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7908A -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7908A
KR20010017908A KR1019990033656A KR19990033656A KR20010017908A KR 20010017908 A KR20010017908 A KR 20010017908A KR 1019990033656 A KR1019990033656 A KR 1019990033656A KR 19990033656 A KR19990033656 A KR 19990033656A KR 20010017908 A KR20010017908 A KR 20010017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vernor
hoistway
elevator
installation structure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9050B1 (ko
Inventor
이용대
Original Assignee
백영문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영문,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백영문
Priority to KR1019990033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9050B1/ko
Publication of KR20010017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0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최상부에 기계실이 구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조속기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치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승강대가 승강로상을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하강하는 경우에 동작되어 승강대를 비상정지시키도록 설치되는 조속기가 승강로의 하측에 설치되도록 된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치구조에 있어서, 레일(70) 또는 승강로 벽면의 하측에 횡설되는 조속기 지지부재(210)와, 이 조속기 지지부재(210)에 구성되어 상기 조속기(100)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장치(220)로 이루어진 조속기고정수단(200)과; 상기 조속기의 주륜(120)에 일측이 권취된 조속기로프(60)의 타측이 권취되는 아이들 시브(310)가 설치되도록 레일 또는 승강로 벽면 상측에 횡설되는 시브 지지부재(3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치구조{GOVERNOR MOUNTING STRUCTURE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실이 구비되어 있지 않는 엘리베이터장치에서도 조속기의 설치가 가능하여 승강대가 비정상적인 속도로 하강하고 있는가를 검출하여 비상정지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에는 법규에 의거하여 비상정지장치가 장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비상정지장치는 로프가 끊어졌을 때 뿐만 아니라 어떠한 이상이 있어 승강대가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하강하는 경우에 동작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기계실에 설치되는 조속기(Governor)와 승강대의 하부에 배치되는 비상정지장치로 구성된다.
첨부도면, 도 1은 종래 기계실이 승강로 상측에 갖추어진 엘리베이터장치의 조속기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속기(10)는 기계실의 설치면(20)상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2)과, 이 고정프레임(12)상에는 승강대(미도시)에 연결되어 조속기로프(30)가 권취되는 주륜(14)과, 상기 주륜(14)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진자(16)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고정프레임(12)상에는 팻치(17)에 의해 지지되는 레버(18) 및, 과속스위치(19)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승강로의 하부 피트(Pit)에는 상기 조속기로프(30)의 하부가 권취되는 아이들 시브(50)가 지지부재(52)에 의해 레일(40)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설치된 조속기(10)는 승강대에 연결된 조속기로프에 의해 그 주륜(14)이 회전되다가 승강대의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빨라지면 조속기 주륜(14)의 진자(振子,16)가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지며 과속스위치(19)를 동작시킨다.
이것은 권양기의 전동기 전원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권양기의 브레이크를 동작시킴으로써 승강대가 정지하게 되고, 이와 같은 과정에서 권양기 브레이크 고장이라든지 로프가 끊어진 경우에는 승강대가 멈추지 않고 급격하게 하강하게 되는데 대개 정격 속도의 1.3배를 넘는 경우에는 조속기 주륜(14)의 진자(16)가 다시 벌어져 레버(18)를 고정하고 있는 팻치(17)를 이탈시키고 이로 인해 레버(18)가 스프링
(15)의 탄성력으로 조속기 로프(30)를 붙잡아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속기 설치구조는 기계실(Machine room)이 건축물의 최상부에 구비된 엘리베이터장치에서는 설치가 가능한 것이나, 조형미 등을 이유로 해서 최상부에 기계실을 건축하지 않는 건축물이 점차 늘어나고 있고, 유압식 엘리베이터 또는 기계실이 승강로 하부에 위치되는 구조에서는 종래의 조속기 설치구조를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조속기(10)가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구조는 보수작업이 고도가 높은 위치에서 이루어지므로 보수의 작업성이 떨어지고,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도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건축물의 최상부에 기계실이 구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조속기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치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강대가 승강로상을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하강하는 경우에 동작되어 승강대를 비상정지시키도록 설치되는 조속기가 승강로의 하측에 설치되도록 된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치구조에 있어서, 레일 또는 승강로 벽면의 하측에 횡설되는 조속기 지지부재와, 이 조속기 지지부재에 구성되어 상기 조속기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장치로 이루어진 조속기고정수단과, 상기 조속기의 주륜에 일측이 권취된 조속기로프의 타측이 권취되는 아이들 시브가 설치되도록 레일 또는 승강로 벽면 상측에 횡설되는 시브 지지부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장치는 조속기의 고정프레임의 상면상에 결합되는 복수의 웨이트부재와, 상기 웨이트부재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단부에 나사부가 절삭되어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의 각 상단 나사부에 삽입되고 고정너트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조속기의 하방 이탈이 방지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가이드봉이 삽입되어 그 상하 이동이 안내되는 가이드공과, 조속기로프가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는 로프삽입공이 천공되어 상기 조속기 지지부재의 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치구조에 의하면, 기계실이 건축물의 최상부에 구비되어 있지 않은 엘리베이터장치, 유압식 엘리베이터장치 또는 기계실이 승강로 하부에 위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장치에서도 조속기의 설치가 가능하여 엘리베이터 법규에 의거한 비상정지장치를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조속기가 승강로 하부에 구성된 구조이므로 설치 및 보수을 위한 작업성이 향상되며, 안전사고 발생의 가능성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계실이 승강로 상측에 갖추어진 엘리베이터장치의 조속기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조속기로프, 70:레일,
100:조속기, 200:조속기고정수단,
210:조속기 지지부재, 220:안내장치,
222:웨이트부재, 224:가이드봉,
226:스토퍼, 228:고정부재,
300:시브 지지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가 승강로상을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하강하는 경우에 동작되어 승강대를 비상정지시키도록 하는 조속기(Governer,
100)는 소정 형상의 고정프레임(110)과, 이 고정프레임(110)상에 조속기로프(60)가 권취되도록 설치되는 주륜(120)과, 상기 주륜(120)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진자
(130)와, 팻치(140)에 의해 지지되는 레버(150) 및, 과속스위치(160) 등이 구비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조속기가 기계실이 승강로의 상측에 구비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설치되도록 레일(70) 또는 승강로 벽면의 하측에 횡설되는 조속기 지지부재
(210)와 이 조속기 지지부재(210)에 구성되어 상기 조속기()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장치(220)로 이루어진 조속기고정수단(200)과, 상기 조속기의 주륜
(120)에 일측이 권취된 조속기로프(60)의 타측이 권취되는 아이들 시브(Idle sheave,310)가 설치되도록 레일 또는 승강로 벽면 상측에 횡설되는 시브 지지부
재(300)가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속기고정수단(200)에서 안내장치(220)는 조속기(100)의 고정프레임(110)의 상면상에 결합되는 복수의 웨이트부재(222)와, 상기 웨이트부재
(222)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단부에 나사부(224a)가 절삭된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봉(224)과, 상기 가이드봉(224)의 각 상단 나사부(224a)에 삽입되고 고정너트(227)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조속기(100)의 하방 이탈이 방지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226)와, 상기 가이드봉(224)이 삽입되어 그 상하 이동이 안내되는 가이드공(228a)과 조속기로프가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는 로프삽입공(228b)이 천공되어 상기 조속기 지지부재(210)의 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부재(228)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228)는 측면 형상이 대략 " ㄷ " 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형강부재가 다수의 고정볼트에 의해 조속기 지지부재(210)에 체결되는 것으로, 그 중앙부에는 강성이 증강되도록 보강부재(228c)가 상하방향으로 용착되고, 또한 그 상하부 면에 상기 가이드공(228a) 및 로프삽입공(228b)이 천공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226)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직사각 형상의 판형부재로 형성되고, 그 좌우단부에 상기 가이드봉(224)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홀이 천공된 것이다.
또한, 상기 조속기 지지부재(210) 및 시브 지지부재(300)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판형부재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로의 상측에 설치된 시브 지지부재(300) 단부에 아이들 시브(310)가 장착되고, 상기 아이들 시브(310)와 대향되는 하측 조속기 지지부재(210)의 단부에 결합된 고정부재(228)상에 조속기가 가이드봉(224)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아이들 시브(310)와 조속기(100)의 주륜(120) 사이에는 조속기로프(60)가 권취되고, 이 조속기로프(60)는 조속기 고정프레임(110)상에 결합된 웨이트부재(222)에 의해 항상 일정한 장력이 작용된다.
상기와 같이 장치된 조속기(100)는 승강대에 연결된 조속기로프에 의해 그 주륜(120)이 회전되다가 승강대의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빨라지면 조속기 주륜(120)의 진자(振子,130)가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지며 과속스위치(160)를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권양기의 전동기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권양기의 브레이크를 동작시킴으로써 승강대가 정지하게 되고, 이와 같은 과정에서 권양기 브레이크 고장이라든지 로프가 끊어진 경우에는 승강대가 멈추지 않고 급격하게 하강하게 되는데 대개 정격 속도의 1.3배를 넘는 경우에는 조속기 주륜(120)의 진자(130)가 다시 벌어져 레버(150)를 고정하고 있는 팻치(140)를 이탈시키고 이로 인해 레버(150)가 스프링(170)의 탄성력으로 조속기로프(60)를 붙잡아 고정시키게 되므로 비상정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치구조에 의하면, 기계실(Machine room)이 건축물의 최상부에 구비되어 있지 않은 엘리베이터장치, 유압식 엘리베이터장치 또는 기계실이 승강로 하부에 위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장치에서도 조속기의 설치가 가능하여 엘리베이터 법규에 의거한 비상정지장치를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조속기가 승강로 하부에 구성된 구조이므로 설치 및 보수을 위한 작업성이 향상되며, 안전사고 발생의 가능성도 차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승강대가 승강로상을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하강하는 경우에 동작되어 승강대를 비상정지시키도록 설치되는 조속기가 승강로의 하측에 설치되도록 된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치구조에 있어서,
    레일(70) 또는 승강로 벽면의 하측에 횡설되는 조속기 지지부재(210)와, 이 조속기 지지부재(210)에 구성되어 상기 조속기(100)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장치(220)로 이루어진 조속기고정수단(200)과;
    상기 조속기의 주륜(120)에 일측이 권취된 조속기로프(60)의 타측이 권취되는 아이들 시브(310)가 설치되도록 레일 또는 승강로 벽면 상측에 횡설되는 시브 지지부재(3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장치(220)는 조속기(100)의 고정프레임(110)의 상면상에 결합되는 복수의 웨이트부재(222)와;
    상기 웨이트부재(222)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단부에 나사부(224a)가 절삭되어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봉(224)과;
    상기 가이드봉(224)의 각 상단 나사부(224a)에 삽입되고 고정너트(227)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조속기의 하방 이탈이 방지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226)와;
    상기 가이드봉(224)이 삽입되어 그 상하 이동이 안내되는 가이드공(228a)과, 조속기로프가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는 로프삽입공(228b)이 천공되어 상기 조속기 지지부재(210)의 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부재(228)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치구조.
KR1019990033656A 1999-08-16 1999-08-16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치구조 KR100329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656A KR100329050B1 (ko) 1999-08-16 1999-08-16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656A KR100329050B1 (ko) 1999-08-16 1999-08-16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908A true KR20010017908A (ko) 2001-03-05
KR100329050B1 KR100329050B1 (ko) 2002-03-18

Family

ID=19607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656A KR100329050B1 (ko) 1999-08-16 1999-08-16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90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976B1 (ko) * 2002-03-12 2004-08-21 주식회사 삼아전기 엘리베이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976B1 (ko) * 2002-03-12 2004-08-21 주식회사 삼아전기 엘리베이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9050B1 (ko) 200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1773A (en) Positive terminal overspeed protection by rail grabbing
EP3097037B1 (en) Elevator provided with a safety device arrangement
CN1950286B (zh) 电梯装置
CN104684834A (zh) 低顶部或低底坑电梯的补偿措施
KR100329050B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치구조
CN103197651B (zh) 一种电梯试验用的三余度冗余计算机测控系统
JP2005239329A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作業用管制装置
JP2002060157A (ja) エレベータの調速機
JP2011051742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リニューアル工事に係る重量物揚重方法
KR200389642Y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설치구조
JP2006044894A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2887415B (zh) 电梯
CN103196692B (zh) 一种电梯试验用的释放装置
CN112811277A (zh) 一种曳引电梯125%倍额定载荷制动试验保护装置及方法
JP2707942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張力平衡装置
EP1105337B1 (en) Elevator construction
JP200209698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203212170U (zh) 电梯
JP4946027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663837B1 (en) Elevator safety gear arrangement
JP2000143115A (ja) エレベーターの故障時救出運転装置
JP200818943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その非常止め装置の試験方法
CN113493155B (zh) 电梯的限速器
JP2011051795A (ja) 油圧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
JPH09194166A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