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8368A - 한약재를 이용한 약초콩나물 재배방법 및 그에 의해 재배된 약초콩나물 - Google Patents

한약재를 이용한 약초콩나물 재배방법 및 그에 의해 재배된 약초콩나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8368A
KR20010028368A KR1019990040574A KR19990040574A KR20010028368A KR 20010028368 A KR20010028368 A KR 20010028368A KR 1019990040574 A KR1019990040574 A KR 1019990040574A KR 19990040574 A KR19990040574 A KR 19990040574A KR 20010028368 A KR20010028368 A KR 20010028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nese
crude drug
weight
parts
dru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헌
Original Assignee
황규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헌 filed Critical 황규헌
Priority to KR1019990040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8368A/ko
Publication of KR20010028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36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를 이용한 약초콩나물 재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재배된 약초콩나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약초콩나물 재배방법은 1) 포공영, 애엽, 길경, 황기, 감초, 오매, 행인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한약재를 사용하여 복합 한약재 조성물을 준비한는 단계; 2) 물 1L 기준으로 상기 복합 한약재 조성물 약 25g을 투입하고, 일정시간 후 한약재 고형물을 제거하여 한약재 추출액을 준비하는 단계; 3) 상기 한약재 추출액 3L 기준으로 원료콩 약 70kg을 배합기에 넣고 회전시켜 한약재 추출액을 원료콩에 흡수시키는 단계; 4) 상기 원료콩과 물을 사용하여 콩나물을 재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합 한약재 조성물은 포공영 13중량부, 애엽 5중량부, 길경 18중량부, 황기 12중량부, 감초 12중량부, 오매12중량부, 행인 3중량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인체에 유익한 한약성분이 포함되며 농약성분 등이 함유되지 않아 국민들이 안심하고 부식으로 할 수 있는 콩나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약재를 이용한 약초콩나물 재배방법 및 그에 의해 재배된 약초콩나물 {Method for rasing bean sprouts using medical plants}
본 발명은 콩나물을 재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한약재에서 추출한 추출액을 사용하여 무공해 약초콩나물을 재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콩나물은 우리민족 고유의 전통식품으로서 각 가정 및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부식거리이다. 이러한 콩나물은 통상 콩에 물을 공급하여 재배하게 되는데, 콩나물에 물만을 공급하여 재배하는 경우에는 콩나물 줄기가 가늘게 자라고 성장이 더디며, 생육시 쉽게 썩어버리는 문제와 더불어 조리 후에도 콩나물의 맛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콩나물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재배업자는 보다 쉬운 방법으로, 상품성이 있는 콩나물을 기르기 위하여 콩나물에 공급되는 물에 각종 식물생장호르몬, 합성항생제, 화학비료, 농약 등을 섞고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재배된 콩나물은 재배과정 중 성장이 빠르고 썩지 않으며 발아가 잘되고, 재배후 출하된 상품도 굵고 잔뿌리가 없으며 연하여 먹기가 좋아 상품성이 높으나 인체에 유해한 각종 식물생장호르몬, 합성항생제, 화학비료, 농약 등이 첨가됨으로 인하여 소비자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예를 들면 콩나물 재배시 첨가되는 인돌비(인돌-3-일 아세트산)의 경우, 독성이 강하여 인체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일정 허용범위 내에서만 극히 제한적으로 허용되고 있고, 지금에 이르러서는 그 사용을 완전히 억제하려는 추세이나, 이를 사용하는 경우 콩나물의 각종 병해방지와 속성 재배를 가능케하여 재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바 일부에서는 아직도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콩나물의 생장을 도울 수 있는 한약재 성분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재배된 콩나물은 인체에 무해할 뿐 아니라 몸에 좋은 약초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국민건강에 이바지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포공영, 애엽, 길경, 황기, 감초, 오매, 행인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한약재를 사용하여 복합 한약재 조성물을 준비한는 단계; 2) 물 1L 기준으로 상기 복합 한약재 조성물 약 25g을 투입하고, 일정시간 후 한약재 고형물을 제거하여 한약재 추출액을 준비하는 단계; 3) 상기 한약재 추출액 3L 기준으로 원료콩 약 70kg을 배합기에 넣고 회전시켜 한약재 추출액을 원료콩에 흡수시키는 단계; 4) 상기 원료콩과 물을 사용하여 콩나물을 재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약초콩나물 재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재배된 약초콩나물을 제공하며 상기 복합 한약재 조성물은 포공영 13중량부, 애엽 5중량부, 길경 18중량부, 황기 12중량부, 감초 12중량부, 오매12중량부, 행인 3중량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포공영, 애엽, 길경, 황기, 감초, 오매, 행인과 같이 인체에 유익한 한약재를 사용하여 한약재 추출액을 얻고 이를 이용하여 콩나물 재배를 행하는 콩나물 재배방법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한약재는 다음과 같은 효능을 지닌다.
포공영은 민들레를 건조시킨 것으로 창종, 유방염, 자상, 진정, 정종, 강장, 대하증, 악창, 건위 등에 효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공영에 포함된 성분은 콩나물 재배시 항균작용을 하여 생장과정에서 콩나물의 신선도를 유지시키도록 도우는 역할을 한다.
애엽은 약쑥이라 불리는 식물의 성숙한 잎, 줄기를 말린 부분을 말하며, 곽락, 지혈, 회충, 산후하혈, 개선, 안태, 과식, 누혈, 복통, 토사, 지혈, 건위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애엽 역시 항균작용을 하여 살균효과가 있다.
길경은 그 뿌리 말린 것을 사용하며, 편도선염, 복통, 지혈, 거담, 늑막염, 해수, 인통, 천식, 보인, 진해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길경은 항백선균 작용을 하여 콩나물의 줄기를 희게 함으로써 콩나물의 상품가치를 높인다.
황기는 그 뿌리 말린것을 사용하며, 늑막염, 적리, 폐병, 나병, 보익, 강장, 종창, 해열, 치질완화, 지한, 이뇨, 항심염, 혈압강화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항균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황기에서 추출된 성분은 콩나물 재배시 살균작용을 한다.
감초는 식용, 약용으로 쓰이며, 보익, 진통, 해독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감초에서 추출된 성분은 콩나물 재배시 생성되는 독성 성분을 중화시키는 작용을 하고 있다.
오매는 껍질을 벗기고 짚불연기에 그슬려서 말린 매실을 말하는 것으로 진해제, 구충제 등으로 쓰이며, 여기서 추출된 성분은 약산성이므로 멸균작용을 한다.
행인은 살구씨의 알맹이를 말하는 것으로 진해, 거담제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몸에 유익한 한약재를 사용하여 콩나물의 생육을 도움과 동시에 인체에 유익한 한약성분이 콩나물속에 흡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의해 약초콩나물을 재배하는 방법이다.
첫째 단계로 상기에서 언급된 한약재를 표1과 같은 성분비로 배합하여 복합 한약재 조성물을 제조한다.
한약재 성분 배합비
약초명 성분비
포공영 13중량부
애엽 5중량부
길경 18중량부
황기 12중량부
감초 12중량부
오매 12중량부
행인 3중량부
두번째 단계로 물 1L 기준으로 상기와 같이 배합된 복합 한약재 조성물 25g을 투입하여 한약재성분이 물속으로 우러나오도록 일정시간 방치한 후 충분한 시간이 경과되면 한약재 고형물을 제거하여 추출액을 얻는다.
세번째 단계로 원료콩을 씻어서 물기를 제거한 후 한약재 추출액 3L 기준으로원료콩 70kg을 혼합하여 배합기에 넣고 1시간 가량 회전시켜 한약재 추출액이 원료콩으로 흡수되도록 한다.
네번째 단계로 한약재 추출액이 흡수된 콩과 농약성분 등이 섞이지 않은 물을 사용하여 콩나물을 재배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재배된 한약재성분이 함유된 약초콩나물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표 2와 같았다.
약초콩나물 성분분석 결과
성 분 성분비 검출방법
수분(%) 87.5 상압가열건조법
회분(%) 0.7 직접회화법
조지방(%) 1.4 산분해법
조단백질(%) 6.0 질소계수 6.25/세비마이크로킬달법
탄수화물(%) 4.4
열량(Kcal) 54.2
비타민 B1(mg/100g) 0.17 HPLC법
비타민 B2(mg/100g) 0.01 HPLC법
비타민 A(IU/100g) 183.1 SBCI3에 의한 비색법
비타민 C(mg/100g) 5.3 HPLC법
니코틴산(mg/100g) 3.7 HPLC법
칼슘(mg/100g) 32.0 I.C.P법
철(mg/100g) 0.8 I.C.P법
인(mg/100g) 76.4 I.C.P법
비타민 E(mg/100g) 2.41 HPLC법
본 발명에 의해 재배된 콩나물은 식물생장호르몬, 합성항생제, 화학비료, 농약 등을 사용하여 생산된 콩나물과는 달리 몸에 유익한 한약재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무공해 콩나물로서 국민이 안심하고 무공해 콩나물을 부식재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국민 건강에 이바지한다.

Claims (3)

1) 포공영, 애엽, 길경, 황기, 감초, 오매, 행인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한약재를 사용하여 복합 한약재 조성물을 준비한는 단계; 2) 물 1L 기준으로 상기 복합 한약재 조성물 약 25g을 투입하고, 일정시간 후 한약재 고형물을 제거하여 한약재 추출액을 준비하는 단계; 3) 상기 한약재 추출액 3L 기준으로 원료콩 약 70kg을 배합기에 넣고 회전시켜 한약재 추출액을 원료콩에 흡수시키는 단계; 4) 상기 원료콩과 물을 사용하여 콩나물을 재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약초콩나물 재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한약재 조성물은 포공영 13중량부, 애엽 5중량부, 길경 18중량부, 황기 12중량부, 감초 12중량부, 오매 12중량부, 행인 3중량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약초콩나물 재배방법.
제1항에 의한 방법으로 재배된 약초콩나물.
KR1019990040574A 1999-09-21 1999-09-21 한약재를 이용한 약초콩나물 재배방법 및 그에 의해 재배된 약초콩나물 KR200100283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574A KR20010028368A (ko) 1999-09-21 1999-09-21 한약재를 이용한 약초콩나물 재배방법 및 그에 의해 재배된 약초콩나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574A KR20010028368A (ko) 1999-09-21 1999-09-21 한약재를 이용한 약초콩나물 재배방법 및 그에 의해 재배된 약초콩나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368A true KR20010028368A (ko) 2001-04-06

Family

ID=19612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574A KR20010028368A (ko) 1999-09-21 1999-09-21 한약재를 이용한 약초콩나물 재배방법 및 그에 의해 재배된 약초콩나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836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579A (ko) * 2001-08-09 2001-09-28 송범헌 매실 추출액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KR100367200B1 (ko) * 2000-07-03 2003-01-10 김은수 콩나물 재배방법
KR100415759B1 (ko) * 2002-02-05 2004-01-24 김이수 한약재를 이용한 무공해 항균 콩나물 및 그 재배방법
KR100427857B1 (ko) * 2001-05-30 2004-04-27 황영자 한약재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CN112273172A (zh) * 2020-10-30 2021-01-29 江西瑞博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中草药萃取营养液、制备方法以及生态种植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8529A (ko) * 1996-01-24 1997-08-12 김준웅 약초 성분 콩나물 및 숙주나물 재배 방법
KR19990015959A (ko) * 1997-08-09 1999-03-05 최재옥 약초 추출액 사용 콩나물 재배방법
KR19990025098A (ko) * 1997-09-06 1999-04-06 오기선 콩나물 재배용 콩불림액과 이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8529A (ko) * 1996-01-24 1997-08-12 김준웅 약초 성분 콩나물 및 숙주나물 재배 방법
KR19990015959A (ko) * 1997-08-09 1999-03-05 최재옥 약초 추출액 사용 콩나물 재배방법
KR19990025098A (ko) * 1997-09-06 1999-04-06 오기선 콩나물 재배용 콩불림액과 이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200B1 (ko) * 2000-07-03 2003-01-10 김은수 콩나물 재배방법
KR100427857B1 (ko) * 2001-05-30 2004-04-27 황영자 한약재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KR20010088579A (ko) * 2001-08-09 2001-09-28 송범헌 매실 추출액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KR100415759B1 (ko) * 2002-02-05 2004-01-24 김이수 한약재를 이용한 무공해 항균 콩나물 및 그 재배방법
CN112273172A (zh) * 2020-10-30 2021-01-29 江西瑞博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中草药萃取营养液、制备方法以及生态种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dayachee et al. An overview of the medicinal importance of Moringaceae
Singh et al. Medicinal herbs with their formulations
Joshi et al. The use of medicinal plants by two village communities in the central development region of Nepal
Plowman The ethnobotany of coca (Erythroxylum spp., Erythroxylaceae)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Mathur et al. Ethnobotanical studies of the Tarai region of Kumaun, Uttarakhand, India
JP4393777B2 (ja) 抗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用組成物
KR20140016502A (ko) 식물 생육 활성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ain et al. Diverse application of Phoenix sylvestris: A potential herb
Ajao et al. Wandering through southwestern Nigeria: An inventory of Yoruba useful angiosperm plants
KR100436384B1 (ko) 천연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CN106616183B (zh) 一种以玛咖和蒲公英为主味剂的固体饮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813501B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KR100339262B1 (ko) 인삼성분이 함유된 콩나물 재배방법
KR100891914B1 (ko) 식물생약제 조성물의 추출액으로된 다이어트용 기능성식품의 제법
KR19990015959A (ko) 약초 추출액 사용 콩나물 재배방법
KR20180089696A (ko) 천연식물 추출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KR100415759B1 (ko) 한약재를 이용한 무공해 항균 콩나물 및 그 재배방법
KR20010028368A (ko) 한약재를 이용한 약초콩나물 재배방법 및 그에 의해 재배된 약초콩나물
CN107926248A (zh) 提高布福娜果实抗衰老功效的施肥方法
KR20090057342A (ko) 황토와 칡을 이용한 전통 종가 장류 간장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Eliseeva et al. Thyme (lat. Thýmus)
Eliseeva et al. Valerian (lat. Valeriana)
KR101544000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20029412A (ko) 흰머리가 검어지는 효능을 가진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