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4862A - 인터레이스 비디오 디스플레이 상에서 이미지 품질을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레이스 비디오 디스플레이 상에서 이미지 품질을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4862A
KR20010024862A KR1020007007819A KR20007007819A KR20010024862A KR 20010024862 A KR20010024862 A KR 20010024862A KR 1020007007819 A KR1020007007819 A KR 1020007007819A KR 20007007819 A KR20007007819 A KR 20007007819A KR 20010024862 A KR20010024862 A KR 20010024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flicker
flicker reduction
reduction algorithm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메딘
Original Assignee
이노비젼 랩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비젼 랩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이노비젼 랩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24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486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2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by changing the field or frame frequency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e.g. frame rate converter
    • H04N7/013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by changing the field or frame frequency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e.g. frame rate converter the field or frame frequency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being multiplied by a positive integer, e.g. for flicker redu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24Details of interlac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48/00Television
    • Y10S348/91Flicker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레이스 이미지내의 플리커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한다(도 1). 이러한 방법과 장치는 감소될 필요가 있는 플리커가 있는 인터레이스 이미지의 영역을 식별하는 것(도 3)과 이미지의 특성에 기초한 영역내에서 인터레이스 이미지의 넌인터레이스 공간의 관계로부터 얻어낸 화소의 패턴을 적응적으로 조정하는 것(도 5)으로 이루어진다. 특정 이미지 특성에 기초하여 이미지내에서 끊임없이 변하는, 픽셀 융합(18) 특성들에 의한 적합한 기술을 이용하는 플리커 필터(10)가 제공된다. 플리커가 플리커 경향이 있는 이미지 텍스트위에서 감소되는 동안, 텍스트와 대부분의 그래픽들과 같은 자세한 이미지 내용에 대해 고수직 해상도가 유지된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필터(18)는 수많은 종래의 플리커 필터 기구들뿐만 아니라 여러 회사에 의해 실행된 심리 시각 연구들과 시뮬레이션에 기초한 것이다.

Description

인터레이스 비디오 디스플레이 상에서 이미지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IMAGE QUALITY ON AN INTERLACED VIDEO DISPLAY}
신호 대역폭 요구특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방송 텔레비젼은 인터레이스 주사 라인 기술을 사용한다. 하나의 주사 필드에서 홀수 라인들(라인 1, 3, 5 등)이 디스플레잇되고 다음 주사 필드에서 짝수 라인들(라인 2, 4, 6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미국 NTSC 방송 표준에서, 주사 필드는 홀수와 짝수 필드가 교번하면서 초당 60 필드의 비율로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이, 홀수 주사 필드는 초당 30회 디스플레이되고 짝수 필드도 또한 초당 30회 디스플레이된다. PAL 방송 표준에서는, 초당 50 필드, 즉 초당 25회의 홀수 및 짝수 필드가 존재한다.
인간의 시각의 잔상은 초당 50 또는 60 필드의 경우 이미지 플리커를 거의 알수 없는 정도이며, 인접하는 홀수/짝수 필드 라인이 유사한 것으로 인식한다. 통상의 방송 사진 내용에는, 이미지 프로세싱이 부과되어 매우 미세한 화소 값의 변화만이 인접하는 홀수 및 짝수 라인에 나타난다. 이것은 서로 다른 홀수 및 짝수 필드가 작아지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미지가 초당 50 또는 60회로 갱신되어 이미지 플리커가 최소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진보적 주사 컴퓨터 이미지
컴퓨터 디스플레이는 인터레이스되지 않는 진보적 주사 라이 기술을 사용한다. 전체 이미지(각 시퀀셜 주사 라인을 포함)는 장치에 따라 초당 50-70회로 디스플레이된다. 컴퓨터 응용분야에서, 인터레이스 주사는 통상의 응용에서 텍스트와 그래픽 이미지 내의 인접 주사 라이들 간의 급겹한 화소 값 변화가 존재하기 때문에 심한 이미지 지터(jitter)를 야기하게 된다. 예를들어, 인터레이스 주사를 사용하면, 검은색인 배경 내에서 화소 하나가 높은 수평 화이트 라인은 초당 30회에서 인식가능할 정도의 플리커를 가지며(초당 60 프레임의 인터레이스 디스플레이를 이용), 솔리드(solid) 물체 내의 수평 에지도 유사하게 플리커를 갖게된다. 진보적 주사를 이용함에 의해, 미세한 수직 디테일(detail)이 이러한 인식가능한 플리커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컴퓨터 디스플레이 상에 이용될 수 있다.
방송 텔레비젼 상의 컴퓨터 디스플레이
방송 텔레비젼 수신기에 적절한 인터레이스 주사 비디오 포멧에 진보적 주사 컴퓨터 비디오 출력을 적용한 제품이 시작에 나타났다. 단순한 장치가 다른 이미지 프로세싱을 가함 없이 이러한 변환을 행한다. 이것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 화소 값에서의 샤프한(sharp) 변화로 인해 심각한 이미지 플리커의 문제를 통상적으로 야기한 한다. 보다 정밀한 장치는 이미지를 인터레이스하기 전에 일반적으로 "플리커(flicker) 필터"로 알려진 수직 이미지 필터를 이용한다. 플리커 필터는 실질적으로 인접 홀수/짝수 라인의 차이를 감소시키도록 수직 인접 화소의 값들을 혼합(blend)한다. 이것은 플리커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나, 인식할 수 있을 만큼 원래의 컴퓨터 디스플레이와 비교하여 수직 디테일(detail) 레벨을 동일하게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고해상도 그래픽이 방송 텔레이젼에 사용되는 인터레이스 디스플레이 포멧과는 호환성이 없다는 일반적인 의견일치가 형성되어 왔다.
표준 3-라인 "플리커 필터"
인터레이스 플리커 감소에 대한 PC 산업에서의 현재 표준은 세개 라인 플리커 필터이다. 세개 라인 플리커 필터는 진보적 주사 소스 이미지로부터 수직으로 인접하는 세개의 화소를 취하여, 이들은 가중치된 평균을 이용하여 혼합하고, 이 값을 인터레이스 디스플레이용의 새로운 화소로 출력한다. 실제로, 이것은 저역 통과 수직 이격 필터를 만든다. 이 필터(10)가 도1에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념적으로, 상위 화소(12), 현재 화소(14) 및 하위 화소(16)이 결합되어 혼합된 결과 화소(18)을 생성한다. 이 필터가 도2에서 기능적으로 나타내져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적으로, 위의 인접 화소 값(120는 결합기(28)에서 제 1 가중치 계수(22)와 결합되고, 현재 화소(14)는 결합기(30)에서 제 2 가중치 인자(24)와 결합되고, 하부 인접 화소 값은 결합기(32)에서 제 3 가중치 인자와 결합된다. 결합기(28, 30, 32)에서의 출력이 가산기에 제공되어 새로운 화소 값(18)이 얻어진다. 상기 필터에서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화소 가중치가 표1에 도시되어 있다. 세개의 가중치 값을 사용하여, 필터는 때로 "1-2-1 플리커 필터"로서 불린다. 이런 섹션에 도시된 모든 플리커 필터는 1-2-1 또는 25%-50%-25% 계수 가중치를 사용한다.
이 섹션에 도시하기 위하여 화소는 주변 화소에 대하여 단일 값의 콘트래스트 에너지로서 처리된다. 실제 장치에서, 각각의 화소는 RGB(적색, 녹색 및 청색) 성분의 3개의 이산 값에 의해 표현된다. 3개의 라인 플리커의 표준 응용에서, 각각의 RGB 성분은 각각 1-2-1 가중치 3 라인 플리커 필터를 통하여 처리된다.
3 라인 플리커 필터에 대한 표준 가중치 값
3 라인 플리커 필터의 효과를 보다 잘 이해시키기 위하여, 출력 화소에서 가장 높은 가중치를 가지는 중심 소스 화소는 현재 주사 라인 화소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3개의 화소 또는 트라이어드(triad) 윈도우는 각각의 화소가 필터의 중심 위치를 통하여 통과되도록 이미지를 가로질러 한번에 한 열이 효과적으로 주사된다. 이것은 도 3에 도시된다. 전체적으로, 각각의 소스 화소는 수직 필터를 통하여 3번(일단 상부 위치로, 중간 위치로, 및 하부 위치로) 통과된다.
도 3의 제목이 의미하는 바와같이, 이미지는 "효과적으로 주사"되고 여기서 실제 회로에서와 같이 필터는 고정되고 스트림 화소 데이터는 상기 필터를 통하여 통과된다. 실행시, 화소의 3개의 주사 라인이 요구되기 때문에, 두 개의 이전 라인들은 "현재"(중심) 주사 라인과 관려되어 하나의 라인 처리 레이턴시(latency)를 형성하도록 저장된다.
컬러 성분 처리
상기된 바와같이, 플리커 필터의 이미지 처리 방법은 각각의 화소의 RGB 성분에 통상적으로 적용된다. 플리커 필터는 복합 비디오 인코딩 처리의 일부로서 요구된 YUV 성분 데이터로 전환된후 이미지 데이터에 제공될 수 있다. RGB에서 YUV로의 전환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은 일반적으로 "컬러 매트릭스"(40)라 불리는 선형 캐트릭스 멀티플라이어로 수행된다. 캄마 수정 같은 다른 비선형 처리가 필터 전의 비디오 신호상에서 수행되지 않는 것을 가정하면, 플리커 필터는 출력에 차이를 가지지 않고 RGB 또는 YUV 데이터에 적용될 수 있다.
플리커 필터 장점: 수평 라인의 플리커 감소
아마도 플리커 필터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그래픽 이미지 또는 텍스트에서 단일-화소-높은 수평 라인의 바람직하지 않은 30 Hz 플리커를 제거하는 것이다. 플리커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단일 수평 라인은 인터레이스 주사된 이미지의 짝수 필드 또는 홀수 필드에만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3 라인 플리커 필터를 사용하여, 라인의 콘트래스트 에너지는 출력에서 인터레이스 주사될 때 다른 필드에 포함되는 인접 라인상에 스프레드된다.
단일 필드에 본래 집중된 이미지 라인의 콘트래스트 에너지는 두 개의 인터레이스주사된 필드 사이에 평탄하게 분배된다. 따라서, 중요한 30 Hz 플리커에서 유발되는 홀수 및 짝수 필드 사이에서 변화하는 콘트래스트 에너지는 양쪽 필드에서 일정하여, 초당 60번 리프레쉬된다. 이것은 실질적으로, 이미지가 단일 화소 라인 검사(모니터로부터 단지 몇 인치)를 위하여 가까이가 아니라, 전체적으로 관찰되도록 관찰 거리를 가지는 것을 가정하면 가시적 이미지 플리커를 제거한다.
1 화소 높은 보다 큰 이미지 페쳐는 감소된 화소이다. 단일 화소 라인을 사용하여, 이것은 페쳐 에지 또는 콘트래스트 변이시 라인 값의 혼합으로 인한 것이다. 플리커 필터는 홀수 및 짝수 필드에서 인접 라인들 사이의 콘트래스트 변이를 스프레드 한다. 추후 섹션에 논의될 바와같이 플리터(flitter)라 불리는 제 2 차 효과가 여전히 남아있을 수 있다.
플리커 필터 단점: 수직 해상도 손실
3 라인 플리커 필터가 필수적으로 수직 로우 패스 필터이기 때문에, 플리커 감소는 감소된 수직 해상도에 대한 교환으로 달성된다. 감소된 수직 해상도는 단일 화소 수평 라인에 대한 도 5에 도시된다. 도 6은 다른 임의의 화소 패턴 결과를 도시한다.
따라서, 3 라인 플리커 필터의 수직 필터 속성은 우수한 수직 세부 묘사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능력을 제한한다.
수직 해상도 손실
사용자 응용 관점에서, 감소된 수직 해상도의 가장 큰 문제점은 텍스트 디스플레이다. 크립스 텍스트는 수평 및 수직 축 모두에서 고해상도를 필요로 한다. 3-라인 플리커 필터는 순차식 주사 컴퓨터 디스플레이와 비교하여 인터레이스 주사 TV 디스플레이상에서는 판독하기 쉽게 텍스트 폰트가 크게 만들어져야 한다. 도 7은 3-라인 플리커 필터 처리에서 수반되는 텍스트 해상도 손실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로 하여, 프레임당 정해진 라인의 양은 다음의 가정을 참조한다: 이미지 디스플레이는 640×480 화소로, 부족하게 주사된다. 프레임당 40 라인에서, "e" 문자는 5 화소 크기인 반면, 대문자는 9화소 톨이며, 라인 사이의 공간에 3화소를 갖는다. 프레임당 20 라인에서는, 모든 양은 2배이다; "e" 문자는 10 화소 크기이며, 대문자는 18 화소크기로, 라인 사이의 공간에 6 화소를 갖는다.
도 7로부터, 3-라인 플리커 필터로 프레임당 20 문자 라인은 판독을 쉽게 할 수 있으나 프레임당 40 라인은 판독을 쉽게 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는 바람직하지 않은 이미지 플리커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면서, 또한
웹 페이지, 이메일, 워드 프로세싱 등과 같은 문자그대로의 내용을 선명하게 이미지화시키기 위해 원치않는 인터레이스(interlaced) 디스플레이를 제한한다.
표준 3-라인 플리커 필터의 요약
3 라인 플리커 필터는 그의 복잡성이 덜하고 전체적으로 유용성이 있어 컴퓨터 산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유사하게, 보다 정교한 진입방식이 뛰어난 이미지 해상도 및 플리커 감소를 야기시키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컴퓨터를 처리하기 위해 TV 방송 산업에서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표준 3-라인 플리커 필터를 통해 처리된 그래픽 이미지는 복합식 비디오 엔코더 질과는 상관없이, 방송 산업에 의해 설치된 예상되는 TV 화질에 미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인터레이스 디스플레이의 화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사항을 해결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레이스(interlaced) 비디오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이미지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수직 공간 필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수직 공간 필터의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각각의 화소가 필터의 중심 위치를 통과한 시간에서 열로 이미지를 지나는 3-화소 또는 트라이어드 윈도우의 주사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선형 매트릭스 곱셈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3-라인 플리커 필터를 이용하여 인접 라인상에 분산된 라인의 콘트라스트 에너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임의의 화소 패턴의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3-라인 플리커 필터 처리에서 수반되는 텍스트 해상도 손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플리커 에너지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플리커 에너지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a는 필터링 되지 않는 이미지 픽쳐(feature)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b는 홀수와 짝수 필드 사이의 시간을 지나면서 상대적 플리커 에너지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a는 이미지 필터의 도면.
도 11b는 단일 화소 칼럼의 도면.
도 12a는 이미지 필터의 다른 도면.
도 12b는 응답도.
본 발명은 인터레이스 이미지에서의 플리커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 및 장치는 플리커가 감소되는 것이 요구되는 인터레이스 이미지의 영역을 확인하고 이미지의 특성에 따라 영역내에서 인터레이스 이미지의 넌인터레이스 공간 관계로부터 유도되는 화소의 패턴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플리커 필터는 개조할 수 있는 기술을 활용하여 특정 이미지 속성에 따라 이미지 내에서 일정하게 변화되는 화소-조합 문자를 제공한다. 높은 수직 해상도는 문자 및 대부분 그래픽과 같은 상세한 이미지 내용을 유지하면서, 플리커는 플리커되기 쉬운 이미지 내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데 있어 뛰어나다.
필터는 회사에 이해 행해진 심리적-시각 연구 및 시뮬레이션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래의 플리커 필터 실행에 기초한 것이다. 이는 수직 해상도를 최대화시키기는 목적을 달성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선명도를 강화시키면서 플리커를 현저히 억제시킨다. 본 발명에서, 플리커 필터 속성은 특정한 장치 구성(스크린 크기, 디스플레이 형태, 그래픽 해상도등)을 최대한 활용하게 충분히 프로그램가능하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플리커되기 않는 문자그대로의 내용에 대해 특히 유용하며 판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높은 수직 해상도를 필요로한다.
본 발명은 인터레이스 비디오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이미지 품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음의 설명은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 기술 중 하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특허 출원과 특허의 필요 조건 내에서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여러 변형들은 당업자들에게 쉽게 이해될 것이고 이 실시예에서의 일반적인 원리들이 다른 실시예들에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서 기술된 원리들과 특징들과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까지 적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적응 플리커 필터
본 발명에 따른 플리커 감소 필터는 이 필터를 입력 이미지의 특정 특성에 적응하게 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특성을 가진다. 필터는 표준 2 라인 또는 3 라인 플리커 필터들과 같은 수직 필터 원리에 따라 동작한다. 그러나, 이 필터는 적응성이 있어서, 필터에 의해 처리되는 순간 영역에서 측정된 이미지 휘도 특성에 따라, 필터 가중치 계수들이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추가의 개선점으로서, 상이한 필터 특성은 이미지의 휘도와 색차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의해 이용되는 적응 필터 기법들의 조합으로부터의 최종 결과는 인터레이스 필터가 계속해서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반면에 수직 이미지 해상도는 증가시킨다.
휘도 프로세싱에서의 강조
이미지 플리커의 정신물리학적인 시각적 인식에 대해 확립된 연구에 따르면, 플리커는 인터레이스 디스플레이 비율로 주로 휘도(명도) 현상이다. 30Hz 비율의 색차(색) 값의 변화는 색에 대한 낮은 응답 때문에 인간의 시각계를 통해서는 볼 수 없다. 따라서, 인터레이스 주사 컨버터 장치에 대한 모든 진행 단계는 휘도 정보만을 처리하도록 이어져야 한다.
색차 필터링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리커 감소는 주로 휘도 정보를 처리하여 접근된다. 제 2 플리커 필터 기능은 또한 "UV" 색차 성분들에 적용된다. 색차 정보만 플리커 감소에 적용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불필요할 수도 있지만, 일부 예상치 못한 휘도 변화는 TV 수상기 내의 "휘도 누설" 때문에 색차 정보를 변화시키면서 발생할 수도 있다. 화소 색차 값의 변화 때문에 "휘도 누설"은 화소 휘도 값의 원치 않는 또는 예상치 못한 변화를 이른다. 이것은 수신기의 휘도/색차 복조에서의 에러, YUV의 RGB로의 변환, RGB 변조의 비-선형성(형광체 응답을 포함하는), 또는 YUV 또는 RGB 성분 사이의 누화에 의해 초래될 수 있다.
낮은 화소 가중치와 상이한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들이 설명될 수 있지만, 여기서 설명되는 방법론은 색차 필터링에 완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인 플리커 필터 설계는 여러 디스플레이 타입에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UV 화소 가중치를 가진다.
플리커 에너지의 개념
필터 적용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해 이용되는 하나의 이미지 특성은 "플리커 에너지"이다. 플리커 에너지는 국부적인 그룹의 인터레이스 대상물들에 의해 발생되는 플리커의 축적 효과의 양을 정한다. 일반적으로, 플리커 에너지는 소정의 인터레이스 프레임 비율의 소정의 형상 세트에 대한 홀수와 짝수 필드들 사이의 집적 밀도 차이다.
플리커 에너지의 개념은 도 8에서 도시된 간단한 예에 의해 초기에 이해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이미지 필터는 인터레이스 디스플레이 상에 도시된, 밝은 일-화소-고 수평 라인이다. 세 경우들은 다음과 같이 도시된다; 제 1, 2, 그리고 제 3의 화소들 넓이. 이미지 형상의 총 플리커 에너지는 형상 폭(이 경우에는 선)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별 모양으로 나타난다.
플리커 에너지의 제 2 예는 도 9 에 도시된다. 여기서 라인은 휘도 콘트라스트(luminance contrast)를 변화시키는 세 경우를 제외하고 1-화소 크기 및 3-화소 크기에서 보여진다. 다시 별모양으로 표현되듯이, 총 플리커 에너지는 휘도 콘트라스트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게다가, 플리커 에너지는 형상 대 배경 및 형상/배경 결합의 밝기의 콘트라스트 극성에 기초해서 보다 더 정량화 될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인간의 휘도 지각의 비선형성과 관계된다.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형상의 이미지 영역은 배경의 이미지 영역보다 작다는 가정 하에, 표 2 는 흰색, 검정 및 회색의 형상/배경 조합인 6 개의 상이한 예를 보인다. 지각 할 수 있는 플리커는 최고에서 최저로 정해진다. 증가한 휘도 콘트라스트 차는 지각되는 플리커를 증가시키는 것이 일반적으로 표 2 에서 관찰되며, 이는 초기의 상태와 일관된다. 그러나, 유사한 콘트라스트 차에 대해서, 밝은 배경 상의 어두운 형상은 반대의 경우 보다 더욱 지각 되는 플리커를 갖는다는 것이 또한 관찰될 수 있다. 그러므로, 플리커 지각은 더 높은 평균 휘도 값으로 증가한다는 결론이 내려진다.
이미지 처리에서 플리커 에너지
주어진 형상에 대한 지각된 플리커 에너지의 결정은 최적 값에 대해 플리커 필터 상수를 조정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작은 형상처럼 적은 플리커 에너지를 가진 형상 또는 배경에 대한 적은 휘도 콘트라스트를 가진 형상은 더 적은 화소 혼합을 필요로 하여 처리된 이미지에서 더 높은 공간 해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적인 이미지 처리 적용에서, 필터 상수는 최악의 경우의 플리커가 용인할 수 있는 레벨로 제어될 수 있도록 이미지 형상 플리커 에너지에 기초할 것이다. 이 점에 대한 가장 효율적인 접근은 더 작은 이미지 형상에 대한 더 적은 화소 혼합을 적용하는 것이며, 이는 더 적은 플리커 에너지를 분배하지만 이미지 묘사의 유지에 중요하다.
본 발명은 이미지 형상 폭 및 평균 밝기에 기초한 플리커 필터 상수를 조정하는 실질적 수단을 개발했다.(표 3 은 상기 개념을 사용해 적용할 수 있는 플리커 필터의 예이다.)
이미지 "프리터" 의 개념.
회사에 의해 한정되고 이름 지어진 또다른 개념은 이미지 필터이다. 본 발명에서 수행된 이미지 분석은 일반적으로 플리커로 간주되는 가시 인터레이스 주사 형상물은 "플리커"와 "프리터(flitter)". 회사는 홀수와 짝수 사이의 가시 휘도 변화로서 "플리커" 를 고려했으며, 이는 주위의 시간적 응답 내에서 일어난다. 한편 "프리터" 는 홀수 및 짝수 프레임(frames)의 차에 기인한 이미지의 가시 상하 이동이다. 프리터는 플리커 없이 발생하며, 그 반대 경우도 동일하다.
플리커 및 프리터는 관계없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1-화소 크기의 인터레이스된 주사 선(필터링된 플리커가 아님)은 (프레임 비율에서)플리커 일 것이나 플리커가 아니다.(상하로 움직이지 않는다.) 이하에 보다 자세히 설명될 것처럼, 2-화소 크기의 플리커 필터링되지 않은 인터레이스된 주사 라인은 기술적으로 플리커링 하지 않으나(필드들 사이에서 일정한 플리커 에너지를 가지기 때문에) 대신에 프리터링 할 것이다.(1 라인을 점프해서 상하로 움직일 것이다.)
표준 3 라인 플리커 필터에 의한 이미지 처리는 프리터링하는 이미지 형상을 가질 것이다. 이는 필터에 의해 몇몇 라인을 가로질러 뻗는 콘트라스트가 홀수와 짝수 필드 사이에 상이한 수직 중앙 점을 가지기 때문이다. 비록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다고 하지만, 3 라인 플리커 필터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에는 필터링되지 않은 이미지에서 보다 상당히 적은 프리터가 있다.
프리터링 하지 않는 이미지 형상의 예가 도 10 에 도시된다. 인터레이스된 이미지 형상은 표준 3 라인 플리커 필터를 통과한 1-화소 크기의 수평 라인이다. 도 10B 에서 이런 이미지의 단일 수직 화소 열은 시간적으로 표현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대적인 플리커 에너지가 홀수와 짝수 필드 사이에서 어떻게 변하는지를 설명한다. 플리커는 공간 해상도가 제한된 주위의 시각 효과이므로, 플리커 에너지의 변화하는 면은 검출할 수 없다. 이는 또한 플리커 검출의 심리-시각 선호성을 넘어선 모션 검출의 심리-시각 선호성에 기인한다.
이미지 프리터의 명백한 예가 도 11a 에 도시된다. 이 인터레이스 이미지 형상은 플리커 필터링되지 않은 2-화소 수평 라인이다. 도 11b 는 단일 화소 열의 시간적 모습을 도시한다. 도시된 대로 플리커 에너지의 중심은 1-화소 라인에 의해 상하로 움직여서 심한 프리터를 일으킨다.
이미지 프리터의 또다른 예는 도 12a 에 도시된다. 여기서, 2-화소 크기 수평 라인은 플리커 필터링된다. 도 12b의 시간 응답 다이어그램에서 도시된 것처럼, 약간의 플리터는 존재한다.
도 11b와 12b를 비교하면, 몇몇 이미지 형태에 대하여 표준 3 라인 플리커 필터가 플리터를 감소시키지만 완전히 없애지는 못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전체부분에 걸친 "플리커 감소"과정에 따라, 본 발명은 좀더 이미지 플리터를 감소시키고, 인터레이스 주사된 이미지의 화질과 유용성을 더욱 개선하는 독점적인 방법이다. 비록 본 발명이 나타내어진 실시예에 따라 기술되어 왔을지라도, 기술에 있어서 통상의 기술은 실시예들에 변형들이 존재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내에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은 기술에서의 통상기술의 하나로써 많은 변형들이 만들어질 것이다.

Claims (126)

  1. 인터레이스 이미지내에서 플리커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플리커가 감소되어야할 인터레이스 이미지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및
    b) 이미지의 특성에 따른 영역내에서 인터레이스 이미지의 넌인터레이스 공간 관계로부터 유도된 화소의 패턴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1) 수평 방향으로 화소의 패턴을 식별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1)은:
    (a2) 수평으로 인접하는 다수의 수직 화소 그룹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은 휘도 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은 색차 및 휘도 특성이고, 상기 색차 특성은 휘도 성분과는 다른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수평축내의 유사 화소 패턴이 유사한 수평 인접 그룹에 의해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유사 화소 패턴의 수평 크기는 수평으로 인접하는 화소 패턴의 수에 의해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수평 방향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룩업 테이블이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필터가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느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비-선형 적용 알고리즘이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다수의 수평으로 인접한 화소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사용자 프로그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짧은 화소 패턴에서는 적은 화소 혼합이 발생되고 긴 화소 패턴에서는 많은 화소 혼합이 발생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어떠한 수의 수직으로 인접하는 화소값이 동일한 이미지내에서 사용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의 플리커 감소 성분은 수직 화소 패턴내 화소의 평균 크기를 결정함으로써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화소값으로부터 유도된 그룹 강도값에 기초하여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의 강도는 가중치 방법으로 평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강도값은 수직 화소 패턴으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값은 휘도값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값은 휘도 및 색차값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값은 그룹 강도값을 결정하도록 가중된 임계 파라미터의 이상 또는 이하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짝수 이미지 또는 홀수 이미지를 구비하는 인터레이스 이미지내에서 플리커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짝수 또는 홀수 이미지 사이의 강도차를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강도차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강도차에 기초하여 인터레이스 이미지로부터 유도된 화소의 패턴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차를 결정하는 단계는 짝수 및 홀수 이미지 영역 사이의 강도차를 결정하는 단계 및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에 기초한 밀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강도차의 밀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저밀도의 패턴에 대해서는 적은 혼합을 사용하고 고밀도의 패턴에 대해서는 많은 혼합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수평 방향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룩업 테이블이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26항에 있어서, 필터가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느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 26항에 있어서, 비-선형 적용 알고리즘이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다수의 수평으로 인접한 화소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사용자 프로그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짧은 화소 패턴에서는 적은 화소 혼합이 발생되고 긴 화소 패턴에서는 많은 화소 혼합이 발생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어떠한 수의 수직으로 인접하는 화소값이 동일한 이미지내에서 사용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의 플리커 감소 성분은 수직 화소 패턴내 화소의 평균 크기를 결정함으로써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화소값으로부터 유도된 그룹 강도값에 기초하여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의 강도는 가중치 방법으로 평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강도값은 수직 화소 패턴으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값은 휘도값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값은 휘도 및 색차값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값은 그룹 강도값을 결정하도록 가중된 임계 파라미터의 이상 또는 이하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인터레이스 이미지내에서 플리커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플리커가 감소되어야할 인터레이스 이미지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및
    b) 상기 영역내에서 인터레이스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내 인터레이스 이미지로부터 유도된 화소의 패턴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1) 수평 방향으로 화소의 패턴을 식별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1)은:
    (a2) 수평으로 인접하는 다수의 수직 화소 그룹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은 휘도 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은 색차 및 휘도 특성이고, 상기 색차 특성은 휘도 성분과는 다른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제 44항에 있어서, 수평축내의 유사 화소 패턴이 유사한 수평 인접 그룹에 의해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 44항에 있어서, 유사 화소 패턴의 수평 크기는 수평으로 인접하는 화소 패턴의 수에 의해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 47항에 있어서,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수평 방향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제 48항에 있어서, 룩업 테이블이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제 48항에 있어서, 필터가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느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제 48항에 있어서, 비-선형 적용 알고리즘이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다수의 수평으로 인접한 화소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3.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사용자 프로그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4.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짧은 화소 패턴에서는 적은 화소 혼합이 발생되고 긴 화소 패턴에서는 많은 화소 혼합이 발생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5.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어떠한 수의 수직으로 인접하는 화소값이 동일한 이미지내에서 사용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6.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의 플리커 감소 성분은 수직 화소 패턴내 화소의 평균 크기를 결정함으로써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7.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화소값으로부터 유도된 그룹 강도값에 기초하여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의 강도는 가중치 방법으로 평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9. 제 58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강도값은 수직 화소 패턴으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0. 제 59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값은 휘도값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1. 제 59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값은 휘도 및 색차값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2. 제 58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값은 그룹 강도값을 결정하도록 가중된 임계 파라미터의 이상 또는 이하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3. 인터레이스 이미지내에서 플리커를 감소시키는 장치체 있어서,
    a) 플리커가 감소되어야할 인터레이스 이미지 영역을 식별하는 수단; 및
    b) 이미지의 특성에 따른 영역내에서 인터레이스 이미지의 넌인터레이스 공간 관계로부터 유도된 화소의 패턴을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4.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은 수평 방향으로 화소의 패턴을 식별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5. 제 6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식별 수단은 다수의 수평으로 인접한 수직 화소 그룹을 비교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6. 제 64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은 휘도 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7. 제 64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은 색차 및 휘도 특성이고, 상기 색차 특성은 휘도 성분과는 다른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8. 제 65항에 있어서, 수평축내의 유사 화소 패턴이 유사한 수평 인접 그룹에 의해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9. 제 66항에 있어서, 유사 화소 패턴의 수평 크기는 수평으로 인접하는 화소 패턴의 수에 의해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0. 제 69항에 있어서,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수평 방향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1. 제 70항에 있어서, 룩업 테이블이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2. 제 70항에 있어서, 필터가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느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3. 제 70항에 있어서, 비-선형 적용 알고리즘이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4. 제 70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다수의 수평으로 인접한 화소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5. 제 71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사용자 프로그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6. 제 70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짧은 화소 패턴에서는 적은 화소 혼합이 발생되고 긴 화소 패턴에서는 많은 화소 혼합이 발생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7. 제 70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어떠한 수의 수직으로 인접하는 화소값이 동일한 이미지내에서 사용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8. 제 76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의 플리커 감소 성분은 수직 화소 패턴내 화소의 평균 크기를 결정함으로써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9. 제 65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화소값으로부터 유도된 그룹 강도값에 기초하여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0. 제 65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의 강도는 가중치 방법으로 평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1. 제 80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강도값은 수직 화소 패턴으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2. 제 8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값은 휘도값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3. 제 8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값은 휘도 및 색차값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4. 제 80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값은 그룹 강도값을 결정하도록 가중된 임계 파라미터의 이상 또는 이하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5. 짝수 이미지 및 홀수 이미지를 구비하는 인터레이스 이미지내에서 플리커를 감소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짝수 및 홀수 이미지 사이의 강도차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강도차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레이스 이미지로부터 유도된 화소의 패턴을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6.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차를 결정하는 수단은 상기 짝수 및 홀수 이미지 영역내 강도차를 결정하는 수단 및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밀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강도차의 밀도를 계산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7. 제 86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저밀도의 패턴에 대해서는 적은 혼합을 사용하고 고밀도의 패턴에 대해서는 많은 혼합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8. 제 87항에 있어서,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수평 방향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9. 제 88항에 있어서, 룩업 테이블이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0. 제 88항에 있어서, 필터가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느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1. 제 81항에 있어서, 비-선형 적용 알고리즘이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2. 제 88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다수의 수평으로 인접한 화소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3. 제 89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사용자 프로그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4. 제 88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짧은 화소 패턴에서는 적은 화소 혼합이 발생되고 긴 화소 패턴에서는 많은 화소 혼합이 발생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5. 제 88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어떠한 수의 수직으로 인접하는 화소값이 동일한 이미지내에서 사용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6. 제 94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의 플리커 감소 성분은 수직 화소 패턴내 화소의 평균 크기를 결정함으로써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7. 제 87항에 있어서, 다수의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화소값으로부터 유도된 그룹 강도값에 기초하여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8. 제 87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의 강도는 가중치 방법으로 평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9. 제 98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강도값은 수직 화소 패턴으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0. 제 99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값은 휘도값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1. 제 99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값은 휘도 및 색차값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2. 제 98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값은 그룹 강도값을 결정하도록 가중된 임계 파라미터의 이상 또는 이하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3. 인터레이스 이미지내에서 플리커를 감소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가 감소되어야할 인터레이스 영역을 식별하는 수단; 및
    상기 영역내에서 플리커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내 인터레이스 이미지로부터 유도된 화소의 패턴을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4. 제 10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은 수평 방향으로 상기 화소의 패턴을 식별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5. 제 10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식별 수단은 다수의 수평으로 인접한 수직 호소 그룹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6. 제 103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은 휘도 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7. 제 105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은 색차 및 휘도 특성이고, 상기 색차 특성은 휘도 성분과는 다른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8. 제 106항에 있어서, 수평축내의 유사 화소 패턴이 유사한 수평 인접 그룹에 의해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9. 제 106항에 있어서, 유사 화소 패턴의 수평 크기는 수평으로 인접하는 화소 패턴의 수에 의해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0. 제 109항에 있어서,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수평 방향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1. 제 110항에 있어서, 룩업 테이블이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2. 제 110항에 있어서, 필터가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느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3. 제 111항에 있어서, 비-선형 적용 알고리즘이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4. 제 1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다수의 수평으로 인접한 화소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5. 제 111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사용자 프로그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6. 제 1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짧은 화소 패턴에서는 적은 화소 혼합이 발생되고 긴 화소 패턴에서는 많은 화소 혼합이 발생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7. 제 1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어떠한 수의 수직으로 인접하는 화소값이 동일한 이미지내에서 사용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8. 제 1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의 플리커 감소 성분은 수직 화소 패턴내 화소의 평균 크기를 결정함으로써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9. 제 105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소 알고리즘은 화소값으로부터 유도된 그룹 강도값에 기초하여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0. 제 105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의 강도는 가중치 방법으로 평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1. 제 120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강도값은 수직 화소 패턴으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2. 제 12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값은 휘도값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3. 제 12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값은 휘도 및 색차값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4. 제 120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값은 그룹 강도값을 결정하도록 가중된 임계 파라미터의 이상 또는 이하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5. 다수의 이미지 필드를 구비하는 인터레이스 이미지의 상하 이동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영역내 다수의 인터레이스 이미지 사이의 이동의 감지가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이미지의 상하 이동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미지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내 인터레이스 이미지로부터 유도된 화소의 패턴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6. 다수의 이미지 필드를 구비하는 인터레이스 이미지의 상하 이동을 감소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a) 영역내 다수의 인터레이스 이미지 사이의 이동의 감지가능 레벨을 결정하는 수단; 및
    (b) 상기 이미지의 상하 이동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미지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내 인터레이스 이미지로부터 유도된 화소의 패턴을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07007819A 1998-01-15 1999-01-14 인터레이스 비디오 디스플레이 상에서 이미지 품질을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100248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07.395 1998-01-15
US09/007,395 US6130723A (en) 1998-01-15 1998-01-15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image quality on an interlaced video display
PCT/US1999/000846 WO1999037091A1 (en) 1998-01-15 1999-01-14 A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image quality on an interlaced video displ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4862A true KR20010024862A (ko) 2001-03-26

Family

ID=21725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819A KR20010024862A (ko) 1998-01-15 1999-01-14 인터레이스 비디오 디스플레이 상에서 이미지 품질을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30723A (ko)
EP (1) EP1062809A1 (ko)
JP (1) JP2002510174A (ko)
KR (1) KR20010024862A (ko)
CN (1) CN1292199A (ko)
AU (1) AU2116899A (ko)
WO (1) WO19990370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21691B1 (en) * 1997-12-04 2010-11-24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JP3681528B2 (ja) * 1997-12-22 2005-08-10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グラフィックプロセッサ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US6421097B1 (en) * 1998-07-31 2002-07-16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flicker in a video image sequence
US7119853B1 (en) * 1999-07-15 2006-10-1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of eliminating flicker on an interlaced monitor
JP3551870B2 (ja) 1999-11-24 2004-08-11 日本電気株式会社 Vdt障害緩和装置/方法およびvdt障害危険性定量化装置/方法ならびに記録媒体
JP4421722B2 (ja) * 1999-12-14 2010-02-2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駆動方法及び駆動回路
IL134182A (en) 2000-01-23 2006-08-01 Vls Com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 lossless pre-processing
US6753929B1 (en) 2000-06-28 2004-06-22 Vls Com Ltd. Method and system for real time motion picture segmentation and superposition
JP2002044486A (ja) * 2000-07-19 2002-02-08 Namco Ltd 情報記憶媒体、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システム、画像生成方法、及び画像生成プログラム
US6999100B1 (en) * 2000-08-23 2006-02-14 Nintendo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nti-aliasing in a graphics system
JP3630093B2 (ja) * 2000-10-31 2005-03-16 日本電気株式会社 映像データ補正装置及び映像データ補正方法
US7119815B1 (en) 2000-10-31 2006-10-10 Intel Corporation Analyzing alpha values for flicker filtering
US6633612B2 (en) 2000-12-13 2003-10-14 Genesis Microchi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motion between odd and even video fields
US6650372B2 (en) * 2001-01-22 2003-11-18 Sony Corporation Dynamic change of flicker filter
US20020167612A1 (en) * 2001-04-02 2002-11-14 Pelco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flicker in a video display
US6870543B1 (en) * 2001-06-06 2005-03-22 Microsoft Corporation Reducing fill and improving quality of interlaced displays using multi-sampling
CN1515111A (zh) * 2001-06-08 2004-07-21 �ʼҷ����ֵ������޹�˾ 显示视频帧的方法和系统
US7246326B2 (en) * 2001-06-25 2007-07-17 Siemens Medical Solutions Health Services Corporation System and procedure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display
TW527824B (en) * 2002-03-12 2003-04-11 Via Tech Inc Adative-deflicker processing method and adaptive deflicker filter
US6894701B2 (en) * 2002-05-14 2005-05-17 Microsoft Corporation Type size dependent anti-aliasing in sub-pixel precision rendering systems
US6678003B2 (en) * 2002-05-21 2004-01-13 Alcon, Inc. Image deinterlacing system for removing motion artifacts and associated methods
AU2002952874A0 (en) * 2002-11-25 2002-12-12 Dynamic Digital Depth Research Pty Ltd 3D image synthesis from depth encoded source view
KR100476937B1 (ko) * 2003-01-10 2005-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픽 데이터의 부가정보에 적응되는 안티-프리커 장치
US7903902B2 (en) * 2004-07-26 2011-03-08 Sheraizin Semion M Adaptive image improvement
US7526142B2 (en) * 2005-02-22 2009-04-28 Sheraizin Vitaly S Enhancement of decompressed video
US20050185092A1 (en) * 2005-05-14 2005-08-25 Akio Tanaka Flicker Reduction System for Displaying Web Pages on Television
JP4470824B2 (ja) * 2005-07-05 2010-06-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残像補償表示
TWI297994B (en) * 2005-12-08 2008-06-11 Inst Information Industry Encoder, method for adjusting decoding calculation,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therefor
WO2007149458A2 (en) * 2006-06-20 2007-12-27 Nielsen Media Research,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n-screen media sources
CN100512373C (zh) * 2007-02-13 2009-07-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隔行显示防闪烁方法及装置
FR2929795B1 (fr) * 2008-04-03 2010-09-24 Irts Procede de conversion d'un signal video pour compensation de scintillement, et dispositif de conversion associe
US7930306B2 (en) * 2008-04-30 2011-04-19 Msc Intellectual Properties B.V. System and method for near and exact de-duplication of documents
US20100002131A1 (en) * 2008-07-03 2010-01-07 Ying-Ru Chen Flicker reduction for 2-dimensional de-interlacing
JP5195250B2 (ja) * 2008-10-03 2013-05-0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341025B1 (ko) 2010-08-11 2013-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표시장치의 화질 개선 시뮬레이션 방법과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4506A (en) * 1981-09-04 1984-06-12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Method and circuitry for reducing flicker in symbol displays
US4799105A (en) * 1984-03-14 1989-0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dified technique for suppression of flicker in interlaced video images
DK159354C (da) * 1987-08-26 1991-03-11 Bang & Olufsen As Fjernsynsmodtager med midler til undertrykkelse aflinieflicker
DE3740826A1 (de) * 1987-12-02 1989-06-15 Blaupunkt Werke Gmbh Fernsehempfaenger mit einer einrichtung zur unterdrueckung von flimmerstoerungen
JPH01295587A (ja) * 1988-05-23 1989-11-29 Yamashita Denshi Sekkei:Kk 映像信号変換装置
US5132795A (en) * 1990-01-17 1992-07-21 Campbell Jack J Adaptive vertical gray scale filter for television scan converter
US5136385A (en) * 1990-01-17 1992-08-04 Campbell Jack J Adaptive vertical gray scale filter for television scan converter
EP0445336B1 (de) * 1990-03-09 1995-01-18 Deutsche ITT Industrie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duktion des Kantenflackerns eines Fernsehbildes
US5182643A (en) * 1991-02-01 1993-01-26 Futscher Paul T Flicker reduction circuit for interlaced video images
US5428456A (en) * 1991-03-15 1995-06-27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ly reducing interline flicker of TV-displayed image
US5510843A (en) * 1994-09-30 1996-04-23 Cirrus Logic, Inc. Flicker reduction and size adjustment for video controller with interlaced video output
KR960028124A (ko) * 1994-12-30 1996-07-22 이몬 제이. 월 필름 소스에 의해 생성된 비디오 필드 식별 방법 및 장치
US5563651A (en) * 1994-12-30 1996-10-08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video fields produced by film sources employing 2-2 and 3-2 pull down sequences
US5963262A (en) * 1997-06-30 1999-10-05 Cirrus Logic, Inc. System and method for scaling images and reducing flicker in interlaced television images converted from non-interlaced computer graphics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37091A1 (en) 1999-07-22
CN1292199A (zh) 2001-04-18
US6130723A (en) 2000-10-10
JP2002510174A (ja) 2002-04-02
EP1062809A1 (en) 2000-12-27
AU2116899A (en)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4862A (ko) 인터레이스 비디오 디스플레이 상에서 이미지 품질을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4947874B2 (ja) インターフェースプログレッシブビデオ変換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6459455B1 (en) Motion adaptive deinterlacing
US6239842B1 (en) Method of de-interlacing video signals using a mixed mode spatial and temporal approximation technique
EP0751682B1 (en) Flicker reduction apparatus
CA1329651C (en) Signal spreader
KR20010020520A (ko) 순차주사된 화상을 텔레비전 입력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방법 및 시스템
US60285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scaling and convolution for displaying computer graphics on a conventional television monitor
KR20000070088A (ko) 동적 계수 가중 처리하여 스케일링 및 플리커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115498A (en) Character image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6172718B1 (en) Adaptive dynamic aperture correction
US5828366A (en) Non-linear interline flicker reducer
Heynderickx et al. 47.1: Invited Paper: Image Quality Comparison of PDP, LCD, CRT and LCoS Projection
US63848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laced image enhancement
Chan Toward better chroma subsampling: Recipient of the 2007 SMPTE student paper award
US61633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visual artifacts caused by the pixel display of a video image
FI89227C (fi) Foerfarande foer att dubblera taetheten i en ortogonaliskt samplad bild
KR101204210B1 (ko) 기하학적 이중성을 이용한 디인터레이싱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WO1994011854A1 (en) Processing of signals for interlaced display
KR100267375B1 (ko) 엠펙-2 비디오 색차 신호의 수직방향 프레임/필드 적응적 필터링 방법
JP3280682B2 (ja) 動き検出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装置
Cheung et al. Window-Extent Tradeoffs in Inverse Dithering
Faroudja et al. Video Processing for Pixellized Displays
Adachi High Quality Picture Technology for LCD TV AQUOS LC-37BD5
Balram et al. 44.1: Adaptive Digital Video Format Converters: A New Family of Video Conversion ICs for Video Content Spanning Low Resolution up to Full H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