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4825A - 압축된 연결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압축된 연결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4825A
KR20010024825A KR1020007007327A KR20007007327A KR20010024825A KR 20010024825 A KR20010024825 A KR 20010024825A KR 1020007007327 A KR1020007007327 A KR 1020007007327A KR 20007007327 A KR20007007327 A KR 20007007327A KR 20010024825 A KR20010024825 A KR 20010024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mpression
source
node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7432B1 (ko
Inventor
헨드리쿠스 요트. 그루터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10024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4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4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1Circuit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 H04Q3/62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for connecting to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34A/D conversion, code compression/expan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66Fault preven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79Fax, still pi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4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16Code signals, frame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2PB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71Forced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92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32Broadband, CATV,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Abstract

다수의 네트워크로 연결된 PBX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흔히 압축 연결은 그러한 PBX를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PBX(3)에서, 다수의 소스 신호는 압축 프로세서(32)에 의해 압축되며, 그 후 멀티플렉서(34)에 의해 다중화된다. 다중화된 신호는 제 2 PBX(5)에 송신되며, 여기서 상기 다중화된 신호는 디멀티플렉서(36)에 의해서 디멀티플렉싱되고, 압축해제 프로세서(40)에 의해서 압축해제된다. 상기 소스 신호에 수행된 압축 때문에, 상기 제 2 PBX에서의 복원된 음성 신호의 품질은 다소 나빠진다. 상기 복원된 소스 신호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특정 송신 링크에 걸쳐 송신되는 상기 소스 신호의 총 비트율에 따라 다르게 압축비를 적용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Description

압축된 연결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 USING A COMPRESSED CONNECTION}
전문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국제 공개번호 WO 98/16083 호로 발행된 국제 특허 출원으로부터 공지된다.
종래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PBX가 소개되었으며, 여기서 다수의 PBX는 더 큰 가상의 스위치를 얻기 위해서 통신 링크를 통해서 상호 연결된다. 상기 PBX는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고, 여기서 다른 위치는 다른 도시일 수 있고, 심지어 다른 나라일 수 있다. 통신 링크는 공용 전화 네트워크(PSTN : Public Telephone Network)를 종종 포함한다.
상호 연결된 PBX의 네트워크에 대한 운영비의 상당 부분은, 상기 공용 전화 네트워크의 운영자가 청구하는 PBX 사이의 상호 연결 비용이 차지한다. 상기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종종 압축 수단은, 더 많은 신호가 미리 결정된 용량을 갖는 링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송신될 신호를 압축하는데 사용된다. 음성 신호의 경우에, 음성 신호는 압축 수단에 사용되는 압축비에 따라 달라진다. 압축의 사용은 결국, 압축의 양에 의존하는 음성 품질의 저하를 야기할 것이다. 그 결과로, 상기 압축의 사용은 상기 통신 시스템의 송신 품질에 어느 정도의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소스 신호로부터 다수의 압축된 소스 신호를 유도하기 위한 압축 수단(compression means), 상기 다수의 압축된 소스 신호를 다중 신호(multiplex signal)로 다중화하기 위한 멀티플렉서를 갖는 제 1 노드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 1 노드는 상기 다중 신호를 제 2 노드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노드는 다중 신호를 다수의 압축된 소스 신호로 디멀티플렉싱하기 위한 디멀티플렉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노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다수의 네트워크로 연결된 PBX를 포함한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시스템에서 사용된 다중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따른 시스템에서 압축 서버(3)에 사용된 제어기(30)를 구현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를 위한 프로그램의 흐름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시스템에서 압축 서버(5)에 사용된 제어기(38)를 구현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를 위한 프로그램의 흐름도.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시스템의 송신 품질이 개선된 상기 전문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압축 수단이 송신될 소스 신호의 총 율(aggregate rate)에 따라 상기 소스 신호를 압축하기 위한 가변 압축 수단으로 배열되는 것과, 압축해제 수단이 소스 신호를 얻기 위해서 디멀티플렉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압축해제하기 위하여 가변 압축 수단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압축이 정해진 통신 링크에 걸쳐서 송신될 신호의 총 율에 따라 이뤄진다면, 압축비는 상기 통신 링크에 걸쳐 필요한 양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기 위해 실제로 필요한 압축비보다 결코 더 클 수가 없음이 분명하다. 통신량이 많다(heavy traffic)면, 큰 압축비가 사용되어, 결국 송신된 신호의 품질이 어느 정도 저하될 것이다. 단지 통신량이 적다(light traffic)면, 적은 압축비가 사용되거나 혹은 심지어 어떠한 압축도 사용되지 않으며, 결국 송신된 신호의 품질은 개선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압축 수단이 소스 신호에 대한 다수의 압축비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수의 압축비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압축비를 조정하는 것은 압축 및 압축해제 방법을 변경시킴으로써 쉽게 수행될 수있다. 이것은 단일 압축 방법의 압축비를 차츰 변경하는 것 보다 수행하기가 더 쉽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는 상기 다수의 압축비가 정수 인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수 인수에 따라 달라지는 압축비를 선택함으로써, 추가적인 소스 신호를 송신되는 다중 신호에 추가하는 것은 더 쉬워진다. 그런 다음, 다중 신호에서의 하나의 기존 신호를, 교체된 단일 신호와 같은 총 비트율을 갖는 두 개 이상의 신호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제, 다중 신호(the multiplex)에서의 두 개 이상의 신호는 교체된 소스 신호 및 추가된 소스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PBX(2, 4, 6, 8, 10 및 12)를 포함한다. 각 PBX(2, 4, 6, 8, 10 및 12)는 압축 서버(3, 5, 7, 9, 11 및 13)를 포함한다. PBX는 64 kbit/sec의 채널(14, 16, 18, 20, 및 24)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압축 서버는 송신되는 음성 신호를 G.728, G.729와 같은 몇몇 압축 알고리즘에 따라 압축할 수 있다. 이들 서버는 또한, V.17, V.29 및 V.21과 같은 몇몇 표준에 따른 팩스 신호 전용의 압축 알고리즘 및 V.37, V32 및 V.22와 같은 몇몇 표준에 따른 모뎀 신호 전용의 압축 알고리즘을 포함한다.
각 채널은 다수의 압축된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에 따른 구성(setup)은, 공용 전화 네트워크를 통해서 일반적으로 루트가 정해지는 채널(14, 16, 18, 20 및 24)의 비용을 줄이는데 널리 사용된다. 압축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PBX 사이의 채널에서 필요한 용량은 현재보다 상당히 더 커지게 되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독창적인 아이디어에 따라, 압축비 및 그에 따른 소스 신호의 수는 두 개의 상호 연결된 PBX 사이의 필요한 통신의 양에 따라 증가한다. 이것은 결국, 많은 통신이 발생하는 상황하에서 송신 품질의 약간의 저하를 댓가로 채널의 용량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도 2는 송신 링크(14)를 통해서 상호 연결된 압축 서버(3 및 5)를 좀더 상세히 도시한다. 다수의 소스 신호는 압축 프로세서(32)의 해당 입력에 인가된다. 상기 압축 프로세서의 각 활성 입력 신호에 사용되는 압축 방법은 제어기(30)에 의해서 결정된다. 제어기(30)는 PBX의 스위칭 코어(core)로부터 새로운 연결을 요청하거나 혹은 기존 연결의 해제를 요청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한다.
이하에서, 세가지 가능한 압축 방법, 즉 G.728(16 kbit/s), G.729(8 kbit/s) 및 하모니(harmony)로 지칭되는 정현파 코더(sinusoidal coder)(4 kbit/s)는 음성 송신에 사용될수 있음이 가정될 것이다. G.728 및 G.729는 당업자에게 충분히 공지될 것이다. 상호 연결된 압축 서버(3 및 5) 사이에 신호화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서 8 kbit/sec 이상이 필요하다는 것이 추가로 가정될 것이다.
아래의 표 1에서, 각 압축 방법을 사용하는 채널의 수는 요청된 연결의 총수의 함수로 주어진다.
[표 1]
요청된 채널의 수 G.728 채널의 수 G.729 채널의 수 하모니 채널의 수 총 비트율
1 1 0 0 16 kbit/s
2 2 0 0 32 kbit/s
3 3 0 0 48 kbit/s
4 2 2 0 48 kbit/s
5 2 3 0 56 kbit/s
6 1 5 0 56 kbit/s
요청된 채널의 수 G.728 채널의 수 G.729 채널의 수 하모니 채널의 수 총 비트율
7 0 7 0 56 kbit/s
8 0 6 2 56 kbit/s
9 0 5 4 56 kbit/s
10 0 4 6 56 kbit/s
11 0 3 8 56 kbit/s
12 0 2 10 56 kbit/s
13 0 1 12 56 kbit/s
14 0 0 14 56 kbit/s
압축 프로세서(32)의 출력에서의 압축 신호는 멀티플렉서(34)의 해당 입력에 인가된다. 멀티플렉서(34)는 압축 프로세서(32)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제어기(30)로부터의 신호화 정보를 조합한다. 압축 프로세서로부터의 각 출력 신호의 비트율은 변할 수 있기 때문에, 탄력적인 프레임 구조가 사용되어야 한다.
멀티플렉서(36)의 출력 신호는 채널(14)을 통해서 압축 서버(5)에 있는 디멀티플렉서(36)의 입력에 송신된다. 디멀티플렉서(36)는 자신의 입력 신호를 압축된 소스 신호 및 제어 신호로 디멀티플렉싱하도록 배열한다. 압축된 소스 신호는 압축해제 프로세서(40)에 인가되고, 제어 신호는 제어기(30)에 인가된다.
압축해제 프로세서(40)는 제어기(38)가 제공하는 선택 신호로 지시된 적절한 압축해제 알고리즘에 따라 자신의 입력 신호를 압축해제 한다. 각 채널에 사용되는 압축해제 알고리즘은 제어기(38)에 의해 멀티플렉서(36)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로부터 유도된다. 제어기(38)는 또한 프레임 선택 신호를 디멀티플렉서(36)에 전송하여, 채널(14)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의 구조가 변경되었음을 나타낸다.
압축해제 신호는 최종 목적지로 루트를 정하도록 PBX의 스위칭 코어에 제공된다.
도 2에 따른 프레임 구조는 연속적인 패킷의 스트림을 포함하고, 이들 패킷의 일부가 연결에 할당된다. 패킷은 동기화 시퀀스를 전달하는 플래그 필드(50)로 시작한다. 동기화 시퀀스는 새로운 패킷의 시작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 플래그 필드(50)의 길이는 가변적이고, 심지어 0일 수도 있다. 이러한 길이는, 송신 링크 상에서 요구되는 총 대역폭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플래그 필드의 길이는 표를 사용하여 결정되는데, 아래 표 2는 일예이다.
[표 2]
입력 플래그 필드의 길이
1, 2 8 비트
3, 4 4 비트
>4 0 비트
패킷에서 데이터 필드(56)가 전달하는 비트의 수를 나타내는 길이 필드(52)가 플래그 필드(50)의 뒤를 따른다. 길이 필드(52)의 처음 비트가 "0"이면, 데이터 필드(56)는 미리 정의된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 길이 필드(52)는 값 "0"을 갖는 1 비트로만 구성된다. 길이 필드의 처음 비트가 "1"이면, 데이터 필드(56)의 길이는 길이 필드(52)에서 n 개의 그 다음 비트에 의해 설명된다.
길이 필드(52) 이후에, 연결 ID 필드(54)가 송신된다. 연결 ID 필드(54)는 데이터 필드(56)의 데이터가 속한 연결을 식별한다. 하나의 연결 ID는, 제어기(30)와 제어기(38) 사이에서 제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어기들 사이에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통신을 위해 예비된다. 마침내, 압축된 소스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필드(56)가 송신된다. 길이 필드(52)는 데이터 필드(56)의 길이를 나타낸다.
도 4에 따른 흐름도에서, 번호가 붙여진 항목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번호 블록 이름 의미
66 시작 프로그램의 시작
68 연결 추가 ? 새로운 연결이 추가 되는지를 결정한다.
69 연결 ID 결정 새로운 연결에 대한 연결 ID가 결정
된다.
70 연결 삭제 불필요한 연결이 삭제된다.
71 사용된 대역폭 계산 모든 채널의 총 대역폭이 계산된다.
72 비트율 계산 모든 연결의 총 비트율이 계산된다.
73 대역폭이 충분한가 ? 새로운 연결에 이용가능한 충분한 대역
폭이 존재하는지가 검사된다.
74 채널 전환 활성 채널에 다른 대역폭을 할당한다.
75 대역폭이 충분한가 ? 새로운 연결에 대한 이용가능한 충분한
대역폭이 존재하는지가 검사된다.
76 플래그 길이 계산 플래그 필드의 길이가 결정된다.
77 새로운 연결을 거부 요청된 새로운 연결이 거부된다.
78 플래그 길이 송신 플래그 필드의 길이가 송신된다.
79 비트 할당 송신 새로운 비트 할당이 송신된다.
80 멀티플렉서 및 압축 압축 프로세서 및 멀티플렉서가 새로운 프로세서에 통보 비트 할당에 대해 통보를 받는다.
81 종료 프로그램이 종료된다.
도 4의 흐름도에 따른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새로운 연결이 두 PBX 사이에 송신되는 다중 신호로부터 더해지거나 혹은 삭제되어야 할 때 시작한다. 이것은, 상기 두 PBX 사이의 새로운 연결이 설정되어야 하거나 혹은 PBX 사이의 기존의 연결이 종료되어야 하는 것을 나타내는 PBX의 스위칭 코어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이뤄진다. 도 4에 따른 프로그램의 명령(66)에서, 초기화가 발생한다.
명령(68)에서, 송신되는 다중 신호(the multiplex)로부터 더해지거나 혹은 삭제되는 하나의 연결이 존재 하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하나 이상의 연결이 추가되어야 한다면, 명령(69)에서, 연결 ID는 이들 연결에 할당되고, 상기 압축 프로세서(32)의 입력은 상기 연결 ID에 할당된다. 명령(71)에서, 현재 활성 채널의 총 비트율은 개별 비트율을 더하여 계산된다.
하나 이상의 연결이 삭제되어야 한다면, 명령(70)에서, 상기 ID의 입력에 해당하는 압축 프로세서(32)의 입력이 자유로운 상태(free)가 되고, 제거되어야 하는 상기 연결에 해당하는 연결 ID를 갖는 압축된 소스 신호가 다중 신호(the multiplex)로부터 제거된다.
명령(72)에서, 추가되는 새로운 연결에 필요한 대역폭이 결정된다. 서비스의 품질에 대해 어떠한 제약도 가해지지 않는다면, 음성 신호를 위한 비트율은 4, 8 혹은 16 kbit/s일 수 있다. 보통, 추가되는 연결을 위한 비트율은 현재 다중 신호(the multiplex)에 사용된 비트율중 가장 낮은 값과 동일하게 선택될 것이다. 특정 서비스 요구의 품질이 설정된 새로운 연결과 관련된다면, 필요한 비트율은 상기 서비스의 품질에 따라 선택된다.
명령(73)에서, 이용 가능한 대역폭이 새로운 연결의 부가를 허용하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충분한 대역폭이 이용 가능하다면, 프로그램은 명령(74)에서 계속된다. 대역폭이 불충분하게 이용 가능하다면, 기존의 연결에 이용 가능한 대역폭은 추가되는 새로운 호출에 이용 가능하도록 낮아질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대역폭을 더 낮출지라도, 서비스 품질의 요구사항이 고려되어야 한다. 특정 서비스 품질의 요구사항을 갖는 기존 연결의 비트율은 감소하지 않는다. 비트율이 감소되어야 하는 채널의 양은 추가되는 채널에 필요한 요구되는 비트율로부터 결정된다. 예를 들면, 새롭게 추가되는 채널이 4 kbit/sec를 필요로 한다면, 기존의 8 kbit/sec 채널의 비트율은 4 kbit/sec로 감소되고, 남은 4 kbit/sec는 새롭게 추가되는 채널을 위해서 사용된다.
명령(75)에서, 전환 동작(reshuffling operation) 후에, 새로운 채널을 추가하는데 이용 가능한 충분한 대역폭이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충분한 대역폭이 존재하지 않으면, 명령(77)에서, 상기 새로운 연결은 거부되고, PABX의 스위칭 코어는, 공용 전화 네트워크를 통한 다이얼 업(dial up) 연결과 같은 대체 연결을 사용하여야 한다. 추가되는 새로운 연결에 이용 가능한 충분한 대역폭이 존재한다면, 명령에서, 플래그 필드의 길이는 명령(74)에서 계산된 총 비트율에 따라 달라진다. 총 비트율이 임계값 이하라면, 플래그 필드는 공칭 값(nominal value)을 갖는다. 총 비트율이 상기 임계값 이상이라면, 플래그 필드의 길이는 감소한다. 플래그 필드의 길이는, 0으로 감소하여, 실제로 플래그 필드가 존재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명령(78)에서, 플래그 길이가 송신되고, 명령(79)에서, 비트 할당이 송신된다. 이러한 데이터는, 제어기(30)와 제어기(38) 사이의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위해 예비된 연결 ID에 해당하는 연결 ID와 패킷으로 송신된다.
명령(80)에서, 압축 프로세서(32) 및 멀티플렉서(34)는, 자신들의 동작중에 가져야 하는 변경에 대해 통보를 받는다. 압축 프로세서(32)는 자신의 각 채널에 사용되는 압축 구조에 대해 통보를 받아야 한다. 멀티플렉서(34)는, 압축 프로세서(32)로부터의 각 출력 신호 및 상기 출력 신호에 할당된 연결 ID에 사용되는 패킷 포맷에 대해 통보를 받아야 한다.
도 5에 따른 프로그램에서, 번호가 붙여진 블록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번호 블록 이름 의미
86 시작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88 새로운 연결 ? 새로운 연결이 추가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90 새로운 연결을 추가 새로운 연결이 추가된다.
92 기존의 연결을 삭제 기존의 연결이 삭제된다.
94 플래그 길이 판독 플래그 필드의 길이가 판독된다.
96 비트 할당을 판독 몇 가지 채널에 대한 비트 할당이 판독 된다.
98 디멀티플렉서, 압축해제 디멀티플렉서(36) 및 압축해제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통보 (40)에 통보 한다.
100 종료 프로그램이 종료된다.
도 5에 따른 프로그램은 제어기(38)가 디멀티플렉서(36)를 통해서 채널 할당의 변경이 발생한 제어기(3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때 시작한다.
프로그램은, 초기화가 발생하는 명령(86)으로 시작한다. 명령(88)에서, 연결이 추가되어야 하는지 혹은 연결이 삭제되어야 하는지가 검사된다. 연결이 추가되어야 한다면, 명령(90)에서, 필요한 조치가 취해진다. 이러한 조치는 추가된 새로운 연결의 연결 ID를 저장하는 것과 송신기에서 사용된 표 3에 해당하는 연결 표를 갱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나아가, 압축해제 프로세서(36)의 입력에 대한 수신된 신호의 할당이 발생해야 한다. 연결이 삭제되어야 한다면, 연결은 연결표(connection table)로부터 제거된다.
명령(94)에서, 플래그 필드의 길이는, 디멀티플렉서(36)가 사용하도록 입력 신호로부터 판독되며, 명령(96)에서, 비트 할당이 판독된다. 이러한 비트 할당은 각 논리 채널에 사용되도록 압축 방법의 형태로 송신된다. 대안적으로, 제어기(38)는, 다른 채널에 대한 압축 형태의 할당을 결정하기 위해 자신이 보유한 연결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것은 제어기(30)에서 수행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표 3의 카피(copy)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명령(98)에서, 새로운 채널 할당이 디멀티플렉서(36)와 압축해제 프로세서(40)에 전달된다. 미리 결정된 순간에, 디멀티플렉서(36)와 압축해제 프로세서는 새로운 구성으로 스위칭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제어기(30) 및 제어기(38) 사이의 피어 투 피어 연결에 해당하는 연결 ID를 갖는 다음 패킷후에 이뤄질 수 있다.
마침내, 프로그램은 명령(100)에서 종료된다.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더 많은 변형과 개선이 당 사업자에게 발생할 것이다. 본 발명이 도시된 특정 형태로 국한되지 않고 이해되어지기를 바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은 모든 변형을 포함하려 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8)

  1. 다수의 소스 신호로부터 다수의 압축된 소스 신호를 유도하기 위한 압축 수단과 상기 다수의 압축된 소스 신호를 다중(multiplex) 신호로 다중화하기 위한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제 1 노드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 1 노드는 상기 다중 신호를 제 2 노드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노드는 상기 다중 신호를 상기 다수의 압축된 소스 신호로 디멀티플렉싱하기 위한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와 상기 압축된 소스 신호로부터 상기 소스 신호를 유도하기 위한 압축해제(decompression) 수단을 포함하는, 제 1 노드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압축 수단은 송신될 상기 소스 신호의 총 율(aggregate rate)에 따라 상기 소스 신호를 압축하기 위한 가변 압축 수단으로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압축해제 수단은 상기 디멀티플렉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호를 상기 소스 신호를 얻기 위해 압축해제하기 위한 가변 압축해제 수단으로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노드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수단은 상기 소스 신호에 대한 다수의 압축비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노드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압축비는 정수 인수만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노드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인수는 2의 인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노드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5. 다수의 소스 신호로부터 다수의 압축된 소스 신호를 유도하기 위한 압축 수단과 다수의 압축된 소스 신호를 다중 신호로 다중화하기 위한 멀티플렉서를 갖는 통신 노드로서, 상기 노드는 상기 다중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노드에 있어서,
    상기 압축 수단은 다중화될 상기 소스 신호의 총 율에 따라 상기 소스 신호를 압축하기 위한 가변 압축 수단으로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노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수단은 상기 소스 신호에 대한 다수의 압축비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노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압축비는 2의 인수만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노드.
  8. 다수의 소스 신호로부터 다수의 압축된 소스 신호를 유도하는 단계와 다수의 압축된 소스 신호를 다중 신호로 다중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중화될 상기 소스 신호의 총 율에 따라 상기 소스 신호를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KR1020007007327A 1998-11-02 1999-10-27 통신 노드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100587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8203688.1 1998-11-02
EP98203688 1998-11-02
PCT/EP1999/008251 WO2000030399A2 (en) 1998-11-02 1999-10-27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compressed conn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4825A true KR20010024825A (ko) 2001-03-26
KR100587432B1 KR100587432B1 (ko) 2006-06-09

Family

ID=8234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327A KR100587432B1 (ko) 1998-11-02 1999-10-27 통신 노드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80509B1 (ko)
EP (1) EP1050180A2 (ko)
JP (1) JP2003529949A (ko)
KR (1) KR100587432B1 (ko)
CA (1) CA2316866A1 (ko)
WO (1) WO200003039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5690B2 (ja) * 2001-02-20 2006-12-13 三菱電機株式会社 多重化装置、分離装置
US7239611B2 (en) * 2003-03-03 2007-07-03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ing admission of data streams onto a network based on end-to-end measurements
JP6310182B2 (ja) * 2013-03-22 2018-04-11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光伝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9187A (en) * 1985-04-22 1987-07-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Adaptive trunk-compression system with constant grade of service
JP2713883B2 (ja) * 1986-02-07 1998-0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時分割交換機
JPH077756A (ja) * 1993-06-16 1995-01-10 Hasegawa Electric Co Ltd 専用線isdn方式
US5682386A (en) * 1994-04-19 1997-10-28 Multi-Tech Systems, Inc. Data/voice/fax compression multiplexer
US5825779A (en) * 1996-10-07 1998-10-20 Timeplex, Inc. PBX networking with quality of service control
US6031573A (en) * 1996-10-31 2000-02-29 Sensormatic Electronics Corporation Intelligent video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erforming multiple functions in parall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16866A1 (en) 2000-05-25
EP1050180A2 (en) 2000-11-08
JP2003529949A (ja) 2003-10-07
WO2000030399A3 (en) 2000-08-10
KR100587432B1 (ko) 2006-06-09
US6480509B1 (en) 2002-11-12
WO2000030399A2 (en) 200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49662B1 (en) Bandwidth management in a switched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H10294788A (ja) 中継装置の通信帯域制御方式
US5825779A (en) PBX networking with quality of service control
WO2000054463A1 (en) Method for bandwidth adapted utilization
KR100587432B1 (ko) 통신 노드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US5903573A (en) Apparatus for reducing transmission capacity
AU719747B2 (en) Private branch exchange,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of transmitting signals in subrate channels
US7082144B1 (en)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plex signal carrying an auxiliary signal
JP4311507B2 (ja) ボイス呼びを確立する方法
EP0939575B1 (en) Subrate voice switching in telecommunication networks
JP2886985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交換機装置に用いられる装置
JP2883255B2 (ja) 多重中継装置
JP2932681B2 (ja) 高速ディジタル回線のチャンネル割付け方式
JPH01238238A (ja) 加入者線多重化チャネル方式
JPH07143320A (ja) ファクシミリ信号多重化装置
JPH08274884A (ja) 回線選択システム
JPH04150327A (ja) オーダワイ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