3인치 이상 삽입되어서는 안 된다. 직장 관주팁(38)이 적절히 삽입되면, 사용자는 유체 라인(32) 상의 클램프(22)를 해제하고 결장세척 관주를 행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화장실용품을 전술한 방법으로 통상의 변기 상에 설치함으로써, 변기를 비데(bidet)로 사용할 수가 있다. 이 경우, 관주기는 관주팁(38)을 변좌 가장자리 아래의 적소에 위치시키도록 연결부(50)(도 2b)를 더 짧게 변경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실용품은 간단한 구조와 우아한 디자인을 가짐으로써, 사용하기가 쉽고 안전하며, 휴대 및 보관하기가 간편하고, 매우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관주기는 저렴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화장실용품 전체의 원가를 낮출 수 있다. 특히 여러 사람이 동일한 기판을 사용할 경우에는,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일회용 관주기로 쉽게 교체할 수가 있다. 관주기, 튜브(32)(도 2b) 및 유체 라인(20)은 기판(28)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할 수 있으므로, 기판(28)을 쉽게 청소할 수가 있다. 이는 또한, 튜브(32) 및 나아가서는 변기통(10) 내로 연장하는 유체 라인(20) 부분을 전부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을 몇 가지 실시예들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수정 및 치환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6)

  1. 변좌와 변기통 사이에 위치되고 유체 라인에 연결되도록 된 화장실용품으로서,
    유체 라인으로부터 받은 유체를 위한 방출구를 가진 관상의 관주기와;
    상면과 저면, 후단부와 선단부, 유체 라인과 관주기를 수납하여 고정하도록 된 포트(port)들을 가지며, 이들 포트들의 하나 이상이 상기 선단부에 배치되는 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하나의 요구부를 구비하고, 이 요구부는 상기 상면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상기 포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부가 기판의 상면에서 개구부를 갖는 환상의 요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이 가요성 튜브를 수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이 튜브를 압착식으로 수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이 유체 라인을 고정하도록 상기 포트들 중 하나의 부근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하나의 중간부와 두 개의 외측부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부는 상기 두 개의 외측부보다 두꺼우며 사용 시에는 상기 변기통 내로 연장하도록 그로부터 하향 돌출하여 상기 변기통의 일부 상에서 연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주기가 U자형 튜브를 구비하며, 이 튜브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단부는 하나의 관주팁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단부는 포트들 중 하나에 연결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주기가, 관주팁이 사용자의 체강 내로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관주팁으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에서 상기 튜브 상에 배치되는 제한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구가 하나의 판을 구비하고, 이 판은 관주팁의 종축선으로부터 멀리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구가 이중 L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구가 옆으로 누운 U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품.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구가 하나의 루프(loop)를 구비하고, 이 루프는 튜브에 평행한 평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품.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구가 하나의 링(ring)을 구비하고, 이 링은 튜브에 평행한 평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품.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구가 옆으로 누운 S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품.
  16. 변좌와 변기통 사이에 위치되고 유체 라인에 연결되도록 된 화장실용품으로서,
    관주팁을 구비한 관상의 관주기와;
    관주팁이 미리 정해진 거리를 지나서 사용자의 체강 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주기 상에 배치된 수단과;
    상면과 저면, 후단부와 선단부를 가지며, 유체 라인과 관주기를 수납하여 고정하도록 된 포트들을 갖는 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품.
  17. 변좌와 변기통 사이에 위치되고 유체 라인에 연결되도록 된 화장실용품으로서,
    관주팁을 구비하며, U자 형상을 가진 관상의 관주기와;
    관주팁이 미리 정해진 거리를 지나서 사용자의 체강 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주기 상에 배치되는 수단과;
    유체 라인과 연결되는 제1 단부와, 관주기의 연결단을 수납하는 제2 단부를 갖는 L자형 튜브와;
    상면과 저면, 후단부와 선단부를 가지며, 관주기가 연결되는 L자형 튜브의 일부를 수납하는 구멍과, 튜브를 고정하도록 그 위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브라켓을 갖는 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품.
  18. 체강을 관주하기 위한 화장실용품의 적용 방법으로서,
    유체 커넥터를 지지하도록 변기통과 변좌 사이에 지지체를 배치하는 단계와;
    유체 커넥터의 일단부에 유체 공급원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단계와;
    유체 공급원으로부터의 유체가 관주기로 흐를 수 있도록 유체 커넥터에 관주기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단계와;
    적어도 일부분에서 유체 흐름의 방향을 90˚이상으로 바꾸는 관주팁을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 체강 내로의 관주팁의 삽입을 제한하기 위해 관주팁의 말단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에 상기 일부분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단부는 유체가 그 것에 공급될 수 있도록 개구된 관상 본체와;
    관상 본체의 상기 제2 단부에 위치되는 관주팁과;
    사용자의 신체 내로의 관주팁의 삽입을 미리 정해진 최대 거리까지 제한하도록 관주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에서 관상 본체 상에 배치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주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본체의 상기 제1 단부가 기판과 유체 공급원에 부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주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하나의 판을 구비하고, 이 판은 관주팁의 종축선으로부터 멀리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주기.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이중 L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주기.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옆으로 누운 U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주기.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하나의 루프(loop)를 구비하고, 이 루프는 관주팁의 종축선에 평행한 평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주기.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하나의 링(ring)을 구비하고, 이 링은 관주팁의 종축선에 평행한 평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주기.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옆으로 누운 S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주기.
KR1020007005408A 1997-11-21 1998-11-20 관장, 주수 또는 결장세척 관주용 착탈식 위생 화장실용품 KR100549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75,803 1997-11-21
US08/975,803 US5946741A (en) 1996-11-22 1997-11-21 Hygienic, removable toilet attachment for enema, douche or colonic irrigation
US8/975,803 1997-11-21
PCT/US1998/024948 WO1999026679A1 (en) 1997-11-21 1998-11-20 Hygienic, removable toilet attachment for enema, douche or colonic irrig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2212A true KR20010032212A (ko) 2001-04-16
KR100549110B1 KR100549110B1 (ko) 2006-02-06

Family

ID=25523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5408A KR100549110B1 (ko) 1997-11-21 1998-11-20 관장, 주수 또는 결장세척 관주용 착탈식 위생 화장실용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5946741A (ko)
EP (1) EP1032438A1 (ko)
JP (1) JP2001523782A (ko)
KR (1) KR100549110B1 (ko)
AU (1) AU760241B2 (ko)
CA (1) CA2311317A1 (ko)
WO (1) WO19990266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4066A (zh) * 2021-02-03 2021-04-06 马秀 一种移动式医用的妇产科护理会阴消毒清洗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7490B1 (en) 1997-08-07 2002-09-10 James Zhou Liu Vagina cleaning system for preventing pregnancy an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US6190365B1 (en) * 1999-06-21 2001-02-20 Chun Lim Abbott Vaginal douche applicator and method of vaginal deodorization using the same
US6292628B1 (en) 2000-01-19 2001-09-18 Majid Z. Khalaf Steady-temperature water heater and enema device
US6373161B1 (en) 2000-05-05 2002-04-16 Majid Z. Khalaf Periodic air gap electric generator
US20030163864A1 (en) * 2000-09-27 2003-09-04 Haan Hendrik M. Water-wipe
ITMI20010550A1 (it) * 2001-03-15 2002-09-15 Cecco Enio Riccardo Di Apparecchiatura di lavaggio ad uso autonomo per cure intestinali
AUPR659001A0 (en) * 2001-07-25 2001-08-16 Smith, Graham Hubert Anal cleaning device
US6632195B1 (en) 2002-01-22 2003-10-14 Smith Karl R Versatile adjustable liquid applicator
US6589216B1 (en) 2002-02-20 2003-07-08 Abbott Research Group, Inc. Vaginal douches, vaginal douche applicators and methods of vaginal douching
US8118789B2 (en) * 2002-02-20 2012-02-21 Abbott Research Group, Inc. Deodorizer device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perspiration-related body odor
US7270653B2 (en) * 2002-02-20 2007-09-18 Abbott Research Group Methods of treating abnormal biological conditions using metal oxides
SG111986A1 (en) * 2003-01-07 2005-06-29 Lung Sheng Tsai Colon hydrotherapeutic apparatus for use at home
US20040148689A1 (en) * 2003-01-31 2004-08-05 Dale Patalinghug Portable gravity-flow simple bidet attachment
KR100750579B1 (ko) * 2003-05-02 2007-08-21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변기 세정 시스템
US20050011000A1 (en) * 2003-07-14 2005-01-20 Robert Gonzales Vaginal-anal rinser
BRMU8403475U (pt) * 2003-09-03 2006-10-31 Rafael Posse Espinosa sistema de recipiente portátil para a administração de lavagens
US20050090786A1 (en) * 2003-10-23 2005-04-28 Moon In E. Dual flex insertion device for enema, douche or colonic irrigation
ITMI20040571A1 (it) * 2004-03-24 2004-06-24 Bieffe Srl Apparecchiatura medicale per trattamenti intestinali e vaginali
US20050271746A1 (en) * 2004-05-18 2005-12-08 Abbott Chun L Topical treatments for abnormal biological conditions and method of topically treating such conditions
TWM269893U (en) * 2005-01-07 2005-07-11 Lung-Sheng Tsai Domestic water-therapeutic apparatus for large intestine
KR100734063B1 (ko) * 2005-06-30 2007-07-02 오영국 좌변기용 비데기
EP1946786A1 (en) * 2007-01-19 2008-07-23 Coloplast A/S An irrigation system with a pump
KR101005309B1 (ko) 2010-06-11 2011-01-04 정기영 치료용 복합기능 좌욕기
IT1402041B1 (it) * 2010-10-15 2013-08-28 Cecco Di Tavoletta igienica portatile e apparecchiatura per irrigazioni corporali
EP2468326A1 (en) 2010-12-27 2012-06-27 Iniziativa Centro Sud S.r.l. Sanitary apparatus for intestinal cleansing
US8425475B2 (en) 2010-12-28 2013-04-23 Iniziativa centro sud srl Sanitary apparatus for intestinal cleansing
WO2013035115A1 (en) 2011-09-05 2013-03-14 Luigi Giacomo GNALI Device comprising a seat board for body irrigations
KR101206515B1 (ko) 2012-09-14 2012-11-30 서석윤 좌판을 갖는 관장기
JP7050092B2 (ja) * 2018-01-15 2022-04-07 広康 渡邊 尿はね防止装置、及び、便器への液体搬送用固定具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6356A (en) 1928-01-09 1931-12-15 Libbey Owens Ford Glass Co Sheet glass forming machine
US1838356A (en) * 1930-06-10 1931-12-29 Margaret E Berry Colon irrigator or bidet
US2007069A (en) * 1933-05-24 1935-07-02 William M Berg Irrigation apparatus
US1992132A (en) * 1934-01-22 1935-02-19 L Ada Spicher Automatic irrigator
GB424749A (en) * 1934-06-02 1935-02-27 Thomas Dain Allen Improvements in intestinal irrigating device
US2583298A (en) * 1947-08-05 1952-01-22 Maurice H Kowan Rectal irrigator
US2528095A (en) * 1948-06-25 1950-10-31 Ward Alfred Combination syringe handle
US3425066A (en) * 1966-07-07 1969-02-04 Carl H Berger Personal hygiene attachment for toilets
US4087868A (en) * 1976-07-28 1978-05-09 Paul Gentz Spray apparatus for toilet
US4205402A (en) * 1978-11-15 1980-06-03 Miller Daniel C Bidet adaptor for toilet
US4287618A (en) * 1979-04-26 1981-09-08 Louis Silver Portable therapeutic sitz-bath, shower and bidet combination
SE439878B (sv) * 1984-03-30 1985-07-08 Ledin Bonevik Birgitta Barbro Anordning avsedd att anbringas pa en toalettstol for att medge tarmskoljning
CA1264132A (en) * 1987-01-06 1990-01-02 Gloria Ouellette Colonic irrigator
US4764997A (en) * 1987-03-19 1988-08-23 Andermac Sitz bath for use with douche
US4926509A (en) * 1988-07-21 1990-05-22 Bass Joyce H Bidet
US5138726A (en) * 1990-01-08 1992-08-18 Campbell John G Bidet attachment
ZA933133B (en) * 1992-05-15 1994-10-05 Akzo Nv Application for introducing a cream-type substance into a woman's vagina
GB9216492D0 (en) * 1992-08-03 1992-09-16 Athwal Surinder P S Spa wash
US5274856A (en) * 1992-08-26 1994-01-04 Les Placements Jean-Claude Lemyre Inc. Portable hygenic apparatus
US5380275A (en) * 1993-04-23 1995-01-10 Kensey Nash Corporation Device for irrigating a natural body orifice of a person seated on a toilet
KR100196391B1 (ko) * 1996-10-18 1999-06-15 이덕언 좌변기용 국부세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4066A (zh) * 2021-02-03 2021-04-06 马秀 一种移动式医用的妇产科护理会阴消毒清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9110B1 (ko) 2006-02-06
EP1032438A1 (en) 2000-09-06
JP2001523782A (ja) 2001-11-27
CA2311317A1 (en) 1999-06-03
USRE39930E1 (en) 2007-12-04
AU1533699A (en) 1999-06-15
WO1999026679A1 (en) 1999-06-03
US5946741A (en) 1999-09-07
AU760241B2 (en) 200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9110B1 (ko) 관장, 주수 또는 결장세척 관주용 착탈식 위생 화장실용품
JP3111794U (ja) 自己洗浄処置用医療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運ぶためのキット
US6357057B1 (en) Cleaning and hygienic device
US4287619A (en) Multi-purpose chair for the partially disabled
US20090043267A1 (en) Portable Self-Contained Bowel Lavage System
US3562821A (en) Bathing cabinet
US20060247604A1 (en) Lavage chair and method of use
US11234562B1 (en) Handheld personal perineal cleansing system and methods
USRE38690E1 (en) Hygienic, removable toilet attachment for enema, douche or colonic irrigation
US11708688B2 (en) Personal perineal cleansing system and methods
KR101978863B1 (ko) 유아용 비데
US3490080A (en) Bidet
US2753570A (en) Spray device for the therapy and bathing of the perineal region of the human body
US20180266091A1 (en) Sanitary and hygenic device
CN213698269U (zh) 一种医疗用肛肠外科清洗设备
US3795015A (en) Portable bidet
KR101039702B1 (ko) 욕조겸용 침대
US10689836B1 (en) Handheld personal perineal cleansing system and methods
WO2017037700A1 (en) Enema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for
US20230374765A1 (en) Personal Perineal Cleansing System and Methods
US20050090786A1 (en) Dual flex insertion device for enema, douche or colonic irrigation
CN218961447U (zh) 一种肛肠科用清洗装置
JP7418073B1 (ja) オストメイト用のシャワー付き便座装置
JP3214408U (ja) 肛門内洗浄用ノズル及び肛門洗浄ノズル
JP2578883B2 (ja) シャワ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