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5581A - 공개형 추첨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개형 추첨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5581A
KR20010025581A KR1020010001055A KR20010001055A KR20010025581A KR 20010025581 A KR20010025581 A KR 20010025581A KR 1020010001055 A KR1020010001055 A KR 1020010001055A KR 20010001055 A KR20010001055 A KR 20010001055A KR 20010025581 A KR20010025581 A KR 20010025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ttery
ticketing
event
open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윤
김양혁
이은영
Original Assignee
김양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혁 filed Critical 김양혁
Priority to KR1020010001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5581A/ko
Publication of KR20010025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581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케팅 목적으로 시행되는 경품행사의 추첨이 응모자 시각에서 투명하고 공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추첨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응모자에게 일련번호와 응모시간을 사전에 설정된 규칙에 따라 공개적으로 부여하고, 이를 추첨의 기초로 삼는다. 일련번호와 응모시간을 적절히 사용하면 추첨방법을 사전에 구체적으로 공개하는 것이 가능하며, 행사진행 상황과 절차에 대한 정보도 공개하고, 당첨이 응모의 마감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결정되고 공개하도록 하는 추첨시스템 및 방법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추첨시스템의 작동은 응모자들이 행하는 티켓입력, 쿠폰입력, 버튼 누르기, 생체인식 정보제공 등의 응모행동에 대해 순차적으로 일련번호와 응모시간을 부여하고, 응모자 모두가 이해할 수 있는 추첨알고리즘을 구성하여 공개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 시스템과 방법은 경품, 복권 등의 추첨 절차와 결과에 대한 의구심을 제거하는 한편, 다양한 추첨규칙의 채택을 통해 응모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이미 개발되어 있는 투명하고 공정한 온라인 추첨기법들과 결합하여, 장기간 진행되는 오프라인 경품행사나 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진 여러 장소에서 동시에 개최되는 행사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통합 추첨솔루션이 된다.

Description

공개형 추첨 시스템 및 방법{The open draw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투명하고 공정한 온라인 추첨방법을 오프라인으로 까지 확대적용하기 위한 추첨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백화점이나 운동경기장과 같이 현장에서 직접 응모하지만(우편 등 제외) 응모자의 정확한 수나 특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설득력을 갖기 힘든 경품추첨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수행하는 절차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프라인상의 추첨은 온라인에 비해 훨씬 어렵다. 온라인상의 추첨은 추첨대상의 리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순차적으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등 각종 조작이 가능하나, 오프라인의 경우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주일간의 세일기간 후 상품구매 고객 중의 일부를 추첨해 상품을 주는 행사가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시행되고 있다고 가정하자.
온라인 쇼핑의 경우 구매자의 특성 및 구매행동에 관한 상세한 정보가 응모정보와 연결되며, 상기 정보들을 활용해 투명하고 공정한 추첨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첨방법과 규칙을 대상자에게 사전에 구체적으로 공개하고, 행사진행 과정과 당첨가능성 및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당첨번호를 행사 마감과 동시에 결정하여 자동적으로 응모자에게 통고하고, 응모자들이 절차와 결과의 정확성을 손쉽게 검증해 볼 수 있게 하는 다양한 추첨방법이 제시되고 있다(자동화 및 검증 가능한 추첨방법 : 출원번호 10-2000-0063056). 뿐만 아니라 이를 즉석추첨에 적용하는 방법(투명하고 공정한 즉석 추첨시스템 및 그 방법 : 출원번호 10-2000-0065672), 로또에 응용하는 방법(인터넷상의 로또추첨 시스템 및 그 방법 : 출원번호 10-2000-0065671)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오프라인 쇼핑의 경우 상기 온라인 추첨시스템과 방법 중 어느 하나도 구현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한 백화점이 일주일간의 사은세일 행사를 하고 일정금액이상을 구입한 고객에게 응모권을 주었다고 하자. 이때 상기 온라인의 추첨시스템 즉 추첨규칙의 상세공개, 행사진행 과정에 대한 정보 제공, 실시간 추첨 및 통고, 절차 및 결과 검증 등의 투명하고 공정한 추첨규칙을 적용할 방법은 현재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오프라인에서의 추첨은 대개의 경우 모든 응모권을 수거해 하나의 통속에 넣고 응모권을 하나씩 끄집어내는 방법을 쓰고 있다. 이런 방법의 추첨은 절차의 대부분이 응모자에게 공개되지 않고 있으며, 할 수도 없다는 면에서 원초적 한계점을 갖고 있다. 물론 주택복권 같은 경우에는 그 과정과 방법을 텔레비전과 같은 대중매체를 통해 중개하여 투명성과 공정성을 확보하려 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극소수의 행사만이 누릴 수 있는 혜택일 뿐이며, 이런 경우에도 대상자들은 확률 판단의 기초가 되는 판매상황 등에 대해서 전혀 알 수 없고 추첨을 통해 뽑힌 번호만 알 수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은 현재는 온라인 상에서만 가능한 투명하고, 공정하며, 재미있는 추첨방법과 절차를 응모자가 직접 현장에서 응모하는 운동경기, 판매 촉진행사, 공연, 전시회 등의 다양한 오프라인 행사에도 확대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오프라인 행사의 추첨은 입회형과 공개형으로 대별된다. 입회형은 상업적인 경품마케팅 행사에서 많이 쓰이는 것으로 통속에 들어있는 응모권 중에서 소정의 수를 끄집어내는 방법이며, 중립적인 인사를 참고인으로 입회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입회형 행사의 경우 입회인이 엄정관리를 한다해도 응모로 부터 발표 및 경품전달까지의 전체 절차 중 추첨단계만을 입회하고 관찰 할 수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
공개형은 복권이나 로또 등에서 쓰이는 것으로 과녁에 화살을 쏘거나 회전통에서 숫자가 적힌 공을 배출하는 등의 방법을 쓰며, 텔레비전과 같은 대중매체를 통해 추첨절차를 공개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 방법은 상대적으로 더 투명해 보이기는 하나 행사진행과정 중 사용자들이 참여하거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여지가 없다. 예를 들어 전체복권 중 10%만이 판매되었다 하더라도 추첨은 100% 모두 판매된 것처럼 진행되며, 당첨자가 없어도 공개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추첨은 복권구매자 중심이 아니라 발권자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당첨번호에 해당하는 당첨자의 존재 여부도 불분명하다. 더우기 특수한 극소수의 행사가 아니면 텔레비전 방송국 등 대중 영상매체의 협조를 기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누구나 이해할 수 있으면서도 공정성이 보장되며,
추첨규칙을 사전에 공개할 수 있는 오프라인 상의 추첨 시스템 및 그 방법 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응모자에게 응모와 동시에 일련의 응모번호를 순차적으로 부여하여, 행사의 진행상황을 수시로 점검해 볼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과정을 공개하는 추첨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당첨기회를 부여하고 다양한 추첨방법을 적용해 응모자가 행사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추첨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행사의 전개와 추첨규칙을 연계해 행사진행에 따라 당첨자가 변화하거나 증가하게 하며, 행사 종료와 동시에 추첨결과가 자동적으로 모든 응모자에게 공개 되도록 하는 추첨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추첨시스템은 행사현장에서 직접 응모하거나 또는 컴퓨터나 휴대폰등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행사에 응모하는 다수의 클라이언트와; 응모한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응모권 번호와 시간을 부여하는 발권단말과; 상기 발권단말이 출력한 정보를 추첨서버로부터 받아 그 내용을 제시하는 공개단말과; 상기 상황을 온라인으로 연결시켜주는 인터넷과; 추첨 전 과정을 총괄하는 추첨서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이 온라인 추첨과 오프라인 추첨 모두에 적용 가능하며 통합적인 운영도 가능하나 온라인 추첨에 대하여는 기존에 출원되어 있는 특허들(자동화 및 검증 가능한 추첨 시스템 및 그 방법: 출원번호;10-2000-0063056, 인터넷상의 로또추첨 시스템 및 그 방법: 출원번호;10-2000-006567l, 투명하고 공정한 즉석추첨 시스템 및 그 방법: 출원번호;10-2000-0065672)이 그대로 적용 가능하므로 오프라인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응모시 응모자와 접수자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없는 우편접수, 단순 추첨 외에 평가과정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예를 들면 공모)에는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추첨서버가 수행하는 추첨절차는 다수의 클라이언트의 응모를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 각각에게 고유의 응모번호와 응모시간을 순차적으로 부여하는 단계와; 응모의 진행상황을 실시간으로 공개단말에 제공하는 단계와; 응모를 마감하는 단계와; 다양한 추첨규칙을 응용해 당첨자를 실시간으로 선출하는 단계와; 당첨된 응모번호를 실시간으로 공개하는 단계와; 행사를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추첨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는 응모자들에게 공개하는 추첨규칙(200)의 일 예이다.
도3은 공개형 추첨이 진행되는 과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4는 추첨서버(120)가 제공하는 행사진행 상황을 보여주는 공개단말의 일 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발권단말 120 : 추첨서버
130 : 공개단말 140 : 인터넷
150 : 클라이언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추첨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로써, 공개형 추첨을 위해 응모권을 발행하는 것을 공개하는 다수의 발권단말(110)과; 응모권 발권상황 및 진행상황 그리고 추첨결과를 실시간으로 공개하는 다수의 공개단말(130)과; 다수의 클라이언트(150)가 발권상황과 진행상황과 추첨결과를 온라인 상황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인터넷망(140)과; 상기 구성요소들을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추첨서버(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을 보여준다.
상기 추첨서버(120)는 본 발명의 핵심적 요소로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150)에게 투명하고 공정한 추첨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응모권 부여방법을 공개하고(210), 추첨규칙을 구체적으로 사전에 공개하고(220), 행사진행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려주고(400), 행사마감과 동시에 추첨결과를 자동적으로 발표하는 역할(420)을 한다. 상기 추첨서버(120)의 온라인 상의 기능은 기존의 출원특허(출원번호 10-2000-0063056, 10-2000-0065671, 10-2000-0065672)에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오프라인 영역만을 다루고자 한다.
도2에는 상기 추첨서버(120)가 수행할 공개형 추첨행사의 추첨규칙의 한 예(200)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예는 보다 간명한 설명을 위해 많은 사람이 한정된 공간에 모여 짧은 시간동안 진행되는 단기집체형 행사인 운동경기를 기본으로 했으나, 보다 장기적이고 분산적인 행사에도 동일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한 백화점이 1주일간의 세일기간 중 경품행사를 하고, 응모권을 구매고객에게 나누어주고 현장에서 응모하게 한다고 하자. 이때 개점시간 이외의 시간에서의 응모나 상황파악은 인터넷망(140)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이 행사가 전국 다수의 매장에서 동시에 이루어진다면, 이 역시 상기 인터넷망(140)을 통해 통합적으로 진행 가능하다.
도3은 본 발명에서 창안하는 공개형 추첨의 활용과정을 실례와 전개순서대로 정리한 플로우차트로, 그 단계들은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150)가 행사의 응모권을 발권단말에 요청하는 단계(S310)와; 요청에 따라 응모시간을 부여하는 단계(S320);와 이를 공개하는 단계(S330)와; 응모번호를 부여하는 단계(S321)와 이를 공개하는 단계(S331)와; 추첨기회의 구성에 따라 각각 추첨을 실행하는 단계(S323, S326)와; 각각의 추첨결과를 실시간으로 공개하는 단계들(S332, S333)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밑바탕을 이루는 기능과 작용은 뒤에 다시 구체적으로 다룬다.
도4는 실용 예의 간명한 설명을 위해 다수의 사람들이 특정장소에 모여 제한된 시간동안 진행되는 단기집체형인 축구경기를 예로 하여 1차 마감을 앞둔 상황(S324)에서 공개단말의 하나(예를 들면 131)인 경기장내에 있는 대규모 전광판(400)을 상정하고, 상기 전광판(400)에 행사 진행상황을 잠정적 결과와 함께 제시하는 것이다.
도1에 제시되어 있는 추첨시스템의 가장 특징적 구성요소는 발권단말(110)과 공개단말(130)로 상기 단말들은 클라이언트(150)와 핵심적 접점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클라이언트(150) 시각에서 용이성, 공정성, 투명성을 갖춘 추첨방법을 창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과학적으로 아무리 엄밀해도 상기 다수 클라이언트(150)들이 보기에 발권과정과 추첨과정을 이해하기 어렵다면 공정성과 투명성의 확보는 어렵다. 이런 필요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추첨을 위한 단서의 수는 많지 않아야 하며, 그 의미가 간명한 동시에 특정 개인이 통제 불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추첨의 기본 단서(210)를 응모시간과 그 시간 순으로 주어지는 일련번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추첨방법의 핵심적 구성요소는 응모자들에게 순차적으로 일련번호를 부여한다는 것이며, 상기 일련번호에는 중복도 결번도 없어야 한다. 일련번호의 발급은 다양한 방식으로 가능하다. 응모권한을 주는 티켓이나 쿠폰에 직접 일련번호를 인쇄해 주는 방법도 있고, 단순한 버튼조작 또는 생체인식기술을 사용해 별도의 번호표를 만들어 줄 수도 있다.
발권단말(110)과 추첨서버(120)는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발권단말(110)로 부터 응모번호를 요청하는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추첨서버(120)는 요청시각(msec단위까지)과 일련번호를 결정하여 상기 발권단말(110)과 공개단말(130)에 동시에 전송한다. 상기 발권단말(110)은 요청시각과 일련번호를 인쇄한 응모권을 발급해 준다. 상기 공개단말(130)은 상기 일련번호와 응모번호를 디스플레이 해주는데, 상기 발권단말(110)과 일체형일 수도 있으며, 여러 사람이 볼 수 있는 독립적인 디스플레이 일 수도 있고, 모든 응모자가 같이 볼 수 있는 대형전광판일 수도 있으며, 이들 모두일 수도 있다.
상기 공개단말(130) 역시 상기 추첨서버(120)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발권단말(110)과 상기 추첨서버(120)와 상기 공개단말(130)은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150)가 응모 시작 전부터 응모마감까지의 전 과정을 낱낱이 공개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들은 인터넷망(140)을 통해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도록 연결된다.
도2는 축구경기를 예로 해 축구경기장으로의 내장률을 높이고 경기에 대한 관심과 경기외적 요소에 대한 재미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당첨기회를 마련하고 공개하는 추첨규칙(200)의 예이다. 예를 들면, 경기장 입장시 교부된 응모권에 기본단서(210), 즉 응모권의 일련번호와 발권시각을 비교한 즉석추첨(221), 경기시작 직전 또는 시작과 동시에 행하는 1차추첨(222), 득점 등과 같은 경기 중의 사건에 연계시킨 추첨(223)과 경품내용의 변경, 그리고 경기 결과를 반영해 경기의 종료와 동시에 발표하는 최종추첨(224)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구성의 일례를 정리한 것이 도2며, 이는 경기 전에 인터넷망(140)에 공개하거나 경기티켓의 뒷면 인쇄 등을 통해 모두에게 공개할 수 있으며, 행사장에서 안내문 또는 공개단말(130)을 통해 공개할 수도 있다.
도3은 추첨이 이루어지고 공개되는 절차를 플로우차트로 구성한 것이다. 추첨절차는 경기장에 입장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경기 티켓을 확보한 내장객은 입장하면서 응모권을 발권(S311)받는다. 응모권 발권의 요청(S310)은 발권단말(110)에 입장권을 삽입하거나 읽히는 것(scanning) 일 수도 있고, 단순한 버튼 조작 또는 생체인식 기술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어떤 형식이든 발권요청(S310)을 받은 상기 발권단말(110)은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추첨서버에 처리를 요구하고, 상기 추첨서버(120)는 응모시간을 확인(S320)하고 일련번호를 부여(S321)하고, 이들을 공개 단말을 통해 공개(S330, S331)하는 동시에 상기 발권단말(110)에 피드백을 주며 상기 발권단말(110)은 응모시각과 번호가 인쇄된 응모권을 발급한다.
즉석추첨이 있는 행사(S322)의 경우에는 발권과 동시에 추첨결과가 제시된다. 예를 들면 부여된 응모번호를 응모시각 등의 다른 단서와 비교하여 당첨여부를 결정 짖고(S323), 이를 공개단말을 통해 발권과 동시에 공개(S332)한다. 예를 들어 당첨확률 1/100의 즉석추첨 행사를 한다면 응모번호의 끝의 두자리와 응모시간의 끝의 두자리(1/100초 수준)가 동일할 경우 당첨으로 판정하고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공개한다.
도3은 1회의 행사에 여러번의 추첨기회를 포함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1차마감 후의 추첨은 경기의 시작과 연계시킬 수 있다. 경기시작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응모번호의 발행을 마감(S324)하고, 마감과 동시에 총응모수를 근거로 하여 사전에 정해진 규칙에 따라 추첨을 하고(S325), 이를 대형전광판(400)을 포함한 다수의 공개단말(130)에 제시한다(S333).
이외에도 내장객의 관심과 흥미를 제고하기 위해 경기 전개상황과 연계한 다수의 추첨기회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득점 시마다 득점시간과 응모번호(또는 응모시각)를 비교한다든가, 득점에 기여한 선수의 배번을 반영하는 등의 다양한 추첨기회를 만들고 공개한다.
종합추첨(224)의 경우 역시 앞에 제시된 규칙과 동일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며, 게임의 내용을 반영해 경품규모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골의 수만큼 총응모수에 가산을 한다든가, 1등상의 수를 늘린다든가 할수 있으며, 당첨자를 계통적(systematic)으로 또는 집락적(clustering)으로 추출하는 등의 변화를 주어 관심을 높일 수 있다.
도4는 공개단말(130) 중 경기장에 설치된 대형전광판(400)의 활용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내장객들은 마감시간(410), 현시간(411), 현응모자수(412) 등의 정보가 시간경과에 따라 어떻게 바뀌는지 지켜볼 수 있으며, 각 시점에서의 당첨번호가 상기 현응모자수(412)가 증가함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규칙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규칙1(421)은 해당시점에서의 총응모자수중 끝의 세자리가 동일한 모든 응모번호(최종번호는 제외)를 선출함을 보여주며, 규칙2(422)는 임의로 선정한 고정독립비율(10%, 50%, 90%)에 근거한 결과를 보여준다. 1차마감이 이루어지면 전광판에는 해당 추첨의 당첨번호와 응모시간이 함께 제시된다. 이 이후의 행운추첨(223)이나 종합추첨(224)은 경기전개나 결과에서 파생된 정보를 부가단서로 해 기본단서(210)와 결합해 응모자의 관심과 참여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실행한다.
이상과 같은 추첨방법은 추첨규칙과 절차를 공개하고, 그리고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공표 하는 방식을 통해 투명하고, 공정하며 재미있는 추첨을 가능하게 해 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제까지 그 과정과 절차에 대해 알 수 없었던 경품행사의 추첨을 투명하고 공정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추첨방법을 사전에 구체적으로 공개하고, 경품행사의 진행상황을 수시로 점검 가능하게 하여 투명성과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추첨규칙을 적용하고, 복수 당첨기회를 부여하고 행사마감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당첨자를 결정하여 알려주며, 행사 전개와 연계해 더 많은 보상을 주는 등의 방법을 통해 행사에의 관심과 참여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인터넷망을 이용해 시간적 제약과 공간적 제약마저도 극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추첨을 하고 또 통고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해 행사주최자가 비용 효율적인 행사를 가능하게 해준다.

Claims (4)

  1. 일반인의 시각에서 투명하고 공정한 경품추첨이 가능하도록 하기위해,
    공개적으로 응모권을 발행하는 다수의 발권단말(110)과;
    응모권 발권상황 및 진행상황 그리고 추첨결과를 실시간으로 공개하는 다수의 공개단말(130)과;
    다수의 클라이언트(150)가 오프라인상의 발권상황과 진행상황과 추첨결과를 온라인상에서 확인 할 수 있고 또 응모할 수도 있는 인터넷망(140)과;
    상기 구성요소들을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추첨서버(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개형 추첨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첨서버(120)는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150)에게 투명하고 공정한 추첨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응모권 부여방법을 공개하고(210),
    추첨규칙을 구체적으로 사전에 공개하고(220),
    행사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려주고(400),
    행사마감과 동시에 추첨결과를 자동적으로 발표하는 역할(420)을 수행하는 공개형 추첨시스템.
  3. 투명하고 공정한 경품추첨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150)가 응모권의 발권을 발권단말에 요청하는 단계(S310)와;
    상기 발권요청에 따라 응모시간을 부여하는 단계(S320)와;
    상기 응모시간을 상기 공개단말(130)을 통해 공개하는 단계(S330)와:
    응모번호를 부여하는 단계(S321)와;
    상기 응모번호를 공개하는 단계(S331)와;
    추첨기회의 구성에 따라 각각 추첨을 실행하는 단계(S323, S326)와;
    각각의 추첨결과를 실시간으로 공개하는 단계들(S332, S333)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공개형 추첨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응모권 발권의 요청(S310)이 발권단말(110)에 티켓이나 쿠폰 등을 삽입하거나 읽히는 것(scanning), 단순한 버튼 조작 또는 생체인식 기술 등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일련번호와 응모시간을 추첨의 기본단서(210)로 하는 공개형 추첨방법.
KR1020010001055A 2001-01-08 2001-01-08 공개형 추첨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255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055A KR20010025581A (ko) 2001-01-08 2001-01-08 공개형 추첨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055A KR20010025581A (ko) 2001-01-08 2001-01-08 공개형 추첨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581A true KR20010025581A (ko) 2001-04-06

Family

ID=19704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055A KR20010025581A (ko) 2001-01-08 2001-01-08 공개형 추첨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558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132A (ko) * 2002-09-04 2002-09-28 김재한 테이블 번호 추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08527A (ko) * 2001-07-18 2003-01-29 조문국 토토 배당 종합 풀 시스템
WO2003091923A1 (en) * 2002-04-25 2003-11-06 Jeusworld Corp Marketing lottery card and on-line marketing method using the same
WO2003096248A1 (en) * 2002-05-09 2003-11-20 Jeusworld Corp Marketing lottery card and method for constructing database using the same
KR100461670B1 (ko) * 2001-11-27 2004-12-14 박상규 통신상의 추첨방법
KR100463592B1 (ko) * 2001-12-07 2004-12-29 진천웅 인터넷상의 경품추첨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527A (ko) * 2001-07-18 2003-01-29 조문국 토토 배당 종합 풀 시스템
KR100461670B1 (ko) * 2001-11-27 2004-12-14 박상규 통신상의 추첨방법
KR100463592B1 (ko) * 2001-12-07 2004-12-29 진천웅 인터넷상의 경품추첨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3091923A1 (en) * 2002-04-25 2003-11-06 Jeusworld Corp Marketing lottery card and on-line marketing method using the same
GB2406800A (en) * 2002-04-25 2005-04-13 Geon-Yong Jeon Marketing lottery card and on-line marketing method using the same
WO2003096248A1 (en) * 2002-05-09 2003-11-20 Jeusworld Corp Marketing lottery card and method for constructing database using the same
KR20020074132A (ko) * 2002-09-04 2002-09-28 김재한 테이블 번호 추첨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2196A (en) Distribution of entry pieces for lottery games or the like
AU20132691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 of a network-based lottery game
JP3679906B2 (ja) ネットワークゲームシステム
US20050101370A1 (en) Game play sequence for bingo gaming systems
US201301307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ucting or facilitating a promotion
US20090227320A1 (en) Method for lottery corporations to run online gaming
US20040106453A1 (en) Drawing for winners over the internet
JP2000510352A (ja) ネットワークゲームシステム
CA2617639A1 (en) Electronic sweepstakes entry distribution system
CN108770371A (zh) 互动式推广性比赛管理系统
KR20010025581A (ko) 공개형 추첨 시스템 및 방법
KR100473377B1 (ko) 게임식 마케팅 로또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KR20010054466A (ko) 인터넷을 이용한 복권 판매기법.
JP3816513B2 (ja) ネットワークゲームシステム
KR20010084974A (ko) 인터넷을 이용한 경품과 복권을 도입한 광고시스템 운영방법
AU758628B2 (en) Game-type prize drawing system using open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100433780B1 (ko) 로또 결합 온라인게임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KR20010065833A (ko) 인터넷망을 이용한 복권시스템
JP2002083203A (ja)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懸賞付与方法
KR20000036709A (ko) 인터넷을 이용한 추첨시스템
KR100455779B1 (ko) 인터넷 상품권 운용 시스템
TW200525420A (en) Interactive network lottery method and system thereof
RU98271U1 (ru) Система для проведения электронной лотереи
JP2001314634A (ja)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パチンコ及びスロットマシンの情報管理システム
KR20030083566A (ko) 낙첨복권의 재추첨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