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0483A - 물질 취급 차량용 장치 - Google Patents

물질 취급 차량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0483A
KR20010020483A KR1019997012142A KR19997012142A KR20010020483A KR 20010020483 A KR20010020483 A KR 20010020483A KR 1019997012142 A KR1019997012142 A KR 1019997012142A KR 19997012142 A KR19997012142 A KR 19997012142A KR 20010020483 A KR20010020483 A KR 20010020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inlet
actuator
alarm device
op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2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던랩대니엘.
소더패트릭에이.
터너존에이.
로머마틴이.
카리그다니엘더블유.
니메이어래리에이.
Original Assignee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197925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2048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20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48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물질 취급 차량(10)에는 입구(30)를 갖는 조작실(15)을 포함하는 프레임(12)과, 프레임(17)상에 지지되는 구동 기구(13)와, 프레임(17)에 결합되는 물질 취급 유니트(18)와, 조작실(15)의 입구(30)의 문턱을 가로질러 위치되는 액추에이터(45, 145, 245)를 포함하는 장치(24)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24)는 조작자의 신체 부위(30)가 액추에이터와 맞닿을 때 경보 신호를 발생시킨다.

Description

물질 취급 차량용 장치{Device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리프트 트럭과 같은 통상적인 물질 취급 차량은 입구를 구비한 조작실을 갖는 프레임과, 그 프레임상에 지지되는 구동 기구와, 프레임에 결합되는 물질 취급 유니트를 포함한다. 구동 기구는 하나 이상의 휠을 구동하는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물질 취급 유니트는 리프트 포크(lift forks)를 지지하는 마스트 조립체(mast assembl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조작중에, 조작실 내에서 스거나 앉을 수 있는 조작자는 조작실 내부로 입구의 기부를 형성하는 프레임의 레지부(ledge portion)상에 발을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리프트 트럭(lift truck)과 같은 물질 취급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탈선중에 조작자가 미리 정해진 조작 위치 외부로 차량을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합체하는 통상적인 포크 리프트 트럭의 사시도.
도 1a는 도 1의 포크 리프트 트럭의 측면도.
도 2는 입구의 기부에 위치되는 액추에이터 바아를 도시하는 도 1의 포크 리프트 트럭의 조작실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조작실의 바닥과 차량의 제 2 측벽 사이에 위치된 액추에이터 바아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조작실의 바닥과 액추에이터 바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바닥 위로부터의 사시도.
도 5는 액추에이터 바아와 스위치 조립체를 도시하는 바닥 아래로부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하우징의 일부를 제거하여 도시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입구 스위치의 분해도.
도 10은 하우징의 일부를 제거하여 도시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선 11-11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사용되는 제어 회로의 간략화된 전기 개략도.
도 14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사용되는 제어 회로의 간략화된 전기 개략도.
도 15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사용되는 제어 회로의 간략화된 전기 개략도.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조작중에 조작자가 차량을 제한범위 내에 유지하도록 물질 취급 차량의 조작자를 위해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조작실 내부의 입구의 기부에 위치되는 액추에이터 바아(actuator bar)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액추에이터 바아는 실질적으로 입구의 기부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조작자의 발이 액추에이터 바아와 맞닿을 때, 그 바아는 발의 하중으로 인해 가압된다. 가압된 바아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동작시키고 경보 장치를 활성화시킨다. 경보 장치는 램프를 포함하거나, 경보음과 같은 가청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두가지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동 휠에 동력을 차단하고 차량의 정지위치까지 관성주행을 허용함으로써 차량의 감속과 같은 일부 동작이 감압되는 액추에이터 바아에 따라 취해질 수 있다는 점도 고려된다. 차량이 시간당 2.4135km(1.5 마일)의 최대 속도로 느려지도록 동력이 구동 휠에 대해 감소 또는 제한된다는 점 또한 고려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첨부 도면 및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합체되는 물질 취급 차량(10)이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은 운전석이 있는 포크 리프트 트럭을 포함한다. 상기 트럭(10)은 프레임(12)과, 프레임(12)상에 지지되는 구동 기구(13)와, 프레임(12)에 결합되는 물질 취급 유니트(18)를 포함한다. 구동 기구(13)는 조향가능한 휠(20)에 접속되는 견인 모터(도시되지 않음)와 몇몇 다른 시스템에 동력을 공급하는 유압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도시되지 않음)를 장착하는 동력 유니트(14)를 포함한다. 프레임(12)은 주 몸체부(12a)와, 주 몸체부(12a)의 우측 후방에 장착되는 캐스터 휠(12b: caster wheel)과, 주 몸체부(12a)의 전방부에 장착되는 아웃리거 휠 조립체(12c: outrigger wheel assemblies)를 포함한다.
프레임(12)의 주 몸체부(12a)는 고무 매트(33)로 덮이는 바닥(32)에 의해 형성되는 조작실(15)과, 제 1 측벽(34)과, 전방벽(36)과, 등받이(40) 혹은 시트를 포함할 수도 있는 후방벽(38: 도 1 및 도 1a 참조)과, 제 2 측벽(42)을 포함한다. 개구(42a)는 조작실(15) 내로 입구(30)를 형성하기 위해 제 2 측벽(42)에 제공된다.
물질 취급 유니트(18)는 머리위 보호기(22)와, 수직 캐리지 조립체(70)상의 리치 기구(60: reach mechanism)에 교대로 장착되는 포크 캐리지 기구(55)상에 장착되는 한쌍의 포크(50)를 포함한다. 본원에 참조로서 합체되는 미국 특허 제 5,586,62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립체(70)는 고정된 하부 마스트 부재(82)와 포개진 가동식 마스트 부재(84, 86)를 포함하는 연장가능한 마스트 조립체(80)에 부착된다.
조작실(15)에는 트럭(10)의 이송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조향 틸러(31: steering tiller; 도 1 참조)와, 이송 속도, (전/후)방향, 포크 높이, 연장부, 경사도, 및 측면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핸들(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된다.
유압 실린더(도시되지 않음)는 도 1a에서 상승되어 도시된 포크(50)의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핸들에 의해 작동된다. 포크는 포크(50)와 포크 캐리지 기구(55) 사이에 위치된 유압 실린더(95)에 의해 화살표(90)로 표시된 각도에 걸쳐 경사질 수 있다. 포크는 측면 이동 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측면에서 측면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구 스위치(25)를 포함하는 입구 장치(24)는 조작실(15)의 입구(30)에 위치된다. 스위치(25)는 입구(30)의 기부를 형성하는 입구 레지(47) 위로 약 0.32cm(1/8in) 내지 약 1.27cm(1/2in) 연장되는 액추에이터 바아(45)를 포함한다(도 2 및 도 3 참조). 조작자의 발이 레지(47) 위에 위치될 때, 액추에이터 바아(45)는 발의 하중으로 인해 가압된다. 가압된 바아(45)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하기에 상술됨)를 동작시키며 경보 장치(하기에 상술됨)를 활성화시킨다. 경보 장치는 또한 장치(24)의 일부를 형성한다. 경보 장치는 트럭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가청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장치, 빛을 발생하기 위한 장치, 또는 상기 동작들의 임의 조합을 실행하거나 몇몇 다른 적절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등과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트럭(10)의 속도는 구동 휠(20)에 동력을 차단하고 트럭(10)을 정지위치까지 관성주행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발신음과 같은 가청 사운드를 발생하는 장치는 구동 휠(20)로의 동력을 차단함과 동시에 활성화될 수 있다. 차량의 저속 이동을 유지하기 위해 구동된 휠에 제한된 양의 동력이 제공되는 지점에서, 차향이 저속 예를 들어, 시간당 2.4135km(1.5 마일)로 느려지도록 동력이 구동 휠에 대해 감소 또는 제한될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입구 스위치(25)가 조작자에 의해 브레이크로서 사용되지 않도록 트럭의 제동 장치(도시되지 않음)가 바아(45)의 가압에 따라 활성화되지 않는 것이 양호하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바아(45)에 더불어, 입구 스위치(25)는 한쌍의 전기 접점(52, 54)과 푸시 버튼(56)이 제공된 정상 폐쇄 마이크로 스위치(50: normally closed micro switch; 도 3 참조)를 포함한다. 마이크로 스위치(50)는 바닥(32)의 브래킷(50a: bracket)에 결합된다. 플레이트(60)는 브래킷(64)상에서 지지되는 스프링(62)에 의해 상향으로 편향되고 교대로 브래킷(68)에 의해 지지되는 축(66) 둘레로 피봇된다(도 3 및 도 5 참조). 액추에이터 바아(45)는 플레이트(60)상에서 느슨하게 지지되고, 제 2 측벽(42)의 내면(42a)과의 실질적인 무마찰 접촉을 제공하는 외면(45a)상의 한쌍의 베어링 또는 버튼(70)에 의해 안내된다. 바아(45)는 바닥(32)에 의해 그 내면(45b)상에서 안내된다. 탭(72)은 바아(45)의 측면 대 측면 이동을 제한하도록 액추에이터 바아(45)에 용접으로 접속되고 플레이트(60) 내의 개구(60a)를 통해 연장된다. 또한, 포스트(74, 76)는 바아(45)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바아(45)에 용접식으로 접속되고 바닥의 하부면과 결합한다.
작동시에, 조작자의 발이 레지(47)상에 위치될 경우, 액추에이터 바아(45)는 하향으로 이동될 것이다. 바아(45)의 하향 이동은 스프링(62)에 의해 제공되는 상향 편향에 대해 축(66) 둘레로 플레이트(60)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은 아암(80)이 마이크로 스위치(50)의 접점을 내측으로 개방시키는 버튼(56)을 밀도록 한다. 액추에이터 바아(45)의 상향 연장부는 단지 레지(47)보다 약간 높기 때문에, 액추에이터 바아(45)가 작동 가능 지점에 있지 않더라도 바아(45)상의 조작자의 발의 압력은 경보 장치를 개시시킬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액추에이터 바아(145)는 트럭(10)의 제 2 측벽(42)의 내면(42a)에 인접하여 위치된 외벽(142)을 갖는 하우징(100) 내부에 포함된다. 외벽(142)은 입구(30)의 기부와 동일한 높이로 또는 기부 바로 아래에 위치된다. 내벽(144)과 단부벽(146)은 하우징(100)을 완성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 바아(145)는 도 1에서의 액추에이터 바아(45)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된다.
액추에이터 바아(145)는 외벽(142)에 대해 교대로 장착되는 보호 실드(110, 112: protective shields)에 스위치(106, 108)를 장착시키는 한쌍의 개구(102, 104)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위치(106, 108)는 액추에이터 바아(145)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브래킷(210)상에 존재하는 스프링 하중 푸시 버튼 스위치 액추에이터(116)를 포함하는 정상 개방 스위치(normally open switch)이다. 액추에이터 바아(145)가 도 6에 도시된 연장 위치에 있을 경우, 푸시 버튼 스위치 액추에이터(116)는 가압되고, 스위치(106, 108)는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액추에이터 바아(145)가 단부 또는 중앙에서 가압될 경우, 하나 이상의 스위치(106, 108)는 경보 장치를 개방 즉, 활성화시킨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단 하나의 스위치(106, 108)만이 경보 장치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개방될 필요가 있다.
액추에이터 바아(145)는 두개의 스프링(120, 122)상에 위치된다. 바아(145)의 상향 이동은 축(124, 126)에 의해 제한된다. 축(124)은 가이드 핀(130)의 감소된 직경 성분이고, 가이드 핀의 외부 부위(132)는 외벽(142)의 리세스 내로 연장되고, 가이드 핀의 내부 부위(134)는 내벽(144)의 리세스 내로 유사하게 연장된다. 가이드 핀(130)의 내면은 바아(145)를 자유로이 실질적으로 마찰없이 이동시킨다. 수직 슬롯(136)은 액추에이터 바아(145)의 좌측 단부에 형성되고, 액추에이터 바아의 바닥부는 액추에이터 바아(145)의 좌측 단부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축(124)과 결합한다.
액추에이터 바아(145)의 우측 단부에서, 축(126)은 가이드 핀(150)의 성분이다. 그것 역시 외벽(142) 및 내벽(144)의 리세스 내로 연장된다. 바아(145)의 우측 단부에 형성되는 수평 슬롯(155)은 바아(145)의 상향 및 하향 이동을 제한한다. 슬롯의 폭은 양호하게는 대략 축(126) 직경의 두배이다. 다른 실린더 가이드 핀(160)은 액추에이터 바아(145)의 중심에 위치되고, 그 축은 바아 내의 슬롯(165)을 통해 연장된다. 가이드 핀(160)은 외벽(142)에 결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조작자의 발이 레지(47)상에 위치하여 바아(145)를 가압하는 것은 하나 또는 두개의 스위치(106, 108)를 작동시켜 경보 장치를 시동시킨다.
도 9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액추에이터 바아(245)는 장착 블록(210) 및 후부 판(212)을 포함하는 하우징(200)내에 포함된다. 후부 판(212)은 트럭(10)의 제 2 측벽(42)의 내면(42a)에 인접하여 위치된다(도 11 참조). 후부 판(212)의 상부면(213)은 입구 기부 또는 레지(47)와 동일한 높이로 또는 바로 아래에 인접된다. 볼트(214)와 같은 종래의 고정기구는 후부 판(212) 내의 개구를 통과하고 장착 블록(210)의 보스(210b)와 제 1 및 제 2 스페이서 아암(210c, 210d)과 나사식으로 결합한다. 보스(210b)와 아암(210c, 210d)은 장착 블록(210)의 후부 벽(210e: 도 11 참조)과 후부 판(212)의 내면(212b) 사이에서 스페이서로서 작용한다.
액추에이터 바아(245)는 제 1 및 제 2 마이크로 스위치(206, 208)가 통과하여 연장되는 한쌍의 개구(202, 204)를 포함한다. 스위치(206, 208)는 볼트(207)와 너트(209)에 의해 블록(210)에 장착된다. 각각의 스위치(206, 208))는 액추에이터 바아(245)의 외측 연장부(245a)상에 위치되는 스프링 하중 푸시 버튼 스위치 액추에이터(216)를 포함하는 정상 개방 스위치이다. 액추에이터 바아(245)가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푸시 버튼 스위치 액추에이터(216)는 연장부(245a)에 의해 가압되어 스위치(206, 208)는 폐쇄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한편, 바아(245)가 단부 중심에서 가압될 경우, 하나 이상의 스위치(206, 208)가 개방되어 경보 장치를 활성화시킨다. 도 10에서, 바아(245)는 두 스위치(206, 208)의 스위치 액추에이터(216)가 바아의 두 연장부(245a)와 접촉하지 않도록 중심 위치에서 화살표(300)로 표시된 하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가압된다. 그러므로, 도 10에서 두 스위치(206, 208)는 개방한다.
액추에이터 바아(245)는 두개의 스프링(220, 222)상에 위치된다. 스프링(220, 222)은 장착 블록(210)의 수용 아암(210f)과 액추에이터 바아(245)의 하향 연장부(245b) 사이에서 연장된다. 하향 연장부(245b)는 스프링(220, 222) 내로 대략 0.635cm(0.25in) 연장된다(도 9 참조). 볼트(230)는 각각의 수용 아암(210f) 내로 나사결합된다. 또한, 볼트(230)는 연장부(245b)가 통과하여 연장되는 단부에 대향하는 단부를 통해 스프링(220, 222) 내로 연장된다. 볼트(230)와 바아의 연장부(245b)는 스프링(220, 222)을 하우징(200) 내에 적절히 위치시킨다.
수평 슬롯(240, 242)은 액추에이터 바아(245)의 좌측 및 우측 단부(245c, 245d)에 형성된다. 제 1 스페이서 아암(210c)은 제 1 슬롯(240) 내로 연장되고, 제 2 스페이서 아암(210d)은 제 2 슬롯(242) 내로 연장된다. 스페이서 아암(210c, 210d)은 바아(245)의 상향 및 하향 이동을 제한한다.
장착 블록(210)은 부스러기 등이 스위치(206, 208)에 이르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및 제 2 보호 실드(215a, 215b)를 부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3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조작자의 발이 레지(47)상에 위치하여 바아(245)를 가압하는 것은 하나 또는 두개의 스위치(206, 208)를 작동시켜 경보 장치를 시동시킨다.
간략화된 전기 블록 다이어그램인 도 13에서, 도 3의 스위치(50)는 조작자의 발에 의한 동작을 감지하는 제어 회로(170)에 접속되고, 적절한 경보 장치(180)를 활성화시킨다. 또한, 제어 회로(170)는 스위치(50)로부터 제어 회로(170)까지 연장되는 와이어가 예를 들어, 파단되어 작동하지 않을 때를 검출할 수 있고, 와이어의 파단이 검출될 때 경보 장치를 활성화시킨다. 유사하게, 도 14 및 도 15에서, 스위치(106, 108 및 206, 208)는 제어 회로(170)와 경보 장치(180)에 접속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릴레이(169)는 직렬로 접속된 스위치(106, 108)와 제어 회로(170) 사이에서 결합된다. 또한, 단일 릴레이(269)는 직렬로 접속된 스위치(206, 208)와 제어 회로(170) 사이에서 결합된다(도 15 참조). 스위치(106, 108; 206, 208)중 하나가 바아(145) 또는 바아(245)의 가압에 따라 개방될 때, 각각의 릴레이(169, 269)는 해제되어, 제어 회로(170)가 경보 장치(180)를 활성화시킨다. 경보 장치(180)는 가청 신호를 내거나, 빛을 내거나 혹은 트럭(10)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장치와 같은 몇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경보 장치는 이러한 동작들의 조합 또는 몇가지 다른 적절한 동작을 실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치(24)는 다수의 구동 휠을 구비한 물질 취급 차량 또는 마스트 조립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지 않는 포크를 포함하는 평형 포크 리프트 트럭(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임의의 물질 취급 차량에 합체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장치의 형태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이루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미리 정해진 장치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로 한정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변형이 그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0)

  1. 입구(30)를 갖는 조작실(15)을 포함하는 프레임(17)과,
    상기 프레임상에 지지되는 구동 기구(13)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물질 취급 유니트(18)와,
    상기 조작실의 상기 입구에 위치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조작자의 신체 부위가 상기 액추에이터에 맞닿을 때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입구 장치(74)를 포함하는 물질 취급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입구의 입구 레지에 위치되는 액추에이터 바아(45, 145, 245)를 포함하는 물질 취급 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24)는 마이크로 스위치(50, 106, 108, 206, 208)와 경보 장치를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상기 액추에이터 바아(45, 145, 245)가 조작자에 의해 맞닿을 때 상기 경보 장치에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동작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물질 취급 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정상 폐쇄 마이크로 스위치(50)인 물질 취급 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바아는 상향으로 탄성 편향되는 물질 취급 차량.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장치는 가청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물질 취급 차량.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장치는 가시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물질 취급 차량.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24)는 제 1 및 제 2 마이크로 스위치(106, 108 또는 206, 208)와 경보 장치를 부가로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상기 액추에이터 바아가 상기 조작자에 의해 맞닿을 때 상기 경보 장치에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경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스위치로부터 상기 동작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물질 취급 차량.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마이크로 스위치는 정상 개방 마이크로 스위치(106, 107 또는 206, 208)인 물질 취급 차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장치는 상기 액추에이터 바아를 상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프링(120, 122 또는 220, 222)을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 바아는 상기 조작자에 의해 맞닿을 때 하나 또는 두개의 상기 제 1 및 제 2 마이크로 스위치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스프링에 대항하여 이동하는 물질 취급 차량.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바아(45, 145, 245)는 상기 입구 레지 위로 약 0.32cm(1/8in) 내지 약 1.27cm(1/2in) 연장되는 물질 취급 차량.
  12. 입구(30)를 갖는 조작실(15)을 포함하는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상에 지지되는 구동 기구(13)와,
    상기 프레임(12)에 결합되는 물질 취급 유니트(18)와,
    조작자의 신체 부위가 상기 입구(30)의 입구 레지상에 위치될 때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입구 장치(24)를 포함하는 트럭.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장치는 상기 입구 레지 근처에 위치되는 액추에이터 바아(45, 145, 245)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자의 신체 부위가 상기 액추에이터 바아에 맞닿을 때 상기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트럭.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장치는 마이크로 스위치(50, 106, 108, 206, 208)와 경보 장치를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상기 액추에이터 바아가 상기 조작자에 의해 맞닿을 때 상기 경보 장치에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동작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트럭.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장치는 가청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물질 취급 차량.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장치는 가시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물질 취급 차량.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정상 폐쇄 마이크로 스위치(50)인 트럭.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바아(45)는 상향으로 탄성 편향되는 트럭.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장치(24)는 제 1 및 제 2 마이크로 스위치(106, 108 또는 206, 208)와 경보 장치를 부가로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상기 액추에이터 바아가 상기 조작자에 의해 맞닿을 때 상기 경보 장치에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경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로부터의 동작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트럭.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마이크로 스위치는 정상 개방 마이크로 스위치(106, 108 또는 206, 208)인 트럭.
KR1019997012142A 1997-07-16 1998-07-14 물질 취급 차량용 장치 KR200100204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268797P 1997-07-16 1997-07-16
US60/052,687 1997-07-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483A true KR20010020483A (ko) 2001-03-15

Family

ID=21979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2142A KR20010020483A (ko) 1997-07-16 1998-07-14 물질 취급 차량용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137398A (ko)
EP (1) EP1044157B1 (ko)
KR (1) KR20010020483A (ko)
AT (1) ATE218503T1 (ko)
AU (1) AU736757B2 (ko)
CA (1) CA2295798C (ko)
DE (1) DE69805854T2 (ko)
NZ (1) NZ501879A (ko)
WO (1) WO19990037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6396B2 (en) * 1999-06-04 2004-09-28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Personal transporter
US20040003967A1 (en) * 2002-07-03 2004-01-08 Fett Douglas D. Order picker truck with a zoned operator platform covering
US7259662B2 (en) * 2004-06-02 2007-08-21 The Raymond Corporation Photoelectric operator position detector
US7300092B2 (en) * 2005-04-08 2007-11-27 Nmhg Oregon Inc. Pedals and floor mat configuration for an industrial vehicle
US7497505B2 (en) * 2005-04-29 2009-03-03 Crown Equipment Corporation Suspended floorboard
US7740259B2 (en) * 2006-02-03 2010-06-22 Crown Equipment Corporation Movable step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DE202007004984U1 (de) * 2007-04-04 2007-06-06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Gabelhubwagen
US7845657B2 (en) * 2007-06-15 2010-12-07 Crown Equipment Corporation Quick change load wheel assembly
US8454037B2 (en) 2007-06-15 2013-06-04 Crown Equipment Corporation Outrigger assembly with quick change load wheel assembly
US9045321B2 (en) * 2010-01-15 2015-06-02 Recon Engineering, Inc. Load transport system and method
US8616603B2 (en) * 2010-04-23 2013-12-31 The Raymond Corporation Operator ride enhancement system
US10023142B2 (en) 2015-01-27 2018-07-17 Hyster-Yale Group, Inc. Operator presence system
US10294089B2 (en) * 2015-12-03 2019-05-21 The Raymond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 material handling vehicle with a floor suspension
USD886405S1 (en) * 2018-01-24 2020-06-02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Industrial truck
USD940989S1 (en) * 2019-05-17 2022-01-11 Doosan Industrial Vehicle Co., Ltd. Forklif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90312A (de) * 1961-11-24 1965-04-15 Oerlikon Maschf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 einmännig geführtes Triebfahrzeug
US3769481A (en) * 1972-05-10 1973-10-30 Indak Mfg Corp Combined electrical control and safety switch for vehicles
SU719964A1 (ru) * 1978-03-14 1980-03-05 Красноярский Завод Лес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блокировки рабочего органа лесопогрузчика
US4347910A (en) * 1979-09-25 1982-09-07 Albert Deguara Safety apparatus for vehicles
US4317500A (en) * 1980-02-22 1982-03-02 Deere & Company Safety start and shutdown system for vehicles having electrically activated power take-off
SE446622B (sv) * 1984-12-03 1986-09-29 Kalmar Last Maskin Verkstad Ab Anordning vid en motordriven truck
SU1382822A2 (ru) * 1986-07-07 1988-03-23 Красноярский Завод Лес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блокировки рабочего органа лесопогрузчика
US4840248A (en) * 1987-06-02 1989-06-20 Silverman Edward J Safety switch light fence
JPH0813544A (ja) * 1994-06-29 1996-01-16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運転室
US5579859A (en) * 1995-02-10 1996-12-03 Crown Equipment Corporation Isolated floor for material handling vehicle
US5586620A (en) * 1995-05-12 1996-12-24 Crown Equipment Corporation Remote viewing apparatus for fork lift truc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18503T1 (de) 2002-06-15
AU8484098A (en) 1999-02-10
EP1044157B1 (en) 2002-06-05
US6137398A (en) 2000-10-24
CA2295798A1 (en) 1999-01-28
DE69805854D1 (de) 2002-07-11
NZ501879A (en) 2001-06-29
WO1999003771A1 (en) 1999-01-28
AU736757B2 (en) 2001-08-02
DE69805854T2 (de) 2003-02-13
EP1044157A1 (en) 2000-10-18
CA2295798C (en) 2006-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0483A (ko) 물질 취급 차량용 장치
US9656845B2 (en) Aerial lift with secure control console
US7740259B2 (en) Movable step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US5653568A (en) Safety guard for lift gates
US3824578A (en) Attitude indicator for load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US3996950A (en) Obstacle detection device for use by the blind
EP1126771A1 (en) Control of powered furniture
KR940009479A (ko) 입체 주차장
EP1016578B1 (en) Control device for a tiller truck
GB1475706A (en) Movement sensitive alarm
JP5791468B2 (ja) 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の転倒防止装置
US4364449A (en) Industrial truck
EP1016579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gramming of trucks
EP1024071B1 (en) Safety control for tiller trucks
EP1016569A2 (en) Keyboard for truck
JP2002327550A (ja) 車両乗込場の停車位置検出装置
JP2517187Y2 (ja) 昇降装置付作業台車の障害物検出装置
JP2907731B2 (ja) 小型電動車の着座検出部構造
JP3509434B2 (ja) 小型電動車
JP3570608B2 (ja) リフトトラックのブレーキ装置
JP3888610B2 (ja) リフトトラックの制動装置
KR19980027138U (ko) 자동차의 주차시 무빙경고장치
TWM631310U (zh) 跨騎式車輛控制開關座構造
KR20010023475A (ko) 작업 보조 차량용 모터 커버
JP2003020198A (ja) 荷役車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