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8670A -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 - Google Patents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8670A
KR20010018670A KR1019990034709A KR19990034709A KR20010018670A KR 20010018670 A KR20010018670 A KR 20010018670A KR 1019990034709 A KR1019990034709 A KR 1019990034709A KR 19990034709 A KR19990034709 A KR 19990034709A KR 20010018670 A KR20010018670 A KR 20010018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transmission
output
recep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6888B1 (ko
Inventor
이상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텔레콤
Priority to KR1019990034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6888B1/ko
Publication of KR20010018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8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78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gain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는 전파음영지역에서의 원활한 송/수신을 위한 중소형 무선중계장치의 송신 및 수신주파수 처리시 공통으로 사용되는 부분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기지국과 각 단말기 사이의 송/수신주파수를 혼변조 없이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어 해당하는 각 단말기로 출력되는 수신주파수와 각 단말기에서 송신되어 신호처리된 후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송신주파수를 분할하여 출력하는 제 10 주파수 분할부와; 각 단말기로부터 송신되어 기지국으로 출력되는 송신주파수와 기지국에서 수신되어 신호처리된 후 해당하는 각 단말기로 전송되는 수신주파수를 분할하여 출력하는 제 11 주파수 분할부와; 제 10 주파수 분할부에서 출력된 수신주파수의 잡음을 줄이고 해당 단말기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수신주파수 입력부와; 제 11 주파수 분할부에서 출력된 송신주파수의 잡음을 줄이고 해당 단말기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송신주파수 입력부와; 수신주파수 입력부와 송신주파수 입력부에서 출력된 송신 및 수신주파수를 결합한 후 입력주파수의 세기에 따른 이득을 제어하고, 다단으로 증폭한 후 해당하는 각 단말기의 주파수 대역의 송/수신주파수를 필터링하며, 필터링된 송신 및 수신주파수를 분리하는 송/수신주파수 처리부와; 송/수신주파수 처리부에서 분리된 수신주파수를 필터링한 후 전력 증폭을 수행하고, 전력 증폭된 해당 수신주파수를 제 11 주파수 분할부로 출력하며, 수신주파수의 전력을 검출하여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수신주파수 출력부와; 송/수신주파수 처리부에서 분리된 송신주파수를 필터링한 후 전력 증폭을 수행하고, 전력 증폭된 해당 송신주파수를 제 10 주파수 분할부로 출력하며, 송신주파수의 전력을 검출하는 송신주파수 출력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지국과 각 단말기 사이의 송/수신주파수 처리시 효율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중계장치의 크기는 물론, 제조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 {Repeater for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used in radio wave shadow area}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파음영지역에서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신호를 원활히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중소형 무선중계장치의 송신 및 수신주파수 처리시 공통으로 사용되는 부분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기지국과 각 단말기 사이의 송/수신주파수를 혼변조 없이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도 정보화 사회에서 필수적인 정보 통신 분야의 발전은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고, 이에 따라 정보 통신 분야와 관련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정보 통신 분야 중에서 이동 통신 분야의 발전은 시장이 넓을 뿐만 아니라 연구 개발도 빠르게 진척되고 있는 실정으로 전세계 각국에서 이동 통신 분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고, 그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각종 유무선 통신망들중 휴대용 전화기 또는 무선호출 수신기 등의 휴대용 통신기기는 사용자들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이동중에 전화통화를 수행함은 물론 간단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어 그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상술한 휴대용 통신기기는 기지국에서 무선으로 출력되는 상대방의 음성신호나 소정의 메시지를 수신하기 때문에 전파를 수신하는 현재 위치에 따라 수신 상태가 다르게 된다.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기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지상에 있을 경우에는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전파를 원활하게 수신할 수 있으나, 지하나 건물의 내부 등 전파음영지역에 있을 경우에는 전파의 전계 강도가 약하여 원활하게 수신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그러나 상술한 휴대용 통신기기를 사용하는 많은 사용자들은 이에 대한 지식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지하에 위치하여 상대방에 의한 무선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사용자들은 휴대용 통신기기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애프터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휴대용 통신기기의 전파가 도달하지 않는 지하 및 실내 등의 전파음영지역에서도 무선신호를 수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무선중계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2는 상술한 도 1의 수신 및 송신주파수 처리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술한 휴대용 통신기기에는 셀룰러(Cellular),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등의 휴대용 전화기 및 무선호출 수신기 등이 있고, 여기에서는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중계를 예로 하여 설명하며,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성 설명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도시되어 있지 않음)으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주파수를 후술되는 수신주파수 처리부(2)로 출력하며 후술되는 송신주파수 처리부(3)를 통해 각 단말기(도시되어 있지 않음)에서 송신되는 송신주파수를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1 주파수 분할부(1)와, 제 1 주파수 분할부(1)를 통해 입력된 수신주파수를 해당되는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수신주파수 처리부(2)와, 후술되는 제 2 주파수 분할부(4)를 통해 각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송신주파수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해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송신주파수 처리부(3)와, 안테나를 통해 각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주파수를 송신주파수 처리부(3)로 출력하며 수신주파수 처리부(2)를 통해 출력되는 수신주파수를 안테나를 통해 각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주파수 분할부(4)로 구성된다.
상술한 수신주파수 처리부(2)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의 잡음을 적게 하기 위해 증폭하는 제 1 저잡음 증폭부(2A)와, 제 1 저잡음 증폭부(2A)를 통해 출력되는 무선신호중 해당되는 각 단말기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선택하여 통과시키는 제 1 수신주파수 필터부(2B)와, 제 1 수신주파수 필터부(2B)에서 출력되는 수신주파수를 증폭하는 제 1 증폭부(2C)와, 제 1 증폭부(2C)로부터 큰 신호의 수신주파수가 인가되는 경우 이를 억압하기 위해 후술되는 제 1 전력 검출부(2L)의 제어전압에 따라 이득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제 1 자동이득 감쇄부(Automatic Gain Control)(2D)와, 이득이 조정된 수신주파수를 증폭하는 제 2, 제 3 증폭부(2E)(2F)와, 제 3 증폭부(2F)에서 출력되는 수신주파수중 해당 단말기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선택하여 통과시키는 제 2 수신주파수 필터부(2G)와, 제 2 수신주파수 필터부(2G)에서 출력되는 수신주파수의 수신 레벨을 높이기 위해 증폭하는 제 4 증폭부(2H)와, 제 4 증폭부(2H)에서 출력되는 수신주파수중 해당 단말기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한번 더 선택하여 통과시키는 제 3 수신주파수 필터부(2I)와, 수신주파수가 각 단말기로 전송될 때 사용되는 전력을 증폭하는 제 1 전력 증폭부(2J)와, 제 1 전력 증폭부(2J)에서 출력되는 수신주파수를 후술되는 제 1 전력 검출부(2L)와 제 2 주파수 분할부(4)로 출력하는 제 1 3db 분리부(2K)와, 제 1 3db 분리부(2K)에서 출력되는 수신주파수의 전력을 검출하여 큰 신호의 수신주파수가 인가되는 경우 상술한 제 1 자동이득 감쇄부(2D)로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제 1 전력 검출부(2L)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송신주파수 처리부(3)는 수신주파수 처리부(2)와 동일하게 제 2 저잡음 증폭부(3A), 제 1 송신주파수 필터부(3B), 제 5 증폭부(3C), 제 2 자동이득 감쇄부(3D), 제 6, 제 7 증폭부(3E)(3F), 제 2 송신주파수 필터부(3G), 제 8 증폭부(3H), 제 3 송신주파수 필터부(3I), 제 2 전력 증폭부(3J), 제 2 3db 분리부(3K) 및 제 2 전력 검출부(3L)로 구성되며, 기지국에서 각 단말기로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중계하는 수신주파수 처리부(2)와는 달리 각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중계한다.
상술한 제 2 자동이득 감쇄부(3D)는 수신주파수의 이득조정에 연동하여 제 1 전력 검출부(2L)의 제어전압에 따라 송신주파수의 이득조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술한 제 1∼제 3 송/수신 필터부(2B, 2G, 2I, 3B, 3G, 3I)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중 무선중계장치의 중계주파수 특성에 따라 셀룰러, GSM, PCS 등 사용자가 지닌 휴대용 통신기기의 해당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해 표면 탄성파 필터(Surface Acoustic Wave Filter) 또는 세라믹 재질의 유전체 필터를 사용한다.
이 경우 제 1∼제 3 송/수신 필터부(2B, 2G, 2I, 3B, 3G, 3I)는 휴대용 통신기기가 셀룰러인 경우 송신주파수는 836±13 MHz, 수신주파수는 881±13 MHz의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고, GSM인 경우 송신주파수는 900±13 MHz, 수신주파수는 937±13 MHz의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며, PCS인 경우 송신주파수는 1765±15 MHz, 수신주파수는 1855±15 MHz의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킨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는 수신주파수 처리부와 송신주파수 처리부의 회로구성이 거의 동일하여 부품이 이중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중계장치의 부피가 커질뿐만 아니라 회로 구성이 복잡해지며, 이에 따라 제조비용도 크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빌딩 내, 지하공간 등의 전파음영지역에서 각종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신호를 원활히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중소형 무선중계장치의 송신 및 수신주파수 처리시 공통으로 사용되는 부분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기지국과 각 단말기 사이의 송/수신주파수를 혼변조 없이 처리하기 위한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수신주파수 처리부와 송신주파수 처리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3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 주파수 분할부 30 : 수신주파수 입력부
31, 41 : 저잡음 증폭부 32, 61 : 수신주파수 필터부
40 : 송신주파수 입력부 42, 71 : 송신주파수 필터부
50 : 송/수신주파수 처리부 51 : 3db 결합부
52, 54, 55, 57 : 증폭부 53 : 자동이득 감쇄부
56 : 송/수신주파수 필터부 58, 63, 73 : 3db 분리부
60 : 수신주파수 출력부 62, 72 : 전력증폭부
64, 74 : 전력검출부 70 : 송신주파수 출력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어 해당하는 각 단말기로 출력되는 수신주파수와 각 단말기에서 송신되어 신호처리된 후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송신주파수를 분할하여 출력하는 제 10 주파수 분할부와; 각 단말기로부터 송신되어 기지국으로 출력되는 송신주파수와 기지국에서 수신되어 신호처리된 후 해당하는 각 단말기로 전송되는 수신주파수를 분할하여 출력하는 제 11 주파수 분할부와; 제 10 주파수 분할부에서 출력된 수신주파수의 잡음을 줄이고 해당 단말기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수신주파수 입력부와; 제 11 주파수 분할부에서 출력된 송신주파수의 잡음을 줄이고 해당 단말기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송신주파수 입력부와; 수신주파수 입력부와 송신주파수 입력부에서 출력된 송신 및 수신주파수를 결합한 후 입력주파수의 세기에 따른 이득을 제어하고, 다단으로 증폭한 후 해당하는 각 단말기의 주파수 대역의 송/수신주파수를 필터링하며, 필터링된 송신 및 수신주파수를 분리하는 송/수신주파수 처리부와; 송/수신주파수 처리부에서 분리된 수신주파수를 필터링한 후 전력 증폭을 수행하고, 전력 증폭된 해당 수신주파수를 제 11 주파수 분할부로 출력하며, 수신주파수의 전력을 검출하여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수신주파수 출력부와; 송/수신주파수 처리부에서 분리된 송신주파수를 필터링한 후 전력 증폭을 수행하고, 전력 증폭된 해당 송신주파수를 제 10 주파수 분할부로 출력하며, 송신주파수의 전력을 검출하는 송신주파수 출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상술한 도 3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0 주파수 분할부(1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수신주파수를 신호처리한 후 해당하는 각 단말기로 출력하기 위해 후술되는 수신주파수 입력부(30)로 출력하며, 후술되는 송신주파수 출력부(70)를 통해 입력되는 각 단말기에서 송신된 송신주파수를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제 11 주파수 분할부(20)는 각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송신주파수를 신호처리한 후 기지국으로 출력하기 위해 후술되는 송신주파수 입력부(20)로 출력하며, 후술되는 수신주파수 출력부(60)를 통해 입력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수신주파수를 안테나를 통해 해당하는 각 단말기로 전송한다.
수신주파수 입력부(30)는 제 10 주파수 분할부(10)에서 출력된 수신주파수의 잡음을 줄이고 해당 단말기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후술되는 송/수신주파수 처리부(50)로 출력한다.
이 수신주파수 입력부(30)는 제 10 주파수 분할부(10)에서 출력된 수신주파수의 잡음을 적게 하기 위해 증폭하는 제 10 저잡음 증폭부(31)와, 제 10 저잡음 증폭부(31)를 통해 출력되는 수신주파수중 해당되는 각 단말기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선택하여 통과시키는 제 10 수신주파수 필터부(32)로 구성된다.
송신주파수 입력부(40)는 제 11 주파수 분할부(20)에서 출력된 송신주파수의 잡음을 줄이고 해당 단말기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후술되는 송/수신주파수 처리부(50)로 출력한다.
이 송신주파수 입력부(40)는 제 11 주파수 분할부(20)에서 출력된 송신주파수의 잡음을 적게 하기 위해 증폭하는 제 11 저잡음 증폭부(41)와, 제 11 저잡음 증폭부(41)를 통해 출력되는 송신주파수중 해당되는 각 단말기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선택하여 통과시키는 제 10 송신주파수 필터부(42)로 구성된다.
송/수신주파수 처리부(50)는 상술한 수신주파수 입력부(30)와 송신주파수 입력부(40)에서 출력된 송신 및 수신주파수를 결합한 후 후술되는 수신주파수 출력부(60)의 제 10 전력 검출부(64)에서 출력되는 전압제어신호에 따라 입력주파수의 세기에 따른 이득을 제어하고, 다단으로 증폭한 후 해당하는 각 단말기의 주파수 대역의 송/수신주파수를 필터링하며, 필터링된 송신 및 수신주파수를 분리하여 송신 및 수신주파수에 따라 후술되는 수신주파수 출력부(60)와 송신주파수 출력부(70)로 출력한다.
상술한 송/수신주파수 처리부(50)는 수신주파수 입력부(30)와 송신주파수 입력부(40)에서 출력된 송신 및 수신주파수를 결합하는 3db 결합부(51)와, 3db 결합부(51)에서 결합된 송/수신주파수를 증폭하는 제 10 증폭부(52)와, 제 10 증폭부(52)로부터 큰 신호의 수신주파수가 인가되는 경우 이를 억압하기 위해 후술되는 수신주파수 출력부(60)의 제 10 전력 검출부(64)에서 출력되는 전압제어신호에 따라 이득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자동이득 감쇄부(53)와, 자동이득 감쇄부(53)를 통해 이득이 조정된 수신주파수를 증폭하는 제 11, 제 12 증폭부(54)(55)와, 제 12 증폭부(55)에서 출력되는 송신 및 수신주파수중 해당 단말기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선택하여 통과시키는 송/수신주파수 필터부(56)와, 송/수신주파수 필터부(56)에서 출력되는 송/수신주파수의 레벨을 높이기 위해 증폭하는 제 13 증폭부(57)와, 제 13 증폭부(57)에서 출력된 신호처리가 수행된 송신 및 수신주파수를 분리하여 후술되는 수신주파수 출력부(60)와 송신주파수 출력부(70)로 각각 출력하는 제 10 3db 분리부(58)로 구성된다.
수신주파수 출력부(60)는 송/수신주파수 처리부(50)에서 분리된 수신주파수를 필터링한 후 전력 증폭을 수행하고, 전력 증폭된 해당 수신주파수를 제 11 주파수 분할부(20)로 출력하며, 수신주파수의 전력을 검출하여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전압을 송/수신주파수 처리부(50)의 자동이득 감쇄부(53)로 출력한다.
이 수신주파수 출력부(60)는 제 10 3db 분리부(58)에서 출력되는 수신주파수중 해당 단말기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선택하여 통과하는 제 11 수신주파수 필터부(61)와, 수신주파수가 각 단말기로 전송될 때 사용되는 전력을 증폭하는 제 10 전력증폭부(62)와, 제 10 전력 증폭부(62)에서 출력되는 수신주파수를 제 11 주파수 분할부(20)로 출력함과 동시에 후술되는 제 10 전력검출부(64)로 출력하는 제 11 3db 분리부(63)와, 제 11 3db 분리부(63)에서 출력되는 수신주파수의 전력을 검출하여 큰 신호의 수신주파수가 인가되는 경우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전압을 자동이득 감쇄부(53)로 출력하는 제 10 전력검출부(64)로 구성된다.
송신주파수 출력부(70)는 송/수신주파수 처리부(50)에서 분리된 송신주파수를 필터링한 후 전력 증폭을 수행하고, 전력 증폭된 해당 송신주파수를 제 10 주파수 분할부(10)로 출력하며, 송신주파수의 전력을 검출하여 중계장치 관리자가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송신주파수 출력부(70)는 제 10 3db 분리부(58)에서 출력되는 송신주파수중 해당 단말기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선택하여 통과하는 제 11 송신주파수 필터부(71)와, 송신주파수가 기지국으로 전송될 때 사용되는 전력을 증폭하는 제 11 전력증폭부(72)와, 제 11 전력 증폭부(72)에서 출력되는 송신주파수를 제 10 주파수 분할부(10)로 출력함과 동시에 후술되는 제 11 전력검출부(74)로 출력하는 제 12 3db 분리부(73)와, 제 12 3db 분리부(73)에서 출력되는 송신주파수의 전력을 검출하여 큰 신호의 송신주파수가 인가되는지를 관리자가 확인하도록 하는 제 11 전력검출부(74)로 구성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지하공간, 빌딩 내부 등의 전파음영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중계장치를 사용하여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에서 각 단말기로 전달되는 수신주파수를 중계하는 경우 수신주파수는 제 10 주파수 분할부(10)를 거쳐 수신주파수 입력부(30)로 입력된다.
그러면 수신주파수 입력부(30)의 저잡음 증폭기(31)와 제 10 수신주파수 필터부(32)를 통해 수신주파수의 잡음을 줄이고 해당 단말기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송/수신주파수 처리부(50)로 출력된다.
또한, 각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송신주파수를 중계하는 경우 송신주파수는 제 11 주파수 분할부(20)를 거쳐 송신주파수 입력부(40)로 입력되며, 송신주파수 입력부(40)의 저잡음 증폭기(41)와 제 10 송신주파수 필터부(42)를 통해 송신주파수의 잡음을 줄이고 해당 단말기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송/수신주파수 처리부(50)로 출력된다.
이처럼 수신주파수 입력부(30)와 송신주파수 입력부(40)를 통해 출력되는 수신주파수와 송신주파수는 3db 결합부(51)를 통해 합성되고, 자동이득 감쇄부(53)를 통해 이득이 조정되며, 제 10 내지 제 13 증폭부(52)(54)(55)(57)와 송/수신주파수 필터부(56)를 통해 증폭 및 필터링 작업이 수행된다.
그리고 제 10 3b 분리부(58)를 통해 송신주파수와 수신주파수로 분리되어 수신주파수 출력부(60)와 송신주파수 출력부(70)로 각각 출력된다.
그러면 수신주파수 출력부(60)에서는 수신주파수를 제 11 수신주파수 필터부(61)를 통해 다시 한번 필터링을 수행하여 해당 수신주파수 이외의 성분을 제거한 후 제 10 전력증폭부(62)에서 전력을 증폭한 후 제 11 주파수 분할부(20)로 출력하여 안테나를 통해 각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송신주파수 출력부(70)에서는 송신주파수를 제 11 송신주파수 필터부(71)를 통해 다시 한번 필터링을 수행하여 해당 송신주파수 이외의 성분을 제거한 후 제 11 전력증폭부(72)에서 전력을 증폭한 후 제 10 주파수 분할부(10)로 출력하여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수신주파수 입력부(30)와 송신주파수 입력부(40)의 저잡음 증폭부와 수신/송신주파수 필터부를 공유하지 않는 이유는, 송/수신주파수 처리부(50)의 3db 결합부(51)에서 합쳐진 송신주파수와 수신주파수가 거꾸로 안테나측으로 나가는 역분리도(reverse isolation)가 나빠져 기지국측 안테나와 단말기측 안테나의 분리도가 커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계장치 설계시 역분리도가 이상이 없도록 설계하면 수신주파수와 송신주파수를 공유하여 처리하는 송/수신주파수 처리부(50)의 동작에는 이상이 없게 된다.
즉, 송신주파수가 수신주파수측으로 또는 그와 반대로 수신주파수가 송신주파수측으로 출력되지 않도록 제 11 수신주파수 필터부(61)와 제 11 송신주파수 필터부(71)의 상대 주파수 억압도와 제 10, 11 주파수 분할부(10)(20)의 억압도를 크게 설계하여 필터부와 주파수 분할부의 감쇄도를 충분하게 하여야 한다.
또한, 송신주파수와 수신주파수를 공유하여 증폭하면 하나의 송신주파수 또는 수신주파수를 증폭할 때보다 전력도 커지고 증폭기 자체의 비선형(non-linearity)에 기인하는 혼변조가 발생될 염려가 크기 때문에 설계시 증폭도가 좋은 증폭기를 사용하여 이를 방지하여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에 의하면, 중소형 무선중계장치에서 송/수신주파수를 처리할 때 송/수신에 동일하게 사용되는 부분을 통합하여 구성하고, 통합된 구성요소들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각 단말기 사이의 송/수신주파수를 혼변조 없이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중계장치의 크기는 물론, 제조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어 해당하는 각 단말기로 출력되는 수신주파수와 각 단말기에서 송신되어 신호처리된 후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송신주파수를 분할하여 출력하는 제 10 주파수 분할부;
    각 단말기로부터 송신되어 기지국으로 출력되는 송신주파수와 기지국에서 수신되어 신호처리된 후 해당하는 각 단말기로 전송되는 수신주파수를 분할하여 출력하는 제 11 주파수 분할부;
    상기 제 10 주파수 분할부에서 출력된 수신주파수의 잡음을 줄이고 해당 단말기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수신주파수 입력부;
    상기 제 11 주파수 분할부에서 출력된 송신주파수의 잡음을 줄이고 해당 단말기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송신주파수 입력부;
    상기 수신주파수 입력부와 송신주파수 입력부에서 출력된 송신 및 수신주파수를 결합한 후 입력주파수의 세기에 따른 이득을 제어하고, 다단으로 증폭한 후 해당하는 각 단말기의 주파수 대역의 송/수신주파수를 필터링하며, 필터링된 송신 및 수신주파수를 분리하는 송/수신주파수 처리부;
    상기 송/수신주파수 처리부에서 분리된 수신주파수를 필터링한 후 전력 증폭을 수행하고, 전력 증폭된 해당 수신주파수를 상기 제 11 주파수 분할부로 출력하며, 수신주파수의 전력을 검출하여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수신주파수 출력부; 및
    상기 송/수신주파수 처리부에서 분리된 송신주파수를 필터링한 후 전력 증폭을 수행하고, 전력 증폭된 해당 송신주파수를 상기 제 10 주파수 분할부로 출력하며, 송신주파수의 전력을 검출하는 송신주파수 출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주파수 입력부는,
    상기 제 10 주파수 분할부에서 출력된 수신주파수의 잡음을 적게 하기 위해 증폭하는 제 10 저잡음 증폭부; 및
    상기 제 10 저잡음 증폭부를 통해 출력되는 수신주파수중 해당되는 각 단말기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선택하여 통과시키는 제 10 수신주파수 필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주파수 입력부는,
    상기 제 11 주파수 분할부에서 출력된 송신주파수의 잡음을 적게 하기 위해 증폭하는 제 11 저잡음 증폭부; 및
    상기 제 11 저잡음 증폭부를 통해 출력되는 송신주파수중 해당되는 각 단말기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선택하여 통과시키는 제 10 송신주파수 필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주파수 처리부는,
    상기 수신주파수 입력부와 송신주파수 입력부에서 출력된 송신 및 수신주파수를 결합하는 3db 결합부;
    상기 3db 결합부에서 결합된 송/수신주파수를 증폭하는 제 10 증폭부;
    상기 제 10 증폭부로부터 큰 신호의 수신주파수가 인가되는 경우 이를 억압하기 위해 이득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자동이득 감쇄부;
    상기 자동이득 감쇄부를 통해 이득이 조정된 수신주파수를 증폭하는 제 11, 제 12 증폭부;
    상기 제 12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송신 및 수신주파수중 해당 단말기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선택하여 통과시키는 송/수신주파수 필터부;
    상기 송/수신주파수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송/수신주파수의 레벨을 높이기 위해 증폭하는 제 13 증폭부; 및
    상기 제 13 증폭부에서 출력된 신호처리가 수행된 송신 및 수신주파수를 분리하는 제 10 3db 분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주파수 출력부는,
    상기 제 10 3db 분리부에서 출력되는 수신주파수중 해당 단말기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선택하여 통과하는 제 11 수신주파수 필터부;
    수신주파수가 각 단말기로 전송될 때 사용되는 전력을 증폭하는 제 10 전력증폭부;
    상기 제 10 전력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수신주파수를 상기 제 11 주파수 분할부로 출력하는 제 11 3db 분리부; 및
    상기 제 11 3db 분리부에서 출력되는 수신주파수의 전력을 검출하여 큰 신호의 수신주파수가 인가되는 경우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전압을 상기 자동이득 감쇄부로 출력하는 제 10 전력검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주파수 출력부는,
    상기 제 10 3db 분리부에서 출력되는 송신주파수중 해당 단말기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선택하여 통과하는 제 11 송신주파수 필터부;
    송신주파수가 기지국으로 전송될 때 사용되는 전력을 증폭하는 제 11 전력증폭부;
    상기 제 11 전력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송신주파수를 상기 제 10 주파수 분할부로 출력하는 제 12 3db 분리부; 및
    상기 제 12 3db 분리부에서 출력되는 송신주파수의 전력을 검출하여 큰 신호의 송신주파수가 인가되는지를 관리자가 확인하도록 하는 제 11 전력검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
KR1019990034709A 1999-08-20 1999-08-20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 KR100306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709A KR100306888B1 (ko) 1999-08-20 1999-08-20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709A KR100306888B1 (ko) 1999-08-20 1999-08-20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670A true KR20010018670A (ko) 2001-03-15
KR100306888B1 KR100306888B1 (ko) 2001-11-01

Family

ID=19608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709A KR100306888B1 (ko) 1999-08-20 1999-08-20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68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132B1 (ko) * 2001-11-27 2004-07-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터널용 광분산 시스템
KR100460315B1 (ko) * 2001-12-29 2004-12-08 (주)하이게인안테나 능동 필터를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용 중계기
US7876383B2 (en) 2003-12-22 2011-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to search channels in parallel and channel searching method thereof
US8811259B2 (en) 2006-01-19 2014-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figur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in 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he same
KR101487796B1 (ko) * 2013-04-22 2015-01-29 웨이브사이언스(주) 방송신호 증폭 중계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9705A (ja) * 1995-11-13 1997-05-27 N T T Ido Tsushinmo Kk 無線中継装置
JPH09191283A (ja) * 1996-01-09 1997-07-22 Furukawa C & B Kk 電波中継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132B1 (ko) * 2001-11-27 2004-07-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터널용 광분산 시스템
KR100460315B1 (ko) * 2001-12-29 2004-12-08 (주)하이게인안테나 능동 필터를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용 중계기
US7876383B2 (en) 2003-12-22 2011-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to search channels in parallel and channel searching method thereof
US8811259B2 (en) 2006-01-19 2014-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figur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in 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he same
US9485703B2 (en) 2006-01-19 2016-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figur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in 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he same
KR101487796B1 (ko) * 2013-04-22 2015-01-29 웨이브사이언스(주) 방송신호 증폭 중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6888B1 (ko) 200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0111B2 (ja) 移動無線機のマルチバンド高周波回路
US6658263B1 (en) Wireless system combining arrangement and method thereof
CA2580673A1 (en) Cellular network low noise amplifiers for use with multiple frequencies
KR100711015B1 (ko) 무선 시스템 결합 장치 및 그 방법
KR100306888B1 (ko) 전파음영 지역용 휴대용 통신기기의 무선중계장치
US581580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enuating an undesired signal in a radio transceiver
KR100701976B1 (ko) 저지연 특성을 갖는 무선 중계장치
EP1325556B1 (en)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circuit
KR100744362B1 (ko)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링크의 수신신호의 간섭억제장치 및 방법
KR100333729B1 (ko) 트리플 모드형 무선주파수 가변이득증폭 중계장치
KR101094496B1 (ko) 통합 무선 중계 장치
KR100560129B1 (ko) 송수신용 전력 증폭기 및 저잡음 증폭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
KR101010814B1 (ko) 통합 무선 중계 장치
KR100581732B1 (ko) Tdd방식의 휴대 인터넷 무선중계기의 피드백신호감소장치
KR100645356B1 (ko) Cctv 설비를 이용하여 전파 음영지역의 통화 품질을개선하는 rf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200360431Y1 (ko) 통합형 무선중계기
KR20050119224A (ko) 통합형 무선중계기 및 그를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
JP2000269879A (ja) 中継増幅装置
KR100618092B1 (ko) 티디디 방식을 이용한 휴대인터넷용 무선중계기
JPH08508377A (ja) 無線中継器
JP2004147004A (ja) ブースター装置
KR100548180B1 (ko) 휴대 인터넷 무선중계기의 순방향 및 역방향 절체제어신호 추출장치
KR200212451Y1 (ko) 이동통신용 중계기
JP2000031879A (ja) 無線中継増幅装置
JP2003289279A (ja) 移動体通信信号の送受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