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8507A - 최소편이변조방식의 중계기 - Google Patents

최소편이변조방식의 중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8507A
KR20010028507A KR1019990040776A KR19990040776A KR20010028507A KR 20010028507 A KR20010028507 A KR 20010028507A KR 1019990040776 A KR1019990040776 A KR 1019990040776A KR 19990040776 A KR19990040776 A KR 19990040776A KR 20010028507 A KR20010028507 A KR 20010028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sk
signal
data
demodulator
rep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창
Original Assignee
김종수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1019990040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8507A/ko
Publication of KR20010028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50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소편이변조방식의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소편이변조방식에 의하여 데이타 송수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송수신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는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MSK 중계기는, MSK 변조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단말기 사이에 MSK 중계기를 설치하여, 데이터 송수신거리를 연장시키도록 한다. 이때 MSK 중계기는 입력신호의 재 MSK 변/복조를 수행하여 재송신파형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최소편이변조방식의 중계기{Minimum Shift Keying Repeater}
본 발명은 최소편이변조방식의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소편이변조방식에 의하여 데이타 송수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송수신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는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최소편이변조(Minimum Shift Keying:이하 MSK라고 함)방식은 디지털 변조 방식의 하나로서, 협대역 FSK(주파수 편이 변조) 방식의 하나이며, 주파수 편이 △F를 최소로 한 변조방식이다. 현재 상기 MSK 방식은 철도교통에서 정거장과 정거장 사이의 데이타 송수신에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MSK방식의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MSK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타의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타 단말기1(100)과 데이타 단말기2(200)는 MSK 변/복조방식에 의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MSK변/복조기(110,210)는 직렬 송신데이타(Serial TX_DATA)를 MSK신호로 변조하고, 수신된 MSK 변조신호를 직렬 수신데이타(Serial RX_DATA)로 복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TX버터,RX버퍼(120,140,220,240)는 트랜스포머(150,250)와 임피던스 매칭을 위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AGC 회로(130,230)는 MSK 변/복조기에서 항상 일정한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어야만 에러없이 데이타를 복구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신되는 신호가 선로길이 및 상태, 선로 종류에 따라서 각기 다른 레벨로 입력되는 것을 일정한 레벨로 조정해주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AGC회로(130,230)는 -40dBm ~ 0dBm 신호를 230mV로 자동적으로 조정해준다.
상기 구성의 종래의 MSK 방식의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의 송수신 동작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데이타 단말기 1(100)에서 데이타 단말기2(200)로 데이타의 송신이 이루어질때, MSK 변/복조기(110)는 입력되는 직렬송신데이타(TX_DATA)를 MSK신호로 변조시킨다. 상기 변조된 MSK 신호는 TX 버퍼(120)를 통해서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진후, 트랜스포머(150)에 인가된다. 상기 트랜스포머(150)는 전송에 적절한 크기로 송신신호의 전압을 변압시키고 선로(L1) 상에 전송시킨다.
상기 선로(L1)를 통해서 데이타 단말기2(200)에 수신된 신호는 트랜스포머(250)에 의해서 신호처리에 가능한 크기의 신호로 변압된 후, 수신 버퍼인 RX 버퍼(240)에 입력된다. 상기 RX 버퍼(240)는 입력신호의 임피던스를 조절하고, AGC 회로(230)에 출력한다. 상기 AGC 회로(230)는 수신신호가 선로(L1) 전송상에서 감쇄된 것을 보상하고, 또한 수신신호를 일정한 레벨(230mV)의 신호로 조정한 후, MSK변/복조기(210)에 출력한다. 상기 MSK변/복조기(210)는 수신된 MSK변조신호를 직렬 수신데이타(RX_DATA)로 복조시켜서 출력한다.
즉, 종래의 MSK 방식의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은 중계기를 사용하지 않고 데이타 단말기(100,200) 간의 1:1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선로 상의 신호 감쇄를 보상하기 위하여 각 단말기 내에 자동이득조절회로를 사용하여 약 20 Km 전송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MSK 방식의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은 최소 수신레벨이 -40dBm(송신신호레벨 0dBm시) 신호까지 감쇄된 신호를 복구할 수 있었으며, 야전선의 경우 현실적으로 20Km 정도거리까지 데이타 송수신을 행할 수 있었다.
즉, 종래의 MSK 방식의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은 AGC 회로에 의한 데이타 전송거리를 연장시키며, 이때 최대 송수신 거리는 20Km 정도였다. 그러나 상기 AGC 회로의 한계는 AGC 신호레벨을 무한정 넓힐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는 OdBm(0.775Vrms,600Ω) ~ -40dBm(0.00775Vrms,600Ω) 범위 내에서 일정한 출력신호(230mV)가 가능하였다. 따라서 -40dBm 이하의 신호가 입력되면 노이즈 등에 의하여 수신신호를 복구할 때 에러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MSK 방식의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은, 데이타 전송거리가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MSK 방식을 이용한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에서 데이타 송수신의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는 최소편이변조방식의 중계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MSK방식을 이용한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SK 방식을 이용한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각 부의 신호 파형도,
도 4는 도 2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을 시험하기 위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시험 구성도에 의한 송수신 파형도,
도 7은 본 발명의 MSK 중계기 내의 자동송수신제어회로와 MSK변/복조기 간의 상세도,
도 8은 도 7의 송수신 제어 흐름을 검출한 파형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재생 파형 및 재송신 파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0,410,415,510 : MSK 변/복조기 320,420,425,520 : TX 버퍼
330,430,435,530 : AGC 회로 340,440,445,540 : RX 버퍼
350,450,455,550 : 트랜스포머 460 : 자동송수신제어회로
300,500,300',500' : 데이터 단말기 400,400' : MSK 중계기
600,700 : 감쇄기 L1,L2,L3 : 선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최소편이변조방식의 중계기는, MSK 변조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단말기들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단말기들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데이터 단말기의 송수신신호를 MSK 변조 방식으로 변/복조시키기 위한 제 1 MSK 변/복조수단과; 상기 제 2 데이터 단말기의 송수신신호를 MSK 변조 방식으로 변/복조시키기 위한 제 2 MSK 변/복조수단과; 상기 제 1,2 MSK 변/복조수단 중에서 먼저 MSK 캐리어 수신이 된 측을 기초로해서 상기 제 1,2 MSK 변/복조수단의 변/복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송수신제어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2 MSK 변/복조수단은, 직렬 송신데이터를 MSK신호로 변조하고, 수신된 MSK 변조신호를 직렬수신데이터로 복조하는 MSK변/복조기와; 송수신되는 신호를 변압하는 트랜스포머와; 상기 트랜스포머와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TX버퍼 및 RX버퍼와; 수신신호를 일정한 레벨로 조절하기 위하여 이득 조절을 행하는 AGC 회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최소편이변조방식의 중계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SK 방식을 이용한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각 부의 신호 파형도이다.
본 발명은 MSK 방식을 이용한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에서 두개의 데이타단말기1,2(300,500) 사이에 MSK 중계기(400)를 사용하고 있다. 즉, 데이타 단말기1(300)과 데이타 단말기2(500)가 약 40Km 떨어져 있다고 가정하고, 상기 두 데이타 단말기 사이의 중간지점 즉, 20Km 부근에 MSK 중계기(400)를 설치하여 운용한다.
상기 MSK 중계기(400)는 송신신호의 복조 후 다시 변조하거나, 수신신호를 변조 후 다시 복조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데이타 단말기1(300)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는 도 3a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A와 같은 파형으로 출력되며, MSK 중계기(400)에 입력되어서 복조되어서 C와 같은 파형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다시 MSK 중계기(400)에서 다시 변조되어서 D와 같은 파형을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데이타 단말기2(500)는 수신신호를 복조시키면 B와 같은 파형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데이타 단말기2(500)로부터 데이타 송신이 이루어질때는 상기 도 3a와 반대의 상태로 파형(도 3b)이 출력된다.
다음, 도 4는 도 2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MSK 방식의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은, 데이타 단말기1,2(300,500)와, MSK 중계기(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타 단말기1,2(300,500)는, 직렬 송신데이타(Serial TX_DATA)를 MSK신호로 변조하고, 수신된 MSK 변조신호를 직렬 수신데이타(Serial RX_DATA)로 복조하는 MSK변/복조기(310,510)와, 데이타 송신시에 트랜스포머(350,550)와 임피던스 매칭을 위하여 사용되는 TX 버터(320,520)와, 데이타 수신시에 트랜스포머와 임피던스 매칭을 위하여 사용되는 RX 버퍼(340,540)를 포함한다. 또한, MSK 변/복조기(310,510)에서 항상 일정한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어야만 에러없이 데이타를 복구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신되는 신호가 선로길이 및 상태, 선로 종류에 따라서 각기 다른 레벨로 입력되는 것을 일정한 레벨로 조정해주기 위한 AGC 회로(330,5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트랜스포머(350,550)는 신호의 송신시에 신호전송이 가능하도록 변압시키고, 신호의 수신시에 신호처리가 가능하도록 변압시킨다.
상기 MSK 중계기(400)는, 상기 데이타 단말기1(300)과 선로(L2)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데이타 단말기2(500)와도 선로(L3)에 의해서 연결된다.
상기 MSK 중계기(400)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데이타 단말기1(300)과 연결되고 있는 선로(L2)와 연결되고 있는 트랜스포머(450)와, 상기 트랜스포머(450)에 연결된 TX 버퍼(420) 및 RX 버퍼(440)와, 상기 TX 버퍼(420)로 송신신호를 인가하는 MSK 변/복조기1(410)와, 상기 RX 버퍼(440)의 출력을 이득 조절하고 상기 MSK 변/복조기1(410)에 출력하는 AGC 회로(4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타 단말기2(500)와 연결되고 있는 선로(L3)와 연결되고 있는 트랜스포머(455)와, 상기 트랜스포머(455)에 연결된 TX 버퍼(425) 및 RX 버퍼(445)와, 상기 TX 버퍼(425)로 송신신호를 인가하는 MSK 변/복조기2(415)와, 상기 RX 버퍼(445)의 출력을 이득 조절하고 상기 MSK 변/복조기2(415)에 출력하는 AGC 회로(43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MSK 변/복조기1(410)과 MSL 변/복조기2(415)는 서로의 입출력단자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즉, MSK 변/복조기1(410)에서 출력되는 직렬 수신 데이터(RX_DATA)는 상기 MSK 변/복조기2(415)의 직렬 송신 데이터(TX_DATA)로 입력되고, 상기 MSK 변/복조기2(415)에서 출력되는 직렬 수신 데이터(RX_DATA)는 상기 MSK 변/복조기1(410)의 직렬 송신 데이터(TX_DATA)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MSK 변/복조기1(410)와 MSK 변/복조기2(415)의 입력신호의 변조/복조 제어는 자동송수신제어회로(460)의 제어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MSK 중계기 내의 자동송수신제어회로와 MSK변/복조기 간의 상세도이다.
상기 데이타단말기1(300)과 데이타단말기2(500)가 비슷한 시점에서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때, MSK변/복조기1(410)와 MSK변/복조기2(415)의 동작을 변조 또는 복조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MSK 변/복조기1(410)과 MSK 변/복조기2(415)에서 출력되는 SCC_CD 신호(MSK 캐리어가 수신되었음을 판단되었을때 출력되는 신호)의 시점에 의해서 자동송수신제어회로(460)는 상기 MSK 변/복조기1(410)과 MSK 변/복조기2(415)의 변조/복조 동작을 제어한다. 일 예로, 상기 MSK 변/복조기1(410)에서 먼저 SCC_CD 신호를 자동송수신제어회로(460)에 출력하면, 자동송수신제어회로(460)는 MSK 변/복조기2(415)를 송신상태(변조 동작)로 만든다.
다음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최소편이변조방식의 중계기의 동작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신호 수신 및 송신 기법은 종래와 동일하다. 단지 본 발명에서는 MSK 중계기(400)를 이용하여 자종으로 양방향에서 수신된 신호를 복구하여 반대방향으로 재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신호 수신에서 재생 경로는 MSK 신호수신 → 복조 → 직렬 데이터 재생 → 직렬 데이터 송신 → 변조 → MSK 신호송신을 통하여 최소 수신레벨을 배로 증가시켰다.
또한, 본 발명은 반이중 통신을 수행하며, 하나의 선로를 사용하여 송신 및 수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MSK 중계기(400) 내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는 자동송수신제어회로(460)가 구비되고 있다.
상기 MSK 중계기(400)는 표 1에 도시하고 있는 4가지 과정의 동작을 제어한다.
우선, 경우 1의 과정, 즉 데이터 단말기1(300)에서 데이터 단말기2(500)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데이터단말기(300)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직렬 송신데이터(TX_DATA)는 MSK 변/복조기(310)에서 MSK신호로 변조된다. 상기 변조된 신호는 TX 버퍼(320)에서 임피던스 조절이 행해진 후, 트랜스포머(350)에서 신호 전송이 가능한 크기로의 변압이 이루어진 후, 선로(L2) 상에 전송된다(도 9a).
상기 선로(L2)를 통해서 신호의 전송이 이루어질때 선로의 길이 및 상태 그리고 선로의 종류에 따라서 신호 감쇄가 발생된다. 상기 선로(L2) 상에서 감쇄된 신호는 MSK 중계기(400)의 트랜스포머(450)를 통해서 수신버퍼인 RX 버퍼(440)에 입력된다(도 9b). 상기 RX 버퍼(440)의 출력신호는 AGC 회로(430)에서 자동이득 조절된 후, MSK 변/복조기1(410)에 입력된다. 상기 MSK 변/복조기1(410)는 입력신호를 다시 원래의 신호로 복조한 후, 직렬 수신데이터(RX_DATA)를 출력한다(도 9c).
상기 MSK 변/복조기1(410)에서 출력되는 직렬데이터는 또 다른 MSK 변/복조기2(415)에 직접 입력되고, 상기 MSK 변/복조기2(415)는 입력신호를 다시 변조시킨다. 상기 MSK 변/복조기2(415)에서 다시 MSK신호로 변조된 신호는 TX 버퍼(425)와 트랜스포머(455)를 통해서 선로(L3) 상에 재송신된다(도 9d).
즉, 상기 MSK 중계기(400)에 입력되기 전의 신호가 신호 감쇄된 MSK신호이고, 다시 MSK 중계기(400)로부터 재송신되는 신호는 감쇄가 복원된 신호가 된다.
이후, 상기 선로(L3) 상에 재송신된 신호는 선로 상의 문제에 의한 신호감쇄를 경험하고, 감쇄된 상태로 데이타단말기2(500)에 입력된다. 그리고 트랜스포머(550)를 통해서 RX 버퍼(540)에 입력되고, 상기 RX 버퍼(540)는 입력신호를 AGC 회로(530)에 출력한다. 상기 AGC 회로(530)는 수신신호의 이득을 조절하고, MSK 변/복조기(51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MSK 변/복조기(510)는 상기 데이터 단말기1(300)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복조시켜서 원하는 신호를 얻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단말기1(300)에서 출력된 신호가 선로상의 문제로 감쇄되어서 MSK 중계기(400)에 입력되더라도 상기 MSK 중계기(400)에서 다시 복원이 이루어져서 재송신되므로, 데이터 단말기2(500)에서 수신되는 신호는 신호 복원이 충분히 가능한 크기가 되는 것이다.
다음, 경우 2의 과정, 즉 데이터 단말기2(500)에서 데이터 단말기1(300)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는 상기 경우 1의 과정과 반대로 수행된다.
그리고 경우 3의 과정, 즉 데이터 단말기1(300)과 데이터 단말기2(500)에서 비슷한 시점에서 데이터를 송신했을때,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데이터 단말기1(300)와 데이터 단말기2(500)가 비슷한 시점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각 데이터 단말기1,2(300,500)로부터의 송신시점, 그리고 MSK 중계기(400) 내의 수신시점에서 차이가 발생되고, 그 차이에 의해서 자동송수신제어회로(460)는 MSK 변/복조기1,2(410,415)의 변/복조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MSK 변/복조기1,2(410,415)는 각 데이터 단말기1,2로부터 송신한 MSK 캐리어가 수신되었음을 판단하면 SCC_CD 상에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MSK 변/복조기1(410)과 MSK 변/복조기2(415)에서 MSK 캐리어를 수신했을때, SCC_CD1과 SCC_CD2 상에 로우신호를 출력하려고 하지만, 그 출력시점이 동일하지 않다.
일 예로, MSK 변/복조기1(410)에서 먼저 MSK 캐리어를 수신하고, SCC_CD1으로 로우신호를 출력하면(도 8a의 T1구간), 상기 SCC_CD1 상의 로우신호가 자동송수신제어회로(460)에 입력된다. 상기 자동송수신제어회로(460)는, M_TX_ENABLE2 상에 로우신호를 출력한다(도8c의 T1구간). 따라서 상기 도 8c에 도시되고 있는 M_TX_ENABLE2 신호는 도 8a에 도시되고 있는 SCC_CD1 신호와 약간의 시간차를 가지고 로우신호로 변환된다.
상기와 같은 제어에 의해서 상기 MSK 변/복조기1(410)은 복조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MSK 변/복조기2(415)는 상기 자동송수신제어회로(460)에서 출력한 M_TX_EMABLE2의 로우신호에 의해서 변조동작을 우선 수행하기 위한 준비상태가 된다.
한편, MSK 변/복조기1(410)에서 SCC_CD1 신호를 출력하는 시점과 약간의 차이를 가지고 MSK 변/복조기2(415)에서도 MSK 캐리어를 수신하고, SCC_CD2 상에 로우신호를 출력한다(도 8d의 T1구간). 상기 SCC-CD2의 로우신호는 자동송수신제어회로(460)에 입력되지만, 이미 MSK 변/복조기1(410)의 신호 수신에 의하여 상기 MSK 변/복조기2(415)는 상기 MSK 변/복조기1(410)에서 수신된 MSK 신호의 변조동작을 위한 상태로 절환되어 있고, 상기 자동송수신제어회로(460)는 그 상태를 유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SCC-CD2의 로우신호에 따른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서, MSK 변/복조기1(410)의 상태 절환을 위한 M_TX_ENABLE1 신호는 하이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도 8b의 T1구간).
한편, 상기 MSK 변/복조기1(410)로 더 이상 수신되는 MSK신호가 없을때, 상기 MSK 변/복조기1(410)의 SCC_CD1 출력은 하이상태로 절환된다(도 8a의 T2 구간).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자동송수신제어회로(460)에서 출력되는 M_TX_ENABLE2 신호도 하이상태로 전환된다(도 8c의 T2 구간). 그리고 상기 신호 절환과 연동하여, MSK 변/복조기2(415)에서 출력되는 SCC_CD2 신호가 하이상태로 절환되면서(도 8d의 T2 구간), 상기 MSK 변/복조기1(410)에서 복조된 MSK신호를 상기 MSK 변/복조기2(415)에서 재변조하여 출력하는 과정이 종료되고 있다.
그리고 도 8의 T3 구간은, MSK 변/복조기(415)에서 먼저 MSK신호를 수신했을때, SCC_CD2가 로우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SCC_CD2의 로우신호에 의하여 자동송수신제어회로(460)에서 M_TX_ENABLE1을 로우로 전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후, MSK 변/복조기(410)에서 MSK신호를 수신하여 SCC_CD1신호를 로우상태로 전환하더라도 상기 자동송수신제어회로(460)에서 출력되는 M_TX_ENABLE2 신호는 계속해서 하이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음 도 8의 T4 구간은, 상기 MSK 변/복조기(415)에서 더 이상 수신되는 MSK 신호가 없을때, SCC_CD2 신호가 하이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SCC_CD2 신호에 의하여 자동송수신제어회로(460)에서 M_TX_ENABLE1을 하이로 전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상기 M_TX_ENABLE1 신호가 하이로 전환되었음을 감지하고, MSK 변/복조기1(410)에서 SCC_CD1 신호를 하이신호로 전환하면서, 상기 MSK 변/복조기2(415)에서 복조된 MSK신호를 상기 MSK 변/복조기1(410)에서 재변조하여 출력하는 과정이 종료되고 있다.
다음, 경우 4의 과정 즉, 데이터단말기1(300)과 데이터단말기2(500)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때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양쪽 데이터 단말기1(300,500)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때, 상기 MSK 중계기(400) 내의 MSK 변/복조기1,2(410,415)는 SCC_CD 상에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자동송수신제어회로(460)는 상기 MSK 변/복조기1,2(410,415)의 M_TX_ENABLE1,2를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MSK 변/복조기1,2가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지 않고 수신 대기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을 시험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시험 구성도에 의한 송수신 파형도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재생 파형 및 재송신 파형도이다.
즉, 본 발명의 데이터 단말기1(300')와 데이터 단말기2(500') 사이의 중간지점에 MSK 중계기(40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단말기1(300')와 MSK 중계기(400') 사이에 감쇄기1(600)가 설치되며, 마찬가지로 MSK 중계기(400')와 데이터 단말기2(500') 사이에도 감쇄기2(700)가 설치되고 있다. 상기 감쇄기1,2(600,700)는 각각 40dBm의 감쇄로 설정된다. 즉, 상기 감쇄기1,2(600,700)는 실제 구성 상에서 선로를 통하여 신호가 전송될때, 발생되는 신호 감쇄량을 예상하여 설정된 구성이다.
즉, 데이터 단말기1(300')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는 감쇄기1(600)에서 -40dBm만큼 감쇄된 후, MSK 중계기(400')에 전송된다. 즉, 데이터 단말1(300')로부터 도 6a와 같은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감쇄기1(600)에서 감쇄되어서 도 6b와 같은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감쇄된 신호가 MSK 중계기(400')에 입력되면, 상기 MSK 중계기(400') 내에서 복조 및 변조의 과정을 거쳐서 도 6c와 같이 다시 원래신호 크기로 복구되어서 선로상에 전송된다. 상기 복구된 신호는 두번째 감쇄기(700)에서 다시 -40dBm 만큼의 감쇄가 일어나서 도 6d와 같은 신호로 검출되고, 이렇게 감쇄된 신호가 데이터단말기2(500')에 입력되는 것이다. 상기 데이터단말기2(500')는 입력된 신호를 전력증폭, 이득조절 등의 과정을 거쳐서 원래의 신호로 복구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MSK 방식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서 최대 통신거리가 20Km로 제한되어 있는 것을 MSK 중계기를 이용하여 40Km 이상으로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MSK 변조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단말기의 통신거리 확장으로 통신장비의 운용 반경을 확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더불어 가져온다.

Claims (2)

  1. MSK 변조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단말기들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단말기들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데이터 단말기의 송수신신호를 MSK 변조 방식으로 변/복조시키기 위한 제 1 MSK 변/복조수단과;
    상기 제 2 데이터 단말기의 송수신신호를 MSK 변조 방식으로 변/복조시키기 위한 제 2 MSK 변/복조수단과;
    상기 제 1,2 MSK 변/복조수단 중에서 먼저 MSK 캐리어 수신이 된 측을 기초로해서 상기 제 1,2 MSK 변/복조수단의 변/복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송수신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최소편이변조방식의 중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MSK 변/복조수단은,
    직렬 송신데이터를 MSK신호로 변조하고, 수신된 MSK 변조신호를 직렬수신데이터로 복조하는 MSK변/복조기와;
    송수신되는 신호를 변압하는 트랜스포머와;
    상기 트랜스포머와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TX버퍼 및 RX버퍼와;
    수신신호를 일정한 레벨로 조절하기 위하여 이득 조절을 행하는 AGC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최소편이변조방식의 중계기.
KR1019990040776A 1999-09-21 1999-09-21 최소편이변조방식의 중계기 KR200100285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776A KR20010028507A (ko) 1999-09-21 1999-09-21 최소편이변조방식의 중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776A KR20010028507A (ko) 1999-09-21 1999-09-21 최소편이변조방식의 중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507A true KR20010028507A (ko) 2001-04-06

Family

ID=19612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776A KR20010028507A (ko) 1999-09-21 1999-09-21 최소편이변조방식의 중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85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31242T2 (de) Verfahren zur Steuerung des Senders in einem Funksendeempfänger und der entsprechende Funksendeempfänger
US5144258A (en) Power amplifier system for radio transmitte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EP0115139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ystems
JPS5999851A (ja) 信号制御回路
US5613226A (en) Linear transmitter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adio communication systems
KR20000042660A (ko) 광중계 시스템의 이득제어방법
KR20010028507A (ko) 최소편이변조방식의 중계기
JP2000224247A (ja) ディジタル無線通信方式
JP3053173B2 (ja) 移動体衛星通信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H0685579A (ja) 送信電力増幅装置
JPH03127519A (ja) 無線信号送受信機
JPH0629169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30030187A (ko) 요금자동징수시스템의 무선송수신장치
JPH06334626A (ja) スペクトル拡散通信方式
JPH03254236A (ja) マイクロ波多重無線送信装置
JP2590736B2 (ja) 送信出力制御方法
JPH0437322A (ja) ヘテロダイン中継方式
JPH03280727A (ja) 送信電力制御方式
JPS632430A (ja) 自動利得制御回路
JP2699996B2 (ja) コマンド送受信方法および装置
JP2002535868A (ja) デジタル放送に最適化された高性能短波放送用送信機
JP2001102941A (ja) 無線機
CN112073118A (zh) 一种tdd同步开关的传输方法和装置
JPS61131636A (ja) 偏波多重無線通信方式
JPH09200276A (ja) 無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