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1491A - 섬유사(실)의 이송 및 액체공급노즐과 적어도 한가닥의연속섬유사 형태인 섬유재의 액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섬유사(실)의 이송 및 액체공급노즐과 적어도 한가닥의연속섬유사 형태인 섬유재의 액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1491A
KR20010021491A KR1020007000005A KR20007000005A KR20010021491A KR 20010021491 A KR20010021491 A KR 20010021491A KR 1020007000005 A KR1020007000005 A KR 1020007000005A KR 20007000005 A KR20007000005 A KR 20007000005A KR 20010021491 A KR20010021491 A KR 20010021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nozzle
induction device
liquid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2872B1 (ko
Inventor
요안 크라이츠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하. 크란츠 텍스틸테크닉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하. 크란츠 텍스틸테크닉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21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28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propelled by, or with the aid of, jets of the treating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섬유사를 손상함이 없이 전달하기 위한 전달매체로서 공기노즐 및 섬유재 저장장치 입구에 위치한 액체공급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체로 섬유사형태의 섬유재를 처리하는데 사용된다. 하지만 유출액 분류의 일부만이 주름을 목적으로 전후이동하는 섬유사와 접한다. 원래 공지된 노즐들은 그의 몸체가 액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또한 사용되는 것들을 포함하며 전달매체 역할을 함으로 액체가 압축되는 동안에 섬유사와 접하는 추가 단점을 가지고 섬유재와 충돌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의 효과적인 사용외에도 섬유사에 손상을 주지 않고도 에너지의 효율적인 전달을 가능토록하는 노즐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은 유도장치(3)상에 있어서 당해 장치와 선회할 수 있는 액체공급장치(4)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공급장치(4)의 한개 또는 복수개의 출구(22)는 섬유사(40)로 향하고 있으며 유도장치(3)의 후단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액체를 분류형태로 배출할 수 있다. 섬유재 취급을 위한 당해 발명장치는 그러한 노즐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섬유사(실)의 이송 및 액체공급노즐과 적어도 한가닥의 연속섬유사 형태인 섬유재의 액체처리장치{NOZZLE FOR CONVEYING A TEXTILE SKEIN AND FEEDING LIQUOR AND DEVICE FOR TREATING TEXTILES IN THE FORM OF AT LEAST ONE ENDLESS SKEIN WITH LIQUOR}
DE-C 32 45 921에는 섬유사형태의 섬유재를 습십처리하기 위한 장치이며, 이에 의하면 이송시스템은 종동롤러, 유체의 충격을 받는 링노즐과 저장소로 섬유사를 루프(loop) 형태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90°엘보우와 수평선회 채널로 구성되어 있는 유도장치로 되어 있다. 액체를 이송매체로 사용함으로서 동시에 액체와 섬유사 이의 강력한 접촉이 유지된다. 그러나 종동롤러와 비교적 높은 압력으로 공급된 액체는 섬유재에 응력을 받도록 한다.
EP-A 072 406에는 동시에 릴윈치(reel winch)와 섬유사를 이송하기 위하여 액체의 충격을 받는 구동노즐이 공지되어 있으며 특히 예민한 직물의 유체능력은 액체에 의하여 기술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섬유재를 조심스럽게 다루기 위하여 액체압력을 낮추면 노즐내에서 주름이 잘못 잡히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조치는 추가로 액체에 불활성 개스를 공급하는데 있다.
EP-BO 014 919에서는 노즐-착색장치(분사-착색장치)의 노즐은, 예컨대 섬유재를 당기기 위하여 액체대신 개스로 충격을 가하는 방법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착색시에 액체 또한 노즐을 통하여 공급됨에 따라 섬유재가 상기 응력을 받게 된다.
섬유사를 안전하게 이송하려면 공기만의 충격을 받는 유일한 이송장치로 사용되는 노즐로 가능하다. 섬유사의 습식처리를 위한 이러한 링노즐과 당해장치는 DE-C 41 19 152에 공지되어 있다. 이 노즐은 단면이 원형인 링노즐과 이에 접하여 저장소에 이르기까지 점점 확대되는 4각 단면의 안내장치로 되어 있다. 링노즐의 위치, 링노즐 및 링노즐의 원형단면으로부터 유도장치의 사각단면에 이르는 전환부의 형상으로 인하여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 액체공급은 유도장치 뒤의 섬유사 경로 하부에 있는 섬유사 이송장치에서 이루어진다. 액체공급장치는 저장소의 입구근처에 위치한다. 이들은 4각형 저장소의 2개 대향측면에서 길이에 따라 분포되어 있는 노즐과 접해 있는 챔버(chamber)를 가진 수평구멍 하측으로 되어 있다.
노즐에서 발생하는 액체분류는 구멍하측의 전폭에 걸쳐서 분류커튼을 형성하며 이로부터 일부만은 계속 이리저리 이동된 분류를 만나게 된다.
DE-A 195 36 070에서는 섬유사의 이송을 위하여 에너지 절감형태의 노즐과 적어도 한 연속섬유의 섬유재를 처리하기 위한 당해 형태의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액체공급장치들은 DE-C 41 19 152 또는 DE-C 195 17 298에 명시된 바와같이 저장소 입구근처의 저장소에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그의 출구들은 각기 저장소의 전폭에 걸쳐서 뻗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출현 액체분류는 일부만이 이리저리 움직이는 섬유사에 와 닿는다. 노즐 채널로 구성되고 선회 노즐 채널부를 포함하는 개스형 액체의 충격을 받는 또다른 노즐과 섬유재료 라인을 취급하기 위한 장치는 DE-A 44 26 336에 공지되어 있다.
선회 가능한 노즐채널부는 재료 라인루프, 즉 섬유사가 드럼 내부에 도달하고 거기에서 이에 따라 주름이 잡히도록 작용한다. 이 장치는 또한 재료라인 루프의 기계적 및/또는 열처리에 유용하며 습식처리에는 적합치 않다. 이 장치는 소량의 처리수단의 공급가능성, 즉 개스형 액체 공급 또는 노즐과 연결되어 있는 당해출구를 가진 가이드링 또는 공급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가이드 링에 의한 공급은 물론이고 노즐에 의한 공급도 섬유사의 처리수단이 압착상태의 섬유사와 접하는 단점이 있다. 섬유사가 압축되면 될수록 섬유사 처리수단의 균일한 분포가 더 곤란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어떤 유형의 장치에서는 액체가 펼쳐진 섬유사가 접한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상위개념에 따라 섬유사의 이송 및 액체 공급을 위한 노즐과 청구항 제 11항의 상위개념에 의한 적어도 한가닥 연속섬유사 형태인 섬유재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체에 의한 섬유재 처리 즉 염색, 효소처리 또는 세척과 같은 습식처리를 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한개 또는 복수개의 연속사를 시키면서 액체를 공급 또는 경우에 따라서 액조를 거쳐 공급한다.
이에 적합한 장치는 폐쇄용기를 가지며 이 안에 각각의 섬유사를 위하여 가닥을 취하고 있는 경우에 따라서 하부에는 액체가 들어 있는 저장소, 그 위에 위치하여 섬유사를 순환시키는 이송시스템과 액체의 공급장치 및 순환시스템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상에 약도로 도시되어 있는 예들, 즉 노즐의 두가지 예와 한가지 장치의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한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예 1의 발명에 따르는 노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예 2의 한 측면도이다.
도 4 및 5 는 예 2의 출구에 대한 대안이다.
도 1 과 3의 측면에서 하우징의 제 1부 측벽이 생략되었다.
도 6은 액체에 의한 최소한 한 연속섬유사를 처리하기 위한 발명에 따르는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청구항 제 1항의 상위개념에 따른 섬유사의 이송과 액체공급을 위한 노즐 및 청구항 제 11항의 상위개념에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섬유사 형태인 섬유재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를 개발함으로서 경제적으로 안전한 이송과 효과적인 액체 사용을 가능토록 하는데 있다.
본 과제는 청구항 제 1항 및 제 11항의 제 특징으로 해결된다.
발명에 따르는 노즐은 그의 유도장치에 배열되어 그와 함께 선회 가능한 액체공급장치를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섬유사를 향한 공급장치의 한개 또는 복수개의 출구는 분류형 출구에 대하여 안내장치의 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공급장치의 이러한 배열과 그의 출구로 인하여 모든 액체분류는 섬유사와 접한다. 이에 따라서 액체 전부는 한가지 부류의 노즐을 구비한 배열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며, 이때 공급장치는 저장소에 배치되어 있어서 섬유사와 접하여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액체의 집약적인 활용 내지 경우에 따라서는 액체의 용량도 줄일 수 있다.
출구 구멍들은 다수의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구멍 또는 노즐몸체일 수 있다. 그것은 예컨대 홈형 출구로 할 수도 있다. 출구들은 그의 폭이 출구위치에서 유도장치폭과 대략 일치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출구들이 배치되어 있는 부위의 보다 작은 폭은 저장소 출구의 어느 한 종류의 배열에 비하여 동일한 유량에서 출구의 보다 큰 높이ㆍ예컨대 서로 이웃하여 배열되어 있는 둥근 구멍의 보다 큰 직경 또는 홈의 보다 큰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예컨대 조방사(租紡絲)로 인하여 막힐 우려가 적어짐에 따라서 작업안전도가 높아지게 된다.
발명에 따르는 노즐에 의하면 가속력이 더이상 섬유사에 가해지지 않는 유도장치의 후단부에서 섬유사의 가속을 위하여 노즐몸체 대신에 액체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액체공급은 섬유재에 응력을 덜 받도록하며, 노즐의 노즐 몸체를 통하거나 또는 유도장치의 전단부에서 액체 공급을 함으로서 액체와 섬유제품간에 균일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섬유사는 주름이 잡히기 바로전에 이미 일부 펼쳐진 형태로 유도장치의 후단부 영역을 통과한다. 발명에 따르는 노즐의 경우 이 영역에서의 액체 공급은 따라서 부분적으로 섬유사를 펼쳐지도록 한다.
이것은 섬유사에 액체를 균일하게 분포시켜 주게되며 이에 따라서 예컨대 노즐 또는 가이드링 내에서 압착섬유사에 액체를 공급함으로서 섬유사에 균일한 착색이 되도록 한다.
발명에 따른 노즐내의 액체공급은 이에 따라서 착색을 선명하게하며 효과적으로 행하여진다.
그의 유도장치가 그의 시작부분과 디퓨저 형상의 최종 부분을 제시한 노즐에 있어서 입구는 청구항 제 2항에 따라서 직접 유도장치 최종부분의 후단부 뒤 또는 근처에서 또는 유도장치의 거의 최종부분의 후단부 전에서 유도장치의 구멍들에 접해 있다. 디퓨저로 구성되어 있는 유도장치의 최종부분이 그의 후단부에서 액체공급장치 입구와의 연결은 에너지절감의 효과적인 액체공급으로 디퓨저의 유동에 유리한 장점을 보장한다. 최종부분의 시작-또는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액체공급은 확산작용을 방해하게 될 것이다. 이밖에도 시작부분의 액체공급은 고속의 공기유동과 접하게 될 것이며, 이는 섬유재에 응력을 가하게되고 불균일성을 부여하게 된다.
청구항 제 3 항에 따르는 유동성에 유리한 노즐은 섬유사에 평각으로 이송공기의 유입을 가능토록함에 따라서, 특히 경제적이면서 효과적인 액체공급과 결부되어 에너지 절감에 유리한 섬유사의 이송을 할 수 있게 된다.
노즐몸체와 유도장치의 사각단면에 있어서는 청구항 제 4항에 따라서 그의 폭이 입구 위치에서 유도장치 외종부분과 일치하며 그의 높이가 5 내지 12㎜인 직사각형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출구로 되어 있다. 홈형의 출구는 제작이 간단하며 막힐 우려가 적다.
청구항 제 5항에 따라서 이송방향에 대하여 90°에 이르는 출구각도는 섬유사에 대하여 짧은 길이의 액체분사를 제공토록 한다.
출구들의 배열을 위하여 청구항 제 6항에 따르는 이송방향에 대한 90°까지의 각도에서 출구영역에서 공급장치벽의 모따기는 구조상 간단한 조치이다.
청구항 제 7항에 따르는 안내장치에 고정되어 있는 평 하우징에 의한 공급장치 실의 형상이 가지는 장점은 기존 노즐을 후에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중벽과 유도장치의 당해 벽 사이에서 청구항 제 8항에 따라 뻗어 있는 공급장치 실은 구조상 제작이 간단하며 유도장치와의 결합으로 공간 절감이 된다.
출구들은 청구항 제 9항에 따라서 유도장치의 후단에 직접 위치하고 있으므로 출입구에서 나온 액체분류는 즉시 유도장치를 떠나는 섬유사와 만나게 된다.
출구들은 청구항 제 10항에 따라서 거의 유도장치 후단부 전의 틈새에 배열 가능하거나 또는 가이드장치 당해벽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출구에서 발원한 액체분류는 유도장치를 떠나기 바로 직전에 섬유사와 만나게 된다. 이러하 배열이 가지는 장점은 또한 유도장치의 후단부에 보강링을 써서도 가능하다는 점이다.
폐쇄용기로서 적어도 하나의 연속섬유사 형태의 섬유재를 액체 처리하기 위한 발명에 따르는 장치에 있어서, 각 섬유사에 대하여 당해 섬유사를 루프(loop)로 수용하는 저장소, 저장소의 입구까지 뻗어 있으며 처리액의 공급장치를 가지고 있는 유도장치와 처리액의 순환 시스템으로 노즐로 그 위에 위치한 섬유사를 순환시켜주는 이송시스템은 청구항 제 11항에 따라 청구항 1 내지 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발명에 의한 노즐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특히 세척 또는 착색과 같이 섬유형태인 섬유재를 액체를 효과적으로 사용함으로서 경제적인 습식처리에 적합하다. 민감한 메리야스류까지도 문제없이 액체로 처리할 수 있다.
섬유사의 이송 및 액체공급을 위한 발명에 따르는 노즐은 노즐몸체(1)(가속체). 이송장치(2) 바로 뒤에 위치한(이송평면 상에서 선회 가능하고 노즐의 수평위치에서 수평인) 선회 가능한 유도장치(3), 유도장치(3) 후단부에 위치한 액체 공급장치(4)를 제시하고 있다.
노즐몸체(1)는 팬(fan)과 연결하기 위한 구멍(5)을 가진 하우징, 하우징 앞의 유입호프(6)와 수축단면부(7) 및 하우징내 일정 단면을 가진 바로뒤에 위치한 최종부(8)를 명시하고 있다.
하우징은 제 1의 유도관 부위(7)를 커버하고 있는 일정단면의 부위(9), 제 2 의 유도관 최종부(8)의 전부 또는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수축단면부(10) 및 제 3의 일정단면부(11)로 나뉘어져 있다. 팬을 연결하기 위한 구멍(5)은 이송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하우징의 제 1 부(9)에 있다.
유도관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 제 2부(10)의 일부와 하우징의 제 3 부(11)는 섬유사의 중앙 관통 채널을 형성하고 있다.
하우징부(10)는 유도관의 최종부(8)를 둘러싸고 있으므로 그들 사이에는 단면형상에 따라서 한개 또는 복수개의 틈새(13,14)가 이루어져서 하우징과 유도관 사이의 공간(15)이 중앙의 관통채널(12)과 결부되어 있다. 하우징의 제 2 부(10)는 유도관의 최종부(8) 뒤에서 이송장치(2)와 더불어 또 이송장치(2) 내에서 끝난다. 이것은 이 부위(8) 보다 단면적이 더 크다. 그의 벽은 평면각으로 이송장치(2)에 대하여 10°내지 40°를 이루고 잇다.
하우징의 제 2 부(10)와 제 3 부(11) 및 유도관의 최종부(8)는 이송공기와 섬유사가 만날때 또는 그 뒤에 팬에서 하우징을 통하여 유입된 이송공기의 유로단면이 현저히 좁아지며, 이송공기는 섬유사의 이송방향(2)에 대하여 평면각이 특히 5°내지 20°범위내의 각도로 발생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과 유도관의 단면들은 유입호퍼와 모든 부위(7,8,9,10,11)에서 직각이다. 이들 폭의 크기는 동일하며 그의 높이 보다 2-4배 크다. 유도관의 최종부(8)와 하우징의 제 2 부(10) 사이에서 그의 벽은 이송면 상하부에서 이송방향에 대하여 20°의 각도를 가지고 있으며 주위에 상부틈새(13)와 하부틈새(14)가 형성된다. 이 예에서는 하우징의 제 2부(10)가 유도관의 최종부(10) 뒤에서 끝나며 틈새(13,14)의 이송방향(2)에 대하여 수직인 틈새폭은 유도관의 최종단부(8)와 하우징의 제 2 단부(10)간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다. 하우징의 제 3부(11) 단면은 유도관의 최종단부(8)의 거의 2배정도 크다. 유도관 최종부(8)의 길이는 유도관 부위(7) 길이의 약 1/4이며 하우징부(10) 길이의 약 1/2 이다.
공간(15) 내에는 예컨대 3개의 박판(16)이 있어서 양 틈새(13,14)에 대하여 각기 구멍(5)의 4분원으로 되어 하우징과 유도관 사이에 위치해 있다.
하우징의 구멍(5) 앞에는 키(17)가 있어서 그의 폭측에 의하여 유도관 부위(7)의 측벽을 거쳐 뻗어 있어서 이송면에서 끝나며, 이송방향(2)에 대하여 수직으로 밖을 향하여 끝이 뾰족하게 되어 있다.
유도장치(3)는 단면이 일정한 시자구분(18)과 그 뒤에 디퓨저로 구성되어 있는 단부(19)를 명시하고 있다. 유도장치(3)의 양 부위(18,19)의 단면은 동시에 4각형이다.
시작부분(18)의 전단부는 하우징의 제 3 부(11)의 후부를 거쳐 돌출되어 있으며, 이 위에서 회전축(2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하우징의 제 3부(11) 값과 비교하여 시작부분(18)의 높이는 유도장치의 회전이 보장될 정도 만큼만 크며 이동틈새를 형성하기 위한 폭은 약 10 내지 20% 정도 크다.
단부(19)의 폭과 높이는 이송방향(2)으로 증가하며 높이는 인수가 1.2 내지 1.8로 여기에서는 1.5 정도이고, 폭은 인수가 1.3 내지 10으로 여기에서는 약 1.6으로 증가된다. 디퓨저를 형성하기 위하여 단부(19)의 측벽 경사도 즉 경사도 또는 비틀림 각도는 이송방향(2)에 대하여 10°미만 또는 커야 10°로 여기에서는 20°와 70°정도이다. 단부(19)의 단면은 2 내지 10 배로 여기서는 1 내지 3배 정도로 확대된다.
하우징의 제 1 및 제 2 부분(9,10)의 길이는 하우징의 제 3 부분(11) 개시부터 유도장치(3)의 시작부분(18)의 단부까지의 길이와 거의 같으며 유도장치(3) 단부(19) 길이의 약 1/3이다.
공급장치(4)는 발명에 따르는 노즐의 아래 수평배열인 경우의 이러한 예에서 유도장치(3)에 접해 있으며 그와 함께 회전축(20)을 중심으로 이송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공급장치(4)는 한개 또는 복수개의 섬유사로 향한 출구를 가진 챔버(21)를 명시하고 있다. 출구들은 복수개의 병렬로된 구멍 또는 노즐몸체가 될 수 있다. 챔버(21)에는 액체공급을 위한 유연한 튜브나 호스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서 출구(22)는 직사각형의 틈새로 구성되어 있다. 출구(22)는 유도장치(3)의 최종 후단부 밑에 직접 달려 있으며, 당해구멍은 단부(19)의 구멍(23)과 같이 이송면에 대하여 수직인면 내에 들어 있다. 이것은 이송방향(2)과 평행함으로 발생액체 분류는 이송방향(2)에 평행하게 출구(22)를 떠난다. 출구(22) 폭은 대략 최종부(19) 후단의 유도장치(3) 폭과 일치한다.
유도장치(3)의 최종부(19)는 도 1과 도 2에서 제시하는 바와같이 원형(24)을 가질 수도 있다. 동시에 이송면내 최종부(19)의 후단 최대폭과 이송면에 대하여 평행한 양 벽의 그의 후단 최소폭은 여기에선 베이스와 단부(19)의 커버에 있다. 이 경우 출구(22)의 폭은 단부(19)의 후단 최소폭과 일치한다(도 2 비교).
출구(22)를 형성하고 있는 틈새의 높이는 5 내지 12㎜ 이다. 예컨대 245㎜의 출구(22) 폭은 그 높이가 10㎜이다. 이는 유속이 3.5m/초인 경우 0.008㎤/초의 유량이송을 가능토록 한다.
챔버(21)는 유도장치(3)의 최종부(19)단에 이르기까지 이송방향(2)에 따라 평탄한 깔때기형으로 확대되어 유도장치(3)에 고정되어 있는 하우징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챔버는 끝부분(19)의 후단으로부터 끝부분(19)의 1/2 정도에 걸쳐 뻗어 있으며, 연결과 부분(26)과 경사고는(27), 수직관(28) 및 그의 회전점이 유도장치(3)의 회전축(20)상에 있는 회전베어링을 가진 공급관을 거쳐서 액체공급관(30)과 연결되어 있다.
챔버(21)는 출구(22)를 형성하기 위하여 그의 후단에서 개방되어 있다. 챔버(21) 베이스(31)는 후단에 연하여 우선 경사지고 후단에서 출구(22)의 소요높이로 간격을 두어 챔버(2)의 덮개(32)와는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일정한 각도로 출구(22)의 방향설정을 하기 위하여 하나의 벽 여기에선 공급장치(4) 실(21)의 베이스가 출구(22) 부위에서 90°에 이르는 소요각도로 모서리가 될 수 있다. 예 2의 장치에 대해서 그러한 모서리는 도 4에서 볼 수 있다.
작동중에 노즐몸체 내의 섬유사는 평각으로 유입하는 이송공기에 의하여 유연하게 이송방향(2)를 향하여 유도장치(3)를 거쳐 이송된다. 섬유사가 유도장치(3)의 끝부분(19)의 구멍(23)에서 나올때 출구(22)로 부터 나오는 액체에 의하여 이것과 접하게 되고 유도장치(3)의 선회운동에 의하여 이송면에서 주름이 생기게 된다. 유도장치(3)에 의하여 이동된 공급장치(4)의 출구(22)를 통하여 전 유량이 섬유사와 만나게 된다.
유연한 이송외에도 발명에 따르는 노즐은 출구(22)가 막힐 염려 없이 보다 안전하게 액체를 최적으로 유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 2(도3)
예 2의 장치는 공급장치(4) 챔버(21)를 형성하기 위하여 유도장치(3)가 2중벽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예 1과 다르다. 이 2중벽은 그의 길이가 유도장치(3)의 일부 또는 전부에 걸쳐 있으며, 그의 폭은 유도장치(3)의 전폭 또는 특히 유도장치(3)의 끝부분(19)이 원형일 경우 원형내의 평면부에 걸쳐 뻗어 있다.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수평배열에 있어서 2중벽은 도 3에서처럼 2중 베이스(33)로 되어있다. 2중 베이스(33) 및 이에 따른 챔버(21)는 여기서 유도장치(3)의 끝부분(19)과 시작부분(28) 및 유도장치(3)의 폭에 걸쳐 뻗어 있다. 챔버(21)는 수직관 부분(34)과 그의 중심축이 회전축(20)상에 위치한 회전조인트(35)를 가진 공급관에 의하여 액체공급관(36)과 연결되어 있다.
챔버(21)는 틈새형의 출구(22)를 형성하기 위하여 그의 후단에서 개방되어 있으며, 챔버(21) 높이 즉 유도장치(3) 베이스(37)에 이르는 2중베이스(33) 거리는 출구(22) 높이와 일치한다. 2중베이스(33)와 베이스(37)는 서로 평행하다. 출구(22) 전의 양 베이스(33) 및 (37)의 평행한 배열은 이송방향에 평행한 출구(22)의 방향설정이나 또는 이송방향(2)에 대한 베이스(37)의 분사각도에 영향을 미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2중 베이스(33)의 대안에서 베이스(37)에 이르는 그의 거리는 출구(22)의 소요 높이보다 크다. 2중 베이스(33)는 출구(22)전 그의 뒤부위에서 이송방향(2)에 대하여 이송면상에서 90°에 이르기까지 여기서는 약 15°정도의 모서리(38)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출구(22)는 이러한 각도로 방향 설정이 도어 있다.
기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대안에서는 베이스(37)의 안내장치(3)의 구멍인근에 하나의 구멍이 있어서 챔버(21)의 출구(22)를 형성하고 있다. 베이스(37)의 출구(22)는 동시에 틈새형이다. 출구(22)의 후단에서 2중베이스(33)의 모서리(39)는 출구(22)의 방향설정을 위하여 소요되는 작도 여기서는 약 30°정도로 베이스(37)와 마주치며 그것에 고정 즉 용접이 되어 있다. 또한 2중 베이스(33)의 이러한 구성의 장점을 들면 2중 베이스(33)의 모서리(39)뒤에 유도장치(3)의 (도시되어 있지 않은) 보강링을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다는 것이다.
출구(22) 단면적은 출구(22)가 유도장치(3) 구멍(23) 밑에 있거나 유도장치(3) 베이스(37) 구멍앞에 있거나 무관하다. 그의 폭은 유도장치(3) 끝부분(19)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며, 그의 높이는 액체의 소요유량과 소요속도에 따라 정해진다. 예 3(도6)
최소한 연속 섬유사(40) 형태로 액체에 의한 섬유재 처리를 위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발명에 따르는 장치는 폐쇄용기(41)를 구비하고 있어서 각 섬유사(40)에 대해 용기(41)의 상부 1/3에 걸쳐 있는 충진구(42)를 가지며, 섬유사(40)를 루프형으로 수용하는 저장소(43) 및 발명에 따르는 수평위치의 노즐을 가진 섬유사 순환 이송장치 여기선 액체의 공급장치(4)를 가진 예 2의 노즐 및 액체 순환시스템(44)을 구비하고 있다. 이 장치는 DE-C 41 19 152 또는 DE 195 17 298에 명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할 수 있다.
이송시스템은 예컨대 DE-C 41 20 739에서처럼 명시되어 있어서 노즐전의 이송장치(2)에 아이들 롤(idle roll)(45) 및 가이드링(46)과 팬(47)으 구비하고 있다. 래디얼 블라우어(radial blower)로 되어 있는 팬(47)은 용기(41) 중앙에 위치한다. 그의 흡입구(48)는 용기(41) 내부를 돌출되어 있거나 또는 공기순환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다. 그의 취입구는 관(49)을 거쳐서 노즐과 연결되어 있다. 아이들 롤(45)과 가이드 링(46)은 저장소(43) 출구(50) 위에 서로 포개져 있다. 노즐과 아이들 롤(45)은 방향전환 섬유사(40)가 노즐의 이송면에 유도되도록 배설되어 있다.
도 6에서 노즐몸체(1)와 회전축(20)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노즐의 유도장치(3)가 노즐의 시작부분(18) 및 끝부분(19)과 더불어 볼 수 있다. 유도장치(3)의 디퓨저로 구성되어 있는 끝부분(19)은 저장소(43)의 입구(51)에 이르고 있다. 도 6에서는 동시에 공급장치(4) 챔버(21)를 형성하기 위한 유도장치(3)의 끝부분(19), 2중 베이스(33)와 순환 시스템(44)에서 나온 액체 공급관(36)이 도시되어 있다. 틈새형 출구(22)는 도 3에서처럼 확대 도시되어 있으며 끝부분(19) 구멍밑에 배치되고 이송방향(2)에 대하여 평행 또는 확대각으로 방향이 설정되어 있다.
작동중에는 장치내에서 연속 섬유사(40)가 순환되며 이것이 액체처리가 되는데 섬유사가 노즐내에서 가속되고 출구(22)를 지나면서 액체와 격렬한 접촉을 하게되어 저장소(43)에서 주름이 잡혀지며 거기서 경우에 따라서는 동시에 수조를 통과하여 저장소로부터 나와 재차 노즐 내에서 가속이 된다.
종래의 공기분사 가공사용 노즐 및 당해장치에 비하여 액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외에도 손상이 없도록 양질의 가공사를 생산함과 동시 에너지 절감을 기할 수 있다.

Claims (11)

  1. 팬의 연결을 위한 구멍을 가지는 하우징과 그리고 이송방향에서 뒤에 배설되고 이송면에서 선회 가능한 유도장치를 가지는 노즐몸체로 섬유사의 이송과 섬유줄기의 이송을 위한 노즐에 있어서,
    공급장치(4)는 액체의 방사형 출구의 한개 또는 복수개의 섬유사에 면한 출구(22)를 가지고 유도장치(3)에 매설되어 이와함께 선회 가능하며 공급장치(4) 출구는 유도장치(3) 후단 부위에 위치하고 출구(22) 폭 또는 출구를 지나는 폭은 출구(22) 위치에서 유도장치(3)의 끝부분(19)의 폭과 대략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2. 제 1항에 있어서,
    유도장치(3)는 시작부분과 디퓨저로 구성되어 있는 끝부분이 존재하여 출구(22)는 유도장치(3)의 끝부분(19) 후단부에 또는 거의 인근에서 유도장치(3)의 구멍에 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3. 제 2항에 있어서,
    팬의 연결구멍을 구비한 하우징과 하우징안으로 돌출한 유도관을 구비한 노즐 몸체를 가지며 하우징 부분 또는 제 2 관은 유도관의 최종 부분을 감싸서 그 사이에 한개 또는 복수개의 틈새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 공간은 중앙의 관통채널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부분은 유도관 최종부분 뒤에서 이송방향과 또는 동 방향에서 끝나며 유도관의 최종부분으로서 보다 큰 단면을 가지며 그의 벽은 이송방향에 대하여 평각내에 들어 있으며 이송방향 뒤에 위치하고 이송면내에서 선회 가능한 유도장치는 시작부분과 디퓨저로 형성되어 있는 끝부분을 가지며, 공급장치(4)는 액체의 방사형 출구에 한개 또는 복수개의 섬유사로 향한 출구(22)가 유도장치(3)에 접해 있어서 이와함께 선회가능하며, 출구(22)는 유도장치(3) 끝부분(19)의 후단에서 또는 후단뒤 또는 유도장치(3) 끝부분(19)의 뒷부위에서 유도장치(3)의 구멍에 접해 있으며 출구(22) 폭 또는 출구를 지나는 폭은 출구(22) 위치에서 유도장치(3) 끝부분(19)의 폭과 대략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노즐 몸체와 유도장치 단면은 4각형이며 4각틈새로 구성되어 있는 틈새형 출구(22)는 그의 폭이 출구(22) 위치에서 그의 높이는 5 내지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구(22) 또는 출구들은 이송방향에 대하여 90°에 이르는 각도로 방향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6. 제 5항에 있어서,
    출구(22) 또는 출구들의 방향설정을 위하여 공급장치(4)의 벽은 출구(22) 또는 출구들 부위에서 이송방향(2)에 대하여 90°에 이르는 각도의 모서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급장치(4)의 챔버(21)는 유도장치(3)에 고정되어 있는 평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급장치(4)의 챔버(21)는 2중벽(33) 및 유도장치(3)의 대응벽 사이에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구(22) 또는 출구들은 유도장치(3)의 후단에 직접 위치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10. 제 1항 내지 제 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구(22) 또는 출구들은 유도장치(3)의 후단 거의 앞 구멍들 또는 유도장치(3)의 대응벽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11. 액체에 의한 최소한 한가닥의 연속섬유사 형태인 섬유재의 처리를 위한,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의한 노즐에 있어서,
    각각의 섬유사에 대하여 루프형의 섬유사를 수용하느 저장소, 저장소의 유입구까지 뻗어 있는 유도장치를 가진 노즐에 의하여 그 위에 위치한 섬유사를 순환시켜주는 이송장치와 처리액 공급장치를 가지는 폐쇄용기를 가지며; 그리고 처리액 순환시스템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0-7000005A 1997-07-03 1998-06-24 섬유사(실)의 이송 및 액체공급노즐과 적어도 한가닥의연속섬유사 형태인 섬유재의 액체처리장치 KR100472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28420A DE19728420C2 (de) 1997-07-03 1997-07-03 Düseneinheit zum Transport eines textilen Stranges
DE19728420.5 1997-07-03
PCT/EP1998/003864 WO1999001601A1 (de) 1997-07-03 1998-06-24 Düse zum transport eines textilen stranges und zur zufuhr von flotte und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textilgut in form mindestens eines endlosen stranges mit flot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491A true KR20010021491A (ko) 2001-03-15
KR100472872B1 KR100472872B1 (ko) 2005-03-07

Family

ID=7834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005A KR100472872B1 (ko) 1997-07-03 1998-06-24 섬유사(실)의 이송 및 액체공급노즐과 적어도 한가닥의연속섬유사 형태인 섬유재의 액체처리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993517B1 (ko)
KR (1) KR100472872B1 (ko)
DE (2) DE19728420C2 (ko)
DK (1) DK0993517T3 (ko)
ES (1) ES2178240T3 (ko)
PT (1) PT993517E (ko)
TR (1) TR199902629T2 (ko)
WO (1) WO19990016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14601B1 (it) * 2000-03-31 2002-12-20 Laip S N C Di Becheri Cecchi & Procedimento discontinuo di lavaggio di pezze di tessuto unite incorda ed una macchina per attuare il procedimento
WO2001075778A1 (en) 2000-04-03 2001-10-11 Brunel University Conductive pressure sensitive textile
DE102005022453B3 (de) * 2005-05-14 2006-11-30 Then Maschine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strangförmiger Textilware
DE102007019217A1 (de) 2007-04-24 2008-10-30 Then Maschine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Nassbehandlung strangförmigen Textilguts
DE102012016248A1 (de) * 2012-08-16 2014-02-2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Werkzeug sowie Verfahren zur Ummantelung eines als Meterware vorliegenden Langgutes
JP2019505695A (ja) 2015-12-18 2019-02-28 インテリジェント テキスタイルズ リミテッド 導電性布、導電性布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DE102017112997A1 (de) 2017-06-13 2018-12-13 Fong's Europe Gmbh Vorrichtung zum abgetafelten Ablegen eines laufenden Textilwarenstrang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14919B1 (de) * 1979-02-17 1984-02-22 Hoechst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handeln von Textilgut in Jet-Färbeanlagen
DE3245921A1 (de) * 1982-12-11 1984-06-14 H. Krantz Gmbh & Co, 5100 Aachen Nassbehandlungsvorrichtung
DE3430615A1 (de) * 1984-08-20 1986-02-27 Thies GmbH & Co, 4420 Coesfeld Treibduese fuer die nassbehandlung von textilgut
DE4119152C2 (de) * 1991-06-11 1993-11-25 Krantz H Gmbh & Co Vorrichtung zum Naßbehandeln von Textilgut
DE4426336A1 (de) * 1993-08-23 1995-03-02 Thies Gmbh & Co Verfahren zur Behandlung einer textilen Warenbahn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selben
DE19517298C1 (de) * 1995-05-11 1996-05-30 Krantz Textiltechnik Gmbh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Textilgut in Form mindestens eines endlosen Stranges
DE19536070C2 (de) * 1995-09-28 2000-12-07 Krantz Textiltechnik Gmbh Düse zum Transport eines Stranges und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Textilgut in Form mindestens eines endlosen Stran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804435D1 (de) 2002-07-18
DK0993517T3 (da) 2002-10-07
EP0993517B1 (de) 2002-06-12
DE19728420C2 (de) 2000-11-02
PT993517E (pt) 2002-11-29
TR199902629T2 (xx) 2000-02-21
DE19728420A1 (de) 1999-01-07
WO1999001601A1 (de) 1999-01-14
ES2178240T3 (es) 2002-12-16
KR100472872B1 (ko) 2005-03-07
EP0993517A1 (de) 2000-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8152B2 (en) Wet processing or finishing machine for rope-formed textile products
TWI464312B (zh) 用於處理繩狀紡織品之方法與裝置
KR20080095766A (ko) 가닥 모양의 직물 제품을 습식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472872B1 (ko) 섬유사(실)의 이송 및 액체공급노즐과 적어도 한가닥의연속섬유사 형태인 섬유재의 액체처리장치
EP0961849B1 (en) Jet dyeing apparatus and method
US4974302A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crimping thermoplastic filaments
US4219942A (en) Continuous drying chamber
CA2449733C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a fibre mass
JPS5926697B2 (ja) 移動中の繊維材料のウェブを処理する装置
US73985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ropelike textile goods
FI108804B (fi) Menetelmä ja laite nestemäisen tai tahnamaisen väliaineen levittämiseksi liikkuvalle materiaalirainalle
KR101909583B1 (ko) 섬유 원단용 정련장치
JPH0689504B2 (ja) 連続スプレー染色の色替え方法
CA1101615A (en) Method of continuous liquid processing of cloth in a high pressure steamer and an apparatus therefor
US4052796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finishing of webs of textiles, artificial leather and the like
US5440771A (en) Jet dyeing apparatus and method
US5299339A (en) Jet dyeing apparatus and method
US7270779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continuous molded bodies
JPH07216721A (ja) 繊維ウェブを処理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EP0482166B2 (en) Jet dyeing apparatus and method
US4705224A (en) Apparatus for blowing a thread end off of a full cheese formed by an open-end spinning and winding machine
KR940006246B1 (ko) 텐터기 및 건조기의 노즐에 미치는 고온공기의 분사방향과 풍압조절방법 및 그 장치
JP2589704B2 (ja) オイリング装置
US20010009053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nd winding a yarn
JPS5846130Y2 (ja) テクスチヤ−ド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