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2541A -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 - Google Patents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2541A
KR20010022541A KR1020007001131A KR20007001131A KR20010022541A KR 20010022541 A KR20010022541 A KR 20010022541A KR 1020007001131 A KR1020007001131 A KR 1020007001131A KR 20007001131 A KR20007001131 A KR 20007001131A KR 20010022541 A KR20010022541 A KR 20010022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rker
reflector assembly
pavement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티. 풀리
제프리에스. 헬드
로버트디. 기이스
리차드알. 피글위츠
Original Assignee
릴리 조안 알.
키호테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릴리 조안 알., 키호테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릴리 조안 알.
Publication of KR20010022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54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65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having deflectable or displaceable parts
    • E01F9/571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having deflectable or displaceable parts displaceable vertically under load, e.g. in combination with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24Refl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ncorporation in or application to road surface markings

Abstract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marker)는, 막(18)에 의해 탄성 유지되고 프레임(14)에 의해 지지되는 반사기 조립체(28)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기 조립체(28)는 막(18)과 겹쳐져서, 넓은 면을 가지는 반사기(32)와 작은 각의 경사면을 허용하는 스커트(36)를 포함한다. 배출구는 스커트(36)와 막(18) 사이에 형성되고, 이 배출구는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위치 설정 요소(60)는 도로의 리세스에서 포장도로 마아커의 프레임에 배치되어서, 프레임의 모든 부분이 도로면 아래에 놓이게 된다. 만입부(80)는, 설치자가 리세스에서 부착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Description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RAISED PAVEMENT MARKER}
1997년 1월 8일에 제출되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U.S 특허 출원 제 08/780,378에 기술한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는 특별한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 출원에서 설명한 대로, 포장도로 마아커는 설치하기 용이하고, 경량이며 제설 작업에도 손상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U.S. 특허 출원 제 08/780,378의 포장도로 마아커에 적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개선점에 관련된다. 또, 이런 개선점은 모든 적절한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선을 표시하는 것과 같은, 일반적으로 도로에 설치되는 유형의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를 개선시킨 것에 관련된다.
도 1 은 도로 리세스의 적소에 장착된,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른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의 횡단면도.
도 2 는 도 1에 나타낸 포장도로 마아커의 측면도.
도 3 은 도 2의 측면도와 직각을 이루는, 도 1에 도시한 포장도로 마아커의 또다른 횡단면도.
도 4 는 도 1에 도시한 포장도로 마아커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도 1에 도시한 포장도로 마아커에 포함된 내부 마운팅 요소의 평면도.
도 6 은 도 1에 도시한 포장도로 마아커에 포함된 프레임 링의 사시도.
도 7 은 도 6의 프레임 링의 밑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프레임 링에 몰딩된, 마운팅 요소를 포함하는, 도 1의 포장도로 마아커에 포함된 막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부호 설명
14 ... 프레임 18 ... 막
28 ... 반사기 조립체 32 ... 반사기
36 ... 스커트 60 ... 위치 설정 요소
80 ... 만입부
본 발명은 하기 청구항에 의해 정의되고, 본 명세서는 청구항을 한정하지 않는다. 하기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중요한 특징을 제공한다:
1. 포장도로 마아커는 반사기 조립체를 포함하고 이 반사기 조립체는 반사기 조립체에 포함된, 반사기로부터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앞서 있는 스커트를 포함한다. 상기 스커트는 반사기 조립체를 지지하는 막의 방사상 내부와 겹쳐진다. 상기 반사기 조립체는 막과 일체 성형된 내부 마운팅 요소에 반사기 조립체를 스냅 고정함으로써 막의 적소에 고정된다. 배출구는 반사기 조립체의 스커트와 막 사이에 형성되고, 이 배출구는 스커트의 전체 원주 둘레에 뻗어있다. 도시된 구조물은 반사기 조립체를 위해 경사 각이 비교적 작고 반사기가 크다는 장점을 가진다. 면적이 넓은 배출구는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2.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 요소는 프레임으로부터 방사상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포장도로 마아커의 프레임에 장착된다. 프레임이 도로에 설치된 후에 도로의 위쪽 면에 위치 설정 요소가 놓였을 때, 전체 프레임이 도로의 상부 면 아래에 우묵한 곳에 놓이도록 상기 위치 설정 요소가 배치된다. 이것은 적절히 포장도로 마아커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3. 하기 포장도로 마아커는 (1)도로 리세스에 포장도로 마아커를 고정하는 접착제로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2)설치자가 접착 정도를 평가하는 것을 돕는 만입부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를 따른 포장도로 마아커(10)의 횡단면도이다. 도 1에서 포장도로 마아커(10)는 도로 R의 상부면 S에 형성된 리세스 R1에 장착된다. 아래에서 설명한 대로, 포장도로 마아커(10)는 접착제 A에 의해 리세스 R1의 적소에 고정된다.
포장도로 마아커(10)의 바깥쪽 부분은 스냅 피팅되는 고리(16)와 베이스(14)로 구성된 프레임(12)을 포함한다. 상기 고리(16)는 탄성에 의해 구부려질 수 있는 막(18)과 일체 성형되고, 환상 마운팅 요소(20)는 막(18)의 방사상 내부에 일체 성형된다.
도 5는, 막(18)의 적소에서 몰딩되기 전에 마운팅 요소(20)의 상측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마운팅 요소(20)는 마운팅 요소(20)와 막(18)을 함께 단단히 고정하도록 막(18)의 물딩 재료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일렬의 슬롯(22)을 한정한다. 상기 마운팅 요소(20)는 직경을 따라 반대쪽에 놓인 두 개의 보스(24)와, 두 개의 가시(26)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모두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에서, 포장도로 마아커(10)는 강성 하우징(30)을 포함하는 반사기 조립체(28)를 가진다. 두 개의 역-반사기(32)는 알맞은 접착제(34)에 의해 하우징(30)에 의해 한정된 각각의 포켓에 고정된다. 드라이버(screwdriver)와 같은 날이 있는 기구로 역-반사기(32)를 쉽게 제거하도록 리세스(도 1에 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30)은 방사상 최외측부에서 환상 스커트(36)를 한정한다. 상기 스커트(36)는 탄성 막(18)에 부착되지 않고 막(18)과 겹쳐지는 부분(39)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0)은 일체형 부분으로서 고리(37)를 한정한다. 이 고리(37)는 가시(26)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직경을 따라 반대쪽에 놓인 두 개의 아치형 노치(40)뿐만 아니라, 보스(24)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위치 설정된 직경을 따라 반대쪽에 놓인 두 개의 노치(38)를 한정한다. 스커트(36)와 막(18) 사이의 영역은 통로(도 1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포장도로 마아커(10)의 내부로 유체가 흐르도록 형성되고, 겹쳐진 부분(39)과 막(18) 사이의 전체 원주 영역은 부스러기에 의해 쉽게 막히지 않는 체적이 큰, 환상 배출구(44)를 형성한다. 이 막(18)은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방사상으로 정렬된 높인 융기 부분(46)을 포함하고, 이 융기 부분(46)은 배출구(44)를 형성하기 위해서 막(18)과 스커트(36)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제공한다. 도 4에서, 고리(16), 막(18) 및 마운팅 요소(20)는 명확성을 위해 서로 분리하여 나타내었다; 실제적으로 고리(16)와 마운팅 요소(20)는 막(18)에 몰딩된 인서트이다.
도 2와 3은 포장도로 마아커(10)의 측면도 및 횡단면도이고, 이것은 베이스(14)의 하부 면 및 반사기 조립체(28)의 상부 면 구조에 관해 상세히 나타낸다. 도 2와 3에 나타낸 것처럼, 반사기 조립체(28)는 타이어나 스노우 블레이드(snow blade)의 충격을 흡수하고, 막(18)의 탄성 지지부를 통하여, 반사기 조립체(28)를 아래쪽으로 밀도록 형성된 경사 면(48,49)을 한정한다. 이 경사면(49)은 넓은 마모 면을 제공하도록 평평한 것이 선호된다. 도 4에 도시된 대로, 선택적으로 배수 슬롯(51)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전술한 대로 반사기 조립체(28)를 아래쪽으로 밀 때, 이 반사기 조립체는 베이스(14)의 내면(50)에 의해 아래쪽으로 결합된 영역으로 들어간다(도 1). 이 내면(50)은 환상 모서리(56)에서 반구형의 중심부(54)에 결합된 환상 바깥쪽 부분(52)으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바깥쪽 부분(52)은 반사기 조립체(28)의 하부면과 직각을 이룬다. 상기 모서리(56)는 바깥쪽 부분(52) 또는 중심부(54)보다 큰 곡률의 영역을 한정한다. 모서리(56)에서 중심부(54)와 바깥쪽 부분 사이의 각은 150。 이하의 둔각이 유리하다. 중심부(54)의 최하점은 제거 비트(bit)를 중심에 두기 위해서 디프레션(depression)으로 형성된다.
베이스(14) 내면(50)의 기하학 구조는, 모두 베이스(14)와 접촉하지 않으면서, 경사면(48)에 가해지는 충격에 감응해 반사기 조립체(28)가 아래쪽으로, 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허용한다. 본원 실시예에 따른 반사기 조립체(28)는 프레임(12)의 외주와 비교해 볼 때 긴 외부 직경을 가진다. 이런 기하학 구조의 장점은, 경사면(48)에서 각도가 감소되고 반사기(32)의 크기가 증가하였다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반사기 조립체를 위한 경사 각은 40°이하, 30°이하가 선호되고, 가장 유리한 것은 수평선에 대해 23°의 각을 이루는 것이다. 본원 실시예에서 각각의 반사기(32)는 1.98in2의 면적을 가지고, 반사기 조립체(28)의 외주와 프레임(12)의 외주 비율은 4.5in:7in 또는 0.64이다. 유리하게도 이 비율은 0.55 이상이어야 하고, 0.60 이상이 보다 선호된다. 전술한 내면(50)에 대한 기하학 구조는, 프레임(12)의 직경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긴 직경의 반사기 조립체(28)가 사용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것은 반사기 조립체(28)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의 통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과 4에 잘 나타난 것처럼, 프레임(12)의 가장 위쪽 부분은 4개의 위치 설정 요소(60)를 유지한다. 도 1에 가장 잘 나타난 것처럼, 각각의 위치 설정 요소(60)는 프레임(12)의 상부 주변 표면(64) 바로 위에 배치된 하부면(62)을 한정한다. 상기 위치 설정 요소(60)는 프레임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프레임(12)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쉽게 분해되는 비교적 경량의 구조물로서 형성된다. 위치 설정 요소(60)의 하부면(62)은 전술한 대로 배치되어야 하므로, 상기 위치 설정 요소(60)는, 하부면(62)이 상부면 S에서 유지될 때 도로 R의 상부면 S에 대해 자동으로 상부 주변 표면(64)이 오목한 곳에 놓이도록 보장한다. 비록 4개의 위치 설정 요소(60)가 도 4에 나타나 있을지라도, 보다 많은 개수가 사용될 수도 있고 보다 적은 개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두 개, 세 개 이상의 위치 설정 요소(60)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과 6에 나타낸 것처럼, 링(16)은 위쪽, 바깥쪽 주변 가장자리에서 일렬의 만입부(80)를 한정한다. 상기 만입부(80)는, 도 6에 도시된 대로, 원주 길이(82), 방사상 깊이(84) 및 높이(86)를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만입부(80)는 위쪽으로 노출되고, 고리(16)의 방사상 최외측부(88)에 배치된다. 상기 포장도로 마아커(10)가 도로 R에서 리세스 R1에 설치될 때, 접착제 A는 리세스 R1에 놓여진 후, 포장도로 마아커는 접착제에 대해 밀어진다. 이런 포장도로 마아커(10)의 운동으로 인해 접착제 A는 베이스(14)와 고리(16)의 바깥쪽 면을 따라 위를 향해 만입부(80) 안으로 흐른다. 만입부(80) 내의 접착제 A의 레벨을 감시함으로써, 알맞은 체적의 접착제 A가 리세스 R1에 놓인 시기를 설치자는 쉽게 알 수 있다. 만일 접착제 A가 모든 만입부(80)에서 원하는 레벨로 나타나지 않는다면, 설치자에 의해 포장도로 마아커(10)의 원주 둘레에 추가 접착제 A가 부가될 수 있다. 사용되는 접착제 A의 양을 최소화하면서 만입부(80)는 포장도로 마아커(10)를 적절히 설치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런 식으로 설치 비용을 감소된다. 또, 만입부(80)는 리세스 R1 밖으로 움직이는 상승 운동에 대해 마아커를 유지하기 위해서 경화된 접착제 A와 마아커(10) 사이의 기계적 결합을 증진시킨다.
상기 포장도로 마아커(10)는 베이스(14), 고리(16), 마운팅 요소(20) 및 반사기 조립체(28)를 각각 몰딩함으로써 만들어진다. 그 후에 상기 고리(16)와 마운팅 요소(20)는 사출 성형기에 배치되고, 막(18)은 도 8의 서브-조립체를 생산하기 위해서 고리(16)와 마운팅 요소(20) 둘레에서 함께 몰딩된다. 도 7은, 고리(16)가 막(18)과 함께 몰딩되는 지점 앞에서, 고리(16)의 밑면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대로, 상기 고리(16)는 막(18)으로 끼워맞추고 막(18)을 고리(16)에 고정하도록 설계된 일렬의 보스(42)를 포함한다.
일단 상기 서브-조립체가 형성되고 나면, 이것은 본원에 참고로 설명되고 1997년 1월 8일에 제출된 U.S. 특허 출원 제 08/780,378에 기술한 종래의 스냅-피트를 사용하는 베이스(14)와 함께 조립될 수 있다. 이처럼, 환상 노치(40)가 환상 가시(26)와 맞물리도록 반사기 하우징(28)은 마운팅 요소(20)의 적소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반사기(32)는 조립 공정에서 모든 원하는 지점에서 반사기 조립체(28)에 접착제로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장도로 마아커(10)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이 재료는 예로 든 것에 불과하며, 다른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일론 망은 도 1에서 19로 나타낸 것처럼, 찢어지는 것을 막도록 강화시키기 위해서 망(18)의 상부면으로 몰딩될 수 있다. 이 나일론 망은 그 안으로 몰딩된 인광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 선호되는 재료
베이스14 나일론 6/6(33% 유리)
고리16 나일론 6/6(33% 유리)
막 18 실리콘(수정된, 40Durometer)
마운팅 요소20 나일론 6/6(13-15% 유리,충격-완화)
하우징30 폴리우레탄(60% 유리장섬유,
Dow Isoplast 101LGF 60)
반사기32 폴리카보네이트(UV 안정, 하드코팅)
접착제 34 부틸 고무 테이프(이중 면,
0.031in 두께)
접착제 A 열처리된 고무 적용 역청
(Crafco)
2-성분 에폭시(100% 고체,
PolyCarb Mark 29)
일단 포장도로 마아커(10)가 전술한 대로 조립되고 나면, 이것은 적절한 접착제 A를 사용해 도로에 쉽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U.S. 특허 출원 제 08/780,378에 기술한 설치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설치하는 동안, 위치 설정 요소(60)의 하부 면(62)이 도로 R의 상부면 S에 놓일 때까지 포장도로 마아커(10)는 리세스 R1 안으로 프레스된다. 포장도로 마아커(10)가 이 위치에 배치될 때, 프레임(12)의 모든 부분은 상부 면 S 아래에 배치된다. 이것은 부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없애고, 여기에서 프레임(12)의 최상 둘레 표면(64)은 도로 R의 상부 면 S 위로 연장된다. 이렇게 부적절하게 설치될 때 프레임(12)은 파손될 수 있고 포장도로 마아커(10)는 포장도로 마아커(10)를 가지는 제설 블레이드와 같은 대상물의 접촉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제설 블레이드는 위치 설정 요소(60)와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위치 설정 요소(60)가 고리(16)를 손상하지 않으면서 고리(16)에서 쉽게 분해되도록 설계되므로, 설치한 후에 위치 설정 요소(60)의 손상은 조작상의 문제점을 일으키지 않는다. 접착제 A의 레벨은 알맞게 설치하도록 만입부(80)에서 관찰될 수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은 예를 든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위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대해 다양하게 바꾸고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록 전술한 여러 가지 개선점을 함께 이용하는 것이 선호될지라도, 이 개선점들은 개별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또, 상기 고리(16)는 베이스(14)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디자인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개선점들은, 프레임에서 반사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막을 포함하지 않는 다른 종류의 포장도로 마아커에 적용될 수 있다.
위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취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대체 가능한 형태 중 몇 가지만 기술하였으므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한정할 수 있다.

Claims (16)

  1. 프레임,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구부려질 수 있는 막과, 프레임에 대한 수직 운동을 위해 막에 의해 지지되는 반사기 조립체로 구성되는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에 있어서:
    상기 반사기 조립체는 반사기와 이 반사기에서 방사상 바깥쪽으로 뻗어있는 스커트를 포함하고, 이 스커트는 막의 방사상 안쪽 부분과 겹쳐지는 겹침 부분을 포함하며, 스커트의 겹침 부분은 반사기 조립체의 위쪽 면에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는 막과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
  3. 제 1 항에 있어서, 반사기 조립체는 스커트에서 위쪽으로 뻗어있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일체성형된 마운팅 요소를 포함하고, 반사기 조립체는 마운팅 요소에 고정되며, 상기 마운팅 요소는 반사기 조립체와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
  5. 제 4 항에 있어서, 마운팅 요소와 반사기 조립체는 마운팅 요소에 반사기 조립체를 고정하도록 상호작용하는 결합 스냅 잠금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
  6. 제 4 항에 있어서, 막과 스커트와 인접한 반사기 조립체 사이에 형성된 배출구를 포함하고, 이 배출구는 프레임, 막 및 반사기 조립체에 의해 경계가 한정된 공간과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스커트의 원주 둘레에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
  8. 프레임과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반사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위쪽 둘레 면으로 이루어지는,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에 있어서,
    다수의 위치 설정 요소는 상부 둘레 면에서 방사상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프레임에 장착되고, 프레임이 도로의 오목한 곳에 놓여서 도로에 설치될 때 도로의 상부 면 위에 놓이도록 위치 설정된 하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
  9. 제 8 항에 있어서, 위치 설정 요소의 하부면이 도로의 상부 면 위에 놓일 때 모든 프레임이 도로의 상부 면 아래에 오목한 곳에 배치되도록 프레임의 최상 부분 위에 각 위치 설정 요소의 하부면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
  10. 제 8 항에 있어서, 각각의 위치 설정 요소는 프레임을 파손하지 않으면서 프레임으로부터 분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 요소는 둘레 표면 둘레에 배치된 세 개 이상의 위치 설정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
  12.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반사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부 둘레 표면을 포함하는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에 있어서,
    일련의 만입부가 상부 둘레 표면의 방사상 최상부에서 위쪽 둘레 표면에 형성되고, 포장도로 마아커가 도로의 리세스에서 제자리에 접착제로 고정될 때 상기 만입부는 프레임을 따라 위쪽으로 흐르는 접착제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프레임의 상측부에서 열려서, 설치자가 설치된 포장도로 마아커의 프레임과 인접한 접착 레벨을 평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부의 형태는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
  14. 프레임,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구부려질 수 있는 막과, 프레임에 대한 수직 운동을 위해 막에 의해 지지되는 반사기 조립체로 구성되는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에 있어서,
    안쪽면은 막과 반사기 조립체 아래에서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고, 안쪽 면은 환상 바깥쪽 부분과 중심부를 포함하며, 이 중심부는 중심부에서보다 큰 곡률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에서 바깥쪽 부분에 결합되고, 반사기 조립체가 베이스를 향해 움직일 때 안쪽 면은 반사기 조립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
  15. 제 14 항에 있어서, 바깥쪽 부분은 반사기 조립체의 하부면과 직각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
  16. 제 14 항에 있어서, 중심부는 방사상 횡단면에서 바깥쪽 부분에 대해 150。 이하의 둔각을 이루며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
KR1020007001131A 1997-08-04 1998-08-04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 KR200100225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05,468 US6062766A (en) 1997-08-04 1997-08-04 Raised pavement marker
US8/905,468 1997-08-04
PCT/US1998/016284 WO1999006635A1 (en) 1997-08-04 1998-08-04 Raised pavement mar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541A true KR20010022541A (ko) 2001-03-15

Family

ID=25420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131A KR20010022541A (ko) 1997-08-04 1998-08-04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062766A (ko)
EP (1) EP1012399A4 (ko)
JP (1) JP2001512197A (ko)
KR (1) KR20010022541A (ko)
CN (1) CN1140672C (ko)
AU (1) AU736209B2 (ko)
BR (1) BR9811600A (ko)
CA (1) CA2297017C (ko)
HU (1) HUP0002796A3 (ko)
NO (1) NO20000552L (ko)
PL (1) PL338552A1 (ko)
WO (1) WO19990066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A73543C2 (uk) * 1999-12-07 2005-08-15 Тераванс, Інк. Похідні сечовини, фармацевтична композиція та застосування похідного при приготуванні лікарського засобу для лікування захворювання, яке опосередковується мускариновим рецептором
US6461077B1 (en) * 2000-02-17 2002-10-08 Hallen Products, Ltd. Reflector base
US6478506B1 (en) * 2000-10-12 2002-11-12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Roadway pavement marker
US20040218976A1 (en) * 2003-04-29 2004-11-04 Center For Advanced Technology Innovation Flexible raised pavement marker
US20070258763A1 (en) * 2003-05-14 2007-11-08 Shaun Burchell Embedded-Type Reflective Road Maker
RU2481434C2 (ru) * 2007-10-05 2013-05-10 Томас Дадли Лимитед Светоотражающий дорожный элемент разметки
US7993073B2 (en) * 2008-05-29 2011-08-09 Ji Hyun Ryu Road marker
EP2452118A2 (de) * 2009-07-06 2012-05-16 Recyfoam SA Leuchtender pflasterstein in form eines kunststeins oder natursteins
US20170247845A1 (en) * 2013-01-24 2017-08-31 Byron Dixon Pavement Marker
WO2014164627A1 (en) 2013-03-13 2014-10-09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Pavement marker
WO2018226727A1 (en) 2017-06-05 2018-12-13 Lambert David E Illuminated road marker
US10968583B2 (en) 2017-07-26 2021-04-06 David E. Lambert Reflective road marker
KR102349642B1 (ko) * 2019-12-13 2022-01-11 김창근 도로 표지병
JP2022162267A (ja) * 2021-04-12 2022-10-2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容器、容器支持具、車両検知装置及び容器の埋込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95021A (en) * 1917-07-30 1919-02-18 Grant Friel Street-center-crossing indicator.
US3292506A (en) * 1964-01-27 1966-12-20 Traffic Standard Inc Road marker
US3377930A (en) * 1966-03-01 1968-04-16 Elliott H. Kone Reflective road marker
US3499371A (en) * 1966-12-08 1970-03-10 Minnesota Mining & Mfg Markers
GB1190258A (en) * 1967-11-02 1970-04-29 William Maynard Beverley Improvements in Roadmarking Studs
US3502008A (en) * 1967-11-29 1970-03-24 Robert Stuart Macrae Reflecting road stud
US3717076A (en) * 1971-08-06 1973-02-20 Du Pont Traffic lane indicator
US3850536A (en) * 1971-12-22 1974-11-26 Traffic Standard Inc Light-reflective road marker
US3703855A (en) * 1971-12-27 1972-11-28 Victor E Converso Recessible fixture support
IT1045336B (it) * 1973-03-21 1980-05-10 Eigenmann Ludwig Materiale retroriflettente associabile a strisce elastoplastiche e simili per segnaletica stradale orizzontale per esaltarne la vis filita sotto luce radente
US3901614A (en) * 1974-05-31 1975-08-26 James L Overacker Refractive spherical roadway marker
GB1507385A (en) * 1975-09-04 1978-04-12 King & Ray Ltd M Markers for road surfaces
US4174184A (en) * 1976-04-30 1979-11-13 Amerace Corporation Snowplowable pavement mark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same
GB1573768A (en) * 1976-04-30 1980-08-28 Amerace Corp Road markers
US4186968A (en) * 1977-04-04 1980-02-05 Barco Manufacturing Company Roadway pavement planing machine
US4147447A (en) * 1977-04-20 1979-04-03 Amerace Corporation Snowplowable pavement marker and base member therefor
US4195945A (en) * 1977-04-20 1980-04-01 Amerace Corporation Snowplowable pavement marker and base member therefor
US4130370A (en) * 1977-11-14 1978-12-19 Traffic Standard Incorporated Light-reflective road marker of self-cleaning type
US4218059A (en) * 1978-06-23 1980-08-19 Eiden Sidney W Field marker
US4232979A (en) * 1978-12-18 1980-11-11 Amerace Corporation Pavement marker
US4340319A (en) * 1978-12-18 1982-07-20 Amerace Corporation Pavement marker
US4234264A (en) * 1979-01-02 1980-11-18 Baldi Michael O Multi-directional marking device of the type to be used on pavement surfaces
US4596622A (en) * 1979-10-05 1986-06-24 Amerace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an abrasion-resistant reflective marker
USD266554S (en) 1980-01-07 1982-10-19 Durastone Company, Inc. Reflective pavement marker for roads
EP0043656A1 (en) * 1980-07-05 1982-01-13 Kingray International Limited Reflective road markers
USD266060S (en) 1980-11-12 1982-09-07 Durastone Company, Inc. Reflective pavement marker for roads
US4597691A (en) * 1981-10-06 1986-07-01 Animotion Inc. Retractable traffic delineator
GB2109039B (en) * 1981-11-03 1985-07-31 Inoventors Ltd Reflective road studs and a method of forming such studs
US4507254A (en) * 1982-11-05 1985-03-26 Eastman Kodak Company Light reflector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US4557624A (en) * 1983-09-09 1985-12-10 Walker Floyd E Snow plowable pavement marker
US4595312A (en) * 1984-02-06 1986-06-17 Corless Murray B Pneumatically restorable retractable pavement marker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4618281A (en) * 1984-12-31 1986-10-21 Ajemian Van R Raised pavement marker brace
US4854768A (en) * 1985-09-20 1989-08-08 Amerace Corporation Depressible roadway marker
US4653955A (en) * 1986-05-07 1987-03-31 Ferro Corporation Retroreflective device having curved retroreflective surface
US4753548A (en) * 1986-09-29 1988-06-28 Pac-Tec, Inc. Abrasive resistant pavement marker
US4797024A (en) * 1986-09-29 1989-01-10 Pac-Tec, Inc. Abrasive resistant pavement marker
US4955982A (en) * 1987-03-26 1990-09-11 Olympic Machines, Inc. Raised depressible pavement marker
US5074706A (en) * 1987-03-26 1991-12-24 Olympic Machines, Inc. Raised depressible pavement marker
US4848958A (en) * 1988-10-06 1989-07-18 Sheldon Steven A Recessed deflecting road reflector
US4883384A (en) * 1988-12-14 1989-11-28 Pac-Tec, Inc. Protective roadway marker guard rails
USD327230S (en) 1989-10-31 1992-06-23 Pac-Tec, Inc. Snowplowable guard member for pavement markers
US5002424A (en) * 1990-01-24 1991-03-26 Pac-Tec, Inc. Reflective pavement marker with inclined reinforcing ribs
US5061114A (en) * 1990-02-05 1991-10-29 Pac-Tec, Inc. Reflective pavement marker and method of apparatus for making same
US5564854A (en) * 1990-05-23 1996-10-15 Pac-Tec, Inc. Snowplowable road marker
US5098217A (en) * 1990-05-23 1992-03-24 Pac-Tec, Inc. Abrasion resistant coating for pavement marker
US5308186A (en) * 1990-05-23 1994-05-03 Pac-Tec, Inc. Snowplowable road marker
US5181767A (en) * 1990-07-30 1993-01-26 Thompson International, Inc. Lug nut retention for wheel cover
AU639369B2 (en) * 1990-09-28 1993-07-22 Hardman Catseye Pty Ltd A pavement marker
US5069577A (en) * 1990-10-23 1991-12-03 Murphy Patrick E Flexible raised pavement marker
US5219171A (en) * 1991-10-07 1993-06-15 Jack E. Kirby Collapsible golf fairway distance marker
US5340103A (en) * 1991-10-07 1994-08-23 Jack E. Kirby Collapsible golf fairway distance marker
US5302048A (en) * 1992-02-18 1994-04-12 Olympic Machines, Inc. Resilient pavement marker
US5502593A (en) * 1992-08-03 1996-03-26 Pac-Tec, Inc. Compact pavement marker
US5354143A (en) * 1992-11-19 1994-10-11 Elgin Molded Plastics, Inc. Pavement markers and method for making
USD346984S (en) 1992-12-10 1994-05-17 Pac-Tec, Inc. Pavement marker
USD348411S (en) 1992-12-21 1994-07-05 Pac-Tec, Inc. Pavement marker
US5314268A (en) * 1993-01-13 1994-05-24 Jennmar Corporation Non-metallic reinforcing rod and method of use in supporting a rock formation
US5393166A (en) * 1993-05-10 1995-02-28 Target Recycling Inc. Reflective marker from recyclable material
US5529430A (en) * 1993-09-21 1996-06-25 Jenkins; David H. Reflective road stud
US5449244A (en) * 1994-02-14 1995-09-12 Sandino; Hector Light reflective pavement mark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454664A (en) * 1994-04-07 1995-10-03 Hallen Products Ltd. Roadway marker
US6050742A (en) * 1996-03-06 2000-04-18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Pavement mar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06635A1 (en) 1999-02-11
CN1265717A (zh) 2000-09-06
JP2001512197A (ja) 2001-08-21
PL338552A1 (en) 2000-11-06
CN1140672C (zh) 2004-03-03
BR9811600A (pt) 2000-09-05
US6062766A (en) 2000-05-16
NO20000552D0 (no) 2000-02-03
AU8691698A (en) 1999-02-22
NO20000552L (no) 2000-02-03
AU736209B2 (en) 2001-07-26
CA2297017A1 (en) 1999-02-11
HUP0002796A2 (hu) 2000-12-28
CA2297017C (en) 2003-09-23
HUP0002796A3 (en) 2002-01-28
EP1012399A4 (en) 2000-11-08
EP1012399A1 (en) 2000-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2541A (ko)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
US5908262A (en) Self-recovering, basally adhered traffic lane delineator
US3212415A (en) Traffic lane directional marker
US4265058A (en) Roof flashing structures
US3904120A (en) Sprinkler head stabilizer and protector
US4717281A (en) Road marker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5449244A (en) Light reflective pavement mark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354143A (en) Pavement markers and method for making
US4484424A (en) Roof vent
UA48163C2 (uk) Дорожній знак на основі для управління дорожнім рухом
US20070116515A1 (en) Protective utility pole base covers
KR200397575Y1 (ko) 개량된 필터 캡
US3924958A (en) Highway retroreflecting marker
KR102397322B1 (ko) 이중 구조형 볼라드
US6955496B2 (en) Road marker
US6050742A (en) Pavement marker
KR200482718Y1 (ko) 도로표지병
US6478506B1 (en) Roadway pavement marker
US4378176A (en) Expansion joint snowplow deflector
KR200233709Y1 (ko) 가로수 보호망
WO1999036629A1 (en) Raised pavement marker
KR19990004410U (ko) 가로수 보호판의 받침틀
US6200064B1 (en) Road marker with collar
EP4123101A1 (en) A unit fixing insulation to the flat roofs
JP3576380B2 (ja) 反射体付きキャップ及び防護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