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1450A - Machine Tool Having Dust Collecting Function - Google Patents

Machine Tool Having Dust Collect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1450A
KR20010021450A KR1020000050264A KR20000050264A KR20010021450A KR 20010021450 A KR20010021450 A KR 20010021450A KR 1020000050264 A KR1020000050264 A KR 1020000050264A KR 20000050264 A KR20000050264 A KR 20000050264A KR 20010021450 A KR20010021450 A KR 20010021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tool
hole
dust collecting
blower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2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야스이모또히로
Original Assignee
시미즈 유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미즈 유,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미즈 유
Publication of KR20010021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450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46Devices for removing chips by su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PURPOSE: A machine tool is provided to realize provision of stable absorptivity and a duct collection force, in the machine tool with a dust collecting function to perform machining as machining chips of a work generated by machining are collected by a dust collector. CONSTITUTION: The substrate boring machine(1) is formed such that grinding chips generated during formation of a through-hole in a printed substrate(72) are collected by a dust collector(84) through a cup(78) and a dust collection pipe(82). Meanwhile, suction of the printed substrate(72) is carried out by applying a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a blower(25), on a through-hole(37) through a suction route consisting of a plate(35), a groove(31), and a suction hole(23). Since, as noted above, in a substrate boring machine(1), pressure sources are independent of one another such that a pressure source for a dust collection system is used in the dust collector and a pressure source for a suction system is used in a blower, a force to suck the printed substrate(72) is not influenced by the degree of progress of machining and a dust collecting force is also stable.

Description

집진 기능이 부여된 공작 기계{Machine Tool Having Dust Collecting Function}Machine Tool Having Dust Collecting Function

본 발명은 가공에 의해 발생하는 피가공물의 가공 칩을 집진기에 의해 모으면서 가공을 행하는 집진 기능이 부여된 공작 기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chine tool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function for performing machining while collecting the processed chips generated by the machining with a dust collector.

종래부터 가공에 의해 발생하는 피가공물(공작물이라고도 함)의 가공 칩을 집진기에 의해 모으면서 가공을 행하는 공작 기계가 알려져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machine tool is known that performs processing while collecting a processing chip of a workpiece (also called a workpiece) generated by processing with a dust collector.

이러한 공작 기계의 일예인 기판 구멍 천공기(70)를 도8에 도시한다. 본 도면은 프린트 기판(72)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기판 구멍 천공기(70)의 개요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기판 구멍 천공기(70)에 있어서 주축(74)을 회전시키고, 그 선단에 부착된 드릴(76)로 프린트 기판(72)에 구멍 펀칭 가공을 행하면, 프린트 기판(72)의 절삭 칩이 발생한다. 주축(74)의 주위는 드릴(76) 등의 선단이 노출되는 하부를 제외하고, 집진 컵(78)으로 덮혀져 있다. 집진 컵(78)은 밸브(80)를 거쳐서 집진 파이프(82)로 집진기(84)에 접속되어 있고, 이 집진기(84)로 부압을 걸음으로써 가공중에 발생한 절삭 칩을 흡상한다.A substrate hole perforator 70, which is an example of such a machine tool, is shown in FIG. This figure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ed the outline | summary of the board | substrate hole puncher 70 which forms the through hole in the printed board 72. FIG. When the main shaft 74 is rotated in the substrate hole perforator 70 and the hole punch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72 with the drill 76 attached to the tip, the cutting chip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72 is generated.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main shaft 74 are covered with the dust collecting cup 78 except the lower part which the tip of the drill 76 etc. are exposed. The dust collecting cup 78 is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or 84 by the dust collecting pipe 82 via the valve 80, and draws the cutting chip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d during the process by applying negative pressure with this dust collector 84. FIG.

한편, 프린트 기판(72)은 플레이트(86)에 적재되어 있고, 이 플레이트(86)에 형성된 구멍(88)을 거쳐서 부압이 걸림으로써 플레이트(86)에 흡착된다. 플레이트(86)의 하방은 테이블(90)에 형성된 진공실(92)로 되어 있고, 이 진공실(92)은 흡착 호스(94)를 거쳐서 집진기(84)에 접속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inted board 72 is mounted on the plate 86, and the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plate 86 via the hole 88 formed in the plate 86. The lower part of the plate 86 becomes the vacuum chamber 92 formed in the table 90, and this vacuum chamber 92 is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or 84 via the suction hose 94. As shown in FIG.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프린트 기판(72)의 흡착을 행하는 압력원이 집진계의 압력원인 집진기(84)와 공유되어 있으므로, 가공의 진행에 따라 진공실(92)의 압력이 변화하여, 프린트 기판(72)의 흡착력이 안정하지 못하다. 즉, 주축(74)이 하강하면 압력이 상승하여 드릴(76)에 의해 구멍이 형성되는 한 가운데는 대략 일정한 압력으로 되지만, 구멍이 프린트 기판(72)에 뚫려 주축(74)이 상승하면 압력이 급감된다. 이 압력 변화에 따라 흡착력도 변동되어 버린다. 또, 이러한 흡착력의 변동은 집진력도 변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며, 이 변동에 의해 충분히 집진을 행하지 못할 우려도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pressure source for adsorp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72 is shared with the dust collector 84, which is the pressure source of the dust collecting system, the pressure in the vacuum chamber 92 changes as the processing proceeds, thereby printing The adsorption force of the substrate 72 is not stable. That is, when the main shaft 74 is lowered, the pressure rises and becomes approximately constant pressure in the center of the hole formed by the drill 76. However, when the hole is drilled through the printed board 72 and the main shaft 74 is raised, the pressure is increased. Plunging Adsorption force also fluctuates with this pressure change. Moreover, such a change in adsorption force means that the dust collection force also changes,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ust collection may not be sufficiently performed by this change.

이 문제는 기판 구멍 천공기(70)가 아니어도 피가공물을 테이블(90) 등의 보유 지지대에 흡착 고정하고 가공중에 발생하는 가공 칩을 집진하는 공작 기계라면 마찬가지로 발생한다.This problem occurs similarly to a machine tool which does not need to be a substrate hole perforator 70 to suck a workpiece to a holding table such as a table 90 and to collect a processing chip generated during processing.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청구항 1에 기재된 집진 기능이 부여된 공작 기계는 안정된 흡착력 및 집진력의 발휘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such a subject, Comprising: The machine tool with the dust collection function of Claim 1 aims at realizing stable adsorption | suction force and the dust collection force.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집진 기능이 부여된 공작 기계는 흡착이 불필요한 경우에 그 압력원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Moreover, the machine tool provided with the dust collecting function of Claim 2 aims at making it unnecessary to stop the pressure source, when adsorption is unnecessary.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집진 기능이 부여된 공작 기계는 보유 지지대를 거대화시키지 않고 흡착력을 크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Moreover, the machine tool provided with the dust collecting function of Claim 3 aims at increasing adsorption force, without enlarging a holding stand.

그리고, 청구항 4에 기재된 집진 기능이 부여된 공작 기계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데 적합한 형태를 제안하는 것이다.And the machine tool to which the dust collection function of Claim 4 was given proposes the form suitable for applying this invention.

그리고,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4의 집진 기능이 부여된 공작 기계를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프린트 기판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5 is intended to make it possible to easily cope with a printed board of various shapes and sizes with the machine tool provided with the dust collecting function of claim 4.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기판 구멍 천공기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substrate hole perforator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기판 구멍 천공기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a substrate hole perforator.

도3은 기판 구멍 천공기의 프린트 기판의 흡착 경로를 도시한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an adsorption path of a printed board of a substrate hole perforator;

도4a 내지 도4c는 기판 구멍 천공기의 프린트 기판의 흡착 경로를 도시한 측면도.4A to 4C are side views showing the adsorption path of the printed board of the substrate hole perforator.

도5a 및 도5b는 홈 테이블 및 플레이트의 설명도.5A and 5B are explanatory diagrams of a groove table and a plate.

도6은 기판 구멍 천공기의 집진계 및 흡착계를 도시한 설명도.Fig. 6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dust collecting system and an adsorption system of a substrate hole perforator.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인 기판 구멍 천공기의 집진계 및 흡착계를 도시한 설명도.Fig. 7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dust collecting system and an adsorption system of a substrate hole perfo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종래의 기판 구멍 천공기의 집진계 및 흡착계를 도시한 설명도.8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system and an adsorption system of a conventional substrate hole perforato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50 : 기판 구멍 천공기1, 50: substrate hole perforator

3 : 헤드3: head

5 : Z축 모터5: Z axis motor

12, 17 : 레일12, 17: rail

13 : X축 모터13: X axis motor

21, 33, 37 : 관통 구멍21, 33, 37: through hole

23 : 흡착 호스23: adsorption hose

24 : 흡착 호스 커버24: adsorption hose cover

25 : 송풍기25: blower

29 : 홈 테이블29: home table

31 : 홈31: home

35 : 플레이트35: plate

43, 80 : 밸브43, 80: valve

70 : 종래의 기판 구멍 천공기70: conventional substrate hole perforator

72 : 프린트 기판72: printed board

74 : 주축74: spindle

74a : 주축 모터74a: spindle motor

82 : 집진 파이프82: dust collecting pipe

84 : 집진기84: dust collector

90 : 테이블90: tabl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은, 해당 공작 기계에 있어서 행해지는 가공에 의해 발생하는 피가공물의 가공 칩을 집진기에 의해 모으면서 가공을 행하는 집진 기능이 부여된 공작 기계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which is mad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a machine tool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function for performing processing while collecting a processing chip of a workpiece generated by a machining performed in the machine tool with a dust collector. ,

상기 집진기와는 별도로 설치된 송풍기와, 상기 피가공물을 보유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보유 지지를 행하는 부위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보유 지지대와, 상기 보유 지지대의 상기 관통 구멍과 상기 송풍기의 흡기구를 접속하는 흡착 호스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기를 가동시키면 상기 관통 구멍을 거쳐서 부압을 걸어 상기 보유 지지대에 보유 지지된 상기 피가공물을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lowe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dust collector, a holding table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site of holding the workpiece and the holding portion; and a suction hose connecting the through hole of the holding table and the inlet of the blower. When the blower is operated, a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hrough the through hole to adsorb the workpiece held in the holding table.

이와 같이 하면, 집진의 압력원은 집진기, 흡착의 압력원은 송풍기로 서로 독립되어 있게 되며, 흡착력은 가공 진행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In this way, the pressure source of the dust collector and the pressure source of the adsorption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by the blower, and the adsorption force is not affected by the processing progress.

또한, 이와 같이 되어 있음으로써, 기판 구멍 천공기(70)와 같이 1대의 집진기로 집진과 흡착의 양 쪽을 행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집진기와 송풍기로서 기판 구멍 천공기(70)의 집진기(84)보다도 출력이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해당 공작 기계의 소형화, 소비 에너지의 절감, 소음 저감의 실현이 가능해진다.In this way,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both the dust collection and the adsorption with one dust collector like the substrate hole perforator 70. As a result, a dust collector and a blower may be used which have a smaller output than the dust collector 84 of the substrate hole perforator 70. As a result, the machine tool can be miniaturized, energy consumption can be reduced, and noise can be realized.

또, 기판 구멍 천공기(70)도 포함하여 공작 기계는 통상 다수의 피가공물에 잇달아 가공을 행함으로써, 피가공물의 대량 생산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 경우, 가공이 종료된 피가공물은 다음 피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해서 보유 지지대로부터 제거되어 별도의 부위로 반송되고, 그 보유 지지대에는 다음 피가공물이 흡착되어 가공이 실시되게 된다. 즉, 피가공물의 대량 생산을 행할 때는 흡착 및 그 흡착의 정지를 반복할 필요가 있다.Moreover, a machine tool including the board | substrate hole puncher 70 also processes a large number of to-be-processed objects successively, and contributes to the mass production of a to-be-processed object. In this case, the workpiece to be processed is removed from the holding stand and returned to a separate site for processing the next work piece, and the next work piece is adsorbed to the holding stand to perform the processing. That is, when performing mass production of a to-be-processed object, it is necessary to repeat adsorption | suction and the suspension of the adsorption | suction.

이에 대응한 것이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집진 기능이 부여된 공작 기계에 있어서, 상기 흡착 호스에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개폐되는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Corresponding to this is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That is, in this invention, the machine tool provided with the dust collecting function of Claim 1 WHEREIN: It is characterized by the said suction hose provided with the valve which opens and closes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 indication from the outside.

이러한 청구항 2에 기재된 집진 기능이 부여된 공작 기계에 따르면, 송풍기를 정지 또는 가동시키거나 하지 않고 밸브를 개폐함으로써 흡착의 개시, 및 정지를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achine tool with which the dust collecting function of Claim 2 was provided, the suction and the stop can be start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without stopping or operating the blower.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집진 기능이 부여된 공작 기계에 있어서, 상기 흡착 호스가 복수개의 호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is invention of Claim 3 WHEREIN: The machine tool provided with the dust collection function of Claim 1 or 2 WHEREIN: The said adsorption hose consists of a some hose,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이와 같이 하면, 흡착 호스의 실질적인 단면적은 복수개의 호스의 단면적의 합계가 되므로, 큰 흡착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것과 동일한 흡착력을 1개의 호스로 실현하려고 하면, 호스가 매우 굵어져서 후술하는 실시 형태와 같이 호스를 보유 지지대[테이블(90)]의 하부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보유 지지대와 호스의 설치가 곤란해지거나, 또는 보유 지지대의 하부에 큰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발생한다.In this case, since the substanti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ction hose is the sum of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plurality of hoses, a large suction force can be exhibited. If the same adsorption force is to be realized by one hose, the hose is very thick, and when the hose is placed under the holding table (table 90) as in the following embodiment,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holding table and the hose. There is a need to secure a large space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or to build it.

이 점에 대하여, 청구항 3과 같이 흡착 호스를 복수의 호스로 구성하면, 단면적이 크고 게다가 설치가 용이한 흡착 호스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a adsorption hose is comprised by several hose like Claim 3, it can be set as the adsorption hose with large cross-sectional area and easy installation.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집진 기능이 부여된 공작 기계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은 프린트 기판이고, 해당 집진 기능이 부여된 공작 기계는 상기 프린트 기판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공작 기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is the machine tool to which the dust collecting function is applie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workpiece is a printed board, and the machine tool to which the dust collecting function is applied passes through the printed board. It is a machine tool forming a hole,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프린트 기판은 통상 그 표면에 도전 패턴과 인쇄된 문자에 의해 다소의 요철이 있기는 하지만, 거의 평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보유 지지대에 흡착 고정하는 피가공물로서 매우 적합하다. 프린트 기판에는 유연성의 것도 있지만, 이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변형시킴으로써 평면형으로 할 수 있으므로, 역시 흡착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 형성이라는 가공도 드릴의 주변을 전술한 집진 컵(78) 등으로 덮어 집진함으로써, 가공중에 나오는 절삭 칩을 용이하게 모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적용 대상으로서 적합하다.Although printed boards usually have some irregularities due to conductive patterns and printed letters on their surfaces, they are almost planar, so they are very suitable as workpieces to be adsorbed and fixed to a holding table. Although there are some flexibility in a printed board, it can also be made flat by deforming suitably also, and it can also be fixed by adsorption. Moreover, since the process of through-hole formation also collects the surroundings of a drill with the above-mentioned dust collection cup 78, etc., since the cutting chip which comes out during a process can be gathered easily, it is suitable as an application object of this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집진 기능이 부여된 공작 기계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은 공작 기계에 적용하는 데 매우 적합한 것으로 되어 있다.Therefore, the machine tool imparted with the dust collec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suitable for application to the machine tool as described in claim 4.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집진 기능이 부여된 공작 기계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대가, 상면에 상기 흡착 호스에 연통하는 홈이 형성된 홈 테이블과, 상기 홈 테이블의 상면에 중합되는 판형 부재이며 상기 프린트 기판의 외형 및 상기 홈 테이블에 형성된 홈의 위치에 대응하여 관통 구멍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기가 가동되면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관통 구멍을 거쳐서 부압을 걸어 상기 판형 부재의 상면에 적재된 상기 프린트 기판을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achine tool with the dust collecting function of Claim 4, this invention of Claim 5 WHEREIN: The said support stand is the groove table in which the groove | channel which communicated with the said adsorption hose wa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and the plate shape polymeriz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aid groove table. A member having a plate having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an outer shape of the printed board and a position of a groove formed in the groove table, and when the blower is operated, a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plate to form an uppe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It adsorb | sucks the said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in it.

이와 같이 하면,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상기 프린트 기판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려면, 그 크기와 형상에 맞추어 관통 구멍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홈 테이블에 중합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플레이트에는 여분의 관통 구멍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그 관통 구멍으로부터 흡기가 누설되는 일이 없다. 이로써, 충분한 흡착력을 발휘할 수 있다.In this way, in order to form the through holes in the printed board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the plate having the through hole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and shape may be polymerized to the groove table. In this case, since there is no excess through hole in the plate, intake air does not leak from the through hole. Thereby, sufficient adsorption force can be exhibited.

이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기판 구멍 천공기(1)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또, 기판 구멍 천공기(70)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Below, the board | substrate hole puncher 1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ith drawing. 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wa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structure which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board | substrate hole puncher 70. As shown in FIG.

우선, 도1은 기판 구멍 천공기(1)의 개략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기판 구멍 천공기(1)의 주축을 회전시키는 주축 모터(74a)는 헤드(3)에 부착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헤드(3)에 부착된 Z축 모터(5)에 의해 주축과 함께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헤드(3)는 Y축 모터(9)가 볼나사(11)를 회전시킴으로써 2개의 레일(12)을 따라서 좌우로 이동된다.First,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utline of the substrate hole perforator 1. The main shaft motor 74a for rotating the main shaft of the substrate hole perforator 1 is attached to the head 3 and similarly movable up and down with the main shaft by the Z axis motor 5 attached to the head 3. It is. The head 3 is moved left and right along the two rails 12 by the Y-axis motor 9 rotating the ball screw 11.

도2는 기판 구멍 천공기(1)의 평면도이다. 또, 본 도면에서는 테이블(90)에 적재되는 프린트 기판의 반송계 등을 생략하고 있다. 테이블(90)은 X축 모터(13)에 의해 볼나사(15)가 회전되면, 레일(17)을 따라서 전후(본 도면에서는 상하)로 이동된다. 이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은 테이블(90)의 가동 범위(19)이다. 즉, 기판 구멍 천공기(1)는 헤드(3)가 Y축 모터(9)에 의해 본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고, 테이블(90)이 X축 모터(13)에 의해 본 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주축을 테이블(90)(더 나아가서는 프린트 기판)의 원하는 위치로 상대 이동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헤드(3)에는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고, 이것으로 프린트 기판상에 형성된 화상 인식 마크를 촬영하여 인식함으로써, 프린트 기판의 위치 어긋남을 보상 가능하게 되어 있다.2 is a plan view of the substrate hole perforator 1. In addition, in this figure, the conveyance system etc.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on the table 90 are abbreviate | omitted. When the ball screw 15 is rotated by the X-axis motor 13, the table 90 moves back and forth (up and down in this figure) along the rail 17. As shown in FIG. Shown by the dashed line is the movable range 19 of the table 90. That is, in the substrate hole perforator 1, the head 3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drawing by the Y-axis motor 9, and the table 90 is moved up and down in the drawing by the X-axis motor 13. By moving, the main axis is moved relative to the desired position of the table 90 (or the printed boar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head 3 is equipped with a camera, and by this, by photographing and recognizing the image recognition mark formed on the printed board, the position shift of the printed board can be compensated.

프린트 기판의 흡착 경로에 대하여 도시한 것이 도3이다. 본 도면은 도2와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보아, 테이블(90) 및 X축 모터(13)의 주변이 확대되어 있다. 테이블(90)에는 긴 원형의 관통 구멍(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21)에는 수평으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흡착 호스(23)가 접속되어 있다. 흡착 호스(23)의 타단부는 송풍기(25)에 접속되어 있고, 이것으로 프린트 기판의 흡착을 행한다.3 shows an adsorption path of the printed board. 2, the periphery of the table 90 and the X-axis motor 13 are enlarged from the same direction as FIG. An elongate circular through hole 21 is formed in the table 90, and two adsorption hoses 23 arranged side by side are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21. The other end of the adsorption hose 23 is connected to the blower 25, and this adsorb | sucks a printed board.

도3의 우측으로부터 본 측면도를 도4(a)에 도시한다. 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착 호스(23)는 본 도면의 좌측 부분에서 U자형으로 구부러져 테이블(90)에 접속되어 있다. 이 U자형으로 구부러진 부분은 흡착 호스 커버(24)로 덮혀져 있다. 도4(b)는 도4(a)를 좌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흡착 호스(23)는 수평으로 2개 나란히 배치됨으로써, 테이블(90) 하부의 공간에도 소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4(c)는 도3의 A-A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흡착 호스(23)는 이음매(27)를 거쳐서 테이블(90)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4(c)에서는 테이블(90) 상에 홈 테이블(29)이 부착되어 있다.The side view seen from the right side of FIG. 3 is shown to FIG. 4 (a). As shown in the figure, the suction hose 23 is bent in a U shape in the left part of the figure and connected to the table 90. This U-shaped bent portion is covered with a suction hose cover 24. Fig. 4B is a view of Fig. 4A seen from the left side. As shown in this figure, two adsorption hoses 23 are horizontally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they are provided in a small space in the space below the table 90. Fig. 4C is a view seen from the arrow A-A in Fig. 3, and the suction hose 23 is connected to the table 90 via the joint 27. Figs. In Fig. 4C, a groove table 29 is attached on the table 90. Figs.

이 홈 테이블(29)에 대하여 도5(a)에 도시한다. 본 도면은 홈 테이블(29)의 평면도이다. 홈 테이블(29)에는 본 도면에 있어서 종방향으로 6개, 횡방향으로 4개의 총 10개의 홈(31)이 형성되어 있고, 게다가 원형의 관통 구멍(33)이 횡방향의 홈(31) 내에 형성되어 있다. 이 홈 테이블(29)을 테이블(90)에 부착하면 관통 구멍(33)이 테이블(90)의 관통 구멍(21)에 연통되고, 송풍기(25)가 가동하면 10개의 홈(31)에 부압이 걸린다. 프린트 기판을 흡착하려면, 이 홈 테이블(29)에 플레이트(35)를 중합하고, 또 그 위에 프린트 기판을 적재하고 송풍기(25)를 가동시킨다.This home table 29 is shown in Fig. 5A. This figure is a top view of the groove table 29. The groove table 29 is formed with a total of ten grooves 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ur in the lateral direction in this drawing, and a circular through hole 33 is formed in the groove 3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ormed. When the groove table 29 is attached to the table 90, the through hole 33 communicates with the through hole 21 of the table 90. When the blower 25 is operated,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ten grooves 31. Takes In order to adsorb | suck a printed board, the plate 35 is superposed | polymerized on this groove table 29, a printed board is mounted on it, and the blower 25 is operated.

홈 테이블(29)에 플레이트(35)를 중합한 상태가 도5(b)이다. 플레이트(35)에는 그 모서리 부근에 16개의 관통 구멍(37)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치는 홈 테이블(29)의 가장 외측에 있는 홈(31)의 위치와 정합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37)의 위치는 흡착되는 프린트 기판의 외주보다도 약간 내측의 위치에도 정합되어 있고, 관통 구멍(37)을 거쳐서 프린트 기판에 걸리는 부압은 확실하게 프린트 기판을 흡착한다. 또, 플레이트(35)의 하면은 홈 테이블(29)에 홈(31)이 형성되고 남은 직사각형의 부위(39) 및 홈 테이블(29)의 모서리부(41)에 접촉하므로, 부압에 의해서 플레이트(35)가 변형되는 일은 없다.The state in which the plate 35 is polymerized on the groove table 29 is shown in Fig. 5B. The plate 35 is provided with sixteen through holes 37 near its corners, and the position thereof is matched with the position of the groove 31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groove table 29.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37 is matched to a position slightly inward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adsorbed printed board, and the negative pressure applied to the printed board via the through hole 37 reliably adsorbs the printed board. Moreover,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35 contacts the rectangular part 39 and the corner part 41 of the groove table 29 which remain | survived the groove 31 in the groove table 29, the plate ( 35) is not transformed.

기판 구멍 천공기(1)의 집진계에 대하여, 이상 설명해 온 흡착계와 함께 도6에 도시한다. 즉, 도6은 기판 구멍 천공기(1)의 집진계 및 흡착계의 개략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또, 본 도면에서는 홈 테이블(29)을 테이블(90)과 일체로서 표기하고 있다. 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 구멍 천공기(1)에서는 프린트 기판(72)에 관통 구멍을 형성할 때 발생한 절삭 칩은 컵(78), 집진 파이프(82)를 거쳐서 집진기(84)로 모아진다. 한편, 프린트 기판(72)의 흡착은 플레이트(35), 홈(31), 흡착 호스(23)로 이루어지는 흡착 경로를 거쳐서 송풍기(25)에 의해 발생된 부압이 관통 구멍(37)에 걸림으로써 행해진다.The dust collecting system of the board | substrate hole puncher 1 is shown in FIG. 6 with the adsorption system demonstrated above. That is, FIG. 6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outline of the dust collector and adsorption system of the board | substrate hole puncher 1.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n this figure, the home table 29 is described integrally with the table 90.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substrate hole puncher 1, the cutting chips generated when forming the through holes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72 are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or 84 via the cup 78 and the dust collecting pipe 82. . On the other hand, the adsorption of the printed board 72 is performed by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the blower 25 being caught by the through hole 37 via an adsorption path composed of the plate 35, the groove 31, and the adsorption hose 23. All.

이와 같이 기판 구멍 천공기(1)에서는 집진계의 압력원은 집진기(84), 흡착계의 압력원은 송풍기(25)로 서로 독립되어 있으므로, 프린트 기판(72)을 흡착하는 힘은 가공 진행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ubstrate hole perforator 1, the pressure source of the dust collecting system is independent of each other by the dust collector 84 and the pressure source of the adsorption system by the blower 25. It is not affected.

또한, 이와 같이 되어 있음으로써, 기판 구멍 천공기(70)와 같이 1대의 집진기(84)로 집진과 흡착의 양 쪽을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집진기(84)와 송풍기(25)로서 기판 구멍 천공기(70)의 집진기(84)보다도 출력이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기판 구멍 천공기(1)의 소형화, 소비 에너지의 절감, 소음 저감의 실현이 가능해진다.Moreover,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carry out both dust collection and adsorption with one dust collector 84 like the board | substrate hole puncher 70 by this, the board | substrate hole puncher 70 as the dust collector 84 and the blower 25 is carried out. It is possible to use a smaller output than the dust collector 84 of the (). As a result, the substrate hole perforator 1 can be miniaturized, energy consumption can be reduced, and noise can be realized.

또한, 흡착 호스(23)는 2개의 호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흡기의 경로로서 큰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게다가 테이블(90) 하부와 같은 좁은 공간에도 설치하기 쉬운 것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ction hose 23 is composed of two hoses, a large cross-sectional area can be secured as an intake path, and the suction hose 23 is also easy to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such as the lower portion of the table 90.

또한, 프린트 기판(72)의 형상이 변화한 때는 플레이트(35)를 관통 구멍(37)을 그것에 맞추어 형성된 것으로 교환함으로써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hap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72 changes, the plate 35 can be easily replaced by replacing the through hole 37 with one formed in accordance with it.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기판 구멍 천공기(1)에 대하여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board | substrate hole perforator 1 was demonstrated as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It can implement in various forms.

예를 들어, 기판 구멍 천공기(1)에서는 밸브(80)를 집진 파이프(82)에만 설치했지만, 흡착 호스(23)에 설치해도 좋다. 이에 대하여 도7에 도시한다. 즉, 도7은 흡착 호스(23)의 도중에 밸브(43)를 설치한 기판 구멍 천공기(50)의 개념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기판 구멍 천공기(50)와 같이 흡착 호스(23)에 밸브(41)를 설치하면, 밸브(41)를 폐쇄함으로써 송풍기(25)를 가동시킨 채로 흡착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판 구멍 천공기(50)에 따르면, 프린트 기판(72)의 반송시의 프린트 기판(72)의 흡착 및 이것의 해제를 외부로부터 밸브(41)를 제어함으로써 간단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프린트 기판(72)의 대량 생산시에 매우 편리하다.For example, in the board | substrate hole puncher 1, although the valve 80 was provided only in the dust collecting pipe 82, you may install in the suction hose 23. As shown in FIG. This is shown in FIG. That is, FIG. 7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ed the concept of the board | substrate hole puncher 50 which provided the valve 43 in the middle of the suction hose 23. As shown in FIG. If the valve 41 is provided in the adsorption hose 23 like the board | substrate hole puncher 50, the adsorption | suction operation can be stopped with the blower 25 operating by closing the valve 41. FIG. According to the board | substrate hole puncher 50, since the adsorption | suction of the printed board 72 at the time of conveyance of the printed board 72, and this release can be performed simply by controlling the valve 41 from the outside, the printed board 72 Very convenient for mass production.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모두 프린트 기판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기판 구멍 천공기에 적용했지만, 프린트 기판 이외의 공작물을 흡착하여 구멍 펀칭을 실시하는 기계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구멍 펀칭 이외의 가공을 행하는 공작 기계에 적용해도 좋다. 공작물을 흡착에 의해 고정하고 가공중에 발생하는 칩을 집진하는 공작 기계라면, 본 발명은 임의의 공작 기계에 적용할 수 있다.In all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ubstrate hole perforator which forms a through hole in a printed board, but may be applied to a machine for adsorbing a workpiece other than the printed board to perform hole punching. Moreover, you may apply to the machine tool which processes other than hole punch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machine tool as long as it is a machine tool that fixes the workpiece by adsorption and collects chips generated during processing.

또한, 기판 구멍 천공기(1)는 헤드(3)가 Y방향으로 이동하고, 테이블(90)이 X방향으로 이동하는 형태였지만, 헤드(3)가 상하, 및 Y방향 뿐만 아니라 X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테이블(90)이 이동하지 않는 형태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흡착 호스(23)의 배관이 짧아지게 되고, 또한 테이블(90)의 이동을 고려할 필요가 일체 없어지므로, 흡착계의 구성이 간소해지고 신뢰성도 높아진다.The substrate hole perforator 1 has a shape in which the head 3 moves in the Y direction and the table 90 moves in the X direction, but the head 3 moves not only in the up and down and Y directions but also in the X direction. It is comprised possible and you may apply this invention to the form which the table 90 does not move. This shortens the piping of the suction hose 23 and also eliminates the need to consider the movement of the table 90.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suction system is simplified and the reliability is also high.

흡착 호스(23)의 배관 등이 곤란해지지만, 이와는 반대로 헤드(3)가 상하 방향만으로 이동하고, 테이블(90)이 X, Y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Although piping of the suction hose 23 becomes difficult, etc., on the contrary, the head 3 may move only in an up-down direction, and the table 90 may be comprised so that it may move to X and Y directions.

기판 구멍 천공기(1)에서는 흡착 호스(23)로서 2개의 호스를 수평으로 나란히 배치했지만, 볼나사(15)의 양측에 1개씩 배관해도 좋다. 이 때는 테이블(90)의 관통 구멍(21)도 원형의 것을 2개 형성하고, 각각 호스를 1개씩 접속하면 된다. 이 경우에는 홈 테이블(29)에도 관통 구멍(33)을 2개 형성하게 된다. 또한, 흡착 호스(23)의 호스를 2개로 했지만, 3개 이상으로 해도 좋다.In the board | substrate hole perforator 1, although the two hoses were arrange | positioned horizontally side by side as the suction hose 23, you may pipe one by one on both sides of the ball screw 15.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wo through-holes 21 of the table 90 are also formed, an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connect one hose each. In this case, two through holes 33 are also formed in the groove table 29. In addition, although the hose of the suction hose 23 was made into two, you may make it three or more.

본 발명은 가공에 의해 발생하는 피가공물의 가공 칩을 집진기에 의해 모으면서 가공을 행하는 집진 기능이 부여된 공작 기계에 있어서, 안정된 흡착력 및 집진력의 발휘를 실현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TION This invention can implement | achieve the stable adsorption | suction force and dust collection force in the machine tool provided with the dust collection function which processes while collecting the processed chip | tip of the to-be-processed object which arises by processing by a dust collector.

Claims (5)

해당 공작 기계에 있어서 행해지는 가공에 의해 발생하는 피가공물의 가공 칩을 집진기에 의해 모으면서 가공을 행하는 집진 기능이 부여된 공작 기계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와는 별도로 설치된 송풍기와, 상기 피가공물을 보유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보유 지지를 행하는 부위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보유 지지대와, 상기 보유 지지대의 상기 관통 구멍과 상기 송풍기의 흡기구를 접속하는 흡착 호스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기를 가동시키면 상기 관통 구멍을 거쳐서 부압을 걸어 상기 보유 지지대에 보유 지지된 상기 피가공물을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기능이 부여된 공작 기계.In a machine tool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function for performing a process by collecting a processing chip of a workpiece generated by a machining performed in the machine tool with a dust collector, the blower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dust collector, and the workpiece is held. A holding support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portion of the holding and holding the support, and a suction hose connecting the through hole of the holding support to the intake port of the blower; and when the blower is operated, a negative pressure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A machine tool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adsorbing the workpiece held by the holding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호스에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개폐하는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기능이 부여된 공작 기계.2.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ction hose is provided with a valve that opens and closes according to an instruction from the outsid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호스가 복수개의 호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기능이 부여된 공작 기계.The machine tool with a dust collecting func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uction hose comprises a plurality of hose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은 프린트 기판이고, 해당 집진 기능이 부여된 공작 기계는 상기 프린트 기판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공작 기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기능이 부여된 공작 기계.The dust collecting func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workpiece is a printed board, and the machine tool provided with the dust collecting function is a machine tool for forming a through hole in the printed board. Machine too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대는, 상면에 상기 흡착 호스에 연통하는 홈이 형성된 홈 테이블과, 상기 홈 테이블의 상면에 중합되는 판형 부재이며 상기 프린트 기판의 외형 및 상기 홈 테이블에 형성된 홈의 위치에 대응하여 관통 구멍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기가 가동되면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관통 구멍을 거쳐서 부압을 걸어 상기 판형 부재의 상면에 적재된 상기 프린트 기판을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기능이 부여된 공작 기계.The groove of claim 4, wherein the holding table includes a groove table having a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hos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plate-shaped member polymeriz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groove table. A dust collecting function comprising a plate having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and when the blower is operated, a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plate to adsorb the printed board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Endowed machine tool.
KR1020000050264A 1999-08-30 2000-08-29 Machine Tool Having Dust Collecting Function KR2001002145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337199A JP2001062665A (en) 1999-08-30 1999-08-30 Machine tool with dust collecting function
JP99-243371 1999-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450A true KR20010021450A (en) 2001-03-15

Family

ID=17102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264A KR20010021450A (en) 1999-08-30 2000-08-29 Machine Tool Having Dust Collecting Function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1062665A (en)
KR (1) KR20010021450A (en)
TW (1) TW460343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57362A1 (en) * 2004-11-25 2006-06-01 Honda Motor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chip of connecting rod
JP6342777B2 (en) * 2014-10-09 2018-06-13 株式会社ケーヒン Method of operating substrate cutting apparatus and substrate cutting apparatus
KR101744410B1 (en) 2015-10-13 2017-06-07 현대위아 주식회사 Cutting apparatus
CN106112053A (en) * 2016-08-17 2016-11-16 江门市鸿凯换向器有限公司 A kind of finishing machine of diverter centre bore
CN106808026B (en) * 2016-12-30 2021-03-30 浙江三信智能机械科技有限公司 Rotor cutting machine
CN108326125A (en) * 2018-01-31 2018-07-27 湖州剑力金属制品有限公司 Auto parts and components punch mechanism with strong suction iron filings
CN108326124A (en) * 2018-01-31 2018-07-27 湖州剑力金属制品有限公司 The sealing suction iron filings mechanism of auto parts and components punch mechanism
CN108115042A (en) * 2018-01-31 2018-06-05 湖州剑力金属制品有限公司 The pore pressure mould of auto parts and components punch mechanism
CN108145012A (en) * 2018-01-31 2018-06-12 湖州剑力金属制品有限公司 Side blow mechanism with automatic suction iron filings
CN108097791A (en) * 2018-01-31 2018-06-01 湖州剑力金属制品有限公司 Through type sealing suction iron filings mechanism
CN108057766A (en) * 2018-01-31 2018-05-22 湖州剑力金属制品有限公司 Auto parts and components punch mechanism
CN109049075B (en) * 2018-07-25 2021-07-30 恒安(重庆)生活用纸有限公司 Automatic slitting device for papermaking forming
CN111941564B (en) * 2020-08-12 2021-08-27 厉航恺 Special machine for slotting cocooning frames for silkworm breeding and using method thereof
CN112475464A (en) * 2020-10-22 2021-03-12 海宁市冯氏科技股份有限公司 High-precision automatic chamfering device for lock body
CN113134637A (en) * 2021-04-13 2021-07-20 浙江晟克科技有限公司 Drill bit device and flexible drilling machine
CN115488383A (en) * 2022-09-28 2022-12-20 深圳市钜匠科技有限公司 CNC machining center for drilling of circuit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60343B (en) 2001-10-21
JP2001062665A (en) 2001-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1450A (en) Machine Tool Having Dust Collecting Function
EP1486288B1 (en) Printed board machining apparatus
JP4795377B2 (en) Laser processing equipment
JP2543652B2 (en) Parts suction fixing device
CN111702544B (en) Robot, dust collecting device, and dust collecting method
JP2000334697A (en) Device for retaining printed circuit board
JP2008087131A (en) Machining table for workpiece of easily grinding property, fixing method thereof and attachment plate therefor
JPH02139148A (en) Vacuum suction table
JP2585298Y2 (en) Work adsorption part in chip bonding equipment
JP2008168404A (en) Drilling device
CN208245975U (en) A kind of wiring board gong trigger
JP2004261926A (en) Boring device
CN214920802U (en) NCN lower milling plate mechanism
JPH01281840A (en) Chip removing device
CN201455545U (en) Laser machining equipment and dust collection device
JP2973344B2 (en) Transfer positioning robot
CN215999120U (en) Cutting device integrating laser marking
CN216827819U (en) Jig for cutting sheet-like workpiece
JP3799406B2 (en) Cutting hole processing method
JPH0538647A (en) Suction table
CN216096994U (en) Laser marking jig and laser marking machine
JP2542161Y2 (en) Automatic adjustment device for dust collecting force of printed circuit board processing machine
CN216331125U (en) Accurate glyptic environment-friendly numerical control engraver
CN220156754U (en) Assembly mechanism
CN218576517U (en) Be applied to jet-propelled dust collector on cu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