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3475A - 작업 보조 차량용 모터 커버 - Google Patents

작업 보조 차량용 모터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3475A
KR20010023475A KR1020007002120A KR20007002120A KR20010023475A KR 20010023475 A KR20010023475 A KR 20010023475A KR 1020007002120 A KR1020007002120 A KR 1020007002120A KR 20007002120 A KR20007002120 A KR 20007002120A KR 20010023475 A KR20010023475 A KR 20010023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mast
cover
support bar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2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브레히트도널드이.
질리랜드케빈에이.
랜리매튜피.
스태먼해럴드에이.
하이더만윌리엄제이.
스미스데이비드비.
Original Assignee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23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347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13Details concerning the chassis
    • B66F9/07527Covers for, e.g. engine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9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72Propuls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8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incorpor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작업 보조 차량은 섀시(24)와 이 섀시 상에 지지되는 구동 기구(30)를 갖는 자체 추진식 조향가능한 본체(20)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마스트 조립체(40)와, 상기 마스트 조립체에 연결되고 상기 마스트 조립체에 의해 본체를 향해 그리고 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가능한 조작실(5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섀시의 일부분에 걸쳐 연장하도록 적용되는 커버(80)와, 상기 커버와 섀시에 연결되는 중량 센서 조립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중량 센서 조립체는 상기 커버 위에 위치된 사람 또는 물건을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 보조 차량용 모터 커버{Motor cover for a work assist vehicle}
작은 부품을 꺼내는 것은 일반적으로 몇 개의 선반과 9 feet(2.743m)이하의 재고 품목에 도달하기 위해 조작자가 타고 올라가는 낮은 사다리를 구비한 손으로 미는 개인용 수레에 의해 행해진다. 12 feet(3.658m)까지의 높은 위치의 것을 꺼내는 것은 손으로 밀어 위치되는(manual push-in-place) 커다란 이동 사다리 대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수레와 이동 사다리 대 모두 조작자가 상품을 손에 들고 있으면서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것을 요구한다.
부품을 꺼내는데 사용될 수 있는 컴팩트한 공중 리프트 차량이 미국 특허 제 5,273,13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차량은 보관을 위해 몇 개의 부품으로 분리가능하고 이 차량의 본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된 수직 포스트 부재(vertical post member)를 따라 올려질 수 있는 플랫폼 위에 지지되는 조작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에는 본체 위와 그 플랫폼 아래에 위치된 사람 또는 물건 위로 플랫폼이 낮춰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설비가 없다. 이러한 작동은 본체 상에 무엇이 있건 간에 부상 또는 손상을 입히거나 이 플랫폼이 낮춰지면 플랫폼 및/또는 차량 본체에 피해를 끼칠 수 있다. 또한 이 상황에서 차량이 이동하면 부상, 손상,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본체 부분에 사람 또는 물체가 있는지를 감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개선된 작업 보조 차량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로 구동되는 작업 보조 차량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창고 안의 선반으로부터 꺼내진 물건을 운송하거나, 작업 영역의 바닥으로부터 약 6 피트(1.829m) 이상 작업자를 들어올리는 작업 플랫폼으로서 유용하며, 더 세부적으로는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조작실(passenger compartment) 아래의 차량 부분에 사람이나 물건이 있는지를 감지하는 중량 센서 조립체를 갖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보조 차량의 사시도.
도 2는 조작자의 플랫폼 또는 조작실이 들어올려진 위치에서의 도 1의 차량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측입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평면도.
도 5는 최저 위치에 있는 조작실 및 차량의 일부분을 투시한 차량의 배면 입면도.
도 6은 조작실이 들어올려진 위치에서의 차량의 측입면도.
도 7은 모터 커버가 설치된 구동 모터실(조작실이 들어올려진 위치임)의 사시도.
도 8은 모터 커버가 제거된 구동 모터실(조작실이 들어올려진 위치임)의 사시도.
도 9는 모터 커버가 설치된 모터실의 평면도.
도 10은 모터 커버가 제거된 모터실의 평면도.
도 11은 도 9의 선 11-11을 따라 취해진 도면.
도 12는 도 10의 선 12-12를 따라 취해진 도면.
도 13은 모터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어 회로의 단순화된 전기 회로도.
본 발명은 물건 또는 장치와 조작자를 이송 및 들어올리도록 설계된 여러 가지 작업이 가능한 작업 보조 차량에 대한 것이다. 그 용도는 주문품 꺼내오기(order picking), 실내 유지보수(in-house service maintenance), 재고 관리, 화물 배달 등이다. 이 차량은 크기가 작아, 좁은 창고 통로 및 움직일 공간이 적은 곳에서 사용하기 위해 기동성이 높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aspect)에 따라, 작업 보조 차량은 자체 추진식이며 조향가능한 본체와, 그 섀시에 지지되는 구동 기구와, 본체에 연결되는 마스트 조립체와, 이 마스트 조립체에 부착되고 이 마스트 조립체에 의해 본체를 향해 또는 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가능한 조작실(personnel compartment)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섀시의 일부분에 걸쳐 연장하도록 적용되는 커버와, 상기 섀시와 커버에 연결되는 중량 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중량 센서 조립체는 사람 또는 물건이 커버 위에 위치하면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중량 센서 조립체는 섀시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섀시에 연결되는 지지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커버는 상기 지지 바아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 바아에 연결된다. 하나 이상의 스프링이 상기 지지 바아를 섀시로부터 떨어져 편향하도록 지지 바아와 섀시 사이에 위치된다.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스위치가 섀시에 연결되고 지지 바아 근처에 위치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스위치는 상기 지지 바아가 상기 커버 상에 위치된 사람 또는 물건에 의해 섀시를 향해 상기 하나 이상의 스프링에 대해 이동하면 지지 바아에 의해 활성화된다.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스위치는 활성화되고 존재 검출(presence-detected) 신호가 제어기에 입력될 때 존재 검출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라, 차량은, 섀시와 이 섀시에 지지된 구동 기구를 포함하는 자체 추진식 조향가능한 본체와, 이 본체에 연결된 마스트 조립체와, 이 마스트 조립체에 부착되고 마스트 조립체에 의해 본체로부터 멀리 또는 본체를 향해 이동가능한 베이스(base)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섀시의 일부분에 걸쳐 연장하도록 적용되는 커버와, 섀시와 커버에 연결되는 중량 센서 조립체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 또는 물건이 작업 보조 차량의 일부분에 위치하고 차량의 작동이 계속되면 차량에 의해 부상 또는 손상될 수 있는지 또는 차량에 손상을 일으키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하기의 설명, 첨부한 도면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진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작업 보조 차량(10)은 도 1 내지 도 6에 예시된다. 이 작업 보조 차량은 전부(20a; front)와 후부(20b; rear)를 갖는 자체 추진식 조향가능한 본체(20)를 포함한다. 이 본체(20)는 섀시(24)와 이 섀시(24)에 지지되는 구동 기구(30)로 이루어진다. 이 구동기구(30)는 본체(20)의 후부(20b) 근처에 장착되는 한 쌍의 구동 휠(32)과, 본체(20)의 전부(20a) 근처에 장착되는 한 쌍의 캐스터 휠(34)을 포함한다. 화물 데크 또는 플랫폼(26)은 섀시(24)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된다.
마스트 조립체(40)가 본체(20)에 연결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마스트 조립체(40)는 3 개의 겹쳐진 섹션(41, 42, 43; nested section)을 포함한다. 이 마스트 조립체는 이 섹션(42, 43)을 연장 및 수축시키는 승강장치(elevating device)를 더 포함한다. 이 승강 장치는 차례대로 차량 제어기(150)에 연결되는 모터 조립체(44)와, 유압 펌프에 연결되는 유압 실린더(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도 14 참조). 누름 버튼 스위치(46a, 46b)가 구비되고(도 5 참조), 제어기(150)에 연결된다(도 14 참조). 스위치(46a) 작동시, 이 승강장치는 마스트 섹션(42, 43)을 그 수축 위치(도 1 및 도 3 참조)로부터 그 완전 연장 위치(도 2 및 도 6 참조)로 연장한다. 스위치(46b) 작동될 때, 이 승강장치는 섹션(42, 43)을 수축시킨다. 3 개의 마스트 섹션이 예시되었으나, 마스트 섹션의 수는 실제로는 변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조작실(50; operator's compartment)이 마스트 조립체(40), 상세하게는 마스트 섹션(43)의 외부 또는 상부에 부착된다. 그러므로, 이 조작실(50)은 상부 마스트 섹션(43)과 함께 이동한다. 이 조작실(50)은 마스트 섹션(43)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베이스(52; base)와, 마스트 조립체(43)에 부착되고 조작실(50)의 측부 및 전부 주위로 연장하는 레일 부재(54)와, 58a 및 58b에서 각각 레일 부재(54)에 그리고 58c 및 58d에서 각각 베이스(52)에 피벗식으로 부착되는 한 쌍의 게이트 부재(56a, 56b)를 포함한다. 이 게이트 부재(56a, 56b)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힌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가능하며, 여기서 게이트 부재(56a, 56b)는 조작실(50)로 연장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52)는 그 위에 조작자가 서있는 바닥(52a; floor)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트 섹션(43)의 상부 및 레일 부재(54)는 조작실(50) 내에 서있는 조작자(60)의 대략 허리 높이에 위치한다. 이 마스트 조립체(40)는 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레일 부재(54)의 위로 연장하지 않으므로, 조작자(60)가 레일 부재(54)의 상부 에지 위의 어느 것에나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마스트 섹션(41)은 본체(20)에 부착되고 수직으로부터 약 5°의 각도(α)로 차량의 상방향 및 전방으로 연장한다. 그러므로, 마스트 섹션(42, 43)이 연장함에 따라, 조작실(50)은 상방향 및 전방으로 이동한다. 조작실(50)은 마스트 조립체(40)가 5°경사짐으로 인해 조작자(60)의 허리 근처인 조작실(50)의 상부 부분이 바닥보다 넓어, 차량의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조작자(60)를 편안하게 수용할 수 있는 이득이 있다.
제거가능한 화물 트레이(100)가 마스트 섹션(43)에 장착되어 선반으로부터 꺼내진 재료 또는 유지보수 중에 사용되는 재료를 유지(holding)하여 조작자(60)를 보조할 수 있다.
조작실(50)은 한 쌍의 제어 핸들, 즉 조향 제어 핸들(59a)과 견인 제어 핸들(59b; traction control handle)을 포함한다(도 1 참조). 이 제어 핸들(59a, 59b)은 제어기(150)에 연결된다(도 14 참조). 차량이 작동될 때, 조작자(60)는 조향 제어 핸들(59a)에 한 손을 올려놓고 다른 손은 견인 제어 핸들(59b)에 올려놓아야 한다. 이는 차량(10)이 이동하거나 들어올려지거나 내려지는 작동 중에 조작자의 손이 조작실(50) 내에 있음을 보장한다.
섀시(24)는 조작실(50) 바로 아래에 위치된 견인 모터실(70)을 포함한다. 도 2, 도 8, 도 10, 도 12에서, 일반적으로 견인 모터실(70)을 덮는 모터 커버(80)가 견인 모터실(70)의 내용물을 드러내기 위해 제거되었다. 또한 도 2에서, 하기에 논의될 중량 센서 조립체(90)가 제거되었다. 견인 모터실(70)은 바닥(71)과 한 쌍의 측벽(72)을 포함한다.
구동 기구(30)는 두 개의 기어 박스(36)와 두 개의 전기 견인 모터(38)를 더 포함한다. 이 기어 박스(36)는 상기 휠(32)을 모터(38)에 연결한다. 이 모터(38)는 차례로 조향 제어 핸들(59a)과 견인 제어 핸들(59b)에 연결되는 제어기(150)에 연결된다(도 14). 이 제어기(150)는 핸들(59a, 59b)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모터(38)의 작동을 제어한다.
기어 박스(38)는 모터실(70)의 측벽(72) 상에 장착되고 모터(38)는 기어 박스(36)에 장착된다. 각각의 견인 모터(38)의 중심축은 휠(32)의 중심축 아래에 위치하여, 조작실(50)의 바닥(52a)이 가능한 한 지면에 가깝게 낮춰지게 한다(바닥위로 약 7 인치(17.78cm)의 높이).
이 중량 센서 조립체(90)는 모터실(70)에 위치된다(도 8 및 도 10 내지 도 12 참조). 이 중량 센서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H형인 부분(92)과 한 쌍의 수직으로 연장하는 측부 부분(92b)을 포함하는 지지 바아(92)를 포함한다. 모터 커버(80)는 하기에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지지 바아(92)에 연결된다. 이 바아(92)는 비슷한 수의 볼트(95)를 둘러싸는 네 개의 스프링(94)으로 지지된다. 이 볼트(95)는 H형 부분(92a)에 용접 등으로 고정 연결되는 브라켓(92c) 내의 개구를 통과하고 모터실 바닥(71)에 나사식으로 연결된다. 이 바아(92)는 스프링(94)에 의해 바닥(71)으로부터 편향되지만 하향 작용력에 의해 작용될 때 스프링의 작용력에 대항하여 바닥(71)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제 1, 제 2, 제 3, 제 4 포지티브 액팅(positive acting) 정상 폐쇄형 마이크로스위치(96a - 96b)가 바닥(71)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H형 바아(92) 바로 아래에 위치된다. 이 마이크로스위치(96a - 96b)는 차량 제어기(150)에 연결된다(도 14 참조). 바아(92)가 바닥(71)을 향해 눌릴 때, 바아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스위치(96a - 96b)를 작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모터 커버(80)는 모터실(70)을 덮는다(도 7, 도 9, 도 11 참조). 이 커버(80)는 주 본체 부분(82)과 접근 패널(84: access panel)을 포함한다(도 13 참조). 이 주 본체 부분(82)과 접근 패널(84) 모두는 성형 플라스틱(molded plastic)으로 형성된다. 이 주 본체 부분(82)은 바닥 영역(82a)과, 3 개의 개구(110a, 110b, 110c)를 구비하는 오목한 영역(82b)과, 한 쌍의 반원통형 모터 커버 요소(82c)와, 모터실 측벽(72)의 상부 에지(72a)를 덮는 일반적으로 수평인 플랜지 부분(82e)을 구비하는 수직 패널(82d)과, 기어박스(36)를 수용하는 개구(82f)를 포함한다. 상기 접근 패널(84)은 오목한 영역(82b)을 덮는다. 볼트(86a)가 바아(92)에서 개구(92f)를 통과하여 나사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수직 패널(82d)과, 바닥 영역(82a)과, 오목한 영역(82b)과, 접근 패널(84)에 개구(86)가 구비된다. 커버(80)는 바아(92)와 함께 바닥(71)을 향해 또는 바닥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도록 바아(92)에만 연결된다.
개구(110a, 110c)는 견인 모터 전기 구동 해제 블록에 접근할 수 있게 하며, 반면에 개구(110b)는 체인에 장력을 가하는 나사(185)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도 10 참조). 오목부(82b)와 개구(110a - 110c)는 접근 패널(84)로 덮힌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커버(80)와 견인용 모터실(70) 내의 요소 사이의 수직 공간은 조작실(50)의 바닥(52a)이 모터 커버(80)와 접촉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최소로 유지된다.
사람 또는 물건, 예를 들어 공구, 전화번호부, 부품, 패키지 등이 모터 커버(80) 상에 놓여 있거나 놓여지게 되면, 그 사람 또는 물건의 중량은 모터 커버(80)와 바아(90)가 눌려져,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스위치(96a - 96d)를 작동시킨다. 이 스위치(96a - 96d)가 직렬로 연결되고 차량 제어기(150)에 연결된다(도 14 참조). 이 마이크로스위치(96a - 96d) 중의 어느 하나가 사람 또는 물건이 커버(80) 위에 위치되어 작동되면, 차량 이동 및 조작실을 낮추는 기능이 차량 제어기(150)에 의해 억제된다(도 14 참조). 더 상세하게는, 이 마이크로스위치(96a - 96d) 중의 하나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어기(150)는 조작자(60)가 스위치(46b)를 작동시킬 때, 승강장치가 조작실(50)을 낮추지 못하게 한다. 또한 이는 차량이 동작 중이면, 재생(regeneration)에 의해, 즉 모터(38)가 발전기로 작용하고 출력을 구동기구의 부분을 또한 형성하는 배터리(도시되지 않음)로 돌리게 하여 정지하게 된다. 일단 차량(10)이 더 이상 이동하지 않으면, 제어기(150)는 모터(38)에 연결된 액티브 브레이크(38a)를 결합시킨다(도 8 및 도 10 참조). 들어올리는 기능은 억제되지 않지만 활동상태(active)를 유지한다. 또한 마이크로스위치(96a - 96d) 중의 하나가 작동되어 장애 조건을 지시하는 한 경보(160a)가 울리고 LED 램프(160b)가 발광한다. 장애의 제거시(커버 위의 사람 또는 물건의 제거), 차량(10)은 키를 리셋할 필요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낮추는 기능은 즉시 회복되지 않지만 7.5 초 지연과 같은 지연 기간 후에 완전히 회복된다.
여기 기술한 장치의 형태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구성하지만, 본 발명은 이 까다로운 형태의 장치에만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섀시(24)와 상기 섀시에서 지지되는 구동 기구(30)를 포함하는 자체 추진식 조향가능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에 연결되는 마스트 조립체(40)와,
    상기 마스트 조립체에 부착되고 상기 마스트 조립체에 의해 상기 본체를 향해 그리고 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가능한 조작실(50, personnel compartment)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섀시의 일부분에 걸쳐 연장하도록 적용되는 커버(80)와, 상기 섀시와 상기 커버에 연결되는 중량 센서 조립체(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량 센서 조립체는 사람 또는 물건이 상기 커버 위에 위치하면 감지할 수 있는 작업 보조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부분은 상기 조작실 바로 아래에 위치되는 모터실(70)을 포함하는 작업 보조 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 조립체는 둘 이상의 마스트 섹션(41, 42, 43)과, 상기 마스트 섹션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섀시에 연결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마스트 섹션이 상기 섀시를 향해 그리고 상기 섀시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하나 이상의 마스트 섹션은 상기 조작실이 상기 하나의 마스트 섹션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조작실에 연결되는 작업 보조 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어기(150)를 더 포함하는 작업 보조 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센서 조립체는 상기 섀시에 연결되고 상기 섀시에 대해 이동가능한 지지 바아(92)와,
    상기 지지 바아를 상기 섀시로부터 편향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 바아와 상기 섀시 사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94)과,
    상기 섀시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 바아 근처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스위치(96)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지지 바아에 연결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스위치는 상기 지지 바아가 상기 커버 위에 위치된 사람 또는 물건에 의해 상기 섀시를 향해 상기 하나 이상의 스프링에 대항하여 이동하면 상기 지지 바아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스위치는 작동되면 존재 검출(presence-detected)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존재 검출 신호는 상기 제어기(150)에 접속되는 작업 보조 차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아는 일반적으로 H형인 바아(92)를 포함하는 작업 보조 차량.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스위치는 상기 일반적으로 H형인 바아(92) 아래에 위치되는 제 1, 제 2, 제 3, 제 4 마이크로스위치(96a - 96d)를 포함하는 작업 보조 차량.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존재 검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승강장치가 상기 조작실을 상기 섀시를 향해 낮추는 것을 방지하는 작업 보조 차량.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30)는 하나 이상의 구동 휠(32)과, 상기 하나 이상의 구동 휠과 연결되고 이 구동 휠을 구동하도록 적용되는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 조립체(36, 38, 38a)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존재 검출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구동 모터 조립체가 상기 하나 이상의 구동 휠을 구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업 보조 차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 조립체는 브레이크(38a)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존재 검출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브레이크가 결합하게 하는 작업 보조 차량.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는 상기 사람 또는 물건이 상기 커버로부터 제거되었을 때 해제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스위치의 해제 후 예정된 지연 기간 후에 상기 승강장치가 상기 조작실을 상기 섀시를 향해 낮추는 것을 허용하는 작업 보조 차량.
  12. 섀시와, 상기 섀시에서 지지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자체 추진식 조향가능한 본체(20)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마스트 조립체(40)와,
    상기 마스트 조립체에 부착되고 상기 마스트 조립체에 의해 상기 본체를 향해 그리고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가능한 베이스(52)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섀시의 일부분에 걸쳐 연장하도록 적용되는 커버(80)와, 상기 커버와 상기 섀시에 연결되는 중량 센서 조립체(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량 센서 조립체는 사람 또는 물건이 상기 커버 위에 위치되면 감지할 수 있는 차량.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부분은 상기 베이스 바로 아래에 위치되는 모터실(70)을 포함하는 차량.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 조립체는 둘 이상의 마스트 섹션(41, 42, 43)과, 상기 섀시와 상기 마스트 섹션 중의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승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마스트 섹션이 상기 섀시를 향해 그리고 섀시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며, 상기 하나 이상의 마스트 섹션은 상기 베이스가 상기 마스트 섹션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차량.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어기(150)를 더 포함하는 차량.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센서 조립체는 상기 섀시에 연결되고 상기 섀시에 대해 이동가능한 지지 바아(92)와,
    상기 지지 바아를 상기 섀시로부터 멀어지도록 편향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 바아와 상기 섀시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스프링(94)과,
    상기 섀시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 바아 근처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스위치(96)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지지 바아에 연결되며,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는 상기 지지 바아가 상기 커버 위에 위치된 사람 또는 물건에 의해 상기 섀시를 향해 상기 하나 이상의 스프링에 대항하여 이동하면 상기 지지 바아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스위치는 작동되면 존재 검출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존재 검출 신호는 상기 제어기(150)로 전송되는 차량.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50)는 상기 존재 검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승강장치가 상기 베이스를 상기 섀시를 향해 낮추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30)는 하나 이상의 구동 휠(32)과 상기 하나 이상의 구동 휠에 연결되고 구동하도록 적용되는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 조립체(36, 38, 38a)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존재 검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구동 모터 조립체가 상기 하나 이상의 구동 휠을 구동시키는 것을 또한 방지하는 차량.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 조립체는 브레이크(38a)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150)는 상기 존재 검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브레이크가 결합하도록 하는 차량.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96)는 상기 사람 또는 물건이 상기 커버(80)로부터 제거될 때 해제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스위치의 해제 후의 예정된 지연 기간 후에 상기 베이스를 상기 섀시를 향해 낮추는 것을 허용하는 차량.
KR1020007002120A 1997-09-02 1998-08-28 작업 보조 차량용 모터 커버 KR200100234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784997P 1997-09-02 1997-09-02
US60/057,849 1997-09-02
US6028797P 1997-09-29 1997-09-29
US06/060,287 1997-09-29
PCT/US1998/017855 WO1999011557A1 (en) 1997-09-02 1998-08-28 Motor cover for a work assist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3475A true KR20010023475A (ko) 2001-03-26

Family

ID=2673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2120A KR20010023475A (ko) 1997-09-02 1998-08-28 작업 보조 차량용 모터 커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009708B1 (ko)
KR (1) KR20010023475A (ko)
AT (1) ATE228477T1 (ko)
AU (1) AU736127B2 (ko)
CA (1) CA2302048C (ko)
DE (1) DE69809765T2 (ko)
NZ (1) NZ502597A (ko)
WO (1) WO19990115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4561A1 (fr) * 2018-10-26 2020-04-30 Haulotte Group Systeme de pesage pour plate-forme de travail d'une nacelle elevatrice a mat
FR3087762A1 (fr) * 2018-10-26 2020-05-01 Haulotte Group Systeme de pesage pour plate-forme de travail d’une nacelle elevatrice a ma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5824A (en) * 1959-05-01 1961-12-28 Leonard Evans A platform lift
US4258825A (en) * 1978-05-18 1981-03-31 Collins Pat L Powered manlift cart
US5203425A (en) * 1991-03-13 1993-04-20 Wehmeyer Donald T Personnel lift devices
CH685624A5 (fr) * 1991-12-03 1995-08-31 Richard Schminke Plate-forme élévatrice.
US5273132A (en) * 1992-02-28 1993-12-28 Kabushiki Kaishi Aichi Corporation Compact aerial lift vehicle with a vertically movable platform
FR2717456B1 (fr) * 1994-03-16 1996-05-03 Cimm Dispositif élévateur de personnel.
WO1998009910A1 (en) * 1996-09-09 1998-03-12 Crown Equipment Corporation Personnel carrying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02048A1 (en) 1999-03-11
DE69809765T2 (de) 2003-09-18
AU736127B2 (en) 2001-07-26
EP1009708A1 (en) 2000-06-21
WO1999011557A1 (en) 1999-03-11
EP1009708B1 (en) 2002-11-27
NZ502597A (en) 2001-11-30
CA2302048C (en) 2006-02-14
ATE228477T1 (de) 2002-12-15
DE69809765D1 (de) 2003-01-09
AU9209298A (en) 1999-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51487B2 (en) Aerial-lift working-platform control desk with protection against crushing of the operator
US6000502A (en) Personnel carrying vehicle
US20230312317A1 (en) Opto-electric system of enhanced operator control station protection
US6241047B1 (en) Personnel carrying vehicle
EP2190775B1 (en) Operator cage
US11420858B2 (en) Personnel lift vehicle
US5992572A (en) Personnel carrying vehicle
EP3228582A2 (en) Opto-electric system of enhanced operator control station protection
KR20010023475A (ko) 작업 보조 차량용 모터 커버
AU2002300699B2 (en) Personnel Carrying Vehicle
US6019190A (en) Motor cover for a work assist vehicle
US9440830B2 (en) Personnel lift vehicle
MXPA00001675A (en) Motor cover for a work assist vehicle
AU2006201221B2 (en) Personnel carrying vehicle
AU2006201222B2 (en) Personnel carrying vehicle
JP3704859B2 (ja) 自動倉庫のスタッカクレーン
JP2003201095A (ja) オーダーピッ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