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575Y1 - 개량된 필터 캡 - Google Patents

개량된 필터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575Y1
KR200397575Y1 KR20-2005-0020650U KR20050020650U KR200397575Y1 KR 200397575 Y1 KR200397575 Y1 KR 200397575Y1 KR 20050020650 U KR20050020650 U KR 20050020650U KR 200397575 Y1 KR200397575 Y1 KR 2003975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p
rib
hollow plate
impr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6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기
Original Assignee
전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기 filed Critical 전상기
Priority to KR20-2005-0020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5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5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5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4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with cartridges made of a piece of unitary material, e.g. filter paper
    • B01D27/06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with cartridges made of a piece of unitary material, e.g. filter paper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개량된 필터 캡은, 공기 또는 오일 여과용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산업용 필터의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되고, 필터 여과지 및 중공판을 고정부착하며, 원형의 바닥면과 테두리면 및 공기 또는 오일이 유입배출되는 돌출면으로 구성되는 캡에 있어서, 상기 캡의 바닥면의 내측으로 필터 여과지가 부착되는 위치에 제 1 리브가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량된 필터 캡{Improved filter cap}
본 고안은 산업용 여과용 필터를 고정하는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캡 내부에 공업용 본드를 도포하여 부착된 필터 여과지(30)가 온도 및 압력에 의하여 떨어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량된 필터 캡에 관한 것이다.
공기, 오일 및 공업용수의 여과용으로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필터의 경우, 도 1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 필터 캡이 위치하고, 상기 캡의 원심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내측중공판(40)이 구비되고, 상기 내측중공판(40)의 외측에는 필터 여과지(30)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 여과지(30) 외측에는 외측중공판(20)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필터 여과지(30)는 상하부에 위치한 필터 캡과 공업용 본드 또는 에폭시 등으로 결합되며, 동시에 내측중공판(40)과 외측중공판(20)은 필터 여과지(30)와 필터 캡의 테두리면에서 고정된다.
하지만, 전술 바와 같은 구성으로 생산된 필터는, 고압과 고온의 유체 및 공기의 통과시에 필터의 캡과 필터 여과지(30)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필터 캡의 바닥면의 내측과 테두리면의 내측에 리브를 형성하여 필터 캡과 필터 여과지의 접착시에 도포된 공업용 본드, 기타접착제 또는 에폭시가 적절하게 분포하도록 함으로서 접착력과 밀폐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최소화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필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공기 또는 오일 여과용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산업용 필터의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되고, 필터 여과지(30) 및 중공판(20,40)을 고정부착하며, 원형의 바닥면(12)과 테두리면(11) 및 공기 또는 오일이 유입배출되는 돌출면(15,18)으로 구성되는 캡(10)에 있어서, 상기 캡(10)의 바닥면(12)의 내측으로 필터 여과지(30)가 부착되는 위치에 제 1 리브(13)가 부설되며, 상기 제 1 리브(13)는 필터 여과지(30)가 부착되는 위치에서 상기 캡(10)의 원심을 따라서 원형으로 다 수개 형성되고, 상기 캡(10)의 테두리면(11)의 내측에는 내주면을 따라서 제 2 리브(14)가 부설되고, 상기 캡(10)의 돌출면(15,18)이 상기 내측 중공판(40)에 맞닿아 공간부(b)를 형성하도록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량된 필터 캡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 2 리브(14)를 대신하는 테두리면(11)이 상기 외측 중공판(20)에 맞닿아 공간부(a)를 형성하도록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개량된 필터 캡(10)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량된 필터 캡(10)이 구비된 필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량된 필터 캡(10)이 구비된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2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공기 또는 오일을 여과하는 통상적인 산업용 필터에 적용되는 본 고안은, 하부에 캡(10)이 위치하면, 상기 캡(10)의 바닥면(12) 내측으로 캡(10)의 돌출면(18)의 외주면에 내측중공판(40)이 부설되고, 상기 내측중공판(40) 외측로 필터 여과지(30)가 부설되며, 상기 필터 여과지(30) 외측에는 외측중공판(20)이 부설된다. 그리고 필터 여과지(30)와 내외측중공판(20,30) 상부에 캡(10)이 위치하여 덮게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필터는 공업용 본드(16) 또는 에폭시 등을 사용하여 캡(10)과 필터 여과지(30)를 결합한다. 이때, 본 고안의 바닥면(12)과 테두리면(11)에는 각각 제 1 리브(13)와 제 2 리브(14)가 형성되어 필터 여과지(30)가 바닥면(12)과 테두리면(11)에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는다.
한편,도 3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개량된 필터 캡(10)은 바닥면(12)의 내측에 필터 여과지(30)와 부착되는 부분에서 제 1 리브(13)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리브(13)는 모양이나 크기 및 갯수의 제한이 없지만, 캡(10)과 필터 여과지(30) 사이에 본드(16)가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 캡(10)의 원심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부설되며,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부설되며 각각의 제 1 리브(13)는 동일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캡(10)의 테두리면(11)의 내측에도 제 2 리브(14)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리브(14)는 캡(10)의 바닥면(12)에서부터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며, 필터의 사용 용도에 따른 본드(16)의 도포량에 따라서 제 2 리브(14)가 형성되는 높이는 결정된다. 그리고, 내측중공판(40)과 밀착되어 있는 하부 캡(10)의 돌출면(18)과 달리 상부 캡(10)의 돌출면(15)은 상기 내측 중공판(40)과 밀착하지 않고 공간부(b)을 제공하도록, 내측 중공판(40)에 맞닿아 공간부(b)를 형성하도록 절곡되어있다.
그리고, 도 4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량된 필터 캡(10)이 구비된 필터의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고안의 여러가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량된 필터 캡(1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 의 상측과 하측 캡(10)은, 내측중공판(40)과 외측중공판(20) 사이에 설치되고, 캡(10)의 바닥면(12)에 형성된 분할홈(17)으로 나누워지는 두 개의 필터 여과지(30)가 설치되도록, 서로 유사한 형상 가지고 있다. 그리고 테두리면(11)에 형성된 제 2 리브(14)는 도 3 에서 보여진 것과는 달리 테두리면(11)의 끝부분이 외측중공판(20)에 맞닿도록 꺽인 형상으로 다른 형태의 공간부(a)를 형성한다. 또한 도 4 의 돌출면(15,18)은 도 3 의 상측 캡(10)의 돌출면(15)과 같이 본드(16)가 체워질 수 있도록 내측중공판(40)과 공간부(b)을 형성하고 있다. 도 5 의 각각의 부분확대도(C,D,E)는 필요와 기능에 따라서 또는 제작공정상의 용이성과 경제성에 따라서 약간씩 변형될 수 있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통하여 예를 들어 나타낸 것으로, 도포된 본드(16)를 담아둘 수 있는 본 고안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과 도 4 의 부분확대도(A,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개량된 필터 상측 캡(10)은, 리브가 없는 기존의 캡과 필터 여과지 접착시에 바닥면(12)과 필터 여과지(30)가 직접 접촉하여 본드(16)가 필터 여과지(30) 사이로 밀려나는 것과는 달리, 제 1 리브(13)가 부설되어 캡(10)의 바닥면 내측에 도포된 본드(16)는 캡(10)과 필터 여과지(30)의 접착시에도 옆으로 밀려나지 않고 캡(10)과 필터 여과지(30) 사이에 균일하게 일정량이 남아있게 된다. 또한 캡(10)의 테두리면(11) 내측에도 제 2 리브(14)가 부설되어 본드(16)가 채워지는 공간부(a)와 꺽여진 돌출면(15)과 내측중공판이 형성하는 공간부(b)를 제공한다. 제 2 리브(14)가 외측중공판(20) 또는 필터 여과지(30)(필터의 종류에 따라서 외측중공판(20) 또는 내측중공판(40)이 없는 필터도 있음)와 형성하는 공간부(a)와 돌출면(15)이 형성하는 공간부(b)에는 적정량의 본드(16)가 채워져서 굳어진다. 하부 캡(10) 또한 상부 캡(10)과 효과 및 작용이 동일하며, 다만, 필터가 설치되는 장소와 환경 및 위치에 따라서 돌출면(18)의 형상은 달라진다. 물론, 상부 캡(10) 또한 돌출면(15)의 형상은 필터가 요구받는 압력 및 온도 내구성에 따라서 하부 캡(10)의 돌출면(18)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 의 부분확대도(C,D,E)는 본 고안이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된 형상을 나타낸다. 즉, 제 2 리브(14)의 부설 위치와 모양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제 2 리브(14)와 바닥면(12) 내측과의 거리를 늘리거나 좁혀서 도포되는 본드(16)의 양을 조절가능할 수 있고, 채워지는 본드(16)의 양에 따른 접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부분확대도(D,E)와 같이 통상의 캡(10)이 가지는 돌출면(15)을 가지거나, 또한 부분확대도(E)와 같이, 제 2 리브(14)가 형성되지 않고, 도 3 과 도 4 의 상부 캡(10)의 돌출면(15)과 같이 테두리면(11) 자체를 구부려 공간부(b)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개량된 필터 캡(10)은 특정 목적이나 특정 형상의 캡(10)에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 3 과 도 4 및 도 5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다른 목적(공기, 오일, 공업용수 여과)과 다른 형상을 가지는 캡(10)에서도 모두 적용되며, 제 1 리브(13) 또한 제 2 리브(14) 및 돌출면(15,18)의 형상과 위치가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즉, 본 고안 기술적 요지는 캡(10)의 형상과 관계없이 캡(10)과, 필터 여과지(30) 및 중공판(20,40) 사이에 본드(16)가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공간부(a,b)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필터 여과지(30)와 캡(10) 사이에 일정 공간을 확보하여, 캡(10)과 필터 여과지(30)의 접착시에 본드가 한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균일한 분포의 접착력을 가지도록 하고, 또한 압력 집중이 많은 필터 여과지(30) 외측 테두리 부분의 접착력을 강화하여 기존의 필터 캡(10)이 가지고 있는 고압 발생시 캡(10)과 필터 여과지(30)가 분리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 은 종래의 필터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량된 필터 캡이 구비된 필터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량된 필터 캡이 구비된 필터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량된 필터 캡이 구비된 필터의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여러가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량된 필터 캡의 부분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캡 11 : 테두리면
12 : 바닥면 13 : 제 1 리브
14 : 제 2 리브 20 : 외측중공판
30 : 필터 여과지 40 : 내측중공판

Claims (5)

  1. 공기 또는 오일 여과용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산업용 필터의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되고, 필터 여과지(30) 및 중공판(20,40)을 고정부착하며, 원형의 바닥면(12)과 테두리면(11) 및 공기 또는 오일이 유입배출되는 돌출면(15,18)으로 구성되는 캡(10)에 있어서,
    상기 캡(10)의 바닥면(12)의 내측으로 필터 여과지(30)가 부착되는 위치에 제 1 리브(13)가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필터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브(13)는 필터 여과지(30)가 부착되는 위치에서 상기 캡(10)의 원심을 따라서 원형으로 다 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필터 캡.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10)의 테두리면(11)의 내측에는 내주면을 따라서 제 2 리브(14)가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필터 캡.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10)의 돌출면(15,18)이 상기 내측 중공판(40)에 맞닿아 공간부(b)를 형성하도록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필터 캡.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브(14)를 대신하는 테두리면(11)이 상기 외측 중공판(20)에 맞닿아 공간부(a)를 형성하도록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필터 캡.
KR20-2005-0020650U 2005-07-15 2005-07-15 개량된 필터 캡 KR2003975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650U KR200397575Y1 (ko) 2005-07-15 2005-07-15 개량된 필터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650U KR200397575Y1 (ko) 2005-07-15 2005-07-15 개량된 필터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575Y1 true KR200397575Y1 (ko) 2005-10-05

Family

ID=43698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650U KR200397575Y1 (ko) 2005-07-15 2005-07-15 개량된 필터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57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341Y1 (ko) 2008-08-25 2010-12-09 송진호 금속절단기의 세정수 여과장치
KR101288491B1 (ko) * 2011-08-25 2013-07-26 주식회사 대한피엔씨 필터 캡의 구조
KR101412509B1 (ko) * 2012-02-03 2014-06-30 이경희 집진기용 원터치 조립형 카트리지 필터
KR101782420B1 (ko) * 2017-04-24 2017-09-28 오근서 필터누름판에 의해 체결되는 도로 분진 청소차용 집진필터
KR101929616B1 (ko) * 2016-07-01 2018-12-14 이봉대 집진기용 필터 카트리지 기구
KR20190000650A (ko) * 2017-06-23 2019-01-03 주식회사 대한피엔씨 집진기 필터용 하부캡 및 이를 구비한 카트리지 필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341Y1 (ko) 2008-08-25 2010-12-09 송진호 금속절단기의 세정수 여과장치
KR101288491B1 (ko) * 2011-08-25 2013-07-26 주식회사 대한피엔씨 필터 캡의 구조
KR101412509B1 (ko) * 2012-02-03 2014-06-30 이경희 집진기용 원터치 조립형 카트리지 필터
KR101929616B1 (ko) * 2016-07-01 2018-12-14 이봉대 집진기용 필터 카트리지 기구
KR101782420B1 (ko) * 2017-04-24 2017-09-28 오근서 필터누름판에 의해 체결되는 도로 분진 청소차용 집진필터
KR20190000650A (ko) * 2017-06-23 2019-01-03 주식회사 대한피엔씨 집진기 필터용 하부캡 및 이를 구비한 카트리지 필터
KR101972652B1 (ko) * 2017-06-23 2019-04-26 주식회사 대한피엔씨 집진기 필터용 하부캡 및 이를 구비한 카트리지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7575Y1 (ko) 개량된 필터 캡
US5609761A (en) Filter medium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6073687A (en) Heat exchange plate having a reinforced edge structure
CN102215932B (zh) 定位到螺帽片上的滤筒
KR20130100788A (ko) 유체 디스펜서 헤드 및 그러한 디스펜서 헤드를 구비한 디스펜서
JP4980920B2 (ja) フレームのないプレート状のフィルタ体
JP5629314B2 (ja) 剛性ビードを備える平形ガスケット
EP3379119A1 (en) Check valve structure, nozzle member using same, and squeeze container
JP7024173B2 (ja)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D880787S1 (en) Mat
KR20010022541A (ko) 높인 포장도로 마아커
US5660608A (en) Filter cartridge boot
DE69905251D1 (de) Filterelement zur verwendung in einer filtervorrichtung
KR100540696B1 (ko) 회전식 마이크로 디스크 필터의 필터 엘리먼트
US6991112B2 (en) Disposable filter cartridge
JP2003294078A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7135244B2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フィルタアセンブリ、フィルタ装置、及び使用方法
JP6585789B2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
JP6592333B2 (ja) 吐出用弁体およびダイヤフラムポンプ
US10058801B2 (en) Filter with diverse shaped and dimensioned protrusions formed on an end plate of its cylindrically shaped filter material
CN208750000U (zh) 密封构件
KR200398935Y1 (ko) 그라인더용 연마휠
KR100523743B1 (ko) 회전식 마이크로 디스크 필터의 필터 엘리먼트
DE60324558D1 (de) Filterpatrone
KR200384552Y1 (ko) 뚜껑 없는 여과기 엘레멘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