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865B1 - 손톱깎이 - Google Patents

손톱깎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865B1
KR100839865B1 KR1020070054955A KR20070054955A KR100839865B1 KR 100839865 B1 KR100839865 B1 KR 100839865B1 KR 1020070054955 A KR1020070054955 A KR 1020070054955A KR 20070054955 A KR20070054955 A KR 20070054955A KR 100839865 B1 KR100839865 B1 KR 100839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nail
upper blade
lower blad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0456A (ko
Inventor
한정식
김경희
Original Assignee
한정식
김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식, 김경희 filed Critical 한정식
Priority to PCT/KR2007/00366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026832A1/en
Priority to EP07793323A priority patent/EP2056694A4/en
Priority to CN2007800013048A priority patent/CN101355887B/zh
Priority to JP2008552246A priority patent/JP2009524471A/ja
Priority to RU2008146411/12A priority patent/RU2401029C2/ru
Priority to BRPI0706633-3A priority patent/BRPI0706633A2/pt
Priority to US12/087,751 priority patent/US8001692B2/en
Publication of KR20080020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2Nail clippers or cutters
    • A45D29/023Nail clippers or cutters with retainers for nail clipp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7/00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으로 잡기에 적당한 길이를 가진 상하부 날체의 일 측에서 서로 마주보며 내측으로 숟가락 모양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의 일 측 단부에 서로 마주한 절단날이 형성되고 이 절단날과 인접하여 지지축홀이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오목부의 다른 일 측으로 탄성부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끝에서 접합하여 상하부 날체를 일체로 하고, 상기 상부 날체의 상부에 위치되고 지지축을 매개로 하부 날체와 상부 날체를 통해 연결되어 지레 작용을 하는 지렛대로 구성된 손톱깎이를 특징으로 한다.
손톱깎이, 오목부, 비산

Description

손톱깎이{Nail Clipper}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손톱깎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손톱깎이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변형 예로서,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의 테두리부 높이를 어긋나도록 한 손톱깎이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다른 변형 예로서, 하부 날체에만 숟가락형 오목부를 형성한 손톱깎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또 다른 변형 예로서, 상부 날체에만 숟가락형 오목부를 형성한 손톱깎이의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의 일 측으로 형성되는 절단날의 다양한 변형 예로서, 도 7은 절단날의 형상이 일자로 형성된 것이고, 도 8은 절단날의 형상이 손톱 단면 모양과 부합되는 아크형으로 형성된 것이고, 도 9 는 절단날이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된 것이고, 도 10은 절단날의 형상이 한쪽으로 경사지며 뾰족하게 형성된 손톱깎이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손톱깎이 20 : 상부 날체
22, 32 : 절단날 24, 34 : 지지축홀
26, 36 : 오목부 28, 38 : 볼록부
30 : 하부 날체 40, 50,: 테두리부
42 : 돌기 44, 54 : 탄성부
60 : 지지축 62 : 훅,
63 : 플랜지 70 : 지렛대
72 : 훅걸이 74 : 지레받침부
80 : 스폿 용접
삭제
삭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손톱 및 발톱을 깎는데 사용하는 손톱깎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단날이 형성된 상하부 날체의 일 측에서 각각 내측으로 숟가락처럼 오목한 모양의 오목부를 형성하여, 손톱을 자르는 순간 상하 오목부가 닫히게 되어 비산되는 손톱을 차단하고 잘린 손톱을 수거하는 손톱깎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부 날체의 일 측에서 절단날과 연이어 숟가락의 안쪽 면처럼 완만한 곡면의 오목부를 형성한 것으로서 냉간 소성가공(Cold Plastic Forming)이 용이하고, 이 오목부는 외측으로는 볼록한 돔 형태를 이루고 있어 역학적인 관점에서 지렛대가 상부 날체를 누르는 응력을 전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포시켜 응력(Stress)에 대한 내구력이 증가하고, 이로써 엷은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이 오목부를 제외한 다른 부위에서는 보다 유연한 탄성을 제공할 수 있는 손톱깎이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우선 본 발명에 이르기까지 검토한 종래기술을 보면 일반적으로 손톱깎이는, 손으로 잡기에 적당한 길이를 갖는 평면의 금속 판재 일단에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의 일 측에 서로 마주하는 절단날이 형성되고, 이 절단날과 인접하여 지지축홀이 형성되고 타측이 스폿 용접으로 접합되고, 상기 상부 날체의 상부에 위치되어 지지축을 매개로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를 통해 연결되어 지레 작용을 하는 지렛대가 구성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은 경우 손톱을 자르는 절단날은 약 35 °~ 45 °각도의 웨지(Wedge)로 이루어져 손톱을 자르는 순간 잘린 손톱이 비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별도의 커버(Cover)를 고안하여 실용화된 기술들이 여러 가지가 있다.
별도의 커버가 아닌 날체와 일체화된 비산방지벽을 형성한 선행기술로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2001.11. 12) 제255093호와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소 57- 176804는 상하부 날체 중 어느 한 측면을 연장 절곡하여 측방을 차단함으로써 비산방지벽을 형성하여 손톱을 깎을 시 측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막도록 하였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35633호와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48-020681, 소 48-083176, 소 48-020683, 소 57-027204, 소 46-009067등과 대한민국 특허등록제 342974호와 미국특허 제1,849,592호, 4,731,927호, 5,072,511호 등이 손톱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날체 및 하부 날체의 측면에 비산방지벽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 개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에 일체로 형성된 비산방지벽의 경우, 비산방지벽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의 양측을 연장하여 형성함으로써 재료가 연장된 만큼 재료비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손톱깎이 재료로 사용되는 강재의 기본 물성은 절단날의 내구성이 유지되도록 높은 경도를 가질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해야 하고, 상하부 날체의 두 금속재가 유연한 탄성(Resilient)을 가지며 절단날이 물리기도 하고 벌어지기도 하여 사용에 힘이 들지 않고 부드러워야 한다. 그러나 고경도(High Hardness)의 물성을 가지면 강성(Rigidity)이 커져 유연성(Flexibility)이 크게 저하된다. 기존에 사용되는 고경도 열처리용 스테인리스 재는 직각 벤딩(절곡)시 벤딩부의 끝이 터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직각으로 절곡된 부재의 경우 탄성이 거의 없다. 또한, 비산방지벽을 날체 길이의 중간부 정도까지 오도록 하는 것은 후방부가 뚫리게 되어 사용시 잘린 손톱의 일부가 비산하게 되고, 비산방지벽을 날체의 접합부까지 길게 오도록 하면 날체에 탄성이 없어지게 되어 실제 제조 및 사용상의 문제로 인해 선행 기술의 개시가 40년이 넘은 지금까지도 상품화된 것을 찾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손톱을 자르는 순간 손톱의 비산 방지 및 수거를 위한 것이나, 종래처럼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가 있는 양측을 연장하여 별도로 직각 절곡에 의한 비산방지벽을 형성한 것이 아니라, 판재를 숟가락처럼 오목부가 형성되도록 성형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오목부의 한쪽에는 절단날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에는 판형으로 연장되어 손잡이를 겸하는 탄성부가 되도록 한 것을 상하에서 오목부를 마주보게 하여 접합 또는 하나로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여, 손톱을 자르는 순간 상하 오목부가 닫히게 되어 비산되는 손톱을 차단하고 이를 일시적으로 담아둘 수 있는 수거용기의 역할을 하는 손톱깎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의 오목부는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재료 두께를 줄여 제조 원가를 줄이는 것이다.
상기 오목부가 프레스공정에 의한 냉간 소성가공 시 직각으로 절곡되는 것보다 무리 없이 자연스레 성형 될 수 있음은 물론, 역학(力學)적인 측면에서 이 오목부는 외측에서 보면 볼록한 돔 형태를 이루고 있음으로 지렛대가 상부 날체를 누르는 응력(應力)을 전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포시킬 수 있어 양측 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비산방지벽보다 월등히 우수한 응력(Stress)에 대한 내구력을 지니게 된다.
하부 날체의 오목부도 이와 마찬가지로 외측에서 보면 볼록한 돔 형태를 이 루고 있음으로 지지축의 플랜지가 당기는 응력을 마치 돔과 같이 전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포시킬 수 있어 응력(Stress)에 대한 내구력이 직각 절곡된 비산방지벽보다 월등히 우수하다.
따라서 손톱깎이의 상부 날체 위에서 지렛대로 누름 작동을 하는데 따른 내구력이 월등히 커짐에 따라 기존에 사용하던 금속판재의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더욱 유연한 탄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의 측면을 연장하여 직각 절곡한 비산방지벽을 형성한 것은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의 틈을 없애기 위하여 되도록 상하 날체를 접합한 부위 가까이 까지 직각 절곡부를 형성하게 되며, 이는 강성부(Rigid Part)를 의미하며 탄성에 이용되는 부위를 극도로 줄여 주게 되어 부드러운 탄성이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좁은 부위에서 응력이 집중되어 파손되기 쉽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손톱의 비산 방지를 위한 오목부는 절단날로부터 인접한 일부로 한정하며 그 나머지는 평탄하게 이루어진 탄성부 및 접합부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시 유연한 탄성을 가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손톱깎이는, 손으로 잡기에 적당한 길이의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의 한쪽 끝에 서로 마주하는 절단날을 형성하고 다른 쪽 끝을 서로 접합하여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에 형성되는 절단날이 손톱 절단시 볼록한 곡선을 가진 모양으로 잘리게 하는 형상, 손톱의 절단이 일자형으로 잘리게 하는 형상, 손톱 단면의 아크 모양과 부합되는 아크형으로 된 형상,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된 형상, 한쪽으로 경사지며 뾰족한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의 전단날과 인접하여 각각의 지지축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날체의 상부에 위치되고 지지축을 매개로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의 지지축홀을 통해 연결되어 지레 작용을 하는 지렛대로 구성된 손톱깎이에 있어서, 상기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의 절단날이 형성된 한쪽에서 서로 마주하여 내측에 숟가락처럼 오목하게 오목부를 형성하여 상기 오목부에 의해 외측으로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로부터 판형의 탄성부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에 의해 테두리부를 형성하여 상기 오목부와 테두리부에 의해 형성된 내측 공간에 잘린 손톱을 담아두는 수거용기 역할과 함께 상기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볼록부가 지렛대에 의해 누르는 응력을 전 방향으로 분포시켜 구조적 강성을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 중 어느 하나의 날체에 택일적으로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하부 날체에 형성된 오목부의 테두리부는 이와 연장된 탄성부와 높이 편차 없이 동일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디자인 측면이나 제품생산 기술적인 문제를 감안하여 상하부 날체에 형성된 오목부의 테두리부가 평탄한 탄성부와 높이 편차를 갖도록 하여 상하 중 어느 일 측의 테두리부가 연장되어 다른 일 측의 테두리부 내로 들어가 서로 겹치거나, 상하 오목부의 테두리부의 만남이 상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부 날체가 만나는 높이와 오목부의 테두리가 만나는 높이가 서로 어긋나도록 하여 손톱 비산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의 절단날이 맞물려 손톱이 잘릴 때 오목부에 형성되는 테두리부가 서로 밀착되지 않고 상대편 날체와 근접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1실시 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며,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손톱깎이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0은 본 발명의 손톱깎이 전체를 도시한 것으로, 손톱깎이(10)는 크게 상부 날체(20)와 하부 날체(30), 지지축(60)과 지렛대(7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날체(20)와 하부 날체(30)는 손으로 잡기에 적당한 길이를 갖고, 상부 날체(20)와 하부 날체(30)의 일 측에서 서로 마주하여 내측으로 숟가락처럼 오목한 모양의 오목부(26)(36)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6)(36)의 한쪽에는 오목부(26)(36)와 연이어 서로 마주하는 절단날(22)(3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오목부 (26)(36)에는 절단날(22)(32)과 인접하여 지지축홀(24)(34)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26)(36)의 다른 한쪽에는 평탄한 손잡이 역할을 하는 탄성부(44)(54)를 이루고, 각각의 오목부(26)(36)가 내측으로 향하도록 마주보게 하여 탄성부(44)(54)의 일단을 스폿 용접(80) 또는 하나로 이루어지게 한 한 쌍의 상부 날체(20)와 하부 날체(3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날체(30)의 지지축홀(34)을 관통하여 지지축(60)의 플랜지(63)에 의해 걸림되고 상부 날체(20)의 지지축홀(24)을 관통한 지지축(60)은 지레 작용을 하는 지렛대(70)와 결합 구성되어 상기 상부 날체(20)의 볼록부(28)에 위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손톱깎이(10)는 도 3a와 같은 상태에서 도 3b에서와 같이 지렛대(70)를 눌러 손톱을 자르는 순간 상하 오목부(26)(36)에 의해 형성된 테두리(40)(50)가 닫히면서 비산되는 손톱을 차단하고, 오목부(26)(36)에 의해 형성된 내측 공간은 잘린 손톱을 일시적으로 담아둘 수 있는 수거용기의 역할을 한다.
상기 지렛대(70)는 훅걸이(72)가 이 지지축(60)에 형성된 훅(62)에 걸려져 결합된다.
도면 중 설명부호 74는 지렛대(70)의 훅걸이(72)에 인접하여 형성된 지레받침부이고, 42는 상부 날체(20)의 볼록부(28) 상부에 형성된 돌기를 도시한 것으로 지레 받침부를 정위치 시키기 위한 것이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a에 도시된 상부 날체(20)와 하부 날체(30)에 형성된 오목부(26)(36)의 테두리부(40)(50)는, 상부 날체(20)와 하부 날체(30)의 탄성부(44)(54)와 높이의 편차 없이 일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디자인 측면이나 생산기술의 이유로 약간의 변형이 주어져 오목부(26)(36)의 테두리부(40)(50)가 연장되어 테두리의 일부가 겹치거나, 상하 오목부(26)(36)의 테두리부(40)(50)의 만남이 상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 예에서 상부 날체(20)와 하부 날체(30)의 일단을 스폿 용접(80)에 의해 접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인 리벳 접합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상부 날체(20)와 하부 날체(30)를 일체로 하여 굽힘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렛대(70)는 금속 또는 고강도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지지축(60) 또한 금속 또는 고강도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부 날체(20)와 하부 날체(30)는 프레스가공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오목부(26)(36) 역시 프레스에 의한 냉간 소성가공에 의해 형상이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날체(20)와 하부 날체(30)의 재료는 열처리에 의해 경도가 HRc 50정도 또는 그 이상 유지될 수 있는 스테인리스스틸 또는 탄소강재가 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부드러운 곡면을 가진 오목부(26)(36)는 외측에서 볼 때 돔 형태를 이루는 볼록부(28)(38)를 형성함에 따라 지렛대(70)가 지지축(60)을 당기면 상부 날체(20)를 누르는 응력을 전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포시킬 수 있어 구조적 강성이 대폭 향상됨에 따라 평면 또는 양 측면이 직각으로 꺾인 판재보다 응력에 대 한 내구력이 월등히 높아지고 이에 따라 손톱깎이 상부 날체(20)의 위에서 지렛대(70)로 누름 작동을 하는데 따른 내구력도 월등히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은 장점으로 하여 기존에 사용하던 금속판재의 두께를 획기적으로 줄여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두께감소에 따라 평탄하게 이루어진 탄성부(44)(54)가 더욱 부드러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과 같이 지렛대(70)가 상부 날체(20)에 포개진 상태에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렛대(70)를 세워 손톱을 깎을 준비를 한다. 이후 지렛대(70)를 누르게 되면, 도 3b와 같이 지지축(60)과 지레받침부(74)의 지레 작용에 의해 상하부 날체(20)(30)가 가동하여 절단날(22)(32)이 물림되어 손톱을 자르게 되며, 이때 오목부(26)(36)의 테두리부(40)(50)가 서로 근접하게 되어 잘린 손톱의 비산이 방지되고 동시에 오목부(26)(36)내에 모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 절단날(22)(32)이 맞물려 손톱이 잘릴 때 상하 테두리(40)(50)가 서로 밀착되지 않고 근접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 절단날(22)(32)이 만나는 높이와 상하부 날체(20)(30)의 오목부(26)(36)의 테두리부(40)(50)가 만나는 높이가 서로 어긋나도록 하여 손톱 비산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날체(20)(30)의 테두리(40)(50)가 만나는 중심높이(h2)를 상하 절단날(22)(32)이 만나는 높이(h1)보다 높게 형성한 것이다.
도 4와 같이 구성된 손톱깎이(10)의 경우 상하 절단날(22)(32)이 만나는 높이보다 하부 날체(30)의 오목부(36)의 테두리부(50) 높이를 높게 형성함으로써 상하 절단날(22)(32)이 손톱을 자를 때 절단된 손톱이 하부 날체(30)의 오목부(36) 내로 비산될 확률이 높아 보다 안정된 상태로 손톱의 비산을 막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 날체(20)와 하부 날체(30)의 절단날(22)(32)이 서로 만나는 높이와 오목부(26)(36)의 테두리(40)(50)가 서로 근접하는 높이의 중심이 서로 높이를 달리하도록 함으로써 손톱을 절단시 오목부(26)(36)의 테두리(40)(50)에 약간의 틈이 있더라도 잘린 손톱이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도 5는 도 1의 다른 변형 예로서, 하부 날체에 숟가락형 오목부를 형성한 손톱깎이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손톱깎이(10)를 구성하는 상부 날체(20)와 하부 날체(30) 중, 하부 날체(30)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오목부(36)를 형성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부 날체(30)에만 오목부(36)를 형성할 때 오목부(36)의 테두리부(50)와 평평한 형상의 상부 날체(20)의 저면에 근접되어 손톱을 자를 때 잘린 손톱은 하부 날체(30)의 오목부(36) 내로 비산되어 손톱의 비산을 방지하게 되고 동시에 잘린 손톱은 오목부(36)에 수거되게 된다.
도 6은 도 1의 또 다른 변형 예로서, 상부 날체에만 숟가락형 오목부를 형성한 손톱깎이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손톱깎이(10)는 상부 날체(20)와 하부 날체(30) 중, 상부 날체(20)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오목부(26)를 형성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부 날체(20)에만 오목부(26)를 형성할 때 오목부(26)의 테두리부(40)와 평평한 형상의 하부 날체(30)의 상면에 근접되어 손톱을 자를 때 잘린 손톱은 상부 날체(20)의 오목부(26) 내로 비산되어 손톱의 비산을 방지하게 되고 잘린 손톱은 하부 날체(20)의 상면에 일시적으로 모여 있다가 바닥으로 버려지게 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절단날(22)(32)의 형상은 손톱 절단시 절단된 손톱이 볼록한 곡선을 가진 모양으로 잘리게 한 절단날(22)(32)로 구성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절단날의 다양한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절단날(22a)(32a)의 형상이 일자로 형성된 손톱깎이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통해 손톱을 자르면 손톱이 일자로 잘라진다.
도 8은 절단날(22b)(32b)의 형상이 손톱 단면 모양과 부합되는 아크형으로 형성된 손톱깎이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손톱을 절단시 절단날(22b)(32b)의 형상이 손톱의 단면과 유사하여 일반 손톱깎이처럼 가운데는 누르고 양단은 들어올리는 무리가 없어 보다 안정되고 부드럽게 손톱을 자를 수 있다.
도 9는 절단날(22c)(32c)의 형상이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된 손톱깎이이고, 도 10은 절단날(22d)(32d)의 형상이 한쪽으로 경사지며 뾰족하게 형성된 손톱깎이를 예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손톱깎이는 절단날을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손톱깎이는, 종래처럼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의 양 측면을 연장하여 별도로 직각 절곡에 의한 비산방지벽을 형성하지 않고도, 손톱을 자르는 순간 상하 오목부가 닫히면서 비산되는 손톱을 차단하고 이를 일시적으로 담아둘 수 있는 수거용기의 역할을 하는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된 오목부는 프레스공정에 의한 냉간 소성가공시 직각으로 절곡되는 것보다 무리 없이 성형되어 공정이 간편하고 쉽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역학적인 측면에서 오목부는 외측에서 보면 볼록한 돔 형태를 이루어 지렛대가 상부 날체를 누르는 응력을 전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포시킬 수 있어 양측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종래의 비산방지벽보다 월등히 우수한 응력에 대한 내구력을 가지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두께를 감소시킬 경우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의 탄성부에서 보다 유연한 탄성을 제공함은 물론 재료의 두께를 감소시켜 제조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손으로 잡기에 적당한 길이의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의 한쪽 끝에 서로 마주하는 절단날을 형성하고 다른 쪽 끝을 서로 접합하여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에 형성되는 절단날이 손톱 절단시 볼록한 곡선을 가진 모양으로 잘리게 하는 형상, 손톱의 절단이 일자형으로 잘리게 하는 형상, 손톱 단면의 아크 모양과 부합되는 아크형으로 된 형상,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된 형상, 한쪽으로 경사지며 뾰족한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의 전단날과 인접하여 각각의 지지축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날체의 상부에 위치되고 지지축을 매개로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의 지지축홀을 통해 연결되어 지레 작용을 하는 지렛대로 구성된 손톱깎이에 있어서,
    상기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의 절단날이 형성된 한쪽에서 서로 마주하여 내측에 숟가락처럼 오목하게 오목부를 형성하여 상기 오목부에 의해 외측으로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로부터 판형의 탄성부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에 의해 테두리부를 형성하여 상기 오목부와 테두리부에 의해 형성된 내측 공간에 잘린 손톱을 담아두는 수거용기 역할과 함께 상기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볼록부가 지렛대에 의해 누르는 응력을 전 방향으로 분포시켜 구조적 강성을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 중, 어느 하나의 날체에만 숟가락처럼 오목한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이.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에 형성된 오목부의 테두리부는 길이방향으로 평탄한 탄성부와 높이 편차 없이 일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에 형성된 오목부의 테두리부가 길이방향으로 평탄한 탄성부와 높이 편차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이.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날체와 하부 날체의 절단날이 서로 만나는 높이와 오목부의 테두리가 서로 근접하는 높이의 중심이 서로 높이를 달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이.
KR1020070054955A 2006-08-29 2007-06-05 손톱깎이 KR100839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7/003668 WO2008026832A1 (en) 2006-08-29 2007-07-31 Nail clipper
EP07793323A EP2056694A4 (en) 2006-08-29 2007-07-31 nail clippers
CN2007800013048A CN101355887B (zh) 2006-08-29 2007-07-31 指甲刀
JP2008552246A JP2009524471A (ja) 2006-08-29 2007-07-31 爪切り
RU2008146411/12A RU2401029C2 (ru) 2006-08-29 2007-07-31 Книпсер для ногтей
BRPI0706633-3A BRPI0706633A2 (pt) 2006-08-29 2007-07-31 cortador de unhas
US12/087,751 US8001692B2 (en) 2006-08-29 2007-07-31 Nail clip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020 2006-08-29
KR20060082020 2006-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456A KR20080020456A (ko) 2008-03-05
KR100839865B1 true KR100839865B1 (ko) 2008-06-19

Family

ID=39395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955A KR100839865B1 (ko) 2006-08-29 2007-06-05 손톱깎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001692B2 (ko)
EP (1) EP2056694A4 (ko)
JP (1) JP2009524471A (ko)
KR (1) KR100839865B1 (ko)
CN (1) CN101355887B (ko)
BR (1) BRPI0706633A2 (ko)
RU (1) RU2401029C2 (ko)
WO (1) WO20080268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630B1 (ko) * 2009-10-09 2012-05-03 김경희 경사곡선날형 손톱깎이 날체의 제조방법과 그로부터 만들어진 날체 및 그러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
US20110095221A1 (en) * 2009-10-26 2011-04-28 Gabriel Gavril Exhaust brake valve assembly
RU2628743C1 (ru) * 2016-06-09 2017-08-21 Радик Закариевич Хузин Контейнер ногтерезки
USD813460S1 (en) * 2016-07-06 2018-03-20 Green Bell Co., Ltd. Nail clipper
USD848074S1 (en) * 2017-06-23 2019-05-07 Royal Metal Industrial Co., Ltd. Combined nail clipper and magnifying glass
JP1617785S (ko) * 2017-07-07 2018-11-12
KR102097916B1 (ko) 2019-08-30 2020-04-06 이영근 푸쉬형 손발톱깎기
USD979845S1 (en) * 2020-03-03 2023-02-28 Royal Metal Industrial Co., Ltd Nail clipper
USD937488S1 (en) * 2020-10-05 2021-11-30 Jonathan R. Barnes Pair of nail clipper handl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5386U (ko) 1978-03-29 1979-10-09
KR200217597Y1 (ko) 2000-08-10 2001-03-15 김경환 손톱깍이
KR200350238Y1 (ko) 2004-01-13 2004-05-13 김영표 수납함을 갖는 케이스가 삽탈되는 손톱깍기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31357C (de) 1931-04-24 1931-08-08 Paul Schoenfel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it einem gesondert angefertigten Rand versehenen Strumpfes
US2179435A (en) * 1938-03-21 1939-11-07 Paul H Smith Nail clipper
US2774138A (en) * 1954-09-03 1956-12-18 Dwight M Gowdey Nipper
US3169312A (en) * 1963-03-25 1965-02-16 Charles H Fink Guard for nail clipper
US3744131A (en) * 1970-10-14 1973-07-10 L Manes Nail clipper with receiver for nail clippings
JPS515832B2 (ko) 1971-08-23 1976-02-23
JPS5339473B2 (ko) 1972-02-12 1978-10-21
JPS498181A (ko) 1972-05-10 1974-01-24
JPS5247250B2 (ko) 1973-03-20 1977-12-01
JPS51119970A (en) 1975-04-11 1976-10-20 Sony Corp Method of connecting leadless electronic parts
GB1522039A (en) 1975-11-27 1978-08-23 Ciba Geigy Ag Method of producing reinforced plastics material
JPS5269372A (en) * 1975-12-07 1977-06-09 Seiichi Okuhara Twoocolor thermometer
JPS5910786B2 (ja) 1978-01-23 1984-03-12 ハウス食品工業株式会社 カレ−、シチユ−、ソ−ス等の加工食品用ブラウンル−の製造法
US4130937A (en) * 1978-02-10 1978-12-26 Kim Young M Nail clipper
JPS5812949B2 (ja) 1978-02-27 1983-03-10 東レ・テキスタイル株式会社 フラノ調起毛編地の製造方法
JPS5727204A (en) 1980-06-12 1982-02-13 Bayer Ag Optical communication cable
US4380120A (en) * 1981-02-09 1983-04-19 Hannon William B Nail clipping retainer
JPS57176804A (en) 1981-04-24 1982-10-30 Fujitsu Ltd Delay element
JPS59188007A (ja) * 1983-03-10 1984-10-25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US4574475A (en) 1984-08-29 1986-03-11 James M. Greentree Nail clipper with cut nail retaining means
US4614031A (en) * 1985-06-03 1986-09-30 Chen Steve Y Nail clipper
US4640011A (en) * 1985-07-30 1987-02-03 The W. E. Bassett Company Nail clipper
US4731927A (en) 1986-09-11 1988-03-22 Wilson Douglas B Nail clipper and holder
CA1288644C (en) 1987-02-26 1991-09-10 Noriyuki Yoshida Oxide superconductiv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5273954A (en) 1987-08-20 1993-12-28 Fukami Patent Office Method for forming superconducting ceramics elongated body
US4776090A (en) * 1987-10-13 1988-10-11 Grassi Mario R Nail clipper catcher
US4809431A (en) * 1987-11-03 1989-03-07 Idema Stanley D Nail clipping device
US5072511A (en) 1989-08-22 1991-12-17 Ro Abraham E Nail clipper
US5010644A (en) * 1989-10-26 1991-04-30 Goench Mahmut I Nail clipping encompassing container to retain nail clippings
US5063666A (en) * 1991-05-30 1991-11-12 Tsay Jaw Shiunn Nail clipper
FR2700674A1 (fr) * 1993-01-28 1994-07-29 Monteiro Arthur Outil servant à couper les ongles avec dispositif de rétention des déchets.
US5522136A (en) * 1994-10-03 1996-06-04 Larisey; William Nail clipper
US5537747A (en) * 1995-06-19 1996-07-23 Industrial Tool & Die Company, Inc. Nail clipping apparatus
US5653024A (en) * 1995-11-27 1997-08-05 Cartagenova; Joshua Victor Clean catch nail system
JPH1085032A (ja) 1996-09-18 1998-04-07 Seigo Uchiyama 爪切り具
US5983498A (en) * 1996-10-18 1999-11-16 Lieberman; Christopher E. Nail clipper with receptacle
JPH10276833A (ja) 1997-04-04 1998-10-20 Kazuyuki Kato 爪切り
US5832610A (en) * 1997-06-09 1998-11-10 Chaplick; Frank G. Nail clipper and receptacle assembly
US5881461A (en) * 1997-06-14 1999-03-16 Schwartz; Stanford Nail cutter/clipper for treating ingrown nails and hang nails and/or preventing ingrown nails
KR200170804Y1 (ko) 1999-09-03 2000-03-15 대성금속공업주식회사 손톱깎이
US6702820B2 (en) * 2000-10-24 2004-03-09 John B. Mazur Surgical cutting instrument having concative jaw tips
CN2464140Y (zh) * 2001-02-28 2001-12-12 汪显文 新型指甲刀
KR200255093Y1 (ko) 2001-06-01 2001-12-13 최봉규 튐 방지판을 갖는 손톱깎이
USD486943S1 (en) * 2001-07-09 2004-02-17 Threeseven Corporation Nail clippers
JP4377606B2 (ja) * 2003-04-18 2009-12-02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爪切り
JP2005007119A (ja) 2003-06-18 2005-01-13 Yoshimori Toda 2方向に弧形の刃をもった爪切り
KR200335633Y1 (ko) 2003-07-28 2003-12-11 박동철 손톱 비산방지용 손톱깎이
JP2005074135A (ja) 2003-09-03 2005-03-24 Yukio Naka 爪切等の切断刃
CN2650587Y (zh) * 2003-11-03 2004-10-27 李晓峰 可收集指甲的指甲刀
CN2667950Y (zh) * 2003-11-28 2005-01-05 皇崟实业股份有限公司 指甲剪
US20080060200A1 (en) * 2006-09-08 2008-03-13 Byung Kwon Cha Nail clipper with catching side wall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5386U (ko) 1978-03-29 1979-10-09
KR200217597Y1 (ko) 2000-08-10 2001-03-15 김경환 손톱깍이
KR200350238Y1 (ko) 2004-01-13 2004-05-13 김영표 수납함을 갖는 케이스가 삽탈되는 손톱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24471A (ja) 2009-07-02
RU2008146411A (ru) 2010-05-27
CN101355887B (zh) 2011-02-02
EP2056694A1 (en) 2009-05-13
RU2401029C2 (ru) 2010-10-10
WO2008026832A1 (en) 2008-03-06
US20080313908A1 (en) 2008-12-25
BRPI0706633A2 (pt) 2011-04-05
US8001692B2 (en) 2011-08-23
CN101355887A (zh) 2009-01-28
KR20080020456A (ko) 2008-03-05
EP2056694A4 (en)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865B1 (ko) 손톱깎이
USD568473S1 (en) Skin care device
US8105341B2 (en) Suture removal device
USD589619S1 (en) Scalpel handle for left handed
USD947604S1 (en) Knife handle
USD590062S1 (en) Scalpel handle for right handed
USD516244S1 (en) Shaver handle
US20120198707A1 (en) Cutlery Implement with Release Bumps
USD581532S1 (en) Laryngoscope blade
USD903954S1 (en) Pet nail clipper
USD852420S1 (en) Nail clipper
USD563735S1 (en) Cutlery set
USD1004865S1 (en) Ultrasonic cleaner
USD554428S1 (en) Multi-positional knife handle
USD495568S1 (en) Shovel tip
US5881461A (en) Nail cutter/clipper for treating ingrown nails and hang nails and/or preventing ingrown nails
USD980684S1 (en) Knife handle
USD496059S1 (en) Loupe
KR100736147B1 (ko) 니퍼용 탄성날체 및 이를 이용한 니퍼
CN210184831U (zh) 可更换刀片和具有指甲收纳功能的指甲钳
USD1023073S1 (en) Wear member
USD981048S1 (en) Nail clipper
USD979845S1 (en) Nail clipper
KR101887634B1 (ko) 마이크로 커터형 각질제거판 및 각질제거기
KR200388723Y1 (ko) 손톱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