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7275A - 턴디쉬에서 타이어코드강의 청정도 향상방법 - Google Patents

턴디쉬에서 타이어코드강의 청정도 향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7275A
KR20010017275A KR1019990032705A KR19990032705A KR20010017275A KR 20010017275 A KR20010017275 A KR 20010017275A KR 1019990032705 A KR1019990032705 A KR 1019990032705A KR 19990032705 A KR19990032705 A KR 19990032705A KR 20010017275 A KR20010017275 A KR 20010017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dish
molten steel
steel
flux
tire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용
정진영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90032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7275A/ko
Publication of KR20010017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27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8Feeding additives, powd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protecting pow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코드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턴디쉬에 용강을 장입하는 도중에 플럭스를 투입함으로써 타이어 코드강의 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이들의 용강을 하부의 노즐을 통해 턴디쉬에 장입하고 용강을 연속주조하는 공정을 포함한 타이어 코드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에 용강을의 범위로 장입한 시점에서 CaO:40∼48, SiO2:48∼56, Al2O3: 3이하를 주성분으로 하는 플럭스를 용강의 상부에 용강톤당 2∼3kg/ton-steel 연동투입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턴디쉬에서 타이어 코드강의 청정도 향상방법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턴디쉬에서 타이어 코드강의 청정도 향상방법{METHOD FOR IMPROVING CLEAN PROPERTIES OF TIRE CODE STEEL IN TUNDISH}
본 발명은 타이어 코드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턴디쉬에 용강을 장입하는 도중에 플럭스를 투입함으로써 타이어 코드강의 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장력 타이어 코드강은 실리콘 탈산강의 대표적인 강으로서, 전로→LF→RH의 정련공정을 통해 용강을 정련하고, 이 용강을 블룸연주→강편압연→선재압연 공정을 거쳐 선재로서 반제품상태로 생산되고 있다. 이 선재는 선재가공업체에서 타이어 코드로 가공되어 진다. 아래 표 1에는 타이어 코드강의 대표적인 성분의 일례가 제시되어 있으며, 도 1은 실제 타이어 코드강이 제시되어 있다.
화학성분(중량)
C Si Mn P S N
0.806∼0.844 0.15∼0.25 0.45∼0.55 ≤0.013 ≤0.007 ≤30ppm
타이어 코드는 선경이 0.25-0.38mm로서 세선이므로 강종에 비금속개재물이 잔존할 경우는 신선가공시 단선의 요인이 된다. 이들 개재물은 각형의 대형개재물로서 주로 Al2O3와 SiO2이다.
일반적으로 RH정련된 후 레이들의 용강은 도 2와 같이 롱노즐(105)을 통해 턴디쉬로 장입하는데, 턴디쉬에 수강량만큼 용강이 모두 장입되고 용강의 유동이 진정되면 플럭스를 투입하여 용강과 대기와의 접촉을 막고 있다. 이 플럭스를 통상 턴디쉬 플럭스라 칭하며, 이들은 용강의 재산화와 용강의 열손실방지를 주목적으로 한다.
턴디쉬 플럭스로는 SiO2가 주성분인 탄화왕겨를 사용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퍼짐성이 있어 용강중의 개재물흡수능이 좋은 턴디쉬플럭스를 사용하고 있다(표 2).
화학성분(중량)
CaO SiO2 Al2O3 Fe2O3 P S
40∼48 48∼56 ≤36 ≤3 ≤0.05 ≤0.05
그런데, 이 플럭스를 사용하더라도 턴디쉬에서 토탈산소가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플럭스가 용강과 대기와의 산소차단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이기 보다는 플럭스가 저융점의 액상슬래그로 되기 전에 슬래그 산화가 일어나고 또한, 플럭스가 첫차지에서 제대로 개재물 포집을 못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왜냐하면, 레이들의 용강을 턴디쉬에 첫 장입하고, 이어 턴디쉬에 플럭스를 만들어주는 첫 차지의 용강으로 만든 주편에서는 주편의 개재물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반해, 일단 턴디쉬에 플럭스가 슬래그로 형성되고 여기에 용강을 장입하면서 조업하는 다음 차지에서 만들어진 주편에는 그런 문제가 덜하기 때문이다.
종래에는 RH정련한 레이들의 용강을 하부의 노즐을 통해 턴디쉬의 수강량만큼 완전히 장입한 다음에 용강이 유동이 완전히 진정되면 그 위에 플럭스를 투입하여 연속주조를 행하였다. 따라서, 턴디쉬에 용강을 장입하는 과정에서 용강의 재산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플럭스가 슬래그화되더라도 턴디쉬에 수강된 용강의 상층과만 접하므로 장입용강전체와 반응하여 개재물을 제대로 슬래그화할 수 가 없다. 이와 같은 연유로 턴디쉬플럭스가 좋은 개재물 흡수능을 가지고 있어도 턴디쉬의 용강에 토탈산소가 증가되는 원인이 되고, 이에 따라 타이어 코드강의 신선과정에서 단선이 생기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플럭스의 특성이 적절히 발휘되어 용강의 청정도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완성된 것으로서, 플럭스의 투입방법을 개선하여 타이어 코드강의 청정도를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타이어와 이에 사용되는 타이어 코드의 사진
도 2는 연속주조공정의 레이들-턴디쉬-몰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슬래그 조성변화도
도 4는 턴디쉬 플럭스의 투입량에 대한 실험결과로서
도 4(a)는 침지노즐 막힘율
도 4(b)는 슬래그의 산화도
도 5는 턴디쉬 플럭스 투입시점에 대한 실험결과로서
도 5(a)는 침지노즐 막힘율
도 5(b)는 슬래그의 산화도
도 6 (a)는 본 발명과 종래방법에 있어 주편의 청정도 비교 그래프
(b)는 본 발명과 종래방법에 있어 제품단선율 비교 그래프
도 7은 블룸, 빌렛, 선재에서 개재물의 조성변화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레이들 101......턴디쉬
102......몰드 103......침지노즐
104......슬래그 105......롱노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이들의 용강을 하부의 노즐을 통해 턴디쉬에 장입하고 용강을 연속주조하는 공정을 포함한 타이어 코드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에 용강을의 범위로 장입한 시점에서 CaO:40∼48, SiO2:48∼56, Al2O3: 3이하를 주성분으로 하는 플럭스를 용강의 상부에 용강톤당 2∼3kg/ton-steel 연동투입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턴디쉬 플럭스로서 개재물 흡수능이 좋은 CaO:40∼48, SiO2:48∼56, Al2O3: 3이하를 주성분으로 하여 퍼짐성(액상화)이 좋은 플럭스를 이용하면서, 이 플럭스의 투입방법을 제어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플럭스가 CaO-SiO2-Al2O3계로서 저융점화 될 수 있는 것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의 플럭스 투입방법은, 턴디쉬에 레이들의 용강이 일정량 장입된 시점에 플럭스를 연동투입함으로써, (1)용강의 장입시간 동안에 생길 수 있는 용강의 재산화를 방지하고, 또한, (2) 유동하는 용강과 어느 정도 액상화된 플럭스와의 반응으로 플럭스의 액상율을 높이며, (3) 계속 장입되는 용강의 유동으로 저융점화된 슬래그(플럭스)와 용강의 반응으로 비금속개재물의 포집을 촉진한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턴디쉬에 용강을장입하는 시점에서 플럭스의 요구량을 투입하는데, 이 투입시점은 침지노즐 막힘과 슬래그의 산화도를 고려하여 설정한 것이다. 턴디쉬에 용강이 많이 장입되어 있을 수록 턴디쉬 플럭스에 의한 용강의 온도저하가 적어 침지노즐의 막힘이 적다. 그대신 용강의 산화도는 증가한다. 이러한 상반적인 관계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턴디쉬 플럭스의 투입시점을 상기와 같이 정한 것이다.
턴디쉬 플럭스의 투입량은 용강톤당 2∼3kg/ton-steel 투입한다. 이 또한, 침지노즐막힘과 산화도를 고려하여 투입량을 최적화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턴디쉬 플럭스의 투입량을 연동투입하는데, 이는 일괄투입에 의한 용강의 급격한 온도저하로 노즐막힘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연동투입방법은 턴디쉬에 용강이장입되는 시점에서 적정량 분할 투입하면 되며, 예를 들어 3회분할 투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24톤 용량의 턴디쉬에 레이들의 용강을 20톤 장입하여 연속주조조업을 하되, 표 3에서와 같이 턴디쉬에 플럭스(표 2) 투입시점과 투입량을 각각 변화시켰다. 이때, 침지노즐의 막힘율과 슬래그 산화도를 조사하여 도 4-6에 나타내었다.
턴디쉬 플럭스 투입량(kg)-플럭스 투입시점은 턴디쉬에 용강을 12∼16톤 장입한 시점임 턴디쉬 플럭스 투입시점(턴디쉬 용강채움량)-플럭스는 40∼60kg투입함
10∼39 2∼4톤
40∼60 4.1∼7.9톤
61∼80 8.0∼11.9톤
81∼100 12.0∼16.0톤
101∼120 16.1∼20톤
도 4에 플럭스 투입량에 따른 침지노즐 막힘율(도 4a)과 슬래그 산화도(도 4b)가 나타난 바와 같이, 플럭스는 40∼60kg(용강 20톤) 투입하는 경우가 가장 적합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에 플럭스 투입시점에 따른 침지노즐 막힘율(도 5a)과 슬래그 산화도(도 5b)가 나타난 바와 같이, 플럭스는 턴디쉬에 용강이 12∼16톤 장입되는 시점에 투입하는 경우가 가장 적합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위에서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하는 플럭스 투입조건에서 제조된 주편에 대한 청정도 및 단선율을 비교한 그래프를 도 6에 나타내었는데, 이는 종래의 플럭스 투입방법(턴디쉬에 용강을 장입하고 유동이 진정된 상태에서 플럭스 투입)에 비하여 주편의 청정도 및 단선율이 개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주편으로 제조된 블룸→빌렛→선재에 대한 개재물의 화학조성을 도 7에 나타내었다. 그때의 턴디쉬 조건은 아래 표와 같다.
강번 턴디쉬 조건 주조속도(m/min)
용강온도(℃) 플럭스 투입량(Kg)
37199 1487, 1486, 1482 60 0.65
37200 1485, 1485, 1483 50
37202 1485, 1484, 1482 40
대부분의 개재물들은 조성에 다소 차이가 있지만 순순한 Al2O3와 CaO-MgO-Al2O3-MnO-SiO2계로 구성되어 있다.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재물의 조성은 대부분 액상영역에 있으며 이를 통해 볼때 형상이 구형임을 알 수 있다. 또 블룸→빌렛→선재순으로 저융점 조성의 개재물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은 종래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 보다는 Al2O3의 함량이 낮은 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턴디쉬에서 용강의 재산화방지와 저융점개재물 형성으로 고장력 타이어 코드강의 청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레이들의 용강을 하부의 노즐을 통해 턴디쉬에 장입하고 용강을 연속주조하는 공정을 포함한 타이어 코드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에 용강을의 범위로 장입한 시점에서 CaO:40∼48, SiO2:48∼56, Al2O3: 3이하를 주성분으로 하는 플럭스를 용강의 상부에 용강톤당 2∼3kg/ton-steel 연동투입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턴디쉬에서 타이어 코드강의 청정도 향상방법.
KR1019990032705A 1999-08-10 1999-08-10 턴디쉬에서 타이어코드강의 청정도 향상방법 KR20010017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705A KR20010017275A (ko) 1999-08-10 1999-08-10 턴디쉬에서 타이어코드강의 청정도 향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705A KR20010017275A (ko) 1999-08-10 1999-08-10 턴디쉬에서 타이어코드강의 청정도 향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275A true KR20010017275A (ko) 2001-03-05

Family

ID=19606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705A KR20010017275A (ko) 1999-08-10 1999-08-10 턴디쉬에서 타이어코드강의 청정도 향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72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594B1 (ko) * 2003-12-02 2012-05-21 지멘스 브이에이아이 메탈스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고순도 주조 금속 스트랜드 제조 방법
KR101233836B1 (ko) * 2010-11-26 2013-02-15 주식회사 포스코 턴디쉬 플럭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58202B1 (ko) * 2013-03-08 2014-11-05 동국제강주식회사 전기로 제강조업 중 턴디쉬 플럭스 투입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6011A (ja) * 1983-09-08 1985-04-01 Kawasaki Steel Corp 極細線材用高炭素鋼の溶製方法
JPH01319623A (ja) * 1988-06-21 1989-12-25 Kobe Steel Ltd 清浄鋼の製造方法
JP2000063927A (ja) * 1998-08-11 2000-02-29 Kawasaki Steel Corp 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6011A (ja) * 1983-09-08 1985-04-01 Kawasaki Steel Corp 極細線材用高炭素鋼の溶製方法
JPH01319623A (ja) * 1988-06-21 1989-12-25 Kobe Steel Ltd 清浄鋼の製造方法
JP2000063927A (ja) * 1998-08-11 2000-02-29 Kawasaki Steel Corp 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594B1 (ko) * 2003-12-02 2012-05-21 지멘스 브이에이아이 메탈스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고순도 주조 금속 스트랜드 제조 방법
KR101233836B1 (ko) * 2010-11-26 2013-02-15 주식회사 포스코 턴디쉬 플럭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58202B1 (ko) * 2013-03-08 2014-11-05 동국제강주식회사 전기로 제강조업 중 턴디쉬 플럭스 투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21339A (zh) 一种含有稀土元素的钢材及其板坯连铸的生产方法
DE1583260C2 (ko)
JP3896650B2 (ja) 含Ti極低炭素鋼の製造方法
KR20010017275A (ko) 턴디쉬에서 타이어코드강의 청정도 향상방법
JPH10130714A (ja) 伸線性及び清浄度に優れた線材用鋼の製造方法
KR101233836B1 (ko) 턴디쉬 플럭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106199B (zh) 一种降低硅锰脱氧钢氧化铝夹杂物的方法及装置
JP2976852B2 (ja) キリング時間を短縮した低硫鋼の製造法
JP3660811B2 (ja) 鋼線用線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18155B1 (ko) 시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재의 제조 방법
JPH06218504A (ja) タンディッシュ精錬法
JPS6157372B2 (ko)
KR960000323B1 (ko) 실리콘-킬드강용 연주 턴디쉬플럭스
JP2000273585A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31962B1 (ko) 마크로·마이크로응고조직을개선한고청정공구강의제조방법
KR100377273B1 (ko) 레이들 슬래그 조제방법
JP3537657B2 (ja) 鋼線用線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04613B1 (ko) 신선 가공성이 우수한 소우 와이어용 선재 및 그 제조방법
RU2150515C1 (ru) Способ рафинирования высокоуглеродистого расплава металла
KR100415925B1 (ko) 고청정강제조용칼슘알루미네이트계첨가제
KR100961326B1 (ko) 고융점 개재물의 조성제어용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및 이를이용한 노즐 막힘 방지 방법
KR100226923B1 (ko) 와이어로프용 경강선재 주편내의 비금속개재물 저감방법
JPH05277679A (ja) 鋼材の製造方法
JP4477971B2 (ja) 低炭素鋼板、低炭素鋼鋳片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741588A (zh) Icdp轧辊工作层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