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402A - 수해성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수해성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402A
KR20010030402A KR1020000054215A KR20000054215A KR20010030402A KR 20010030402 A KR20010030402 A KR 20010030402A KR 1020000054215 A KR1020000054215 A KR 1020000054215A KR 20000054215 A KR20000054215 A KR 20000054215A KR 20010030402 A KR20010030402 A KR 20010030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ecomposable
sheets
absorbent article
surfac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2628B1 (ko
Inventor
구라타노부히로
와다미츠히로
도쿠모토메구미
Original Assignee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Publication of KR20010030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6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13/15211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soluble or disintegratable in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13/15211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soluble or disintegratable in liquid
    • A61F2013/15235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soluble or disintegratable in liquid by its solubility 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06Basis w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종래에는, 수해성과 강도의 균형이 우수한 수해성 표면재가 없었다. 본 발명은 수해성 이면 시이트(20), 수해성 흡수층(21), 상기 흡수층(21)을 덮는 표면재(10)를 포함하는 수해성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표면재(10)에는, 물로 붕괴 가능한 보수성 수해성 시이트(11, 12, 13, 14)가 여러장 중첩되어 있고, 상기 수해성 시이트끼리는, 액체가 가해졌을때 해리 가능한 액체 해리성 일체화 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액체 해리성 일체화 수단으로는 개공 처리나 엠보스 처리 등의 기계적 수단, 접착제, 수소 결합 등이 있다.

Description

수해성 흡수성 물품{WATER-DECOMPOSABLE ABSORBABLE ARTICLE}
본 발명은 생리용 냅킨, 팬티 라이너, 일회용 기저귀, 소변 수거 패드 등에 이용되는 수해성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배설물을 흡수시키기 위해서 생리용 냅킨, 팬티 라이너, 일회용 기저귀, 소변 수거 패드 등의 흡수성 부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흡수성 물품은 사용후에는 쓰레기로서 폐기된다. 그러나, 이들 흡수성 물품의 폐기물이 최근 증가하고 있고, 그 양이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사용후의 흡수성 물품을 쓰레기로서 폐기 처리하는 것이 번거롭다. 그래서, 흡수성 물품을, 수해성을 갖는 것으로 구성하여, 사용후에는 화장실에 흘려 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연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평9-228241호에는 흡수성 물품의 상면 시이트로서 사용되는 수해성 부직포가 개시되어 있다. 이 부직포는 섬유 길이가 4∼20 ㎜인 재생 셀룰로오스와 펄프로 이루어지는 섬유 웨브를 워터제트 처리하여 얻을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평5-25764호에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수해성 부직포가 개시되어 있다. 이 부직포는 섬유 끼리를 바인더인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접합시켜 얻을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평8-38547호에는 수해성 흡수성 위생용품이 개시되어 있다. 이 위생용품은 수분산성을 갖는 섬유에 바인더인 폴리비닐알콜을 첨가하여 형성한 표면층, 수분산성의 흡수층, 수용성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평6-101154호에는 셀룰로오스계 유도체를 바인더로서 함유하는 수붕괴성 부직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 수붕괴성 부직포를 상면 시이트로 하고, 펄프 섬유 시이트를 흡수층으로 하는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이면 시이트로 한 흡수성 물품도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평8-19571호에는 수해성 흡수성 위생용품이 개시되어 있다. 이 흡수성 위생용품은 수분산성 부직포의 표면층, 수분산성의 흡수지로 이루어진 흡수층, 폴리비닐알콜로 이루어지는 필름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적층시킨 이면층으로 이루어진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평10-85248호에는 펄프와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형성된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는 수해성 표면 시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표면 시이트는, 다른 부분(합성 섬유로 형성된 측부)으로부터 용이하게 떼어 내서 수세 화장실에 흘려 버리는 것이 가능하다.
수해성 흡수성 물품이나 수해성 표면 시이트에서는, 수해성과 강도와의 상호 상반하는 성질이 성립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수해성의 장점과 강도 세기의 각각의 상한이 한정되어 있다. 즉, 시이트의 수해성을 높히면, 필연적으로 강도가 저하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우수한 수해성과 높은 강도를 균형있게 하기 위한 필요 조건은 어려워서, 수해성과 강도와의 균형이 뛰어난 제품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은 곤란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해성과 강도가 뛰어난 표면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흡수성 물품의 부분적 단면을 도시한 절결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에 의한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표면재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흡수성 물품
10: 표면재
11, 12, 13, 14: 수해성 시이트
15: 개공부
15d: 개공 직경
16: 섬유 교락부
17: 수용성 접착제
20: 이면 시이트
21: 흡수층
22: 박리지
상기 종래의 과제 및 목적은 수해성 이면 시이트, 수해성 흡수층, 상기 흡수층을 덮는 표면재를 갖는 수해성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표면재는 보수성을 갖는 수해성 시이트가 여러장 중첩되어 있고, 상기 수해성 시이트끼리는 액체가 가해졌을 때 해리 가능한 액체 해리성 일체화 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성 흡수성 물품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은 수해성 표면재로서 높은 수해성을 유지하면서, 사용시의 내구성을 높힌다고 하는, 서로 상반된 기능을 실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1장으로는 내구성이 부족한 수해성 시이트를 2장 이상이 일체가 되도록 적층시킴으로써 높은 수해성을 유지하면서도 높은 강도를 발현하고 있다.
상기 액체 해리성 일체화 수단으로서는, 수해성 시이트끼리가 기계적 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기계적 수단은 수해성 시이트가 적층된 상태로 관통한 개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공부의 주위에서 각 수해성 시이트를 구성하는 섬유끼리 교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기계적 수단은 수해성 시이트가 적층된 상태로 엠보스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체 해리성 일체화 수단은 수해성 시이트끼리를 접착시키는 수용성 접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체 해리성 일체화 수단은 상기 수해성 시이트끼리가 건조 상태일때 수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장 이상의 수해성 시이트가 중첩된 상기 표면재에 액체를 가한 상태에서, 인접한 2장의 수해성 시이트에 포함된 보수율(시이트의 중량에 대한 수분의 중량비)의 합계를 100으로 하였을때, 상기 인접한 2장의 수해성 시이트 각각의 보수율의 비가 40:60∼6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수해성 시이트는, 흡수성 섬유를 100∼30 중량%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수해성 시이트의 평량이 각각 10∼60 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수해성 시이트는, JIS P 4501에 준하여 측정한 수해성이 100 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수해성 시이트로 구성된 상기 표면재도, JIS P 4501에 준하여 측정한 수해성이 100 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2장 이상의 수해성 시이트가 상기 액체 해리성 일체화 수단으로 접합된 상기 표면재의 JIS P 8113에 준하여 측정한 건조시의 인장 강도가 1000 g/2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2장 이상의 수해성 시이트로 이루어지는 상기 표면재를 습윤 상태로 하였을 때, JIS P 8113에 준하여 측정한 습윤시의 인장 강도가 200 g/2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흡수성 물품의 부분적 단면을 도시한 절결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에 의한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표면재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X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폭 방향을 Y 방향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냅킨 또는 팬티 라이너이며, 본 발명의 수해성 표면재를 이용하여 구성한 본 발명의 수해성 흡수성 물품이다. 도 1의 흡수성 물품(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 쪽을 향한 수해성 표면재(10), 수해성 이면 시이트(20), 표면재(10)와 이면 시이트(20)와의 사이에 삽입된 수해성 흡수층(21)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표면재(10)와 이면 시이트(20)는 흡수층(21)의 주위에서 수용성 접착제 등에 의해 상호 접합되어 주변 접합부(1e)를 형성하고 있다.
흡수성 물품(1)의 본체 이면측에는 접착제가 마련되어 있다. 착용 시에는 흡수성 물품(1)이 속옷의 내측 가랑이부에 설치되고, 본체의 이면측에 마련된 접착제가 가랑이부의 내면에 걸린다. 또, 점착층을 사용 직전까지 보호하는 박리지(2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박리지(22)도 수해성 시이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재(10)는 2장 이상의 수해성 시이트가 중첩되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표면재(10)는 4장의 수해성 시이트(11, 12, 13, 14)가 적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해성 시이트(11, 12, 13, 14)는 수세식 변기에 흘려 버렸을때, 그 수류에 의해서, 또는 정화조 내에서 용이하게 분산되는 것이다. 예컨대, 원료로서 펄프를 이용하여 펄프 섬유끼리의 수소 결합에 의해 시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수해지, 원료로서 펄프나 레이온 등의 수분산성 섬유를 이용하여 섬유를 결합시키는 수용성 바인더를 함유시켜 시이트 형상으로 형성한 수해지, 섬유를 교락시켜 시이트형상으로 형성한 수해지, 비교적 짧은 섬유 길이의 섬유를 워터제트 처리에 의해 교락시킨 수해성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섬유는, 예컨대 목재 펄프, 마닐라삼, 린다 펄프, 대나무 펄프, 봄베이삼 등의 펄프, 레이온 등의 재생 섬유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섬유 등, 수분산성 섬유에 의해서 구성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분쇄 펄프는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경우에도 수해성이 떨어지는 것이 적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예컨대 펄프와 레이온 등 종류가 상이한 섬유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상기 수해성 시이트에 있어서 섬유를 결합시키기 위한 수용성 바인더로서는 폴리비닐알콜, 변성 폴리비닐알콜,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알킬셀룰로오스, 양이온성 알데히드 변성 폴리아크릴아미드계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콜계의 수용성 바인더나 셀룰로오스계의 수용성 바인더를 이용할 경우, 수해지의 강도를 높히기 위해 필요에 따라 전해질이나 금속염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 또한, 알킬셀룰로오스계의 수용성 바인더를 이용할 경우, 수해성 시이트의 강도를 높히기 위해 아크릴산계 수지의 공중합체나 아미노산 유도체를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 길이가 비교적 짧은 섬유를 워터제트 처리에 의해 교락시킨 수해성 부직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섬유 길이가 2∼20 ㎜, 바람직하게는 3∼10 ㎜인 레이온 섬유와 펄프를 혼합한 것이나, 이것에 피브릴화 레이온을 혼합하여 얻은 섬유 웨브에 워터제트 처리를 하여 섬유끼리를 적절히 교락시킨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각 수해성 시이트의 평량은 10∼60 g/㎡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량이 60 g/㎡를 초과할 경우, 수해성 시이트가 딱딱해져 흡수성 물품에 적용했을 때, 사용감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평량이 10 g/㎡ 이하에서는 수해성 시이트가 너무 얇아져서 가공성이 떨어지고, 취급이 다소 불편하다. 또한, 사용시의 내구성도 그다지 좋지 않다.
이상과 같은 수해성 시이트를 여러장 적층시켜 본 발명의 표면재를 형성한다. 도 4에 도시하는 여러장의 수해성 시이트(11, 12, 13, 14)는 같은 것이라도 좋고, 서로 상이한 시이트라도 좋다. 또한, 평량도 전부 동일해도 좋고, 서로 상이한 평량의 시이트를 사용해도 좋다. 다만, 각 수해성 시이트(11, 12, 13, 14)는 화장실용 휴지와 마찬가지로 수세식 변기 등에 흘려 버릴 수 있도록, JIS P 4501에서의 수해성이 100 초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한 표면재(10)는 액체 수용측에 면하는 최상위의 수해성 시이트(11)가 평량 45 g/㎡의 수해성 습식 스펀레이스 부직포이다. 나머지 3장의 수해성 시이트(12, 13, 14)는 각각 평량 14 g/㎡의 수해지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1)의 표면재(10)는 여러장의 수해성 시이트(11, 12, 13, 14)가 적층되고, 액체 해리성 일체화 수단으로 일체화되어 있다. 이 액체 해리성 일체화 수단으로 여러장의 수해성 시이트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재(10)의 시이트 강도가 높아진다. 또한, 상기 액체 해리성 일체화 수단은 물을 가하였을 때 수해성 시이트 사이를 분리시키기 때문에, 표면재(10)의 수해성을 저해하지 않는다.
상기 액체 해리성 일체화 수단은, 여러장의 수해성 시이트 사이에 니들링 처리를 실시하는 기계적 수단, 또는 여러장의 수해성 시이트를 부분적으로 가압(또는 가열 가압)하는 엠보스 가공에 의한 기계적 수단을 들 수 있다.
상기 니들링 처리로는, 여러장의 수해성 시이트를 관통하는 개공부를 형성하여 개공부의 주위에서 수해성 시이트를 구성하는 섬유끼리를 교락시킴으로써 수해성 시이트끼리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엠보스 가공으로는, 수해성 시이트끼리가 가압 부분에서 결합되는 맞물림 엠보스를 형성함으로써 수해성 시이트를 구성하는 섬유끼리를 교락시킬 수 있다. 또한 엠보스의 가압 부분에서 수해성 시이트를 형성하는 섬유를 수소 결합시켜도 좋다. 본 발명에서의 기계적 수단이란 수해성 시이트를 구성하는 섬유가 기계적으로 교락되는 모든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해리성 일체화 수단으로서, 수해성 시이트 사이를 수용성 접착제로 부분 접착시킬 수도 있다. 또는, 수해성 시이트끼리를 수소 결합에 의해 결합시켜도 좋다.
상기 액체 해리성 일체화 수단으로서의 기계적 수단, 수용성 접착제를 이용하는 수단, 수소 결합 수단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도 3 과 도 4에 도시하는 표면재(10)는 상기 니들링 처리와 수용성 접착제를 병용한 액체 해리성 일체화 수단에 의해 수해성 시이트(11, 12, 13, 14)가 결합되어 있다.
즉, 수해성 시이트(11, 12, 13, 14)가 적층된 상태로 액체 수용측으로부터 바늘이 관통하도록 하여 니들링 처리를 하여 전면에 개공부(15)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공부(15)의 위치에 존재하고 있던 수해성 시이트가 밀어 젖히고, 그 부분의 섬유를 절단하여 개공부(15)의 주위 부분에서 수해성 시이트를 구성하는 섬유가 교락되며, 표면재(10)의 이면으로 돌출된 교락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개공부(15) 부근의 섬유를 물리적(기계적)으로 교락시킬 수 있고, 표면재(10)는 여러장의 수해성 시이트(11, 12, 13, 14)가 일체형 거동을 나타내게 되어, 표면재(10)의 강도가 높아진다. 또한, 상기 개공부(15)는 흡수층(21)으로 액체를 유도하는 투액공으로서의 기능도 한다.
개공부(15)의 직경(15d)은 3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공부의 직경(15 d)이 상기 상한을 초과할 경우, 촉감의 감촉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니들링 처리에 이용되는 니들의 직경이 선단 쪽으로 감에 따라 가늘어지는 경우, 수해성 시이트(11) 부근에서의 직경보다 수해성 시이트(14) 부근에서의 직경이 작아진다. 이 경우, 상기 바람직한 직경의 값은 수해성 시이트(11) 부근에서의 직경이다.
또한, 표면재(10)를 구성하는 여러장의 수해성 시이트(11, 12, 13, 14)가 일체형 거동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니들 피치, 즉 개공부(15)의 단부로부터 인접한 개공부(15)의 단부까지의 간격은 6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니들 피치가 1 ㎜ 미만이면, 니들링 처리에 의해 표면재(10) 내의 섬유가 너무 짧게 절단되어 표면재(10)의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기 간격이 10 ㎜를 초과할 경우, 개공부(15)의 수가 감소하고, 표면재(10)가 일체형 거동을 나타내기가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다만, 개공 처리 이외의 기타 액체 해리성 일체화 수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표면재(10)의 강도를 더욱 높히기 위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재(10)를 구성하는 수해성 시이트(11, 12, 13, 14)가 수용성 접착제(17)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접착제(17)의 도포 방법이나 도포 면적은 특별히 한정되어 있지 않지만, 도포량이 많아짐에 따라, 표면재(10)가 딱딱해 진다. 부드러움 및 강도의 면에서, 수용성 접착제(17)는 불연속 점형 또는 선형으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접착제(17)는 다량의 물에 접촉되면 쉽게 용해되기 때문에, 수해성을 저하시키지 않고도, 표면재(10)의 강도를 높힐 수 있다.
또한, 모든 수해성 시이트 사이에 수용성 접착제(17)를 도포하지 않아도 되며, 예컨대 수해성 시이트(11)와 수해성 시이트(12)와는 수용성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지 않고, 수해성 시이트(12, 13, 14)는 서로 수용성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어도 좋다.
수용성 접착제(17)로서는,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수용성 고분자, 폴리비닐알콜, 알긴산나트륨, 알긴산소다, 폴리아크릴산소다,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의 부분 비누화물,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이소부틸렌과 무수 말레산과의 공중합체와 같은 수용성 고분자나 전분,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표면재(10)는 여러장의 수해성 시이트(11, 12, 13, 14)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의 사용 중에는, 표면재(10)가 일체형으로서 거동하여 강도가 높아지고, 찢어짐 저항, 비틀림 저항, 닳아 떨어짐 저항이 높아진다.
또한, 표면재(10)가 사용중에 배설액의 액체로 누설되면, 니들링 처리에 의한 기계적인 접합 및 수용성 접착제(17)에 의한 접착이 해제되거나, 또는 접합·접착력이 약해진다. 이 경우에, 각 수해성 시이트(11, 12, 13, 14)가 보수성을 지닐 경우, 각 수해성 시이트에 포함된 액체에 의해 수해성 시이트사이가 수막에 의해 밀착된다. 따라서, 기계적인 접합이나 수용성 접착제(17)에 의한 접착·접합력이 약해지더라도, 상기 수막에 의한 밀착력으로 각 수해성 시이트(11, 12, 13, 14)의 일체화를 유지할 수 있고, 표면재(10)의 강도가 대폭적으로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막에 의한 밀착을 실현하고, 표면재(10)의 습윤 강도를 높히기 위해서는 인접한 수해성 시이트의 보수율이 거의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보수율이라는 것은 섬유의 중량에 대한 수분율 측정 시험으로 측정한 보수량의 비이다. 인접한 2장의 수해성 시이트의 보수율의 합계를 100으로 하였을 때에, 인접한 한쪽 수해성 시이트의 보수율과 다른쪽 수해성 시이트의 보수율과의 비가 60:40∼40: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접한 2장의 수해성 시이트의 보수율이 상기한 바와 같이 거의 동등할 경우, 대면한 수해성 시이트의 면과 면 사이로 퍼지는 수막에 의해 수해성 시이트끼리를 밀착시켜 접착시킬 수 있다. 인접한 2장의 수해성 시이트에 차이가 있으면, 한쪽 수해성 시이트에 포함된 액체가 다른쪽 수해성 시이트에 흡수되어 수해성 시이트 사이에 수막을 형성하기가 어려워진다.
상기 수분율 측정 시험은, 중량을 측정한 100×100 ㎜의 수해성 시이트를 2장 중첩시킨다. 이 시료의 중앙 부분에 증류수를 1 cc 적하한다. 3 분간 방치한 후, 2장의 수해성 시이트를 찢어지지 않도록 박리하여 각각의 중량을 측정한다. 각각의 수해성 시이트가 포함하고 있는 수분량을 구하고, 수해성 시이트의 건조시의 중량에 대한 상기 수분율의 비를 구한 것이 상기 보수율이다.
수해성 시이트가 수막으로 밀착될 수 있는 보수 능력을 갖기 위해서는, 수해성 시이트에 친수성 섬유인 펄프가 30 중량% 이상 함유된 것이 바람직하다. 펄프의 함유율이 30%보다 작아지면, 수해성 시이트의 보수성이 저하되고, 습윤시에 표면재(10)가 일체형으로 거동하는 효과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이면 시이트(20)는 수해성 부직포나 수해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펄프와 레이온으로 구성된 평량이 45 g/㎡인 수해성 습식 스펀레이스 부직포이다. 이면 시이트(20)의 외측에는 폴리비닐알콜이나 불포화 카르본산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등의 수용성 수지를 도포하여 불투액성이 되도록 처리해도 좋다.
상기 흡수층(21)은 예컨대 수해지나 펄프나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수해지로 형성할 경우, 비교적 두께가 얇은 수해지를 여러장 겹쳐서 형성하면 수해성이 양호하고 바람직하다. 예컨대, 평량이 14 g/㎡인 수해지를 4∼8장, 바람직하게는 6장 정도 겹쳐서 흡수층(21)을 형성한다. 또한, 이면 시이트(20)가 불투액성이 되도록 처리되지 않는 경우, 최하층의 수해지에 수용성 수지 등을 도포하여 흡수층(21)을 형성하는 수해지에 불투액성 기능을 갖게 해도 좋다. 또한, 표면재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흡수층은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기 수해성 표면재(10)는 생리용 냅킨 이외에도 팬티 라이너, 일회용 기저귀, 소변 수거 패드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흡수성 물품은 사용 후에 모두 변기 등에 흘려 버릴 수 있도록, 전체가 수해성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음의 소재를 이용하여 하기 표 1 및 표 2에 기재한 수해성 표면재 또는 수해성 생리용 냅킨을 형성하였다. 표면재로서 이용한 수해성 습식 스펀레이스 부직포의 평량은 45 g/㎡이며, 수해지의 평량은 14 g/㎡이다. 또한, 흡수층으로서 평량 30 g/㎡의 수해지를 이용하였다. 또한, 이면 시이트로서 평량이 45 g/㎡인 수해성 습식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이용하였다. 또, 니들링 처리에 의해 일체화 처리를 실시한 것에 대해서는, 니들에 의한 개공의 직경이 1.5 ㎜, 개공의 간격이 1.5 ㎜이다. 또한, 니들링 처리 대신에 수분을 포함시킨 상태로 전면에 열 엠보스 처리를 하여 일체화 처리를 실시한 것, 또는 수용성 접착제를 각 층간에 도포량 5 g/㎡로 나선형(하나의 원의 직경이 약 18 ㎜)으로 도포하여 일체화 처리를 실시한 것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얻은 표면재 및 생리용 냅킨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측정을 수행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 및 표 2에 기재한다.
인장 강도
시료를 폭 25 ㎜, 길이 150 ㎜로 재단한 것을 사용하여 JIS P 8113에 준하여 텐시론 시험기에 의해 척(chuck)의 간격은 100 ㎜, 인장 속도는 100 m/min로 측정하였다. 측정시의 파단 강도(gf)를 인장 강도의 값으로 하였다(표 이하, 단위는 g/25 ㎜).
습윤 인장 강도
시료의 중량의 2.5 배의 수분으로 시료를 적셨다. 시료를 폭 25 ㎜ 길이 150 ㎜로 재단한 것을 사용하여, JIS P 8135에 준하여 텐시론 시험기로 척 간격 100 ㎜, 인장 속도는 100 m/min로 측정하였다. 측정시의 파단 강도(gf)를 인장 강도의 값으로 하였다(표 이하, 단위는 g/25 ㎜).
착용 테스트
시료를 패널 10명에게 3 시간 착용시켜 사용 후 표면재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였다.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 표면재에 변화 없음
△: 표면재가 신장됨
×: 표면재가 찢어짐.
수해성
JIS P 4501의 수해성 시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상세히 서술하면, 시료를 세로 10 ㎝ 가로 10 ㎝로 절단한 것을, 이온 교환수 300 ㎖가 든 용량 300 ㎖의 비이커에 투입하고, 회전자를 이용하여 교반을 수행하였다. 회전수는 600 rpm이다. 이때의 시료의 분산 상태를 시간이 경과에 따라 관찰하고, 분산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단위는 초).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표면재의 구성 습식 스펀레이스 1장 습식 스펀레이스 1장 없음 습식 스펀레이스 1장
수해지 3장 수해지 3장 수해지 3장 없음
일체화 처리 니들링 처리 수용성 접착제 없음 없음
인장 강도 1,500 1,550 800 1,000
습윤 인장 강도 210 200 49 175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3
표면재 구성 습식 스펀레이스 1장 없음 습식 스펀레이스 1장 습식 스펀레이스 1장 없음
수해지 3장 수해지 6장 수해지 3장 수해지 3장 수해지 6장
흡수층 구성 수해지 6장 수해지 6장 수해지 6장 수해지 6장 수해지 6장
이면 시이트구성 습식 스펀레이스 1장 습식 스펀레이스 1장 습식 스펀레이스 1장 습식 스펀레이스 1장 습식 스펀레이스 1장
일체화 처리 니들링 처리 니들링 처리 엠보스 처리 수용성 접착제 없음
착용 테스트 ×
수해성 95 40 93 90 35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해성 표면재는 수해성이 뛰어난 여러장의 수해성 시이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해성이 뛰어나고 또한 강도도 높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재는 다량의 물에 누설됨으로써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방법, 즉, 기계적으로 교락 압착 또는 수용성 접착제에 의한 접착, 또는 모두의 일체화 수단의 병용에 의해, 표면재의 사용중에는 일체형 거동을 나타낸다. 따라서, 찢어짐에 대한 저항, 비틀림에 대한 저항, 닳아 떨어짐에 대한 저항이 높다. 사용시에 표면재의 건조시킨 부분은 상기 일체화 수단에 의해 일체화 상태가 유지되고, 누설된 부분은 각각의 구성 시이트가 거의 같은 정도의 보수율을 유지함으로서, 액체의 표면 장력에 의한 접착 일체화 효과가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해성 및 강도(건조 및 습윤)가 뛰어난 표면재를 사용하여 수해성 및 강도가 우수한 수해성 흡수성 물품을 구성할 수 있다.

Claims (13)

  1. 수해성 이면 시이트, 수해성 흡수층 및 상기 흡수층을 덮는 표면재를 갖는 수해성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표면재는 보수성을 갖는 수해성 시이트가 여러장 중첩되고, 상기 수해성 시이트끼리는 액체가 가해졌을때 해리 가능하게 되는 액체 해리성 일체화 수단에 의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성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해리성 일체화 수단은 기계적 수단에 의한 수해성 시이트끼리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성 흡수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수단은 수해성 시이트가 적층된 상태로 관통된 개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공부의 주위에서 각 수해성 시이트를 구성하는 섬유끼리가 교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성 흡수성 물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수단은 수해성 시이트가 적층된 상태로 엠보스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성 흡수성 물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해리성 일체화 수단은 수해성 시이트끼리를 접착시키는 수용성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성 흡수성 물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해리성 일체화 수단은 상기 수해성 시이트끼리가 건조 상태일 때 수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성 흡수성 물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2장 이상의 수해성 시이트가 중첩된 상기 표면재에 액체를 가한 상태에서 인접한 2장의 수해성 시이트에 포함된 보수율(시이트의 중량에 대한 수분의 중량비)의 합계를 100으로 하였을때, 상기 인접한 2장의 수해성 시이트의 각각의 보수율 비가 40:60∼6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성 흡수성 물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해성 시이트가 흡수성 섬유를 100∼30 중량%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성 흡수성 물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해성 시이트의 평량이 각각 10∼6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성 흡수성 물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해성 시이트는 JIS P 4501에 준하여 측정한 수해성이 100 초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성 흡수성 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재는 JIS P 4501에 준하여 측정한 수해성이 100초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성 흡수성 물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2장 이상의 수해성 시이트가 상기 액체 해리성 일체화 수단으로 접합된 상기 표면재의, JIS P 8113에 준하여 측정한 건조시의 인장 강도가 1000 g/25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성 흡수성 물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2장 이상의 수해성 시이트로 이루어지는 상기 표면재를 습윤 상태로 했을 때의, JIS P 8113에 준하여 측정한 습윤시의 인장 강도가 200 g/25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성 흡수성 물품.
KR1020000054215A 1999-09-16 2000-09-15 수해성 흡수성 물품 KR100822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61689 1999-09-16
JP26168999A JP3748019B2 (ja) 1999-09-16 1999-09-16 水解性の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402A true KR20010030402A (ko) 2001-04-16
KR100822628B1 KR100822628B1 (ko) 2008-04-16

Family

ID=17365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215A KR100822628B1 (ko) 1999-09-16 2000-09-15 수해성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642428B1 (ko)
EP (1) EP1084689B1 (ko)
JP (1) JP3748019B2 (ko)
KR (1) KR100822628B1 (ko)
CN (1) CN1147281C (ko)
AU (1) AU5939500A (ko)
BR (1) BR0004219B1 (ko)
CA (1) CA2318014C (ko)
ID (1) ID27252A (ko)
MY (1) MY123681A (ko)
SG (1) SG92739A1 (ko)
TW (1) TW46228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420B1 (ko) * 2006-06-16 2008-02-14 이권혁 대나무 펄프를 이용한 생리대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46012A1 (en) * 2001-05-22 2002-11-28 Uni-Charm Corporation Interlabial pad
JP3792147B2 (ja) * 2001-10-15 2006-07-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水解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92146B2 (ja) * 2001-10-15 2006-07-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水解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53204B2 (ja) * 2001-12-28 2008-09-24 王子製紙株式会社 吸収体製品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内袋とその製造方法
ATE516002T1 (de) * 2002-09-17 2011-07-15 Uni Charm Corp Interlabiales produkt und in wasser zerfallende oberflächenseitenplatte für das interlabiale produkt
JP4244128B2 (ja) 2002-10-03 2009-03-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構成用の表面側シートおよび陰唇間パッド
US7303642B2 (en) * 2002-11-12 2007-12-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s of making responsive film with corrugated microlayers having improved properties
JP2004261230A (ja) 2003-02-18 2004-09-24 Uni Charm Corp 水洗可能な陰唇間パッド
JP4212953B2 (ja) * 2003-05-23 2009-01-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水解性の吸収性物品
US7179952B2 (en) 2003-08-25 2007-02-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ormed with microlayered films
CN2649053Y (zh) * 2004-01-14 2004-10-20 长沙市凯立包装材料有限公司 环保防水纸卫生垫(巾)
JP4593986B2 (ja) * 2004-06-30 2010-12-0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体
MX2007015731A (es) * 2005-06-10 2008-02-21 Glad Products Co Bolsa con caracteristicas resistentes a fugas.
US20070049888A1 (en) * 2005-08-31 2007-03-01 Soerens Dave A Absorbent core comprising a multi-microlayer film
US20070207306A1 (en) * 2006-03-03 2007-09-06 New Pig Corporation Expanding tape barrier
JP5080049B2 (ja) * 2006-09-22 2012-11-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シート部材、吸収性物品、陰唇間パッドおよびシート部材の製造方法
US8051495B2 (en) * 2007-12-03 2011-11-08 Lee Suzanne C Garment with bamboo fabric liner
AU2010282480A1 (en) * 2009-08-14 2012-03-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brous structur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MX336034B (es) * 2009-08-14 2016-01-07 Procter & Gamble Estructuras fibrosas y metodo para elborarlas.
WO2011019895A1 (en) * 2009-08-14 2011-02-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brous structur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JP5839920B2 (ja) * 2011-09-30 2016-01-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CN107072835B (zh) 2014-11-06 2021-03-02 宝洁公司 包括面向衣服的层合体的吸收制品
US10736790B2 (en) * 2016-11-22 2020-08-11 Saathi,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natural fibers
EP4335420A3 (en) 2017-02-16 2024-05-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substrates having repeating patterns of aperture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peat units
JP2019022539A (ja) * 2017-06-22 2019-02-14 株式会社▲高▼橋型精 使い捨て排泄物物処理具
JP7309434B2 (ja) * 2019-04-26 2023-07-1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23199295A1 (en) * 2022-04-13 2023-10-19 Anabio Technologies Private Limited Hydro-degradable fluid absorbent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63186A (ko) *
FR463186A (fr) 1912-09-03 1914-02-16 Gerhard Max Frenzel Perfectionnements dans les tiroirs de distribution pour moteurs à combustion interne
US3406688A (en) * 1965-05-21 1968-10-22 Colgate Palmolive Co Diaper with paper face
US3510587A (en) 1966-03-08 1970-05-05 Colgate Palmolive Co Disposable diaper
US3636952A (en) 1970-04-24 1972-01-25 Riegel Textile Corp Disposable combination flushable diaper and protective cover
US3804092A (en) * 1973-01-15 1974-04-16 Johnson & Johnson Water dispersible nonwoven fabric
US3939836A (en) * 1974-02-07 1976-02-24 Johnson & Johnson Water dispersible nonwoven fabric
JPS5913213B2 (ja) * 1979-04-28 1984-03-28 ゼンミ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4798603A (en) * 1987-10-16 1989-01-17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a hydrophobic transport layer
JPH0525764A (ja) 1991-02-04 1993-02-02 Lion Corp 水解性不織布
JP3141078B2 (ja) 1992-09-18 2001-03-05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水崩壊性不織布およびその積層物
US5384189A (en) * 1993-01-27 1995-01-24 Lion Corporation Water-decomposable non-woven fabric
CA2128483C (en) * 1993-12-16 2006-12-12 Richard Swee-Chye Yeo Flushable compositions
ID23491A (id) * 1994-01-28 1995-09-07 Procter & Gamble Kopolimer-kopolimer yang dapat dibiodegradasi dan baha-bahan plastik yang terdiri dari kopolimer-kopolimer yang dapat dibiodegradasi
JPH0838547A (ja) 1994-05-27 1996-02-13 Unitika Ltd 吸収性衛生用品
JPH0819571A (ja) 1994-07-07 1996-01-23 Unitika Ltd 吸収性衛生用品
JP3129192B2 (ja) 1995-07-26 2001-01-29 王子製紙株式会社 水崩壊性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US5722966A (en) * 1995-11-22 1998-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ter dispersible and flushable absorbent article
US5885265A (en) * 1995-11-22 1999-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ter dispersible and flushable interlabial absorbent structure
JPH1085258A (ja) 1996-09-12 1998-04-07 Oji Paper Co Ltd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6127593A (en) * 1997-11-25 2000-10-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ushable fibrous structu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420B1 (ko) * 2006-06-16 2008-02-14 이권혁 대나무 펄프를 이용한 생리대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18014A1 (en) 2001-03-16
ID27252A (id) 2001-03-22
EP1084689B1 (en) 2012-02-29
AU5939500A (en) 2001-03-22
SG92739A1 (en) 2002-11-19
JP2001079037A (ja) 2001-03-27
BR0004219A (pt) 2001-04-10
BR0004219B1 (pt) 2009-05-05
CN1147281C (zh) 2004-04-28
KR100822628B1 (ko) 2008-04-16
TW462282U (en) 2001-11-01
CA2318014C (en) 2007-05-08
EP1084689A3 (en) 2001-09-19
EP1084689A2 (en) 2001-03-21
US6642428B1 (en) 2003-11-04
CN1288716A (zh) 2001-03-28
JP3748019B2 (ja) 2006-02-22
MY123681A (en) 200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628B1 (ko) 수해성 흡수성 물품
CA2351252C (en) Absorbent article
CA2329386C (en) Water-decomposable absorbent article
CA2329583C (en) Water-decomposable absorbent article
CA2446021A1 (en) Interlabial product having form for finger securement, and individual package
US20220062065A1 (en) Water-dispersible fluid absorber
JP3833034B2 (ja) 水解性の吸収性物品
US8791317B2 (e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US20040267217A1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EP1493412A2 (e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in situ cover
KR19990013641A (ko) 1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GB2617295A (en)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