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104A -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104A
KR20010030104A KR1020000047893A KR20000047893A KR20010030104A KR 20010030104 A KR20010030104 A KR 20010030104A KR 1020000047893 A KR1020000047893 A KR 1020000047893A KR 20000047893 A KR20000047893 A KR 20000047893A KR 20010030104 A KR20010030104 A KR 20010030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stripline
layer
controlled oscillator
voltage controlled
dielectric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7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5842B1 (ko
Inventor
나카노가즈히로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20010030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8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H01P3/08Microstrips; Strip lin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1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H01P3/08Microstrips; Strip lines
    • H01P3/088Stacked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12Hollow waveguides
    • H01P3/121Hollow waveguides integrated in a substrate

Landscapes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 Waveguides (AREA)

Abstract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에서는 제 1층(41)과 제 3층 (43) 사이에 제 2 접지도체(42a)로 이루어지는 제 2층(42)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층의 발진동조용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1b)과 제 2 접지도체 사이의 길이 치수(12)가 짧기 때문에 Q 값이 작고, 발진신호의 C/N 특성이 크게 취해지지 않아 양호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전기부품(1)을 탑재한 유전체기판(2)과 이 유전체기판 내부의 상면측에 병설하여 설치된 제어전압 인가용 제 1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과, 발진동조용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과, 버퍼앰프 출력동조용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c)을 가지는 제 1층(3)과, 공진용의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a)을 가지는 제 2층(4)과, 유전체기판의 하면에 설치된 제 1 접지도체(5)를 구비하고, 적어도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사이에는 제 2 접지도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MICROSTRIP 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발명은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을 공진소자로서 사용하는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1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2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3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20)는, 도전선로로 이루어지는 각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을 동조소자와 공진소자로서 사용하고 있고, 고주파의 발진(예를 들어, 약 690 MHz의 발진)에 사용된다. 이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20)는, 예를 들어 칩형 콘덴서나 집적회로소자 등의 전기부품(30)과, 예를 들어 수지나 세라믹스 등으로 이루어지고 전기부품(30)이 탑재된 유전체기판(40)을 가지고 있다.
또 유전체기판(40)의 내부에는 유전체기판(40)의 상면측에 설치된 제 1층 (41)과, 제 1층(41)의 아래쪽에 설치된 제 2층(42)과, 유전체기판(40)의 하면측으로서 제 2층(42)의 아래쪽에 설치된 제 3층(43)과의 3개의 층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유전체기판(40)은 이른바 다층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 유전체기판(40)의 하면의 대략 전면(全面)에는 도전체로 이루어지고,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20)를 실드하기 위한 제 1 접지도체(40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층(41)은 도전선로로 이루어지고, 각각 소정의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어전압 인가용 제 1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1a)과, 발진동조용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1b)과, 버퍼앰프출력 동조용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1c)이 병설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2층(42)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제 2 접지도체(4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접지도체(42a)는 상기한 제 1층(41)을 구성하는 제 1, 제 2 및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1a, 41b, 41c)의 모두와 겹치는 위치(대향하는 위치)에 유전체기판(40)내의 대략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상태일 때,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1a, 41b, 41c)과 제 2 접지도체(42a) 사이의 길이치수(거리)는 비교적 짧은 소정의 길이치수(12)(예를 들어, 약 0.2 mm)로 설치되어 있다.
제 3층(43)은 도전선로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형상으로 설치되며 공진용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3a)은 상기한 제 1층(41)을 구성하는 제 1, 제 2 및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1a, 41b, 41c)의 모두와 일부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층(42)의 제 2 접지도체(42a)는,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1a, 41b, 41c)[제 1층(41)]과 상기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3a)[제 3층(43)] 사이의 간섭을 적게 하게 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도시 생략하였으나, 전기부품(30)과, 제 1, 제 2 및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1a, 41b, 41c)과, 제 2 접지도체(42a)와,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43a)과, 제 1 접지도체(40a)의 각각은 서로 소정의 곳에서 관통구멍(도시 생략)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 이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20)는 실드케이스(도시 생략)내에 수납되어 있고, 이 실드 케이스는 유전체기판(40)의 측면에 납땜되어 있고, 또한 제 1, 제 2 접지도체(40a, 42a)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유전체기판내에서의 Q 값은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이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에 대향하는 접지도체 사이의 길이치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에서는, 제 1층(41)과 제 3층(43) 사이의 전면에 제 2 접지도체(42a)로 이루어지는 제 2층(42)이 대향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층(41)의 제 1, 제 2 및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1a, 41b, 41c)과 제 2 접지도체(42a) 사이의 길이치수(거리)(12)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충분한 유전체층의 두께가 얻어지지 않고, 따라서 유전체손실이 증가하여 이것때문에 Q 값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마찬가지로 Q 값이 낮기 때문에 발진신호의 C/N(캐리어/노이즈)특성이 크게 취해지지 않아 양호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는,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그 목적은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Q 값을 높여 발진신호의 C/N 특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1층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3층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2층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1층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2층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1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2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3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부품 2 : 유전체기판
3 : 제 1층 3a : 제 1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3b :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3c :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4 : 제 2층 4a :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5 : 제 1 접지도체
6 :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
7 : 제 3층 7a : 제 2 접지도체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는, 발진회로를 구성하는 전기부품을 탑재한 유전체기판과 유전체기판 내부의 상면측에 병설하여 설치된 도전체로 이루어지고, 제어전압 인가용 제 1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발진 동조용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버퍼앰프출력 동조용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을 가지는 제 1층과, 유전체기판 내부의 하면측에 설치되고 도전체로 이루어지며 공진용 제 4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을 가지는 제 2층과, 유전체기판의 하면에 설치되고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제 1 접지도체와, 제 1층과 제 2층 사이에 설치된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제 2 접지도체를 구비하고,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이 제 1층의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겹치는 동안에만 제 2 접지도체가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는,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제 1층의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사이에만 제 2 접지도체가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는, 제 2층의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이 제 1층의 제 1 및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만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발명자는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구성에 대하여 각종 실험을 행하여 제 1층과 접지도체(제 2층)와의 배치의 구성의 차이에 있어서의 Q 값의 차이와 제 1층과 제 3층과의 간섭에 대한 검증을 행하여, Q 값의 차이는 주로 발진동조용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접지도체 사이의 길이치수에 의해 생기고, 또 제 1층과 제 3층의 간섭은 버퍼앰프출력 동조용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제 1층)과 공진용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제 3층)에서 간섭의 영향이 가장 큰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으로부터 종래와 비교하여 큰 Q 값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상호의 간섭을 적정하게 방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구성을 얻을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1층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3층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2층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6)는 도전선로로 이루어지는 각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을 동조소자와 공진소자로서 사용하고 있고, 고주파의 발진(예를 들어 약 690 MHz의 발진)에 사용된다. 이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6)는 예를 들어 형상이 비교적 작은 칩형 콘덴서와, 칩형 저항기와, 집적회로소자 등의 전기부품(1)과, 예를 들어 수지나 세라믹스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기부품(1)이 탑재된 유전체기판(2)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유전체기판(2)의 내부에는 유전체기판(2)의 상면측에 설치된 제 1 층(3)과, 제 1층(3)의 아래쪽에 설치된 제 3층(7)과, 유전체기판(2)의 하면측으로서 제 3층(7)의 아래쪽에 설치된 제 2층(4)의 3개의 층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유전체기판(2)은 이른바 다층구조(3층)로 형성되어 있다.
또 유전체기판(2)의 하면의 대략 전면에는 도전체로 이루어지고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6)를 실드하기 위한 제 1 접지도체(5)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층(3)은 도전선로로 이루어지고, 각각 소정의 형상으로 설치되며, 예를 들어 제어전압 인가용 제 1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3a)과, 제 1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의 이웃에 설치되고, 예를 들어 발진 동조용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과, 이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의 이웃에 설치되어, 예를 들어 버퍼앰프출력 동조용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c)이 병설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을 사이에 끼우도록 제 1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과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c)이 병설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층(7)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제 2 접지도체(7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접지도체(7a)는 상기한 제 1층(3)을 구성하는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c)b)에만 겹치는 위치로 형성되어 있다(도 5참조). 환언하면 제 2 접지도체(7a)는 제 1 및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 3b)과는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층(4)은 도전선로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형상으로 설치되며, 예를 들어 공진용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a)은 상기한 제 1층(3)을 구성하는 제 1, 제 2 및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 3b, 3c)의 모두와 일부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도 5참조).
이 상태일 때, 상기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과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에 대향하는 상기 제 1 접지도체(5) 사이의 길이치수(거리)는 제 1 접지도체(5)가 유전체기판(2)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긴 소정의 길이치수 (ℓ1)(예를 들어, 약 0.4 mm : ℓ1 〉 ℓ2)가 된다. 이 때문에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과 제 1 접지도체(5) 사이에서는 충분한 유전체층의 두께가 얻어지고, 따라서 유전체 손실은 종래와 비교하여 감소한다. 이 때문에 Q 값이 상승하고, 따라서 발진신호의 C/N(캐리어/노이즈)특성이 크게(예를 들어, 약 2 dB 상향)취해진다.
또 제 1층(3)과 제 2층(4)의 간섭은 제 1 및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 3b)과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a) 사이에서는 그 사이에 접지도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종래와의 비교에서 대략 동일한 레벨로 유지되고, 그리고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c)과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a) 사이의 간섭은,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c)과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a) 사이에만 제 2 접지도체(7a)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간섭이 적은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시 생략하였으나 전기부품(1)과, 제 1, 제 2 및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 3b, 3c)과,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a)과, 제 1 접지도체(5)와, 제 2 접지도체(7a)의 각각은 서로 소정의 곳에서 관통구멍(도시 생략)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 이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6)는 실드 케이스(도시 생략)내에 수납되어 있고, 이 실드 케이스는 유전체기판(2)의 측면에 납땜되어 있으며, 또 제 1 접지도체(5)와 제 2 접지도체(7a)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1층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2층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와 동일구성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10)의 구성은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서, 이하에 그 차이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유전체기판(2)의 내부에는 유전체기판(2)의 상면측에 설치된 제 1층(3)과 유전체기판(2)의 하면측으로서 제 1층(3)의 아래쪽에 설치된 제 2층(4)과의 2개의 층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유전체기판(2)은 이른바 2층으로 되어 있다.
또 유전체기판(2)의 하면의 대략 전면에는 도전체로 이루어지고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6)를 실드하기 위한 제 1 접지도체(5)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층(3)은 도전선로로 이루어지고, 각각 소정의 형상으로 설치되며 예를 들어 제어전압 인가용 제 1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과, 제 1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의 이웃에 설치되고 예를 들어 발진 동조용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과 이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의 이웃에 설치되고 예를 들어 버퍼앰프출력 동조용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c)b)이 병설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을 사이에 끼우도록 제 1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과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c)b)이 병설되어 제 1층(3)의 대략 전면에 각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층(4)은 도전선로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형상으로 설치되고 예를 들어 공진용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b)은 상기한 제 1층(3)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 3b)과만 일부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도 9참조). 즉, 공진용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b)은 제 1층(3)을 구성하는 버퍼앰프출력 동조용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c)과는 겹치는 일 없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c)과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b) 사이의 간섭은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c)과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b) 사이에 접지도체가 배치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적은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층(3)과 제 2층(4)의 간섭은 제 1 및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 3b)[제 1층(3)]과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b)[제 2층(4)] 사이에서는 그 사이에 접지도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종래와의 비교에서 대략 동일한 레벨로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일 때, 상기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과 상기 제 1 접지도체(5) 사이의 길이치수(거리)는 그 사이에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b)이 배치되고, 또한 제 1 접지도체(5)가 유전체기판(2)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긴 소정의 길이치수(ℓ1)(예를 들어 약 0.4 mm : ℓ1 〉 ℓ2)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의 유전체 손실은 종래와 비교하여 감소하고, 따라서 Q 값이 올라간다.
또 도시 생략하였으나, 전기부품(1)과 제 1, 제 2 및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 3b, 3c)과,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a)과, 제 1 접지도체(5)의 각각은 서로 소정의 곳에서 관통구멍(도시 생략)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 이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10)는 실드 케이스(도시 생략)내에 수납되어 있고, 이 실드 케이스는 유전체기판(2)의 측면에 납땜되어 있으며 또한 제 1 접지도체(5)와 접속되어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의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b)은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a)과 비교하여 그 면적이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제 1 실시형태의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a)과의 비교에 의해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b)의 형상을 바꾸거나, 형상치수의 정밀도를 유지하는 것 등으로 제 1 실시형태의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a)과 동등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1, 제 2 및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 3b, 3c)은 병설 접속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 3b, 3c)이 동일평면형상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고, 그 위치에 대응하여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a)이 배치되어 있으면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는, 유전체기판의 하면에 설치되고,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제 1 접지도체를 구비하며 적어도 발진 동조용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공진용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사이에는 제 2 접지도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의 아래쪽에 근접하여 접지도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의 유전체손실이 감소하고, 이 때문에 Q 값이 향상하고, 따라서 발진신호의 출력레벨이 상승되고 더욱 발진주파수의 부하안정도가 향상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는, 공진용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제 1층의 버퍼앰프출력 동조용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사이에만 제 2 접지도체가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사이만이 제 2 접지도체에 의해 실드되기 때문에 이 사이의 간섭이 감소되고, 또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의 아래쪽에 근접하여 접지도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의 유전체 손실이 감소되고, 이 때문에 Q 값이 향상되며 따라서 발진신호의 출력레벨이 상승되고 더욱 발진주파수의 부하안정도가 향상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는, 공진용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이 제어전압 인가용 제 1 및 발진 동조용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에만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의 간섭은 적고, 또한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의 아래쪽에 근접하여 접지도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의 유전체 손실이 감소되고, 이 때문에 Q 값이 향상되고 따라서 발진신호의 출력레벨이 상승된다.
또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는,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유전체기판의 하면의 접지도체 사이의 길이치수(거리)(ℓ1)(ℓ1 〉 ℓ2)가 종래와 비교하여 길기 때문에 발진신호의 C/N (캐리어/노이즈)특성이 크게(예를 들어, 약 2 dB 상향)취해져 C/N 비율이 양호한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는, 종래의 전압제어발진기에 형성되어 있는 제 2층(42)[제 2 접지도체(42a)]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층구조의 층수가 적어도 되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따라서 저렴한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발진회로를 구성하는 전기부품을 탑재한 유전체기판과,
    상기 유전체기판 내부의 상면측에 병설하여 설치된 도전체로 이루어지며 제어전압 인가용 제 1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발진 동조용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버퍼앰프출력 동조용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을 구비하는 제 1층과,
    상기 유전체기판 내부의 하면측에 설치되고 도전체로 이루어지며 공진용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을 구비하는 제 2층과,
    상기 유전체기판의 하면에 설치되고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제 1 접지도체를 구비하며, 적어도 상기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상기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사이에는 제 2 접지도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상기 제 1층의 상기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사이에만 상기 제 2 접지도체가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층의 상기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이 상기 제 1층의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만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
KR1020000047893A 1999-08-19 2000-08-18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 KR100345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32596 1999-08-19
JP11232596A JP2001060827A (ja) 1999-08-19 1999-08-19 マイクロストリップライン型電圧制御発振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104A true KR20010030104A (ko) 2001-04-16
KR100345842B1 KR100345842B1 (ko) 2002-07-27

Family

ID=16941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893A KR100345842B1 (ko) 1999-08-19 2000-08-18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1060827A (ko)
KR (1) KR100345842B1 (ko)
CN (1) CN13482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1119B2 (ja) 2003-11-26 2010-04-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圧制御発振器
JP4399321B2 (ja) * 2004-06-25 2010-01-13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分布型増幅器
CN106841940A (zh) * 2017-01-13 2017-06-13 国家电网公司 一种基于智能传感器技术的新型绝缘带电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48232A (zh) 2002-05-08
JP2001060827A (ja) 2001-03-06
KR100345842B1 (ko) 200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6376B1 (ko)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통신기기
KR100322658B1 (ko) 유전체 공진기 장치
US6359536B1 (en) High frequency multi-layer module with electronic component receiving aperture and conductive via
US7541883B2 (en) Coaxial resonator base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phased locked loop synthesizer module
KR100345842B1 (ko)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
JP3684524B2 (ja) 高周波集積回路装置
KR100322458B1 (ko) 고주파 모듈
US6727766B2 (en) Oscillator with dielectric resonator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JPH04294616A (ja) 電圧制御発振器
JPH1056245A (ja) プリント配線板
JPH07263901A (ja) 高周波部品
JP3473319B2 (ja) 多層回路基板
KR100317364B1 (ko) 기가헤르츠주파수범위에서동작가능한발진기와동작방법
US6114918A (en) Low phase-noise device comprising a microstrip-mounted coaxial dielectric resonator and method of reducing the phase noise in such a device, in particular in a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JP4678127B2 (ja) 高周波発振器
US4758804A (en) Frequency stabilized high frequency oscillator
US4625183A (en) Low-cost VCO using lumped elements in microwave band
EP1211799B1 (en) Lc oscillator
JPH06216614A (ja) ストリップ線路の共振周波数調整方法
JP2000151306A (ja) 半導体装置
JPS6261161B2 (ko)
JPH03261202A (ja) マイクロ波半導体装置
JP2003110317A (ja) 空胴共振器を有する平面回路
JPS5927122B2 (ja) マイクロ波集積回路装置
JP2587140Y2 (ja) 誘電体発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