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4539A - 디스플레이 프론트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프론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프론트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프론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4539A
KR20010014539A KR1020000011463A KR20000011463A KR20010014539A KR 20010014539 A KR20010014539 A KR 20010014539A KR 1020000011463 A KR1020000011463 A KR 1020000011463A KR 20000011463 A KR20000011463 A KR 20000011463A KR 20010014539 A KR20010014539 A KR 20010014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display
section
display fron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1457B1 (ko
Inventor
게르하르트 프리페스
Original Assignee
요한 요트너,헤르베르트 코네감프
만네스만 파우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한 요트너,헤르베르트 코네감프, 만네스만 파우데오 아게 filed Critical 요한 요트너,헤르베르트 코네감프
Publication of KR20010014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02Scales; Dials
    • G01D13/04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프론트(2)는 레터링을 위해 투명한 섹션(11)에 포함된 광불투과 섹션(12), 소위 섬을 가진 지표(9)를 포함한다. 광불투과 섹션(12)은 본 발명에 따라 투명한 캐리어(15)에 제공되고 지표(9)의 윤곽에 따라 구현된, 디스플레이 프론트(2)내의 관통구(13)내로 관통구(13)의 에지 영역에 대해 간격을 두고 삽입된다. 캐리어(15)의 사용에 의해, 섬과 디스플레이 프론트(2) 사이의 연결 스트립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먼저 관통구(13)가 펀칭에 의해 형성되고 캐리어(15)가 디스플레이 프론트(2)의 후방 사출 성형에 의해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디스플레이 프론트(2)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프론트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프론트의 제조 방법 {DISPLAY UNIT WITH A DISPLAY FRO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ISPLAY FRONT}
본 발명은 투명한 섹션 및 투명한 섹션에 포함되는 광불투과 섹션을 포함하는 지표를 가진 디스플레이 프론트, 및 광투과 방법으로 조명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프론트 뒤에 배치된 광원을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디스플레이 프론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조합 기기로서 자동차에 자주 사용되므로 공지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프론트는 투명하며 광불투과 코팅을 포함한다. 지표가 비어 있으므로, 예컨대 숫자 또는 문자로 형성된 지표가 네거티브 디스플레이로 광원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조명될 수 있다. 따라서, 지표는 어두운 디스플레이 프론트에 대한 밝은 표면으로서 양호한 콘트라스트를 형성하기 때문에 쉽게 판독될 수 있다.
시대적 취향의 변화에 따라, 예컨대 나무와 같은 광불투과 재료로 제조되거나 표면 구조 또는 움직이는 형상을 가진 디스플레이 프론트가 점점 더 요구된다. 이렇게 형성된 디스플레이에서 지표를 투명하게 형성하기 위해, 적합한 리세스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상이한 지표가 투명한 섹션에 포함되는 광불투과 섹션을 포함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섬" 은 예컨대 숫자 "0", "4", "6", "8" 또는 문자 "A", "B", "D", "R"에 나타난다. 따라서, 포함된 섹션을 그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트립이 필요한데, 그 이유는 그렇지 않으면 포함된 영역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에 놓인 상기 스트립은 판독 가능성을 방해하고 좋지 않은 인상을 준다. 따라서, 실제로는 디스플레이 프론트가 광불투과 스트린으로만 적층되는 한편, 지표는 투명한 디스플레이 프론트에만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프론트가 임의의, 특히 광불투과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광불투과 섹션을 포함하는 지표가 스트립 없이 사용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디스플레이 프론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디스플레이 프론트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상이한 지표를 가진 디스플레이 프론트의 한 섹션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선 Ⅱ-Ⅱ을 따른, 캐리어를 포함하는 디플레이스 프론트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디스플레이 프론트 11: 투명한 섹션
12: 광불투과 섹션 13: 관통구
14: 후면 15: 캐리어
17: 전면 19: 커버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투명한 섹션이 디스플레이 프론트의 관통구로 형성되고 광불투과 섹션이 투명한 캐리어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프론트의 후면으로부터 관통구의 에지 영역에 대해 간격을 두고 관통구내로 삽입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지표는 먼저 그것의 외부 윤곽에 따라 디스플레이 프론트의 관통구로 형성될 수 있다. 광불투과 섹션은 관찰자에게 가시되지 않는 투명한 캐리어에 배치된다. 상기 캐리어에 의해 스트립이 필요치 않은데, 그 이유는 포함된 영역이 캐리어에만 고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그로 인해 광불투과 영역이 선택적으로 절단된 섹션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캐리어는 디스플레이 프론트의 후면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캐리어가 관통구를 채우면,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가 주어진다. 이로 인해, 캐리어가 관통구를 폐쇄시키고, 동시에 디스플레이 프론트와 함께 동일한 평면에서 캐리어의 균일한 종결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 인해, 반사 및 불균일한 광 분포가 피해질 수 있다. 동시에, 디스플레이 프론트의 전면과 캐리어 사이에서 관통구 영역에 계단이 생략됨으로써, 가능한 그림자 형성이 피해지고 시각적 인상이 좋아진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캐리어가 관통구를 통해 돌출하고 관찰자를 향한 디스플레이 프론트의 전면에 비해 약간 돌출한다. 이로 인해, 입체적 인상이 주어질 수 있다. 동시에, 급경사의 시각으로부터 판독 가능성이 개선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캐리어의 표면이 예컨대 휘어지거나 입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캐리어가 관통구의 전체 표면 위로 돌출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캐리어가 광불투과 섹션의 영역에서만 디스플레이 프론트에 비해 돌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캐리어가 먼저 후방으로부터 관통구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프론트에 비해 돌출한 섹션은 광불투과 코팅만을 갖거나 또는 표면이 상응하게 처리되면 된다. 동시에, 시각적으로 차이나는 광불투과 영역에 의해 판독 가능성이 더욱 개선된다. 또한, 간단한 방식으로 관통구에 정확히 할당된, 광불투과 섹션의 배치, 예컨대 중심 배치가 보장될 수 있다.
광불투과 섹션이 캐리어상에 배치된 커버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가 예컨대 관통구의 절단된 부분일 수 있으므로, 균일한 외관이 얻어진다. 또한, 예컨대 커버링 캡으로서 커버의 형성에 의해 조립이 현저히 용이해질 수 있다.
광불투과 섹션 및 디스플레이 프론트가 가급적 일치하는 색을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이한 재료의 사용시에도 광불투과 섹션과 디스플레이 프론트 사이의 차이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관찰자에게 검출되지 않을 수 있다.
캐리어가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플라스틱은 쉽게 성형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프론트 및 관통구가 최상으로 매칭될 수 있고, 그 결과 제조가 훨씬 간단해진다. 특히, 캐리어가 동시에 다수의 관통구에 사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상이한 두께의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가 단색을 가지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가 얻어질 수 있다. 지표가 그것의 색에 의해 시각적으로 두드러짐으로써, 쉽게 판독된다. 캐리어의 상이한 영역에 상이한 착색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캐리어가 확산 투과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관통구의 전체 표면에 걸쳐 균일한 광 분포가 이루어진다. 동시에, 광원에 의한 관찰자의 눈부심이 방지될 수 있다. 이것을 위해, 캐리어가 예컨대 반투명 유리 또는 유 유리(milk glass)로 제조될 수 있다.
캐리어가 별도의 성형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착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프론트에 결합될 수 있다. 투명한 캐리어가 디스플레이 프론트와 일체로 결합된 플레이트이면, 특히 간단하다. 이것은 간단한 제조를 가능하게 하며 작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캐리어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프론트의 기계적 안정화를 위해 사용되므로, 낮은 형태 안정성을 갖는 재료가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직물, 베니어 또는 박막이 사용될 수 있다.
캐리어가 동시에 광도파관으로 구현되면, 조명이 간단해질 수 있다.
투명한 섹션 및 투명한 섹션에 포함되는 광불투과 섹션을 포함하는 지표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용 디스플레이 프론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제 2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 1 단계에서 투명한 섹션을 형성하는 관통구가 디스플레이 프론트에 형성된 다음, 투명한 캐리어에 배치된 광불투과 섹션이 디스플레이 프론트의 후면으로부터 광불투과 섹션이 관통구의 에지 영역에 대해 간격을 두고 관통구내로 삽입됨으로써 달성된다. 이 방법에 의해, 디스플레이 프론트가 임의의, 특히 광불투과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지표의 광불투과 섹션과 디스플레이 프론트 사이의 연결 스트립이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투명한 캐리어가 관통구의 에지 영역에 대한 필요한 간격을 둔 광불투과 섹션의 위치 설정 및 고정을 위해 사용된다. 캐리어 자체는 관찰자에게 가시될 수 없다.
캐리어는 관통구의 형성 후에 디스플레이 프론트의 후면에 배치되는 성형 부품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캐리어가 디스플레이 프론트의 후방 사출 성형에 의해 투명한 플라스틱, 특히 아크릴 유리로 제조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캐리어가 상이하게 형성된 디스플레이 프론트에 최상으로 매칭될 수 있고 동시에 그렇게 형성된 유닛의 기계적 부하 수용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이한 재료 강도 및 상이한 착색이 구현될 수 있으며, 그것들에 의해 사용 범위가 현저히 넓어진다. 동시에, 후방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고, 관통구 영역에서 캐리어 재료와 디스플레이 프론트 사이의 공차 없는 천이에 의해 시각적 외관이 얻어질 수 있다.
관통구가 천공되는 것이 특히 간단하다. 이렇게 형성된 관통구는 높은 정확도로 재생될 수 있고 특히 관통구의 에지 영역에서 완벽한 표면 특성을 갖는다. 또한, 펀칭된 섹션이 먼저 캐리어에 결합된 다음 캐리어에 의해 관통구내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펀칭된 섹션이 재활용될 수 있다.
캐리어가 광불투과 섹션의 영역에서만 디스플레이 프론트 보다 돌출하여 디스플레이 프론트에 결합되는 실시예가 특히 유용하다. 이로 인해, 한편으로는 입체적 인상에 의해 지표의 판독 가능성이 개선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캐리어의 제공 후, 특히 후방 사출 성형 후에 광불투과 섹션이 문제 없이 전면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캐리어의 광불투과 섹션이 탈착 가능한 커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캐리어의 광불투과 섹션이 코팅의 제공에 의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조립이 간단해지고 동시에 선택적으로 개별 코팅이 실시예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캐리어의 광불투과 섹션이 실크스크린 방법으로 인쇄된다. 따라서, 광불투과 섹션이 간단히 문제 없이 제공될 수 있다. 실크 스크린 방법의 높은 질은 전체 작동 기간 동안 최상의 표면 특성을 보장한다. 캐리어의 광불투과 섹션이 디스플레이 프론트에 비해 돌출하면, 디스플레이 프론트의 의도치 않은 인쇄를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조치 없이, 불투과 섹션이 매우 간단히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디스플레이 프론트(2)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정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다수의 둥근 기기(3) 및 부가의 디스플레이(4)를 포함한다.
도 2는 상기 디스플레이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 프론트(2)의 한 섹션의 확대로로 도시한다. 연료계로 구현된 디스플레이(4)는 충전 레벨을 지시하는 스트립 포인터(5)를 갖는다. 이것을 위해 다수의 지표(7), (8), (9)를 가진 눈금(6)이 사용된다. 또한, 디스플레이(4)는 디스플레이(4)의 식별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단순화된 가솔린 펌프로 형성된 지표(10)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지표(9) 및 (10)가 중요하다. 상기 지표는 도 2에 어둡게 도시된 투명한 섹션(11) 및 상기 투명한 섹션(11)에 포함된 광불투과 섹션(12)을 포함한다.
숫자 "0"로 형성된 디스플레이(4)의 지표(9)의 구성이 도 3에 나타난다. 도 3은 도 2의 선 Ⅱ-Ⅱ을 따른 디스플레이 프론트(2)의 단면도이다. 지표(9)의 윤곽에 의해 결정되는 디스플레이 프론트(2)의 관통구(13)가 도시된다. 디스플레이 프론트(2)의 후면(14)에 결합된 투명한 캐리어(15)가 상기 관통구(13)내로 삽입된다. 캐리어(15)를 통과하는, 도시되지 않은 광원의 빛은 화살표(16)으로 표시된다. 상기 빛은 관통구(13)의 전면(17)에서 관찰자에게 가시되게 방출된다. 투명한 섹션(11)에 포함된 광불투과 섹션(12)이 디스플레이 프론트(2)에 비해 돌출한 캐리어(15)의 영역(18)으로 형성되며, 상기 영역(18)은 커버(19)를 포함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프론트(2)에 대해 색깔이 매칭된 커버(19)가, 광불투과 섹션(12)과 디스플레이 프론트(2) 사이의 연결 스트립 없이, 관통구(13)의 에지 영역(20)에 대해 간격을 두고 광불투과 섹션(12)의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지표(9)가 입체적이므로, 간단한 판독 가능성이 얻어진다.1
본 발명에 의해, 디스플레이 프론트가 임의의, 특히 광불투과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프론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6)

  1. 투명한 섹션, 및 투명한 섹션에 포함되는 광불투과 섹션을 포함하는 지표를 가진 디스플레이 프론트, 및 광투과 방법으로 조명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프론트 뒤에 배치된 광원을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투명한 섹션(11)이 디스플레이 프론트(2)의 관통구(13)로 형성되고 광불투과 섹션(12)이 투명한 캐리어(15)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프론트(2) 후면으로부터 관통구(13)의 에지 영역(20)에 대해 간격을 두고 관통구(13)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캐리어(15)가 관통구(13)를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캐리어(15)가 관통구(13)를 통해 돌출하고 관찰자를 향한 디스플레이 프론트(2)의 전면(17) 보다 약간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캐리어(15)가 광불투과 섹션(12)의 영역에서만 디스플레이 프론트(2)에 비해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광불투과 섹션(12)이 캐리어(15)상에 배치된 커버(19)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광불투과 섹션(12) 및 디스플레이 프론트(2)가 일치하는 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캐리어(15)가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캐리어(15)가 단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캐리어(15)가 확산 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투명한 캐리어(15)가 디스플레이 프론트(2)와 일체로 결합된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투명한 섹션 및 투명한 섹션에 포함되는 광불투과 섹션을 포함하는 지표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용 디스플레이 프론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 1 단계에서 투명한 섹션을 형성하는 관통구가 디스플레이 프론트에 형성된 다음, 투명한 캐리어에 배치된 광불투과 섹션이 디스플레이 프론트의 후면으로부터 관통구의 에지 영역에 대해 간격을 두고 관통구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캐리어가 디스플레이 프론트의 후방 사출 성형에 의해 투명한 플라스틱, 특히 아크릴 유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1항 또는 12항에 있어서, 관통구가 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1항 또는 12항에 있어서, 캐리어가 광불투과 섹션의 영역에서만 디스플레이 프론트에 비해 돌출하여 디스플레이 프론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1항 또는 12항에 있어서, 캐리어의 광불투과 섹션이 코팅의 제공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캐리어의 광불투과 섹션이 실크 스크린 방법으로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0011463A 1999-03-08 2000-03-08 계기판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및 계기판의 제조 방법 KR1005814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10241.4 1999-03-08
DE19910241A DE19910241A1 (de) 1999-03-08 1999-03-08 Anzeigeeinheit mit einer Anzeigenfro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Anzeigenfro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539A true KR20010014539A (ko) 2001-02-26
KR100581457B1 KR100581457B1 (ko) 2006-05-24

Family

ID=7900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463A KR100581457B1 (ko) 1999-03-08 2000-03-08 계기판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및 계기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88924B1 (ko)
EP (1) EP1034965B1 (ko)
JP (1) JP2000310547A (ko)
KR (1) KR100581457B1 (ko)
DE (2) DE199102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26083B4 (de) * 2002-06-12 2007-03-08 Siemens Ag Segmentdisplay-Anzeigevorrichtung
DE10250675A1 (de) * 2002-10-31 2004-05-19 Hella Kg Hueck & Co. Anzeigeneinheit, i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DE10304283A1 (de) 2003-02-03 2004-08-19 Siemens Ag Analoges Anzeigeinstrument
US8089351B2 (en) 2004-10-06 2012-01-0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Instrument cluster lens information, telltails, and lighting
JP4655900B2 (ja) * 2005-11-18 2011-03-2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計器
KR100756464B1 (ko) 2006-04-07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디스플레이부
JP4963597B2 (ja) * 2006-11-30 2012-06-27 矢崎総業株式会社 表示装置
US8187024B2 (en) * 2009-03-23 2012-05-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a light indicative of a connector status
DE112014004247B4 (de) 2013-09-17 2023-03-16 Yazaki Corporation Fahrzeuginstrument
DE102014220348A1 (de) 2014-10-08 2016-04-1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nzeigeeinrichtung
EP3862209B1 (en) 2020-02-10 2023-06-07 Smart Coloring GmbH Display device with functional elements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display device
EP3862210B1 (en) 2020-02-10 2023-06-07 Smart Coloring GmbH Display device with functional elements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display device
EP4245529A1 (de) 2022-03-16 2023-09-20 Covestro Deutschland AG Durchleuchtbarer mehrschichtkörper mit thermo- oder druckempfindlicher dekorationsschich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29638B1 (en) * 1979-11-27 1984-02-01 Combined Optical Industries Limited Laminar light guide and an instrument display means comprising such a light guide
IT8121868V0 (it) * 1981-05-22 1981-05-22 Alfa Romeo Spa Interruttore perfezionato, in particolare per quadro comandi di un autoveicolo.
DE8319332U1 (de) * 1983-07-05 1983-11-24 K.K.P. Konstruktive Kunststoff-Produkte Handelsgesellschaft Mbh, 8744 Mellrichstadt Knopf- oder tastenförmiges Betätigungsteil für elektrische, elektronische oder mechanische Geräte
FR2583558B1 (fr) * 1985-06-12 1988-02-26 Veglia Dispositif d'eclairage d'une plaque de visualisation
EP0300592B1 (en) * 1987-06-29 1992-06-17 Nippon Seiki Co. Ltd. Indicating apparatus
DE3832486A1 (de) * 1988-09-24 1990-03-29 Licentia Gmbh Fluessigkristall-anzeigezelle
US5095409A (en) * 1990-06-18 1992-03-10 Raymond Dematteo Backlit control actuator
IT1259360B (it) * 1992-03-26 1996-03-12 Fiat Auto Spa Quadro strumenti a variazione di colore e di intensita' luminosa
JP3178304B2 (ja) * 1994-11-11 2001-06-18 株式会社デンソー 指針装置
US5537300A (en) * 1995-02-01 1996-07-16 Kraco Enterprises, Inc. Control panel
US5477430A (en) * 1995-03-14 1995-12-19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Fluorescing keypad
DE19514160C2 (de) * 1995-04-15 2000-11-09 Mannesmann Vdo Ag Zifferblatt
US5895115A (en) * 1996-01-16 1999-04-20 Lumitex, Inc. Light emitting panel assemblies for use in automotive applications and the like
DE19643835A1 (de) * 1996-10-30 1998-05-20 Fischer Artur Werke Gmbh Anzeigenelement mit rückseitig beleuchtbarem Symbol
DE19702957C2 (de) * 1997-01-28 1999-01-28 Hella Kg Hueck & Co Anzeige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die Betätigungseinheit einer KFZ-Komponente wie einer Klimaanlage
JP3102854B2 (ja) * 1997-08-08 2000-10-23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照光式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95686A (ja) * 1997-09-25 1999-04-09 Toyoda Gosei Co Ltd 自動車のコントロールパネル用レンズ
US6871978B2 (en) * 1998-11-13 2005-03-29 Lightpath Technologies, Inc. Computer keyboard backligh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34965B1 (de) 2005-11-09
EP1034965A2 (de) 2000-09-13
KR100581457B1 (ko) 2006-05-24
JP2000310547A (ja) 2000-11-07
EP1034965A3 (de) 2003-11-19
DE50011534D1 (de) 2005-12-15
DE19910241A1 (de) 2000-09-21
US6588924B1 (en) 200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9015B2 (en) Indicating instrument with an illuminated pointer disposed behind the dial
US7374323B1 (en) Self-illumination applique system and method
JP2001516666A (ja) 表示装置
US7066630B1 (en) Integrated pointer hub and warning indicator
KR20010014539A (ko) 디스플레이 프론트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프론트의 제조 방법
EP1319553B1 (en) Vehicle instrument
JP2001511894A (ja) 計器パネル
US8016442B2 (en) Illuminated indicating devices for instrument panels
JP4838406B2 (ja) 表示ユニット
WO2017095694A1 (en) Light guide assembly
JP5041331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7269534B2 (ja) 表示装置
US5050527A (en) Automotive meter with illuminator
JP7358732B2 (ja) 表示装置
JP2003315110A (ja) 文字板及びこれを用いたメータ装置
CN109203994B (zh) 车辆显示装置
JP4905754B2 (ja) 表示装置
JP4280966B2 (ja) 表示板
JP3456258B2 (ja) 計器用指針
JP3401786B2 (ja) 計器の照明構造
JP3275283B2 (ja) 透過照明式表示板
JP3412807B2 (ja) 車両用計器の照明構造
JP3627236B2 (ja) 照明装置
JP2001066166A (ja) 計器用表示装置
JP7283344B2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