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7064A - 시료 혼합기 - Google Patents

시료 혼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7064A
KR20010017064A KR1019990032377A KR19990032377A KR20010017064A KR 20010017064 A KR20010017064 A KR 20010017064A KR 1019990032377 A KR1019990032377 A KR 1019990032377A KR 19990032377 A KR19990032377 A KR 19990032377A KR 20010017064 A KR20010017064 A KR 20010017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plate
container
piece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0950B1 (ko
Inventor
신성균
Original Assignee
신성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균 filed Critical 신성균
Priority to KR1019990032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0950B1/ko
Publication of KR20010017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1/0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우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체에 형성된 공전축이 공전운동을 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을 플레이트의 안착홈에 접촉되어 있는 여러가지 용기에 부여하여 용기에 담겨진 액체유제시료를 순간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시료 혼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료 혼합기는 용기에 진동을 부여하여 용기에 담겨진 액체유제시료를 순간적으로 균일하게 혼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체내부에 고정되는 모우터와, 상기 모우터와 연결되어 용기에 진동을 부여하는 다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로 모우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하여 플레이트가 진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진동발생수단과, 상기 플레이트의 안착홈으로 안착되는 용기를 눌러주는 힘에 의해 모우터가 구동되면서 진동을 전달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용기를 플레이트의 안착홈으로 부터 떼면 모우터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기 위한 모우터의 구동 및 정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료 혼합기{Sample Mixer}
본 발명은 시료 혼합기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모우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체에 형성된 공전축 편심(片心)이 공전운동을 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을 플레이트의 안착홈에 접촉되어 있는 용기에 부여하여 용기에 담겨진 액체유제시료를 순간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시료 혼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액체유제시료를 시험관이나 원형플라스크, 삼각플라스크, 비이커 등의 용기에 담아 혼합시킬 경우에는, 사람이 직접 흔들어서 혼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용기를 사람이 직접 흔들어서 혼합을 시키는 경우에는, 힘이 많이 들어가게 되고 혼합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사람이 용기를 직접 흔들기 때문에 손에서 빠져나와 지면으로 떨어지거나 다른 물체와 부딪칠 경우에는 용기가 파손되어 중요한 시료를 버리는 일도 종종 발생하게 되어, 시료의 균일한 혼합이 어려움은 물론, 세심한 주위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종래의 시료 혼합시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모우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체에 형성된 공전축 편심(片心)이 공전운동을 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을 플레이트의 안착홈에 접촉되어 있는 용기에 부여하므로써 용기에 담겨진 액체유제시료를 순간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여러가지 용기에 기계적 진동을 부여하여 용기에 담겨진 액체유제시료를 순간적으로 균일하게 혼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료 혼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시료 혼합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시료 혼합기의 진동발생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시료 혼합기의 모우터를 구동 및 정지시키기 위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기체 102-모우터
103-회전축 104-회전체
105-삽입공 106-균형편
107-공전축 108-공전체
109-연결봉 111-안착판
112-플레이트 113-안착홈
114-지지대 115-연결편
116-탄성부재 117-작동편
118-안내관 119-받침대
120-마이크로 스위치 121-용기
122-스프링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시료 혼합기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시료 혼합기는 시험관, 플라스크, 비이커 등 용기(121)에 진동을 부여하여 용기(121)에 담겨진 액체유제시료를 순간적으로 균일하게 혼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체(101)내부에 고정되는 모우터(102)와,
상기 모우터(102)와 연결되어 용기(121)에 진동을 부여하는 다수개의 안착홈(113)이 형성된 플레이트(112)와,
상기 플레이트(112)로 모우터(102)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하여 플레이트(112)가 진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진동발생수단과,
상기 플레이트(122)의 안착홈(113)으로 안착되는 용기(121)를 눌러주는 힘에 의해 모우터(102)가 구동되면서 편심(片心) 진동을 전달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용기(121)를 플레이트(122)의 안착홈(113)으로 부터 떼면 모우터(102)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기 위한 모우터의 구동 및 정지수단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모우터(102)의 회전축(103)에 삽입공(105)을 삽입고정하여 회전축(103)과 함께 편심(片心) 회전되는 회전체(104)와,
상기 회전체(104)의 회전시 발생되는 언바란스를 잡아주기 위해 회전체(104)에 형성되는 균형편(106)과,
상기 회전체(104)에 편심 형성되어 회전축(103)의 중심을 구심점으로 하여 공전 운동을 하는 공전축(107)과,
상기 공전축(107)에 베어링과 함께 결합되어 공전축(107)과 동일하게 회전축(103)의 중심을 구심점으로 하여 공전 운동을 하는 공전체(108)와,
상기 공전체(108)의 공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플레이트(112)로 전달하기 위해 공전체(108) 상측부로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플레이트(112)가 안착된 안착판(111)과,
상기 공전체(109)의 공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공전체(109)에 결합되는 연결봉(109)과,
상기 연결봉(109)에 탄력을 부여하여 공전체(108)로 전달하기 위해 모우터(102)에 고정된 지지대(114)의 연결편(115)에 양단부를 연결하고 있고 중간부에는 연결봉(109)을 연결하고 있는 탄성부재(11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우터의 구동 및 정지수단은 플레이트(112)를 누르는 힘에 의해 하강할 수 있도록 승강운동을 하는 회전축(103) 하단부에 접촉되어 있는 작동편(117)과,
상기 작동편(117)이 수직상으로 정확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작동편(117)을 안내하는 기체(101)의 내부에 고정된 안내관(118)과,
상기 안내관(118)에 탄설되어 작동편(117)이 상측으로 복귀되도록 작동편(117)에 탄력을 부여해 주는 스프링(122)과,
상기 작동편(117)이 하강하여 누를시 모우터(102)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승하여 비접촉시에는 전원을 중단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체(101)의 받침대(119)에 장착된 마이크로 스위치(1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료 혼합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험관, 플라스크, 비이커 등 용기(121)에 액체유제시료를 담고, 도 1과 같이 플레이트(112)에 형성된 안착홈(113)으로 삽입하여 약간의 힘을 주어 누른다.
상기 용기(121)의 누르는 힘에 의해 플레이트(112)와 안착판(111) 및 공전체(108)와 회전체(104)가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104)의 삽입공(105)으로 삽입되어 있는 모우터(102)의 회전축(103)도 하강하면서, 회전축(103) 하단부에 고정된 작동편(117)을 도 3의 실선위치에서 가상선 위치로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편(117)은 안내관(118)의 안내에 의해 수직상으로 정확하게 하강하여 스프링(122)을 압축시키면서 받침대(119)에 장착된 마이크로 스위치(120)를 누르게 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 스위치(120)가 눌려지면 모우터(102)로 전원이 인가되면서 구동되어 회전축(103)을 고속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03)의 회전에 의해 회전체(104)가 회전하면서 회전체(104) 상측부에 형성된 공전축(103)을 공전 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103)하측에 접촉되어 있는 작동편(117)은 회전축(103)이 회전되더라도 회전하지 않고 마이크로 스위치(120)만을 누르고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공전축(103)의 공전 운동에 의해 공전축(103)에 베어링으로 결합되어 있는 공전체(108)도 공전운동을 하면서 안착판(111)과 플레이트(112)를 흔들어주게 된다.
특히, 상기 회전체(104)에 형성되는 균형편(106)은 편심(片心) 회전체(104)의 회전시 발생되는 언바란스를 잡아주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체(104)의 회전에 의해 공전 운동을 하는 공전체(108)의 유동은 연결봉(109)으로 전달되면서 연결봉(109)을 직선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공전체(108)가 연결봉(109)을 외측으로 밀면 상기 모우터(102)에 고정된 지지대(114)의 연결편(115)에 양단부를 연결하고 있고 중간부에는 연결봉(109)을 연결하고 있는 탄성부재(116)가 탄력으로 연결봉(109)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공전체(108)의 회전으로 인해 연결봉(109)이 신속하게 복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112)에서 발생된 미세한 진동이 안착홈(113)에 안착되어 있는 용기(121)내부의 액체유제시료에 전달되면서 혼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121)내의 액체유제시료 혼합이 완료되면 용기(121)의 플레이트(112)의 안착홈(113)으로 부터 용기(121)를 뗀다.
이와 같이 용기(121)를 플레이트(112)로 부터 떼면 안내관(122)내부에서 압축되어 있는 스프링(122)이 이완되면서 작동편(117)과 모우터(102)의 회전축(103)을 상승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작동편(117)의 상승 동작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120)를 누르고 있던 힘이 없어지게 되므로, 모우터(102)로 공급되던 전원이 중단되고, 본 발명의 시료혼합기(101)는 정지상태를 유지하면서 다음 동작에 대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플레이트(112)를 용기(121)로 누르고 떼는 동작에 의해 모우터(102)를 온(ON), 오프(OFF) 시키지만, 전원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시 모우터(102)가 구동되도록 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플레이트(112)에 시험관, 플라스크, 비이커 등의 용기(121)들을 접촉하여 내용물을 혼합시킬 수 있게 되므로, 여러종류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12)에 형성된 안착홈(113)으로 용기(121)를 안착시켜 혼합을 시키기 때문에, 혼합과정이 매우 안전되고 신속하여 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는 속도 제어기가 부설되어 있기 때문에, 모우터(102)의 회전수를 임의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시료의 특성에 따라 혼합교반 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은 모우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체에 형성된 공전축이 공전운동을 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플레이트의 안착홈에 접촉되어 있는 시험관, 플라스크, 비이커 등의 여러가지 용기에 부여하여, 용기에 담겨진 액체유제시료를 순간적으로 균일하게 혼합시킬 수 있음는 물론, 편심구동에 의하여 성능을 배가하고 안착홈을 설치하여 능률 및 편리를 도모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용기에 진동을 부여하여 전기 용기에 담겨진 액체유제시료를 순간적으로 균일하게 혼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체내부에 고정되는 모우터와,
    상기 모우터와 연결되어 용기에 진동을 부여하는 다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로 모우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하여 플레이트가 진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진동발생수단과,
    상기 플레이트의 안착홈으로 안착되는 용기를 눌러주는 힘에 의해 모우터가 구동되면서 진동을 전달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용기를 플레이트의 안착홈으로 부터 떼면 모우터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기 위한 모우터의 구동 및 정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혼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모우터의 회전축에 삽입공을 삽입고정하여 회전축과 함께 편심(片心) 회전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발생되는 언바란스를 잡아주기 위해 회전체에 형성되는 균형편과,
    상기 회전체에 편심 형성되어 회전축의 중심을 구심점으로 하여 공전 운동을 하는 공전축과,
    상기 공전축에 베어링과 함께 결합되어 공전축과 동일하게 회전축의 중심을 구심점으로 하여 공전 운동을 하는 공전체와,
    상기 공전체의 공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플레이트로 전달하기 위해 공전체 상측부로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플레이트가 안착된 안착판과,
    상기 공전체의 공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공전체에 결합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탄력을 부여하여 공전체로 전달하기 위해 모우터에 고정된 지지대의 연결편에 양단부를 연결하고 있고 중간부에는 연결봉을 연결하고 있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혼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우터의 구동 및 정지수단은 플레이트를 누르는 힘에 의해 하강할 수 있도록 승강운동을 하는 회전축 하단부에 접촉되어 있는 작동편과,
    상기 작동편이 수직상으로 정확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작동편을 안내하는 기체의 내부에 고정된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에 탄설되어 작동편이 상측으로 복귀되도록 작동편에 탄력을 부여해 주는 스프링과,
    상기 작동편이 하강하여 누를시 모우터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승하여 비접촉시에는 전원을 중단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체의 받침대에 장착된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혼합기.
KR1019990032377A 1999-08-06 1999-08-06 시료 혼합기 KR100340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377A KR100340950B1 (ko) 1999-08-06 1999-08-06 시료 혼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377A KR100340950B1 (ko) 1999-08-06 1999-08-06 시료 혼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064A true KR20010017064A (ko) 2001-03-05
KR100340950B1 KR100340950B1 (ko) 2002-06-20

Family

ID=19606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377A KR100340950B1 (ko) 1999-08-06 1999-08-06 시료 혼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09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674A (ko) * 2001-10-26 2003-05-09 배석규 실험용 교반기
KR20030093655A (ko) * 2002-06-04 2003-12-11 배석규 실험용 교반기
WO2019206098A1 (zh) * 2018-04-24 2019-10-31 深圳市帝迈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血样自动混匀装置及血细胞分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710B1 (ko) * 2009-05-20 2012-03-27 윤경주 혼합기를 구비한 원심분리기
KR101108989B1 (ko) * 2009-06-22 2012-01-31 윤경주 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혼합기 겸용 원심분리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91U (ko) * 1975-06-23 1977-01-06
JPS5551541Y2 (ko) * 1977-11-01 1980-12-01
JPS5551541A (en) * 1978-10-06 1980-04-15 Takagi Kakoushiyo:Kk Method for manufacturing rhombic belt and apparatus therefor
JPH0728716B2 (ja) * 1989-10-09 1995-04-05 倉敷紡績株式会社 攪拌装置
JP3580864B2 (ja) * 1994-08-11 2004-10-27 倉敷紡績株式会社 撹拌装置
JP3230561B2 (ja) * 1995-05-09 2001-11-19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攪拌装置
US5558437A (en) * 1995-05-19 1996-09-24 Forma Scientific, Inc. Dynamically balanced orbital shak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674A (ko) * 2001-10-26 2003-05-09 배석규 실험용 교반기
KR20030093655A (ko) * 2002-06-04 2003-12-11 배석규 실험용 교반기
WO2019206098A1 (zh) * 2018-04-24 2019-10-31 深圳市帝迈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血样自动混匀装置及血细胞分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0950B1 (ko) 200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50580A (en) Laboratory mixer
WO2019206098A1 (zh) 一种血样自动混匀装置及血细胞分析设备
US5399013A (en) Mixing device
EP0421985B1 (en) Device for mixing at least one aqueous substance
CN209597059U (zh) 一种医疗检验用自振荡试管
US7201512B2 (en) Kneader for tooth restoration material
US20050088911A1 (en) Gyroscopic mixer
KR100340950B1 (ko) 시료 혼합기
JP3580864B2 (ja) 撹拌装置
JP2002283135A (ja) セーバソーの切断機構
CN2673517Y (zh) 满足动平衡条件的激振器
KR200362095Y1 (ko) 액체 혼합용 진동장치
CN115646332A (zh) 一种食品检测用震荡机构
JP2003290642A (ja) 攪拌脱泡装置
CN211677494U (zh) 一种多位涡旋振荡器
CN212068561U (zh) 生物实验用试管离心震荡设备
CN209237829U (zh) 一种用于钠离子电池浆料的搅拌装置
CN100346950C (zh) 建筑机械用的激振器设计方法
CN211246354U (zh) 一种溶液磁力搅拌器
CN111701503A (zh) 一种药学混合装置
CN208043519U (zh) 一种生物芯片及生物芯片反应器振动混匀结构
CN208678993U (zh) 一种试剂混匀装置
JPH0622421Y2 (ja) 攪拌装置
KR200168123Y1 (ko) 자동연마장치
CN114887530B (zh) 一种基因检测试剂盒用配液工艺及配液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64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