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7748A - 방울비짜루(남옥대)로부터 단리되는 신물질인 아스파올리고닌 - Google Patents

방울비짜루(남옥대)로부터 단리되는 신물질인 아스파올리고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7748A
KR20010017748A KR1019990033413A KR19990033413A KR20010017748A KR 20010017748 A KR20010017748 A KR 20010017748A KR 1019990033413 A KR1019990033413 A KR 1019990033413A KR 19990033413 A KR19990033413 A KR 19990033413A KR 20010017748 A KR20010017748 A KR 20010017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aspaoligonin
butanol
compound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1795B1 (ko
Inventor
김금숙
박창기
성재덕
김현태
한상익
곽용호
임무상
Original Assignee
김강권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권,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filed Critical 김강권
Priority to KR1019990033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1795B1/ko
Publication of KR20010017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7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20Carbocyclic rings
    • C07H15/24Condensed ring systems having three or more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00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sugar derivatives
    • C07H1/06Separation; Purification
    • C07H1/08Separation; Purification from natural products

Abstract

본 발명은 방울비짜루(남옥대)로부터 단리되어 천연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물질(Aspaoligonin)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울비짜루(남옥대)로부터 단리되는 신물질인 아스파올리고닌 {ASPAOLIGONIN}
본 발명은 방울비짜루(남옥대)로부터 천연에서 처음으로 단리, 보고되는 물질 아스파올리고닌(Aspaoligonin)에 관한 것이다.
방울비짜루(Asaragus oligoclonos Maxim.)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약간 육질인 뿌리줄기를 약용으로 쓰며 예로부터 해수, 천식 및 가래가 배출되는 증상에 사용하였다.(중국 본초도감, 려강출판사, 185p) 중국, 일본, 한국 및 러시아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이 식물로부터 분리된 성분은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방울비짜루(남옥대)로부터 지금까지 천연에서 보고 되지 않은 새로운 스테로이드계 사포닌(Steroid Saponin) 1종을 단리하였다. 단리된 화합물은 분광학적 방법으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아스파올리고닌을 추출하려는데 있다.
도 1 은 아스파올리고닌의 화학 구조도이고,
도 2 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질량분석스펙트럼도1이고,
도 3 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질량분석스펙트럼도2이고,
도 4 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적외선흡광도스펙트럼도이고,
도 5 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도1이고,
도 6 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도2이고,
도 7 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도3이고,
도 8 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탄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도이고,
도 9 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무변조증강극성전달스펙트럼(DEPT)도이고,
도 10 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수소-수소 상관성분광스펙트럼도1
(1H-1H COSY 1)이고,
도 11 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수소-수소 상관성분광스펙트럼도2
(1H-1H COSY 2)이고,
도 12 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헤테로핵다중양자상관성스펙트럼 1
(HMQC 1)도이고,
도 13 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헤테로핵다중양자상관성스펙트럼 2
(HMQC 2)도이고,
도 14 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헤테로핵다중결합연결스펙트럼 1
(HMBC 1)도이고,
도 15 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헤테로핵다중결합연결스펙트럼 2
(HMBC 2)도이고,
도 16 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추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방울비짜루(남옥대)로부터 단리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스파 올리고닌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이므로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우선 방울비짜루로부터 아스파올리고닌을 단리하는 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6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건조된 방울비짜루 뿌리줄기 3킬로그램을 분쇄(S100)하여 실온에서 메탄올(MeOH)을 사용하여 5회 추출(S110)하고 여과액을 모아 진공농축(S120)하여 1062그램의 추출물을 얻었다. 이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하여 에테르(Et2O)로 3회 탈지(S130)한 후, 수층을 다시 수포화 부탄올(n-BuOH)를 사용하여 5회 추출(S140)하여 부탄올 분획 125그램을 얻었다. 부탄올 분획 30그램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용출제, CHCl3/MeOH/H2O (20:3:1 → 6:4:1), 기울기 용출)하여 20개의 분획으로 나누었고(S150), 이 중 5번째 분획은 세팍 C18(Sep-Pak C18)를 사용하여 (용출제, H2O→20%MeOH→100%MeOH, 기울기 용출) 정제(S160)한 후 최종 아스파올리고닌 94밀리그램을 순수하게 단리하였다.
이후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이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울비짜루 뿌리줄기에서 분리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이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물질의 상상은 흰색 가루상이다.
분자량은 756(FAB+(high resolution), m/z:755.5675[M]+)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질량분석(MS) 스펙트럼은 도 2, 3에 제시하였다.
본 화합물의 분자식은 C39H64O14로 표현되고, 녹는점은 238~243。C(분해)이다.
비선광도[α]는 -5.4545。(c=0.22, 피리딘)이고, 적외선 흡광도는:3370(OH), 982, 917, 896, 850(인텐서티 917〉896, 23S 스피로케탈)이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적외선 흡광도 스펙트럼은 첨부된 도면 도 4에 제시되어있다.
피리딘-d5을 용매로 하여 측정한 수소 핵자기공명 스펙트럼 결과는 다음과 같고, 표 1과 2에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각 수소에 대한 스펙트럼 데이터를 제시하였고, 도 5, 6, 7에 스펙트럼을 제시하였다.
(피리딘-d5, δ):- 0.96(3H, s), 1.02(3H, s), 1.07(3H, d, J =7.08Hz), 1.23(3H, d, J=7.08Hz), 4.96(1H, d, J=7.32Hz, H-1 of inner glucose), 5.40(1H, d, J=7.80Hz, H-1 of terminal glucose)
피리딘-d5을 용매로 하여 측정한 비당부의 탄소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결과는 다음과 같고, 표 1에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비당부의 각 탄소에 대한 스펙트럼 데이터를 제시하였다.
(피리딘-d5, δ): 9.50, 16.24, 17.42, 21.03, 24.05, 25.73, 26.53, 26.74, 26.81, 27.04, 27.37, 30.65, 30.95, 31.63, 32.50, 35.28, 36.12, 36.90, 40.08, 45.29, 45.46, 52.84, 64.92, 75.28, 90.02, 90.36, 110.25
피리딘-d5을 용매로 하여 측정한 당부의 탄소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결과는 다음과 같고, 표 2에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당부의 각 탄소에 대한 스펙트럼 데이터를 제시하였다.
(피리딘-d5, δ): 62.65, 62.85, 71.57, 71.76, 77.03, 77.91, 78.12, 78.20, 78.52, 83.13, 101.89, 105.94
첨부된 도면 도 8에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탄소 핵자기공명스펙트럼을 제시하였다. 표 1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비당부의 수소 및 탄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데이터와 표 2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당부의 수소 및 탄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데이터에 각각 비당부와 당부의 1차, 2차, 3차 등 탄소의 종류를 제시하였으며 도 9에 무변조증강극성전달스펙트럼을 제시하였다.
도 10, 11에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수소-수소 상관성분광스펙트럼(1H-1H COSY)을 제시하였다. 도 12, 13에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헤테로핵다중양자상관성스펙트럼을 제시하였으며 도 14, 15에는 헤테로핵다중결합연결스펙트럼(HMQC, HMBC)를 제시하였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신물질의 발명으로 이 물질의 약리활성의 검정 후 의약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이 있으며,
전통적 민간 생약인 방울비짜루(남옥대)는 유효성분이 밝혀지지 않아 지표성분의 설정이 어려우므로 본 발명으로 방울비짜루의 지표 성분 설정 및 생약의 규격화에 적용할 수 있으며,
방울비짜루의 성분 연구로서 새로운 약용작물을 개발, 육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매우 유익한 발명임이 명백하다.

Claims (2)

  1. 방울비짜루(남옥대)로부터 추출된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아스파올리고닌.
    〈화학식 1〉
  2. 방울비짜루(남옥대)에 있어서,
    건조된 방울비짜루 뿌리줄기를 분쇄하는 제 1단계;
    분쇄된 뿌리줄기를 실온에서 메탄올을 사용하여 5회 추출하는 제 2단계;
    상기 추출물의 여과액을 모아 진공농축하는 제 3단계;
    상기 진공농축물을 증류수에 현탁하여 에테르로 3회 탈지하는 제 4단계;
    상기 탈지된 물질의 수층을 수포화 부탄올을 사용하여 5회 추출하여 부탄올 분획을 얻는 제 5단계;
    상기 부탄올 분획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하여 20개의 분획으로 나누는 제 6단계;
    상기 20개의 분획 중 5번째 분획을 세팍 C18을 사용하여 정제하는 제 7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아스파올리고닌 추출 방법.
KR1019990033413A 1999-08-13 1999-08-13 방울비짜루(남옥대)로부터 단리되는 신물질인 아스파올리고닌 KR100341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413A KR100341795B1 (ko) 1999-08-13 1999-08-13 방울비짜루(남옥대)로부터 단리되는 신물질인 아스파올리고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413A KR100341795B1 (ko) 1999-08-13 1999-08-13 방울비짜루(남옥대)로부터 단리되는 신물질인 아스파올리고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748A true KR20010017748A (ko) 2001-03-05
KR100341795B1 KR100341795B1 (ko) 2002-06-26

Family

ID=19607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413A KR100341795B1 (ko) 1999-08-13 1999-08-13 방울비짜루(남옥대)로부터 단리되는 신물질인 아스파올리고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17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003B1 (ko) * 2002-05-27 2004-11-18 대한민국 방울비짜루(남옥대)로부터 분리한 신규 항암활성 화합물 및 그 정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303B2 (ja) * 1988-11-07 1994-05-02 同和鉱業株式会社 アスパラガス廃棄物からのサポニン回収方法
JPH02247196A (ja) * 1989-03-22 1990-10-02 Dowa Mining Co Ltd アスパラガスから精製サポニンを回収する方法
JPH0348694A (ja) * 1989-07-18 1991-03-01 Dowa Mining Co Ltd 新規サポニン物質
JPH06239755A (ja) * 1993-02-16 1994-08-30 Dowa Mining Co Ltd 抗真菌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003B1 (ko) * 2002-05-27 2004-11-18 대한민국 방울비짜루(남옥대)로부터 분리한 신규 항암활성 화합물 및 그 정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1795B1 (ko) 200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nzotti Bioactive saponins from Allium and Aster plants
Oleszek et al. Saponins in food, feedstuffs and medicinal plants
Lee et al. Antidiabetic coumarin and cyclitol compounds from Peucedanum japonicum
Hamed et al. Triterpene saponins from Salsola imbricata
CN102504006B (zh) 一组伊贝母中的甾体皂苷类化合物
Sun et al. A new steroidal saponin from the dried stems of Asparagus officinalis L
KR20070028386A (ko) 티모사포닌 bii의 제조방법
Kartal et al. Two new triterpene saponins from Eryngium campestre
CN101172131A (zh) 委陵菜属植物总三萜提取物的制备方法
KR101928767B1 (ko) 돌외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지페노사이드 화합물
Adão et al. A new steroidal saponin from Allium ampeloprasum var. porrum with antiinflammatory and gastroprotective effects
Wang et al. Molecular networking uncovers steroidal saponins of Paris tengchongensis
CN107556325B (zh) 一种血散薯中微量生物碱单体的分离方法
CN106632577B (zh) 马尾松枝桠中一种乌苏烷型三萜皂苷及其制备工艺
Jang et al. Optimization of chiisanoside and chiisanogenin isolation from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Rupr. & Maxim.) leaves for industrial application: A pilot study
Lip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oretenol from Ficus deltoidea leaves.
Donkia et al. Constituents of Desmodium salicifolium (Poir.) DC (Fabaceae) with antifungal activity
Liu et al. Two new triterpenoid saponins from Akebia quinata (Thunb.) decne.
KR20010017748A (ko) 방울비짜루(남옥대)로부터 단리되는 신물질인 아스파올리고닌
Balderas-López et al. Cardiac glycosides from Cascabela thevetioides by HPLC-MS analysis
Zhang et al. The extraction,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hypoglycemic active ingredients from stinging nettle (Urtica angustifolia)
Kinfe et al. The major phenolic compound of the roots and leaves of Rafnia amplexicaulis (Fabaceae), a liquorice substitute and traditional tea used in Cape Herbal Medicine
Fatima A review on Teucrium oliveranum, a plant found abundantly in Saudi Arabia
CN102977178B (zh) 三萜皂苷类化合物及其提取方法和在治疗心肌缺血/再灌注损伤中的应用
CN112608362A (zh) 原人参二醇型毛蕊铁线莲新苷类化合物、制备方法及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