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1061A - 가금류 및 기타 육류를 위한 아염소산 살균살포제의효능을 최적화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가금류 및 기타 육류를 위한 아염소산 살균살포제의효능을 최적화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1061A
KR20010031061A KR1020007003896A KR20007003896A KR20010031061A KR 20010031061 A KR20010031061 A KR 20010031061A KR 1020007003896 A KR1020007003896 A KR 1020007003896A KR 20007003896 A KR20007003896 A KR 20007003896A KR 20010031061 A KR20010031061 A KR 20010031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hlorite
aqueous solution
slaughter
poul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3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크로스 로버트
케레켐프 지.
Original Assignee
알사이드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사이드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알사이드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31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106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14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12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2Preserving by means of inorganic salts
    • A23B4/027Preserving by means of inorganic salts by inorganic salts other than kitchen salt, or mixtures thereof with organic compounds, e.g. biochemical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14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 A23B4/18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4/24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26Apparatus for preserving using liquids ; Methods therefor
    • A23B4/30Apparatus for preserving using liquids ; Methods therefor by spraying of liqui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 0.05% 내지 0.12%의 아염소산 금속염을 함유하는 수용성 용액, 및 상기 수용성 용액의 pH를 약 2.2 내지 4.5로 조절하고 아염소산 형태의 상기 아염소산 이온 농도를 상기 수용성 용액의 약 35% 중량부 이하로 유지하도록 약 2.0 내지 4.4의 pKa를 갖는 충분한 양의 산과의 살포 적용에 의해 육류 도축물을 살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아염소산 금속염 대 산의 몰 비율은 적어도 상기 수용성 용액내의 아염소산 금속염의 그램/리터(grams/liter) 농도와 상기 산의 첫번째 pKa의 곱과 같다. 일 실시예로, 상기 육류 도축물은 가금류(poultry)이다.

Description

가금류 및 기타 육류를 위한 아염소산 살균살포제의 효능을 최적화시키는 방법{Method for optimizing the efficacy of chlorous acid disinfecting sprays for poultry and other meats}
갓 도축되고 내장이 적출된 가금류 및 기타 육류의 표면은 가공장비와의 접촉을 통한 가축들의 창자(viscera)로부터의 물리적 전달뿐만 아니라, 그 동물 스스로 및 주위의 동물 모두로부터 접촉되는 대소변으로부터 가축들의 피부, 가죽, 깃털등에 존재하는 미생물들(microorganisms)에 오염된다. 가장 주된 박테리아(bacteria)는 살모넬라(salmonella) 및 특히 전염성이 강한 균주인 O157:H7,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진스(listeria monocytogenes) 및 기타 유해한 엔테로박테리아세(enterobacteriaceae)등을 포함한 캄필로박터(campylobacter)종인 에쉐리히아 콜라이(Escherichia coli)와 같은 병원균(pathogens)들이다. 이런 유기체들의 대부분은 50℃ 내지 58℃의 따뜻한 온도의 도축물에서 생존할 수 있으며 그런 후에 공정라인에 있는 다른 도축물들을 상호 오염시킨다. 이것은 또한 소위 "손상된 유기체"에도 해당되는데, 사이크로트로픽(psychrotrophic) 및 젖산(lactic acid) 박테리아의 과도한 레벨은 악취와 섬유질(textural quality)이 육류품을 소비자가 용인하지 못하게 할 정도로 증식함으로써 최종 처리된 가금류 및 육류품의 저장수명을 단축시킨다.
가금류의 가공에 있어서, 최근까지, 표면병원균을 감소시키기 위한 주요 관점은 염소(chlorine) 및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와 같은 미생물이 가공수(processing water)에 포함된 냉각탱크(chiller tank)의 사용에 집중되었다. 이것은 물로 전달되는 도축물 병원균의 레벨을 낮추고, 다른 도축물들로의 상호 오염을 줄이고자하는 의도였다. 미국의 규제당국은 현재 산성화된 아염소산염(chlorite)/아염소산(chlorous acid) 미생물 계(system)를 냉각탱크에 함유하여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였으며, 뿐만아니라 깃털이 뽑히고/내장이 적출된 도축물을 냉각수내에 담그기 전에 즉시 직접 적용시켜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였다. 이것은 개별적인 도축물들의 표면 병원균의 파괴를 초래하고, 병원균의 수가 감소하거나 제거됨으로 인해 대체적으로 냉각수 및 다른 오염되지 않은 도축물들을 오염시키지 않았다. 이런 아염소산염/아염소산계의 적용은 각 가금류의 도축물을 액체 살균 용액에 분리침적시킴에 의해서, 또는 살포제를 적용함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계들이 붉은육류(red-meat)도축물의 표면을 살균하는데 사용되고, 이후의 내장적출시 살포제로 적용된다.
상기 아염소산염/아염소산 기술은 가금류 및 기타 육류로부터 박테리아를 제거하기 위한 미국특허 5,389,390호의 주요과제였다. 상기 특허에 따르면, 살균용액은 용액의 pH를 약 2.2 내지 약 4.5에 조절토록 충분히 많은 양의 산과 함께 약 0.001% 내지 약 0.2% 중량부의 아염소산 금속염(metal chlorite)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존재하는 총 아염소산염 이온(ClO2 -)의 35% 중량부 이하는 아염소산(HClO2) 형태로 존재할 것이다. 바람직한 산들로는 황산(sulfuric), 염산(hydrochloric) 또는 인산(phosphoric)과 같은 강한 무기산, 또는 구연산(citric), 능금산(malic) 또는 푸마린산(fumaric)과 같이 적당한 세기의 유기산이 될 수 있다.
그런 아염소산염/아염소산용액이 붉은육류(red-meat) 및 가금류 도축물의 표면에 살포제로 적용된 경우, 획득된 살균 레벨은 침적(immersion)에 의해 획득된 레벨보다 현저히 낮다. 그래서, 오염된 유기체들이 육류표면에 확고한 기반을 잡기전에, 효과적이고 안전한 살포 살균제를 살균내장적출(evisceration)공정직후에 가축의 도축물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런 요구들을 충족시키고 관련된 잇점들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금류(poultry) 및 기타 육류와 같은 식품의 표면으로부터 병의 원인이 되고 손상된 유기체(organism)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아염소산 항균살포제용액(chlorous acid antimicrobial spray solution)의 효능을 증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일 및 야채와 같은 비육류식품 뿐만 아니라 가축의 도축물 및 가금류, 쇠고기, 생선 및 돼지고기와 같은 신선한 육류가공품의 미생물들을 파괴하는 효능을 증대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더 상세한 목적은 살모넬라 및 에쉐리히아 콜라이와 같은 병원균을 포함한 표면 미생물들을 파괴함에 있어서 산성화된 아염소산염 나트륨(sodium chlorite)용액의 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공하는 동안 가금류 도축물 및 도축물 조각에 살균제를 뿌리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패된 미생물을 감소시키고, 그로 인해 가공식품의 상업적 저장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과일 및 야채와 같은 다른 식품 뿐만 아니라 가축 도축물 및 도축물 조각에 산성화된 아염소산염 나트륨용액을 살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런 또는 기타 목적들은, 약 0.050% 내지 약 0.12% 중량부의 아염소산 금속염을 함유한 수용성 용액, 및 (a) 상기 용액의 pH를 약 2.2 내지 약 4.5로 감소시키고 (b) 아염소산염에 대한 산의 몰비율(molar ratio)이, 상기 살포 용액내의 아염소산 금속염의 그램/리터(grams/liter) 농도와 활성화된 산의 첫번째 pKa의 곱과 동일하거나 초과할 정도의 다량의 산으로 구성된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살포함에 의해 식품의 미생물들을 파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본 발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염소산염 나트륨 또는 아염소산 칼륨(potassium chlorite), 또는 그 혼합물과 같은 아염소산 알칼리금속염(alkali metal chlorite)들이 본 발명의 실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아염소산 금속염은 아염소산염 나트륨이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산은 물에 용해될 때 완전히 이온화하지 않을 정도로 선택되고, 그 제 1 이온화 가능한 산의 그룹들의 1/100 이하가 수용성 용액에서 해리되는 산의 그룹들로 더 제한된다. 이것은 약 2 또는 그 보다 높은 첫번째 pKa값을 가지는 산에 해당하지만, 약 5보다 큰 pKa값을 가지는 산들은 본 발명에 적절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기에 적당한 산들은 인산, 구연산, 젖산(lactic acid), 능금산, 푸마린산 및 초산(acetic acid)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산들의 혼합물이 사용된 경우, 아염소산 금속염에 대한 산의 몰비율은 혼합물내의 산의 몰 랄 농도의 가중평균에 기초한다.
육류를 살균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가축이 내장적출된 후, 그리고/또는 도축물 조각인 경우는 잘려진 후, 곧바로 동물의 도축물 또는 도축물 조각에 살포시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살포는 병원균을 포함한 도축물 미생물들을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만큼 한번 또는 여러번 적용될 수 있다. 가금류의 경우에, 냉각탱크로부터 제거된 후에 도축물에 살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런 진행단계들중 한번 이상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산성화된 아염소산 금속염용액은 살균된 도축물위에 후속의 가공단계에서 제거되기 전에 최소 30초동안에 남아있도록 허용된다.
본 발명의 이런 또는 기타 관점들은 이후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명백하게 될것이다.
도1은 0 ~ 5.0 gram/100㎖ 범위의 다양한 이온 농도에서의 수용성 용액의 pH를 나타낸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미국특허 5,389,390호(이하 "'390특허")의 아염소산염/아염소산이 붉은 육류 및 가금류 도축물 표면에 살포제로 적용된 경우, 획득된 살균레벨은 침적에 의해 획득된 살균레벨보다 현저히 낮다. 본 발명은 산성화된 아염소산염 용액을 살포제로 적용함에 따른 결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연구의 결과이며, 특히 수소이온의 유효성을 연장시켜 많은 양의 아염소산 살균제가 병의 원인이 되는 미생물의 레벨을 더 감소시키는데 적당하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육류, 과일 및 야채의 표면을 포함하여 어떤 식품의 표면도 여기에 서술된 절차나 조성물에 의해 살균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의 목적을 위해, 이후에 예시되는 식품의 표면은 가금류 및 쇠고기와 같은 육류의 표면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이런 방식으로 제한하려고 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기 바란다.
침적공정에 있어서는, 도축물의 주위에 무한대의 산성 수용액의 저장소가 존재하고, 그 저장소로부터 살균시 고갈된 아염소산 살균제가 재충전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즉, 상기의 침적공정은 다음과 같이 반응이 진행된다:
부가적인 ClO2 -는 수용성 환경하에서 다른 수소이온[H+]들로부터 더많은 아염소산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런 [H+]이온들은 예를 들어 인산(pKa= 2.15), 푸마린산(pKa= 3.03), 구연산(pKa= 3.13), 및 능금산(pKa= 3.40)과 같이 첫번째 pKa가 약 2보다 큰 산화제(acidifying agent)가 존재하는 침적용액에서 유용하다. 그러나, 도축물의 표면위에 아염소산염/아염소산 용액을 살포시키는 경우, 얇은 액막이 불충분한 액체 저장소를 구성하는 것이 명백한데, 이로부터 [H+]이온이 고갈된 아염소산을 채우기위해 공급된다. 도축물에 대한 다른 살포 방법, 즉 염소와 이산화염소와 같은 살포제에 있어서는, 이들이 기체이고 증발에 의해 빨리 사라져 버리기 때문에 위와 유사한 결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390특허의 개량으로서, 원치않은 박테리아를 제거하기 위하여, 약 0.001% 내지 약 0.2% 중량부의 아염소산 금속염을 포함하고, pH가 약 2.2 내지 4.5로 조절된 수용성 용액을 신선한 가금류 또는 기타 육류의 도축물, 또는 도축물 조각에 살포함에 의해 적용된다. 상기 '390특허의 실시에서, 어떤 실시예의 바람직한 산들로는 염산, 황산, 및 인산과 같은 강산(strong acid)을 포함한다. 도축물 또는 도축물 조각위에 살포제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아염소산 금속염은 약 0.075% 내지 약 0.15%의 농도로 사용되며, 용액은 약 2.4 내지 약 3.0의 pH로 조절된다. 냉각탱크로부터 제거된 후에 가금류 도축물 또는 도축물 조각에 살포제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아염소산 알칼리금속염의 농도는 약 0.05% 내지 약 0.1% 중량부이며, 약 2.6 내지 약 3.2정도의 pH로 조절된다.
상기 '390특허에는 그런 pH값을 얻는데 사용되는 산의 양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으며, 단지 원하는 범위로 pH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충분한 산"이라고만 언급되어 있다. 원래, 이런 조절은 아염소산의 증가된 레벨의 소스이며, [반응식 1]에 의해 설명된다.
이것은 산성화된 아염소산염 산(chlorite acid)계의 효능이 용액내에 존재하는 아염소산의 레벨에 절대적이고 상관적으로 달려있다는 것을 잘 입증하고 있다. 아염소산은 불안정한 상태의 아염소산이 더 안정한 상태의 반응물(강산성의 이산화염소 뿐만 아니라 염화물(chloride), 염소산염(chlorate))로 분해될 때 일시적으로 형성되는 항균성 산화제(antimicrobial oxidant)의 소스이다. 캐스케이드(cascade)반응은 [반응식 2]에 나타난 것 처럼, 유효 염화물이온의 부재중에 아염소산의 분해(degradation) 비율로 표현되는 실험식으로 대표된다.
박테리아가 수용성 계(aqueous system)에 존재할 때, 분해가 빠르면 빠를수록, 그것들은 더 빨리 죽는다. 존재하는 아염소산염의 레벨은 제 역할을 하지만, 거의 최초량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아염소산염의 일부는 아염소산을 생성시키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그것의 양은 아염소산이 형성되고 소비되는 것에 따라 다양할 것이다).
가금류 또는 육류의 도축물, 또는 도축물 조각이 산성화된 아염소산염용액에 담궈지고, 육류의 주변에 접해있는 아염소산이 국부 유기물질과 박테리아와의 상호작용, 그리고/또는 피부표면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소비된 경우, 육류의 주변에 아염소산염 이온들을 추가하는 것은 다른 근접한 수소이온들이 더 많은 양의 아염소산을 형성하는 것을 이끌 수 있다. 그런 미세 영역(micro-domain)으로의 수소이온 유입이 없으면, 아염소산 레벨은 줄게되고 그 영역의 pH는 상승한다. 이런 계속되는 활동의 상실은 산성화된 아염소산염 용액이 가금류 및 기타 육류 도축물들위에 살포될 때가 육류조각을 같은 용액에 담그었을 때 보다도 박테리아 병원균을 파괴하는 효과가 덜 하다는 관찰과 일치한다.
상기 '390특허는 상기 아염소산 금속염을 활성 아염소산 종(species)으로 변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산의 성질을 자세히 언급하고 있지 않다. 실제로는, 이것은 황산 또는 염산(hydrochloric acid)과 같은 강산(strong mineral acid) 뿐만아니라 비록 젖산이 원치않는 피부효과(skin effect)를 초래할 수도 있지만, 젖산같은 약산이 유용하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놀랍게도, 산의 써브클라스(subclass)가 산성화된 아염소산염 용액을 육류 및 가금류 표면에 살포제로 적용됨에 따른 결함을 극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인산을 포함한 이런 산들의 그룹은, 그들의 사용레벨이 살균살포제 씨스템내에 존재하는 아염소산염의 양에 비례하여 명기되어 있는 경우, 수소이온의 필요한 보충분을 제공할 수 있다.
화학분야에서 이런 평범한 기술들은, 산의 최초양을 간단히 증가시킴에 의해 살포제가 뿌려진 육류의 미세 영역내에서의 산 결핍을 극복하려고 시도되었다. 그러나, 만약 황산 또는 염산등과 같은 산의 사용이 행해졌더라면, 그 용액의 pH는 '390특허가 요구하는 약 2.2 내지 4.5의 범위보다 아래로 떨어졌을 것이다. 낮은 pH에서, 과도한 아염소산 레벨은 앞의 [반응식 2]에 나타난 비율에 따라서 그것의 빠른 분해를 초래하였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산의 성질과 살포용액내에서 사용된 산의 레벨이 다음 기준들을 만족한다면, 침적용액에서 얻어지는 것과 비교할 수 있는 살균능력을 얻을 수 있다:
(a) 약 2.0 내지 약 4.4의 pKa를 가지는 산;
(b) 아염소산염에 대한 산의 몰 비율이 살포용액내의 아염소산 금속염의 그램/리터 농도와 그 산의 pKa값의 곱과 동일하거나 더 큰 농도에서 (즉, [산]:[아염소산염]≥(pKa)ㆍ[아염소산염]) 상기 산을 사용; 및
(c) 살포용액의 pH를 약 2.2 내지 4.5의 pH로 유지.
본 발명은 아염소산염을 아염소산으로 부분 전환하기 위해 특정한 산의 과도한 레벨의 사용을 개시하는데, 여기에서 보통의 완충범위(buffering range)를 넘어 안정된 pH범위를 얻도록 슈도-완충효과(pseudo-buffering effect)가 이런 산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산의 완충범위의 보통의 중심점은 헨더슨-하셀비치 반응식([반응식 3])에 따른 pKa값에 부응한다.
분자의 음이온형태(anion form)와 산형태(acid form)가 동등할 경우, 최종 로그항(final log term)은 0이 되고, pH = pKa가 된다. 그래서, 예를 들면, 능금산은 그것의 pKa와 동일한 약 3.40의 pH에서 최고로 안정한 완충용액을 형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용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항균 활성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pH가 요구되는 경우에, 예컨대, 1.0 gram/liter 아염소산염 나트륨에 대하여 pH = 2.3인 경우에, 농도조절된(conventration-driven) 슈도-완충을 달성할 수 있는데, 이것은 동일한 몰농도의 능금산을 사용함으로써 산성화된 아염소산 금속염 용액의 살포막에서 지속적으로 수소이온[H+]이 공급되는 것이며, 이것은 동일한 몰농도의 아염소산염 용액의 적어도 3.4배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0.12%(1.2gram/liter)의 아염소산염 나트륨의 초기농도로는, 0.726%의 최소 능금산 농도에 대응한다. 이 농도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염소산염을 아염소산으로 전환시키는데 약간의 능금산이 소모되므로, pH는 약 2.4로부터 비교적 위쪽으로 이동한다. 아염소산염(chlorite salt)의 절반이 반응하는 경우에, 능금산의 잔여 농도는 0.636%이고, 도면에 따른 대응 pH는 여전히 약 2.4이다.
가령, 숙신산과 같은 4.19 pKa의 약산이 사용되면, 동일한 1.2 gram/liter의 아염소산염 나트륨용액에 대응하여 사용되는 최소의 산 농도는 0.79%가 될 것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지점은 아염소산염에 의한 산의 비교적 작은 소모가 비교적 작은 pH 변화를 초래할 pH/농도 곡선의 일부에 있다. 비교적 낮은 한계영역인 0.05%의 아염소산 금속염(예컨대, 아염소산염 나트륨)이 숙신산과 함께 살포액으로 사용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산의 최소 농도는 0.14%가 될 것이고, 이는 pH가 약 3.1에 상당하는 것이다. 아염소산염의 절반이 숙신산에 의해 소모되어 그 농도가 약 0.10%로 감소될 경우, pH는 단지 약 3.2까지만 상승할 것이다.
상기 예시적인 경우의 양쪽 모두에 있어서, 비교적 변함없는 pH값이 산성물질을 사용하여 얻어지는데, 이들 산성물질의 통상적인 완충범위(능금산의 경우 pH~3.4, 숙신산의 경우 pH~4.19)는 농도조절된 pH값(능금산 및 숙신산에 대하여 각각 2.4 및 3.1)과는 상당히 다르다. 인산과 같이, 약 2.0 내지 4.4로, 산 pKa의 범위중 낮은 범위 근처의 pKa를 가지는 산은 본 발명에 개시된 2.2 pH의 최저 pH한계 근방이거나 이보다 다소 높은 값에서 사용되도록 의도되는 살포공식(spray formulation)을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pKa와 원하는 pH 사이의 유사점은 또한 수소이온의 지속적인 소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산의 완충능력에 주로 기여한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더 예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며, 어떤 관점에서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달리 지시되지 않는다면, 모든 부와 백분율은 중량기준을 나타낸다.
(실시예1)
본 실시예는 0.12% 아염소산염 나트륨 농도의 구연산 활성 아염소산염 나트륨 용액을 가금류 도축물에 살포한 효과를 살포하지 않은 도축물들과 비교하여 예시하는데, 여기에서 본 발명에 의해 교시된 구연산 레벨을 최적화시킴으로써 만들어진 향상된 향균성은 (1) 총 호기성 유기체(aerobic organism), (2) 에쉐리히아 콜라이(E. coli) 및 (3) 총 대장균(E. coli제외)의 레벨들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
평균 35일된 1.5 ~ 2.0 kg의 상업용 브로일러(broiler) 10마리로 이루어진 그룹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것들은 파일럿 도축시설(pilot slaughter facility)에서 처리되고, 내장을 적출하여 물로 세척한 후에, 3 oz.의 산성화된 아염소산염 용액으로 30초간 살포되었다. 그 다음에 이후의 공정중에 물을 제거하기 전에 도축물에 상기 살포액이 30초간 남아 있게 하였다.
살포 용액은 0.12%용액의 pH를 약 2.5로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양의 구연산을 포함하였다. 이 용액에 대한 산:아염소산염 몰비율(mole ratio)은 구연산과 아염소산염 나트륨의 배합에 대한 임계치 3.76 (즉, (구연산의 pKa= 3.13)ㆍ(아염소산염 1.2 gm/ℓ) = 3.76)보다 낮은 1.4 였다. 다른 살포 용액은 이 임계치와 동일한 3.8의 몰비율을 가졌다. pH를 약 2.38로부터 1.4 몰비율과 동일한 값인 2.5로 높이기 위하여, 적은 양의 알칼리가 후자의 용액에 첨가되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미국의 규제당국은 2.5 내지 3.2 범위의 pH에서 가금류 도축물을 살균하기 위하여 산성화된 아염소산염/아염소산을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였다. 따라서, 실험 용액이 상기 허용 범위내에 있도록 첨가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알칼리는 살균용액의 필요한 성분을 구성하지 못한다는 사실에 유의하여야 한다.
표준공정에 의한 미생물학적 평가에 따르면, 상기 살포된 도축물에서 미처리된 도축물들(대조표준(control))의 미생물 수와 비교하여 앞에서 확인된 세개의 유기체 그룹들의 대수적인(logarithmic) 감소가 판명되었다. 이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표1]의 결과는 3.76 (3.13 ×1.2)인 구연산:아염소산염 나트륨의 임계치 농도 조절된 몰비율(concentration-adjusted mole ratio, CAMR)과 적어도 동일한 양의 산을 사용하면 실험된 병원 유기체들의 우세한 대수적 감소가 초래되었다는 것을 증명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0.085% 아염소산염 나트륨 농도의 인산 활성 아염소산염 나트륨 용액을 가금류 도축물에 살포한 효과를 살포하지 않은 도축물들과 비교하여 예시하는데, 여기에서 인산 레벨을 증대시킴으로써 만들어진 향상된 항균성은 (1) 총 호기성 유기체 (2) E. coli 및 (3) 총 대장균(E. coli 제외)의 증가된 백분율 감소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
실시예 1에서 이용된 브로일러와 유사한 병아리들의 그룹에 대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증가된 살포 용액(1.9)의 몰비율은 증가하지 않은 용액(0.68)의 몰비율에 비하여 인산/아염소산염 나트륨 농도(1.83)에 대한 임계 CAMR값에 근사하였다.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증가된 용액은 잠재적으로 병의 원인이 되는 대장균 그룹들의 향상된 감소를 보였지만, 호기성 유기체들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총 호기성 유기체들에 의해 반영된 바와 같이, 보통의 피부세균군(skin flora)의 현저한 감소는, 그들의 지속적인 존재가 병의 원인이 되는 유기체들의 성장을 경쟁적으로 능가하려고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표2]의 "총 호기성 생물"에 대한 산성이 증가한 처리 용액의 보다 적은 영향은 긍정적인 결과라고 여겨질 수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병원균 에쉐리히아 콜라이 O157:H7을 파괴하는 능력에 있어서, 모두 인산으로 산성화된 두개의 0.121% 아염소산염 나트륨 살포 조성물들 사이의 차이점을 예시한다. 두 용액에 대한 임계 CAMR은 2.60(2.15 ×1.21)이었다. 상기 용액들중 하나는 0.661의 CAMR을 제공하는 인산 레벨을 가졌고, 다른 하나는 2.69의 CAMR을 제공하는 인산 레벨을 가졌다. 다양하게 대표되는 육류 덩어리들이 갓 도살된 소로부터 선택되었고 상업적 절차에 따라 대학교 도살장에서 손질되었으며, 그 덩어리들의 표면은 소의 배설물 기질로 혼합된 E. coli O157:H7의 리팜피신-면역균주(rifampicin-resistant strain)의 접종물(inoculum)로 뒤덮였다. 오염된 후, 덩어리들은 낮은 압력 및 높은 압력의 물 살포로 세척되었고, 하나의 대조표준(control)과 하나 또는 두개의 실험그룹으로 나뉘어졌다. 세척 2분 후에, 실험그룹(들)에 인산 활성 아염소산염 나트륨 용액을 10초간 더 살포하였다. 흠뻑 적신 후에, 모든 조각들은 미생물학적으로 분석되었다.
이하의 연구에서, 임계치 아래(subthreshold)의 응용에 대하여, 0.121% 아염소산염 나트륨 살포 용액내의 인산의 농도는 0.0868%(8.86 millimolar)이었고, 아염소산염 농도는 13.4 millimolar 였으며, 아염소산 대 산의 몰비율은 0.661 이었다. 연구의 이부분에서, 두 세트의 살포 용액이 실험되었는데, 하나는 습윤성을 촉진시키는 표면활성제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포함하지 않았다. 임계치 위의(suprathreshold) 연구에 있어서, 인산 농도는 36.0 millimolar 였고, 살포 용액의 동일한 아염소산 레벨로 아염소산 대 산의 몰비율은 2.69 였다. 임계치 위의 살포 용액에는 어떠한 계면활성제도 포함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에서 채용된 산과 아염소산염의 배합에 대한 임계 CAMR은 2.15 ×1.21 = 2.60 이다; 따라서, 첫번째 살포액은 임계치보다 상당히 낮았고 두번째 살포액은 임계치를 다소 초과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세척되었지만 처리되지는 않은 육류 표면에 비하여 오염된 육류 표면의 평방 센티미터(cm2)당 잔류하는 E. coli 병원균에 있어서의 대수적인 감소로 표현되며, [표3]에 나타내었다.
[표3]의 데이터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아염소산염의 몰비율을 임계 CAMR과 같거나 크도록 조절함으로써, 오염된 붉은 육류 병원균의 상당히 큰 감소가 달성되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실시예 3의 공정에 따라서 0.121% 아염소산염 나트륨 살포용액의 산성제로서 구연산의 사용을 나타내는데, 여기에서 구연산 레벨은 산과 아염소산염의 배합에 대한 CAMR을 다소 초과하도록 선택되었다.
이 연구에서, 육류 덩어리들은 실시예 3에 기재된 방식으로 두개의 병원균, E.coli 0157:H7 나 살모넬라 티피무리움(Salmonella typhimurium) 중에서 하나로 오염되었다. 살포 용액 내의 구연산의 농도는 51.57 millimolar 이었고, 13.4 millimolar 아염소산염 농도에 대한 몰비율은 3.86이었다. 3.13 ×1.21의 이러한 배합에 대한 CAMR은 임계치 위에 대한 연구에서 채용된 몰비율보다 다소 낮은 3.79의 임계치이다. 예 3에 기재된 방식으로 살포 용액으로 처리한 후에, 이러한 유기체들의 대수적인 감소를 [표4]에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구연산의 농도가 CAMR 임계치에 의해 요구된 레벨을 초과한 채 구연산 활성 아염소산염 나트륨 용액을 육류에 살포하는 것이 표면 박테리아 병원균의 레벨에 있어서의 매우 큰 감소를 초래한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가금류 및 기타 육류와 같은 식품의 표면으로부터 병의 원인이 되고 손상된 유기체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아염소산 항균살포제용액의 효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들이 예시적으로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12)

  1. 식품의 표면을 살균하는 방법에 있어서,
    약 0.05% 내지 약 0.12% 중량부의 아염소산 금속염을 함유하는 수용성 용액, 및 상기 수용성 용액의 pH를 약 2.2 내지 약 4.5로 조절하고 아염소산 형태의 상기 아염소산염 이온 농도를 상기 수용성 용액의 약 35% 중량부 이하로 유지하도록 약 2.0 내지 약 4.4의 pKa를 갖는 충분한 양의 산과의 살포 적용에 의하여 상기 표면을 접촉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며, 아염소산 금속염에 대한 산의 몰비율이, 적어도 상기 수용성 용액 내의 아염소산 금속염의 그램/리터(grams/liter) 농도와 상기 산의 첫 번째 pKa의 곱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표면 살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염소산 금속염 대 산의 상기 몰비율은 상기 수용성 용액 내의 아염소산 금속염의 그램/리터 농도와 상기 산의 첫 번째 pKa의 곱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표면 살균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은 인산, 구연산, 젖산, 능금산, 푸마린산, 초산 및 그것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표면 살균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염소산 금속염은 아염소산염 나트륨(sodium chlori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표면 살균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용액은 제거되기 전에 약 30초 내지 10분정도의 시간동안 상기 표면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표면 살균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용액의 살포는 적어도 두번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표면 살균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육류 도축물(meat carcass)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표면 살균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류 도축물은 가금류(poultr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표면 살균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류 도축물은 쇠고기(be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표면 살균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류 도축물은 생선(fish) 및 돼지고기(pork)중에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표면 살균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은 과일의 표면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표면 살균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은 야채의 표면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표면 살균 방법.
KR1020007003896A 1997-10-09 1998-10-01 가금류 및 기타 육류를 위한 아염소산 살균살포제의효능을 최적화시키는 방법 KR200100310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948,628 1997-10-09
US08/948,628 US6063425A (en) 1997-10-09 1997-10-09 Method for optimizing the efficacy of chlorous acid disinfecting sprays for poultry and other meats
PCT/US1998/020564 WO1999018805A1 (en) 1997-10-09 1998-10-01 Method for optimizing the efficacy of chlorous acid disinfecting sprays for poultry and other mea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061A true KR20010031061A (ko) 2001-04-16

Family

ID=2548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3896A KR20010031061A (ko) 1997-10-09 1998-10-01 가금류 및 기타 육류를 위한 아염소산 살균살포제의효능을 최적화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063425A (ko)
EP (1) EP1021091A1 (ko)
JP (1) JP4226778B2 (ko)
KR (1) KR20010031061A (ko)
CN (1) CN1100486C (ko)
AU (1) AU740767B2 (ko)
BR (1) BR9814069A (ko)
CA (1) CA2305236A1 (ko)
NO (1) NO20001807L (ko)
NZ (1) NZ503993A (ko)
WO (1) WO19990188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087A (ko) * 2002-05-29 2003-12-06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이소티아졸론 조성물 및 이소티아졸론의 안정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0358A1 (en) * 1997-03-13 2003-09-11 Garwood Anthony J.M. Tray with microperforations for gas transfer
US20030165602A1 (en) * 1997-03-13 2003-09-04 Garwood Anthony J.M. Labeling, marking and pricing of meat products
US20040081729A1 (en) * 1997-03-13 2004-04-29 Garwood Anthony J.M. Continuous production and packaging of perishable goods in low oxygen environments
US20040037932A1 (en) * 1997-03-13 2004-02-26 Garwood Anthony J.M. Method and apparatus for sanitizing and processing perishable goods in enclosed conduits
US7415428B2 (en) * 1997-03-13 2008-08-19 Safefresh Technologies, Llc Processing meat products responsive to customer orders
US20030182903A1 (en) * 1997-03-13 2003-10-02 Garwood Anthony J.M. Continuous packaging in enclosed conduits
US20060147588A1 (en) * 1997-03-13 2006-07-06 Case Ready Solutions Llc Products, methods and apparatus for fresh meat processing and packaging
US20030185947A1 (en) * 1997-03-13 2003-10-02 Garwood Anthony J.M. Apparatus for biaxially stretching a web of overwrapping material
US7205016B2 (en) * 1997-03-13 2007-04-17 Safefresh Technologies, Llc Packag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food products
US20040146602A1 (en) * 2000-11-28 2004-07-29 Garwood Anthony J.M. Continuous production and packaging of perishable goods in low oxygen environments
US7575770B2 (en) * 1997-03-13 2009-08-18 Safefresh Technologies, Llc Continuous production and packaging of perishable goods in low oxygen environments
US20030175392A1 (en) * 1997-03-13 2003-09-18 Garwood Anthony J.M. Grinding meat into low-oxygen atmosphere
US20030124221A1 (en) * 1997-03-13 2003-07-03 Garwood Anthony J.M. Method and apparatus for grinding, blending, and proportioning meat, and apparatus calibration
US20030091708A1 (en) * 1997-03-13 2003-05-15 Garwood Anthony J.M. Irradiation in low oxygen environment
US20030185937A1 (en) * 1997-03-13 2003-10-02 Garwood Anthony J.M. Tracking meat goods to country of origin
US6866832B2 (en) 1997-03-13 2005-03-15 Safefresh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anitizing perishable goods in enclosed conduits
US7093734B2 (en) * 1997-03-13 2006-08-22 Safefresh Technologies, Llc Tray with side recesses and channels for gas transfer
US20030170359A1 (en) * 1997-03-13 2003-09-11 Garwood Anthony J. M.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content with decontamination in meats
NL1010673C2 (nl) 1998-11-27 2000-05-30 Stork Pmt Toevoegen van additief aan een vleesprodukt.
DK174676B1 (da) * 2001-01-18 2003-08-25 Slagteriernes Forskningsinst Fremgangsmåde og anlæg til fremstilling af skiveskårne fødevarer
US6814984B2 (en) 2001-02-09 2004-11-09 Clean Water International Llc Frozen biocid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6599432B2 (en) 2001-05-02 2003-07-29 Robert D. Kross Methods for disinfecting small diameter water lines
US6908636B2 (en) * 2001-06-28 2005-06-21 Albermarle Corporation Microbiological control in poultry processing
US7087208B2 (en) 2001-08-02 2006-08-08 Sampson Allison H Methods for making chlorous acid and chlorine dioxide
NL1019298C2 (nl) * 2001-11-05 2003-05-07 Stork Pmt Werkwijze voor het conserveren van vlees van een geslachte vogel of deel daarvan.
US20030099745A1 (en) * 2001-11-28 2003-05-29 Diversey Lever, Inc. Food washing composition
AU2003220034A1 (en) * 2002-03-08 2003-09-22 Heloise, Anne, Pereira, Ph. D. An early detection marker for chronic inflammatory associated diseases
US20090074922A1 (en) * 2002-04-16 2009-03-19 Safefresh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anitizing and processing perishable goods in enclosed conduits
GB0219498D0 (en) * 2002-08-21 2002-10-02 Newman Paul B D Aseptic production of foodstuffs
US20040147211A1 (en) * 2003-01-24 2004-07-29 Mostoller Charles R. Poultry defeathering process and apparatus
CN100358438C (zh) * 2003-03-12 2008-01-02 大阪有机化学工业株式会社 禽肉的杀菌方法
US7887850B2 (en) * 2004-07-23 2011-02-15 Ecolab Inc. Method for reducing pathogen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poultry and other food animals
US20060039841A1 (en) * 2004-08-18 2006-02-23 Avantec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aqueous solutions and gases having disinfecting properties and substantially eliminating impurities
EP1819222A2 (en) * 2004-12-09 2007-08-22 The Dial Corporation Compositions having a high antiviral and antibacterial efficacy
CA2588802A1 (en) * 2004-12-09 2006-06-15 The Dial Corporation Compositions having a high antiviral and antibacterial efficacy
CA2588794A1 (en) * 2004-12-09 2006-06-15 The Dial Corporation Compositions having a high antiviral and antibacterial efficacy
WO2007044032A2 (en) * 2004-12-09 2007-04-19 The Dial Corporation Compositions having a high antiviral and antibacterial efficacy
CA2588786A1 (en) * 2004-12-09 2006-06-15 The Dial Corporation Compositions having a high antiviral and antibacterial efficacy
WO2006062835A2 (en) * 2004-12-09 2006-06-15 The Dial Corporation Compositions having a high antiviral and antibacterial efficacy
BRPI0613774A2 (pt) * 2005-07-25 2011-02-01 Ecolab Inc composições antimicrobianas para uso em produtos alimentares
EP1906743B1 (en) 2005-07-25 2012-03-07 Ecolab Inc. Antimicrobi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ackaged food products
US20080274242A1 (en) * 2006-07-21 2008-11-06 Ecolab Inc. Antimicrobi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ackaged food products
US8445419B2 (en) * 2005-07-25 2013-05-21 Ecolab Usa Inc. Antimicrobial compositions for use on food products
US20070042094A1 (en) * 2005-08-22 2007-02-22 Alcide Corporation Oxidation method and compositions therefor
EP2040543A2 (en) * 2006-05-24 2009-04-01 The Dial Corporat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noroviruses
EP2040544A2 (en) * 2006-05-26 2009-04-01 The Dial Corporation Method of inhibiting the transmission of viruses
MX2008015188A (es) * 2006-05-30 2009-03-06 Dial Corp Composiciones que tienen una alta eficiencia antiviral.
MX2008015189A (es) * 2006-05-31 2009-03-06 Dial Corp Composiciones antimicrobianas que contienen alcohol que tienen eficiencia mejorada.
WO2008036134A2 (en) 2006-06-02 2008-03-27 The Dial Corporation Method of inhibiting the transmission of influenza virus
EP2046120A2 (en) * 2006-06-05 2009-04-15 The Dial Corporation Methods and articles having a high antiviral and antibacterial efficacy
AU2015201401B2 (en) * 2006-08-28 2016-07-07 Honbu Sankei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aqueous chlorous acid solution for use as disinfectant
AU2013205834B2 (en) * 2006-08-28 2015-04-09 Honbu Sankei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aqueous chlorous acid solution for use as disinfectant
EP2633757B1 (en) * 2006-08-28 2021-04-21 Honbu Sankei Co., Ltd. Aqueous chlorous acid solution for use as disinfectant
EP2655248B1 (en) 2010-12-23 2016-11-30 Sampson, Allison H. Method of preparing, storing, transporting and testing chlorine dioxide solutions
US9078939B2 (en) 2012-01-23 2015-07-14 Star-Brite Distributing, Inc. Disinfectant system
WO2014188310A1 (en) * 2013-05-20 2014-11-27 Honbu Sankei Co., Ltd. Drug-resistant microbe and variant microbe disinfectant containing chlorous acid aqueous solution
JP7098323B2 (ja) * 2014-08-29 2022-07-11 エコラボ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獣鳥肉処理のための活性塩素系剤の再利用
AU2017245046B2 (en) 2016-03-31 2020-07-16 Honbusankei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chlorous acid water using raw material obtained by salt electrolysis
CN105901108B (zh) * 2016-04-22 2018-05-04 江苏里下河地区农业科学研究所 一种冷鲜鸡的综合保鲜方法
US11168005B2 (en) 2019-02-19 2021-11-09 Dripping Wet Water, Inc Conductivity control of aqueous chemical dosing in water treatment systems
US11142455B2 (en) 2019-06-05 2021-10-12 Dripping Wet Water, Inc. Pressurized catalytic production of dioxide speci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390A (en) * 1895-04-30 Trolley-breaker
US4140649A (en) * 1976-09-27 1979-02-20 Eduard Bossert Method and composition for cleaning the surfaces of foods and fodder
US5185161A (en) * 1984-03-21 1993-02-09 Alcide Corporation Disinfection method and composition therefor
US4986990A (en) * 1984-03-21 1991-01-22 Alcide Corporation Disinfection method and composition therefor
US4731193A (en) * 1984-07-31 1988-03-15 Rio Linda Chemical Company, Inc. Aqueous foam containing chlorine dioxide composition and preparation thereof
US4891216A (en) * 1987-04-14 1990-01-02 Alcide Corporation Disinfec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for
US4925645A (en) * 1988-10-05 1990-05-15 Mason James A Method of preparing a mixture of chlorine containing substances including chlorine dioxide
US5171441A (en) * 1989-11-20 1992-12-15 Mason James A Apparatus for treating water and/or wastewater
US5380518A (en) * 1992-03-04 1995-01-10 Arco Research Co., Inc.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chlorine dioxide
IL102627A (en) * 1992-07-23 1996-05-14 Abic Ltd Solid composition releasing chlorine dioxide
US5389390A (en) * 1993-07-19 1995-02-14 Kross; Robert D. Process for removing bacteria from poultry and other meats
WO1996025049A1 (en) * 1995-02-17 1996-08-22 Ch2O Incorporated Method for treating produce and process wa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087A (ko) * 2002-05-29 2003-12-06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이소티아졸론 조성물 및 이소티아졸론의 안정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9594998A (en) 1999-05-03
EP1021091A1 (en) 2000-07-26
CN1279584A (zh) 2001-01-10
NO20001807D0 (no) 2000-04-07
NO20001807L (no) 2000-06-06
WO1999018805A1 (en) 1999-04-22
CA2305236A1 (en) 1999-04-22
JP2003515309A (ja) 2003-05-07
AU740767B2 (en) 2001-11-15
NZ503993A (en) 2001-12-21
CN1100486C (zh) 2003-02-05
US6063425A (en) 2000-05-16
BR9814069A (pt) 2000-09-26
JP4226778B2 (ja)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1061A (ko) 가금류 및 기타 육류를 위한 아염소산 살균살포제의효능을 최적화시키는 방법
Hricova et al. Electrolyzed water and its application in the food industry
CA2191016C (en) Method of disinfection
EP1198179B1 (en) Antimicrobial polyphosphates in food processing
EP2043447B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ackaged food products
US11793208B2 (en) Antimicrobial treatment of animal carcasses and food products
CA1047830A (en) Disinfection and sterilisation of mussels, crustacea and fish
US20130344172A1 (en) Antimicrobial acid formulation
Colangelo et al. Electrolysed water in the food industry as supporting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WO2010105217A1 (en) Animal lesion treatment and prevention formulations and methods
Hong et al.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O157: 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inoculated on chicken by aqueous chlorine dioxide treatment
JP3501926B2 (ja) 食肉の処理方法
JP4099304B2 (ja) 殺菌剤組成物
WO1999020129A1 (en) Aqueous solution for disinfecting an animal product, a method and a plant for such disinfection
JP2003135041A (ja) 食品処理剤及び処理方法
JPH025822A (ja) 生野菜用アルコール製剤及び改質剤並びに生野菜の処理方法
JP6864340B2 (ja) 殺菌剤組成物
MXPA00003416A (en) Method for optimizing the efficacy of chlorous acid disinfecting sprays for poultry and other meats
Winkler et al. Reference document: Antimicrobial interventions for beef
Leães et al. Electrolyzed Water
NL2004778C2 (en) Decontamination process of contaminated food products.
Benli Surface Decontamination treatments for improving the safety of meat and poultry
JPH06133741A (ja) 保存性のある魚卵製品の製造法
JP2003225049A (ja) 食肉の殺菌方法
JP2004016196A (ja) 食鳥肉の殺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