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0554A - 포장된 절연재 블로잉장치 및 블로잉방법 - Google Patents

포장된 절연재 블로잉장치 및 블로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0554A
KR20010020554A KR1019997012414A KR19997012414A KR20010020554A KR 20010020554 A KR20010020554 A KR 20010020554A KR 1019997012414 A KR1019997012414 A KR 1019997012414A KR 19997012414 A KR19997012414 A KR 19997012414A KR 20010020554 A KR20010020554 A KR 20010020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insulation
insulator
forc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2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울트잭디.
트라볼드마크
팬츠에드워드에프.
누네마이클제이.
리버스데이비드에스.
Original Assignee
써튼티드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써튼티드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써튼티드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20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55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06Implements for applying plaster, insulating material, or the like
    • E04F21/08Mechanical implements
    • E04F21/12Mechanical implements acting by gas pressure, e.g. steam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1/00Solid material comminution or disintegration
    • Y10S241/605Hay unba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묶여진 절연재 포장물로부터 절연재를 시설하는 차륜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이동벽(52)은 풀려진 절연재 포장물로부터 절연재를 분쇄하는 작업이 일어나는 베이스(24)의 분배단부(32)쪽으로 풀려진 절연재 포장물을 구동수단(66, 68)을 통해 연속적으로 이동시킨다. 분쇄작업은 복수의 피커드럼(78)에 의해 이루어진다. 각 피커드럼(78)은 그 원주상에 위치하고 풀려진 포장물로부터 절연재 덩어리를 연마하여 제거하는 복수의 연마기를 가지며, 그 덩어리를 혼합기(98a, 98b, 98c)로 떨어뜨린다. 혼합기에서 절연재는 미세입자물질로 형성된 다음 에어블로워(110)로 투입된다.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는 힘 측정기(120)가 작동가능하게 분쇄기에 연결된다.

Description

포장된 절연재 블로잉장치 및 블로잉방법{BALED INSULATION MATERIAL BLOW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과 관련된 절연재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입상화(粒狀化)된 암면, 입상화된 광물성 섬유, 유리섬유재, 셀룰로스섬유, 확장된 운모(expanded mica)등과 같은 섬유를 포함한다. 이 절연재는 미세한 형태이고, 표면상에 절연 및 기밀코팅을 형성하도록 건식(dry) 블로잉되거나 액체가 첨가되어 노즐을 통해 분무될 수 있다. 절연재는 주거지역 또는 작업장의 통상적인 벽 및 천정에 블로잉되고 또한 원하는 모든 표면상에도 분무될 수 있다.
종래의 절연재 분무기 및 블로잉기에 사용된 절연재는 사용자에게 이송하기 위해 보통 자루 및 부대내에 매우 압축된 상태로 포장되지만 상대적으로 느슨한 상태이다. 이 자루 및 부대는 개방되어 통상 수작업으로 종래의 절연재 분무기의 수용호퍼(receiving hopper)내에 넣어진다. 호머 지 워튼(Homer G. Woten)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4,411,390호는 공기호스를 통해 분배노즐로 재료공급을 필요로하는 종래의 장치에 절연재가 사용되기에 어렵게 만드는 문제점은 절연재의 압축된 덩어리로부터 발생된다는 것을 인식한다. 절연재의 작은 덩어리를 포함하는 이러한 큰 덩어리를 줄이기 위해, 절연재가 어느 정도 서로 감겨있어 분리되지는 않지만 미세한 형태로의 분리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입상(particulate)"이라는 용어는 입자(particle)뿐만 아니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로 얽힌 또는 중첩된 섬유로 이해되고, 따라서 편의상 "입상물"은 섬유뿐만 아니라 입자의 형태로 된 물질도 포함하는 것이다. 조밀하게된 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이 문제는 미국특허 제 3,085,834호 및 제 3,529,870호를 포함하여 동일 특허권자에 의해 소유되는 다른 특허뿐만 아니라 전술한 특허에 의해 극복된다.
이 절연재를 상술된 입상의 형태뿐만 아니라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도포하기 위해, 바람직한 절연재 블로잉장치는 도포의 편의 및 경제성 때문에 차륜 차량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절연재가 절연재 블로잉장치의 호퍼내로 채워지면서 절연재가 채워진 자루 또는 부대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호퍼는 상대적으로 제한된 용량을 갖기 때문에, 현장 작업자는 절연재가 담긴 자루 또는 부대를 찾아서 가져와 열고 호퍼내로 채운 다음 자루 또는 부대를 처분하는데 계속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통상, 이러한 작업은 상기의 작업자에게 동료 작업자가 블로워(blower)에 부착된 호스의 노즐단부에서 절연재를 도포하는 동안 거의 전시간에 걸쳐 계속되는 작업이다. 이러한 노동집약적인 작업은 비경제적이고 시간소모적인 것이어서, 블로잉장치는 항상 유용가능한 절연재를 연속적으로 더욱 적절히 공급하면서 절연재 도포를 위해 오직 한 명의 작업자만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1981년 9월 30일 공개되고 후에 취하된 영국 특허출원 GB 2072352A는 종래의 절연재 분배용 블로워를 향하여 포장물을 나르는 가동 층구조물을 구비한 트럭의 측면상에 적재된 포장물을 사용함으로써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시도하였다. 포장물 및 밴딩수단(means of banding)은 동일하지 않지만 절연재가 블로워에 부착된 호스를 통해 내뿜어지도록 포장물이 블로잉되는 종래의 절연재 블로워의 호퍼를 향하는 가동 층구조물에 의해 압박되어진다. 종래의 블로잉장치는 절연재의 매우 조밀한 포장물을 받아들일 수 없고, 효율적 및 경제적으로 블로잉장치내로 들어가기에 필요한 입상물질을 생성할 수 없다. 따라서, 포장물이 너무 느슨하여 적재되기전에 산산이 부서지거나 또는 포장물이 매우 조밀하여 종래의 블로잉장치에 의해 필요한 입상형태로 부숴지기엔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블로잉장치에 필요한 절연재의 공급하려는 이 시도는 그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 따라서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상술된 공정은 만약 동작가능하다면 성공적이지 못한 비경제적인 절연재 블로잉 기술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포장물로부터 절연재를 분리하여 종래의 에어블로워(air blower)를 통해 절연될 표면상으로 분배(dispensing)하는 독특한 절연재 포장물 수용장치로 포장된(baled) 절연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스템에 의해 분배되는 절연재의 양을 전자적으로 판정하고 감시하는 수단, 및 소정의 여러 변수에 기초하여 절연재의 분배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빌딩 또는 기타 구조물에 경제적인 방법으로 도포되는 절연재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미세한 절연재를 압축공기로 블로잉(blowing)하거나 분무(spraying)함으로써 절연재의 포장물(bale)로부터 빌딩 또는 기타 구조물의 표면에 경제적 및 효율적으로 미세한 절연재를 도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상부에 본 발명에 따른 포장된 절연재 블로잉장치를 가지는 차량의 측면 입면도로서, 포장물로부터 스트랩 제거를 위한 차량내부의 측벽과 측면도어 및 에어블로워로부터의 출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후방도어가 열려진 도 1의 차량의 단부 입면도로서, 차량내부의 왼쪽 측면 및 래치를 수반하는 이동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이동도어를 나타낸다. 오른쪽 측면 내부는 왼쪽 측면과 동일하다.
도 3은 포장물을 형성하는 절연재를 둘러싸는 복수의 스트랩을 나타내는 전형적인 절연재 포장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과 동일한 차량의 왼쪽 측면을 나타내는 부분 가상선으로 표시되고 부분 절단된 사시도로서, 여기서는 차량의 베이스로 포장물이 적재되어져 있는 것이 도시되며, 스트랩 제거도어는 열려져서 부분적으로 제거된 포장물을 둘러싸는 스트랩을 보여준다. 또한 절연재 포장물을 연마하여 그것을 혼합기로 투하하는 수직 위치된 피커드럼이 도시된다.
도 5는 도 4와 유사한 부분 절단된 사시도로서, 풀려진 포장물을 잘게 분쇄하여 연마시키는 회전 피커드럼을 포함하는 포장물 수용단부쪽으로 풀려진 절연재 포장물을 가압하는 이동벽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절연재 블로잉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의 왼쪽 측면에 대한 정면 입면도로서, 동일한 오른쪽 측면은 가상선으로 도시된다. 특히 이 도면에는 분쇄기를 형성하는 피커드럼과 각 드럼의 원주를 따라 분산되어 있는 스쿠프가 도시되어 있다. 점선으로 도시된 3개의 혼합기가 도시되며 출구를 가진 에어블로워를 형성하는 에어록(air lock)이 또한 도시된다.
도 7은 도 6의 선 7-7에 따른 부분 절단된 단면도로서, 분쇄기를 형성하는 피커드럼의 회전 및 여러개의 혼합기와 회전핑거의 여러 축선의 협동을 보여준다.
도 8은 도 6의 선 8-8에 따른 부분 절단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분쇄기를 형성하는 피커드럼의 회전을 위한 기어장치를 보여준다.
도 9는 도 6의 선 9-9에 따른 부분 절단된 도면으로서, 이동벽과 절연재 포장물을 분쇄기를 향해 가압하는 힘을 형성하는 구동수단의 제어기에 연결된 힘 측정기와 스트레인 게이지를 나타낸다.
도 10은 상호연결하는 체인시스템, 체인을 작동하는 램 구동수단, 및 이 램에 협동적으로 연합하여 이 시스템에 의해 처리된 절연재의 양을 판정 및 감시하고 그렇지 않으면 교대로 이 시스템에 의한 절연재 분배를 여러가지 소정의 변수들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전자수단을 작동시키는 기어장치를 포함하는 이동벽을 형성하는 한쌍의 이동도어를 위한 구동시스템의 개략적인 골격도이다.
도 10a는 위치 변환기로서 구현된 선형 전압 차동 변환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위치 변환기로서 구현된 회전 엔코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c는 컴퓨터와 관련 주변장치로 구현된 본 발명의 신호수신수단을 나타내는 블럭도면이다.
도 11은 이동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이동벽 도어의 후방면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래치장치와 이동도어를 위한 지지부와 롤러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묶여진(bound) 절연재 포장물로부터 절연재를 시설(install)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포장물은 주위를 감싸는 고정 측벽을 구비한 가늘고 긴 베이스(base)상에 지지되고, 포장물을 묶는 스트랩(strap)은 스트랩 제거도어(removal door)를 통해 제거된다. 베이스에 횡단하여 측벽 사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이동벽(movable wall)은 구동수단을 통해 풀려진(unbound) 절연재 포장물로부터 절연재의 분쇄가 일어나는 베이스의 분배단부(dispensing end)를 향하여 풀려진 절연재 포장물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킨다. 분쇄는 베이스 위로 좌우로 연장하는 횡단바(cross bar)에 의해 지지되고 저널(journal)되는 인접한 수직축선 주위를 회전하는 복수의 피커드럼(picker drum)에 의해 수행된다. 각 피커드럼은 그 원주상에 풀려진 포장물로부터 절연재 덩어리를 연마 및 제거하여 절연재 덩어리를 혼합기내로 투하하는 스쿠프(scoop)형태의 복수의 연마기를 가지며, 혼합기에서 절연재는 입상물형태로 되어 블로잉 재료 분배용 호스(hose) 및 노즐로 형성된 에어블로워내로 투입된다. 분쇄기를 형성하는 회전드럼에 대한 포장물의 힘을 적당하게 유지하기 위해, 힘 측정기는 분쇄기(shredder)의 드럼(drum)에 대해 절연재 포장물에 의해 가해지는 수평방향의 힘을 연속적으로 판정하도록 분쇄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다. 힘 측정기는 분쇄기의 드럼에 대한 절연재 포장물의 힘에 의해 야기되는 횡단바의 변형을 측정하고 구동수단에 의해 발생된 힘을 조절하기 위한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시스템을 운반하는 차륜 차량이다.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분배된 절연재의 양을 판정하고 감시하며, 일단 소정의 절연재의 양이 분배되면 자동적으로 시스템을 중지하고, 또는 소정의 여러 변수에 기초하여 절연재의 분배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전자수단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로서 트럭 형태의 차륜 자동차(20)를 나타낸다. 트럭(20)은 차대(22)를 포함하며 그 위에는 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되고 도 2의 트럭(22)의 끝면도에서 도시되는 가늘고 긴 평탄한 수평베이스(24)가 위치한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서 가장 잘 도시된 트럭은 베이스(24)의 길이만큼 연장하는 바깥쪽벽(26)(outer wall)과 안쪽벽(27)(inner wall)을 가지는 내부영역(A)을 포함한다. 외부벽(28, 28)(outside wall)은 트럭(20)의 가장 바깥쪽 경계를 형성하며, 연결벽(29)에 의해 각 바깥쪽벽(26)에 연결된다. 바깥쪽벽(26)에는 도 10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벽(26, 27)사이의 영역(A)에 접근하기 위한 참조번호(38)에 적절히 힌지(hinge)되어 있는 도어(31)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30)(opening)가 제공된다.
영역(A)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W)과 높이(H)를 가진다. 높이(H)는 포장물(B)의 높이(H')보다 1배 내지 3배이상이며, 폭(W)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재(M)의 포장물(B)의 폭(W')에 대충 일치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재(M)는 포장물(B)을 둘러싸는 복수의 스트랩에 의해 포장물 형상으로 묶여져서 묶여진 절연재 포장물을 형성한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물은 베이스(24)상으로 적재된다. 포장물(B)의 트럭적재량은 현장에서의 블로잉작업을 위한 하루 공급량이 될 것이라고 예상된다.
포장물(B)은 도 1에서의 가상선과 도 5에서의 실선으로 도시된 분배단부(32)쪽으로 제어가능한 힘에 의해 가압된다. 베이스의 대향 말단부(34)(distal end)에서 포장물(B)은 한 쌍의 이동도어(36)(movable door)를 통해 적재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는 적절한 피벗점(pivot point)(38)에서 힌지되어 있어 개개의 도어(36, 36)는 래치부재(latch member)(40)가 래치피벗(latch pivot)(42)주위로 올려질 때 개방된다. 가늘고 긴 바(bar)의 형식으로 된 래치(40)는 안전잠금을 위해 각각의 래치바(40)를 위한 래치 수용용기(44)내에 수용된다. 래치바(40)는 복수의 피벗(43a)에서 각 래치부재(4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핸들(43)을 들어올림으로써 래치바 수용용기(44)로부터 제거된다. 그다음에 각 래치바(40)는 거의 수직위치로 상승되고 도어(36, 36)는 베이스(24)로부터 바깥쪽으로 선회되어 포장된 형태의 포장물(B)을 적재할 준비가 된다.
이동도어(36)는 도어(36, 36)의 바깥쪽 피벗측상의 직립 바 부재(46)를 포함하는 지지구조체에 고정되어지고 수평 상부 지지부재(47, 47)와 하부 지지부재(48, 48)에 의해 지지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부 지지부재(50)는 피벗(38)주위로 도어(36, 36)을 선회하기 위한 지지부를 제공한다. 이동도어(36, 36)는 상부 지지부재(47, 47)와 하부 지지부재(48, 48)뿐만 아니라, 피벗 및 이동도어(36, 36)를 포함하는 단일 형태인 이동벽(52)으로 언급될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벽(52)은 한 쌍의 평행레일(54, 54)에 의해 적절히 지지되며, 그 위로 이동벽은 최상부 부재(50)에 연결되고 그것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한 수직 연장아암(58, 58)에 각각 고정된 적절한 롤러(56, 56)를 사용하여 이동한다.
한쪽 단부에 있는 상부 풀리(60, 60)와 포장물 수용단부(32)에 있는 상부풀리(62, 62)를 포함하는 풀리시스템은 대응 체인(64, 64)(chain)과 함께 작동하여 이동벽(52)을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동벽의 바닥에는 유사한 풀리 및 체인장치가 도시되며 체인(70, 70)과 함께 작동하는 한쪽 단부에 풀리(66, 66) 및 다른쪽 단부에 풀리(68, 68)가 체인(66, 64) 및 그들의 대응 풀리와 완전히 동일하게 작동한다. 구동축(72) 및 이에 동반 하는 풀리(74, 74)는 이하 기술될 목적을 위해 종래의 유압펌프(P)에 의해 구동되고 제어기(C)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V)에 의해 제어되는 유압 램(76)(hydraulic ram)에 의해 체인(75, 75)을 통하여 작동된다.
특히, 도 4, 도 5,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벽(52)이 풀려진 절연재 포장물을 가압하는 방향인 분배단부(32)는 도면에서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도시된 4개의 복수의 피커드럼(78)을 가지는 분쇄기(77)를 포함한다. 그러나 그러한 피커드럼(78)의 갯수는 중요한 것이 아니며 도시된 4개보다 더 많을수도 또는 더 적을수도 있다. 각 피커드럼은 구동기어(81)(구동원은 비도시됨)를 통하여 그리고 큰 기어(84, 84) 및 큰 기어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체인(82, 82)을 통해 독립기어(87, 87)을 교대로 회전시키는 작은 기어(86, 86)에 의해 회전되는 일련의 종래 무한 체인(82, 82)의 조합에 의하여 그 자체의 수직축선(80)주위로 회전되어, 기어 및 그에 따른 피커드럼(78)은 도 7 및 도 8의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피커드럼(78)에는 그 원주상에 각 피커드럼(78)의 원주(90)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연마기(abrader) 또는 스쿠프(88)(scoop)가 제공된다. 피커드럼(78)은 풀려진 절연재(M)의 포장물과 접촉하여 분쇄 또는 연마 기능을 행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78)이 회전하면, 절연재는 포장물에서 덩어리형태로 찢겨져서 화살표(92, 92)방향으로 전진 가압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연마기 또는 스쿠프(88)는 풀려진 포장물로부터 재료를 연마하여 한 쌍의 상부 혼합기(98a, 98b)(blender)와 하부 혼합기(98c)를 포함하는 복수의 혼합기를 가지는 혼합부(96)로 재료를 향하게 하면서 절연재를 퍼내는 피커드럼(78)의 회전방향으로 향한 오목표면(94)을 가진다. 도 6 및 도 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부 혼합기(98a, 98b)는 화살표(102)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 방향으로 축선(100a, 100b)주위로 각각 회전하여 풀려진 포장물로부터 찢어진 또는 연마된 절연재 덩어리를 수용한다. 각각의 축선(100a, 100b)주위로 회전하는 혼합기(98a, 98b)는 절연재의 작은 덩어리 또는 다른 그룹(grouping)을 포함하는 절연재 덩어리를 세분한다. 방사상 핑거(104)(radial finger)가 높은 핑거선단속도로 회전하면, 작은 덩어리는 세분화되어 입상물의 입자를 형성한다. 비록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큰 혼합기(98a, 98b)의 핑거(104)는 최대범위 250 내지 4,000 inch/sec 내에서 선단속도를 가지면서 축선(100a, 100b)의 주위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비록 사용된 절연재의 특정형태에 따라 많이 달라지기는 하지만, 선단속도는 800 내지 1,200 inch/sec 의 범위내이며 2,000 inch/sec 근방 또는 그 이상으로 상승해도 된다.
대향 회전하는 두개의 상부 혼합기(98a, 98b)를 통과하는 절연재는 더 작은 직경을 가지나 축선(107)주위로 증가된 선단속도로 회전하는 혼합기(98c)를 향해 아랫쪽으로 가압된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하부 혼합기(98c)의 핑거(108)는 500 내지 4,000 inch/sec 사이의 선단속도로 회전하며, 통과하는 절연재의 형태에 따라 하부 혼합기(98c)의 선단속도는 두개의 상부 혼합기(98a, 98b)보다 더 커야만 한다. 혼합기(98c)는 다음에 종래의 에어록 블로워(110)내로 통과하는 입자형태의 덩어리가 없는 가공된 절연 입상물을 수용한다. 이 에어록은 호머 지 워튼(Homer G. Woten)에게 특허된 전술한 미국 특허 제 4,411,390 호에 개시된 형태이다.
풀려진 절연재(M)의 포장물(B)을 분쇄기 또는 피커드럼(78)쪽으로 가압하는데 있어서 이동벽(52)의 힘을 최적화하고 상대적으로 일정한 힘을 유지하기 위하여,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커드럼(78)의 축선(80)들은 점(111)에서 횡단바(110)내로 저널(journal)되어진다. 절연재 포장물이 피커드럼(78)을 향하여 화살표(112)방향으로 이동할 때(도 7 및 도 9 참조), 포장물의 이동력에 의한 횡단바(110)의 변형이 A-프레임(114)에 의해 검출되며, 종래 스트레인 게이지(116)가 한 쪽 단부(115)에서는 A-프레임에 부착되고 다른 쪽 단부(115a)에서는 횡단바(110)에 부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포장물의 이동으로 인한 횡단바(110)의 매우 미세한 변형을 검출할 수 있다. 그 어떠한 변형도 리드(120)(lead)를 통해 다이얼(118)(dial)상에 표시되거나 또는 힘의 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신호가 리드(120)를 통해 전술한 도 10의 제어기(C)에 전달되어서 밸브(V)를 통해 램(76)으로의 유체흐름을 조정한다. 이러한 조정을 통하여 포장물(B) 및 피커드럼 또는 분쇄기(78)에 대하여 이동벽의 힘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정한 소정 힘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하여 운반되는 절연재(M)의 양과 무게는 균일하게 되어 노즐에서의 작업자(비도시)는 상대적으로 균일한 양의 절연재를 선택물의 표면에 분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분배단부(32)에서 분배되는 절연재의 양을 판정하기 위한 정량 판정기를 포함한다. 이 목적을 위해 도 10의 기어장치(98)는 유압 램(76)으로부터 출입하는 동안 기어(102)를 회전시키는 램 로드(ram rod)(100)를 포함한다. 또한, 위치 변환기(position transducer)는 기어장치(98)와 연합하여 유압 램(76)내의 기준위치로부터 램 로드(100)가 변위된 양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공한다. 비록 변환기를 통해위치를 판정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많은 수단이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으나 많이 사용되는 두개의 수단이 도 10a 및 도10b에 도시된다.
도 10a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램 로드(100)의 선형 위치는 유압 램(76)내에 배치된 선형 전압 차동 변환기(LVDT)를 통해 직접적으로 변환된다. 램 로드(100)가 일차권선(76A)과 이차권선(76B)사이에서 코어(100A)(core)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감겨져 있는 일차권선(76A)에 전압(125)이 인가된다. 램 로드(100)의 이동은 코어(100A)의 위치를 변화시켜서 일차권선(76A)과 이차권선(76B)사이의 커플링(coupling)의 투자율(permeability)에 영항을 준다. 투자율의 변화는 일차권선(76A)과 이차권선(76B)사이의 자기 커플링(magnetic coupling)에 영향을 주며 따라서 코어(100A)의 이동에 비례하여 전압출력을 변화시킨다. 그러한 가변 전압출력은 A/D 변환기(126)에서 판독되어 컴퓨터(129)에 디지털 형태로 출력된다. LVDT를 영에서부터 최대눈금까지 적절한 눈금매김으로써, A/D 변환기(126)의 디지털 출력은 기준위치로부터 최대 연장위치까지 램 로드(100)의 선형 변위에 비례하게 된다. 대안으로서는, 도 10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램 로드(100)의 선형 변위는 도 10 및 도 10b에 도시된 축지지부(131)내에 장착되어진 회전엔코터(135)(rotary encoder)에 의해 판정된다. 기어(102)용 기어축(130)에는 축(130)과 함께 직접적으로 회전하는 자기요소(132)가 제공된다. 축(130)이 회전하면, 요소(132)는 회전엔코더(135)의 하우징내로 연장되어 있어 축의 원주주위에 배치된 픽업센서(133)(pick-up sensor)에 근접하여 이동한다. 픽업센서(133)는 전기적 신호를 신호엔코더(134)(signal encoder)에 제공한다. 신호엔코더(134)는 축(130)의 회전에 기초하여 발생된 램 로드(100)의 이동량뿐만 아니라 이동 방향(표시)까지 판정할 수 있다. 신호엔코더(134)는 센서(130)의 회전신호를 램 로드(100)의 선형 변위의 방향과 크기를 판정하는 표시-크기값으로 변환하며 그 값은 컴퓨터(129) 또는 유사 수신수단에 의해 판독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10c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기구는 키패드(136)를 사용하여 작업자에 의해 원하는 절연될 절연구조체의 R-값, 절연될 구조체의 크기(통상, 표면적), 분배될 재료의 밀도, 재료의 종류, 포장물의 크기등 및/또는 기타 변수들과 같은 여러가지 변수들로 프로그램될 수 있는 컴퓨터(129)를 포함한다. 이 정보를 통해 컴퓨터(129)는 프로그램되어 적절한 양의 절연재가 분배되었을 때 적절한 제어신호를 밸브(V)에 보냄으로써 자동적으로 절연재의 분배를 제어하거나 시스템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의 다른 요소의 제어는 예를 들면, 추가적인 변수들을 검출하고 추가적인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I/O 포트(138, 139)를 사용하여 컴퓨터(129)내로 통합될 수도 있다. 실제 분배된 양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엔코더(135)로 부터 발생한 입력과 컴퓨터(129)내에 저장된 변수들에 의해 판정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컴퓨터(129)는 소정 간격의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동안 블로잉기구를 중지시키도록 프로그램되어 원격지에서 절연재를 처리하는 작업자가 시스템에 남아있는 절연재의 양을 편리한 곳에 위치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137)를 판독함으로써 절연재의 양을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원격지 작업자는 예를 들면, 시스템이 구조체에 블로잉해야할 전체 절연재의 양중 25%, 50%, 및/또는 75%를 처리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전술한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들의 범위내에서 많은 본 발명의 변화, 조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모든 그러한 변형물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범위내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

Claims (62)

  1. 묶여진 절연재 포장물로부터 절연재를 시설(install)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베이스에 대한 길이방향 이동을 위해 상기 절연재를 지지하고, 상기 절연재용 분배단부(dispensing end) 및 이것으로부터 이격된 말단부(distal end)를 구비하는 가늘고 긴 베이스;
    상기 절연재를 상기 말단부로부터 상기 분배단부를 향해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베이스에 횡단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벽;
    상기 포장물로부터 상기 절연재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분배단부에 위치된 절연재 포장물 수용장치; 및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절연될 표면상으로 상기 절연재를 블로잉하는 에어블로워(air blow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차륜 차량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벽은 상기 각각의 벽에 고정된 구동수단에 의해 동작가능하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벽 및 상기 포장물을 상기 베이스를 따라 상기 분배단부쪽으로 또는 상기 분배단부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벽에 고정된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한 쌍의 측벽 및 상기 측벽을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와 거의 동일하게 연장하는 최상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상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벽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동벽이 상기 측벽사이에서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벽은 상기 각각의 벽에 고정된 구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베이스를 따라 상기 분배단부를 향해 또는 분배단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벽 및 상기 포장물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벽에 고정된 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한 쌍의 측벽 및 상기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와 거의 동일하게 연장하는 최상부를 구비하며,
    상기 측벽상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벽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동벽이 상기 측벽사이에서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재 포장물 수용장치는 상기 절연재 포장물로부터 절연재를 분리하는 분쇄기, 및 상기 분쇄기와 상기 에어블로워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포장물로부터 분리된 상기 절연재를 수용하고 상기 에어블로워내로 투입하기 전에 상기 절연재를 조절하는 혼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는 상기 이동벽이 상기 포장물을 이동시켜 접촉하게 하는 수직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고 수직적으로 위치된 하나 이상의 드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드럼은 상기 포장물로부터 절연재를 분리하기 위해 그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연마기가 위치하는 원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드럼은 제 2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는 인접한 수직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드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드럼은 그 위에 위치하고 그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연마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절연재 포장물에 의해 상기 분쇄기에 대해 가해지는 힘을 판정하는 힘 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는 인접한 수직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 위 좌우로 연장하는 횡단바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힘 측정기는 상기 드럼에 대해 상기 절연재 포장물의 힘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횡단바의 변형을 판정하는 스트레인 게이지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기는 상기 드럼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개방되어 상기 절연재 포장물과 접촉하는 스쿠프 형태로 형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벽은 상기 베이스를 넘어서 바깥쪽으로 개방하여 상기 복수의 절연재 포장물을 수용하도록 배치된 한 쌍 이상의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한 쌍의 측벽 및 상기 측벽을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와 거의 동일하게 연장하는 최상부를 구비하며,
    상기 측벽상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벽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동벽이 상기 측벽 사이에서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게 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재 포장물 수용장치는 상기 절연재 포장물로부터 절연재를 분리하는 분쇄기 및 상기 분쇄기와 상기 에어블로워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포장물로부터 분리된 상기 절연재를 수용하고 상기 에어블로워내로 투입하기 전에 상기 절연재를 조절하는 혼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한 쌍의 측벽 및 상기 측벽을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와 거의 동일하게 연장하는 최상부를 구비하며,
    상기 측벽상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벽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동벽이 상기 측벽 사이에서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게 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재 포장물 수용장치는 상기 절연재 포장물로부터 절연재를 분리하는 분쇄기 및 상기 분쇄기와 상기 에어블로워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포장물로부터 분리된 상기 절연재를 수용하고 상기 에어블로워내로 투입하기 전에 상기 절연재를 조절하는 혼합기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기는 상기 이동벽이 상기 포장물을 이동시켜 접촉하게 하는 수직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고 수직적으로 위치된 하나 이상의 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드럼은 상기 포장물로부터 절연재를 분리하기 위해 그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연마기가 위치하는 원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한 쌍의 측벽 및 상기 측벽을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와 거의 동일하게 연장하는 최상부를 구비하며,
    상기 측벽상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벽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동벽이 상기 측벽 사이에서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게 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재 포장물 수용장치는 상기 절연재 포장물로부터 절연재를 분리하는 분쇄기 및 상기 분쇄기와 상기 에어블로워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포장물로부터 분리된 상기 절연재를 수용하고 상기 에어블로워내로 투입하기 전에 상기 절연재를 조절하는 혼합기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기는 상기 이동벽이 상기 포장물을 이동시켜 접촉하게 하는 수직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고 수직적으로 위치된 하나 이상의 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드럼은 상기 포장물로부터 절연재를 분리하기 위해 그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연마기가 위치하는 원주를 구비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드럼은 제 2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분쇄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절연재 포장물에 의해 상기 분쇄기에 대해 가해지는 힘을 판정하는 힘 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한 쌍의 측벽 및 상기 측벽을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와 거의 동일하게 연장하는 최상부를 구비하며,
    상기 측벽상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벽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동벽이 상기 측벽 사이에서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게 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재 포장물 수용장치는 상기 절연재 포장물로부터 절연재를 분리하는 분쇄기 및 상기 분쇄기와 상기 에어블로워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포장물로부터 분리된 상기 절연재를 수용하고 상기 에어블로워내로 투입하기 전에 상기 절연재를 조절하는 혼합기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기는 상기 이동벽이 상기 포장물을 이동시켜 접촉하게 하는 수직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고 수직적으로 위치된 하나 이상의 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드럼은 상기 포장물로부터 절연재를 분리하기 위해 그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연마기가 위치하는 원주를 구비하며,
    상기 분쇄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절연재 포장물에 의해 상기 분쇄기에 대해 가해지는 힘을 판정하는 힘 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22. 제 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측벽내에 위치되고 거의 상기 측벽의 높이만큼 연장하여 상기 포장물을 풀기 위해 상기 묶여진 절연재 포장물에 접근하게 해 주는 복수의 접근 도어(access do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2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는 상기 절연재 포장물로부터 상기 분리된 절연물을 수용하고 상기 절연물을 상기 에어블로워내로 추진시키는 복수의 회전 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블로워는 에어록(air lock)이고 상기 절연재를 상기 표면상에 블로잉하기 위한 출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2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벽용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힘 측정기는 상기 힘의 변화를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재 포장물에 대해 상기 벽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신호에 민감한 상기 구동수단용 제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26. 묶여진 절연재 포장물의 절연재의 시설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베이스에 대한 길이방향 이동을 위해 상기 절연재를 지지하고, 상기 절연재용 분배단부 및 이것으로부터 이격된 말단부를 구비하는 가늘고 긴 베이스;
    상기 절연재를 상기 말단부로부터 상기 분배단부를 향해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베이스에 횡단하는 이동힘 제공 표면;
    상기 포장물로부터 상기 절연재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분배단부에 위치된 절연재 포장물 수용장치;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절연될 표면상으로 상기 절연재를 블로잉하는 에어블로워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은 제어가능한 힘으로 상기 절연재 포장물을 상기 수용장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제어 시스템.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재 포장물 수용 장치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용장치상의 힘의 변화를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힘 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제어 시스템.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재 포장물 수용장치는 상기 절연재 포장물로부터 절연재를 분리하는 분쇄기 및 상기 분쇄기와 상기 에어블로워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포장물로부터 분리된 상기 절연재를 수용하고 상기 에어블로워내로 투입하기 전에 상기 절연재를 조절하는 혼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제어 시스템.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힘 측정기는 상기 분쇄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절연재 포장물에 의해 상기 분쇄기에 가해지는 힘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제어 시스템.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는 인접한 수직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 위 좌우로 연장하는 횡단바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힘 측정기는 상기 드럼에 대해 상기 절연재 포장물의 힘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횡단바의 변형을 판정하는 스트레인 게이지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제어 시스템.
  31. 묶여진 절연재 포장물내의 절연재를 시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묶여진 절연재 포장물을 가늘고 긴 베이스상에 지지하는 단계;
    풀려진 절연재 포장물을 만들기 위해 상기 묶여진 절연재 포장물을 푸는 단계;
    분배단부로부터 이격된 상기 베이스의 말단부로부터 분배단부를 향해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묶여진 절연재 포장물을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풀려진 절연재 포장물로부터 상기 절연재를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절연재를 분배하기 위해 상기 절연재를 에어블로워내로 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묶여진 절연재 포장물을 상기 각각의 포장물을 개별적으로 둘러싸는 스트랩으로 묶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방법.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를 운반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에 차륜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방법.
  34.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단계는 상기 풀려진 절연재 포장물로부터 상기 절연재를 분쇄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방법.
  35. 제 31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하기 위해 상기 분리단계 다음에 상기 절연재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향하게 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단계로부터의 상기 절연재를 상기 에어블로워로 투입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방법.
  36. 묶여진 절연재 포장물내의 절연재를 시설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묶여진 절연재 포장물을 가늘고 긴 베이스상에 지지시키는 단계;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묶여진 절연재 포장물을 그로부터 이격된 상기 베이스의 말단부로부터 분배단부쪽으로 제어가능한 힘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풀려진 절연재 포장물로부터 상기 절연재를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절연재를 분배하기 위해 상기 절연재를 에어블로워로 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방법.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단계동안에 상기 힘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에 따라 상기 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방법.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힘의 측정단계는 상기 힘에 의해 야기되는 변형을 검출하기 위한 스트레인 게이지로 행해지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방법.
  39.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단계는 복수의 드럼을 포함하는 분쇄기로부터 분쇄시킴으로써 행해지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방법.
  40. 제 36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단계 다음의 상기 절연재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향하게 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단계로부터의 상기 절연재를 상기 에어블로워내로 투입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방법.
  41.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묶여진 절연재 포장물을 상기 각각의 포장물을 개별적으로 둘러싸는 스트랩으로 묶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방법.
  42. 제 36항에 있어서,
    풀려진 절연재 포장물로 만들기 위해 상기 묶여진 절연재 포장물을 푸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방법.
  43.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묶여진 절연재 포장물을 상기 각각의 포장물을 개별적으로 둘러싸는 스트랩으로 묶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방법.
  44.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단계는 상기 풀려진 절연재 포장물로부터 상기 절연재를 분쇄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방법.
  45.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단계동안에 상기 힘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에 따라 상기 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힘의 측정단계는 상기 힘에 의해 야기되는 변형을 검출하기 위한 스트레인 게이지로 행해지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방법.
  46.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단계동안에 상기 힘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에 따라 상기 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힘의 측정단계는 상기 힘에 의해 야기되는 변형을 판정하기 위한 스트레인 게이지로 행해지는 단계이며,
    상기 분리단계는 복수의 드럼을 포함하는 분쇄기로부터 분쇄시킴으로써 행해지는 단계이며,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방법.
  4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묶여진 절연재 포장물을 상기 각각의 포장물을 개별적으로 둘러싸는 스트랩으로 묶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단계는 상기 풀려진 절연재 포장물로부터 상기 절연재를 분쇄하는 단계이며,
    상기 분리단계는 복수의 드럼을 포함하는 분쇄기로부터 분쇄시킴으로써 행해지는 단계이며,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방법.
  48.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묶여진 절연재 포장물을 상기 각각의 포장물을 개별적으로 둘러싸는 스트랩으로 묶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단계는 복수의 드럼을 포함하는 분쇄기로부터 분쇄시킴으로써 행해지는 단계이며,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단계동안 상기 힘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에 따라 상기 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방법.
  49.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묶여진 절연재 포장물을 상기 각각의 포장물을 개별적으로 둘러싸는 스트랩으로 묶는 단계와;
    상기 분리단계는 복수의 드럼을 포함하는 분쇄기로부터 분쇄시킴으로써 행해지는 단계이며,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단계동안 상기 힘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에 따라 상기 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힘의 측정단계는 상기 힘에 의해 야기되는 변형을 판정하기 위한 스트레인 게이지로 행해지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방법.
  50. 제 36항에 있어서,
    실질적인 균일한 밀도를 만들기 위해 상기 분리단계 다음에 상기 절연재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향하게 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단계로부터의 상기 절연재를 상기 에어블로워내로 투입하는 단계이며,
    상기 각각의 묶여진 절연재 포장물을 상기 각각의 포장물을 개별적으로 둘러싸는 스트랩으로 묶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단계는 복수의 드럼을 포함하는 분쇄기로부터 분쇄시킴으로써 행해지는 단계이며,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단계동안 상기 힘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에 따라 상기 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힘의 측정단계는 상기 힘에 의해 야기되는 변형을 판정하기 위한 스트레인 게이지로 행해지는 단계이며,
    상기 베이스를 운반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상에 차륜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방법.
  5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 의해 분배되는 절연재의 양을 판정하기 위한 전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52. 제 1항에 있어서,
    여러가지 소정 변수들에 기초하여 시스템에 의한 절연재의 분배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컴퓨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53. 제 1항에 있어서,
    소정의 절연재 양이 분배되면 시스템을 자동적으로 중지시키는 전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5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수단은 위치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5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수단은 알려진 전압이 공급되면 상기 이동벽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 2전압을 발생시키는 위치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56.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수단은 상기 위치 변환기에 의해 발생된 전압을 수용하는 수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57.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수단은 계량기(me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58.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수단은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5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수단은 소정의 변수들에 기초하여 시스템에 의해 분배되는 절연재의 분배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6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수단은 소정의 간격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동안 시스템을 정지시키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61. 묶여진 절연재 포장물로부터 절연재를 시설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베이스에 대한 길이방향 이동을 위해 상기 절연재를 지지하고, 상기 절연재용 분배단부 및 이것으로부터 이격된 말단부를 구비하는 가늘고 긴 베이스;
    상기 포장물로부터 상기 절연재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분배단부에 위치된 절연재 포장물 수용장치;
    상기 시스템에 연결되어 상기 분배단부에서 분배된 절연재의 양을 판정하는 정량 측정기; 및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절연될 표면상으로 상기 절연재를 블로잉하는 에어블로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시스템.
  62. 절연재 포장물내의 절연재를 시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연재 포장물을 가늘고 긴 베이스상에 지지하는 단계;
    분배단부로부터 이격된 상기 베이스의 말단부로부터 분배단부를 향해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절연재 포장물을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절연재 포장물로부터 상기 절연재를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절연재를 분배하기 위해 상기 절연재를 에어블로워내로 향하게 하는 단계; 및
    분배된 절연재의 양을 판정하여 상기 분배단부를 향해 상기 포장물의 이동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 시설 방법.
KR1019997012414A 1997-06-30 1998-06-30 포장된 절연재 블로잉장치 및 블로잉방법 KR200100205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85,521 1997-06-30
US08/885,521 US6088968A (en) 1997-06-30 1997-06-30 Baled insulation material blowing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554A true KR20010020554A (ko) 2001-03-15

Family

ID=25387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2414A KR20010020554A (ko) 1997-06-30 1998-06-30 포장된 절연재 블로잉장치 및 블로잉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088968A (ko)
EP (1) EP1007798B1 (ko)
KR (1) KR20010020554A (ko)
AT (1) ATE268842T1 (ko)
AU (1) AU8275598A (ko)
DE (1) DE69824423D1 (ko)
WO (1) WO19990005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8968A (en) * 1997-06-30 2000-07-18 Certainteed Corporation Baled insulation material blowing apparatus and method
DE19947979C2 (de) * 1999-10-05 2002-01-31 Markus Gleixner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Schüttgut oder Fasermaterial aus einem Vorrat zu einer Fördereinheit
FR2802767B1 (fr) * 1999-12-24 2002-10-31 Lucas Sa G Dispositif de demelage-dechiquetage pour tous types de fourrage et produits conditionnes en balles
US6581451B2 (en) 2001-09-14 2003-06-24 Certainteed Corporation Device for measuring density of material flowing in a conveying duct
US7279073B2 (en) * 2002-08-13 2007-10-09 U.S. Greenfiber, Llc Apparatus for liquid-based fiber separation
US20080073044A1 (en) * 2002-08-13 2008-03-27 Bowman David J Apparatus for liquid-based fiber separation
EP1520948A3 (de) * 2003-09-17 2007-07-04 Markus Gleixner Fördervorrichtung, mobile Befüllanlage und Verfahren zum Einblasen von Dämmstoff in Dämmstoffkammern
US7341416B1 (en) * 2004-12-30 2008-03-11 Rubtsov Yuriy N Machine and method to feed filled bags, open the bags, empty the bags, and dispose of the empty bags
US8672247B2 (en) * 2005-07-11 2014-03-18 Fellowes, Inc. Shredder with thickness detector
WO2007123687A2 (en) * 2006-03-31 2007-11-01 Manville, Johns Method of insulating overhead cavities using spray-applied fibrous insulation and the insulation material resulting from the same
CA2559484A1 (en) * 2006-09-11 2008-03-11 John S. Lamont Straw chopper
US7721984B2 (en) * 2007-03-01 2010-05-25 Thomas Bootsma Hay bale flake-separating and flake-dispensing system and device
NO329256B1 (no) * 2009-01-30 2010-09-20 Stavanger Engineering As Apparat og fremgangsmate for kutting av emballerte bunter
CA2688590C (en) * 2009-12-14 2012-12-04 Highline Manufacturing Ltd. Bale processor for mixing two bales
US8556200B2 (en) * 2010-02-15 2013-10-15 Certainteed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fiber materials
DE102010035863A1 (de) * 2010-08-30 2012-03-01 X-Floc Dämmtechnik-Maschinen GmbH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losem Dämmstoff
US8495852B2 (en) * 2011-11-01 2013-07-30 Johns Manville Methods and systems for insulating a building
NL2009261C2 (nl) * 2012-08-01 2014-02-04 Trioliet Holding B V Verwerking van blokken of balen voer.
US10212890B2 (en) * 2014-05-19 2019-02-26 Gerald E. Rohrer Apparatus for converting large bales of forage material into small rectangular bales of forage material
DK178080B1 (en) * 2014-07-22 2015-05-04 Primewool Holding Danmark Aps Method for insulating with a fibrous material as well as a mobile insulating vehicle designed and suitabl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10465380B2 (en) * 2016-09-20 2019-11-05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Insulation dam for buried ducts and buried duct insulation depth indicato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03466A (en) * 1929-02-26 Peed mechanism
US2549876A (en) * 1945-11-13 1951-04-24 John W Williamson Rotary chopper-type hay breaker
US2903193A (en) * 1956-05-29 1959-09-08 Robert B Anderson Grinders
US3129739A (en) * 1961-01-09 1964-04-21 Farmers Nat Bank And Trust Com Portable hay shredding machine for bedding cows or the like
US3085834A (en) * 1961-03-15 1963-04-16 Homer G Woten Material spraying apparatus
US3306674A (en) * 1965-07-13 1967-02-28 Earl H Diehm Litter conveyor and distributor
US3529870A (en) * 1968-07-16 1970-09-22 Homer G Woten Insulating machine
US3722717A (en) * 1969-08-22 1973-03-27 L Stryczek Conveyor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trucks
US3926378A (en) * 1975-01-30 1975-12-16 Blair Mfg Co Hay stack disintegrating apparatus
GB2072352A (en) * 1980-03-20 1981-09-30 Pneumatic Applic Inc Installing Insulation
GB2099776B (en) * 1981-03-13 1985-05-30 Ecomax Uk Ltd Insulation dispensing apparatus
US4411390A (en) * 1981-04-06 1983-10-25 Woten Homer G Insulation blowing and spraying apparatus
US4662221A (en) * 1983-09-21 1987-05-05 Unisu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material
GB8716996D0 (en) * 1987-07-18 1987-08-26 Joloda Loading Systems Ltd Cargo space utilisation
US4844109A (en) * 1988-03-21 1989-07-04 Pablo Navarro Motor vehicle shelter
US5297368A (en) * 1992-05-11 1994-03-29 Okada Paul M Movable wall system
US5333799A (en) * 1993-02-09 1994-08-02 A & P Mfg., Inc. Bale cutting machine
SE505740C2 (sv) * 1993-08-25 1997-10-06 Gullfiber Ab Förfarande och system för lösfyllnadsisolering
US5556237A (en) * 1994-10-07 1996-09-17 Rexius Forest By-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distributing loose particulate materials
US5573190A (en) * 1995-02-10 1996-11-12 Goossen Industries & Constr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hredding a large bale
US5556041A (en) * 1995-05-23 1996-09-17 Cheesman; Donald C. Apparatus and method for debaling bales
US5653394A (en) * 1995-09-28 1997-08-05 Highline Mfg. Inc. Disintegration of baled crop materials
US5738287A (en) * 1996-01-19 1998-04-14 Fastec Manufacturing Ltd. Bale separator
US6088968A (en) * 1997-06-30 2000-07-18 Certainteed Corporation Baled insulation material blow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24423D1 (de) 2004-07-15
US6088968A (en) 2000-07-18
AU8275598A (en) 1999-01-19
WO1999000558A1 (en) 1999-01-07
EP1007798B1 (en) 2004-06-09
ATE268842T1 (de) 2004-06-15
US6659377B1 (en) 2003-12-09
EP1007798A1 (en) 2000-06-14
EP1007798A4 (en) 2000-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0554A (ko) 포장된 절연재 블로잉장치 및 블로잉방법
US3690622A (en) Processing and mixing machine
US41825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palleted loads comprising bulk material contained in bags
KR101238523B1 (ko) 덩어리 석재 또는 세라믹재료를 포함한 혼합물을 얇은 층으로 분포시키기 위한 장치
US6295794B1 (en) Joint compound including recycled constituents and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the same
WO1993017945A1 (en) Device and method for outloading bulk materials
CA1208188A (en) Apparatus for breaking up solidified material in a storage container
KR101852729B1 (ko) 종이포장 장치
US5201473A (en) Dry material feeder and measuring device
ITPA960005A1 (it) Trituratore a selezione di materiale con compattatore rotante
US20040128953A1 (en) Method and means for bagging organic and other material
JPH08133474A (ja) 圧送加圧タンクと粉体定量圧送装置及び方法
US200802826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agging particulate matter
CN110919852B (zh) 一种模块式特种砂浆生产设备
KR102034980B1 (ko) 종이용기 제조 시스템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종이용기
EP0315674B1 (en) Device for compressing refuse, etc. in a container
CN114408303B (zh) 一种基于视觉监测的自动计数包装一体设备
JP2839312B2 (ja) 粉粒体の分包装置
KR20100034887A (ko) 불출 원료탄 실량 측정장치
KR101246253B1 (ko) 이송호퍼용 이물질 제거장치
JP3078059B2 (ja) 砂とセメントの混合撹拌装置
CA2239165C (en) Refuse bag opener
US20020030132A1 (en) Balers
GB157168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a cellulose fibre batt
FI84998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foerpackning av cellull till transportutrymme och foer avlastning daera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