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1925A -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및 관련 고착클립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및 관련 고착클립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1925A
KR20010021925A KR1020007000489A KR20007000489A KR20010021925A KR 20010021925 A KR20010021925 A KR 20010021925A KR 1020007000489 A KR1020007000489 A KR 1020007000489A KR 20007000489 A KR20007000489 A KR 20007000489A KR 20010021925 A KR20010021925 A KR 20010021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fixing
fastening
rail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7828B1 (ko
Inventor
베리 마샬
브라이언 죠지 콘로이
Original Assignee
칼 리차드 크랜시요크
팬드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리차드 크랜시요크, 팬드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칼 리차드 크랜시요크
Priority claimed from PCT/GB1998/001956 external-priority patent/WO1999004094A1/en
Publication of KR20010021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8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28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 E01B9/30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28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 E01B9/30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 E01B9/303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the clip being a shaped 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400)에 의해 유지되도록 고정 레그(21)를 갖춘 유형인, 하부 기초부에 철도레일을 고착시키기 위한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이 고정장치(400)로부터 예기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갖고 있으며, 분리 방지 수단은 클립의 고정 레그(21)가 삽입될 때 고정장치(400)의 하우징(402) 내부에 제공되는 제 2 위치 수단(404)과 협력하기 위한, 고정 레그의 자유 단부로부터 이격된 지역에서 고정 레그(21) 상에 제공되는 제 1 위치 수단(21c)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및 관련 고착클립 고정장치 {RESILIENT RAILWAY RAIL FASTENING CLIPS AND ASSOCIATED RAIL FASTENING CLIP ANCHORING DEVICES}
철도레일을 콘크리트 또는 목재 철도레일 침목과 같은 하부 기초 토대에 고착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시스템은 레일이 정위치에 놓일 때 레일의 어느 한 측면상에 있는 기초 토대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장치를 포함하는데, 상기 고정장치는 레일을 내리누르는 탄성 레일 고착클립 각각의 고정 레그를 유지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GB 1 510 224호 공보에 기술되어 있는데, 특히 상기 공보에는 (일 실시예로) 탄성재료로 이루어진 봉형 부재를 포함하는 ["e-클립(e-clip)"이라 공지된] 철도레일 고착클립에 대해 설명되어 있다. 상기 탄성재료의 봉형 부재는 봉형 부재의 하나의 자유 단부로부터 다른 자유단부로 진행하면서, 첫째로 고정 레그, 둘째로 역 굽힘부, 세째로 "뒤축부(heel)"를 형성하는 고정 레그 이외의 부분, 넷째로 또 다른 역 굽힘부, 마지막으로 "선단부(toe)"를 형성하는 고정 레그 이외의 또 다른 부분을 구비하도록 구부러져 있다. 이러한 클립의 실시예는 이후, "오른손 방향" 클립이라 지칭한다. 이후 "왼손 방향" 클립이라 지칭되는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클립은 오른손 방향 클립과 경면 대칭이며 고정 레그가 고정장치의 대향 단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조된다.
상기 e-클립 및 그 보다 앞서 GB 861 473호 공보에 설명된 PR-클립은 안전하고 확실한 레일 고착 공구를 제공하여서 아주 폭넓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전세계의 일부 지역에서는 도둑 또는 반달족들이 고정장치로부터 클립을 해체해 약탈하는 것으로 알려져 아주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레일 고착기구에 손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GB-2 085 057B 호 공보에서 클립의 뒤축부가 고정장치 내에 설치될 때 구동되는 고정장치의 외측부에 제공된 정지부와 충돌하는 단차부를 고착클립의 뒷축부에 제공하는 하는 것을 제안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허가되지 않은 사람이 고정클립을 고정장치로부터 용이하게 해체하는 것이 방지되었다. 게다가, 전술한 조립체로부터 클립을 추출하는데 소요되는 힘이 증대됨으로써 조립체 내에 설치된 클립이 교체 시간의 만료 후에 마모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방법은 해머에 의해 클립을 제거하려는 시도에 대한 방지책만이 증대되었을 뿐이므로 고정장치 상의 정지부로부터 이격되게 클립의 뒤축부를 수형화하는데 클로우바아(또는 바위)를 먼저 사용하면 상기 클립은 여전히 제거된다고 하는 단점이 발견되어서 완전히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지는 못했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는 GB-2 085 057B 호에 설명된 것보다 더욱 확실한 레일 고착 조립체를 제공하기를 희망했다.
본 발명은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및 관련 고착클립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의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클립을 결합시킨 철도레일 고착클립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및 고정장치의 일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및 고정장치의 일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철도레일 고착클립 및 고정장치의 일부의 단면도이고,
도 5a, 5b 및 5c는 어떻게 클립이 고정장치로부터 제거되는가를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 4의 실시예의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레일 고착 장치의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선 A-A를 따라 취해진 부분 단면도이고,
도 7a는 도 6a 및 도 6b의 고정장치와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레일 고착클립의 일부의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7b는 도 7a의 선 A-A를 따라 취해진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라서, 철도레일을 하부 기초 토대에 고착하기 위한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이 제공되는데, 상기 클립은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에 의해 클립을 고정하는 고정 레그 및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클립의 원치않는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분리 방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 방지 수단은 클립의 고정 레그가 내부에 삽입될 때 고정장치의 하우징 내에 제공되는 제 2 위치 수단과 협력하도록 자유 단부로부터 이격된 영역에서 고정 레그 상에 제공되는 제 1 위치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을 유지하기 위한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고정장치는 클립의 고정 레그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통로를 갖춘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통로 내측에는 클립의 고정 레그 상에 제공되는 제 1 위치 수단과 협력하도록 제 2 위치 수단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특징을 갖춘 고정장치 내에 수용되는 본 발명의 제 1 특징을 갖춘 클립은 간단하고 신뢰성이 있으나 손쉽게 달성할 수 없었던 방식으로 고정장치로부터 클립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힘을 증가시킴으로써 허가되지 않은 제거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고착 안정성을 증대시킨다.
GB-2 085 057B호 공보에 설명된 조립체와는 상이하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클립의 허가받지 않은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고정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안보이는 곳에 제공되어서, 도둑 또는 반달족들이 클립을 어떻게 제거할 것인가에 대한 고찰기회를 덜 부여하게 된다. 실제로, 과거에 사용했던 바와 같은 방식으로 클로우바아 또는 바위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로부터 본 발명의 클립을 제거하기 위한 시도가 수행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은 고정장치 내에 훨씬 더 확고하게 유지될 것이다.
본 발명을 적용한 클립은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e-클립 또는 PR-클립이다.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해서 고정 레그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과 같은 클립의 전체 형상을 조절할 필요성은 없다.
설치시 e-클립 또는 PR-클립인 클립 내의 응력은 클립에 도난방지 특성이 제공되는 위치에서 높다(아마도 클립상의 최대 응력의 75% 내지 80%). 따라서, GB 2 085 057B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클립의 "뒷축부"상에 위치되는 단차부는 클립 상의 모든 곳에서의 최대 응력을 증가시켜 클립 성능에 있어서의 중요한 인자 중에 하나가 된다. 대조적으로, 상기 응력은 고정 레그의 단부 근처에서는 무시할 정도로 작아져서 제 1 위치 수단을 클립 고정 레그 상에 제공하는데 있어서의 응력 집중효과는 유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위치 수단은 제 2 위치 수단이 돌출부를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오목부의 경사부와 같은 접촉면을 포함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 2 위치 수단은 제 1 위치 수단이 돌출부를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오목부의 경사부와 같은 접촉면을 포함한다.
고정 레그/통로의 종축선에 대한 경사면의 경사각은 바람직하게 20 내지 90°이다.
상기 결합면이 경사를 이루는 각도는 고정장치로부터 클립을 후퇴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대체로 결정한다. 종종 철도레일 고착클립 제거장치가 고정장치로부터 종래의 클립을 추출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그와 같은 장치가 본 발명의 제 2 특징을 갖춘 고정장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제 1 특징을 갖춘 클립에 사용되면, 상기 접촉면 경사각은 종래의 고착 조립체에 대한 것보다 더 클지라도, 추출작업중 클립을 추출하는데 필요한 힘에 의해 추출장치 또는 고착부품이 손상되지 않을 정도로 선택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예를 들어 30°와 같은 작은 각도가 바람직하다.
반달족 또는 도둑에 의한 도난방지를 보다 필요로 하는 경우에 상기 결합면의 각도는 보다 클 수 있으나(예를 들어, 40°이상), 이러한 경우에는 종래의 클립제거 장치는 아마도 클립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없을 것이다.
클립의 고정 레그 상에 있는 제 1 위치 수단을 하우징 내측에 제공된 제 2 위치 수단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동시에, 고정장치와 무관하게 클립을 당기도록, 고정장치의 하우징 내에 있는 통로의 단부에서 보이는 클립 고정 레그의 자유단부에 하향 압력을 가하기 위한 목적 달성용 공구가 사용되어야 한다. 클립 고정장치의 자유 단부에 있어서 단부면을 제외한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 내부에의 설치시 노출되는 경우에 상기 공구의 사용이 편리하다.
e-클립 및 PR-클립과 같은 종래 클립의 경우에는 클립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어려우며, 하우징의 내측으로 클립이 너무 멀리 이동되는 경우에는 고정 레그의 상부와 고정장치의 내측 사이에서 접촉되는 대신에 클립의 다른 부분과 고정장치 사이에 접촉이 발생될 수 있다. 접촉시 이러한 비의도적인 변경은 클립 내에 바람직하지 않은 높은 "뒤축부"의 하중 및 응력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라서 철도 레일을 하부의 기초 토대부에 고착시키 위한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을 제공되는데, 상기 클립은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에 제공된 협력수단과 결합하여 상기 고정장치 내측으로의 클립의 초과 이동을 방지하는 정지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특징을 갖춘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을 유지하기 위한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고정장치는 정지 수단을 상기 클립에 결합하는 협력 수단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특징을 갖춘 클립은 본 발명의 제 4 특징을 갖춘 고정장치의 하우징 내에 정확히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정지 수단은 협력 수단이 돌출부를 포함하는 경우에 결합면을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정지 수단은 협력 수단이 결합면을 포함하는 경우에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면은 35 내지 90°범위의 각도까지 클립의 경사방향에 대해 바람직하게 경사져 있는 오목부의 일면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상기 각도는 약 90°이다.
상기 클립이 고정 레그를 갖는 형태여서 클립이 고정장치에 의해 유지된다면, 상기 정지 수단은 고정 레그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협력 수단은 고정장치의 하우징 내측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을 갖춘 클립, 또는 본 발명의 제 2 특징을 갖춘 고정장치에서의 초과 이동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관점에서, (경우에 따라서 제 1 또는 제 2 위치 수단을 구성할 수 있는) 상기 오목부는 다른 경사면으로 반대쪽으로 경사진 더 경사진 면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더 경사진 면의 위치 및 경사각은 고정장치 내측으로 클립의 초과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 레그/통로의 종축선에 대한 상기 더 경사진 면의 각도는 35 내지 90°가 바람직하며, 약 90°가 더욱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 기술의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10)은 "e"-클립 종류이다. 이러한 클립(10)은 금속 막대기를 구부림으로써 제조되는데, 막대기의 일단부(A)로부터 타단부(B)까지 연속하여, 직선인 제 1 부분 또는 고정 레그(11), 제 2 역전 굽힘 부분(12), 제 3 부분(13), 제 4 역전 굽힘 부분(14), 및 제 5 부분(15)이 차례대로 이어진다. 제 3 부분 및 제 5 부분 상의 최하위 지점이 동일한 평면 내에 놓이고 클립(10)이 상기 평면의 바로 위쪽이나 아래쪽에 놓이도록 클립(10)이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면, 제 3 및 제 5 부분은 제 1 부분(11)의 양측면에 놓인다. 본 명세서에서는 기재되지 않지만, 소위 "PR"-클립도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물 금속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 또는 견부(100)에 의해 클립의 "선단부(toe)"(제 3 부분(13) 또는 제 5 부분(15))가 인접 레일 상에 놓이도록, "e"-클립과 "PR"-클립 모두가 유지될 수도 있다. 레일 고착 조립체 내에 사용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장치(100) 중의 하나만이 도 1b에 도시되어 있다. 고정장치(100)는 콘크리트 내에 파묻히는 레그(101)에 의해 레일 기초부(이 경우, 콘크리트 침목(2))에 고정된다. 레그(101)는 고정장치(100)의 하우징(102)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102)은 관통 통로(103)를 갖는다. 기초부(1a)를 갖춘 레일(1)은 한 쌍의 견부(10) 사이에서 완충 레일 패드(4) 상에 놓여지고, 레일 절연물(3)이 레일 기초부(1a) 상에 놓여진다. 그 다음에, 클립의 "선단부"(이 경우, 제 5 부분(15))가 레일 절연물(3)을 통해 레일(1)의 기초부(1a) 상에 소정의 힘을 가하도록 클립(10)을 변형시킴으로써, 레일 클립(10)의 고정 레그(11)가 통로(103) 내로 장착된다. 클립(10)의 "뒤축부(heel)"(이 경우, 제 3 부분(13))는 하우징(102)의 선반부(104) 상에 얹혀지게 된다. 고정 레그(11)의 상부면은 통로(103)의 상단에 접촉하여 유지된다.
비록 도 1a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장치(100)의 통로(103) 내로 고정 레그(11)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클립(10)의 고정 레그(11)는 챔퍼링된 자유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e"-클립과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클립이 고정장치에 의해 유지될 수 있게 고정 레그를 갖춘 어떠한 유형의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레일 고착클립(20)의 고정 레그(21)를 도시하고 있다. 레일 고착클립(20)이 전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자체 고정 레그(21)는 "e"-클립, "PR"-클립 등과 유사할 수 있다. 고정 레그(21)는 자체 자유 단부(A)에 챔퍼(21b)를 가지며, 또한 접촉면(21c)을 갖춘 멈춤부 또는 리세스(21a)를 포함하는 제 1 위치 수단을 자유 단부(A)에서 이격하여 갖는다. 레일 고착클립(20)을 유지하기 위한 고정장치 또는 견부(200)(전체적으로는 도시 안함)는 관통 통로(203)를 갖춘 하우징(202)을 구비한다. 통로(203)의 내부에서, 돌출부(203a)로 구성된 제 2 위치 수단이 통로(203)의 상부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2 위치 수단은 고정장치(200)로부터 클립(20)의 예기치 않은 이동을 방지하는 수단을 제공하도록 서로 협력한다. 고정장치(200)의 나머지 부분은 도 1b에 도시된 고정장치(100)와 유사할 수 있다. 멈춤부(21a)는 클립(20)의 형성 동안에 또는 형성 후에 클립(20)의 고정 레그 상에 스탬핑(stamping)될 수 있으며, 그리고 돌출부(203a)는 고정장치(200)의 형성 동안에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음과 같은 차이를 갖는다. 즉, 레일 고착클립(30)(전체적으로 도시 안함)이 돌출부(31a)로 구성된 제 1 위치 수단을 갖춘 챔퍼(31b)를 구비한 고정 레그(31)를 가지며, 그리고 고정장치(300)(전체적으로 도시 안함)는 접촉면(303b)을 갖춘 리세스(303a)로 구성된 제 2 위치 수단을 자체 상단부 상에 갖춘 통로(303)를 구비한 하우징(302)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립(20)의 고정 레그(21, 31)를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의 통로(203, 303) 내에 삽입함에 따라, 고정 레그(21) 상의 (특히, 챔퍼(21b) 상의) 또는 돌출부(31a) 상의 통로(303) 상의 돌출부(203a)의 압력이 고정 레그(21, 31)가 제 1 및 제 2 위치 수단이 서로 접촉하도록 스냅핑되는 지점에 이를 때까지 클립을 약간 아래쪽으로 구부린다(도 4 참조).
파괴 또는 절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클립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고정 레그를 상당히 이동시켜야 하지만 그러한 이동에 의하여 클립의 영구 변형은 일어나지 않도록, 위치 수단의 위치와 크기를 정하여야 한다.
"오른손 방향" 클립이나 "왼손 방향" 클립이 사용됨에 따라 고정장치의 위치설정 특징부를 통로 등의 일단부에 인접하게 놓아야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오른손 방향" 클립이나 "왼손 방향" 클립과 고정장치를 사용하기를 원한다면, 특징부는 고정장치의 중앙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원하는 클립의 구동은 돌출부의 상단에 의해 한정되는 증가된 각도 때문에 더 어려워질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실시예에 기초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통로(403) 및 돌출부(403a)를 갖춘 개선된 하우징(402)을 구비하는 고정장치(400)가 도 2의 실시예와 다르다. 하우징(402)의 일단부는 돌출부(403a)에 인접한 통로(403)의 일단부가 확장 개구부(404)를 갖도록 절단될 수 있게 확대되며, 따라서 고정 레그(21)의 자유 단부(A)의 상부면은 클립 제거 공구(도 5a, 5b 및 5c와 관련하여 후술됨)에 의한 접근이 용이하도록 노출된다. 도 4에는 어떻게 돌출부(403a)가 고정 레그(21)의 접촉면(21c)과 접촉하여 클립의 이탈을 방지하는지를 나타낸다. 일부 종래 기술의 클립과는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클립(20, 30)은 방향(R)으로 가해지는 해머에 의한 타격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200, 300, 400)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없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대신에, 그러한 클립(20, 30)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접촉면(21c, 303b)으로부터 돌출부(403a, 203a, 31a)를 분리시키도록 자체 자유 단부(A)에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방향(R)으로 클립을 움직임으로써 고정 레그(21, 31)를 아래쪽으로 구부리는 것이 필요하다.
도 5a,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20)의 고정 레그(21)의 자유 단부(A)의 상부면과 하우징(402) 사이의 확장 개구부(404)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확장된 팁(71)을 갖춘 특별 설계된 공구(70)를 사용하여 상기 작업이 달성될 수도 있다(도 5a 참조). 공구(70)의 팁(71)이 확장 개구부(404) 내로 계속 밀어 넣어짐으로써, 클립(20)의 고정 레그(21)의 자유 단부(A)가 점진적으로 아래쪽으로 눌려져서 돌출부(403a)로부터 멈춤부(21a)를 해제시키고, 그리고 공구(70)의 표면(72)과 접촉하게 된다(도 5b 참조). 그 다음에, 고정 레그(21)가 통로(403)를 따라서 밀어 넣어진다(도 5c 참조).
제 1 및 제 2 위치 수단이 접촉면과 돌출부로 구성되는 전술한 실시예에 개시된 바와 같이, 클립이나 고정장치가 접촉면을 가질 수 있지만, 제조 측면에서 볼 때 예컨대 멈춤부에 의한 접촉면 및 돌출부를 갖춘 고정장치를 갖춘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고 만족스러울 수 있다.
비록 전술한 본 발명이 주조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고정장치를 이용하지만, 본 발명은 예컨대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와 관련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은 가압성형 강철 또는 압연 강판(도시 안함)에 적용될 수도 있다. 통로(503)의 천장은 통로(503)의 일단부로부터 약간 이격된 위치에 제 2 위치 수단을 가지며, 이 제 2 위치 수단은 하우징(502)의 상단부 상에 오목부(505)를 형성하여 만들어지는 돌출부(504)를 포함한다. 돌출부(504)는 도 6b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도 6b는 통로(503)에 평행한 하우징(502)의 상단부의 단면도이다. 돌출부(504)의 형상 및 치수는 관련 접촉면의 형상 및 치수에 좌우된다. 70 mm 길이의 통로(503)를 갖는 두께 10 mm의 하우징 내에서, 돌출부(504)는 5 mm의 폭, 2 mm의 높이 및 3 mm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통로(503)의 일단부로부터 45 mm의 거리를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3 실시예인 레일 고착클립(50)(전체적으로는 도시 안함)의 고정 레그(51)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클립은 도 2, 도 3 및 도 4의 클립과 많은 점에서 유사하다. 고정 레그(51)는 자체 자유 단부(A)에서 형성되는 챔퍼(51b)를 가지며, 자유 단부(A)로부터 약간의 거리를 두고 멈춤부 또는 리세스(51a)를 갖는다. 리세스(51a)는 각각 하향 및 상향 연장되는 두 개의 접촉면(51c 및 51d)(자유 단부(A)로부터 고정 레그(51)를 따라서 연장됨)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상향 연장 접촉면(51d)은 하향 연장 접촉면(51c)보다 경사가 가파르고,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레그(51)의 종축선에 대한 경사각은 하향 연장 접촉면(51c)이 약 30°이고 상향 연장 접촉면(51d)이 약 90°이며, 그 기저부는 반경(1R)을 갖는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클립의 실시예에서, 리세스(51a)는 레그(51)의 단부(A)에 가장 가까운 에지가 그로부터 10 mm이고 (레그(51)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12.5 mm의 길이와 2 mm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향 연장 접촉면(51d)의 기초부의 반경은 1 mm이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클립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돌출부와 접촉하는 리세스의 표면이 거의 수직이어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클립을 제거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그러나,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의 실시예에서 하향 연장 접촉면(51c)은 적당히 얕은 각도로 경사진다. 이러한 클립이 어떠한 위치 수단도 갖지 않는 클립보다는 예기치 않은 분리를 방치할 수 있음은 확실하지만, 보다 적은 힘이 돌출부(504) 위에서 접촉면(51c)을 움직이는데 필요하기 때문에 제공된 저향력은 작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경우 필요한 힘은 사용 동안에 마모된 고정장치로부터 클립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에는 충분하다.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보다 큰 저항력이 필요한 경우에 접촉면(51c)은 보다 큰 경사각,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의 경사각을 갖는다.
또한, 상향 연장 접촉면(51d)의 경사각도 변경될 수 있지만,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의 실시예에서 접촉면(51d)은 클립(50)이 고정장치(500) 내로 작동될 때 돌출부(504)에 부딪히는 정지부를 제공하도록 설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클립(50)은 소정의 자체 작업 위치에 놓여지는 정상적인 설치 위치를 지나서 용이하게 작동될 수 없다. 특히, 적당히 가파른 상향 연장 접촉면(51d)을 적당한 위치에 제공함으로써(예컨대, 고정 레그(51)의 종축선에 대한 30° 내지 90° 범위의 각도로), 필요한 클립 구동력은 클립이 정확한 위치에 도달했을 때 급격하게 증가하여 클립의 지나친 구동을 방지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돌출부보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멈춤부를 갖춘 자체 고정 레그 상에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은 본 발명을 따르지 않는 기존의 고정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오직 한 종류의 클립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의 부가적 이익은 갖지만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기존의 고정장치의 종래의 클립에 비해 단점을 갖지 않으면서 사용할 수 있다.
고정장치의 형상이 특정 공구로 클립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개량되었으며 이탈에 대한 최대한의 저항력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조립체에 있어서, 고정장치 내의 클립의 부식에 대한 문제에 대한 이점을 또한 제공한다. 부식된 경우에, 종래 기술의 클립은 고정장치로부터 쉽사리 제거될 수 없지만, 만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단부를 갖춘 고정장치가 사용된다면 하향 압력이 클립의 고정 레그의 자유 단부에 용이하게 가해질 수 있어서, 클립과 고정장치 사이의 부착을 더욱 용이하게 깨뜨린다. 이것은 고정장치가 (원형보다는) D-형상의 단면을 갖춘 유형일 때 클립의 고정 레그가 구부러질 수 있는 공간을 더 많이 제공하기 때문에 매우 바람직할 수 있다.

Claims (36)

  1. 하부 기초부에 철도레일을 고착시키기 위한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으로서, 상기 클립이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에 의해 유지되도록 고정 레그를 갖춘 유형이고, 상기 클립이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예기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갖춘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에 있어서,
    상기 분리 방지 수단은 상기 클립의 고정 레그가 삽입될 때 상기 고정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제공되는 제 2 위치 수단과 협력하기 위한, 상기 고정 레그의 자유 단부로부터 이격된 지역에서 상기 고정 레그 상에 제공되는 제 1 위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자체 자유 단부(A)에서 시작하여 다른 자유 단부(B)까지 차례로, 상기 고정 레그를 구성하는 직선의 제 1 부분, 약 180°로 굽혀지는 제 2 부분, 상기 제 1 부분과 나란한 제 3 부분, 약 180°로 굽혀지는 제 4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과 나란한 제 5 부분으로 구성되는 탄성 재료의 굽힘 막대기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클립이 상기 제 3 및 제 5 부분 상의 최하위 지점이 동일한 평면 내에 놓이도록 배향되고 상기 클립을 상기 평면의 위쪽 및 아래쪽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3 및 제 5 부분이 상기 제 1 부분의 양측면 상에 놓이는 것으로 나타나도록 상기 클립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수단이 접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이 리세스의 경사면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레그의 종축선에 대한 상기 접촉면의 경사각이 20° 내지 90° 범위 안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이 약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이 약 4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8. 제 4 항 내지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가 상기 제 4 항의 경사면에 반대로 경사지는 제 2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경사면의 경사각 및 위치는 상기 클립이 상기 고정장치 내로 지나치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레그의 종축선에 대한 상기 제 2 경사면의 경사각이 35° 내지 90° 범위 안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경사면의 기초부가 소정의 거리만큼 상기 제 4 항의 경사면의 기초부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수단이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12. 첨부된 도면 중 도 2, 또는 도 3, 또는 도 4, 또는 도 5a, 도 5b 및 도 5c, 또는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13.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을 유지하기 위한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로서,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클립의 상기 고정 레그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통로를 갖춘 하우징을 포함하는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에 있어서,
    제 2 위치 수단이 상기 클립의 고정 레그 상에 제공되는 상기 제 1 위치 수단과 협력하기 위하여 상기 통로의 내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제 3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클립과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위치 수단이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1 항에 따른 클립과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위치 수단이 접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이 리세스의 경사면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종축선에 대한 상기 접촉면의 경사각이 20° 내지 90° 범위 안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이 약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이 약 4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
  20.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가 상기 제 16 항의 경사면에 반대로 경사지는 제 2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경사면의 경사각 및 위치는 상기 클립이 상기 고정장치 내로 지나치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종축선에 대한 상기 제 2 경사면의 경사각이 35° 내지 90° 범위 안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경사면의 기초부가 소정의 거리만큼 상기 제 16 항의 경사면의 기초부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
  23. 제 13 항 내지 제 22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이 상기 고정장치 내에 장착될 때 상기 클립의 고정 레그의 자유 단부의 자유 단부를 제외한 적어도 일부분이 특별 클립 제거 공구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
  24. 첨부된 도면 중 도 2, 또는 도 3, 또는 도 4, 또는 도 5a, 도 5b 및 도 5c, 또는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
  25. 하부 기초부에 철도레일을 고착시키기 위한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에 있어서,
    상기 클립이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 상에 제공되는 협력 수단과 결합하는 정지 수단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 내로 클립이 과도하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수단이 접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이 리세스의 표면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28.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이 35° 내지 90° 범위의 각도만큼 상기 클립의 설치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수단이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30. 제 25 항 내지 제 2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이 상기 고정장치에 의해 유지되도록 고정 레그를 갖춘 유형이고, 상기 정지 수단이 상기 고정 레그 상에 제공되며 상기 협력 수단은 상기 고정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31. 제 25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을 유지하기 위한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클립 상의 정지 수단과 결합하는 협력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협력 수단이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협력 수단이 접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이 리세스의 표면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
  35. 제 33 항 또는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이 35° 내지 90° 범위의 각도만큼 상기 클립의 설치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
  36. 제 31 항 내지 제 3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이 상기 고정장치에 의해 유지되도록 고정 레그를 갖춘 유형이고, 상기 정지 수단이 상기 고정 레그 상에 제공되며 상기 협력 수단은 상기 고정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착클립 고정장치.
KR1020007000489A 1997-07-15 1998-07-02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및 관련 고착클립 고정장치 KR100587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714899.3 1997-07-15
GB9714899A GB2327230A (en) 1997-07-15 1997-07-15 Resilient railway rail fastening clip and rail fastening clip anchoring device
GB9810241A GB2329921B (en) 1997-07-15 1998-05-13 Resilient railway rail fastening clips and associated rail fastening clip anchoring devices
GB9810241.1 1998-05-13
PCT/GB1998/001956 WO1999004094A1 (en) 1997-07-15 1998-07-02 Resilient railway rail fastening clips and associated rail fastening clip anchoring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925A true KR20010021925A (ko) 2001-03-15
KR100587828B1 KR100587828B1 (ko) 2006-06-13

Family

ID=10815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489A KR100587828B1 (ko) 1997-07-15 1998-07-02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및 관련 고착클립 고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273709A3 (ko)
KR (1) KR100587828B1 (ko)
GB (2) GB2327230A (ko)
HK (1) HK1016669A1 (ko)
MY (1) MY1221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701A (ko) * 1998-09-30 2000-04-25 허영준 철도레일고정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35285A (en) * 2006-02-21 2007-08-22 Pandrol Ltd Fastening railway rail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65745A (en) * 1941-03-12 1941-12-09 George H Roscoe Rail fastener
GB861473A (en) 1956-08-03 1961-02-22 Lockspike Ltd Improvements in fastening members for anchoring railway rails and in rail-fastening arrangements employing such members
CH354801A (fr) * 1959-05-04 1961-06-15 Lockspike Ltd Dispositif de fixation d'un rail de chemin de fer
GB1510224A (en) 1975-11-07 1978-05-10 Pandrol Ltd Railway rail fastening clip and a railway rail-and-fastening assembly employing it
GB1519875A (en) * 1977-01-24 1978-08-02 Pandrol Ltd Rail fastenings
FR2436848A1 (fr) * 1978-05-22 1980-04-18 Ferroviaires Soc Dispositif d'attache elastique de voies ferrees
GB2085057B (en) * 1980-09-29 1984-05-16 Pandrol Ltd A rail clip and an assembly on a railway track which includes the clip
US4832261A (en) * 1987-02-09 1989-05-23 Chemetron-Railway Products, Inc. Railway rail fastening assembly
IN185922B (ko) * 1991-12-18 2001-05-19 Pandrol Lt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701A (ko) * 1998-09-30 2000-04-25 허영준 철도레일고정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27230A (en) 1999-01-20
EP1273709A2 (en) 2003-01-08
HK1016669A1 (en) 1999-11-05
EP1273709A3 (en) 2003-01-22
GB9714899D0 (en) 1997-09-17
GB2329921B (en) 2001-07-04
GB2329921A (en) 1999-04-07
GB9810241D0 (en) 1998-07-08
KR100587828B1 (ko) 2006-06-13
MY122114A (en) 200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17202B2 (en) Railway rail fastening clip
KR100232089B1 (ko) 철로 레일고정용 클립 및 레일조립체, 그리고 이들의 사용 방법
CS235058B2 (en) Clamp for fastening of railway rail
US6923381B2 (en) Railway rail fastening clip and assembly
AU2001293997A1 (en) Railway rail fastening assembly
JPH0723601B2 (ja) レール締付構造
KR20010021925A (ko)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및 관련 고착클립 고정장치
RU2155837C2 (ru) Прижимная клемм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EP0996789B1 (en) Resilient railway rail fastening clips and associated rail fastening clip anchoring devices
GB2085057A (en) A rail clip and an assembly on a railway track which includes the clip
US4150792A (en) Rail fastener
CA1226254A (en) Holding a railway rail down on a support member
US5820021A (en) Resilient railway fastening clip resisting loosening or removal
US4413777A (en) Rail clip and an assembly on a railway track which includes the clip
JP3058594B2 (ja) 高さ調整機能付レール締結装置
US4576334A (en) Cast shoulder
AU772838B2 (en) A resilient fastening assembly for a rail
EP1499777B1 (en) Railway rail fastening clip
US2212658A (en) Rail anchor stabilizer
AU659578B1 (en) A resilient clip
AU688359B2 (en) Resilient railway fastening clip resisting loosening or removal
JPH101901A (ja) 高さ調整機能付レール締結装置
AU5408701A (en) A resilient clip for a rail
CA2301275A1 (en) Rail retaining device
WO1999011865A1 (en) Rail reta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