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5330A - 전자밸브의 동작관리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밸브의 동작관리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5330A
KR20010015330A KR1020000040387A KR20000040387A KR20010015330A KR 20010015330 A KR20010015330 A KR 20010015330A KR 1020000040387 A KR1020000040387 A KR 1020000040387A KR 20000040387 A KR20000040387 A KR 20000040387A KR 20010015330 A KR20010015330 A KR 20010015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ference value
solenoid valve
valve memb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6402B1 (ko
Inventor
마코토 이시키와
보부유키 이시쯔카
후미오 모리카와
Original Assignee
다까다 요시유끼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다 요시유끼,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다 요시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15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1Sliding valves
    • F16K31/0613Sliding valve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9/00Testing; Calibrating; Fault detection or monitor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fluid-pressure system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9/005Fault detection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4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by means of electrically-actuated members in the supply or discharge conduits of the fluid motor
    • F16K31/423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by means of electrically-actuated members in the supply or discharge conduits of the fluid motor the actuated members consisting of multiple way valves
    • F16K31/4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by means of electrically-actuated members in the supply or discharge conduits of the fluid motor the actuated members consisting of multiple way valves the actuated valves being cylindrical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 F16K37/0083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by measuring valve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158With indicator, register, recorder, alarm or inspection means
    • Y10T137/8175Plur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158With indicator, register, recorder, alarm or inspection means
    • Y10T137/8225Position or extent of motion indicator
    • Y10T137/8242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Abstract

전자밸브의 동작시간을 검출하여 그 동작시간으로부터 절환동작이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므로써, 고장 전에 전자밸브의 이상을 간단 또한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전자밸브에 설치한 위치검출수단에 의해서 스풀의 스트로크단에서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신호와 계측용 클럭신호로부터의 신호처리회로(12)에 있어서, 전자밸브의 구동신호가 온 또는 오프로 된 후 스풀이 상기 스트로크단에서 이동을 개시하기까지의 이동개시시간과, 상기 스트로크단에 도달하기까지의 이동종료시간을 계측하고, 이들 동작시간(T1) 내지 (T2)을 상기 신호처리회로(12)에 미리 입력된 복수의 기준치(T1a) 내지 (T4a), (T1b) 내지 (T4b)와 비교하므로써 스풀의 절환동작이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별하여, 판별결과에 따른 표시신호를 출력한다.

Description

전자밸브의 동작관리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OPERATION OF SOLENOID VALVE}
본 발명은, 전자밸브의 절환동작을 감시하므로써 고장 전에 이상을 검지하고, 사전의 대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절환동작관리를 위한 수단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자동차나 그 외의 기계기구류의 조립공정 등에 있어서는, 압축공기를 사용한 자동운전 시스템이 채용되어 있고, 압축공기의 절환에 많은 전자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자동운전시스템에서는,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장기간에 걸쳐서 운전이 계속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밸브가 한개라도 고장나면, 시스템 전체의 가동이 정지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받는 손해는 매우 큰 것으로 된다. 게다가, 통상은 시스템 전체의 규모가 크기 때문에, 고장난 전자밸브의 특정이나 그 수리 또는 교환 등에 시간을 요하며, 이것에 의해서 시스템이 정지하는 시간도 길어지기 때문에, 이것에 의한 손실은 더욱 크게 되버린다.
전자밸브의 고장을 사전에 예지할 수 있으면 이와 같은 문제는 해결할 수 있지만, 이것을 위한 효과적인 수단은 지금까지 제안되어 있지 않다.
예컨대 실개평2-66784호 공보에는, 스풀의 외주에 마그네트를 설치함과 아울러, 케이싱에 자기센서를 설치하고, 자기센서로 마그네트를 검출하므로써 스풀이 절환된 것을 검지하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제 1의 공지예는, 단지 스풀이 절환된 것인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정도의 것으로, 자기센서로부터 스풀의 절환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때는 이미 전자밸브가 고장나 있는 상태이고, 전자밸브의 고장을 사전에 예지할 수가 없다.
또한, 실공평7-31021호 공보에는, 스풀의 일단에 연결한 피스톤에 마그네트를 설치함과 아울러, 케이싱에 검출코일을 설치하여, 마그네트의 이동에 의해 검출코일에 발생하는 유도전압을 검출하고, 이 유도전압의 크기로부터 이상을 검지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바꾸어 말하면, 피스톤 즉 스풀의 이동속도를 유도전압으로서 검출하고, 이 이동속도의 크기로부터 이상을 검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제 2의 공지예는, 스트로크 중의 스풀의 이동속도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스풀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를 고장으로서 검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예컨대 스풀이 스트로크단에 고정부착된 상태로 되어 이동개시가 지연되거나, 스트로크단에 도달하기 직전에 미끄러짐 저항이 증대하여 도달이 지연되는 경우에는, 이들을 검지하여 고장인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자밸브의 동작시간을 검출하여 그 절환동작이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므로써, 고장 전에 전자밸브의 이상을 간단 또한 확실하게 예지할 수 있는, 검지정밀도가 우수한 동작관리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밸브에 설치한 위치검출수단에 의해서 유로절환용 밸브부재의 동작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신호를 계측용 클럭신호로부터의 신호처리회로에 있어서, 전자밸브의 구동신호가 온 또는 오프로 되고나서 상기 전자밸브가, 특정의 동작위치에 대해서 그 위치를 이동하거나 또는 그 위치에 도달하기까지의 동작시간을 계측하고, 이 동작시간을 상기 신호처리회로에 미리 입력된 복수의 기준치와 비교하므로써 밸브부재의 절환동작이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별하여, 판별결과에 따른 표시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의 동작관리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전자밸브가 온 또는 오프로 되고나서 밸브부재가 특정의 동작위치를 이동 또는 도달하기까지의 동작시간을 계측하고, 이 동작시간으로부터 절환동작이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밸브부재의 스트로크단에서의 시동이나 스트로단으로의 도달이 지연된 경우에도, 이들을 이상으로서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위치검출수단으로 밸브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스트로크단에서의 위치가 검출되고, 전자밸브의 구동신호가 온 또는 오프로 된 후 밸브부재가 상기 스트로크단에서 이동을 개시하기까지의 시간과, 상기 스트로크단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 중 적어도 한쪽이 계측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기준치가, 동작시간의 정상범위를 나타내는 제 1기준치와, 이상 예지범위를 나타내는 제 2기준치를 포함하고 있어서, 밸브부재의 동작시간이 제 1기준치 이하였을 때에는 정상신호를 출력하고, 제 1기준치와 제 2기준치의 사이에 있을 때에는 이상 예지신호를 출력하고, 제 2기준치를 넘고 있을 때에는 이상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밸브에 설치되어서 유로절환용 밸브부재의 동작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과; 이 위치검출수단에서의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밸브부재의 동작시간을 계측하고, 이 동작시간으로부터 상기 밸브부재의 절환동작이 정상인지 이상인지를 판별하는 신호처리회로를 구비하고, 이 신호처리회로가, 전자밸브에 대한 온 또는 오프의 구동신호를 시작신호로 하여 시간계측을 개시하고, 위치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부재가 절환되기까지의 동작시간을 계측하는 계측부와; 미리 예정된 동작시간에 대해서의 복수의 기준치를 보유하고 있어서, 상기 계측기에서 계측된 밸브부재의 동작시간과 이들 복수의 기준치를 비교하므로써, 상기 밸브부재의 절환동작이 정상인지 이상인지을 판별하는 비교부와; 이 비교부에 의한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정상인지 이상인지의 표시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의 동작관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위치검출수단이, 밸브부재의 양 스트로크단에서의 위치를 검출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회로의 계측부가, 전자밸브의 구동신호가 온으로 된 후 밸브부재가 제 1스트로크단에서 이동을 개시하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는 제 1계측기와, 제 2스트로크단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는 제 2계측기와, 전자밸브의 구동신호가 오프로 된 후 상기 밸브부재가 제 2스트로크단에서 복귀동작을 개시하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는 제 3계측기와, 제 1스트로크단에 도달하기까지의 복귀시간을 계측하는 제 4계측기를 보유하며, 또한 상기 비교부가, 상기 각 계측기에 접속되어서 이 계측기에서 계측된 동작시간을 복수의 기준치와 비교하는 제 1 내지 제 4의 비교기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검출수단이, 밸브부재와 동기하여 이동하도록 설치된 마그네트와, 이 마그네트에서의 자속을 검출하는 적어도 한개의 위치센서를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센서가, 밸브부재의 전체 스트로크영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에서의 자속을 검출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밸브의 제 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예의 위치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위치신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신호처리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신호처리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밸브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단면도이다.
도 6은, 제 2실시예의 위치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위치신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다른 위치신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또 다른 위치신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ㆍㆍㆍ 전자밸브 5 ㆍㆍㆍ 스풀
11 ㆍㆍㆍ 위치검출수단 12 ㆍㆍㆍ 신호처리회로
15 ㆍㆍㆍ 마그네트 16 ㆍㆍㆍ 위치센서
21 ㆍㆍㆍ 계측부 21a, 21b, 21c, 21d ㆍㆍㆍ 계측기
22 ㆍㆍㆍ 비교부 22a, 22b, 22c, 22d ㆍㆍㆍ 비교기
23 ㆍㆍㆍ 신호출력부 S ㆍㆍㆍ 위치신호
T1, T2, T3, T4 ㆍㆍㆍ 동작시간
T1a, T2a, T3a, T4a ㆍㆍㆍ 제 1기준치
T1b, T2b, T3B, T4b ㆍㆍㆍ 제 2기준치
X ㆍㆍㆍ 정상신호
Y ㆍㆍㆍ 이상 예지신호
Z ㆍㆍㆍ 이상신호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밸브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기에 예시된 전자밸브(1)는, 한 개의 파일럿밸브(3)로 주밸브(2)를 절환하는 싱글 파일럿식 전자밸브이다.
상기 전자밸브(1)는, 비자성체 소재로 이루어진 케이싱(4)에, 압축공기 등의 작동유체가 유통하는 복수의 포트(P), (E1), (E2), (A), (B)와, 이들 각 포트가 개구하는 밸브구멍(5)과, 이 밸브구멍(5) 내에 미끄러질 수 있게 수용된 유로절환용 밸브부재인 스풀(6)과, 이 스풀(6)의 양단에 위치하는 크고 작은 두 개의 피스톤 (7a), (7b)을 설치함과 아울러, 케이싱(4)에 있어서의 대경의 제 1피스톤(7a)측의 단부에, 이 제 1피스톤(7a)측의 제 1압력실(8a)에 파일럿유체를 공급하는 상기 파일럿밸브(3)를 설치한 것이다. 게다가 상기 제 1압력실(8a)은, 파일럿유로(9a), (9b)에 의해 파일럿밸브(3)를 통해서 공급포트(P)에 연이어 통하고, 소경의 제 2피스톤(7b)측의 제 2압력실(8b)은, 파일럿유로(9c)에 의해 공급포트(P)에 언제나 연이어 통하고 있다.
상기 전자밸브(1)에 있어서, 파일럿밸브(3)가 오프의 상태로서 제 1압력실 (8a)에 파일럿유체가 공급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제 2압력실(8b)에 공급되어 있는 파일럿유체압에 의해 제 2피스톤(7b)이 눌려지기 때문에, 스풀(6)은 도면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제 1스트로크단으로 이동하여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파일럿밸브(3)가 온으로 되어서 제 1압력실(8a)에 파일럿유체가 공급되면, 두 개의 피스톤(7a), (7b)의 수압면적의 차에 의해, 제 1피스톤(7a)에 작용하는 유체압작동력이 제 2피스톤(7b)에 작용하는 유체압작용력보다 크기 때문에, 스풀(6)은 이 제 1피스톤(7a)에 의해 도면의 우측으로 눌려져서, 제 2스트로크단으로 이동한다.
상기 전자밸브(1)는, 상기 스풀(6)의 절환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동작관리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관리장치는, 스풀(6)의 동작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검출수단(11)과, 이 위치검출수단(11)에서의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스풀(6)의 동작시간을 계측하고, 이 동작시간으로부터 상기 스풀(6)의 절환동작이 정상인지 이상인지를 판별하는 신호처리회로(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신호처리회로(12)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밸브(1)의 상면이나 측면 등의 적당한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전자밸브를 탑재하는 베이스나, 복수의 전자밸브를 집합화할 때 함께 결합되는 앤드 블록이나 포트 블록 혹은 배전블록 등에 설치하여도 좋고, 이 이외의 적당한 장소에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 위치검출수단(11)은, 비자성 소재로 이루어진 스풀(6)에 설치되어서 이 수풀(6)과 함께 이동하는 마그네트(15)와, 케이싱(4)의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어서 상기 마그네트(15)의 이동에 따르는 자속밀도의 변화를 검출하는 위치센서(16)로 구성되어 있다. 이 위치센서(16)는, 스풀(6)의 전체 스트로크에 있어서 마그네트 (15)에서의 자속밀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풀(6)이 제 1스트로크단에서 제 2스트로크단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크기가 점점 감소하는 아날로그신호로서의 위치신호(S)를 출력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신호처리회로(12)는,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판별기 (2)와, 계측부(21)와, 비교부(22)와, 신호출력부(2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위치판별기(20)는, 상기 위치센서(16)에 접속되어 있어서, 이 위치센서 (16)에서 출력되는 위치신호(S) 상에 시간계측의 대상으로 되는 특정의 동작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한계치(M), (N)(도 2참조)를 정하고, 이들 한계치(M), (N)로 설정된 동작위치가 검출되었을 때에 후단의 계측부(21)에 제어용 위치판별신호(m), (n)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위치신호(S)의 양 스트로크단 부분의 위치에 두 개의 한계치(M), (N)를 설정하므로써, 스풀(6)의 위치를 양 스트로크단에서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게다가, 전자밸브(1)의 구동신호가 온으로 되어서 스풀(6)이 제 1스트로크단에서 제 2스트로크단으로 절환되는 경우,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센서(16)에서 출력되는 위치신호(S)가 한계치(M)를 넘기까지, 즉 스풀(6)이 이동을 개시하기까지는, 상기 위치판별기(20)에서 위치판별신호(m)가 출력되며, 상기 위치판별신호(m)가 오프로 절환되고, 게다가, 위치신호(S)가 한계치(N)에 도달하였을 때, 즉 스풀(6)이 제 2스트로크단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위치판별신호(n)가 온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자밸브(1)의 구동신호가 오프로 되어서 스풀(6)이 제 2스트로크단에서 제 1스트로크단으로 복귀하는 경우에는, 위치센서(16)에서의 위치신호(S)가 한계치(N)를 넘기까지, 즉 스풀(6)이 복귀동작을 개시하기까지는, 위치판별기(20)에서 위치판별신호(n)가 출력되고, 위치신호가 한계치(N)를 넘었을 때, 즉 스풀(6)이 복귀동작을 개시하였을 때에, 상기 위치판별신호(n)가 오프로 절환되며, 게다가, 상기 위치신호가 한계치(M)에 이르렀을 때, 즉 스풀(6)이 제 1스트로크단에 도달하였을 때에, 위치판별신호(m)가 온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계측부(21)는, 전자밸브(1)에 대한 온 또는 오프의 구동신호를 시작신호로 하여 클럭 펄스에 의한 시간계측을 개시하고, 상기 위치판별기(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풀(6)이 특정의 동작위치에 도달하기까지의 동작시간을 계측하는 것으로, 이들 계측을 상기 위치판별기(20)에 접속된 제 1 내지 제 4의 복수의 계측기(21a) 내지 (21d)로 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 1계측기(21a)는, 전자밸브(1)의 구동신호가 온으로 된 후, 스풀(6)이 제 1스트로크단에서 이동을 개시하기까지의 동작시간(T1)을 계측하는 것으로, 구동신호의 입력과 동시에 클럭 펄스를 카운트하므로써 계측을 개시하고, 스풀(6)이 이동을 개시하였을 때, 즉 상기 위치판별기(20)에서의 위치판별신호(m)가 오프로 되었을 때에, 이 계측을 정지하므로써 상기 동작시간(T1)을 구하고, 이 계측신호를 후단의 비교부(22)의 제 1비교기(22a)로 향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제 2계측기(21b)는, 전자밸브(1)의 구동신호가 온으로 된 후, 스풀(6)이 제 2스트로크단에 도달하기까지의 동작시간(T2)을 계측하는 것으로, 구동신호의 입력과 동시에 클럭펄스를 카운트하므로써 계측을 개시하고, 스풀(6)이 제 2스트로크단에 도달하였을 때, 즉 상기 위치판별기(20)에서의 위치판별신호(n)가 온으로 되었을 때에, 이 계측을 정지하므로써 상기 동작시간(T2)을 구하고, 이 계측신호를 후단의 비교부(22)의 제 2비교기(22b)로 향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게다가, 제 3계측기(21c)는, 전자밸브(1)의 구동신호가 오프로 된 후, 스풀(6)이 제 2스트로크단에서 복귀동작을 개시하기까지의 동작시간(T3)을 계측하는 것으로, 오프의 구동신호의 입력과 동시에 클럭펄스를 카운트하므로써 계측을 개시하고, 스풀(6)이 복귀동작을 개시하였을 때, 즉 상기 위치판별기(20)에서 의 위치판별신호(n)가 오프로 되었을 때에, 이 계측을 정지하므로써 상기 동작시간 (T3)을 구하고, 이 계측신호를 후단의 비교부(22)의 제 3비교기(22c)로 향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게다가, 제 4계측기(21d)는, 전자밸브(1)의 구동신호가 오프로 된 후, 스풀(6)이 제 1스트로크단에 복귀하기까지의 동작시간(T4)을 계측하는 것으로, 오프의 구동신호의 입력과 동시에 클럭펄스를 카운트하므로써 계측을 개시하고, 스풀 (6)이 복귀스트로크단에 도달하였을 때, 즉 상기 위치판별기(20)에서의 위치판별신호(m)가 온으로 되었을 때에, 이 계측을 정지하므로써 상기 동작시간(T4)을 구하고, 이 계측신호를 후단의 비교부(22)의 제 4비교기(22d)로 향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비교부(22)는, 스풀(6)의 동작시간에 대해서의 복수의 기준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계측기(21a) 내지 (21d)로 계측된 동작시간 (T1) 내지 (T4)과 이들 복수의 기준치를 비교하므로써, 스풀(6)의 절환동작이 정상인지 이상인지를 판별하는 것으로, 제 1 내지 제 4의 복수의 비교기(22a) 내지 (22d)를 보유하고 있다.
상기 제 1비교기(22a)는, 제 1계측기(21a)로 계측된 상기 동작시간(T1)에 대해서, 이 정상의 동작시간의 상한인 제 1기준치(T1a)와, 이 제 1기준치(T1a)보다는 크고, 이상은 아니지만 이상의 전단계인 이상 예지시간의 상한을 나타내는 제 2기준치(T1b)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동작시간(T1)을 이들 기준치와 비교하고, 동작시간(T1)이 제 1기준치(T1a)이하(0<T1≤T1a)였을 때에는 정상신호 (X)를 출력하고, 제 1기준치(T1a)보다 크고 또한 제 2기준치(T1b)이하 (T1a<T1≤T1b)였을 때는 이상 예지신호(Y)를 출력하며, 제 2기준치(T1b)보다 클 (T1b<T1) 때에는 이상신호(Z)를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제 1비교기(22b)는, 제 2계측기(21b)로 계측된 상기 동작시간(T2)에 대해서, 이 정상의 동작시간의 상한인 제 1기준치(T2a)와, 이상 예지시간의 상한을 나타내는 제 2기준치(T2b)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동작시간(T2)을 이들 기준치와 비교하고, 동작시간(T2)이 제 1기준치(T2a)이하(0<T2≤T2a)였을 때에는 정상신호(X)를 출력하고, 제 1기준치(T2a)보다 크고 또한 제 2기준치(T2b)이하(T2a<T2≤T2b)였을 때는 이상 예지신호(Y)를 출력하며, 제 2기준치(T2b)보다 클(T2b<T2) 때에는 이상신호(Z)를 출력하는 것이다.
게다가, 제 3비교기(22c)는, 제 2계측기(21b)로 계측된 상기 동작시간(T3)에 대해서, 이 정상의 동작시간의 상한인 제 1기준치(T3a)와, 이상 예지시간의 상한을 나타내는 제 2기준치(T3b)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동작시간(T3)을 이들 기준치와 비교하고, 동작시간(T3)이 제 1기준치(T3a)이하(0<T3≤T3a)였을 때에는 정상신호(X)를 출력하고, 제 1기준치(T3a)보다 크고 또한 제 2기준치(T3b)이하(T3a<T3≤T3b)였을 때는 이상 예지신호(Y)를 출력하며, 제 2기준치(T3b)보다 클 (T3b<T3) 때에는 이상신호(Z)를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제 4비교기(22d)는, 제 2계측기(21b)로 계측된 상기 동작시간(T4)에 대해서, 이 정상의 동작시간의 상한인 제 1기준치(T4a)와, 이상 예지시간의 상한을 나타내는 제 2기준치(T4b)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동작시간(T4)을 이들 기준치와 비교하고, 동작시간(T4)이 제 1기준치(T4a)이하(0<T4≤T4a)였을 때에는 정상신호(X)를 출력하고, 제 1기준치(T4a)보다 크고 또한 제 2기준치(T4b)이하(T4a<T4≤T4b)였을 때는 이상 예지신호(Y)를 출력하며, 제 2기준치(T4b)보다 클(T4b<T4) 때에는 이상신호(Z)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들 각 계측기(21a) 내지 (21d)와 비교기(22a) 내지 (22d)의 동작의 타이밍은, 도 4에 나타내져 있는 바와 같다.
게다가, 상기 신호출력부(23)는, 상기 각 비교기(22a) 내지 (22d)에 의한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정상인지 이상인지의 표시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제 1 내지 제 3의 OR회로(24a) 내지 (24c)와, 이들 각 OR회로(24a) 내지 (24c)에 접속된 제 1 내지 제 3의 래치회로(25a) 내지 (25c)를 구비하고 있다.
제 1의 OR회로(24a)는, 상기 제 1 내지 제 4의 비교기(22a) 내지 (22d)로부터 정상신호(X)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어서, 어느 비교기로부터의 신호의 입력이 있을 때 제 1래치회로(25a)에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제 2의 OR회로(24b)는, 상기 제 1 내지 제 4의 비교기(22a) 내지 (22d)에서 이상 예지신호(Y)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어서, 어느 출력기로부터의 신호의 입력이 있을 때 제 2래치회로(25b)에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게다가, 제 3의 OR회로(24c)는, 상기 제 1 내지 제 4의 비교기(22a) 내지 (22d)에서 이상신호(Z)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어서, 어느 비교기로부터의 신호의 입력이 있을 때 제 3래치회로(25c)에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게다가 상기 각 래치회로(25a) 내지 (25c)는, 상기 OR회로(24a) 내지 (24c)에서 신호가 입력되면,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 혹은 디스플레이장치로 향하여 정상신호(X)가 이상 예지신호(Y) 혹은 이상신호(Z) 등의 표시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신호처리회로(12)에 통신회로를 설치하고, 이 통신회로에 의해서 통신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래치회로(25a) 내지 (25c)는 컨트롤러에 접속되고, 이 컨트롤러에서의 리셋신호에 의해 리셋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전자밸브(1)가 온 또는 오프로 되고나서 스풀(6)이 절환되기까지의 동작시간을 계측하고, 이 동작시간으로부터 절환동작이 정상인지 이상인지를 판별하므로써, 상기 스풀(6)이 스트로크단에서의 시동이나 스트로크단으로의 도달이 지연되었을 경우에도, 이들이 이상 예지상태인가 혹은 이상상태인가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절환동작이 이상 예지의 단계에 있는가 또는 이상의 단계에 있은가가 판별되었을 경우에는, 확실하게 고장 등이 발생하기 이전에 이 이상의 정도에 따른 예방적 보전장치를 즉시 실시할 수 있고, 자동운전 시스템을 장시간에 걸쳐서 가동시키는 경우의 안전성과 신뢰성에 우수하다.
또한, 만일 고장 시에도, 이 전자밸브에서의 신호에 의해 고장장소를 특정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신속한 복구가 가능하고, 시스템의 정지에 의한 손실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위치검출수단(11)이 한 개의 위치센서(16)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지만, 도 5에서 나타내는 제 2실시예와 같이, 위치센서를 복수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두 개의 위치센서(16a), (16b)를 스풀(6)의 양 스트로크단에 있어서 마그네트(15)로 서로 향하도록 설치하고, 이들 위치센서(16a), (16b)로부터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대칭형을 한 두개의 위치신호(Sa), (Sb)가 얻어지도록 하여, 이들 두개의 위치신호(Sa), (Sb) 상에 M, N 두개의 한계치를 설정하므로써, 스풀(6)의 양 스트로크단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제 2실시예의 상기 이외의 구성과 그 작용이나 효과 등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 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이들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 2실시예에서는, 두개의 위치센서(16a), (16b)가 아날로그형의 위치신호(Sa), (Sb)를 출력하는 경우가 나타내져 있지만,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검출수단이 온ㆍ오프의 디지털적인 위치신호(Sa), (Sb)를 출력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도 7에서 나타내는 경우는, 두개의 위치센서가 각각 스풀(6)의 어느 한쪽의 스트로크단에 있어서만 위치신호(Sa), (Sb)를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도 8에서 나타내는 경우는, 두개의 위치센서에서의 위치신호(Sa), (Sb)가 스트로크의 중간에서 오버랩하고, 이 오버랩하고 있는 부분(Sc)의 위치신호를 무시하는 것에 의해, 양 스트로크단에서 스풀(6)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판별신호(n) 및 (m)가 동시에 오프일 때에는 스풀(6)이 이동 도중인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 사이의 시간을 연산처리하므로써 스풀(6)의 이동시간과 이동속도를 동시에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풀(6)의 양 스트로크단에서의 위치를 검출하던가, 어느 한쪽의 스트로크단만을 검출하여, 스풀이 이 위치에서 이동하기까지의 시간이나 위치로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는 경우에도, 스트로크 도중의 1개소 또는 복수 개소의 동작위치를 검출하고, 스풀이 이들 위치에 도달하기까지 또는 거기를 분리하기(이동하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의 경우에는, 검출위치의 수 등에 따라서 신호처리회로에 있어서의 계수기나 비교기의 수가 변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스풀(6)의 동작위치를 직접 검출하지 않고, 피스톤(7a) 또는 (7b)의 동작위치를 검출하므로써 간접적으로 스풀(6)의 동작위치를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게다가,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전자밸브는 싱글 파일럿식의 전자밸브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두개의 파일럿밸브를 보유하는 더블 파일럿식의 전자밸브로 하여도 좋다, 또는 전자적 또는 전기적인 구동수단에 의해서 스풀이 직접 구동되는 직동형의 전자밸브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위치검출수단으로서 마그네트와 자기센서로 이루어진 자기검출식의 것이 나타내져 있지만, 위치검출수단도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센서를 사용하여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것이나, 정전용량을 검출하는 것, 혹은 교번자계를 발생하는 회로의 임피던스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 등, 각종 방식의 검출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밸브의 동작시간을 검출하여 이 절환동작이 정상인지 이상인지를 판별하므로써, 고장 전에 전자밸브의 이상을 간단 또한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Claims (9)

  1. 전자밸브에 설치한 위치검출수단에 의해서 유로절환용 밸브부재의 동작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신호와 계측용 클럭신호로부터의 신호처리회로에 있어서, 전자밸브의 구동신호가 온 또는 오프로 되고나서 상기 밸브부재가 특정의 동작위치를 이동하거나 또는 그 위치에 도달하기까지의 동작시간을 계측하고, 이 동작시간을 상기 신호처리회로에 미리 입력된 복수의 기준치와 비교하므로써, 밸브부재의 절환동작이 정상인지 이상인지를 판별하여, 판별결과에 따른 표시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의 동작관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수단으로 밸브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스트로크단에서의 위치를 검출하고, 전자밸브의 구동신호가 온 또는 오프로 된 후 밸브부재가 상기 스트로크단에서 이동을 개시하기까지의 시간과, 상기 스트로크단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 중 적어도 한쪽을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의 동작관리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준치가, 동작시간의 정상범위를 나타내는 제 1기준치와, 이상 예지범위를 나타내는 제 2기준치를 포함하고 있어서, 밸브부재의 동작시간이 제 1기준치 이하였을 때에는 정상신호를 출력하고, 제 1기준치와 제 2기준치의 사이에 있을 때에는 이상 예지신호를 출력하며, 제 2기준치를 넘을 때에는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의 동작관리방법.
  4. 전자밸브에 설치되어서 유로절환용 밸브부재의 동작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과; 이 위치검출수단에서의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밸브부재의 동작시간을 계측하고, 이 동작시간으로부터 상기 밸브부재의 절환동작이 정상인지 이상인지를 판별하는 신호처리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신호처리회로가, 전자밸브에 대한 온 또는 오프의 구동신호를 시작신호로 하여 시간계측을 개시하고, 위치검출수단에서 출력되는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부재가 절환되기까지의 동작시간을 계측하는 계측부와, 미리 설정된 동작시간에 대해서의 복수의 기준치를 보유하고 있어서, 상기 계측부에서 계측된 밸브부재의 동작시간과 이들 복수의 기준치를 비교하므로써, 상기 밸브부재의 절환동작이 정상인지 이상인지를 판별하는 비교부와, 이 비교부에 의한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정상인지 이상인지의 표시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의 동작관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수단이, 밸브부재의 양 스트로크단에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신호처리회로의 계측부가, 전자밸브의 구동신호가 온으로 된 후 밸브부재가 제 1스트로크단에서 이동을 개시하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는 제 1계측기와, 제 2스트로크단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는 제 2계측기와, 전자밸브의 구동신호가 오프로 된 후 상기 밸브부재가 제 2스트로크단에서 복귀동작을 개시하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는 제 3계측기와, 제 1스트로크단에 도달하기까지의 복귀시간을 계측하는 제 4계측기를 보유하고, 또한 상기 비교부가, 상기 각 계측기에 각각 접속되어서 이 계측기로 계측된 동작시간을 복수의 기준치와 비교하는 제 1 내지 제 4의 비교기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의 동작관리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에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기준치가, 정상의 동작시간의 상한인 제 1기준치와, 이 제 1기준치보다는 크고, 이상은 아니지만 이상의 전단계인 이상 예지시간의 상한을 나타내는 제 2기준치로서, 이 비교부가, 상기 계측부에서 계측된 밸브부재의 동작시간이 제 1기준치 이하일 때는 정상신호를 출력하고, 제 1기준치보다 크고 또한 제 2기준치 이하일 때는 이상 예지신호를 출력하며, 제 2기준치보다 클 때에는 이상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의 동작관리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의 비교기에 각각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기준치가, 정상의 동작시간의 상한인 제 1기준치와, 이 제 1기준치보다는 크고, 이상은 아니지만 이상의 전단계인 이상 예지시간의 상한을 나타내는 제 2기준치로서, 이들 제 1 내지 제 4의 비교기가 각각, 상기 제 1 내지 제 4의 계측기로 계측된 밸브부재의 동작시간이 상기 제 1기준치 이하일 때에는 정상신호를 출력하고, 제 1기준치보다 크고 또한 제 2기준치 이하일 때에는 이상 예지신호를 출력하며, 제 2기준치보다 클 때에는 이상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의 동작관리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수단이, 상기 전자밸브에 밸브부재와 동기하여 이동하도록 설치된 마그네트와, 이 마그네트에서의 자속을 검출하는 한개이상의 위치센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의 동작관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밸브부재의 일단의 유체유로와는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센서가, 전자밸브의 케이싱에 있어서의 상기 마그네트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의 동작관리장치.
KR10-2000-0040387A 1999-07-16 2000-07-14 전자밸브의 동작관리방법 및 장치 KR100386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03411 1999-07-16
JP20341199A JP3530775B2 (ja) 1999-07-16 1999-07-16 電磁弁の動作管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330A true KR20010015330A (ko) 2001-02-26
KR100386402B1 KR100386402B1 (ko) 2003-06-02

Family

ID=16473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387A KR100386402B1 (ko) 1999-07-16 2000-07-14 전자밸브의 동작관리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86229B1 (ko)
EP (1) EP1070893B1 (ko)
JP (1) JP3530775B2 (ko)
KR (1) KR100386402B1 (ko)
CN (1) CN1246744C (ko)
DE (1) DE60008821T2 (ko)
TW (1) TW49196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923A1 (ko) * 2022-09-05 2024-03-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방향 전환 밸브 고장 예측시스템 및 고장 예측방법, 방향 전환 밸브 고장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0762B2 (ja) * 2000-09-05 2004-11-17 Smc株式会社 位置検出機能を備えたマニホールドバルブ
JP3609331B2 (ja) * 2000-09-12 2005-01-12 Smc株式会社 位置検出機能を備えたマニホールドバルブ
DE10222890B4 (de) * 2002-05-23 2004-06-17 Bosch Rexroth Ag Elektrische Einrichtung für die Ansteuerung eines Mehrwegeventils mit einer Verschleißzustandserkennung
FR2885692B1 (fr) * 2005-05-13 2007-10-1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ysteme de diagnostic du fonctionnement d'une electrovanne embarquee a bord d'un vehicule automobile.
UA93051C2 (uk) * 2005-07-29 2011-01-10 Грако Міннесота Інк. Спосіб керування поршневим пневматичним насосом (варіанти)
US20070034264A1 (en) * 2005-08-12 2007-02-15 Stonel Corporation Apparatus for valve communication and control
DK200600827A (da) * 2005-11-04 2007-05-05 Dantaet Electronics As Fremgangsmåde til overvågning af funktionen af en styret on/off ventil
US7283894B2 (en) * 2006-02-10 2007-10-16 Dresser, Inc. System and method for fluid regulation
JP4017011B2 (ja) * 2006-05-12 2007-12-05 オムロン株式会社 冗長用光スイッチ
US7857173B2 (en) * 2006-07-10 2010-12-28 Illinois Tool Works Inc. Solenoid control valve with quick-connect fittings for mating with an adhesive control module assembly of a hot melt adhesive dispensing system
DE102006049311A1 (de) * 2006-10-19 2008-04-30 Trw Automotive Gmbh Baugruppe zur Erfassung einer Vertilstellung
US20080083894A1 (en) * 2006-10-10 2008-04-10 Li Perry Y Pulse width modulated fluidic valve
US7539560B2 (en) 2007-01-05 2009-05-26 Dresser, Inc. Control valve and positioner diagnostics
DE102007039663B4 (de) * 2007-08-22 2011-01-13 Robert Bosch Gmbh Ventilanordnung mit Diagnosemitteln zum Feststellen eines Wartungsbedarfs
US8271141B2 (en) * 2008-06-09 2012-09-18 Ross Operating Valve Company Control valve system with cycle monitoring, diagnostics and degradation prediction
NL2002209C2 (en) * 2008-11-14 2010-05-17 Asco Controls Bv Solenoid valve with sensor for determining stroke, velocities and/or accelerations of a moveable core of the valve as indication of failure modus and health status.
JP5019303B2 (ja) 2010-03-03 2012-09-05 Smc株式会社 電磁弁駆動回路、電磁弁及び電磁弁の駆動方法
GB2480423A (en) * 2010-03-15 2011-11-23 Jena Rotary Technolgy Ltd Valve system
CN102169734B (zh) * 2011-01-26 2013-06-05 中广核工程有限公司 一种核电站阀门动作时间测试系统及方法
JP2011158251A (ja) * 2011-04-27 2011-08-18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DE202012010469U1 (de) * 2012-10-30 2012-11-15 Bürkert Werke GmbH Vorrichtung zur Stellungsanzeige einer Ventilspindel
US9250660B2 (en) 2012-11-14 2016-02-02 Laserlock Technologies, Inc. “HOME” button with integrated user biometric sensing and verification system for mobile device
US9485236B2 (en) 2012-11-14 2016-11-01 Verifyme, Inc. System and method for verified social network profile
US20140209825A1 (en) * 2013-01-29 2014-07-31 Veedims, Ll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of a valve
JP6011875B2 (ja) * 2013-07-08 2016-10-19 Smc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の異常検出システム
US9618137B2 (en) * 2013-12-18 2017-04-11 Rain Bird Corporation Detection of a plunger position in an irrigation control device
US9693510B2 (en) 2013-12-18 2017-07-04 Rain Bird Corporation Voltage compensation in an irrigation control device
JP2016031086A (ja) * 2014-07-28 2016-03-07 株式会社不二越 油圧機器の故障診断装置
JP6544640B2 (ja) * 2015-10-05 2019-07-17 Smc株式会社 スプール弁
US10215304B2 (en) 2015-10-08 2019-02-26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Three-way control valve
MX2019010737A (es) 2017-03-07 2020-01-20 Asco Lp Un dispositivo y metodo para la falla anticipada en una valvula de solenoide para un conjunto de colector.
US11080660B2 (en) * 2017-03-20 2021-08-03 The Boeing Company Data-driven unsupervised algorithm for analyzing sensor data to detect abnormal valve operation
CA3047538C (en) 2017-09-18 2023-08-15 Asco, L.P. A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response time in a valve manifold assembly
CN107575436B (zh) * 2017-10-31 2019-02-19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分体电磁阀测量装置
GB2574229A (en) 2018-05-31 2019-12-04 Fas Medic Sa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ising a solenoid of a valve assembly
JP7254505B2 (ja) * 2018-12-26 2023-04-10 ナブテスコ株式会社 作動流体監視センサ及び流体圧駆動装置
JP7253916B2 (ja) * 2018-12-27 2023-04-07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弁体状態監視装置及び流体圧駆動装置
US11248717B2 (en) 2019-06-28 2022-02-15 Automatic Switch Company Modular smart solenoid valve
US11028941B2 (en) 2019-08-19 2021-06-08 General Equipment And Manufacturing Compan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solenoid valve health
CN112059139A (zh) * 2020-09-10 2020-12-11 广东鸿图南通压铸有限公司 一种压铸机模具液压高真空阀智能监测方法
CN113137409B (zh) * 2021-04-01 2022-06-03 天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一种超高压环境下电磁换向阀试验方法
CN114430053B (zh) * 2022-01-05 2024-02-23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燃料电池冷启动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4738545A (zh) * 2022-05-07 2022-07-12 北京北方华创微电子装备有限公司 阀控制装置和方法、半导体加工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9122A (en) * 1976-03-11 1977-06-14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friction forces in position modulated valves
US4274438A (en) * 1979-02-21 1981-06-23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of diagnostic valve testing
US4523286A (en) * 1981-08-07 1985-06-11 Hitachi, Ltd. Apparatus for making diagnosis of valve device in turbine system
US4696325A (en) * 1984-07-18 1987-09-29 Magee Anthony J Sensing of fire installation water valves being closed
KR890007306A (ko) * 1987-10-30 1989-06-19 제트.엘.더머 온라인 밸브 진단 감시 시스템
JPH0266784A (ja) 1988-08-31 1990-03-06 Nec Corp 磁気ヘッド挿入用治具
JPH0266785A (ja) 1988-09-01 1990-03-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ヘッド保持装置
JPH0288079A (ja) 1988-09-26 1990-03-28 Teijin Ltd 呼吸用気体供給装置
JPH0266784U (ko) * 1988-11-02 1990-05-21
US5056046A (en) * 1989-06-20 1991-10-08 Combustion Engineering, Inc. Pneumatic operated valve data acquisitioner
US5492009A (en) * 1991-03-11 1996-02-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 valve actuated by an electromagnet having an armature
DE4218320A1 (de) * 1992-06-03 1993-12-09 Siemens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Prüfung einer durch ein Medium angetriebenen Armatur
US5329956A (en) * 1993-05-28 1994-07-19 Combustion Engineering, Inc. Pneumatic operated valve stroke timing
WO1995008071A1 (en) * 1993-09-15 1995-03-23 Combustion Engineering, Inc. Diagnostic data acquisitioner for a valve
US5469737A (en) * 1993-12-20 1995-11-28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xial load and position of a valve stem
IT1265319B1 (it) * 1993-12-22 1996-10-31 Nuovo Pignone Spa Sistema perfezionato di comando dell'attuatore di una valvola pneumatica
US5616829A (en) * 1995-03-09 1997-04-01 Teledyne Industries Inc. Abnormality detection/suppression system for a valve apparatus
JPH0942525A (ja) * 1995-07-26 1997-02-14 Smc Corp パイロット形切換弁
FI104129B1 (fi) * 1996-06-11 1999-11-15 Neles Jamesbury Oy Menetelmä säätöventtiilin kunnon valvomiseksi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923A1 (ko) * 2022-09-05 2024-03-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방향 전환 밸브 고장 예측시스템 및 고장 예측방법, 방향 전환 밸브 고장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70893A2 (en) 2001-01-24
CN1246744C (zh) 2006-03-22
DE60008821D1 (de) 2004-04-15
JP3530775B2 (ja) 2004-05-24
US6386229B1 (en) 2002-05-14
EP1070893A3 (en) 2002-07-03
JP2001032958A (ja) 2001-02-06
CN1281168A (zh) 2001-01-24
KR100386402B1 (ko) 2003-06-02
TW491968B (en) 2002-06-21
EP1070893B1 (en) 2004-03-10
DE60008821T2 (de) 2005-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6402B1 (ko) 전자밸브의 동작관리방법 및 장치
KR102087490B1 (ko) 유체압 구동 장치
US4870364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electromagnetic hydraulic valves
CN100565153C (zh) 用于识别隔膜故障的具有压电元件的压力测量转换器
JP2012508857A (ja) 故障様式および健全状態の徴候としてバルブの可動コアのストローク、速度および/または加速度を決定するためのセンサを有するソレノイドバルブ
KR101694047B1 (ko) 모터 제어 방법
US6427720B1 (en) Pilot operated directional control valve having position detecting function
JPH04211777A (ja) 電磁弁の故障検出装置
JP2011523005A (ja) サイクルモニタリング、診断および性能低下の予測を行う制御弁システム
US20210131459A1 (en) Valve device and method for anticipating failure in a solenoid valve assembly in a manifold assembly
EP2724121B1 (en) Electromagnetic actuators and monitoring thereof
KR100348851B1 (ko) 위치검출기능을 가진 전환밸브
EP3428936B1 (en) Electromagnetically moving device
EP28140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a control element
KR102360765B1 (ko) 실린더 동작 상태 감시 장치
US11608612B2 (en) Hydraulic unit
CN113049890A (zh) 电磁阀线圈的故障检测电路、方法和电磁阀线圈装置
CN113811745B (zh) 燃气安全装置
CN112423932B (zh) 具备夹紧对象物的动作检测功能的夹紧系统
KR101780134B1 (ko) 유압 작동식 피팅의 위치 표시 방법 및 장치
JPH10281113A (ja) アクチュエータの異常診断装置
KR20240015248A (ko) 오일필터 예지보전 시스템
JPS63318033A (ja) 開閉機器動作特性監視装置
JP7464860B2 (ja) 油圧ユニット
CN115825728B (zh) 一种检测电磁阀阀芯动作是否到位的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