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6132A - 손톱깎이 - Google Patents

손톱깎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6132A
KR20010026132A KR1019990037328A KR19990037328A KR20010026132A KR 20010026132 A KR20010026132 A KR 20010026132A KR 1019990037328 A KR1019990037328 A KR 1019990037328A KR 19990037328 A KR19990037328 A KR 19990037328A KR 20010026132 A KR20010026132 A KR 20010026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plate
nail clipper
lower body
upper body
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2974B1 (ko
Inventor
김형규
Original Assignee
김형규
대성금속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규, 대성금속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형규
Priority to KR2019990018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804Y1/ko
Priority to KR1019990037328A priority patent/KR100342974B1/ko
Priority to CN99122158A priority patent/CN1286952A/zh
Publication of KR20010026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9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2Nail clippers or cutters
    • A45D29/023Nail clippers or cutters with retainers for nail clipp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2Nail clippers or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2Nail clippers or cutters
    • A45D2029/026Nail clippers or cutters for toenails, e.g. with a rod acting over the clipper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누름판이 축핀을 중심으로 손톱깎이 상면과 하면으로 회전하는 손톱깎이에 관한 것이다.
이 손톱깎이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전단부에 절단날(112)을 구비한 상부몸체(110); 상기 상부몸체(110)의 후단부에 탄성적으로 고정되고 전단부에 절단날(122)을 구비한 하부몸체(120); 및 상기 상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20)의 전단부에 결합되고, 결합축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2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누름판(130)을 포함하여 사용시에는 상부몸체(110)에 접어져 있던 누름판(130)을 전방으로 회전시켜 하부몸체(120)에서 누름판을 누르는 손톱깎이이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누름판(130)을 원복시킨 뒤 눌러두면 누름판(130)을 포함한 상,하 몸체(110)(120)전체의 부피가 납작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손톱깎이{A nail clipper}
본 고안은 손톱깎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지렛대 레버(이하에서는 누름판 이라함)가 지렛점(이하에서는 결합축이라함)을 중심으로 손톱깎이 상면과 하면으로 회전되는 손톱깎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손톱깎이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손톱깎이의 상,하 탄성체 후단이 납작한 형태로 고정되고 그에 따라 선단을 향하여 소정의 탄력을 가짐에 따라 날부(14)(15)가 소정간격 항상 벌어져 있는 양측 개방의 탄성체 (10)(11)와, 이 탄성체(10)(11)중 하부 탄성체(11)에서 수직으로 입설되면서 상단은 상부 탄성체(10)를 관통하여 걸리도록 걸림턱을 형성한 수직축(13)과, 이 수직축 (14)의 걸림턱을 지렛점으로 하면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누름판(12)과, 상기 상,하 탄성체(10)(11)의 선단에 마주보게 형성된 절삭날(14)(15)과, 상기 하부 탄성체(11)의 저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절단된 손톱등을 수용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커버부재(16)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종래 알려진 손톱깎이의 경우 다음과 같은 몇몇 문제점이 있었다.
즉, 누름판이 지렛대 레버가 되기 위하여 수직축을 지렛점으로 하고 그에 근접시켜 지렛점을 이루는 돌출부를 형성하며, 동시에 누름판을 접거나 기립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직축을 회전시켜야 되고, 누름점이 되는 돌출부가 지나치게 작게 형성되므로 지렛대 구조와 회전가능한 수직축이 집중적으로 한 곳에 몰려 있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고, 누름점이 되는 돌출부의 누름작동이 소형의 손톱깎이 일수록 불안정한 단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손톱깎이는 상,하 탄성체의 선단부 사이에 상당한 탄력이 발생하도록 후단부측의 소정 길이를 납작하게 일체로 제작한다. 따라서 선단측이 과잉 된 간격으로 벌려져 있게 되어 누름판 사용시 상당한 누름력을 요구하기도 하였다
또한, 종래의 손톱깎이 중 절단된 손톱의 비산방지구조를 갖추는 경우 상기 상,하 탄성체의 저면 외측에서 별개의 커버부재를 삽착시키게 되는 구조적인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일반적인 손톱깎이의 단점을 개선하고, 종래 누름판을 접거나 사용하는 경우의 작동구조를 개선하여 상,하 탄성체 사이에 탄력발생을 줄이며, 절단된 손,발톱의 비산방지 및 보관을 위한 삽입식 커버부재를 개선하는 회전식 누름판을 갖는 손톱깎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손톱깎이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톱깎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톱깎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톱깎이 누름판의 위치변경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톱깎이의 절단작동전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톱깎이의 누름판 잠금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7a및 도 7b는 도 6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누름판의 잠금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손톱깎이 110:상부몸체
111:측벽 112:절단날
114:축공 115:가동부
116:축공 120:하부몸체
121:측벽 122:절단날
123:걸림홈 124:장공
125:안내공 126:축공
130:누름판 131:측벽
132:축공 133:돌기
134:개구부 135:미세돌기
136:파지부 137:축부
140:판스프링 142:고정부재
150:축핀 152:고정핀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손톱깎이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전단부에 절단날을 구비한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후단부에 탄성적으로 고정되고 전단부에 절단날을 구비한 하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의 전단부에 결합되고, 결합축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누름판을 포함하는 손톱깎이로써 달성된다.
상기 상,하부몸체의 탄력발생은 상기 상,하부몸체의 사이에 판스프링을 개재시킴이 탄력발생을 줄이는 점에서 바람직하며, 상기 상,하부몸체의 수직가동은, 상기 상부몸체의 가동부를 관통한 축핀이 상부몸체 선단과 함께 상기 하부몸체의 장공을 따라 장공 길이 만큼 상하동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2는 본 발명 손톱깎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손톱깎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발명 손톱깎이(100)의 구조는 크게 상부몸체(110)와, 상기 상부몸체(110)하부에 복착되는 하부몸체(120)와, 상기 상부몸체(110)와하부몸체(120)사이를 회전하는 누름판(130)과, 상기 상,하몸체(110)(120)사이에 개재되는 판스프링(140)과, 상기 상,하몸체(110)(120)의 선단을 연결하는 축핀(150), 후단을 고정하는 고정핀(152)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몸체(110)는 판체의 선단부에 절단날(112)을 마련한다. 이 판체의 양측면은 상방으로 직각 절곡된 측벽(111)을 이루고 하면이 개방된다. 상기 측벽(111)의 앞부분에는 축공(114)이 형성된 가동부(115)를 대향 형성하며, 이 측벽(111)의 후단측에도 고정용 축공(116)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몸체(110)에 복착되는 하부몸체(120) 역시 판체의 양측면으로 상기 측벽(111)의 폭 보다 넓은 측벽(121)을 형성하고, 선단에는 절단날(122)을 형성하며, 상기 측벽(121)측에는 장공(124)을 형성한다. 이 하부몸체(120)의 후단부에는 상기 상부몸체(110)의 축공(116)과 연통하는 축공(126)을 형성하여 상기한 고정용 고정핀(152)에 의하여 고정된다. 하부몸체(120)바닥에는 상기 가동부(115)의 작동을 안내하는 안내공(125)을 형성하며, 상기 상,하몸체(110)(120)는 서로 포개어져 복착되도록 양측에 서로 길이가 다른 측벽(111)(121)을 이루며 이 측벽(111)(121)의 상,하 복착구조에 의하여 절단후 손톱등이 수용가능한 공간(α)을 형성한다.
이와같은 상,하몸체(110)(120)는 탄력을 주기 위하여 상,하몸체(110)(120)사이에 형성된 공간(α)에 판스프링(140)을 개재시킨다. 판스프링(140)은 상기 하부몸체(120)의 후단측에 리벳형 고정부재(142)로써 고정된다.
따라서 상,하몸체(110)(120)는 그 사이의 판스프링(140)에 의하여 탄력을 갖는다. 하지만 상,하몸체(110)(120)가 탄력을 갖고 벌어지는 구조는 상기 판스프링(140)을 개재하지 않은 종래의 탄성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상,하부몸체의 후단부를 납작하게 일체로 결합시키고 선단부만 상기한 가동부(115),장공(124) 및 축핀(150)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탄력적인 상하동이 가능하다.
한편, 이와같은 상,하몸체(110)(120) 및 판스프링(130)의 조립구조에는 절단날(112)(122)을 눌러주기 위한 누름판(130)을 갖는다. 이 누름판(130)은 종래 손톱깎이의 누름판 방식과 판이하게 다른 원리를 갖는다.
즉, 누름판(130)은 전단부를 향하여 측벽(131)을 형성하며, 그 앞부분 상면은 소정길이 개구부(134)를 형성한다. 이 개구부(134)의 양측은 상기 측벽(131)에서 소정길이 연장된 축부(137)를 형성하며, 이 축부(137)에는 상기 상하몸체(110)(120)의 축공(114)(124)에 연통하는 축공(132)을 형성한다. 이 축공(132)의 위치는 누름판(130)이 상,하몸체(110)(120)를 회전하거나 상기 상,하몸체(110)(120)에 결합되는 결합축이 된다.
따라서 결합축으로 부터 개구부(134)사이의 간격("β")은 적어도 상기 결합축(축공132)에서 상,하몸체(110)(120)의 전단부 사이의 간격이상이어야 한다.
또한측벽이 형성되지 아니하는 후단측은 누름작동과 잠금해제에 적당한 형태의 파지부(136)를 형성하며, 누름판(130)의 저면에는 다수의 미세돌기(135)로 이루어진 손톱 연마용 줄을 형성한다.
상기 누름판(130)의 조립구조는 축공(132)이 상기 상부몸체(110)의 축공(114) 및 하부몸체(120)의 장공(124)에 일치된 상태에서 축핀(150)을 관통시킴으로써 조립된다. 상기한 축핀(150)(152)들의 양단은 조립후 상기 측벽(121)(131)의 양측에서 스폿용접시켜 고정한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조립구조에 따른 누름판의 회전작용을 첨부 도면 도 4 및 도 5에 의하여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4는 본 발명 손톱깎이의 누름판의 위치변경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손톱깎이의 누름판의 누름작동전의 단면도이다.
즉, 도 2와 같이 누름판(130)이 상부몸체(110)위에 복착된 상태는 미사용중의 본 발명 조립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누름판(130)은 이 상태에서 하부몸체(120)로 회전한다. 도 4는 누름판 회전후 상,하몸체(110)(120)의 상,하를 바꾼 상태로써 누름판(130)의 개구부(134)가 하부몸체(120)의 저면에 걸려 소정각도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누름판(130)의 파지부(136)를 누르면 하부몸체(120)의 장공(124)을 따라 상부몸체(110)일체의 축핀(150)이 하강되어 절단날(112)(122)사이에 위치한 손,발톱을 절단하는 것이다.
이때의 상,하몸체(110)(120)의 탄력은 판스프링(140)에 의하여 받는다.
한편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6, 도 7a 및 도 7b에 의하여 도시된 잠금구조를 갖는다.
첨부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톱깎이의 잠금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7a및 도 7b는 도 6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누름판의 잠금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즉, 본 발명의 상기 누름판(130)은 양 측벽(131) 내측으로 제 1걸림구인 돌기(133)를 형성하고, 하부몸체(120)의 양 측벽(121) 외측에는 상기 돌기(133)에 대응하는 제 2걸림구 즉, 걸림홈(12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미사용시에는 누름판(130)을 눌러 누름판(130)의 내측 돌기(133)가 하부몸체(120)의 걸림홈(123)에 걸리도록 하게 되며, 그 상태에서는 누름판(130)을 포함한 상,하 몸체(110)(120)전체의 부피가 축소된다. 해제시에는 단지 누름판(130)의 파지부를 들어올려 걸림홈(123)에서 돌기(133)를 이탈시킨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상,하몸체(110)(120)에 탄력을 주기 위하여 누름판 대신 종래와 같은 상,하 탄성체의 탄력구조를 그대로 사용하는 회전식 누름판구조에 의하여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절단날을 갖는 상,하몸체 사이의 탄력발생구조를 변경하여 후단은 고정된 상태에서 선단부만 짧게 상하동 함으로써 몸체자체를 탄력발생구조로 하던 종래 손톱깎이에 비하여 탄성체의 탄성변형이 쉽게 발생하지 않으며, 탄성체의 교체가 가능하게 되었고, 이와같은 탄성체를 가진 상,하몸체사이에는 적은 힘으로도 쉽게 절단작용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수직축을 걸어올리기 위한 걸림구조와 지렛점(누름판의 상면 돌출부)이 한곳에 집중된 구조적 비합리성을 탈피하여 간단한 누름판의 회전구조로 인하여 보다 편리한 누름판 사용기능을 제공하며, 이로 인해 적은 힘으로도 절단이 이루어지는 누름구조를 제공하고, 종래 소형의 손톱깎이일수록 누름판 사용이 불안정하던 문제점도 개선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와 같이 하부몸체의 저부에 별개의 커버부재를 삽착하지 아니하더라도 상,하몸체의 측벽사이에 복착구조를 가짐에 의하여 자연적인 손톱 수집용 커버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 손톱깎이는 미사용시 누름판을 눌러 누름판을 포함한 상,하 몸체전체의 두께가 납작하게 되어 종래 손톱깎이 보다 휴대,보관상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손톱깎이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전단부에 절단날을 구비한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후단부에 탄성적으로 고정되고 전단부에 절단날을 구비한 하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의 전단부에 결합되고, 결합축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누름판을 포함하는 손톱깎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전단부측 상방이 개구부를 형성하고, 양측면은 상기 결합축과 연통하는 축공을 형성한 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의 개구부 폭은 상기 결합축에서 전단부사이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몸체의 탄력발생을 위하여 상기 상하몸체 사이에 판스프링을 개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몸체는 양측으로 각각 측벽을 형성하여 절단된 손톱등의 수용 공간(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의 양 측벽 내측에 제 1걸림구를 형성하고, 하부몸체의 양 측벽외측에는 상기 제 1걸림구에 체결되는 제 2걸림구를 각각 형성하여 보관시 부피 축소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이.
KR1019990037328A 1999-09-03 1999-09-03 손톱깎이 KR100342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650U KR200170804Y1 (ko) 1999-09-03 1999-09-03 손톱깎이
KR1019990037328A KR100342974B1 (ko) 1999-09-03 1999-09-03 손톱깎이
CN99122158A CN1286952A (zh) 1999-09-03 1999-10-28 指甲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328A KR100342974B1 (ko) 1999-09-03 1999-09-03 손톱깎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650U Division KR200170804Y1 (ko) 1999-09-03 1999-09-03 손톱깎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132A true KR20010026132A (ko) 2001-04-06
KR100342974B1 KR100342974B1 (ko) 2002-07-10

Family

ID=196099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328A KR100342974B1 (ko) 1999-09-03 1999-09-03 손톱깎이
KR2019990018650U KR200170804Y1 (ko) 1999-09-03 1999-09-03 손톱깎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650U KR200170804Y1 (ko) 1999-09-03 1999-09-03 손톱깎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0342974B1 (ko)
CN (1) CN12869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918B1 (ko) * 2001-03-22 2004-02-05 주식회사 쓰리쎄븐 손톱깎이
WO2006039840A1 (fr) * 2004-10-13 2006-04-20 Waiyip Wong Coupe-ongles
KR100839865B1 (ko) 2006-08-29 2008-06-19 한정식 손톱깎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6466A (en) * 1978-02-23 1979-09-10 Imao Ozaki Pattern forming apparatus by shirring of towel fab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0804Y1 (ko) 2000-03-15
CN1286952A (zh) 2001-03-14
KR100342974B1 (ko) 200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28541U (ja) 万能ナイフ
US5920963A (en) Rope fastener
US6336272B1 (en) Scissors structure
JPS5950463B2 (ja) ナイフ研削装置
US3316634A (en) Combination implement assembly
JP2024054384A (ja) 爪切り
US6425184B1 (en) Wet shaving razor having a blade assembly moveable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KR200170804Y1 (ko) 손톱깎이
KR101185848B1 (ko) 비산방지용 손톱깎이
US6735869B2 (en) Nail clipper
KR200369894Y1 (ko) 회전식 손톱깎기
JP2020058754A (ja) 刃折ケース
KR100416918B1 (ko) 손톱깎이
KR200294067Y1 (ko) 손톱깎이
KR200242057Y1 (ko) 손톱깎이
JP3098555U (ja) 爪切り
KR200369893Y1 (ko) 축이 없는 손톱깍기
JPS5827741Y2 (ja) ポケツトナイフ
KR200195565Y1 (ko) 손톱깎이
KR20000075322A (ko) 손톱깎이가 형성된 포켓툴
KR930004338Y1 (ko) 봉투개봉 겸용 테이프 컷터기
JP4377606B2 (ja) 爪切り
KR200163984Y1 (ko) 손톱깍기
GB2190321A (en) A folding knife
KR20000050725A (ko) 손톱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