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076A - 편향 요크 장치 - Google Patents
편향 요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30076A KR20010030076A KR1020000046283A KR20000046283A KR20010030076A KR 20010030076 A KR20010030076 A KR 20010030076A KR 1020000046283 A KR1020000046283 A KR 1020000046283A KR 20000046283 A KR20000046283 A KR 20000046283A KR 20010030076 A KR20010030076 A KR 200100300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
- magnetic field
- deflection yoke
- tongue piece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82—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 H01J29/823—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around the neck of the tube
- H01J29/826—Deflection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3—Static convergence syste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01J2229/5682—Permanently magnetised materials, e.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외형 치수가 불균일하여도,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을 거의 일정한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고,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위치가 부주의하게 어긋나 버리지 않는 편향 요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수납부(18)는 마그네트(19)의 표면이 접촉하는 제 1 접촉부(18e1)와, 삽입 방향의 선단부가 접촉하는 제 2 접촉부(18d1)와, 마그네트(19)의 후단부와 이면과의 각부에서 접촉하고 마그네트(19)를 접촉부(18d1, 18e1)의 쌍방으로 가압하는 가요성을 갖는 설편(18c)을 구비한다. 설편(18c)의 선단에 설치된 돌기(18f)가 마그네트(19)에 설치된 오목부(19a)에 결합하므로, 폭방향으로도 위치 결정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미스컨버전스의 보정등, 자계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일예로서, 마그네트)을 수납하는 수납부의 구조를 개량한 편향 요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종래의 편향 요크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에 있어서, 이 편향 요크 장치는 예를 들면 한 쌍의 반환형상인 것을 조합한 세퍼레이터(1)에 의해 한쪽(도면중의 하측)이 대경부로 되고, 다른쪽(도면중 상측)이 소경부로 된 깔때기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경부는 음극선관의 화면(페이스)측이고, 소경부는 네크측이다.
이 세퍼레이터(1)의 내면에는 새들형의 수평 편향 코일(도시 생략)이 장착되고, 외면에는 새들형의 수직 편향 코일(3)이 장착되며, 세퍼레이터(1)는 평 편향 코일과 수직 편향 코일(3)을 전기적으로 절연하여 유지한다. 수직 편향 코일(3)의 외면에는 페라이트등으로 이루어진 코어(4)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편향 요크 장치에서는 통상 편향 특성을 보정하는 회로가 필요하고, 이와 같은 회로 등을 탑재한 기판(5)이 세퍼레이터(1)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세퍼레이터(1)의 네크측에는 복수개의 플랜지(이하, 네크측 플랜지라 함)(1a)가 설치되어 있고, 페이스측에는 플랜지(이하, 페이스측 플랜지라 함)(1b)가 설치되어 있다. 네크측 플랜지(1a)상에는 한 쌍의 4P 코일이라 불리는 4극의 보정 코일(7)이 감겨져 있다.
더욱이, 페이스측 플랜지(1b)의 외주부에는 자계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일예로서 마그네트)을 수납하는 포켓형의 수납부(8)가 도면중 바로 앞측에 2개소, 도면중 안쪽에 2개소의 합계 4개소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부(8)에는 예를 들면 판 형상의 마그네트(9)(여기서는 도시 생략, 도 10 및 도 11에 도시)가 수납되어 있다. 이 4개소의 수납부(8)(마그네트(9))는 통상 화면의 수평축 및 수직축에 대해서 선대칭으로 되도록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부(8)에 수납된 마그네트(9)는 페이스측 플랜지(1b)의 외주부의 접선 근방에 위치하고, 수평 편향 코일, 수직 편향 코일(3)에 의해 발생하는 편향 자계 분포를 국부적으로 캔슬 또는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화면의 4개의 각부에서 발생하는 수평 방향의 크로스 미스컨버전스나 수직 방향의 크로스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한다. 또한, 마그네트(9)는 통상 페라이트 소결재 또는 페라이트 분말을 분산 배합시킨 고무형 수지재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수납부(8)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a 및 도 10b에 있어서, 도 10a는 마그네트(9)를 장착하고 있지 않는 상태의 수납부(8)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0b는 마그네트(9)를 장착한 상태의 수납부(8)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수납부(8)에 마그네트(9)를 장착한 때의 상태 변화를 도시한 도 10a의 a-a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a 및 도 10b에 있어서는 우측방향이 도 9의 상측(네크측)이고, 좌측방향이 도 9의 하측(페이스측)이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는 우측방향이 세퍼레이터(1)의 내측이고, 좌측방향이 세퍼레이터(1)의 외측이다. 도 11중의 H는 편향 요크 장치(화면)의 수평축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이스측 플랜지(1b)의 외주부에는 거의 직사각형상의 제 1 개구부(8a)와, 이 제 1 개구부(8a)보다 가늘고 길며 제 1 개구부(8a)에 연결한 제 2 개구부(8b)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이스측 플랜지(1b)의 외주부에는 제 1 개구부(8a)의 제 2 개구부(8b)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접속하고, 세퍼레이터(1)의 내측으로 들어간 설편(8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설편(8c)은 가소성을 갖고, 도 11a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페이스측 플랜지(1b)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제 2 개구부(8b)의 제 1 개구부(8a)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세퍼레이터(1)의 내측으로 들어간 단면 대략 L자형상의 접촉부(8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페이스측 플랜지(1b)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제 2 개구부(8b)의 관 축방향의 양 단면에는 세퍼레이터(1)의 내측으로 돌출한 갈고리(8e)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개구부(8a), 제 2 개구부(8b), 설편(8c), 접촉부(8d), 갈고리(8e)가 포켓형상의 수납부(8)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수납부(8)에 판 형상의 마그네트(9)를 장착할 때에는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9)를 제 1 개구부(8a)에서 수납부(8)에 삽입한다. 그리고, 그대로 마그네트(9)를 설편(8c)에 가압하면,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편(8c)이 내측으로 휘어진다. 마그네트(9)를 접촉부(8d)까지 가압하면,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9)의 안쪽 단면이 접촉부(8d)에 거의 접촉함과 함께 마그네트(9)의 바로 앞측의 단면이 갈고리(8e)의 단면에 거의 접촉한다. 이와 같이하여, 마그네트(9)는 수납부(8)내의 접촉부(8d)와 갈고리(8e)와의 사이에 유지되는 것으로 된다.
그런데, 마그네트(9)는 페라이트 소결재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그 소결 공정에 있어서 현저히 수축하는 것으로 소결후의 외형 치수가 크게 불균일하게 된다. 또한, 페라이트 분말을 분산 배합한 고무형 수지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압출 공정과 절단 공정에 기인하여 외형 치수가 크게 불균일하게 된다. 그러므로, 마그네트(9)는 통상 10mm의 기본 길이에 대해서 ±0.2mm(±2%) 정도의 오차(크기가 불균일)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부(8)에 마그네트(9)를 수납하도록 한 편향 요크 장치에 있어서는 마그네트(9)의 기준으로 되는 외형 치수(폭, 길이, 두께)에 대하여 그 외형 치수의 불균일을 고려하여 수납부(8)의 치수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마그네트(9)의 기준 길이가 10mm의 경우, 수납부(8)의 길이는 10.2mm 이상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 수납부(8)에 가장 작게 형성된 마그네트(9)를 수납하면, 0.4mm의 간극(떨거덕 거림)이 발생하는 것으로 된다.
그 때문에, 마그네트(9)의 외형 치수의 불균일에 의해서 수납후의 마그네트(9)의 위치가 각각 다르고, 컨버전스 특성의 불균일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그네트(9)를 수납후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서 마그네트(9)가 어긋나 버리고, 초기 컨버전스 특성이 어긋나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그네트(9)의 수납후에 마그네트(9)를 접촉제로 고정하는 것도 있지만, 접착제에 의한 비용 상승이나 도포 작업의 공정수 증가라고 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구비한 편향 요크 장치에 있어서,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외형 치수가 불균일 하여도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을 거의 일정한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고,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위치가 부주의하게 어긋나지 않는 편향 요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일 구성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9는 종래 예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종래 예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종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퍼레이터 1a : 네크측 플랜지
1b : 페이스측 플랜지 18 : 수납부
18a, 19b, 18m : 개구부 18c, 18d : 설편
18c1 : 선단면 18d1, 18e1 : 접촉부
18e : 갈고리 18f, 18d2 : 돌기
19 : 마그네트(자계특성 보정용 부품) 19a : 오목부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19)을 수납하는 수납부(18)를 구비한 편향 요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표면이 접촉하는 제 1 접촉부(18e1)와, 상기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상기 수납부에 대한 삽입 방향의 선단부가 접촉하는 제 2 접촉부(18d1)와, 상기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상기 수납부에 대한 삽입 방향의 후단부와 상기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이면과의 각부에서 접촉하고, 상기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을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부 쌍방으로 가압하는 가요성을 갖는 설편(18c)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편향 요크 장치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 장치의 전체 구성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편향 요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 장치에 사용하는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일 구성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편향 요크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8에 있어서, 도 9 내지 도 1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이 편향 요크 장치는 예를 들면 한 쌍의 반환형상인 것을 조합한 세퍼레이터(1)에 의해 한쪽(도면의 하측)이 대경부로 되고, 다른쪽(도면의 상측)이 소경부로 된 깔때기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경부는 음극선관의 화면(페이스)측이고, 소경부는 네크측이다. 세퍼레이터(1)는 플라스틱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수지부이다.
이 세퍼레이터(1)의 내면에는 새들형의 수평 편향 코일(도시 생략)이 장착되고, 외면에는 새들형의 수직 편향 코일(3)이 장착되며, 세퍼레이터(1)는 수평 편향 코일과 수직 편향 코일(3)을 전기적으로 절연하여 유지한다. 수직 편향 코일(3)의 외면에는 페라이트등으로 이루어진 코어(4)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편향 요크 장치에는 통상 편향 특성을 보정하는 회로가 필요하고, 이와 같은 회로 등을 탑재한 기판(5)이 세퍼레이터(1)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세퍼레이터(1)의 네크측에는 복수매의 플랜지(이하, 네크측 플랜지라 함 ; 1a)가 설치되어 있고, 페이스측에는 플랜지(이하, 페이스측 플랜지라 함 ; 1b)가 설치되어 있다. 네크측 플랜지(1a)상에는 한 쌍의 4P 코일이라 불리는 4극 보정 코일(7)이 감겨져 있다.
더욱이, 페이스측 플랜지(1b)의 외주부에는 자계특성을 저장하기 위한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일 예로서, 마그네트)을 수납하는 포켓형 수납부(18)가 도면중 앞쪽에 2개소, 도면중 안쪽에 2개소의 합계 4개소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부(18)에는 예를 들면 판 형상의 마그네트(19)가 수납되어 있다. 이 4개소의 수납부(18)(마그네트(19))는 통상 화면의 수평축 및 수직축에 대해서 선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부(18)에 수납된 마그네트(19)는 페이스측 플랜지(1b)의 외주부의 접선 근방에 위치하고, 수평 편향 코일, 수직 편향 코일(3)에 의해 발생하는 편향 자계 분포를 국부적으로 캔슬(취소) 또는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화면의 4개의 각부에서 발생하는 수평 방향의 크로스 미스컨버전스나 수직 방향의 크로스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한다.
여기서, 수납부(18) 및 마그네트(19)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수납부(18)에 마그네트(19)를 장착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마그네트(19)의 외형 사시도이다. 도 4는 수납부(18)에 마그네트(19)를 삽입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2의 a-a 단면도이며, 도 5는 수납부(18)에 마그네트(19)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우측방향이 도 1의 상측(네크측)이고, 좌측방향이 도 1의 하측(페이스측)이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있어서는 우측방향이 세퍼레이터(1)의 내측이고, 좌측방향이 세퍼레이터(1)의 외측이다. 도 4중의 H는 편향 요크 장치의 수평축이고, V는 수직축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이스측 플랜지(1b)의 외주부에는 거의 직사각형상의 제 1 개구부(18a)와, 이 제 1 개구부(18a) 보다 가늘고 길며 제 1 개구부(18a)에 연결된 제 2 개구부(18b)와, 또한 제 1 개구부(18a)와 거의 동일한 폭의 제 2 개구부(18b)에 연결된 제 3 개구부(18m)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개구부(18a)와 제 3 개구부(18m)의 폭(도면중 좌우 방향의 간극 ; D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마그네트(19)의 폭(D)의 편차 최대치 이상의 폭으로 되고, 제 2 개구부(18b)의 폭은 마그네트(19)의 폭(D)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도 4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측 플랜지(1b)의 외주부에는 제 1 개구부(18a)의 제 2 개구부(18b)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접속하고, 세퍼레이터(1)의 내측으로 들어간 설편(18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설편(18c)은 가요성을 갖고,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의 내측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되어 있다. 페이스측 플랜지(1b)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제 3 개구부(18m)의 제 1 개구부(18a)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세퍼레이터(1)의 내측으로 들어간 단면 대략 L자 형상의 설편(18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설편(18d)도 가요성을 갖고,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은 세퍼레이터(1)의 내측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되어 있다. 설편(18d)의 안쪽 단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그네트(19)의 선단부가 접촉하는 접촉부(18d1)로 된다.
또한, 페이스측 플랜지(1b)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제 2 개구부(18b)의 관 축방향의 양 단면에는 세퍼레이터(1)의 내측으로 돌출한 갈고리(18e)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개구부(18b)의 관 축방향의 양 단부에 있는 세퍼레이터(1)의 내면은 후술하는 마그네트(19)의 표면에 접촉하는 접촉부(18e1)로 된다. 더욱이, 설편(18c)의 선단부는 도 4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의 외측 방향으로 약간 굴곡되어 있고, 그 선단에는 갈고리(18e)와 거의 대향하는 위치에 돌기(18f)가 형성되어 있다. 갈고리(18e)와 접촉부(18d1)와의 간극(L1)은 도 3에 도시한 마그네트(19)의 길이(L)의 편차 최대값 이상의 길이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개구부(18a), 제 2 개구부(18b), 제 3 개구부(18m), 설편(18c), 설편(18d)(접촉부(18d1)), 갈고리(18e), 접촉부(18e1), 돌기(18f)가 포켓형 수납부(18)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마그네트(19)는 예를 들면, 페라이트 소결재로 형성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형상의 직방체로 되어 있다. 이 마그네트(19)의 수납부(18)에 대한 삽입 방향의 양 단부에는 대략 삼각 기둥 형상의 오목부(19a)가 표면으로부터 이면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19a)는 폭(D)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중앙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마그네트(19)의 양 단부에 오목부(19a)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한쪽의 오목부(19a)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이와 같이 형성된 수납부(18)에 판 형상의 마그네트(19)를 장착할 때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19)를 제 1 개구부(18a)에서 수납부(18)에 삽입한다. 그리고, 그대로 마그네트(19)를 설편(18c)으로 가압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편(18c)이 내측으로 휘어진다. 마그네트(19)를 설편(18d)까지 가압하면 설편(18d)도 내측으로 휘어지고, 그 반발에 의해 마그네트(19)의 표면은 접촉부(18e1)에 가압 부착된다. 그리고, 마그네트(19)의 안쪽 표면(선단부)이 접촉부(18d1)에 접촉하기 직전에 마그네트(19)의 앞쪽 단면(후단부)이 갈고리(18e)를 타고 넘어간다.
이 상태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편(18c) 선단의 돌기(18f)가 마그네트(19)의 오목부(19a)와 결합한다. 도 5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설편(18c)의 선단은 전체로서 마그네트(19)의 단면에 대해서 경사지고, 돌기(18f)도 또한 마그네트(19)의 단면에 대해서 경사지고 있다. 따라서, 설편(18c)(돌기(18f))은 마그네트(19)의 각부(에지)에 접촉하고, 마그네트(19)에 가압력을 부여하게 된다. 그 선단부가 접촉부(18d1)에 가압됨과 함께, 그 표면이 접촉부(18e1)에 가압된다. 또한, 갈고리(18e)는 어떤 이유에 의해 설편(18c)에 의한 가압력이 약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 마그네트(19)가 제 1 개구부(18a) 방향으로 이동하여 수납부(18)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이것에 의해, 마그네트(19)는 삽입 방향의 양 단부와 표리면의 4 방향으로 위치가 규제되게 된다. 따라서, 마그네트(19)는 그 치수가 틀려도 거의 간극(떨거덕 거림) 없이 수납부(18)에 수납 유지되게 된다. 또한, 돌기(18f)가 마그네트(19)의 오목부(19a)와 결합하므로, 마그네트(19)의 폭 방향의 위치도 규제된다. 마그네트(19)의 위치도 거의 일정하게 되고, 컨버전스 특성의 불균일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마그네트(19)가 부주의하게 어긋나는 경우가 없으므로, 접착제에 고정할 필요도 없다.
도 6은 마그네트(19)를 수납부(18)에 수납한 상태를 세퍼레이터(1)의 외측(마그네트(19)의 표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설편(18c)의 선단에 설치된 돌기(18f)와 마그네트(19)의 오목부(19a)와의 형상이나 크기의 관계에 따라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18f) 만이 마그네트(19)에 접촉하고, 돌기(18f)를 제외한 설편(18c)의 선단면(18c1)은 마그네트(19)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돌기(18f)가 마그네트(19)의 폭방향에 대한 위치 규제와 마그네트(19)에 대한 가압력의 부여의 쌍방의 작용을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설편(18c)의 선단에 설치된 돌기(18f)와 마그네트(19)의 오목부(19a)와의 형상이나 크기의 관계에 의해, 돌기(18f)가 오목부(19a)내에 완전히 수납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18f)를 제외한 설편(18c)의 선단면(18c1)도 마그네트(19)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돌기(18f)가 마그네트(19)의 폭방향에 대한 위치규제를 하고, 주로 돌기(18f)를 제외한 설편(18c)의 선단면(18c1)이 마그네트(19)에 대해서 가압력을 부여한다.
이와 같이, 마그네트(19)의 각부에 접촉하여 마그네트(19)를 접촉부(18d1) 방향 및 접촉부(18e1) 방향으로 가압하는 부분은 돌기(18f)여도 좋고, 돌기(18f)를 제외한 설편(18c)의 선단부(선단면(18c1))여도 좋다. 환언하면, 돌기(18f)는 적어도 수납부(18)내에 있어서의 마그네트(19)의 위치를 마그네트(19)의 폭방향에 대한 위치규제 수단으로서 작용하면 좋다.
그런데, 돌기(18f)의 형상은 임의로 하여도 좋다. 반원기둥형상, 사각기둥형상, 삼각기둥형상 등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한, 그 길이도 임의여도 좋다. 마그네트(19)에 설치하는 오목부(19a)의 형상도 삼각기둥형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반원기둥형상, 사각기둥형상 등 임의로 하여도 좋다. 더욱이, 특별히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마그네트(19)에 돌기를 형성하고, 설편(18c)의 선단부에 오목부를 형성하며, 이 돌기와 오목부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설편(18c)의 돌기(18f)(또는 오목부)와 마그네트(19)의 오목부(19a)(또는 돌기)의 수는 1개씩이 아니라 복수개씩 설치하여도 좋다.
더욱이,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편(18d)에도 돌기(18d2)를 설치하고, 마그네트(19)의 선단측의 오목부(19a)에 돌기(18d2)를 결합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마그네트(19)의 수납부(18)에 대한 삽입 방향의 양 단부에 오목부(19a)를 형성하는 것은 마그네트(19)를 어느 방향에서도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설편(18d)에 돌기(18d2)를 설치하지 않는 상기 실시예에서는 마그네트(19)의 선단측의 오목부(19a)는 특별히 위치규제 수단으로서 작용하고 있지 않다. 도 8에 도시한 실시예는 설편(18d)에 돌기(18d2)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마그네트(19)의 선단측 오목부(19a)도 위치규제 수단으로서 작용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18d2)는 마그네트(19)의 선단 이면측의 각부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설편(18d)은 마그네트(19)의 바로 앞측 단부를 설편(18c)측으로 가압하고, 마그네트(19)의 표면을 접촉부(18e1)로 가압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마그네트(19)의 양 단부에서 위치규제 수단 및 가압력을 부가하는 구성은 마그네트(19)가 비교적 큰 경우에 효과적이다.
이 경우에도, 마그네트(19)의 선단부에 돌기를 형성하고, 설편(18d)에 돌기(18d2) 대신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돌기와 오목부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마그네트(19)의 양 단부의 한쪽에 오목부, 다른쪽에 볼록부를 설치하고, 설편(18c)이나 설편(18d)에 이들을 결합하는 볼록부나 오목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포켓형 수납부(18)에 마그네트(19)를 수납하는 편향 요크 장치에 대해서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수납부(18)의 구조는 마그네트(19) 뿐만 아니라, 자성편등의 다른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을 수납하는 구조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19)(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형상 등도 본 실시예에 한정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그네트(19)가 판 형상이므로, 설편(18c)(돌기(18f)) 또는 돌기(18d2)가 접촉해서 마그네트(19)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부분을 각부라 부른다. 이 각부로는 예를 들면 직각형상의 에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르(모떼기)를 부여한 곡면이여도 좋다. 마그네트(19)의 선단면 및 후단면과 이면의 경계부분에 있고, 가압력을 부여한 경우에 마그네트(19)의 삽입 방향(또는 그 역방향)과 마그네트(19)의 표면 방향과의 2방향으로 마그네트(19)를 가압하는 부분은 모두 각부의 범주이다.
더욱이, 수납부(18)나 이들에 수납하는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위치는 페이스측 플랜지(1b)의 외주부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고, 세퍼레이터(1) 이외의 수지부에 수납부(18)에 상당하는 구성을 구비한 편향 요크 장치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소위 새들·새들형의 편향 요크 장치에 대해서 도시했지만 새들·토로이달형의 편향 요크 장치이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향 요크 장치는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수납부를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표면이 접촉하는 제 1 접촉부와,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수납부에 대한 삽입방향의 선단부가 접촉하는 제 2 접촉부와,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수납부에 대한 삽입 방향의 후단부와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이면과의 각부에서 접촉하고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제 1 및 제 2 접촉부 쌍방으로 가압하는 가요성을 갖는 설편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으로,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외형 치수가 불균일 하여도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을 거의 일정한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고,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위치가 부주의하게 어긋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자계특성이 불균일하거나 변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폭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규제 수단을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에 의해 폭방향의 위치 결정도 이루어지고, 자계특성의 불균일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Claims (3)
-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구비한 편향 요크 장치에 있어서,상기 수납부는 상기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표면이 접촉하는 제 1 접촉부와,상기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상기 수납부에 대한 삽입 방향의 선단부가 접촉하는 제 2 접촉부와,상기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상기 수납부에 대한 삽입 방향의 후단부와 상기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이면과의 각부에서 접촉하고, 상기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을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부 쌍방으로 가압하는 가요성을 갖는 설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편에 상기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의 폭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규제 수단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규제 수단은 상기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에 설치된 오목부와, 이 오목부에 결합하는 상기 설편에 설치된 돌기 또는 상기 자계특성 보정용 부품에 설치된 돌기와, 이 돌기에 결합하는 상기 설편에 설치된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6828099A JP3491823B2 (ja) | 1999-09-22 | 1999-09-22 | 偏向ヨーク装置 |
JP99-268280 | 1999-09-2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30076A true KR20010030076A (ko) | 2001-04-16 |
KR100374917B1 KR100374917B1 (ko) | 2003-03-06 |
Family
ID=17456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46283A KR100374917B1 (ko) | 1999-09-22 | 2000-08-10 | 편향 요크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6373359B1 (ko) |
JP (1) | JP3491823B2 (ko) |
KR (1) | KR100374917B1 (ko) |
TW (1) | TW538420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9998A (ko) * | 2001-07-25 | 2003-02-05 | 삼성전기주식회사 | 편향요크 |
KR100431265B1 (ko) * | 2001-12-14 | 2004-05-12 | 삼성전기주식회사 | 편향요크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76258U (ko) * | 1987-05-06 | 1988-11-15 | ||
KR920007018Y1 (ko) * | 1988-10-31 | 1992-09-2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종속제품의 전원자동 온/오프 장치 |
JPH04121923A (ja) * | 1990-09-12 | 1992-04-22 | Sony Corp | 電子機器のスイッチ構造 |
KR920006867Y1 (ko) * | 1990-11-22 | 1992-09-28 | 삼성전관 주식회사 | 편향 요크의 자성편의 취부구조 |
KR920007013Y1 (en) * | 1990-12-31 | 1992-09-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oo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
JP3552418B2 (ja) * | 1996-09-20 | 2004-08-11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偏向ヨーク |
KR19980030186U (ko) * | 1996-11-29 | 1998-08-17 | 이형도 |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고정장치 |
JPH11162378A (ja) * | 1997-12-01 | 1999-06-18 | Sony Corp | 陰極線管の偏向装置 |
KR19990025421U (ko) * | 1997-12-17 | 1999-07-05 | 이형도 | 편향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 |
JP3506313B2 (ja) | 1998-05-22 | 2004-03-15 |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 偏向ヨーク装置 |
-
1999
- 1999-09-22 JP JP26828099A patent/JP349182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
- 2000-07-29 TW TW089115258A patent/TW538420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08-10 KR KR10-2000-0046283A patent/KR10037491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09-21 US US09/666,214 patent/US6373359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6373359B1 (en) | 2002-04-16 |
TW538420B (en) | 2003-06-21 |
KR100374917B1 (ko) | 2003-03-06 |
JP3491823B2 (ja) | 2004-01-26 |
JP2001093441A (ja) | 2001-04-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971479B1 (en) | Line filter | |
KR920005872Y1 (ko) |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 | |
KR100374917B1 (ko) | 편향 요크 장치 | |
JP3506313B2 (ja) | 偏向ヨーク装置 | |
JP3552418B2 (ja) | 偏向ヨーク | |
JP3939925B2 (ja) | 偏向ヨーク及びそれを用いたカラー受像管装置 | |
US4998041A (en) | Deflection yoke with cross-arm structure to reduce beam mis-landing | |
JPH04263405A (ja) | コイル巻枠 | |
GB2211669A (en) | A compact transformer core | |
KR100396497B1 (ko) | 편향요크 | |
JP2985663B2 (ja) | コイル部品 | |
US6559588B1 (en) | Deflection yoke | |
JPH11260288A (ja) | 偏向ヨークおよびこれを備えた陰極線管 | |
KR100451946B1 (ko) | 편향요크 | |
KR0140578Y1 (ko)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저압 보빈 | |
JP2019153754A (ja) | コイル部品 | |
JP3345348B2 (ja) | 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 | |
KR0114250Y1 (ko) | 편향요크의 원형 마그네트 고정구조 | |
KR200202672Y1 (ko) | 편향요크의 퍼멀로이 보정편 결합구조 | |
JP3242075B2 (ja) | 高電圧抵抗パック | |
KR20000002043U (ko) | 텔레비젼의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 페라이트 코아 결합장치 | |
KR19990035259A (ko) |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 |
KR19980058571U (ko) |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fbt)의 페라이트코아 고정구조 | |
JP2000223047A (ja) | ミス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 |
KR20010107252A (ko) | 편향요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219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