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1837A - 가정용 기구 - Google Patents
가정용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21837A KR20010021837A KR1020007000401A KR20007000401A KR20010021837A KR 20010021837 A KR20010021837 A KR 20010021837A KR 1020007000401 A KR1020007000401 A KR 1020007000401A KR 20007000401 A KR20007000401 A KR 20007000401A KR 20010021837 A KR20010021837 A KR 200100218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ntilator
- control means
- outlet
- flow control
- cas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 H05B6/6429—Aspects relating to mounting assemblies of wall-mounted microwave ove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05B6/6423—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wherein the microwave oven air circulation system is also used as air extracting hood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Electric Ovens (AREA)
- Ventilat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Cook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일반적인 케이싱(50)에서, 가정용 기구는 오븐(60)과 환기장치(20)를 포함한다. 상기 환기장치(20)는 상기 케이싱(50)의 외부쪽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23)와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24,25)사이에서 연장되는 환기장치 덕트(21)를 구비한다. 상기 환기장치 덕트(21)에 정렬된 환기장치(22)는 출구 개구(24,25)로 부터 이격된 케이싱(50)에서 정지상태로 장착된다. 흐름 제어수단(30)은 적어도 2개의 출구 위치(16,17,18)중의 어느 하나에서 덕트(21)가 도입되도록 조정하기 위하여 환기장치(22)의 하류부에 있는 케이싱(50)에 정렬된다. 적절한 흐름 제어수단(30)은 긴 제어수단 하우징(39)을 구비하고, 출구 개구(32)와 입구 개구(31)를 포함한다. 상기 출구 개구(32)는 긴 측부를 따라서 정렬되고, 입구 개구(31)는 다른쪽을 따라서 정렬되며, 상기 출구 개구(32)보다 더 작은 개구 영역을 구비한다. 편향장치(40)는 출구 개구(32)에서 흐름을 거의 균일하게 편향하고 분포하기 위하여 흐름 제어수단(30)에 정렬된다.
Description
통상의 유닛이 전자 레인지와 환기장치의 후드를 포함하는 가정용 기구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환기장치의 후드와 전자 레인지의 조합은 어떠한 범위에 걸쳐서 장착되며, 이러한 범위에서 공간의 효과적인 사용을 제공한다.
항상, 상기 가정용 기구에서 환기장치 덕트는 장착때에 다양한 디자인과 빌딩에서 일련의 주방 도관의 배치에 맞추기 위하여 조정가능한 출구를 가진다. 그리고, 그 대안으로서, 상기 환기장치 덕트의 출구는 상기 빌딩이 적절한 주방 도관을 갖지 않을 때에 순환하기 위하여 덕트내의 흐름을 안내함으로써, 상기 환기장치 후드는 적절한 필터와 함께 순환 환기장치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공지된 가정용 기구는 출구 개구에 바로 대향되게 정렬된 환기장치 유닛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출구 개구는 환기장치의 상부 및 후방부사이의 전이 영역에서 직사각형 개구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에서, 상기 환기장치 유닛은 중심에 위치된 전기 모터의 각 측부에 정렬되는 트윈 회전자(twin rotor)로써 반경반향 환기장치로 형성된다. 이러한 환기장치는 기구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방향 회전축을 가진다. 상기 회전자의 직경은 상방-하향 또는 전방-후방에서 출구 개구의 직경에 거의 대응된다. 상기 환기장치 유닛은 직사각형의 평행사변형을 형성하고, 빌딩에서 환기장치 덕트에 대한 출구 상방 또는 후방사이의 조정성을 위하거나, 또는 순환을 위한 상기 기구의 전방에서 제 2 출구 개구를 통한 출구 전방을 위하여 회전축주위에서 서로 다른 회전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지된 구조에 따른 하나의 문제점은 상기 환기장치와 공기흐름은 높은 소음의 레벨을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또한, 다수의 가정용 기구와 환기장치 덕트를 통상의 케이싱에서 제한된 부피내에서 조합하는 것과 같은 오븐과 결합되는 환기장치와 관련하여서 특정의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구에서 제어되지 않는 흐름으로 인하여 낮은 환기장치 효율의 문제점이 있게 된다. 공지된 기구에서, 상기 환기 장치를 통하여 불려나가게 되는 높은 퍼센트의 공기는 입구의 개구와는 다른 위치로 부터 상기 기구의 외부 케이싱내로 누설되게 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서두에 따른 일반적인 케이싱에서 오븐과 환기장치를 포함하는 가정용 기구와, 흐름 제어수단 및, 이러한 기구에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고, 이러한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전방 및 상부로 경사지게 사시적으로 보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후방의 하부로 부터 경사지게 사시적으로 보는 도 1에 따른 가정용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상기 기구의 작용을 도시하기 위하여 제거된 어떠한 부분을 가진 도 1에 따른 가정용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상기 기구를 통한 공기흐름을 도시하기 위하여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상기 기구로 부터 바깥쪽으로 흐르는 공기흐름을 도시하기 위하여 도 3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흐름 제어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분해된 상태에서 도 6의 흐름 제어수단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의 케이싱에서 오븐과 환기장치를 조합하는 가정용 기구에서 향상된 환기장치를 성취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서, 특정의 목적은 상기 환기장치의 소음 레벨을 낮추고 또한 기구에서 공기흐름의 제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알수 있는 이러한 목적과 다른 목적은 본원의 도입부에서 설명된 종류이며, 또한 청구항 1 및 9의 특징절에 언급된 특징을 부가적으로 가지는 가정용 기구와 흐름 제어수단에 의한 본 발명과, 청구항 16에 따른 흐름 제어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기구에서, 상기 환기장치는 출구 개구로 부터 이격된 케애싱의 내부쪽에 정지상태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의 덕트는 적어도 2개의 서로다른 출구 위치중의 어느 하나로 도입하기 위하여 상기 환기장치 덕트를 조정하기 위하여 케이싱의 내부쪽에서 환기장치의 하류쪽에 정렬되는 흐름 제어수단을 가진다.
이러한 방법에서, 상기 기구의 커버 또는 케이싱내부에 있는 환기장치의 디자인 및 위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환기장치는 기구의 흡입 개구에 보다 근접하게 위치되거나 또는 보다 큰 직경으로 주어질 수 있다. 상기 환기장치 및 기구의 다른 구성품사이의 상호작용에서 적절한 환기장치 덕트의 디자인을 위해서 보다 큰 가능성이 부여된다. 또한, 보다 낮은 출구 속도에서 환기될 수 있는 동일하고 큰 용적 흐름율을 의미하는 출구 공기용 출구 개구 영역을 보다 큰 부분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말하면, 이것은 공지된 기구에서 가능한 것보다 더 낮은 소음 레벨로 도입되며, 여기에서 상기 환기장치 구조는 사용될 출구 개구의 보다 작은 부분을 허용하기만 하게 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흐름 제어수단은 환기장치 덕트에서 흐름방향을 변화하도록 채택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흐름 제어수단의 조정성과, 환기장치의 적절한 위치는 상기 흐름제어 수단이 환기장치로 부터 흡입부 주위에서 다양한 회전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성취될 수 있다.
특정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흐름 제어수단은 디퓨져(diffuser)로 작용하기 위하여 보다 작은 입구와 보다 큰 출구를 가지는 제어수단 하우징을 구비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상기 출구에서의 흐름속도는 낮게 되고, 이것은 소음레벨을 낮게 한다. 이 때에, 상기 환기장치 덕트는 환기장치와 흐름제어 수단사이의 제한된 단면 영역으로 주어질 수 있다.
상기 환기장치는 출구 개구의 가장 작은 크기보다 더 큰 비교적 큰 직경으로 되는 것이 양호한 형태이며, 이러한 몇몇은 공지된 해결책의 경우가 된다. 보다 큰 직경으로 인하여, 상기 환기장치의 원주 속도는 흐름비에 대하여 감소될 수 있고, 이것은 보다 낮은 회전속도로 되도록 하고 그래서 낮은 소음 레벨로 되게 한다. 상기 환기장치는 기구의 상부 영역에서 비대칭적으로 위치되는 수직 회전축주위에서 회전되는 반경방향의 환기장치 형태로 정렬되는 것이 특히 양호한 형태이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환기장치의 직경은 기구의 수평방향 단면에 의해서만 단지 제한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흐름 제어수단은 긴 제어수단 하우징을 구비하고, 긴 측부를 따라서 정렬되는 출구개구와, 다른 측부를 따라서 정렬되는 입구 개구를 포함한다. 상기 입구개구는 출구 개구보다 더 작은 입구 영역을 가진다. 또한, 편향장치는 편향되도록 정렬되어서 출구에서 거의 균일하게 흐르도록 한다.
이러한 흐름 제어수단은 오븐과 결합되는 환기장치로써 가정용 기구에서 출구 개구로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매우 적절한 것으로 판명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흐름 제어수단은 고정된 출구 위치를 가지는 기구에서 큰 장점을 제공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편향 장치는 기본적인 기하학적 평면에 수직인 입구 개구의 돌출부를 따라서 거의 균일하고 동시에 기본적인 기하학적 평면에 수직인 출구 개구의 돌출부를 따라서 거의 균일하게 정렬되는 다수의 편향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출구의 보다 큰 영역에 걸쳐서 속도의 균일한 분포와 속도의 감소는 물론 공기 흐름의 편향은 작은 에너지 손실로 성취된다.
상기 흐름 제어수단의 편향수단은 다소간 굽혀진 편향날을 포함하고, 입구 개구에 대면된 도입 모서리와 출구모서리에 대면된 말단 모서리를 구비하는 것이 양호하다. 양호한 흐름 특성과 보다 작은 에너지 손실을 성취하기 위하여, 상기 날의 도입 모서리는 둥글고 상기 말단 모서리는 뾰족한 것이 특히 양호하다.
도 1 및 도 2는 하나의 유닛이 전자 레인지와 어떠한 범위로 위치된 환기장치 후드(상기 범위를 넘어서)의 조합으로 되는 가정용 기구(10)를 도시한다. 상기 기구(10)는 직사각형의 평행사변형태로 된 케이싱(5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50)의 전방(53)에서는, 상기 전자 레인지(60)와 제어패널(62)을 위한 도어(61)가 있다. 상기 케이싱(50)의 하부(51)쪽에는 환기장치용의 격자(grate)를 가진 입구 개구(23)이 있으며, 후방(54)과 상부쪽(52)에는, 중간 모서리(55)를 따라서 연장되는 출구 개구(24)가 있으며, 상기 개구는 상부 또는 후방 출구 위치(24a 및 24b)각각에 인접되고, 상기 개구의 상부 또는 그 뒤쪽에 위치된 빌딩의 주방 도관에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출구 개구의 형상은 직사각형 단면으로 특별히 주방 도관에 채택된다. 전방(53)에서는, 환기장치 후드가 순환 환기장치로 사용된다면 즉, 빌딩이 적절한 환기장치 덕트가 없게 될 때에, 격자를 구비하고 공기 순환을 위하여 사용되는 제 2의 출구 개구(25)가 있게 된다. 환기장치 덕트는 입구 개구(23)와 출구 개구(24 및 25)사이의 케이싱(50)에서 연장된다. 도 5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기 흐름은 서로 다른 3개의 출구 위치(24b,24a,25)사이에서 조정가능하며, 상기 출구 위치는 빌딩에서 주방 도관의 존재와 위치에 대하여 조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출구 루트(16,17,18)에 대응된다. 상술한 특징들은 종래 형태의 장치의 특징에 대응된다.
도 3에서, 상기 가정용 기구(10)는 어느 정도 절단된 부분으로 도시되고, 이것은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조정가능한 흐름 제어수단(30)과, 출구 개구(24)로 부터 이격된 반경방향 환기장치(22)를 도시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환기장치(22)주위에는, 상기 흐름 제어수단(30)으로 환기장치의 구동쪽의 공기 흐름을 안내하고 수집하는 환기장치 케이싱 덕트(26)이 있다. 이러한 부분들은 상기 가정용 기구(10)의 환기장치 덕트(21)의 부분을 형성한다. 길게 되어 있는 흐름 제어수단(30)은 상기 가정용 기구의 장착과 관련하여서 도 5에 따른 환기장치 덕트(21)의 출구 루트와 출구 위치의 조정을 위한 종방향 축주위의 회전 위치에서 조정가능하다.
상기 환기장치(22), 환기장치 케이싱 덕트(26) , 흐름 제어수단(30) 및, 상기 흐름 제어수단(30)과 순환 출구(25)사이에서 연장되는 순환 덕트(27)는 케이싱(50)의 상부쪽(52)바로 아래에서 상부면(57)에 모두 정렬된다. 도 4에서 가장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평면(57)은 이들사이에서 공기를 공급하도록 오븐(60)으로 부터 이격되고 상부에 정렬된다. 상기 환기장치 덕트(21)는 오븐과 환기장치를 위하여 구동 구성품(63)과 오븐(60)에 의하여 취해지지 않는 케이싱(10)에서 자유로운 용적으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서브 덕트(21a 및 21b)를 가진 환기 덕트(21)는 오븐(60) 주위의 한쪽과, 구동 구성품(63)주위의 다른쪽에서 상기 입구 개구(23)로 부터 연장된다.
도 3에 도시된 환기장치(22)의 위치와 디자인은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보다 큰 직경에서, 여기에서는 상부쪽(52)의 깊이의 1/3 내지 1/2의 범위로 상기 환기장치(22)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22)의 비대칭적인 위치는 상기 모터가 오븐(60)의 옆쪽의 공간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출구 개구에 매우 근접된 환기장치(22)의 위치는 상기 환기장치 케이싱 덕트(26)에서 균일한 흐름을 성취하도록 하며, 상기 환기장치 덕트(21)는 구동측 즉, 매우 신중하게 밀봉되어져야만 하는 부분에서 짧게 될 수 있다.
또한, 공지된 구성에서 문제점이던 출구 개구(24)에 인접된 케이싱내로의 누설 위험성은 환기장치에 의하여 감소되고, 특히 이것은 흡입은 이것으로 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상기 출구 개구(24)에서 긴 흐름 제어수단(30)으로 도시된 실시예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주방 도관(24)에 매우 적절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과 관련된 주요한 장점은 수직적이고 균일한 분포 흐름이 작은 에너지 손실과 작은 소음 레벨으로 되는 출구 개구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성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흐름 제어수단(30)은 도 6 및 도 7를 참고로 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상기 환기장치 제어수단(30)은 2개의 동시작용을 가지는데, 하나는 디퓨져로 작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흐름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 제어수단(30)에 의해, 이러한 2개의 작업이 성취되면서, 동시에 균일한 흐름은 환기장치 제어수단(30)의 출구 영역을 따라서 유지된다.
상기 환기장치 제어수단(30)은 사각형의 짧은 측부로 구성된 입구 개구(31)로써 직사각형의 평행사변형과 같이 형성되는 제어수단 하우징(39)을 구비한다. 또한, 전체적으로 긴 측부로 구성된 출구 개구(32)가 있다. 상기 흐름 제어수단(30)내로 및 바깥으로의 흐름은 흐름 화살표(36,37)로 지시된다. 출구 방향(36 및 37)은 물론 입구에 대하여 대각선으로 연장되는 선을 따라서 균일한 흐름을 편향하기 위하여 편향날(47)의 형태로 편향수단을 포함하는 편향장치(40)는 편향장치 제어수단(30)에서 연장된다.
도 7은 분해된 상태로 있는 흐름 제어수단(30)을 도시하고, 이것은 U자형 단면을 가진 긴 커버(35)와, 편향 유닛(45)은 물론 편향 날(47)을 합체시키는 하나의 단편으로 있는 개방된 짧은 단부와, 편향날(47)과 짧은 측벽(46)을 위한 홀더 장치(43)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어수단의 하우징(39)은 커버(35)와 짧은 측벽(46)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커버(35)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양호하고, 조립된 상태에서 편향 유닛(35)에서 대응되는 홀더 핀(44)과 함께 작용하기 위하여 홀더 개구(34)를 구비한다. 안내 바아(38)는 표면 흐름을 안내하기 위하여 중앙의 긴 측부(33)를 따라서 커버(35)의 내부쪽에 정렬된다.
또한, 상기 편향 유닛(45)은 플라스틱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고, 직선을 따라서 균일하게 위치되는 편향 날(47)의 세트를 가진다. 상기 홀더 장치(43)는 흐름 방향에 평행한 편향날(47)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거의 직삼각혀으이 평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홀더 장치(43)는 이것에 수직으로 된 짧은 측벽(46)에 연결된다.
상기 날(47)은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흐름 방향을 따라서 굽혀지며, 궁글게 되어 있는 도입 모서리(41)를 구비하며, 조립될 때 입구 개구(31)에 대면되고, 뾰족하게 된 말단 모서리(42)를 가지며, 조립될 때 상기 출구 개구(32)에 대면되게 된다.
상기 홀더 핀(44)은 날(47)의 단부와 짧은 측벽(46)위에 형성된다.
상기 출구 개구(32)로 부터 이격되게 회전되는 단부에서, 상기 짧은 측벽은 흐름 제어수단(30)의 내부면을 따라서 흐름의 원활한 편향을 위한 굽힘부(48)를 구비한다.
상기 흐름 제어수단을 커버와 편향 유닛으로 분할하는 것은 편리함과 제조 및 조립을 효과적으로 하게 한다.
Claims (16)
- 케이싱(50)내에 정렬되고 전자 레인지인 오븐(60)과, 환기장치(20)를 포함하는 가정용 기구에서, 상기 환기장치(20)는,상기 케이싱(50)의 외부쪽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23)와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24,25)와,상기 입구 개구(23)와 출구 개구(24,25)사이에서 연장되는 환기장치 덕트(21) 및,상기 환기장치 덕트(21)에 정렬된 환기장치(22)를 포함하고,상기 환기장치 덕트(21)는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출구위치(24a,24b,25)중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케이싱의 바깥쪽을 도입하기 위하여 조정가능한 가정용 기구에 있어서,상기 환기장치(22)는 출구 개구(24,25)로 부터 이격된 케이싱(50)에 정지상태로 장착되고,상기 환기장치 덕트는 서로 다른 출구 위치(24a,24b,25)사이에서 조정하기 위하여 환기장치(22)의 하류에 있는 케이싱의 내부쪽에 정렬되는 흐름 제어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제어수단(30)은 환기장치 덕트(21)에서 흐름 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채택되는 가정용 기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제어수단(30)은 입구(31)와 출구(32)를 가진 제어수단 하우징(39)을 포함하고, 상기 출구(32)는 입구(31)보다 더 큰 영역을 구비하는 가정용 기구.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제어수단(30)의 제어수단 하우징은 길게 되어 있으며, 긴 측부를 따라서 있는 출구(32)와, 짧은 측부를 따라서 있는 입구(31)를 구비하고, 편향하도록 채택되며 입구(31)로 부터 출구(32)까지의 거의 균일하게 흐르도록 하는 편향장치(40)가 제공되는 가정용 기구.
-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22)의 직경은 환기장치 덕트(21)의 출구 개구(24,25)의 가장 작은 크기를 초과하는 가정용 기구.
-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50)은 하부쪽(51)과 상부쪽(52)를 가진 직사각형의 평형사변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입구 개구(24,25)는 하부쪽(51)에 정렬되며, 출구 개구(24, 25)는 케이싱(50)의 상부 영역에 정렬되며, 상기 환기장치는 케이싱(50)의 상부 영역에서 수직축(A)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채택된 반경방향 환기장치(22)인 가정용 기구.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개구(24,25)는 케이싱(50)의 상부에서 중심에 정렬되고, 상기 환기장치(22)는 이것에 대하여 비대칭적으로 정렬되는 가정용 기구.
-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제어수단(30)은 환기장치 덕트(21)의 출구 개구(24)를 따라서 정렬되는 가정용 기구.
- 양호하게는 전자 레인지인 오븐(60)과, 환기장치(20)을 포함하는 가정용 기구에서 환기장치(22)의 하류부에서 환기장치 덕트(21)용 흐름 제어수단에 있어서,상기 흐름 제어수단(30)은 긴 제어수단의 하우징(39)을 구비하고, 긴 측부를 따라서 정렬된 출구 개구(32)와, 다른 측부에 정렬된 입구 개구(31)를 포함하며,상기 입구 개구(31)는 출구 개구(32)보다 더 작은 개구 영역을 구비하고,편향 장치(40)는 편향하도록 채택되고, 출구(32)에서 거의 균일한 흐름을 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흐름 제어수단.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장치(40)는 이것의 기본적인 기하학적 평면에 수직인 입구 개구(31)의 돌출부를 따라서 거의 균일하게 정렬되고, 동시에 이것의 기본적인 기하학적 평면에 수직인 출구 개구(32)의 돌출부를 따라서 거의 균일하게 정렬되는 다수의 편향 수단(47)을 포함하는 흐름 제어수단.
- 제 10 항에 있어서, 직사각형의 평행사변형 형상인 외부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입구 개구(31)는 짧은 측부를 따라서 정렬되고, 상기 편향 수단(47)은 선을 따라서 정렬되고, 상기 입구 개구(31)의 측부와 출구 개구(32)의 측부가 출구 개구(32)의 측부는 물론 입구 개구(31)의 측부로 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는 측부 모서리에 만나게 되는 측부 모서리로 부터 연장되는 흐름 제어수단.
- 제 11 항에 있어서, U자형 단면과 개방된 짧은 측부를 가진 일체적으로 형성된 긴 커버(35)와, 편향수단(47)과, 상기 편향수단을 위한 홀더 장치(43) 및, 짧은 측벽(46)을 일체적으로 포함하며 커버에 장착된 편향 유닛(45)을 포함하는 흐름 제어수단.
- 제 10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수단은 편향날(47)을 포함하고, 이 편향날은 약간 굽혀져 있으며, 상기 입구 개구(31)에 대면된 도입 모서리(41)와, 출구 개구(32)에 대면된 말단 모서리(42)를 구비하는 흐름 제어수단.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날(47)은 둥근 도입 모서리(441)와, 뾰족한 말단 모서리(42)를 구비하는 흐름 제어수단.
-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날(47)은 길게 되어 있으며, 상기 편향날(47)의 종방향은 입구 개구(31)의 기본적인 기하학적 평면과, 출구 개구(32)의 기본적인 기하학적 평면에 거의 평행하게 되는 흐름 제어수단.
- 오븐(60)과 환기장치(20)을 포함하는 가정용 기구에서 환기장치의 하류부에 있는 출구 개구(24, 25)로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청구항 9 내지 15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흐름 제어수단(30)의 사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SE9702742-9 | 1997-07-17 | ||
SE9702742A SE518645C2 (sv) | 1997-07-17 | 1997-07-17 | Hushållasapparat med strömningsstyrorgan |
PCT/EP1998/003675 WO1999004201A2 (en) | 1997-07-17 | 1998-06-18 | Domestic applian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21837A true KR20010021837A (ko) | 2001-03-15 |
Family
ID=20407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7000401A KR20010021837A (ko) | 1997-07-17 | 1998-06-18 | 가정용 기구 |
Country Status (13)
Country | Link |
---|---|
US (1) | US6218654B1 (ko) |
EP (1) | EP0996843B1 (ko) |
JP (1) | JP2001510886A (ko) |
KR (1) | KR20010021837A (ko) |
CN (1) | CN1134616C (ko) |
AU (1) | AU744720B2 (ko) |
BR (1) | BR9810905A (ko) |
DE (1) | DE69821237T2 (ko) |
ES (1) | ES2212311T3 (ko) |
SE (1) | SE518645C2 (ko) |
SK (1) | SK188699A3 (ko) |
TR (1) | TR200000096T2 (ko) |
WO (1) | WO1999004201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9441B1 (ko) * | 1999-12-27 | 2003-06-27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
KR200226752Y1 (ko) * | 2000-11-01 | 2001-06-15 | 엘지전자주식회사 |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내부 오염 방지를 위한배기유로구조 |
KR200229365Y1 (ko) | 2000-12-28 | 2001-07-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자레인지의 장착플레이트 장착구조 |
KR100437381B1 (ko) * | 2000-12-28 | 2004-06-25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전장부품 냉각구조 |
KR100437383B1 (ko) * | 2000-12-30 | 2004-06-25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전자레인지의 구조 |
US6707019B2 (en) * | 2000-12-30 | 2004-03-16 | Lg Electronics Inc. | Ventilation structure of microwave oven and lamp fitting structure therefor |
KR100407311B1 (ko) * | 2001-12-19 | 2003-11-28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토스터를 구비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
KR100444966B1 (ko) * | 2002-06-29 | 2004-08-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벽걸이형 전자렌지 |
US7699051B2 (en) * | 2005-06-08 | 2010-04-20 | Westen Industries, Inc. | Range hood |
US7470877B2 (en) | 2007-03-08 | 2008-12-30 | Whirlpool Corporation | Microwave oven and ventilation hood combination system |
US20160205728A1 (en) * | 2015-01-13 | 2016-07-14 | General Electric Company | Microwave appliances |
US10830454B2 (en) | 2018-05-31 | 2020-11-10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Ventilation systems having reconfigurable airflow features |
US12066192B2 (en) | 2018-11-29 | 2024-08-20 | Broan-Nutone Llc | Smart indoor air venting system |
JPWO2022113998A1 (ko) * | 2020-11-26 | 2022-06-02 | ||
WO2024216583A1 (en) * | 2023-04-20 | 2024-10-24 | Whirlpool Corporation | Combination microwave and hood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028491B (en) * | 1978-08-21 | 1982-09-08 | Gen Electric | Microwave oven and exhaust vent |
US4418261A (en) * | 1982-01-15 | 1983-11-29 | Amana Refrigeration, Inc. | Microwave oven and ventilator system |
DE3519423A1 (de) * | 1985-05-30 | 1986-12-04 |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7000 Stuttgart | Gargeraet mit verschliessbarem garraum |
US4618756A (en) * | 1985-07-08 | 1986-10-21 | Whirlpool Corporation | Air circulation system for microwave oven |
DE4143124A1 (de) * | 1990-12-28 | 1992-07-16 | Oejelid Goeran Dipl Ing | Elektrisches hausgeraet |
DE4238660C2 (de) * | 1992-11-16 | 1994-09-01 | Bosch Siemens Hausgeraete | Backofen, insbesondere mit einer Einrichtung für pyrolytische Selbstreinigung |
-
1997
- 1997-07-17 SE SE9702742A patent/SE518645C2/sv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
- 1998-06-18 SK SK1886-99A patent/SK188699A3/sk unknown
- 1998-06-18 DE DE69821237T patent/DE69821237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6-18 US US09/462,924 patent/US6218654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06-18 CN CNB988072971A patent/CN1134616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6-18 TR TR2000/00096T patent/TR200000096T2/xx unknown
- 1998-06-18 WO PCT/EP1998/003675 patent/WO1999004201A2/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8-06-18 JP JP2000503370A patent/JP2001510886A/ja not_active Withdrawn
- 1998-06-18 KR KR1020007000401A patent/KR2001002183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8-06-18 BR BR9810905-7A patent/BR9810905A/pt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1998-06-18 AU AU82162/98A patent/AU744720B2/en not_active Ceased
- 1998-06-18 ES ES98932165T patent/ES2212311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06-18 EP EP98932165A patent/EP0996843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S2212311T3 (es) | 2004-07-16 |
SE9702742D0 (sv) | 1997-07-17 |
WO1999004201A2 (en) | 1999-01-28 |
CN1134616C (zh) | 2004-01-14 |
BR9810905A (pt) | 2000-09-26 |
AU8216298A (en) | 1999-02-10 |
US6218654B1 (en) | 2001-04-17 |
SK188699A3 (en) | 2000-06-12 |
JP2001510886A (ja) | 2001-08-07 |
SE518645C2 (sv) | 2002-11-05 |
SE9702742L (sv) | 1999-01-18 |
CN1264458A (zh) | 2000-08-23 |
EP0996843B1 (en) | 2004-01-21 |
WO1999004201A3 (en) | 1999-04-08 |
AU744720B2 (en) | 2002-02-28 |
TR200000096T2 (tr) | 2000-07-21 |
DE69821237T2 (de) | 2004-11-25 |
EP0996843A2 (en) | 2000-05-03 |
DE69821237D1 (de) | 2004-0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10021837A (ko) | 가정용 기구 | |
CN113357204B (zh) | 送风机 | |
CN108533511B (zh) | 送风组件及具有该送风组件的柜式空调室内机 | |
CN107741057B (zh) | 壁挂式空调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 |
CN110645208A (zh) | 用于风扇组件的喷嘴 | |
WO2014199590A1 (ja) | 空気調和機 | |
EP2821717A1 (en) | Wind direction controller and air conditioner with the same | |
JP7532476B2 (ja) | ブロワー | |
EP3704385A1 (en) | Cover plate for a fan, impeller and fan therewith | |
CN212227228U (zh) | 壁挂式空调室内机及其导风板 | |
US20230088798A1 (en) | Blower | |
CN212029724U (zh) | 壁挂式空调室内机及其导风板 | |
US11808275B2 (en) | Blower having a movable air flow converter | |
KR20140004090A (ko) | 공기 조화기 | |
CN114688104B (zh) | 送风机 | |
KR102619416B1 (ko) | 에어클린팬 | |
JP7065274B2 (ja) | 送風装置および送風機能付空気清浄装置 | |
CN112146163A (zh) | 空调室内机 | |
CN215175528U (zh) | 一种导风叶片机构、风机组件及整体式空调器 | |
CN213392902U (zh) | 一种具有分流结构的无叶风扇 | |
JP2024156811A (ja) | ブロワー | |
CN210441330U (zh) | 空调室内机 | |
CN107830581B (zh) | 壁挂式空调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 |
KR20210098058A (ko) | 송풍기 | |
KR20210114651A (ko) | 송풍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