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6693A - 고무타이어 부착 다리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 - Google Patents

고무타이어 부착 다리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6693A
KR20010016693A KR1019990031716A KR19990031716A KR20010016693A KR 20010016693 A KR20010016693 A KR 20010016693A KR 1019990031716 A KR1019990031716 A KR 1019990031716A KR 19990031716 A KR19990031716 A KR 19990031716A KR 20010016693 A KR20010016693 A KR 20010016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crane
leg
main hoist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해우
Original Assignee
윤영석
한국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석, 한국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영석
Priority to KR1019990031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6693A/ko
Publication of KR20010016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69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5Straddle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1Hau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래식 또는 콘테이너 전용부두에서 각종 화물의 하역작업에 사용되고 있는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종래 하버용 다목적 크레인의 시간당 처리능력을 향상시키고, 안정성 및 작업 용이성을 극대화 시키고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상에서 높게 설치된 4개의 다리(1.1)로 지지되는 거어더(1.2) 및 붐(1.3)을 설치하고, 상기 다리(1.1)의 하부에는 고무타이어(1.15) 및 대차(1.14)를 배치하여 부두내 임의 장소로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거어더(1.2) 및 붐(1.3) 위에는 화물을 취급하는 트롤리(1.17)를 횡행시킴으로써 부두내 각종 하역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특히 최근에 발전하는 추세에 있는 재래식 또는 신규 부두에서의 선박 및 크레인의 대형화, 자동화에 부응할 수 있는 기능 및 구조로 이루어져, 기술적으로나 경제적인 면에서 하버용 다목적 하역설비에 적합한 고무타이어 부착 다리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무타이어 부착 다리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A Rubber Tired Gantry Type Mobile Harbor Crane}
본 발명은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여러 가지 화물(콘테이너, 일반 잡화물, 벌크 등)을 부두상으로 하역시키거나, 필요할 때 부두내에서도 하역작업을 수행할 목적으로 항만에서 사용하는 하역용 다목적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상에서 높게 설치된 4개의 다리로 지지되는 거어더 및 붐을 설치하고, 다리 하부에는 고무타이어 및 대차를 배치하여 부두내 임의 장소로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거어더 및 붐 위에는 화물을 취급하는 트롤리를 횡행시킴으로써 부두내 각종 하역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고무타이어 부착 다리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여러 가지 화물을 부두상으로 하역하는 대표적인 장치로써 종래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지브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Jib Type Mobile Harbor Crane)이 있다.
이 크레인은 고무타이어를 장착한 최소 2축 차대(3.3) 위에 선회 및 상하운동을 하는 포스트형 지브(3.2)와 전기실(3.7), 기계실(3.8), 운전실(3.10) 이외에 기타설비를 설치해 놓은 장비로써 부두내 임의의 장소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원동기로는 디젤 또는 가솔린 엔진(3.9)을 사용하여 전기 또는 유압전동으로 상기 포스트형 지브의 선회 및 주행과 로프의 권상(卷上)을 실시함으로써 재래식 부두 또는 전력사정이 좋지 않은 부두 내에서 효과적인 하역작업을 담당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에 요구되고 있는 고효율 및 자동화 크레인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 지브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은 구조 및 기능면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1) 최근 화물 운송용 선박은 운송비용을 절감할 목적으로 대형화 추세에 있으며, 과거의 중·소형 선박과 병행하여 운영됨으로써 부두 하역장비에서도 중·소형 선박으로부터 대형선박까지 취급할 수 있는 설비가 요구되고 있으나, 종래 지브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으로 하역작업을 수행할 때는 구조면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지브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은 선박 하역 작업을 할 때 포스트형 지브(3.2)로 화물을 현수하여 선회 및 상하운동을 할 수 있는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하역 효율면에서 소·중형 선박은 물론 대형 선박을 취급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즉, 상기 포스트형 지브에 의한 하역물(화물)의 운반은 그 운반(선회)속도가 느려서 하역효율을 높이기 위해 선회속도를 빠르게 할 경우, 하역물의 흔들림이 커짐으로 인해 가·감속시간이 길어져 오히려 하역효율이 저하된다.
또, 크레인 가로방향의 안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주행타이어(3.4)에 타이어 보강용 보강륜(3.5)이나 차대(3.3)에 아우트리거(3.6)를 갖추고 있으나, 중·대형 선박 취급용으로는 지브의 길이(작업반경)가 선박의 크기에 따라 커져야 되므로 안정도 확보가 어렵다.
2) 종래 지브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은 용량 및 지브의 길이(작업반경)가 커짐에 따라 일반적으로 크레인 중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이에 따라 주행타이어에 걸리는 휠 로드를 제한시키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동력소모가 대단히 클 뿐 아니라, 초기 투자비가 상대적으로 많이 든다.
3) 종래 지브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은 최근 발전 추세에 있는 크레인 자동화에 부응하기가 쉽지 않고, 특히 화물을 하역할 때의 선박은 화물의 중량 및 무게 중심에 따라 변화가 발생하여 선박의 길이 및 폭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장치부착이 불가능하다. 즉, 화물의 중량 및 무게 중심에 따라 선박이 길이 및 폭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특히, 화물이 콘테이너일 경우 이 콘테이너의 네모서리에 크레인의 붐을 정확히 안착하기가 힘들어 진다. 따라서 일반적인 항만하역(콘테이너 하역) 크레인은 네모서리 모두를 로프로 지지되게 하여 각 모서리의 로프를 당겨서 기울어진 하역물에 크레인의 붐이 정확히 안착되게 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나, 종래 지브형 크레인의 경우 붐의 네모서리 모두가 로프로 지지되지 않고 후크로 하역물의 중심부를 견인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보완장치의 부착이 불가능하다.
4) 일반적인 항만하역(콘테이너 하역)의 경우 기계실 및 엔진 발전기실이 붐위에 설치되나, 상기 기계실 및 엔진 발전기실을 붐 위에 설치할 경우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다리를 강하게 설계해야 함으로써 크레인의 전체 중량이 무거워져 휠로드가 커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지브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 궤도식 하버 크레인의 장점만을 취합하여, 재래식 부두 또는 콘테이너 하역부두에서 상기 지브형이나 궤도식 하버 크레인의 대체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상기한 1)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 크레인에서 작업효율 저하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대형선박 하역에 적합하지 않는 지브 선회운동 대신, 선박이 요구하는 작업범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거어더 및 붐 위에서 화물을 취급하는 트롤리를 고속으로 횡행시킴으로써 작업효율을 증가 시킨다.
또한, 이때 수반되는 크레인의 안정도 및 휠 로드 문제를 해결하고자 육지측 실 빔(1.10) 상부에는 기계실을 설치하고, 전기실 실 빔(1.10) 하부에는 엔진 발전기실을 설치하며, 부두내 임의의 위치로 주행이 용이한 구조가 되도록 주행기능을 고무타이어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기계실 및 엔진 발전기실을 본 발명 구조물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실 빔위에 설치함으로써 무게중심을 낮추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구조물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궤도식 다리형 하버 크레인의 특징인 높은 작업 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 모바일 하버 크레인보다 훨씬 양호한 주행성을 보장해 준다.
특히, 본 발명은 용량 및 트롤리 작업범위가 증가되더라도 도 3에 도시한 종래 지브형 크레인에 비해 크레인 전체 중량면에서 증가 폭이 상대적으로 적은 관계로 인해 상기한 2)의 문제점을 기술적 및 경제적으로 동시에 보완하고 해결할 수 있다.
또, 상기한 3)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붐 끝단에 기울기 조정장치와 요구가 날로 늘어나고 있는 크레인 자동화에 관련된 다양한 부속장치의 설치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타이어 부착 다리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의 정면도(가) 및 양측면도(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매인 호이스트 및 붐 인양 와이어 로프의 배치 사시도,
도 3은 종래 지브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의 정면도(가) 및 크레인 선회작동 상태도(나),
도 4는 종래 궤도식 다리형 하버 크레인과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비교도.
(도면 부호의 설명)
1...고무타이어 부착 다리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
1.1...다리, 1.2...거어더,
1.3...붐, 1.4...타이 빔,
1.5...서포트 빔, 1.6...상부 다리,
1.7...탑 빔, 1.8...지지 프레임,
1.9...포 스테이, 1.10...실 빔,
1.11...엔진 발전기실, 1.12...기계실,
1.13...전기실, 1.14...대차,
1.15..주행타이어(고무타이어),
1.16...아우트리거, 1.17...횡행 트롤리,
1.18...운전실, 1.19...매인 호이스트 장치,
1.20...붐 인양 장치, 1.21...횡행 구동장치,
1.22...주행 구동장치, 1.23...타이 다운,
2...고무타이어 부착 다리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의 매인 호이스트 및 붐 인양 와이어로프 배치도,
2.1...매인 호이스트 드럼, 2.2...매인 호이스트 와이어로프,
2.3..매인 호이스트 와이 로프 고정장치,
2.4...매인 호이스트 하중감지기,
2.5...매인 호이스트 구동활차,
2.6...매인 호이스트 평형활차,
2.7...붐 인양 드럼, 2.8...붐 인양 와이어로프,
2.9...붐 인양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2.10...붐 인양 구동활차, 2.11...붐 인양 평형활차,
3...지브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
3.1...포스트, 3.2...지브,
3.3...차대, 3.4...주행타이어,
3.5...보강륜, 3.6...아우트리거,
3.7...전기실, 3.8...기계실,
3.9...엔진 발전기실, 3.10...운전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고무타이어(1.15)가 부착된 4개의 다리(1.1) 위에 래티스 구조로 된 거어더(1.2) 및 붐(1.3)이 설치되고 이 거어더 및 붐 상을 주행하는 횡행 트롤리(1.17)로 이루어져, 상기 트롤리를 주행시키기 위한 운전 설비 및 와이어로프 설비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무타이어 부착 다리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 각 부분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2개의 고무타이어(1.15)가 부착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최소 4개의 다리(1.1)와, 이 다리의 하단과 상단을 서로 연결한 실 빔(1.10) 및 타이 빔(1.4)과, 상기 타이 빔의 상부에서 다리(1.1) 사이를 연결한 서포트 빔(1.5)과, 한쪽 다리(1.1) 사이를 역 V자로 연결한 상부다리(1.6) 및 이 상부 다리에서 다른 쪽 다리와 경사지게 연결한 지지 프레임(1.8)과, 상기 상부다리의 꼭대기에 설치한 탑 빔(1.7)과, 상기 서포트 빔(1,5)의 아래에서 다리(1.1)를 가로 질러 수평으로 길게 뻗은 거어더(1.2) 및 붐(1.3) 등의 주요 구조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요 구조부는 사각 또는 원통형 구조로써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가지며, 내부는 밀폐형으로 공기 및 빗물의 침투에 의한 내부 부식을 방지하고, 각각의 구성요소 사이는 용접이나 고장력 볼트로 연결한다.
또, 거어더(1.2) 및 붐(1.3)은 다리 간격과 하중에 의해 상자형 구조, 플레이트 혹은 래티스(lattice) 구조로 하며, 관성 등에 의한 굽힘 및 굴곡이 없도록 함은 물론 충분한 강성과 강도를 갖도록 한다. 상기 래티스 구조는 동일한 두개의 주요 부재를 여러 개의 소부재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시킨 구조로써 강성에 비해 무게가 작을 뿐만 아니라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는 구조이다.
또, 붐(1.3)은 선박의 도착 및 출발에 지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붐의 캔틸레버(cantilever)부를 들어올릴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붐 인양 동작은 실 빔 상부의 기계실 내에 설치된 붐 인양 장치에 의해 와이어로프로 행하고, 또한, 상기 붐은 수평 위치에서 튼튼한 포 스테이(fore stay)(1.9)라는 인장재로 상기 지지프레임(1.8)과 핀 연결을 통하여 경사지게 지지된다.
거어더 및 붐 접합부는 트롤리가 횡행할 때 충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레일을 특수하게 가공한다. 즉, 트롤리 레일은 트롤리가 붐에서 거어더로 횡행이동할 때 안내하여 주는 부분으로 장비의 기능상 붐이 상하방향으로 인양되어짐에 따라 붐과 거어더 사이의 레일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이 나뉘어진 부분의 레일 사이의 틈을 트롤리가 이송될 때 충격을 받게 되는데 충격이 최소화 되도록 경계 부분을 경사지게 가공하여 서로 연결한다. 또한, 거어더 및 붐 위에 보행 및 보수가 안전하고 편리하도록 보도판을 설치한다.
또, 상기 거어더(1.1) 및 붐(1.3)에 설치된 레일 위로는 횡행 트롤리(1.17)가 아래쪽에 매달려 횡행하며, 횡행 구동장치와 활차 등 기타 부속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횡행 구동장치는 좌우측 횡행차륜을 구동시키고, 횡행차륜 및 축은 트롤리 프레임에 직접 연결된다.
크레인에 공급되는 전원은 정격 및 최대 부하에서 연속운전을 할 수 있는 디젤엔진 발전기에 의하며, 이 엔진 발전기는 정비보수가 용이하고 수시 점검을 할 수 있도록 육지측 실 빔(1.10) 하면의 엔진 발전기실(1.11)에 설치하고 인클로저로 보호된다.
매인 호이스트 장치(1.19)와 붐 인양장치(1.20) 및 각종 전기제어반 등이 설치되는 기계실(1.12) 및 전기실(1.13)은 철골 및 철판으로 된 구조로써 육지측 실 빔(1.10) 상부에 설치하고, 기계실 및 전기실 내는 각 기기의 점검 및 분해, 수리에 편리하도록 충분한 공간을 가지며, 전동 호이스트, 통풍장치 및 기타 부속장치 일체를 포함한다. 또한, 전기실 내의 온도상승을 방지하고자 전기실에 에어컨 및 통풍장치를 설치한다.
크레인(1)을 조종하는 운전실(1.18)은 바다측 다리 상부에 고정적으로 설치함으로써 하역 대상물을 가장 보기 쉽도록 하고, 운전실 전면은 바다쪽을 향하도록 하며, 한 사람의 운전원으로 하역작업에 필요한 모든 조작을 행할 수 있게 하되 운전이 용이하도록 고저조정과 회전이 가능한 의자 및 운전반, 조명, 통신, 에어컨 및 기타 전기장치 등을 설치한다.
육지측 실 빔(1.10) 위에 위치한 기계실(1.12) 내에 설치되는 매인 호이스트 장치(1.19)는 전동기로부터 커플링, 감속장치를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와이어 드럼(2.1)을 구동하고, 감속장치와 전동기 사이에는 감아 올리거나 내리는 데에 적합한 제동장치를 설치하여, 하역 작업을 할 때 전기 제어장치와 병행한 제동을 함으로써 안전하고 확실한 속도제어를 하며, 매인 호이스트 드럼(2.1)의 2중 권선이나 권상 및 권하 양끝 부분에서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제한장치 일체를 포함한다.
이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인 호이스트 드럼(2.1)에 감겨 서로 간격을 두고 2곳으로 뻗어나가는 매인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2.1)는 상기 매인 호이스트 드럼 상부의 매인 호이스트 구동활차(2.5)를 거쳐 붐(1.3)의 끝단 쪽으로 길게 뻗어나가게 하되, 끝 부분의 양쪽은 매인 호이스트 하중 감지기(2.4)와 매인 호이스트 평형활차(2.6)에 연결되어 있고, 끝 부분의 중간은 매인 호이스트 와이어로프 고정장치(2.3)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길게 뻗은 중간부에는 상하로 마주보는 트롤리(1.17)와 퀵 체인지 헤드블록(Quck Change Head Block)에 설치된 매인 호이스트 구동활차(2.5)에 연결되어 아래쪽으로 한 번 꺽이면서 뻗어나가게 된다.
육지측 실 빔(1.10) 위에 위치한 기계실 내에서 매인 호이스트 장치(1.19)와 나란히 설치되는 붐 인양 장치(1.20)는 전동기로부터 커플링, 감속장치를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붐 인양 드럼(2.7)을 구동한다.
또, 감속장치와 전동기 사이에는 붐 인양에 적합한 제동장치를 설치하여 붐 인양을 할 때 전기 제어장치와 병행한 제동을 함으로써 안전하고 확실한 속도제어를 하며, 붐 인양 드럼(2.7)에 비상용 제동장치를 설치하여 드럼이 규정 회전수에 도달할 때 과속도 계전기가 작동함으로써 비상시 안전하게 붐 인양 동작을 제동한다.
또, 인양된 붐(1.3)은 상부프레임의 탑 빔(1.7)에 안전하게 고정되나, 붐 인양이 되어있지 않을 경우, 즉 작업 중이거나 붐(1.3)이 수평으로 내려와 있을 경우 붐 인양 와이어로프(2.8)에는 전혀 하중이 걸리지 않도록 하며, 이 하중은 붐(1.3)과 탑 빔(1.7)을 연결하는 인장재인 포 스테이(1.9)가 받도록 한다.
또, 붐 인양 와이어 드럼(2.8)의 2중 권선이나 인양 전후 양 끝부분에서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제한장치 일체를 포함하며, 트롤리의 횡행동작은 붐 인양 동작과 상호 연계하여 전기적으로 제한된다.
이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붐 인양 드럼(2,7)에 감겨 서로 간격을 두고 2곳으로 뻗어나가는 붐 인양 와이어로프(2.8)는 상기 붐 인양 드럼 상부에서 붐 인양 구동활차(2.10) 및 붐 인양 평형활차(2.11)를 차례로 거치도록 되어 있으며, 끝 부분은 붐 인양 와이어로프 고정장치(2.9)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매인 호이스트 장치(1.19)에서 매인 호이스트 드럼(2.1)이 회전하여 매인 호이스트 와이어로프(2.2)가 상기 드럼에 감기게 되면 트롤리 하부에서 와이어로프(2.2)로 연결되어 있는 헤드블록이 위로 올라오며, 매인 호이스트 드럼(2.1)이 반대로 회전하여 상기 드럼에서 와이어로프(2.2)가 풀려 헤드블록이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또, 붐 인양 장치(1.20)에서 붐 인양 드럼(2.7)이 회전하면 붐(1.3)에 연결되어 있는 붐 인양 와이어로프(2.8)가 상기 드럼에 감겨 붐(1.3)이 인양되며, 붐 인양 와이어드럼(2.7)이 반대로 회전하면 로프가 풀려 상기 붐이 수평으로 내려간다.
트롤리 위에 설치되는 횡행 구동장치(1.21)는 전동기로부터 커플링, 감속장치 및 구동축을 경유하여 횡행차륜의 반수 이상을 구동하고, 정지할 때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적당한 제동장치가 설치되며, 하중 및 진동에 대하여 충분한 직경을 갖는 차륜 등 부속장치 일체를 포함한다. 또한, 횡행운전에 필요한 전기적 제한장치 일체를 포함한다.
고무바퀴(1.15)에 설치되는 주행 구동장치(1.22)에서 주행구동은 직류전동기로부터 제동장치, 감속장치, 특수한 자동제한 차동장치 및 구동축을 경유하여 네 지점당 최소 2개 이상의 고무타이어를 구동시킴으로써 하중 및 자중은 물론 운전풍압에 대해서도 크레인을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부구조 및 크레인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는 네 지점당 최소 2축 대차(1.14)에 의해 지지되고, 주행은 최소 2축 대차 하부에 설치된 최소 8개 이상의 주행타이어(1.15)에 의해 가능하다.
상기 주행타이어는 고무로 되어 있으며, 네 지점에 가해지는 부하가 모든 타이어에 균등히 분배되도록 장치되어, 각 크레인은 부두내 임의의 장소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타이어를 90도 회전시키거나, 크레인이 자체중심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압식 또는 기계식으로 작동되는 타이어 회전설비를 장착하며, 이러한 크레인의 주행 이동은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 가능하다.
화물을 취급할 때 크레인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주행바퀴(1.15) 사이에 아우트리거(1.16)를 설치하되, 상기 아우트리거는 타이어로 이송되는 크레인의 경우 중량물을 하역할 때 타이어의 특성상 많은 변형으로 인해 구조상 안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하역물의 중량을 타이어가 견디지 못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중량물을 하역할 때에는 크레인을 안전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폭풍시 크레인의 이탈 또는 전복 등의 사고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위치에 타이 다운(1.23)을 설치하되, 일반적인 크레인은 외형의 크기가 아주 크다 보니 폭풍시 안전하지 못하여 이탈 또는 전복될 수가 있으므로 와이어로프나 다른 장치를 이용하여 전복되지 않게 지상에 묶어두는 장치를 타이 다운이라고 한다.
이외에도 주행운전에 필요한 전기적 제한장치 일체와 크레인 구성 및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 기계, 전기적 보조설비 일체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크레인은 최초 선박이 입항할 때 선박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붐은 상향으로 인양되어 있다.
2) 선박이 정해진 위치에 정박하면 선박 내의 하역물 위로 붐이 수평으로 내려진다.
3) 붐이 내려지면 트롤리가 하역물이 위치한 장소까지 선박 위로 횡행운동을 한다.
4) 트롤리가 하역물까지 이송되면 매인 호이스트 장치의 구동으로 헤드블록이 내려와 하역물을 인양하게 된다.
5) 하역물을 인양한 트롤리는 선박 위에서 다시 육지쪽으로 이송되어 부두 위의 지정된 장소로 이송한다.
6) 부두 위의 지정된 장소로 이송되면 매인 호이스트 장치의 구동으로 헤드블록이 내려와 하역물을 내려 놓는다.
7) 이러한 절차를 계속 실행하여 하역을 마친 후 선박 내의 다른 부분의 하역을 위해 크레인을 주행시킨다.
8) 선박내 다른 부분의 하역물의 위치에 크레인이 도착하면 앞에서 언급한 하역절차에 따라 하역을 계속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목적과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효과로써 종래 크레인에 비해 개선된 점은 다음과 같다.
1) 궤도식 다리형 하버 크레인(Rail Mounted Quayside Gantry Crane)의 궤도를 대신하여 네 지점의 주행부분을 대차(1.14)에 의해 지지되고, 각 대차 하부에 8개 이상의 고무타이어(1.15)를 부착하고 엔진 발전기(1.11)를 동력원으로 사용함에 따라, 어느 곳이든 이동이 용이하고, 어느 장소에서나 사용이 가능하며, 부두에 별도의 궤도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주행타이어의 낮은 윤 하중으로 부두조성 비용이 최소화 된다.
2) 종래의 궤도식 다리형 하버 크레인의 경우 거어더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기계실(1.12) 및 전기실을 본 발명의 크레인에서는 육지측 실 빔(1.10)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장비의 복원성이 증가하고 다리(1.1)를 경량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기계실(1.12) 및 전기실 내부 장비에 대한 유지 보수와 교환이 용이하다.
3) 화물 인양은 일정 권상 작업 후 횡행과 권상을 동시에 수행하고 횡행과 권하 운전을 동시에 수행하여 지브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 대비 선회작업이 없고, 최단거리로 하역 작업을 수행하여 하역능력(시간당 처리능력)이 대단히 높다.
4) 화물을 크레인의 중앙 위치에 현수한 상태로 주행이 가능하여, 화물을 현수한 상태로는 주행을 할 수 없는 지브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과 대비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5) 화물 하역 작업을 할 때 흔들림이 심한 지브(2.2)의 선회작업이 없으므로 크레인 자동화 요구에 쉽게 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반조건이 열악한 재래식 부두 및 콘테이너 전용부두나 혹은 전력사정이 불안정한 부두에서의 효율적인 하역작업에 적합한 새로운 개념의 크레인으로써, 향후 대표적인 하버용 다목적 하역설비가 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하단에 최소 8개의 고무타이어(1.15) 및 대차(1.14)가 부착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최소 4개의 다리(1.1)와, 이 다리의 하단과 상단을 서로 연결한 실 빔(1.10) 및 타이 빔(1.4)과, 상기 타이 빔의 상부에서 다리(1.1) 사이를 연결한 서포트 빔(1.5)과, 한쪽 다리(1.1) 사이를 역 V자로 연결한 상부다리(1.6) 및 이 상부 다리에서 다른 쪽 다리와 경사지게 연결한 지지 프레임(1.8)과, 상기 상부다리의 꼭대기에 설치한 탑 빔(1.7)과, 상기 서포트 빔(1,5)과 아래에서 다리(1.1)를 가로 질러 수평으로 길게 뻗은 거어더(1.2) 및 붐(1.3)과, 상기 지지프렘(1.8)과 핀 연결을 통해 상기 붐(1.3)과 경사지게 결합한 포 스테이(1.9)로 이루어지되,
    상기 거어더(1.1) 및 붐(1.3)에 설치된 레일의 아래쪽에 매달려 횡행하는 횡행 트롤리(1.17)와, 육지측 실 빔(1.10) 하면에 설치한 엔진 발전기실(1.11)과, 육지측 실 빔(1.10) 상면에 설치한 기계실(1.12) 및 전기실(1.13)과, 상기 기계실(1.12) 내에 설치한 매인 호이스트 장치(1.19) 및 붐 인양장치(1.20)와, 다리(1.1) 상부에 설치되어 크레인(1)을 조종하는 운전실(1.18)과, 트롤리(1.17) 상에 설치되는 횡행 구동장치(1.21)와, 고무바퀴(1.15) 사이에 설치되는 주행 구동장치(1.22) 및 아우트리거(1.16) 및 타이 다운(1.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타이어 부착 다리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인 호이스트 장치(1.19)는 매인 호이스트 드럼(2.1)과, 이 드럼에 감겨 서로 간격을 두고 2곳으로 뻗어나가는 매인 호이스트 와이어로프(2.1)와, 이 와이어로프를 제어하고 고정하는 요소로써 매인 호이스트 구동활차(2.5)와 매인 호이스트 하중 감지기(2.4), 매인 호이스트 평형활차(2.6),매인 호이스트 와이어로프 고정장치(2.3)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붐 인양 장치(1.20)는 붐 인양 드럼(2,7)과, 이 드럼에 감겨 서로 간격을 두고 2곳으로 뻗어나가는 붐 인양 와이어로프(2.8)와, 이 와이어로프를 제어하고 고정하는 붐 인양 구동활차(2.10)와 붐 인양 평형활차(2.11) 및 붐 인양 와이어로프 고정장치(2.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타이어 부착 다리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
KR1019990031716A 1999-08-02 1999-08-02 고무타이어 부착 다리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 KR20010016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716A KR20010016693A (ko) 1999-08-02 1999-08-02 고무타이어 부착 다리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716A KR20010016693A (ko) 1999-08-02 1999-08-02 고무타이어 부착 다리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693A true KR20010016693A (ko) 2001-03-05

Family

ID=1960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716A KR20010016693A (ko) 1999-08-02 1999-08-02 고무타이어 부착 다리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669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078B1 (ko) 2004-06-30 2006-05-10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겐트리 크레인의 잭업방식 차대 회전장치 및 방법
KR101246793B1 (ko) * 2009-12-24 2013-03-2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크레인 및 크레인이 마련되는 이동항구
CN116006876A (zh) * 2022-12-27 2023-04-25 江苏卫华海洋重工有限公司 一种通过机构运行声音检测起重港机状态的自动化机械臂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6073U (ko) * 1976-01-16 1977-07-18
JPS55160389U (ko) * 1979-05-01 1980-11-18
US4378072A (en) * 1980-06-16 1983-03-29 Rpc Corporation Gantry crane
JPS6424084U (ko) * 1987-08-04 1989-02-09
JPH01321297A (ja) * 1988-06-24 1989-12-27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舶用ガントリークレーン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6073U (ko) * 1976-01-16 1977-07-18
JPS55160389U (ko) * 1979-05-01 1980-11-18
US4378072A (en) * 1980-06-16 1983-03-29 Rpc Corporation Gantry crane
JPS6424084U (ko) * 1987-08-04 1989-02-09
JPH01321297A (ja) * 1988-06-24 1989-12-27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舶用ガントリークレーン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078B1 (ko) 2004-06-30 2006-05-10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겐트리 크레인의 잭업방식 차대 회전장치 및 방법
KR101246793B1 (ko) * 2009-12-24 2013-03-2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크레인 및 크레인이 마련되는 이동항구
CN116006876A (zh) * 2022-12-27 2023-04-25 江苏卫华海洋重工有限公司 一种通过机构运行声音检测起重港机状态的自动化机械臂
CN116006876B (zh) * 2022-12-27 2023-09-08 江苏卫华海洋重工有限公司 一种通过机构运行声音检测起重港机状态的自动化机械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8775A (en) Personnel trolley and elevator platform for a cargo container handling gantry crane
JP5127535B2 (ja) シャトル式門型クレーン
CN100436300C (zh) 货物集装箱装卸门式起重机的钢索缠绕支撑系统和方法
US3971478A (en) Overhead crane with lifting beam provided with C-shaped claws
EP0318264A1 (en) Travelling container crane
CN201343395Y (zh) 一种平衡式码头起重机
JP2005512917A (ja) バッファストラドルクレーン
CN101381055A (zh) 利用四吊钩龙门起重机对大型物件进行旋转的方法
CN205973518U (zh) 轨道龙门吊车
US5765981A (en) Wire rope tensioning and reeving system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s
US6685418B2 (en) Buffer jib crane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operations
KR20010016693A (ko) 고무타이어 부착 다리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
KR20160134729A (ko) 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크레인의 상가(上架)구조체의 상가(上架) 시스템
KR101037262B1 (ko) 키이 크레인과 협력하여 부둣가의 버퍼 지브 크레인에 의해 화물 컨테이너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WO1990008093A1 (en) Container crane
JP2002332613A (ja) 橋梁撤去作業機
US6648571B1 (en) Mobile handling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ships in docks
CN112479032A (zh) 一种龙门吊起重机
CN112605627A (zh) 一种船舶一体化隔振抗冲装置进舱输送系统
KR20110079432A (ko) 개선된 레그 구조를 가지는 안정화된 컨테이너 크레인
EP0551665A1 (en) Crane relocation and erection
CN212050126U (zh) 集装箱提升装置
CN216660324U (zh) 一种集装货物装载装置
EP4273084A1 (en) Mobile boat hoist equipped with retractable side members
KR101166717B1 (ko) 컨테이너 크레인을 구비하는 이동항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