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4631A - 띠모양 장신구에 있어서의 블록과 연결 기구의 고정 구조,연결 핀 및 블록의 구조 - Google Patents

띠모양 장신구에 있어서의 블록과 연결 기구의 고정 구조,연결 핀 및 블록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4631A
KR20010024631A KR1020007005273A KR20007005273A KR20010024631A KR 20010024631 A KR20010024631 A KR 20010024631A KR 1020007005273 A KR1020007005273 A KR 1020007005273A KR 20007005273 A KR20007005273 A KR 20007005273A KR 20010024631 A KR20010024631 A KR 20010024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nection
band
ho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5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카와진다이
하라도시아키
아오키가즈오
Original Assignee
하루타 히로시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28046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9321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37500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179511A/ja
Application filed by 하루타 히로시,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루타 히로시
Publication of KR20010024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463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44C5/10Link constructions not extensible
    • A44C5/107Link constructions not extensible with links made of more than two elements including connec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44C5/10Link constructions not extensib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구조는 파이프(24)와 한 쌍의 연결 핀(23, 24)으로 구성되고, 핀의 헤드부(22a, 23b)를 파이프(24) 내에 압입하여, 파이프에 직경 방향의 확장부(24a, 24b)를 형성함으로써, 연결 기구(21)가 가장자리 블록(26, 27)의 연결 구멍(28, 29)의 내벽에 압접되어 가장자리 블록(26, 27)의 연결 구멍(28, 29)에 고정된다.

Description

띠모양 장신구에 있어서의 블록과 연결 기구의 고정 구조, 연결 핀 및 블록의 구조{FIXING STRUCTURE FOR BLOCKS AND CONNECTING DEVICE AND STRUCTURES OF CONNECTING PIN AND BLOCK IN BAND-SHAPED ORNAMENT}
종래, 도 46 및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목 시계 밴드에 있어서는 로울렛 핀(3)이 연결 블록(2)의 관통공(2a)을 통해 폭 방향으로 마주 대한 각각의 블록(1)의 폐색 구멍(1a)에 걸어 맞추어져, 각 블록이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로울렛 핀(3)의 양단에는 복수 개의 돌출부가 연속하여 형성된 로울렛부(3a)가 마련되고, 이 로울렛부(3a)가 연결 구멍(1a)에 넣어지면, 로울렛부(3a)가 연결 구멍(1a)의 내벽에 압접되어, 블록(1)과 로울렛 핀(3)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로울렛 핀(3)을 회전축으로 하여, 연결 블록(2)이 블록(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 블록(2)은 같은 식으로 인접하는 블록(1) 각각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을 순차적으로 반복함으로써, 블록(1)과 연결 블록(2)으로 이루어지는 손목 시계 밴드가 구성된다. 다른 띠모양 장신구도 이에 거의 준한다.
그러나, 이러한 로울렛부(3a)의 압접을 이용한 블록과 연결 기구의 고정 수단은 견고하고도 안정된 고정력을 얻을 수 없었다. 왜냐하면, 손목 시계를 사용하고 있으면, 블록(1)과 연결 블록(2)의 회전에 기인한 외력이 로울렛 핀(3)에 가해진다. 따라서, 연결 구멍(1a)의 내벽이 로울렛부(3a)에 의해 깎이게 되어, 로울렛 핀(3)과 블록(1)의 연결 구멍(1a)과의 압접이 느슨해지게 된다. 그 결과, 종종 로울렛 핀(3)이 블록(1)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블록과 연결 블록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띠모양의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48은 시계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블록을 떼어낼 수 있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를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기구로는 머리핀 형상의 연결 기구(4)가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연결 기구(4)는 단면이 반원형인 선형 부재를 2번 접고, 일단에 굴곡부(4a)를 형성하며, 타단의 해방단에 만곡된 걸어맞춤부(4b)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연결 기구(4)는, 예컨대 복수 개의 블록(6)과 그것을 연결하는 연결 블록(8)으로 이루어지는 시계 밴드의 연결에 사용되고 있다. 블록(6)은 밴드의 폭 방향의 양단에 각각 마련된 연부(6a, 6b)와, 이들을 밴드의 폭 방향으로 연결 고정하는 가교(架橋)(6c)로 구성되어 있고, 연부(6a, 6b)에는 밴드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연결 구멍(6d, 6e)이 마련되어 있다. 또, 연결 블록(8)은 판 부재를 링 형상으로 감아서 형성된 것으로, 그 밴드 폭 방향의 연결 구멍(8a)에 하나의 블록(6)의 가교(6c)가 삽입 관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블록(6)과 연결 블록(8)이 쌍을 이루는 블록(10)을, 그 연결 블록(8)의 연결 구멍(8a)이 인접하는 다른 블록(11)의 블록(6)의 연결 구멍(6d, 6e)에 연통되도록 배치하고, 연결 구멍(6d, 6e, 8a)에 연결 기구(4)를 삽입하여 연결한다. 이 때, 연결 기구(4)는 그 굴곡부(4a) 쪽으로부터 삽입되어, 걸어맞춤부(4b)가 연결 구멍(6d) 내로 압입되면, 그 탄력성에 의해 걸어맞춤부(4b)의 외면이 연결 구멍(6d)의 내면에 압접되어 걸어맞춰진다. 연결 기구(4)는 그 탄력성에 의해 연결 구멍(6d, 6e, 8a) 내에 잔류하고 있을 뿐이므로, 그 굴곡부(4a) 방향에서 밴드 폭 방향으로 공구를 이용하여 압박함으로써 걸어맞춤부(4b)를 연결 구멍(6d)으로부터 압출하여 뽑아낼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연결 기구(4)는 가는 선 모양의 재료를 굴곡시켜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강도가 낮고, 특히, 시계 밴드가 밴드 길이 방향으로 인장되면 변형되거나 꺾여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 기구(4)가 변형되면, 연결 구멍(6d, 6e, 8a)에서 빠지지 않는 경우가 있어, 블록을 빼낼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 상기 연결 기구(4)는 연결 구멍(6d, 6e, 8a)에 끼웠다 뺐다를 반복하면 굴곡부(4a)가 주저앉아 버려 탄력성이 약해져서, 걸어맞춤부(4b)를 압접하는 힘이 약해져 빠져 버리는 일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강도가 크고, 반복해서 끼웠다 뺐다 하여도 탄력성이 저하되지 않는 연결 핀의 구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49는 종래의 머리핀 형상 연결 기구(4)의 다른 문제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시계 밴드는 사용 중에,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6)과 속이 꽉 찬 연결 블록(8A)이 폭 방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비틀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연결 블록(8A)의 구멍의 내벽이 점(A)에 있어서 연결 기구(4)에 압접되어, 연결 기구(4)를 도면에서 우측으로 압박하여, 연결 기구가 블록으로부터 빠져 나와, 밴드가 벗겨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연결 기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띠모양 장신구의 블록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띠모양의 장신구, 특히 복수 개의 블록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띠모양의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러한 블록과 연결 기구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띠모양 장신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연결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띠모양 장신구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띠모양 장신구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상대 치수도이다.
도 5는 상기 띠모양 장신구의 제1 조립 단계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상기 띠모양 장신구의 제2 조립 단계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상기 띠모양 장신구의 제3 조립 단계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상기 띠모양 장신구의 제4 조립 단계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상기 띠모양 장신구의 제5 조립 단계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상기 띠모양 장신구의 제6 조립 단계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 한쪽 연결부를 부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있어서 다른 쪽 연결부를 부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띠모양 장신구의 제7 조립 단계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있어서 한쪽 연결부를 부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있어서 다른 쪽 연결부를 부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띠모양 장신구의 제8 조립 단계의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있어서 한쪽 확장부를 부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있어서 다른 쪽 확장부를 부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띠모양 장신구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16에 있어서 동 띠모양 장신구의 확장부를 부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 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내는 연결 핀으로 시계 밴드의 블록을 연결했을 때의 주요부의 횡단도(橫斷圖)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나타내는 시계 밴드의 주요부의 종단도(縱斷圖)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22에 나타내는 연결 핀으로 다른 시계 밴드의 블록을 연결했을 때의 주요부의 횡단도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22에 나타내는 연결 핀으로 다른 시계 밴드의 블록을 연결했을 때의 주요부의 횡단도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22에 나타내는 연결 핀으로 버클 부분을 연결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2에 나타내는 연결 핀으로 시계 밴드와 시계 본체를 연결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 평면도이다.
도 29는 도 22에 나타내는 연결 핀으로 다른 시계 밴드와 시계 본체를 연결했을 때의 상태와 연결 핀의 일부 변경예 및 그것을 이용하여 연결한 블록을 나타내는 부분 절단 평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나타내는 연결 핀의 일부 변경예를 이용하여 연결한 다른 블록을 나타내는 부분 절단 평면도이다.
도 31은 도 22에 나타내는 연결 핀의 제조에 이용하는 막대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2는 도 22에 나타내는 연결 핀의 제조에 이용하는 금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에 나타내는 고정틀에 도 31에 나타내는 막대 부재를 끼워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4는 도 33에 나타내는 가동틀로 막대 부재를 가압하여 연결 핀을 형성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5는 다른 고정틀에 도 31에 나타내는 막대 부재를 끼워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6은 도 35에 나타내는 가동틀로 막대 부재를 가압하여 연결 핀을 형성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7은 다른 고정틀에 도 31에 나타내는 막대 부재를 끼워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8은 도 37에 나타내는 가동틀로 막대 부재를 가압하여 연결 핀을 형성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9는 도 22에 나타내는 연결 핀의 탄력성을 설정할 때의 조건 및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1은 절단 평면도이다.
도 42는 측면도이다.
도 43은 단면도이다.
도 44는 단면도이다.
도 45는 측면도이다.
도 46는 종래의 띠모양 장신구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7은 상기 띠모양 장신구의 로울렛 핀의 사시도이다.
도 48은 종래의 연결 기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 평면도이다.
도 49는 블록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록과 연결 기구의 고정 구조는 띠모양 장신구에 있어서의 블록과 이 블록의 연결 구멍에 삽입되는 연결 기구로 이루어지는 고정 구조로서, 연결 기구가 파이프와 연결 핀으로 이루어지고, 연결 핀에는 축과 이 축의 외경보다 큰 외경의 헤드부가 있으며, 연결 핀의 헤드부가 파이프 내에 압입됨으로써 직경 방향으로 확장된 확장부가 파이프에 형성되고, 블록의 연결 구멍의 내경이 파이프의 외경보다 크고 파이프의 확장부의 외경보다 작아, 확장부가 블록의 연결 구멍의 내벽에 압접되어, 연결 기구가 블록의 연결 구멍에 고정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록의 연결 구멍에 있어서의 개구부 근방보다 구멍의 안쪽 부근에 확장부가 위치하는 것, 또 블록의 연결 구멍 내부에 있어서의 확장부의 외경이 연결 구멍의 개구부 근방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과 연결 기구의 고정 방법은 블록의 연결 구멍에 연결 기구를 삽입하고, 연결 구멍에 삽입된 연결 기구의 적어도 일부분을 연결 구멍의 개구부 근방보다 안쪽 부근의 위치에서 외측으로 확장하여 연결 구멍의 개구부 근방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확장부를 형성하여 이것을 연결 구멍의 내벽에 압접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핀은 한쪽 블록의 연결 구멍에 삽입되는 축부와, 이 축부의 단부에 마련되어 그 축부보다 직경이 크고 축 방향으로 슬릿을 갖는 다른 쪽 블록의 연결 구멍에 압입되는 헤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은 복수 개의 블록을 연결 핀에 의해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띠모양 장신구에 있어서, 인접하는 블록의 장신구 길이 방향의 일측면에 블록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형 단면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반원형 단면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그 돌출부 및 오목부가 양측에 인접하는 블록의 오목부 및 돌출부에 회동 가능하게 걸어맞추어 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띠모양 장신구에 대해 손목 시계 밴드를 대표로 하여 도 1 내지 도 1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띠모양 장신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연결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띠모양 장신구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상기 띠모양 장신구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상대 치수도이며, 도 5 내지 도 19는 상기 띠모양 장신구의 조립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연결 기구(21)는 파이프(24), 한쪽 연결 핀(22) 및 다른 쪽 연결 핀(23)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손목 시계 밴드(25)의 폭 방향으로 마주 대한 한쪽의 가장자리 블록(26)과 다른 쪽의 가장자리 블록(27)을 연결하는 경우, 2개의 금속제 연결 핀(22, 23)이 준비된다.
한쪽 연결 핀(22)에는 가늘고 긴 원주 형상의 축(22a)이 있다. 축(22a)의 일단에는 축(22a)보다 굵은 원주 형상의 헤드부(22b)가 마련된다. 즉, 축(22a)의 외경을 L, 헤드부(22b)의 외경을 M이라고 하면, L<M의 식으로 표시된다.
헤드부(22b)에 있어서, 축(22a) 부근에는 원추대 형상의 경사면(22c)이 형성되어 있다. 즉, 축(22a)과 헤드부(22b)는 완만한 경사면(22c)을 매개로 연속되어 있다. 또, 원추대 형상의 돌기(22d)가 헤드부(22b)의 개방단에서부터 축(2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있다.
다른 쪽 연결 핀(23)의 축(23a)은 한쪽 핀(22)의 축(22a)보다 짧다. 또, 한쪽의 핀(22)과 마찬가지로, 헤드부(23b), 경사면(23c) 및 돌기(23d)가 축(23a)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 핀(22, 23)은 자동 절삭기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저렴하게 양산할 수 있다.
또한, 금속제의 중공형 원통체인 파이프(24)가 준비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24)의 내경은 연결 핀(22, 23)의 축(22a, 23a)의 외경(L)보다 크고, 또 헤드부(22b, 23b)의 외경(M)보다 작다. 즉, 파이프(24)의 내경을 N이라고 하면, L<N<M으로 나타내어진다.
이러한 한쪽의 연결 핀(22), 다른 쪽의 연결 핀(23) 및 파이프(24)가 연결 기구(21)를 구성한다.
또, 한쪽 가장자리 블록(26)과 다른 쪽 가장자리 블록(27)은 손목 시계 밴드(25)의 폭 방향으로 마주 대한 바닥을 갖는 폐색 연결 구멍(28, 29)을 갖는다. 한쪽의 가장자리 블록(26)의 내측면에 연결 구멍(28)이 뚫려 있고, 다른 쪽 가장자리 블록(27)의 내측면에 연결 구멍(29)이 뚫려 있다. 드릴로 천공하기 때문에, 연결 구멍(28, 29)의 바닥면(28b, 29b)은 원추형 형상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구멍(28, 29)의 내경(Q)은 파이프(24)의 외경(P1)보다 크고,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 핀(22, 23)의 헤드부(22b, 23b)가 파이프(24) 내에 압입되어, 파이프(24)가 직경 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확장부(24a, 24b)(도 3)의 외경(P2)보다 작다. 즉, P1<Q<P2로 나타낸다.
여기서, 연결 구멍(28, 29)에 있어서의 개구부(28a, 29a)로부터 바닥면(28b, 29b)의 가장 깊은 단에 이르는 깊이를 R이라 하면, 깊이(R)는 연결 핀(22, 23)의 헤드부(22b, 23b)의 길이(S)와, 돌기(22d, 23d)의 길이(T)를 합한 길이(S+T)보다 깊다. 즉, R>(S+T)로 나타낸다.
그런데, 이러한 연결 기구(21)와 가장자리 블록(26, 27)은 다음과 같은 조립 단계를 거쳐 고정된다. 단, 여기서 상하란, 도 5 내지 도 19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말한다.
단계 1
우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절한 유지 지그(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한쪽 가장자리 블록(26)을 받침틀(31)의 상면에 유지한다. 한쪽 가장자리 블록(26)의 연결 구멍(28)은 위를 향해 개방된다. 마찬가지로, 유지 지그(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한쪽 가장자리 블록(6) 위에 연결 블록(30)을 유지한다. 이 때, 연결 블록(30)을 관통하는 연결 구멍(30a)과 연결 구멍(28)을 합치시킨다. 연결 구멍(30a)의 내경과 연결 구멍(28)의 내경은 같아도 좋지만,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구멍(28)의 내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2
이어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블록(30)의 연결 구멍(30a)에 있어서 위를 향한 개구로부터, 한쪽의 연결 핀(22)을 삽입한다. 한쪽 연결 핀(22)은 헤드부(22b)가 하향이 되도록 삽입해야 한다. 연결 핀(22)의 헤드부(22b)는 가장자리 블록(26)의 연결 구멍(28) 내에 삽입되어, 바닥면(28b)과 접촉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헤드부(22b)의 돌기(22d)의 선단이 바닥면(28b)의 경사면과 접촉하여, 연결 핀(22)이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억지된다.
R>(S+T)이기 때문에, 연결 핀(22)의 헤드부(22b)의 전체 길이는 연결 구멍(28) 내에 완전히 몰입된다. 또, 연결 핀(22)의 축(22a)은 연결 블록(30)의 연결 구멍(30a)의 개구로부터 노출된다. 이와 같이, 연결 핀(22)에 의해 연결 구멍(30a)과 연결 구멍(28)은 연통된다.
단계 3
계속해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블록(30)의 연결 구멍(30a)의 개구에서, 파이프(24)를 위로부터 삽입한다. 앞서 배치된 연결 핀(22)의 축(22a)이 파이프(24) 내에 삽입 관통된다. N<M이기 때문에, 파이프(24)의 일단의 개구부 가장자리 주변이 연결 핀(22)의 경사면(22c)에 접촉할 때까지, 파이프(24)를 삽입한다. 연결 구멍(30a)과 연결 구멍(28)을 연통시킨 파이프(24)는 연결 핀(22)의 축(22a)을 둘러싸고, 연결 블록(30)의 연결 구멍(30a)의 개구 근방에 달한다. 혹은, 연결 구멍(30a)의 개구보다 상측으로 돌출하여 노출시켜도 좋다. 연결 핀(22)의 축(22a)은 파이프(24)내에 완전히 몰입된다. 파이프(24)의 타단의 개구부로부터 축(22a)의 개방단은 돌출되지 않는다.
P1<Q이기 때문에, 파이프(24)는 연결 구멍(30a)과 연결 구멍(28)의 내부에서 직경 방향을 따른 덜그덕거림을 허용한다. 또한, L<M<Q이기 때문에, 연결 핀(22)의 헤드부(22b)와 축(22a)은 파이프(24)의 내부에서 직경 방향(도면의 가로 방향)의 덜그덕거림을 허용한다.
단계 4
이어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블록(30)의 연결 구멍(30a)보다 상측으로 돌출한 파이프(24)의 타단의 개구부에, 다른 쪽 연결 핀(23)의 축(23a)이 헐겁게 끼워진다. L<M<Q이기 때문에, 축(23a)만이 파이프(24)의 내부에 헐겁게 끼워져, 헤드부(23b)가 파이프(24)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 때, 파이프(24)의 타단의 개구부 가장자리 주변이 연결 핀(23)의 경사면(23c)에 접촉한다. 축(23a)은 파이프(24)의 내부에서 직경 방향의 덜그덕거림을 허용한다.
단계 5
계속해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쪽 가장자리 블록(27)을 준비한다. 연결 핀(23)의 헤드부(23b)를 가장자리 블록(27)의 연결 구멍(29) 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적절한 유지 지그(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연결 블록(30)의 상측에, 가장자리 블록(27)을 유지한다. 여기서, 연결 구멍(28), 연결 구멍(30a) 및 연결 구멍(29)이 일직선 상에 나란히 놓인다.
이 때, 파이프(24) 내에 삽입된 축(22a)과 축(23a)의 개방단 사이에, 후술하는 단계 26에서 요구되는 충분한 빈 간격(A)이 있을 필요가 있다. 파이프(4)의 길이(W)(도 4 참조)에는 축(22a, 23a)의 개방단이 접촉하지 않을 만큼의 치수가 있어야 한다.
또, 이 때, 파이프(24) 내에 삽입된 축(22a, 23a)의 개방단 사이의 빈 간격(A)이 가장자리 블록(27)의 연결 구멍(29)의 개구부 근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말하면, 빈 간격(A)은 연결 구멍(29)의 개구부의 약간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이 때, 파이프(24)의 타단 근방을 가장자리 블록(27)의 연결 구멍(29) 내에 삽입시켜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6
이어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틀(32)이 가장자리 블록(27)을 아래쪽을 향해 누른다. 따라서, 가장자리 블록(27)이 상하 방향을 따라 가장자리 블록(26)에 접근한다.
그러면, 연결 핀(23)의 헤드부(23b)가 가장자리 블록(27)의 연결 구멍(29)의 바닥면(29b)과 접촉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헤드부(23b)의 돌기(23d)의 선단이 바닥면(29b)의 경사면과 접촉하여, 연결 핀(23)의 축 방향을 따른 이동이 억지된다. R>(S+T)이기 때문에, 연결 핀(23)의 헤드부(23b)의 전체 길이는 연결 구멍(29) 내에 완전히 들어간다.
이 때,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24)의 양단의 개구부 가장자리 주변이 연결 핀(22)의 경사면(22c)에 접촉한다. 축(22a)은 파이프(24)의 내부에서 직경 방향의 덜그덕거림을 허용한다.
마찬가지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24)의 양단의 개구부 가장자리 주변이 연결 핀(23)의 각각의 경사면(23c)에 접촉한다. 축(23a)은 파이프(24)의 내부에서 직경 방향의 덜그덕거림을 허용한다.
단계 7
계속해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틀(32)이 가장자리 블록(27)을 아래쪽을 향해 더욱 눌러, 가장자리 블록(27)이 상하 방향을 따라 가장자리 블록(26)으로 더욱 접근한다. 그러면, L<N<M이기 때문에,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핀(22)의 경사면(22c)을 따라서, 파이프(24) 일단의 개구부의 가장자리 주변이 확장된다. 마찬가지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핀(23)의 경사면(23c)을 따라서, 파이프(24) 타단의 개구부의 가장자리 주변이 확장된다.
단계 8
이어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틀(32)이 가장자리 블록(27)을 아래쪽을 향해 더욱 누른다. 그러면, 연결 핀(22)의 헤드부(22b)가 파이프(24) 일단의 개구부에서 파이프(24) 내부로 압입된다. 이로써, 연결 핀(22)의 헤드부(22b)가 파이프(24)에 압접되어 걸어맞춰진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24)의 일단의 개구부 가장자리 주변은 경사면(22c)을 따라서 확장되면서, 연결 핀(22)의 헤드부(22b)의 외측에 덮인다. 따라서, 헤드부(22b)의 압입에 의해서, 파이프(24)가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부(24a)가 형성된다. 이 때, P1<Q<P2이기 때문에, 확장부(24a)의 외주면이 가장자리 블록(26)의 연결 구멍(28)의 내주벽에 압접되어 걸어맞춰진다.
이와 같이, 파이프(24)가 가장자리 블록(26)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연결 핀(23)의 헤드부(23b)가 파이프(24) 타단의 개구부에서 파이프(24) 내부로 압입된다. 이로써, 연결 핀(23)의 헤드부(23b)가 파이프(24)에 압접되어 걸어맞춰진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24)의 타단의 개구부 가장자리 주변은 경사면(23c)을 따라 확장되면서, 연결 핀(23)의 헤드부(23b)의 외측에 덮여, 확장부(24b)가 형성된다. 이로써, 확장부(24b)의 외주면이 가장자리 블록(27)의 연결 구멍(29)의 내주벽에 압접되어 걸어맞춰진다. 이와 같이, 파이프(24)가 가장자리 블록(27)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이리하여, 연결 기구(21)가 가장자리 블록(26)과 다른 쪽 가장자리 블록(27)에 고정된다.
가장자리 블록(26, 27)을 가교하는 연결 기구(21)는 연결 블록(30)의 회전축을 겸한다.
이 때, 도 3, 도 17,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장부(24a, 24b)는 연결 구멍(28, 29) 각각의 개구부 근방보다 안쪽 위치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연결 구멍(28, 29) 각각의 개구부 근방은 당초의 내경(Q)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확장부(24a, 24b)는 연결 구멍(28, 29) 각각의 내부에서 충분히 확장되어, 연결 구멍(28, 29)의 내경(Q)보다 큰 외경(P2)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확장부(24a, 24b)의 외경은 연결 구멍(28, 29)의 개구부 근방의 내경보다 커지기 때문에, 확장부(24a, 24b)가 연결 구멍(28, 29)의 개구부로부터 벗겨져 빠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연결 기구(21)와 가장자리 블록(26, 27)의 확실한 고정이 보장된다.
확장부(24a, 24b)가 연결 구멍(28, 29) 각각의 개구부 근방보다 안쪽 위치에서 형성되기 위해서는 R>(S+T)인 것이 필요하다.
또한, 연결 구멍(28, 29) 각각의 개구부 근방이 당초의 내경(Q)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개구부 근방에 있어서, 일시적으로라도 결코 확장부(24a, 24b)가 형성되어서는 안된다. 연결 구멍(28, 29)의 외측에서 형성된 확장부(24a, 24b)를 연결 구멍(28, 29) 내에 압입하더라도 이러한 개구부의 내경(Q)은 넓혀진다.
앞서 말한 단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러한 개구부 근방보다 안쪽 위치에서만, 연결 핀(22, 23)의 헤드부(22b, 23b)가 파이프(24) 내로 압입되는 제조 과정이 필요하다.
또, 손목 시계 밴드(25)에 있어서, 확장부(24a, 24b)가 연결 구멍(28, 29) 각각의 내부에서 충분히 확장되어, 내경(Q)보다 큰 외경(P2)을 갖기 위해서는 누름틀(32)은 적어도 60 Kg의 가중(加重)을 상하 방향으로 부여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이 때, 파이프(24) 내에 삽입된 축(22a, 23a)의 개방단이 가장자리 블록(27)의 연결 구멍(29)의 개구부의 약간 외측에 위치에 있어서, 빈 간격(A)보다 좁은 근소한 간극을 갖고서 근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축(22a, 23a)의 개방단이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성립시키기 위해서는 가장자리 블록(26)의 연결 구멍(28)에 고정된 연결 핀(22)의 축(22a)이 가장자리 블록(27)의 연결 구멍(29) 근방까지 달하는 길이를 갖출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가장자리 블록(26, 27)과 연결 블록(30)이 상반되는 방향으로 인장되더라도, 파이프(24)가 구부러지는 일이 없다. 이로써,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인장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가 손목 시계 밴드(25)에 부여된다.
또, 단계 6 내지 단계 8에 있어서, 누름틀(32)이 누르는 힘에 의해, 파이프(24)에 있어서 빈 간격(A)이 위치하는 부분(B)(도 13)의 근방이 굽거나 꺾이거나 하는 것이 걱정된다. 연결 핀(22, 23)의 축(22a, 23a)에 지지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계 5에 있어서, 가장자리 블록(27)의 연결 구멍(29)의 개구부 근방에 파이프(24)의 부분(B)을 위치시켜 놓으면, 이러한 파이프(24)의 굴곡이나 꺽임을 피할 수 있다. 이것은 파이프(24)가 굽거나 꺾이거나 하지 않도록, 연결 구멍(29)의 내벽이 파이프(24)를 지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단계 5에 있어서, 파이프(24)의 타단 근방을 가장자리 블록(27)의 연결 구멍(29) 내에 삽입시켜 놓으면, 단계 7과 단계 8에 있어서, 파이프(24)가 확실하게 연결 구멍(29) 내에 삽입된다. 또, 연결 구멍(29)의 개구부 근방에 있어서, 연결 핀(23)의 헤드부(23b)가 파이프(24) 내에 압입되는 일이 없다.
연결 기구(21)와 가장자리 블록(26, 27)의 고정력은 파이프(24)의 확장부(24a, 24b)의 외경(P2)과 연결 구멍(28, 29)의 내경(Q)과의 차(P2-Q)에 비례한다. (P2-Q)는 연결 핀(22, 23)에 있어서의 헤드부(22b, 23b)의 외경(M)과 파이프(24)의 내경(N)과의 차(M-N)에 비례한다.
또한, 연결 기구(21)와 가장자리 블록(26, 27)의 고정력은 연결 핀(22, 23)에 있어서의 헤드부(22b, 23b)의 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길이(S), 더욱 자세하게는 파이프(24) 내에 압입되는 헤드부(22b, 23b)의 길이(T)에도 비례한다. 연결 핀(22, 23)의 헤드부(22b, 23b)의 전체 길이를 파이프(24) 내에 압입시키면, S=T이다.
또한, 누름틀(32)이 가하는 가중도 영향을 준다.
(M-N) 및 T가 지나치게 크면, 앞서 말한 단계 6 내지 단계 8에서, 파이프(24)에 있어서의 빈 간격(A)이 위치하는 부분이 굽거나 꺾이거나 할 위험이 늘어난다. 반대로, 이들이 지나치게 작으면, 연결 기구(21)와 가장자리 블록(26, 27)의 고정력도 작아져, 가장자리 블록(26, 27)으로부터 연결 기구(21)가 이탈된다.
이로써, (M-N) 및 S를 적절한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목 시계 밴드(25)에 있어서, M은 바람직하게는 0.50 mm∼1.5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80 mm∼0.9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85 mm∼0.90 mm이다. N은 바람직하게는 0.50 mm∼1.5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80 mm∼0.9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82 mm∼0.86 mm이다. (M-N)는 바람직하게는 0.10 mm∼0.8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 mm∼0.60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0.4 mm이다.
또한, 손목 시계 밴드에 있어서, T는 바람직하게는 0.20 mm∼1.0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40 mm∼0.80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0.6 mm이다.
이상의 실시예는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 변경이나 추가가 가능하다.
예컨대, 연결 핀(22)과 연결 핀(23)에 있어서의 헤드부(22b, 23b)의 외경은 모두 똑같이 M으로 했지만, 안정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는 범위에서, 서로 다른 외경으로 할 수도 있다. 축(22a, 23a)의 외경(L), 헤드부(22b, 23b)의 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길이(S)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가장자리 블록(26, 27)의 연결 구멍(28, 29)의 내경(Q)이 반드시 서로 같지 않아도 좋다.
또, 연결 핀(22, 23)의 헤드부(22b, 23b)의 일부분을 파이프(24) 내에 압입시켜도 좋다. 이러한 경우, S>T이다.
또한, 연결 핀(22, 23)의 헤드부(22b, 23b)에 형성된 돌기(22d, 23d)는 배제하여도 좋다.
또, 연결 블록(30)은 하나에 한하지 않는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기구(21)에 2개의 연결 블록(30A, 30B)을 상하를 따라 병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많은 복수 개의 연결 블록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조립 단계에 있어서, 단계 5의 상태를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에 예시한 단계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조립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앞서 연결 핀(23)을 가장자리 블록(26)과 연결 블록(30)에 삽입하고, 뒤에서부터 연결 핀(22)을 파이프(24)에 삽입하여도 좋다.
또한, 파이프(24)와 연결 핀(22, 23)을 미리 조립해도 좋다. 즉, 파이프(24)의 양단의 개구부 각각으로부터, 연결 핀(22, 23)의 축(22a, 23a) 각각을 파이프(24) 내에 상대하여 삽입하고, 헤드부(22b, 23b)는 파이프(24)의 외측에 돌출시켜 놓는다. 이 때, 연결 핀(22, 23)을 파이프(24) 내에 약간 압입하고, 경사면(22c, 23c)을 파이프(24)의 개구부의 가장자리 주변에 가볍게 압접시켜 놓으면, 파이프(24)로부터 연결 핀(22, 23)이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편리하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 20 및 도 2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띠모양 장신구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있어서 상기모양 장신구의 확장부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그 차이만을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결 기구(21)가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연결 핀(12)과 연결 핀(13)의 길이에 있다.
즉, 연결 핀(12)은 짧게 형성되어 있다. 연결 핀(12)의 축(12a)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U)는 연결 구멍(28)의 개구부(28a) 바닥면(28b)의 가장 깊은 단부에 이르는 깊이(R)보다 작다. 즉, U<R로 나타내어진다.
이와 같이, 연결 핀(12)이 짧아진 만큼, 연결 핀(13)은 길게 형성된다. 연결 핀(13)의 축(13a)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체 길이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결 기구(21)의 연결 핀(22, 23)의 전체 길이를 가산한 길이에서, 연결 핀(12)의 전체 길이(U)를 감산한 치수와 같다. 그리고, 도 20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연결 핀(13)의 전체 길이는 연결 블록(30)을 통해, 가장자리 블록(26, 27)을 가교하기에 충분하다.
한편, 이러한 연결 기구(21)와 가장자리 블록(26) 및 가장자리 블록(27)은 제1 실시예와 같은 식의 조립 단계를 거쳐 고정된다.
그러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핀(33)이 가장자리 블록(26)의 연결 구멍(28) 내부에 삽입된다. 이로써, 연결 기구(21)가 굽거나 꺾이거나 할 위험을 배제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가장자리 블록과 연결 기구에 의한 고정 수단은 파이프의 압접에 의해 강고하게 안정된 고정력을 얻는 수 있어, 연결 기구와 가장자리 블록의 연결 구멍과의 압접이 느슨하게 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연결 기구와 가장자리 블록이 이탈되는 일이 없는 띠모양 장신구를 얻을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 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연결 핀(42)은 막대 부재를 가공한 것으로, 축부(42a)와 그 한쪽 단부에 설치된 헤드부(42b)가 있다. 축부(42a)는 원주형의 강체(剛體)로, 그 선단(도면 중 좌단)에는 블록의 연결 구멍에 삽입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단부면(42d)을 향해 끝이 가는 경사면(42c)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42b)는 축부(42a)보다도 직경이 크고, 그 단부면(42e)의 중앙에서부터 축 방향으로 슬릿(42f)이 형성되어 있다. 이 헤드부(42b)의 외주면에는 그 대략 중앙에 블록의 연결 구멍의 내벽에 압접되는 압접면(42g)과, 삽입을 쉽게 하기 위해서 압접면(42g)과 축부(42a) 사이에 형성된 경사면(42h)과, 연결 구멍으로부터 밀어내기 쉽게 하기 위해서 단부면(42e) 주위에 형성된 경사면(42i)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부(42b)는 블록의 연결 구멍(36d)(도 23)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릿(42f)은 헤드부(42b)뿐만 아니라 축부(42a)에도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22에 나타낸 연결 핀(42)을 이용하여 시계 밴드의 블록을 연결하는 상태를 도 23 내지 도 2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는 시계 밴드(34)는 가장자리 블록(36)과 연결 블록(38)으로 이루어지고, 연결 블록은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환상체(環狀體)이다. 가장자리 블록(36) 사이에 연결판(36c)이 고정되어 있고, 연결 블록(38)이 이것을 둘러싸 장착되어 있다. 이 시계 밴드에 있어서, 연결 블록(38)과 인접하는 가장자리 블록(36)을 연결 핀(42)으로 연결하려면, 가장자리 블록(36)의 연결 구멍(36d, 36e)과 연결 블록(38)의 연결 구멍(38a)이 연결되어 통하도록 각 블록의 위치를 결정하여, 연결 구멍(36d, 36e, 38a)에 연결 핀(42)을 삽입한다. 이 때, 연결 핀(42)은 그 축부(42a)의 단부면(42d) 쪽으로부터 연결 구멍(36d, 36e, 38a)에 삽입되고, 축부(42a)의 선단이나, 헤드부(42b)는 이들 경사면(42c, 42h)에 의해 연결 구멍(36d, 36e, 38a)의 개구부에 걸리는 일 없이 삽입된다.
연결 핀(42)의 헤드부(42b)는 연결 구멍(36d)보다 큰 직경으로 되어 있으므로, 직경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하여 연결 구멍(36d) 속으로 누른다. 그리고, 이 헤드부(42b)는 그 탄력성으로 압접면(42g)을 연결 구멍(36d)의 내벽에 압접시키고, 이에 따라 연결 핀(42)이 연결 구멍(36d, 36e, 38a) 내에 고착되어 고정된다. 축부(42a)는 연결 구멍(38a)보다도 직경이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 블록(38)은 축부(42a)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 핀(42)으로 연결 블록(38)과 가장자리 블록(36)을 연결하면, 강도가 큰 연결 핀(42)의 축부(42a)가 연결 블록(38)과 블록(36)을 지지하게 되어, 밴드 길이 방향에의 장력에 대하여도 연결 핀(42)이 변형되거나 꺾이는 일이 없고, 높은 강도로 연결할 수 있다.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연결 핀(42)을 떼어내려면, 연결 핀(42)의 단부면(42d)을 공구 등으로 압박함으로써 헤드부(42b)를 연결 구멍(36d)으로부터 밀어내어 벗겨낸다.
도 25에 나타내는 시계 밴드(44)는 상기 한 가장자리 블록(36)과, 연결 블록(38)을 밴드 폭 방향으로 분할한 폭이 좁은 연결 블록(46, 48)을 교대로 연결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연결 블록(46, 48)은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시계 밴드(44)의 경우에도, 연결 블록(46, 48)의 연결 구멍(46a, 48a)과 가장자리 블록(36)의 연결 구멍(36d, 36e)을 일치시켜, 거기에 연결 핀(42)을 삽입하여 연결한다.
도 26에 나타내는 시계 밴드(54)는 한 쌍의 연결용 돌기(56a, 56b) 및 그 반대측에 돌기(56c)가 돌출된 블록(56)을 복수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블록(56)의 돌기(56a, 56b)는 밴드 길이 방향의 한쪽에 돌출되고, 또 돌기(56c)는 밴드 길이 방향의 다른 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블록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한쪽 블록(56)의 2개의 돌기(56a, 56b) 사이에, 인접하는 다른 쪽 블록(56)의 하나의 돌기(56c)를 삽입한다. 이 때 한쪽 블록(56)의 돌기(56a, 56b)에 마련되어 있는 연결 구멍(56d, 56e)과 인접하는 블록(56)의 돌기(56c)에 마련되어 있는 연결 구멍(56f)이 연통된다. 연결 핀(42)은 연결 구멍(56d, 56e, 56f)에 삽입 관통되어, 인접하는 블록(56)을 연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 핀(42)은 각종 구조 및 형상의 시계 밴드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지만, 버클의 부품을 연결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겉 커버(62), 중간 판(64) 및 하부 판(66)으로 이루어지는 3번 접힘 구조의 버클(60)에 있어서는 밴드 일단의 블록(68)과 겉 커버(62)를 연결하는 부분, 겉 커버(62)와 중간 판(64)을 연결하는 부분, 중간 판(64)과 하부 판(66)을 연결하는 부분 및 하부 판(66)과 밴드 타단의 블록(70)을 연결하는 부분에 각각 연결 핀(42)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즉, 겉 판(62)의 측벽(62a, 62b)에는 연결 구멍(62c, 62d)과 블록(68)의 연결 구멍(68a, 68b)을 연통하게 하여, 거기에 연결 핀(42)을 삽입한다. 또한, 겉 커버(62)의 측벽(62a, 62b)에 마련된 다른 연결 구멍(62e, 62f)과 중간 판(64)의 일단의 관 형상부(64a, 64b) 내의 연결 구멍(64c, 64d)을 연통하게 하여, 거기에 연결 핀(42)을 삽입한다. 더욱이, 중간 판(64) 타단의 관 형상부(64e) 내의 연결 구멍(64f)과 하부 판(66)의 일단의 관 형상부(66a, 66b) 내의 연결 구멍(66c, 66d)을 연통하게 하여, 거기에 연결 핀(42)을 삽입한다. 또한, 하부 판(66) 타단의 관 형상부(66e, 66f) 내의 연결 구멍(66g, 66h)과 블록(70)의 연결 구멍(70a)을 연통하게 하여, 거기에 연결 핀(42)을 삽입한다.
상기한 어느 연결 부분에 있어서도 연결 핀(42)의 축부(42a)는 연결 구멍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어 각 부를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고, 헤드부(42b)는 연결 구멍보다도 큰 직경으로 되어 있어 그 탄력성에 의해 연결 구멍의 내면에 압접된다.
도 28은 시계 밴드와 시계 본체를 연결하는 경우에 사용한 예를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 본체(72)의 연결 다리(72a, 72b) 사이에 가죽 혹은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밴드(74)를 부착하는 경우, 연결 다리(72a, 72b)의 연결 구멍(72c, 72d)과 밴드(74) 단부의 연결 구멍(74a)을 연통하게 하여, 거기에 연결 핀(42)을 삽입한다.
또한,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 본체(76)로부터 볼록형으로 돌출하는 부착부(76a)에 금속제의 밴드(78)를 부착하는 경우, 부착부(76a)의 연결 구멍(76b)과 블록(78a)의 연결 구멍(78b, 78c)을 연통시켜, 거기에 연결 핀(42)을 삽입한다.
시계 밴드에 있어서는 길이를 조정할 필요가 없는 부분의 블록이나, 가혹한 조건 하에서 사용되는 다이버 워치의 밴드, 버클 등에 사용하는 연결 핀의 경우에는 확실하게 연결하여, 용이하게 이탈 분리되는 일이 없을 것이 요구된다.
도 29는 그와 같은 경우의 연결 핀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핀(42A)은 그 축부(42a)의 양단부에 헤드부(42b)가 있다. 이 양 헤드부(42b)는 도 22에 나타내는 연결 핀(42)에 있어서의 헤드부(42b)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슬릿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탄력성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헤드부(42b)가 양단에 있는 연결 핀(42A)를 이용하여 블록을 연결하는 경우,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의 연결 블록(78d)을 밴드 폭 방향의 양단에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 2개의 블록(78a)의 연결 구멍(78b, 78c)의 내벽에 각각 헤드부(42b)가 그 탄력성에 의해 압접하게 되어, 이것을 빼내려면 헤드부(42b)가 1개의 연결 핀(42)에 비해서 2배의 힘이 필요하게 된다. 또, 한쪽의 블록(78)이 헤드부(42b)에서 벗겨졌다 하더라도, 연결 블록(78d)의 연결 구멍(78e)을 한쪽 헤드부(42b)가 빠져 나가지 않으면 벗겨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공구 등을 이용하여 떼어내지 않는 한 벗겨 떨어지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양단에 헤드부(42b)가 있는 연결 핀(42)을 사용하는 경우, 블록(78a)에 마련하는 연결 구멍을, 도 29에 나타내는 연결 구멍(78b, 78c)과 같이 블록(78a)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으로 하지 않고서,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색 구멍(78f, 78g)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폐색 구멍으로 함으로써, 밴드의 측면에 연결 구멍(78f, 78g) 및 연결 핀(42A)의 헤드부(42b)가 보이지 않아, 밴드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밴드 측면에 나타나는 연결 구멍의 개구 부분의 가장자리가 손목의 표면에 걸리는 것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감을 개선할 수도 있다.
이어서, 연결 핀(42)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31에 나타내는 막대 부재(80)와, 도 32에 나타내는 고정틀(82) 및 가동틀(84)을 이용한 단조(鍛造)로 연결 핀(42)의 외형을 형성한다. 이 막대 부재(80)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원주 형상이며, 고정틀(82)은 연결 핀(42)의 축부(42a)의 외형을 형성하는 축부 형성부(82a)와, 축부(42a)의 단부면(42d) 및 경사면(42c)을 형성하는 축부 단부면 형성부(82d) 및 축부 경사면 형성부(82c)와, 헤드부(42b)의 경사면(42h)을 형성하는 헤드부 경사면 형성부(82h)를 갖고 있다. 또한, 축부 단부면 형성부(82d)는 고정틀(82) 내에 설치된 스토퍼(86)의 단부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가동틀(84)은 형성부(82a)의 내경보다 큰 내경으로 되어 있고, 연결 핀(42)의 헤드부(42b)의 압접면(42g), 단부면(42e) 및 경사면(42i)을 각각 형성하는 압접면 형성부(84g), 헤드부 단부면 형성부(84e) 및 헤드부 경사면 형성부(84i)를 갖고 있다.
우선,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막대 부재(80)를 고정틀(82) 내에 끼워 넣고, 이어서 가동틀(84)로, 도 34의 화살표(88)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막대 부재(80)에 압력을 가하여, 막대 부재(80)를 연결 핀(42)의 형상으로 형성한다. 계속해서, 이와 같이 단조로 형성된 연결 핀(42)에 배럴 연마 등의 연마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연마에 의해, 단조 가공으로 연결 핀(42)에 생긴 번쩍거림이나 변형이 없어지고, 연결 핀(42)의 표면이 매끄럽게 된다. 따라서, 연결 핀(42)의 미관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연결 핀(42)이 연결 구멍의 내벽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연결 핀(42)을 연결 구멍 내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헤드부(42b)에 슬릿(42f)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틀(82)과 가동틀(84)은 연결 핀(42)의 외형을 대략 축부(42a)와 헤드부(42b)로 나누어 형성하고 있지만, 도 35 및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틀(82)로 대부분을 형성하는 식으로 하여도 좋다. 즉, 고정틀(82)에는 연결 핀(42)의 축부(42a), 그 단부면(42d) 및 경사면(42c), 헤드부(42b)의 압접면(42g), 헤드부(42b)의 경사면(42h)을 각각 형성하는 축부 형성부(82a), 축부 단부면 형성부(82d), 축부 경사면 형성부(82c), 압접면 형성부(82g), 헤드부 경사면 형성부(82h)를 마련한다. 그리고, 가동틀(84)에는 연결 핀(42)의 헤드부(42b)의 단부면(44e)과 경사면(44i)을 형성하는 헤드부 단부면 형성부(84e)와 헤드부 경사면 형성부(84i)를 마련한다.
더욱이, 도 37 및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34에 나타낸 가동틀(84)로부터 헤드부 경사면 형성부(84i)를 없애고,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헤드부 단부면 형성부(84e) 만을 설치한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 37 및 도 38에 나타낸 고정틀(82)과 가동틀(84)을 이용하여 연결 핀(42)의 외형을 형성한 경우가 치수적으로 가장 안정적이다.
도 32 내지 도 38에 나타낸 고정틀(82)과 가동틀(84)은 그 구조를 반대로 하여, 고정틀(82)을 가동틀로 하고 가동틀(84)을 고정틀로 하여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막대 부재(80)를 그 축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연결 핀(42)의 외형을 형성하면, 경도(硬度)가 높아진다. 예컨대, 막대 부재(80)에 경도가 HV230인 SUS304 재료를 사용한 경우, 연결 핀(42)의 경도는 HV 약 440까지 높아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경도가 높아짐으로써, 그 축부(42a)에 대하여 그 직경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로로부터의 힘에 대항하는 강도가 매우 높아지게 된다.
예컨대, 동일 재료로 형성한 본 실시예의 연결 핀(42)과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머리핀 형상 연결 기구(4)의 횡방향 강도를 비교하면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가압회수 연결핀(42) 연결 기구(4)
반복 가능한가압력(Kg) 변형시가압력(Kg) 반복 가능한가압력(Kg) 변형시가압력(Kg)
1 6.5 9.0 1.5 3.0
2 6.5 8.5 2.0 3.0
3 6.5 9.0 2.0 2.5
4 5.5 9.0 2.0 2.5
5 5.5 8.5 2.0 2.5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핀(42)은 가로로부터의 힘에 대항하는 강도가 연결 기구(4)에 비해 거의 2∼3배이다.
한편, 자동 선반 등에 의한 절삭 가공으로 제조된 연결 핀과, 프레스 등의 단조 가공으로 제조된 연결 핀은 외관으로 용이하게 구별된다. 즉, 절삭 가공에 의한 연결 핀의 외면에는 절삭된 흔적으로서의 톱질 자국이 남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단조 가공에 의한 연결 핀의 외면에는 슬릿의 근방을 제외하면, 그와 같은 자국은 남지 않는다. 특히, 단조 가공된 연결 핀에 상술한 바와 같이 배럴 연마를 실시하면, 이러한 연결 핀의 외면은 꽤 매끄럽게 되기 때문에, 더욱, 명료하게 구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조로 외형이 형성된 연결 핀(42)에는 그 헤드부(42b)에 축 방향의 슬릿(42f)이 형성된다. 이 슬릿(42f)의 치수는 헤드부(42b)의 외경 등과 함께 압접면(42g)을 압접시키는 탄력성의 강약을 결정하는 것으로, 각 부의 치수를 도 39에 나타내는 기호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은 조건 및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부(42b)의 외경을 L, 슬릿(42f)의 개구 간격을 M, 슬릿(42f)의 축 방향의 깊이를 N, 블록(90)의 연결 구멍(92)의 내경을 K, 압접면(42g)이 연결 구멍(92)의 내벽에 대해 압접하는 면적을 결정하는 압접면(42g)의 축 방향의 길이를 P라고 설정하면, 헤드부(42b)가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양은 (L-K)로 결정되고, 압접면(42g)을 연결 구멍(92)의 내면에 압접시키는 탄력성의 강약은 (L-M) 및 (N)으로 결정되고, 압접면(42g)의 압접 면적은 (P)로 결정된다. 즉, (L-K)을 크게 설정할수록 탄성 변형량이 늘기 때문에, 연결 핀(42)은 연결 구멍(92)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된다. 또한, (L-M) 및 (N)을 크게 설정할 수록 탄력성이 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연결 핀(42)은 빠지기 어렵게 된다. 더욱이, (P)를 크게 설정할 수록 압접면(42g)의 압접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연결 핀(42)은 빠지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연결 구멍(92)에 대한 연결 핀(42)의 압접력을 너무 늘리면, 헤드부(42b)가 소성 변형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반대로, (L-K), (L-M), (N) 및 (P)의 치수를 지나치게 작게 하면, 연결 구멍(92)에 대한 연결 핀(42)의 압접력이 지나치게 작아져, 연결 핀(42)은 연결 구멍(92)으로부터 부주의하게 벗겨져 빠져 버린다. 따라서, (L-K), (L-M), (N) 및 (P)의 치수는 어떤 소정의 범위내에서 설정할 것이 요망된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탄성 변형량(L-K)은 0.6 mm∼0.05 mm의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변형량을 크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0.6 mm∼0.4 mm, 작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0.2 mm∼0.05 mm의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력성의 강약을 결정하는 (L-M)은 4.0 mm∼0.3 mm의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탄력성을 강하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0.6 mm∼0.4 mm, 약하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1.0 mm∼0.3 mm의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탄력성의 강약을 결정하는 (N)은 5.0 mm∼0.3 mm의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탄력성을 강하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6.0 mm∼4.0 mm, 약하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1.5 mm∼0.3 mm의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접면(42g)의 압접 면적을 결정하는 (P)는 6.0 mm∼0.2 mm의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압접하는 세기를 강하게 하는 경우에는 6.0 mm∼4.0 mm, 약하게 하는 경우에는 2.0 mm∼0.2 mm의 범위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강도가 높여지고, 또 탄력성이 적당하게 설정된 연결 핀(42)은 반복하여 연결 구멍에 끼웠다 뺐다 하더라도 헤드부(42b)의 탄력성이 극단적으로 약해지는 일이 없다. 표 2는 시계 밴드의 연결 구멍에 반복해서 끼웠다 뺐다 했을 때의 빠지는 힘의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반복 회수 빠지는 힘(Kg)
1 3.0
2 2.8
3 2.2
4 2.3
5 2.2
6 2.1
7 2.0
8 2.0
9 2.3
10 2.0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빠지는 힘의 변화는 극히 근소하며, 반복해서 끼웠다 뺐다 하더라도 헤드부(42b)의 탄력성을 잃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가장 외력이 가해지는 축부를 강체로 형성하고, 또한 고정시에 필요한 강한 탄력성을 헤드부에 갖게 하고 있기 때문에, 강도가 높은 구조로 할 수 있어, 변형이나 꺾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를 갖는 연결 핀을 단조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경도를 높일 수 있어, 매우 강도가 높고, 탄력성도 늘어나며, 또한 반복해서 끼웠다 뺐다 하더라도 탄력성의 저하가 없는 연결 핀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단조로 연결 핀을 형성함으로써, 자동 선반 등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서 5배 이상 생산성을 높일 수 있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40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시계 밴드를 설명한다. 그 밴드는 외측의 가장자리 블록(101, 102)과 내측의 연결 블록(103a, 103b)으로 이루어진다. 각 가장자리 블록에는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결 구멍(36d)과 같은 식의 관통 구멍(104)과,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결 구멍(28)과 같은 식의 막힌 연결 구멍(10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연결 블록(103a, 103b)에는 연결 구멍(106, 107)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기구(103a)의 밴드 길이 방향 측면의 중앙부에 단면 반원형의 돌출부(108)가 밴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대측, 측면에는 인접하는 연결 블록(103b)의 돌출부(108)가 회동 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반원형 단면의 오목부(109)가 형성되어 있다.
가장자리 블록(101, 102)과, 연결 블록(103a)은 제1 실시예와 같은 식의 연결 기구(110)로 연결된다. 이 경우, 연결 기구(110)의 파이프(111)는 연결 구멍(105 및 107)에 압접하여, 가장자리 블록(101과 102) 및 연결 블록(103a)이 일체화된다.
이어서 연결 블록(103a)의 오목부(109)에 인접하는 연결 블록(103b)의 돌출부(108)를 끼워 맞춰, 가장자리 블록(101, 102)의 연결 구멍(104)과 연결 블록(103b)의 연결 구멍(106)에 제3 실시예의 연결 핀(42)과 같은 식의 연결 핀(112)을 삽입하여, 핀의 헤드부(112b)를 구멍(104)의 내벽에 압접시켜, 축부(112a)는 구멍(106)에 헐겁게 맞춘다. 이리하여, 연결 블록(103b)은 연결 블록(103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하 같은 식으로 각 블록이 연결되어, 시계 밴드가 형성된다.
인접하는 연결 블록(103a, 103b)은 단면 반원형의 돌출부(108)와 오목부(109)의 걸어맞춤에 의해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활하게 회동한다. 그리고, 밴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와 오목부의 결합에 의해, 밴드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는 블록의 비틀어짐이 방지되어, 연결 핀의 이탈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의 비틀어짐이 억지되기 때문에, 핀 구멍의 내벽이 연결 핀에 맞닿아 이것을 이탈 분리시키는 일이 없다. 또, 블록의 비틀어짐이 억지되기 때문에, 블록과 블록이 매끄럽게 회동한다. 더욱이, 밴드 전체가 손목을 따라 매끄럽게 만곡되기 때문에, 장착감이 좋다. 또, 가장자리 블록을 갖춘 밴드에 있어서는 오목부와 돌출부가 가장자리 블록에 숨겨지기 때문에 밴드의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장자리 블록과 연결 기구에 의한 고정 수단은 파이프의 압접에 의해 강고하게 안정된 고정력을 얻는 수 있어, 연결 기구와 가장자리 블록의 연결 구멍과의 압접이 느슨하게 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연결 기구와 가장자리 블록이 벗겨져 빠지는 일이 없는 띠모양의 장신구를 얻을 수 있다.
또, 최고의 외력이 가해지는 축부를 강체로 형성하고, 또한 고정시에 필요한 강한 탄력성을 헤드부에 갖게 하고 있기 때문에, 강도가 높은 구조로 할 수가 있어, 변형이나 꺾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를 갖는 연결 핀을 단조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경도를 높일 수 있어, 강도가 매우 높고, 탄력성도 늘어나며, 또한 반복해서 끼웠다 뺐다 하여도 탄력성의 저하가 없는 연결 핀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단조로 연결 핀을 형성함으로써, 자동 선반 등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서 5배 이상 생산성을 높일 수 있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6)

  1. 띠모양 장신구에 있어서 블록과 이 블록의 연결 구멍에 삽입되는 연결 기구로 이루어지는 고정 구조로서,
    상기 연결 기구는 파이프와 연결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핀에는 축과, 이 축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되어 있는 헤드부가 있으며,
    상기 연결 핀의 헤드부가 파이프 내에 압입됨으로써, 직경 방향으로 확장된 확장부가 파이프에 형성되고,
    상기 블록의 연결 구멍의 내경이 파이프의 외경보다 크고, 또 파이프의 확장부의 외경보다 작으며,
    상기 확장부가 블록의 연결 구멍의 내벽에 압접되어, 연결 기구가 블록의 연결 구멍에 고정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모양 장신구에 있어서의 블록과 연결 기구의 고정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블록의 연결 구멍에 있어서의 개구부 근방보다 구멍의 안쪽 부근에 위치하고, 상기 블록의 연결 구멍 내부에 있어서의 확장부의 외경이 상기 연결 구멍의 개구부 근방의 내경보다 큰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모양 장신구에 있어서의 블록과 연결 기구의 고정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외측에 노출되는 파이프는 연결 핀의 축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모양 장신구에 있어서의 블록과 연결 기구의 고정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핀의 헤드부에 있어서의 축 부근에는 이 축에 연속해 있는 경사면이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모양 장신구에 있어서의 블록과 연결 기구의 고정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1개의 파이프와, 이 파이프 내에 마주 대하여 삽입되는 2개의 연결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핀의 헤드부는 파이프 내에 압입됨으로써, 2개의 확장부가 파이프에 형성되며, 상기 띠모양 장신구에 있어서의 폭 방향으로 마주 대하는 각각의 블록에는 연결 구멍이 마련되고, 각각의 블록의 연결 구멍의 내벽에 각각의 확장부가 압접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모양 장신구에 있어서의 블록과 연결 기구의 고정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결 핀의 축이 그 단부에서 접촉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모양 장신구에 있어서의 블록과 연결 기구의 고정 구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결 핀의 축이 블록의 연결 구멍 근방에서 마주 대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모양 장신구에 있어서의 블록과 연결 기구의 고정 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한쪽 블록의 연결 구멍에 고정된 연결 핀의 길이는 다른 쪽 블록의 연결 구멍 근방까지 달하는 길이로 되어 있음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모양 장신구에 있어서의 블록과 연결 기구의 고정 구조.
  9. 띠모양 장신구에 있어서의 블록과 이 블록의 연결 구멍에 삽입되는 연결 기구를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블록의 연결 구멍에 연결 기구를 삽입하고,
    상기 연결 구멍에 삽입된 연결 기구의 적어도 일부분을 연결 구멍의 개구부 근방보다 안쪽 부근의 위치에서 외측으로 확장하고, 연결 구멍의 개구부 근방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확장부를 형성하여 이것을 연결 구멍의 내벽에 압접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모양 장신구에 있어서의 블록과 연결 기구의 고정 방법.
  10. 청구항 1에 기재한 연결 구조를 갖춘 손목 시계 밴드를 포함하는 손목 시계.
  11. 한쪽 블록의 연결 구멍에 삽입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단부에 마련되고, 그 축부보다 큰 직경으로 되어 있으며, 축 방향으로 슬릿을 갖는 다른 쪽 블록의 연결 구멍에 압입되는 헤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핀.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축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핀.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축부와 헤드부 사이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핀.
  14. 금속제의 막대 부재를 고정틀에 끼우고, 가동틀에 의해 축 방향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블록의 연결 구멍에 삽입 관통 가능한 축부와, 어느 한쪽 틀에 형성되어 내경이 큰 부분에 의해 축부의 단부에 의해 축부보다 큰 직경의 헤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헤드부에 축 방향의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연결 핀의 제조 방법.
  15. 복수 개의 블록을 연결 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띠모양 장신구의 블록에 있어서, 인접하는 블록의 장신구 길이 방향의 일측면에 블록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형 단면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 측면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반원형 단면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그 돌출부 및 오목부가 양측에 인접하는 블록의 오목부 및 돌출부에 회동 가능하게 걸어맞추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모양 장신구에 있어서의 블록.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띠모양 장신구의 블록이 중앙에 배치되는 연결 블록과 그 양측의 가장자리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와 오목부가 연결 블록에 형성되며, 돌출부와 오목부의 양단이 가장자리 블록에 의해서 차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모양 장신구에 있어서의 블록.
KR1020007005273A 1998-09-17 1999-09-17 띠모양 장신구에 있어서의 블록과 연결 기구의 고정 구조,연결 핀 및 블록의 구조 KR200100246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80461 1998-09-17
JP10280461A JP2000093214A (ja) 1998-09-17 1998-09-17 帯状装身具における駒と連結具の固定構造およびその方法
JP98-375001 1998-12-10
JP10375001A JP2000179511A (ja) 1998-12-10 1998-12-10 連結ピンの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PCT/JP1999/005087 WO2000016654A1 (fr) 1998-09-17 1999-09-17 Structure de fixation pour blocs, dispositif de raccordement, structures de cheville et bloc de raccordement dans un ornement en forme de ban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4631A true KR20010024631A (ko) 2001-03-26

Family

ID=2655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5273A KR20010024631A (ko) 1998-09-17 1999-09-17 띠모양 장신구에 있어서의 블록과 연결 기구의 고정 구조,연결 핀 및 블록의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048240A1 (ko)
KR (1) KR20010024631A (ko)
CN (1) CN1287477A (ko)
WO (1) WO20000166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695U (ko) * 2015-08-13 2017-02-22 에코시계 주식회사 세라믹 시계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28451B1 (fr) * 2002-12-11 2008-02-13 Rolex Sa Bracelet articulé à maillons
US7225955B2 (en) * 2003-03-06 2007-06-05 Seiko Epson Corporation Watchband and watch
US7107790B2 (en) 2003-10-14 2006-09-19 Nike, Inc. Flexible band
DE102006011887A1 (de) 2006-01-13 2007-07-19 Akzenta Paneele + Profile Gmbh Sperrelement, Paneel mit separatem Sperrelement, Verfahren zur Installation eines Paneelbelags aus Paneelen mit Sperrelementen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ormontage eines Sperrelements an einem Paneel
EP2260740A1 (fr) * 2009-06-08 2010-12-15 Rolex Sa Bracelet formé de maillons articulés
EP2380455B1 (fr) * 2010-04-23 2013-03-20 Montres Rado S.A. Bracelet a maillons articules
EP2484247B1 (fr) * 2011-02-03 2013-09-11 Montres Rado S.A. Bracelet de montre à maillons céramique
EP2741152B1 (fr) * 2012-12-06 2017-09-13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Montre à bracelet munie d'un connecteur électrique
WO2016067912A1 (ja) 2014-10-30 2016-05-06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バンド
US20160316865A1 (en) * 2015-04-30 2016-11-03 Motorola Mobility Llc Adjustable Wristband and Method for Resizing
EP3130248A1 (en) * 2015-08-13 2017-02-15 ECCO Watch Co., Ltd. Ceramic watch chain
US9693608B1 (en) * 2016-12-07 2017-07-04 Fossil Group, Inc. Link adjustment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756U (ko) * 1974-07-19 1976-01-31
JPS577603U (ko) * 1980-06-11 1982-01-14
JPS5720204A (en) * 1981-03-05 1982-02-02 Banbi Kk Production of watch band
JPS58166708U (ja) * 1982-04-02 1983-11-07 都南金属工業株式会社 時計バンド
JPH01171205U (ko) * 1988-05-24 1989-12-04
JPH05228573A (ja) * 1992-02-21 1993-09-0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長尺物の製造設備
JPH109234A (ja) * 1996-06-19 1998-01-13 Yamahiro:Kk アンカーの製造方法及びアンカ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695U (ko) * 2015-08-13 2017-02-22 에코시계 주식회사 세라믹 시계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48240A1 (en) 2000-11-02
CN1287477A (zh) 2001-03-14
WO2000016654A1 (fr) 2000-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1678B2 (ja) 各々が一般に球状の形状を有する次々の要素で構成される装飾チェーン
KR20010024631A (ko) 띠모양 장신구에 있어서의 블록과 연결 기구의 고정 구조,연결 핀 및 블록의 구조
US7318281B2 (en) Stamped hollow ring design
KR100354370B1 (ko)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 이 핀의 제조 방법 및 손목시계밴드의 연결 구조
US6895737B2 (en) Lightweight omega chain and improved method of manufacture
KR100271609B1 (ko) 장신구의 스톤 고정 방법
JP3559794B2 (ja) 時計用連結構造および時計
KR20000068356A (ko) 밴드 링크의 연결 구조
US11659902B2 (en) Low profile expandable ring structure
JP2017079836A (ja) 宝石用石座、宝石の石座取付方法及び装身具
US6374590B1 (en) Link bracelet for watches or the like
JP2003189914A (ja) 帯状装身具
US20070125124A1 (en) Sizable titanium r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341858B1 (ko) 장신용 액세서리 체인의 제조방법
US6514004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pieces of a strap made of hard materials
KR100313035B1 (ko) 귀걸이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JP2000093214A (ja) 帯状装身具における駒と連結具の固定構造およびその方法
JP4344118B2 (ja) 装飾品の連結構造および装飾品
JP2009039541A (ja) 駒連結構造のバンド
JP2003111604A (ja) アジャスト駒用連結ピン及びこれを用いた時計バンド・装身具並びにアジャスト駒用連結構造。
KR200224155Y1 (ko)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JP2002233405A (ja) 連結構造
KR200324161Y1 (ko) 귀걸이
KR200239195Y1 (ko) 열쇠 고리
KR200229314Y1 (ko) 금속제 장신구 연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