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1841A - 합성 섬유의 권취방법과 장치 및 사조 패키지의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합성 섬유의 권취방법과 장치 및 사조 패키지의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1841A
KR20010031841A KR1020007004913A KR20007004913A KR20010031841A KR 20010031841 A KR20010031841 A KR 20010031841A KR 1020007004913 A KR1020007004913 A KR 1020007004913A KR 20007004913 A KR20007004913 A KR 20007004913A KR 20010031841 A KR20010031841 A KR 20010031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winding
guide
traverse
t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3193B1 (ko
Inventor
야마구찌수미오
수주키타모츠
나카지마히로타카
사이조테루아키
야마시타카즈마사
소노야마카츠미
Original Assignee
히라이 가쯔히꼬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라이 가쯔히꼬,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라이 가쯔히꼬
Publication of KR20010031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1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1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65H54/34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for laying subsidiary winding, e.g. transfer 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65H54/34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for laying subsidiary winding, e.g. transfer tails
    • B65H54/343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for laying subsidiary winding, e.g. transfer tails when starting winding on an empty bobb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46Package drive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46Package drive drums
    • B65H54/48Grooved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5/00Securing material to cores or for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65H67/044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 B65H67/048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having winding heads arranged on rotary capstan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테일번치의 제거작업을 불필요하게한 자동실교체기구를 보유하는 터릿식 권취방법 및 장치로서 비어 있는 실태를 가위사조 주행방향에 대하여 상류측과 하류측에 설치된 상부의 실통로가이드와 하부의 실통로가이드 및 표층번치의 형성가이드를 보유하고, 비어 있는 보빈의 권취시에, 사조를 트래버스 폭의 밖으로 이동되고, 사조를 상부의 실통로가이드와 하부의 실통로가이드에 의하여 사조파지부에 대략 평행하게 규제하고, 이들의 가이드에서 사조를 비어 있는 보빈의 밀어붙여서, 사조파지부에 이동시켜, 사조가 사조파지부에 파지절단됨과 아울러, 비어 있는 보빈의 회전방향으로 사조의 파지점이 사조의 주행방향과는 반대측으로 이행함과 아울러, 상부의 실통로가이드로부터 자동적으로 사조가 벗어나고, 막대처럼 감긴 테일번치를 형성하지 않고 트래버스 중심방향으로 사조가 이동되고, 트래버스가이드와 계합된 시점에서 정규의 권취를 개시하는 합성섬유의 권취방법 및 장치.

Description

합성 섬유의 권취방법과 장치 및 사조 패키지의 사용방법{TAKE-UP METHOD AND DEVICE FOR SYNTHETIC FIBER AND METHOD OF USING THREAD PACKAGE}
실감기용 보빈의 자동교체 기구를 가지는 일반적인 권취기계에 대하여 도 1, 도 2 및 도 3 내지 도 7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는 다사조형 권취기의 개략 정면도이고, 도 2는 다사조형 권취기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는 권취 패키지에서 비어있는 보빈로 자동교체시의 동작을 1사조에 대하여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권취장치(1)는 기계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터릿판(3)과, 터릿판(3)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2개의 스핀들(4)과, 스핀들(4)의 상방에 설치된 트래버스 장치(5)와, 스핀들(4)에 장착된 실감기용의 비어있는 보빈(16) 혹은 보빈에 권취된 사조에 맞닿아 소정의 면압을 부여하는 가압접촉 로울러(6)와, 가압접촉 로울러(6)의 상방에 설치된 상부 실교체기구(7)와, 사조를 권취 보빈(17)으로부터 비어있는 보빈(16)으로 교체시에 실의 통로를 규제하기 위하여 2개의 스핀들(4) 사이의 위치에 설치된 실통로 규제기구(8)와, 사조를 비어 있는 보빈(16)에 휘감기 위하여 비어 있는 보빈(16)과 실통로 규제기구(8) 사이에 설치된 하부 실교체기구(1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상부 실교체기구(7)는 트래버스 가이드의 능진 운동방향으로 동작하여 사조를 정규의 트래버스 영역외로 이동시켜, 사조를 테일번치의 감김위치, 및 테일의 감김위치로 안내하는 실모음 가이드(9), 및 이들의 구동원(비도시)으로 이루어지며, 실의 통로 규제기구(8)는 대기측에 있었던 비어있는 보빈(16)이 권취측으로 이동했을 때, 사조가 비어있는 보빈 둘레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실의 통로를 규제하고 지지하는 실의 통로를 규제하고 지지하는 실통로 규제가이드(10)와, 실의 통로를 가득차게 감은 패키지(17)의 사조 권취표층에 있어서의 표층 번취의 감김위치로 향해서 주행되는 표층번치형성 가이드(11)로 구성된다.
또, 하부 실교체기구(12)는 실모음 가이드(9)와 실통로규제가이드(10) 사이를 주행하고 있는 사조를 비어있는 보빈(16)의 둘레면과 접촉시켜 사조를 비어있는 보빈(16)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비어있는 보빈(16)에 설치된 사조 파지부(23)에 파지시키는 권취용 가이드(13)와, 상기 권취용 가이드(13)를 대기위치와 권취위치로 동작시키는 아암(13')(비도시)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권취기에서, 사조를 권취 패키지(17)로부터 비어있는 보빈(16)으로 교체를 행하는 경우에, 우선 터릿판(3)이 18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권취측에 있었던 권취 패키지(17)가 대기측으로 이동되고, 더욱이, 대기측에 있었던 비어있는 보빈(16)가 권취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도 3에서 보게 되듯이 실통로 규제기구(8)의 실통로 규제가이드(10)는 터릿판(3)(비도시)의 회전과 연통하여, 사조를 트래버스 가이드(비도시)로부터 벗어나게 하고, 사조가 비어있는 보빈(16) 둘레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실의 통로를 규제하여 지지한다.
계속하여, 도 4와 같이 상부의 실교체기구(7)의 실모음 가이드(9)에 의하여 사조가 정규의 트래버스 영역 밖으로 반송되면, 실통로 규제기구(8)의 표층번치 형성 가이드(11)가 실을 권취패키지(17)의 실권취층에 있어서의 표층번치의 감김위치로 향해서 주행시킨다.
다음에, 도 5에 표시하듯이, 하부 실교체기구(12)(비도시)의 휘감기용 가이드(13)가 비어있는 보빈(16)과, 실통로 규제기구(8) 사이로 이동되고, 상부의 실교체기구(7)(비도시)의 실모음 가이드(9)와 하부의 실교체기구(8)의 표층번치형성가이드(11)에 의하여 실의 통로가 규제되어서 주행하고 있는 사조가, 상기 휘감기용 가이드(13)에 의하여 비어있는 보빈(16)의 둘레면에 맞닿음과 아울러, 비어있는 보빈(16)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면, 비어있는 보빈(16)의 끝부분둘레 방향에 있는 사조파지부(23)로 도입되어 파지된다. 상기 사조가 파지되면 완전히 감은 패키지(17)와 비어있는 보빈(16)이 모두 사조권취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권취 패키지(17)와 비어있는 보빈(16) 사이에서 사조가 절단되어서 사조가 권취 패키지(17)로부터 비어있는 보빈(16)로 교체된다.
그리고, 도 6에 있듯이, 실모음 가이드(9)에 의해서 사조가 비어있는 보빈의 테일번치 감김위치로 향해서 주행하도록 안내되어 있으므로, 상기 사조는 파지부를 나와서 비어있는 보빈(16)의 둘레면으로 이동되고, 소정의 감김위치에 테일번치가 형성된다.
계속하여, 도 7와 같이 소정의 테일번치량을 권취한 후, 실모음 가이드(9)가 보빈반대측의 끝부분으로 향해서 복귀함에 따라, 사조는 테일실을 형성하면서 트래버스 중심방향으로 향해서 이동되고, 트래버스 가이드(비도시)에 받아 건네져 능진되어 권취된다.
이와같이,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권취방법 및 장치로 보빈의 자동교체를 행하는 경우, 사조가 비어있는 보빈으로 교체 후, 트래버스 중심방향으로 향해서 이동할려고 하는 힘에 역행하여 사조를 테일번치의 감김위치상에 지지하는 상부의 실교체기구(7)에 있는 실모음 가이드(9)에 의하여, 비어있는 보빈(16)에 파지된 사조는 실모음 가이드(9)의 바로밑으로 권취되어, 반드시 테일번치가 형성되게 된다. 그 결과, 그 형성된 테일번치 감김을 다음 공정에서 제거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 부분의 작업부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밖에 특개소 62-280172호 공보, 및 특공소 57-36233호 공보, 및 특개평 6-32142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 같은 터릿형 자동권취기가 열거되지만, 어느것도 사조가 비어있는 보빈으로 교체된 뒤에, 트래버스 중심방향으로 향해서 이동할려고 하는 힘에 역행하여 사조를 지지하기 위해서, 반드시 테일번치가 형성되고,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이와같은 테일번치의 형성을 실시하지 않는 권취장치로서는, 특개소 54-114674호 공보에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장치에서는 비어있는 보빈 표면에 둘레방향으로 연장된 실파지용의 홈으로 사조를 도입할 때의 실의 통로는, 그 사조 파지용의 홈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된다. 그 결과, 사조의 파지가 확실하게 실시되지 않으며, 사조의 물성이나 굵기를 달리하는 다양한 품종에 대하여 높은 교체의 성공률을 유지하는데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사조파지용의 홈으로 사조를 도입할 때 비어있는 보빈보다도 하류측에서 사조를 지지하는 실 멈춤장치에 비스듬한 홈을 설치하는 방법, 혹은 실 멈춤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대기측으로 이동한 권취 패키지의 감김폭이 사조파지용의 홈의 바로 밑으로 다가오도록 대기측의 스핀들을 스핀들 축방향으로 평행이동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의 방법에 의하면, 사조파지용의 홈으로 사조를 도입할 때의 실의 통로를 사조파지용의 홈에 대하여 평행하게 할 수는 있지만, 실멈춤장치에 비스듬한 홈을 설치하는 방법에서는, 비스듬한 홈의 부분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 권취장력을 하강시키므로 교체의 성공률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으며, 또 스핀들을 이동시키는 방법에서는 설비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설비비용이 과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예컨대 상기 방법으로 사조파지용의 홈으로 사조를 도입할 때의 실의 통로를 사조파지용의 홈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해도, 테일실이 멀티필라멘트의 상태로 되어있지 않고, 복수의 단사마다 흐트러져 버린다는 소위 테일의 갈라짐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테일의 갈라짐은 사조파지 직후에 사조가 주행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역으로 감김됨으로써 단사마다 장력의 벗어남이 발생하고, 테일번치가 없으므로, 이 장력의 벗어난 상태에서 즉석으로 테일실을 감기시작하기 위하여 생기고, 테일의 벌어짐이 발생된 패키지에서는 테일실의 연결작업이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이밖에 테일번치를 없앰으로써 이후의 공정에서의 테일번치 제거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지만, 권취 패키지의 마지막감기의 끝실이 권취 패키지 표층에서 누락하여 보빈단부에 휘감은 현상이 당연히 남기 때문에, 이후의 공정에서 실을 제거하지 않으면 안되고, 결국, 작업부하가 경감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합성섬유의 권취방법과 장치 및 사조(thread) 패키지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사조를 실감기용 보빈에 감을 때, 상기 사조 패키지의 외부에서 막대형상으로 감겨진 버림실로 되는 테일번치(tail bunch)를 휘감지 않음으로써, 테일번치의 제거작업을 불필요하게 하고, 또한 높은 교체 성공률을 유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며, 더욱이 상기 기술에 부수하여 테일의 깨짐이 없고, 또한 적정한 실길이 테일실(트랜스퍼테일)을 형성하는 기술, 및 권취 패키지의 마지막 감은 실끝이 권취 패키지 표층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 및 패키지를 사용할 때(짜는 일, 실가공 등)의 테일실의 연결작업을 간단하게 실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많은 사조형 사조 권취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많은 사조형 사조 권취창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사조의 교체동작을 표시하는 사조 1개만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의 사조 교체의 동작을 표시하는 사조 1개만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종래 사조 교체의 동작을 표시하는 사조 1개만의 개략도이다.
도 6는, 종래 기술의 사조 교체의 동작을 표시하는 사조 1개만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의 사조의 사조 교체의 동작을 표시하는 사조 1개만의 개략도이다.
도 8은, 실의 파지용 슬릿홈을 설치한 보빈의 개략도이다.
도 9는, 테일의 실길이를 제어하는 수단이 복수의 저항가이드를 짜맞추게한 것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저항가이드 중의 1개가 트래버스 규제가이드로 되어 있는 것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가압접촉로울러에 스크루우 형상인 홈을 가공한 것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사조권취장치의 사조 교체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사조 권취장치의 사조 교체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사조 권취창치의 사조 교체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사조 권취장치의 사조 교체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사조 권취장치의 사조 교체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사조 권취창치의 상부의 실교체기구 주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정면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사조 권취장치의 상부의 실교체기구 주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측면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사조 권취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사조 권취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1은, 테일의 실길이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1개의 저항 가이드를 설치한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정면도이다.
도 22는, 테일의 실길이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1개의 저항 가이드를 설치한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1의 정면도에 대응하는 측면이다.
도 23은, 도 21, 도 22에 표시된 상태로 사용한 저항가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2개의 저항가이드를 설치한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정면도이다.
도 25는, 2개의 저항가이드를 설치한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4의 정면도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24, 도 25에 표시된 상태로 사용한 1개의 저항가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24, 도 25에 표시된 상태로 사용한 1개의 저항가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28은, 테일실의 실의 길이의 미세한 조정기능을 평가한 실시예를 표시한 것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사조의 출발케이지의 테일실의 연결작업시에 호적하게 사용되는 실을 자르는 가위를 표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사조를 실감기용 보빈에 휘감을 때에, 패키지의 외부에서 버림사로 되는 막대처럼 감은 테일번치를 휘감지 않고, 또한 사조의 물성이나 굵기를 달리하는 다양한 품종의 사조에 대해서도, 높은 교체의 성공률을 유지하고, 이들에 의하여 이후의 공정에서는 테일번치의 제거작업을 불필요하게 하고, 또한 권취의 공정도 안정시킬 수 있는 합성섬유의 권취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제1 목적에 가하여, 테일실이 단섬유마다 흐트러져버리는 테일의 갈라짐이 없고, 또한, 다양한 품종의 사조나 사용조건에 따른 테일실의 연결작업에 적정한 길이의 테일실을 안정적 또한 쉽게 형성할 수 있는 합성섬유의 권취 방법을 제공할려고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패키지 사용시에(짜는 일, 실가공 등)의 테일실의 연결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은 그와 같은 테일실의 연결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합성섬유의 권취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권취 패키지의 마지막 감기의 끝실이 권취 패키지의 표층으로부터 누락하기 어려운 권취 패키지로서 권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이후의 공정에서 표층으로부터 누락하여 보빈의 끝부분에 휘감긴 끝실의 제거작업을 경감할 수 있는 합성섬유의 권취방법을 제공할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패키지 사용시(짜는 일, 실가공 등)의 테일실의 연결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사조의 권취방법은 다음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사조를 권취할 때의 능진운동의 지점가이드와, 실을 권취하는 앞에서 좌우로 능진운동을 하는 트래버스 장치와 사조를 서로 번갈아 권취하는 2개의 스핀들과, 권취측의 스핀들로부터 대기측의 스핀들에 연속하여 사조를 바꾸기 위하여 스핀들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사조를 파지하는 사조파지부에 사조를 도입하는 실교체장치로 구성되고, 더욱이 그 실교체장치가 상기 권취측의 스핀들에 장착된 실교체기구와, 대기측으로 이동된 권취 패키지에 이르는 사조의 실의 통로를 규제하는 실의 통로규제기구로 구성되는 사조권취장치를 사용하고, 상기 비어있는 보빈의 스핀들로 사조를 휘감을 때에, 사조를 정규의 트래버스 영역의 밖으로 이동하여 사조를 상기 상부의 실교체 기구와 상기 하부의 실교체의 기구의 적어도 한쪽에서 상기 사조파지부에 이동시켜, 사조가 상기 사조파지부에 파지절단됨과 아울러, 사조의 파지점이 사조의 주행방향과는 반대인 비어있는 보빈의 회전방향으로 이행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의 실교체기구로부터 자동적으로 사조가 벗어나고, 막대처럼 감긴 테일번치를 형성하는 일이 없고 트래버스 중심방향으로 사조가 이동되며, 트래버스가이드와 계합된 시점에서 정규의 권취를 개시하는 합성섬유의 권취 방법이다.
또, 상기 하부의 실교체기구가, 상기 상부의 실교체 기구와 상기 하부의 실의 통로 규제기구로 규제된 사조를 비어 있는 보빈의 주변과 접촉시켜, 비어있는 보빈의 축방향으로 이동기켜서 사조파지부에 사조를 파지시키는 휘감기용 가이드인 합성섬유의 권취방법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의 실교체기구가 사조를 정규의 트래버스 영역의 밖으로 실을 끌어모으고, 사조를 다른 가이드에 위탁한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실모음 가이드와 실을 그러모은 시점에서 사조를 일시적으로 위탁하는 실위탁가이드인 합성섬유의 권취방법이다. 더욱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사조의 권취방법 장치는 다음의 구성으로 이룩된다.
즉, 사조를 권취할 때의 능진운동 지점가이드와. 실을 권취하는 앞에서 좌우로 능진운동하는 트래버스 장치와, 권취된 사조에 맞닿아 면압을 부여하는 가압접촉로울러와, 능진운동되어서 송출되어 오는 사조를 바꾸기 위하여 스핀들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사조를 파지하는 사조 파지부에 사조를 도입하는 실교체장치로 구성되고, 더욱이, 그 실교체장치가 상기 권취측의 스핀들에 장착된 비어있는 보빈에 대하여 상류측으로 설치된 상부의 실교체기구와, 하류측으로 설치된 하부의 실교체기구와, 대기측으로 이동된 권취 패키지에 이르는 사조의 실의 통로를 규제하는 실의 통로의 규제기구로 구성되는 사조권취장치를 사용하고, 상기 비어있는 보빈의 스핀들로 사조를 휘감을 때에 사조를 정규의 트래버스 영역의 밖으로 이동되고 사조를 상기 상부의 실교체기구와 상기 하부의 실교체기구에 의하여 사조파지부에 대략 평행하게 규제되고, 상기 상부의 실교체기구와 상기 하부의 실교체기구의 적어도 한쪽에서 상기 사조파지부에 이동시켜, 사조가 상기 사조파지부에 파지절단됨과 아울러, 사조의 파지점이 사조의 주행방향과는 반대인 비어있는 보빈의 회전방향으로 이행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의 실교체기구로부터 자동적으로 사조가 벗어나며, 막대처럼 감긴 테일번치를 형성하는 일이 없고 트래버스 중심방향으로 사조가 이동되고, 트래버스가이드와 계합된 시점에서 정규의 권취를 개시하는 합성섬유의 권취장치이다.
또, 상기 하부의 실교체기구가, 상기 상부의 실교체기구와 상기 하부의 실통로규제기구로 규제된 사조를 비어있는 보빈의 둘레면과 접촉시켜, 비어있는 보빈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사조파지부에 사조를 파지시키는 휘감기용 가이드인 합성섬유의 권취장치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의 실교체기구가 사조를 정규의 트래버스 영역의 밖으로 실을 끌어모으하여, 사조를 다른 가이드에 위탁한 후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실모음 가이와, 실을 끌어모으게한 시점에서 사조를 일시적으로 위탁하는 실의 위탁가이드인 합성섬유의 권취장치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실시상태를 도 12 내지 도 20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6은 권취 패키지로부터 비어있는 보빈에 자동으로 바꿀 때의 동작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7은 상부의 실교체기구 근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상태인 터릿형인 많은 사조 권취장치의 개략정면도, 도 20은 개략 측면도이다. 우선 터릿판(3)이 180도 시계주위로 회전하여 권취측에 있었던 권취 패키지(17)가 대기측으로 대기측에 있었던 비어있는 보빈(16)가 권취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도 12에서 보게되듯이 실의 통로 규제기구(8)의 실의 통로 규제가이드(10)는 터릿판(3)(비도시)과 연동되어, 사조를 트래버스가이드(비도시)로부터 능진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벗어나고, 사조가 비어있는 보빈(16) 둘레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실의 통로를 규제하여 지지한다.
계속하여, 도 13와 같이 상부의 실교체기구(7)의 실모음 가이드(9)에 의하여 사조가 정규의 트래버스 폭의 밖으로 반송되면, 실의 통로규제기구(8)의 표층번치형성가이드(11)가 실의 통로를 권취 패키지(17)의 실의 권취층에 있어서 표층번치의 감김위치로 향해서 주행시킨다.
다음에, 도 14에 표시하듯이, 실의 끌어모으는 가이드(9)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그때 사조는 상부의 실교체기구(7)에 설치된 실의 위탁가이드(15)로 인수되고, 비어있는 보빈(16)의 표면에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조의 파지부(23) 상방에서 지지된다.
계속하여, 도 15에 표시하듯이, 하부의 실교체기구(12)(비도시)의 휘감기용 가이드(13)가 비어있는 보빈(16)와 실의 통로 규제기구(8) 사이로 이동되고, 실의 위탁가이드(15)와 실의 통로규제기구(8)의 표층번치형성가이드(11)에 의해서 실의 통로가 규제되어서 주행하고 있는 사조가 상기 휘감기용 가이드(13)에 의하여 비어있는 보빈(16)의 둘레면에 당접됨과 아울러, 비어있는 보빈(16)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면, 실의 통로가 비어있는 보빈(16)의 사조 파지부(23)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도입되어 파지된다. 상기 사조가 파지되면, 권취 패키지(17)와 비어있는 보빈(16)가 어느 쪽에도 사조 권취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권취 패키지(17)와 비어있는 보빈(16) 사이에서 사조가 끌어당겨지며, 절단되어서 사조가 권취 패키지(17)로부터 비어있는 보빈(16)로 바꿔진다.
이 직후에, 바꿔진 사조는 실의 위탁가이드(15)로부터 신속하게 벗어나고, 트래버스 중심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이와같이 실이 자동적으로 실의 위탁가이드(15)로부터 벗어나는 것은, 도 17에 표시하듯이, 실의 위탁가이드(15)가 실의 교체직후의 권취기구로 권취되는 사조의 실의 통로(B)(파선)를 가로지르지 않는 위치에서 또한 교체직전의 사조의 실의 통로(C)를 가로지르는 위치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도 16에 표시하듯이, 트래버스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조는 사조 파지부(23)와 트래버스 영역의 사이로 설치된 저항가이드(18)와 접촉하여, 트래버스 중심과는 반대측의 방향으로 마찰력을 받아서 이동속도를 낮추고, 이 동안에 소정의 실길이의 테일실을 형성하면서 트래버스 중심으로 향해서 이동을 계속하여, 마침내는 트래버스가이드(비도시)에 인수인도되고, 능진운동되어서 권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맞아서는, 특히, 터릿형자동권취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더욱이는 고속권취에 적용하는 것이 좋다.
또, 실의 통로규제가이드(10)는, 터릿판(3)과 연동하지않고, 단독으로 구동기구에 의하여 동작하여도 좋고, 사조를 트래버스가이드로부터 능진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벗어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압접로울러(6)의 상류에 설치된 실을 벗기는 가이드에 의해서도 좋다.
또, 사조를 비어있는 보빈의 둘레면에 당접시키는 수단으로서는 상부의 실의 교체기구(7)에 그 수단을 설치해도 좋고, 또, 상부의 실교체기구도 하부의 실교체기구도 사용하지않고, 터릿판(3)의 회전에 의하여 비어있는 보빈(16)가 권취측으로 이동완료된 시점에서 사조가 비어있는 보빈(16)의 둘레면에 당접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사조를 비어있는 보빈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조파지부에 도입하는 수단으로서는 상부의 실교체기구(7)에 그 수단을 설치해도 좋고, 상부의 실교체기구(7)와 하부의 실교체기구(8) 양쪽으로 그 수단을 설치해도 좋다.
또, 사조를 파지시키는 수단으로서는, 도 8와 같은 비어있는 실패의 관단부 표면으로 연장되는 실의 파지용 슬릿홈(23)을 설치한 실감기용 보빈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며, 인접하는 실감기용 보빈와의 경계를 사용하여 실을 파지해도 좋고, 실감기용 보빈의 사이로 삽입된 관상부재와, 실감기용 보빈의 단부와의 경계를 사용하여 실을 파지하는 등 파지할 수 있는 것이 있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 테일실의 실길이를 제어하는 수단으로서는, 상술한 것과 같은 1개의 저항가이드만으로 의지하지 않고, 도 9와 같이 복수의 저항가이드(18)를 짜맞춰서 사용해도 좋고, 저항가이드 중의 1개가 도 10와 같이 회전 날개기구에 의한 트래버스 장치를 구성하는 능진운동의 실통로에 대하여 그 회전날개와는 반대의 위치에 설치된 트래버스 규제가이드(21)라도 좋고, 저항가이드 중의 1개가 교체시에 사조를 트래버스가이드로부터 능진운동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벗어나는 실의 벗어나는 가이드라도 좋다. 더욱이, 테일실의 실의 길이를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회전하는 스크루우 형상인 홈을 사용해도 좋고, 도 11와 같이 스크루우형상인 홈(24)을 가압접촉로울러(6)에 가공하여도 좋다.
또, 사조의 물성이나 굵기 등의 품종조건의 틀림이나. 테일실의 연결을 실시하는 작업환경의 틀림 등에 의하여 테일실의 실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 그 테일실의 실길이의 미세한 조정방법으로서는, 저항가이드의 위치를 조절이동함으로써 저항가이드의 마찰력을 변화기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개의 저항가이드를 사조를 끼우는 위치로 설치하고, 사조 주행방향의 2개의 가이드 사이의 거리를 교체으로써 저항가이드의 마찰력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좋다. 또,저항가이드를 설치한 데다가 능진운동지점가이드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저항가이드의 마찰력을 변화시키는 방법도 바람직하다.
또, 테일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는, 도 18와 같이 사조파지부에 사조가 파지된 직후에 사조가 실의 수탁가이드로부터 벗어나는 위치를, 스핀들 축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서 사조 파지부보다 반 능진운동측으로 빗나간 위치(예컨대 A점)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테일의 벌어짐 방지와 교체의 성공률의 유지의 양쪽 목적에서, 보빈의 외경을 R, 사조파지부에 사조가 파지된 직후에 사조가 실의 위탁가이드로터 벗어나는 부분의 위치와 사조파지부와의 스핀들의 축방향의 거리를 d(18도에 도시)로 했을 때, 거리(d)를 0.007Rd0.07R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여기서 말하는 사조파지부에 사조가 파지된 직후 사조가 실의 위탁가이드로부터 벗어나는 부분이란 것은, 사조를 비어있는 보빈축방햐으로 이동시켜 실바닥파지부에 도입하는 수단이 상부의 실교체기구로 되어있는 경우에 있어서, 사조가 사조파지부에 파지된 직후에 사조가 상부의 실교체기구로부터 벗어나는 부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한다.
또, 권취 패키지의 마지막 감기의 끝실이 다 감긴 패키지 표층에서 누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권취 패키지의 표층번치의 감김위치를 스핀들축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서 패키지 표층단면에서 적어도 5㎜이상 내측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이상 내측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더욱 20㎜이상 내측으로 했을 때 현저한 효과를 발휘한다. 표측번치의 감김위치를 권취 패키지 단면에서 적어도 5㎜이상 내측으로 형성시키는 수단으로서는, 표층번치형성가이드(11)의 사조를 지지하는 위치를 권취 패키지 단면에서 적어도 5㎜이상 내측로 부착하는 것이 좋다. 또 권취 패키지 사용시(짜는 일, 실가공 등)의 테일실의 연결작업, 특히 테일실을 꺼내는 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하는 방법으로서는, 테일실을 칼날면에 의하여 절단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더욱 작업성을 양호함, 안정성의 확보, 보빈표면으로의 상처입힘을 고려하면, 테일실의 연결작업에 있어서 실을 연결할 후에 여분의 실을 절단하는데 보통 사용하는 실을 절단하는 가위로, 그 실을 절단하는 가위의 마찰부분의 칼날면과는 별도의 칼날면을 적어도 1개 설치한 도 29에 표시하게 되는 가위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 29에 있어서, 가위(22)는 그와같은 별도의 칼날면(26)을 보유하는 것을 표시한 것이다. 이 가위는, 특히, 테일실을 절단할 때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아래에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나일론(6) 사조를 용융방사하여, 권취속도가 3000m/분으로 권취하는 공정으로 제공하였다. 권취에는 스핀들 1개에 보빈지름 140㎜의 실파지용 슬릿홈을 설치한 실감기용지관 8개를 장착하고, 그 스핀들 2축을 장비한 토오레 엔지니어링주식회사제 터릿형 권취기구, KW-66A를 사용하여, 1개당의 패키지 중량이 7.5㎏감김(지름이 350㎜)로 될 때마다 자동으로 실교체되고, 아래에 기재하는 내용의 평가1, 평가2, 평가3, 평가4, 평가5의 각각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즉, 평가1에서는, 교체성공률과 가득차게 감기로 권취 패키지의 테일의 벌어짐의 상태를 조사하였다.
즉, 평가2에서는, 가득차게 감기로 권취 패키지의 실파지부 주변으로 형성된 테일실의 실길이를 조사하였다.
즉, 평가3에서는, 테일실의 실길이를 조정기능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즉, 평가4에서는, 가득차게 감기로 권취 패키지의 표층에 형성된 표층번치위치와, 사조패키지의 마지막감기의 끝실의, 패키지 표층에서의 실의 누락상태를 조사하였다.
즉, 평가5에서는, 테일실의 연결작업에 있어서의 테일실의 절단방법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1]
우선, 교체성공률과 가득차게 감기로 권취 패키지의 테일의 벌어짐의 상태를 조사하였다. 50데니이르, 40필라멘트의 사조를 권취하는 공정에 있어서, 실을 위탁하는 부분의 형상이 직선이고, 또한 그 직선부가 스핀들축에 대하여 직각인 실의 위탁가이드를 사용하여, 그 직선부를 스핀들축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서, 지관단부표면에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조파지부에 대하여 1㎜ 반능진운동측으로한 것(실시예1), 사조파지부보다 5㎜반능진운동측으로 한것(실시예2), 사조파지부보다 9㎜반능진운동측으로 한것(실시예3), 1㎜능진운동측으로 한것(실시예4), 사조파지부의 바로 위로 한것(실시예5), 사조파지부보다 12㎜반능진운동측으로 한것(실시예6)에 대하여 자동교체를 실시하여 평가하였다. 가득차게 감기로 권취된 사조패키지의 교체성공률과 테일의 벌어짐의 발생상태 평가결과를 표1에 아울러 표시한다.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에 있어서는, 교체성공률 100%에서 자동교체할 수 있고, 실의 벌어짐의 발생은 없었다. 또, 실시예6에 있어서는, 교체성공률은 95.0%에서 테일의 벌어짐의 발생은 없었다.
교체성공률 테일실의 벌어짐의 유무
실시예 1 100%(40/40) 없음
실시예 2 100%(40/40) 없음
실시예 3 100%(40/40) 없음
실시예 4 100%(40/40) 다소 있음
실시예 5 100%(40/40) 다소 있음
실시예 6 95.0%(38/40) 없음
[평가 2]
다음에, 가득차게 감기로 권취 패키지의 실 파지부 주변으로 형성된 테일실의 실길이의 평가를 50데니이르, 40필라멘트 사조를 사용하고, 테일실의 실길이를 제어하는 수단이 도 21(정면도), 도 22(측면도)와 같은 1개의 저항가이드(도 23)에 의한 경우(실시예 7), 도 24(정면도), 도 25(측면도)에 표시하게된 칫수의 2개의 저항가이드(도 26, 도 27)의 짜맞춤에 의한 경우(실시예 8), 도 11와 같은 가압접촉로울러에 가공한 스크루우에 의한 경우(실시예 9), 테일실의 실길이를 제어하는 수단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실시예 10)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가 표 2이고, 실시예 7에서 9에 있어서는 테일실의 실길이가 80 - 90㎝로 테일의 이동작업을 하는데 충분 또한 적정한 길이였다. 한편, 실시예 10에 있어서도 테일실 길이가 25㎝였다.
테일실의 실길이(㎝)
실시예 7 100
실시예 8 95
실시예 9 140
실시예 10 25
[평가 3]
다음에, 50데니이르, 17필라멘트 사조를 사용하여, 테일실의 실길이의 미세한 조정기능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즉, 상기 실시예 7의 저항가이드를 사조 주행방향에 대하여 가압접촉로울러 접근하는 방향(+)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4㎜이동 된 경우(실시예 11), 상기 실시예 8의 2개의 저항가이드 중에서 윗쪽의 1개의 저항가이드를 사조주행방향에 대하여 가압접촉로울러에 접근하는 방향(+)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4㎜이동 된 경우(실시예 12), 상기 실시예 5의 저항가이드 중에서 윗쪽의 1개의 저항가이드를 도 24에 표시하는 가이드를 고정하는 앞의 판(25)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과 접근하는 방향(-)으로 0.5㎜이동된 경우(실시예 13), 상기 실시예 8의 조건에서 능진지점가이드의 위치를 사조파지부방향(+)과 반사조파지부(-)으로 6㎜이동된 경우(실시예 14)에 대하여 테일실의 실길이를 측정하고, 기준인 실시예 7 또는 8경우(이동량 0㎜)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가 도 28이고, 그래프는 횡축이 이동량, 종축이 테일실의 실길이로 되어 있다. 실시예 11에서 14의 모든 경우에서 테일실의 길이를 변화시켜, 미세한 조정을 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평가 4]
다음에, 가득차게 감기로 권취된 패키지의 표층에 형성된 표층번치위치와, 사조패키지의 마지막으로 감긴 끝실의 패키지표층에서의 실의 누락상태를 30데니이르, 10필라멘트 사조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표층에 형성시킨 표층번치의 감김위치를 권취 패키지의 선단면에서 5㎜로 한것(실시예 15), 10㎜로 한것(실시예 16), 20㎜로 한것(실시예 17)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로서, 표층으로 형성시키는 표층번치의 감김위치를 권취 패키지의 선단면에서 1㎜로 한것(실시예 18), 3㎜로 한것(실시예 19), 4㎜로 한것(실시예 20)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와같이 자동적으로 교체되고, 가득차게 감기로 권취된 사조패키지의 마지막으로 감긴 끝실의 패키지 표층에서의 실의 누락상태의 평가결과를 표 3에서 아울러 표시한다.
자동교체개수(개) 실의 누락개수(개) 실의 누락확률(%)
실시예 15 80 5 6.3
실시예 16 80 2 2.5
실시예 17 80 0 0.0
실시예 18 80 30 37.5
실시예 19 80 18 22.5
실시예 20 80 11 13.8
실시예 15에서 17에 있어서는, 가득차게 감기로 권취된 사조패키지의 마지막으로 감긴 끝실이 패키지 표층에서 실이 누락된 것은 6.3%이하이고, 실시예 17에서는 실의 누락은 0.0%였다. 또, 실시예 18에서 20에 있어서는 가득차게 감기로 권취된 사조패키지의 마지막으로 감긴 끝실이 패키지 표층에서 실이 누락된 것은, 37.5%, 실시예 18, 22.5%, 실시예 19, 13.8%, 실시예 20과, 실의 누락이 약간 높은 레벌이였다.
[평가 5]
다음에, 테일실의 연결작업에 있어서의 테일실의 절단방법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즉, 지관단부에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실파지용 슬릿홈으로 감기시작한 사조를 파지하고, 그곳에서 실층의 부분을 형성할 때까지 지관표면으로 100㎝의 테일실을 감은 나일론 6 사조패키지 40개에 대하여, 테일의 연결작업을 하고 있는 남여 각 20인에 테일실의 절단작업을 실시하여 받고, 안전성은 양호한지(○ 또는 ×), 작업성은 양호한지(○ 또는 ×), 지관의 상처(목시)는 있는지(○ 또는 ×)의 3개의 평가항목에 대하여 회답을 얻었다.
테일실의 절단방법에 대하여서는, 시판하는 커터로 실시한 것(실시예 21), 시판하는 실을 자르는 가위로 실시한 것(단, 가위로서는 아니고, 편측의 날만을 커터로 사용하는 요령으로 사용)(실시예 22) 실을 자르는 가위의 마찰부분의 날면과 반대측으로 다른 날면을 형성하고 있는 도 29에 표시하는 가위로 실시한 것(실시예 23)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표시한다.
실시예 21 - 23에 있어서는 안정성 양호율이 63%이상 및 작업성 양호율은 75%이상이고 양호하였다. 특히, 실시예 23에 있어서는 안전성, 작업성 양호율이 98%이고 지관상처율에 있어서는 0%였다.
안전성양호율 작업성양호율 지관상처율
실시예 21 63%(25/40) 80%(32/40) 23%(9/40)
실시예 22 88%(35/40) 75%(30/40) 10%(4/40)
실시예 23 98%(39/40) 98%(39/40) 0%(0/40)
본 발명은 사조를 권취하는 공정에 적합하다. 특히, 합성섬유제조공정에 있어서, 고속으로 권취되고 또한 자동적으로 교체를 실시하는 권취기계에 있어서 특히 효과가 있고, 다음 공정인 직물, 편물, 가연가공 등이 테일실의 연결공정에서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37)

  1. 사조를 권취할 때의 능진운동지점 가이드와, 실을 권취하는 앞에서 좌우로 능진운동하는 트래버스 장치와, 권취된 사조에 맞닿아 소정의 면압을 부여하는 가압접촉 로울러와, 능진되어서 송출되어 오는 사조를 교대로 권취하는 2개의 스핀들과, 권취측 스핀들로부터 대기측의 스핀들에 연속하여 사조를 교체하기 위하여 스핀들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사조를 파지하는 사조파지부에 사조를 도입하는 실교체장치로 이루어지고, 또한, 그 실교체장치가 상기 권취측스핀들에 장착된 비어있는 보빈에 대하여 상류측에 설치된 상부 실교체기구와, 하류측에 설치된 하부 실교체기구와, 대기측으로 이동된 권취 패키지에 이르는 사조의 실의 통로를 규제하는 실통로 규제기구로 구성되는 사조권취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비어있는 보빈에 감을 때, 사조를 정규의 트래버스 영역 밖으로 이동시켜 사조를 상기 상부 실교체기구와 상기 하부 실교체기구에 의하여 사조파지부에 대략 평행하게 규제하고, 상기 상부 실교체기구와 상기 하부 실교체기구중 적어도 한쪽에서 사조파지부로 이동시켜, 사조가 상기 사조파지부에 파지절단됨과 아울러, 사조의 파지점이 사조의 주행방향과는 반대인 비어있는 보빈의 회전방향으로 이행되고, 상기 상부 실교체기구로부터 자동적으로 사조가 벗어나며, 막대처럼 감긴 테일번치를 형성하지 않고 트래버스 중심방향으로 사조가 이동되며, 트래버스가이드와 결합된 시점에서 정규의 권취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실교체기구가 상기 상부 실교체기구와 상기 실통로 규제기구에 규제된 사조를 비어있는 보빈의 둘레면과 접촉시켜, 비어있는 보빈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사조파지부에 사조를 파지시키는 감기용 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실교체기구가 사조를 정규의 트래버스 폭의 범위를 밖으로 실을 끌어모으고, 사조를 다른 가이드에 위탁한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실모음 가이드와, 실을 모은 사조를 위탁하는 실위탁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방법.
  4. 제1항 내지 제 3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조가 사조파지부에 파지되고, 실감기용 보빈표층으로 권취되기 시작한 시점에서, 트래버스 중심방향으로 이동되고, 정규의 트래버스 영역으로 들어갈 때까지의 동안에 권취되는 테일실의 실길이를 10㎝이상 200㎝이하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조가 트래버스 중심방향으로 이동할 때, 사조에 접촉하고, 마찰저항을 부여하는 저항가이드에 의하여 테일실의 실길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가이드가 적어도 2개 이상의 저항가이드의 조합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가이드 중에서, 적어도 1개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테일실의 실길이를 미세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능진지점가이드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테일실의 실길이를 미세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가이드 중의 1개가, 회전 날개기구에 의한 트래버스 장치를 구성하는 능진운동의 실통로에 대하여 그 회전날개와는 반대의 위치에 설치된 트래버스 규제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방법.
  10.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가이드 중의 1개가, 교체시에 트래버스 가이드로부터 사조를 능진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벗어나게 하는 실제거 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방법.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조가 트래버스 중심방향으로 이동할 때, 스크루 형상의 홈에서 사조를 지지하고, 그 스쿠루우 형상인 홈의 회전에 의해서 테일실의 실길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 형상의 홈이, 가압접촉로울러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조파지부가 실감기용 보빈관단부 표면에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방법.
  14. 제1항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조파지부가 인접하는 실감기용 보빈과의 경계에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방법.
  15. 제1항 내지 13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조파지부가 실감기용 보빈의 단부와 관형부재와의 경계에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방법.
  16. 제3항 내지 15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조파지부에 사조가 파지된 직후에 사조가 실의 위탁가이드로부터 벗어나는 위치가 스핀들축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서, 사조파지부보다 능진반대측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방법.
  17. 제1항 내지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패키지의 표층번치가 그 권취 패키지 단면에서 적어도 5㎜이상 내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방법.
  18. 사조를 권취할 때의 능진지점 가이드와, 실을 권취하는 앞에서 좌우로 능진하는 트래버스장치와, 권취된 사조에 맞닿아 소정의 면압을 부여하는 가압접촉로울러와, 능진되어서 송출되어 오는 사조를 서로 번갈아 권취하는 2개의 스핀들과, 권취측 스핀들로부터, 대기측의 스핀들에 연속하여 사조를 교체하기 위하여 스핀들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사조를 파지하는 사조파지부에 사조를 도입하는 실교체장치로 이루어지고, 또한, 그 실교체장치가, 상기 권취측 스핀들에 장착된 비어 있는 보빈에 대하여 상류측에 설치된 상부 실교체기구와, 하류측에 설치된 하부 실교체기구와, 대기측으로 이동된 권취 패키지에 이르는 사조의 실의 통로를 규제하는 실통로 규제기구로 구성되는 사조권취장치로서, 상기 비어 있는 보빈에 사조를 권취할 때에, 사조를 정규의 트래버스 영역 밖으로 이동시켜 사조를 상기 상부 실교체기구와 상기 하부 실교체기구에 의하여 사조 파지부에 대략 평행하게 규제하고, 상기 상부 실교체기구와 상기 하부 실교체기구중 적어도 한쪽에서 사조파지부에 이동시켜, 사조가 상기 사조파지부에 파지절단됨과 아울러, 사조의 파지점이 사조의 주행방향과는 반대인 비어 있는 보빈의 회전방향으로 이행되고, 상기 상부의 실교체기구로부터 자동적으로 사조가 벗어나며, 막대처럼 감긴 테일번치를 형성하지 않고 트래버스 중심방향으로 사조가 이동되고, 트래버스가이드와 결합된 시접에서 정규의 권취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실교체기구가 상기 상부 실교체기구와 상기 실통로 규제기구로 규제된 사조를 비어 있는 보빈의 둘레면에 접촉시켜, 비어 있는 보빈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사조파지부에 사조를 파지시키는 감기용 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장치.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실교체기구가 사조를 정규의 트래버스 폭의 범위 밖으로 실을 끌어모으고, 사조를 다른 가이드에 위탁한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실모음 가이드와, 실을 모은 사조를 위탁하는 실위탁 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장치.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조가 사조파지부에 파지되고, 실감기용 보빈의 표층으로 권취되기 시작한 시점에서, 트래버스중심방향으로 이동하고, 정규의 트래버스 영역에 들어갈때 까지의 동안에 권취되는 테일실의 실길이를, 10㎝이상 200㎝이하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장치.
  22. 제18항 내지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조가 트래버스 중심 방향으로 이동할 때, 사조에 접촉되며, 마찰저항을 부여하는 저항가이드에 의하여 테일실의 실길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가이드가 적어도 2개 이상의 저항가이드의 조합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장치.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가이드 중에서, 적어도 1개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테일실의 실길이를 미세조정하는 기능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장치.
  25. 제22항 내지 제 24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능진지점가이드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테일실의 실길이를 미세조정하는 기능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장치.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가이드 중에서 1개가, 회전날개 기구에 의한 트래버스 장치를 구성하는 능진 운동하는 실의 통로에 대하여 그 회전날개와는 반대의 위치에 설치된 트래버스 규제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장치.
  27.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가이드 중에서 1개가, 교체시에 트래버스 가이드로부터 사조를 능진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벗어나게 하는 실벗겨냄 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장치.
  28.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조가 트래버스 중심방향으로 이동할 때, 스크루 형상의 홈에서 사조를 지지하고, 그 스크루 형상인 홈의 회전에 의해서 테일실의 실길이를 제어하는 기능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 형상의 홈이 가압접촉로울러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장치.
  30. 제18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조의 파지부가 실감기용 보빈의 관단부표면에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장치.
  31. 제1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조파지부가 인접하는 실감기용 보빈와의 경계에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장치.
  32. 제18항 내지 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조파지부가 실감기용 보빈의 단부와 관형부재와의 경계에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장치.
  33. 제20항 내지 32항 중 어느 1항에 있어서, 사조의 파지부에 사조가 파지된 직후에 사조가 실의 위탁가이드로부터 벗어나는 위치가 스핀들축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서, 사조파지부보다 능진반대측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장치.
  34. 제18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패키지의 표층번치가 그 권취 패키지 단면에서 적어도 5㎜이상 내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권취장치.
  35. 실감기용 보빈의 관단부 표면에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조파지부에 감기시작하는 사조를 파지하고, 그 곳에서 실층의 부분을 형성할 때까지 보빈의 표면에 테일실이 감겨 있는 사조패키지로부터 테일실을 인출할 때에, 테일실을 칼날면에 의하여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실의 연결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실을 절단할 때에, 1개의 부재를 만곡시킴으로써 구성되는 가위에, 그 가위의 마찰부분의 칼날면과는 별도의 칼날면을 적어도 1개 설치한 가위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실의 연결방법.
  37. 1개의 부재를 만곡시킴으로써 구성되는 가위에, 그 가위의 마찰하는 칼날면과는 별도의 칼날면을 적어도 1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KR1020007004913A 1998-09-04 1999-09-03 합성섬유의 권취방법과 장치 및 사조 패키지의 사용방법 KR1006131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159898 1998-09-04
JP98251598 1998-09-04
PCT/JP1999/004796 WO2000014003A1 (fr) 1998-09-04 1999-09-03 Procede et dispositif d'enroulement de fibres synthetiques et procede d'utilisation d'un paquet de fi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841A true KR20010031841A (ko) 2001-04-16
KR100613193B1 KR100613193B1 (ko) 2006-08-18

Family

ID=17225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913A KR100613193B1 (ko) 1998-09-04 1999-09-03 합성섬유의 권취방법과 장치 및 사조 패키지의 사용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29660B1 (ko)
EP (1) EP1052210B1 (ko)
KR (1) KR100613193B1 (ko)
CN (1) CN1251951C (ko)
DE (1) DE69935421T2 (ko)
ID (1) ID24660A (ko)
WO (1) WO20000140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268B1 (ko) * 2008-12-09 2011-01-24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최내외층 번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사 권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 트랜스퍼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46096B4 (de) * 2003-10-04 2005-08-11 Saurer Gmbh & Co. Kg Vorrichtung zum Aufwickeln einer Fadenreserve und einer Kreuzspule auf eine Spulenhülse
ATE489321T1 (de) * 2004-01-28 2010-12-15 Toray Industries Fadenführer, fadentransfervorrichtung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fadenwickels
CN101748527B (zh) * 2008-11-28 2012-03-07 株式会社晓星 具有良好退绕性能的弹性纱线的卷绕方法
WO2012066082A1 (de) * 2010-11-20 2012-05-24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Vorrichtung zum aufwickeln eines fadens
JP2015161032A (ja) * 2014-02-25 2015-09-07 村田機械株式会社 糸貯留装置、これを備えた糸巻取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糸巻取機
CN104261202B (zh) * 2014-09-17 2017-07-11 绍兴精功机电有限公司 碳纤维自动连续卷绕收丝装置
CN104787622B (zh) * 2015-02-13 2017-10-10 无锡宏源机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纺丝换筒自动生头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675813B1 (ko) * 2015-03-31 2016-11-15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보조 가이드를 이용한 권폭조정장치
CN106498521B (zh) * 2016-12-02 2018-09-25 桐昆集团股份有限公司 Udy低速纺丝全自动切换卷绕机
JP7269783B2 (ja) * 2018-06-11 2023-05-09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紡糸巻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72435A5 (ko) * 1973-12-22 1976-02-13 Barmag Barmer Maschf
US4092776A (en) * 1977-12-16 1978-06-06 Cooper Industries, Inc. Cutting tool
JPS54114674A (en) 1978-02-28 1979-09-06 Toray Ind Inc Turret type thread stripe winder
JPS54114675A (en) * 1978-02-28 1979-09-06 Toray Ind Inc Turret type thread stripe winder
JPS5736233A (ja) 1980-08-13 1982-02-27 Takeo Takagi Rakudabenki
JPH0717313B2 (ja) 1986-05-29 1995-03-01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巻き取り機
JPS6322871U (ko) * 1986-07-25 1988-02-15
US4969607A (en) * 1988-11-04 1990-11-13 Rieter Machine Works Ltd. Apparatus for introducing a yarn into the catch slot of an empty bobbin tube
EP0374536B1 (de) * 1988-12-22 1994-03-30 B a r m a g AG Aufspulmaschine
WO1991004937A1 (en) * 1989-09-27 1991-04-18 Kamitsu Seisakusho Ltd. Turret type yarn winding device
DE59205648D1 (de) * 1991-07-04 1996-04-18 Rieter Ag Maschf Verfahren zur Übergabe des Fadens von einer vollen Spule an eine leere Hülse und eine Spulmaschine
EP0571318A1 (de) * 1992-05-18 1993-11-24 Maschinenfabrik Rieter Ag Spulmaschine
JP3379116B2 (ja) * 1992-09-24 2003-02-17 東レ株式会社 糸条切替方法
JP2808398B2 (ja) 1993-05-13 1998-10-08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糸条巻取機
JP3385754B2 (ja) * 1994-11-11 2003-03-10 東レ株式会社 レボルビング式糸巻取機の糸切替方法
US6158689A (en) * 1997-07-10 2000-12-12 Barmag-Spinnzwirn Gmbh Yarn winding apparatus and method
US6070827A (en) * 1997-09-11 2000-06-06 Barmag Ag Yarn winding machine
EP0921087B1 (de) * 1997-11-14 2002-09-04 B a r m a g AG Verfahren und Aufwickelvorrichtung zum Aufwickeln eines kontinuierlich zulaufenden Fade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268B1 (ko) * 2008-12-09 2011-01-24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최내외층 번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사 권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 트랜스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35421D1 (de) 2007-04-19
CN1251951C (zh) 2006-04-19
ID24660A (id) 2000-07-27
KR100613193B1 (ko) 2006-08-18
DE69935421T2 (de) 2007-11-29
EP1052210A4 (en) 2005-03-16
US6629660B1 (en) 2003-10-07
EP1052210B1 (en) 2007-03-07
CN1287538A (zh) 2001-03-14
EP1052210A1 (en) 2000-11-15
WO2000014003A1 (fr) 200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8034B2 (ja) 未処理紡糸エラストマー繊維用巻出機
EP1689664B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a covered elastic yarn and for automatic replacement of feeds spools
EP2345612A2 (en) Doffing apparatus
KR20010031841A (ko) 합성 섬유의 권취방법과 장치 및 사조 패키지의 사용방법
JP2013067935A (ja) 紡績機及び紡績機における糸の製造を中断する方法
EP1828040B1 (de) Arbeitsstelle einer spulmaschine
KR100400098B1 (ko) 탄성사용방사권취기와그실전환방법
JP3529194B2 (ja) 経糸開口直列配置型織機における緯入れ調整装置及び方法
JP4395828B2 (ja) 張力検出器を備える糸条巻取機
JP4505890B2 (ja) 合成繊維の巻取り方法及び装置
CZ281430B6 (cs) Způsob a zařízení k navíjení nitě na kuželovou cívku u dopřádacích strojů s otevřeným koncem
KR940001580B1 (ko) 탄성사의 자동 절체방법
EP0582234A2 (en) Low abrasion resistance fiber cak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4269303A1 (en) Spun yarn take-up apparatus
JP2002284448A (ja) 合成繊維の巻取り方法及び巻取り装置
CN220283137U (zh) 丝线加工机
EP3581687B1 (de) Verfahren bzw. vorrichtung zur beeinflussung des bewicklungszustandes von ringspinnkopsen
JPH0122195B2 (ko)
JPS62141115A (ja) 紡糸トウの伴切れ防止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651415B2 (ja) 自動ワインダ
JP2023131992A (ja) 糸巻取機
JP2024007744A (ja) 紡績機、パッケージの形成方法及びパッケージ
EP4051832A1 (de) Offenend-spinnmaschine sowie verfahren und steuereinrichtung zum betreiben einer solchen offenend-spinnmaschine
SU1139687A1 (ru) Способ перезаправки параллельных многоместных бобинодержателей мотальной машины и механизм перезаправки параллельных многоместных бобинодержателей мотальной машины
JP2004238127A (ja) 合成繊維の巻き取り方法および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