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1393A - 휴대폰포장용 종이상자 - Google Patents

휴대폰포장용 종이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1393A
KR20010011393A KR1019990030752A KR19990030752A KR20010011393A KR 20010011393 A KR20010011393 A KR 20010011393A KR 1019990030752 A KR1019990030752 A KR 1019990030752A KR 19990030752 A KR19990030752 A KR 19990030752A KR 20010011393 A KR20010011393 A KR 20010011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
plates
assembly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8864B1 (ko
Inventor
박현주
허태훈
Original Assignee
박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주 filed Critical 박현주
Priority to KR1019990030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8864B1/ko
Publication of KR20010011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8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02Partitions integral
    • B65D5/48004Squaring, i.e. at least four not aligned compartments
    • B65D5/48006Longitudinal partition provided with cut flaps folded perpendicular to the part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02Partitions integral
    • B65D5/48004Squaring, i.e. at least four not aligned compartments
    • B65D5/4801Squaring, i.e. at least four not aligned compartment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side panels of a "cross-like" body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발명 케이싱조립체와 내부조립체를 한 장의 골판지로 만들어서 내부공간에 휴대폰 및 주변기기를 함께 담아서 보관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갖추도록 구성하여서, 휴대폰 및 주변기기의 보관성을 향상시켜 주면서도 생산성을 극대화하여 주는 휴대폰포장용 종이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기술구성상의 특징은; 골판지를 소재로하여 만들어지며 바닥판(11), 사방의 벽판(12,13,14,15)들 및 덮개판(16)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싱조립체(10)와, 상기 케이싱조립체(10)와 동일한 소재로 만들어져서 케이싱조립체(10)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주도록 형성되는 내부조립체(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내부조립체(20)는 상기 후방측의 벽판(13)을 제외한 어느 일측의 벽판으로부터 길이 및 폭이 작은 크기로서 제1두께판(231)으로 연결되어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연장꺽임선(21a)(22a)으로 연이어지는 조립판(21)(22)들을 가지도록 제1쪽판(23)을 형성하고, 상기 제1쪽판(23)에 제2두께판(241)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쪽판(23)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각각 중간절첩선(242)(261)으로 설정된 제2 및 제4쪽판(24)(26)들 사이에 상기 조립판(21)(22)들과 동일한 폭의 제3쪽판(25)이 연결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제4쪽판(26)에 제3두께판(271)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쪽판(23)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제5쪽판(27)을 형성하고, 상기 제3쪽판(25)을 기준으로 제2 및 제4쪽판(24)(26)의 일부를 포함한 양단부에 조립홈(28)(29)들을 각각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포장용 종이상자{A Shock-Absorbing Paper Box}
본발명은 한 장의 골판지로 만들어서 내부공간을 짜임새있는 구조로 견실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서, 그 내부공간에 담아진 휴대폰 및 주변기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휴대폰보관용 종이상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폰은 주변기기(밧데리, 충전기, 액세서리)와 함께 유통되고 있는 바, 이러한 휴대폰 및 주변기기는 충격에 극히 취약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주도록 포장용 상자에 담아서 보관되어야 할 대상물품으로 인식되어 있다.
종래의 휴대폰포장용 상자는 스치로폼, P.V.C,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를 소재로하여 사출성형기로 사출성형하여서 제조하여 왔다. 이 휴대폰포장용 수지상자는 내부공간에 담아진 휴대폰 및 주변기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주는 충격방지기능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이 휴대폰포장용 수지상자는 충격방지기능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선진국에서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그 이유는, 원래 합성수지는 오랜기간이 경과되어도 분해되지 않는 올바로 수거하여서 처리되지 않을 경우에 심각한 환경오염을 야기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환경보존 차원에서 합성수지를 소재로 한 휴대폰포장용 수지상자는 그 사용이 엄격히 규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자 최근에 개발된 휴대폰포장용 종이상자는, 사용후에 버려져도 지중의 박테리아들로 쉽게 분해되는 골판지로 만들어져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지 않은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휴대폰포장용 종이상자는 내부공간에 휴대폰 및 주변기기를 함께 담아서 보관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갖추고 있지 못하여서, 유통과정에서 조심스럽게 취급하지 않으면 내부공간에 담아진 휴대폰 및 주변기기가 요동치면서 서로 접촉하거나 충돌하는 사례가 발생되어 보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휴대폰 및 주변기기를 함께 담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골판지를 가공하여서 내부공간을 등분 구획시켜 주도록 조립하게 되므로, 제작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작시에 불필요한 작업량 및 작업시간이 증가되어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발명은 케이싱조립체와 내부조립체를 한 장의 골판지로 만들어서 내부공간에 휴대폰 및 주변기기를 함께 담아서 보관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갖추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휴대폰 및 주변기기를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배려하여 보관성을 향상시켜 주며, 둘째 제작에 따른 작업공정을 단순화시켜서 생산성을 극대화하여 주는 휴대폰포장용 종이상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발명 종이상자의 전개사시도
도2a, 도2b, 도2c, 도2d는 본발명 종이상자의 조립순서를 단계별로 나타낸 것
도3a, 도3b는 본발명 종이상자의 변형된 덮개판을 나타낸 것임
도4는 본발명 다른실시예의 종이상자를 전개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5a, 도5b, 도5c, 도5d는 본발명 다른실시예에 따른 종이상자의 조립순서를
단계별로 나타낸 것임
도6a, 6b는 본발명 다른실시예에 따른 종이상자의 변형된 덮개판을 나타낸 것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싱조립체 11: 바닥판 12,13,14,15: 사방의 벽판
16: 덮개판 20: 내부조립체 21,22: 조립판
21a,22a: 연장꺽임선 210,220: 상,하조립판 210a,220a: 좌,우조립판
211,221: 상하꺽임선 212,222: 상,하두께판 213,223: 상,하꺽임판
23: 제1쪽판 231: 제1두께판 24: 제2쪽판
241: 제2두께판 242: 중간절첩선 25: 제3쪽판
251: 두께장공 26: 제4쪽판 261: 중간절첩선
27: 제5쪽판 217: 제3두께판 28,29: 조립홈
280,290: 상,하조립홈 280a,290a: 좌,우조립홈
본발명도 골판지를 소재로하여 만들어지며 바닥판(11), 사방의 벽판(12,13,14,
15)들 및 덮개판(16)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싱조립체(10)와, 상기 케이싱조립체(10)와 동일한 소재로 만들어져서 케이싱조립체(10)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주도록 형성되는 내부조립체(20)로 구성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발명의 휴대폰포장용 종이상자에 있어, 상기 내부조립체(20)는 상기 후방측의 벽판(13)을 제외한 어느 일측의 벽판으로부터 길이 및 폭이 작은 크기로서 제1두께판(231)으로 연결되어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연장꺽임선(21a)(22a)으로 연이어지는 조립판(21)(22)들을 가지도록 제1쪽판(23)을 형성하고, 상기 제1쪽판(23)에 제2두께판(241)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쪽판(23)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각각 중간절첩선(242)(261)으로 설정된 제2 및 제4쪽판(24)(26)들 사이에 상기 조립판(21)(22)들과 동일한 폭의 제3쪽판(25)이 연결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제4쪽판(26)에 제3두께판(271)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쪽판(23)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제5쪽판(27)을 형성하고, 상기 제3쪽판(25)을 기준으로 제2 및 제4쪽판(24)(26)의 일부를 포함한 양단부에 조립홈(28)(29)들을 각각 형성하여서 됨을 기술구성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발명은 한 장의 골판지로서 케이싱조립체(10)와 내부조립체(20)의 구성판들을 이루도록 만들어서, 사각형상으로 조립된 케이싱조립체(10)의 내부공간에 휴대폰 거치대(1) 및 주변기기 수납공간(2)이 확보되는 짜임새있는 구조로서 견실하게 내부조립체(20)를 조립하게 됨으로써, 첫째 유통과정에서 과격하게 취급하더라도 내부공간에 함께 보관된 휴대폰 및 주변기기가 서로 접촉하거나 충돌함이 없도록 하여서 보관성을 향상시켜 주며, 둘째 한 장의 골판지를 가공하여서 만들어지는 만큼 제작시에 불필요한 작업량 및 작업시간을 감축시켜서 생산성을 향상시켜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에서 바닥판(11), 사방의 벽판(12,13,14,15)들 및 덮개판(16)은 사각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조립되는 케이싱조립체(10)를 이루고, 조립판(21)(22)들을 포함한 제1쪽판(23), 제2쪽판(24), 제3쪽판(25), 제4쪽판(26), 제5쪽판(27)은 조립된 케이싱조립체(10)의 내부공간에 휴대폰 거치대(1) 및 주변기기 수납공간(2)이 확보되도록 조립되는 내부조립체(20)를 이루게 되므로, 이하에서 케이싱조립체(10)와 내부조립체(20)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케이싱조립체(10)는 도1의 도시와 같이, 일정한 크기의 평면적으로 형성된 바닥판(11) 사방의 둘레에 벽판꺽임선(121,131,141,151)들로서 사방의 벽판(12,13,14,15)들이 연이어지도록 형성하고, 사방의 벽판(12,13,
14,15)들 중 후방측의 벽판(13)에 덮개판꺽임선(161)으로서 덮개판(16)이 연이어지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 케이싱조립체(10)는 도2a, 도2b, 도2c, 도2d의 도시와 같이, 바닥판(11)을 중심으로 벽판꺽임선(121,131,141,151)들을 접어서 사방의 벽판(12,13,14,15)을 수직으로 세우고, 후방측의 벽판(13)으로부터 덮개판꺽임선(161)을 접어서 덮개판(16)이 사방의 벽판(12,13,14,15)들 상부를 덮어주도록 조립하게 된다.
상기 후방측의 벽판(13)은 홑겹으로 형성하고, 전방측의 벽판(12), 좌측 및 우측의 벽판(14)(15)은 각각 상기 후방측의 벽판(13)의 2배폭으로서 중간에 형성된 중간두께판(122,142,152)을 접어서 2겹으로 조립되도록 한다.
상기 전방측 및 후방측의 벽판(12)(13) 각각의 양단부에 단부꺽임선(123)(133)으로 연결되는 끼움연장판(124)(134)들을 가져서, 2겹으로 접혀지는 좌측 및 우측의 벽판(14)(15)들의 내측에 끼워서 사방의 벽판(12,13,14,15)들이 상호 견고하게 연결 조립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좌측의 벽판(14)의 끝단부 일정위치에 고정편(143)을 돌출 형성하고, 그 좌측의 벽판(14)의 고정편(143)과 대응하도록 상기 바닥판(11)에 끼움공(111)을 형성하여서,상기 내부조립체(20)을 조립할 때에 좌측의 벽판(14)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바닥판(11)의 중간에 간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끼움공(112)들을 형성하고, 그 바닥판(11)의 끼움공(112)들과 동일선상의 전방측의 벽판(12)의 끝단부에 끼움공(125)을 형성하여서, 상기 내부조립체(20)의 제5쪽판(27)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덮개판(16)은 도3a 및 도3b의 도시와 같이, 그 양단부에 각각 단부꺽임선(162)으로 연결되는 양측의 날개판(163)들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덮개판(16)의 선단에 연장꺽임선(164)으로 연이진 양단부에 양측의 보조날개판(166)이 형성된 연장꺽임판(165)을 가져서, 상기 전방측의 벽판(12) 및 좌우 및 후측의 벽판(14)(15)에 끼워맞춰서 덮어지도록 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내부조립체(20)는 도1의 도시와 같이, 상기 사방의 벽판(12,13,14,15)들 중 우측의 벽판(15)으로부터 길이 및 폭이 작은 크기로서 제1두께판(231)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하단부에 각각 상,하꺽임선(211)(221)으로 연이어지는 상,하조립판(210)(220)을 가지도록 제1쪽판(23)을 형성하고, 상기 제1쪽판(23)의 측단으로부터 제2두께판(241)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쪽판(23)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각각 중간절첩선(242)(261)으로 설정된 제2 및 제4쪽판(24)
(26)들 사이에 상기 상,하조립판(210)(220)과 동일한 폭의 제3쪽판(25)이 연결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제4쪽판(26)의 측단에 제3두께판(271)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제1쪽판(23)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제5쪽판(27)을 형성하고, 상기 제3쪽판(25)을 기준으로 제2 및 제4쪽판(24)(26)의 일부를 포함한 상하단부에 상,하조립홈(280)(290)을 각각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 내부조립체(20)는 도2a, 도2b, 도2c, 도2d의 도시와 같이, 우측의 벽판(15)에 연결된 제1두께판(231)을 접어서 제1쪽판(23)이 상기 좌측의 벽판(14) 내측에 맞대어지도록 하고, 제2두께판(241)과 중간절첩선(242)(261)들을 경계로 제2쪽판(24), 제3쪽판(25), 제4쪽판(26)을 순서대로 접은 다음, 제3두께판(271)을 경계로 제5쪽판(27)을 접은 후에 다시 상기 제1쪽판(23)의 상,하조립판(210)(220)들을 각각 상,하조립홈(280)(290)에 끼워맞춰서, 사각형상으로 조립된 케이싱조립체(10)의 내부 일측에 휴대폰 거치대(1)를 경계로 주변기기 수납공간(2)이 확보되도록 조립하게 된다.
상기 상,하조립판(210)(220)은 상기 제1 및 제5쪽판(23)(27)에 비하여 약간 작은 폭으로 형성하여서, 상기 상,하조립판(210)(220)들을 상기 상,하조립홈(280)
(290)에 각각 끼워맞춰서 조립할 때에 제3쪽판(25) 상부로 돌출되게 막아주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조립판(210)(220)은 각각 그 중간에 설정된 상,하두께판(212)(222)을 가지며, 그 상,하조립판(210)(220)들의 끝단에 상,하꺽임선(211)
(221)으로 연이어지는 상,하꺽임판(213)(223)을 형성하여서 된다. 이 상,하조립판(210)(220)은 각각 상,하두께판(212)(222)을 통하여 2겹으로 접어서 조립되도록 하고, 상,하꺽임선(211)(221)으로 연이어진 상,하꺽임판(213)(223)들이 각각 2겹으로 접혀지는 제3 및 제5쪽판(25)(27) 내측에 끼워져서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3쪽판(25)에는 상기 제4쪽판(26)의 일부를 포함하여 상부측에 두께장공(251)을 형성하고, 상기 상조립판(210)의 상꺽임판(211)에 단부꺽임선(214)으로 연이어져서 중간두께판(216)을 가지는 막이판(215)을 형성하여서 된다. 이는 상기 상조립판(210)의 막이판(215)을 중간두께판(216)을 통하여 2겹으로 접은 후에 상기 두께장공(251)을 관통하여 돌출되게 끼워맞춰서, 안테나가 장착된 휴대폰을 거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5쪽판(27)의 폭방향 끝단부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고정편(272)들을 형성하고, 그 제5쪽판(27)의 길이방향 하단부에 고정편(273)을 각각 형성하여서, 상기 케이싱조립체(10)의 바닥판(11)에 형성된 끼움공(112)와 상기 전방측의 벽판(12)에 형성된 끼움공(125)에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4는 본발명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내부조립체(20)는 상기 사방의 벽판(12,13,14,15)들 중 전방측의 벽판(12)으로부터 길이 및 폭이 작은 크기로서 제1두께판(231)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제1쪽판(23)을 형성하고, 상기 제1쪽판(23)의 좌측에는 좌조립판(210a)이 그 우측에는 경사절개부(221a)가 형성된 우조립판(220a)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제1쪽판(23)의 단부로부터 제2두께판(241)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쪽판(23)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각각 중간절첩선(242)(261)으로 설정된 제2 및 제4쪽판(24)(26)들 사이에 상기 좌,우조립판(210a)(220a)과 동일한 폭의 제3쪽판(25)이 연결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4쪽판(26)의 단부에 제3두께판(271)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제1쪽판(23)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제5쪽판(27)을 형성하며, 상기 제3쪽판(25)을 기준으로 좌측단에 상기 제2 및 제4쪽판(24)(26)의 일부를 포함하여 좌조립홈(280a)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3쪽판(25)을 기준으로 우측단에 상기 제4쪽판(26)의 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좌조립홈(280a)보다 짧은 우조립홈(290a)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발명의 다른실시예도 한 장의 골판지로서 케이싱조립체(10)와 내부조립체(20)의 구성판들을 이루도록 만들어서, 도5a, 도5b, 도5c, 도5d의 도시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조립된 케이싱조립체(10) 내부의 전방에 휴대폰 거치대(1) 및 주변기기 수납공간(2)이 확보되는 짜임새있는 구조로서 견실하게 내부조립체(20)를 조립하게 되는 점에서 본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사상을 구현하는 것이다.
그리고, 내부조립체(20)의 제5쪽판(27) 양측단 일정위치에 고정편(274)을 형성하고, 케이싱조립체(10)의 좌측 및 우측의 벽판(14)(15)에 각각 끼움공(144)
(154)들을 형성하여서, 상기 제5쪽판(27)을 고정시켜서 조립되도록 한다.
또, 케이싱조립체(10)의 후방측의 벽판(13)은 홑겹으로 형성하고, 전방측의 벽판(12) 및 좌측 및 우측의 벽판(14)(15)은 각각 상기 후방측의 벽판(13)의 2배폭으로서 중간에 형성된 중간두께판(122,142,152)을 접어서 2겹으로 조립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후방측 벽판(13)의 양단부에 단부꺽임선(135)으로 연결되는 끼움연장판(136)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 좌측 및 우측의 벽판(14)(15)의 단부에 각각 단부꺽임선(145)(155)으로 연결되는 끼움연장판(146)(156)들을 가져서, 상기 전방측 벽판(12)과 좌측 및 우측의 벽판(14)(15)들을 2겹으로 접을 때에 내측에 끼워서 사방의 벽판(12,13,14,15)들이 상호 견고하게 연결 조립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덮개판(16)은 도6a 및 도6b의 도시와 같이, 그 전방측 및 좌우측에 각각 끼움날개(167)들을 가져서, 상기 전방측 벽판(12) 및 좌우 및 우측의 벽판(14)(15)의 내측면에 끼워서 덮어지도록 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발명은 케이싱조립체의 내에 짜임새있고 견실하게 내부조립체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서 휴대폰 및 주변기기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케이싱조립체와 내부조립체를 한 장의 골판지로 만들어서 제작시에 불필요한 작업량 및 작업시간을 감축시켜서 생산성을 향상시켜 주는 유용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골판지를 소재로하여 만들어지며 바닥판(11), 사방의 벽판(12,13,14,15)들 및 덮개판(16)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싱조립체(10)와, 상기 케이싱조립체(10)와 동일한 소재로 만들어져서 케이싱조립체(10)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주도록 형성되는 내부조립체(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내부조립체(20)는 상기 후방측의 벽판(13)을 제외한 어느 일측의 벽판으로부터 길이 및 폭이 작은 크기로서 제1두께판(231)으로 연결되어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연장꺽임선(21a)(22a)으로 연이어지는 조립판(21)(22)들을 가지도록 제1쪽판(23)을 형성하고, 상기 제1쪽판(23)에 제2두께판(241)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쪽판(23)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각각 중간절첩선(242)(261)으로 설정된 제2 및 제4쪽판(24)(26)들 사이에 상기 조립판(21)(22)들과 동일한 폭의 제3쪽판(25)이 연결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제4쪽판(26)에 제3두께판(271)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쪽판(23)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제5쪽판(27)을 형성하고, 상기 제3쪽판(25)을 기준으로 제2 및 제4쪽판(24)(26)의 일부를 포함한 양단부에 조립홈(28)(29)들을 각각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포장용 종이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조립체(20)는 상기 사방의 벽판(12,13,14,15)들 중 우측의 벽판(15)으로부터 길이 및 폭이 작은 크기로서 제1두께판(231)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하단부에 각각 상,하꺽임선(211)(221)으로 연이어지는 상,하조립판(210)(220)을 가지도록 제1쪽판(23)을 형성하고, 상기 제1쪽판(23)의 측단으로부터 제2두께판(241)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쪽판(23)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각각 중간절첩선(242)(261)으로 설정된 제2 및 제4쪽판(24)(26)들 사이에 상기 상,하조립판(210)(220)과 동일한 폭의 제3쪽판(25)이 연결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제4쪽판(26)의 측단에 제3두께판(271)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제1쪽판(23)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제5쪽판(27)을 형성하고, 상기 제3쪽판(25)을 기준으로 제2 및 제4쪽판(24)(26)의 일부를 포함한 상하단부에 상,하조립홈(280)(290)을 각각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포장용 종이상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조립체(20)는 상기 사방의 벽판(12,13,
    14,15)들 중 전방측의 벽판(12)으로부터 길이 및 폭이 작은 크기로서 제1두께판(231)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제1쪽판(23)을 형성하고, 상기 제1쪽판(23)의 좌측에는 좌조립판(210a)이 그 우측에는 경사절개부(221a)가 형성된 우조립판(220a)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제1쪽판(23)의 단부로부터 제2두께판(241)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쪽판(23)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각각 중간절첩선(242)(261)으로 설정된 제2 및 제4쪽판(24)(26)들 사이에 상기 좌,우조립판(210a)(220a)과 동일한 폭의 제3쪽판(25)이 연결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4쪽판(26)의 단부에 제3두께판(271)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제1쪽판(23)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제5쪽판(27)을 형성하며, 상기 제3쪽판(25)을 기준으로 좌측단에 상기 제2 및 제4쪽판(24)(26)의 일부를 포함하여 좌조립홈(280a)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3쪽판(25)을 기준으로 우측단에 상기 제4쪽판(26)의 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좌조립홈(280a)보다 짧은 우조립홈(290a)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포장용 종이상자.
KR1019990030752A 1999-07-28 1999-07-28 휴대폰포장용 종이상자 KR100328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752A KR100328864B1 (ko) 1999-07-28 1999-07-28 휴대폰포장용 종이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752A KR100328864B1 (ko) 1999-07-28 1999-07-28 휴대폰포장용 종이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393A true KR20010011393A (ko) 2001-02-15
KR100328864B1 KR100328864B1 (ko) 2002-03-14

Family

ID=1960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752A KR100328864B1 (ko) 1999-07-28 1999-07-28 휴대폰포장용 종이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88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880A (ko) * 2001-09-08 2003-03-15 김응종 수납실이 일체로 형성된 비접착식 다중포장 판지상자
KR100638453B1 (ko) * 2004-11-19 2006-10-24 씨제이 주식회사 포장용 박스 및 포장용 박스 접는방법
KR100654153B1 (ko) * 2004-10-08 2006-12-06 하옥자 포장용 상자, 괘선형성방법 및 포장용 상자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116Y1 (ko) * 2009-02-13 2013-07-29 양진용 포장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880A (ko) * 2001-09-08 2003-03-15 김응종 수납실이 일체로 형성된 비접착식 다중포장 판지상자
KR100654153B1 (ko) * 2004-10-08 2006-12-06 하옥자 포장용 상자, 괘선형성방법 및 포장용 상자의 제조 방법
KR100638453B1 (ko) * 2004-11-19 2006-10-24 씨제이 주식회사 포장용 박스 및 포장용 박스 접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8864B1 (ko) 200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8800B2 (en) Cushioning material for packaging and packaging matter
US7097042B2 (en) Portable accessory box
US20050023162A1 (en) Packaging carton
US7306102B2 (en) Dimension adjustable shock-absorbing package structure
KR20010011393A (ko) 휴대폰포장용 종이상자
KR100393518B1 (ko) 통신카드 포장상자
JPH07237630A (ja) 化粧箱
KR20010011394A (ko) 휴대폰포장용 종이상자
KR101425523B1 (ko) 메가폰 기능을 갖는 휴대폰 포장상자
JPH10211967A (ja) 段ボール製パッキング
KR100347511B1 (ko) 종이상자용 내부조립체
KR200286095Y1 (ko) 포장박스용 하니콤 보강재
CN216637473U (zh) 一种具有防回弹功能的吸塑护角
CN217576023U (zh) 一种可重复利用的环保型纸箱
CN218807583U (zh) 包装盒内衬及包装盒
KR200383972Y1 (ko) 엘시디패널용 펄프몰드포장재 어셈블리
JP2000142809A (ja) 梱包用緩衝材
KR200322757Y1 (ko) 핸드폰 포장용 내부 조립체
JP2009096520A (ja) 梱包用トレイ
KR100311602B1 (ko) 충격방지용 종이상자
JP2000159269A (ja) 梱包用緩衝体
KR200180990Y1 (ko) 전자부품 보관 케이스
KR200204650Y1 (ko) 포장박스용 완충재
JPH10129732A (ja) 梱包部材
KR100423144B1 (ko) 브이씨알 세트용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