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1870A - 스티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티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1870A
KR20010021870A KR1020007000434A KR20007000434A KR20010021870A KR 20010021870 A KR20010021870 A KR 20010021870A KR 1020007000434 A KR1020007000434 A KR 1020007000434A KR 20007000434 A KR20007000434 A KR 20007000434A KR 20010021870 A KR20010021870 A KR 20010021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dehydrogenation
styrene
mixture
ethylbenz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0182B1 (ko
Inventor
하마나료조
스즈키쇼헤이
오바야시슈지
다키구치마코토
후지타히사시
Original Assignee
미우라 아끼라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우라 아끼라,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우라 아끼라
Publication of KR20010021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1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5/0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 C07C15/4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substituted by unsaturated carbon radicals
    • C07C15/42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substituted by unsaturated carbon radicals monocyclic
    • C07C15/44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substituted by unsaturated carbon radicals monocyclic the hydrocarbon substituent containing a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7C15/46Styrene; Ring-alkylated sty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 C07C5/3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by dehydrogenation with formation of free hydrogen
    • C07C5/327Formation of non-aromatic carbon-to-carbon double bonds only
    • C07C5/333Catalytic processes
    • C07C5/3335Catalytic processes wi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 C07C5/3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by dehydrogenation with formation of free hydrogen
    • C07C5/327Formation of non-aromatic carbon-to-carbon double bonds only
    • C07C5/333Catalytic processes
    • C07C5/3332Catalytic processes with metal oxides or metal sulf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 C07C5/4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by dehydrogenation with a hydrogen acceptor
    • C07C5/48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by dehydrogenation with a hydrogen acceptor with oxygen as an accepto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C07C2521/02Boron or alumi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C07C2521/04Alumin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C07C25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C07C2521/08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C07C2521/12Silica and alumin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 C07C2523/02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of the alkali- or alkaline earth metals or beryllium
    • C07C2523/04Alkali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 C07C2523/14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of germanium, tin or l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 C07C25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C07C2523/18Arsenic, antimony or bismuth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 C07C25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of noble metals
    • C07C25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 C07C25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C07C2523/74Iron group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 C07C25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C07C2523/74Iron group metals
    • C07C2523/745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 C07C25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C07C2523/7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C07C2523/02 - C07C2523/36
    • C07C2523/7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C07C2523/02 - C07C2523/36 with alkali- or alkaline earth metals or beryll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에틸벤젠의 산화 탈수소법에 따른 스티렌의 제조에서 적어도 하기 공정(1) 내지 (3)을 포함하는 에틸벤젠의 탈수소 반응에 의한 스티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공정(2)에 공급되는 반응 혼합물 중의 알칼리성 물질을 미리 혼합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산화 촉매의 수소 산화 선택성의 저하를 억제하여 높은 수율로 스티렌을 수득할 수 있다:
공정(1): 에틸벤젠을 탈수소 촉매의 존재하에 탈수소시켜 스티렌 및 수소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을 수득하는 공정,
공정(2): 당해 반응 혼합물을 산화 촉매와 접촉시켜 혼합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소를 선택적으로 산화시켜 물을 형성하는 공정, 및
공정(3): 이러한 산화처리 혼합물을 탈수소 촉매와 접촉시켜 혼합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반응 에틸벤젠을 탈수소시켜 스티렌을 수득하는 공정.

Description

스티렌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oducing styrene}
에틸벤젠의 탈수소 반응에 의한 스티렌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는 종래부터 많은 문헌에 기재되는 등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철-칼륨계의 탈수소 촉매를 사용하는 공정이 공업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탈수소 반응에서는 반응 평형의 제약을 강하게 받으므로 에틸벤젠의 경우에도 전환율이 높지 않다. 또한, 탈수소 반응은 흡열반응이므로 단열형 반응기에서의 반응에서는 탈수소 반응의 진행과 함께 반응 온도가 저하되며 에틸벤젠의 전환율을 높이는 것은 더욱 곤란하다.
따라서, ①「반응 평형을 이동시키고」, ②「반응 온도의 저하를 보충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여 반응 공정에서 탈수소 촉매와 함께 산화 촉매를 사용하는 소위 산화 탈수소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60-130531호에는 탈수소성 탄화수소를 철 화합물과 알칼리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탈수소 촉매와 접촉시키고, 수득된 반응 혼합물을 제8족의 귀금속과 주석으로 이루어진 산화 촉매의 존재하에 처리하여 당해 혼합물에 함유된 수소를 선택적으로 산화시키는 동시에 이러한 처리 혼합물을 재가열하고 다시 탈수소 반응으로 처리하여 탈수소화된 탄화수소를 회수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결과, 수소의 선택 산화 반응을 실시하는 산화 탈수소법의 경우에 산화 촉매에 공급되는 에틸벤젠과 수소 등의 혼합물 중에 알칼리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면 이러한 촉매에 알칼리성 물질이 부착되므로 이의 선택성이 억제되어 산화 촉매 위에서 에틸벤젠 등의 탄화수소가 연소하여 이산화탄소의 생성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명됐다.
예를 들면, 에틸벤젠의 탈수소 촉매중에는 칼륨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칼륨 화합물은 탈수소 반응중에 비산한다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참조: B.D.Herzog et. al., Ind. Eng. Chem. Prod. Res. Dev. 23, (2), 187(1984); Hayasaka et. al., Dai 24-kai Nippon Hokozoku Kogyokai Taikai Yoshi-shu, p36(l990); 등].
따라서, 탈수소 반응과 수소의 선택 산화 반응을 직렬로 교대로 실시하는 경우, 칼륨 화합물의 비산이 일어나면 산화 촉매의 선택성이 현저히 저하하게 된다.
한편, 이산화탄소는 탈수소 촉매의 탈수소 활성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참조: Hirano, Shokubai, 29, (8), 641(1987) 등]. 따라서, 산화 공정에서 이산화탄소의 생성량이 증가하는 것은 후속 단계의 탈수소 반응의 전환율이 억제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후속의 탈수소 반응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틸벤젠의 탈수소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스티렌과 수소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 중의 수소를 선택적 산화 반응에 의해 연소시킨 후, 다시 당해 혼합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반응의 에틸벤젠을 탈수소 반응시켜 스티렌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산화 촉매의 수소 산화 선택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티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에틸벤젠의 산화탈수소법에 의해 스티렌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산화 촉매의 수소 산화 선택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티렌은 폴리스티렌, 합성 고무, ABS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원료로서 중요한 화합물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반응관의 종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하기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티렌의 제조방법이란 예를 들면 하기와 같다. 「탈수소 반응+산화 반응+탈수소 반응」의 경우:
에틸벤젠(스티렌을 함유해도 지장이 없다)을 500 내지 700℃의 온도 및 4.9 내지 981kPa의 압력에서 전단계의 탈수소 반응기(촉매층)에 유통시켜 탈수소 반응에 의해 스티렌, 수소, 미반응 에틸벤젠 등의 혼합물을 수득한다. 수득된 혼합물을 산화 반응기(촉매층)에 유통시켜, 수소의 선택적 산화 촉매의 존재하에 새롭게 도입된 산소 함유 가스를 사용하여 수소의 선택 산화을 실시한다. 또한, 이러한 산화 반응기(촉매층)로부터 생성되는 혼합물을 후속 단계의 탈수소 반응기(촉매층)에 유통시켜, 미반응 에틸벤젠의 탈수소를 실시하여 스티렌을 수득한다. 이때에 산화 반응기에서는 수소의 내부 연소에 따른 발열로 인해 온도가 상승함과 동시에 수소가 산화(연소)되어 감소하므로 후속 단계의 탈수소 반응의 평형 억제가 작아진다는 잇점이 생긴다.
여기서, 에틸벤젠의 탈수소 반응공정 후에, 즉 당해 반응 촉매층의 하류측에서 또한 탈수소 반응 생성물 중의 수소의 선택 산화 반응공정 전에, 즉 반응 촉매층의 상류측에 탈수소 반응 생성물 중에 미량 포함된 알칼리성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수소의 선택 산화 반응 촉매층에서 산화 반응의 수소 선택율이 향상되며, 그 결과 이외의 탄화수소의 연소로부터 생성되는 이산화탄소 생성량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산화 반응 촉매층의 후반부에 있는 탈수소 반응 촉매층의 탈수소 반응에서 전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공급되는 에틸벤젠 중에 수증기를 함유시키는 것은 바람직한 방법이다. 수증기는 탈수소 반응에서 에틸벤젠이나 생성되는 스티렌의 분압을 낮추고 코크스의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고 언급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증기와 에틸벤젠의 비율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공급하는 수증기와 에틸벤젠의 몰비는 15이하가 바람직하며 1 내지 14가 보다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상기의 탈수소 반응기(촉매층)과 수소의 산화 반응기(촉매층)은 다시 다단계로 조합하여 반응을 실시할 수 있다. 물론, 이들 탈수소 반응기(촉매층)와 산화 반응기(촉매층) 사이에서 알칼리성 물질의 제거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탈수소 반응기(촉매층)의 5단계 이상 조합에서는 수득되는 효과에 비해 투자가 커져서 현실적이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벤젠의 탈수소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60-130531호에 기재되어 있는『철 화합물과 주기율표의 제1A족 및 제2A족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알칼리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탈수소 촉매』가 적절하게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에 사용되는 「알칼리성 금속」이란 리튬, 나트륨, 칼륨, 루비듐, 세슘, 베릴륨,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및 바륨을 포함하는 주기율표의 제1A족 및 제2A족의 금속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의 탈수소 촉매는 주기율표의 제4B족, 제5B족 및 제6B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4-277030호에 기재되어 있는 『산화철 및 산화칼륨 주체의 구성』의 촉매도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정에서 사용되는 적절한 탈수소 촉매의 조성은 실질적으로는 산화제2철이 70 내지 80중량%, 산화칼륨이 10 내지 20중량%이며, 기타 성분이 소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소의 선택적 산화 촉매로서는 주기율표의 제4족, 제5족 및 제8족 금속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촉매 또는 주기율표의 제4족과 제5족 금속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과 주기율표의 제8족 금속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모두를 포함하는 촉매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60-130531호에 기재되어 있는 『주기율표의 제8족의 귀금속과 주석으로 이루어지는 산화 촉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표면적이 1 내지 500m2/g 범위인 무기 지지체 위에서 복합되는 주기율표 제8족의 귀금속과 주석으로 이루어지는 산화 촉매』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61-225140호에 기재되어 있는 『제8족 귀금속, 제4A족 금속 및 제1A 또는 제2A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산화 촉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00 내지 1500℃ 범위의 온도에서 소성하는 알루미나 지지체 위에서 구성되는 제8족 귀금속, 제4A족 금속 및 제1A 또는 제2A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산화 촉매』를 들 수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6-298678호에 기재되어 있는 『주석, 또는 주석과 알칼리 금속을 함유하는 촉매』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9-29095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주기율표의 제4족, 제5족, 예를 들면 Sn, Ti, Ta, Nb 등과 주기율표 제8족, 예를 들면 Pt, Pd를 포함하는 촉매도 바람직한 촉매로서 사용할 수 있다.
탈수소 촉매로부터 비산되는 알칼리성 물질은 특정되어 있지 않지만, 고온의 수증기와 이산화탄소의 존재하에 발생하는 점으로부터 예를 들면, 탄산칼륨 등의 알칼리성 금속의 탄산염 또는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성 물질의 수산화물 등이 비산물질로서 추정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알칼리성 물질」이란 상기한 알칼리성 금속의 산화물, 탄산염, 수산화물 등의 알칼리성 금속을 함유하는 화합물의 총칭이다.
본 발명에서 알칼리성 물질을 제거한다는 것은 산화 반응용의 촉매의 약화를 일으키지 않고서 안정적으로 운전을 계속할 수 있는 정도까지 공정(2)로 공급되는 반응 혼합물 중의 알칼리성 물질의 함유량을 삭감하는 것을 말한다.
알칼리성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정(1)과 공정(2) 사이에 알칼리성 물질의 사이클론, 백 필터, 스크러버 등의 집진 장치로 이루어진 제거층을 설치하는 방법이나 흡착제를 충전하는 고정층식, 이동층식, 유동층식 등의 흡착 장치로 이루어진 흡착층을 설치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여기서, 공정(1)과 공정(2) 사이란 공정(1)에서 에틸벤젠의 탈수소 촉매층의 하류측으로부터 후속 공정(2)에서 탈수소 반응 혼합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소의 선택적 산화 촉매층의 상류측까지의 사이를 의미한다.
상기한 흡착층이란 알칼리성 물질을 물리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제로 이루어진 층을 말한다. 흡착제로서는 알칼리성 물질을 흡착하는 성질을 보유하는 물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카 화합물, 알루미나 화합물, 실리카-알루미나계 혼합물을 고온에서 소성한 화합물(세라믹이라고 호칭한다), 산화철, 이산화티타늄,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등의 무기 산화물(단독) 또는 이들 복수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복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형상은 공 모양, 벌집 모양의 성형체, 압출 성형체(원주상, 파이프상 등)이나 부정형 성형체 등의 어떤 성형체라도 양호하다.
또한, 흡착제의 사용량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탈수소 촉매의 용적 1에 대하여 흡착제의 용적을 0.001배 내지 2배의 범위로, 바람직하게는 0.005배 내지 1배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제를 상기한 양을 초과하여 사용해도 효과는 증대하지 않으며, 반대로 설비가 커지고 설비 비용이 증가한다. 한편, 흡착제량이 상기 미만에서는 단기간에서 흡착제가 파괴되어 안정적인 운전 기간이 단축되어 버린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에틸벤젠의 탈수소 반응 촉매층의 하류측 및 탈수소 반응 생성물중의 수소의 선택 산화 반응 촉매층의 상류측에서 탈수소 반응 생성물중에 미량 포함되어 있는 알칼리성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수소의 선택 산화 촉매의 선택성을 억제하지 않고서 산화 반응이 진행되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적어도 하기 공정(1) 내지 (3)을 포함하는 에틸벤젠의 탈수소 반응에 의한 스티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공정(2)에 공급되는 반응 혼합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알칼리성 물질을 미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의 제조방법이다:
공정(1): 에틸벤젠을 탈수소 촉매의 존재하에 탈수소시켜 스티렌 및 수소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을 수득하는 공정,
공정(2): 당해 반응 혼합물을 산화 촉매와 접촉시켜 혼합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소를 선택적으로 산화시켜 물을 형성하는 공정, 및
공정(3): 이러한 산화 처리 혼합물을 탈수소 촉매와 접촉시켜 혼합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반응 에틸벤젠을 탈수소시켜 스티렌을 수득하는 공정.
하기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산화 촉매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9-29095호의 실시예 1에 준거하여 제조한다.
상세하게는, 우선 물 623.6g에 진한 질산 44.1g과 염화주석 7.6g을 가하고, 수득된 용액을 α-알루미나 수화물 1139.6g에 가하여 이 용액을 15초 동안 서서히 혼합한 다음 5분 동안 보다 격렬하게 혼합한다. 수득된 겔상 물질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하고, 오븐 속에서 95℃로 2시간 동안 건조한다. 이러한 조작을 반복하고, 수득되는 오븐 건조물 2943g을 350℃에서 1시간 동안 및 다시 600℃에서 3시간 동안 소성한 다음 일단 실온까지 서서히 냉각한다. 미리 소성한 압출 제품 535g을 건조 분위기에서 6시간에 걸쳐 1040℃의 온도에서 가열한 후, 다시 3시간 동안 동일 온도로 유지하고, 이후에 6시간에 걸쳐 실온까지 서서히 냉각한다. 이어서, 물 142.5g에 백금 2.54중량%를 함유하는 염화백금산 용액 12.9g, 리튬을 0.88중량% 함유하는 질산리튬 용액 37.3g 및 진한 질산 7.3g을 가하여 혼합하면서 유리제의 증발기로 이송한다. 이 용액에 상기의 소성한 압출품을 163.6g(200cc) 가하고, 95℃에서 함침 조작을 실시한다. 함침된 압출 제품을 오븐 중에서 150℃의 온도로 2시간 동안 건조하고, 석영관 속에서 650℃의 온도에서 다시 2시간 동안 소성처리를 실시한 다음, 실온까지 냉각하여 Pt-Sn계의 산화 촉매를 수득한다.
반응
외부직경 6mm의 열전쌍 삽입관을 장착한 내부직경 21mm의 반응관에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판하는 탈수소 촉매(Nissan Girdler Catalyst: G-84C)를 36cc 충전하고, 이의 하부에 알칼리성 물질의 흡착제로서 시판하는 실리카-알루미나계의 세라믹 볼-1(Chipton Co., 3mm 구)를 10cc 충전한다. 이의 하부에 상기한 산화 촉매를 21cc 충전한 다음, 산화 촉매의 하부에 상기와 같은 탈수소 촉매를 36cc 충전한다. 분할 히터에 의한 온도 제어를 실시하면서 질소 유통하에 탈수소 촉매 입구 온도를 600℃로 승온한 다음, 스티렌/에틸벤젠의 혼합물, 물, 수소를 반응관의 상부로부터 또한 공기와 질소의 혼합 가스를 알칼리성 물질의 흡착제의 하부에 도입하여 반응을 개시한다. 반응중, 탈수소 촉매층과 흡착제층은 거의 600℃의 등온으로 유지한다. 또한, 산화 촉매층에서의 온도 상승은 30 내지 40℃이다. 촉매층에 대한 공급물 전체의 조성비는 스티렌/에틸벤젠/물/수소/산소/질소= 0.4/1/11.5/0.36 내지 0.48/0.18/2.05(몰비)이다. 또한, 65kPa의 압력, 스티렌/에틸벤젠의 혼합물의 탈수소 촉매에 대한 LHSV: 2.0/hr이다.
반응 개시후, 각 촉매층 출구 및 반응관 출구의 액화 가스를 시료 채취하고, 각각의 조성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표 1에 기재한 결과를 수득한다.
실시예 2
흡착제로서 시판하는 실리카-알루미나계의 세라믹 볼-2(Chipton Co., 단, 세라믹 볼-1과 실리카·알루미나의 조성비가 상이한 물질)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표 1에 기재된 결과를 얻는다.
비교예 1
흡착제를 충전하지 않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표 1에 기재한 결과를 얻는다.
이들 반응예로부터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흡착제를 사용하는 방법에서는 이산화탄소의 생성이 증가하지 않으며 2층째의 탈수소 촉매의 활성이 안정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반응 결과:
흡착제 반응 시간(시)
50 250 500 800
실시예 1 세라믹 볼-1 1.250 1.347 1.245 1.245
실시예 2 세라믹 볼-2 1.348 1.347 1.345 1.345
비교예 1 없음 1.543 2.428 2.920 3.218
상단: 출구 가스중의 이산화탄소 농도(용량%)
하단: 2층째 탈수소 촉매의 에틸벤젠 전환율(중량%)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면, 알칼리성 물질의 비산에 따른 산화 촉매의 독 피해가 없어지므로 산화 촉매의 선택성은 저하되지 않으며 안정적이다. 따라서, 스티렌이나 에틸벤젠 등의 탄화수소의 연소가 억제되며 이산화탄소 생성량의 증가가 억제된다. 그 결과, 산화 촉매층 후반부에 놓여진 탈수소 촉매의 경시적인 활성 저하도 억제된다. 또한, 다단계의 탈수소 반응에 있어서는 반응 온도의 저하가 없는 바, 평형의 제약이 작아지므로 흡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현저하게 높은 수율로 스티렌을 수득할 수 있다.

Claims (10)

  1. (1) 에틸벤젠을 탈수소 촉매의 존재하에 탈수소시켜 스티렌 및 수소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2) 당해 반응 혼합물을 산화 촉매와 접촉시켜 혼합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소를 선택적으로 산화시켜 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3) 상기 산화 처리 혼합물을 탈수소 촉매와 접촉시켜 혼합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반응 에틸벤젠을 탈수소시켜 스티렌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단계(2)에 공급되는 반응 혼합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알칼리성 물질을 미리 혼합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벤젠의 탈수소 반응에 의한 스티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알칼리성 물질이 칼륨 화합물인 스티렌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계(1) 및 단계(3)에서 사용하는 탈수소 촉매가 철 화합물과 주기율표 제1A족 및 제2A족 원소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알칼리성 금속을 포함하는 촉매인 스티렌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탈수소 촉매가 산화철과 산화칼륨을 주성분으로 하는 스티렌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2)에서 사용하는 산화 촉매가 주기율표의 제4족, 제5족 및 제8족 금속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촉매인 스티렌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2)에서 사용하는 산화 촉매가 주기율표의 제4족 및 제5족 금속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과 주기율표의 제8족 금속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 모두를 포함하는 촉매인 스티렌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칼리성 물질의 제거를 단계(1)과 단계(2) 사이에 알칼리성 물질의 제거층을 설치함으로써 실시하는 스티렌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칼리성 물질의 제거를 단계(1)과 단계(2) 사이에 알칼리성 물질의 흡착층을 설치함으로써 실시하는 스티렌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알칼리성 물질의 흡착층이 실리카계 화합물, 알루미나계 화합물 및 실리카-알루미나계 복합 화합물의 그룹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흡착제를 포함하는 스티렌의 제조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흡착제의 사용량이 탈수소 촉매와의 용적 비율로서 0.001 내지 2배의 범위인 스티렌의 제조방법.
KR10-2000-7000434A 1997-07-17 1998-07-14 스티렌의 제조방법 KR1005001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211897 1997-07-17
JP97-192118 1997-07-17
PCT/JP1998/003158 WO1999003806A1 (fr) 1997-07-17 1998-07-14 Procede de production de styre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870A true KR20010021870A (ko) 2001-03-15
KR100500182B1 KR100500182B1 (ko) 2005-07-12

Family

ID=1628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434A KR100500182B1 (ko) 1997-07-17 1998-07-14 스티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88154B1 (ko)
KR (1) KR100500182B1 (ko)
AU (1) AU8130898A (ko)
CA (1) CA2297071C (ko)
WO (1) WO19990038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03700A3 (en) * 1999-08-31 2007-10-03 Mitsui Chemicals, Inc. Method for the dehydrogenation of diisopropyl benezene
WO2002016292A1 (fr) * 2000-08-18 2002-02-28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Procede de production de styrene
US6858769B2 (en) * 2002-10-18 2005-02-22 Uop Llc Lithium aluminate layered catalyst and a selective oxidation process using the catalyst
EP1889824B1 (en) * 2005-06-10 2011-11-23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tion of styrene
CN100372819C (zh) * 2006-06-22 2008-03-05 华东理工大学 一种氢氧化制苯乙烯的反应方法
CN105622318A (zh) * 2014-11-20 2016-06-0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用于乙苯脱氢-氢氧化反应的异型阻钾剂
CN105664904B (zh) * 2014-11-20 2018-09-14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阻钾剂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89153A (fr) * 1971-09-23 1973-03-22 Aquitaine Petrole Perfectionnement a la fabrication du styrene
US3904703A (en) * 1973-04-09 1975-09-09 El Paso Products Co Dehydrogenation process
US4691071A (en) * 1986-12-11 1987-09-01 Uop Inc. Dehydrogenation of dehydrogenatable hydrocarbons
GB8807732D0 (en) * 1988-03-31 1988-05-05 Bp Chem Int Ltd Hydrocarbon dehydrogenation reactions
JP2833907B2 (ja) * 1991-03-05 1998-12-09 日産ガードラー触媒株式会社 エチルベンゼン脱水素触媒及びその製造法
US5739071A (en) * 1993-07-07 1998-04-14 Raytheon Engineers & Constructo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generatinig and stabilizing dehydrogenation catalysts
JP3831444B2 (ja) * 1995-03-08 2006-10-11 三菱化学株式会社 水素の選択的酸化触媒、水素の選択的酸化方法、及び炭化水素の脱水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0182B1 (ko) 2005-07-12
US6388154B1 (en) 2002-05-14
WO1999003806A1 (fr) 1999-01-28
AU8130898A (en) 1999-02-10
CA2297071C (en) 2006-07-11
CA2297071A1 (en) 199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5024B2 (ja) アルカンの脱水素のための触媒及び方法
US5488024A (en) Selective acetylene hydrogenation
US4914249A (en) Dehydrogenation of dehydrogenatable hydrocarbons
US4593148A (en) Process for removal of arsine impurities from gases containing arsine and hydrogen sulfide
EP1455935B1 (en) Catalytic composition for the dehydrogenation of alkylaromatic hydrocarbons
SU1493098A3 (ru) Способ селективного окислени водорода
JP4927331B2 (ja) 物質流から一酸化炭素を除去する吸着組成物、及びその除去方法
US4652687A (en) Process for the dehydrogenation of dehydrogenatable hydrocarbons
JP3216921B2 (ja) 炭化水素および酸素化された炭化水素の脱水素化方法
US4691071A (en) Dehydrogenation of dehydrogenatable hydrocarbons
US4034062A (en) Removal of oxygen from gas stream with copper catalyst
US4717781A (en) Process for the dehydrogenation of dehydrogenatable hydrocarbons
JPS5823848B2 (ja) 不飽和炭化水素含有ガスの酸素除去方法
US7223897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olefins
KR100500182B1 (ko) 스티렌의 제조방법
JP3361552B2 (ja) 触媒の活性化方法
EA008074B1 (ru) Способ каталитического дегидрирования углеводородов
US4812597A (en) Dehydrogenation of dehydrogenatable hydrocarbons
JPS60130531A (ja) 脱水素性炭化水素の脱水素方法
JP3985349B2 (ja) スチレンの製造方法
GB2258826A (en) Process for the activation of a catalyst
JP2003519105A (ja) オレフィンの製造方法
US3522024A (en) Hydrocarbon reforming
US4477592A (en) Catalyst for skeletal isomerization
KR0163980B1 (ko) 탄화수소의 탈수소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